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0529B1 - 제연 창문 개폐시스템 - Google Patents

제연 창문 개폐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0529B1
KR101830529B1 KR1020160127267A KR20160127267A KR101830529B1 KR 101830529 B1 KR101830529 B1 KR 101830529B1 KR 1020160127267 A KR1020160127267 A KR 1020160127267A KR 20160127267 A KR20160127267 A KR 20160127267A KR 101830529 B1 KR101830529 B1 KR 101830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wire
groove drum
opening
electric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7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노
재복 강
Original Assignee
최병노
재복 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노, 재복 강 filed Critical 최병노
Priority to KR1020160127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05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0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0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02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controlled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 E05F1/006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controlled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by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0Electronic control of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finger injur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smoke or ga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연 창문 개폐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이를 위하여 두 개의 마이크로 스위치가 장착된 피동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피동기어와 맞물려 회전되는 구동기어가 그루브 드럼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그루브 드럼에 감겨있는 와이어의 일단부는 창문에 연결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화재 발생시 자동으로 창문이 폐쇄될 뿐만 아니라 평상시에 수동으로 창문개발시 모터구동으로 손쉽게 창문을 개방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제연 창문 개폐시스템 {windows opening and closing system}
본 발명은 제연 창문 개폐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두 개의 마이크로 스위치가 장착된 피동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피동기어와 맞물려 회전되는 구동기어가 그루브 드럼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그루브 드럼에 감겨있는 와이어의 단부는 창문에 연결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화재 발생시 자동으로 창문이 폐쇄될 뿐만 아니라 외부에 개폐버튼을 형성해 평상시에도 손쉽게 창문을 개폐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고층아파트와 상가, 빌딩에는 화재발생과 같은 비상상황에 대비해서 각 구역별로 제연구역을 반드시 확보하여야 한다. 그리하여 화재로 인한 유독가스와 연기를 제연하고자 각기 설치된 댐퍼에서 강한 바람이 뿜어져 나오고 제연구역내 창문들은 강한 풍압에도 제연구역을 확보할 수 있도록 닫혀있어야만 하는 구조이다.
이를 위해서 일반적으로 제연구역에서 사용되는 창문 폐쇄장치는 전동모터와 연결된 체인을 창문 손잡이쪽에 연결하여 전기적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작동되는 것을 주로 사용해왔으나 무게가 무겁고 부피가 커서 시공에 어려움이 있어서 최근에는 체인을 사용하지 않는 창문개폐기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체인을 사용하지 않는 창문개폐기 중에는 체인을 대신해 와이어등을 사용하여 제작되기도 하는데 이와 같이 체인을 사용하지 않는 창문개폐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종래 기술로 10-1353302호를 살펴보면, 권취릴과 클러치부와 와이어와 솔레로이드부, 텐션롤러부와 감지스위치등으로 구성되고, 다시 권취릴은 고정축과 한 방향 회전만 가능한 릴스프링, 릴몸체가 내장되어 구성되며, 클러치부에도 규합면과 제1클러치부재와 제2클러치부와 지지스프링이 내장되어 구성되고, 솔레로이드부에도 진퇴로드와 지렛대와 솔레로이드가 내장되어 구성된다. 여기에 다시 견착롤러와 견인스프링이 내장되고 길쭉한 홈모양의 가이드가 패인 원통형의 텐션롤러부가 있고 모터 옆에는 스프링에 싸여진 누름봉 형태의 감지기가 붙어 있는 형태로써, 모터에 붙어있는 누름봉이 창문틀에 눌려지면 창문이 닫힌 것으로 인식하는 구조이다.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창문 개폐기는 누름봉이 눌려지는지 여부에 따라 규합면과 제1클러치부, 제2클러치부가 릴몸체에서 떨어지거나 달라붙게 되는데 진퇴로드와 지렛대, 솔레로이드로 이루어진 솔레로이드부의 도움을 받아야 규합면과 클러치부가 착탈되며, 이 때 규합면과 클러치부 사이에 지지스프링도 반드시 내장되어 있어야 착탈이 가능하다. 릴몸체와 릴스프링과 고정축으로 이루어진 권취롤이 한방향으로만 회전하고 와이어의 팽팽함을 위해 길쭉한 홈모양의 가이드가 패인 긴 원통형의 텐션롤러부를 창문스위치 윗쪽에 따로 부착되고 상기 텐션롤러부 안에는 견착롤러와 견인스프링을 따로 내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창문 개폐기는 반드시 클러치부재를 사용해야하는 번거로움과 클러치작동제어부가 추가로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너무 많은 수의 부품을 사용함으로써 잦은 고장을 유발하여 많은 횟수와 높은 비용의 A/S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많은 부품 수만큼 공정과정과 결합과정을 또한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함으로서 제조 및 시공단가가 상승하고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이와 같은 문제점들로 종래 기술에 따른 창문 개폐기는 현재 창문 개폐기 수요시장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모터와 일체로 연동되는 그루브 드럼에 일정 길이의 와이어가 장착되어 창문을 자동으로 폐쇄시키며, 상기 그루브 드럼 단부에 형성된 구동기어와 맞물리는 피동기어에 두 개의 마이크로 스위치가 장착되어 창문의 개폐를 제어함으로써 화재 발생시 창문을 자동으로 폐쇄하여 제연구역을 확보할 수 있고, 수동으로 창문 개방시 모터구동으로 손쉽게 개방할 수 있으며 복잡한 클러치부 등을 배제하고 구성되어 고장이 없고 낮은 제조단가로 공급할 수 있는 제연 창문개폐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제1 마이크로 스위치와 제2 마이크로 스위치가 장착된 피동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피동기어의 일측 외주면에 스핀프레스부재가 형성되어 피동기어와 일체로 움직이고, 상기 피동기어와 맞물려 회전되는 구동기어가 그루브 드럼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그루브 드럼은 전동모터와 일체로 연동되어 회전되고, 상기 그루브 드럼에 감겨 장착된 와이어의 일단부는 창문에 연결되어 있으며 전동모터와 스위치의 신호를 감지하고 제어하는 pcb기판 제어부가 구비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화재가 발생되는 등의 비상상황에 창문을 자동으로 폐쇄해야 하는 경우 화재감지 신호를 받은 pcb기판 제어부를 통해 전동모터가 정방향 회전작동되면 일체로 연동형성된 그루브 드럼이 같이 정방향 회전되면서 그루브 드럼에 장착된 와이어가 감겨들어오는 구조로, 이때 상기 그루브 드럼의 일측에 형성된 구동기어와 맞물려 회전되는 피동기어의 스핀프레스부재가 상기 제2마이크로 스위치를 가압하여 제2마이크로 스위치가 접점에 닿게 되면 창문폐쇄완료신호가 pcb기판 제어부에 인가되어 창문이 완전히 닫힌 것으로 인식되어 모터의 회전작동이 멈추게 되는 구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평상시 열려 있는 창문을 폐쇄할 때도 동작제어가 가능한 pcb기판 제어부에 연결되어 외부에 돌출형성된 닫힘버튼을 누르게 되면 전동모터가 정방향 회전작동되면서 상기 그루브 드럼과 구동기어, 피동기어와 모두 연동되어 상기 피동기어의 스핀프레스부재가 상기 제2마이크로 스위치를 가압할 때까지 회전되어 창문을 완전히 닫히게 하는 구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의 이동경로에 리미트 스위치와 연결된 바(bar)형상의 리미트 레버가 구비되는데 상기 리미트 레버의 상단부에 와이어가 접촉되어 형성되며 상기 그루브 드럼의 사이드에 위치한다.
닫혀 있는 창문을 수동으로 개방하게 될 때, 동작제어가 가능한 pcb기판 제어부에 연결되어 외부에 돌출형성된 열림버튼을 누르고 수동으로 창문을 밀어 개방하게 되면 창문에 연결된 와이어가 밖으로 밀려 나가면서 와이어 상태가 타이트(tight)해지고 타이트해진 와이어가 접촉되고 있는 바(bar)형상의 리미트 레버를 아래로 눌러 밀게 되면서 리미트 레버 아래쪽에 연결된 리미트 스위치가 눌리켜 접점을 누르고, 열림버튼의 신호와 리미트 스위치의 신호를 모두 받아 전동모터가 역방향으로 회전작동되면서 상기 그루브 드럼과 구동기어, 피동기어와 모두 연동되어 상기 피동기어의 스핀프레스부재가 상기 제1마이크로 스위치를 가압할 때까지 회전되어 창문개방완료신호가 pcb기판 제어부에 인가되어 창문이 개방완료되는 구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연 창문 개폐시스템에 의하면, 모터에 연동작동되는 그루브 드럼 및 구동기어와 피동기어에 의해 창문을 손쉽게 개폐할 수 있는 것으로, 클러치부재 사용을 배제하여 적은 수의 부품사용으로 잦은 고장을 없애고 제조단가를 많이 낮추어 공급할 수 있으며 작업 및 시공공정 또한 줄일 수 있는 큰 이점이 있다.
또한, 동작제어가 가능한 pcb기판 제어부에 연결된 개폐버튼을 외부면에 돌출장착함으로써, 손끼임사고나 잔 고장없이 누구나 손쉽게 원할 때 창문을 열고 닫을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연 창문개폐시스템의 외관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연 창문개폐시스템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연 창문개폐시스템의 일부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구동기어와 피동기어의 결합면도
도 5는 도 2의 일부구성 분해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제연 창문개폐시스템의 일부구성 결합사시도
도 7a은 도 2의 일부구성 사시도
도 7b은 도 2의 그루브드럼 타측면 사시도
도 7c은 도 7b의 다른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제연 창문개폐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제연 창문개폐시스템(10)은 창문틀에 설치되어 화재등 비상상황 발생시 개방된 창문을 자동으로 폐쇄되게 하여 제연구역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도 1 내지 도 2,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제연 창문개폐시스템(10)은 외부에 닫힘버튼(512)이 구비되어 개방된 창문을 폐쇄시 닫힘버튼(512)을 누르면 수동으로 창문손잡이를 잡아당기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창문이 폐쇄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미 폐쇄된 창문을 수동으로 개방할 시 열림버튼(513)을 누르고 창문손잡이를 밖으로 밀면 전동모터(110) 작동으로 부하없이 창문이 쉽게 개방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상기 제연 창문시스템(10)은 도 1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류공급에 의해 양방향 회전가능한 전동모터(110)와; 상기 전동모터(110)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연동되며 일측에 구동기어(212)가 일체로 형성된 그루브 드럼(210)과; 상기 그루브 드럼(210)에 장착되며 창문에 연결되어 창문을 개폐하는 와이어(460)와; 상기 와이어(460)에 상단부가 접촉되면서 하부면에 리미트 스위치(231)가 장착된 바(bar)형상의 리미트 레버(221)와; 상기 구동기어(212)과 맞물려 회전되며 일측에 스핀프레스부재(321)가 일체로 형성된 피동기어(310)와; 상기 스핀프레스부재(321)의 회전반경내에 장착되는 제1마이크로 스위치(331)및 제2마이크로 스위치(332)와; 상기 전동모터(110)의 동작제어과 함께 상기 제1 마이크로 스위치(331) 및 제2 마이크로 스위치(332) 내지 리미트 스위치(231)의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하는 pcb기판 제어부(5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동모터(110)와 연동되는 그루브 드럼(210)은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형성된 일정 간격의 홈에 와이어(460)가 장착되며 와이어(460)의 일단부는 창문에 연결되어 있어 전동모터(110)의 정방향 혹은 역방향 회전에 따라 창문을 개폐하는 것이다.
상기 그루브 드럼(210)의 일측에는 구동기어(21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구동기어(212)는 감속기어로써 그루브 드럼(210)의 회전력을 감속시켜 상기 피동기어(310)에 전달되게 한다.
상기 와이어(460)의 길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창문의 최대 개방각을 감안하여 상기 그루브 드럼(210)에 장착되되, 상기 피동기어(310)의 스핀프레스부재(321)가 상기 제1 내지 제2 마이크로 스위치(331)(332) 사이를 움직이는 회전각만큼 동작되는 상기 그루브 드럼(210)의 회전거리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피동기어(310)의 원주는 상기 구동기어(212)의 원주에 약 3배에 해당되는 것이 바람직하여 도 4에 도시된바와 같이 구동기어(212)의 톱니수와 피동기어(310)의 톱니수의 비가 1 :3.3일 경우 상기 구동기어(212)가 약 3.25 바퀴 회전할 동안 상기 피동기어(310)는 한 바퀴 회전하게 되는 구조이다.
상기 구동기어(212)와 맞물려 회전되는 피동기어(310)에는 일측 외주면에 스핀프레스부재(321)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피동기어(31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스핀프레스부재(321)가 일체로 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제1 마이크로 스위치(331)나 상기 제2 마이크로 스위치(332)에 각각 가압하여 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제1 마이크로 스위치(331)의 접점에서 제2 마이크로 스위치(332)의 접점까지 회전하는 스핀프레스부재(321)의 회전바퀴는 약 0.91바퀴로, 이때 구동기어(212)는 약 3바퀴 양방향 회전이 가능한 구조인 것이다.
상기 제1 마이크로 스위치(331)나 상기 제2 마이크로 스위치(332)에 인가된 신호는 창문개폐작동 완료신호로 상기 pcb기판 제어부(514)에 전달되어 pcb기판 제어부(514)에서는 창문 개방작동을 멈추거나 혹은 창문이 완전히 폐쇄된 상태가 되도록 전동모터(110)를 멈추도록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그루브 드럼(210)이 상기 전동모터(110)에 의해 약 세 바퀴정도 정 또는 역방향 회전하게 되면 상기 와이어(460)에 의해 창문이 개방되거나 폐쇄되고 이때, 상기 구동기어(212) 또한 약 세 바퀴 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피동기어(310)는 상기 제1 혹은 제2 마이크로 스위치(331)(332)를 가압할 때까지 약 0.91 바퀴 회전하게 되는 구조로서, 상기 와이어(460)의 길이는 창문의 최대 개방각을 감안하되,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형태로 상기 와이어(460)의 길이는 상기 그루브 드럼(210)에 약 네 바퀴 정도 감겨 장착되는 길이인 구조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연 창문개폐시스템(10)은 상기 스핀프레스부재(321)의 회전으로 인한 위치이동으로 발생하는 상기 제1 혹은 제2 마이크로 스위치(331)(332)의 창문개폐작동 완료신호에 의해 창문이 완전히 개방완료되거나 폐쇄완료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그루브 드럼(210)의 외주면에 장착된 와이어(460)에 상단부가 접촉되는 바(bar)형상의 리미트 레버(221)가 상기 그루브 드럼(210)의 사이드에 구비된다.
상기 바(bar)형상의 리미트 레버(221)의 하단부에는 리미트 스위치(231)가 장착되어 형성된 구조로 상기 리미트 레버(221)의 상단부가 팽팽한 와이어(460)에 의해 눌려 아래로 이동되면서 상기 리미트 레버(221)의 하단부에 형성된 리미트 스위치(231)에 신호가 인가되는 것이다.
즉, 창문을 개방할 시 열림버튼(513)을 누른 후 창문손잡이를 잡고 밖으로 밀게 되면 상기 와이어(460)가 팽팽하게 밀려 상기 리미트 레버(221)의 상단부를 눌러 아래로 이동되면서 상기 리미트 스위치(231)에 신호가 인가되어 상기 pcb기판 제어부(514)에서 창문이 열려야 하는 신호로 인지하고 전동모터(110)를 구동시키는 구조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연 창문개폐시스템(1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면, 화재등 비상상황 발생시 개방된 창문을 자동으로 폐쇄하여 제연구역을 형성하기 위해 화재신호를 감지한 상기 pcb기판 제어부(514)에서 상기 전동모터(110)와 상기 그루브 드럼(210)을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와이어(460)를 당겨 창문을 완전히 폐쇄시키는 것이다.
이 때, 상기 그루브 드럼(210)의 구동기어(212)와 상기 피동기어(310)가 연동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스핀프레스부재(321)가 제2 마이크로 스위치(332)를 가압하여 창문폐쇄완료신호가 pcb기판 제어부(514)에 인가되어 전동모터(110)의 작동이 멈춰지고 창문이 완전히 닫히게 되어 제연구역이 확보되는 것이다.
또한, 창문개폐시스템(10)의 외부 일측면에 닫힘버튼(512)이 구비되어 임의로 개방된 창문을 폐쇄하고자 할 시 닫힘버튼(512)을 누르면 상기 pcb기판 제어부(514)에서 상기 전동모터(110)와 상기 그루브 드럼(210)을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와이어(460)를 당겨 창문을 폐쇄시키면서 상기 그루브 드럼(210)의 구동기어(212)와 상기 피동기어(310)가 회전되어 상기 스핀프레스부재(321)가 상기 제2 마이크로 스위치(332)를 가압하게 되면 창문폐쇄완료신호가 pcb기판 제어부(514)에 인가되어 상기 전동모터(110)의 작동이 멈춰지고 창문이 완전히 닫히게 되는 구조로서, 수동으로 창문 손잡이를 잡아당기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창문이 완전폐쇄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미 폐쇄된 창문을 수동으로 개방할 시 열림버튼(513)을 누르고 창문 손잡이를 밖으로 밀면 창문에 연결된 와이어(460)가 밖으로 밀리면서 상기 리미트 레버(221)의 상단부가 팽팽한 상기 와이어(460)에 의해 눌려 아래로 이동되고 상기 리미트 레버(221)의 하단부에 형성된 리미트 스위치(231)에 신호가 인가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pcb기판 제어부(514)에서 상기 열림버튼(513)신호와 상기 리미트 스위치(231)신호가 모두 입력될 때 창문이 개방되는 신호로 인지하고 전동모터(110)를 역방향으로 구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전동모터(11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그루브 드럼(210)에서 와이어(460)가 전동모터(110)의 힘으로 밖으로 밀려나가는 구조로 아무 저항없이 손쉽게 창문이 개방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그루브 드럼(210)와 함께 상기 구동기어(212)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피동기어(310)가 연동되고, 상기 스핀프레스부재(321) 또한 회전되면서 상기 제1 마이크로 스위치(331)를 가압하게 되면 창문개방완료신호가 pcb기판 제어부(514)에 인가되어 상기 전동모터(110)의 역방향회전이 멈춰지고 창문이 완전히 개방완료되는 구조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연 창문개폐시스템(10)은 도 5 내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모터(110)와 연동된 그루브 드럼(210)이 드럼덮개(60)안에 끼워져 장착되는 구조로, 이때 그루브 드럼(210)에 장착된 와이어(460)는 드럼덮개(60)의 측면상부에 장방형으로 형성된 개구부(602)를 통해 창문에 연결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장방형 개구부(602)의 높이는 상기 와이어(460) 지름의 1배~2배로 한정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와이어(460)가 중첩되어서 개구부(602)의 내부로 밀려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상기 개구부(602)의 너비는 상기 그루브 드럼(210) 외주면에 감겨진 와이어(460)의 너비의 0.8배~1.2배로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602)내에서 와이어(460)의 이동을 자유롭게 해준다.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그루브 드럼(210)이 장착되는 드럼덮개(60)의 사이드에는 상기 바(bar)형상의 리미트 레버(221)와 리미트 스위치(231)가 끼워져 장착되는 삽입홈(603)이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460)가 이동되는 개구부(602)와 통공되어 연결되는 구조인 것이다.
즉, 상기 드럼덮개(60)의 측면상부에 장방형으로 형성된 개구부(602)에서 위치이동하는 와이어(460)가 상기 드럼덮개(60)의 사이드에 형성된 삽입홈(603)에 끼워지는 상기 리미트 레버(221)와 접촉되어 상기 리미트 스위치(231)에 신호를 인가할 수 있는 구조이다.
상기 그루브 드럼(210)에 장착된 와이어(460)의 타단부는 상기 그루브 드럼(210)의 타측면에 고정되어 결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460)의 타단부 고정을 위하여 상기 그루브 드럼(210)의 타측면에 원주를 따라 형성된 안내홈(214)과 1개이상의 누름구멍(215)이 구비되어 상기 안내홈(214)을 따라 삽입되는 와이어(460)의 타단부가 각 누름구멍(215)에서 꼬아져 삽입되고 꼬인 와이어(460)위로 접시볼트 등의 결합부재로 누름구멍(215)에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와이어(460)의 타단부를 단단히 고정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도 7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460)의 타단부 고정을 위하여 상기 그루브 드럼(210)의 타측면에 원주를 따라 형성된 안내홈(214)과 누름구멍(215)이 구비되고 상기 안내홈(214)을 따라 삽입되는 와이어(460)의 타단부가 누름구멍(215)에서 매듭지어지고 상기 와이어(460)의 매듭과 누름구멍(215) 사이 와셔등의 지지부재가 끼워져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와이어(460)의 타단부를 누름구멍(215)에 단단히 고정시키는 것이다.
10 : 창문개폐시스템
20, 30 : 외관커버
41, 45 : 외관사이드커버
42, 43, 44 : 내부커버
51 : 외부표시커버
512 : 닫힘버튼
513 : 열림버튼
52 : 콘덴서커버
60 : 드럼덮개
602 : 개구부
603 : 삽입홈
110 : 전동모터 (motor)
210 : 그루브드럼 (grooved drum)
214 : 안내홈
215 : 누름구멍
212 : 구동기어 (driving gear)
221 : 바(bar) 형상의 리미트 레버 (limit lever)
231 : 리미트 스위치 (limit switch)
310 : 피동기어 (driven gear)
321 : 스핀프레스부재 (spin-press)
331 : 제1 마이크로 스위치 (micro switch)
332 : 제2 마이크로 스위치 (micro switch)
460 : 와이어
514 : pcb기판 제어부
520 : 콘덴서

Claims (6)

  1. 전동모터(110)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연동되며, 일측에 구동기어(212)가 일체로 형성된 그루브 드럼(210)과; 상기 그루브 드럼(210)에 장착되며 창문에 연결되어 창문을 개폐하는 와이어(460)와; 상기 구동기어(212)와 맞물려 회전되며 일측에 스핀프레스부재(321)가 일체로 형성된 피동기어(310)와; 상기 스핀프레스부재(321)의 회전반경내 장착되어 스핀프레스부재(321)의 가압신호를 감지하는 제1마이크로 스위치(331)와 제2마이크로 스위치(332)와; 상기 전동모터(110)의 작동제어과 함께 상기 제1 및 제2 마이크로 스위치(331)(332)의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하는 pcb기판 제어부(51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스핀프레스부재(321)의 회전으로 인한 위치이동으로 발생하는 상기 제1 혹은 제2 마이크로 스위치(331)(332)의 작동완료신호에 의해 창문이 개방완료되거나 폐쇄완료되는 제연 창문개폐시스템에 있어서,
    하단부에 리미트 스위치(231)가 장착되고 상기 와이어(460)의 위치이동을 감지하는 리미트 레버(221)가 상기 그루브 드럼(210)의 사이드에 구비되어, 상기 pcb기판 제어부(514)에서 열림버튼(513)신호와 상기 리미트 레버(221)에 의한 리미트 스위치(231)신호가 모두 입력될 때 전동모터(110)를 구동시켜 창문을 개방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연 창문 개폐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60127267A 2016-10-02 2016-10-02 제연 창문 개폐시스템 KR101830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267A KR101830529B1 (ko) 2016-10-02 2016-10-02 제연 창문 개폐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267A KR101830529B1 (ko) 2016-10-02 2016-10-02 제연 창문 개폐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0529B1 true KR101830529B1 (ko) 2018-02-20

Family

ID=61394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7267A KR101830529B1 (ko) 2016-10-02 2016-10-02 제연 창문 개폐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052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7510B2 (ja) * 1990-10-10 2000-12-18 ムーア.ビジネス.フォーム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来客チェック帳票
JP4405752B2 (ja) * 2003-05-30 2010-01-27 中央発條株式会社 開閉装置
JP6003957B2 (ja) * 2014-09-29 2016-10-05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インテリア配設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7510B2 (ja) * 1990-10-10 2000-12-18 ムーア.ビジネス.フォーム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来客チェック帳票
JP4405752B2 (ja) * 2003-05-30 2010-01-27 中央発條株式会社 開閉装置
JP6003957B2 (ja) * 2014-09-29 2016-10-05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インテリア配設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56966B1 (en) Motor assemblies for architectural coverings
JP4440802B2 (ja) ブラインド
KR102183733B1 (ko) 건축물 개구부 덮개의 컨트롤
US20140069595A1 (en) Automatic roller shade
EP2957700B1 (en) Roof window operator
KR101830529B1 (ko) 제연 창문 개폐시스템
AU2006270591B2 (en) Door opener
JP3546558B2 (ja) シャッタ等の巻取り装置
US20160258201A1 (en) Attic Door Rope Apparatus
JP2004027841A (ja) シャッタ等の巻取り装置
JPH10306670A (ja) 巻取り装置
US20070125502A1 (en) Window blind structure
KR101390363B1 (ko) 미닫이 도어 장치
KR101114554B1 (ko) 침수방지용 건축물의 실내개폐문
US5579878A (en) Bi-directional clutch type chain pulling device for rolling doors
JP3800754B2 (ja) 電動シャッターの手動・電動切替装置
JPH10131611A (ja) 窓の開閉操作装置
KR102389310B1 (ko) 수동 및 전동 겸용 블라인드 구동장치
JP4294527B2 (ja) 出入口シート開閉機におけるシート昇降調節装置
JPH07122386B2 (ja) シャッタ、主にローラシャッタのための駆動装置
CN213015984U (zh) 一种双功能开启式合金窗
JP2860230B2 (ja) ロールスクリーン装置
TW201912920A (zh) 捲門之防急難裝置
JP4878245B2 (ja) 開閉扉装置
KR20220080247A (ko) 블라인드 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