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2830B1 - 가변식 적재대가 구비된 손수레 - Google Patents

가변식 적재대가 구비된 손수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2830B1
KR101002830B1 KR1020100070708A KR20100070708A KR101002830B1 KR 101002830 B1 KR101002830 B1 KR 101002830B1 KR 1020100070708 A KR1020100070708 A KR 1020100070708A KR 20100070708 A KR20100070708 A KR 20100070708A KR 101002830 B1 KR101002830 B1 KR 101002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gear
gear
loading table
rail
carg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0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병길
Original Assignee
황병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병길 filed Critical 황병길
Priority to PCT/KR2010/00809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1059297A2/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2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2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1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 B62B1/14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3/0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 B62B2203/2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using forks or tines
    • B62B2203/24Changing the position of the fork or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식 적재대가 구비된 손수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변식 적재대가 구비된 손수레에 있어서, 상부에 손잡이가 구성되는 고정 프레임; 고정 프레임의 하부에 구성되며, 좌우로 슬라이딩 되도록 레일돔이 형성되어 화물의 하역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적재대; 상기 적재대의 측방에 위치하는 완충바퀴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적재대의 일면을 관통하는 유동축과, 이 유동축을 감싸도록 구성되어 화물 이동시 발생 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완충수단; 및 상기 레일돔과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 되는 가이드 레일과, 레일돔에 결합 되는 복수의 랙 기어부와, 이 랙 기어부와 기어 이 물림 되며, 회전 손잡이가 구성되는 평 기어부를 포함하는 가이드 어셈블리; 상기 랙 기어부 및 평 기어부에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레일돔이 슬라이딩 되도록 장공이 형성된 가이드 케이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적재대가 구비된 손수레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가변식 적재대가 구비된 손수레{Variable Type Load Table Having Handcart}
본 발명은 가변식 적재대가 구비된 손수레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가이드 어셈블리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는 적재대로 하여금 화물을 손수레로 매우 용이하고 간편하게 적재시키거나, 내려놓을 수 있도록 하고, 화물이 적재되는 적재대를 가이드 시키는 가이드 어셈블리가 기어 이 물림으로 구성되어 적은 힘으로, 많은 양의 화물을 간편하게 적재시키거나, 내려놓을 수 있어 작업자의 피로감을 현저하게 저하할 수 있는 가변식 적재대가 구비된 손수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손수레에 있어서, 리어카형태의 손수레는 형태와 규격이 다양한 화물을 같이 실을 수 있는 반면 직립형손수레는 무게중심이 사용자와 가깝기 때문에 다루기가 용이하고, 손수레 양쪽 측면이 개방되어있어,형태나 규격이 일정한 화물 즉, 각종 건축자재, 박스포장된 각종 공장생산품, 플라스틱상자, 곡물포대 등을 손으로 싣고 내리기가 편해 운반작업에 많이 쓰이고 있다. 직립형손수레에 화물받침대를 사용하게 되면, 화물이 적재된 화물받침대 하부공간에 적재대를 넣고 손수레를 뒤로 젖혀 화물받침대를 손수레에 적재하고 그 역순으로 화물받침대를 내리게 되어, 작업능률이 향상되고 작업자가 편하게 작업하게 된다. 그럼에도, 화물받침대초기제작비, 회수, 이동시, 보관, 망실로 인한 지속적인 제작비용 등, 관리의 어려움으로 인해 사용을 기피하고 작업자가 손으로 싣고 내리는 실정이다.
이에 대응코자, 지렛대원리를 이용하여 화물을 밀어서 내리는 손수레가 십 여년 전에 개시된바 있어나 화물과 적재대, 적재대와 지면,과의 마찰력으로 인해 사용하기가 힘들고 어려움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손수레는 경량이면서 일체로 이뤄진 화물을 내릴 때는 효과가 있어나 다 단으로 쌓은 상태로 작업자 힘의 한계 이상의 화물을 내릴 때는 화물이 무너지거나 화물을 밀어낼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손수레로 중량의 화물을 지면에 안착시킬 때는 지면과의 충격을 피하기 위해 작업자가 손수레의 발디딤 판을 딛고 체중을 이용하여 서서히 손잡이를 앞으로 젖혀 손수레를 지면에 안착시키는데, 이때 힘이 약한 작업자나 장시간 작업으로 지쳤을 때 혹은 작업자의 부주의로 손수레와 화물에 손상을 주는 일이 있고, 화물을 싣거나 내릴 때는 적절한 수단이 없어 인력으로 일일이 화물을 싣거나 내려야만 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이드 어셈블리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는 적재대로 하여금 화물을 손수레로 매우 용이하고 간편하게 적재시키거나, 내려놓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물이 적재되는 적재대를 가이드 시키는 가이드 어셈블리가 기어 이 물림으로 구성되어 적은 힘으로, 많은 양의 화물을 간편하게 적재하거나, 내려놓을 수 있어 작업자의 피로감을 현저하게 낮추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가변식 적재대가 구비된 손수레에 있어서, 상부에 손잡이가 구성되는 고정 프레임; 고정 프레임의 하부에 구성되며, 좌우로 슬라이딩 되도록 레일돔이 형성되어 화물의 하역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적재대; 상기 적재대의 측방에 위치하는 완충바퀴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적재대의 일면을 관통하는 유동축과, 이 유동축을 감싸도록 구성되어 화물 이동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완충수단; 및 상기 레일돔과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 되는 가이드 레일과, 레일돔에 결합 되는 복수의 랙 기어부와, 이 랙 기어부와 기어 이 물림 되며, 회전 손잡이가 구성되는 평 기어부를 포함하는 가이드 어셈블리; 상기 랙 기어부 및 평 기어부에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레일돔이 슬라이딩 되어 이동할 수 있는 공간과 스토퍼조작손잡이의 이동로가 형성된 가이드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적재대가 구비된 손수레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랙 기어부는 상기 손수레로부터 우측에 위치하는 적재대에 형성된 레일돔과 결합되며, 상기 평 기어부와 이물림되는 제1랙기어; 및 상기 제1랙기어와 평행하게 위치하되, 좌측에 위치하는 적재대에 형성된 레일돔과 결합되며, 상기 평 기어부와 이물림되는 제2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적재대가 구비된 손수레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랙기어부는 상기 손수레로부터 좌측에 위치하는 적재대에 형성된 레일돔과 결합 되며,상기 평기어부와 이 물림 되는 제1랙기어; 및 상기 제1랙기어와 평행하게 위치하되, 우측에 위치하는 적재대에 형성된 레일돔과 결합 되며 상기 평기어부와 이 물림 되는 제2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적재대가 구비된 손수레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평 기어부는 상기 제2랙기어와 이 물림 되며, 회전 손잡이가 구성되어 상기 제2랙기어를 작동시키는 제1평기어; 상기 제1평기어의 전방에 형성되되, 상기 제1랙 기어와 이 물림 되지 않는 제2평기어; 및 상기 제2평기어와 제1랙기어에 이 물림 되어 제1평기어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1랙기어를 작동시키는 제3평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적재대가 구비된 손수레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적재대는 평평한 패널의 중앙으로 수직된 패널이 결합 되어 'ㅗ'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완충수단이 외 측에 구성되며, 상기 레일돔이 랙 기어부와 결합 되도록 형성되는 받침판; 받침판 후방에 연결되어 가이드 어셈블리와 연결되는 레일돔; 상기 받침판의 내측에 일정 각도만큼 경사지게 형성하여 화물과 경사판의 마찰력을 줄여 화물을 적재시키거나, 내려놓는 경사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적재대가 구비된 손수레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적재대는 상기 가이드 어셈블리와 연결되는 레일돔과, 완충수단이 구성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되어 회전에 의해 화물을 내려놓는 회전판; 상기 고정판의 내측에 구성되어 회전판이 회전할 때 마찰력이 발생 되는 마찰본체와, 상기 회전판에 구성되어 이 회전판의 회전시 상기 마찰본체와 접촉되도록 관통하여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마찰부재를 포함하는 마찰력 제공수단; 및 상기 고정판과 회전판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되도록 하는 회전축과, 이 회전축의 단부에 구성되어 상기 가이드 어셈블리의 작동에 따라 상하로 회전 가능하도록 랙 기어부의 제1랙기어와 제2랙기어에 각각 이물림되는 회전기어로 이루어진 회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적재대가 구비된 손수레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적재대에는 상기 적재대가 좌우로 이동할 때 상기 레일돔과 결합 되며, 이 적재대의 회전판이 회전할 때, 랙 기어부와 레일돔의 결합을 해제하는 고정수단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적재대가 구비된 손수레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적재대는 상기 가이드 어셈블리와 연결되는 레일돔과, 완충수단이 구성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화물을 내려놓는 회전판; 상기 가이드 어셈블리의 가이드 케이스 상부 양측에 각각 구성되는 회전 랙기어; 및 적재대의 상부에 구성되어 상기 고정판과 회전판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되도록 하는 회전축과, 이 회전축의 단부에 구성되어 상기 가이드 어셈블리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적재대가 좌우로 이동할 때, 상하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 랙기어와 이 물림 되는 회전기어로 이루어진 회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적재대가 구비된 손수레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가이드 어셈블리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는 적재대로 하여금 화물을 손수레로 매우 용이하고 간편하게 적재시키거나, 내려놓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화물이 적재되는 적재대를 가이드 시키는 가이드 어셈블리가 기어 이 물림으로 구성되어 적은 힘으로, 많은 양의 화물을 간편하게 적재시키거나, 내려놓을 수 있어 작업자의 피로감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변식 적재대가 구비된 손수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변식 적재대가 구비된 손수레의 가이드 어셈블리를 나타낸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변식 적재대가 구비된 손수레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변식 적재대가 구비된 손수레의 가이드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변식 적재대가 구비된 손수레의 가이드 어셈블리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가변식 적재대가 구비된 손수레의 가이드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가변식 적재대가 구비된 손수레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의 가변식 적재대가 구비된 손수레의 가이드 어셈블리를 구동시키는 구동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변식 적재대가 구비된 손수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변식 적재대가 구비된 손수레의 가이드 어셈블리를 나타낸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변식 적재대가 구비된 손수레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변식 적재대가 구비된 손수레는 화물의 무게를 지지하고, 고정시키는 고정 프레임(110), 고정 프레임(110)의 상부에 구성되어 작업자가 손수레를 사용하기 위해 파지하는 손잡이(120), 고정 프레임(110)의 하부에 구성되며, 좌우로 슬라이딩되어 화물의 하역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적재대(130) 및 이 적재대(130)를 슬라이딩시키는 가이드 어셈블리(150), 상기 랙 기어부 및 평 기어부에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케이스(156)로 구성된다.
여기서, 적재대(130)는 화물의 적재가 이루어지는 구성요소로서, 고정 프레임(110)의 하부에 구성되는 가이드 어셈블리(150)와 연결 구성되되, 화물적재가 가능한 형태로 고정 프레임(110)의 내측으로부터 외 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연결된다.
이러한 적재대(130)는 완충수단(140)이 구성된 완충바퀴(142)가 설치되는 받침판(134)과, 이 받침 판(134)으로부터 일정 각도만큼 경사지게 결합 되어 화물이 적재되거나, 내려지는 경사판(132) 및 받침판(134)의 후방에 연결되어 가이드 어셈블리(150)와 연결되는 레일돔(13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받침판(134)은 평평한 패널의 중앙으로 수직 된 패널이 결합 되는 것으로서, 그 단면의 형상이 대략적인 'ㅗ'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수직 한 패널을 중심으로 외측에 위치하는 받침판(134)에 완충수단(140)이 구성되며, 내측으로 형성되는 받침판(134)과 수직 한 패널이 경사판(132)과 고정 결합 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경사판(132)은 고정 프레임(110)의 외 측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일정 각도만큼 기울어지게 형성하면, 화물과 경사판의 마찰력이 최소화되고, 따라서, 지면에 위치하는 화물을 용이하게 적재시키거나, 내려놓을 수 있게 된다. 경사판 단면이, 수직 한 패널의 하단에 내측으로 직교 되는 형태 즉, 'ㄴ' 형태에 가까울수록 적재에 유리하고 보다 멀수록 화물을 내리는데 유리하다 하겠다.
즉, 지면에 위치하는 화물을 적재시킬 때에는 후술하게 될 가이드 어셈블리(150)의 작동에 따라 적재대(130)가 고정 프레임(110)의 외 측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적재대(130)와 적재대(130) 사이에 화물이 위치할 수 있도록 하고, 재차 가이드 어셈블리(150)를 작동시켜 이 적재대(130)가 고정 프레임(110)의 내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하면, 경사판(132)의 하부부터 화물이 접하게 되면서, 이 경사판(132)을 따라 상향 이동하게 된다.
이는, 종래의 작업자가 직접 화물을 적재대(130)의 상측으로 적재시키던 구조를 가이드 어셈블리(150)의 작동만으로도 화물의 적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매우 편리하고, 용이하게 화물의 적재를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받침판(134)의 외 측에 구성되는 완충수단(140)은 적재대의 측방에 위치하는 완충바퀴(142),완충바퀴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받침판(134)을 관통하는 유동축(144) 및 유동축(144)을 감싸도록 구성되어 화물 이동과 안착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적재대(130)에 적재된 화물이 흐트러지거나, 적재대(13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프링(14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완충바퀴(142)는 화물을 내릴 때 지면과 적재대(130)의 마찰력을 줄여 적재대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도 있으므로,화물을 싣고 이동시, 바퀴(160)만 주로 사용한다면, 적재대 이동방향으로만 작동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가이드 어셈블리(150)는 레일돔(136)과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 되는 가이드 레일(157), 가이드 레일(157)의 상측면에 서로 이격되게 구비되어 레일돔(136)에 결합되는 복수의 랙 기어부(152), 이 랙 기어부(152)와 기어 이 물림 되는 평 기어부(154)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랙 기어부(152)는 가이드 레일(157)과 슬라이딩 되는 레일돔(136)의 상측부와 결합되어 레일돔(136)과 함께 슬라이딩 되는 것으로서, 적재대(130)와 인접하게 위치하며, 이 적재대(130)의 후방을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하는 적재대(130)에 형성된 레일돔(136)과 결합되는 제1랙기어(252)와, 이 제1랙기어(252)와 평행하게 위치하되 좌측에 위치하는 적재대(130)에 형성된 레일돔(136)과 결합되는 제2랙기어(254)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와는 반대로 제1랙기어(252)를 좌측 적재대의 레일돔과 결합하고 제2랙기어(254)를 우측 적재대의 레일돔과 결합해도 기능과 효과는 변함없고 다만 제1평기어(262) 회전시 적재대 이동방향만 바뀔 뿐이다.
평 기어부(154)는 랙 기어부(152)와 이 물림 되며, 회전 손잡이(155)가 구성되어 이 회전 손잡이(155)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력을 랙 기어부(152)로 전달하는 것으로서, 제2랙기어(254)와 이 물림 되는 제1평기어(262), 이 제1평기어(262)의 전방으로 구성되며, 제1랙기어(252)와 이 물림 되지 않도록 작은 형태로 구성되는 제2평기어(264), 제2평기어(264)와 제1랙기어(252)에 이 물림 되어 제1평기어(262)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을 제1랙기어(252)로 전달하는 제3평기어(266)로 이루어진다. 또한, 가이드 케이스(156)에는 평기어부와 스토퍼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적재대의 레일돔이 가이드 레일(157)에 슬라이딩 되게 설치되고, 적재대(130)와 연결되는 레일돔(136)의 원활한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도록 적재대 이동통로공간이 형성되며,스토퍼조작손잡이의 이동통로공간이 형성된다. 양측으로 바퀴(160)가 구성된다.
이와 같은 가이드 어셈블리(150)는 적재대(130)에 화물을 적재시키기 위해 이 적재대(130)를 양측으로 벌어지도록 하기 위해서 회전 손잡이(155)를 시계 방향으로 작동시키면, 이 회전 손잡이(155)가 연결된 제1평기어(262)가 회전하면서 제2랙기어(254)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때, 제2랙기어(254)와 결합된 좌측에 위치하는 적재대(130)의 레일돔(136)과 함께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좌측에 위치하는 적재대(130)가 손수레의 중앙 측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1평기어(262)에 연장되는 제2평기어(264)와 이 물림 되는 제3평기어(266)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 제3평기어(266)와 이 물림 되어 있는 제1랙기어(252)가 작동하면서, 우측에 위치하는 적재대(130)를 작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회전 손잡이(155)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평기어(262)와 제3평기어(266)의 회전 방향이 달라지면서,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형성된 적재대(130)가 최초의 상태 즉, 적재대(130)가 손수레의 중앙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복원되는 것이다. 한편, 도 3에서 도시된 바는 없지만 본 발명의 가이드 어셈블리(150)에는 평 기어부(154)와 랙 기어부(152)가 적재대(130)에 적재된 화물의 무게에 의해 회전하여 적재대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미도시)가 제1평기어(262)에서 작동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손수레는 가이드 어셈블리(150)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는 적재대(130)로 인하여 화물을 손수레로 매우 용이하고 간편하게 적재시키거나, 내려놓을 수 있고, 특히 화물이 적재되는 적재대(130)를 가이드시키는 가이드 어셈블리(150)가 기어 이 물림으로 구성되어 적은 힘으로, 많은 양의 화물을 간편하게 적재시키거나, 내려놓을 수 있어 작업자의 피로감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는 발명이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손수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변식 적재대가 구비된 손수레의 가이드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변식 적재대가 구비된 손수레의 가이드 어셈블리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변식 적재대가 구비된 손수레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손잡이(120), 고정 프레임(110), 완충수단(140), 적재대(230) 및 가이드 어셈블리(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다만 적재대(230)가 좌, 우로 이동하는 것뿐만 아니라, 상,하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적재대(230)는 제 1 실시예와 같이, 가이드 어셈블리(150)의 가이드 레일(137)과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되는 레일돔(136)과, 완충수단(140)이 구성되어 있으며, 이와 더불어 고정판(310), 회전판(320), 회전수단(330), 마찰력 제공수단(3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고정판(310)은 레일돔(136), 완충수단(140) 및 마찰력 제공수단(340)의 마찰본체(342)가 고정판(310)에 결합된다.
회전판(320)은 적재대(23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화물이 일정량 적재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고정판(310)과 회전판(320)은 회전수단(33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되며, 특히 마찰력 제공수단(340)의 마찰부재(344)를 통해 회전판이 화물의 하중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회전수단(330)은 고정판(310)과 회전판(32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되도록 결합 매개체인 회전축(332)과, 이 회전축(332)의 단부에 구성되며, 랙 기어부(152)와 이 물림 되어 랙 기어부(152)의 작동시, 선택적으로 회전판(320)을 회전시키는 회전기어(33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회전기어(334)는 적재대(230)의 상부 양측에 구성되는 회전축(332)에 각각 연결되되, 우측에 구성된 회전판(320)을 회전시키는 회전기어(334)는 제1랙기어(252)와 이 물림 되고, 또한 좌측에 구성된 회전판(320)을 회전시키는 회전기어(334)는 제2랙기어(254)와 이 물림 되어 제1평기어(262)의 작동에 따라,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성된 회전판을 동시에 회전시키는 것이다.
마찰력 제공수단(340)은 고정판(310)에 구성되며, 회전판(320)이 회전할 때, 마찰력을 발생시켜 이 회전판(320)이 적재된 화물의 하중에 의해 급격하게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찰본체(342)와, 회전판(320)에 구성되며, 마찰본체(342)를 관통하여 이 마찰본체(342)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소정의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마찰부재(3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손수레의 가이드 어셈블리(150)에는 랙 기어부(152)와 적재대(230)의 레일돔(136)을 결합시키는 매개체로서, 고정수단(350)이 구성된다.
이와 같은 고정수단(350)은 적재대(230)의 좌우 이동시에는 랙 기어부(152)를 관통하여 적재대(230)의 레일돔(136)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이 랙 기어부(152)와 레일돔(136)을 고정시켜 평 기어부(154)의 작동에 따라 제 1 실시 예처럼 적재대를 좌우로 이동하여 화물의 크기에 대응한 다음 화물을 적재하고 목적지에 이동한다.
이동이 완료되면, 랙 기어부(152)와 레일돔(136)의 고정을 해제함으로써, 평 기어부(154)의 작동에 따라 랙 기어부(152)만 레일돔 위에서 작동되도록 한다.
즉, 고정수단(350)이 레일돔(136)으로부터 고정이 해제되어 레일돔(136)과 랙 기어부(152)간의 결속력이 없게 되므로, 적재대(230)는 좌우로 이송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랙 기어부(152)의 작동에 따라 이 랙 기어부(152)와 이 물림 되어 있는 회전기어(332)가 동시에 작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좌우 회전판(320)도 고정판(310)으로부터 동시에 회전하여 화물을 내리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손수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가변식 적재대가 구비된 손수레의 가이드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가변식 적재대가 구비된 손수레의 이송 어셈블리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가변식 적재대가 구비된 손수레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가변식 적재대가 구비된 손수레는 제 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손잡이(120), 고정 프레임(110), 완충수단(140), 적재대(230) 및 가이드 어셈블리(150)를 포함하여 가이드 케이스가 더 구성되며, 적재대(430)가 좌, 우로 이동하면서 상,하로 동시에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회전 랙기어(410)가 가이드 케이스(156)의 상측에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 3 실시예에 따른 적재대(430)는 회전판(320)이 상,하로 회전할 수 있도록 그 상부에 회전축(332) 및 회전기어(334)로 이루어진 회전수단(330)을 구성하고, 하부에는 적재대(430)의 좌,우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랙 기어부(152)와 결합되는 레일돔(136)을 형성한다.
또한, 가이드 케이스(156)의 상부에는 평 기어부(154)와 랙 기어부(152)의 작동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는 적재대(430)에 의해 회전기어(334)가 회전할 수 있도록 이 물림 되는 회전 랙기어(41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손수레는 가이드 어셈블리(150)의 회전 손잡이(155)를 작동으로 평 기어부(154)를 회전시키면,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적재대(430)가 좌우로 이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적재대(430)의 상부에 구성된 회전수단(330)의 회전기어(334)가 가이드 케이스(156)의 상부에 구성된 회전 랙기어(410)와 이 물림 되면서 회전하여 적재대(430)의 회전판(320)을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회전기어(334)와 회전 랙기어(410) 간의 기어 이 물림에 의해 회전되는 방식으로 회전판(320)이 화물로부터 전해지는 하중을 더욱 용이하게 견딜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제 2 실시예에 구성된 마찰력 제공수단(340)과 함께 회전판(320)이 화물의 하중으로부터 최대한 견딜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제2실시예와 제3실시예 보다 더 완벽한 회전판 통제를 위해서는 제1실시 예처럼 제1평기어를 스토퍼로 단속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한편,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이드 어셈블리(150)에는 적재대(130)의 간편하고 용이한 이송을 위해 랙 기어부(152)와 이 물림 되는 평 기어부(154)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동력 전달장치(17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동력 전달장치(170)는 평 기어부(154)의 제1평기어(262)와, 고정 프레임(110)의 상부에 각각 체인(172)이 연결된 구동 스프라켓(174)을 구성하고, 이 구동 스프라켓(174)을 회전시키는 회전 손잡이(155)를 고정 프레임(110)측에 구성된 구동 스프라켓(174)에 연결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더욱 편리하게 가이드 어셈블리(150)를 작동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고정 프레임 120: 손잡이
130: 적재대 132: 경사판
134: 받침판 136: 레일돔
140: 완충수단 142: 완충바퀴
144: 유동축 146: 스프링
150: 가이드 어셈블리 152: 랙 기어부
154: 평 기어부 155: 회전 손잡이
156: 가이드 케이스 157: 가이드 레일
160: 바퀴 252: 제1랙기어
170:동력전달장치 172:체인
174:구동스프라켓
254: 제2랙기어 262: 제1평기어
264: 제2평기어 266: 제3평기어
310: 고정판 320: 회전판
330: 회전수단 332: 회전축
334: 회전기어 340: 마찰력 제공수단
342: 마찰본체 344: 마찰부재
350: 고정수단 410: 회전 랙기어

Claims (13)

  1. 가변식 적재대가 구비된 손수레에 있어서,
    상부에 손잡이가 구성되어 화물을 지지하는 고정 프레임;
    고정 프레임의 하부에 구성되며, 적재대 폭 방향으로 각각 슬라이딩 되도록 레일돔이 형성되어 하역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한 쌍의 적재대;
    상기 적재대의 레일돔과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 되는 가이드 레일과, 적재대의 레일돔에 결합 되는 복수의 랙 기어부와, 이 랙 기어부는
    상기 손수레로부터 우측에 위치하는 적재대의 레일돔과 결합하여 평 기어부와 이 물림 되는 제1랙기어 및
    좌측에 위치하는 적재대의 레일돔과 결합하여 평 기어부와 이 물림 되는 제2랙기어, 이 랙 기어부와 기어 이 물림 된 평 기어부의 손잡이로 하여금 상기 적재대의 위치를 가변시켜 화물을 내리게 하는 가이드 어셈블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적재대가 구비된 손수레.
  2.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대는, 평평한 패널의 중앙으로 수직 한 패널이 결합 되어 'ㅗ'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레일돔이 랙 기어부와 결합 되도록 형성되는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내측에 일정 각도만큼 경사지게 형성되며, 화물을 적재시키거나, 내려놓는 경사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적재대가 구비된 손수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대는, 상기 가이드 어셈블리와 연결되는 레일돔이 형성된 고정판; 상기 고정판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되어 회전에 의해 화물을 내려놓는 회전판; 가이드 케이스 상부 양측에 각각 구성되는 회전 랙기어; 및 적재대의 상부에 구성되어 상기 고정판과 회전판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되도록 하는 회전축과, 이 회전축의 단부에 구성되어 상기 가이드 어셈블리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적재대가 좌우로 이동할 때, 상하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 랙기어와 이 물림 되는 회전기어로 이루어진 회전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적재대가 구비된 손수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대는, 상기 가이드 어셈블리와 연결되는 레일돔이 형성된 고정판; 상기 고정판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되어 회전에 의해 화물을 내려놓는 회전판;
    상기 고정판과 회전판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되도록 하는 회전축과, 이 회전축의 단부에 구성되어 상기 가이드 어셈블리의 작동에 따라 상하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랙 기어부의 제1랙기어와 제2랙기어에 각각 이 물림 되는 회전기어로 이루어진 회전수단;
    상기 적재대가 이동할 때 랙기어부와 상기 레일돔과 결합 되며, 이 적재대의 회전판이 회전할 때, 랙 기어부와 레일돔의 결합을 해제하는 고정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적재대가 구비된 손수레.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손수레로부터 우측에 위치하는 적재대의 레일돔과 결합 된 상기 제1랙기어 와 좌측에 위치하는 적재대의 레일돔과 결합된 상기 제2랙기어는 서로 평행 되게 위치하며,
    상기 평 기어부는
    상기 제2랙기어와 이 물림 되며, 회전 손잡이가 구성되어 상기 제2랙기어를 작동시키는 제1평기어;
    상기 제1평기어의 전방에 형성되되, 상기 랙 기어부와 이 물림 되지 않는 제2평기어; 및
    상기 제2평기어와 제1랙기어에 이 물림 되어 제1평기어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 1랙기어를 작동시키는 제3평기어;
    상기 랙 기어부 및 평 기어부에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적재대가 슬라이딩 되도록 적재대 이동통로공간이 형성되고, 스토퍼조작손잡이 이동통로공간이 형성된 가이드케이스;
    상기 적재대의 측방에 위치하는 완충바퀴와, 적재대의 일면을 관통하는 유동축과, 이 유동 축을 감싸도록 구성되어 화물이동과 안착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완충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적재대가 구비된 손수레.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의 내측에 구성되어 회전판이 회전할 때 마찰력이 발생 되는 마찰본체와, 상기 회전판에 구성되어 이 회전판의 회전시 상기 마찰본체와 접촉 되도록 관통하여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마찰부재를 포함하는 마찰력 제공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적재대가 구비된 손수레.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어셈블리에, 화물의 하중으로 인해 적재대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 할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적재대를 구비한 손수레.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어셈블리에는 적재대의 간편하고 용이한 이송을 위해 평 기어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동력 전달장치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적재대가 구비된 손수레.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장치는 평 기어부의 제1평기어와, 고정 프레임의 상부에 각각 체인이 연결된 구동 스프라켓과, 이 구동 스프라켓을 회전시키는 회전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적재대가 구비된 손수레.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00070708A 2009-11-16 2010-07-22 가변식 적재대가 구비된 손수레 KR101002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0/008099 WO2011059297A2 (ko) 2009-11-16 2010-11-16 가변식 적재대가 구비된 손수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0227 2009-11-16
KR20090110227 2009-11-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2830B1 true KR101002830B1 (ko) 2010-12-21

Family

ID=43513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0708A KR101002830B1 (ko) 2009-11-16 2010-07-22 가변식 적재대가 구비된 손수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02830B1 (ko)
WO (1) WO2011059297A2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953B1 (ko) 2013-09-16 2014-05-07 주식회사 삼덕티엘에스 정밀설비물류용 적재판이동식 안전운반트롤리
CN104085431A (zh) * 2014-07-08 2014-10-08 池上剑 一种具有固定装置的运输车
CN106627680A (zh) * 2016-11-17 2017-05-10 绥阳县吉帮昌盛金银花农业科技有限公司 金银花育苗盆的传输装置
CN108109672A (zh) * 2018-02-06 2018-06-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调整装置和承载设备
CN108749895A (zh) * 2018-06-05 2018-11-06 江北建设有限公司 一种用于建筑物顶面绿化的建筑装置
CN110053692A (zh) * 2019-04-30 2019-07-26 武汉科技大学 一种新型多功能滑板车
CN112722019A (zh) * 2018-12-27 2021-04-30 潘燕瑜 一种道桥工程中建筑材料的搬运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03896B4 (de) 2018-02-21 2020-06-04 Dematic Gmbh Vorrichtung zum Abheben eines oder mehrerer Artikel von einem Rollenförderer
CN111483502A (zh) * 2020-06-15 2020-08-04 苏州功百精密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转运推车
CN112890843A (zh) * 2021-03-24 2021-06-04 苏州润迈德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冠状动脉分析系统及操作方法
KR102318845B1 (ko) * 2021-06-23 2021-10-29 이봉주 박스 운반장치
CN114056407B (zh) * 2021-11-23 2024-05-03 襄阳市政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楼房建筑用砖块运送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6852A (ja) * 1999-05-19 2000-11-28 Kazuhiro Narisei 運搬用機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32559A (en) * 1975-05-14 1976-11-17 Sumitomo Electric Ind Ltd Cart for transporting drum
JPH0321325Y2 (ko) * 1985-07-01 1991-05-09
JP3005566U (ja) * 1994-01-13 1995-01-10 晴雄 北村 縦磨き用歯ブラシ
KR0115124Y1 (ko) * 1995-03-08 1998-04-16 박정표 손수레
KR200263363Y1 (ko) * 2001-01-18 2002-02-04 박상록 물품운반용 손수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6852A (ja) * 1999-05-19 2000-11-28 Kazuhiro Narisei 運搬用機器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953B1 (ko) 2013-09-16 2014-05-07 주식회사 삼덕티엘에스 정밀설비물류용 적재판이동식 안전운반트롤리
CN104085431A (zh) * 2014-07-08 2014-10-08 池上剑 一种具有固定装置的运输车
CN106627680A (zh) * 2016-11-17 2017-05-10 绥阳县吉帮昌盛金银花农业科技有限公司 金银花育苗盆的传输装置
CN108109672A (zh) * 2018-02-06 2018-06-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调整装置和承载设备
CN108749895A (zh) * 2018-06-05 2018-11-06 江北建设有限公司 一种用于建筑物顶面绿化的建筑装置
CN112722019A (zh) * 2018-12-27 2021-04-30 潘燕瑜 一种道桥工程中建筑材料的搬运装置
CN110053692A (zh) * 2019-04-30 2019-07-26 武汉科技大学 一种新型多功能滑板车
CN110053692B (zh) * 2019-04-30 2021-03-26 武汉科技大学 一种新型多功能滑板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59297A2 (ko) 2011-05-19
WO2011059297A3 (ko) 2011-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2830B1 (ko) 가변식 적재대가 구비된 손수레
US6102647A (en) Cart for transferring objects
KR100671315B1 (ko) 유리판 반송 팔레트
KR101309226B1 (ko) 핸드 카트
KR101707202B1 (ko) 자동 이송대차
JP6745957B1 (ja) ボンベ搬送用台車及び自動搬送システム
JP3226266B2 (ja) ロック機構付底開閉式ボックスコンテナ
JP6995236B1 (ja) ガス容器搬送用台車
CA2708632A1 (en) Mobile drawer storage system
WO2016015652A1 (zh) 手推车
JP5348398B2 (ja) 自動搬送装置
US20110064550A1 (en) Remote Hopper Release
KR102480405B1 (ko) 상용차량용 중량물 상하차 장치
KR101421430B1 (ko) 주행 직진성이 향상된 중량물 운반대차
JP2011178345A (ja) 傾斜台車
JP3186284U (ja) 荷台傾斜装置
JP6105306B2 (ja) 搬送装置
JP6070074B2 (ja) ストッパ装置及び自動倉庫
KR20100130790A (ko) Lng 선박의 단열 패널 이송용 카트
KR101809632B1 (ko) 리프트 캐리어
CN220226297U (zh) 一种幕墙单元板块运输装置
JPH09301184A (ja) ピッキング又は仕分け用のカート、装置及び台車
TW201900466A (zh) 具有拉手柄式折疊結構的托板搬運裝置
JP4432109B2 (ja) 運搬車の安全搬出システム
JPH06183477A (ja) パレ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