KR102242793B1 - 블라인드가 내장된 이중창 - Google Patents

블라인드가 내장된 이중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2793B1
KR102242793B1 KR1020200055090A KR20200055090A KR102242793B1 KR 102242793 B1 KR102242793 B1 KR 102242793B1 KR 1020200055090 A KR1020200055090 A KR 1020200055090A KR 20200055090 A KR20200055090 A KR 20200055090A KR 102242793 B1 KR102242793 B1 KR 102242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inner space
tilting
presen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5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종준
Original Assignee
장종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종준 filed Critical 장종준
Priority to KR1020200055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27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2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2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4Combinations of lamellar blinds with roller shutters, screen windows, windows, or double panes; Lamellar blinds with special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06B9/384Details of interconnection or interaction of tapes and lamella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4Combinations of lamellar blinds with roller shutters, screen windows, windows, or double panes; Lamellar blinds with special devices
    • E06B2009/2643Screens between double windows
    • E06B2009/2646Magnetic screen ope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라인드가 내장된 이중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음 차단 및 단열 성능이 좋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차광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없는 블라인드가 내장된 이중창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한 쌍의 유리 사이의 내측공간에 간격을 두고 다수 배치되는 다수의 가림막, 상기 내측공간에 설치되고, 다수의 상기 가림막에 연결되어 다수의 상기 가림막을 이동시키는 이동수단, 상기 내측공간에 설치되고, 다수의 상기 가림막에 연결되어 다수의 상기 가림막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는 틸트수단 및 상기 내측공간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수단 및 상기 틸트수단을 구동시키는 동작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라인드가 내장된 이중창{WINDOW WITH BILIND}
본 발명은 블라인드가 내장된 이중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음 차단 및 단열 성능이 좋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차광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없는 블라인드가 내장된 이중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중창(2중창, double window)은 외장지와 안장지를 2중으로 한 창으로 방한 또는 소음 방지를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이중창은 보통 한냉지역(寒冷地域)에서 사용되고 있는데, 최근에는 단열성이 우수하여 아파트, 빌라, 일반주택 및 여객차 등 채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중창은 투명한 유리 등에 의해 건물 등의 내부를 볼 수 있기 때문에 이중창의 상측에 별도의 커튼이나 블라인드 등의 차광수단을 설치하였다.
종래의 기술인 공개특허 제10-0306640호(이하 종래기술)는 천연원목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위 블라인드판(100)은 중앙부에 천연재질의 가볍고 부드러운 연질원목(11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질원목(110)의 테두리 부에는 비교적 강하고 견고한 경질원목(120)을 각각 접착하여 일체화하여 구성된 얇은 천연원목판으로 이루어 진 것으로 상기 단위 블라인드판(100)을 이루는 연질원목(110)과 경질원목(120)은 서로 다른 색상과 무늬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외측면에는 유브이(UV)코팅처리(130) 되어 구성되고, 상기 단위 블라인드판(100)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관통공(111)이 상기 단위 블라인드판(100)의 안쪽 연질원목(110)에 타원형상으로 천공되어 이에 현수선(140)이 끼워지도록 하므로서 부드러운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단열 및 방음 효과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블라인드를 설치하기 위해 건물 천장에 블라인드를 지지할 수 있는 가이드프레임(종래기술의 블라인드판(100))을 별도로 설치해야 하므로, 건물 내부의 미관이 좋지 않으며 설치 과정에서 드릴 등의 공구를 통해 건물 내벽에 홈을 형성해야 하므로 건물 내부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고, 특히 천장이 시멘트일 경우에는 손상되는 부분이 더 커질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단열 및 방음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차광수단을 설치할 필요 없는 블라인드가 내장된 이중창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중창에 내장된 블라인드를 용이하게 동작시킬 수 있는 동시에 내구성이 향상된 블라인드가 내장된 이중창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키가 작은 이용자도 편리하게 블라인드를 동작시킬 수 있는 블라인드가 내장된 이중창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은 다음의 구성 및 특징을 갖는다.
한 쌍의 유리 사이의 내측공간에 간격을 두고 다수 배치되는 다수의 가림막, 상기 내측공간에 설치되고, 다수의 상기 가림막에 연결되어 다수의 상기 가림막을 이동시키는 이동수단, 상기 내측공간에 설치되고, 다수의 상기 가림막에 연결되어 다수의 상기 가림막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는 틸트수단 및 상기 내측공간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수단 및 상기 틸트수단을 구동시키는 동작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동작수단은 자석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수단은 자석이 구비된 제1대응부, 창틀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제1변환부 및, 상기 제1변환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변환부를 기준으로 일 측이 양방향으로 이동하고 타 측이 상기 가림막에 연결되어 양방향으로 이동하는 견인로프를 포함하고, 상기 틸트수단은 자석이 구비된 제2대응부,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제2변환부 및, 상기 제2변환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2변환부를 기준으로 일 측이 양방향으로 이동하고 타 측이 다수의 상기 가림막 각각에 연결되어 양방향으로 이동하는 틸팅로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작수단의 자석은 상기 유리 외면의 법선 방향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하고, 상기 제1대응부 및 상기 제2대응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동작수단의 자석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견인로프 또는 상기 틸팅로프를 권취 및 권출하도록 회전하는 풀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림막은 상하 방향의 길이를 가지고, 상기 창틀은 수직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제1대응부 및 상기 제2대응부는 상기 수평프레임의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견인로프 및 상기 틸팅로프 각각은 상기 가림막과 연결되는 타 측이 수평 방향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 한 쌍의 유리창 사이에 가림막, 가림막을 이동시키는 이동수단 및 가림막의 경사를 조절하는 틸트수단이 설치됨으로써, 단열 및 방음 효과가 우수한 동시에 별도의 건물에 별도의 차광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건물 내부의 미관이 향상되며 특히 건물 내부의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작수단이 자석이 구비되고, 이동수단 및 틸트수단 각각이 자석이 구비되는 제1대응부 및 제2대응부를 각각 포함함으로써, 유리를 천공시킬 필가 없기 때문에 유리가 깨지는 것을 억제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대응부 및 제2대응부 중 적어도 하나가 동작수단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는 풀리를 포함함으로써, 키가 작은 이용자도 이동을 최소한으로 하며 블라인드를 용이하게 동작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직프레임의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프레임의 내부공간에 제1대응부 및 제2대응부가 설치됨으로써, 키가 작은 이용자도 블라인드를 용이하게 동작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가 내장된 이중창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가 내장된 이중창에서 이동수단 및 틸트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3은 가림막에 연결되는 견인로프 및 틸팅로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가 내장된 이중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가 내장된 이중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제1대응부 및 제2대응부 중 어느 하나가 풀리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가 내장된 이중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제1대응부 및 제2대응부가 풀리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가 내장된 이중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결합)" 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결합)"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가 내장된 이중창(WB)은 한 쌍의 유리(G) 사이의 내측공간에 블라인드가 설치된 것인데, 여기에서 블라인드는 후술하는 가림막(1), 이동수단(2) 및 틸트수단(3)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가 내장된 이중창(WB)을 '본 장치'라 칭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가 내장된 이중창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가 내장된 이중창에서 이동수단 및 틸트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3은 가림막에 연결되는 견인로프 및 틸팅로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장치(블라인드 내장된 이중창(WB))는 가림막(1), 이동수단(2), 틸트수단(3) 및 동작수단(4)을 포함한다.
먼저 가림막(1)은 빛을 차단하는 차광수단으로 한 쌍의 유리(G) 사이의 내측공간에 간격을 두고 다수 배치된다. 이러한 가림막(1)은 상하 방향 또는 수평 방향의 길이를 가지는 것으로 수평 방향 또는 상하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상기 내측공간에 다수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수평 방향은 도 2를 기준으로 좌측-우측 방향을 의미하고, 상하 방향은 도 2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을 의미할 수 있는데,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하게 적용하기로 한다.
본 장치에서 이동수단(2)은 상기 내측공간에 설치되고, 다수의 상기 가림막(1)에 연결되어 다수의 가림막(1)을 이동시킨다. 후술하는 설명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이동수단(2)은 예시적으로 후술하는 제1변환부(22)를 기준으로 타 측이 가림막(1)과 연결되는 후술할 견인로프(23)를 포함할 수 있는데, 견인로프(23)의 타 측은 도 2를 기준으로 하단에 배치되는 가림막(1)을 감은 상태로 하단 가림막(1)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다수의 가림막(1)을 관통(도 3 참조)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이동수단(2)의 견인로프(23)가 양방향으로 이동하여 다수의 가림막(1)을 양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내측공간에서 다수의 가림막(1)이 서로 보다 좁은 가격을 두고 배치되거나 서로 보다 넓은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다수의 가림막(1)이 보다 넓은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경우 차광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양방향은 도 2를 기준으로 상측 또는 하측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장치에서 틸트수단(3)은 상기 내측공간에 설치되고, 다수의 상기 가림막(1)에 연결되어 다수의 상기 가림막(1)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후술하는 설명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틸트수단(3)은 예시적으로 후술하는 변환부(32)를 기준으로 타 측이 가림막(1)과 연결되는 후술할 틸팅로프(33)를 포함할 수 있는데, 틸팅로프(33)의 타 측은 블라인드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다리실일 수 있다. 틸팅로프(33)는 다수의 가림막(1)의 이격 방향(예시적으로 도 2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과 평행한 길이를 가지고 다수의 가림막(1) 각각의 폭(예시적으로 도 2를 기준으로 정면-배면 길이)을 형성하는 각각의 모서리와 연결되는 한 쌍의 기울임실(331) 및 한 쌍의 기울임실(331)을 상호 연결하고 가림막(1)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안착실(332)을 포함할 수 있다(도 3 참조). 이러한 틸팅로프(33)의 타 측은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되어 가림막(1)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틸트수단(3)에서 틸팅로프(33)의 타 측이 다수의 가림막(1) 각각에서 폭을 형성하는 모서리에 연결됨으로써, 틸팅로프(33)의 타 측이 양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가림막(1)의 기울기가 조절될 수 있다.
본 장치의 동작수단(4)은 상기 내측공간의 외측에 배치되어 이동수단(2) 및 틸트수단(3)을 구동시킨다. 동작수단(4)은 유리(G)에서 상기 내측공간을 형성하는 내면과 대향되는 외면에 부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에서 동작수단(4)은 자석(M)을 구비하고, 이동수단(2)은 자석(M)이 구비된 제1대응부(21), 창틀(F)의 내부공간(FS)에 설치되는 제1변환부(22) 및, 상기 제1변환부(22)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변환부(22)를 기준으로 일 측이 양방향으로 이동하고 타 측이 가림막(1)에 연결되어 양방향으로 이동하는 견인로프(2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를 설명함에 있어서 양방향은 도 2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창틀(F)은 한 쌍의 유리(G)에 개재되어 설치될 수 있고, 제1변환부(22)는 피동로울러(221)를 포함할 수 있다. 견인로프(23)는 피동로울러(221)에 감긴 상태에서 일 측이 제1대응부(21)에 연결되고, 자석(M)이 구비된 동작수단(4)에 의해 제1대응부(21)가 동작되어 제1변환부(22)를 기준으로 견인로프(23)의 일 측이 양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자석(M)이 구비된 동작수단(4)이 상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동작수단(4)의 자석(M)과의 인력에 의해 제1대응부(21)가 상측으로 이동하고, 견인로프(23)의 타 측은 가림막(1)의 중량에 의해 피동로울러(221)가 회전하며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를 통해 다수의 가림막(1)의 상호 간의 간격이 넓어지며 상기 내측공간에 배치하게 된다.
반대로 동작수단(4)이 하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동작수단(4)의 자석(M)과의 인력에 의해 제1대응부(21)가 하측으로 이동하고, 피동로울러(221)가 회전하여 견인로프(23)의 타 측이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를 통해 다수의 가림막(1)이 상호 간의 간격이 좁아지며 상기 내측공간에서 상측에 운집하게 된다.
한편, 틸트수단(3)은 자석(M)이 구비된 제2대응부(31), 내부공간(FS)에 설치되는 제2변환부(32) 및, 제2변환부(32)에 연결된 상태에서 제2변환부(32)를 기준으로 일 측이 양방향으로 이동하고 타 측이 다수의 가림막(1) 각각에 연결되어 양방향으로 이동하는 틸팅로프(3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하면, 제2변환부(32)는 제2대응부(31) 및 상기 가림막(1)보다 상측에 구비되고, 수평 방향의 길이를 가지고 수평 방향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회동축(322), 상기 제2대응부(31)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회동축(322)에 결합되어 회동하는 제1로울러(321), 상기 회동축(322)에 결합되어 회동하는 제2로울러(323) 및, 상기 제2대응부(31)보다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수평 방향으로 회동하는 제3로울러(3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틸팅로프(33)의 일 측은 상기 제1로울러(321)와 및 상기 제2로울러(323)에 감긴 상태에서 제1로울러(321) 및 제3로울러(324)의 회동축(322)을 양축으로 하여 회동하고, 제2대응부(31)는 한 쌍의 유리(G) 중 어느 하나(예시적으로 동작수단(4)이 인접한 유리(G)에 인접한 틸팅로프(33)에 결합된 것일 수 있다.
즉, 동작수단(4)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자석(M) 간의 인력에 의해 제2대응부(31)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제2대응부(31)의 이동에 따라 틸팅로프(33)의 일 측이 제1로울러(321) 및 제3로울러(324)를 양축으로 하여 회동하고 제1로울러(321)가 회동축(322)을 회동시켜, 제2로울러(323)가 회동하고, 제2로울러(323)를 감은 틸팅로프(33)의 타 측이 이동하여 가림막(1)의 기울기를 조절한다.
상술하였듯이 틸팅로프(33)의 타 측은 사다리실일 수 있다고 하였는데, 이웃하는 한 쌍의 기울임실(331)이 상호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안착실(332)에 안착된 가림막(1)이 기울어질 수 있다.
상술한 제2변환부(32)는 형틀(F)의 내부공간(FS)에 설치되는데, 상기 내부공간(FS)을 형성하는 형틀(F)의 내벽과 용접, 볼팅 결합 등 해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3로울러(324)는 형틀(F)에 설치되는 고정부재(F3)에 결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는 한 쌍의 유리(G) 사이에 설치되는 블라인드(가림막(1), 이동수단(2) 및 틸트수단(3))와 유리(G)의 외면에 배치되어 상기 블라인드를 동작시키는 동작수단(4)을 포함함으로써, 단열 및 방음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건물 내부에 블라인드를 설치하기 위한 시공이 필요하지 않아, 건물 내부의 미관이 향상되고 건물 내부가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는 동작수단(4)이 자석(M)을 구비하고, 동작수단(4)의 자석(M)에 따라 이동하는 제1대응부(21) 및 제2대응부(31)를 포함함으로써, 유리(G)에 구멍을 낼 필요가 없이 블라인드를 동작시킬 수 있기 때문에 구성이 단조롭고 유리(G)가 깨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가 내장된 이중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후술하는 설명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는 제1대응부(21)와 제2대응부(31)를 하측에 배치하기 위해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를 90ㅀ 또는 -90ㅀ 회동시킨 것(도 2를 기준으로 정면-배면을 중심축으로 회동)으로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는 가림막(1)이 상하 방향의 길이를 가지고, 창틀(F)은 수직프레임(F1) 및 상기 수직프레임(F1)의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프레임(F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는 제1대응부(21) 및 제2대응부(31)가 상기 수평프레임(F2)의 내부공간(FS)에 설치되고, 견인로프(23) 및 틸팅로프(33) 각각은 가림막(1)과 연결되는 타 측이 수평 방향(틸팅로프(33)의 타 측은 팽팽한 상태에서 수평 방향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면, 안착실(332)이 가림막(1)의 일면과 결합(부착 등의 방식으로 결합)되고, 견인로프(23)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해 한 쌍의 수직프레임(F1)의 내부공간(FS) 각각에 한 쌍의 피동로울러(221)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견인로프(23)의 타 측은 다수의 가림막(1)중 도 4를 기준으로 좌측단 또는 우측단을 감은 상태로 연장되어 한 쌍의 피동로울러(221)를 각각 감아 제1변환부(22)를 기준으로 견인로프(23)의 일 측이 제1대응부(21)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직프레임(F1)의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프레임(F2)의 내부공간(FS)에 설치되는 제1대응부(21)가 동작수단(4)에 의해 양방향(도 4를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다수의 가림막(1)이 한 쌍의 유리(G) 사이의 내측공간에서 보다 넓은 간격을 두고 배치되거나, 보다 좁은 간격을 두고 운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2변환부(32)는 틸팅로프(33)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해 한 쌍의 수직프레임(F1)의 각각과 수평프레임(F2)의 좌측(도 4를 기준으로 좌측) 내부공간(FS) 및 우측(도 4를 기준으로 우측) 내부공간(FS)에 각각 설치될 수 있는데, 틸팅로프(33)의 일 측이 한 쌍의 제1로울러(321)를 감은 상태로 제1로울러(321)를 양축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제1로울러(321) 중 어느 하나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에서 제3로울러(324)의 역할을 수행하므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는 제3로울러(324)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에서 틸팅로프(33)의 일 측과 연결되는 제2대응부(31)가 동작수단(4)에 의해 도 4를 기준을 좌측 및 우측으로 이동할 경우, 틸팅로프(33)의 타 측 또한 양방향(좌측 및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상술하였듯이, 한 쌍의 기울임실(331)이 가림막(1)의 폭을 형성하는 한 쌍의 모서리에 각각 연결되어 가림막(1)의 기울임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에서 제1대응부(21) 및 제2대응부(31)가 하측에 구비되는 수평프레임(F2)에 설치되기만 한다면, 제1변환부(22) 및 제2변환부(32)의 구성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후술하는 도 5 참조)하며 상술한 구성과 구조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는 제1대응부(21)와 제2대응부(31)가 도 2 및 도 4를 기준으로 하측에 구비되기 때문에 키가 작은 이용자도 블라인드를 용이하게 동작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여기에서 이용자는 본 장치에서 블라인드를 동작시키는 사용자를 의미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가 내장된 이중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후술하는 설명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는 제1대응부(21)와 제2대응부(31)를 하측에 배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림막(1)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 장치에서와 같이 수평 방향의 길이를 가지고 상하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되, 창틀(F)은 수직프레임(F1), 수직프레임(F1)의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프레임(F2) 및 상기 수직프레임(F1)의 상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횡프레임(F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변환부(22) 및 제2변환부(32)는 수평프레임(F2) 및 횡프레임(F4)에 각각 설치되고(수직프레임(F1)에도 설치될 수 있다), 제1대응부(21) 및 제2대응부(31)는 수평프레임(F2)의 내부공간(FS)에 설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면, 제1변환부(22)는 횡프레임(F3)에 설치되는 피동로울러(221) 및 수평프레임(F2)에 설치되는 도르래(2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견인로프(23)는 피동로울러(221)와 도르래(222)를 감은 상태로 일 측이 수평프레임(F2)에 구비되는 제1대응부(21)에 연결되고 타 측이 가림막(1)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변환부(32)의 회동축(322), 제1로울러(321) 및 제2로울러(323)가 횡프레임(F4)에 설치되고, 제2변화부(32)는 수평프레임(F2)에 설치되는 도르래(3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틸팅로프(33)는 제2변환부(32)에 연결된 상태에서 일 측이 가림막(1)에 연결되고 타 측이 수평프레임(F2)에 구비되는 제2대응부(31)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대응부(21) 및 제2대응부(31) 각각은 예시적으로 상기 도르래(222, 325)와 대향되는 방향에 탄성체(SP)와 각각 연결되어, 제1대응부(21) 및 제2대응부(31) 각각을 기준으로 도르래(222, 325) 측을 향하는 방향(도 5의 좌측 방향)에 반대 방향(도 5의 우측 방향)으로 당겨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는 제1대응부(21)와 제2대응부(31)가 도 5를 기준으로 하측에 구비되기 때문에 키가 작은 이용자도 블라인드를 용이하게 동작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6은 제1대응부 및 제2대응부 중 어느 하나가 풀리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가 내장된 이중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제1대응부 및 제2대응부가 풀리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가 내장된 이중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후술하는 설명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는 제1대응부(21)와 제2대응부(31)를 보다 하측에 배치하기 위해 제1대응부(21) 및 제2대응부(31) 중 적어도 하나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아닌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1대응부(21) 및 제2대응부(31) 중 적어도 하나와 제1대응부(21) 및 제2대응부(31)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는 견인로프(23) 또는 틸팅로프(33)의 일 측의 구성 및 구조가 상이할 뿐 이외의 구성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와 동일하거나 상응하므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는 동작수단(4)의 자석(M)이 유리(G) 외면의 법선 방향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하고, 제1대응부(21) 및 제2대응부(31) 중 적어도 하나는 동작수단(4)의 자석(M)이 회전함에 따라 견인로프(23)의 일 측 또는 틸팅로프(33)의 일 측을 권취 및 권출하도록 회전하는 풀리(211, 31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제1대응부(21) 및 제2대응부(31) 중 어느 하나인 제2대응부(31)가 풀리(311)를 포함하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 동작수단(4)의 자석(M)은 도 6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제1대응부(21)와 제2대응부(31)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동시에 유리(G)의 법선 방향(도 6을 기준으로 좌측-우측)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틸팅로프(33)의 일 측을 감고 있는 풀리(311)(pulley)가 회전하여 권취 및 권출할 수 있다.
도 7은 제1대응부(21) 및 제2대응부(31) 각각이 상기한 풀리(211, 311)를 각각 포함한 것을 나타낸 것으로, 제1대응부(21) 및 제2대응부(31) 각각의 인접 배치되는 2개의 동작수단(4) 각각을 유리(G)의 외면의 법선 방향(도 7을 기준으로 정면-배면 방향)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시킴으로써, 견인로프(23) 및 틸팅로프(33)의 일 측을 각각 감고 있는 풀리(211, 311)가 회전하여 권취 및 권출할 수 있다. 즉, 견인로프(23) 및 틸팅로프(33) 각각을 양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와 같이, 제1대응부(21)와 제2대응부(31)를 다른 높이에 배치시키는 경우, 키가 작은 이용자가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제1대응부(21) 및 제2대응부(31) 중 어느 하나를 동작시키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는 제1대응부(21) 및 제2대응부(31) 중 적어도 하나가 견인로프(23) 또는 틸팅로프(33) 각각의 일 측을 권취 및 권출하는 풀리(211, 311)를 포함함으로써, 동작수단(4)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키가 작은 이용자가 블라인드를 용이하게 동작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는 이용자 또는 이용자의 손이 도 4를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으로 이동해야 하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는 상하 방향뿐만 아니라 이용자가 좌측 및 우측으로 이동하지 않고도 블라인드를 동작시킬 수 있어, 키가 작은 이용자가 움직임을 최소한으로 하며 블라인드를 용이하게 동작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장치에서 동작수단(4)의 자석(M)은 금속재료로 형성되고, 유리(G)의 외면에 배치되어 그 사용 특성상 항시 수분에 노출될 수 있어 부식의 우려가 있다. 또한 동작수단(4)의 자석(M) 그 사용 특성상 유리(G)의 외면에 접촉되어 반복적으로 양방향(상하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유리(G) 등과 마찰에 의해 스크래치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동작수단(4)의 자석(M)에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경우, 틈부식이 발생하여 부식 속도가 향상될 수 있으며, 동작수단(4)의 자석(M)에 부식이 발생되는 경우 응력이 집중되어 응력부식균열이 발생할 우려가 있어 균열이 빠르게 형성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따라서 동작수단(4)의 자석(M)은 상기한 문제의 해결을 위한 수단으로서 외면에 구비되는 코팅막(G)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코팅막(G)은 상기 동작수단(4)의 자석(M) 외면에 접하되 제1온도 범위에서 연화되는 접착층(G1), 상기 접착층(G1) 상부에 구비된 발열층(G2), 상기 발열층(G2)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제1온도 범위보다 높은 제2온도 범위에서 연화되는 중간층(G3) 및 상기 중간층(G3)의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제2온도 범위보다 높은 제3온도 이상에서 연화되는 보호층(G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팅막(G)은 보호층(G4)을 포함함으로써, 표면이 경도가 높아 내마모성이 우수하여 동작수단(4)의 자석(M)에 스크래치 등이 발생되는 것이 억제되며, 발수성을 구비하여 동작수단(4)의 자석(M)이 부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코팅막(G)은 표면의 보호층(G4)과 달리 보다 낮은 온도인 제1온도 범위 및 제2온도 범위에서 각각 연화되는 접착층(G1)과 중간층(G3)을 포함함으로써, 코팅막(G) 표면에 구비되는 보호층(G4)의 물리, 화학적인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열팽창, 굽힘 등의 외부 환경에 따른 코팅막(G)의 잔류 응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벗겨짐 등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어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오랜 시간 동안 동작수단(4)의 자석(M)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로, 접착층(G1)은 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PBA, Polybutylacrylate) 및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Polymethyl methacrylate)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층(G1)의 두께가 두꺼울 경우 후술하는 발열층(G2)과 동작수단(4)의 자석(M) 외면에 접촉하는 부분의 온도 구배가 생겨 접착층(G1)에서 동작수단(4)의 자석(M) 외면에 접촉하는 부분의 연화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두께는 0.020mm 내지 0.150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시적으로 접착층(G1)은 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가 열합침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접착층(G1)의 연화 온도는 90℃ 내지 100℃로서 상기한 제1온도 범위에 해당된다.
이와 같이, 코팅막(G)에서 접착층(G1)은 제일 낮은 온도인 제1온도 범위에서 연화되므로 동작수단(4)의 자석(M)의 외면과 접착력이 우수하여 박리가 억제된다.
발열층(G2)은 상기 접착층(G1)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폴리아세틸렌 및 요오드를 포함한다. 폴리아세틸렌은 공액 이중 결합 상태에서 전자가 흐르는 틈새가 없지만, 요오드와 같이 이종의 저분자를 혼입함으로써 틈새를 넓힐 수 있기 때문에 전자가 흐름으로써, 전기를 인가하는 경우 전기저항에 의해 발열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발열층(G2)을 포함함으로써, 상기한 접착층(G1)과 후술하는 중간층(G3)을 연화시키기 위해 큰 전압을 인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보다 경제적으로 코팅막(G)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중간층(G3)은 상기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100 중량부 및 카르복실레이트 아크릴 공중합체 20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중량비를 벗어나는 경우 접착층(G1) 및 보호층(G4)간의 접착력이 부족하게 되어 사용 중 피막박리가 일어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중간층(G3)의 연화 온도는 150℃ ~ 160℃로서 상기 제2온도 범위에 해당된다.
상기 보호층(G4)은 톨루엔중의 폴리메틸페닐실록산이 50 중량부, 실리콘-함유 섬유 50 중량부, 실리콘카바이드 50 중량부, 망간옥사이드 6 중량부, 오르가노실리콘-티탄화합물 18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메틸페닐실로산이 50 중량부 미만일 경우 연화 온도가 감소하여, 상기 제2온도 범위와의 차이가 적어지며 경도가 감소되고, 5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경제적이지 않다. 실리콘-함유 섬유가 50 중량부 미만일 경우 발수성이 떨어지며 5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발수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크지 않기 때문에 경제적이지 않다. 실리콘카바이드가 50 중량부 미만일 경우 내마모성이 감소되며 5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내마모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크지 않아 경제적이지 않다. 오르가노실리콘-티탄화합물가 18 중량부 미만일 경우 표면 경도 및 내마모성이 감소되고 18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경화 정도가 뚜렷하지 않아 경제적이지 않다.
이와 같은, 보호층(G4)의 연화 온도는 650℃(상기 제3온도)로서 상기 제2온도 범위보다 높은 온도인 제3온도 미만의 온도에서도 경도를 유지하여 내마모성을 유지하고, 발수성을 유지하므로 동작수단(4)의 자석(M)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코팅막(G)은 동작수단(4)의 자석(M) 외면에 구비되어, 동작수단(4)의 자석(M)과의 열팽창 계수의 차이, 형상과 외력에 의한 굽힘 등에 의해 압축 응력, 인장 응력과 같은 잔류 응력이 발생될 수 있고, 이러한 잔류 응력 발생되는 경우, 코팅막(G)은 크레이징(crazing)이라 불리는 미세실금, 크랙, 힐록(hillock), 주름(wrinkling), 파괴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접착층(G1) 및 중간층(G3)이 각각 제1온도 범위와 제2온도 범위에 도달하도록 발열층(G2)에 전기를 인가함으로써, 접착층(G1)과 중간층(G3) 각각에 잔류 응력을 제거하여 잔류 응력에 의한 파괴 등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다.
이때 보호층(G4)이 연화되지 않도록 발열층(G2)은 제3온도 미만으로 발열되는 것이 중요하며, 따라서 접착층(G1), 중간층(G3)이 각각 제1온도 범위 및 제2온도 범위에 도달하여 연화하는 과정 중에서도 보호층(G4)은 연화되지 않아 우수한 경도, 내마모성, 발수성 등의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발열층(G2)이 제2온도 범위에서 제1온도 범위와 인접한 온도(예시적으로 150℃)로 발열되는 경우, 중간층(G3)의 연화 정도는 접착층(G1)보다 적게 되어 중간층(G3)이 접착층(G1)과 보호층(G4)의 완충 역할을 하게 되기 때문에 접착층(G1)과 보호층(G4)의 가교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보호층(G4)의 물리, 화학적인 특성을 유지하면서 코팅막(G)의 잔류 응력을 효과적으로 분산 완화할 수 있기 때문에, 동작수단(4)의 자석(M)을 스크래치, 부식 등의 외부 환경으로부터 지속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블라인드가 내장된 이중창: WB
가림막: 1 이동수단: 2
제1대응부: 21 풀리: 211, 311
제1변환부: 22 피동로울러: 221
견인로프: 23 틸트수단: 3
제2대응부: 31 제2변환부: 32
제1로울러: 321 회동축: 322
제2로울러: 323 제3로울러: 324
틸팅로프: 33 기울임실: 331
안착실: 332 동작수단: 4
유리: G 형틀: F
수직프레임: F1 수평프레임: F2
고정부재: F3 내부공간: FS
자석: M

Claims (4)

  1. 한 쌍의 유리 사이의 내측공간에 간격을 두고 다수 배치되는 다수의 가림막;
    상기 내측공간에 설치되고, 다수의 상기 가림막에 연결되어 다수의 상기 가림막을 이동시키는 이동수단;
    상기 내측공간에 설치되고, 다수의 상기 가림막에 연결되어 다수의 상기 가림막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는 틸트수단; 및
    상기 내측공간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수단 및 상기 틸트수단을 구동시키는 동작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동작수단은 자석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수단은 자석이 구비된 제1대응부, 창틀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제1변환부 및, 상기 제1변환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변환부를 기준으로 일 측이 양방향으로 이동하고 타 측이 상기 가림막에 연결되어 양방향으로 이동하는 견인로프를 포함하고,
    상기 틸트수단은 자석이 구비된 제2대응부,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제2변환부 및, 상기 제2변환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2변환부를 기준으로 일 측이 양방향으로 이동하고 타 측이 다수의 상기 가림막 각각에 연결되어 양방향으로 이동하는 틸팅로프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수단의 자석은 외면에 구비되는 코팅막을 포함하되, 상기 코팅막은 상기 동작수단 자석의 외면에 접하되 제1온도 범위에서 연화되는 접착층, 상기 접착층 상부에 구비된 발열층, 상기 발열층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제1온도 범위보다 높은 제2온도 범위에서 연화되는 중간층 및 상기 중간층의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제2온도 범위보다 높은 제3온도 이상에서 연화되는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은 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 및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되, 두께는 0.020mm 내지 0.150mm 이고,
    상기 발열층은 폴리아세틸렌 및 요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층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100 중량부 및 카르복실레이트 아크릴 공중합체 20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은 톨루엔중의 폴리메틸페닐실록산이 50 중량부, 실리콘-함유 섬유 50 중량부, 실리콘카바이드 50 중량부, 망간옥사이드 6 중량부, 오르가노실리콘-티탄화합물 18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가 내장된 이중창.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작수단의 자석은 상기 유리 외면의 법선 방향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하고,
    상기 제1대응부 및 상기 제2대응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동작수단의 자석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견인로프 또는 상기 틸팅로프를 권취 및 권출하도록 회전하는 풀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가 내장된 이중창.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림막은 상하 방향의 길이를 가지고, 상기 창틀은 수직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제1대응부 및 상기 제2대응부는 상기 수평프레임의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견인로프 및 상기 틸팅로프 각각은 상기 가림막과 연결되는 타 측이 수평 방향의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가 내장된 이중창.
KR1020200055090A 2020-05-08 2020-05-08 블라인드가 내장된 이중창 KR102242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090A KR102242793B1 (ko) 2020-05-08 2020-05-08 블라인드가 내장된 이중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090A KR102242793B1 (ko) 2020-05-08 2020-05-08 블라인드가 내장된 이중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2793B1 true KR102242793B1 (ko) 2021-04-22

Family

ID=75730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5090A KR102242793B1 (ko) 2020-05-08 2020-05-08 블라인드가 내장된 이중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279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987B1 (ko) * 2006-12-05 2007-06-25 주식회사 오티케이 블라인드가 내장된 이중창호
KR100795851B1 (ko) * 2007-09-10 2008-01-21 심충섭 복층유리에 내장된 전동블라인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987B1 (ko) * 2006-12-05 2007-06-25 주식회사 오티케이 블라인드가 내장된 이중창호
KR100795851B1 (ko) * 2007-09-10 2008-01-21 심충섭 복층유리에 내장된 전동블라인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73146B2 (en) Attachment methods for daylighting films
JP5523450B2 (ja) 巻くことができるドアリーフを有する高速ロールアップドア
JP2007197288A (ja) 合わせガラス及びこれを用いたガラス窓構造
JP6786672B2 (ja) モジュールガラスパネルと平面構造物
JP5350234B2 (ja) 角度選択的な透過性を有する日光防御装置
CH688617A5 (fr) Vitrage et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tel vitrage.
WO2010114196A1 (ko) 디자인층을 구비한 건물 일체형 태양전지 모듈
JP2011523916A (ja) バリスティック透明体
KR20190116327A (ko) 필름-유리 전환 가능한 창유리
CN101443524A (zh) 上卷式卷帘
KR102242793B1 (ko) 블라인드가 내장된 이중창
JP2019531429A (ja) 水密性を改善したガラス張り要素
US8486213B2 (en) Method of making composite laminated product
KR102143634B1 (ko) 원터치 완강기
US20050262783A1 (en) Point-supported glazed cladding system
US20090195864A1 (en) Partially transparent static sun protection device
JPWO2019017393A1 (ja) 多重窓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2005083075A (ja) ガラス戸
JP6882920B2 (ja) 複層ガラス
CN215551673U (zh) 一种能够防爆的钢化玻璃
US20200040575A1 (en) Glazing Assembly
WO2011081483A2 (ko) 이중 간봉구조가 구비된 3중 복층 유리
NO323210B1 (no) Isolerglass med en indre persienne eller plissegardin.
CN220791022U (zh) 一种新型高强度隔音Low-E玻璃
KR102423521B1 (ko) 컬러 태양광 모듈 및 이의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