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0340A - 블라인드 장치 - Google Patents
블라인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040340A KR20040040340A KR1020030067474A KR20030067474A KR20040040340A KR 20040040340 A KR20040040340 A KR 20040040340A KR 1020030067474 A KR1020030067474 A KR 1020030067474A KR 20030067474 A KR20030067474 A KR 20030067474A KR 20040040340 A KR20040040340 A KR 2004004034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aft
- slat
- belt
- support member
- slats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8—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 E06B7/084—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 E06B7/086—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interconnected for concurrent movement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 E06B9/0607—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 E06B9/0615—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closing elements
- E06B9/0638—Slats or panel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 E06B9/0607—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 E06B9/064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the closing elements in the stored position
- E06B9/067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the closing elements in the stored position stored in a stacked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Blinds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블라인드 장치(1)는, 링크기구(4)와, 링크기구(4)에 나란히 배치된 링크기구(5)와, 단부(6)가 링크기구(4)에, 단부(7)가 링크기구(5)에 각각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슬랫지지부재(8)와, 슬랫지지부재(8)에 지지되어 있는 슬랫(9)과, 슬랫(9)을 상승·하강시키는 승강기구(10)와, 슬랫(9)의 상승·하강에서 슬랫(9)을 경사 이동시키는 틸트기구(11)와, 최하위의 슬랫(9)의 상승을 금지하는 금지수단(12)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물의 창 등의 개구부에 배치되어 해당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블라인드 장치에 관련된 것이다.
본 출원인은, 먼저 일본 공개특허 평8-326445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블라인드 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이러한 블라인드 장치는, 한 쌍의 링크기구와, 한쪽 단부가 한쪽 링크기구에 다른 쪽 단부가 다른 쪽 링크기구에 각각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복수의 슬랫지지부재와, 이 슬랫지지부재의 각각에 지지된 슬랫과, 슬랫을 상승·하강시키는 승강기구와, 이 승강기구에 의한 슬랫의 상승·하강에서 한 쌍의 링크기구에 상대적인 위치 변화를 발생시켜, 슬랫을 경사 이동시키는 틸트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각 슬랫지지기구는 거의 중앙부에서 슬랫의 단부를 지지하는 아암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공보에 기재된 블라인드 장치에서는, 링크기구의 각각이 판상(板狀)의 강성 링크 부재의 각각을 축부재를 통해서 상호 연결되어 이루어지기 때문에, 링크기구의 조립, 보수에 상당한 시간을 필요로 하는데다가 링크 부재의 중량에 의해 슬랫의 상승·하강에 큰 힘이 필요하게 된다.
더구나, 상기 공보에 기재된 블라인드 장치에서는, 개구부의 개방에서는 최하위 슬랫지지부재를 들어올려 전체적인 슬랫을 상승시키고 있기 때문에, 개구부의 완전 개방으로도 위쪽에 묶인 슬랫이 위치하게 되는 결과, 묶인 슬랫으로 채광이 방해되고, 또한 개방 시의 개방감이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다는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여러 관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조립, 보수를 단시간에 간단히 수행할 수 있으며, 슬랫의 상승·하강에 별로 큰 힘을 필요로 하지 않는데다가 개구부의 완전 개방으로 슬랫에 방해를 받지 않고 채광할 수 있고, 또한 개방 시의 개방감을 충분히 얻을 수 있는 블라인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되는 예의 일부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되는 예의 일부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되는 세로프레임을 포함한 도 3에 도시되는 Ⅳ-Ⅳ선 단면설명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되는 세로프레임을 포함한 도 3에 도시되는 Ⅴ-Ⅴ선 단면설명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되는 세로프레임을 포함한 도 3에 도시되는 Ⅵ-Ⅵ선 단면설명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되는 예의 전달수단의 평면설명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되는 예의 일부 분해사시설명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되는 예의 슬랫지지부재의 사시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되는 예의 링크기구의 설명도로서, (a)는 그 정면설명도이고, (b)는 그 측면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되는 예의 동작설명도이다.
도 12는 도 1에 도시되는 예의 동작설명도이다.
도 13은 도 1에 도시되는 예의 동작설명도이다.
도 14는 도 1에 도시되는 예의 동작설명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예의 일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형태의 블라인드 장치는, 서로 나란히 배치된 제1, 제2 링크기구와, 한쪽 단부가 제1 링크기구에, 다른 쪽 단부가 제2 링크기구에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복수의 슬랫지지부재와, 각 슬랫지지부재 각각에 지지된 슬랫과, 최상위의 슬랫지지부재를 통해서 슬랫을 상승·하강시키는 승강기구와, 이 승강기구에 의한 슬랫의 상승·하강에서 제1, 제2 링크기구에 상대적인 위치 변화를 발생시켜서 슬랫을 경사 이동시키는 틸트기구와, 최하위 플랫의 상승을 금지하는 금지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제1, 제2 링크기구 각각은 가요성의 벨트형 동체와, 일정 간격을 두고 벨트형 동체에 고착됨과 동시에 벨트형 동체를 가지고 서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축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며, 각 슬랫지지부재의 한쪽 단부에는 제1 링크기구의축부재가, 각 슬랫지지부재의 다른 쪽에는 제2 링크기구의 축부재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승강기구는 가요성의 주행체와, 그 주행체의 단부를 최상위의 슬랫지지부재에 연결함과 동시에 주행체의 주행으로 이동되는 연결기구와, 주행체를 주행시키는 주행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틸트기구는 최상위의 슬랫지지부재의 상승·하강과 더불어 이동하도록 최상위의 슬랫지지부재에 설치되어 있는 돌기와, 최상위의 슬랫지지부재의 상승에서 돌기가 접촉하는 캠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금지수단은 최하위의 슬랫지지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하 운동 가능한 연결판과, 일단부에서는 연결판에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부에서는 고정된 탄성체를 구비하고 있다.
제1형태의 블라인드 장치에 의하면, 승강기구가 최상위 슬랫지지부재를 통해서 슬랫을 상승·하강시키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개구부의 완전 개방에서는 슬랫의 묶음을 개구부의 하부에 배치할 수 있는 결과, 개구부의 완전개방으로 슬랫에 방해를 받지 않고 채광할 수 있고, 게다가 개방 시의 개방감을 충분히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제1, 제2 링크기구 각각이 가요성의 벨트형 동체와, 일정 간격을 두고 벨트형 동체에 고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벨트형 동체를 가지고 서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축부재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제1, 제2 링크기구의 조립, 보수가 간단해지고, 또한 벨트형 동체, 복수의 축부재를 합성수지 등으로 제조함으로써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어서 슬랫의 상승·하강에 별로 큰 힘이 필요하지 않다.
본 발명의 제2형태의 블라인드 장치는, 제1형태의 블라인드 장치에서 주행체의 주행, 연결기구의 상하 운동을 안내하는 안내통로와, 돌기의 상승·하강을 안내하는 안내통로와, 연결판의 상하 운동을 안내하는 안내통로를 형성하는 안내통로 형성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3형태의 블라인드 장치는, 제1, 제2형태의 블라인드 장치에서 최하위 슬랫보다 아래쪽에 발생할 수 있는 간극을 폐쇄하는 폐쇄판을 더 구비하고 있다.
제3형태의 블라인드 장치에 의하면, 개구부의 완전폐쇄에서 폐쇄판으로 최하위의 슬랫보다 아래쪽에 발생하는 간극을 폐쇄할 수 있는 결과, 이 간극을 통한 빗물의 침입 등을 저지할 수 있어서 보다 완전한 개구부의 완전폐쇄를 얻을 수 있다.
슬랫지지부재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4형태의 블라인드 장치처럼 제1지지체와, 이 제1지지체에 결합되는 제2지지체를 구비하고, 여기서 제1지지체는 링크기구의 축부재의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축공을 일단부, 타단부 각각에 가진 제1아암부와, 이 제1아암부의 한쪽 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축부와, 이 축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슬랫의 결합부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결합돌기를 갖고 있고, 제2지지체는 링크기구의 축부재의 타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축공을 일단부, 타단부 각각에 가진 제2아암부를 갖고 있으며, 제1지지체와 제2지지체는 이들 제1, 제2아암부의 일단부, 타단부에 대응되는 축공끼리 동축을 이루도록 결합수단을 통해서 서로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제4형태의 블라인드 장치에 의하면, 링크기구의 축부재의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축공을 제1아암부가 그 일단부, 타단부에 갖고 있고, 링크기구의 축부재의 타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축공을 제2아암부가 그 일단부, 타단부에 갖으며, 또한 제1, 제2아암부의 일단부, 타단부에 대응되는 축공끼리 동축을 이루도록 제1, 제2아암부가 결합수단을 통해서 서로 결합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링크기구의 축부재를 양쪽 지지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고, 또한 축부재의 원활한 회동을 보장할 수 있는 결과, 강성의 링크 부재 대신에 가요성 벨트형 동체를 사용해도 벨트형 동체를 용이하게 연장시키며 휠 수 있어서 슬랫의 상승·하강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슬랫을 적절히 지지할 수 있다.
결합수단은, 본 발명의 제5형태의 블라인드 장치처럼 제1아암부의 한쪽 면에 대향하는 다른 쪽 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결합용 개구를 가진 통부와, 제2아암부의 한쪽 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결합용 개구에서 통부에 결합되는 결합돌출부를 갖고 있어도 본 발명의 제6형태의 블라인드 장치처럼 제2아암부의 한쪽 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결합용 개구를 가진 통부와, 제1아암부의 한쪽 면에 대향하는 다른 쪽 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결합용 개구에서 통부에 결합되는 결합돌출부를 갖고 있어도 된다.
제5 또는 제6형태의 블라인드 장치에서, 결합돌출부가 본 발명의 제7형태의 블라인드 장치와 같이, 통부 내에 삽입되는 돌기부 본체와, 이 돌기부 본체의 선단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결합용 개구에서 통부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후크부를 갖고 있으며, 이 후크부의 결합용 개구에서의 통부로의 결합은 돌기부 본체의 탄성적인 휨을 이용한 스냅피트 방식으로 수행되도록 되어 있으면, 결합수단을 통한 제1지지체와 제2지지체의 상호 결합을 간단히 수행할 수 있어서, 단시간에 슬랫지지부재의 조립, 보수를 수행할 수 있다.
제1지지체, 제2지지체 각각은,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8형태의 블라인드 장치처럼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일체 성형품으로서, 이러한 일체 성형품이면 더욱 경량화와 가격 저렴화를 도모할 수 있다.
각 벨트형 동체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9형태의 블라인드 장치처럼 축부재를 관통하고 있음과 동시에 한 개의 연속된 벨트형 부재로 이루어진다.
각 벨트형 동체는 상기 대신에 상하 방향에서 인접하는 축부재 내에서 끝나는 복수의 벨트형 조각을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또한 각 벨트형 동체는 강인하고 가요성을 갖고 있으면 되며, 별로 큰 신축성을 갖고 있지 않아도 된다. 오히려 비신축성을 갖는 게 바람직하며, 탄성에 대해서도 약간의 탄성을 갖고 있어도 되지만, 오히려 탄성을 갖고 있지 않은 게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10형태의 블라인드 장치와 같이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수지제 실의 직물 또는 편물의 띠 또는 합성수지제의 부직포의 띠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각 벨트형 동체는, 상기 대신에 피혁제 등의 평평한 띠로 이루어져도 되고, 합성수지제 실로서는 폴리에스테르제 실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폴리에스테르제 실을 평평하게 짠 폭 6mm 내지 12mm, 두께 0.4mm 내지 0.7mm, 보다 구체적으로는 폭 7mm, 두께 0.6mm의 가요성을 갖는 벨트형 동체를 보다 바람직한 것으로 들 수 있다.
각 축부재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11형태의 블라인드 장치처럼 원주부와, 이 원주부의 각 단면에 배치된 축부를 구비한 합성수지제의 일체 성형물로 이루어지고, 축부에서 각 아암부에 대응되는 축공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으며,벨트형 동체는 원주부에 일체적으로 고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해당 원주부를 관통하고 있다.
각 축부재가 제11형태의 슬랫지지부재처럼 합성수지제의 일체 형성물로 이루어질 경우, 각 축부재의 벨트형 동체로의 고착은 축부재의 일체 형성용의 한 쌍의 프레임 사이에 벨트형 동체를 끼워넣고, 이 벨트형 동체를 끼워넣은 상태의 한 쌍의 프레임 내에 축부재의 형성 재료를 흘려넣어 각 축부재의 일체 형성과 동시에 수행하면 된다.
제11형태의 블라인드 장치에서의 각 축부재는, 본 발명의 제12형태의 블라인드 장치처럼 원주부의 축심에 대해서 대칭의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사각형 돌출부를 더 구비한 합성수지제의 일체 성형물로 이루어져도 좋고, 이 경우 벨트형 동체는 원주부, 한 쌍의 사각형 돌출부에 일체적으로 고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해당 원주부, 한 쌍의 사각형 돌출부를 관통하고 있으면 된다.
한 쌍의 사각형 돌출부를 구비한 축부재의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축부재의 일체 성형물용의 한 쌍의 프레임 사이에 벨트형 동체를 끼워넣고, 이 벨트형 동체를 끼워넣은 상태의 한 쌍의 프레임 내에 축부재의 형성 재료를 흘려넣어 각 축부재의 일체 성형과 동시에 각 축부재의 벨트형 동체로의 고착을 수행하면 된다.
각 슬랫은, 바람직한 예로서는, 슬랫 본체와, 이 슬랫 본체의 한쪽 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결합부를 구비하고 있고, 여기서 결합부는 슬랫지지부재의 결합돌출부가 삽입되도록 중공으로 되어 있으면 된다.
이하, 본 발명, 그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도시되는 바람직한 예에 근거하여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10에서, 본 예의 블라인드 장치(1)는, 한 쌍의 세로프레임(2, 3)과, 서로 나란히 배치된 링크기구(4, 5)와, 한쪽 단부(6)가 링크기구(4)에, 다른 쪽 단부(7)가 링크기구(5)에 각각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복수의 슬랫지지부재(8)와, 슬랫지지부재(8) 각각에 지지되어 있음과 동시에 세로프레임(2, 3) 사이의 개구부(P)에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슬랫(9)과, 최상위 슬랫지지부재(8)를 통해서 슬랫(9)을 상승·하강시키는 승강기구(10)와, 승강기구(10)에 의한 슬랫(9)의 상승·하강에서 링크기구(4, 5)에 상대적인 상하 방향의 위치 변화를 발생시켜서 각 슬랫(9)을 경사 이동시키는 틸트기구(11)와, 최하위 슬랫(9)의 상승을 금지하는 금지수단(12)과, 한 쌍의 세로프레임(2, 3) 상부 사이에 배치된 위쪽 커버 프레임(13)과, 한 쌍의 세로프레임(2, 3)의 하부 사이에 배치된 바닥프레임(14a)과, 최하위의 슬랫(9)보다 아래쪽에 발생할 수 있는 간극을 폐쇄하는 폐쇄판(141)을 구비하고 있다.
세로프레임(2, 3)은 서로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하 세로프레임(2)에 대해서 설명한다면, 세로프레임(2)은 중공의 세로프레임 본체(14)와, 세로프레임 본체(14)의 내면에 결합된 안내통로 형성부재(15)를 구비하고 있고, 세로프레임 본체(14)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안내슬릿(16)을 갖고 있으며, 안내통로 형성부재 (15)는 주행체로서의 체인(52)의 A, B 방향의 주행을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통로 (17)와, 연결판(121)의 상하 운동을 안내하는 한 개의 안내통로(18)와, 돌기(101)의 상승·하강을 안내하는 한 개의 안내통로(19)를 형성하도록 복수의 돌기부(20)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안내통로(17) 중 한쪽 안내통로(17)와 안내통로(18) 사이에 끼인 안내통로(17)는 연결기구(55)의 상하 운동도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각각의 세로프레임(2, 3)에는 링크기구(4, 5), 틸트기구(11)가 수용되어 있고, 세로프레임(3) 쪽 링크기구(4, 5), 틸트기구(11)는 세로프레임(2) 쪽 링크기구 (4, 5), 틸트기구(11)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 주로 세로프레임 (2) 쪽 링크기구(4, 5), 틸트기구(11)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링크기구(4)는, 한 개의 연속된 가요성의 벨트형 동체(21)와, 벨트형 동체 (21)에 고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각 슬랫지지부재(8)의 한쪽 단부(6)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축부재(23)를 구비하고 있고, 이렇게 링크기구(4)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연결된 복수의 축부재(23)를 갖고 있으며, 링크기구(4)의 복수 축부재(23)는 벨트형 동체(21)에 고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벨트형 동체(21)로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링크기구(5), 또한 링크기구(4)와 마찬가지로 벨트형 동체(21)와 같은 한 개의 연속된 가요성의 벨트형 동체(25)와, 벨트형 동체(25)에 고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각 슬랫지지부재(8)의 다른 쪽 단부(7)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축부재(23)와 같은 복수의 축부재(26)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렇게 링크기구(5)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연결된 복수의 축부재(26)를 갖고 있고, 링크기구(5)의 복수 축부재(26)는 벨트형 동체(25)에 고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벨트형 동체(25)로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벨트형 동체(21)는 각 슬랫지지부재(8)의 단부(6)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있는 축부재(23)를, 특히 도 10의 (a) 및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관통되어 있음과 동시에 각 관통 부위에서 축부재(23)에 고착되어 있고, 최상위 및 최하위의 슬랫지지부재(8)의 단부(6)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축부재(23)를 상단부(28) 및 하단부(29)에서 관통한 벨트형 동체(21)는, 해당 상단부(28), 하단부(29)에서 축부재(23)에 고착되어 끝나고 있다.
벨트형 동체(21)와 마찬가지로 벨트형 동체(25)는 각 슬랫지지부재(8)의 단부(7)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축부재(26)를 관통하고 있음과 동시에, 각 관통 부위에서 각 축부재(26)에 고착되어 있고, 최상위, 최하위 슬랫지지부재(8)의 단부(7)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축부재(26)를 상단부(32), 하단부(33)에서 관통한 벨트형 동체(25)는 해당 상단부(32), 하단부(33)에서 축부재(26)에 고착되어 끝나고 있다.
각각의 벨트형 동체(21, 25)는,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수지제 실의 직물 또는 편물의 띠(벨트) 또는 합성수지제의 부직포의 평탄한 띠로 이루어져 있어도 되지만, 이 대신에 기타 강인한 가요성의 띠로 이루어져 있어도 된다.
각각의 축부재(23, 26)는, 특히 도 10의 (a) 및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원주부(46)와, 원주부(46) 양 단면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한 쌍의 축부(47)와, 원주부(46)의 축심에 대해서 대칭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원주부(46)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사각형 돌출부(115, 16)를 구비한 합성수지제의 일체 성형물로 우리어지고, 벨트형 동체(21, 25) 각각은 원주부(46), 한 쌍의 사각형 돌출부(115, 116)에 일체적으로 고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해당 원주부(46), 한 쌍의 사각형 돌출부(115, 116)를 관통하고 있다. 각각의 벨트형 동체(21, 25)에 원주부(46), 한 쌍의 사각형 돌출부(115, 116) 각각의 고착은, 각 축부재(23, 26)를 일체 형성할 때 수행하면 된다.
한 쌍의 링크기구(4, 5)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슬랫(9) 각각의 단부(39, 49) 사이에 개재되어 각 슬랫(9)을 한 쌍의 링크기구(4, 5)에 지지시키기 위한 각 슬랫지지부재(8)는, 지지체(22)와, 지지체(22)에 결합수단(40)을 통해서 결합되는 지지체(42)를 구비한다. 지지체(22)는, 링크기구(4, 5)의 축부재 (23, 26)의 일단부의 축부(47)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축공, 본 예에서는 관통공(30)이 일단부, 타단부(슬랫지지부재(8)의 한쪽, 다른 족의 단부(6, 7)이기도 함) 각각에 있는 아암부(31)와, 아암부(31)의 한쪽 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안내슬릿(16)을 통해서 세로프레임(2) 내외에 배치되어 있는 축부(36)와, 축부(36)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슬랫(9)의 결합부(60)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결합돌출부(37)를 갖고 있으며, 지지체(42)는 링크기구(4, 5)의 축부재(23, 26)의 타단부의 축부(47)가 회전 가능하게 갑삽되는 축공, 본 예에서는 관통공(34)이 일단부, 타단부(슬랫지지부재(8)의 한쪽, 다른 쪽의 단부(6, 7)이기도 함) 각각에 있는 아암부(35)를 갖고 있다.
각각의 축부재(23, 26)는, 아암부(31)와 아암부(35) 사이에 끼워서 배치한 원주부(46)의 양 단면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축부(47)에서 아암부(31, 35)에 대응되는 관통공(30, 34)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아암부(31, 35)의 일단부, 타단부에 대응되는 관통공(30, 34)끼리 동축이 되도록 지지체(22)와 지지체(42)를 서로 연결하도록 되어 있는 결합수단(40)은, 축부 (36)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아암부(31)의 한쪽 면에 대응되는 다른 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한 쌍의 결합용 개구(41)를 갖는 중공 사각형의 통부(43)와, 아암부(35)의 한쪽 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결합용 개구(41)에서 통부(43)에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돌출부(44)를 가지고 있다.
각 결합돌출부(44)는, 아암부(35)의 한쪽 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통부(43) 내에 삽입되는 돌기부 본체(45)와, 돌기부 본체(45)의 선단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결합용 개구(41)에서 통부(43)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후크부(48)를 갖고 있고, 후크부(48)의 결합용 개구(41)에서의 통부(43)로의 결합은 돌기부 본체(45)의 탄성적 휨을 이용한 스냅피트 방식으로 수행되도록 되어 있다.
지지체(22)는, 통부(43)를 포함해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일체 성형품으로서 지지체(42) 또한 한 쌍의 결합돌출부(44)를 포함해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일체 성형품이다.
복수의 슬랫지지부재(8)와,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연결된 복수의 축부재(23, 26)를 각각 가진 한 쌍의 링크기구(4, 5)를 구비한 슬랫지지기구(50)에 단부(39, 49) 각각에서 지지된 각 슬랫(9)은, 판상으로서 만곡된 슬랫 본체(51)와, 슬랫 본체(51)의 한쪽 면에서 단부(39)로부터 단부(49)까지 연장되어 슬랫 본체(51)의 한쪽 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사각형의 결합부(60)를 구비하고 있으며, 결합부(60)는 결합돌출부(37)가 삽입되도록 중공으로 되어 있다. 각 슬랫(9)은, 그양 단부(39, 49)에서 세로프레임(2) 쪽, 세로프레임(3) 쪽 슬랫지지기구(50)에 의해 개구부(P)에서 서로 평행이 되도록 지지되어 있다. 결합부(60)는 슬랫 본체(51)의 한쪽 면에서 단부(39)로부터 단부(49)까지 연장되어 설치될 필요는 없고, 적어도 단부(39, 49)에서 슬랫 본체(51)의 한쪽 면에 설치하면 된다.
슬랫지지기구(50)를 통해 슬랫(9)을 상승·하강시키는 승강기구(10)는, 세로프레임(2, 3)에 배치된 가요성의 주행체로서의 체인(52)과, 자유단으로 되어 있는 한쪽 단부(53)를 가진 체인(52)의 다른 쪽 단부(54)를 최상위의 슬랫지지부재(8)에 연결하는 연결기구(55)와, 체인(52)을 A, B 방향에 주행시키는 주행장치(56)와, 체인(52)의 A, B 방향의 주행에서 체인(52)의 휨을 저지하는 저지기구(57)를 구비하고 있다.
체인(52), 연결기구(55) 및 저지기구(57) 각각은 세로프레임(2) 쪽 및 세로프레임(3) 쪽에서 서로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하 세로프레임(2) 쪽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체인(52)은, 휘지 않도록 안내통로(17)에 배치되어 있고, A, B 방향의 그 주행이 안내통로(17)에 의해 안내되도록 되어 있다.
연결기구(55)는, 최상위의 슬랫지지부재(8)의 축부(36)와 동심으로 배치된 핀 부재(61)를 통해서 아암부(35)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연결판(62)과, 연결판 (62)에 한 쌍의 핀 부재(63)를 통해 고착되어 있는 슬라이더(64)를 구비하고 있으며, 슬라이더(64)는, 슬라이더 본체(65)와 한 쌍의 핀 부재(63) 각각을 통해 슬라이더 본체(6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음과 동시에 한쪽 안내통로(17)와 안내통로(18) 사이에 끼인 다른 쪽 안내통로(17)에 상하 운동 가능하게 배치된 한 쌍의 롤러(66)(한쪽만 도시됨)를 구비하고 있고, 슬라이더 본체(65)에 체인(52)의 다른 쪽 단부(54)가 핀 부재(67)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주행장치(56)는, 체인(52)에 대한 주행력을 수동 조작으로 발생시키는 무단의 구슬체인(71)으로부터의 주행력을 체인(52)에 전달하는 전달수단(72)을 구비하고 있다.
전달수단(72)은, 구슬체인(71)이 장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회전축(73)에 고착된 풀리(74)와, 회전축(73)에 고착된 톱니바퀴(75)와, 톱니바퀴(75)에 물려 있음과 동시에 회전축(76)에 고착된 톱니바퀴(77)와, 회전축(76)에 고착된 톱니바퀴 (78)와, 톱니바퀴(78)에 물려 있음과 동시에 회전축(79)에 고착된 톱니바퀴(80)와, 톱니바퀴(80)에 물려 있음과 동시에 회전축(81)에 고착된 톱니바퀴(82)와, 회전축 (81)의 일단부(83)에 고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체인(52)이 장착되어 있는 스프로킷 휠(84)과, 회전축(81)의 회전에 대해서 일정한 제동을 부여하는 제동기구(85)를 구비하고 있다.
풀리(74)에 감긴 구슬체인(71)은, 블라인드 장치(1)가 설치되는 건물의 창문 등의 개구부에서 실내 쪽(88)에 수동에 의해 조작 가능하도록 매달려 있다.
회동 축(73, 76, 79, 81)은, 브래킷(9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브래킷(91)은 세로프레임(2)의 세로프레임 본체(14) 상부 내면에 고착되어 있다.
톱니바퀴(75, 77, 78, 80, 82)는 풀리(74)의 회전을 감속하여 회전축(81)에 전달하는 감속 톱니바퀴 기구를 구성하고 있고, 일단부(83)에 세로프레임 본체(14)내에 배치된 스프로킷 휠(84)이 고착되어 있는 회전축(81)은 위쪽 커버 프레임(13) 내를 통해서 세로프레임(3)의 세로프레임 본체 내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스프로킷 휠(84)과 같은 스프로킷 휠이 회전축(81)의 세로프레임(3) 쪽 타단부에도 고착되어 있고, 회전축(81)의 타단부 쪽의 스프로킷 휠에는 세로프레임(2) 내에 배치된 체인(52)과 같게 하여 세로프레임(3) 내에 배치된 체인이 장착되어 있다.
제동기구(85)는, 브래킷(91)에 고착된 하우징(92) 내에 배치된 환상의 제동판(93)과, 회전축(81)에 고착된 환상의 제동 받침판(94)과, 하우징(92), 제동판 (93) 간에 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제동판(93)을 제동 받침판(84)에 탄력적으로 압압시켜서 마찰 접촉시키는 코일 스프링(95)을 구비하고 있으며, 제동판(93)과 제동 받침판(94)의 마찰 접촉으로 구슬체인(71)의 수동에 의한 주행에서 풀리(74)의 회전에서는 회전축(81)의 회전을 허용하고, 구슬체인(71)을 수동으로 주행시키지 않을 때는 슬랫(9) 등의 자중에 의한 체인(52), 스프로킷 휠(84)을 통한 회전축(81)의 회전을 금지하도록 되어 있다.
저지기구(57)는 스프로킷 휠(84)의 외주 주위에 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장착판(96)을 통해 세로프레임 본체(14)의 상부 내면에 고착된 체인가이드(86, 87)를 구비하고 있고, 체인가이드(86, 87)는 스프로킷 휠(84) 주위에서의 체인(52)의 휨을 저지하며, 체인(52)의 스프로킷 휠(84)로의 맞물림을 보장하도록 되어 있다.
승강기구(10)에서, 구슬체인(71)의 수동에 의한 한쪽 방향의 주행에서 풀리(74) 회전으로 톱니바퀴(75, 77, 78, 80, 82)를 통해 스프로킷 휠(84)이 회전되어, 예컨대 체인(52)이 A 방향에 주행되면 단부(54)의 상승과 더불어 안내통로(17)에 의해 안내되어 연결기구(55)가 상승되고, 연결기구(55)의 상승으로 핀 부재(61)를 통해서 연결기구(55)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아암부(35)를 가진 최상위의 슬랫지지부재(8) 또한 상승되며, 최상위의 슬랫지지부재(8)의 상승으로 한 쌍의 링크기구(4, 5)를 통해 최상위의 슬랫지지부재(8)에 연결된 하위의 슬랫지지부재(8)도 최상위의 슬랫지지부재(8)의 바로 아래 슬랫지지부재(8)로부터 잇달아 상승되는 결과, 각 슬랫지지부재(8)에 지지된 슬랫(9) 또한 잇달아 상승되게 되어 최상위의 슬랫지지부재(8)에 연결된 승강기구(10)는 최상위의 슬랫지지부재(8)를 들어올려 슬랫(9)이 잇달아 상승하게 되어 있다.
또한, 승강기구(10)에서, 구슬체인(71)의 수동에 의한 다른 쪽 방향의 주행에서 풀리(74) 회전으로 톱니바퀴(75, 77, 78, 80, 82)를 통해 스프로킷 휠(84)이 회전되어 체인(52)이 B 방향으로 주행되면, 단부(54)의 하강과 더불어 안내통로 (17)에 의해 안내되어 연결기구(55)가 하강되고, 연결기구(55)의 하강으로 핀 부재(61)를 통해 연결기구(55)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아암부(35)를 가진 최상위의 슬랫지지부재(8) 또한 하강되며, 최상위 슬랫지지부재(8)의 하강으로 한 쌍의 링크기구(4, 5)를 통해 최상위의 슬랫지지부재(8)에 연결된 하위 슬랫지지부재(8)도 최하위의 슬랫지지부재(8)로부터 잇달아 하강되는 결과, 각 슬랫지지부재(8)에 지지된 슬랫(9) 또한 이어서 하강하게 되어 최상위의 슬랫지지부재(8)에 연결된 승강기구(10)는 최상위의 슬랫지지부재(8)를 내려 슬랫(9)이 잇달아 하강하게 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회전축(73)은 톱니바퀴(75, 77, 78, 80, 82)로 이루어지는 감속기구를 통해 회전축(81)에 연결되어 있지만, 이처럼 풀리(74)의 회전을 간접적으로 회전축(81)에 전달하는 대신에, 회전축(81)에 풀리(74)를 고착하여, 풀리(74)의 회전을 회전축(81)에 직접적으로 전달해도 되고, 또한 구슬체인(71) 대신에 또는 구슬체인(71)과 함께 전동모터를 사용해도 좋고, 이 경우에는 전동모터의 출력 회전축(73)을 회전축(73)에 연결하거나 전동모터의 출력 회전축을 회전축(81)으로 이용해도 좋으며, 이 경우 필요에 따라서 속도 제어가 가능한 전동모터를 이용해도 좋다.
틸트기구(11)는, 최상위의 슬랫지지부재(8)의 상승·하강과 더불어 이동하도록 최상위의 슬랫지지부재(8)의 아암부(35)에서 결합돌출부(44)가 형성된 한쪽 면에 대향하는 다른 쪽 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원주 형상의 돌기(101)와, 안내통로 형성부재(15)에 부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안내통로(19)에 연통되는 안내오목부(102)를 가진 캠 부재(103)를 구비하고 있다.
틸트기구(11)는, 체인(52)의 A 방향의 주행에 의한 최상위의 슬랫지지부재 (8)의 상승에서, 최상위의 슬랫지지부재(8)에 설치되어 있는 돌기(101)를 캠 부재 (103)에 접촉시켜서 돌기(101)를 안내통로(19)에서 안내오목부(102)로 안내하고, 돌기(101)가 형성된 아암부(35)를 가진 최상위 슬랫지지부재(8)에 축부(36)를 중심으로 한 R1 방향의 회동을 발생시키며, 이에 의해 링크기구(4)의 벨트형 동체(21)에 대해서 링크기구(25)를 들어올려 상승시키고, 최상위의 슬랫지지부재(8)에 이어지는 하위 슬랫지지부재(8)에도 링크기구(4, 5)를 통해 같은 R1 방향의 회동을 발생시켜 모든 슬랫(9)을 마찬가지로 R1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한편, 체인(52)의 B 방향의 주행에 의한 최상위의 슬랫지지부재(8)의 하강에서, 돌기(101)를 안내오목부 (102)로부터 안내통로(19)로 안내하고 최상위의 슬랫지지부재(8)에 축부(36)를 중심으로 한 R2 방향의 회동을 발생시키며, 이에 의해 링크기구(5)의 벨트형 동체(25)에 대해 링크기구(4)의 벨트형 동체(21)를 들어서 상승시키고 모든 슬랫(9)을 마찬가지로 R2 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금지수단(12)은, 안내통로 형성부재(15)의 하부에 배치된 연결판(121)과, 일단부(122)에서 연결판(121)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부(123)에서 안내통로 형성부재 (15)의 하단에 고착되어 고정되어 있는 탄성체로서의 코일 스프링(124)과, 연결판 (121)에 축부재(125)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한쪽 안내통로(17)와 안내통로(18) 사이에 끼인 다른 안내통로(17)에 배치된 롤러(126)와, 연결판(121)에 축부재(127, 128)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안내통로(18)에 배치된 한 쌍의 롤러(129)(한 개만 도시됨)를 구비하고 있으며, 한 쌍의 롤러(129)에 의해 요동되지 않도록 되어 있는 연결판(121)은 최하위의 슬랫지지부재(8)의 축부(36)와 동심으로 배치된 축부재(미도시)를 통해 최하위의 슬랫지지부재(8)의 아암부(35)에 R1, R2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금지수단(12)은, 최하위의 슬랫지지부재(8)의 상승에 의한 연결판(121)의 안내통로(17, 18)를 따른 상승에서 연결판(121)을 코일 스프링(124)의 탄성력에 의해 아래쪽으로 잡아당기고, 이에 의해 최하위의 슬랫지지부재(8)의 일정 이상의 들어올림을 탄성적으로 저지하도록 되어 있다.
폐쇄판(141)은 개구부(P)의 완전폐쇄 상태(도 13에 도시된 상태)에서, 최하위의 슬랫(9)과 바닥프레임(14a) 사이에 생기는 간극을 폐쇄하기 위해 바닥프레임 (14a)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블라인드 장치(1)에서는, 개구부(P)의 개방 상태에서는 돌기(101)는 안내통로(19)에 배치되며,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벨트형 동체(21, 25)는 휘어져 있고, 각각의 슬랫(9)은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아래쪽에 서로 조밀하게 겹쳐져(묶여) 있다. 구슬체인(71)의 수동에 의한 한쪽 방향의 주행에서 체인(52)의 A 방향 주행에 의한 개구부(P)의 폐쇄 때에는, 우선 최상위 슬랫지지부재(8)가 상승되기 시작하고 최상위의 슬랫지지부재(8)의 상승으로 링크기구(4, 5)의 벨트형 동체(21, 25)가 쭉 연장됨으로써 최상위의 슬랫지지부재(8)로 이어지는 슬랫지지부재(8)가 상승되기 시작하며, 이하 마찬가지로 순차적으로 후속되는 슬랫지지부재 (8)가 상승되고 이와 더불어 슬랫(9)도 순차적으로 상승되어 돌기(101)가 안내통로 (19)에 안내되어 상승할 때에는 슬랫(9)이 거의 수평 방향의 경사 이동 상태로 유지되는 결과, 도 1,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개구부(P)는 슬랫(9)으로 발 형상으로 폐쇄된다.
또한, 체인(52)이 A 방향으로 주행되어 개구부(P)의 완전 폐쇄 직전 위치에서 벨트형 동체(21, 25)가 완전히 연장되는 한편, 벨트형 동체(21, 25)를 통해 최하위의 슬랫지지부재(8)가 코일 스프링(124)의 탄성력에 대해서 약간 상승되고 돌기(101)가 안내오목부(102)를 따라서 캠 부재(103)에 접촉되면, 최상위의 슬랫지지부재(8)가 R1 방향으로 회동되기 시작하여 벨트형 동체(25)의 상단부(52)가 벨트형 동체(21)의 상단부(28)에 대해서 더 들리게 되며, 이에 따라 최상위의 슬랫(9)이R1 방향으로 회동됨과 동시에 최상위의 슬랫지지부재(8)의 회동이 벨트형 동체(21), 벨트형 동체(25)를 통해 하위의 슬랫지지부재(8)에 전달되어 모든 슬랫지지부재(8), 슬랫(9)이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거의 수직 방향의 경사 이동 상태로 유지되는 결과, 슬랫(9)에 의해 개구부(P)는 완전 폐쇄 상태가 되게 된다.
개구부(P)의 개방에서는, 구슬체인(71)이 수동에 의해 상기와 반대로 주행되고 이에 따라 돌기(101)가 안내오목부(102)에서 안내통로(19)로 안내되어 최상위의 슬랫지지부재(8)의 하강과 더불어 벨트형 동체(21, 25)는 아래쪽에서 순차적으로 구부러지게 된다.
이상의 블라인드 장치(1)에서는, 승강기구(10)가 최상위의 슬랫지지부재(8)를 통해 슬랫(9)을 상승·하강시키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개구부(P)의 완전 개방에서는 슬랫(9)의 묶음을 개구부(P)의 하부에 배치할 수 있는 결과, 개구부(P)의 완전 개방에서 슬랫(9)에 방해 받지 않고 채광할 수 있고, 또한 개방 시의 개방감을 충분히 얻을 수 있으며, 또한 링크기구(4, 5)가 가요성의 벨트형 동체(21, 25)와 일정 간격을 두고 벨트형 동체(21 및25)에 고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벨트형 동체(21, 25)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축부재(23, 26)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링크기구(4, 5)의 조립, 보수가 간단하며, 또한 벨트형 동체(21, 25), 복수의 축부재(23, 26)를 합성수지 등으로 제조함으로써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어서 슬랫(9)의 상승, 하강에 별로 큰 힘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또한, 블라인드 장치(1)에 의하면, 링크기구(4, 5)의 축부재(23, 26) 일단부의 축부(47)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관통공(30)을 아암부(31)가 그 일단부, 타단부에 가지며, 링크기구(4, 5)의 축부재(23, 26)의 타단부의 축부(47)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관통공(34)을 아암부(35)가 그 일단부, 타단부에 갖는댜. 또한 아암부(31, 35)의 일단부, 타단부에 대응되는 관통공(30, 34)끼리 동축이 되도록 아암부(31, 35)가 결합수단(40)을 통해 서로 연결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링크기구(4, 5)의 축부재(23, 26)를 양쪽 지지로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축부재(23, 26)의 원활한 회동을 보장할 수 있는 결과, 강성 링크 부재 대신에 가요성의 벨트형 동체(21, 25)를 사용해도 벨트형 동체(21, 25)를 용이하게 연장시키고 구부릴 수 있으며 슬랫(9)의 상승·하강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고 따라서 슬랫(9)을 적절히 지지할 수 있다.
게다가, 블라인드 장치(1)에 의하면, 개구부(P)의 완전 폐쇄에서 폐쇄판 (141)으로 최하위의 슬랫(9)보다 아래쪽에 생기는 간극을 폐쇄할 수 있는 결과, 이 간극을 통한 빗물의 침입 등을 저지할 수 있어서 보다 완전한 개구부(P)의 완전 폐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라인드 장치(1)에 의하면, 후크부(48)의 결합용 개구(41)에서의 통부(43)로의 결합이 돌기부 본체(45)의 탄성적인 휨을 이용한 스냅피트 방식으로 수행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결합수단(40)을 통한 지지체(22)와 지지체(42)의 상호 결합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어서 단시간에 슬랫지지부재(8)의 조립과 보수를 할 수 있다.
상기 예에서, 단부(53, 54)를 가진 유단(有端)의 체인(52) 대신에 무단의 체인으로도 되고, 이 경우에는 스프로킷 휠(84) 대신에 다른 스프로킷 휠을 배치하여 양 스프로킷 휠 간에 무단 체인을 장착하면 되며, 이러한 무단 체인을 이용하면 저지기구(57)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체인(52) 대신에 타이밍 벨트 등도 되고, 타이밍 벨트를 이용할 경우에는 스프로킷 휠(84) 대신에 톱니 부착 풀리를 이용하면 된다.
또한, 상기에서는, 아암부(31)의 다른 쪽 면에 결합용 개구(41)를 가진 중공 사각형의 통부(43)를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아암부(35)의 한쪽 면에 결합돌출부 (44)를 일체적으로 형성하여 결합수단(40)을 구성했지만, 이 대신에 아암부(35)의 한쪽 면에 결합용 개구(41)를 가진 중공 사각형의 통부(43)를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아암부(31)의 다른 쪽 면에 결합용 개구(41)에서 통부(43)에 결합되는 결합돌출부 (44)를 일체적으로 형성하여 결합수단(40)을 구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에서는 한 쌍의 결합용 개구(41) 각각에서 통부(43)에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돌출부(44)로 결합수단(40)을 구성했지만, 이 대신에 도 1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아암부(35)의 한쪽 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한 개의 결합용 개구(151)에서 통부(43)에 결합되는 한 개의 결합돌출부(152)와, 결합돌출부(152)를 사이에 두고 비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통부(43)에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 돌출부(153)를 구비해서 결합수단(40)을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 결합돌출부(152)는 통부(43) 내에 삽입되는 돌기부 본체(155)와, 돌기부 본체(155)의 선단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결합용 개구(151)에서 통부(43)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후크부(156)를 갖고 있으며 후크부(156)의 결합용 개구(151)에서 통부(43)로의 결합은 돌기부 본체(155)의 탄성적인 휨을 이용한 스냅피트 방식으로 수행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립, 보수를 단시간에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고, 슬랫의 상승·하강에 별로 큰 힘이 필요하지 않는데다가 개구부의 완전개방으로 슬랫에 방해되지 않고 채광할 수 있으며, 또한 개방 시의 개방감을 충분히 얻을 수 있는 블라인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2)
- 서로 나란히 배치된 제1, 제2 링크기구와, 한쪽 단부가 제1 링크기구에, 다른 쪽 단부가 제2 링크기구에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복수의 슬랫지지부재와, 각 슬랫지지부재 각각에 지지된 슬랫과, 최상위의 슬랫지지부재를 통해서 슬랫을 상승, 하강시키는 승강기구와, 이 승강기구에 의한 슬랫의 상승·하강에서 제1, 제2 링크기구에 상대적인 위치 변화를 발생시켜서 슬랫을 경사 이동시키는 틸트기구와, 최하위 플랫의 상승을 금지하는 금지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제1, 제2 링크기구 각각은 가요성의 벨트형 동체와, 일정 간격을 두고 벨트형 동체에 고착됨과 동시에 벨트형 동체를 가지고 사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축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며, 각 슬랫지지부재의 한쪽 단부에는 제1 링크기구의 축부재가, 각 슬랫지지부재의 다른 쪽에는 제2 링크기구의 축부재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승강기구는 가요성의 주행체와, 그 주행체의 단부를 최상위의 슬랫지지부재에 연결함과 동시에 주행체의 주행으로 이동되는 연결기구와, 주행체를 주행시키는 주행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틸트기구는 최상위의 슬랫지지부재의 상승·하강과 더불어 이동하도록 최상위의 슬랫지지부재에 설치되어 있는 돌기와, 최상위의 슬랫지지부재의 상승에서 돌기가 접촉하는 캠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금지수단은 최하위의 슬랫지지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하 운동 가능한 연결판과, 일단부에서는 연결판에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부에서는 고정된 탄성체를 구비하고 있는 블라인드 장치.
- 제1항에서,상기 주행체의 주행 및 연결기구의 상하 운동을 안내하는 안내통로와, 상기 돌기의 상승·하강을 안내하는 안내통로와, 상기 연결판의 상하 운동을 안내하는 안내통로를 형성하는 안내통로 형성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는 블라인드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서,상기 최하위 슬랫보다 아래쪽에 발생할 수 있는 간극을 폐쇄하는 폐쇄판을 더 구비하고 있는 블라인드 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제1지지체와, 상기 제1지지체에 결합되는 제2지지체를 구비하고,상기 제1지지체는, 링크기구의 축부재의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축공을 일단부 및 타단부 각각에 가진 제1아암부와, 상기 제1아암부의 한쪽 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축부와, 상기 축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슬랫의 결합부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결합돌기를 가지고 있고,상기 제2지지체는, 링크기구의 축부재의 타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축공을 일단부 및 타단부 각각에 가진 제2아암부를 가지고 있으며,상기 제1지지체와 제2지지체는, 상기 제1, 제2아암부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대응되는 축공끼리 동축을 이루도록 결합수단을 통해서 서로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블라인드 장치.
- 제4항에서,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제1아암부의 한쪽 면에 대향하는 다른 쪽 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결합용 개구를 가진 통부와, 상기 제2아암부의 한쪽 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결합용 개구에서 통부에 결합되는 결합돌출부를 갖고 있는 블라인드 장치.
- 제4 항에서,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제2아암부의 한쪽 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결합용 개구를 가진 통부와, 상기 제1아암부의 한쪽 면에 대향하는 다른 쪽 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결합용 개구에서 통부에 결합되는 결합돌출부를 갖고 있는 블라인드 장치.
- 제5항 또는 제6항에서,상기 결합돌출부는, 상기 통부 내에 삽입되는 돌기부 본체와, 상기 돌기부 본체의 선단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결합용 개구에서 통부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후크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후크부의 결합용 개구에서의 통부로의 결합은 돌기부 본체의 탄성적인 휨을 이용한 스냅피트 방식으로 수행되도록 되어 있는 블라인드 장치.
-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서,상기 제1지지체 및 제2지지체 각각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일체 성형품인 블라인드 장치.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서,상기 각 벨트형 동체는 축부재를 관통하고 있음과 동시에 한 개의 연속된 벨트형 부재로 이루어지는 블라인드 장치.
-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서,상기 각 벨트형 동체는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수지제 실의 직물 또는 편물의 띠 또는 합성수지제의 부직포의 띠로 이루어지는 블라인드 장치.
-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서,상기 각 축부재는, 원주부와, 상기 원주부의 각 단면에 배치된 축부를 구비한 합성수지제의 일체 성형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축부에서 각 아암부에 대응되는 축공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벨트형 동체는 원주부에 일체적으로 고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해당 원주부를 관통하고 있는 블라인드 장치.
- 제11항에서,상기 각 축부재는, 상기 원주부의 축심에 대해서 대칭의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사각형 돌출부를 더 구비한 합성수지제의 일체 성형물로 이루어지고 있고, 상기 벨트형 동체는, 원주부, 한 쌍의 사각형 돌출부에 일체적으로 고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해당 원주부, 한 쌍의 사각형 돌출부를 관통하고 있는 블라인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2322742A JP3885713B2 (ja) | 2002-11-06 | 2002-11-06 | ブラインド装置 |
JPJP-P-2002-00322742 | 2002-11-0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40340A true KR20040040340A (ko) | 2004-05-12 |
KR101031638B1 KR101031638B1 (ko) | 2011-04-27 |
Family
ID=32105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67474A KR101031638B1 (ko) | 2002-11-06 | 2003-09-29 | 블라인드 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EP (1) | EP1418307B1 (ko) |
JP (1) | JP3885713B2 (ko) |
KR (1) | KR101031638B1 (ko) |
CN (1) | CN100507198C (ko) |
DE (1) | DE60306475T2 (ko) |
TW (1) | TWI326326B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15535B1 (ko) * | 2005-04-13 | 2007-05-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
KR100918787B1 (ko) * | 2006-09-29 | 2009-10-01 | 이덕률 | 견인식 루버 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862439B2 (ja) * | 2006-03-08 | 2012-01-25 | オイレスEco株式会社 | ブラインド装置 |
WO2007118488A1 (de) * | 2006-04-13 | 2007-10-25 | Lamellanet Ag | Lamellenstore |
KR101181958B1 (ko) | 2008-11-07 | 2012-09-11 | 박정원 | 다용도 창호 |
JP2013113054A (ja) * | 2011-11-30 | 2013-06-10 | Sekisui House Ltd | 縦型ブラインド装置 |
ITMI20120528A1 (it) * | 2012-03-30 | 2013-10-01 | Francesca Saullo | Dispositivo di comando delle lamelle di una persiana a lamelle orientabili |
DE102012104365A1 (de) * | 2012-05-21 | 2013-11-21 | Ernst Hommer | Lamellenkonstruktion für Gebäudeinstallationen |
JP5953983B2 (ja) * | 2012-06-28 | 2016-07-20 | オイレスEco株式会社 | ブラインド装置 |
BE1021865B1 (nl) | 2014-05-09 | 2016-01-22 | Renson Sunprotection-Projects Nv | Aandrijfsysteem |
BE1022563B1 (nl) * | 2014-10-16 | 2016-06-02 | Renson Sunprotection Screens Nv | Lamelleninrichting |
FR3058445B1 (fr) * | 2016-11-10 | 2020-07-17 | Flexoma | Dispositif de manœuvre d'un systeme d'occultation d'une baie et installation d'occultation mettant en œuvre un tel dispositif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31991Y2 (ko) | 1986-08-12 | 1992-07-31 | ||
JPH07324566A (ja) * | 1994-06-01 | 1995-12-12 | Oiles Ind Co Ltd | ブラインド式シャッター |
JP3433557B2 (ja) * | 1995-02-02 | 2003-08-04 |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 ブラインド装置 |
JP3430739B2 (ja) * | 1995-03-28 | 2003-07-28 |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 ブラインド装置 |
US5584331A (en) * | 1995-11-29 | 1996-12-17 | Lin; Kuo-Chung | Shutter |
DE59811259D1 (de) * | 1997-07-08 | 2004-06-03 | Nyffenegger Storenfabrik Ag Hu | Raffstore sowie Gebäude mit einem Raffstore |
JP3829446B2 (ja) | 1997-11-26 | 2006-10-04 | オイレスEco株式会社 | ブラインド装置 |
EP1243744A1 (de) * | 2001-03-19 | 2002-09-25 | Dieter Niemann | Jalousie mit Laufrichtung von unten nach oben |
-
2002
- 2002-11-06 JP JP2002322742A patent/JP3885713B2/ja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3
- 2003-09-26 TW TW092126669A patent/TWI326326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3-09-29 DE DE60306475T patent/DE60306475T2/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3-09-29 CN CNB031272320A patent/CN100507198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3-09-29 KR KR1020030067474A patent/KR10103163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3-09-29 EP EP03021681A patent/EP1418307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15535B1 (ko) * | 2005-04-13 | 2007-05-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
KR100918787B1 (ko) * | 2006-09-29 | 2009-10-01 | 이덕률 | 견인식 루버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31638B1 (ko) | 2011-04-27 |
TW200408760A (en) | 2004-06-01 |
CN100507198C (zh) | 2009-07-01 |
DE60306475T2 (de) | 2007-02-01 |
CN1499040A (zh) | 2004-05-26 |
EP1418307B1 (en) | 2006-06-28 |
JP3885713B2 (ja) | 2007-02-28 |
EP1418307A1 (en) | 2004-05-12 |
TWI326326B (en) | 2010-06-21 |
JP2004156293A (ja) | 2004-06-03 |
DE60306475D1 (de) | 2006-08-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51419B1 (ko) | 블라인드 장치용 슬랫지지부재, 그 슬랫지지부재를 구비한슬랫지지기구 및 그 슬랫지지기구를 구비한 블라인드 장치 | |
KR101031638B1 (ko) | 블라인드 장치 | |
EP0362923B1 (en) | Electromotively driven sunblind | |
KR101913167B1 (ko) | 일사 차폐 장치 | |
JPS6151116B2 (ko) | ||
CA2519079A1 (en) | Drive system for garage door | |
KR101035865B1 (ko) | 블라인드 장치 | |
KR100863514B1 (ko) |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 | |
JP2007002607A (ja) | ヒンジ装置、及び該ヒンジ装置を備えた折り畳み式の自動昇降ゲート | |
JP4612463B2 (ja) | 昇降コード選択型ローマンシェード | |
CA3031262A1 (en) | Chain for a screen device | |
JP5353941B2 (ja) | ブラインド装置と窓枠との構造 | |
KR100295777B1 (ko) | 시트셔터 | |
JP4066819B2 (ja) | ブラインド装置及びその取付機構 | |
JP4815683B2 (ja) | ブラインド装置と窓枠との構造 | |
JPH0194187A (ja) | 鎧戸式棒体シャッター | |
JP3823850B2 (ja) | ブラインド装置と窓枠との構造 | |
SU1599510A1 (ru) | Раздвижные ворота | |
JP3829685B2 (ja) | ブラインド装置 | |
JP4543727B2 (ja) | 開口開閉装置 | |
KR20090001376U (ko) | 롤 스크린장치 | |
JPH0754542A (ja) | 間仕切ドアの駆動方法 | |
JP2007044403A (ja) | 昇降コード選択型ローマンシェード | |
JP2005273346A (ja) | ガレージ扉 | |
JPH0484910A (ja) | カーテンの開閉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