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7274B1 - 블라인드의 클러치 전동 기구 - Google Patents

블라인드의 클러치 전동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7274B1
KR100517274B1 KR10-2002-0034678A KR20020034678A KR100517274B1 KR 100517274 B1 KR100517274 B1 KR 100517274B1 KR 20020034678 A KR20020034678 A KR 20020034678A KR 100517274 B1 KR100517274 B1 KR 100517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
spacing
key
tilt
adjusting d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4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7351A (ko
Inventor
웬유-체
루이송-헤
Original Assignee
니엔 메이드 엔터프라이즈 코오퍼레이션
인더스트리얼 테크놀로지 리써치 인스티튜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엔 메이드 엔터프라이즈 코오퍼레이션, 인더스트리얼 테크놀로지 리써치 인스티튜트 filed Critical 니엔 메이드 엔터프라이즈 코오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02-0034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7274B1/ko
Publication of KR20030097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7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7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72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2Details of operating devices, e.g. pulleys, brakes, spring drums,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2Details of operating devices, e.g. pulleys, brakes, spring drums, drives
    • E06B2009/3222Cordless, i.e. user interface without co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전동(電動) 블라인드의 클러치 전동(傳動) 기구는 전동 장치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블라인드 살 상하 위치의 간격 및 기울기 각도의 변화를 주게 한다. 주로 간격 조절부와 기울기 조절부 및 클러치 장치를 포함하는 최소 1개의 줄 감는 장치를 포함한다. 간격 조절부는 전동 장치와 연결된 간격 조절 디스크 및 간격 조절 디스크와 연결된 간격 조절 당김줄을 포함하며, 간격 조절 디스크로 하여금 전동 장치가 전달하는 동력을 받아서 회전하게 하여 간격 조절 당김줄이 감기고 풀어지는 동작을 하도록 함으로써 블라인드 살이 상승 또는 하강한다. 기울기 조절부는 기울기 조절 디스크 및 기울기 조절 당김줄을 포함한다. 기울기 조절 디스크는 클러치 장치에 의해 간격 조절 디스크와 함께 작동하게 된다. 기울기 조절 당김줄은 기울기 조절 디스크 및 블라인드 살 사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간격 조절 디스크를 통하여 기울기 조절 디스크를 회전하게 하여 블라인드 살의 기울기 각도가 조절되게 한다. 그리고 클러치 장치는 소정의 위치에서 간격 조절 디스크 및 기울기 조절 디스크가 함께 작동하지 않도록 한다.

Description

블라인드의 클러치 전동 기구 {TRANSMISSION MECHANISM FOR A BLIND}
본 발명은 전동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동 블라인드의 클러치 전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블라인드는 대체로 상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블라인드 살, 하부 프레임을 올리고 내리며 위치를 고정시키고 블라인드가 차지하는 면적을 변화시킬 수 있는 간격 조절 장치, 블라인드 살의 기울기 각도를 조절하여 블라인드의 빛이 들어오는 양을 변화 조절시킬 수 있는 기울기 조절 장치를 포함한다. 이 중에서 간격 조절 장치는 통상 블라인드 측면에 노출된 당김줄을 포함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그 줄을 당김으로써 하부 프레임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게 한다. 한편, 기울기 조절 장치도 블라인드 측면에 노출된 기울기 조절 부품을 포함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블라인드 살의 기울기 각도를 변화시키게 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블라인드의 노출된 당김줄은 반드시 사람의 손으로써 블라인드 근처에 접근한 후에야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자에게 불편을 끼치고 노력을 낭비하게 한다. 한편, 블라인드의 노출된 당김줄은 또한 어느 때고 어린이가 가지고 놀거나 다루는 데에 익숙하지 않아서 고장이 나고 줄이 엉키는 등의 불행한 사례를 제공함으로써, 노출된 당김줄은 분명히 주거 환경 중에서 가장 위험성을 잠재하고 있는 요인을 이루게 한다.
그러므로 많은 업자들이 당김줄이 노출되지 않는 블라인드 및 전동 블라인드를 연구하는 데에 힘을 쏟았다. 현존하는 일반 전동 블라인드에 대해 말하자면, 미국특허등록 제5,103,888호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반드시 상부 프레임 혹은 하부 프레임 속에 모터를 설치하고 리모콘으로써 작동을 조절하여 블라인드 당김줄의 상승 및 하강을 조절한다. 그러나 이 모터의 작동은 단지 블라인드 살의 상승 및 하강에만 쓰일 수 있을 뿐 블라인드 살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데에는 도리가 없어서 사용자가 블라인드 살의 기울기를 조절하려고 할 때에는 역시 블라인드 근처에 가서 사람의 손으로써 조절하는 방식을 사용해야만 한다. 이것은 사용자의 조작에 있어서 편리성이 부족하다.
물론,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의 다른 편에 블라인드 살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모터를 설치할 수도 있겠지만, 그러나 그럴 경우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 내의 공간 체적이 공연히 증가할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전동(電動) 블라인드의 클러치 전동(傳動)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동 블라인드의 클러치 전동 기구는 블라인드 살의 상승 및 하강을 전동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블라인드 살의 기울기 각도를 전동으로 조절할 수 있어서, 블라인드의 조작에 있어서 더욱 자동화되고 편리하게 해 준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지 하나의 전동용 전원만으로도 동력을 전달할 수 있어서 전체 기구의 크기를 비교적 작게 하며 그 체적도 비교적 작아지고 비용도 저렴하게 할 수 있는 전동 블라인드의 클러치 전동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으로 인하여, 본 발명이 제공하는 전동 블라인드의 클러치 전동 기구는 전동 장치가 동력을 전달하면 블라인드 살의 상하 위치 변동 및 기울기 각도의 조절을 일으키는 것이다. 주로 간격 조절부와 기울기 조절부 및 클러치 장치를 포함하는 최소 1개의 권선 장치를 포함한다. 간격 조절부는 전동 장치와 연결된 간격 조절 디스크 및 간격 조절 디스크와 연결된 간격 조절 당김줄을 포함하며, 간격 조절 디스크로 하여금 전동 장치가 전달하는 동력을 받아서 회전하게 하여 간격 조절 당김줄이 감기고 풀어지는 동작으로써 블라인드 살이 상승 또는 하강한다. 기울기 조절부는 기울기 조절 디스크 및 기울기 조절 당김줄을 포함한다. 기울기 조절 디스크는 클러치 장치로부터 간격 조절 디스크와 함께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기울기 조절 당김줄은 기울기 조절 디스크 및 블라인드 살 사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간격 조절 디스크를 통하여 기울기 조절 디스크를 회전하게 하여 블라인드 살의 기울기 각도가 조절되게 한다. 그리고 클러치 장치는 소정의 위치에서 간격 조절 디스크 및 기울기 조절 디스크에 함께 작동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클러치 장치는 간격 조절부 및 기울기 조절부 간에 결합 또는 분리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동일한 동력원에서 나오는 동력으로 블라인드 살이 상승 및 하강하고 기울기가 변화하게 되는 것을 달성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효과에 대하여 더욱 정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실시예를 들고 도면과 상세 설명을 덧붙인다.
도 1 내지 도 9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동 블라인드의 클러치 전동 기구(100)를 도시하였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 블라인드의 클러치 전동 기구 외에 본 실시예에서 블라인드 구조체(10) 및 전동 장치(20)가 있고, 그 중에는;
블라인드 구조체(10)는 상부 프레임(11) 및 한 조의 블라인드를 갖고,
상부 프레임은 창문의 상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그 내부에는 수용 공간(1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 프레임(11)의 아래 부분 두 측면의 소정 위치로 각기 수용 공간(111)의 구멍(112)과 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 조의 블라인드 살은 복수 개의 블라인드 살(121) 및 하부 프레임(123)을 갖고, 상부 프레임(11)의 각 구멍(112)의 위치와 대응되게 각기 구멍(122) 하나씩을 형성하고 있다.
전동 장치(20)는 동력 모터(21), 전동 축(22), 발신기(23), 수신기(24) 및 전지(25)를 갖는다. 동력 모터는 하나의 전동원이 되며, 상부 프레임(11)의 수용 공간(111) 내에 설치된다. 전동축(22)은 단면이 비원형인 막대 모양으로, 그 한 쪽 단부에 동력 모터(21)가 연결되어 있으며, 동력 모터(21)의 동력을 받아 회전한다. 발신기(23)는 무선 리모트 콘트롤러 혹은 유선 콘트롤러 등이 될 수 있으며 다수 개의 각기 다른 신호를 발신하여 수신기(24)로 하여금 수신하게 한다(본 실시예에서 발신기(23)는 무선 리모트 콘트롤러로 표시하였다). 수신기(24)는 동력 모터(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발신기(23)가 보낸 신호에 따라서 동력 모터(21)의 작동 여부를 조절한다. 전지(25)는 축전지, 건전지, 판상 전지, 원통형 전지, 수은 전지 등이 될 수 있으며 수용 공간(111)내에 설치하며, 동력 모터(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동력 모터(21)의 전력 공급원이 된다.
상술한 블라인드 구조체(10) 및 전동 장치(20)가 모두 종래 기술에 속하므로, 더 이상 언급하지 않는다.
그 다음,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러치 전동 기구(100)는 두 개의 권선 장치(30)를 가지고 있으며, 상부 프레임(11)의 수용 공간(111) 내에 설치하며, 상부 프레임(11)의 두 측면의 구멍(112)에 각기 대응되게 한다. 각 권선 장치(30)는 각기 간격 조절부(31), 기울기 조절부(32) 및 클러치 장치(33)를 갖는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간격 조절부(31)는 간격 조절 디스크(311)와 간격 조절 당김줄(312)을 갖는다. 간격 조절 디스크(311)는 축 방향의 둥근 기둥이며, 간격 조절 디스크(311)의 내부에는 축의 말단까지 관통하는 비원형 축 구멍이 있어서, 전동 기구(20)의 전동 축(22)이 들어가도록 되어 있으며, 간격 조절 디스크(311)가 전동 축(22)과 연동되게 되어 있다. 간격 조절 디스크(311)의 외부에는 순서대로 머리부(311b), 머리부(311b)보다는 작은 몸체부(311c), 원추부(311d) 및 꼬리부(311e)가 있다. 그 중 원추부(311d) 상에는 몸체부(311c) 쪽으로 기울어진 원추면이 있으며, 그 위치는 상부 프레임(11)의 구멍(112)과 상하로 대응한다. 머리부(311b) 상에는 몸체부(311c)에 근접한 곳으로부터 머리부(311b)의 장축 방향으로 뻗어나간 홈(311f)이 있다. 도 3을 보면, 간격 조절 당김줄(312)의 한 쪽 단부는 간격 조절 디스크(311)의 한 고정점(311g) 상에 고정 연결되어 있고, 다른 쪽 단부는 상부 프레임(11)의 구멍(112)으로 나가서 한 조의 블라인드 살(12)의 구멍(122)을 통과한 후에 하부 프레임(123)에 고정된다.
기울기 조절부(32)는 기울기 조절 디스크(321)와 기울기 조절 당김줄(322)을 갖는다. 기울기 조절 디스크(321)의 외부에는 몸체부 단(321a)과 머리부 단(321b)이 있고, 몸체부 단(321a)상에는 키 홈(321c)이 있고, 머리부 단(321b)의 외경은 몸체부 단(321a)의 외경보다 크다. 기울기 조절 디스크(321)의 내부에는 축 방향의 구멍(321d)이 있으며, 간격 조절 디스크(311) 몸체부(311c)의 외부를 덮도록 설치되며, 몸체부 단(321a)으로부터 간격 조절 디스크(311)의 머리부(311b)와 서로 마주본다. 기울기 조절 당김줄(322)의 한 쪽 단부는 기울기 조절 디스크(321) 상에 고정 연결되고, 다른 쪽 단부는 상부 프레임(11)의 구멍(112)으로 나가서 한 조의 블라인드 살(12)의 각 블라인드 살(121)과 하부 프레임(123)에 고정된다.
클러치 장치(33)는 지지대(331), 스프링(332), 덧판(333), 키(334) 및 고정구(335)를 갖는다. 지지대(331)는 상부 프레임(11)의 수용 공간(111) 내에 고정 설치되며 그 상반되는 양 끝단은 각기 안으로 일정한 거리만큼 뻗어나가서 관통 구멍(331a) 및 카운터 보어(331b)를 갖는다. 구멍(331a)의 내경은 대략 간격 조절부(31)의 간격 조절 디스크(311)의 외경보다 작으며, 카운터 보어(331b)의 내경은 간격 조절 디스크(311)의 머리부(311b)의 외경과 같거나 약간 커서, 머리부(311b)가 카운터 보어(331b) 속으로 들어갈 수 있게 되며, 간격 조절 디스크(311)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스프링(332)은 간격 조절부(31)의 간격 조절 디스크(311)의 홈(311f) 내에 설치하며, 그 한 쪽 단부가 홈(311f)의 저면에 닿게 한다. 덧판(333)은 지지대(331)가 형성한 카운터 보어(331b)의 단부 면을 덮어 고정하는데, 반원형의 개구(333a)를 가지고 있으며, 반원형 개구(333a)의 양쪽 측단으로부터 각기 동시에 아래 방향 및 카운터 보어(331b) 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면(333b)(333c)을 형성한다. 키(334)는 단일체 부품이며, 간격 조절 디스크(311)의 홈(311f) 안에 끼워 넣으며, 그 한쪽 단부는 스프링(332)의 다른 쪽 단부와 맞닿아, 키(334)가 스프링(332)의 탄력이 미는 힘을 받게 하며, 기울기 조절 디스크(321)의 키 홈(321c) 안에 일부분을 끼워 넣음으로써, 키(334)의 연결이 간격 조절 디스크(311)와 기울기 조절 디스크(321) 간에 함께 작동하는 상태를 형성하게 한다. 고정구(335)는 지지대(331) 상에 고정하며, 기울기 조절 디스크(321)가 고정구(335)의 보호를 받도록 하고, 간격 조절 디스크(311)상에서 탈락되지 않도록 해준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클러치 전동 기구(100)의 각 부분 및 그 구성 방식을 상술하였다. 그 작동 방식에 대해서는 이하에 도 5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간격 조절시 블라인드 살을 걷어내고자 할 때에:
전동 장치(20)의 발신기(23)가 모든 신호를 모아서 수신기(24)로 하여금 이 신호들을 접수하게 하여 동력 모터(21)에 전달하고, 동력 모터(21)가 전지로부터 제공받은 전력을 통해서 회전을 시작한다. 동시에 전동 축(22)이 회전하여, 간격 조절부(31)의 간격 조절 디스크(311)의 축 구멍(311a)과 전동 축(22) 사이에 비원형의 밀접한 어울림을 보이기 때문에, 간격 조절 디스크(311)가 동시에 전동 축(22)의 움직임을 받아 회전하게 되며, 고정 연결시킨 간격 조절 당김줄(312)이 감길 때에, 먼저 원추부(311d)의 원추면 상에 먼저 감기고, 다음에 점점 가지런하게 꼬리부(311e) 상에까지 감긴다(도 5 및 도 6 참조). 간격 조절 당김줄(312)이 감기면 하부 프레임(123)이 들려 올라가고 동시에 하부 프레임(123)으로부터 각 블라인드 살(121)이 순서대로 모아지며, 블라인드 살(121)의 높이 위치 조절 효과를 조절할 수 있다.
이 때에, 간격 조절 디스크(311)와 기울기 조절 디스크(321) 간에 클러치 장치(33)의 키(334)가 연결되어 연동 상태를 형성함으로써 간격 조절 디스크(311)가 작동을 시작하려고 할 때에, 기울기 조절 디스크(321)를 연동시켜 작동시키고(도 7 내지 도 11 참조), 기울기 조절 당김줄(322)로 하여금 상하 이동을 하게 하며, 각 고정 연결된 블라인드 살(121)의 기울기 각도에 변화를 일으킨다. 그리고 기울기 조절 디스크(321)가 움직임을 받아 소정의 위치(즉, 키(334)와 덧판(333)의 경사면(333b)이 접촉)에까지 이를 때(도 8 내지 도 12 참조), 키(334)가 덧판(333)의 경사면(333b)과 접촉하고, 경사면(333b)을 따라서 점점 지지대(331)의 카운터 보어(331b) 안으로 이동하며(도 9 참조), 스프링(332)을 눌러서 압축시킴으로써, 키(334)가 경사면(333b)으로부터 제한을 받게 되며, 기울기 조절 디스크(321)의 키 홈(321c)으로부터 탈출하여(도 10 참조), 기울기 조절 디스크(321)와 간격 조절 디스크(311)가 분리되어 연동하지 않는 상태로 되게 한다. 따라서 상기 기울기 조절 디스크(321)는 상기 위치까지 회전한 다음, 더 이상 상기 간격 조절 디스크(311)의 연동을 받지 않고 상기 위치에 정지하며, 상기 각 블라인드 살(121)로 하여금 일정한 각도로 회전한 다음 기울기 각도가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간격 조절 디스크(311)는 계속해서 상기 전동축(22)의 연동을 받아 회전하며 상기 간격 조절 당김줄(312)을 계속 감아 올려 블라인드 살을 모아들이는 효과를 거둔다.
한편, 간격 조절시 블라인드 살을 내리고자 할 때의 작동 방식은 다음과 같다.
우선, 발신기(23)가 블라인드를 내리라는 신호를 보내고, 수신기(24)는 받은 신호를 동력 모터(21)에 전달하여, 동력 모터(21)로 하여금 회전하게 한다(블라인드 살을 올릴 때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 동시에 전동 축(22) 및 간격 조절 디스크(311)에 움직임을 전달하여 회전하도록 하며, 간격 조절 디스크(311)가 회전함으로써, 간격 조절 당김줄(312)이 간격 조절 디스크(311)상에서 점차로 느슨해져서, 하부 프레임(123) 및 각 블라인드 살(121)이 움직임을 받아 아래로 이동하게 하며, 블라인드가 내려지는 상태를 만든다. 간격 조절 디스크(311)가 회전하기 시작할 때에, 기울기 조절 디스크는 덧판(333)의 경사면(333b)의 작용을 여전히 받아 간격 조절 디스크(311)와 분리되어 회전 운동을 받지 못한다. 그러나 간격 조절 디스크(311) 상의 키(334)가 회전하여 기울기 조절 디스크(321)의 키 홈(321c) 부근에 닿았을 때에, 스프링(332) 탄력 작용을 받게 되며, 키 홈(321c) 안에 들어가게 되어, 기울기 조절 디스크(321)와 간격 조절 디스크(311)간에 키(334)를 통해 연결되어 연동 상태가 된다. 이 때에 기울기 조절 디스크(321)는 동시에 간격 조절 디스크(311)와 함께 회전하며, 상기 하부 프레임(123) 및 상기 각 블라인드 살(121)을 연동시켜 기울기 각도의 변화를 일으키며, 키(334)가 회전하여 다른 쪽 경사면(333)에 이르렀을 때에 다시 상기 경사면(333)의 저항을 받아 상기 기울기 조절 디스크(321)와 분리됨으로써(도 13에서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기울기 조절 디스크(321)로 하여금 다시 상기 간격 조절 디스크(311)의 연동을 받지 않고 상기 위치에 정지하도록 하며, 상기 각 블라인드 살(121)로 하여금 일정한 각도로 회전한 다음 기울기 각도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간격 조절 디스크(311)는 계속해서 상기 전동축(22)의 연동을 받아 회전하며, 계속해서 간격 조절 당김줄(3112)을 느슨하게 하여 블라인드 살(121)을 내리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기울기를 조절할 때에, 블라인드 살의 기울기 각도를 조절하는 방식을 소개하면 아래와 같다.
우선, 발신기(23)로 블라인드 살(121)의 기울기 각도를 조절하라는 신호를 내보내면, 수신기(24)가 수신하여 동력 모터(21)에 전달하여 동력 모터(21)가 회전하게 한다. 이 때에 상기 간격 조절 디스크(311)는 상기 전동 축(22)의 연동을 받아 회전하며 상기 키(334)가 상기 간격 조절 디스크(311) 및 상기 기울기 조절 디스크(321)에 동시에 연결되는 위치까지 회전한다. 동시에 기울기 조절 디스크(321)의 회전을 일으키며, 기울기 조절 당김줄(322)이 느슨해지게 하여 각 블라인드 살(121)의 기울기 각도를 조절하게 한다. 블라인드 살(121)의 기울기 각도는 너무 클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기 기울기 조절 디스크(321)를 설계할 때에, 회전 각도의 범위도 과도하게 넓힐 필요가 없다. 본 고안에서 상기 기울기 조절 디스크(321)가 상기 간격 조절 디스크(311)에 의하여 동시 회전하는 범위는 상기 지지대(331)의 주변에서 덧판(333)이 설치되지 않은 각도(대개 180도)에 한정된다; 블라인드 살(121)이 적절한 각도로 기울어진 다음에는 상기 동력 모터(21)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으며, 블라인드 살(121)의 기울기 각도를 조정하는 효과를 거둔다.(상술한 작업 시, 상기 간격 조절 디스크(311)가 회전으로 인해 미세한 폭으로 하부 프레임(11)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는데, 그 높이는 극히 작으므로 조작의 신뢰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한편, 다시 도 1 및 도 14 내지 도 17을 보면, 본 발명은 전동 기구(20)의 전동 축(22)의 중간 위치에 설치한 감지부(40)를 가지고 있다(도 1 및 도 14 참조). 감지부(40)는 창문의 블라인드 살(121)이 한계 위치에까지 상승 또는 하강할 때에 전동 장치(20)의 동력 모터(21)가 작동을 멈추게 한다. 감지부(40)는 고정판(41), 고정대(42), 롤러(43) 및 두 개의 리미트 스위치(44)(45)를 갖는다.
도 14를 보면, 고정판(41)은 상부 프레임(11)의 수용 공간(111)의 측벽 상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대(42)도 수용 공간(111)에 고정되어 있으며, 가운데에는 암나사부(421)를 형성하여 뚫려있다. 롤러(43)는 전동 축(22)과 연결되어 전동 축(22)의 연동을 받으며, 외부에는 수나사부(431)를 형성하고, 고정대(42)의 암나사부(421)와 맞물려서, 전동 축(22)이 동력을 전달할 때에 롤러(43)가 동시에 고정대(42)와 상대 회전하고 축 방향으로 위치 이동을 하게되어, 롤러(43)로 하여금 두 개의 리미트 스위치(44)(45)의 사이에 위치하게 하고(도 14 및 도 15 참조), 각 리미트 스위치(44)(45)가 동력 모터(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블라인드 살(121)이 한계 위치에까지 상승할 때에 롤러(43)가 직선 상으로 이동하여 하나의 리미트 스위치(44)와 접촉한다(도 16 참조). 블라인드 살(121)이 한계 위치까지 하강할 때에 롤러(43)는 다른 쪽 리미트 스위치(45)와 접촉 중이어서(도 17 참조) 각 리미트 스위치(44)(45)로 하여금 각기 접촉 신호를 얻은 후에 바로 동력 모터(21)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의 클러치 전동 기구(200)를 나타낸다. 도면에는 전동 기구(200) 외에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것과 동일한 블라인드 구조체(10), 전동 장치(20) 및 감지 장치(40)를 나타내었다(도 18 참조). 전동 기구(200)는 마찬가지로 두 개의 권선 장치(50)를 가지며, 각 권선 장치(50)는 각기 간격 조절부(51), 기울기 조절부(52) 및 클러치 장치(53)를 가진다. 그러나 상술한 실시예와 주요한 차이점은 아래와 같다.
도 19 내지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간격 조절부(51)의 간격 조절 디스크(511)의 외측 표면 상에는 수나사부(511a)와 장축의 방향으로 난 홈(511b)이 있다. 기울기 조절부(52)의 몸체부 단(521a) 상에는 키 홈(521b)이 형성되어 있다.
클러치 조절부(53)는 지지대(531), 스프링(532), 와셔(533), 덧판(534), 키(535) 및 고정구(536)를 갖는다. 지지대(531)는 마찬가지로 구멍(531a)과 카운터 보어(531b)를 갖는다. 그리고 구멍(531a)의 내벽 면에는 암나사부(531c)가 있다. 암나사부(531c)를 간격 조절 디스크(511)의 수나사부(511a)에 맞게 끼운다. 스프링(532)은 간격 조절부(51)의 간격 조절 디스크(511)상에 끼우고, 지지대(531)의 카운터 보어(531b) 안에 설치하여, 그 한쪽 단부가 카운터 보어(531b)와 구멍(531a)의 사이의 벽면 상에 닿게 하고, 한 쪽 단부가 스프링(532)의 다른 쪽 단부와 맞닿게 한다. 덧판(534)은 지지대(531)에 고정되게 체결되어 있고 개구(534a) 및 경사면(534b, 534c)을 가지며, 와셔(533)의 타단에 기대고 있어서, 스프링(532)과 와셔(533)가 지지대(531)의 카운터 보어(531b) 내에서 제한을 받게 된다. 키(535)는 "L"자 모양의 금속이며 간격 조절 디스크(511)의 홈(511b) 내에 끼워넣는 것이다. 기울기 조절부(52)의 기울기 조절 디스크(521)와 축 방향으로 관통한 원형 구멍을 간격 조절 디스크(511) 상에 끼우고, 키(535)로 하여금 키 홈(521b) 내에 일부분 끼워져 들어가게 하고, 다른 일부분은 기다란 홈(511b) 안에 끼워져 들어가게 하여서, 간격 조절 디스크(511)와 기울기 조절 디스크(521)가 키(535)의 연결에 의해 함께 작동하는 상태를 형성하게 한다. 고정구(536)는 지지대(531) 상에 설치하며, 기울기 조절 디스크(521)는 고정구(536)의 제한을 받아 간격 조절 디스크(511)로부터 탈락되지 않게 한다.
키(535)에 의해 간격 조절 디스크(511)와 기울기 조절 디스크(521)가 연결되어 함께 작동하는 상태가 되게 하며, 키(535)와 덧판(534)의 경사면(534b)(634c) 간의 작용이 간격 조절 디스크(511)와 기울기 조절 디스크(521) 간에 분리되어 함께 작동하지 않는 상태가 되게 하고,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되어, 단일한 동력원으로 블라인드의 간격 및 기울기를 조절하는 이중의 효과를 달성한다. 그리고 간격 조절 디스크(511)와 지지대(531)는 나선으로 맞물려서, 간격 조절 디스크(511)는 순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23 내지 도 29에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제공된 전동 블라인드의 클러치 전동 기구(300)를 도시하였다. 도면에는 전동 기구(300) 외에도 블라인드 구조체(10), 전동 장치(20) 및 감지부(40)를 나타내었다(도 23 참조). 전동 기구(300)는 마찬가지로 두 개의 권선 장치(60)를 가지고 있다. 권선 장치(60)는 각기 간격 조절부(61), 기울기 조절부(62) 및 클러치 장치(63)를 갖고 있다. 간격 조절부(61)는 마찬가지로 간격 조절 디스크(611)와 간격 조절 당김줄(612)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제 1 실시예와의 주요한 차이점은 아래와 같다.
도 24 내지 도 26을 보면, 간격 조절 디스크(611)는 축 방향의 기둥체(613)와 권선 디스크(614) 및 키(615)로 구성되어 있다. 기둥체(613)의 내부는 단부면을 향해 통하는 양 축과 전동 장치(20)의 전동 축(22) 단면과 형상이 비슷한(비원형 단면의) 축 구멍(613a)이 형성되어 있어서, 전동 장치(20)의 전동 축(22)이 삽입 연결되어 연동 상태를 나타내게 하며, 기둥체(613)의 외부에는 순서대로 결합부(613b), 덧판(613c), 결합부(613d)가 있다. 덧판(613c)은 결합부(613b)와 결합부(613d)의 사이에 튀어나오게 설치되어 있으며, 결합부(613d) 상에는 소정 형태의 키 홈(613e)이 형성되어 있다. 키(615)는 키 홈(613e) 내에 설치되며, 그 일부분은 키 홈(613e)의 밖으로 돌출되어 있다. 권선 디스크(614)의 내부는 두 가지 상반된 방향의 축의 단부가 내부 방향으로 뻗어나가서 서로 통하는 제1 내측 구멍(614a) 및 제2 내측 구멍(614b)을 형성한다. 제1 내측 구멍(614a)의 직경은 기둥체(613) 결합부(613d)의 외경과 대략 동일하다. 제2 내측 구멍(614b)의 직경은 결합부(613d)의 외경보다 크다. 제2 내측 구멍(614b)의 내측 벽면 상에는 돌출부(614c)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1 내측 구멍(614a)에 의해 기둥체(314) 결합부(613d) 상에 설치할 수 있으며, 제2 내측 구멍(614b)과 결합부(613d)가 접촉되지 않도록 하고, 돌출부(614c)가 들어갈 수 있는 틈을 형성하며, 기둥체(613)와 권선 디스크(614)간에 키(615)와 둘출부(614c)가 서로 맞닿아 연동 상태가 되며, 권선 디스크(614)의 외부 한 측면에는 원추면(614d)을 형성한다. 간격 조절 당김줄(612)은 그 쪽 단부가 권선 디스크(614)의 한 곳에 고정 연결되어, 권선 디스크(614)가 간격 조절 당김줄(612)을 감을 때에, 원추면(614d)의 작용을 통하여 간격 조절 당김줄(612)이 가지런히 그 위에 감기게 된다.
기울기 조절부(62)는 기울기 조절 디스크(621)와 기울기 조절 당김줄(622)을 갖는다. 기울기 조절 디스크(621)의 외부 한쪽 단부면 상에는 돌출부(621a)가 있으며, 그 내부에는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3 내측 구멍(621b)이 있어서 기둥체(613)의 결합부(613b)와 맞물린다.
클러치 장치(63)는 지지대(631), 스프링(632) 및 고정구(633)를 갖는다. 지지대(631)의 양쪽 단면은 각기 안 쪽을 향해 뻗어 형성된 구멍이 있는데 그 구멍의 반경은 구멍(631a) 및 카운터 보어(631b)가 서로 상이하다. 지지대(631)는 카운터 보어(631b)의 양측 단부면 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다시 각기 한쪽 쇼울더(631c)(631d)에 형성되어 있어서, 기울기 조절 디스크(621)의 돌출부(621a)가 쇼울더(631c)(631d)의 단부면 상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대(631)를 향하도록 한다. 스프링(632)은 지지대(631)의 카운터 보어(631b) 내에 위치하며, 한 쪽 단부는 카운터 보어(631b)와 구멍(631a) 사이의 벽면 상에 닿고, 또 다른 쪽 단부는 기울기 조절 디스크(621) 상에 닿아서, 기울기 조절 디스크(621)가 기둥체(613)의 덧판(613c)에 맞닿게 한다. 고정구(633)는 지지대(631)상에 설치되어 체결되며, 기울기 조절 디스크(621)가 고정구(633)의 제한을 받도록 하며, 간격 조절 디스크(611) 상에서 떨어지지 않게 한다.
또한, 스프링(632)에서 발생하는 탄력은 기울기 조절 디스크(621)가 만드는 추력(推力)에 대하여 기울기 조절 디스크(621)와 간격 조절 디스크(611)의 덧판(613c)사이로 하여금 그 마찰력을 통하여 밀접하게 연동되는 상태를 만든다. 기울기 조절 디스크(621)의 돌출부(621a)와 지지대(631) 쇼울더(631c)(631d) 사이에 서로 미는 작용을 통하여, 이 서로 미는 작용의 힘은 기울기 조절 디스크(621)와 간격 조절 디스크(611)의 덧판(613c) 간의 마찰력보다 크며, 기울기 조절 디스크(621)로 하여금 서로 맞닿는 위치에 멈추게 하고, 간격 조절 디스크(611)는 계속하여 회전할 수 있어서, 기울기 조절 디스크(621)와 간격 조절 디스크(611)가 분리되어 함께 작동하지 않는 상태를 형성하고, 상술한 실시예는 마찬가지로 단일한 동력원에서 나오는 동력으로써 블라인드 살의 간격 및 기울기를 조절하는 것을 달성한다.
다음에, 도 27 내지 도 29를 보면, 기둥체(613)가 전동 축(22)의 연동을 받아 회전을 시작하려는 때에 권선 디스크(614)의 돌출부(614c)가 키(615)와 맞닿지 않아서(도 27 참조), 기둥체(613)와 권선 디스크(614) 사이에 공전하는 상태를 만들고, 기둥체(613)가 권선 디스크(614)를 회전시킬 수 없게 된다. 기둥체(613) 상의 키(615)가 권선 디스크(614)의 돌출부(614c)에 닿으면(도 28 및 도 29 참조) 권선 디스크(614)는 키(615)와 돌출부(614c)가 작용·반작용을 함으로써 동력을 전달받아 연동 상태를 이룬다. 기둥체(613)와 권선 디스크(614) 사이에 공전기(空轉期)가 있다고 해도, 블라인드 살이 기울기를 조절하는 작동을 진행 중일 때에 권선 디스크(614)는 기둥체(613)로부터 움직임을 전달받아 블라인드 살 및 하부 프레임의 위치를 위 아래로 움직일 수 없으며, 블라인드 살이 기울기를 바꾸는 동시에 블라인드 살의 높이는 어떠한 영향을 받아서 변화하지 않음으로써 조작 시의 신뢰성이 더욱 높아진다.
첫째, 블라인드 살의 상승·하강 높이 및 블라인드 살의 기울기 각도, 이 두 가지를 모두 조절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블라인드 살을 상하로 간격 조절하는 간격 조절부나 블라인드 살의 기울기 각도를 조절하는 기울기 조절부의 조절이 클러치 장치의 분리 및 결합 효과를 받기 때문에, 간격 조절이나 기울기 조절이나 모두 동력원의 전동을 받으며, 전동에 의한 조절 효과를 가지며, 작동 기술에 익숙해야만 블라인드의 상하 조절 등 단순한 전동 조절을 할 수 있었던 결함이 사라졌다.
둘째, 동력의 근원이 단일하며, 기구가 비교적 작고 정교하다. 본 발명은 간격 조절 및 기울기 조절 중에 클러치 장치의 분리 및 결합 작용 요소를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단일한 동력원만으로도 두 개의 부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비용이 비교적 저렴하고 구조가 정교하여 블라인드 상부 프레임의 공간 체적 을 상당히 감소시킨다.
셋째, 기구가 손상되는 확률을 줄인다. 본 발명에는 감지부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각 블라인드 살이 한계 위치에까지 상승 및 하강하게 할 때에, 적절한 시기에 동력 모터가 즉각 작동을 멈추도록 하여 기구 내의 불필요한 소모 및 동력의 낭비를 감소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도.
도 4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도 1의 실시예에 따라 당김줄이 감기는 상태의 작동 도면.
도 7 내지 도 10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간격 조절부, 기울기 조절부 및 클러치 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1 내지 도 13은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간격 조절부, 기울기 조절부 및 클러치 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감지 장치의 확대 사시도.
도 15 내지 17은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감지 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20은 도 18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도.
도 21은 도 18의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22는 도 18의 실시예에 따라 당김줄이 감기는 상태의 작동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24는 도 23의 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25는 도 23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도.
도 26은 도 23의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27 내지 도 29는 도 20의 실시예에 따른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10 ; 블라인드 구조체
11 ; 상부 프레임 111 ; 수용 공간
112 ; 구멍 12 ; 한 조의 블라인드 살
121 ; 블라인드 살 122 ; 구멍
123 ; 하부 프레임
20 ; 구동 장치
21 ; 동력 모터 22 ; 전동 축
23 ; 발신기 24; 수신기
25 ; 전지
100 ; 전동(電動) 블라인드의 클러치 전동(傳動) 기구
30 ; 권선 장치
31 ; 간격 조절부 311 ; 간격 조절 디스크
311a ; 축 구멍 311b ; 머리부
311c ; 몸체부 311d ; 원추부
311e ; 꼬리부 311f ; 홈
311g ; 고정점
312 ; 간격 조절 당김줄
32 ; 기울기 조절부 321 ; 기울기 조절 디스크
321a ; 몸체부 단(段) 321b ; 머리부 단
321c ; 키 홈 321d ; 원형 구멍
322 ; 기울기 조절 당김줄
33 ; 클러치 장치 331 ; 지지대
331a ; 관통 구멍 331b ; 카운터 보어
332 ; 스프링 333 ; 덧판
333a ; 개구 333b, 333c ; 경사면
334; 키 335 ; 고정구
40 ; 감지 장치 41 ; 고정판
42 ; 고정대 421 ; 암나사부
43 ; 롤러 431 ; 수나사부
44, 45 ; 리미트 스위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10 ; 블라인드 구조체
20 ; 전동 장치
40 ; 감지 장치
200 ; 전동 블라인드의 클러치 전동 기구
50 ; 권선 장치
51 ; 간격 조절부 511 ; 간격 조절 디스크
511a; 수나사부 511b ; 홈
512 ; 간격 조절 당김줄
52 ; 기울기 조절부 521 ; 기울기 조절 디스크
521a ; 몸체부 단 521b; 키 홈
53; 클러치 장치 531 ; 지지대
531a ; 구멍 531b ; 카운터 보어
531c ; 암나사부 532 ; 스프링
533 ; 와셔 534; 덧판
534a ; 개구 534b, 534c ; 경사면
535 ; 키 536 ; 고정구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10 ; 블라인드 구조체
20 ; 전동 장치 22 ; 전동 축
40 ; 감지 장치
300 ; 전동 블라인드의 클러치 전동 기구
60 ; 권선 장치
61 ; 간격 조절부 611 ; 간격 조절 디스크
613 ; 기둥체 613a ; 축 구멍
613b ; 결합부 613c ; 덧판
613d; 결합부 613e ; 키 홈
614 ; 권선 디스크 614a ; 제1 내측 구멍
615b ; 제2 내측 구멍 612 ; 간격 조절 당김줄
62 ; 기울기 조절부 621 ; 기울기 조절 디스크
621a ; 돌출부 621b ; 제3 내측 구멍
622 ; 기울기 조절 당김줄 63 ; 클러치 장치
631 ; 지지대 631a ; 구멍
631b ; 카운터 보어 631c, 631d ; 쇼울더
632; 스프링 633; 고정구

Claims (24)

  1. 단일한 전동 장치로부터 동력을 받아 블라인드 살의 간격 및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블라인드의 클러치 전동(傳動) 기구로서,
    간격 조절부, 기울기 조절부, 클러치 장치를 포함하는 최소 1개의 권선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간격 조절부는 전동 장치와 연결된 간격 조절 디스크와, 상기 간격 조절 디스크 및 블라인드 살에 연결된 간격 조절 당김줄을 가지며, 상기 간격 조절 디스크로 하여금 상기 전동 장치로부터 동력을 받아 회전하게 하여, 상기 간격 조절 당김줄이 감기거나 풀리는 작동을 하게 되어, 상기 블라인드 살이 상승 및 하강하게 하며,
    상기 기울기 조절부는 기울기 조절 디스크 및 기울기 조절 당김줄을 가지며, 상기 기울기 조절 디스크는 클러치 장치에 의해 상기 간격 조절 디스크와 함께 작동하도록 하며, 상기 기울기 조절 당김줄은 상기 기울기 조절 디스크와 블라인드 살의 사이를 연결해 주고 상기 간격 조절 디스크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기울기 조절 디스크를 회전시켜 상기 블라인드 살의 기울기 각도를 조정하며,
    상기 클러치 장치는 소정의 위치에서 상기 간격 조절 디스크 및 상기 기울기 조절 디스크가 함께 작동하지 않도록 하는
    클러치 전동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 살이 한계 위치에까지 상승 또는 하강 할 때에 상기 전동 장치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감지부를 더 갖고 있는 클러치 전동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고정판, 고정대, 롤러 및 리미트 스위치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고정대의 내부는 암나사부를 이루고 있고, 상기 롤러는 상기 전동 장치와 연결되어 함께 움직이며 외부에는 수나사부를 형성하여서 상기 고정대의 암나사부와 맞물려서, 상기 고정대의 축 방향 선상 위치에서 상대 이동하게 하며, 상기 리미트 스위치가 각기 상기 고정판의 2개의 측면 위치에 설치되어서 상기 롤러가 상기 리미트 스위치 사이에 있을 때에 각 리미트 스위치는 상기 전동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블라인드 살이 한계 위치에까지 상승할 때에 상기 롤러는 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하나의 리미트 스위치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전동 장치가 작동을 정지하는 한편, 상기 블라인드 살이 한계 위치에까지 하강할 때에 상기 롤러는 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다른 리미트 스위치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전동 장치가 작동을 정지하는 클러치 전동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절 디스크는 기둥체를 이루며, 상기 간격 조절 디스크의 내부에는 축의 반대되는 양 단면을 향해 뚫린 비원형 축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전동 장치와 연결되어 연동하게 되는 클러치 전동 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절 디스크는 원추면과 꼬리부를 가지며, 상기 간격 조절 당김줄이 상기 간격 조절 디스크 상에 감길 때에 먼저 상기 원추면 상에 감긴 후에 점차로 가지런히 상기 꼬리부에 감김으써 상기 간격 조절 당김줄이 감길 때에 가지런하게 잘 감기게 되는 클러치 전동 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장치가 지지대를 가지며, 상기 지지대는 한쪽 단부에서 안쪽으로 뻗은 카운터 보어가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절 디스크가 그 안으로 들어가서 상기 간격 조절 디스크의 위치가 한정되는 클러치 전동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 조절 디스크는 내부에 원형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간격 조절 디스크의 외측에 설치할 수도 있으며, 상기 클러치 장치는 고정구를 더 갖고 있고 상기 지지대 상에 고정 설치하여, 상기 기울기 조절 디스크가 상기 고정구의 제한을 받아 상기 간격 조절 디스크로부터 탈락하지 않게 되는 클러치 전동 기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절 디스크는 홈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지지대의 카운터 보어 내에 위치하며, 상기 기울기 조절 디스크 상에 키 홈을 형성하며, 상기 클러치 장치는 스프링 및 키를 더 갖고 있으며, 상기 스프링은 상기 간격 조절 디스크의 홈 안에 위치하며 그 한쪽 단부는 홈의 저부에 닿게 하고 상기 키는 상기 간격 조절 디스크의 키 홈 내에 위치되며, 그 다른 쪽 단부와 상기 용수철의 다른 쪽 단부가 맞닿게 하여 상기 키가 상기 스프링의 탄력의 작용을 받게 하며, 그 일부분이 상기 기울기 조절 디스크의 키 홈 내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간격 조절 디스크 및 상기 기울기 조절 디스크가 상기 키를 통한 연결로 인해서 함께 움직일 수 있는 클러치 전동 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장치는 상기 지지대가 형성한 카운터 보어의 단면 상을 덮어 체결하는 덧판을 가지고 있고, 반원형의 개구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반원형 개구의 양 단부면으로부터 각기 아래 방향 또는 상기 카운터 보어 쪽 방향으로 경사면을 형성하고, 소정의 위치에서 상기 키와 상기 경사면이 맞닿을 때에 상기 경사면의 제한을 받아 상기 기울기 조절 디스크와의 사이가 분리되어, 상기 기울기 조절 디스크와 상기 간격 조절 디스크가 함께 작동하지 않는 상태가 되는 클러치 전동 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위치는 상기 키와 상기 덧판의 경사면이 서로 맞닿을 때의 위치인 클러치 전동 기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절 디스크의 외측 표면 상에 수나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클러치 장치는 지지대를 더 가지며, 상기 지지대의 내부에는 구멍이 있고, 상기 구멍의 내측 벽면에는 암나사부를 형성하여서, 상기 암나사부와 상기 간격 조절 디스크의 수나사부가 서로 맞물리며, 상기 간격 조절 디스크와 동시에 상기 지지대가 순방향으로 회전하고 축 방향으로 선상 이동을 하게 하며, 상기 간격 조절 당김줄이 상기 수나사부의 나선 사이에 가지런히 감기는 클러치 전동 기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절 디스크는 홈을 더 가지고 있고, 기울기 조절 디스크 상에는 키 홈이 있으며, 상기 기울기 조절 디스크에는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원형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클러치 장치는 키를 더 가지고 있으며, 상기 키는 상기 간격 조절 디스크의 홈 및 상기 기울기 조절 디스크의 키 홈 내에 위치하며, 상기 간격 조절 디스크와 상기 기울기 조절 디스크가 키의 연결에 의해 함께 작동하게 되는 클러치 전동 기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구멍과 연결된 카운터 보어를 다시 형성하며, 상기 클러치 장치는 스프링 및 덧판을 갖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간격 조절부의 간격 조절 디스크 상에 끼워지고 상기 지지대의 카운터 보어 내에 설치되어 그 한쪽 단부가 상기 상기 카운터 보어와 상기 구멍 사이의 벽면 상에 닿게 하며, 상기 덧판의 다른 한 쪽 단부는 상기 키에 맞닿게 하여 상기 스프링의 탄력을 통하여 상기 덧판이 상기 키를 가압하게 되며, 상기 키가 압력을 받아 그 일부분이 상기 간격 조절 디스크의 홈에 들어가게 되고, 다른 일부분은 상기 기울기 조절 디스크의 키 홈 내로 들어가게 되는 클러치 전동 기구.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장치가 덧판을 더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덧판은 상기 지지대 상에서 두 개의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키가 회전하여 상기 경사면과 접촉하였을 때에 상기 기울기 조절 디스크의 키 홈으로부터 나와서, 상기 간격 조절 디스크와 상기 기울기 조절 디스크 간에 상기 키의 연결을 다시는 받지 못하도록 하며, 분리되어 함께 작동하지 않도록 하는 클러치 전동 기구.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절 디스크는 기둥체, 권선 디스크 및 결합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둥체는 상기 전동 장치와 연결되어서 작동 상태를 이루며, 상기 기둥체 외부 상에는 키 홈을 갖고, 상기 키는 상기 키 홈 내에 위치되며, 그 일부분은 키 홈 밖으로 돌출되고, 상기 권선 디스크의 내부에는 제1 내측 구멍과 제2 내측 구멍이 있으며, 그 직경은 제1 내측 구멍이 제2 내측 구멍보다 크며, 상기 제2 내측 구멍의 내벽 상에는 돌출부가 있고, 상기 제1 내측 구멍은 상기 기둥체 상에 위치되고, 상기 제2 내측 구멍은 상기 카운터 보어의 위치에 대응되게 하며, 상기 돌출부와 상기 키가 서로 맞닿았을 때에 상기 기둥체와 상기 권선 디스크가 함께 작동하게 되는 클러치 전동 기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체에는 단면이 비원형인 축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전동 장치와의 사이에서 연결되어 연동 상태를 이룰 수 있는 클러치 전동 기구.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권선 디스크의 제2 내측 구멍과 상기 기둥체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며, 상기 틈새로 인하여 상기 권선 디스크의 돌출부와 상기 기둥체 상의 키가 접촉하지 않고 공전하게 될 때 상기 기둥체와 상기 권선 디스크는 연동하지 않는 클러치 전동 기구.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권선 디스크의 외부 한 쪽에 원추면이 형성되어서, 상기 간격 조절 당김줄이 상기 원추면의 작용을 받아서 상기 권선 디스크 상에 가지런히 감기게 되는 클러치 전동 기구.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체의 외부에는 결합부가 있으며, 상기 권선 디스크의 제1 내측 구멍의 내경은 상기 결합부의 외경과 대략 같아서 상기 결합부 상에 맞춰 끼울 때에, 상기 권선 디스크가 밀접한 연동의 상태로 되는 클러치 전동 기구.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체의 외부에는 끼워맞추는 부품과 덧입히는 부품이 있으며, 상기 덧입히는 부품은 상기 끼워맞추는 부품과 상기 결합하는 부품 사이에 돌출되게 위치하고, 상기 기울기 조절 디스크의 내부에는 제3 내측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기둥체에 끼워맞추는 부품이외에도 상기 기울기 조절 디스크로 하여금 상기 덧입히는 부품과의 사이에서 접촉하고 마찰력을 발생시키게 되는 클러치 전동 기구.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장치는 지지대, 스프링, 고정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의 양 단부면에는 각기 내부 방향으로 뻗어 형성된 구멍이 있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지지대의 카운터 보어 내에 위치하며, 그 한 쪽 단부는 상기 카운터 보어와 상기 구멍 사이의 벽면 상에 닿고, 또 다른 쪽 단부는 상기 기울기 조절 디스크 상에 닿으며, 상기 기울기 조절 디스크가 상기 기둥체의 덧판 아래와 연결되게 하며, 상기 스프링의 탄력으로 인하여 상기 기울기 조절 디스크에 대해 추력이 생겨서, 상기 기울기 조절 디스크와 상기 간격 조절 디스크의 덧판 사이에 그 마찰력으로 인해 밀접한 연동의 상태가 형성되는 클러치 전동 기구.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장치는 고정구를 더 가지고 있으며, 상기 고정구는 상기 지지대 상에 위치되며, 상기 기울기 조절 디스크는 상기 구정구의 제한을 받아서 상기 기울기 조절 디스크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클러치 전동 기구.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 조절 디스크의 한쪽 단부면 상에 돌출부가 있으며, 상기 지지대에는 카운터 보어가 있고 상기 카운터 보어 단부면의 두 개의 측면 상에는 각기 쇼울더를 형성하고 있어서, 상기 기울기 조절 디스크의 돌출부가 상기 지지대가 형성한 쇼울더의 단부면을 향하게 되면, 상기 기울기 조절 디스크 상의 돌출부와 상기 지지대의 쇼울더 사이에 작용력이 생겨셔, 상기 기울기 조절 디스크가 상기 작용력이 발생하는 위치에 가서 멈추게 하며, 상기 기울기 조절 디스크와 상기 간격 조절 디스크가 분리되어 함께 작동하지 않게 되는 클러치 전동 기구.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와 상기 지지대의 반작용력은 상기 기울기 조절 디스크와 상기 간격 조절 디스크의 덧씌우는 부품 사이의 마찰력보다 큰 클러치 전동 기구.
KR10-2002-0034678A 2002-06-20 2002-06-20 블라인드의 클러치 전동 기구 KR100517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4678A KR100517274B1 (ko) 2002-06-20 2002-06-20 블라인드의 클러치 전동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4678A KR100517274B1 (ko) 2002-06-20 2002-06-20 블라인드의 클러치 전동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7351A KR20030097351A (ko) 2003-12-31
KR100517274B1 true KR100517274B1 (ko) 2005-09-27

Family

ID=43674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4678A KR100517274B1 (ko) 2002-06-20 2002-06-20 블라인드의 클러치 전동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727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119B1 (ko) 2007-08-31 2011-03-07 류이치 타카노 블라인드
WO2012087019A2 (ko) * 2010-12-23 2012-06-28 (주)테라솔라 2축 추미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한 차양장치
KR101377261B1 (ko) 2010-12-23 2014-03-21 정태락 2축 추미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한 차양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1334A (ko) * 2004-02-13 2005-08-19 김학순 브라인드 장치 및 그 회전장치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06726A (en) * 1985-01-10 1987-11-17 V. Kann Rasmussen Industri A/S Electric control of venetian blind
JPH01182491A (ja) * 1988-01-18 1989-07-20 Okamura Corp 電動式横型ブラインド
US4856574A (en) * 1986-12-29 1989-08-15 Sharp Kabushiki Kaisha Electric blind apparatus
JPH0493484A (ja) * 1990-08-09 1992-03-26 Sharp Corp 電動ブラインドの制御装置
KR950014570A (ko) * 1993-11-02 1995-06-16 전성원 밧데리 전압변화에 따른 인젝터의 연료분사량 보상방법.
KR20000065915A (ko) * 1999-04-10 2000-11-15 김조천 태양광 적응형 블라인더장치
KR20030025109A (ko) * 2001-09-19 2003-03-28 이성규 버티컬 블라인드 장치
KR20030081644A (ko) * 2002-04-12 2003-10-22 송명호 전동 블라인드
KR20030081645A (ko) * 2002-04-12 2003-10-22 송명호 전동 블라인드의 각도 조절장치
KR20030096789A (ko) * 2002-06-17 2003-12-31 니엔 메이드 엔터프라이즈 코오퍼레이션 전자식 클러치 제어 전동 블라인드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06726A (en) * 1985-01-10 1987-11-17 V. Kann Rasmussen Industri A/S Electric control of venetian blind
US4856574A (en) * 1986-12-29 1989-08-15 Sharp Kabushiki Kaisha Electric blind apparatus
JPH01182491A (ja) * 1988-01-18 1989-07-20 Okamura Corp 電動式横型ブラインド
JPH0493484A (ja) * 1990-08-09 1992-03-26 Sharp Corp 電動ブラインドの制御装置
KR950014570A (ko) * 1993-11-02 1995-06-16 전성원 밧데리 전압변화에 따른 인젝터의 연료분사량 보상방법.
KR20000065915A (ko) * 1999-04-10 2000-11-15 김조천 태양광 적응형 블라인더장치
KR20030025109A (ko) * 2001-09-19 2003-03-28 이성규 버티컬 블라인드 장치
KR20030081644A (ko) * 2002-04-12 2003-10-22 송명호 전동 블라인드
KR20030081645A (ko) * 2002-04-12 2003-10-22 송명호 전동 블라인드의 각도 조절장치
KR20030096789A (ko) * 2002-06-17 2003-12-31 니엔 메이드 엔터프라이즈 코오퍼레이션 전자식 클러치 제어 전동 블라인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119B1 (ko) 2007-08-31 2011-03-07 류이치 타카노 블라인드
WO2012087019A2 (ko) * 2010-12-23 2012-06-28 (주)테라솔라 2축 추미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한 차양장치
WO2012087019A3 (ko) * 2010-12-23 2012-10-04 (주)테라솔라 2축 추미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한 차양장치
KR101377261B1 (ko) 2010-12-23 2014-03-21 정태락 2축 추미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한 차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7351A (ko) 2003-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85540C (en) Screw transmission mechanism for a blind
US6655441B2 (en) Friction transmission mechanism for a motor-driven blind
US20040194897A1 (en) Friction transmission mechanism for a motor-driven blind
US20200080372A1 (en) Blind capable of stepless positioning
US806989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a roller shutter door
US20030168186A1 (en) Plug-in transmission mechanism for a motor-driven blind
MXPA03010021A (es) Sistema de control y motorizacion.
KR100517274B1 (ko) 블라인드의 클러치 전동 기구
JP3861034B2 (ja) ブラインドのクラッチ伝動構造
KR100512800B1 (ko) 전자식 클러치 제어 전동 블라인드
KR200397916Y1 (ko) 커튼 승 하강 구동장치
CN113865226B (zh) 安装底脚以及具有其的冰箱
KR20020033675A (ko) 기어 조합체가 구비된 도어록
JP7042669B2 (ja) 遮蔽装置
KR200320712Y1 (ko) 팬틸트카메라
EP1388636A1 (en) Transmission mechanism for a motor-driven blind
KR20200144852A (ko) 스태킹 도어
KR100910157B1 (ko) 창문 자동 개폐장치용 랙의 높이조절장치
KR101830529B1 (ko) 제연 창문 개폐시스템
KR200331770Y1 (ko) 전동식 갤러리 창호
KR101776205B1 (ko) 블라인드의 쉐이드 구동 장치
JP3090885U (ja) 電動ブラインドのクラッチ伝動構造
JP3090838U (ja) 電磁式クラッチ装置で制御する電動カーテン
JP3711342B2 (ja) 電磁式クラッチ装置で制御する電動カーテン
AU783387B2 (en) Plug-in transmission mechanism for a bli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