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7793B1 - 전기접점 연결용 결합보조조립체 - Google Patents

전기접점 연결용 결합보조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7793B1
KR100967793B1 KR1020030014369A KR20030014369A KR100967793B1 KR 100967793 B1 KR100967793 B1 KR 100967793B1 KR 1020030014369 A KR1020030014369 A KR 1020030014369A KR 20030014369 A KR20030014369 A KR 20030014369A KR 100967793 B1 KR100967793 B1 KR 100967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ost
cam arm
gear surfac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4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4311A (ko
Inventor
마틴게이런먼로
폴츠케이츠리처드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30074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4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7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7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44Pivoting lever comprising gear tee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Abstract

전기커넥터는 전기접점을 연결하도록 서로 결합가능하게 형성된 제1 및 제2하우징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하우징은 전기접점이 부분적으로 그리고 완전하게 결합하는 초기위치와 최종위치 사이에서 각각 이동가능하다. 전기커넥터는 제1 및 제2하우징과 결합하고, 초기위치와 최종위치 사이에서 제1 및 제2하우징을 이동시키는 레버부재를 포함한다. 레버부재는 제1, 제2 및 제3기어면을 갖는 캠암을 포함한다. 제2하우징은 초기위치와 최종위치 사이에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이동시키는 이동의 영역을 통하여 레버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축으로부터 제1, 제2 및 제3거리에 있는 제1, 제2 및 제3기어면과 각각 결합하도록 형성된 제1 및 제2결합포스트를 포함한다. 제1, 제2 및 제3거리는 모두 다르다.
전기커넥터, 결합보조조립체, 레버부재, 캠암

Description

전기접점 연결용 결합보조조립체{Mate assist assembly for connecting electrical contac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보조조립체의 상방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보조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의 하니스커넥터의 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버부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커넥터의 사시도;
도 6은 초기단계위치에서 도 1의 결합보조조립체의 측단면도;
도 7은 결합단계에서 도 1의 결합보조조립체의 측단면도;
도 8은 최종위치에서 도 1의 결합보조조립체의 측단면도;
도 9는 제1결합해제단계에서 도 1의 결합보조조립체의 측단면도;
도 10은 제2결합해제단계에서 도 1의 결합보조조립체의 측단면도;
도 11은 최종 결합해제단계에서 도 1의 결합보조조립체의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결합보조조립체 14 : 레버부재
16 : 하부 18 : 하니스커넥터
20 : 상부 22 : 모듈커넥터
26 : 캠암 36 : 회전포스트
본 발명은 저항부품 연결용 레버기저 연결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분리형 하우징에 포함된 전기접점을 연결하는 결합보조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에서 전자부품은 자동차 전기부품과 같은 몇몇 전기접점의 결합을 필요로 한다. 전자부품은 몇몇의 전기접점을 유지하는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하는 반면에, 결합하는 커넥터 하우징은 동수의 전기접점을 유지한다. 하나의 커넥터 하우징은 수형전기접점을 포함하는 반면에, 다른 커넥터 하우징은 암형전기접점을 포함한다. 결합되는 전기접점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결합하는 전기접점사이의 마찰 때문에 결합하는 커넥터 하우징을 완벽하게 연결하는 것은 어렵다. 커넥터 하우징에는 결합하는 전기접점에 의해 발생된 마찰저항을 극복하기 위하여 커넥터 하우징들을 함께 당기는 레버-기어시스템을 포함하는 결합보조조립체로 형성된다.
포스트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5,833,484호에 개시된 결합보조조립체는 레버와 전기접점을 포함하는 제1 및 제2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한다. 제1커넥터 하우징은 제2커넥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레버는 핸들과 제1커넥터 하우징의 단부벽으로부터 연장하고 나란히 회전될 수 있는 두개의 암을 포함한다. 제2커넥터 하우징은 전기접점이 계속적인 삽입을 저항하는 지점까지 제1커넥터 하 우징과 레버암의 위로 미끄러져 에워싼다. 각 레버암은 기어이가 형성된 캠암을 포함한다. 랙들은 각각의 랙이 한 캠암의 기어이에 대응하는 상태로 제2커넥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한다.
핸들이 상방으로 회전될 때, 랙과 캠암은 결합하여 제1커넥터 하우징과 레버를 제2커넥터 하우징측 하방으로 잡아당겨 전기접점을 결합시킨다. 또 다른 하나로, 핸들이 하방으로 회전될 때, 제1커넥터 하우징은 제2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상방으로 잡아당겨져 전기접점을 결합해제한다.
종래의 결합보조조립체는 몇가지 단점이 있다. 첫째, 캠암은 기어이와 같이 많은 소형 부품을 갖는 단품을 제작하도록 사용될 때 실시되기가 어렵고 시간소모적인 사출성형공정에 의해 생산된다. 다중기어이는 또한 사출성형에 의해 생산하기 어렵다. 둘째, 기어이는 랙과 먼저 결합할 때 강한 결합해제력을 발생시키지 못한다. 따라서 연결된 접점의 정적마찰을 극복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상기된 문제점과 이전에 경험된 다른 단점을 피하기 위한 개선된 결합보조조립체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및 제2하우징을 갖는 전기커넥터 조립체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하우징은 전기접점을 수용하도록 형성된 단부를 갖고 대응하는 전기접점과 연결하도록 서로 결합가능하게 형성된 전방단부를 갖는다. 제1 및 제2하우징은 대응하는 전기접점이 부분적으로 그리고 완전히 결합하는 초기위치와 최종 위치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전기커넥터 조립체는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과 결합하고 회전축 주위의 이동영역을 통하여 회전될 때 초기위치와 최종위치 사이에서 제1 및 제2하우징을 이동시키는 레버부재를 포함한다. 레버부재는 제1하우징과 결합하기 위한 유지구멍을 갖고 제2하우징과 결합하도록 형성된 제1 및 제2기어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캠암을 포함한다.
전기커넥터 조립체는 제2하우징의 내부영역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결합포스트를 포함한다. 제1결합포스트는 레버부재가 제1 및 제2하우징을 최종위치로 향하여 이동시키는 이동영역을 통하여 회전할 때 회전축으로부터 제1거리에서 제1기어면과 결합한다. 제2결합포스트는 레버가 제1 및 제2하우징을 초기위치로 향하여 이동시키는 이동영역을 통하여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때 회전축으로부터 제2거리에서 제2기어면과 결합한다. 제1 및 제2거리는 다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및 제2하우징을 갖는 전기커넥터 조립체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하우징은 전기접점을 수용하도록 형성된 단부를 갖고 대응하는 전기접점을 연결하도록 서로 결합가능하게 형성된 전방단부를 갖는다. 제1 및 제2하우징은 대응하는 전기접점의 부분적으로 그리고 완전히 결합하는 초기위치와 최종위치 사이에서 각각 이동가능하다.
전기커넥터 조립체는 또한 제1 및 제2하우징과 결합하고 레버부재가 회전축 주위의 이동영역을 통하여 회전될 때 초기위치와 최종위치 사이에서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이동시키는 레버부재를 포함한다. 레버부재는 제1하우징과 결합하기 위한 유지구멍과 제2하우징과 결합하도록 형성된 제1 및 제2 결합해제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캠암을 포함한다.
전기커넥터 조립체는 또한 제2하우징의 내부영역 내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결합포스트를 포함한다. 제1결합포스트는 레버부재가 제1 및 제2하우징을 초기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영역을 통하여 회전할 때 회전축으로부터 제1거리에서 제1결합해제면과 결합하도록 형성된다. 제2결합포스트는 레버부재가 제1 및 제2하우징을 초기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영역을 통하여 회전할 때 회전축으로부터 제2거리에서 제2결합해제면과 결합하도록 형성된다. 제1 및 제2거리는 다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하기 상세한 설명 뿐만 아니라, 상술한 요약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파악할 때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할 목적으로, 소정의 실시예는 도면에 예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첨부도면에 나타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보조조립체(10)의 상방사시도를 나타낸다. 결합보조조립체(10)는 하부(16)와 상부(20)를 갖는 하니스커넥터(18)를 포함한다. 하부(16)는 상부(20)가 전기접점들을 덮고 있는 동안 전기접점 그룹들을 유지하는 패킷을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모듈커넥터(22)는 하니스커넥터(18)의 전기접점과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전기접점을 유지한다. 하니스커넥터(18)는 초기단계위치로 모듈커넥터(22)의 내부에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레버부재(14)는 하니스커넥터(18)의 외측에 유지되고, 모듈커넥터(22)와 결합한다. 레버부재(14)는 초기단계위치(도 1)로부터 최종위치(도 8)까지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가능하다. 레버부재(14)는 회전될 때, 하니스커넥터(18)를 화살표 B방향인 하방으로 모듈커넥터(18)에 가압하고, 하니스커넥터(18)와 모듈커넥터(22)의 전기접점은 서로 완전히 결합한다.
도 2는 도 1의 결합보조조립체(10)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다. 레버부재(14)는 회전축(36)을 따라 하니스커넥터(18)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피봇포스트(30) 주위를 회전하는 캠암(26)을 포함한다. 레버부재(14)는 레버암(58)이 수직축(24)과 평행하게 정렬된 상태에서 결합해제위치로 배향된다. 모듈커넥터(22)는 모듈커넥터(22)의 중심에 형성된 대형정렬포스트(38)와 소형정렬포스트(42)를 포함한다. 모듈커넥터(22)는 또한 측벽(146)과 서로 대면하고 나란히 위치되는 결합포스트(46)를 포함한다. 이완포스트(50)(단지 하나만 도시됨)는 결합포스트(46)들 사이에 위치한다.
하니스커넥터(18)의 상부(20)와 하부(16)는 상부(20)로부터 연장해서 하부(16)의 측벽(60)으로부터 연장하는 래치파지부(74)와 결합하는 유지래치(56)에 의해 함께 고착된다. 하니스커넥터(18)와 레버부재(14)는 도 1에 도시된 초기단계위치로 화살표 C방향인 하방으로 모듈커넥터(22)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된다. 하니스커넥터(18)가 초기단계위치에 있을 때, 각 캠암(26)은 한쌍의 대향하는 결합포스트(46) 사이 및 한쌍의 이완포스트(50)들의 상부에 위치하며, 하니스커넥터(18)는 하니스커넥터(18)의 내부에 위치한 정렬리세스(미도시)에 정렬포스트(38, 42)를 미끄러져 수용한다.
도 3은 도 1과 도 2의 하니스커넥터의 하부(16)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하 부(16)는 박스형이고 대향하는 측벽(60)들과 대향하는 단부벽(62)들을 포함한다. 하부(16)의 외측면 둘레는 하니스커넥터(18)가 모듈커넥터(22)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도 1과 도 2의 모듈커넥터(22)의 내측면 둘레보다 작다.
고정레일(66, 67)은 측벽(60)들의 양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한다. 이중 고정레일(67)은 하부(16)의 일단부에서 양측면에 위치되고, 단일 고정레일(67)은 하부(16)의 반대편 단부의 양측면에 위치한다. 고정레일(66, 67)들은 모듈커넥터(22)의 중공부(100)(도 5)에 미끄러져 삽입되어 하부(16)는 모듈커넥터(22)의 내부에서 고정레일(66, 67)에 가로질러서 미끄러지지 않는다. 피봇포스트(30)는 측벽(60)들의 리세스부(70)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한다. 각 캠암(26)(도 2)은 리세스부(70)를 따라서 피봇포스트(30)를 에워싸고 회전한다. 하니스커넥터(18)가 모듈커넥터(22) 내에 위치될 때, 캠암(26)은 리세스부(70)와 모듈커넥터(22)에 의해서 한정된 챔버에서 회전할 수 있다. 측벽(60)들은 또한 상부(20)에 형성된 유지래치(56)와 스냅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삼각형 래치파지부(74)를 포함한다.
짧은 고정레일(68)은 단부벽(62)의 양측 코너에 근접해서 단부벽(62)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한다. 짧은 고정레일(68)은 모듈커넥터(22)에 미끄러져 수용되고, 모듈커넥터(22)의 단부벽(150)(도 5)과 결합한다. 각 단부벽(62)은 또한 다이아몬드형 유지돌기(82) 사이에 위치한 유지쐐기(78)를 포함한다. 유지쐐기(78)는 모듈커넥터(22)의 유지채널(86)(도 5)에 의해 수용되고, 유지채널(86)에 위치된 쐐기파지부(90)(도 5)와 스냅가능하도록 결합한다. 유사하게, 유지빔(82)은 모듈 커넥터(22) 내에 위치한 빔파지부(94)(도 5)와 스냅가능하도록 결합한다. 하부(16)가 모듈커넥터(22)에 삽입됨에 따라, 유지쐐기(78)와 유지빔(82)은 쐐기파지부(90)와 빔파지부(92)를 각각 지나서 미끄러져, 하부(16)는 모듈커넥터(22)에 유지된다.
하부(16)는 측벽(60) 및 단부벽(62)으로부터 연장하는 벽(99)으로 형성된 다양한 모양과 크기인 다수의 커넥터포켓(98)을 포함한다. 커넥터포켓(98)은 개방된 상부구역(102)으로부터 개방된 하부구역(106)으로 하니스커넥터(16)를 통하여 연장한다. 커넥터포켓(98)은 모듈커넥터(22)에 포함되는 전기접점과 결합되는 전기접점을 유지한다. 커넥터포켓(98)의 세트 사이에서 하부(16)의 중심에는 대형정렬요부(92) 사이의 소형정렬요부(96)가 배치된다. 대형정렬요부(92) 및 소형정렬요부(96)는 하니스커넥터(18)가 모듈커넥터(22)에 위치될 때 하니스커넥터(16)를 통하여 연장하고 모듈커넥터(22)에 설치된 소형정렬포스트(42) 및 대형정렬포스트(38)를 수용하고 에워싼다.
도 4는 도 1과 도 2의 레버부재(14)의 상세도를 나타낸다. 핸들(110)은 레버암(58)에 일체로 형성되고, 캠암(26)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레버암(58) 사이에서 수직으로 연장한다. 원형 접촉베이스(114)는 캠암(26)의 내측을 따라 연장하고, 유지구멍(118)은 캠암(26)과 접촉베이스(114)를 관통하여 연장한다. 레버부재(14)는 피봇포스트(30)가 유지구멍(118)에 에워싸일 때까지 접촉베이스(114)가 피봇포스트(30)(도 2)를 따라서 미끄러지도록 레버암(58)을 서로로부터 멀어지는 외측으로 만곡시킴으로써 하니스커넥터(18)에 부착된다. 이후 에 레버부재(14)는 접촉베이스(114)가 하니스커넥터(18)의 리세스부(70)(도 3)에 미끄러져 결합하는 상태에서 회전축(36)에 회전가능하다. 핸들(110)은 작업자가 레버부재(14)를 회전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두개의 그립면(122)을 포함한다.
각 캠암(26)은 캠암(26)의 원주면에 형성된 기어이(132)를 따라 제2노치(130)에 인접한 제1노치(126)를 포함한다. 제1노치(126)는 기어이(132)의 물림면(138)으로부터 가로질러 위치하는 제1물림해제면(134)를 포함한다. 레버부재(14)가 결합보조조립체(10)를 초기단계위치로부터 최종위치(도 8에 도시됨)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회전될 때, 물림면(138)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결합포스트(46)(도 2)와 결합한다. 또 다른 하나로, 레버부재가 결합보조조립체(10)를 최종위치로부터 초기단계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회전될 때, 제1물림해제면(134)이 후술되는 바와 같이 결합포스트(46)와 결합한다.
각 캠암(26)의 제2노치(130)는 부분적으로 제2물림해제면(142)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한정된다. 레버부재(14)가 결합보조조립체(10)를 최종위치로부터 초기단계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회전될 때, 제2물림해제면(142)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결합포스트(46)와 나란하게 위치한 이완포스트(50)(도 2)와 결합한다.
도 5는 도 1과 도 2의 모듈커넥터(22)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두 측벽(146)은 단부벽(150)과 수직으로 정렬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측벽(146)과 단부벽(150)은 측벽(146)과 단부벽(150)의 둘레보다 큰 둘레를 가지는 베이스(154)로부터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베이스(154)는 측벽(146)과 단부벽(150)이 전자부품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상태에서 라디오와 같은 전자부품(미도시)에 장착된다. 다 양한 모양과 크기의 몇몇 접점슬롯(158)은 베이스(154)를 통하여 연장한다. 모듈커넥터(22)에 위치한 전기접점은 접점슬롯(158)을 통하여 전자부품에 연결된다. 대형정렬포스트(38)와 소형정렬포스트(42)는 베이스(154)의 중심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한다.
측벽(146)들은 측벽(146)들의 내측을 따르는 중공부(100)를 한정하는 측벽(146)의 외부를 따른 레일챔버(162)를 각각 포함한다. 레일챔버(162)는 각 측벽(146)을 따라 적절하게 위치되어 하니스커넥터(18)가 모듈커넥터(22)에 위치될 때, 중공부(100)는 하니스커넥터(18)(도 4)의 측벽(60)에 위치된 대응하는 고정레일(66, 67)을 수용한다. 따라서 레일챔버(162)는 고정레일(66, 67)을 유지하고, 하니스커넥터(18)를 모듈커넥터(22)에 적절히 배향되도록 안내한다.
결합포스트(46)와 이완포스트(50)는 측벽(46)으로부터 베이스(154)를 따라 내측으로 연장한다. 하나의 측벽(146)으로부터 연장하는 두개의 결합포스트(46)는 서로 대면하고 다른 측벽(146)으로부터 연장하는 두개의 결합포스트(46)와 대향하도록 배향된다. 이와 유사하게, 결합포스트(46) 사이의 하나의 측벽(146)으로부터 연장하는 두개의 이완포스트(50)는 다른 측벽(146)으로부터 연장하는 두개의 이완포스트(50)와 대향하도록 배향된다. 각 측벽(146)은 결합포스트(46)와 이완포스트(50)를 포함하므로 레버부재(14)와 하니스커넥터(18)의 상부(20)(도 2)는 하니스커넥터(18)가 모듈커넥터(22)의 내부에 있을 때 각 캠암(26)이 결합포스트(46) 및 이완포스트(50)와 여전히 결합하고 있는 상태에서 둘 중 하나의 배향으로 하부(16)에 연결될 수 있다.
결합포스트(46)는 사각형상이고 편평한 상면(166)을 포함한다. 쐐기형 이(170)는 상면(166)에 인접해서 각 결합포스트(46)의 내측벽(174)으로부터 연장한다. 이(170)는 상면(166)으로부터 하부(182)까지 예각으로 하방연장하고 내측벽(174)으로부터 둔각으로 상방연장하는 상부(178)를 포함한다. 작동시, 캠암(26)(도 4)이 결합보조조립체(10)를 초기단계위치로부터 최종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회전될 때, 물림면(138)(도 4)은 하부(182)와 결합하고 지지되어, 캠암(26)을 화살표 E방향인 하방으로 잡아당긴다. 다른 한편으로 캠암(26)이 결합보조조립체(10)를 최종위치로부터 초기단계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회전될 때, 제1물림해제면(134)(도 4)은 상부(178)와 결합하고 지지되어, 캠암(26)을 화살표 G방향인 상방으로 압박한다.
이완포스트(50)는 사각형상이고 같은 측벽(146)을 따라 다른 이완포스트(50)의 방향에서 하방으로 경사진 편평한 상면(186)을 포함한다. 작동시, 캠암(26)(도 4)이 결합보조조립체(10)를 최종위치로부터 초기단계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회전될 때, 제2물림해제면(142)(도 4)은 상면(186)과 결합하고 지지되어, 캠암(26)을 화살표 G방향인 하방으로 압박한다.
각 단부(150)는 서로 평행하게 단부(150)로부터 수직인 내측으로 연장하는 두개의 가이드벽(190)을 포함한다. 두개의 가이드벽(190)과 단부벽(150)은 유지쐐기(78)(도 3)를 수용하는 유지채널(86)을 한정한다. 빔파지부(94)는 가이드벽(190)과 나란하게 단부벽(150)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한다. 쐐기파지부(90)는 유지채널(86)의 내부에서 가이드벽(190) 사이의 중앙에 위치하여 하니스커넥터(18)가 모듈커넥터(22)에 하방으로 삽입될 때 유지쐐기(78)가 쐐기파지부(90)를 지나 스냅가능하게 하방으로 미끄러져서 쐐기파지부(90) 아래에 유지된다.
도 6은 초기단계위치에서 도 1의 결합보조조립체의 측단면도를 나타낸다. 상부(20)는 상면(198)으로부터 연장하고 핸들(110)과 결합하도록 배치되어 래버부재(14)가 화살표 J방향으로 회전축(36)을 따라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요성 정지쐐기(194)를 포함한다. 레버암(58)은 수직축(24)과 평행하고 이(170)는 제1노치(126) 내부에서 캠암(26)의 회전경로에 부분적으로 위치한다. 하니스커넥터(18)를 모듈커넥터(22)의 내부에 계속 삽입하여 전기접점들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정지쐐기(194)는 화살표 K방향인 하방으로 배치되어 레버부재(14)는 핸들(110)이 만곡된 정지쐐기(194)를 통과한 상태에서 유지축(36)에 화살표 J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결합단계에서 도 1의 결합보조조립체의 측단면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암(58)은 수직축(24)과 25°의 각도를 이루고 물림면(138)은 제1접촉지점(202)에서 이(170)의 하부(182)와 결합한다. 제1접촉지점(202)은 회전축(36)으로부터 피치반경인 거리D1만큼 떨어져 있다. 레버부재(14)가 회전축(36)에 화살표 M방향으로 계속 회전될 때, 이(170)의 하부(182)는 화살표 N방향인 물림면(138)의 상방운동을 저지하여, 캠암(26)이 화살표 P방향인 수직 하방으로 피봇포스트(30), 그리고 회전축(36)을 잡아당기도록 한다. 피봇포스트(30)가 하방으로 잡아당겨지면, 하니스커넥터(18)는 결합하는 전기접점들 사이의 정적 및 동적 마찰을 극복하고 전기접점들을 부분적으로 연결하기에 충분한 힘으로 하방으로 차례로 잡아당겨진다.
도 8은 최종위치에서 도 1의 결합보조조립체의 측단면도를 나타낸다. 레버암(58)은 수평, 즉 수직축(24)과 90°이다. 하니스커넥터(18)의 전기접점은 모듈커넥터(22)의 전기접점과 완전히 결합된다. 물림면(138)이 하부(182)와 결합되고 피봇포스트(30)가 화살표 L방향인 수직하방으로 이동하면, 물림면(138)은 하부(182)를 따라 내측벽(174)에 더 가까이 미끄러진다. 전기접점을 결합해제하고 하니스컨넥터(18)를 초기단계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작업자는 핸들을 사용하여 레버부재(14)를 회전축(36)에 화살표 Q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도 9는 제1결합해제단계에서 도 1의 결합보조조립체의 측단면도를 나타낸다. 레버암(58)은 수직축(24)과 80°의 각도를 이루고 제2물림해제면(142)은 제1접촉지점(220)에서 이완포스트(150)의 상면(186)과 결합한다. 제1접촉지점(220)은 D1과 다른 피치의 반경인 D2 거리만큼 회전축(36)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레버부재(14)가 화살표 R방향으로 회전축(36)에 계속 회전될 때, 이완포스트(50)의 상면(186)은 화살표 S방향으로 제2물림해제면(142)의 하방이동을 저지하여, 캠암(26)이 화살표 T방향인 수직 상방으로 피봇포스트(30), 그리고 회전축(36)을 잡아당기도록 한다. 피봇포스트(30)가 상방으로 잡아당겨졌을 때, 하니스커넥터(18)는 결합하는 전기접점들 사이의 정적 또는 동적마찰을 극복하고 전기접점들을 부분적으로 결합해제시키기에 충분한 힘으로 상방으로 차례로 잡아당겨지도록 한다.
도 10은 제2결합해제단계에서 도 1의 결합보조조립체의 측단면도이다. 레버 암(58)은 수직축(24)과 50°의 각도를 이룬다. 제2물림해제면(142)이 상면(186)과 결합하고 피봇포스트(30)가 화살표 Y방향인 수직상방으로 이동될 때, 제2물림해제면(142)은 결합포스트(46)를 향하여 상면(186)을 따라 미끄러진다.
제2결합해제단계에서, 피봇포스트(30)는 이완포스트(50)의 상부에 위치하여 제2물림해제면(142)은 화살표 X방향인 하방으로 상면(186)과 더 이상 결합하지 않도록 하여, 전기접점을 결합해제하는 수직벡터 힘을 더 이상 발생시키지 않는다. 그러나, 제1물림해제면(134)는 제1접촉지점(228)에서 이(170)의 상부(178)와 결합한다. 제1접촉지점(228)은 피치지름 D1의 거리만큼 회전축(36)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레버부재(14)가 화살표 W방향으로 회전축(36)에 대하여 계속 회전될 때, 이(170)의 상부(170)는 화살표 X방향인 제1물림해제면(134)의 하방이동을 저지하여 캠암(26)이 화살표 Y방향인 수직 상방으로 피봇포스트(30), 그리고 회전축(36)을 계속 잡아당기도록 한다. 피봇포스트(30)가 상방으로 잡아당겨질 때, 하니스커넥터(18)는 결합하는 전기접점들 사이의 동적마찰을 극복하고 전기접점들을 완전히 결합해제하기에 충분한 힘으로 상방으로 차례로 계속 잡아당겨진다. 또한 래버부재(14)가 화살표 W방향으로 회전축(36)에 계속 회전될 때, 핸들(110)은 정지쐐기(194)를 지나서 화살표 X방향인 하방으로 만곡되어 핸들(110)이 더 이상 정지쐐기(194)와 접촉하지 않을 때 상부(20)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한다.
도 11은 최종결합해제단계에서 도 1의 결합보조조립체의 측단면도를 나타낸다. 레버암(58)은 수직축(24)과 또다시 평행하다. 제1물림해제면(134)이 상부(178)와 결합하고 피봇포스트(30)가 화살표 U방향인 수직상방으로 이동된 때, 제1물림해제면(134)는 상면(166)을 향하여 상부(178)를 따라 미끄러진다.
도 8을 다시 참조하면, 상부(178)는 팁(250)에서 하부(182)와 만난다. 결합보조조립체(10)가 완전히 결합된 때, 팁(250)은 회전축(36)으로부터 거리 D4에 있다. 회전축(36)이 화살표 Z방향인 수직 상방으로 이동될 때, 거리 D4는 단축되어 제1물림해제면(134)이 상부(178)을 향하여 회전할 때 제1물림해제면(134)은 상부(178)와 접촉하는 회전영역 내에 있다. 회전축(36)이 팁(250)에 더 가까운 수직상방으로 이동하지 않는다면, 제1물림해제면(134)은 단지 팁(250)에 측면접촉하고 더 이상 수직방향의 힘이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제1물림해제면(134)의 피치지름 D1(도 10)보다 작은 피치지름 D2(도 9)를 갖는 제2물림해제면(142)은 이완포스트(50)에 접촉하고 회전축(36)을 수직상방으로 가압하기 위하여 제1단거리를 이동하여 제1물림해제면(134)은 제2캠기어가 이(170)와 결합할 필요없이 결합해제과정을 완성하기 위하여 제2장거리를 이동한다.
결합보조조립체는 몇몇 장점을 부여한다. 첫째, 제1물림해제면과 물림면이 제2물림해제면과 다른 피치지름을 가지므로, 모듈커넥터에서 하니스커넥터를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하여 결합포스트 및 이완포스트와 결합하는 각 캠암에 단지 하나의 기어이가 필요하다. 따라서 캠암은 생산하기가 더욱 용이하다. 둘째, 물림해제면은 접점을 쉽게 결합해제하기에 충분한 수직방향 힘을 제공한다. 제2물림해제면은 결합된 접점의 정적마찰을 극복할 수 있는 충분한 힘으로 이완포스트와 결합 하고 이완포스트를 가압하도록 단거리를 이동한다. 제2물림해제면이 더 이상 수직방향으로 이완포스트와 결합하지 않을 때 제1물림해제면은 접점사이의 동적마찰을 극복할 수 있는 충분한 힘으로 결합포스트를 결합하여 접점을 결합해제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기재되었지만,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에 의해서 본 발명의 요지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동등한 것이 대체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부가하여, 특정 상황 또는 물질을 요지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의 교시에 채택할 수 있도록 많은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범위의 요지와 일치하는 모든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

Claims (24)

  1. 전기접점을 수용하도록 형성된 단부를 갖는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은 대응하는 전기접점들을 연결하도록 서로 결합가능하게 형성된 전방단부를 갖고,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은 대응하는 전기접점들이 부분적으로 그리고 완전히 결합하는 초기위치 및 최종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함-;
    상기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과 결합하고 회전축 주위의 이동범위를 통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상기 초기위치와 최종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레버부재-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제1하우징과 결합하는 유지구멍과 상기 제2하우징과 결합하도록 형성된 제1기어면 및 제2기어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캠암을 포함함-; 및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구역에 장착된 제1결합포스트 및 제2결합포스트-상기 제1결합포스트는 상기 레버부재가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상기 최종위치로 이동시키는 상기 이동범위에 걸쳐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제1거리에서 상기 제1기어면과 결합하고, 상기 제2결합포스트는 상기 레버가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상기 초기위치로 이동시키는 상기 이동범위에 걸쳐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제2거리에서 상기 제2기어면과 결합하며, 상기 제1거리와 제2거리는 상이함-;
    을 포함하는 전기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구멍은 상기 제1하우징의 외부측벽으로부터 연장하는 피봇포스트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전기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면은 상기 캠암의 원주면에 형성된 노치 내에서 벽을 따르고, 상기 제1기어면은 상기 제1결합포스트의 하부와 결합하도록 형성된 전기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어면은 상기 캠암의 원주면에 형성된 노치 내에서 벽을 따르는 전기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포스트는 이(tooth)를 포함하고, 상기 이는 상기 제1기어면과 결합하는 전기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상기 초기위치로부터 최종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제1하우징에 내부적으로 위치된 대응하는 구멍에 수용되도록 형성된 상기 제2하우징에 내부적으로 위치된 삽입포스트를 포함하는 전기커넥 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재는 대향하는 상기 제1결합포스트와 제2결합포스트가 연장하는 상기 제2하우징의 양쪽 내측벽 사이에서 상기 제1하우징의 양쪽 외측벽으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캠암은 대향하는 상기 제1결합포스트와 제2결합포스트 사이에서 회전하고 결합하는 전기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암은 상기 캠암의 원주면에 형성된 노치를 따라서 상기 제1기어면에 대향하는 제3기어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3기어면은 상기 레버가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상기 초기위치를 향해서 이동시키는 이동범위에 걸쳐 회전할 때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제3거리에서 상기 제1결합포스트의 이의 상면과 결합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3거리는 상기 제1거리 및 제2거리와 상이한 전기커넥터.
  9. 전기접점을 수용하도록 형성된 단부를 갖는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은 대응하는 전기접점들을 연결하도록 서로 결합가능하게 형성된 전방단부를 갖고,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은 대응하는 전기접점들이 부분적으로 그리고 완전히 결합하는 초기위치 및 최종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함-;
    상기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과 결합하고 회전축 주위의 이동범위를 통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상기 초기위치와 최종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레버부재-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제1하우징과 결합하는 유지구멍과 상기 제2하우징과 결합하도록 형성된 제1결합해제면 및 제2결합해제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캠암을 포함함-; 및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구역에 장착된 제1결합포스트 및 제2결합포스트-상기 제1결합포스트는 상기 레버부재가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상기 초기위치로 이동시키는 상기 이동범위에 걸쳐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제1거리에서 상기 제1결합해제면과 결합하고, 상기 제2결합포스트는 상기 레버가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상기 초기위치로 이동시키는 상기 이동범위에 걸쳐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제2거리에서 상기 제2결합해제면과 결합하며, 상기 제1거리와 제2거리는 상이함-;
    을 포함하는 전기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구멍은 상기 제1하우징의 외부측벽으로부터 연장하는 피봇포스트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전기커넥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해제면은 상기 캠암의 원주면에 형성된 노치 내에서 벽을 따르고, 상기 제1결합해제면은 상기 제1결합포스트의 상부와 결합하도록 형성된 전기커 넥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해제면은 상기 캠암의 원주면에 형성된 노치 내에서 벽을 따르는 전기커넥터.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포스트는 이(tooth)를 포함하고, 상기 이는 상기 제1결합해제면과 결합하는 전기커넥터.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상기 초기위치로부터 최종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제1하우징에 내부적으로 위치된 3개의 대응하는 구멍에 수용되도록 형성된 상기 제2하우징에 내부적으로 위치된 3개의 삽입포스트를 포함하는 전기커넥터.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재는 대향하는 상기 제1결합포스트와 제2결합포스트가 연장하는 상기 제2하우징의 대향하는 내측벽 사이에서 상기 제1하우징의 대향하는 외측벽으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캠암은 대향하는 상기 제1결합포스트와 제2결합포스트 사이에서 회전하고 결합하는 전기커넥터.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캠암은 상기 캠암의 원주면에 형성된 노치를 따라서 상기 제1결합해제면에 대향하는 제1결합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면은 상기 레버가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상기 최종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범위를 통하여 회전할 때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제3거리에서 상기 제1결합포스트의 이의 상면과 결합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3거리는 상기 제1거리 및 제2거리와 상이한 전기커넥터.
  17. 전기 접점을 수용하도록 형성된 단부를 갖는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은 대응하는 전기접점들을 연결하도록 서로 결합가능하게 형성된 전방단부를 갖고,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은 대응하는 전기접점들이 부분적으로 그리고 완전히 결합하는 초기위치 및 최종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함-;
    상기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과 결합하고 회전축 주위의 이동범위에 걸쳐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상기 초기위치와 최종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레버부재-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제1하우징과 결합하는 유지구멍과 상기 제2하우징과 결합하도록 형성된 제1기어면, 제2기어면 및 제3기어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캠암을 포함함-; 및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구역에 장착된 적어도 한 세트의 제1결합포스트 및 제2결합포스트-상기 제1결합포스트는 상기 레버부재가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상기 최종위치로 이동시키는 상기 이동범위에 걸쳐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제1거리에서 상기 제1기어면과 결합하고, 상기 이는 상기 레버부재가 상기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을 상기 초기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범위에 걸쳐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제2거리에서 상기 제2기어면과 결합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포스트는 상기 레버가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상기 초기위치로 이동시키는 상기 이동범위에 걸쳐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제3거리에서 상기 제3기어면과 결합하며, 상기 제1거리, 제2거리 및 제3거리는 상이함-;
    를 포함하는 전기커넥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구멍은 상기 제1하우징의 외부측벽으로부터 연장하는 피봇포스트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전기커넥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면은 상기 캠암의 원주면에 형성된 노치 내에서 상기 제2기어면에 대향하는 벽을 따르고, 상기 제1기어면은 상기 제1결합포스트의 하부와 결합하도록 형성된 전기커넥터.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면은 상기 캠암의 원주면에 형성된 노치 내에서 상기 제2기어면 에 대향하는 벽을 따르고, 상기 제1기어면은 상기 제1결합포스트의 상부와 결합하도록 형성된 전기커넥터.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면은 상기 캠암의 원주면에 형성된 제1노치 내에서 상기 제2기어면에 대향하는 벽을 따르고, 상기 제3기어면은 상기 제1노치에 인접하고 상기 제2결합포스트의 상부와 결합하도록 형성된 상기 캠암의 원주면에 형성된 제2노치 내에서 벽을 따르는 전기커넥터.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포스트는 이(tooth)를 포함하고, 상기 이는 상기 제2기어면과 결합하도록 형성된 상부와 상기 제1기어면과 결합하도록 형성된 하부를 갖는 전기커넥터.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상기 초기위치로부터 최종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제1하우징에 내부적으로 위치된 3개의 대응하는 구멍에 수용되도록 형성된 상기 제2하우징에 내부적으로 위치된 3개의 삽입포스트를 포함하는 전기커넥터.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재는 대향하는 상기 제1결합포스트와 제2결합포스트가 연장하는 상기 제2하우징의 양쪽 내측벽 사이에서 상기 제1하우징의 양쪽 외측벽으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캠암은 대향하는 상기 제1결합포스트와 제2결합포스트 사이에서 회전하고 결합하는 전기커넥터.
KR1020030014369A 2002-03-07 2003-03-07 전기접점 연결용 결합보조조립체 KR1009677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093,345 US6558176B1 (en) 2002-03-07 2002-03-07 Mate assist assembly for connecting electrical contacts
US10/093,345 2002-03-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4311A KR20030074311A (ko) 2003-09-19
KR100967793B1 true KR100967793B1 (ko) 2010-07-05

Family

ID=22238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4369A KR100967793B1 (ko) 2002-03-07 2003-03-07 전기접점 연결용 결합보조조립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558176B1 (ko)
EP (1) EP1343225B1 (ko)
JP (1) JP4152776B2 (ko)
KR (1) KR100967793B1 (ko)
BR (1) BR0300402A (ko)
CA (1) CA2420961C (ko)
DE (1) DE60333052D1 (ko)
ES (1) ES2346417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92309B2 (ja) * 2000-11-02 2004-02-03 エフシーアイジャパ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3882111B2 (ja) * 2002-04-22 2007-02-14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US6881081B2 (en) * 2002-07-31 2005-04-1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connection assurance features
US6682359B1 (en) * 2002-12-06 2004-01-2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connection assurance features
DE102004013476A1 (de) * 2003-04-16 2004-11-04 Tyco Electronics Amp Gmbh Steckverbinderanordnung
US6824406B1 (en) * 2003-06-26 2004-11-30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6767231B1 (en) * 2003-09-25 2004-07-2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flexible blocking feature
US6971894B2 (en) * 2004-03-31 2005-12-06 Jst Corporation Dual action mechanical assisted connector
US7070438B2 (en) * 2004-03-31 2006-07-04 Jst Corporation Connector lever lock
DE102004018152B4 (de) * 2004-04-08 2016-06-16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Steckverbinder mit Verzahnung und Fehlsteckanschlag
US6899554B1 (en) 2004-04-19 2005-05-31 Jst Corporation Dual action mechanical assisted connector
CN101023564A (zh) * 2004-08-13 2007-08-22 Jst公司 杆作用机械辅助连接器
US7052293B2 (en) * 2004-08-20 2006-05-30 Molex Incorporated Lever type electrical connector
US7255580B2 (en) * 2005-03-09 2007-08-14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lever assist with latch hold down mechanism
JP2006324227A (ja) * 2005-04-18 2006-11-30 Yazaki Corp コネクタ
DE102006024963B4 (de) * 2005-05-30 2013-04-18 Yazaki Corp. Verbinder vom Hebeltyp
JP4579082B2 (ja) * 2005-07-29 2010-11-10 矢崎総業株式会社 回転レバー式コネクタ
US7267564B2 (en) * 2005-12-01 2007-09-11 Molex Incorporated Lever type electrical connector
JP4598681B2 (ja) * 2006-01-17 2010-12-15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US7384285B2 (en) 2006-02-21 2008-06-10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Lever mated connector assembly with a latching and overstress mechanism
EP1997193A2 (en) * 2006-02-21 2008-12-0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Lever mated connector assembly
JP4884158B2 (ja) * 2006-06-26 2012-02-29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4247920B2 (ja) * 2006-10-19 2009-04-02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レバーコネクタ
NZ566358A (en) * 2008-02-29 2010-11-26 Fonterra Co Operative Group Dairy product and process
US7726988B2 (en) * 2008-03-26 2010-06-0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disconnection assist
US7559779B1 (en) 2008-05-14 2009-07-14 Cinch Connectors, Inc. Electrical connector
JP4515516B2 (ja) * 2008-09-09 2010-08-04 株式会社アイペックス コネクタ装置
EP2192657A1 (en) * 2008-11-28 2010-06-02 Tyco Electronics AMP GmbH Sectioning connector
DE102009037201A1 (de) * 2009-01-15 2010-07-22 Bartec Gmbh Elektrische Geräteeinheit
DE102009027660B4 (de) * 2009-07-13 2015-02-05 Tyco Electronics Amp Gmbh Steckverbinder mit einem Sperrelement und Gehäuse mit einem Sperrelement.
JP5360987B2 (ja) * 2009-09-24 2013-12-04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5407960B2 (ja) * 2010-03-17 2014-02-05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5660376B2 (ja) * 2010-12-24 2015-01-28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付きコネクタ
JP5662207B2 (ja) * 2011-03-15 2015-01-28 矢崎総業株式会社 嵌合補助治具
JP5913874B2 (ja) * 2011-09-12 2016-04-27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源回路遮断装置
DE102013212914A1 (de) * 2012-08-14 2014-02-20 Robert Bosch Gmbh Elektrisches Stecksystem
US9122299B2 (en) * 2013-03-15 2015-09-0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Disconnect lever and method of manufacture
WO2014195748A1 (en) * 2013-06-07 2014-12-11 FCI Asia Pte. Ltd. Connector assembly
CN105284010B (zh) 2013-06-07 2019-06-21 安费诺富加宜(亚洲)私人有限公司 线缆连接器
JP6099203B2 (ja) * 2013-09-03 2017-03-2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WO2015081986A1 (en) 2013-12-03 2015-06-11 Fci Asia Pte.Ltd Connector and pin receiving contact for such a connector
JP6182515B2 (ja) * 2014-08-19 2017-08-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US9281614B1 (en) 2014-10-06 2016-03-08 Tyco Electronics Brasil Ltda Connector assembly having locking members
EP3007283B8 (en) * 2014-10-07 2019-02-27 Aptiv Technologies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mateable with a complementary mating connector
CN105914531B (zh) * 2016-04-13 2019-10-11 河南天海电器有限公司 一种连接器锁紧装置
DE102016120929B4 (de) * 2016-11-03 2018-10-31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Verriegelungsbügel für ein Steckverbindergehäuse
JP6574798B2 (ja) * 2017-02-28 2019-09-11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US10218124B1 (en) * 2017-10-20 2019-02-26 Lea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position assurance
US10181679B1 (en) * 2017-10-20 2019-01-15 Lea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position assurance
EP3766140A4 (en) 2018-03-16 2021-12-08 Fci Usa Llc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S
US10290973B1 (en) 2018-04-13 2019-05-14 Te Connectivity Brasil Industria De Electronicos Ltda. Lever release for lever mated connector assembly
DE202020103126U1 (de) * 2019-05-31 2020-08-21 Tyco Electronics (Shanghai) Co. Ltd. Steckverbindergehäuse, Steckverbindergehäuseanordnung und Steckverbinderanordnung
US11171450B2 (en) 2019-07-12 2021-11-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alignment and locking of removable elements with a connector
JP7144375B2 (ja) * 2019-07-31 2022-09-2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DE102019122598B4 (de) * 2019-08-22 2022-09-29 Lisa Dräxlmaier GmbH Steckersystem zum herstellen einer elektrischen steckverbindung
US11381026B1 (en) * 2020-12-29 2022-07-05 Lea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protector plate with terminal position assuran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6896A (ja) 2001-01-18 2002-08-02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装置
JP2002270286A (ja) 2001-03-13 2002-09-20 Tyco Electronics Amp Kk レバー駆動型コネクタ組立体
JP2003317857A (ja) 2002-04-17 2003-11-07 Tyco Electronics Corp 電気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203346D0 (en) * 1992-02-17 1992-04-01 Amp Gmbh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GB9402570D0 (en) 1994-02-10 1994-04-06 Amp Gmbh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latching/unlatching feature
DE9411509U1 (de) * 1994-07-15 1994-09-22 Siemens Ag Steckverbindergehäuse
GB9508189D0 (en) 1995-04-21 1995-06-07 Amp Gmbh Connector with pivotable coupling lever
US5785558A (en) 1995-11-21 1998-07-28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H09204956A (ja) * 1996-01-26 1997-08-05 Amp Japan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US6039586A (en) * 1996-09-06 2000-03-21 The Whitaker Corporation Lever type connector
GB2339080A (en) * 1998-06-29 2000-01-12 Havant International Ltd Mounting and testing of electrical devices such as disc drives
US6099330A (en) 1998-07-30 2000-08-08 Gundermann; James E. Connector with lever
EP1028494B1 (en) 1999-02-12 2005-04-27 The Whitaker Corporation Lever-operated connector assembly with two complementary connectors
JP2000268911A (ja) * 1999-03-08 2000-09-29 Whitaker Corp:The 電気コネクタ
US6368125B1 (en) * 1999-05-18 2002-04-0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with lever
DE19938930C1 (de) * 1999-08-17 2001-04-12 Framatome Connectors Int Elektrischer Steckverbinder
JP2001076811A (ja) * 1999-09-09 2001-03-23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6896A (ja) 2001-01-18 2002-08-02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装置
JP2002270286A (ja) 2001-03-13 2002-09-20 Tyco Electronics Amp Kk レバー駆動型コネクタ組立体
JP2003317857A (ja) 2002-04-17 2003-11-07 Tyco Electronics Corp 電気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43225A2 (en) 2003-09-10
JP4152776B2 (ja) 2008-09-17
DE60333052D1 (de) 2010-08-05
US6558176B1 (en) 2003-05-06
CA2420961A1 (en) 2003-09-07
EP1343225A3 (en) 2004-08-25
CA2420961C (en) 2010-01-05
JP2003272762A (ja) 2003-09-26
KR20030074311A (ko) 2003-09-19
EP1343225B1 (en) 2010-06-23
BR0300402A (pt) 2004-08-17
ES2346417T3 (es) 2010-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7793B1 (ko) 전기접점 연결용 결합보조조립체
US7252547B2 (en) Connector
KR100921606B1 (ko) 전기 콘택트들을 연결시키기 위한 전기 커넥터 조립체
US5876226A (en) Connector with cam member
US6485317B2 (en) Connector with lever
US6579113B2 (en) Inertial locking connector
KR100983134B1 (ko) 이중랙 정합보조기구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
JP3301329B2 (ja) コネクタ
US6099330A (en) Connector with lever
JPH0322378A (ja) ラッチ手段を具備したコネクタ構造
JPH087982A (ja) ラッチ付き電気コネクタ
JP2006339154A (ja) ロックレバーを有するコネクタ
KR100906070B1 (ko) 전기콘택트를 결합시키기 위한 정합보조 어셈블리
JP2738258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EP0855763B1 (en) Low insertion force connector
JP3938669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US6572391B2 (en) Compact connector system with engagement lever having increased rotation
EP0786161B1 (en) Connector with cam member
JPH07249454A (ja) コネクタ
JPS63173392A (ja) スナップロック結合装置
US7037130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3472721B2 (ja) コネクタ支持機構
JP2005026048A (ja) 電線カバー
JPH0963692A (ja) コネクタ
JP3334102B2 (ja) コネクタのロック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