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8845B1 - 박스 운반장치 - Google Patents

박스 운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8845B1
KR102318845B1 KR1020210081224A KR20210081224A KR102318845B1 KR 102318845 B1 KR102318845 B1 KR 102318845B1 KR 1020210081224 A KR1020210081224 A KR 1020210081224A KR 20210081224 A KR20210081224 A KR 20210081224A KR 102318845 B1 KR102318845 B1 KR 102318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andle
fixed
box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1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봉주
김정순
Original Assignee
이봉주
김정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봉주, 김정순 filed Critical 이봉주
Priority to KR1020210081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88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8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8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supports specially adapted to objects of definite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6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 B62B5/067Stowable or retractable handle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ype or characteristics of transported articles
    • B62B2202/12Boxes, C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6/00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 B62B2206/02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adjustable in length or width
    • B62B2206/04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adjustable in length or width only the load support being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스 운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 면적의 평판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플레이트; 정면과 양측면 하단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외주연 단부를 따라 접합 고정되도록 하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일정 높이를 이격시켜 바닥판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바닥판의 정면측 단부는 수직으로 상향 절곡시켜 일정 높이로서 정면판을 형성하며, 상기 정면판의 외측면에는 파지용 손잡이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고정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바닥판 사이에는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평판의 슬라이드판을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드판의 후면측 단부는 수직으로 상향 절곡시켜 일정 높이로서 후면판을 형성하며, 상기 후면판의 외측면에는 파지용 손잡이가 외축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가동 플레이트;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고정되는 일측 하단부에 고정되게 하여 일정 높이로 형성되는 고정판에 대해 가동 플레이트측으로 슬라이드 이동 조절이 가능하게 이동판이 형성되도록 하는 이탈 방지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에서 사방의 코너측으로 수평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이동 바퀴; 전방측으로 개방되는 내부가 빈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에서 폭 중간 부위를 따라 부착되는 손잡이 보관함; 상기 손잡이 보관함의 양측으로 구비되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삽입과 인출이 가능하도록 하여 화물을 밀고 당겨 이동시키도록 하는 운반용 손잡이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Description

박스 운반장치{Box carrier}
본 발명은 박스 운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박스 폭에 맞춰 간격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양측의 파지용 손잡이를 이용해서 중소형 박스를 들고 이동이나 운반할 수가 있고, 운반용 손잡이와 이동 바퀴를 이용해서는 대형 박스와 중량체 화물을 보다 쉽고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박스 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박스는 속이 빈 직육면체 형상의 것으로, 물품의 운송, 보관, 판매, 소비 전 과정에 이용되며, 마트, 택배 등 물류나 유통업 전반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 택배 물량의 급팽창으로 박스 수요가 대폭 증가하여 박스를 취급하는 택배기사 등 물류나 유통업 종사자들은 반복적인 상하차와 운반 등으로 인하여 근골격계 질환을 호소하고 있으며, 근골격계 질환으로 병원 치료를 받은 대형마트 노동자도 69.3%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한편 박스에 손잡이를 타공하여 손잡이를 형성하면, 들기지수가 10~40% 정도 감소되는 효과가 있어 근로자들은 손잡이 설치를 요구하나, 손잡이구멍 타공에 따른 재질 및 공정 추가에 따른 비용 상승, 포장 훼손, 내용물 오염 등의 문제가 있어 손잡구멍이 타공된 박스는 한정적으로만 이용되고 있다.
나아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665조에서는, 근로자가 5kg 이상의 중량물을 취급하는 경우, 손잡이를 붙이거나 갈고리, 진공빨판 등 적절한 보조도구를 비치할 것을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박스를 들고 나르기 위한 변변한 박스용 도구가 없는 것이 현재의 실정이다.
등록특허 제2154584호(2020.09.04.)의 운반용 손잡이에서는 물품이 안착되는 안착부와, 이 안착부 일단에서 물품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지지부와, 안착부 또는 지지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파지부와, 물품을 가압하는 고정부재가 형성되는 고정부로 이루어지는 구성이 제안된 바 있다.
즉, 종래 기술에서는 박스에 별도로 손잡이를 타공하거나 설치하지 않고도 박스을 용이하고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하지만, 종래기술에서의 운반용 손잡이에서는 고정부에 의해서 운반할 물품에 손상을 가하게 될 뿐만 아니라 벨트를 사용하지 않으면 물품 운반을 할 수가 없으며, 반드시 한 쌍의 구성으로 형성하여 벨트와 연결해서 사용해야 하므로 사용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등록특허 제2154584호(2020.09.04.)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양측으로 고정 손잡이를 형성하여 파지가 용이하도록 하면서 박스의 사이즈에 맞게 폭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사이즈의 박스를 가변적으로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박스 운반장치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반용 손잡이와 바퀴가 형성되도록 하여 무겁거나 많은 물품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박스 운반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박스 운반장치는, 일정 면적의 평판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플레이트; 정면과 양측면 하단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외주연 단부를 따라 접합 고정되도록 하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일정 높이를 이격시켜 바닥판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바닥판의 정면측 단부는 수직으로 상향 절곡시켜 일정 높이로서 정면판을 형성하며, 상기 정면판의 외측면에는 파지용 손잡이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고정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바닥판 사이에는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평판의 슬라이드판을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드판의 후면측 단부는 수직으로 상향 절곡시켜 일정 높이로서 후면판을 형성하며, 상기 후면판의 외측면에는 파지용 손잡이가 외축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가동 플레이트;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고정되는 일측 하단부에 고정되게 하여 일정 높이로 형성되는 고정판에 대해 가동 플레이트측으로 슬라이드 이동 조절이 가능하게 이동판이 형성되도록 하는 이탈 방지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에서 사방의 코너측으로 수평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이동 바퀴; 전방측으로 개방되는 내부가 빈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에서 폭 중간 부위를 따라 부착되는 손잡이 보관함; 상기 손잡이 보관함의 양측으로 구비되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삽입과 인출이 가능하도록 하여 화물을 밀고 당겨 이동시키도록 하는 운반용 손잡이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가동 플레이트의 상기 정면판과 상기 후면판은 각각 하단부로부터 일정 높이에서 하부판과 상부판으로 분리되고, 분리된 하부판과 상부판는 경첩이 연결되어 상기 상부판이 내측으로 절곡 회전되도록 하며, 양측의 경첩 사이에는 하부판에 고정한 판스프링과 상부판에 고정한 가압판에 의해서 상부판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이거나 내측으로 절곡된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바닥판에는 폭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판면이 수직 관통되도록 하여 가이드 홀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홀에 대응되는 상기 가동 플레이트의 슬라이판에는 일부가 상향 돌출되게 하여 상기 가이드 홀의 일측에서 맞춤 삽입되도록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후방측 하단에 구비되는 조작 레버는 내부로 관통 삽입되는 걸림단부가 상기 가동 플레이트의 슬라이드판에서 측단면에 일정 길이로 형성한 일방향의 톱니에 결합되게 하여 상기 가동 플레이트가 상기 고정 플레이트측의 일방향으로만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조작 레버의 조작에 의해 상기 가동 플레이트가 인출되도록 한다.
상기 손잡이 보관함에는 가이드 레일의 전방과 후방에는 가이드 롤러를 일정 이상의 힘으로 밀거나 당기지 않는 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지 못하도록 롤러 고정 스프링이 각각 구비되도록 한다.
상기 손잡이 보관함은 선단이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정면판보다는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도록 하면서 선단의 상단부에는 일정 높이로 상향 돌출되게 스토퍼 브라켓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운반용 손잡이의 홀더에 연결되는 단부에는 상기 스토퍼 브라켓에 대응하는 면을 갖는 스토퍼 블록을 형성하며, 내부로부터 인출된 상기 운반용 손잡이는 스프링 탄성에 의해 상향 회전 탄성을 갖도록 하여 상기 스토퍼 블록이 상기 스토퍼 브라켓에 면밀착되도록 한다.
상기 손잡이 보관함에는 선단측 저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선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하면서 돌출된 타단은 일정 높이로 상향 돌출되도록 손잡이 고정용 클립이 구비되도록 하여 상기 운반용 손잡이를 상기 손잡이 보관함으로 최대한 밀어 넣었을 경우 상기 손잡이 고정용 클립이 파지부에 걸려지도록 하여 상기 운반용 손잡이가 상기 손잡이 보관함으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도록 한다.
상기의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박스 운반장치에 의해서 박스의 사이즈에 맞게 간단히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면서 일측으로는 이동 중 박스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전한 화물 운반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양측의 고정 손잡이를 이용하여 직접 양손에 의해 들고 운반할 수도 있고, 운반용 손잡이를 이용하여 바퀴를 굴려 운반할 수도 있도록 함으로써 노면의 상태에 따라 운반 방법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쉽고 편리한 운반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 운반장치를 예시한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 운반장치를 예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 운반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 운반장치의 조작 레버 구조를 확대 예시한 부분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 운반장치의 손잡이 고정용 클립의 작동 구조를 예시한 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 운반장치에 박스를 적재한 상태에서 파지용 손잡이를 이용하여 운반하는 작동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 운반장치에서 상부로 적층시킨 박스를 밴드에 의해 고정시킨 상태를 예시한 사용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 운반장치에서 가동 플레이트를 인출시키는 상태를 확대 예시한 작동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 운반장치에서 운반용 손잡이를 이용하여 박스를 운반하는 상태를 예시한 사용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 운반장치를 보관할 수 있도록 절첩시킨 상태를 예시한 구조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 운반장치를 예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 운반장치를 예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 운반장치의 정면도이다.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포장박스 운반장치는 크게 베이스 플레이트(10)와 고정 플레이트(20)와 가동 플레이트(30)와 이탈 방지 플레이트(40)와 이동 바퀴(50)와 손잡이 보관함(60)과 운반용 손잡이(70)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베이스 플레이트(10)는 일정 면적의 평판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정사각 또는 직사각의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이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외주연 단부를 따라 정면과 양측면 하단부가 접합 고정되도록 고정 플레이트(20)를 형성한다.
고정 플레이트(20)는 베이스 플레이트(10)에 고정 연결되도록 하면서 베이스 플레이트(10)와는 일정 높이를 이격시켜 바닥판(21)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 바닥판(21)의 정면측 단부는 수직으로 상향 절곡되도록 하여 일정 높이로서 정면판(22)을 형성한다.
이러한 정면판(22)에서 상단부로부터 일정 높이의 외측면에는 파지용 손잡이(23)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도록 한다.
고정 플레이트(20)와 대응되게 고정 플레이트(20)로부터 일정 길이가 인출 가능하게 가동 플레이트(30)를 형성한다.
가동 플레이트(30)는 베이스 플레이트(10)와 고정 플레이트(20)의 바닥판(31) 사이에 형성되는 일정 높이의 공간에 삽입되는 평판의 슬라이드판(31)과 이 슬라이드판(31)의 후면측 단부를 수직으로 상향 절곡시켜 일정 높이로서 형성되는 후면판(32)과 이 후면판(32)의 상단부로부터 일정 높이의 외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파지용 손잡이(33)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즉, 가동 플레이트(30)의 후면판(32)과 파지용 손잡이(33)는 고정 플레이트(20)의 정면판(22)과 파지용 손잡이(23)와 대칭이 되게 형성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고정 플레이트(20)와 가동 플레이트(30)의 정면판(22)과 후면판(32)은 각각 하단부로부터 일정 높이에서 하부판(220)(320)과 상부판(221)(321)으로 분리되도록 하고, 분리된 하부판(220)(320)과 상부판(221)(321)간은 경첩(24)(34)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여 각 상부판(221)(321)이 내측으로 절곡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함께 경첩(24)(34)은 각 고정 플레이트(20)와 가동 플레이트(30)에서 양측으로 형성되도록 하며, 이들 경첩(24)(34)의 사이에서 하부판(220)(320)에는 판스프링(25)(35)이 고정되도록 하고, 이와 대응되는 상부판((221)(321)에는 가압판(26)(36)이 고정되게 함으로써 하부판(220)(320)에 대해서 상부판(221)(321)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 또는 내측으로 절곡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고정 플레이트(20)의 바닥판(21)에는 폭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서 판면이 수직으로 관통되도록 한 가이드 홀(210)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 가이드 홀(210)에 대응하는 하부의 가동 플레이트(30)측 슬라이드판(31)에는 가이드 홀(210)의 일측에서 맞춤 삽입되도록 일부가 상향 돌출되도록 가이드 돌기(310)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베이스 플레이트(10)와 고정 플레이트(20)의 바닥면(21)과의 사이에 삽입되는 가동 플레이트(30)의 슬라이드판(31)은 판면의 외주연 단부가 각각 일정 높이로 하향 절곡되게 함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10)를 따라 안정되게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고정 플레이트(20)의 후방측 하단에는 도 4에서와 같이 조작 레버(27)가 구비되고, 이 조작 레버(27)와 동일 수평선상의 내부로 형성되는 가동 플레이트(30)의 슬라이드판(31)에는 측단면에 일정 길이에 걸쳐 일방향성을 갖는 톱니가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조작 레버(27)의 고정 플레이트(20)를 관통하여 내부로 삽입되는 걸림단부(270)가 슬라이드판(31)의 톱니에 맞물리도록 함으로써 가동 플레이트(30)가 고정 플레이트(20)측으로 일방향으로만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조작 레버(27)의 조작에 의해서만 가동 플레이트(30)가 인출되도록 한다.
즉, 조작 레버(27)의 걸림단부(270)와 대응되게 고정 플레이트(20)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단부의 조작에 의해서 가동 플레이트(30)의 고정 상태가 해제되도록 하여 고정 플레이트(20)의 정면판(22)과 가동 플레이트(30)의 후면간(32)간 거리를 더욱 확장되도록 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0)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20)의 일측 하단부에는 상호 면간 겹쳐지도록 하는 이탈 방지 플레이트(40)가 구비되도록 한다.
이탈 방지 플레이트(40)는 다시 고정판(41)과 이동판(42)으로 구분되며, 이중 고정판(41)은 하단부가 고정 플레이트(20)에 접합 고정되고, 고정판(41)의 일정 높이에는 가동 플레이트(30)의 후면판(32)측 단부로 고정볼트(410)가 연결되도록 하면서 고정볼트(410)와 동일한 높이의 이동판(42)에는 일정 길이로 볼트이동홀(420)이 형성되도록 하며, 이동판(42)의 후면판(32)측 단부는 외측으로 판면이 절곡되게 하여 손으로 잡기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이탈 방지 플레이트(40)는 정면판(22)과 후면판(32)의 사이에서 하부판(220)(320)의 높이와 유사한 높이로 일측의 고정 플레이트(20)에 용접 등에 의해서 접합 고정되도록 한 고정판(41)으로부터 이동판(42)을 쉽게 이동시켜 가동 플레이트(30)를 고정 플레이트(20)로부터 더욱 멀리 인출시키게 되는 일측면을 안정적으로 커버되게 함으로써 바닥판(21)과 슬라이드판(31)에 적재되는 박스와 같은 화물 사이즈에 적절히 맞춰 안정되게 이동할 수가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저면에는 사방의 코너측으로 이동 바퀴(50)가 구비된다.
이동 바퀴(50)는 상부에 적재된 화물을 구름 이동에 의해 보다 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며, 다양한 방향으로의 전환이 가능하도록 수평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저면에서 사방의 코너측으로 구비되는 이동 바퀴(50)들 사이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0)의 폭 중간 부위를 따라 손잡이 보관함(60)이 고정되도록 한다.
손잡이 보관함(60)은 전방으로만 개방되는 내부가 빈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양측으로 가이드 레일(61)이 구비되도록 한다.
그리고 손잡이 보관함(60)에는 양측의 가이드 레일(61)을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 롤러(62)가 구비되며, 이렇게 가이드 레일(61)과 가이드 롤러(62)가 구비되는 손잡이 보관함(60)의 전방은 가이드 롤러(62)의 이탈이 방지되게 막힌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양측의 가이드 롤러(62)는 각각 양측의 롤러 샤프트(63)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며, 양측의 롤러 샤프트(63)는 홀더(64)에 각각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손잡이 보관함(60)에서는 가이드 롤러(62)와 함께 롤러 샤프트(63) 및 홀더(64)가 이탈방지되게 구비되며, 이때 손잡이 보관함(60)으로부터 전방으로 인출되게 구비되는 홀더(64)에 운반용 손잡이(70)의 일단이 연결된다.
운반용 손잡이(70)는 일정 길이로 이루어지면서 홀더(64)에 연결되는 일단과 대응되는 타단에는 파지가 용이한 형상을 갖도록 하며, 홀더(64)로부터의 분리가 가능하게 연결되게 할 수도 있고,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운반용 손잡이(70)는 홀더(64)에 연결되면서 보관 시에는 일정 길이가 손잡이 보관함(60)의 내부로 삽입되게 할 수도 있고, 사용 시에는 인출시켜 사용할 수가 있으며, 비교적 운반할 박스나 물품이 무겁거나 사이즈가 큰 경우 밀거나 당겨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손잡이 보관함(60)에서 가이드 롤러(62)가 이동하는 가이드 레일(61)의 전후방에 도 5에서와 같이 가이드 롤러(62)의 이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롤러 고정 스프링(65)이 각각 구비되도록 한다.
즉, 운반용 손잡이(70)를 잡고 당기거나 밀 때 가이드 롤러(62)가 쉽게 이동하게 되면 사용이 불가하므로 가이드 롤러(62)를 일정 이상의 힘으로 밀거나 당기지 않는 한 가이드 롤러(62)가 이동할 수 없도록 롤러 고정 스프링(65)이 설치되도록 한다.
또한, 손잡이 보관함(60)은 선단부가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선단보다는 일정 길이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하면서 돌출되는 선단부의 상단부는 일정 높이로 상향 돌출되도록 하는 스토퍼 브라켓(66)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스토퍼 브라켓(66)에는 가이드 롤러(62)를 중심으로 스토퍼 브라켓(66)과 동일 반경의 홀더(64)에는 스토퍼 블록(640)이 형성되도록 하며, 이때 스토퍼 블록(640)은 스토퍼 브라켓(66)과 면밀착되는 면이 일정 각도 경사지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특히, 홀더(64)는 리턴 스프링(67)의 탄성에 의해 상향 회전 탄성을 갖도록 하므로 홀더(64)에 일단이 연결된 운반용 손잡이(70)를 손잡이 보관함(60)으로부터 최대한 인출시키게 되면 자동으로 상향 회전하여 홀더(64)의 스토퍼 블록(640)이 스토퍼 브라켓(66)에 면밀착되면서 일정한 경사각을 이루는 상태에서 화물 운반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함께 손잡이 보관함(60)의 선단측 저면에는 손잡이 고정용 클립(68)의 일단이 고정되도록 한다.
손잡이 고정용 클립(68)은 손잡이 보관함(60)에 고정되는 일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타단이 일정 높이로 상향 돌출되도록 형성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운반용 손잡이(70)와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향 돌출되는 부위는 곡면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손잡이 고정용 클립(68)은 운반용 손잡이(70)를 손잡이 보관함(60)으로 최대한 밀어 넣었을 경우 파지부(71)가 걸려지도록 하여 손잡이 보관함(60)으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한다.
한편, 정면판(22)이나 후면판(32)의 파지용 손잡이(23)(33) 중 하나에는 파지용 손잡이(23)(33)로부터 일정 길이가 돌출되도록 하는 밴드 고정용 고정핀이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박스 운반장치에 의한 작용과 효과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운반해야 할 박스나 화물을 손잡이를 이용하여 직접 들거나 운반용 손잡이를 이용하여 핸드 케리어와 같이 끌어서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또한, 운반하고자 하는 화물 사이즈에 맞게 길이 조정이 이루어지게 하여 안정된 고정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물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가 있다.
즉, 본 발명은 고정 플레이트(20)의 정면판(22)과 가동 플레이트(30)의 후면판(32) 및 일측의 이탈 방지 플레이트(40)의 내측에서 화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후면판(32)이 정면판(22)에 최대한 가까이 위치된 상태의 공간보다 작은 중소형 박스(80)는 형성 공간에 화물을 넣고 도 6에서와 같이 이탈 방지 플레이트(40)가 형성되지 않은 일측면이 운반하는 사람의 신체에 접촉되도록 하면서 정면판(22)과 후면판(32)에 형성한 파지용 손잡이(23)(33)를 잡고 운반하면 되므로 운반 작업이 한층 쉽고 편해진다.
또한, 운반하고자 하는 화물 박스(80)가 복수 개인 경우에는 큰 박스(80) 위에 작은 박스(80)를 올려놓고 파지용 손잡이(23)(33)를 잡고 운반할 수가 있으며, 이때 화물을 좀더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양측의 파지용 손잡이(23)(33)간으로 도 7에서와 같이 밴드(90)를 연결하여 박스(80)를 고정한 후 이동하면 되므로 박스(80)의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가 있어 더욱 안전한 운반이 가능해진다.
운반하고자 하는 박스(80)의 사이즈가 큰 경우에는 도 8에서와 같이 일측면에서 후방측으로 형성한 조작 레버(27)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한 단부를 손으로 간단히 파지하여 걸림단부(270)와 슬라이드판(31)에 형성한 기어와의 결합이 해제되도록 하면 가동 플레이트(30)를 원하는 박스(80)의 사이즈에 적당한 길이만큼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가 있다.
좀더 박스(80)의 사이즈보다 크게 이동시킨 상태에서 조작 레버(27)의 조작없이 후면판(32)을 정면판(22)측으로 밀어 박스(80)에 밀착시키게 되면 조작 레버(27)의 걸림단부(270)는 슬라이드판(31)의 기어에 맞물리면서 래칫작용에 의해 더 이상 밀리지 않고 박스(80)와의 견고한 밀착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렇게 조작 레버(27)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서 가동 플레이트(30)를 고정 플레이트(20)로부터 최대한 인출시키게 되면 중대형의 박스(80)도 모두 적재시켜 운반할 수가 있다.
한편,중대형의 박스(80)나 복수의 박스(80)들 또는 상당히 중량이 큰 박스(80)는 들어서 운반하기 쉽지가 않을 뿐만 아니라 한번에 운반하기가 곤란하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가동 플레이트(30)를 최대한 확장시시키게 되면 대형 박스(80)조차 적재할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복수의 박스(80)들조차도 양측의 파지용 손잡이(23)(33)간으로 밴드(90)를 연결하여 고정시키게 되면 일시에 운반할 수가 있다.
또한, 운반용 손잡이(70)를 손잡이 보관함(60)으로부터 최대한 인출시키게 되면 도 9에서와 같이 운반용 손잡이(70)는 리턴 스프링(67)의 탄성에 의해 홀더(64)의 스토퍼 블록(640)이 스토퍼 브라켓(66)에 밀착되면서 항상 일정 경사각을 유지하게 되므로 이 상태에서 운반용 손잡이(70)를 끌어 운반할 수가 있다.
노면이 양호한 곳에서 운반용 손잡이(70)를 이용하여 운반하다 계단이나 단자가 큰 도로를 지날 때에는 잠시 파지용 손잡이(23)를 이용하여 이동할 수가 있으므로 이동로의 상태에 따라 적절히 대응하면서 박스(80)를 안전하게 운반할 수가 있다.
한편, 운반작업을 더 이상 하지 않고 보관할 때에는 운반용 손잡이(70)를 강제적으로 내려 수평의 상태가 되도록 한 후 일정 압력으로 밀게 되면 도 10에서와 같이 손잡이 보관함(60)으로 최대한 삽입되는 상태가 되고, 이때 손잡이 보관함(60)으로부터 돌출되는 운반용 손잡이(70)의 파지부(71)에 손잡이 고정용 클립(68)이 삽입되도록 하면 손잡이 보관함(60)으로부터의 인출이 방지되므로 안전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운반용 손잡이(70) 뿐만 아니라 고정 플레이트(20)의 정면판(22)과 가동 플레이트(30)의 후면판(32)이 각각 하부판(220)(320)과 상부판(221)(321)으로 분리되게 하여 경첩(240(340)에 의해서 상부판(221)(321)이 안쪽으로 절곡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상부판(221)(321)을 각각 일정 이상의 압력을 가해 안쪽으로 밀게 되면 상부판(221)(321)이 절곡되면서 절곡된 상태가 판스프링(25)(35)과 가압판(26)(36)에 의해 안정되게 유지되게 함으로써 최대한 부피를 줄인 상태에서 보관 및 이동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중소형 박스(80)들 뿐만 아니라 대형 박스(80)를 파지용 손잡이(23)(33)를 이용하여 쉽게 운반할 수가 있게 되므로 작업의 효율성과 안전한 운반성을 제공하게 될 뿐만 아니라 일시에 많은 박스(80)도 운반할 수가 있게 되어 운반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대한 단축시킬 수가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아무리 무겁고 큰 대형의 선반이나 화물이라도 이동 바퀴(50)와 운반용 손잡이(70)를 이용하여 보다 쉽게 이동할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 중 계단 등에서는 파지용 손잡이(23)(33)를 잡고 들어서 운반할 수가 있으므로 박스(80)나 화물 운반 중 어떠한 상황에서도 쉽고 편하게 대처가 가능한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베이스 플레이트
20 : 고정 플레이트
21 : 바닥판 22 : 정면판
23 : 파지용 손잡이 24 : 경첩
25 : 판 스프링 26 : 가압판
27 : 조작 레버
30 : 가동 플레이트
31 : 슬라이드판 32 : 후면판
33 : 파지용 손잡이 34 : 경첩
35 : 판 스프링 36 : 가압판
37 : 조작 레버
40 : 이탈 방지 플레이트
41 : 고정판 410 : 고정볼트
42 : 이동판 420 : 볼트 이동홀
50 : 이동 바퀴
60 : 손잡이 보관함
61 : 가이드 레일 62 : 가이드 롤러
63 : 롤러 샤프트 64 : 홀더
640 : 스토퍼 블록 65 : 롤러 고정 스프링
66 : 스토퍼 브라켓 67 : 리턴 스프링
68 : 손잡이 고정용 클립
70 : 운반용 손잡이
71 : 파지부
80 : 박스
90 : 밴드

Claims (6)

  1. 일정 면적의 평판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플레이트;
    정면과 양측면 하단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외주연 단부를 따라 접합 고정되도록 하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일정 높이를 이격시켜 바닥판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바닥판의 정면측 단부는 수직으로 상향 절곡시켜 일정 높이로서 정면판을 형성하며, 상기 정면판의 외측면에는 파지용 손잡이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고정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바닥판 사이에는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평판의 슬라이드판을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드판의 후면측 단부는 수직으로 상향 절곡시켜 일정 높이로서 후면판을 형성하며, 상기 후면판의 외측면에는 파지용 손잡이가 외축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가동 플레이트;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고정되는 일측 하단부에 고정되게 하여 일정 높이로 형성되는 고정판에 대해 가동 플레이트측으로 슬라이드 이동 조절이 가능하게 이동판이 형성되도록 하는 이탈 방지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에서 사방의 코너측으로 수평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이동 바퀴;
    전방측으로 개방되는 내부가 빈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에서 폭 중간 부위를 따라 부착되는 손잡이 보관함;
    상기 손잡이 보관함의 양측으로 구비되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삽입과 인출이 가능하도록 하여 화물을 밀고 당겨 이동시키도록 하는 운반용 손잡이;
    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박스 운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가동 플레이트의 상기 정면판과 상기 후면판은 각각 하단부로부터 일정 높이에서 하부판과 상부판으로 분리되고, 분리된 하부판과 상부판는 경첩이 연결되어 상기 상부판이 내측으로 절곡 회전되도록 하며, 양측의 경첩 사이에는 하부판에 고정한 판스프링과 상부판에 고정한 가압판에 의해서 상부판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이거나 내측으로 절곡된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하는 박스 운반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바닥판에는 폭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판면이 수직 관통되도록 하여 가이드 홀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홀에 대응되는 상기 가동 플레이트의 슬라이판에는 일부가 상향 돌출되게 하여 상기 가이드 홀의 일측에서 맞춤 삽입되도록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후방측 하단에 구비되는 조작 레버는 내부로 관통 삽입되는 걸림단부가 상기 가동 플레이트의 슬라이드판에서 측단면에 일정 길이로 형성한 일방향의 톱니에 결합되게 하여 상기 가동 플레이트가 상기 고정 플레이트측의 일방향으로만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조작 레버의 조작에 의해 상기 가동 플레이트가 인출되도록 하는 박스 운반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보관함에는 가이드 레일의 전방과 후방에 가이드 롤러를 일정 이상의 힘으로 밀거나 당기지 않는 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지 못하도록 롤러 고정 스프링이 각각 구비되도록 하는 박스 운반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보관함은 선단이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정면판보다는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도록 하면서 선단의 상단부에는 일정 높이로 상향 돌출되게 스토퍼 브라켓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운반용 손잡이의 홀더에 연결되는 단부에는 상기 스토퍼 브라켓에 대응하는 면을 갖는 스토퍼 블록을 형성하며, 내부로부터 인출된 상기 운반용 손잡이는 스프링 탄성에 의해 상향 회전 탄성을 갖도록 하여 상기 스토퍼 블록이 상기 스토퍼 브라켓에 면밀착되도록 하는 박스 운반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보관함에는 선단측 저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선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하면서 돌출된 타단은 일정 높이로 상향 돌출되도록 손잡이 고정용 클립이 구비되도록 하여 상기 운반용 손잡이를 상기 손잡이 보관함으로 최대한 밀어 넣었을 경우 상기 손잡이 고정용 클립이 파지부에 걸려지도록 하여 상기 운반용 손잡이가 상기 손잡이 보관함으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박스 운반장치.
KR1020210081224A 2021-06-23 2021-06-23 박스 운반장치 KR102318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1224A KR102318845B1 (ko) 2021-06-23 2021-06-23 박스 운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1224A KR102318845B1 (ko) 2021-06-23 2021-06-23 박스 운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8845B1 true KR102318845B1 (ko) 2021-10-29

Family

ID=78231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1224A KR102318845B1 (ko) 2021-06-23 2021-06-23 박스 운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884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5052U (ko) * 1999-05-28 1999-09-06 이명효 박스운반대차
KR200251542Y1 (ko) * 2001-03-06 2001-11-16 곽종수 학생용 카트
WO2011059297A2 (ko) * 2009-11-16 2011-05-19 Hwang Byung Gil 가변식 적재대가 구비된 손수레.
KR20150056740A (ko) * 2013-11-16 2015-05-27 방민규 우유 운반에 용이한 우유 상자
JP3204751U (ja) * 2016-03-01 2016-06-16 湖州▲たい▼渓振華工貿有限公司 歩行型運搬台車
US9392766B1 (en) * 2013-10-20 2016-07-19 Richard Elden Portable pet carrier to transport a pet from one location to another and retain the pet in the carrier while traveling
KR102154584B1 (ko) 2019-11-29 2020-09-10 전기호 운반용 손잡이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5052U (ko) * 1999-05-28 1999-09-06 이명효 박스운반대차
KR200251542Y1 (ko) * 2001-03-06 2001-11-16 곽종수 학생용 카트
WO2011059297A2 (ko) * 2009-11-16 2011-05-19 Hwang Byung Gil 가변식 적재대가 구비된 손수레.
US9392766B1 (en) * 2013-10-20 2016-07-19 Richard Elden Portable pet carrier to transport a pet from one location to another and retain the pet in the carrier while traveling
KR20150056740A (ko) * 2013-11-16 2015-05-27 방민규 우유 운반에 용이한 우유 상자
JP3204751U (ja) * 2016-03-01 2016-06-16 湖州▲たい▼渓振華工貿有限公司 歩行型運搬台車
KR102154584B1 (ko) 2019-11-29 2020-09-10 전기호 운반용 손잡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89836B2 (en) Wheeled container carrier
USRE37350E1 (en) Bucket dolly
US7306245B1 (en) Multipurpose work site utility carrier
US20140001721A1 (en) Ergonomic cart
US20150035259A1 (en) Wheeled carrier with brakes
US6471237B1 (en) Wheeled container cart
US20180141701A1 (en) Box with carry handles to facilitate carrying the box
US10065666B2 (en) Cart and dolly handle with stacking position
US3966072A (en) Collapsible container
US20210213987A1 (en) Material handling cart
EP2157884B1 (en) Shelf-box-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box of such system
US20100247276A1 (en) Keg lifting device
KR200492292Y1 (ko) 접이식 상자용 카트
KR102154584B1 (ko) 운반용 손잡이
KR102318845B1 (ko) 박스 운반장치
US6840731B2 (en) Coil handler device
US20170232986A1 (en) Keg Transporter
WO2014125484A1 (en) Toolbox
US8201868B2 (en) Gate removal assembly and related storage systems for use with hauling and transport vehicles
US2292234A (en) Case carrying truck
US10144538B1 (en) Floor jack with temporary shipping handles and packaging therefor
US2944713A (en) Detachable and foldable container carrier
CN208615966U (zh) 升降搬运车
KR101246772B1 (ko) 관절식핸들부가 구비된 정밀설비용 안전운반트롤리
JP6721378B2 (ja) 物品運搬用アタッチメ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