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0615B1 - 돼지 정원줄기세포를 체외 배양하기 위한 배양액 조성물 및 배양방법 - Google Patents

돼지 정원줄기세포를 체외 배양하기 위한 배양액 조성물 및 배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0615B1
KR101590615B1 KR1020130156599A KR20130156599A KR101590615B1 KR 101590615 B1 KR101590615 B1 KR 101590615B1 KR 1020130156599 A KR1020130156599 A KR 1020130156599A KR 20130156599 A KR20130156599 A KR 20130156599A KR 101590615 B1 KR101590615 B1 KR 101590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m cells
culture
cells
spermatogonial stem
porc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6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0496A (ko
Inventor
송혁
이원영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56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0615B1/ko
Publication of KR20150070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0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0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0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81Cells of the genital tract; Non-germinal cells from gonads
    • C12N5/0683Cells of the male genital tract, e.g. prostate, epididymis; Non-germinal cells from testis, e.g. Leydig cells, Sertoli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018Culture media for cell or tissue cul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08Germ cells
    • C12N5/061Sperm cells, spermatogoni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ell Bi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돼지 정원줄기세포를 체외 배양하기 위한 배양액 조성물 및 배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돼지 정원줄기세포에 특이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EGF를 포함하는 배양액 조성물을 이용하여 돼지 정원줄기세포를 효과적으로 체외 배양할 수 있는 배양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배양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돼지 정원줄기세포에 특이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상피세포증식인자(EGF)가 함유된 배양액 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돼지 정원줄기세포를 효과적으로 체외 배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돼지 정원줄기세포를 체외 배양하기 위한 배양액 조성물 및 배양방법{MEDIUM COMPOSITION FOR IN VITRO CULTURE OF PORCINE SPEMATOGONIAL STEM CELLS AND CULTURE METHOD USING THE SAME MEDIUM}
본 발명은 돼지 정원줄기세포를 체외 배양하기 위한 배양액 조성물 및 배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돼지 정원줄기세포에 특이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EGF를 포함하는 배양액 조성물을 이용하여 돼지 정원줄기세포를 효과적으로 체외 배양할 수 있는 배양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배양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원줄기세포(SSCs, spermatogonial stem cells)는 정소에 존재하면서 정자형성(spermatogenesis)에 중요한 기능을 한다. 그 명칭에 있어 포유류 암컷에서 이들의 존재 가능성이 제기되어 이와 구분하기 위해 '남성생식선줄기세포'(雄性, 웅성, male germline stem cells)라고도 불리운다.
이 세포는 성체줄기세포 특유의 자가재생능력과 정자세포로의 분화능력을 동시에 가지고 있으나, 고환 내에 아주 극소수가 존재하기 때문에 그 분리와 임상적 이용에 어려움이 많고 체외에서 증식, 배양하는 기술의 확립이 미흡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SSCs의 새로운 마커의 발굴에 의한 효율적인 분리, 최적의 배양 조건, 충분한 양의 체외 증식과 그 유지 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노력이 이어져 왔으나, 아직 체외에서의 정자형성은 기술적인 한계가 있다. 정원줄기세포 분리가 제한적이고 배양시 많은 정원줄기세포가 죽기 때문에 배양이 어려우며, 특히 정원줄기세포와 분화된 정원세포간의 구별이 가능한 형태학적, 생화학적인 마커가 없는 것이 가장 큰 어려움이다(Nagano 등, 1998; van Pelt 등, 2002). 관련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10-1173116(신규한 돼지 정조줄기세포 분리 및 배양 방법)이 있다.
SSCs의 활용도는 남성의 불임과 질환 치료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고, 생식선 줄기세포의 속성을 이용해 다음 세대에 유전자를 전달하는 도구로써 가축 개량이나 이종간 장기의 형질전환 연구에 응용될 수 있다. 유전자 질환에 기인하는 남성 불임의 경우 불임환자의 정소를 체검하여 SSCs를 분리 및 체외 배양한 후에 유전자 요법에 의한 교정된 SSCs를 다시 환자에 이식함으로써 정상적인 정자의 생산과 그 기능을 기대할 수 있고, 항암요법으로 손상될 위험이 있는 SSCs는 미리 보관하여 추후의 불임 위험으로부터 대처할 수 있다. 특히, 만능성 유도에 의한 세포치료제로서의 활용성은 다른 세포 공급원에 비해 특유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iPS 세포의 유도 과정에서 도입되는 유전자나 바이러스가 관여되지 않기 때문에 제작된 만능성 줄기세포를 보다 안전하게 환자 맞춤형 세포치료제로 개발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돼지 정원줄기세포의 연구는 마우스에 비해 현저히 뒤쳐진 상태로 그 연구가 매우 미진한 실정으로, 현재 돼지 정원줄기세포를 체외 배양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 중에 있으나 아직 최적의 배양을 위한 배양액의 조성이 알려져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돼지 정원줄기세포를 효과적으로 체외 배양할 수 있는 최적의 배양액 조성물과 배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피세포증식인자(EGF, epidermal growth factor)를 포함하는 돼지 정원줄기세포를 체외 배양하기 위한 배양액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인슐린-트랜스페린-셀레늄 혼합물, 글루코즈, L-글루타민, NEAA(비필수 아미노산) 용액, 비타민 용액,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혼합물, 소디움 피루베이트, 비타민 C, 락틱 애씨드, 에스트라디올, 프로게스테론, 소 혈청 알부민, 녹아웃 혈청 대체물(knockout serum replacement), FGF(fibroblast growth factor), GDNF(glial cell line-derived neurotrophic factor) 및 LIF(leukemia inhibitory facto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조성물은 25 μg/ml 인슐린-100 μg/ml 트랜스페린-30 nM 셀레늄 혼합물, 6 mg/ml 글루코즈, 2 mM L-글루타민, 1 % NEAA(비필수 아미노산) 용액, 1 % 비타민 용액, 100 U/ml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혼합물, 1 mM 소디움 피루베이트, 0.1 mM 비타민 C, 1 μg/ml 락틱 애씨드, 30 ng/ml 에스트라디올, 60 ng/ml 프로게스테론, 0.2 % 소 혈청 알부민, 1 % 녹아웃 혈청 대체물(knockout serum replacement), 20 ng/ml EGF(epidermal growth factor), 10 ng/ml FGF(fibroblast growth factor), 10 ng/ml GDNF(glial cell line-derived neurotrophic factor) 및 103 U/ml LIF(leukemia inhibitory facto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돼지의 정소를 수득하는 단계; (2) 상기 수득된 정소 조직에 콜라게나제, DNAse, 콩 트립신 억제제 및 히알루로니다제를 첨가하여 1차 처리한 후, 콜라게나제, DNAse 및 콩 트립신 억제제를 첨가하여 2차 처리하여 정소세포를 분리하는 단계; (3) 상기 분리된 정소세포를 상피세포증식인자(EGF, epidermal growth factor)가 함유된 Stempro 34 배지를 이용하여 젤라틴이 코팅된 배양접시에서 배양하는 단계; 및 (4) 상기 배양된 정소세포로부터 돼지 정원줄기세포를 확인 및 동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피세포증식인자(EGF, epidermal growth factor)가 함유된 배양액을 이용하여 돼지 정원줄기세포를 체외 배양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1)단계에서 돼지의 정소는 5일령 돼지로부터 수득된 정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단계에서 1차 처리 및 2차 처리는 각각 37 ℃에서 5 내지 10분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3)단계에서 배양은 31 ℃ 및 5 % CO2 조건에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3)단계에서 배양액 조성은 상피세포증식인자와 함께 인슐린-트랜스페린-셀레늄 혼합물, 글루코즈, L-글루타민, NEAA(비필수 아미노산) 용액, 비타민 용액,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혼합물, 소디움 피루베이트, 비타민 C, 락틱 애씨드, 에스트라디올, 프로게스테론, 소 혈청 알부민, 녹아웃 혈청 대체물(knockout serum replacement), FGF(fibroblast growth factor), GDNF(glial cell line-derived neurotrophic factor) 및 LIF(leukemia inhibitory facto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배양액 조성은 25 μg/ml 인슐린-100 μg/ml 트랜스페린-30 nM 셀레늄 혼합물, 6 mg/ml 글루코즈, 2 mM L-글루타민, 1 % NEAA(비필수 아미노산) 용액, 1 % 비타민 용액, 100 U/ml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혼합물, 1 mM 소디움 피루베이트, 0.1 mM 비타민 C, 1 μg/ml 락틱 애씨드, 30 ng/ml 에스트라디올, 60 ng/ml 프로게스테론, 0.2 % 소 혈청 알부민, 1 % 녹아웃 혈청 대체물(knockout serum replacement), 20 ng/ml EGF(epidermal growth factor), 10 ng/ml FGF(fibroblast growth factor), 10 ng/ml GDNF(glial cell line-derived neurotrophic factor) 및 103 U/ml LIF(leukemia inhibitory facto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4)단계에서 정원줄기세포 마커인 PGP9.5 염색을 통해 돼지 정원줄기세포를 확인 및 동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돼지 정원줄기세포에 특이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상피세포증식인자(EGF)가 함유된 배양액 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돼지 정원줄기세포를 효과적으로 체외 배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5일령 및 180령 돼지 정소의 조직학적 분석 결과.
도 2는 5일령 정소와 180일 정소에서의 PGP9.5 발현 분석 결과.
도 3은 정소 유래 세포에서의 생식세포 마커 발현 확인 결과.
도 4는 체외 배양된 돼지 정원줄기세포의 RNA 발현 확인 결과.
도 5는 체외 배양된 돼지 정원줄기세포의 단백질 발현 확인 결과.
도 6은 체외 배양된 돼지 정원줄기세포의 면역 염색 결과.
도 7은 돼지 정원줄기세포주의 염색체 분석 결과.
도 8은 돼지 정소 세포에 성장인자를 넣지 않은 배양과 성장인자를 넣은 배양의 정원줄기세포 군집 형성 차이 비교 결과.
도 9는 돼지 정소 세포에 성장인자를 넣을 경우 정원줄기세포 군집 형성 변화 관찰 결과(성장인자를 넣기 전과 후의 배양일은 합쳐서 6일임).
도 10은 성장인자가 돼지 정원줄기세포 배양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 결과.
도 11은 성장인자 EGF 농도에 따른 돼지 정원줄기세포 군집 형성 관찰 결과.
돼지 정원줄기세포를 확립하는 방법으로는 Percoll을 이용한 동정 방법이 일반적이다(Byung-Gak Kim, 2010, Biology of Reproduction).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방법이 아닌 새로운 방법을 사용하여 출생 후 5일된 돼지의 정소를 효소 처리하여 단일 세포로 분리한 뒤 젤라틴이 코팅된 배양접시에서 stempro 34 배지를 이용하여 배양함으로써 돼지 정소 유래 정원줄기세포주를 확립하였다. 또한, 종래 배양이 어려워 연구에 많은 제한이 따랐던 돼지 정원줄기세포를 체외 배양할 수 있는 배양액으로 돼지 정원줄기세포에 특이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EGF가 함유된 조성물을 제공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기존의 방법보다 쉽고 외부 충격을 줄인 방법으로서 Feeder를 사용하지 않고 배양이 가능하여 이종간 세포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돼지 정원세포 이식시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돼지 정원줄기세포 분리 및 배양
농장으로부터 수거된 5일령 돼지 정소의 막을 제거한 후 세정관과 간질조직을 포함한 돼지 정소를 e-tube에 담아 가위를 이용하여 조직을 작게 잘랐다. 작게 분리된 5일령 정소 조직의 무게를 측정한 후 5배의 효소액 1을 가하여 37 ℃에서 5 내지 10 분간 처리하고 효소액을 처리하는 중간에 vortexing을 계속 가하여 주었다. 이후, 효소액 1을 PBS와 원심분리를 이용하여 제거한 후, 정소 조직 무게의 5배에 해당하는 양의 효소액 2를 37 ℃에서 5 내지 10 분간 처리하고 PBS와 원심분리를 이용하여 효소액 2를 제거한 다음, 40 μm nylon mesh를 이용하여 효소액에 의해 분리되지 않은 조직을 제거하였다. 또한, 분리된 세포 내 적혈구를 제거하기 위해 적혈구 용해액 (Sigma-Aldrich, R7757)을 처리하였다.
상기 효소액 1의 조성은 0.5 mg/ml 클로스트리디움 히스톨리티쿰(Clostridium histolyticum)의 type 콜라게나제 IV (Sigma-Aldrich, St Louis, MO, USA, C5138), 0.01 mg/ml DNAse I (Sigma-Aldrich, DN25), 0.1 mg/ml 콩 트립신 억제제 (Gibco, Carlsbad, CA, USA, 17075-029) 및 0.1 mg/ml 히알루로니다제 (Sigma-Aldrich, H6254)이며, 효소액 2의 조성은 5 mg/ml 콜라게나제 IV, 0.01 mg/ml DNAse I 및 0.1 mg/ml 콩 트립신 억제제이다.
상기 적혈구가 제거된 정소 유래 세포는 다음과 같이 배양하였다.
효소에 의해 분리된 5일령 돼지의 정소 세포는 31 ℃, 5 % CO2 조건에서 Stempro 34 배지 (Gibco, 10640-019)를 이용하여 배양하였으며, 7~8일 간격으로 계대배양하되 계대배양시 0.005 % Trypsin-EDTA를 사용하여 세포를 플라스틱 디쉬에서 떼어낸 후 새로운 디쉬로 옮겨 주었고, 2 × 105 cell/well로 0.2 % 젤라틴이 코팅된 12 well 배양접시에서 배양하였다. 그 결과, 돼지 정원줄기세포 군집이 관찰되었으며, 배양 용액 조성은 다음과 같다.
배양액은 인슐린-트랜스페린-셀레늄 (ITS; 25 μg/ml, 100 μg/ml, 30 nM, Gibco, 41400-045), 6 mg/ml 글루코즈 (Sigma-Aldrich, G6152), 2 mM L-글루타민 (Gibco, 25030), 1 % NEAA 용액 (Gibco, 11140), 1 % 비타민 용액 (Gibco, 11120), 100 U/ml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Gibco, 15140), 1 mM 소디움 피루베이트 (Gibco, 11360), 0.1 mM 비타민 C (Sigma-Aldrich, A4403), 1 μg/ml 락틱 애씨드 (Sigma-Aldrich, L1750), 30 ng/ml 에스트라디올 (Sigma-Aldrich, E2758), 60 ng/ml 프로게스테론 (Sigma-Aldrich, P7756), 0.2 % 소 혈청 알부민 (BSA, Sigma-Aldrich, A7906), 1 % knockout serum replacement (knockout SR, Gibco, 10828), 20 ng/ml mEGF (epidermal growth factor, Millipore, Billerica, MA, USA, EA140), 10 ng/ml bFGF (fibroblast growth factor, Peprotech, Rocky Hill, NJ, USA, AF-100-18B), 10 ng/ml GDNF (glial cell line-derived neurotrophic factor, R&D systems, Minneapolis, MN, USA, 512-GF-010) 및 103 U/ml LIF (leukemia inhibitory factor, Millipore, EA140)를 포함한다.
실험예 1. 5일령 돼지 정소와 180일령 돼지 정소의 조직학적 분석 및 정원줄기세포 마커 PGP9.5 발현 비교
5일령과 180일령 돼지 정소를 H&E staining을 통해 염색한 후 관찰한 결과, 5일령 돼지 정소는 세정관 형성은 완성되었으나 정원줄기세포들이 아직까지 세정관의 중심부 쪽에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180일령 돼지 정소에서는 정조세포, 정자세포, 정자 등의 많은 생식세포가 관찰되었으나 5일령 돼지 정소에서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세정관 안에 세르톨리 세포와 정조세포(정원줄기세포)만 존재하였다. 따라서, 돼지 정원줄기세포 분리배양을 위해서는 5일령 정소가 180일령 정소보다 적합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돼지 정원줄기세포 마커인 PGP9.5를 염색해 본 결과, 5일령 정소에서는 H&E staining 결과와 마찬가지로 세정관의 rumen 부위에서 PGP9.5를 발현하는 세포들이 발견되었으며 180일령 돼지 정소에서는 PGP9.5를 발현하는 세포들이 세정관의 base membrane 부위에서 특이적으로 발견되었다(도 2). 이러한 결과는 PGP9.5가 돼지에 있어서는 정원줄기세포 마커라고 할 수 있으며, 정원줄기세포의 존재 위치상 5일령 돼지 정소가 정원줄기세포를 분리하기에 적합한 정소임을 시사한다.
실험예 2. 5일령 돼지 정소 유래 세포에서의 생식세포 마커 발현 확인
상기 실시예에 의해 분리한 돼지 정소 유래 세포에서의 생식세포 마커 발현을 확인한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PGP9.5, PLZF, DAZL의 발현이 거의 비슷한 비율의 세포에서 발견되었으며 세르톨리 세포 마커인 GATA4와 레디히 세포 마커인 LHR를 발현하는 세포를 확인하였다.
실험예 3. 체외 배양된 돼지 정원줄기세포의 특성 분석
상기 실시예에 따라 31 ℃에서 체외 배양된 돼지 정원줄기세포를 RT-PCR 방법을 통해 마커 발현을 확인해 본 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원줄기세포 마커인 PGP9.5와 PLZF의 발현이 5일령 정소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분화된 생식세포의 마커인 KIT의 발현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미분화 마커인 OCT4, NANOG, THY-1의 발현이 정소 조직보다 특이적으로 높게 발현하였으며 레디히 세포 마커인 LHR의 발현은 매우 적게 나타났다.
Western blotting을 이용하여 체외 배양된 돼지 정원줄기세포의 단백질 발현을 확인한 결과,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PGP9.5, PLZF, OCT의 발현이 5일령 그리고 180일령 돼지 정소 조직보다 특이적으로 높게 발현되었다.
또한, 면역 염색을 통해 기존에 알려진 돼지 정원줄기세포 마커인 PGP 9.5와 DBA lectin 발현을 확인한 결과,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돼지정원줄기세포 군집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됨을 확인하였고, 세르톨리 세포 마커인 GATA4와 레디히 세포 마커인 LHR는 발현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1달 이상 체외 배양된 돼지 유래 정원줄기세포주의 염색체를 분석한 결과 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38, XY의 정상 karyotype을 보였으며 염색체의 교차, 손실 또한 발견되지 않았다.
실험예 4. 돼지 정소 세포의 정원줄기세포 군집 형성에 성장인자가 미치는 영향 분석
돼지 정원줄기세포 체외 배양시 성장인자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상기 실시예에서 Stempro 34 배지에 GDNF, bFGF, LIF, EGF의 성장인자를 넣지 않고 1~6일 동안 배양한 결과 콜로니를 생성하지 않고 모든 세포가 fibroblast 형태를 보였다. 반면, 위의 성장인자를 모두 넣은 Stempro 34 배지에서는 배양 5일에 fibroblast 형태의 세포와 30 ㎛ 이상의 콜로니를 생성한 세포가 관찰되었고 6일 이후 콜로니의 크기는 10~50 ㎛로 점점 커졌다(도 8).
또한, GDNF, bFGF, LIF, EGF의 성장인자를 넣지 않은 Stempro 34 배지에서 각각 1~5일 동안 배양하여 콜로니 미생성을 확인한 뒤 성장인자를 모두 넣은 배지로 교체하여 콜로니 생성을 확인한 결과, 성장인자 추가로 인해 콜로니가 형성됨이 관찰되었다(도 9).
실험예 5. 돼지 정소 세포의 정원줄기세포 군집 형성에 성장인자 EGF가 미치는 영향 분석
돼지 정원줄기세포 체외 배양시 EGF 성장인자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상기 실시예에서 Stempro 34 배지에 GDNF, bFGF, LIF, EGF의 성장인자를 제거해 줌으로써 각각의 성장인자가 돼지 정원줄기세포 배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EGF 10 ng/ml이 포함된 성장호르몬의 조합은 배양 9~10일에 50-100 um의 정원줄기세포의 군집을 형성하였으나 EGF가 들어가지 않은 성장호르몬의 조합은 군집의 형성이 이루어지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9~10일 동안 배양된 정원줄기세포의 군집은 모두 Alkline phospahte(AP) 염색에 반응을 보였으며 EGF가 들어가지 않은 배양 조건에서 배양된 일부 세포에서도 AP 염색에 반응을 보였다(도 10).
또한, 돼지 정원줄기세포 체외 배양시 GDNF (10 ug/ml), bFGF (10 ug/ml), LIF (103 IU/ml)가 첨가된 배양 조건에서 EGF의 농도별 첨가에 따른 군집 형성을 확인한 결과, 배양 9~10일에 EGF가 들어가지 않은 조건의 배양 배지에서는 군집 형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일부 세포의 AP 염색 반응을 확인하였다. EGF 1 ng/ml, 5 ng/ml, 10 ng/ml, 50 ng/ml의 첨가 조건에서 9~10일 차에 군집 형성을 확인하였으며 농도가 높을수록 군집의 크기가 커졌다. 또한, EGF의 농도별 배양 조건에서 형성된 모든 군집은 AP 염색 반응에 반응하였다(도 11).
이상, 본 발명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1) 돼지의 정소를 수득하는 단계;
    (2) 상기 수득된 정소 조직에 콜라게나제, DNAse, 콩 트립신 억제제 및 히알루로니다제를 첨가하여 1차 처리한 후, 콜라게나제, DNAse 및 콩 트립신 억제제를 첨가하여 2차 처리하여 정소세포를 분리하는 단계;
    (3) 상기 분리된 정소세포를 상피세포증식인자(EGF, epidermal growth factor)가 함유된 Stempro 34 배지를 이용하여 젤라틴이 코팅된 배양접시에서 배양하되, 31℃ 및 5% CO2 조건에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 및
    (4) 상기 배양된 정소세포로부터 돼지 정원줄기세포를 확인 및 동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피세포증식인자(EGF, epidermal growth factor)가 함유된 배양액을 이용하여 돼지 정원줄기세포를 체외 배양하는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에서 돼지의 정소는 5일령 돼지로부터 수득된 정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정원줄기세포를 체외 배양하는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에서 1차 처리 및 2차 처리는 각각 37 ℃에서 5 내지 10분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정원줄기세포를 체외 배양하는 방법.
  7. 삭제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에서 배양액 조성은 상피세포증식인자와 함께 인슐린-트랜스페린-셀레늄 혼합물, 글루코즈, L-글루타민, NEAA(비필수 아미노산) 용액, 비타민 용액,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혼합물, 소디움 피루베이트, 비타민 C, 락틱 애씨드, 에스트라디올, 프로게스테론, 소 혈청 알부민, 녹아웃 혈청 대체물(knockout serum replacement), FGF(fibroblast growth factor), GDNF(glial cell line-derived neurotrophic factor) 및 LIF(leukemia inhibitory facto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정원줄기세포를 체외 배양하는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액 조성은 25 μg/ml 인슐린-100 μg/ml 트랜스페린-30 nM 셀레늄 혼합물, 6 mg/ml 글루코즈, 2 mM L-글루타민, 1 % NEAA(비필수 아미노산) 용액, 1 % 비타민 용액, 100 U/ml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혼합물, 1 mM 소디움 피루베이트, 0.1 mM 비타민 C, 1 μg/ml 락틱 애씨드, 30 ng/ml 에스트라디올, 60 ng/ml 프로게스테론, 0.2 % 소 혈청 알부민, 1 % 녹아웃 혈청 대체물(knockout serum replacement), 20 ng/ml EGF(epidermal growth factor), 10 ng/ml FGF(fibroblast growth factor), 10 ng/ml GDNF(glial cell line-derived neurotrophic factor) 및 103 U/ml LIF(leukemia inhibitory facto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정원줄기세포를 체외 배양하는 방법.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4)단계에서 정원줄기세포 마커인 PGP9.5 염색을 통해 돼지 정원줄기세포를 확인 및 동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정원줄기세포를 체외 배양하는 방법.















KR1020130156599A 2013-12-16 2013-12-16 돼지 정원줄기세포를 체외 배양하기 위한 배양액 조성물 및 배양방법 KR101590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6599A KR101590615B1 (ko) 2013-12-16 2013-12-16 돼지 정원줄기세포를 체외 배양하기 위한 배양액 조성물 및 배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6599A KR101590615B1 (ko) 2013-12-16 2013-12-16 돼지 정원줄기세포를 체외 배양하기 위한 배양액 조성물 및 배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0496A KR20150070496A (ko) 2015-06-25
KR101590615B1 true KR101590615B1 (ko) 2016-02-03

Family

ID=53517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6599A KR101590615B1 (ko) 2013-12-16 2013-12-16 돼지 정원줄기세포를 체외 배양하기 위한 배양액 조성물 및 배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06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495B1 (ko) * 2016-07-13 2018-07-1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gp9.5 항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포유동물의 정소세포 동정용 조성물
KR20230000033A (ko) * 2021-06-23 2023-01-0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위 세포 배양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uijk, EW. et al. Reproduction, 2009, vol.138, pp.721-73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0496A (ko) 2015-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89902B2 (ja) ヒト胚性幹(hES)細胞からヒト神経前駆細胞を作製する方法、並びに、該方法を利用したニューロンの作製方法、稀突起膠細胞又は星状細胞の作製方法
JP6170103B2 (ja) オートロガス生殖細胞系ミトコンドリアエネルギー移動のための組成物及び方法
CA2864510C (en) Feeder-free method for culture of bovine and porcine spermatogonial stem cells
Moreno et al. Artificial gametes from stem cells
JP2002529070A (ja) 胚性幹細胞
US20050132426A1 (en) Long-term cell culture compositions and genetically modified animals derived therefrom
JP2008201792A (ja) 胚性幹細胞と胚性幹細胞由来の神経前駆細胞
JP2009148294A (ja) 多能性のヒト胚盤胞由来幹細胞株の樹立方法
JP5426073B2 (ja) ヒト胚盤胞由来幹細胞(hBS細胞)のフィーダー支持からフィーダーなしの培養系への効率的な移送方法
Vutyavanich et al. Effect of embryo density and microdrop volume on the blastocyst development of mouse two-cell embryos
KR20120140197A (ko) 정소의 체세포-유래의 다능성 줄기세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발기부전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590615B1 (ko) 돼지 정원줄기세포를 체외 배양하기 위한 배양액 조성물 및 배양방법
JP2007516720A (ja) 胚性幹細胞株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90052542A (ko) 난자의 체외배양을 위한 난포액 대체용 배지 및 이의 이용
EP1293561B1 (en) Monkey-origin embryonic stem cells
Ibtisham et al. The optimized condition for the isolation and in vitro propagation of mouse spermatogonial stem cells
KR101491444B1 (ko) 포유동물의 생식선 줄기세포를 수득하는 방법
KR20150070494A (ko) 돼지 정원줄기세포를 확인 및 동정하는 방법
WO2002031123A1 (en) Stem cells
AU2005200148B2 (en) Embryonic stem cells and neural progenitor cells derived therefrom
KR101593568B1 (ko) 돼지의 cd14를 특이적으로 인식하는 항체 및 이를 이용하여 돼지 정원줄기세포를 확인 및 동정하는 방법
KR101618237B1 (ko) 개의 정원줄기세포를 체외배양하는 방법
KR101491445B1 (ko) 포유동물 정원 줄기세포의 장기 배양방법
CN114369567B (zh) 牛扩展多能性胚胎干细胞的建系方法及培养液
KR101374190B1 (ko) 돼지배아줄기세포 및 돼지 미성숙 난자로부터 돼지배아줄기세포를 제조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