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0077B1 - 미분화 인간배아줄기세포 유래 배양 조성물을 이용한 소 난자의 체외 배양 방법 - Google Patents

미분화 인간배아줄기세포 유래 배양 조성물을 이용한 소 난자의 체외 배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0077B1
KR101010077B1 KR1020080138099A KR20080138099A KR101010077B1 KR 101010077 B1 KR101010077 B1 KR 101010077B1 KR 1020080138099 A KR1020080138099 A KR 1020080138099A KR 20080138099 A KR20080138099 A KR 20080138099A KR 101010077 B1 KR101010077 B1 KR 101010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ture
stem cell
vitro
embryonic stem
cul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8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9571A (ko
Inventor
박세필
김은영
Original Assignee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미래생명공학연구소
제주특별자치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미래생명공학연구소, 제주특별자치도 filed Critical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138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0077B1/ko
Publication of KR20100079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9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0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0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08Germ cells
    • C12N5/0609Oocytes, oogonia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0/00Specific components of cell culture medium
    • C12N2500/30Organic components
    • C12N2500/32Amino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2/00Coculture with; Conditioned medium produced by
    • C12N2502/02Coculture with; Conditioned medium produced by embryonic ce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Zo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ell Bi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식 단계의 인간 배아줄기세포 콜로니를 제1 배양액으로 배양하는 줄기세포 배양 단계, 상기 줄기세포 배양 단계로부터 생성된 용액 상의 미분화 인간 배아줄기세포 유래 배양 조성물을 회수하는 단계, 상기 회수된 배양 조성물을 소 난자의 체외 배양 시 체외 배양액으로 사용되는 제2 배양액에 첨가하여 상기 소 난자를 체외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 난자의 체외 배양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미분화 인간배아줄기세포 유래 배양 조성물을 이용한 소 난자의 체외 배양 방법{Method of external cultivation for cow's egg cell by using cultivation composition derived from undifferentiated human stem cell}
본 발명은 소 난자의 체외 배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 난자의 체외 배양 환경을 개선하고 배양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소 난자의 체외 배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아줄기세포는 남성의 생식세포인 정자와 여성의 생식세포인 난자가 결합하여 생성된 수정란에서 유래한다. 그리고 배아줄기세포는 착상 전 배반포기배의 내부 세포괴로부터 획득되며 모든 조직의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을 지녔으나 배양조건만 주어진다면 분화되지 않은 상태로 무한대로 증식이 가능한 아직 분화되지 않은 세포를 말한다. 다시 말해서 특수 분화 배양 환경에서는 원하는 방향으로 세포 분화가 유도되어 신경, 당뇨, 혈액과 같은 질환의 세포 치료제로 이용될 수 있어서 한 개의 배아줄기세포주만으로도 수많은 환자의 치료에 이용될 수 있다고 기대되는 만능세포이다.
수정란의 체외 배양은 체내 배양에 비해서 배양효율이 떨어진다. 체외 배양 환 경을 개선 시키기 위해서 배양용 배지의 조성과 알부민 또는 우태아혈청 같은 단백질 첨가제 그리고 항산화제와 성장인자 등과 같은 다양한 물질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한 예로써, 일반적으로 배양환경에서 생성되는 활성산소종 (reactive oxygen species; ROS) 감소에 베타 메르캅토에탄올과 비타민 E (Kitagawa 등 2004), 알파토코페롤과 아스코르비산 (Hossein 등 2007), 플라보노이드 (Ohshima H 등 1998; Williams RJ 등 2004) 같은 항산화제 첨가가 유효하게 작용하여 체외 수정란 발달효율이 향상된다고 보고된 바 있다. 우태아 혈청 및 화학적으로 정제된 합성 혈청 대사물과 상피세포 성장인자를 같이 넣은 배양액을 이용하여 소 난자의 배 발달율 증가와 성장관련 유전자 증가 등 긍정적인 영향을 얻었다고 보고한 바 있다. 또한 소 복제수정란을 체외배양 할 때 배양액에 생쥐의 상피세포 성장 인자 (EGF; epidermal growth factor)와 생쥐의 과립세포-대립세포 집락자극인자 (GM-CSF: granulocyte macrophage-colony stimulating factor) 를 첨가 하였을 경우 세포 수 증가 등 발달에 있어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보고된 바 있다. 이러한 체외 배양 환경 개선에 대한 최종 연구 목적은 최대한 체내 환경과 유사한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건강한 배아 즉 정상적인 생명체 발생이 용이한 배양 환경을 만들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소 난자의 체외 배양 기술을 개선하고자 이루어진 것으로서, 소 난자의 체외 배양 환경을 개선하여 체외 배양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소 난자의 체외 배양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 난자의 체외 배양 시 체외 배양 환경을 개선하고 배양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첨가제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소 난자의 체외 배양 방법은 증식 단계의 인간 배아줄기세포 콜로니를 제1 배양액으로 배양하는 줄기세포 배양 단계, 상기 줄기세포 배양 단계로부터 생성된 용액 상의 미분화 인간 배아줄기세포 유래 배양 조성물을 회수하는 단계, 상기 회수된 배양 조성물을 소 난자의 체외 배양 시 체외 배양액으로 사용되는 제2 배양액에 첨가하여 상기 소 난자를 체외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줄기세포 배양 단계에서는 적어도 90% 이상 증식된 인간 배아 줄기세포를 1 내지 3일 배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분화 인간 배아줄기세포 유래 배양 조성물은, 제1 배양액 및 상기 줄기세포 배양 단계에서 발생한 상기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대사 산물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1 배양액은 불-필수 아미노산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소 난자 체외 배양용 첨가제는 증식 단계의 인 간 배아줄기세포 콜로니를 제1 배양액으로 배양하는 줄기세포 배양 단계 및 상기 줄기세포 배양 단계로부터 생성된 용액 상의 물질을 회수하는 단계로부터 수득 되고, 제1 배양액 및 상기 줄기세포 배양 단계에서 발생한 상기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대사 산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 난자의 체외 배양 시 배양 환경을 개선함으로써 배양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나아가 소뿐만 아니라 다른 동물들에도 유사하게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 난자의 체외 배양 단계에서 소 난자의 체외 배양액에 추가로 미분화 인간 배아줄기세포 유래 배양 조성물을 첨가함으로써 소 난자의 체외 배양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미분화 인간 배아줄기세포 유래 배양 조성물은 증식 중인 인간 배아줄기세포 콜로니를 줄기세포 배양액에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일 정도 배양함으로써 수득될 수 있다. 상기 인간 배아줄기세포 유래 배양 조성물은 상기 줄기세포 배양액뿐만 아니라 상기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배양 과정에서 생성되는 대사 산물을 포함한다. 상기 인간 배아줄기세포 콜로니는 증식 중인 인간 배아줄기세포로서, 적어도 90% 이상 증식이 완료된 인간 배아줄기세포 콜로니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인간 배아줄기세포 콜로니를 1 내지 3일 배양한 후, 인 간 배아줄기세포 콜로니를 제외한 용액 상의 물질을 회수함으로써 상기 인간 배아줄기세포 유래 배양 조성물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인간 배아줄기세포 유래 배양 조성물은 소 난자의 체외 배양시 일종의 첨가제로서 기본 배양액에 혼합되어 사용된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
[실시예 1]
1. 미분화 인간배아줄기세포배양 유래 조성물의 준비
미분화 인간배아줄기세포 유래 배양 조성물은 5% 마트리젤이 코팅된 배양 용기 내에 90% 이상 증식된 인간 배아줄기세포 콜로니를 줄기세포 배양액으로 2일 동안 배양하여 획득하였다. 줄기세포 배양액은 DMEM/F12 (Gibco)에 1% 불-필수 아미노산(non-essential amino acid), 0.1 mM의 β-머캅토에탄올(β-mercaptoethanol), 1%의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ennicilin/streptomycin), 20%의 혈청대체물질(knock-out serum replacement 와 8ng/ml의 파이브로블라스트 성장 인자 II(fibroblast growth factor II) 가 첨가된 것을 사용하였다.
2. 소 난자의 채취 및 성숙배양
소 난소의 표면에 육안으로 보이는 3-6 mm크기 다수의 난포로부터 난구세포-난자 복합체 (cumulus-oocyte complexes) 를 18 게이지(gauge) 주사기를 이용하여 채취하였다. 회수된 난구세포-난자 복합체는 1mg/ml 소혈청 알부민이 들어있는 TL- HEPES 버퍼로 3회이상 충분히 세척하고 우태아혈청 10%와 0.2mM 피루브산 나트륨, 1㎍/ml 난포자극 호르몬, 1㎍/ml 에스트라디올, 25㎍/ml 젠타마이신이 들어간 TCM-199 체외성숙용 배양액에 넣어 38.8℃ 온도와 5% 이산화탄소 조건의 배양기내에서 24시간 동안 성숙 배양하였다.
3. 소 난자의 단위발생 및 체외 배양
소 난자의 단위발생을 위해 체외 성숙 배양된 난구세포-난자 복합체는 1 mg/ml 의 히알루로니다제를 이용해서 먼저 난구세포를 제거하고 TL-HEPES버퍼로 충분히 세척한 다음 10 μM 칼슘아이오마이신이 들어있는 CR1aa 배양액에서 5분 동안 활성화를 유도하고 2 μM 6-디메틸아미노퓨린(6-dimethylaminopurine)이 들어있는 CR1 aa 배양액에서 3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때에 사용된 CR1aa 배양액 내에는 3mg/ml 지방산이 제거된 (fatty acid free) 소혈청 알부민이 함유되어 있고 본 실험의 기본 배양액으로 이용되었다. 활성화시킨 난자는 CR1aa 기본 배양액에 넣어 2일간 배양시키고 4-8세포로 분열된 난자를 다시 CR1aa 기본 배양액 (대조군)과 10% 미분화 배아줄기세포 유래 조성물이 들어있는 배양액 (실험군) 으로 나누어 38.8℃ 온도와 5% 이산화탄소 조건의 배양기내에서 6일간 추가 배양하여 체외 배양 8일째 배반포기배까지의 배 발달상태를 비교 조사하였다.
4. 이중염색
대조군과 실험군의 체외 배양 8일째 발달된 배반포기배의 질적인 차이를 조
사하기 위해 영양배엽세포와 내부 세포괴 수를 동시에 검토할 수 있는 이중 염색을 실시하였다. 2중염색은 2단계로 실시되었다. 각 군의 배반포기배는 1% 트리톤-X(triton X-100)와 100㎍/ml 프로피디움 요오드화물이 포함된 TL-HEPES 용액에서 30초간 처리하고 (1단계) 25㎍/ml 비스벤자마이드 (Hoechst 33258)가 포함된 TL-HEPES 용액에 넣어 4℃에서 다음날까지 반응시켰다 (2단계). 염색된 배반포기배는 글리세롤로 세척한 다음 슬라이드 그라스에 올려 놓고 커버슬립으로 덮어 형광 현미경의 blue 필터 (excitation field-350 nm, emission field-461 nm) 하에서 관찰하여 세포 수를 세었다.
5. 실험 결과
미분화 줄기세포 배양 조성물이 소 단위발생란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Figure 112008090969645-pat00001
*대조군; CR1aa +FAF-BSA 3mg/ml,
실험군; CR1aa +FAF-BSA 3mg/ml + 미분화배아줄기세포 조성물 10%
**p<0.01
도 1은 미분화 배아줄기세포 유래 배양 조성물 첨가 유무에 따른 소 단위발생란의 발달과정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에서, 대조군은 A, C, E 및 G, 실험군은 B, D, F 및 H이며 체외배양 2일 째 (A, B), 체외배양 4일 째 (C, D), 체외배양 6일 째 (E, F), 체외배양 8일 째 (G, H)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상기 표 1 및 도 1을 참조하면, 체외에서 생산된 소 단위발생란의 발달에 미분화 배아줄기세포 조성물이 미치는 영향을 총 3회에 걸쳐 조사하였던 바 체외 배양 4일, 6일과 8일로 진전됨에 따라 대조군과 실험군 간에 배 발달율이 현저하게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실험에 사용된 실험군 배양액은 CR1aa 배양액에 미분화배아줄기세포 유래 배양 조성물 10% 가 첨가된 것으로 배양 8일째 배반포기배형성율(도 1의 H 참조)은 대조군 7.3%에 비해 34.1% 로서 유의하게 높았다 (p<0.01).
도 2는 미분화 배아줄기세포 유래 배양 조성물 첨가 유무에 따른 소 단위발생란의 발달과정을 보여주는 이중 염색 사진이다. 도 2에서, 가)는 대조군 나)는 실험군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대조군과 실험군의 체외배양 8일째 배반포기배의 질적인 차이를 조사하기 위해 이중염색으로 영양배엽세포수와 내부세포괴수를 조사하였던 바, 이 둘을 합한 총 세포수는 미분화배아줄기세포 유래 배양 조성물 10% 첨가된 실험군이 129.6±36.7로서 대조군 38.3±5.0 에 비해 3.3배 이상 유의하게 많았다 (p<0.01). 특히, 장차 태아로 발생될 내부세포괴 수의 경우 대조군 12.3±6.4 에 비해 44.1±5.7 로서(도 2의 B)) 미분화배아줄기세포 유래 배양 조성물 첨가 실험군에서 3.5배 이상 증가된 유의한 수치를 나타내었다 (p<0.01). 이러한 결과는 미분화배아줄기세포 유래 배양 조성물의 첨가가 영양배엽 세포와 내부세포괴 발생에 유의하게 작용하였음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보면, 미분화 인간배아줄기세포 배양 유래 배양 조성물은 배반포기배 중 태아로 발생될 부위의 내부세포괴로부터 무한 증식된 배아줄기세포의 배양 산물로 태아발생에 유용한 성장인자, 싸이토카인, 아미노산 및 미지성분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성분들이 체외에서 생산된 소 단위발생란의 배반포기형성율, 총세포수 및 내부세포괴의 세포수의 발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도 1은 미분화 배아줄기세포 유래 배양 조성물 첨가 유무에 따른 소 단위발생란의 발달과정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미분화 배아줄기세포 유래 배양 조성물 첨가 유무에 따른 소 단위발생란의 발달과정을 보여주는 이중 염색 사진이다.

Claims (5)

  1. 증식 단계의 인간 배아줄기세포 콜로니를 배양하는 줄기세포 배양 단계;
    상기 줄기세포 배양 단계에서 생성된 미분화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대사 산물을 포함하는 배양액을 회수하는 단계;
    상기 회수된 배양액을 소 난자의 체외 배양 시 사용되는 체외 배양액에 첨가하여 상기 소 난자를 체외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 난자의 체외 배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줄기세포 배양 단계는 적어도 90% 이상 증식된 인간 배아 줄기세포를 1 내지 3일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 난자의 체외 배양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사 산물을 포함하는 배양액은 불-필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 난자의 체외 배양 방법.
  5. 증식 단계의 인간 배아줄기세포 콜로니를 배양하는 줄기세포 배양 단계 및 상기 줄기세포 배양 단계로부터 생성된 용액 상의 물질을 회수하는 단계로부터 수득되고,
    상기 용액 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소 난자 체외 배양용 첨가제.
KR1020080138099A 2008-12-31 2008-12-31 미분화 인간배아줄기세포 유래 배양 조성물을 이용한 소 난자의 체외 배양 방법 KR101010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099A KR101010077B1 (ko) 2008-12-31 2008-12-31 미분화 인간배아줄기세포 유래 배양 조성물을 이용한 소 난자의 체외 배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099A KR101010077B1 (ko) 2008-12-31 2008-12-31 미분화 인간배아줄기세포 유래 배양 조성물을 이용한 소 난자의 체외 배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9571A KR20100079571A (ko) 2010-07-08
KR101010077B1 true KR101010077B1 (ko) 2011-01-24

Family

ID=42640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8099A KR101010077B1 (ko) 2008-12-31 2008-12-31 미분화 인간배아줄기세포 유래 배양 조성물을 이용한 소 난자의 체외 배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00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328B1 (ko) * 2013-11-27 2014-10-07 주식회사 미래셀바이오 중간엽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수정란 배양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2830A (ko) * 2018-09-19 2020-03-27 메디칸(주) 자가 줄기세포의 자가 배양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188B1 (ko) 2005-12-08 2007-05-08 서울우유협동조합 소 수정란의 체외배양용 배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체외배양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188B1 (ko) 2005-12-08 2007-05-08 서울우유협동조합 소 수정란의 체외배양용 배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체외배양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328B1 (ko) * 2013-11-27 2014-10-07 주식회사 미래셀바이오 중간엽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수정란 배양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9571A (ko) 201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in et al. A novel two-step strategy for in vitro culture of early-stage ovarian follicles in the mouse
JP6918782B2 (ja) 培養培地
CN108103011B (zh) 一种牛卵母细胞体外成熟培养液及培养方法
JP7138359B2 (ja) 未成熟卵母細胞の体外成熟培養液、及びその応用
BRPI0706801A2 (pt) método de purificação de cardiomiócitos ou cardiomiócitos programados derivado de células tronco ou fetos
JP2003535585A (ja) 哺乳動物の配偶子および胚の培養基サプリメント、およびその使用法
KR20050084889A (ko) 다능성 줄기 세포 배양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010077B1 (ko) 미분화 인간배아줄기세포 유래 배양 조성물을 이용한 소 난자의 체외 배양 방법
CN101225373A (zh) 一种牛卵母细胞体外成熟无血清培养基
CN111944745A (zh) 一种无血清的牛卵母细胞体外成熟培养液及卵母细胞培养方法
CN104988111A (zh) 用于将uc-msc转化为胰岛细胞的诱导液及其应用
KR20190052542A (ko) 난자의 체외배양을 위한 난포액 대체용 배지 및 이의 이용
KR102142400B1 (ko) 돼지 만능성 줄기세포 배양용 배지 조성물
CN108823152A (zh) 一种小鼠卵母细胞的体外成熟培养液及体外成熟培养方法
CN106754660B (zh) 一种毛囊干细胞体外分化为卵母细胞的方法
JP5164439B2 (ja) 毛乳頭細胞培養方法
CN114410573A (zh) 一种卵母细胞体外成熟培养液添加剂及其应用
CN113005076A (zh) 未成熟卵母细胞体外培养液及其应用
KR101590615B1 (ko) 돼지 정원줄기세포를 체외 배양하기 위한 배양액 조성물 및 배양방법
CN105039239A (zh) 细胞转化诱导液及其应用
CN114369567B (zh) 牛扩展多能性胚胎干细胞的建系方法及培养液
KR20080077738A (ko) 돼지 미성숙란의 체외배양 방법
WO2012034352A1 (zh) 使人的体细胞逆向分化产生自体生殖干细胞的方法、试剂盒及其应用
KR101446328B1 (ko) 중간엽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수정란 배양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085019A (ko) 줄기세포 및 피더세포의 공배양용 배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