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1430B1 - 주행 직진성이 향상된 중량물 운반대차 - Google Patents

주행 직진성이 향상된 중량물 운반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1430B1
KR101421430B1 KR1020140013358A KR20140013358A KR101421430B1 KR 101421430 B1 KR101421430 B1 KR 101421430B1 KR 1020140013358 A KR1020140013358 A KR 1020140013358A KR 20140013358 A KR20140013358 A KR 20140013358A KR 101421430 B1 KR101421430 B1 KR 101421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enter
hydraulic jack
car body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3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두만
Original Assignee
장두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두만 filed Critical 장두만
Priority to KR1020140013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14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1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1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22Horizontal loading or unloading platforms
    • B65G69/24Horizontal loading or unloading platforms having platform level adjus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7/00Devices for assisting manual moving or tilting heavy loads
    • B65G7/12Load carriers, e.g. hooks, slings, harness, gloves, modified for load carr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행 직진성이 향상된 중량물 운반대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운반대차를 이용하여 각종 중량물을 운반할 때 정확한 주행 직진성을 유지하여 운반작업의 용이성을 제공함은 물론 상기 운반대차의 고도를 자유롭게 조절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양측으로 분리 설치된 주행롤러가 함께 연동하면서 구동력이 전체의 주행롤러에 빠짐없이 입력될 수 있도록 하고, 대차 바디의 중앙에 설치된 유압잭을 이용하여 운반물 받침대를 상하로 이동하면서 운반대차의 고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주행 직진성이 향상된 중량물 운반대차{Transport carriage for heavy with improved drive straightness}
본 발명은 운반대차를 이용하여 각종 중량물을 운반할 때 정확한 주행 직진성을 유지하여 운반작업의 용이성을 제공함은 물론 상기 운반대차의 고도를 자유롭게 조절하는 신규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이나 정비소 등에서는 운반대차를 사용하여 정밀기계, 기계부품 등의 중량물을 보관장소로 운반하고 있다.
상기 운반대차는 정해진 넓이로 설계된 적재판의 저면 네 모퉁이부에 캐스터가 브라켓에 의해 설치된 구조를 가지며 필요에 따라 한 쪽 끝부분에 이동 손잡이가 세워져 설치된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바닥면이 상태가 고르지 않을 경우 중량물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운반대차의 이동이 원활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동과정 중에 외력 등에 의해 중량물이 상기 운반대차에서 외부방향으로 이탈될 염려가 다분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운반대차상에 구비되어 바닥면과 접촉하는 바퀴가 대게 경성(硬性)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바닥면이 에폭시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장소에서 상기 운반대차가 중량물을 운반하게 될 경우 바닥면에 흠집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중량물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운반대차를 좌우방향으로 원활하게 회전이동시키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되어 특허결정된 「특허등록 제0859699호, 명칭/ 중량물 운반대차」가 개시되고 있다.
상기한 선등록 발명은 중량물을 보관하고자 하는 장소로 보다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관장소의 벽면에 중량물이 밀착되도록 운반할 수 있고, 나아가 상태가 고르지 않은 바닥면도 상기 몸체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회전판에서 외부방향으로 중량물이 이탈될 염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원하는 방향으로 상기 몸체를 보다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고, 아울러 상기 회전판이 안착지지하는 중량물을 보관장소로 보다 편리하게 자동으로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 선등록 발명은 주행을 위한 바퀴가 몸체의 양측에 각각 개별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일측에 설치된 한 쪽의 바퀴에만 회전동력이 입력됨으로써 상기 회전동력이 입력되는 바퀴에만 자체 구동력이 집중되는 반면 다른 한 쪽의 바퀴는 자체 구동력이 전혀 입력되지 않아 운반물을 올려놓은 상태로 주행할 때 직진성을 유지하지 못하고 회전동력이 입력되지 않는 바퀴 쪽으로 몸체가 틀어짐에 따라 운반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고 있다.
또한, 상기 선등록 발명은 운반물이 놓이는 회전판이 상하로 이동하지 못해 전체적인 고도가 일정하게 제한됨으로써 특히 대형 운반물의 경우 크레인 등의 장비를 동원하여 운반물을 들어 올린 후 상기 회전판에 안착하여야만 하는 불편함이 야기되고, 상기 운반물의 하측에 공간이 확보되어 운반대차를 운반물의 하측에 밀어 넣을 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 회전판의 상부에 별도의 받침목 등을 올려 놓아야 하는 불합리가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선등록 발명의 운반대차가 내포하고 있는 제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양측으로 분리 설치된 주행롤러가 함께 연동하면서 구동력이 전체의 주행롤러에 빠짐없이 입력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해결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차 바디의 중앙에 설치된 유압잭을 이용하여 운반물 받침대를 상하로 이동하면서 운반대차의 고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해결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대차 바디의 양측에 각각 다수의 주행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대차 바디의 전후에 설치된 주행롤러는 축 커플링을 매개로 일체화 연결하며, 상기 대차 바디의 외측으로 노출된 롤러축에는 각각 주기어 및 종동기어를 결합 설치하는 한편, 상기 주기어 및 종동기어의 사이에 아이들기어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주기어가 설치된 롤러축의 선단에는 회전렌치부를 형성하며, 상기 대차 바디의 중앙에는 상판의 외부로 유압잭을 노출 설치하고, 상기 유압잭의 상단에 중량물 받침대를 설치하며, 상기 대차 바디에 연결 설치된 이동 손잡이에는 상기 유압잭의 작동을 제어하는 유압펌프를 설치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측에 대응 설치된 다수의 주행롤러가 상호 축 커플링을 매개로 일체화 연결됨으로써 함께 연동하는 주행롤러에 빠짐없이 구동력이 입력되어 운반물의 주행시 정확한 주행 직진성을 확보하여 운반작업의 용이성 및 작업시간 단축의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압잭의 상단에 운반물 받침대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유압잭을 이용하여 운반물 받침대의 고도를 운반물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별도의 크레인 등을 동원하거나 받침목을 추가로 설치하는 번거로움 없이 운반물을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운반물을 편리하게 운반하기 위한 주용도로 사용함은 물론 일반 중량물을 일시적으로 들어올리는 부수적인 용도로 사용할 수 있어 장비의 활용도를 극대화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운반물 받침대의 상단에는 별도의 받침홀더를 설치함으로써 운반물의 하단에 형성된 받침다리를 상기 받침홀더가 감싸면서 유동을 방지하여 운반작업시 운반물이 상기 운반물 받침대에서 이탈됨을 방지하면서 안전사고의 발생을 예방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중량물 운반대차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중량물 운반대차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중량물 운반대차의 부분 확대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 중량물 운반대차의 부분 확대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대차 바디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유압잭의 작동에 따른 고도 조절상태 확대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받침홀더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받침홀더가 중량물 받침대에 결합되는 상태의 확대단면도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을 보다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체적인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대차 바디(10), 주행롤러(20)(20a), 축 커플링(30), 주기어(40) 및 종동기어(45), 아이들기어(50), 회전렌치부(60), 중량물 받침대(70), 이동 손잡이(80)의 구성요소로 대분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개략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실시 용이하도록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주행롤러(20)(20a)는 하부가 개방된 대차 바디(10)의 양측에 각각 다수개가 회전가능하게 분리 설치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양측에 각각 3개의 주행롤러(20)(20a)가 연속적으로 설치된 형태로 실시되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다른 개수로도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대차 바디(10)는 도 5 내지 도 6과 같이 마주하는 프론트판(11) 및 리어판(12)이 이격 설치되고, 상기 프론트판(11) 및 리어판(12)의 양단에 각각 사이드판(13)이 연결 설치된 사각체로 구성된다.
상기 사이드판(13)의 사이에는 한 쌍의 센터판(14)이 이격 설치되고, 상기 센터판(14)과 사이드판(13)의 사이에는 주행롤러(20)(20a)를 설치할 수 있는 롤러 설치부(15)가 형성되며, 상기 센터판(14)의 사이에는 축 커플링(30)을 설치할 수 있는 커플링 연결부(16)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프론트판(11), 리어판(12), 사이드판(13)의 상단에 상판(17)이 막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주행롤러(20)(20a)의 양측에 형성된 롤러축(22)(22a)은 도 5와 같이 상기 사이드판(13) 및 센터판(14)을 각각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대차 바디(10)의 전후에 설치된 주행롤러(20)(20a)는 마주하는 일측의 롤러축(22)(22a)이 상호 축 커플링(30)을 매개로 연결되도록 상기 센터판(14)의 사이에 형성된 커플링 연결부(16)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커플링 연결부(16)에 위치하는 한 쌍의 마주하는 롤러축(22)(22a)은 축 커플링(30)의 양측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대차 바디(10)의 양측에 각각 분리 설치된 주행롤러(20)(20a)는 상호 일체성을 유지하면서 어느 한 쪽의 주행롤러(20)(20a)만을 회전하더라도 함께 연동함으로써 상기 주행롤러(20)(20a)에는 빠짐없이 구동력이 입력되어 운반물의 주행시 정확한 주행 직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대차 바디(10)의 양측으로 노출된 일측의 롤러축(22)(22a), 즉 상기 사이드판(13)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롤러축(22)(22a)에는 각각 주기어(40) 및 종동기어(45)가 결합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주기어(40)는 대차 바디(10)의 전후에 설치된 주행롤러(20)(20a)의 롤러축(22)(22a)에 설치되고, 상기 주기어(40)가 설치된 롤러축(22)(22a)의 사이에 위치하는 롤러축(22)(22a)에는 종동기어(45)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주기어(40) 및 종동기어(45)는 항상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주기어(40) 및 종동기어(45)의 사이에는 각각 아이들기어(50)가 사이드판(1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다수의 주행롤러(20)(20a)는 항상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주기어(40)가 설치된 롤러축(22)(22a)에는 각각 별도의 스패너나 렌치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롤러축(22)(22a)을 회전시켜 구동력을 발생하기 위한 회전렌치부(60)가 형성된다.
상기 대차 바디(10)의 중앙 상부에는 환형의 중량물 받침대(70)가 설치되고, 상기 대차 바디(10)의 리어판(12)에는 힌지축(81)을 매개로 이동 손잡이(80)가 상하 선회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이동 손잡이(80)를 밀고 당기면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중량물 받침대(70)가 고정된 위치에 설치됨을 탈피하여 고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운반대차 고도조절장치(90)의 기술구성이 추가로 접목된다.
이를 위한 운반대차 고도조절장치(90)는 상기 대차 바디(10)의 중앙에 유압잭(91)이 상판(17)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 설치되고, 상기 유압잭(91)에 구비된 램(91a)의 상단에 상기 중량물 받침대(70)가 일체로 부착되며, 상기 이동 손잡이(80)에는 유압잭(91)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유압펌프(92)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유압펌프(92)의 작동에 따라 상기 유압잭(91)은 중량물 받침대(70)를 도 7과 같이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운반대차(T)의 전체적인 고도를 자유롭게 조절함으로써 별도의 크레인 등을 동원하거나 받침목을 추가로 설치하는 번거로움 없이 운반물을 상기 중량물 받침대(70)에 올려 놓은 상태로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는 특별한 효과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대차 바디(10)의 중앙에는 도 5 및 도 7과 같이 한 쌍의 센터판(14)의 하측에 유압잭 테이블(93)이 일체로 연결 설치되고, 상기 유압잭 테이블(93)의 상단에는 상기 유압잭(91)의 하부에 구비된 실린더(91b)가 일체로 고정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상판(17)의 중앙에는 유압잭(91)의 실린더(91b)가 관통할 수 있는 실린더 관통홀(17a)이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 관통홀(17a)의 후단에는 유압잭(91) 및 유압펌프(92)의 사이에 연결되는 유압호스(95)가 통과할 수 있는 호스 관통장홀(17b)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중량물 받침대(70)에는 중량물의 받침다리를 파지하면서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받침홀더(100)를 추가로 안착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한 기술구성으로 상기 중량물 받침대(70)는 방사상으로 다수의 홀더 고정장홀(71)이 형성되고, 상기 홀더 고정장홀(71)에는 받침홀더(100)의 저면에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101)가 끼움 설치됨으로써 상기 받침홀더(100)는 중량물 받침대(70)와 일시적으로 일체성을 유지하며, 상기 받침홀더(100)의 상단에는 중량물의 받침다리를 안정되게 감싸는 역할을 수행하는 파지원통(102)이 형성된다.
따라서, 중량물의 하단에 형성된 받침다리를 상기 받침홀더(100)가 감싸면서 유동을 방지함으로써 운반작업시 운반물이 상기 중량물 받침대(70)에서 이탈됨을 방지하면서 안전사고의 발생을 예방함은 물론 운반작업의 원활성을 제고한다.
T: 운반대차 10: 대차 바디
11: 프론트판 12: 리어판
13: 사이드판 14: 센터판
16: 커플링 연결부 17: 상판
17a: 실린더 관통홀 17b: 호스 관통장홀
20, 20a: 주행롤러 22, 22a: 롤러축
30: 축 커플링 40: 주기어
45: 종동기어 50: 아이들기어
60: 회전렌치부 70: 중량물 받침대
71: 홀더 고정장홀 80: 이동 손잡이
90: 운반대차 고도조절장치 91: 유압잭
91a: 램 91b: 실린더
92: 유압펌프 93: 유압잭 테이블
95: 유압호스 100: 받침홀더
101: 고정돌기 102: 파지원통

Claims (7)

  1. 하부가 개방된 대차 바디(10)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다수의 주행롤러(20)(20a)와;
    상기 대차 바디(10)의 전후에 설치된 주행롤러(20)(20a)의 마주하는 롤러축(22)(22a)을 상호 일체로 연결하는 축 커플링(30)과;
    상기 대차 바디(10)의 양측으로 노출된 롤러축(22)(22a)에 각각 일체로 결합된 주기어(40) 및 종동기어(45)와;
    상기 주기어(40) 및 종동기어(45)의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아이들기어(50)와;
    상기 주기어(40)가 설치된 롤러축(22)(22a)의 선단에 형성된 회전렌치부(60)와;
    상기 대차 바디(10)의 중앙 상부에 설치된 중량물 받침대(70)와;
    상기 대차 바디(10)의 리어판(12)에 상하 선회가능하게 설치된 이동 손잡이(80)와;
    상기 대차 바디(10)의 중앙에 상판(17)을 관통하여 유압잭(91)이 노출 설치되고, 상기 유압잭(91)의 램(91a) 상단에 상기 중량물 받침대(70)가 일체로 부착되며, 상기 이동 손잡이(80)에는 유압잭(91)의 작동을 제어하는 유압펌프(92)가 설치된 운반대차 고도조절장치(90)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대차 바디(10)는 프론트판(11) 및 리어판(12)의 양단에 각각 사이드판(13)이 연결 설치된 사각체로 구성되고, 상기 사이드판(13)의 사이에는 한 쌍의 센터판(14)이 이격 설치되며, 상기 센터판(14)과 사이드판(13)의 사이에 롤러 설치부(15)가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판(11), 리어판(12), 사이드판(13)의 상단에 상판(17)이 막음 설치되며;
    상기 주행롤러(20)(20a)의 롤러축(22)(22a)은 상기 사이드판(13) 및 센터판(14)을 각각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대차 바디(10)의 전후에 설치된 주행롤러(20)(20a)는 마주하는 일측의 롤러축(22)(22a)이 상호 축 커플링(30)을 매개로 연결되도록 상기 센터판(14)의 사이에 형성된 커플링 연결부(16)에 위치하며;
    상기 유압잭(91)은 하부의 실린더(91b)가 상기 대차 바디(10)의 중앙에 이격 설치된 한 쌍의 센터판(14)에 연결 설치된 유압잭 테이블(93)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상판(17)은 중앙에 실린더 관통홀(17a)이 형성되며, 상기 실린더 관통홀(17a)의 후단에는 유압잭(91) 및 유압펌프(92)의 사이에 연결되는 유압호스(95)가 통과하는 호스 관통장홀(17b)이 형성되고;
    상기 중량물 받침대(70)는 방사상으로 다수의 홀더 고정장홀(71)이 형성되고, 상기 홀더 고정장홀(71)에는 받침홀더(100)의 저면에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101)가 끼움 설치되며, 상기 받침홀더(100)는 상단에 파지원통(10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직진성이 향상된 중량물 운반대차.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40013358A 2014-02-06 2014-02-06 주행 직진성이 향상된 중량물 운반대차 KR101421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3358A KR101421430B1 (ko) 2014-02-06 2014-02-06 주행 직진성이 향상된 중량물 운반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3358A KR101421430B1 (ko) 2014-02-06 2014-02-06 주행 직진성이 향상된 중량물 운반대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1430B1 true KR101421430B1 (ko) 2014-07-24

Family

ID=51742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3358A KR101421430B1 (ko) 2014-02-06 2014-02-06 주행 직진성이 향상된 중량물 운반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143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8902B1 (ko) 2016-03-31 2017-01-23 이승호 중량물 이동용 전동트롤리
KR101735561B1 (ko) * 2015-06-02 2017-05-29 주식회사 흥진티엔디 블록 이송대차
CN110143164A (zh) * 2019-06-17 2019-08-20 浙江建设职业技术学院 一种工程施工用重型材料搬运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3068Y1 (ko) * 1995-12-27 1999-12-15 이구택 코일이송용 리프터 카
KR200260318Y1 (ko) * 2001-10-19 2002-01-10 김성평 중량물 운반용 터프롤러
KR100391389B1 (ko) * 2001-02-23 2003-07-12 최영철 파이프 도장장치
KR100859699B1 (ko) * 2007-11-20 2008-09-23 장두만 중량물 운반대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3068Y1 (ko) * 1995-12-27 1999-12-15 이구택 코일이송용 리프터 카
KR100391389B1 (ko) * 2001-02-23 2003-07-12 최영철 파이프 도장장치
KR200260318Y1 (ko) * 2001-10-19 2002-01-10 김성평 중량물 운반용 터프롤러
KR100859699B1 (ko) * 2007-11-20 2008-09-23 장두만 중량물 운반대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5561B1 (ko) * 2015-06-02 2017-05-29 주식회사 흥진티엔디 블록 이송대차
KR101698902B1 (ko) 2016-03-31 2017-01-23 이승호 중량물 이동용 전동트롤리
CN110143164A (zh) * 2019-06-17 2019-08-20 浙江建设职业技术学院 一种工程施工用重型材料搬运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63050A1 (en) Inclination-adjustable cart apparatus
KR101421430B1 (ko) 주행 직진성이 향상된 중량물 운반대차
KR101707202B1 (ko) 자동 이송대차
CN105270781A (zh) 机械式集装箱装卸转运工具及机械式集装箱装卸转运系统
TW202313443A (zh) 氣體容器搬送用台車
CN209815198U (zh) 一种向集装箱内自动装货的装置
CN103935387A (zh) 新型四轮操舵物流运输车
CN203793383U (zh) 新型四轮操舵物流运输车
JP4696963B2 (ja) ワーク搬送装置
JP2012028628A (ja) 搬送台車用のコンベヤ水平維持機構及び姿勢制御方法
KR101320958B1 (ko) 주행방향이 직각으로 전환되는 수동대차
JP4428563B2 (ja) コンクリート二次製品の搬送および敷設システム、ならびに該二次製品の搬送および敷設方法
CN205076302U (zh) 机械式集装箱装卸转运工具中的固定式连接机构
CN211252671U (zh) 一种配电柜转运车
CN204689569U (zh) 一种叉车专用吊钩装置
CN204567728U (zh) 一种液压可调升降平台载物车
JP2011183252A (ja) ダイコータ用台車
CN206719266U (zh) 一种重型车用移动式物品框
CN205060518U (zh) 机械式集装箱装卸转运工具中的行走组件
CN218287770U (zh) 一种便于搬运大型箱体的装置
KR20160022429A (ko) 스파이더 리프트 캐리어
CN205087389U (zh) 机械式集装箱装卸转运工具中的移动式连接机构
CN205060525U (zh) 机械式集装箱装卸转运工具及机械式集装箱装卸转运系统
CN203728500U (zh) 纸尿裤生产线重型部件快速拆卸装置
CN203698236U (zh) 工程机械支腿垫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