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9227B1 - 전기 면도기 - Google Patents

전기 면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9227B1
KR100989227B1 KR1020030076122A KR20030076122A KR100989227B1 KR 100989227 B1 KR100989227 B1 KR 100989227B1 KR 1020030076122 A KR1020030076122 A KR 1020030076122A KR 20030076122 A KR20030076122 A KR 20030076122A KR 100989227 B1 KR100989227 B1 KR 100989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ransmission
motor
transmission mechanism
gear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6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3763A (ko
Inventor
야마시따야스오
다이또오요시노리
오까모또유스께
기꾸가와겐사꾸
Original Assignee
큐슈 히다치 맥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큐슈 히다치 맥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큐슈 히다치 맥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63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3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9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9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28Drive layout for hair clippers or dry shavers, e.g. providing for electromotive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14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of the rotary-cutter type; Cutting heads therefor; Cutters therefor
    • B26B19/146Complete cutting head being 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38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hair clippers, or dry shavers, e.g. housings, casings, grips, guards
    • B26B19/3853Housing or handl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전기 면도기에 있어서, 모터로부터 내부 날에 이르는 동력 전달 기구의 구조의 간소화와, 동력 전달 효율의 향상을 동시에 실현하면서, 사양이 다른 전기 면도기를 시리즈 상품화하는 경우의 동력 전달 기구의 개발에 요하는 시간과 수고를 생략하여 제조 비용을 삭감할 수 있는 전기 면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모터(31)와, 모터 동력을 감속하는 감속 동력 전달 기구(D)를 1개의 동력 모듈(M)로서 통합하여, 모터(31)로부터 내부 날(15)에 이르는 동력 전달 기구의 구조의 간소화와, 동력 전달 효율의 향상을 동시에 실현한다. 유닛화된 동력 모듈(M)은 다른 기계 종류 전기 면도기의 동력원으로서 유용할 수 있다. 감속 동력 전달 기구(D)에서 감속된 동력은 다음 단 동력 전달 기구(E)를 거쳐서 내부 날(15)로 동력 전달한다. 감속 동력 전달 기구(D)는 유성 기어 기구로 구성하여 기어의 맞물림 부위를 최소한화하면서 소정의 감속비를 얻어 기어 소음 발생을 억지한다. 또한 다음 단 동력 전달 기구(E)를 무단 벨트(135)를 동력 전달 요소로 하는 권취 동력 전달 기구로 구성하여 다음 단 동력 전달 기구(E)에 있어서의 소음 발생을 방지하여 전기 면도기의 외부에 있어서의 소음 레벨을 저하시킨다.
모터, 내부 날, 동력 모듈, 무단 벨트, 감속 동력 전달 기구

Description

전기 면도기 {ELECTRIC RAZOR}
도1은 동력 전달 기구의 개략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2는 전기 면도기의 정면도.
도3은 전기 면도기의 측면도.
도4는 전기 면도기의 분해 정면도.
도5는 본체 케이스 바닥부의 단면도.
도6은 면도기 헤드와 동력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7은 면도기 헤드측을 더 분해한 도6과 동일 취지의 분해 사시도.
도8은 동력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9는 면도기 헤드의 종단 정면도.
도10은 동력 모듈의 일부 파단 정면도.
도11은 면도기 헤드의 종단 측면도.
도12는 감속 동력 전달 기구의 횡단 평면도.
도13은 동력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14는 유성 기어 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15는 유성 기어 기구의 종단 측면도.
도16은 면도기 헤드의 중앙 종단면도.
도17은 기진 구조의 종단 정면도.
도18은 면도기 헤드의 좌우 및 상하 부동 동작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19는 면도기 헤드의 전후 및 좌우 부동 동작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20은 면도기 헤드의 분해 정면도.
도21은 면도기 헤드 요동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22는 내부 날 유닛의 결합 구조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도23은 내부 날 유닛을 분리한 면도기 헤드의 분해 사시도.
도24는 다음 단 동력 전달 기구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도25는 주로 안전 스위치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26은 외부 날 홀더와 안전 스위치 기구의 관계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도27은 외부 날 홀더를 떼어낸 상태의 종단 측면도.
도28은 도26에 있어서의 X-X선 단면도.
도29는 제어 회로의 개략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30은 동력 모듈의 이용예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31의 (a) 및 도31의 (b)는 동력 모듈의 다른 적용예를 도시하는 개념도.
도32는 부동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념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케이스
2 : 면도기 헤드
15 : 내부 날
31 : 모터
M : 동력 모듈
D : 감속 동력 전달 기구
E : 다음 단 동력 전달 기구
본 발명은, 모터로부터 절단 날에 이르는 감속 기구를 포함하는 동력 전달 기구에 개량을 가한 전기 면도기에 관한 것이다.
로타리식의 전기 면도기에 있어서, 세로 설치 배치한 모터와, 동력 전달 기구가 조립된 내부 날 유닛을 일체화하는 것, 바꿔 말하면 모터와 동력 전달 기구를 유닛화하는 것은 특허 문헌 1에 공지이다. 본 발명에서는 모터로부터 절단 날에 이르는 동력 전달 기구의 일부를 권취 동력 전달 기구로 구성하여 동력 전달 소음을 저하하지만, 이러한 종류의 동력 전달 기구는 공지이다(특허 문헌 2 참조). 단, 거기에서의 전기 면도기는 가로 설치형의 모터 배치가 아니라, 모터를 세로 설치 배치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특허 제2741054호 명세서(2 페이지, 도1)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2002-306864호 공보(단락 번호 0032, 도1)
특허 문헌 1에 있어서는, 모터 동력을 페이스 기어로 수평축 주위의 회전 동력으로 변환한 후, 평 기어군으로 구성한 기어 트레인으로 감속하여 내부 날로 동력 전달한다. 그로 인해, 예를 들어 내부 날의 사용 개수가 다른 전기 면도기를 시리즈 상품화하는 경우에는, 개개의 전기 면도기에 따라서 기어 트레인을 설계하여 고칠 필요가 있으며, 전기 면도기의 제조에 많은 시간과 수고가 필요하여 그 제조 비용이 증가되는 하나의 원인으로 되어 있었다. 또한, 각 기어의 맞물림부에 생기는 배클래시나, 기어와 기어 지지축 사이의 움직임 간극 등에 기인하는 기어 소음 발생을 피할 수 없어, 전기 면도기를 사용할 때의 소음 레벨이 높다. 다수개의 평 기어군으로 모터 동력을 감속하여 내부 날로 동력 전달하기 때문에, 기어의 사용 개수가 많은 만큼 동력의 동력 전달 효율이 낮은 점에도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이 점, 특허 문헌 2의 전기 면도기는 평 기어군으로 감속한 모터 동력을 면도기 헤드의 일측에 배치한 권취 동력 전달 기구로 내부 날로 동력 전달하기 때문에, 동력 전달 기구의 종단부에 있어서의 동력 전달 소음을 경감화할 수 있다. 그러나, 면도기 헤드의 하부 공간 중, 권취 동력 전달 기구가 배치되어 있는 측에 평 기어군을 집약 배치하기 때문에, 다른 측에 무효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피할 수 없어, 케이스 내의 공간 이용에 낭비가 있다.
덧붙여서, 로터리식의 전기 면도기에 있어서는, 출력 축에 있어서의 구동 회전수가 8000 rpm 전후의 고회전 저토크형의 모터를 사용하는 일이 많고, 모터 동력 을 1/4 전후로까지 감속함으로써 충분한 구동 토크와, 적절한 구동 회전수를 내부 날로 동력 전달할 수 있게 하고, 긴 털이나 딱딱한 수염 등을 깎는 경우라도, 모터 회전수의 변동폭을 작게 억제하여, 안정된 상태에서 수염 깎기 작업을 행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즉, 동력을 다단형으로 감속하여 동력 전달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동력 전달 기구를 구성하고 있고, 그 것이 동력 전달 기구를 복잡화하여, 동력 전달 소음의 저하를 곤란화하는 하나의 원인으로도 되어 있다.
고토크 저회전형의 모터를 구동원으로 하는 것은 불가능하지 않다. 그러나, 그 경우에는 동력 전달 기구를 간소화할 수 있는 반면, 모터 자체가 대형화되는 것을 피할 수 없어, 그 만큼 전기 면도기가 대형화되는 면에서 동력 전달 기구가 간소화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체 중량이 증가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모터로부터 내부 날에 이르는 동력 전달 기구의 구조의 간소화와, 동력 전달 효율의 향상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전기 면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모터와, 모터 동력을 감속하기 위한 동력 전달 기구가 1개의 동력 모듈로서 통합되어 있어, 예를 들어 내부 날의 사용 개수가 다른 등, 사양이 다른 전기 면도기를 시리즈 상품화하는 경우 등에, 동력 모듈을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어, 그 만큼 제품 개발에 요하는 시간과 수고를 생략하여 제조 비용을 삭감할 수 있는 전기 면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면도기 헤드의 일측에 따라서 동력 전달 기구가 집약 배치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케이스 내에 무효 공간이 생기는 일 없이, 케이스 내 공 간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는 전기 면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모터로부터 내부 날에 이르는 동력 전달 기구가 유성 기어 기구로 이루어지는 감속 동력 전달 기구(D)와, 권취 동력 전달 기구로 이루어지는 다음 단 동력 전달 기구(E)로 구성되어 있어, 동력 전달 기구의 전체 구조를 간소하면서, 저소음화도 실현할 수 있는 전기 면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전기 면도기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1)의 상부에 면도기 헤드(2)를 갖고, 면도기 헤드(2)의 상하에, 회전하는 내부 날(15)과, 내부 날(15)을 구동하는 모터(31)가 설치되어 있다. 모터(31)의 일측에 모터 동력을 감속하는 감속 동력 전달 기구(D)를 배치한다. 감속 동력 전달 기구(D)의 외측면에, 감속 동력 전달 기구(D)에서 감속된 동력을 내부 날(15)에 동력 전달하는 다음 단 동력 전달 기구(E)를 배치한다. 감속 동력 전달 기구(D)가, 모터(31)의 출력축(32)에 고정되는 태양 기어(50)와, 태양 기어(50)에 맞물리는 유성 기어(51)와, 유성 기어(51)를 회전 가능하게 저어널하는 기어 프레임(52)과, 유성 기어(51)에 맞물리는 내부 치형 기어(53)를 구비한 감속 케이스(54)와, 감속 케이스(54)로 저어널되어 기어 프레임(52)의 회전 동력을 출력하는 출력축(55)을 포함하는 유성 기어 기구로 구성된다. 면도기 헤드(2)의 하부에 모터(31)를 가로 설치 배치한다. 다음 단 동력 전달 기구(E)는, 면도기 헤드(2)의 하부 및 상부에 배치한 원동 풀리(132) 및 종동 풀리(133)와, 양 풀리(132, 133)에 권취한 무단 벨트(1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감속 케이스(54)의 외면에 돌출하는 출력축(55)에 다음 단 동력 전달 기구(E)의 원동 풀리(132)를 고정하여, 원동 풀리(132)로 기어 프레임(52)의 스러스트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한다.
유닛 부품화한 감속 동력 전달 기구(D)를 모터(31)의 일측에 고정하여 모터(31)와 감속 동력 전달 기구(D)가 1개의 동력 모듈(M)로서 구성된다.
모터(31)의 회전 동력을 왕복 동력으로 변환하는 기진(起振) 구조를 동력 모듈(M)에 조립한다. 모터(31)의 출력축(32)과 감속 동력 전달 기구(D)의 출력축(55) 중 어느 한 쪽에, 기진 구조를 구성하는 구동 캠(67)을 고정한다. 모터(31)의 일측에 구획 형성한 감속실(57) 내에, 감속 동력 전달 기구(D)를 수용한다.
모터(31)는 모터 하우징(33) 내에 수용 고정되어, 그 출력축(32)이 감속실(57) 내에 돌출되어 있다. 감속실(57)은 모터 하우징(33)과, 모터 하우징(33)의 측단부에 고정한 감속 케이스(54)로 구획한다. 모터 하우징(33)의 내부 공간과 감속실(57)은 격벽(58)으로 분단되어 각각 독립 공간으로 구획한다.
삭제
삭제
면도기 헤드(2)의 일측에 구획 형성한 동력 전달실(137) 내에, 다음 단 동력 전달 기구(E)를 수용한다.
감속 동력 전달 기구(D)에 의한 감속율이 모터(31)와 내부 날(15) 사이의 전체 감속비의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설정한다.
면도기 헤드(2)는 본체 케이스(1)로 전후, 좌우, 상하의 각 방향을 포함하는 전방위 방향으로 부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면도기 헤드(2)의 부동 지지 위치를 모터(31)로부터 하방으로 설정한다.
모터 하우징(33)은 모터(31)의 대부분을 수용하는 통형의 모터 홀더(38)와, 모터 홀더(38)의 개구를 폐색하는 홀더 커버(39)로 구성한다. 모터(31)에 접속되어 있는 리드선(45)을 모터 홀더(38)의 중앙 하면에 개구한 도선구(44)로부터 도출하고, 본체 케이스(1) 내에 수용한 회로 기판(26)에 접속한다.
모터 하우징(33)의 측면에 돌출하는 모터(31)의 출력축(32)을 홀더 커버(39)에 장착한 축용 패킹(40)으로 수밀형으로 밀봉한다. 또한, 모터 하우징(33)의 하면과 본체 케이스(1)의 내면 사이를 케이스 패킹(100)으로 밀봉하여 본체 케이스(1) 내의 전기 장착품 유닛(3)을 방수한다.
기진 구조로 변환한 왕복 동력으로 왕복 구동되는 왕복 이동 날(13, 17)을 구비하고 있다. 기진 구조는 모터(31)의 출력축(32)에 고정되는 구동 캠(67)과, 구동 캠(67)으로 상하로 왕복 구동되는 수동 피스(68)와, 모터(31)의 주위에 배치되어 좌우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내 지지되는 슬라이드 부재(70)와, 수동 피스(68)와 슬라이드 부재(70)를 접속하는 동력 전달 부재(69)를 포함한다. 동력 전달 부재(69)는 그 중도부가 굴곡되는 상태에서 수동 피스(68) 및 슬라이드 부재(70)의 슬라이드 평면에 따라서 배치한다. 수동 피스(68)의 상하 동작을 동력 전달 부재(69)로 좌우 동작으로 직접 변환하여 슬라이드 부재(70)를 좌우 방향으로 왕복 구동한다.
모터(31)는 모터 하우징(33)에 수용 고정한다. 슬라이드 부재(70)는 모터 하우징(33)의 상면에 고정한 가이드 부재(90)로 좌우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내 지지한다.
동력 전달 부재(69)의 굴곡부의 내외를 내부 가이드 부재(80)와 외부 가이드 부재(81)로 이행 안내한다. 수동 피스(68)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안내 지지하는 가이드 판(66)은 모터 하우징(33)에 고정한다. 롤러로 이루어지는 외부 가이드 부재(81)를 가이드 판(66)으로 헐겁게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동력 전달 부재(69)의 굴곡부에 선 접촉 상태로 외부 접촉시킨다.
동력 전달 부재(69)가 치형 부착 벨트로 형성한다. 내부 가이드 부재(80)는 동력 전달 부재(69)의 기어 날과 맞물리는 헐겁게 회전 가능한 기어로 구성한다.
도1 내지 도30은, 본 발명을 로타리식 전기 면도기에 적용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2 내지 도4에 있어서 전기 면도기는, 본체 케이스(1)와 그 상부에 설치한 면도기 헤드(2)와, 본체 케이스(1)에 수용되는 전기 장착품 유닛(3) 등을 주된 구조체로 구성한다.
본체 케이스(1)의 전방면에는 모터 기동용의 스위치 버튼(5))과, 그 로크 버튼(6) 및 운전 모드를 절환하는 선택 버튼(7) 등의 절환 조작 홈과, 표시구를 설치되어 있다. 표시구는 선택 버튼(7)의 상측에 설치한 충전등(8)과, 전지 잔량 표시등(9)과, 케이스 상부에 설치되어 운전 모드에 따라서 색이 변화되는 역 U자형의 모드 표시등(10)과, 수염 센서의 온 오프로 연동하여 점등하는 센서등(11)의 4 종 류이다. 이들 표시등의 동작은 후술한다.
도3에 있어서 본체 케이스(1)의 배면측에는 엣지 커팅 날(왕복 이동 날)(13)과, 엣지 커팅 날(13)을 구동 위치로 끌어 올려 조작하는 슬라이드 손잡이(14)를 설치되어 있다. 면도기 헤드(2)의 내부에는 횡축 주위에 회전하는 전후 한 쌍씩의 내부 날(15) 및 외부 날(16)과, 센터 날(왕복 이동 날)(17)과, 이들을 구동하는 구동 기구 등이 배치되어 있다. 면도기 헤드(2)의 좌우에는 면도기 헤드(2)를 전후 요동 불가능하게 로크 고정하기 위한 로크 손잡이(18)와, 외부 날 홀더(12)를 로크 해제 조작하는 좌우 한 쌍의 해제 버튼(19) 등이 설치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1)는 상하 양면이 개구되는 통체로 이루어지며, 하면 개구가 바닥 케이스(21)로 막힐 수 있고 있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 케이스(21)를 좌우 한 쌍의 나사(22)로 내부 프레임(25)에 체결함으로써, 본체 케이스(1)와, 전기 장착품 유닛(3)과, 바닥 케이스(21)의 3자를 분리 불가능하게 일체화할 수 있다. 바닥 케이스(21)와 본체 케이스(1)의 접합부 및 바닥 케이스(21)를 관통하는 앞의 나사(22) 및 충전 플러그(23)는, 각각 밀봉 링(24, 22a, 23a)에 의해 수밀형으로 방수해 둔다.
도4에 있어서 전기 장착품 유닛(3)은 내부 프레임(25)과, 내부 프레임(25)의 전방면에 장착되는 회로 기판(26)과, 회로 기판(26)의 배면측에 배치되는 좌우 한 쌍의 2차 전지(27)와, 회로 기판(26)에 부착될 수 있는 전원 스위치와, 각종의 표시용 LED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부 프레임(25)의 상부 내면에는, 후술하는 부동 프레임(34)을 결합 유지하는 4개의 결합 갈고리(28)(도4 참조)가 좌우로 대향하 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 상단부에 후술하는 케이스 패킹(100)의 외주연을 장착하기 위한 밀봉 프레임(29)이 형성되어 있다.
도6 및 도7에 있어서, 면도기 헤드(2)는 그 하반분을 차지하는 감속 동력 전달 기구(D)를 포함하는 동력 모듈(M)과, 상반분측의 요동 구조와, 동력 모듈(M)에서 감속된 모터 동력을 내부 날(15)에 전달하는 다음 단 동력 전달 기구(E)와, 모터 동력을 좌우 방향의 왕복 동력으로 변환하는 기진 구조와, 기진 구조로 변환된 왕복 동력을 센터 날(17) 및 엣지 커팅 날(13)에 전달하는 왕복 동력 전달 기구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그 상세를 각 구조마다 나누어 설명한다.
[동력 모듈(M)]
도7에 있어서 동력 모듈(M)은 가로 설치 배치되는 모터(31)와, 모터(31)를 수용하는 모터 하우징(33)과, 모터 하우징(33)의 측단부에 일체로 장착되는 감속 동력 전달 기구(D)와, 모터(31)의 출력축(32)으로부터 모터 하우징(33)의 상면에 걸쳐 부착된 기진 구조를 포함한다. 모터 하우징(33)의 하면에는 부동 프레임(34)이 고정되어 있다.
도8에 있어서 모터 하우징(33)은 모터(31)의 대부분을 수용하는 모터 홀더(38)와, 모터 홀더(38)의 개구를 막는 홀더 커버(39)와, 홀더 커버(39)에 장착되어 출력축(32)을 수밀형으로 밀봉하는 축용 패킹(40)과, 모터 홀더(38)와 홀더 커버(39)와의 접합부를 밀봉하는 링형의 홀더 패킹(41)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터 홀더(38)는 바닥이 있는 통형의 통 케이스로 이루어지며, 그 개구면의 주위 4 부위에 홀더 커버(39)와 감속 케이스(54)를 체결하기 위한 나사 보스(42)가 형성되 고, 상부벽의 일측에 체결 보스(43)가 형성되어 있다. 모터 홀더(38)의 중앙 하면에는 도선구(44)가 개구되어 있고, 이 도선구(44)로부터 모터(31)에 접속된 리드선(45)을 도출하여 회로 기판(26)에 접속되어 있다(도7 및 도9 참조).
감속 동력 전달 기구(D)는 유성 기어 기구로 구성한다. 도13 내지 도15의 각도에 있어서, 유성 기어 기구는 모터(31)의 출력축(32)에 고정되는 태양 기어(50)와, 태양 기어(50)에 맞물리는 3개의 유성 기어(51)와, 각 유성 기어(51)를 회전 가능하게 저어널하는 기어 프레임(52)과, 유성 기어(51)에 맞물리는 내부 치형 기어(53)를 구비한 감속 케이스(54)와, 감속 케이스(54)에 저어널되어 기어 프레임(52)의 회전 동력을 출력하는 출력축(55)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어 프레임(52)은, 판면의 좌우에 출력축(55) 및 3개의 유성 기어축(60)이 고정되어 있는 금속 원판으로 이루어지는 제1 프레임(52a)와, 제1 프레임(52a)에 나사(77)로 체결 고정되는 플라스틱으로 된 원판으로 이루어지는 제2 프레임(52b)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프레임의 제1 프레임과의 대향면의 3 부위에는 스페이서를 겸하는 체결용의 보스(78)가 돌출 설치되어 있고, 이들 보스(78) 사이에 배치한 유성 기어(51)가 유성 기어축(60)으로 헐겁게 회전 가능하게 저어널되어 있다.
감속 케이스(54)는 홀더 커버(39)와의 접합면 측이 개구하는 캡형의 플라스틱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며, 그 내주면에 내부 치형 기어(53)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 주연부의 주위 4 부위에는 나사 보스(61)가 돌출 설치되고, 주위벽의 상부 중앙에 동력 전달 벨트(69)를 케이스 밖으로 도출하기 위한 벨트 개구(62)가 절결 형성 되어 있다. 감속 케이스(54)의 외측면의 상하에는 동력 전달실(137)을 구획하는 주위벽(56)과, 체결 보스(59)가 형성되어 있다.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성 기어축(52)이 조립된 기어 프레임(52)의 출력축(55)을, 부시(63)를 거쳐서 감속 케이스(54)에 부착할 수 있었던 후, 감속 케이스(54)를 홀더 커버(39)에 접합하여 모터 홀더(38)와 홀더 커버(39)와 감속 케이스(54)의 삼자를 나사(64)로 체결함으로써, 모터(31), 모터 하우징(33), 감속 동력 전달 기구(D) 및 후술하는 기진 구조를 1개의 동력 모듈로 구성할 수 있다. 감속 케이스(54)와 홀더 커버(39) 사이의 공간, 즉 감속실(57) 내에는 감속 동력 전달 기구(D)가 수용된다. 모터 하우징(33)의 내부 공간과 감속실(57) 과는 격벽(58)으로 분단되어, 각각 독립 공간으로 구획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격벽(58)은 홀더 커버(39)와 축용 패킹(40)으로 구성된다.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태양 기어(50)의 회전 동력을 받은 유성 기어(51)는 태양 기어(50)와 역방향으로 회전(자전)하면서, 회전하지 않는 내부 치형 기어(53)와의 맞물림에 의해, 화살표 P로 나타낸 바와 같이 태양 기어(50)의 주위를 상기 기어(50)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공전)한다. 이 공전 동작은 기어 프레임(52)을 거쳐서 출력축(55)으로 동력 전달되지만, 공전 회전수는 태양 기어(50)와 내부 치형 기어(53)와의 이수비에 비례하고 있으며, 따라서 다수개의 평기어로 감속하는 경우에 비해, 3 종류의 기어(50, 51, 53)만이 간단한 구조로 큰 감속비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31)의 구동 회전수가 8000 rpm일 때, 출력축(55)의 회전수를 2000 rpm에까지 한 번에 감속하여 그 만큼 구동 토크를 크 게 할 수 있다.
(기진 구조)
기진 구조는 모터(31)의 회전 동력을 좌우 방향의 왕복 동작으로 변환하기 위해서 설치된다. 도16 및 도17에 있어서 기진 구조는 홀더 커버(39)의 측면에 고정되는 가이드 판(66)과, 앞의 태양 기어(50)와 일체로 형성되는 구동 캠(67)과, 구동 캠(67)으로 상하로 왕복 구동되는 수동 피스(68)와, 수동 피스(68)의 상하 동작을 좌우 동작으로 직접 변환하는 역 L자형의 동력 전달 벨트(동력 전달 부재)(69)와, 동력 전달 벨트(69)의 좌우 동작을 계승하는 슬라이드 부재(70)를 포함한다.
가이드 판(66)은 스테인레스 판재를 소재로 하는 원반형의 프레스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며, 좌우 한 쌍의 초승달형의 체결 시트(71) 사이에, 앞의 수동 피스(68)를 슬라이드 안내하는 가이드면(72)이 함몰 형성되어 있다(도8 참조). 가이드면(72)의 상부에는 좌우의 체결 시트(71)로부터 분리된 탄성 아암(73)이 형성되어 있고, 이 탄성 아암(73)의 중도부에 동력 전달 벨트(69)의 평탄면을 받아내는 돌기(74)와, 후술하는 롤러(81)를 헐겁게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름 이동 벽(75)이 형성되어 있다.
수동 피스(68) 및 슬라이드 부재(70)는, 각각 플라스틱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며, 이들 성형시에 동력 전달 벨트(69)가 삽입 고정된다. 동력 전달 벨트(69)는 폴리이미드 섬유로 강화된 폴리우레탄으로 된 타이밍 벨트(치형 부착 벨트)로 이루어지고, 그 중도부가 굴곡되는 상태로 수동 피스(68) 및 슬라이드 부재(70)의 슬라 이드 평면에 따라서 배치한다.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동 피스(68)에는 좌우로 긴 타원형의 캠 홈(76)이 형성되어 있고, 이 캠 홈(76)에 구동 캠(67)이 결합된다.
동력 전달 벨트(69)의 변향 동작을 원활화하기 위해, 동력 전달 벨트(69)의 굴곡부의 이면측을 변향 기어(내부 가이드 부재)(80)로 직각으로 변향 안내하고, 굴곡부의 외면을 헐겁게 회전 롤러(외부 가이드 부재)(81)로 이행 안내하고 있다.
도17에 있어서 변향 기어(80)는 홀더 커버(39)에 장착한 축(82)으로 헐겁게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그 기어치는 동력 전달 벨트(69)의 기어치와 항상 맞물려 있다. 동력 전달 벨트(69)가 시계 회전 방향으로 이동할 때, 그 일부가 가이드 판(66)측으로 팽창되어 변형하고자 하는 것을 방지하여 동력 전달 벨트(69)와 변향 기어(80)와의 맞물림을 보다 확실한 것으로 하기 위해서, 가이드 판(66)의 돌기(74)로 동력 전달 벨트(69)의 평탄면을 받아내고 있다.
롤러(81)는 가이드 판(66)의 구름 이동 벽(75)과 동력 전달 벨트(69)의 굴곡부 사이에 협지되어, 동력 전달 벨트(69)에 선 접촉 상태로 외부 접촉하고 있다. 이 부착 상태에 있어서, 롤러(81)는 구름 이동 벽(75)을 포함하는 탄성 아암(73)의 탄성에 의해 동력 전달 벨트(69)에 압박되어 있다. 따라서, 동력 전달 벨트(69)의 굴곡부가 변향 기어(80)에 따라서 왕복 이동할 때, 롤러(81)는 동력 전달 벨트(69)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동력 전달 벨트(69)의 변향 이동을 원활화한다. 또, 롤러(81)와 변향 기어(80)의 중심끼리를 연결하는 선은 동력 전달 벨트(69)의 굴곡부의 거의 중앙에 위치한다.
도8 및 도11에 있어서 슬라이드 부재(70)는 좌우 가로 길이의 본체부(85)를 갖고, 그 상면 중앙측에 돌출 설치한 보스에 구동 핀(86)이 삽입 고정되어 있다. 본체부(85) 및 보스의 후면에 연속하여 엣지 커팅 날(13)을 왕복 구동하는 구동 아암(87)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70)의 상면은, 후술하는 헤드 프레임의 상면벽(88)으로 덮여 있으므로, 털 부스러기가 슬라이드 부재(70)의 동작 영역에 침입하는 경우는 없다. 상면벽(88)은 슬라이드 부재(70)가 부상되는 것을 규제하는 기능도 발휘한다.
슬라이드 부재(70)의 좌우 슬라이드를 원활화하기 위해서, 홀더 본체(34)의 상면에 가이드 부재(90)를 고정하고, 이 가이드 부재(90)로 슬라이드 부재(70)를 안내 지지하고 있다.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90)는 가이드면(91)과, 가이드면(91)의 전후로 돌출 설치한 규제 벽(92)과, 전후 한 쌍의 결합각(93)을 구비한, 플라스틱 성형된 단면 H자형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결합각(93)을 모터 홀더(38)의 상면에 설치한 전후 한 쌍의 장착 홈(94)에 결합하고 접착 고정함으로써, 가이드 부재(90)는 모터 홀더(38)와 일체화된다. 덧붙여서, 가이드 부재(90)를 체적이 큰 모터 홀더(38)와 일체로 성형하면, 성형시의 수염 등에 의해, 가이드면(91) 등의 평면 정밀도를 충분히 얻을 수 없게 되므로, 본 실시예와 같이 가이드 부재(90)가 독립 부품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수염을 방지하여 가이드면(91)의 평면 정밀도를 충분한 정밀도에까지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기진 구조에 따르면, 수동 피스(68)의 상하 동작을 동력 전달 벨트(69)로 좌우 동작으로 직접 변환하여 슬라이드 부재(70)를 좌우 방향으로 왕복 구동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동작 변환 기구에 비해 기진 구조 전체를 간소화할 수 있는 데다가, 주변부에 동작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으므로, 기진 기구의 주변부에 있어서의 부품의 집약 배치가 가능해져, 면도기 헤드(2)의 컴팩트화를 실현할 수 있다. 기진 구조를 포함하는 동력 모듈(M)은, 후술하는 헤드 프레임(103)에 하면측으로부터 짜여져, 좌우의 체결 보스(43, 59)를 측벽(111)에 대해 나사(95)로 체결함으로써 헤드 프레임(103)과 일체화된다(도9, 도16 참조).
(부동 구조)
면도기 헤드(2)의 전체는 본체 케이스(1)로 전후, 좌우, 상하의 각 방향을 포함하는 전방위 방향으로 부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세하게는 도9,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 하우징(33)의 하면에 상하면이 개구되는 통형의 부동 프레임(34)을 고정하고, 부동 프레임(34)의 4 구석 외면에 돌출 설치한 결합각(97)(도25 참조)을 내부 프레임(25)의 결합 갈고리(28)에 결합한 후에, 내부 프레임(25)과 부동 프레임(34) 사이에 배치한 좌우 한 쌍의 압축 코일형의 플로트 스프링(98)으로, 면도기 헤드(2)의 전체를 부동 지지한다. 이에 의해, 면도기 헤드(2)의 부동 지지 위치는 모터(31)로부터 하방에 위치하게 된다. 부동 프레임(34)은 도선구(44)에 외부로 끼우는 상태로 모터 홀더(38)에 체결하고 있고, 도선구(44)로부터 도출한 리드선(45)은 통내 공간을 거쳐서 회로 기판(26)측의 커넥터에 접속된다.
면도기 헤드(2)의 부동 동작을 도18 및 도19에 도시하고 있다. 면도기 헤드(2)는 본체 케이스(1)에 대해, 도18에 상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부호 S1 부분만큼 좌우 방향으로 틸팅할 수 있고,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호 S2 부분만큼 전후 방향으로, 또한 부호 S3으로 나타낸 부분만큼 상하 방향으로 틸팅할 수 있는 데다가, 복수 방향으로 동시에 틸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면도기 헤드(2)를 전방위 방향으로 부동 가능하게 지지하면, 면도기 헤드(2)의 자세를 턱이나 볼 등의 피부의 면 변화에 따라서 원활히 추종시켜, 피트시킬 수 있는 데다가, 면도기 헤드(2)가 국부적으로 지나치게 압박되는 것을 완화하여 피부에 대한 접촉 상태를 부드러운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면도기 헤드(2)가 틸팅 자세로부터 중립 자세로 복귀할 때의 복귀 조작력과, 면도기 헤드(2)를 중립 자세로 유지하는 힘은, 주로 플로트 스프링(98)의 탄성력에 의해 얻게 되지만, 케이스 패킹(100)의 탄성력도, 면도기 헤드(2)의 복귀 동작을 보조하는 데 도움이 되고 있고, 또한 면도기 헤드(2)를 중립 자세로 유지하는 데에도 도움이 되고 있다.
면도기 헤드(2)의 플로트 동작을 저해하는 일 없이, 전기 장착품 유닛(3)을 방수하기 위해서, 모터 하우징(33)의 하면과, 본체 케이스(1)의 내면의 통벽(99) 사이를 케이스 패킹(100)으로 밀봉한다. 상세하게는, 도9 및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 홀더(38)의 하면과 부동 프레임(34) 사이에 케이스 패킹(100)의 내주연을 협지 고정하고, 케이스 패킹(100)의 외주연을 내부 프레임(25)의 상단부의 밀봉 프레임(29)에 장착한 후에, 케이스 패킹(100)의 외주연의 외면을 통벽(99)의 내면에 밀착시킨다. 케이스 패킹(100)의 외관 형상을 도25에 도시하고 있다.
(요동 구조)
도6, 도7, 도20의 각도에 있어서 앞의 요동 구조는, 모터 하우징(33)의 상면에 장착 고정되는 헤드 프레임(103)과, 헤드 프레임(103)으로 전후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요동 프레임(104) 및 내부 날 지지 프레임(105)과, 내부 날 지지 프레임(105)에 대해 전후면으로부터 각각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내부 날 유닛(106)과, 내부 날 지지 프레임(105)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외부 날 홀더(12)와, 내부 날 지지 프레임(105)의 내부에 수용되는 진동자(107) 등으로 구성한다.
헤드 프레임(103)은 하향에 개구하는 케이스부(110)와, 케이스부(110)의 상면양측에 세워 설치한 측벽(111)을 구비하고 있으며, 좌우 측벽(111)으로 요동 프레임(104)을 전후 요동 가능하게 저어널한다. 그로 인해, 케이스부(110)의 상면벽은 요동 프레임(104)의 요동 궤적에 따라서 하부 함몰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사각 프레임형으로 형성되는 요동 프레임(104)의 상면 좌우에는, 상단부에 요동 보스(113)를 구비한 요동 아암(114)이 세워 설치되어 있고, 앞의 측벽(111)으로 요동 보스(113)를 전후 요동 가능하게 저어널한다. 이에 의해, 헤드 프레임(103)을 제외한, 요동 프레임(104) 및 내부 날 지지 프레임(105) 등의 각 부재는, 도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요동할 수 있지만, 로크 손잡이(18)를 밀어 내리면 요동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요동 보스(113)에 종단축(115)과 종단 기어(116)가 조립된다(도9 참조).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동 프레임(104)의 프레임 개구 내에 진동자(107)를 배치하고, 그 양측의 장치 아암(108)을 개구 주연벽에 결합함으로써, 진동자(107)가 요동 프레임(104)과 일체화되어 있다. 먼저 설명한 슬라이드 부재(70)의 구동 핀(86)은 진동자(107)의 하면에 설치한 결합 홈(118)과 결합하여 왕복 동력을 진동자(107)에 전달한다. 요동 프레임(104)의 좌우에는, 내부 날 지지 프레임(105)에 장착한 내부 날 유닛(106)을 결합 포착하기 위한 결합 아암(119)이 배치되어, 압축 코일형의 스프링(120)으로 상향으로 결합 압박되어 있다.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 아암(119)의 전후단부에는 상향의 결합 갈고리(121)가 형성되어 있다.
내부 날 지지 프레임(105)은 요동 프레임(104)에 상면측으로부터 결합 장착되어 헤드 프레임(103)의 상면을 측벽(111)마다 커버한다. 이에 의해 진동자(107)의 구동축(109)만이 내부 날 지지 프레임(105)의 위벽의 개구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한다. 내부 날 지지 프레임(105)의 개구와 구동축(109) 사이는 패킹(122)으로 밀봉한다. 내부 날 지지 프레임(105)의 좌우 측벽에는, 이미 서술한 로크 손잡이(18)와 해제 버튼(19)이 조립되어 있다.
도11에 있어서 외부 날 홀더(12)는, 전후 한 쌍의 외부 날(16)과 센터 날(17)을 지지하는 내부 케이스(12b)와, 내부 케이스(12b)를 지지하는 외부 케이스(12a)로 나누어 구성되어 있고, 내부 케이스(12b)를 외부 케이스(12a)에 대해 하면측으로부터 결합 장착함으로써, 양 케이스(12a, 12b)가 일체화되어 있다. 외부 날(16)은 역 U자형으로 만곡 유지한 금속 박판으로 이루어지며, 그 판면에는 1군의 날 구멍이 그물코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부 날 홀더(12)를 면도기 헤드(2)에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는, 내외의 양 케이스(12a, 12b)가 내부 날 지지 프레임(105)의 전후면을 덮어 가려 버린다.
도20 및 도23에 있어서, 내부 날 유닛(106)은 좌우로 긴 H자형의 내부 날 프레임(125)과, 내부 날 프레임(125)으로 횡축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저어널되는 내부 날(15)과, 내부 날(15)의 측단부에 고정한 내부 날 기어(126)로 이루어진다. 내부 날 프레임(125)의 양측 하단부에는 결합 레일(127)이 좌우 대향형으로 설치되어 있고, 이 결합 레일(127)을 내부 날 지지 프레임(105)의 상면 좌우로 형성한 결합벽(128)에 삽입 결합함으로써, 내부 날 유닛(106)을 내부 날 지지 프레임(105)과 일체화할 수 있다. 내부 날(15)은 원주형의 플라스틱으로 된 홀더의 주위면에, 1군의 금속 절단 날을 스파이럴형으로 매립 설치 고정하여 구성하고 있다.
이 장착 상태에 있어서는,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 아암(119)의 결합 갈고리(121)가 결합 레일(127)의 삽입 종단부를 결합 포착하기 때문에, 내부 날 유닛(106)이 내부 날 지지 프레임(105)으로부터 분리하는 일은 없다. 또한, 전후의 내부 날 기어(126)는, 각각 종단 기어(116)에 맞물려 있다. 종단 기어(116)와 내부 날 기어(126) 사이에서는 종단축(115)의 회전수가 약간(전체 감속비의 약 5 %) 증속된다. 또, 내부 날(15)의 교환을 하기 위해, 내부 날 유닛(106)은 내부 날 지지 프레임(105)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어, 그 경우에는 앞의 결합 갈고리(121)를 밀어 내리면서, 내부 날 프레임(125)을 삽입 방향과 반대로 발출하여 조작함으로써, 내부 날 유닛(106)의 전체를 내부 날 지지 프레임(105)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다음 단 동력 전달 기구(E)]
도7, 도24의 각도에 있어서 다음 단 동력 전달 기구(E)는 감속 동력 전달 기 구(D)의 출력축(55)에 압입 고정되는 원동 풀리(132)와, 종단축(115)에 고정되는 종동 풀리(133)와, 양 풀리(132, 133)에 권취 장착되는 무단 벨트(타이밍 벨트)(135)와, 무단 벨트(135)의 이완을 흡수하는 장력 롤러(136)와, 이들의 구성 부품을 수용하는 동력 전달실(137)로 구성한다. 무단 벨트(135)는 폴리이미드 섬유로 강화된 폴리우레탄으로 된 타이밍 벨트로 이루어진다.
종동 풀리(133)의 이수는 원동 풀리(132)의 이수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고, 출력축(55)의 동력을 더 감속한다. 모터(31)의 구동 회전수와, 내부 날(15) 사이의 전체 감속비(4대1) 중, 감속 동력 전달 기구(D)의 감속율은 90 %이며, 다음 단 동력 전달 기구(E)의 감속율은 10 %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원동 풀리(132)를 출력축(55)에 압입 고정함으로써, 원동 풀리(132)로 기어 프레임(52)의 스러스트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하여 기어 프레임(52)이 감속 케이스(54)에 접촉할 때의 소음을 감소할 수 있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력 전달실(137)은 감속 케이스(54)의 외측면에 형성한 주위벽(56)과, 헤드 프레임(103)의 측벽(111)에 형성한 상부 주위벽(138)과, 이들 주위벽(56, 138)에 고정되는 상하의 커버(139, 140)로 구획되어 있고, 그 내부에 다음 단 동력 전달 기구(E)의 전체를 수용함으로써, 동력 전달 소음의 누설을 저지하고 있다. 또한, 동력 전달실(137)의 외면을 헤드 프레임(103)의 케이스부(110)의 측단부벽과, 내부 날 지지 프레임(105)의 측벽에서 덮어, 동력 전달 소음이 면도기 헤드(2)의 외면에 누설되는 것을 저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다음 단 동력 전달 기구(E)를 동력 전달실(137) 내에 수용하면, 감속 동력 전달 기구(D)에서 발생한 동력 전달 소음을 주위벽(56, 138) 및 커버(139, 140)로 차단하여, 감속 동력 전달 기구(D)측에서 발생한 동력 전달 소음이 그대로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그 만큼만 전기 면도기의 외부에 있어서의 소음 레벨이 저하된다.
(왕복 동력 전달 기구)
기진 구조에 의해 변환된 좌우 방향의 왕복 동력은,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핀(86)의 좌우 왕복 동작이 진동자(107)를 거쳐서 센터 날(17)로 동력 전달된다. 또한, 구동 아암(87)(구동체)과, 엣지 커팅 날 유닛의 내면에 설치되어 축(145) 주위에 좌우 요동하는 동력 전달 아암(146)을 거쳐서 엣지 커팅 날(13)로 동력 전달된다.
도11에 있어서 엣지 커팅 날(13)은, 엣지 커팅 케이스(147)의 상단부 내면에 고정되는 빗살 날형의 고정 날(148)과, 고정 날(148)에 대해 좌우 미끄럼 이동하는 빗살 날형의 가동 날(149)로 구성하고 있고, 주로 긴 털이나 버릇 털을 절단할 때에 사용한다. 구동 아암(87)의 후단부에는 세로 방향의 조작 홈(151)이 형성되어 있고, 이 조작 홈(151)에 동력 전달 아암(146)의 하단부에 설치한 수동 돌기(152)가 결합됨으로써, 구동 아암(87)이 왕복 요동되어 가동 날(149)을 좌우로 왕복 구동할 수 있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손잡이(14)가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에 있을 때에는 수동 돌기(152)는 조작 홈(151)과 결합하지 않아, 따라서 가동 날(149)은 정지하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슬라이드 손잡이(14)를 상상선으로 나타낸 위치까지 끌어 올려 조작하면,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동 돌기(152)가 조 작 홈(151)에 결합하여 동력 전달 아암(146)의 전체가 축(145)의 주위에 좌우 요동되므로, 가동 날(149)을 슬라이드 부재(70)에 동기하여 왕복 구동할 수 있다.
도11 및 도16에 있어서, 센터 날(17)은 외부 날 홀더(3)에 고정되는 단면 역 U자형의 고정 외부 날(156)과, 고정 외부 날(156)의 내면에 배치되는 가동 내부 날(157)로 구성하고 있고, 진동자(107)의 구동축(109)으로 가동 내부 날(157)을 좌우로 왕복 구동함으로써, 주로 긴 털이나 버릇 털을 절단한다. 고정 외부 날(156) 및 가동 내부 날(157)은, 각각 홈형의 날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슬릿 날로 이루어진다. 가동 내부 날(157)의 내면에는 플라스틱으로 된 연결 부재(158)가 고정되어 있고, 앞의 구동축(109)이 연결 부재(158)에 설치된 연결 홈(159)과 결합함으로써, 가동 내부 날(157)을 슬라이드 부재(70)에 동기하여 왕복 구동할 수 있다.
(안전 스위치 구조)
도9, 도25, 내지 도26에 안전 스위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안전 스위치 구조는 외부 날 홀더(12)가 헤드 프레임(103)으로부터 제거된 상태에 있어서, 모터(31)의 급전로를 오프 상태로 절환하여, 내부 날(15)이 회전 구동되는 것을 규제한다. 구체적으로는, 도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동 프레임(104)의 내부에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게 짜여진 수동 부재(161)와, 모터 하우징(33)의 주위에 설치되어 수동 부재(161)의 상하 변위를 안전 스위치(162)로 전달하는 중계 링(163)과, 중계 링(163) 상부 내면을 끌어 올려 압박하는 압축 코일형의 스프링(164)과, 부동 프레임(34)의 측면에 조립되는 안전 스위치(162) 등으로 안전 스위치 구조를 구성한다.
도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동 부재(161)는 역 T형의 플라스틱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며, 요동 프레임(104)의 내부를 전후로 횡단하는 아암의 상면 전후단부에 외부 날 홀더(12)로 밀어내려 조작되는 수동부(165)를 갖고, 아암의 하면 중앙에 부분 원호형의 조작부(166)를 구비하고 있다. 도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동부(165)는, 내부 날 지지 프레임(105)에 설치한 슬릿(168)으로부터 전후면에 돌출하고 있다. 따라서, 외부 날 홀더(12)를 면도기 헤드(2)에 장착하면, 수동 부재(161)의 전체가 스프링(164)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밀어내려 조작된다. 조작부(166)를 부분 원호형으로 형성하는 것은, 면도기 헤드(2)가 전후 어느 하나에 틸팅하는 상태, 즉 요동 상태에 있어서도 수동 부재(161)와 중계 링(12)과의 접촉 상태를 유지하여 외부 날 홀더(12)가 면도기 헤드(2)로부터 제거된 것을 검지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이다.
중계 링(163)은 모터 하우징(33)을 전후로부터 사이에 끼우는 전후 한 쌍의 전방 링(163a) 및 후방 링(163b)으로 이루어지며, 각각 반원 프레임형으로 형성되는 전방 링(163a) 및 후방 링(163b)의 상하 단부끼리를, 후방 링(163b)에 설치한 핀(163c)으로 연결 고정하여 구성한다. 전후의 양쪽 링(163a, 163b)의 내법 상하치수는 모터 하우징(33)의 상하 치수보다 크게 설정하고 있으므로, 중계 링(163)은 모터 하우징(33)의 주위를 지장 없이 상하 이동할 수 있다. 이 상하 이동을 안정된 상태로 행하기 위해서, 도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 하우징(33)의 상면 좌우 돌기에 설치한 안내 홈(169)으로, 앞의 핀(112c)을 안내 지지하고 있다. 조작부(166)와 접촉하는 후방 링(112b)의 상면에는 조작부(166)의 좌우 이동을 규제하는 측벽(170)이 설치되어 있다.
도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날 홀더(12)를 면도기 헤드(2)로부터 제거한 상태에서는 중계 링(163)의 전체가 스프링(164)으로 끌어 올려진다. 이 상태에서는 중계 링(163)의 하단부에 설치한 조작 돌기(171)는 안전 스위치(162)로부터 떨어져 있고, 따라서 안전 스위치(162)는 제어 회로에 대해 온 신호를 발신한다. 외부 날 홀더(12)를 면도기 헤드(2)에 장착하면, 중계 링(163)이 수동 부재(161)를 거쳐서 밀어내려 조작되어, 그 하단부에 설치한 조작 돌기(171)로 안전 스위치(162)를 오프 조작한다. 또, 안전 스위치(162)는 케이스 패킹(100)의 내부에 배치되므로, 조작 돌기(171)는 케이스 패킹(100)의 상부벽을 거쳐서 안전 스위치(162)를 온 오프 조작하게 된다.
도29에 제어 회로의 개략을 도시하고 있고, 도면 중 부호 176은 제어부(CPU)이며, 부호 177은 부하 조정용의 저항이 조립되어 있는 부하 검출 회로이며, 제어부(176)는 외부에 있어서의 입력 신호를 받아 모터(31)의 운전 형태를 제어하고, 표시구(10, 11)의 점등 상태를 절환한다. 사용시에 스위치 버튼(5)을 누르면, 제어부(176)는 메인 스위치로부터의 신호를 받아 모터(31)를 기동한다. 이 상태에서 선택 버튼(7)을 누름으로써, 전기 면도기의 운전 모드를 센서 모드, 마일드 모드, 파워풀 모드, 터보 모드의 4 종류 중 어느 하나로 선택 가능해진다.
센서 모드는 파워풀한 모터 회전수(8300 rpm)와, 마일드한 모터 회전수(7800 rpm)를 수염량[모터(31)의 부하]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회전수 자동 가변 모드이다. 마일드 모드는 모터(31)의 회전수가 마일드한 회전수(7800 rpm)로 고정되는 모드이며, 파워풀 모드는 모터(31)의 회전수가 파워풀한 회전수(8300 rpm)로 고정되는 모드이다. 또한, 터보 모드는 파워풀 모드의 모터 회전수보다 높은 회전수(8800 rpm)로 고정되는 모드이다. 센서등(11)은 센서 모드일 때에만 점등하여, 다른 모드에서는 센서등(11)을 소등한다. 모드 표시등(10)은 전원 온시에는 항상 점등하고 있지만, 그 색깔이 3 종류의 각 모드로 다르다. 마일드 모드에서는 청색과 녹색의 LED를 발광시켜 물색으로, 파워풀 모드로서는 청색의 LED만을 점등시켜 청색으로, 터보 모드에서는 적색과 녹색의 LED를 점등시켜 오렌지색의 빛을 발광한다. 센서 모드에 있어서는, 회전수의 자동 절환에 따라서, 마일드한 회전수(7800 rpm)일 때에는 마일드 모드와 동일한 물색으로 점등하고, 파워풀한 회전수(8300 rpm)일 때에는 파워풀 모드와 동일한 청색으로 점등한다.
센서 모드에 있어서는, 수염의 절단 부하에 따라서 모터(31)에 인가되는 전압 파형을 변경하여 모터(31)의 출력을 마일드, 파워풀 중 어느 하나로 자동적으로 절환한다. 상세하게는, 센서 모드에 있어서 메인 스위치(스위치 버튼)(5)를 온하면, 부하 검출 회로(177)와 직렬 접속된 제2 스위치(179)(트랜지스터, FET 등)에 구동 펄스를 출력하여 모터(31)를 구동한다. 이 때, 부하 검출 회로(177)에 의해서, 모터 전류에 비례하여 증감하는 전압이 취출되지만, 이 취출된 검지 전압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 전압보다 높은 경우, 즉 절단해야 할 수염량이 많고 모터(31)의 부하가 높은 경우에는, 제2 스위치(179)에 온 시간이 긴 듀티비의 구동 펄스를 공급하여 모터(31)를 파워풀한 회전수(8300 rpm)로 증속한다. 또한, 검지 전압이 기준 전압보다 낮은 경우, 즉 수염량이 적고 모터(31)의 부하가 낮은 경우에는, 제2 스위치(179)에 온 시간이 짧은 듀티비의 구동 펄스를 공급하여, 모터(31)를 마일드한 회전수(7800 rpm)로 감속한다. 이 제어에 의해, 수염량에 따른 적절한 면도를 행할 수 있다. 스위치 버튼(5)을 온한 후, 선택 버튼(7)에 의해 터보 모드를 선택하면, 부하 검출 회로(177)와 제2 스위치(179)를 바이패스하도록 설치된 제1 스위치(178)(트랜지스터, FET 등)에 연속하는 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각 모드 중에서 최대의 회전수(8800 rpm)를 얻을 수 있다.
도29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전지 잔량 표시등(9)은 회로 기판(26)의 상하로 인접 배치한 복수개의 LED와, 케이스 전방면의 표시 패널에 설치되어 잔량을 표시하는 숫자의 표시로 구성되어 있고, 2차 전지(27)의 전압 변화에 따라서 상기하는 LED를 점등하여 전지 잔량의 목표를 거의 정량적으로 표시한다.
제어부(176)는 운전 도중에 안전 스위치(162)가 온 상태로 절환되면, 제1 스위치(178)와 제2 스위치(179)로의 구동 신호를 정지하여 모터(31)에의 구동 전류의 공급을 정지한다. 이에 의해 외부 날 홀더(12)를 떼어냄으로써 내부 날(15)이 노출될 때, 내부 날(15)의 회전이 반드시 정지하기 때문에 회전하는 내부 날(15)에 의한 부상을 방지할 수 있어, 공포감도 해소할 수 있다. 모터(31)의 구동이 정지되어 있는 때, 충전용 어댑터의 충전 단자가 충전 플러그(23)에 삽입되면 충전 스위치(180)가 온 상태가 되어 본체 케이스(1)에 내장되는 2차 전지(27)가 충전된다. 충전 전압이 소정 전압이 되거나, 혹은 충전 단자가 떼어지면 충전 스위치(180)가 오프 상태가 되어 충전이 정지된다. 충전시에는 충전등(8)이 점등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동력 모듈(M)은, 예를 들어 내부 날(15)의 사용 개수가 다른 전기 면도기의 동력원으로서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도30 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내부 날(15)을 구비하고 있는 면도기 헤드(2)와, 내부 날(15)을 1개만 구비하고 있는 면도기 헤드(2A)에 있어서, 동력 모듈(M)과 다음 단 동력 전달 기구(E)를 공용하여 설계나 제조 시간과 비용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동력 모듈(M)로부터 기진 구조를 생략하면, 엣지 커팅 날과 센터 날이 생략된 전기 면도기를 구성할 수 있고, 필요하다면 엣지 커팅 날과 센터 날의 한 쪽만을 구비한 전기 면도기를 구성할 수 있다.
도31의 (a) 및 도31의 (b)는 회전 내부 날(내부 날)(15)을 구비한 전기 면도기에, 본 발명의 동력 모듈(M)을 적용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31의 (a)에 있어서는, 횡축 주위에 회전할 수 있는 회전 내부 날(15)에 출력축(55)의 회전 동력을 다음 단 동력 전달 기구(E)를 거쳐서 동력 전달함으로써, 회전 내부 날(15)이 부분 구각형의 외부 날(16)과 협동하여 수염 절단을 행할 수 있게 하였다. 도31의 (b)에 있어서는, 종축 주위에 회전할 수 있는 회전 내부 날(15)을 동력 모듈(M)의 출력축, 즉 출력축(55)으로 직접 회전 구동하여 부분 구각형의 외부 날(16)과 협동하여 수염 절단을 행할 수 있게 하였다. 앞의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의 실시예에 있어서도 동일한 취급으로 한다. 본 실시예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동력 모듈(M)은 기계 종류가 다른 전기 면도기의 동력원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도32는 면도기 헤드의 부동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거기서는, 동력 모듈(M)을 본체 케이스(1)에 대해, 전후 방향,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의 전방향으로 부동 가능하게 지지하지만,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의 틸팅을 허용하는 여 지가 동력 모듈(M)의 좌우 방향의 일측과, 전후 방향의 일측에 한정되어 있는 점이, 앞의 실시예와 다르다. 즉, 면도기 헤드(2)가 비틸팅 상태에 있을 때, 동력 모듈(M)은 도32에 실선으로 나타낸 상태로 있다.
상기한 실시예 이외에, 감속 동력 전달 기구(D)는 웜 기어 기구나, 유성 기어 기구 이외의 기어 감속 기구로 구성해도 좋다. 다음 단 동력 전달 기구(E)를 권취 동력 전달 기구로 구성하면, 출력축(55)과 종단축(115) 사이의 축 사이 거리의 변화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지만, 동력 전달 벨트(53)를 동력 전달 요소로 할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어 상하 양단부에 우산 기어가 배치되어 있는 종축으로 감속 동력을 종단축(115)으로 동력 전달해도 좋다. 2차 전지(27) 대신에 1차 전지를 전원으로 할 수 있다.
동력 전달 부재(69)는 수동 피스(68) 및 슬라이드 부재(70)와 일체로 성형한 플라스틱으로 된 치형 부착 벨트로 형성해도 좋다. 필요에 따라서 스틸 벨트나, 스틸 벨트를 삽입한 플라스틱 벨트로 동력 전달 부재(69)를 형성할 수 있다. 동력 전달 벨트(58)를 변향 안내하는 내부 가이드 부재(80)는 외부 가이드 부재(81)와 같이 롤러로 형성할 수 있다. 외부 가이드 부재(81)는 복수개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감속 동력 전달 기구(D)의 외측면에, 감속 동력 전달 기구(D)에서 감속된 동력을 내부 날(15)로 동력 전달하는 다음 단 동력 전달 기구(E)를 배치하였으므로, 내부 날(15)의 배치 형태나 사용 개수 등의 구조의 변화에 따라서, 다음 단 동력 전달 기구(E)만을 변경하면 좋으므로, 구조 사양이 다른 전기 면도기를 보다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다.
태양 기어(50), 유성 기어(51), 기어 프레임(52), 내부 치형 기어(53)를 구비한 감속 케이스(54) 및 기어 프레임(52)의 회전 동력을 출력하는 출력축(55) 등을 포함하는 유성 기어 기구로 구성한 감속 동력 전달 기구(D)에 따르면, 예를 들어 1군의 평기어로 유성 기어 기구와 동일한 감속비의 동력 전달 기구를 구성하는 경우에 비해, 기어의 실질적인 사용 개수를 적게 하여 구조의 간소화를 실현할 수 있는 데다가, 동력의 동력 전달 경로를 간소화하여 모터 동력의 동력 전달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유성 기어 기구에 있어서의 기어 소음이 태양 기어(50)와 유성 기어(51) 및 유성 기어(51)와 내부 날 기어(53)와의 맞물림 소음에 한정되므로, 소음의 음압 레벨의 저하와 주파수 특성의 개선을 동시에 실현하여 전기 면도기의 소음 레벨을 저감화할 수 있다.
면도기 헤드(2)의 하부에 모터(31)를 가로 설치 배치한 후에, 다음 단 동력 전달 기구(E)를 원동 풀리(132) 및 종동 풀리(133)와, 양 풀리(132, 133)에 권취한 무단 벨트(135)를 포함하는 권취 동력 전달 기구로 구성한 전기 면도기에 따르면, 다음 단 동력 전달 기구(E)를 기어 트레인으로 구성하는 경우에 비해, 동력 전달 소음 발생량을 현저히 억지할 수 있어, 그 만큼 동력 전달 구조 전체에 있어서의 소음 발생량을 저하하여 저소음화를 실현할 수 있다. 모터(31)를 가로 설치 배치하기 때문에, 세로 배치형의 모터 배치에 비해, 모터(31)의 일측에 무효 공간이 생기는 여지가 없어 본체 케이스(1) 내에 있어서의 공간 이용에 낭비가 없으며, 좌우 길이가 큰, 따라서 구동 토크가 보다 큰 모터(31)를 사용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감속 케이스(54)의 외면에 돌출하는 출력축(55)에 다음 단 동력 전달 기구(E)의 원동 풀리(132)를 고정하여 원동 풀리(132)로 기어 프레임(52)의 스러스트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하면, 기어 프레임(52)이 스러스트 헐겁게 이동하는 것을 기초로 하는 소음 발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데다가, 동력의 전달 손실을 경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면도기 헤드(2)의 상하에, 회전하는 내부 날(15)과, 내부 날(15)을 구동하는 모터(31)가 설치되어 있는 전기 면도기에 있어서, 유닛 부품화한 감속 동력 전달 기구(D)를 모터(31)의 일측에 고정하여 모터(31)와 감속 동력 전달 기구(D)를 1개의 동력 모듈(M)로서 구성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내부 날(15)의 사용 개수가 다른 전기 면도기를 시리즈 상품화하는 경우에, 중요한 부품인 데다가, 전기 면도기 전체의 비용에 차지하는 비율이 큰 동력 모듈을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개개의 전기 면도기에 있어서 동력 전달 기구를 재설계할 필요가 없어, 그 만큼 시리즈 상품화된 전기 면도기의 제품 개발에 요하는 시간과, 제조 비용을 삭감하여 저비용화할 수 있다.
모터(31)의 출력축(32)과 감속 동력 전달 기구(D)의 출력축(55) 중 어느 한 쪽에 기진 구조를 구성하는 구동 캠(67)을 고정하고, 모터(31)의 회전 동력을 왕복 동력으로 변환하는 기진 구조를 동력 모듈(M)에 조립하도록 한 전기 면도기에 따르면, 내부 날(15)을 구동하는 회전 동력과는 별도로, 왕복 이동 날(13, 17)용의 구동 동력을 동력 모듈(M)에서 일괄적으로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내부 날(15)만을 구비한 전기 면도기와, 내부 날(15)과 왕복 이동 날(13, 17)을 구비한 전기 면도기를 용이하게 만들 수 있는 데다가, 미리 조립된 동력 모듈(M)의 동작 테스트를 행함으로써, 동력 전달 기구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모터(31)의 일측에 구획 형성한 감속실(57) 내에 감속 동력 전달 기구(D)를 수용한 동력 모듈(M)에 따르면, 감속 동력 전달 기구(D)에 있어서의 동력 전달 소음이 감속실(57) 밖으로 누설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시의 면도기 헤드(2)의 외면에 있어서의 동력 전달 소음량을 저감할 수 있어, 그 만큼만 전기 면도기를 정숙화할 수 있다.
감속실(57)과, 모터(31)를 수용하는 모터 하우징(33)의 내부를 모터 하우징(33)의 측단부에 고정한 감속 케이스(54)로 구획하여 모터 하우징(33)의 내부 공간과 감속실(57)과의 각각을 독립 공간으로서 구획한 동력 모듈에 따르면, 모터(31)로부터 나는 소음과, 감속 동력 전달 기구(D)에서 나는 소음의 각각을, 모터 하우징(33)의 내부와 감속실(57)의 내부에 봉입할 수 있는 데다가, 각 구획 내의 소음이 서로 협조해서 소음의 음압이 증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정숙성이 우수한 전기 면도기를 얻을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다음 단 동력 전달 기구(E)를 면도기 헤드(2)의 일측에 구획 형성한 동력 전달실(137) 내에 수용하면, 감속 동력 전달 기구(D)나 다음 단 동력 전달 기구(E)에서 발생한 동력 전달 소음이 그대로 면도기 헤드(2) 밖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여 동력 전달 소음이 전기 면도기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잘 방지할 수 있어, 그 만큼만 전기 면도기의 외부에 있어서의 소음 레벨을 저감할 수 있다.
감속 동력 전달 기구(D)에 의한 감속율을 모터(31)와 내부 날(15) 사이의 전체 감속비의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설정한 전기 면도기에 따르면, 감속 동력 전달 기구(D)와 내부 날(15) 사이의 감속율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다음 단 동력 전달 기구(E)에 있어서의 입력측의 구동 회전수가 작아져, 그 만큼만 다음 단 동력 전달 기구(E)에 있어서의 동력 전달 소음 발생량을 억지할 수 있다.
면도기 헤드(2)를 본체 케이스(1)로 전후, 좌우, 상하의 각 방향을 포함하는 전방위 방향으로 부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면도기 헤드(2)의 부동 지지 위치를 모터(31)로부터 하방으로 설정한 전기 면도기에 따르면, 면도기 헤드(2)의 부동 지지 위치가 모터(31)의 근방에 있는 경우에 비해, 면도기 헤드(2)의 틸팅 각도를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면도기 헤드(2)를 피부의 요철에 추종하여 원활하게 틸팅할 수 있다.
통형의 모터 홀더(38)와, 그 개구를 막는 홀더 커버(39)로 모터 하우징(33)을 구성하고, 모터(31)에 접속되어 있는 리드선(45)을 모터 홀더(38)의 중앙 하면에 개구한 도선구(44)로부터 도출하여 본체 케이스(1) 내에 수용한 회로 기판(26)에 접속하도록 한 전기 면도기에 따르면, 면도기 헤드(2)가 전방위로 틸팅할 때의 리드선(45)의 변위량을 작게 하여, 리드선(45)에 큰 변형력이 작용되는 것을 해소할 수 있다. 따라서, 장기 사용시의 피로 파괴에 의한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면도기 헤드(2)의 틸팅 동작이 리드선(45)에 의해 저해되는 것도 잘 방지할 수 있다.
모터(31)의 출력축(32)을 홀더 커버(39)에 장착한 축용 패킹(40)으로 수밀형으로 밀봉하고, 모터 하우징(33)과 본체 케이스(1)의 내면 사이를 케이스 패킹(100)으로 밀봉하여 본체 케이스(1) 내의 전기 장착품 유닛(3)을 방수하는 전기 면도기에 따르면, 면도기 헤드(2)를 물세척할 때에, 모터(31) 및 전기 장착품 유닛(3)에 대한 물의 침입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모터(31)의 출력축(32)에 고정되는 구동 캠(67)과, 구동 캠(67)으로 상하로 왕복 구동되는 수동 피스(68)로 모터(31)의 회전 동력을 상하 방향의 왕복 동작으로 변환한 후에, 중도부가 굴곡되는 동력 전달 부재(69)로 앞의 상하 동작을 좌우 동작으로 직접 변환하여 슬라이드 부재(70)를 좌우 방향으로 왕복 구동한다. 따라서, 종래의 기진 구조에 비해, 왕복 이동하는 수동 피스(68), 동력 전달 부재(69) 및 슬라이드 부재(70)가 차지하는 동작 공간량을 최소한화할 수 있기 때문에, 기진 기구의 주변부에 무효 공간이 생기는 것을 해소할 수 있어, 그 만큼만 기진 기구의 주변부에 있어서의 부품의 집약 배치가 가능해지고, 면도기 헤드(2)에 있어서의 구성 부품의 집약도가 향상된다. 동력 전달 부재(69)로 상하 동작을 좌우 동작으로 직접 변환하기 때문에,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동작 변환 구조에 비해 소음 발생이 없어, 기진 구조를 정숙화할 수 있다.
모터 하우징(33)의 상면에 고정한 가이드 부재(90)로 슬라이드 부재(70)를 좌우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내 지지하는 동력 모듈(M)에 따르면, 예를 들어 모터 하우징(33)으로 슬라이드 부재(70)를 직접 안내 지지하는 경우에는, 그 외면에 슬라이드 부재(70)용의 가이드면을 형성하게 되지만, 체적이 큰 모터 하우징(33)을 성형할 때의 용융 수지의 수축에 의해, 가이드면에 수축 등의 성형 불량이 생기는 경우가 있으며, 슬라이드 부재(70)를 적절하게 안내 지지할 수 없는 우려가 있다. 이러한 점에서, 모터 하우징(33)과는 별도의 부재의 가이드 부재(90)를 설치하면, 가이드 부재(90)의 체적이 작으므로 수축이 생길 여지가 없이, 그 가이드면(91)을보다 정확하게 성형할 수 있게 되어, 슬라이드 부재(70)를 적절하게 안내 지지할 수 있다.
동력 전달 부재(69)의 굴곡부의 내외를, 내부 가이드 부재(80)와 외부 가이드 부재(81)로 이행 안내하게 한 기진 구조에 있어서는, 동력 전달 부재(69)가 수동 피스(68)의 상하 이동으로 연동하여 상하 이동할 때, 내부 가이드 부재(80)는 하강 이동하는 동력 전달 부재(69)를 이행 안내하여, 외부 가이드 부재(81)는 수동 피스(68)로 끌어 올려져 상승 이동하는 동력 전달 부재(69)를 이행 안내함으로써, 상하 동작을 좌우 동작으로 변환한다. 이와 같이, 동력 전달 부재(69)의 굴곡부의 내외를 내부 가이드 부재(80)와 외부 가이드 부재(81)로 이행 안내하면, 굴곡부에서의 동력 전달 부재(69)의 이동 경로를 내외의 가이드 부재(80, 81)로 적절하게 동력 전달 부재(68)가 불필요하게 굴곡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어, 상하 동작으로부터 좌우 동작으로의 동작 변환을 원활하게 행하여 동력 손해를 경감할 수 있다.
수동 피스(68)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안내 지지하는 가이드 판(66)을 모터 하우징(33)에 고정하고, 이 가이드 판(66)으로 롤러로 이루어지는 외부 가이드 부재(81)를 헐겁게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외부 가이드 부재(81)를 동력 전달 부재(69)의 굴곡부에 선 접촉 상태로 외부 접촉시키도록 한 기진 구조에 따르면, 외부 가이드 부재(81)와 동력 전달 부재(69) 사이의 마찰을 외부 가이드 부재(81)가 구름으로써 최소한화할 수 있기 때문에, 동력 전달 부재(69)의 굴곡부에 있어서의 마찰 피로를 해소하여, 장기 사용시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굴곡부에 있어서 끌어 올려 구동되는 동력 전달 부재(69)의 변향 동작을 원활화하여 슬라이드 부재(70)를 충분한 스트로크로 확실하게 왕복 구동할 수 있다.
동력 전달 부재(69)를 치형 부착 벨트로 형성하고, 내부 가이드 부재(80)를 동력 전달 부재(69)의 기어 날과 맞물리는 헐겁게 회전 가능한 기어로 구성하면, 동력 전달 부재(69)가 상승 이동될 때, 내부 가이드 부재(80)가 동행 회전함으로써 동력 전달 부재(69)를 원활하게 변향 안내할 수 있는 데다가, 양자(69, 80) 사이에서 슬립이 생기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상하 동작으로부터 좌우 동작으로의 동작 변환을 변환 손실이 없는 상태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동력 전달 부재(69)와 내부 가이드 부재(80)는 서로 기어 날을 거쳐서 맞물려 있으므로, 동력 전달 부재(69)의 굴곡부에 작용하는 구동력을 내부 가이드 부재(80)로 분산할 수 있다. 환언하면, 굴곡부에 작용하는 구동력이 1 부위에 집중하는 것을 해소할 수 있기 때문에, 동력 전달 부재(69)의 동력 전달 부가를 경감하고 그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Claims (18)

  1. 본체 케이스(1)의 상부에 면도기 헤드(2)를 갖고, 면도기 헤드(2)의 상하에, 회전하는 내부 날(15)과, 내부 날(15)을 구동하는 모터(31)가 설치되어 있고,
    모터(31)의 일측에 모터 동력을 감속하는 감속 동력 전달 기구(D)가 배치되어 있고,
    감속 동력 전달 기구(D)의 외측면에, 감속 동력 전달 기구(D)에서 감속된 동력을 내부 날(15)로 동력 전달하는 다음 단 동력 전달 기구(E)가 배치되어 있고,
    감속 동력 전달 기구(D)가, 모터(31)의 출력축(32)에 고정되는 태양 기어(50)와, 태양 기어(50)에 맞물리는 유성 기어(51)와, 유성 기어(51)를 회전 가능하게 저어널하는 기어 프레임(52)과, 유성 기어(51)에 맞물리는 내부 치형 기어(53)를 구비한 감속 케이스(54)와, 감속 케이스(54)로 저어널되어 기어 프레임(52)의 회전 동력을 출력하는 출력축(55)을 포함하는 유성 기어 기구로 구성되어 있고,
    면도기 헤드(2)의 하부에 모터(31)가 가로 설치 배치되어 있고,
    다음 단 동력 전달 기구(E)가, 면도기 헤드(2)의 하부 및 상부에 배치한 원동 풀리(132) 및 종동 풀리(133)와, 양 풀리(132, 133)에 권취한 무단 벨트(135)를 포함하고,
    감속 케이스(54)의 외면에 돌출하는 출력축(55)에 다음 단 동력 전달 기구(E)의 원동 풀리(132)를 고정하여, 원동 풀리(132)로 기어 프레임(52)의 스러스트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
  2. 제1항에 있어서, 유닛 부품화한 감속 동력 전달 기구(D)를 모터(31)의 일측에 고정하여 모터(31)와 감속 동력 전달 기구(D)가 1개의 동력 모듈(M)로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모터(31)의 회전 동력을 왕복 동력으로 변환하는 기진 구조가 동력 모듈(M)에 조립되어 있고,
    모터(31)의 출력축(32)과 감속 동력 전달 기구(D)의 출력축(55) 중 어느 한 쪽에, 기진 구조를 구성하는 구동 캠(67)이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모터(31)의 일측에 구획 형성한 감속실(57) 내에, 감속 동력 전달 기구(D)가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
  5. 제4항에 있어서, 모터(31)가 모터 하우징(33) 내에 수용 고정되어 그 출력축(32)이 감속실(57) 내에 돌출되어 있고,
    감속실(57)이 모터 하우징(33)과, 모터 하우징(33)의 측단부에 고정한 감속 케이스(54)로 구획되어 있고,
    모터 하우징(33)의 내부 공간과 감속실(57)이 격벽(58)으로 분단되어 각각 독립 공간으로서 구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면도기 헤드(2)의 일측에 구획 형성한 동력 전달실(137) 내에, 다음 단 동력 전달 기구(E)가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감속 동력 전달 기구(D)에 의한 감속율이 모터(31)와 내부 날(15) 사이의 전체 감속비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면도기 헤드(2)가 본체 케이스(1)에서 전후, 좌우, 상하의 각 방향을 포함하는 전방위 방향으로 부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면도기 헤드(2)의 부동 지지 위치가, 모터(31)로부터 하방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
  9. 제5항에 있어서, 모터 하우징(33)이 모터(31)의 대부분을 수용하는 통형의 모터 홀더(38)와, 모터 홀더(38)의 개구를 막는 홀더 커버(39)로 구성되어 있고,
    모터(31)에 접속되어 있는 리드선(45)이 모터 홀더(38)의 중앙 하면에 개구한 도선구(44)로부터 도출되어, 본체 케이스(1) 내에 수용한 회로 기판(26)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
  10. 제8항에 있어서, 모터 하우징(33)의 측면에 돌출하는 모터(31)의 출력축(32)이 홀더 커버(39)에 장착된 축용 패킹(40)으로 수밀형으로 밀봉되어 있고,
    모터 하우징(33)의 하면과 본체 케이스(1)의 내면 사이를 케이스 패킹(100)으로 밀봉하여, 본체 케이스(1) 내의 전기 장착품 유닛(3)이 방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
  11. 제3항에 있어서, 기진 구조로 변환시킨 왕복 동력으로 왕복 구동되는 왕복 이동 날(13, 17)을 구비하고 있고,
    기진 구조가 모터(31)의 출력축(32)에 고정되는 구동 캠(67)과, 구동 캠(67)으로 상하로 왕복 구동되는 수동 피스(68)와, 모터(31)의 주위에 배치되어 좌우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내 지지되는 슬라이드 부재(70)와, 수동 피스(68)와 슬라이드 부재(70)를 접속하는 동력 전달 부재(69)를 포함하고,
    동력 전달 부재(69)는 그 중도부가 굴곡되는 상태로 수동 피스(68) 및 슬라이드 부재(70)의 슬라이드 평면에 따라서 배치되어 있고,
    수동 피스(68)의 상하 동작을 동력 전달 부재(69)로 좌우 동작으로 직접 변환하여 슬라이드 부재(70)를 좌우 방향으로 왕복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
  12. 제11항에 있어서, 모터(31)가 모터 하우징(33)에 수용 고정되어 있고,
    슬라이드 부재(70)가 모터 하우징(33)의 상면에 고정된 가이드 부재(90)로 좌우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내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
  13. 제11항에 있어서, 동력 전달 부재(69)의 굴곡부의 내외가 내부 가이드 부재(80)와 외부 가이드 부재(81)로 이행 안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수동 피스(68)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안내 지지하는 가이드 판(66)이 모터 하우징(33)에 고정되어 있고,
    롤러로 이루어지는 외부 가이드 부재(81)가 가이드 판(66)으로 헐겁게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동력 전달 부재(69)의 굴곡부에 선 접촉 상태로 외부 접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
  15. 제11항에 있어서, 동력 전달 부재(69)가 치형 부착 벨트로 형성되어 있고,
    내부 가이드 부재(80)가 동력 전달 부재(69)의 기어 날과 맞물리는 헐겁게 회전 가능한 기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면도기.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030076122A 2003-01-08 2003-10-30 전기 면도기 KR1009892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01810 2003-01-08
JP2003001810A JP4325837B2 (ja) 2003-01-08 2003-01-08 電気かみそり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3763A KR20040063763A (ko) 2004-07-14
KR100989227B1 true KR100989227B1 (ko) 2010-10-20

Family

ID=32819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6122A KR100989227B1 (ko) 2003-01-08 2003-10-30 전기 면도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325837B2 (ko)
KR (1) KR100989227B1 (ko)
CN (1) CN127214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5700Y1 (ko) * 2005-01-12 2005-06-02 오태준 망왕복전기면도기
JP4748565B2 (ja) * 2005-01-14 2011-08-17 九州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JP5001517B2 (ja) * 2005-02-24 2012-08-15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JP4919247B2 (ja) * 2005-04-13 2012-04-18 九州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JP5612840B2 (ja) * 2009-08-05 2014-10-22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
JP4575516B2 (ja) * 2009-10-28 2010-11-04 九州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モーターを収容するハウジングの接合構造及びその接合構造を有する電気かみそり
JP6399397B2 (ja) * 2014-11-28 2018-10-0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小型電気機器およびその電動ユニット
KR101691924B1 (ko) * 2015-03-04 2017-01-17 박보현 회전드럼식 전기면도기의 절삭날 어셈블리
JP7457482B2 (ja) 2019-10-24 2024-03-28 マクセルイズミ株式会社 ロータリー式電気かみそり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8751A (ja) * 1994-08-01 1996-02-13 Kyushu Hitachi Maxell Ltd ロータリ式電気かみそり
JPH10328438A (ja) * 1997-04-02 1998-12-15 Izumi Prod Co 電気かみそり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8751A (ja) * 1994-08-01 1996-02-13 Kyushu Hitachi Maxell Ltd ロータリ式電気かみそり
JPH10328438A (ja) * 1997-04-02 1998-12-15 Izumi Prod Co 電気かみそ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72149C (zh) 2006-08-30
JP2004209116A (ja) 2004-07-29
KR20040063763A (ko) 2004-07-14
CN1517189A (zh) 2004-08-04
JP4325837B2 (ja) 2009-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9227B1 (ko) 전기 면도기
JP6468644B2 (ja) 電気かみそり
WO2018198640A1 (ja) 電気かみそり
JP4573257B2 (ja) 電気かみそり
JP4868480B2 (ja) 電気かみそり
JP4526061B2 (ja) 電気かみそり
JP4573260B2 (ja) 電気かみそり
JP4349517B2 (ja) 切断装置
JP4789166B2 (ja) ロータリー式の電気かみそり
JP4832726B2 (ja) 電気かみそり
JP4179454B2 (ja) 切断装置
JP4858931B2 (ja) 電気かみそり
JP4318164B2 (ja) 小型電気機器
JP2007275621A (ja) 水洗式の電気かみそり
JP5366121B2 (ja) 電気かみそり
JP4789165B2 (ja) ロータリー式の電気かみそり
JP4845093B2 (ja) 切断装置
JP3785184B2 (ja) 電気かみそり
JP4155369B2 (ja) 水洗式の電気かみそり
JP2018196484A (ja) 電気かみそり
JP3500475B2 (ja) ロータリ式電気かみそり
JP4010548B2 (ja) ロータリー式の電気かみそり
JP2001087573A (ja) 美容器具
JP3935084B2 (ja) 電気かみそり
JP2535190B2 (ja) ギア―ドモ―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