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3134B1 - 이중랙 정합보조기구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이중랙 정합보조기구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3134B1
KR100983134B1 KR1020030029417A KR20030029417A KR100983134B1 KR 100983134 B1 KR100983134 B1 KR 100983134B1 KR 1020030029417 A KR1020030029417 A KR 1020030029417A KR 20030029417 A KR20030029417 A KR 20030029417A KR 100983134 B1 KR100983134 B1 KR 100983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lever member
post
rack
no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9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7978A (ko
Inventor
길런먼로 마틴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30087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7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3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3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44Pivoting lever comprising gear teeth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초기위치와 최종위치 사이에서 이동하게 될 때 대응하는 전기접점들을 접합시키기 위하여 서로 정합할 수 있도록 형상화된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가 제공된다. 전기 커넥터는 회전축의 주위를 회전하게 됨에 따라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결합시키고 초기위치와 최종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레버부재를 포함한다. 레버부재는 제1하우징에 의해 수용된 피봇 포스트와 제1노치 및 제2노치를 갖는 캠아암을 포함한다. 제1하우징은 회전축에 대해 피봇 포스트를 회전가능하면서 미끄럼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포스트 슬롯과 제1노치와 결합하는 제1랙을 포함한다. 제2하우징은 제2노치와 결합하는 제2랙을 갖는다. 제1랙 및 제2랙과 제1노치 및 제2노치는 레버부재가 회전하게 됨에 따라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초기위치와 최종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하여 협력한다.
전기접점, 레버부재, 캠아암, 노치, 랙

Description

이중랙 정합보조기구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electrical connector with dual rack mate assis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합보조 조립체의 측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합보조 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하니스 커넥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레버부재의 사시도;
도 5는 하니스 커넥터에 장착된 레버부재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모듈 커넥터의 사시도;
도 7은 최종위치에서의 정합보조 조립체와 완전하게 결합된 전기접점들의 측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정합보조 조립체의 도면;
도 9는 최종위치에서의 도 8의 정합보조 조립체의 측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정합보조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정합보조 조립체
14 : 레버부재
18 : 하니스 커넥터(제1하우징)
22 : 모듈 커넥터(제1하우징)
26 : 캠아암
30, 34 : 노치
38 : 피봇 포스트
48, 64 : 랙
52 : 포스트 슬롯
68 : 아암 포획부
본 발명은 저항부품을 결합시키기 위한 레버-기저 연결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분리형 하우징에 내재된 전기접점들을 연결하기 위한 정합보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특정 분야에서, 전자부품은 다수의 전기접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정합보조 조립체를 요구한다. 정합보조 조립체는 다수의 전기접점을 보유하는 제1커넥터 하우징과, 동일 갯수의 전기접점을 보유하는 제2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한다. 하나의 커넥터 하우징은 수형 전기접점들을 포함하는 반면에, 다른 커넥터 하우징 은 암형 전기접점들을 포함한다. 제1커넥터 하우징은 제2커넥터 하우징의 내측에 수용되도록 형상화된다. 결합되려는 전기접점의 갯수가 증가함에 따라, 결합하는 전기접점들 사이의 마찰로 인하여 결합되는 커넥터 하우징을 완벽하게 접합시키는 것이 어렵게 된다.
종래의 정합보조 조립체는 핸들과 두개의 레버아암을 갖고 제1커넥터 하우징의 측벽으로부터 연장하고 회전하는 레버를 포함한다. 제2커넥터 하우징은 전기접점의 계속적인 삽입에 저항하는 지점까지 제1커넥터 하우징 상에 미끄러지면서 에워싼다. 각각의 레버아암은 노치를 갖는 캠아암을 포함한다. 랙이(rack teeth)들은 각각의 랙이가 캠아암의 노치에 대응하는 상태에서 제2커넥터 하우징의 내부에 안착된다. 제1커넥터 하우징이 제2커넥터 하우징에 삽입됨에 따라, 레버는 캠아암이 랙이와 결합하기 위해 정렬되도록 고정위치로 배향된다.
핸들이 제1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랙이와 캠아암은 결합하고 제1커넥터 하우징과 레버를 제2커넥터 하우징 측의 하방으로 잡아당겨 전기접점을 결합시킨다. 다른 한편으로, 핸들이 제2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제1커넥터 하우징이 제2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상방으로 잡아당겨져서 전기접점이 결합해제된다.
종래의 전기 커넥터는 다수의 단점으로 손해를 본다. 첫째, 레버부재는 캠아암이 모듈 커넥터상에서 랙이와 결합하기 전에 장거리를 회전하게 된다. 그러므로 레버부재는 전기접점을 완전하게 결합 및 결합해제시키기 위하여 90°회전한다. 레버부재가 작동시 90°회전하기 때문에, 레버부재는 완전하게 직립하여 회전경로의 어떤 지점에서 수직축에 대해 평행하게 된다. 레버부재가 그와 같이 직립배향될 때, 정합보조 조립체는 넓은 공간을 차지하고, 따라서 공간이 제한되지 않는 전자제품에 사용하도록 제한된다. 그러므로, 정합보조 조립체는 전기점점을 연결하기 위하여 단거리를 회전하고 회전하는 동안 적은 공간을 차지하는 레버부재를 갖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종래의 전기 커넥터는 필요한 고정위치에 레버부재를 효과적으로 유지하지 못한다. 예를 들어, 어떤 전기 커넥터는 레버아암에 구멍을 구비하여 제1커넥터 하우징의 측벽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가요성 래치를 수용하고 이에 의해 지지된다. 제1커넥터 하우징이 제2커넥터 하우징 내에 배치될 때, 래치는 레버아암을 고정위치로부터 이완시키기 위하여 제1커넥터 하우징을 향하는 내측으로 편향된다. 그러나, 가요성 래치를 구멍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레버아암은 제1커넥터 하우징 주위의 하부위치에 있어야 한다. 제1커넥터 하우징을 제2커넥터 하우징 측의 하방에 위치시키기 위하여, 레버는 제1커넥터 하우징 상부의 직립위치까지 상방으로 회전된다. 그러므로, 레버는 전기접점을 연결시킬 때 더 많은 공간을 차지하고 주위부품과 간섭하며, 따라서 전기 커넥터에 사용되는 부품의 수를 제한한다.
다른 전기 커넥터는 레버아암이 제2커넥터 하우징 측으로 삽입되기 전에 제1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고 있는 고정위치에 레버를 유지하여 레버는 전기접점을 연결하기 위하여 제1커넥터 하우징의 주위에서 하방으로 회전하게 된다. 레버아암은 제1커넥터 하우징의 측벽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돌기를 수용하고 이에 의해 지지되는 구멍을 캠아암의 근처에 포함한다. 제1커넥터 하우징이 제2커넥터 하우징 내에 배치된 때, 레버는 돌기로부터 구멍을 분리하는 데 필요 한 힘으로 압박되어 상기 레버를 고정위치로부터 해제시킨다. 그러나, 돌기는 작고 레버아암 표면적의 작은 부분만과 결합된다. 그러므로, 레버에 작은 힘이 작용될 때, 레버아암은 레버가 더 이상 고정위치에 있지 않도록 돌기로부터 너무 빨리 해제된다. 돌기는 빨리 마모되어 돌기는 레버와 결합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고 종래기술에 의해 경험된 다른 관심사를 제공하는 전기 커넥터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전기접점을 수용하도록 형상화된 단부를 갖는 제1커넥터 하우징 및 제2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한다. 제1커넥터 하우징(이하, 제1하우징이라 한다) 및 제2커넥터 하우징(이하, 제2하우징이라 한다)은 대응하는 전기접점들을 접합시키기 위하여 서로 정합가능하게 형상화되고 초기위치와 최종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전기 커넥터는 또한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결합시키는 레버부재를 포함하고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은 레버부재가 회전축 주위의 이동범주를 따라 회전할 때 최초위치와 최종위치 사이에서 이동한다. 레버부재는 제1하우징에 의해 수용되는 피봇 포스트와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에 각각 결합하는 제1노치 및 제2노치를 갖는 캠아암을 포함한다. 제1하우징은 회전축에 대해 회전가능하면서 미끄럼가능하게 피봇 포스트를 지지하기 위한 포스트 슬롯을 포함한다. 제1하우징은 제1노치와 연결되는 제1랙을 더 갖고, 제2하우징은 제2노치와 연결되는 제2랙을 갖는다. 제1랙 및 제2랙과 제1노치 및 제2노치는 레버부재가 이동영역를 따라 회전될 때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을 초기위치와 최종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도록 협력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하기 상세한 설명 뿐만 아니라, 상술한 요약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파악할 때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할 목적으로, 현재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면에 예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첨부도면의 나타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정합보조 조립체(1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정합보조 조립체(10)는 일단의 전기접점(미도시)을 보유하는 패킷(packet)을 수용하도록 형상화된 접점포켓(12)을 갖는 하니스 커넥터(제1하우징)(18)를 포함한다. 또한, 정합보조 조립체(10)는 하니스 커넥터(18)의 전기접점에 정합하도록 형상화된 전기접점(미도시)을 보유하는 모듈 커넥터(제2하우징)(22)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니스 커넥터(18)는 모듈 커넥터(22)의 내부에서 초기준비위치까지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또한, 정합보조 조립체(10)는 하니스 커넥터(18)의 외부에 지지되고 모듈 커넥터(22)에 결합하는 레버부재(14)를 포함한다. 레버부재(14)는 초기준비위치로부터 최종위치(도 8)까지 하니스 커넥터(18)를 이동시키도록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가능하다. 레버부재(14)가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될 때, 레버부재(14)는 하니스 커넥터(18)와 모듈 커넥터(22)의 전기접점들이 서로 완전히 결합할 때까지 하니스 커넥터(18)를 모듈 커넥터(22)를 향하는 화살표 B방향의 하방으로 가압한다.
도 2는 도 1의 정합보조 조립체(10)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레버부재(14)는 이격된 한 쌍의 캠아암(26)을 포함하고, 캠아암(26)의 각각은 서로 반대측에 위치한 제1노치(30)와 제2노치(34)를 갖는다. 캠아암(26)은 또한 내부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하고 서로 대면하는 원통형 피봇 포스트(38)를 포함한다. 피봇 포스트(38)는 공통 회전축(42)을 따라 정렬된다. 도 2에서, 하나의 예로서 레버부재(14)는 레버아암(58)이 수직축(24)에 30°각도로 정렬되어 있는 미정합상태로 배향된다. 수직축(24)은 하니스 커넥터(18)와 모듈 커넥터(22) 사이의 상대운동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한다. 하니스 커넥터(18)는 측벽(56)을 관통하여 형성된 타원형 포스트 슬롯(72)의 옆에 위치된 삼각형 제1랙(48)을 포함한다. 모듈 커넥터(22)는 절취된 U자형 또는 반원형의 아암 포획부(68; arm catch)를 갖는 사각형 측벽(72)을 포함한다. 삼각형 제2랙(64)은 모듈 커넥터(22)의 개방면(65) 주변에서 아암 포획부(68) 일측에 형성된다.
레버부재(14)는 피봇 포스트(38)가 포스트 슬롯(52) 내에 수용되고 제1랙(48)이 제1노치(30)의 내부에 배치되는 고정위치로 하니스 커넥터(18)를 향하는 화살표 B방향[장전 또는 준비(staging) 방향으로도 언급됨]의 하방으로 분리가능하게 삽입되어 레버아암(58)은 수직축(24)에 대해 30°각도로 정렬된다. 이 후에, 하니스 커넥터(18)와 레버부재(14)는 도 1에 도시된 초기준비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모듈 커넥터(22)를 향하는 화살표 B방향으로 미끄럼가능하게 삽입된다. 초기준비위치에 있을 때, 캠아암(26)은 아암 포획부(68)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2랙(64)은 제2노치(34)의 내부에 배치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하니스 커넥터(18)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하니스 커넥터(18)는 박스형이고 양측벽(56)과 양단부벽(76)을 포함한다. 단지 예시의 목적으로, 중간벽(74)은 다중의 사각형 접점포켓(12)을 한정하기 위하여 측벽(56)들 사이에 연장할 수 있다. 전기접점(미도시)은 하니스 커넥터(18)의 전면(75) 또는 후단부(73)로부터 접점포켓(12)에 장전될 수 있다. 하니스 커넥터(18)가 모듈 커넥터(22; 도 2)에 미끄러짐가능하게 삽입된 때, 전기접점은 모듈 커넥터(22)에 위치된 전기접점과 결합된다. 하니스 커넥터(18)가 모듈 커넥터(22)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하여, 하니스 커넥터(18)의 외경은 모듈 커넥터(22)의 내경보다 작다.
포스트 슬롯(52)은 내부벽(84)과 상부벽(90)과 바닥벽(88)을 갖고 전면(75)과 후방단부(73) 사이에서 연장하는 종방향축을 따르는 타원형상이다. 포스트 슬롯(52)은 서로를 향해 내측으로 연장하는 대면하는 방식으로 정렬된 지지범프(80)를 갖는 내부벽(84)을 포함한다. 캠아암(26; 도 2)의 피봇 포스트(38)는 초기에 포스트 슬롯(52)의 지지범프(80)와 바닥벽(88) 사이에서 포스트 슬롯(52)의 하부위치에 지지된다. 지지범프(80)는 하니스 커넥터(18)가 모듈 커넥터(22; 도 2) 내에서 초기준비위치로 삽입될 때까지 피봇 포스트(38)가 하부위치에 유지되는 동안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허용한다. 레버부재(도 1 참조)가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피봇 포스트(38)는 지지범프(80)들 사이에서 압착되고 지지범프(80)와 상부벽(90) 사이에의 포스트 슬롯(52) 내의 상부위치로 이동할 때까지 화살표 C방향의 상방으로 지레방식으로 올려진다. 피봇 포스트(38)는 상부위치에서 자유롭게 회전한다.
포스트 슬롯(52)은 양측의 타원형 플렉스 홀(92; oval flex hole) 사이에 위치된다. 플렉스 홀(92)은 내측벽(56)을 관통하여 연장하고 그들의 종방향축이 포스트 슬롯(52)의 종방향축에 평행하게 정렬되도록 배향된다. 협폭의 플렉스 스트립(96; strip)은 포스트 슬롯(52)과 플렉스 홀(92)을 분리시킨다. 캠아암(26; 도 2)의 피봇 포스트(38)가 하부위치에서 상부위치로 화살표 C방향의 상방으로 압박됨에 따라, 피봇 포스트(38)는 지지범프(80)를 서로로부터 멀어지는 외측으로 편향시킨다. 지지범프(80)가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편향되므로 플렉스 스트립(96)은 플렉스 갭(92)을 향하는 양방향의 외측으로 휘어진다. 일단, 피봇 포스트(38)가 지지범프(80) 상부의 상부위치(89)로 이동하게 되면, 플렉스 스트립(96)은 지지범프(80)가 피봇 포스트(38)의 직하부에서 편향되지 않은 상태로 복귀하도록 플렉스 갭(92)으로부터 서로를 향해서 튀어오른다.
제1랙(48)은 측벽(56)으로부터 서로의 반대방향인 외측으로 연장하고 포스트 슬롯(52)의 일측면을 따라 배치된다. 제1랙(48)은 내부벽(84)의 중간지점에 근접하게 정렬된다. 각각의 제1랙(48)은 레버부재(14; 도 2)가 하니스 커넥터(18) 상에 장착될 때 캠아암(26; 도 2)의 제1노치(30)에 수용되는 경사진 상부면과 하부면(100, 104)을 갖는다. 상부면과 하부면(100, 104)은 피봇 포스트(38)가 포스트 슬롯(52)의 하부위치(87)에 있을 때 제1노치(30)에 결합하여 하니스 커넥터(18)가 초기준비위치까지 모듈 커넥터(22)에 선적되는 동안 레버부재(58)를 고정위치에 유지한다. 하니스 커넥터(18)가 모듈 커넥터(22)에서 초기준비위치로 부터 최종위치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제1랙(48)은 모듈 커넥터(22; 도 2)의 아암 포획부(68)로 미끄러진다.
하니스 커넥터(18)의 단부벽(76)은 측방으로 가로지르는 지지 스트립(112)을 갖고 수직방향으로 정렬된 외측의 리세스부(108)를 포함한다. 하니스 커넥터(18)가 모듈 커넥터(22; 도 2)로 미끄러짐에 따라, 지지 스트립(112)은 모듈 커넥터(22)의 단부벽(132)의 내부면 상에 위치된 상부 및 하부 지지래치(116, 118; 도 6)에 스냅가능하게 결합하여 하니스 커넥터(18)를 지지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제작된 레버부재(14)의 사시도이다. 핸들(120)은 순차적으로 캠아암(26)이 형성되는 레버아암(58)과 일체형으로 제작되고 레버아암(58)들 사이에서 수직으로 연장한다. 캠아암(26) 내에서 제1노치 및 제2노치(30, 34)는 반대방향으로 정렬된 상부 및 하부 기어면(124 및 128, 125 및 129)를 각각 갖는다. 제1노치(30)는 하니스 커넥터(18; 도 3)의 제1랙(48)에 결합하여 레버부재(14)를 모듈 커넥터(22)로 삽입하기 전에 고정위치에 유지시킨다. 제1노치와 제2노치(30, 34)는 레버부재(14)가 초기위치와 최종위치 사이에서 회전함에 따라 하니스 커넥터(18) 상의 제1랙(48)과 모듈 커넥터(22) 상의 제2랙(64; 도 2)에 각각 결합한다.
도 5는 하니스 커넥터(18)에 장착된 레버부재(14)의 사시도이다. 레버부재(14)는 피봇 포스트(38)가 지지범프(80; 도 3)와 바닥벽(84; 도 3) 사이에서 포스트 슬롯(52) 내에 둘러싸이고 제1노치(30)가 하니스 커넥터(18)의 제1랙(48)을 둘러쌀 때까지 피봇 포스트(38; 도 2)가 하니스 커넥터(18)의 측벽(56)을 따라 미끄러지도록 서로로부터 멀어지는 외측으로 레버아암(58)을 편향시킴으로써 하니스 커넥터(18)에 부착된다. 제1노치(30)의 상부 및 하부 기어면(124, 128)은 레버아암(58)이 수직축(24)에 대해 30°각도로 있는 상태에서 레버부재(14)가 고정위치에 유지되도록 제1랙(48)의 상부면 및 하부면(100, 104)에 각각 지지가능하게 결합한다.
포스트 슬롯(52)은 하니스 커넥터(18)를 모듈 커넥터(22; 도 2)에 삽입하기 전에 고정위치에 레버부재(14)를 유지하도록 조력한다. 지지범프(80; 도 3)는 포스트 슬롯(52; 도 3) 내에서 피봇 포스트(38; 도 2)를 하부위치(87; 도 3)에 유지시키고 피봇 포스트(38)가 포스트 슬롯(52) 내에서 상부위치(89)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제1노치(30)는 제1랙(48)으로부터 결합해제되고 레버부재(14)는 고정위치로부터 회전하도록 한다. 레버부재(14)가 고정위치에 있고 하니스 커넥터(18)가 모듈 커넥터(22) 내에서 초기준비위치에 있을 때, 캠아암(26)은 제2노치(34)가 모듈 커넥터(22)의 제2랙(64; 도 2)를 수용하도록 정렬된다. 이 후에, 제2랙(64)과 제2노치(34)는 하니스 커넥터(18)를 초기준비위치로부터 최종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회전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모듈 커넥터(22)의 사시도이다. 측벽(72)은 단부벽(132)과 일체형으로 제작되고, 이에 수직으로 정렬된다. 측벽과 단부벽(72, 132)은 측벽과 단부벽(72, 132)의 둘레보다 큰 둘레를 갖는 베이스(134)와 일체형으로 제작되고 이로부터 연장한다. 베이스(134)는 라디오와 같은 전자부품(미도시)에 장착되고, 측벽과 단부벽(72, 132)은 상기 전자부품으로 부터 외측으로 연장한다. 모듈 커넥터(22) 내에 위치된 전기접점은 접점슬롯(미도시)을 통해서 전자부품에 연결된다. 하니스 커넥터(18; 도 3)가 모듈 커넥터(22) 내에서 최종위치에 있을 때, 하니스와 모듈 커넥터(18, 22)의 전기접점들은 완전하게 정합한다.
측벽(72)은 중심에 위치된 아암 포획부(68)를 포함한다. 제2랙(64)은 측벽(72)의 상부에지(138)를 따르는 제1측면에서 아암 포획부(68)로 연장한다. 제2랙(64)은 캠아암(26; 도 4) 상의 제2노치(34)에 결합하는 경사진 상부면과 하부면(142, 146)을 갖는다. 캠아암(26)이 하니스 커넥터(18)를 정위치시키기 위하여 최종위치에 회전될 때, 제2랙(64)은 하기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하니스 커넥터(18)를 모듈 커넥터(22) 측의 하방으로 당기기 위하여 제2노치(34)에 지지가능하게 결합하여 캠아암(26)과 제1랙(48)은 아암 포획부(68) 내에 위치설정된다. 제1랙(48)과 제2랙(64)은 하니스 커넥터(18)와 모듈 커넥터(22) 상에 각각 위치설정되어, 하니스 커넥터(18)가 최종위치에 있을 때, 제1랙(48)과 제2랙(64)은 대면하는 측벽(150)을 따라서 아암 포획부(68) 내에 배치된다. 따라서, 하니스 커넥터(18)와 모듈 커넥터(22) 내에서 제1랙(48)과 제2랙(64) 각각의 정렬은 하니스 커넥터(18)가 정확한 배향으로 모듈 커넥터(22)에 삽입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단부벽(132)은 하니스 커넥터(18; 도 3)의 지지 스트립(12)에 스냅식으로 결합하고 지지하는 상부 및 하부 지지래치(116, 118)를 포함한다. 하니스 커넥터(18)는 초기준비위치를 향해서 모듈 커넥터(22) 측으로 낮추어짐에 따라, 지지 스트립(112)은 상부 지지래치와 하부 지지래치(116, 118) 사이의 갭(122)으로 상부 지지래치(116) 위를 스냅가능하게 미끌어진다. 따라서, 상부 지지래치와 하부 지지래치(116, 118)는 지지 스트립(112)와 하니스 커넥터(18)를 초기위치단계에 지지한다. 하니스 커넥터(18)가 초기위치단계에서 최종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지지 스트립(112)은 하부 지지래치(118)를 지나 아래로 스냅가능하게 미끌어진다. 하니스 커넥터(18)가 모듈 커넥터(22)로부터 분리될 때, 지지 스트립(112)은 상부 지지래치와 하부 지지래치(116, 118) 위를 다시 스냅가능하게 미끌어진다.
도 1을 참조하면, 하니스 커넥터(18)는 레버부재(14)가 고정위치에 직립하고 있는 상태에서 초기위치단계에 있는다. 제1랙(48)은 회전축(42)으로부터 피치 반경(D1) 만큼 이격된 제1접촉지점(156)에서 제1노치(30)에 결합하고 제2랙(64)은 회전축(42)으로부터 피치 반경(D2) 만큼 이격된 제2접촉지점(160)에서 제2노치(34)에 결합한다. 단지 예시의 목적으로, D1은 D2와 동일하다.
하니스 커넥터(18)를 초기위치로 이동시키고 전기접점과 정합시키기 위하여, 레버부재(14)는 레버아암(58)이 수직축(24)에 직각인 모듈 커넥터(22)의 상부에지(138) 상에 안착할 때까지 회전축(42)의 주위에서 화살표 A방향, 예를 들어 약 60°만큼 회전된다. 레버부재(14)가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제1노치(30)의 상부 기어면(124)은 제1랙(48)의 상부면(100)을 화살표 J 방향으로 압박하고 제2노치(34)의 하부 기어면(129)은 제2랙(64)의 하부면(146)을 화살표 K 방향으로 압박한다. 상부 기어면(124)과 상부면(100)이 서로 결합함에 따라, 제2노치(34)의 하부 기어면(129)은 제2랙(64)의 하부면(146)을 화살표 K 방향으로 압박한다. 제1노치(30)와 제1랙(48) 및 제2노치(34)와 제2랙(64) 사이의 이중접촉 은 전기접점을 정합시키기에 충분한 힘으로 캠아암(26)을 아암 포획부(68)로 당기고 따라서 하니스 커넥터(18)를 모듈 커넥터(22) 측으로 당긴다.
도 7은 전기접점들이 정합된 최종위치에 있는 정합보조 조립체(10)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캠아암(26)과 제1랙(48)이 아암 포획부(68)에 배치되어 제1노치(30)의 상부기어면(124)은 제1랙(48)의 상부면(100)을 압박하고 제2노치(34)의 하부 기어면(129)은 제2랙(64)의 하부면(146)을 압박한다. 레버아암(58)이 수직축(24)에 직각으로 정렬되지만, 다른 각도로 배향될 수 있다. 전기접점들을 분리시키고 하니스 커넥터(18)를 초기준비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레버부재(14)는 회전축(42) 주위를 화살표 S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레버부재(14)가 화살표 S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에 따라, 제1노치(30)의 하부 기어면(128)은 제1랙(48)의 하부면(104)을 화살표 T 방향으로 압박하고 제2노치(34)의 상부 기어면(125)은 제2랙(64)의 상부면(142)을 화살표 Q 방향으로 압박한다. 제1노치와 제2노치(30, 34) 및 제1랙과 제2랙(48, 64) 사이에 각각 인가되는 힘은 정합된 전기접점들의 정적마찰을 극복하고 하니스 커넥터(18)를 모듈 커넥터(22)로부터 화살표 C방향으로 초기준비위치를 향하여 상승시키기에 충분하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하니스 커넥터(18)가 초기준비위치에 있을 때, 피봇 포스트(38; 도 2)는 포스트 슬롯(52; 도 3) 내에서 하부위치(87; 도 3)에 위치한다. 하니스 커넥터(18)가 모듈 커넥터(22) 내에서 초기준비위치로부터 최종위치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피봇 포스트(38)는 하부위치(87; 도 3)에서 회전축(42)의 주위를 회전한다. 레버부재(14)가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에 따라, 피봇 포스 트(38)는 지지범프(80; 도 3) 사이에서 상부위치(89; 도 3)를 향하여 화살표 C방향의 수직상방으로 미끌어진다. 피봇 포스트(38)는 하니스 커넥터(18)가 최종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부위치(89)에서 회전축(42) 주위를 계속 회전한다.
다른 한편으로, 하니스 커넥터가 최종위치로부터 초기준비위치로 이동하게 될 때, 피봇 포스트(38)는 레버부재(14가 화살표 S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때 상부위치(89)로부터 하부위치(87; 도 3)까지 화살표 B방향의 수직하강으로 미끌어진다.
따라서, 제1랙(48)과 타원형 포스트 슬롯(52; 도 3)은 초기위치와 최종위치 사이에서 하니스 커넥터(18)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레버부재(14)가 회전하게 되는 거리를 상당히 감소시킨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하니스 커넥터(18)가 제1랙(48)없이 최종위치까지 수직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레버부재(14)는 하니스 커넥터(18)를 모듈 커넥터(22)로 당기기 위하여 제2노치(34)가 제2랙(64)과 결합하므로 화살표 A방향으로 먼 거리를 회전하게 될 것이다. 또한, 피봇 포스트(38)(도 2 참조)가 포스트 슬롯(52)내에서 수직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에 의해, 제2 노치(34)가 회전 중을 통하여 제2 랙(64)과 대부분 계합하도록 제2 랙(64)이 피치 반경(D2)을 유지할 수 있다. 피봇 포스트(38)가 상부위치(89; 도 3)로 미끄러지고 따라서 피치반경(D2)을 유지하도록 허용함으로써, 제2랙(64)은 제1노치(30)가 제1랙(48)을 하방으로 압박하여 하니스 커넥터(18)를 최종위치로 압박하도록 회전하는 동안 제2노치(34)와 저항식 접촉을 유지한다. 그러므로, 제1랙(48)과 포스트 슬롯(52)은 하니스 커넥터(18)를 최종위치까지 동일 수직 이동거리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레버부재(14)가 최소거리를 회전하게 되도록 함께 작용한다.
부가적으로, 피봇 포스트(38)와 피봇 슬롯(52)의 구조는 베어링 및 트럭과 같은 유사한 다중치수범주의 이동 또는 다른 다중치수의 링크장치를 지지하는 다른 구조체로 대체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정합보조 조립체(180)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레버부재(14)의 캠아암(26)은 포스크 슬롯(52)을 포함한다. 포스트 슬롯(52)은 하니스 커넥터(18)의 측벽(56)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피봇 포스트(38)를 수용한다. 하니스 커넥터(18)가 초기준비위치에 있을 때, 피봇 포스트(38)는 포스트 슬롯(52)의 상부벽(90)과 결합하는 상부위치(89)에 있는다. 레버부재(14)가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축(42) 주위를 회전하게 됨에 따라 제1노치(30) 및 제2노치(34)는 제1랙(48) 및 제2랙(64)과 각각 결합하고, 피봇 포스트(38)는 포스트 슬롯(52)의 하부벽(88)과 결합하는 하부위치(87)까지 포스트 슬롯(52) 내에서 미끌어진다. 선행 실시예에서, 포스트 슬롯(52)은 제2노치(34)가 제2랙(64)과 접촉상태로 존재하도록 피봇 포스트(38)가 그 내부에서 미끌어지도록 허용한다. 정합보조 조립체(180)의 캠아암(26)은 레버부재(14)를 고정위치에 유지하기 위하여 제1노치(30)가 제1랙(48)을 둘러싸도록 피봇 포스트(38)를 상부위치(89)에 지지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범프(80)와 플렉스 갭(92; flex gap)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정합보조 조립체(200)를 나타낸다. 정합보조 조립체(200)는 제2랙(64)이 아암 포획부(68)의 마주하는 측면 상에 안착되고 제2랙(48)이 포스트 슬롯(52)의 마주하는 측면 상에 안착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의 정합보조 조립체(10)에 유사하다. 그러므로, 하니스 커넥터(18)가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준비위치에 있을 때, 제1노치(30)는 제2랙(64)과 결합하 고 제2노치(34)는 제1랙(48)과 결합하여 레버부재(14)는 레버아암(58)이 수직축(24)에 직각인 고정위치에 유지된다. 레버부재(14)는 하니스 커넥터(18)를 최종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화살표 S방향으로 회전축(42) 주위를 회전하게 된다. 레버부재(14)가 화살표 S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에 따라, 제2노치(34)의 상부 기어면(125)은 제1랙(48)의 상부면(100)을 화살표 Q방향으로 압박하고 제1노치(30)의 하부 기어면(128)은 제2랙(64)의 하부면(146)을 화살표 T방향으로 압박하여 하니스 커넥터(18)는 모듈 커넥터(22)를 향해서 화살표 B방향의 하방으로 당겨진다.
도 9는 최종위치에 있는 도 8의 정합보조 조립체(200)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레버부재(14)는 레버아암(58)이 수직축(24)에 대해 30°각도에 있도록 화살표 S방향으로 회전축(42) 주위를 회전하게 된다. 하니스 커넥터(18)를 초기준비위치로 다시 이동시키기 위하여, 레버부재(14)는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축(42) 주위를 회전하게 된다. 도 1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랙(48), 포스트 슬롯(52; 도 3) 및 제2랙(64)은 초기위치와 최종위치 사이에서 하니스 커넥터(18)를 이동시키기 위한 레버부재(14)의 회전방향을 감소시키도록 작용한다. 도 8과 도 9의 실시예는 전기접점들을 연결하기 위하여 레버아암(58)이 수직축(24)에 대해 직각인 위치로부터 레버아암(58)이 수직축(24)에 대해 30°각도에 있는 위치까지 레버부재(14)가 이동하게 되도록 제1랙과 제2랙(48, 64)을 배향시킨다.
다양한 실시예의 정합보조 조립체는 다수의 잇점을 제공한다. 포스트 슬롯의 지지범프는 모듈 커넥터를 향한 하니스 커넥터의 삽입전에 레버부재를 고정위치에 유지하기 위하여 캠아암의 제1노치들이 제1랙들과 결합하도록 피봇 포스트를 보 유한다. 그러므로, 캠아암은 하니스 커넥터가 모듈 커넥터 내에서 초기준비위치에 있을 때 제2노치들과 결합하도록 제2랙에 적절하게 정렬된다.
제1랙들은 레버부재가 회전하게 됨에 따라 제1노치 내에 유지하도록 배치되어 제1랙들은 제1노치와 제2랙 사이의 접촉을 유지하기 위하여 캠아암이 수직으로 이동하는 것을 포스트 슬롯이 허용하므로 레버부재의 회전동안 제1노치들과 완전히 결합한다. 따라서, 레버부재는 제1랙이 캠아암과 결합하지 않고 피봇 포스트가 포스트 슬롯 내에서 수직으로 미끄러지도록 허용되지 않는 것보다는 전기접점들을 연결하기 위하여 절반이상을 회전한다. 레버부재가 전기접점들을 연결하기 위하여 짧은 거리를 회전하므로, 정합보조 조립체는 작은 공간을 차지하고 광범위하고 다양한 전자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버부재가 전형적인 정합보조 조립체에 의해 요구된 90°대신에 전기접점들을 연결하기 위하여 60°만큼 회전하게 된다면, 레버부재는 하니스 커넥터가 초기준비위치에 있을 때 수직축에 대해 평행한 대신에 수직축에 대해 30°에만 있어서 작은 공간을 차지한다.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기재되었지만,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요지로부터 벗어나지 않고도 다양한 수정이 만들어질 수 있고 등가물이 대체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부가적으로, 많은 변경은 본 발명의 요지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의 교시에 특정 상황 또는 재료를 채택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기재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단지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요지에 일치하는 모든 실시예를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30)

  1. 전기접점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단부를 갖고, 대응하는 전기접점들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서로 정합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초기위치와 최종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결합시키고, 회전축에 대해 소정의 이동범위를 통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초기위치와 최종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이동시키는 레버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제1하우징에 의해 수용되는 피봇 포스트를 갖는 캠아암; 상기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과 각각 결합하는 제1노치 및 제2노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하우징은 상기 회전축에 대해 상기 피봇 포스트를 회전가능하고 미끄럼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포스트 슬롯; 및 상기 제1노치와 결합하는 제1랙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제2노치와 결합하는 제2랙을 갖고,
    상기 제1랙과 제2랙 및 노치들은 상기 레버부재가 상기 이동범위를 따라서 회전하게 됨에 따라 상기 초기위치와 최종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협력하는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슬롯은 상기 포스트 슬롯 내부를 상부위치와 하부위치로 분리시 키는 그의 내부면을 따르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범프를 갖는 타원형상을 갖고, 상기 지지범프는 상기 레버부재가 상기 이동범위의 일부를 통해서 이동하는 동안 상기 하부위치에 상기 피봇 포스트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피봇 포스트와 마찰식으로 결합하는 전기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슬롯은 내부면을 따라서 서로 마주하게 배향된 지지범프들을 갖고, 상기 제1하우징은 상기 포스트 슬롯의 양측면에 배치된 플렉스 갭을 구비하여 플렉스 스트립이 상기 포스트 슬롯과 상기 플렉스 갭 사이에서 연장하도록 하고, 상기 플렉스 갭은 상기 피봇 포스트가 상기 지지범프들 위의 수직축을 따라 상기 포스트 슬롯 내에서 수직상방으로 미끄러짐에 따라 상기 피봇 포스트에 의해 측방 외측으로 압박될 때 상기 플렉스 스트립을 수용하는 전기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노치는 상부 기어면과 하부 기어면을 갖고 상기 제1랙은 상부면과 하부면을 가지며, 상기 상부 기어면은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상기 초기위치에서 최종위치까지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레버부재가 상기 이동범위를 통해 회전하게 됨에 따라 상기 상부면과 결합하고, 상기 하부 기어면은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상기 최종위치에서 초기위치까지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레버부재가 상기 이동범위를 통해 회전하게 됨에 따라 상기 랙의 하부면과 결합하는 전기 커넥 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노치는 상부 기어면과 하부 기어면을 갖고 상기 제2랙은 상부면과 하부면을 가지며, 상기 하부 기어면은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상기 초기위치에서 최종위치까지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레버부재가 상기 이동범위를 통해 회전하게 됨에 따라 상기 하부면과 결합하고, 상기 상부 기어면은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상기 최종위치에서 초기위치까지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레버부재가 상기 이동범위를 통해 회전하게 됨에 따라 상기 상부면과 결합하는 전기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상기 초기위치로부터 최종위치까지 이동하게 됨에 따라 상기 피봇 포스트는 상기 피봇 포스트가 회전하는 회전축에 수직인 수직축을 따라 상기 포스트 슬롯 내에서 수직상방으로 미끄러지는 전기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상기 최종위치와 상기 초기위치 사이에서 이동하게 됨에 따라 상기 피봇 포스트는 상기 피봇 포스트가 회전하는 회전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포스트 슬롯 내에서 선형경로를 따라 미끄러지는 전기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은 내부면으로부터 상기 제2랙이 연장하고 있고 반원형의 아암 포획부를 갖는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아암 포획부는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상기 초기위치로부터 상기 최종위치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상기 캠아암과 상기 제1랙을 수용하여 상기 제2노치는 상기 제2랙과 접촉상태를 유지하는 전기 커넥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 포스트는 상기 회전축 주위에서 상기 피봇 포스트의 회전을 허용하고 상기 회전축을 가로지르는 상기 피봇 포스트의 선형이동을 허용하는 전기 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 포스트와 피봇 슬롯은 상기 레버부재와 상기 제1하우징 사이의 선형이동을 허용하고 상기 레버부재와 상기 제2하우징 사이의 선형이동을 허용하는 전기 커넥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에 대한 제1회전위치와 제2회전위치에서 작동하는 다중치수의 연결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회전위치와 제2회전위치는 대응하는 제1회전축과 제2회전축을 갖고, 상기 다중치수의 연결기구는 상기 제1회전축과 제2회전축 주위에서 상기 이동범위의 제1부분과 제2부분 사이를 회전하는 전기 커넥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에 대한 제1회전위치와 제2회전위치에서 작동하는 다중치수의 연결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회전위치와 제2회전위치는 대응하는 제1회전축과 제2회전축을 갖고, 상기 제1회전축과 제2회전축은 선형경로를 따라서 서로 평행하고 서로로부터 분리되는 전기 커넥터.
  13. 전기접점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단부를 갖고, 대응하는 전기접점들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서로 정합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초기위치와 최종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 제1랙과 제2랙을 각각 구비하는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결합시키고, 회전축 주위의 이동범위를 통해서 선형경로를 따라 회전하게 됨에 따라 상기 초기위치와 최종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이동시키는 캠아암을 갖는 레버부재; 및
    상기 레버부재가 상기 이동범위를 통해서 회전하게 됨에 따라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상기 초기위치와 최종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상기 레버부재와 상기 제1하우징을 서로 연결시키고 상기 레버부재가 상기 회전축 주위에서 상기 제1하우징에 대한 상기 선형경로를 따라 회전하도록 허용하는 다중치수의 연결기구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레버부재가 상기 이동범위를 통해서 회전하게 됨에 따라 상기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 상의 제1랙 및 제2랙과 각각 결합하는 다중 캠아암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캠아암은 제1노치와 제2노치를 갖고, 상기 레버부재가 상기 이동범위를 통해서 회전하게 됨에 따라 상기 제1노치는 상기 제1하우징 상의 제1랙과 결합하고 상기 제2노치는 상기 제2하우징 상의 제2랙과 결합하는 전기 커넥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치수의 연결기구는 피봇 포스트와 포스트 슬롯을 갖고, 상기 피봇 포스트는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상기 초기위치로부터 상기 최종위치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상기 피봇 포스트가 회전하는 상기 회전축에 수직인 수직축을 따라 상기 포스트 슬롯 내에서 수직상방으로 미끄러지는 전기 커넥터.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치수의 연결기구는 피봇 포스트와 포스트 슬롯을 갖고, 상기 피봇 포스트는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상기 최종위치로부터 상기 초기위치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상기 피봇 포스트가 회전하는 상기 회전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포스트 슬롯 내의 선형경로를 따라 미끄러지는 전기 커넥터.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치수의 연결기구는 상기 제1하우징에 대한 제1회전위치와 제2회전위치로 작동하고, 상기 제1회전위치와 제2회전위치는 대응하는 제1회전축과 제2회전축을 갖고, 상기 다중치수의 연결기구는 상기 제1회전축과 제2회전축 주위에서 상기 이동범위의 제1부분과 제2부분 사이를 회전하는 전기 커넥터.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치수의 연결기구는 상기 제1하우징에 대한 제1회전위치와 제2회전위치에서 작동하고, 상기 제1회전위치와 제2회전위치는 대응하는 제1회전축과 제2회전축을 갖고, 상기 제1회전축과 제2회전축은 선형경로를 따라서 서로 평행하고 서로로부터 분리되는 전기 커넥터.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치수의 연결기구는 피봇 포스트와 포스트 슬롯을 갖고, 상기 포스트 슬롯은 내부면을 따라 서로 대면하게 배향된 지지범프를 갖고, 상기 지지범프는 상기 지지범프와 상기 포스트 슬롯의 하부면 사이의 제1위치에 상기 피봇 포스트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피봇 포스트와 마찰식으로 결합하여 상기 캠아암은 상기 제1하우징이 상기 제2하우징으로 삽입됨에 따라 고정위치에 상기 레버부재를 보유하기 위하여 상기 제1하우징 상의 제1랙과 접촉하는 전기 커넥터.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치수의 연결기구는 피봇 포스트와 포스트 슬롯을 갖고, 상기 포스트 슬롯은 내부면을 따라 서로 대면하게 배향된 지지범프와 상기 포스트 슬롯의 양측면 상에 안착된 플렉스 갭-플렉스 스트립은 상기 포스트 슬롯과 상기 플렉스 갭 사이에서 연장함-을 갖고, 상기 플렉스 갭은 상기 피봇 포스트가 수직축을 따라 상기 포스트 슬롯 내에서 수직으로 미끄러짐에 따라 상기 지지범프가 상기 피봇 포스트에 의해서 외부의 측방으로 압박될 때 상기 플렉스 스트립을 수용하는 전기 커넥터.
  22.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치수의 연결기구는 피봇 포스트와 포스트 슬롯을 갖고, 상기 피봇 포스트는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상기 초기위치와 상기 최종위치 사이에서 이동하게 됨에 따라 수직축을 따라 상기 포스트 슬롯 내에서 수직으로 미끄러지고, 상기 캠아암은 상기 피봇 포스트가 상기 포스트 슬롯 내에서 수직으로 미끄러짐에 따라 상기 제2하우징 상의 제2랙과 접촉상태를 유지하는 전기 커넥터.
  23.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은 내부면으로부터 상기 제2랙이 연장하고 있고 반원형의 아암 포획부를 갖는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아암 포획부는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상기 초기위치로부터 상기 최종위치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상기 캠아암과 상기 제1랙을 수용하여 상기 캠아암은 상기 제2랙과 접촉상태를 유지하는 전기 커넥터.
  24. 전기접점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단부를 갖고, 대응하는 전기접점들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서로 정합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초기위치와 최종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 제1랙과 제2랙을 각각 구비하는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랙과 제2랙을 결합시키고회전축 주위의 이동범위를 통해 회전하게 됨에 따라 상기 초기위치와 최종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을 이동시키는 캠아암을 갖는 레버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랙과 제2랙은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떨어져 이격되는 전기 커넥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캠아암은 제1노치와 제2노치를 갖고, 상기 레버부재가 상기 이동범위를 통해서 회전하게 됨에 따라 상기 제1노치는 상기 제1하우징 상의 제1랙과 결합하고 상기 제2노치는 상기 제2하우징 상의 제2랙과 결합하는 전기 커넥터.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레버부재 중 하나는 피봇 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레버부재 중 다른 하나는 포스트 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피봇 포스트는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상기 초기위치로부터 최종위치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상기 피봇 포스트가 회전하는 상기 회전축에 수직인 수직축을 따라 상기 포스트 슬롯 내에서 수직상방으로 미끄러지는 전기 커넥터.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레버부재 중 하나는 피봇 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레버부재 중 다른 하나는 포스트 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피봇 포스트는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상기 초기위치로부터 최종위치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상기 피봇 포스트가 회전하는 상기 회전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포스트 슬롯 내에서 선형경로를 따라 미끄러지는 전기 커넥터.
  28.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캠아암은 상부 기어면과 하부 기어면을 갖는 제1노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랙은 상부면과 하부면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 기어면은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상기 초기위치에서 최종위치까지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레버부재가 상기 이동범위를 통해 회전하게 됨에 따라 상기 상부면과 결합하고, 상기 하부 기어면은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상기 최종위치에서 초기위치까지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레버부재가 상기 이동범위를 통해 회전하게 됨에 따라 상기 랙의 하부면과 결합하는 전기 커넥터.
  29.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캠아암은 상부 기어면과 하부 기어면을 갖는 제2노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랙은 상부면과 하부면을 가지며, 상기 하부 기어면은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상기 초기위치에서 최종위치까지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레버부재가 상기 이동범위를 통해 회전하게 됨에 따라 상기 하부면과 결합하고, 상기 상부 기어면은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상기 최종위치에서 초기위치까지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레버부재가 상기 이동범위를 통해 회전하게 됨에 따라 상기 상부면과 결합하는 전기 커넥터.
  30.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레버부재 중 하나는 피봇 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레버부재 중 다른 하나는 포스트 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포스트 슬롯은 상기 포스트 슬롯의 내부를 상부위치와 하부위치로 구분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범프를 그의 내부면에 구비한 타원형상을 갖고, 상기 지지범프는 상기 레버부재가 상기 이동범위의 일부를 통해 이동하는 동안 상기 피봇 포스트를 상기 하부위치에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피봇 포스트와 마찰식으로 결합하는 전기 커넥터.
KR1020030029417A 2002-05-09 2003-05-09 이중랙 정합보조기구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 KR1009831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142,347 US6638085B1 (en) 2002-05-09 2002-05-09 Electrical connector with dual rack mate assist
US10/142,347 2002-05-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7978A KR20030087978A (ko) 2003-11-15
KR100983134B1 true KR100983134B1 (ko) 2010-09-20

Family

ID=29249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9417A KR100983134B1 (ko) 2002-05-09 2003-05-09 이중랙 정합보조기구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638085B1 (ko)
EP (1) EP1361631B1 (ko)
JP (1) JP4236034B2 (ko)
KR (1) KR100983134B1 (ko)
BR (1) BR0301307A (ko)
CA (1) CA2427793C (ko)
DE (1) DE60308090T2 (ko)
ES (1) ES2272898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49463U (en) * 2002-09-11 2003-08-21 Hon Hai Prec Ind Co Ltd Optical connector
US6767231B1 (en) * 2003-09-25 2004-07-2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flexible blocking feature
US6971894B2 (en) * 2004-03-31 2005-12-06 Jst Corporation Dual action mechanical assisted connector
US6899554B1 (en) 2004-04-19 2005-05-31 Jst Corporation Dual action mechanical assisted connector
WO2006020924A2 (en) * 2004-08-13 2006-02-23 Jst Corporation Lever action mechanical assist connector
JP2006324227A (ja) * 2005-04-18 2006-11-30 Yazaki Corp コネクタ
JP4556134B2 (ja) * 2005-08-03 2010-10-06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0722927B1 (ko) 2006-01-04 2007-05-3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레버 회전식 전원 회로 차단 장치
JP4598681B2 (ja) * 2006-01-17 2010-12-15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KR100799543B1 (ko) 2006-03-16 2008-01-3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레버 회전식 전원 회로 차단 장치
WO2007146130A2 (en) * 2006-06-08 2007-12-21 Molex Incorporated Lever type electrical connector
US8011938B2 (en) * 2008-05-21 2011-09-06 Tyco Electronic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linear actuator
US7811105B1 (en) * 2009-05-26 2010-10-12 J. S. T.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with an actuator to release the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from an electrical connector
KR200472716Y1 (ko) * 2009-12-31 2014-05-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레버 타입 커넥터조립체
JP5830408B2 (ja) * 2012-02-20 2015-12-09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5830405B2 (ja) * 2012-02-20 2015-12-09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5849014B2 (ja) * 2012-05-09 2016-01-27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TWM462462U (zh) * 2013-04-08 2013-09-21 Dinkle Entpr Co Ltd 連接構件改良結構
US20160285200A1 (en) * 2013-08-01 2016-09-29 Mea Technologies Pte. Ltd. Dual-Motion Mating Assisted Connector
US20170005444A1 (en) * 2014-04-11 2017-01-05 HARTING Electronics GmbH Plug-in connector
US11171450B2 (en) 2019-07-12 2021-11-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alignment and locking of removable elements with a connector
CN111048347B (zh) * 2019-11-29 2023-06-20 国网山东省电力公司无棣县供电公司 一种隔离开关的绝缘保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2620Y2 (ja) * 1991-02-28 1997-04-16 矢崎総業株式会社 低挿抜力コネクタ
JP3316769B2 (ja) * 1993-02-02 2002-08-19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結合式コネクタ
JP2926672B2 (ja) * 1993-02-16 1999-07-28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結合式コネクタ
GB9402570D0 (en) 1994-02-10 1994-04-06 Amp Gmbh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latching/unlatching feature
GB9508189D0 (en) 1995-04-21 1995-06-07 Amp Gmbh Connector with pivotable coupling lever
US5785558A (en) 1995-11-21 1998-07-28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6099330A (en) 1998-07-30 2000-08-08 Gundermann; James E. Connector with lever
US6368125B1 (en) * 1999-05-18 2002-04-0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with lever
DE19938930C1 (de) 1999-08-17 2001-04-12 Framatome Connectors Int Elektrischer Steckverbin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61631B1 (en) 2006-09-06
DE60308090D1 (de) 2006-10-19
JP4236034B2 (ja) 2009-03-11
DE60308090T2 (de) 2007-04-12
KR20030087978A (ko) 2003-11-15
EP1361631A3 (en) 2004-01-28
JP2003331984A (ja) 2003-11-21
CA2427793C (en) 2011-07-19
US6638085B1 (en) 2003-10-28
BR0301307A (pt) 2004-08-17
ES2272898T3 (es) 2007-05-01
EP1361631A2 (en) 2003-11-12
CA2427793A1 (en) 2003-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3134B1 (ko) 이중랙 정합보조기구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
KR100967793B1 (ko) 전기접점 연결용 결합보조조립체
KR100921606B1 (ko) 전기 콘택트들을 연결시키기 위한 전기 커넥터 조립체
US6821135B1 (en) Alignment plate for aligning connector terminals
US20200259294A1 (en) Robust, compact electrical connector
US6485317B2 (en) Connector with lever
CA2494457C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connection assurance features
US7210948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KR100906070B1 (ko) 전기콘택트를 결합시키기 위한 정합보조 어셈블리
JP3301329B2 (ja) コネクタ
EP1248325A2 (en) Insulator coring and contact configuration to prevent pin stubbing in the throat of tuning fork socket connector contacts
KR20050062626A (ko) 연결 확보 형상체를 갖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US6257913B1 (en) Latch mechanism for electrical connector
CN220544365U (zh) 连接器壳体组件、连接器和连接器组件
JP3470027B2 (ja) スライド嵌合型コネクタ
JPH0142311Y2 (ko)
JP4231636B2 (ja) 電気コネクタ
CN114902498A (zh) 具有抗超限应力特征的ffc连接器
KR20220000166U (ko) 자기 잠금식 커넥터
JPH10335014A (ja) コネクタ
JPH06101354B2 (ja) コネク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