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6522B1 - 임의 개방이 가능한 3d 쉐이드 커튼 - Google Patents

임의 개방이 가능한 3d 쉐이드 커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6522B1
KR101936522B1 KR1020170111755A KR20170111755A KR101936522B1 KR 101936522 B1 KR101936522 B1 KR 101936522B1 KR 1020170111755 A KR1020170111755 A KR 1020170111755A KR 20170111755 A KR20170111755 A KR 20170111755A KR 101936522 B1 KR101936522 B1 KR 101936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curtain
contact
magnetic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1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권
Original Assignee
박상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권 filed Critical 박상권
Priority to KR1020170111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6522B1/ko
Priority to PCT/KR2018/010042 priority patent/WO201904547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6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6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05Areas of differing opacity for light transmission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23Combinations of at least two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2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flexibly-interconnected horizontal or vertical strips; Concertina blinds, i.e. upwardly folding flexible screens
    • E06B2009/2627Cellular screens, e.g. box or honeycomb-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2009/285Means for actuating a rod (being tilt rod or lift r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의 개방이 가능한 3D 쉐이드 커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 쌍의 투명시트와 투명시트 사이의 베인으로 형성되는 입체의 커튼부를 갖는 3D 쉐이트 커튼에 있어서, 견인부의 자성체에 베인의 금속체가 부착되어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임의의 위치에서 커튼을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자성체와 금속체가 정확하게 동일한 위치에서 밀착되어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커튼의 개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임의 개방이 가능한 3D 쉐이드 커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임의 개방이 가능한 3D 쉐이드 커튼{A 3D Shade Curtain Capable of Optional Opening}
본 발명은 임의 개방이 가능한 3D 쉐이드 커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 쌍의 투명시트와 투명시트 사이의 베인으로 형성되는 입체의 커튼부를 갖는 3D 쉐이트 커튼에 있어서, 견인부의 자성체에 베인의 금속체가 부착되어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임의의 위치에서 커튼을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자성체와 금속체가 정확하게 동일한 위치에서 밀착되어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커튼의 개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임의 개방이 가능한 3D 쉐이드 커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 등에 설치되는 커튼, 블라인드는 인테리어적인 기능과 함께 채광 조절 기능과 차폐의 기능을 제공한다.
종래에는 평면적 직물로 형성된 커튼이나 블라인드가 사용되었으나, 그 사용이 매우 번거롭고 열 차단효과 등의 기능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어 아래 특허문헌과 같이 3차원의 입체적인 형상을 가진 커튼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입체적 형상을 가진 커튼을 3D 쉐이드 커튼이라 부르기도 하는데, 대부분 천장에 권치된 롤 블라인드 형태로 형성되어 커튼을 풀거나 권취함으로써 창문 등을 차폐 또는 개방하도록 하고 있다.
3D 쉐이드 커튼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한 직물의 커튼지(100)와 커튼지(100) 사이에 형성되는 불투명한 베인(200)으로 형성되는데, 베인(200)이 수평 방향으로 펼쳐져 양측의 커튼지(100)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개방되는 경우에는 투명한 커튼지(100)를 통해 빛이 유입되도록 하고, 베인(200)이 접혀져 양측의 커튼지(100)와 밀착되어 폐쇄되는 경우에는 불투명한 베인(200)에 의해 빛의 유입이 차단되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 3D 쉐이드 커튼은 커튼지가 롤러 등에 권취되어 롤러의 회전에 따라 감기거나 풀리도록 형성되는바, 커튼을 개방시키기 위해서는 롤러를 회전시켜 커튼지를 바닥까지 내리고 롤러를 일정 각도 더 회전시켜 베인이 펼쳐지도록 해야만 했으며, 이에 따라, 종래 3D 쉐이드 커튼은 임의의 위치에서 개방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등록특허공보 제10-1411404호(2014. 06. 18. 등록) "공기층을 갖는 입체형 롤블라인드 및 그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임의의 위치에서 커튼을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커튼의 개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3D 쉐이드 커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커튼의 개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3D 쉐이드 커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금속체와 자성체가 밀착될 수 있는 위치에서 회전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3D 쉐이드 커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커튼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3D 쉐이드 커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3D 쉐이드 커튼은 천정에 고정되어 커튼부를 지지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권취되어 승강하며, 한 쌍의 투명시트와 투명시트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베인을 갖는 커튼부와; 상기 베인을 회전시켜 상기 투명시트를 통한 빛의 통과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견인부와; 상기 베인이 견인부에 의해 회전 가능한 위치에 도달함을 알리는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견인부는 금속을 당기는 자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베인은 투명시트와 연결되는 일단부를 따라 형성되는 금속체를 포함하여, 상기 자성체에 부착되어 당겨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3D 쉐이드 커튼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는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하단부에 자성체가 형성되는 회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는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부와, 상기 회전체를 커튼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과, 상기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된 회전체에 복원력을 제공하여 다시 원위치를 복귀시키는 복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3D 쉐이드 커튼에 있어서, 상기 복원수단은 양단이 상기 본체부와 회전체에 각각 연결되어 탄성에 의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3D 쉐이드 커튼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회전체를 당겨 회전시키는 당김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3D 쉐이드 커튼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커튼부의 상기 금속체와의 자력에 의해 이동하는 자성이동체와, 상기 자성이동체의 이동에 따라 접촉되어 회전하는 지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시부재는 일측면에 야광 소재가 도포되는 야광면을 포함하여, 상기 커튼부가 견인부에 의해 회전 가능한 위치에 도달했음을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3D 쉐이드 커튼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지시부재가 자성이동체와 접촉되어 회전할 때, 지시부재와 접촉되는 접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3D 쉐이드 커튼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복원수단에 의한 회전시 회전체를 지지하여 상기 베인이 회전되는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3D 쉐이드 커튼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힌지부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상기 회전체를 지지하여 회전을 정지시키는 회전지지체와; 상기 회전지지체를 당겨 양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작동줄;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는 그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는 돌출턱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지지체는 하단에 일정 깊이 삽입되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삽입홈을 포함하여, 상기 돌출턱이 삽입홈에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3D 쉐이드 커튼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는 상기 회전체의 작동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별도 조작 버튼의 작동에 따라 상기 견인부의 작동 개시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감지부로 전달하는 작동지시모듈과; 작동 개시된 상기 감지부로부터 커튼부가 회전 가능한 위치에 도달했는지 여부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는 접촉여부수신모듈과; 상기 접촉여부수신모듈에 의해 커튼부의 도달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회전체의 회전을 개시하는 회전개시모듈과; 상기 회전체의 일정 각도 회전 후, 회전체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회전정지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3D 쉐이드 커튼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커튼부의 금속체에 의한 자력에 의해 이동하는 자성이동체와, 상기 자성이동체의 이동에 따라 접촉되어 회전하는 지시부재와, 회전하는 지시부재에 접촉되는 접촉부재와, 상기 접촉부재에 지시부재가 접촉되었음을 인지하는 접촉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센서부는 상기 작동지시모듈에 의해 작동 개시 신호를 수신하는 작동여부수신모듈과, 작동이 개시된 경우 상기 접촉부재에 지시부재가 접촉됨을 감지하는 접촉감지모듈과, 상기 접촉감지모듈에 의한 접촉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접촉여부전송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한 쌍의 투명시트와 투명시트 사이의 베인으로 형성되는 입체의 커튼부를 갖는 3D 쉐이트 커튼에 있어서, 견인부의 자성체에 베인의 금속체가 부착되어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임의의 위치에서 커튼을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자성체와 금속체가 정확하게 동일한 위치에서 밀착되어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커튼의 개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회전체를 회전시켜 자성체가 금속체에 부착되도록 하고, 회전체는 복원수단에 의해 자동으로 원위치로 돌아오도록 함으로써, 커튼의 개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베인의 금속체가 감지부에 도달시 이를 야광에 의한 표시 또는 소리에 의해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함으로써, 금속체와 자성체가 밀착될 수 있는 위치에서 회전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견인부에 의한 베인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빛이 통과되는 커튼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금속체가 자성체가 밀착될 수 있는 위치에 도달함에 따라 회전체의 작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커튼의 개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3D 쉐이드 커튼을 나타내는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쉐이드 커튼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견인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도 2의 커튼부의 베인의 정면도
도 5는 도 2의 감지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참고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쉐이드 커튼의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참고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쉐이드 커튼의 각도조절수단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도 7의 각도조절수단의 평면도
도 9는 도 7의 각도조절수단의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참고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D 쉐이드 커튼의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D 쉐이드 커튼의 접촉센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임의 개방이 가능한 3D 쉐이드 커튼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고,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의 개방이 가능한 3D 쉐이드 커튼을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3D 쉐이드 커튼은 천정에 고정되어 커튼부(3)를 지지하는 본체부(7)와; 상기 본체부(7)에 권취되어 승강하며, 한 쌍의 투명시트(31)와 투명시트(31)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베인(33)을 갖는 커튼부(3)와; 상기 베인(33)을 회전시켜 상기 투명시트(31)를 통한 빛의 통과 정도를 조절하는 견인부(1)와; 상기 베인(33)이 견인부(1)에 의해 회전 가능한 위치에 도달함을 알리는 감지부(5);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3D 쉐이드 커튼은 임의의 위치에서 커튼부(3)의 개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견인부(1)를 마련하여 베인(33)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인(33)이 투명시트(31)와 밀착된 상태에서 승강되다가, 원하는 위치에서 베인(33)을 회전시켜 도 6의(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투명시트(31)가 일정 간격을 형성하도록 하면, 커튼부(3)가 개방되어 빛이 투명시트(31)를 통과하여 실내로 들어오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은 견인부(1)의 자력에 의해 베인(33)을 회전시키도록 하여 간단한 장치의 구성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자력에 의한 베인(33)의 회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커튼부(3), 더욱 정확하게는 베인(33)이 견인부(1)에 의해 회전될 수 있는 위치에 왔음을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한다. 자력에 의한 접착은 정확한 위치에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그 접착력이 떨어질 수 있으며, 더욱이 본 발명의 견인부(1)는 일정 무게를 갖는 커튼부(3)를 들어올려 회전시키는 힘이 필요하므로, 정확한 위치에서 베인(33)과 접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인(33)이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므로, 견인부(1)와 베인(33)이 정확한 위치에서 접촉하여 자력에 의한 안정적인 접착을 유지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며, 자력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감소할 수밖에 없으므로, 이는 본 발명의 핵심을 이루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상기 견인부(1)는 상기 커튼부(3)의 베인(33)을 들어올려 커튼부(3)가 개방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본체부(7)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형성된다. 상기 견인부(1)는 자력에 의해 베인(33)의 금속체(331)를 당겨 회전시키도록 하며, 이에 따라 베인(33) 양측의 투명시트(31)가 일정 간격을 이루도록 하여 빛이 투명시트(31)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견인부(1)는 상기 감지부(5)에 의한 신호에 따라 베인(33)이 견인부(1)와 안정적으로 접착될 수 있는 높이에 위치한 경우에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견인부(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7)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체(11)와, 회전체(11)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자성체(13)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체(11)는 상기 본체부(7)에 결합하여 회전하는 구성으로, 평상시에는 커튼부(3)와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베인(33)이 견인부(1)에 접착되어 회전될 수 있는 높이에 위치한 경우에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체(11)는 회전체(11)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수단(112)을 포함하도록 하며, 상기 회전체(11)가 회전된 후 다시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복원수단(113)을 포함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상기 회전체(11)는 회전수단(112)에 의해 회전하여 베인(33)의 후술할 금속체(331)에 자성체(13)가 접착되도록 하며, 금속체(331)와 자성체(13)가 접착된 후에는, 베인(33)이 접착된 회전체(11)가 복원수단(113)에 의해 자동으로 원위치에 복귀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회전체(11)를 베인(33)에 접착시키기만 하면, 별도의 작업 없이도 자동으로 베인(33)이 회전하여 개방되므로, 커튼부(3)의 개방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베인(33)은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커튼부(3)의 개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회전체(11)는 상기 본체부(7)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힌지부(111)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체(11)의 회전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각도조절수단(1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부(111)는 상기 회전체(11)가 본체부(7)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본체부(7)에 결합된 봉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부(111)는 상기 회전체(11)에 각도조절수단(114)이 형성되는 경우, 일 지점에 외주면을 따라 돌출턱(111a)을 형성하여 각도조절수단(114)의 후술할 회전지지체(114a)가 끼워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돌출턱(111a)은 회전지지체(114a)가 일정 각도마다 지지되어 고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회전체(11)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회전수단(112)은 상기 회전체(11)를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한 파지가 가능한 당김줄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수단(112)은 커튼부(3)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회전체(11)를 커튼부(3) 방향으로 당겨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자성체(13)가 베인(33)의 금속체(331)에 접촉하여 붙을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상기 회전수단(112)은 당김줄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회전체(11)를 회전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복원수단(113)은 상기 회전수단(112)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구성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을 가진 스프링 등의 탄성체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복원수단(113)은 일단이 본체부(7)에 고정되고, 타단이 회전체(11)에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복원수단(113)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힌지부(111)에 결합되어 형성되는 토션 스프링 등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체(11)에 탄성에 의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복원수단(113)은 상기 회전체(11)가 커튼부(3)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회전수단(112)에 의해 당겨져 상기 자성체(13)가 베인(33)의 금속체(331)에 접착된 후에는, 상기 회전체(11)를 당겨 원위치로 되돌아오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복원수단(113)은 커튼부(3)의 개방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커튼부(3)가 개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각도조절수단(114)은 상기 회전체(11)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구성으로, 상기 회전체(11)가 복원수단(113)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할 때, 상기 회전체(11)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함으로써, 회전체(11)의 회전각도가 조절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베인(33)의 회전각도가 조절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각도조절수단(114)은 커튼부(3)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여 빛이 유입되는 정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각도조절수단(114)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부(111)에 삽입되어 결합하는 회전지지체(114a), 회전지지체(114a)를 회전시키는 작동줄(114b)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지지체(114a)는 상기 힌지부(111)에 삽입되어 결합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부(111)의 중앙부 일 지점에 형성되어 회전체(11)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회전지지체(114a)는 일정 각도로 돌출되는 돌출부(114a-1)를 포함하여 회전체(11)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며, 내측으로는 일정 깊이 함입되는 삽입홈(114a-2)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힌지부(111)의 돌출턱(111a)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지지체(114a)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돌출부(114a-1)에 접촉되는 회전체(11)에 의한 손상을 줄이도록 하고, 또한 회전지지체(114a)의 돌출턱(111a)을 따른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돌출부(114a-1)는 상기 회전지지체(114a)의 일 지점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구성으로, 상기 복원수단(113)에 의해 복귀하는 회전체(11)를 지지하여 회전이 정지되도록 한다. 상기 돌출부(114a-1)는 회전지지체(114a)의 회전에 따라 그 위치가 변동되어 회전체(11)가 회전되는 각도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베인(33)의 회전 각도가 조절되어 빛의 입사량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114a-2)은 상기 회전지지체(114a)의 내측으로 일정 깊이 함입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돌출턱(111a)이 삽입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삽입홈(114a-2)은 상기 돌출턱(111a)에 끼워져 회전지지체(114a)가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회전지지체(114a)가 회전함에 따라 삽입되는 돌출턱(111a)이 변경되어 회전지지체(114a)의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작동줄(114b)은 상기 회전지지체(114a)의 양측으로 연결되어 회전지지체(114a)를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양단에는 파지가 가능한 손잡이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작동줄(114b)은 회전지지체(114a)의 양측에서 당길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회전지지체(114a)를 양측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회전지지체(114a)가 양측으로 회전하여 회전체(11)의 회전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자성체(13)는 상기 회전체(11)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자성을 지는 물체로, 자력을 가진 네오디움 등의 인공자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성체(13)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체(11)의 하단부에 커튼부(3) 측으로 형성되어 좌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성체(13)는 상기 커튼부(3)의 금속체(331)와 자력으로 접촉되어 상기 회전체(11)가 베인(33)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회전체(11)는 자성체(13)와 금속체(331)가 정확하게 접착될 수 있는 위치에서 회전하므로, 자성체(13)와 금속체(331)가 견고하게 접착되어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커튼부(3)는 상기 본체부(7)에 형성된 롤러 등에 권취되어 롤러 등의 회전에 따라 승강되는 구성으로, 창분을 막도록 형성되어 햇빛을 막고 보온 효과 등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커튼부(3)는 한 쌍의 투명시트(31)와 투명시트(31) 사이에 연결되는 베인(33)을 포함하며, 베인(33)은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햇빛의 유입을 막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베인(33)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승강시에는 투명시트(31)와 접촉되어 투명시트(31)로 햇빛이 통과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하고, 회전하여 양측의 투명시트(31)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할 때에는, 투명시트(31)를 통해 햇빛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베인(33)은 그 위치와 상관없이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를 따라 금속체(331)가 삽입되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금속체(331)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물질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금속선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피막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금속 망사, 금속 가루, 금속 알갱이, 금속 구슬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금속체(331)는 상기 회전체(11)의 자성체(13)에 부착되어 회전체(11)와 함께 회전하며, 이에 따라 베인(33)도 함께 회전하여 양측의 투명시트(31)가 일정 간격을 형성하도록 한다. 특히, 상기 금속체(331)는 상기 자성체(13)와 정확한 위치에서 부착되도록 하여, 안정적인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를 위해 상기 감지부(5)가 금속체(331)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한다.
상기 감지부(5)는 상기 금속체(331)가 상기 자성체(13)와 접촉될 수 있는 정확한 위치에 도달한 경우 이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자성체(13)가 회전하여 금속체(331)와 접촉되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감지부(5)는 금속체(331)가 해당 위치에 도달하였음을 감지하게 되며,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 상기 회전체(11)를 회전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금속체(331)에 의해 당겨지는 자성이동체(51)와, 상기 자성이동체(51)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지시부재(53), 상기 지시부재(53)의 회전시 지시부재(53)와 접촉되는 접촉부재(55), 상기 자성이동체(51)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원부재(5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성이동체(51)는 상기 감지부(5)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금속체(331)가 접근함에 따라 금속체(331)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성으로, 자력을 가진 인공자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성이동체(51)는 상기 금속체(331)에 의해 당겨져 이동하여 상기 지시부재(53)와 접촉하게 되며, 지시부재(53)를 회전시켜 후술할 야광면(531)이 하측으로 노출되게 하거나 소리를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금속체(331)가 자성체(13)와 접촉될 수 있는 위치에 왔음을 알리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자성이동체(51)는 복원부재(57)에 결합되어 탄성에 의한 복원력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상기 금속체(331)가 지나간 후에는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한다.
상기 지시부재(53)는 상기 자성이동체(51)와 금속체(331)가 접근하는 면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성이동체(51)가 금속체(331) 측으로 이동할 때 자성이동체(51)와 접촉되어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지시부재(53)는 그 일단이 자성이동체(51)와 접촉되어 회전하도록 하며, 그 타단에는 야광면(531)이 형성되어 지시부재(53)의 회전에 따라 야광면(531)이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시부재(53)는 자성이동체(51)에 의한 회전시 그 타단이 상기 접촉부재(55)에 접촉되도록 하여 소리를 발생시키도록 할 수 있으며,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소리의 발생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야광면(531)은 지시부재(53)의 타단 일측면에 야광물질이 도포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지시부재(53)의 회전에 따라 하측으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접촉부재(55)는 상기 지시부재(53)가 자성이동체(51)에 접촉되어 회전할 때, 지시부재(53)와 접촉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접촉에 따라 소리를 발생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접촉부재(55)는 소리의 발생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금속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금속소재의 지시부재(53)와 접촉되어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소리가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복원부재(57)는 상기 자성이동체(51)에 결합되어 자성이동체(51)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구성으로, 탄성을 가진 스프링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복원부재(57)는 상기 자성이동체(51)가 금속체(331)에 의해 당겨져 이동한 후, 금속체(331)가 감지부(5)를 벗어나면 상기 자성이동체(51)를 당겨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감지부(5)는 금속체(331)가 접근한 경우에만 야광면이 노출되도록 하거나 소리를 발생시켜 회전체(11)를 회전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7)는 상기 견인부(1), 커튼부(3), 감지부(5) 등이 지지되며, 천정 등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견인부(1)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회전에 따라 커튼부(3)를 개방시키도록 하며, 롤러 등이 형성되어 상기 커튼부(3)가 권취되도록 하고, 상기 감지부(5)는 일정 위치에 고정되어 금속체(331)가 일정 위치에 도달함으로 감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쉐이드 커튼의 작동 과정에 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커튼부(3)가 투명시트(31)와 베인(33)이 밀착된 상태로 승강되다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인(33)의 금속체(331)가 감지부(5)가 형성된 위치에 접근하게 되면, 상기 감지부(5)의 자성이동체(51)는 금속체(331) 방향으로 이동하여 지시부재(53)를 회전시키게 되고, 야광면(531)이 하측으로 노출되거나 소리를 발생시켜 금속체(331)가 부착 가능한 위치에 도달했음을 알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11)를 회전수단(112)에 의해 회전시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성체(13)와 금속체(331)가 접촉되어 부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나면 상기 회전체(11)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원수단(113)에 의해 자동으로 원위치에 복귀하게 되며, 자성체(13)에 부착된 금속체(331)는 함께 회전하여 베인(33)이 펼쳐지도록 하고, 커튼부(3)의 개방이 이루어져 빛이 유입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각도조절수단(114)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11)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데,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지지체(114a)를 회전시켜 회전지지체(114a)의 돌출부(114a-1)가 ⓐ 위치가 되도록 하면, 그만큼 상기 회전체(11)의 회전각도는 줄어들게 되고,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인(33)은 ⓑ 위치만큼만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지지체(114a)의 각도에 따라 회전체(11)의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커튼부(3)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D 쉐이드 커튼을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3D 쉐이드 커튼은 일 실시예와 견인부(1), 커튼부(3), 감지부(5), 본체부(7)의 동일한 구성을 가지나, 그 작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견인부(1)는 제어부(15)를 포함하도록 하며, 상기 감지부(5)는 접촉센서부(59)를 포함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15)는 상기 회전체(11)의 회전과 이에 따른 커튼부(3)의 개방, 회전체(11)의 회전 각도 조절이 자동으로 제어되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작동의 개시를 지시하는 작동지시모듈(151), 작동 개시에 따라 상기 감지부(5)로부터 금속체(331)의 접근 여부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접촉여부수신모듈(152), 상기 접촉여부수신모듈(152)에 의해 접촉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회전체(11)의 회전을 개시하는 회전개시모듈(153), 상기 회전체(11)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회전정지모듈(154), 상기 회전체(11)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각도조절모듈(155)을 포함한다.
상기 작동지시모듈(151)은 상기 견인부(1)의 작동 개시를 지시하는 구성으로, 별도의 버튼을 누르거나 별도의 조작장치를 조작하여 견인부(1)의 작동을 시작하는 경우 이를 상기 감지부(5)에 전달하여 금속체(331)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도록 하며, 금속체(331)의 근접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접촉여부수신모듈(152)에 의해 감지부(5)의 신호를 수신하도록 한다.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용자가 상기 커튼부(3)를 승강시키는 과정에서 커튼부(3)를 개방하기를 원하는 경우, 별도의 버튼 등을 통해 상기 견인부(1)의 작동이 개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작동지시모듈(151)은 이를 감지하여 견인부(1)에 의한 커튼부(3)의 개방 동작이 개시되도록 한다.
상기 접촉여부수신모듈(152)은 상기 감지부(5)로부터 전송되는 금속체(331)의 근접신호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더욱 정확하게는 상기 접촉센서부(59)의 후술할 접촉여부전송모듈(593)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도록 한다. 상기 접촉센서부(59)는 상기 작동지시모듈(151)에 의한 지시에 따라 작동을 개시하게 되며, 금속체(331)의 근접이 감지되는 경우 이를 상기 견인부(1)로 전송하도록 하고, 상기 접촉여부수신모듈(152)은 이를 수신하여 상기 회전개시모듈(153)로 전달하도록 하여 회전체(11)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회전개시모듈(153)은 상기 접촉여부수신모듈(152)에 의해 금속체(331)의 근접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회전체(11)를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회전체(11)의 회전수단(112)을 작동시키도록 하고, 이때 상기 회전수단(112)은 상기 회전체(11)를 회전시킬 수 있는 모터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개시모듈(153)은 상기 회전체(11)를 회전시켜 상기 자성체(13)가 금속체(331)에 부착되도록 한다.
상기 회전정지모듈(154)은 상기 회전개시모듈(153)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체(11)를 정지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자성체(13)가 금속체(331)에 부착되는 일정 각도까지 회전체(11)가 회전되도록 한 후, 회전체(11)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한다. 상기 회전정지모듈(154)에 의해 회전체(11)의 회전이 정지되면, 상기 회전체(11)는 복원수단(113)에 의해 원위치로 돌아가게 되고, 베인(33)이 회전하여 커튼부(3)를 개방시키게 된다.
상기 각도조절모듈(155)은 상기 회전체(11)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구성으로, 상기 각도조절수단(114)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하도록 한다. 상기 각도조절모듈(155)은 별도 버튼 등의 조작에 의해 상기 각도조절수단(114)의 회전지지체(114a)를 회전시키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지지체(114a)의 돌출부(114a-1) 위치에 따라 회전체(11)의 회전 각도가 조절되도록 한다. 상기 각도조절수단(114)에 관한 설명은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접촉센서부(59)는 상기 감지부(5)의 접촉부재(55)와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금속체(331)의 접근에 관한 신호를 생성하는 구성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감지부(5)의 자성이동체(51)는 금속체(331)의 접근에 따라 금속체(331)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자성이동체(51)의 이동에 따라 지시부재(53)가 회전하게 되며, 상기 접촉부재(55)는 회전하는 지시부재(53)와 접촉하게 되는데, 상기 접촉센서부(59)는 접촉부재(55)에 접촉되는 지시부재(53)를 감지하여 금속체(331)의 근접을 감지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접촉센서부(59)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개시신호를 수신하는 작동여부수신모듈(591), 상기 지시부재(53)의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감지모듈(592), 접촉에 관한 신호를 상기 제어부(15)로 전송하는 접촉여부전송모듈(593)을 포함한다.
상기 작동여부수신모듈(591)은 상기 작동지시모듈(151)에 의한 작동의 개시 신호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별도의 조작에 의해 상기 견인부(1)의 작동이 개시되면 상기 작동지시모듈(151)이 작동개시신호를 감지부(5)로 전송하게 되고, 상기 작동여부수신모듈(591)은 이러한 신호를 수신하는 상기 접촉감지모듈(592)의 작동이 개시되도록 한다.
상기 접촉감지모듈(592)은 상기 지시부재(53)와 접촉부재(55)의 접촉을 감지하는 구성으로, 접촉센서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접촉감지모듈(592)은 상기 작동여부수신모듈(591)에 의해 견인부(1)의 작동 개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작동이 개시되도록 하며, 상기 지시부재(53)의 접촉이 감지되는 경우 이를 상기 접촉여부전송모듈(593)로 전달하도록 한다.
상기 접촉여부전송모듈(593)은 상기 접촉감지모듈(592)에 의해 지시부재(53)와 접촉부재(55)의 접촉이 감지되는 경우 이를 상기 제어부(15)로 전송하는 구성으로, 상기 제어부(15)는 상기 접촉여부수신모듈(152)에 의해 접촉신호를 수신하여 회전체(11)의 회전이 개시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D 쉐이드 커튼은 금속체(331)가 자성체(13)에 정확하게 부착될 수 있는 위치에 도달했는지에 대한 감지, 이에 따른 회전체(11)의 회전과 커튼부(3)의 개방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매우 용이하게 3D 쉐이드 커튼를 개방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견인부
11: 회전체 111: 힌지부 111a: 돌출턱
112: 회전수단 113: 복원수단 114: 각도조절수단
114a: 회전지지체 114a-1: 돌출부 114a-2: 삽입홈 114b: 작동줄
13: 자성체
15: 제어부 151: 작동지시모듈 152: 접촉여부수신모듈
153: 회전개시모듈 154: 회전정지모듈 155: 각도조절모듈
3: 커튼부
31: 투명시트 33: 베인 331: 금속체
5: 감지부
51: 자성이동체 53: 지시부재 531: 야광면
55: 접촉부재 57: 복원부재 59: 접촉센서부
591: 작동여부수신모듈 592: 접촉감지모듈 593: 접촉여부전송모듈
7: 본체부

Claims (10)

  1. 천정에 고정되어 커튼부를 지지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권취되어 승강하며, 한 쌍의 투명시트와 투명시트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베인을 갖는 커튼부와;
    상기 베인을 회전시켜 상기 투명시트를 통한 빛의 통과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견인부와;
    상기 베인이 견인부에 의해 회전 가능한 위치에 도달함을 알리는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견인부는 금속을 당기는 자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베인은 투명시트와 연결되는 일단부를 따라 형성되는 금속체를 포함하여, 상기 자성체에 부착되어 당겨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쉐이드 커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는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하단부에 자성체가 형성되는 회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는,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부와, 상기 회전체를 커튼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과, 상기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된 회전체에 복원력을 제공하여 다시 원위치를 복귀시키는 복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쉐이드 커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수단은
    양단이 상기 본체부와 회전체에 각각 연결되어 탄성에 의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쉐이드 커튼.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회전체를 당겨 회전시키는 당김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쉐이드 커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커튼부의 상기 금속체와의 자력에 의해 이동하는 자성이동체와, 상기 자성이동체의 이동에 따라 접촉되어 회전하는 지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시부재는 일측면에 야광 소재가 도포되는 야광면을 포함하여, 상기 커튼부가 견인부에 의해 회전 가능한 위치에 도달했음을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쉐이드 커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지시부재가 자성이동체와 접촉되어 회전할 때, 지시부재와 접촉되는 접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쉐이드 커튼.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복원수단에 의한 회전시 회전체를 지지하여 상기 베인이 회전되는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쉐이드 커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힌지부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상기 회전체를 지지하여 회전을 정지시키는 회전지지체와; 상기 회전지지체를 당겨 양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작동줄;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는 그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는 돌출턱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지지체는 하단에 일정 깊이 삽입되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삽입홈을 포함하여, 상기 돌출턱이 삽입홈에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쉐이드 커튼.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는
    상기 회전체의 작동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별도 조작 버튼의 작동에 따라 상기 견인부의 작동 개시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감지부로 전달하는 작동지시모듈과; 작동 개시된 상기 감지부로부터 커튼부가 회전 가능한 위치에 도달했는지 여부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는 접촉여부수신모듈과; 상기 접촉여부수신모듈에 의해 커튼부의 도달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회전체의 회전을 개시하는 회전개시모듈과; 상기 회전체의 일정 각도 회전 후, 회전체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회전정지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쉐이드 커튼.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커튼부의 금속체에 의한 자력에 의해 이동하는 자성이동체와, 상기 자성이동체의 이동에 따라 접촉되어 회전하는 지시부재와, 회전하는 지시부재에 접촉되는 접촉부재와, 상기 접촉부재에 지시부재가 접촉되었음을 인지하는 접촉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센서부는,
    상기 작동지시모듈에 의해 작동 개시 신호를 수신하는 작동여부수신모듈과, 작동이 개시된 경우 상기 접촉부재에 지시부재가 접촉됨을 감지하는 접촉감지모듈과, 상기 접촉감지모듈에 의한 접촉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접촉여부전송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쉐이드 커튼.
KR1020170111755A 2017-09-01 2017-09-01 임의 개방이 가능한 3d 쉐이드 커튼 KR101936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755A KR101936522B1 (ko) 2017-09-01 2017-09-01 임의 개방이 가능한 3d 쉐이드 커튼
PCT/KR2018/010042 WO2019045475A1 (ko) 2017-09-01 2018-08-30 임의 개방이 가능한 3d 쉐이드 커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755A KR101936522B1 (ko) 2017-09-01 2017-09-01 임의 개방이 가능한 3d 쉐이드 커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6522B1 true KR101936522B1 (ko) 2019-01-08

Family

ID=65021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1755A KR101936522B1 (ko) 2017-09-01 2017-09-01 임의 개방이 가능한 3d 쉐이드 커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36522B1 (ko)
WO (1) WO20190454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02511B (zh) * 2020-05-06 2021-11-12 济南国宏建材有限公司 一种风雨自启闭百叶窗
TWI831720B (zh) * 2023-08-08 2024-02-01 型態同步科技股份有限公司 窗簾及簾布支撐裝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851B1 (ko) 2007-09-10 2008-01-21 심충섭 복층유리에 내장된 전동블라인드
KR100973847B1 (ko) 2009-12-08 2010-08-03 광주광역시 남구 블라인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2434A (ko) * 2009-03-11 2010-09-24 (주)준쉐이드 커튼의 자동 개폐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커튼의 자동개폐 시스템
KR20110006794U (ko) * 2009-12-30 2011-07-07 정인순 외풍을 차단하는 보온 커튼
KR200448353Y1 (ko) * 2010-01-08 2010-04-02 박금연 입체커튼지의 개폐장치
KR101115198B1 (ko) * 2011-05-09 2012-02-24 김흥기 입체 블라인드 시트의 임의 위치 개폐장치
KR20140011873A (ko) * 2012-07-20 2014-01-29 주식회사 에이씨앤티시스템 블라인드 개폐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851B1 (ko) 2007-09-10 2008-01-21 심충섭 복층유리에 내장된 전동블라인드
KR100973847B1 (ko) 2009-12-08 2010-08-03 광주광역시 남구 블라인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45475A1 (ko) 2019-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90701B2 (en) Methods and apparatus to control an architectural opening covering assembly
KR101936522B1 (ko) 임의 개방이 가능한 3d 쉐이드 커튼
US11725454B2 (en) Motorized sheer shading system
US20210363820A1 (en) Pre-winding a motorized roller shade
JP6310392B2 (ja) 建築物開口被覆アセンブリを制御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8692498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one or more roller shades
US8350513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roller shade using a variable linear velocity
US20120050596A1 (en) System for Syncronizing a Plurality of Roller Shades Using Variable Linear Velocities
US20150292261A1 (en) Roller curtain structure
US8339085B2 (en) Method for synchronizing a plurality of roller shades using variable linear velocities
JPH06221070A (ja) モータ駆動型窓カバー
KR101861595B1 (ko) 전동식 롤 블라인드
EP2927413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djustable devices
US10433667B2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dual control of mechanisms of either drapes or curtains
JP2024518560A (ja) 連続コード・ループを用いて窓覆いシステムのクリープを調整する外部モータ駆動システム
CN211038456U (zh) 一种中空内置百叶玻璃窗
WO2019117340A1 (ko) 전동식 롤 블라인드
JP2021031949A (ja) スクリーン装置
CN110107213B (zh) 一种办公室用免受风力作用而损坏的智能遮光卷帘
CN214591762U (zh) 一种用于激光电视的自动平整升降投影屏幕
JP2010281061A (ja) シャッタ装置
KR20180025548A (ko) 자동으로 제어되는 전동 블라인드
WO2015115896A2 (en) System for adjusting a position of a free end of a cover for a window or door
JPH0729293U (ja) ロールブラインドのウェイトバー検出装置
TW200823356A (en) Safety protection device for an electromotive rolling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