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8129B1 - 구동 신호 생성 회로 - Google Patents

구동 신호 생성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8129B1
KR100998129B1 KR1020080126519A KR20080126519A KR100998129B1 KR 100998129 B1 KR100998129 B1 KR 100998129B1 KR 1020080126519 A KR1020080126519 A KR 1020080126519A KR 20080126519 A KR20080126519 A KR 20080126519A KR 100998129 B1 KR100998129 B1 KR 100998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evel
circuit
output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6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4329A (ko
Inventor
요시오미 다까라베
Original Assignee
산요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90064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4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8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8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otherwise than during the transducing operation, e.g. for adjustment or preliminary positioning or track change or selection
    • G11B7/08505Methods for track change, selection or preliminary positioning by moving the head
    • G11B7/08517Methods for track change, selection or preliminary positioning by moving the head with tracking pull-in onl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otherwise than during the transducing operation, e.g. for adjustment or preliminary positioning or track change or sele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Moving Of The Hea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광 디스크의 기록면에서 손상 등이 있는 경우에도, 광 픽업의 부정한 이동을 억제 가능한 구동 신호 생성 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광 픽업으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의 트랙에 대한 추종 어긋남을 나타내는 오차 신호에 기초하여, 광 픽업을 광 디스크의 직경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모터를, 추종 어긋남을 감소시키 위하여 구동시키기 위한 추종 신호를 출력하는 추종 신호 출력 회로와, 광 픽업의 직경 방향의 이동을 정지시키기 위하여,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정지 신호를 출력하는 정지 신호 출력 회로와, 광 픽업에 의해 광전 변환된 출력 신호의 진폭 레벨이 소정 레벨보다 높아지면,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로서 추종 신호를 출력하고, 출력 신호의 진폭 레벨이 소정 레벨보다 낮아지면, 구동 신호로서 정지 신호를 출력하는 절환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신호 생성 회로를 제공한다.
Figure R1020080126519
광 픽업, 광 디스크, 출력 신호, 구동 신호 생성 회로, 광전 변환

Description

구동 신호 생성 회로{DRIVE SIGNAL GENERATING CIRCUIT}
본 발명은, 구동 신호 생성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광 디스크 장치에는, CD(Compact Disc) 등의 광 디스크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쓰기/읽기를 행하기 위해서, 광 픽업을 광 디스크의 직경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쓰레드 모터가 설치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또는 특허 문헌 2 참조).
도 7은, 광 픽업(500)을 광 디스크(510)의 직경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쓰레드 모터(520)를 구동하는, 일반적인 쓰레드 모터 제어 회로(530)이다. 쓰레드 모터 제어 회로(530)에서의 RF 앰프(600)는, 광 픽업(500)에 의해 광전 변환된 검출 신호 DET에 기초하여, 광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를 나타내는 RF(Radio Frequency) 신호와, 트랙킹 오차를 나타내는 트래킹 에러 신호 TE를 출력한다. 디펙트 검출 회로(610)는, 입력되는 RF 신호의 레벨을 소정 레벨의 임계값과 비교함으로써, 광 디스크(510)의 기록면에서의 손상이나 오염 등의 유무를 나타내는 디펙트 신호 DEF를 출력한다. 쓰레드 서보 회로(620)는, 입력되는 트래킹 에러 신호 TE에 따라서, 트랙킹 오차를 감소시키도록 쓰레드 모터(520)를 피드백 제어하는 회 로이며, 쓰레드 모터(520)를 피드백 제어하기 위한 피드백 루프의 특성이, 디펙트 신호 DEF의 레벨에 기초하여 설정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상술하면,디펙트 검출 회로(610)로부터, 광 디스크(510)의 기록면에서 손상 등이 없는 것을 나타내는 디펙트 신호 DEF가 출력되어 있는 경우, 쓰레드 서보 회로(620)의 소비 전력을 저감하기 위해, 피드백 루프의 대역이 좁아지도록 한 계수가 쓰레드 서보 회로(620)에 설정된다. 한편,디펙트 검출 회로(610)로부터, 광 디스크(510)의 기록면에서 손상 등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디펙트 신호 DEF가 출력되어 있는 경우, 광 픽업(500)을 빠르게 동작시키기 위해, 피드백 루프의 대역이 넓어지도록 한 계수가 쓰레드 서보 회로(620)에 설정된다. 따라서,쓰레드 서보 회로(620)는, 광 디스크(510)의 기록면에서의 손상 등의 유무에 상관없이, 트래킹 에러 신호 TE에 기초하여, 트랙킹 오차가 감소하도록 쓰레드 모터(520)를 구동한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7-45023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3-153569호 공보
이와 같이, 일반적인 쓰레드 모터 제어 회로(530)는, 트래킹 에러 신호 TE에 기초하여, 항상 쓰레드 모터(520)를 피드백 제어하게 된다. 그러나, 광 디스크(510)의 기록면에서 손상 등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디펙트 신호 DEF가 출력되어 있는 기간에, 쓰레드 서보 회로(620)에 입력되는 트래킹 에러 신호 TE의 정밀도는 나쁘기 때문에, 이 기간의 트래킹 에러 신호 TE에 기초하여 쓰레드 모터(520)를 피 드백 제어하면,광 픽업(500)이 부정한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광 디스크의 기록면에서 손상 등이 있는 경우에도, 광 픽업의 부정한 이동을 억제 가능한 구동 신호 생성 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구동 신호 생성 회로는, 광 픽업으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의 트랙에 대한 추종 어긋남을 나타내는 오차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광 픽업을 광 디스크의 직경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모터를, 상기 추종 어긋남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구동시키기 위한 추종 신호를 출력하는 추종 신호 출력 회로와, 상기 광 픽업의 상기 직경 방향의 이동을 정지시키기 위해,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정지 신호를 출력하는 정지 신호 출력 회로와, 상기 광 픽업에 의해 광전 변환된 출력 신호의 진폭 레벨이 소정 레벨보다 높아지면,상기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로서 상기 추종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출력 신호의 진폭 레벨이 상기 소정 레벨보다 낮아지면, 상기 구동 신호로서 상기 정지 신호를 출력하는 절환 회로를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
광 디스크의 기록면에서 손상 등이 있는 경우에도, 광 픽업의 부정한 이동을 억제 가능한 구동 신호 생성 회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적어도 이하의 사항이 명백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광 디스크 장치 제어 회로(1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광 디스크 장치 제어 회로(10)는, 광 픽업(11)에 의해 광전 변환된 검출 신호 DET에 기초하여, 광 디스크(12)를 회전시키는 스핀들 모터(13), 광 픽업(11)에 구비된 초점 조정용 액튜에이터(FA)(14) 및 트랙킹 조정용 액튜에이터(TA)(15), 광 픽업(11)을 광 디스크(12)의 직경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쓰레드 모터(16)를 각각 제어하는 회로이며, 광 디스크용 LSI(Large Scale Integration)(20), 구동 회로(21)로 구성된다. 또한,본 실시 형태에서의 광 디스크용 LSI(20), 구동 회로(21)는 각각 집적 회로인 것으로 하고, 광 디스크(12)에는 음악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광 디스크용 LSI(20)는, 광 픽업(11)에 의해 광전 변환된 검출 신호 DET(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스핀들 모터(13), 초점 조정용 액튜에이터(14), 트랙킹 조정용 액튜에이터(15), 쓰레드 모터(16)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 신호 DR1∼DR4를 구동 회로(21)에 출력함과 함께,광 디스크(12)에 기록된 음악 데이터를 음성 신호로서 재생하고, 음성 신호를 스피커(도시 생략)를 구동하는 파워 앰프(도시 생략)에 출력하는 회로이다.
구동 회로(21)는, 구동 신호 DR1∼DR4에 기초한 출력 신호 O1∼O4에 의해, 스핀들 모터(13), 초점 조정용 액튜에이터(14) 및 트랙킹 조정용 액튜에이터(15), 쓰레드 모터(16)를 각각 구동하는 회로이다.
우선,광 디스크용 LSI(20)를 구성하는 각 회로의 개요를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광 디스크용 LSI(20)는, RF 앰프(30), 디펙트 검출 회로(31), 클럭 생성 회로(32), ROM(Read 0nly Memory)(33), 스핀들 서보 회로(34), 포커스 서보 회로(35), 트랙킹 서보 회로(36), 쓰레드 서보 회로(37), 처리 회로(38), DSP(Digital Signal Processor) 코어(3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본 실시 형태에서의 스핀들 서보 회로(34), 포커스 서보 회로(35), 트랙킹 서보 회로(36), 쓰레드 서보 회로(37)의 각각은, 디지털 서보 회로인 것으로 한다.
RF 앰프(30)는, 광 픽업(11)으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신호 DET를 받아, 광 디스크(12)에 기록된 데이터를 나타내는 RF(Radio Frequency) 신호, 스핀들 모터(13)의 회전 속도의 오차를 나타내는 스핀들 에러 신호 SPE, 초점 오차를 나타내는 포커스 에러 신호 FE, 트랙킹 오차를 나타내는 트래킹 에러 신호 TE를 각각 출력한다. 또한,본 실시 형태에서의 RF 신호는, 검출 신호 DET를 소정의 이득으로 증폭한 신호인 것으로 한다.
디펙트 검출 회로(31)는, RF 앰프(30)로부터 입력되는 RF 신호의 레벨에 기초하여, 광 디스크(12)의 기록면에서의 손상이나 오염 등의 유무를 나타내는 디펙트 신호 DEF를 출력하는 회로이다. 상술하면,광 디스크(12)의 기록면에 손상 등이 있는 경우에는, 광 픽업(11)으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신호 DET의 레벨은 낮아지기 때문에, RF 신호의 레벨도 그것에 수반하여 저하된다. 한편,광 디스크(12)의 기록면에 손상 등이 없는 경우에는, 광 픽업(11)으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신호 DET 의 레벨은 높아지기 때문에, RF 신호의 레벨도 그것에 수반하여 상승한다. 이 때문에, 디펙트 검출 회로(31)에서 소정 레벨의 임계값 Vt와 RF 신호의 레벨을 비교함으로써, 광 디스크(12)의 기록면에서의 손상 등의 유무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본 실시 형태에서는, 광 디스크(12)의 기록면에 손상 등이 있는 경우에는, 하이 레벨(이하, H 레벨)의 디펙트 신호 DEF가 출력되고, 광 디스크(12)의 기록면에 손상 등이 없는 경우에는, 로우 레벨(이하, L 레벨)의 디펙트 신호 DEF가 출력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디펙트 검출 회로(31)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제2007-250046호 공보의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회로로 구성 가능하다.
클럭 생성 회로(32)는, 디지털 서보 회로인 스핀들 서보 회로(34), 포커스 서보 회로(35), 트랙킹 서보 회로(36), 쓰레드 서보 회로(37)의 각각이 동작하기 위한 클럭 신호 CLK를 생성하는 회로이다.
ROM(33)은, 스핀들 서보 회로(34), 포커스 서보 회로(35), 트랙킹 서보 회로(36), 쓰레드 서보 회로(37)의 각각의 회로가,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할 때에 이용하는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는 회로이다.
스핀들 서보 회로(34)는, 스핀들 에러 신호 SPE에 기초하여, 스핀들 모터(13)를 일정한 선속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 DR1을 구동 회로(21)에 출력하는 회로이다.
포커스 서보 회로(35)는, 포커스 에러 신호 FE에 기초하여, 광 디스크(12)의 기록면에 레이저(도시 생략)의 초점을 맞추기 위한 구동 신호 DR2를 구동 회로(21)에 출력하는 회로이다.
트랙킹 서보 회로(36)는, 트래킹 에러 신호 TE에 기초하여, 광 픽업(11)에서의 대물 렌즈(도시 생략)를 트랙에 추종시키고, 트랙킹 오차를 감소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 DR3을 구동 회로(21)에 출력함과 함께,트래킹 에러 신호 TE의 고주파 성분이 감쇠된 에러 신호 EO가 쓰레드 서보 회로(37)에 출력하는 회로이다.
쓰레드 서보 회로(37)는, 디펙트 검출 회로(31)로부터의 디펙트 신호 DEF와, 트랙킹 서보 회로(36)로부터의 에러 신호 EO에 기초하여, 트랙킹 오차를 감소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 DR4를 구동 회로(21)에 출력하는 회로이며, 제어 회로(40), 이퀄라이저(41), 정지 신호 출력 회로(42), 절환 회로(43), DAC(44)로 구성된다. 또한,본 실시 형태에서의 쓰레드 모터(16)에 요구되는 동작 속도는, 트랙킹 조정용 액튜에이터(15)에 요구되는 동작 속도보다도 느리기 때문에, 쓰레드 서보 회로(37)는, 전술한 바와 같이, 트래킹 에러 신호 TE의 고주파 성분이 감쇠된 에러 신호 EO에 기초하여 동작하면 된다. 또한,이퀄라이저(41), 정지 신호 출력 회로(42), 절환 회로(43)가 본 발명에서의 구동 신호 생성 회로에 상당한다.
처리 회로(38)는, 예를 들면 광 디스크(12)에 기록된 음악을 재생하기 위해서, RF 앰프(30)로부터의 RF 신호를 처리하고, 음성 신호로서 예를 들면 스피커(도시 생략)를 구동하기 위한 파워 앰프(도시 생략)에 출력하는 회로이다.
DSP 코어(39)는, 광 디스크용 LSI(20)를 통괄 제어한다.
구동 회로(21)는, 전술한 광 디스크용 LSI(20)로부터의 구동 신호 DR1∼DR4에 기초하여, 스핀들 모터(13), 광 픽업(11)에 구비된 초점 조정용 액튜에이터(14) 및 트랙킹 조정용 액튜에이터(15), 쓰레드 모터(16)의 각각을, 출력 신호 O1∼O4에 의해 구동하는 회로이다.
또한,이하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광 픽업(11)이 광 디스크(12)에 기록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읽어내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고, 광 픽업(11)은, 광 디스크(12)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우선,쓰레드 서보 회로(37)의 구성예를,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의 쓰레드 서보 회로(37)는 디지털 서보 회로이기 때문에,도 2에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쓰레드 서보 회로(37)에는 클럭 생성 회로(32)로부터의 클럭 신호 CLK가 입력되어 있으며, 클럭 신호 CLK에 동기하여 동작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제어 회로(40)는, 광 디스크(12)의 기록면에 손상 등이 있는 것을 나타내는 H 레벨의 디펙트 신호 DEF가 출력되는 경우에는, 광 픽업(11)의 이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신호를 후술하는 절환 회로(43)로부터 출력시키고, 광 디스크(12)의 기록면에 손상 등이 없는 것을 나타내는 L 레벨의 디펙트 신호 DEF가 출력되는 경우에는, 광 픽업(11)이 트랙킹 오차에 따라서 이동하기 위한 신호를 절환 회로(43)로부터 출력시키기 위한 회로이다.
이퀄라이저(41)(추종 신호 출력 회로)는, 제어 회로(40)로부터의 제어 신호 CONT1의 레벨과, 트랙킹 서보 회로(36)로부터 출력되는 에러 신호 EO에 기초하여, 쓰레드 모터(16)를 피드백 제어시키기 위한 출력 신호 PID(추종 신호)를 출력하는 회로이다. 또한,본 실시 형태의 이퀄라이저(41)는, 예를 들면, 제어 신호 CONT1이 L 레벨인 경우, 클럭 신호 CLK에 동기하여, 에러 신호 EO를 소정의 PID(Proportional Integral Derivative) 제어의 연산식으로 연산 처리하고, 출력 신호 PID로서 출력하는 것으로 한다. 한편, 제어 신호 CONT1이 H 레벨인 경우에는, 클럭 신호 CLK 및 에러 신호 EO의 입력이 정지되고, 제어 신호 CONT1이 H 레벨로 되기 전에 입력된 클럭 신호 CLK에 동기하여 출력되어 있었던 신호가, 출력 신호 PID로서 출력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본 실시 형태의 이퀄라이저(41)에는, 입력되는 에러 신호 EO를 적분하도록 한 PID 제어의 연산식이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정지 신호 출력 회로(42)는, 출력 신호 PID와 제어 신호 CONT2에 기초하여, 쓰레드 모터(16)를 정지시키기 위한 출력 신호 STOP(정지 신호)를 출력하는 회로이며, 제1 레지스터(50), 제2 레지스터(51), 승산 회로(52), 스위치(53)로 구성된다.
제1 레지스터(50)는, 광 픽업(11)을 광 디스크(12)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쓰레드 모터(16)가 구동되도록 하는 데이터 D1을 유지하는 회로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광 디스크용 LSI(20)가 기동되면,예를 들면, 광 디스크용 LSI(20)에 구비된 DSP 코어(39)가, ROM(33)에 유지된 전술한 데이터 D1을 읽어내고, 제1 레지스터(50)에 기입하는 것으로 한다.
제2 레지스터(51)는, 이퀄라이저(41)로부터 클럭 신호 CLK에 동기하여 출력되는 출력 신호 PID를 순차적으로 유지하는 회로이다.
승산 회로(52)는, 데이터 레지스터(51)에 유지된 데이터에 소정의 비율을 곱하여 데이터 D2로서 출력하는 회로이다.
스위치(53)는, 예를 들면, 제어 신호 CONT2가 H 레벨인 경우, 제1 레지스 터(50)로부터의 데이터 D1을 출력 신호 STOP로서 절환 회로(43)에 출력하고, 제어 신호 CONT2가 L 레벨인 경우, 승산 회로(52)로부터의 데이터 D2를 출력 신호 STOP로서 절환 회로(43)에 출력하는 회로이며, 예를 들면 셀렉터에 의해 구성 가능하다.
절환 회로(43)는, 예를 들면, 제어 신호 CONT1이 H 레벨인 경우, 정지 신호 출력 회로(42)로부터의 출력 신호 STOP를 출력 신호 SEL(구동 신호)로서 DAC(44)에 출력하고, 제어 신호 CONT1이 L 레벨인 경우, 이퀄라이저(41)로부터의 출력 신호 PID를 출력 신호 SEL로서 DAC(44)에 출력하는 회로이며, 예를 들면 셀렉터에 의해 구성 가능하다.
DAC(44)는, 절환 회로(43)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회로이며, 구체적으로는,출력 신호 SEL에 기초한 레벨의 전압을 구동 신호 DR4로서 출력하는 회로이다.
또한,제어 회로(40)의 구성예를,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어 회로(40)는, 엣지 펄스 생성 회로(60), 펄스 생성 회로(61), 비교 회로(62), 초기값설정 회로(63), 다운 카운터(64), OR 회로(6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엣지 펄스 생성 회로(60)는, 디펙트 신호 DEF가 L 레벨로부터 H 레벨로 되는 상승을 검출하고, 소정 기간 H 레벨로 되는 펄스 신호를, 제어 신호 CONT2로서 출력하는 회로이다.
펄스 생성 회로(61)는, 디펙트 신호 DEF가 H 레벨인 경우에만, 클럭 신호 CLK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다운 카운터(64)의 초기값을 설정하기 위한 로드 펄스 LP를 출력하는 회로이다.
비교 회로(62)는, 디펙트 신호 DEF가 H 레벨로 되는 기간과 소정의 기간 TA를 비교하는 회로이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디펙트 신호 DEF가 H 레벨로 되는 기간이 기간 TA보다 길면, 비교 회로(62)의 출력이 L 레벨로부터 H 레벨로 변화한다. 상술하면,본 실시 형태의 비교 회로(62)는, 예를 들면, 디펙트 신호 DEF가 H 레벨인 경우에, 클럭 신호 CLK를 클럭 신호 DCLK로서 출력하는 AND 회로(70), H 레벨의 제어 신호 CONT2가 입력되면,리세트되어 출력이 L 레벨로 되고, L 레벨의 제어 신호 CONT2가 입력되면,클럭 신호 DCLK에 동기하여 카운트를 개시하고, 카운트값이 소정의 값으로 되면 출력이 H 레벨로 되는 업 카운터(71)로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업 카운터(71)가, 클럭 신호 DCLK에 동기하여 카운트값을 증가하기 시작하고 나서, 카운트값이 전술한 소정의 카운트값에 달할 때까지의 기간을 기간 TA로 한다.
초기값 설정 회로(63)는, 비교 회로(62)로부터의 출력 신호 SET의 레벨에 기초한 초기값을, 후술하는 다운 카운터(64)에 설정하는 회로이며, 제3 레지스터(72), 제4 레지스터(73), 스위치(74)로 구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출력 신호 SET가 L 레벨인 경우, 제3 레지스터(72)에 유지된 데이터 D3이 데이터 DA로서 스위치(74)로부터 출력되고, 출력 신호 SET가 H 레벨인 경우, 제4 레지스터(73)에 유지된 데이터 D4가 데이터 DA로서 스위치(74)로부터 출력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본 실시 형태에서의 제3 레지스터(72), 제4 레지스터(73)는, 쓰레드 서보 회로(37)에서의 제1 레지스터(50)와 마찬가지로, 광 디스크용 LSI(20)가 기동되면, DSP 코어(39)가 ROM(33)에 유지된 데이터를 읽어내고, 레지스터(72, 73)에 데이터 D3, D4를 각각 기입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제3 레지스터(72)에 유지되는 데이터 D3은, 카운터(64)의 초기값으로서 제로가 설정되도록 하는 데이터이며, 제4 레지스터(73)에 유지되는 데이터 D4는, 다은 카운터(64)의 초기값으로서 제로가 아닌 소정의 카운트값이 설정되도록 하는 데이터인 것으로 한다.
다운 카운터(64)는, 제어 신호 CONT2가 H 레벨인 경우, 출력은 리세트되어 L 레벨로 되고, 제어 신호 CONT2가 L 레벨인 경우, 로드 펄스 LP에 의해 데이터 DA가 초기의 카운트값으로서 설정되고, 설정된 카운트값을 클럭 신호 CLK에 동기하여 다운카운트하는 회로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리세트된 경우와, 카운트값이 제로인 경우에 출력은 L 레벨로 되고, 카운트값이 제로가 아닌 경우에는, H 레벨을 출력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다운 카운터(64)로부터의 출력은, 출력 신호 QD로서 OR 회로(65)에 입력되게 된다.
OR 회로(65)에는, 다운 카운터(64)로부터의 출력 신호 QD와 디펙트 신호 DEF가 입력되고, 제어 신호 CONT1이 출력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광 디스크 장치 제어 회로(10)가 기동되면,업 카운터(71), 다운 카운터(64)는 리세트되는 것으로 한다.
다음으로, 구동 회로(21)에서의 쓰레드 모터(14)를 구동하는 구성의 일례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구동 회로(21)는, 쓰레드 모터(14)를 구동하기 위한 쓰레드 모터 구동 회로(8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쓰레드 모터 구동 회로(80)는, 조정 회로(90), 부하 구동 회로(9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조정 회로(90)는, 입력된 구동 신호 DR4의 전압 레벨에 기초하여, 부하 구동 회로(91)의 동작의 기준으로 되는 출력 전압 VO를 출력하는 회로이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5에 예시하는 바와 같은 입출력 특성을 갖는 것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구동 신호 DR4의 전압 레벨이 전압 VH보다 높은 경우, 출력 전압 VO는 구동 신호 DR4의 레벨에 따라서 상승하고, 구동 신호 DR4의 전압 레벨이 전압 VL보다 낮은 경우, 출력 전압 VO는 구동 신호 DR4의 레벨에 따라서 감소한다. 또한,구동 신호 DR4의 레벨이, 전압 VL로부터 전압 VH의 범위 내인 경우, 출력 전압 VO는 일정한 전압 VOC로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전압 VL로부터 전압 VH의 범위 내의 중심 전압을 전압 Vref로 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트랙킹 오차가 제로인 경우에 이퀄라이저(41)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신호 PID는, DAC(44)에 의해 구동 신호 DR4로 변환되면 전압 Vref로 되도록 하는 데이터인 것으로 한다. 또한,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이퀄라이저(41)에는, 트랙킹 오차가 증가하면,입력되는 에러 신호 EO를 적분하도록 한 PID 제어의 연산식이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트랙킹 오차가 제로로부터 증가함에 따라서, DAC(44)로부터의 구동 신호 DR4의 레벨은, 전압 Vref로부터 높은 전압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본 실시 형태의 조정 회로(90)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평8-103095호 공보에서 개시된 불감대 회로에 의해 구성 가능하다.
부하 구동 회로(91)는, 입력되는 출력 전압 VO의 레벨에 기초한 출력 신호 O4에 의해, 쓰레드 모터(16)를 직접 구동하는 회로이며, 출력 전압 VO가 전압 VOH보다 높은 경우, 광 픽업(11)이 광 디스크(12)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이동하도 록, 출력 전압 VO의 상승에 따라서 쓰레드 모터(16)를 구동하고, 출력 전압 VO가 전압 VOL보다 낮은 경우, 광 픽업(11)이 광 디스크(12)의 외측으로부터 중심으로 이동하도록, 출력 전압 VO의 감소에 따라서 쓰레드 모터(16)를 구동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부하 구동 회로(91)는, 출력 전압 VO가 전압 VOC인 경우, 광 픽업(11)의 이동이 정지되도록, 쓰레드 모터(16)를 구동한다. 따라서,쓰레드 모터 구동 회로(80)에 입력되는 구동 신호 DR4의 레벨이, 전압 VL로부터 전압 VH의 범위인 경우, 광 픽업(11)의 이동이 정지되도록 쓰레드 모터(16)가 구동되기 때문에, 이하,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압 VL로부터 전압 VH의 범위를 불감대로 한다.
여기에서, 광 디스크 장치 제어 회로(10)의 동작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디펙트 신호 DEF의 H 레벨로 되는 기간에서, 업 카운터(71)의 클럭 신호 DCLK에 기초한 카운트값이 소정의 카운트에 달하는 경우, 즉, 디펙트 신호 DEF의 H 레벨로 되는 기간이 전술한 기간 TA보다 긴 경우에서의 광 디스크 장치 제어 회로(10)의 동작에 대하여, 도 6에 도시한 쓰레드 서보 회로(37)에서의 주요한 신호의 타이밍차트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본 실시 형태에서는, 광 디스크 장치 제어 회로(10)는 시각 t0보다 전에 기동되고, 시각 t1에서 처음으로 디펙트 신호 DEF가 H 레벨로 되는 것으로 한다. 광 디스크 장치 제어 회로(10)가 기동되면,쓰레드 서보 회로(37)에서의, 이퀄라이저(41)는, 트랙킹 오차에 따른 에러 신호 EO를, 소정의 PID 제어의 연산식에 의해 연산 처리하고 출력 신호 PID로서 출력한다. 또한,광 디스크 장치 제어 회로(10)가 기동되면,전술한 바와 같이, 다운 카운터(64)는 리세트되어 있기 때문에, 시각 t0에서 OR 회로(65)로부터 출력되는 제 어 신호 CONT1은 L 레벨이다. 따라서,절환 회로(43)는, 출력 신호 SEL로서 이퀄라이저(41)로부터의 출력 신호 PID를 출력하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DAC(44)는 출력 신호 SEL을 구동 신호 DR4로서 쓰레드 모터 구동 회로(80)에 출력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쓰레드 모터(16)는 피드백 제어되게 된다.
시각 t1에서, 디펙트 신호 DEF가 H 레벨로 되면, OR 회로(65)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 CONT1이 H 레벨로 되기 때문에, 절환 회로(43)는, 정지 신호 출력 회로(42)로부터의 출력 신호 STOP를 출력 신호 SEL로서 출력하게 된다. 또한, 시각 t1에서는, 제어 신호 CONT2가 H 레벨로 되기 때문에, 제1 레지스터(50)에 유지된 데이터 D1이 출력 신호 STOP로서 출력되게 된다. 여기에서, 본 실시 형태에서, 제1 레지스터(50)에 유지된 데이터 D1은, DAC(44)로부터 출력되는 구동 신호 DR4가, 도 5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전압 VL보다도 낮은 전압 VA로 되도록 하는 데이터인 것으로 한다. 따라서,시각 t1에서, 구동 회로(21)로부터는, 광 픽업(11)을, 광 디스크(12)의 외측으로부터 중심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출력 신호 O4가 출력되게 된다. 또한,시각 t1에 디펙트 신호 DEF가 H 레벨로 되면, 도 3에 도시한 비교 회로(62)의 업 카운터(71)는, 클럭 신호 DCLK에 동기하여 업카운트를 개시한다. 또한,업 카운터(71)는 리세트되고 나서, 소정의 카운트값에 달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출력 신호 SET는 L 레벨이다. 따라서,다운 카운터(64)에는, 로드 펄스 LP에 동기하여, 제3 레지스터(72)에 유지된 제로를 나타내는 데이터 D3으로 설정된다.
시각 t2에서, 제어 신호 CONT2가 L 레벨로 되면, 스위치(53)의 일단은 제1 레지스터(50)로부터 승산 회로(52)에 접속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정지 신호 출 력 회로(42)는, 승산 회로(52)로부터의 데이터 D2를 출력 신호 STOP로서 절환 회로(43)에 출력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승산 회로(52)는, 입력되는 신호의 레벨에 상관없이, DAC(44)로부터 출력되는 구동 신호 DR4가, 도 5에 예시하는 불감대에서의 전압 Vref로부터 전압 VH까지의 범위에 들어가도록 하는 소정의 비율이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하,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시각 t2에서 승산 회로(52)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D2는, DAC(44)로부터 출력되는 구동 신호 DR4가, 도 5에 예시하는 전압 VB가 되도록 하는 데이터인 것으로 한다. 또한, 시각 t3에서, 업 카운터(71)의 카운트값이 소정의 카운트에 도달하면, 업 카운터(71)로부터 출력 신호 SET가 L 레벨로부터 H 레벨로 된다. 그리고, 다운 카운터(64)에는, 로드 펄스 LP에 동기하여 제4 레지스터(73)에 유지된 소정의 카운트값이 다운 카운터(64)의 초기값으로서 설정된다. 설정된 카운트값은, 클럭 신호 CLK에 동기하여 감소된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설정된 카운트값이 제로로 되기 전에, 로드 펄스 LP가 입력되는 것으로 하기 때문에, 로드 펄스 LP가 출력되는 디펙트 신호 DEF가 H 레벨인 기간에서, 다운 카운터(64)의 카운트값은, 클럭 신호 CLK에 동기하여 감소하기 시작하지만, 로드 펄스 LP에 동기하여 초기값에 리세트되게 된다. 시각 t5에서, 다운 카운터(64)에, 로드 펄스 LP에 동기하여, 소정의 카운트값이 설정된 후, 시각 t6에 디펙트 신호 DEF가 L 레벨로 되면, 로드 펄스 LP의 출력이 정지된다. 따라서,시각 t5 이후, 다운 카운터(64)의 카운트값은 클럭 신호 CLK에 동기하여 계속해서 감소하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다운 카운터(64)의 카운트값이 제로로 되는 시각 t7에서, 제어 신호 CONT1이 L 레벨로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다운 카운터(64)에 설정되는 전술한 소정의 카운트값을, 클럭 신호 CLK에 동기하여 제로까지 카운트하는 기간을 기간 TB로 하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디펙트 신호 DEF가 L 레벨로 된 후, 기간 TB에 따른 소정 기간만큼 제어 신호 CONT1을 H 레벨로 할 수 있다. 따라서,시각 t2로부터 시각 t7까지는, DAC(44)로부터의 구동 신호 DR4의 레벨은 전압 VB 그대로이다. 시각 t7 이후에는, 디펙트 신호 DEF와 다운 카운터(64)의 출력 신호 QD가 모두 L 레벨로 되고, OR 회로(65)로부터의 제어 신호 CONT1이 L 레벨로 되기 때문에, 전술한 시각 t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쓰레드 모터(16)는, 이퀄라이저(41)로부터의 출력 신호 PID에 의해 피드백 제어되게 된다.
다음으로, 디펙트 신호 DEF의 H 레벨로 되는 기간에서, 업 카운터(71)의 클럭 신호 DCLK에 기초한 카운트값이 소정의 카운트에 달하지 않은 경우, 즉, 디펙트 신호 DEF의 H 레벨로 되는 기간이 전술한 기간 TA보다 짧은 경우에서의 광 디스크 장치 제어 회로(1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디펙트 신호 DEF가 L 레벨로부터 H 레벨로 변화하면, 디펙트 신호 DEF의 H 레벨로 되는 기간이 기간 TA보다 긴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 6에 예시한 시각 t1로부터 구동 신호 DR4가 출력되게 된다. 시각 t2 이후, 업 카운터(71)는 클럭 신호 DCLK에 동기하여 카운트값을 증가시키지만, 클럭 신호 DCLK가 소정의 카운트에 달하지 않기 때문에, 업 카운터(71)의 출력 신호 SET는 L 레벨 그대로이다. 따라서,다운 카운터(64)의 초기값으로서는, 제3 레지스터(72)에 유지된 제로가 로드 펄스 LP에 동기하여 설정되기 때문에, 다운 카운터(64)의 출력 신호 QD는 항상 L 레벨로 된다. 이 때문에, OR 회로(65)로부터 제어 신호 CONT1은, 디펙트 신호 DEF에 따라서 변화하게 된다. 제어 신호 CONT1이 H 레벨인 기간은, 디펙트 신호가 H 레벨로 되는 기간과 일치하고, 디펙트 신호 DEF가 H 레벨인 기간만 정지 신호 출력 회로(42)로부터의 출력 신호 STOP가, 절환 회로(43)로부터 출력 신호 SEL로서 출력된다. 또한, 디펙트 신호 DEF가 L 레벨로 되면, 이퀄라이저(41)로부터의 출력 신호 PID가, 절환 회로(43)로부터 출력 신호 SEL로서 출력되게 된다.
이상에 설명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실시 형태의 광 디스크 장치 제어 회로(10)는, 예를 들면 도 6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시각 t1에서, 디펙트 신호 DEF가 H 레벨로 되면, 제어 회로(40)의 제어 신호 CONT1이 H 레벨로 되고, 쓰레드 모터(16)는, 출력 신호 STOP에 따른 출력 신호 O4에 의해 구동되게 된다. 따라서,광 디스크(12)의 기록면에 손상 등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디펙트 신호 DEF가 검출되면,광 픽업(11)의 이동이 정지하도록 한 쓰레드 모터(16)가 구동되기 때문에, 광 픽업(11)의 부정한 이동을 억제 가능하다.
또한,일반적으로, 광 디스크(12)의 기록면에 큰 손상이 있고 광 픽업(11)이 큰 손상을 검출함으로써 디펙트 신호 DEF가 H 레벨로 된 경우, 디펙트 신호 DEF가 L 레벨로 된 후에도 트래킹 에러 신호 TE가 안정될 때까지 시간이 걸린다고 하는 경향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디펙트 신호가 L 레벨로 된 후에도, 다운 카운터(64)의 카운트값이 제로로 되는 시각 t7까지 제어 신호 CONT1이 H 레벨이기 때문에, 광 픽업(11)의 이동이 정지하도록 쓰레드 모터(16)가 구동된다. 따라서,광 픽업(11)의 제어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일반적으로, 광 디스크(12)의 기록면에 있는 손상이나 오염 중,지문 에 의한 오염이나 미세한 긁힘 손상 등에서는 디펙트 신호 DEF가 H 레벨로 되는 기간이 짧고, 큰 손상인 경우, 디펙트 신호 DEF가 H 레벨로 되는 기간은 길다. 또한,지문 등에 의한 오염의 경우, 큰 손상의 경우와 비교하면 처리 회로(38)는, RF 앰프(30)로부터의 RF 신호를 처리하고, 정상적인 음성 신호로서 출력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디펙트 신호 DEF가 H 레벨로 되는 기간이 짧은 경우에는, 디펙트 신호 DEF가 L 레벨로 되면, 광 픽업(11)을 이동시키기 위해, 이퀄라이저(41)로부터의 출력 신호 PID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 형태에는, 디펙트 신호 DEF가 H 레벨로 되는 기간과, 기간 TA를 비교하는 비교 회로(62)가 구비되어 있으며, 디펙트 신호 DEF가 H 레벨로 되는 기간이 기간 TA 보다도 짧으면, 디펙트 신호 DEF가 제어 신호 CONT1로 되고, 디펙트 신호 DEF의 상승에 기초하여, 쓰레드 모터(16)가 출력 신호 PID에 의해 피드백 제어된다. 한편,디펙트 신호 DEF가 H 레벨로 되는 기간이 기간 TA 보다도 길면, 즉, 디펙트 신호 DEF가 광 디스크(12)의 기록면에서 큰 손상을 검출하였다고 상정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디펙트 신호 DEF가 H 레벨로 되는 기간보다 기간 TB만큼 길고 제어 신호 CONT1이 H 레벨로 된다. 따라서,본 실시 형태에서의 광 디스크 장치 제어 회로(10)는, 광 디스크(12)에 기록된 데이터의 판독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다운 카운터(64)의 초기값으로서 제로를 설정하는 경우, 본 실시 형태에서는, 디펙트 신호 DEF가 H 레벨인 기간에, 로드 펄스 LP에 동기하여 다운 카운터(64)의 초기값을 설정하고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디펙트 신호 DEF가 L 레벨로 된 후, 클럭 신호 CLK에 동기하여 다운 카운터(64)의 초기값으로서 제로를 설정하고, 카운트 동작을 개시하는 경우와 비교하면, 타임 래그없이 제어 신호 CONT1의 레벨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본 실시 형태의 이퀄라이저(41)에는, 트랙킹 오차가 증가하면,입력되는 에러 신호 EO를 적분하도록 한 PID 제어의 연산식이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DAC(44)로부터 출력되는 구동 신호 DR4의 전압은, 트랙킹 오차의 상승에 따라서 커진다. 예를 들면 시각 t0에서 DAC(44)의 구동 신호 DR4의 레벨이, 불감대의 상한인 전압 VH에 가까운 경우에는, 트랙킹 오차가 크고, 또한 트랙킹 오차가 증가하면,광 픽업(11)을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시각 t2에서, 시각 t0에서 출력되어 있던 출력 신호 PID의 레벨로, 소정의 비율을 곱한 데이터 D2로 하고 있다. 따라서,예를 들면 도 5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DAC(44)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이 VB로 되기 때문에, 불감대의 범위 내에 구동 신호 DR4를 받아들일 수 있어, 확실하게 광 픽업(11)의 이동을 정지 가능함과 함께,피드백 제어를 재개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 CONT1이 L 레벨로 되면, 전압 VB를 초기값으로서 적분이 재개되기 때문에, 짧은 시간에서 광 픽업(11)을 이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예를 들면 시각 t0에서, 트랙킹 오차가 증가한 결과, DAC(44)의 구동 신호 DR4의 전압이, 불감대의 상한인 전압 VH에 가깝게 되면, 디펙트 신호 DEF가 H 레벨로 된 경우에도, 구동 신호 DR4가 전압 VH를 초과하여, 결과적으로 광 픽업(11)을 이동시키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쓰레드 서보 회로(37)는, 상기한 바와 같이, 광 픽업(11)이 잘못 이동되는 경우에도, 시각 t1로부터 시각 t2까지, 광 픽업(11)이 역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구동 신호 DR4가 출력되기 때문 에, 광 픽업(11)을 확실하게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을 한정하여 해석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고, 변경, 개량될 수 있음과 함께, 본 발명에는 그 등가물도 포함된다.
예를 들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디펙트 신호 DEF가 H 레벨로 되는 기간과 기간 TA를 비교하는 비교 회로(62)를 설치하고 있지만, 기록면에 손상이 많은 광 디스크(12)를 재생하는 기회가 많은 경우에는, 비교 회로(62)를 구비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고, 다운 카운터(64)에 항상 소정의 카운트값을 설정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절환 회로(43)를 이용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절환 회로(43) 대신에, 예를 들면, 이퀄라이저(41)와 정지 신호 출력 회로(42)의 각각의 출력부에, 제어 신호 CONT1의 레벨에 기초하여, 이퀄라이저(41)와 정지 신호 출력 회로(42)의 출력을 상보적으로 제어 가능한 스위치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광 디스크 장치 제어 회로(10)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쓰레드 서보 회로(37)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제어 회로(40)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쓰레드 모터 구동 회로(80)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조정 회로(90)의 입출력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쓰레드 서보 회로(37)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차트.
도 7은 일반적인 쓰레드 서보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광 디스크 장치 제어 회로
11: 광 픽업
12: 광 디스크
13: 스핀들 모터
14: 초점 조정용 액튜에이터(FA)
15: 트래킹 조정용 액튜에이터(TA)
16: 쓰레드 모터
20: 광 디스크용 LSI
21: 구동용 회로
30: RF 앰프
31: 디펙트 검출 회로
32: 클럭 생성 회로
33: ROM
34: 스핀들 서보 회로
35: 포커스 서보 회로
36: 트래킹 서보 회로
37: 쓰레드 서보 회로
38: 처리 회로
39: DSP 코어
40: 제어 회로
41: 이퀄라이저
42: 정지 신호 출력 회로
43: 절환 회로
44: DAC
50: 제1 레지스터
51: 제2 레지스터
52: 승산 회로
53, 74: 스위치
60: 엣지 펄스 생성 회로
61: 펄스 생성 회로
62: 비교 회로
63: 초기값 설정 회로
64: 다운 카운터
65: OR 회로
70: AND 회로
71: 업 카운터
72: 제3 레지스터
73: 제4 레지스터
80: 쓰레드 모터 구동 회로
90: 조정 회로
91: 부하 구동 회로

Claims (6)

  1. 광 픽업으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의 트랙에 대한 추종 어긋남을 나타내는 오차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광 픽업을 광 디스크의 직경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모터를 상기 추종 어긋남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구동시키기 위한 추종 신호를 출력하는 추종 신호 출력 회로와,
    상기 광 픽업의 상기 직경 방향의 이동을 정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정지 신호를 출력하는 정지 신호 출력 회로와,
    상기 광 픽업에 의해 광전 변환된 출력 신호의 진폭 레벨이 소정 레벨보다 높아지면,상기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로서 상기 추종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출력 신호의 진폭 레벨이 상기 소정 레벨보다 낮아지면, 상기 구동 신호로서 상기 정지 신호를 출력하는 절환 회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신호 생성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 회로는, 상기 출력 신호의 진폭 레벨이 상기 소정 레벨보다 높아지면,소정 기간을 경과한 후, 상기 구동 신호로서 상기 추종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신호 생성 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신호의 진폭 레벨이 상기 소정 레벨보다 낮은 기간이 소정의 기준 기간보다 짧은 경우, 로우(low) 레벨의 비교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출력 신호의 진폭 레벨이 상기 소정 레벨보다 낮은 기간이 상기 기준 기간보다 긴 경우, 하이(high) 레벨의 상기 비교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 회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절환 회로는, 상기 출력 신호의 진폭 레벨이 상기 소정 레벨보다 높아지면,상기 비교 회로로부터 상기 로우 레벨의 상기 비교 신호가 출력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구동 신호로서 상기 추종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비교 회로로부터 상기 하이 레벨의 상기 비교 신호가 출력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소정 기간을 경과한 후, 상기 구동 신호로서 상기 추종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신호 생성 회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절환 회로로부터의 상기 구동 신호의 레벨이 소정의 범위 내인 경우, 상기 광 픽업의 상기 직경 방향의 이동이 정지되도록 구동되고,
    상기 정지 신호 출력 회로는, 상기 출력 신호의 진폭 레벨이 상기 소정 레벨보다 낮아지면, 상기 구동 신호의 레벨이 상기 소정의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상기 추종 신호에 소정의 비율을 곱한 신호를 상기 정지 신호로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신호 생성 회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절환 회로로부터의 상기 구동 신호의 레벨이 소정의 범위 내인 경우, 상기 광 픽업의 상기 직경 방향의 이동이 정지되도록 구동되고, 상기 절환 회로로부터의 상기 구동 신호의 레벨이 상기 소정의 범위 외인 경우, 상기 구동 신호의 레벨에 따라서 상기 광 픽업이 상기 직경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동되며,
    상기 정지 신호 출력 회로는, 상기 출력 신호의 진폭 레벨이 상기 소정 레벨보다 낮아지면, 소정의 기간, 상기 모터가 역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정지 신호의 레벨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신호 생성 회로.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신호의 진폭 레벨이 상기 소정 레벨보다 높은 경우에, 로우 레벨로 되고, 상기 출력 신호의 진폭 레벨이 상기 소정 레벨보다 낮은 경우에, 하이 레벨로 되는 디펙트 신호를 출력하는 디펙트 신호 출력 회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절환 회로는, 상기 디펙트 신호가 상기 로우 레벨로 되면, 상기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로서 상기 추종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디펙트 신호가 상기 하이 레벨로 되면, 상기 구동 신호로서 상기 정지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신호 생성 회로.
KR1020080126519A 2007-12-14 2008-12-12 구동 신호 생성 회로 KR1009981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323507 2007-12-14
JP2007323507A JP4806393B2 (ja) 2007-12-14 2007-12-14 駆動信号生成回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4329A KR20090064329A (ko) 2009-06-18
KR100998129B1 true KR100998129B1 (ko) 2010-12-02

Family

ID=40753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6519A KR100998129B1 (ko) 2007-12-14 2008-12-12 구동 신호 생성 회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000185B2 (ko)
JP (1) JP4806393B2 (ko)
KR (1) KR100998129B1 (ko)
CN (1) CN101459403B (ko)
TW (1) TW20092615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06393B2 (ja) * 2007-12-14 2011-11-02 オンセミコンダクター・トレーディング・リミテッド 駆動信号生成回路
US20120236702A1 (en) * 2010-06-21 2012-09-20 Yao-Lung Chuang Method of controlling mechanical mechanisms of electronic device for peak power/current reduction
US8711664B2 (en) 2010-06-21 2014-04-29 Mediatek Inc. Method of controlling mechanical mechanisms of optical storage apparatus for peak power/current reduction, and related optical storage apparatus and machine-readable medium
TWI591626B (zh) 2011-05-27 2017-07-11 Rohm Co Ltd Load driv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CN103457521A (zh) * 2012-05-28 2013-12-18 联发科技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的控制方法及电子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1153A (ja) 2002-11-22 2003-05-23 Sharp Corp ディスク装置
JP2006344302A (ja) 2005-06-09 2006-12-21 Sanyo Electric Co Ltd 光ディスク装置のスレッドモーター駆動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20237A (ja) * 1989-02-21 1990-09-03 Pioneer Electron Corp トラッキングサーボ装置におけるエラー信号増幅器のゲイン制御方式
JP2633417B2 (ja) * 1991-08-02 1997-07-23 シャープ株式会社 光記録媒体駆動装置
JPH05144019A (ja) * 1991-11-15 1993-06-11 Taiyo Yuden Co Ltd コンパクトデイスク装置のスレツド暴走防止回路
JPH0745023A (ja) * 1993-07-30 1995-02-14 Alpine Electron Inc スレッドサーボ回路
JPH08306054A (ja) * 1995-04-28 1996-11-22 Sony Corp トラッキングサーボ回路
JP2000285487A (ja) * 1999-03-31 2000-10-13 Roodo:Kk 光ディスク再生装置およびそのトラッキング制御方法
JP4543244B2 (ja) * 2001-02-20 2010-09-15 船井電機株式会社 トラックジャンプ制御装置およびトラックジャンプ方法
JP2003077145A (ja) * 2001-08-31 2003-03-14 Sony Corp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及びトラックジャンプ制御方法
JP2003153569A (ja) 2001-11-13 2003-05-23 Sharp Corp モータ制御回路及びディスク再生装置
KR100510524B1 (ko) * 2003-04-04 2005-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트랙 정보를 이용하여 광픽업의 최내주 이동을 제어하는광 디스크 시스템 및 이에 대한 제어방법
KR100548227B1 (ko) * 2003-09-05 2006-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디스크 드라이브 및 그의 스핀들 모터 제어방법
JP4806393B2 (ja) * 2007-12-14 2011-11-02 オンセミコンダクター・トレーディング・リミテッド 駆動信号生成回路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1153A (ja) 2002-11-22 2003-05-23 Sharp Corp ディスク装置
JP2006344302A (ja) 2005-06-09 2006-12-21 Sanyo Electric Co Ltd 光ディスク装置のスレッドモーター駆動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59403B (zh) 2012-07-04
JP2009146513A (ja) 2009-07-02
TW200926154A (en) 2009-06-16
KR20090064329A (ko) 2009-06-18
CN101459403A (zh) 2009-06-17
US20090154312A1 (en) 2009-06-18
JP4806393B2 (ja) 2011-11-02
US8000185B2 (en) 2011-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8129B1 (ko) 구동 신호 생성 회로
US20080037390A1 (en) Read/write position controller for optical pickup
US20070030772A1 (en) Optical disc apparatus
KR100280892B1 (ko)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액츄에이터 진동방지 장치
JP4742749B2 (ja) ディスク駆動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806309B2 (ja) フォーカスサーボ装置
KR20020010387A (ko) 광디스크의 최적 재생방법
JP2006252647A (ja) 情報信号振幅計測回路および光情報記録および/または再生装置
JP4211663B2 (ja) 光ディスク再生装置
KR100594809B1 (ko) 포커스 인입 장치 및 방법
JPH1139674A (ja) 位置決め制御装置
KR100505647B1 (ko) 포커스 서치 방법 및 포커스 서치 파형 발생회로
JP3946184B2 (ja)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US20070002709A1 (en) Detection method and control method for rotational speed of disk replaying apparatus, and disk replaying apparatus
KR20030053046A (ko) 광디스크 장치 및 서보 제어 방법
JP2008047164A (ja) ディフェクト検出回路及び制御装置
JP2010055671A (ja) ディフェクト検出回路、光ディスク装置及びディフェクト検出方法
JP2010086627A (ja) 光ディスク装置
JP2001273649A (ja) サーボ制御システム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2006318616A (ja) 欠陥検出回路及びそれを備えた記憶媒体再生装置
JP2005310234A (ja) 光ディスク装置
KR19990055441A (ko)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디펙 보상 장치 및 방법
KR20040073938A (ko) 광 디스크 드라이브에서의 트랙킹 액츄에이터 제어장치
JPH0855348A (ja) 光学的記録再生装置のサーボ回路
JP2007179693A (ja) 光ディス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