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6070B1 - 전기콘택트를 결합시키기 위한 정합보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전기콘택트를 결합시키기 위한 정합보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6070B1
KR100906070B1 KR1020030004590A KR20030004590A KR100906070B1 KR 100906070 B1 KR100906070 B1 KR 100906070B1 KR 1020030004590 A KR1020030004590 A KR 1020030004590A KR 20030004590 A KR20030004590 A KR 20030004590A KR 100906070 B1 KR100906070 B1 KR 100906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delete delete
connector
pivot
lev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4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4320A (ko
Inventor
마틴게이런먼로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30064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4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6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6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44Pivoting lever comprising gear teeth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전기콘택트의 제1세트와 제2세트를 수용하도록 형상화된 후방단부를 갖는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가 제공된다.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은 제1세트와 제2세트로부터 대응하는 콘택트를 연결하도록 서로 정합가능한 전방단부를 갖는다.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은 최초위치와 최종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전기 커넥터는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결합시키는 레버부재를 포함하고, 레버부재가 소정의 이동범위를 통해서 회전될 때 전기 커넥터는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최초위치와 최종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킨다. 레버부재는 제1지지부품과 제2지지부품을 갖는 캠아암을 포함한다. 전기 커넥터는 제1하우징의 내부구역 내에서 피봇챔버를 갖는 레버지지블록을 포함하고, 피봇챔버 내에서 제1지지부품을 지지하고 그의 회전을 허용한다.
전기콘택트, 레버부재, 레버지지블록, 정합 포스트

Description

전기콘택트를 결합시키기 위한 정합보조 어셈블리{MATE ASSIST ASSEMBLY FOR JOINING ELECTRICAL CONTAC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합보조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합보조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하니스 커넥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합보조 어셈블리용 레버부재의 사시도;
도 5는 도 1의 레버부재와 하니스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1의 하니스 커넥터 내에 위치설정된 도 1의 레버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1의 모듈 커넥터의 사시도;
도 8은 초기설치위치에서 도 1의 정합보조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9는 최종 정합위치에서 도 1의 정합보조 어셈블리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정합보조 어셈블리
15 : 레버부재
20 : 하니스 커넥터
25 : 모듈 커넥터
27 : 회전축
185 : 캠아암
본 발명의 실시예는 부품을 결합시키고 지지하기 위한 레버-기반 연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는 분리형 하우징에 포함된 전기콘택트를 연결하기 위한 정합보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전기부품과 같은 특정 분야에서, 전자부품은 다수 전기콘택트의 정합을 요구한다. 전자부품은 다수의 전기콘택트를 보유하는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하는 반면에, 정합 커넥터 하우징은 동일 갯수의 전기콘택트를 보유한다. 하나의 커넥터 하우징은 수형 전기콘택트를 포함하는 반면에 다른 커넥터 하우징은 암형 전기콘택트를 포함한다. 정합되고자 하는 전기콘택트의 수가 증가할수록 정합 전기콘택트들 사이의 마찰때문에 정합 커넥터 하우징들을 완전하게 결합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커넥터 하우징에는 정합 전기콘택트에 의해서 발생된 마찰 저항력을 극복하기 위하여 커넥터 하우징들을 함께 당기는 레버-앤드-기어 시스템(lever-and-gear system)을 포함하는 정합보조 어셈블리가 형성된다.
레버와, 제1커넥터 하우징 및 제2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하는 정합보조 어셈블리는 군데르만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6,099,330호에 개시되어 있다. 각각의 커넥터 하우징은 전기콘택트들을 포함하고, 제1커넥터 하우징은 제2커넥터 하우징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레버는 핸들과 2개의 아암을 갖는다. 상기 아암들은 제2커넥터 하우징의 단부벽으로부터 연장하고 측면을 따라서 회전할 수 있다. 아암들은 상기 단부벽 상에 위치되는 레버면(lever surface)을 포함한다. 핸들이 상단부에 근접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제2커넥터 하우징은 전기콘택트들이 계속적인 삽입을 저지하는 지점까지 제1커넥터 하우징 너머로 미끄러질 수 있다. 이 후에, 레버는 제2커넥터 하우징의 후방벽을 따라서 하방으로 회전하게 되어 레버면들이 제1커넥터 하우징의 단부벽 상에 위치된 캠면(cam surface)들과 결합하도록 한다. 레버면들이 캠면들과 결합하고 이에 의해서 저지될 때, 제2커넥터 하우징은 전기콘택트들이 완전히 정합될 때까지 제1커넥터 하우징을 넘어서 하방으로 계속 당겨진다.
제2커넥터 하우징과 레버의 아암이 제1커넥터 하우징 상에 위치설정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6,099,330호의 미국특허와 동일한 다른 정합보조 어셈블리는 포스트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5,833,484호에 개시되어 있다. 각각의 아암은 기어를 갖는 피니언(pinion)을 포함한다. 제1커넥터 하우징은 제1커넥터 하우징 상에 위치된 랙(rack)을 포함하고 각각의 랙은 한 피니언의 기어이(gear teeth)에 각각 대응한다. 핸들이 상방으로 회전될 때, 랙과 피니언은 결합하고 제2커넥터 하우징을 제1커넥터 하우징 측의 하방으로 당긴다.
그러나, 종래의 정합보조 어셈블리들은 다수의 결점을 갖는다. 첫째, 레버 의 아암들은 커넥터 하우징의 단부벽으로부터 연장하고 핸들은 커넥터 하우징의 상단을 가로질러 아암까지 연장한다. 그러므로, 레버들은 폭이 넓고 부피가 커서 회전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레버들은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연장하는 전기선과 간섭하고 정합보조 어셈블리들이 공간한정된 전자부품과 함께 사용되는 것을 방해한다. 둘째, 정합보조 어셈블리들은 조립하고 장착하는 데 시간소모적이다. 아암들은 개별적으로 당겨지고 제2커넥터 하우징의 단부벽을 따라서 미끄러진다. 이 후에, 각각의 아암은 지지 공동부 또는 구멍에 개별적으로 위치설정된다.
따라서, 상술된 정합 문제점을 극복하고 종래 기술에서 경험된 다른 고려사항들을 해소하는 정합보조 어셈블리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된다.
특정 실시예는 전기콘택트의 제1세트와 제2세트를 수용하도록 형상화된 후방단부를 갖는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한다.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은 전기콘택트의 제1세트 및 제2세트로부터 대응하는 콘택트를 결합시키도록 서로 정합가능한 전방단부를 포함한다.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은 콘택트의 제1세트와 제2세트가 각각 부분적으로 그리고 완전하게 정합하는 초기와 최종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전기 커넥터는 레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부재가 이동범위를 통해서 회전될 때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은 결합되고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초기와 최종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킨다. 상기 레버부재는 캠아암(cam arm)을 포함하고, 상기 캠아암은 제1하우징을 결합시키도록 캠아암의 적어도 일측면에 제공된 제1지지부재(first retention element)와 제2하우징을 결합시키도록 캠아암의 주면(peripheral surface) 상에 제공된 제2지지부재를 갖는다. 전기 커넥터는 제1하우징의 내부구역 내에 제공된 레버지지블록(lever retention block)을 포함한다. 레버지지블록은 피봇챔버(pivot chamber)를 구비하고, 피봇챔버는 레버부재가 이동범위를 통해서 회전할 때 상기 피봇챔버 내에서 제1지지부재가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면서 제1지지부재를 지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합보조 어셈블리(10)의 사시도를 예시한다. 정합보조 어셈블리(10)는 레버부재(15)와, 하니스 커넥터(20)와, 모듈 커넥터(25)를 포함하고 이들은 수직축(26)을 따라서 정렬된다. 하니스 커넥터(20)는 전기콘택트 그룹을 보유하는 패키트(packet)를 수용하도록 형상화된 콘택트 포켓(110)을 포함한다. 모듈 커넥터(25)는 하니스 커넥터(20)에서 전기콘택트와 정합하도록 구성된 전기콘택트들을 보유한다. 도 1은 모듈 커넥터(25) 내에서 초기설치위치까지 부분적으로 삽입된 하니스 커넥터(20)를 예시한다. 레버부재(15)는 하니스 커넥터(20)와 모듈 커넥터(25) 내에 지지되고 이들과 결합한다. 레버부재(15)는 초기설치위치에서부터 최종정합위치까지 화살표(A)의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다(도 9 참조). 레버부재(15)가 회전될 때, 하니스 커넥터(20)를 모듈 커넥터(25) 측의 하방으로 눌러서 하니스 커넥터(20)와 모듈 커넥터(25)의 전기콘택트들을 서로 완전히 정합시킨다.
도 2는 도 1의 정합보조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를 예시한다. 레버부재(15)는 캠아암(185)과 캠아암(185)의 양측면에 제공된 피봇 포스트(190; pivot post)를 포함한다. 하니스 커넥터(20)는 그의 중심에 형성된 레버지지블록(82)을 포함한다. 모듈 커넥터(25)는 그의 중심에 형성된 정합 포스트(267; mating post)을 포함한다. 정합 포스트(267)는 캐치 노치(325; catch notch)를 포함한다. 레버부재(15)는 캠아암(185)과 피봇 포스트(190)가 레버지지블록(82) 내에 위치된 상태에서 화살표(I) 방향의 하방으로 하니스 커넥터(20)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된다. 이 후에, 레버부재(15)는 회전축(27)을 중심으로 화살표(P)의 방향으로 상부면(50)까지 회전한다. 그리고, 하니스 커넥터(20)는 도 1에 도시된 초기설치위치까지 화살표(I) 방향을 따라서 모듈 커넥터(25) 측으로 분리가능하게 삽입되고, 초기설치위치에서 정합 포스트(267)는 레버지지블록(82) 측으로 상방돌출하고 캠아암(185)은 캐치 노치(325) 내에 안착된다.
도 3은 도 1의 하니스 커넥터(20)의 사시도를 예시한다. 하니스 커넥터(20)는 박스형태이고, 양측벽(30)과 양단부벽(35)을 포함한다. 단시 예시의 목적으로, 측벽(30)들은 단부벽(35)들과 일체형으로 제작되고 수직을 이룬다. 하니스 커넥터(20)의 외부를 둘러싸는 외주연은 도 1의 모듈 커넥터(25)의 내주연보다 작아서, 하니스 커넥터(20)는 모듈 커넥터(25) 내에 위치될 수 있다. 하니스 커넥터(20)는 대칭형이어서, 하니스 커넥터(20)는 도 1의 모듈 커넥터(25)의 내측면에 180°회전된 두개의 상이한 정렬상태 중 하나의 상태로 위치설정될 수 있다.
각각의 측벽(30)과 단부벽(35)은 해당하는 측벽(30)과 단부벽(35)의 중심에 위치되고 바닥면(55)에서 상부면(50)까지 연장하는 직사각형 리세스부(60; recessed portion)를 포함한다. 측벽(30) 각각의 리세스부(60)는 외측으로 연장하는 두개의 사각형상의 지지돌기(65)를 포함한다. 단부벽(35) 각각의 리세스부(60)는 외향으로 연장하는 직사각형상의 지지돌기(70)를 포함한다. 지지돌기(65, 70)들은 하니스 커넥터(20)가 모듈 커넥터(25) 측에 미끌어져서 삽입될 때 모듈 커넥터(25)의 내부면(275; 도 7 참조)과 결합하고 하니스 커넥터(20)를 (도 7과 관련하여 상세하게 하기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모듈 커넥터(25) 내에서 초기설치위치에 유지시킨다.
측벽(30)과 단부벽(35)들은 박형의 직사각형 지지벽(74, 75)과 각각 일체형으로 제작되고, 지지벽들은 측벽(30)과 단부벽(35)들의 내부면을 따라서 중심에 위치된다. 각각의 지지벽(74, 75)들은 측벽(30)과 단부벽(35)으로부터 내측으로 직립하여 연장한다. 지지벽(74, 75)들은 레버지지블록(82)과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레버지지블록(82)을 일정 위치에 유지시킨다. 레버지지블록(82)에는 직사각형 공동부(90)를 한정하고 둘러싸는 내부 측벽(80)과 내부 단부벽(85)이 제작된다. 내부 측벽(80) 및 내부 단부벽(85)은 상부면(105)을 포함한다. 레버지지블록(82)은 공동부(90) 내에서 도 2의 모듈 커넥터(25) 상의 정합 포스트(267)를 수용한다. 측벽(30), 단부벽(35), 지지벽(75), 내부 측벽(80) 및 내부 단부벽(85)은 상부면(50)과 하부면(55) 사이에서 하니스 커넥터(20)를 관통하여 연장하는 콘택트 포켓(110)을 형성한다. 단지 예시의 방식으로 콘택트 포켓(110)은 L자 형상이다. 콘택트 포켓(110)은 모듈 커넥터(25)에서 대응하는 콘택트들과 정합하는 하나 이상의 콘택트를 수용하도록 형상화된다. 전기콘택트(미도시)는 하니스 커넥터(20)의 일단부로부터 하니스 커넥터(20)의 타단부를 향하여 4개의 콘택트 포켓(110) 각각을 관통하여 선정된다. 하니스 커넥터(20)의 하부면(55)이 모듈 커넥터(25)로 미끌어져서 삽입될 때, 전기콘택트들은 모듈 커넥터(25)에 안착된 전기콘택트(미도시)들과 결합한다.
내부 측벽(80)은 그 위에 형성된 J형 리브(120)들과 기어링 리브(125; gearing rib)들을 포함한다. J형 리브(120)는 내부 측벽(80)으로부터 내향으로 연장하고 공동부(90) 양쪽에 서로 대향하여 정렬된다. 유사하게, 기어링 리브(125)들은 내부 측벽(80)으로부터 내향으로 연장하고 공동부(90) 양쪽에 서로 대향하여 정렬된다. 동일 내부 측벽(80) 상에 제공된 J형 리브(120)들과 기어링 리브(125)들은 삽입갭(170; insertion gap)에 의해서 분리된 리드단부(lead end)들과 피봇 챔버(171; pivot chamber)를 한정하는 본체부(body section)들을 포함한다.
J형 리브(120)들은 상부면(105)으로부터 하방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고 기어링 리브(125)를 향해 내향으로 만곡해서 J 형상을 형성하는 후방면(135) 및 전방면(140)을 포함한다. J형 리브(120)의 측면(145)들은 후방면과 전방면(135, 140)에 대해 수직이고 공동부(90) 양쪽에 서로 내향으로 대향한다.
기어링 리브(125)는 상부면(105)으로부터 하방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고 J형 리브(120)의 전방면(140)으로부터 반원형의 동심원상으로 만곡하는 후방면 및 전방면(155, 160)을 포함한다. 기어링 리브(125)의 측면(165)들은 후방면과 전방면(155, 160)에 대해 수직이고 공동부(90) 양쪽에서 서로 내향으로 대향한다.
작동시, 레버부재(15)의 피봇 포스트(190; 도 4 참조)가 삽입갭(170)내로 미끄러지며 피봇 포스트(190)가 피봇 챔버(171) 내에서 J형 리브(120)의 전방면(140)의 상부 상에 그리고 기어링 리브(125)의 하방면(155)의 바로 밑 뒤에 위치설정될 때까지 레버부재(15)는 공동부(90)에 삽입된다. 피봇 포스트(190)들은 직사각형이고 따라서 수직축(26)을 따라서 정렬될 때 삽입갭(170)내로만 삽입가능하다. 피봇 포스트(190)는 피봇 챔버(171) 내에서 회전가능하다.
이 후에, 하니스 커넥터(20)는 모듈 커넥터(25)로 미끌어져서 삽입된다. 하니스 커넥터(20)가 모듈 커넥터(25)로 완전히 삽입될 때, 모듈 커넥터(25)의 정합 포스트(267; 도 2 참조)는 J형 리브(120)와 내부 단부벽(85) 사이 그리고 기어링 리브(125)와 내부 단부벽(85) 사이에서 공동부(90)를 관통해서 상방으로 연장한다. 레버지지블록(82)의 공동부(90) 내에 위치설정된 모듈 커넥터(25)의 정합 포스트(267)는 레버부재(15)가 피봇 챔버(171)에서 회전될 때 레버부재(15)를 잡아서 하니스 커넥터(20)가 모듈 커넥터(25)로 당겨질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합보조 어셈블리(10)용 레버부재(15)의 사시도를 예시한다. 레버부재(15)는 원통형 핸들(175)과, 직사각형 샤프트(180)와, 엘보우(elbow)형 캠아암(185)과, 2개의 직사각형 피봇 포스트(190)를 포함한다. 핸들(175)은 샤프트(180)의 제1단부와 일체형으로 제작되고 이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하여 T자 형상을 형성한다. 캠아암(185)은 샤프트(180)의 제2단부와 일체 형으로 제작되고 이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한다. 샤프트(180)는 배면(200; back surface)을 포함한다. 샤프트(180)와 캠아암(185)은 외부 측면(195)을 공유한다. 샤프트(180)와 핸들(175)은 피봇 포스트(190)가 도 2의 피봇 챔버(171) 내에서 회전하고 캠아암(185)이 도 1의 모듈 커넥터(25)를 잡거나 이를 해제하도록 레버부재(15)를 위치설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캠아암(185)은 만곡형 제1접촉벽(225)과, 만곡형 제2접촉벽(230)과, 만곡형 지지벽(235)을 포함한다. 제1접촉벽(225)은 캠아암(185)의 배면(220)으로부터 샤프트(180)의 배면(200)을 향해 만곡하여 지지벽(235)과 결합한다. 지지벽(235)은 캠아암(185)의 하부면(222)까지 예각(acute angle)의 상방으로 연장하여 제2접촉벽(230)과 결합한다. 제2접촉벽(230)은 캠아암(185)의 상부면(210)까지 지지벽(235)으로부터 상방 외측으로 만곡한다. 제1접촉벽(225)은 피봇 포스트(190)가 도 3에 도시된 피봇 챔버(171) 내에서 회전축(27)의 주위를 화살표(B) 방향으로 회전할 때 도 2의 정합 포스트(267)를 잡고서 도 2의 하니스 커넥터(20)를 도 2의 모듈 커넥터(25) 측의 하방으로 당긴다. 제2접촉벽(230)은 피봇 포스트(190)가 피봇 챔버(171) 내에서 회전축(27)의 주위를 화살표(C)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정합 포스트(267)를 잡고서 하니스 커넥터(20)를 모듈 커넥터(25)의 상방 외부로 밀어낸다. 지지벽(235)은 제1접촉벽 및 제2접촉벽(225, 230)을 잡는 정합 포스트(267)의 전방부(380; 도 7 참조)를 지지하고 보유한다.
피봇 포스트(190)들은 캠아암(185)의 마주하는 측면(195) 상에서 서로 정렬되고 측면(195)으로부터 외향의 수직방향으로 연장한다. 피봇 포스트(190)들은 편 평한 측벽(240)과, 둥근 상부벽(245)과, 둥근 바닥벽(247)과, 편평한 외부면(250)을 포함한다. 측벽(240)은 캠아암(185)의 하부면(222)에 대해 예각으로 안착된다. 측벽(240)과, 상부벽(245)과, 바닥벽(247)들은 피봇 포스트(190)가 피봇 챔버(171)에 위치설정될 때 J형 리브(120)와 기어링 리브(125)를 결합시킨다.
도 5는 레버부재(15)와 하니스 커넥터(20)의 분해 사시도를 예시한다. 작동시, 레버부재(15)는 피봇 포스트(190)의 측벽(240)들이 수직축(26)에 평행하도록 배향된다. 이 후에, 레버부재(15)는 캠아암(185)의 전방면(215)이 내측면(121)을 향하고 있는 상태에서 공동부(90) 측을 향하는 화살표(D) 방향에서 하방으로 삽입된다. 레버부재(15)가 공동부(90)에 완전히 삽입되며, 캠아암(185)의 외부 측면(195)은 대향하는 J형 리브(120)와 대향하는 기어링 리브(125) 각각의 측면(145, 165) 사이에 위치설정되어 접촉하고, 피봇 포스트(190)는 피봇 챔버(171) 내에 위치설정되고 J형 리브(120) 상에 안착된다. 피봇 포스트(190)의 측벽(240)이 수직축(26)에 평행할 때 피봇 포스트(190)의 하부벽(247)은 J형 리브(120)의 전방면(140)에 접촉하고 피봇 포스트(190)의 외부면(250)이 하니스 커넥터(20)의 내부 측벽(80)에 접촉한다. 이 후에, 레버부재(15)는 샤프트(180)의 배면(200)이 단부벽(35)들 중 하나의 상부면(50) 상에 안착될 때까지 회전축(27)의 주위를 화살표(E)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6은 도 1의 하니스 커넥터(20) 내에 위치설정된 도 1의 레버부재(15)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피봇 포스트(190)의 하나의 측벽(240)은 J형 리브(120)의 전방면(140) 상에 안착하고 다른 측벽(240)과 상부벽(245)은 기어링 리브(125)의 후 방면(155)에 결합한다. 따라서, 제1접촉벽(225)은 하나의 내부 단부벽(85)에 대면하고 제2접촉벽(230)은 화살표(F) 방향에서 하방으로 대면한다.
도 7은 모듈 커넥터(25)의 사시도를 예시한다. 2개의 측벽(260)들은 단부벽(265)과 일체형으로 제작되고 수직으로 정렬된다. 베이스(255)는 측벽과 단부벽(260, 265)과 일체형으로 제작되고 그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한다. 베이스(255)가 라디오와 같은 전자부품(미도시)에 장착된 상태에서 측벽(260)과 단부벽(265)은 전자부품으로부터 외부로 연장한다. 정합 포스트(267)는 상기 전자부품에 장착되고 측벽과 단부벽(260, 265) 사이에서 중심에 위치된다. 전기콘택트(미도시)은 전자부품으로부터 정합 포스트(267) 주위의 모듈 커넥터(25)를 관통하여 측벽과 단부벽(260, 265) 사이에서 연장한다. 모듈 커넥터(25)는 전체적으로 대칭이어서, 모듈 커넥터(25)는 180°회전하여 두개의 상이한 정렬을 형성하는 상태로 전자부품 상에 장착된다.
측벽과 단부벽(260, 265)은 2개의 상부돌기(290)과 2개의 하부돌기(295)를 포함하고, 이들은 일반적으로 내부면(275) 상에서 중심에 위치되고 이로부터 내측으로 연장한다. 상부돌기(290)는 상부면(280)을 따라서 서로 인접하여 정렬되고, 하부돌기(295)는 상부돌기(290)의 하부에서 서로 인접해서 정렬되어 상부돌기(290)와 하부돌기(295) 사이에 보유갭(300)을 형성한다. 보유갭(300)은 일반적으로 도 3의 하니스 커넥터(20)의 지지돌기(65, 70)와 유사한 크기를 갖는다. 그러므로, 하니스 커넥터(20)가 모듈 커넥터(25)의 내부에서 초기설치위치에 위치설정될 때, 지지돌기(65, 70)는 상부돌기(290)를 통과하여 결합하고 미끄러져서, 보유갭(300)에 보유된다. 전기콘택트들을 접속시키기 위하여, 레버부재(15)가 회전축(27)의 주위에서 화살표(G; 도 8 참조) 방향에서 상방으로 회전되고 하니스 커넥터(20)가 화살표(L; 도 8 참조) 방향에서 하방으로 계속 당겨질 때, 도 3의 하니스 커넥터(20)의 지지돌기(65, 70)는 하부돌기(295) 아래의 안착위치까지 보유갭(300)으로부터 하부돌기(295)를 넘어서 미끄러진다. 따라서, 지지돌기(65, 70), 하부돌기(295) 및 상부돌기(290)는 모듈 커넥터(25) 내의 장착위치에 하니스 커넥터(20)를 보유하도록 서로 결합한다.
정합 포스트(267)는 모듈 커넥터(25)의 내부구역을 관통하여 상방으로 연장하는 평행하게 마주하는 측벽(305)과 평행하게 마주하는 단부벽(310)을 포함한다. 측벽(305)들은 편평한 내벽(340)과 오목형 바닥벽(345)에 의해서 한정된 마주하는 U자형 캐치 노치(325)를 포함한다. 측벽(305)은 단부벽(310)과 일체형으로 제작되고 수직으로 정렬된다. 측벽과 단부벽(305, 310)은 하니스 커넥터(20)가 모듈 커넥터(25)내로 삽입될 때 내부 측벽과 내부 단부벽(80, 85)을 따라서 결합하고 미끌어진다.
정합 포스트(267)는 3개의 경사벽(355)과 상부면(360)을 각각 갖는 저항부(320)를 포함한다. 2개의 경사벽(355)은 측벽(305)의 외부면(330)으로부터 둔각(obtuse angle)으로 서로를 향해 상방 연장하고, 하나의 경사벽(355)은 하나의 단부벽(310)의 외부면(330)으로부터 둔각으로 상방 연장한다. 3개의 경사벽(355)은 모두 측벽과 단부벽(305, 310) 위에서 상부면(360)에 결합된다. 도 4의 샤프트(180)는 하니스 커넥터(20)가 모듈 커넥터(25) 내에서 장착위치에 있을 때 수직축(26)에 수직인 하나의 상부면(360)의 상부 상에 수평방향으로 위치설정된다. 각각의 저항부(320)는 또한 측벽(305)들 사이에서 이에 수직으로 상부면(360)으로부터 캠형 톱니(315; camming tooth)까지 수직하방으로 연장하는 저항벽(365)을 포함한다. 저항벽(365)은 샤프트(180)가 상부면(360)의 상부 상의 수평위치로부터 수직축(26)에 대해 예각인 위치까지 상방으로 이동할 때 샤프트(180)와 결합하여 저항하도록 위치설정된다.
캠형 톱니(315)는 측벽(305)들 사이에 위치되고, 리지형(ridged) 상부(370)와, 리지형 바닥부(375)와, 편평한 전방부(380)를 포함한다. 각각의 전방부(380)는 하나의 캐치 노치(325)의 내벽(340)에 수직인 평면으로 정렬된다. 각각의 상부(370)는 전방부(380)에 대해 예각으로 하나의 저항벽(365)을 향해 상방으로 연장하고 각각의 바닥부(375)는 전방부(380)에 대해 예각으로 하나의 저항벽(365)을 향해 하방으로 연장한다.
도 8은 장착위치에 있는 도 1의 정합보조 어셈블리(10)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모듈 커넥터(25)의 상부돌기와 하부돌기(290, 295)는 하니스 커넥터(20)의 돌기(65)들과 결합한다. 제1접촉벽(225)은 하나의 캠형 톱니(315)의 바닥부(375)에 근접해서 위치설정되고 제2접촉벽(230)은 캠형 톱니(315)의 상부(370) 위에 위치설정된다. 핸들(175)은 회전축(27)의 주위에서 화살표(G) 방향의 상방으로 샤프트(18)를 회전시키도록 사용된다. 샤프트(180)가 회전함에 따라, 피봇 포스트(190)는 피봇 챔버(171) 내에서 회전축(27)의 주위를 화살표(G)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접촉벽(225)이 화살표(N) 방향의 상방으로 이동하여 캠형 톱니(315)의 바닥부(375)에 맞물리도록 한다. 제1접촉벽(225)이 바닥부(375)를 밀면서 저항을 받음에 따라, 피봇 포스트(190)는 J형 리브(120)를 화살표(L) 방향의 하방으로 누르며 따라서 하니스 커넥터(20)는 더 하방의 모듈 커넥터(25) 측에 위치한다.
도 9는 최종위치에 있는 도 1의 정합보조 어셈블리(10)의 단면도이다. 하니스 커넥터(20)가 모듈 커넥터(25)내로 완전히 삽입될 때, 샤프트(180)는 상부면(50)에 대해 약 60°의 각도로 위치설정되고, 피봇 포스트(190)의 상부벽(245)은 기어링 리브(125)의 배면(155)과 결합하고 피봇 포스트(190)의 하부벽(247)은 J형 리브(120)의 전방면(140)과 결합한다. 정합 포스트(267)는 도 2에 도시된 레버지지블록(82)의 공동부(90)를 관통하여 연장한다. J형 리브(120)와 기어링 리브(125)는 정합 포스트(267)의 바닥벽(345)의 위와 내벽(340)들 사이에 위치된다. 샤프트(180)가 상부면(50)의 상부 상에 위치될 때까지 레버부재(15)를 회전축(27)의 주위에서 화살표(J) 방향의 하방으로 되돌려 회전함으로써 하니스 커넥터(20)는 모듈 커넥터(25)로부터 분리된다. 레버부재(15)가 회전축(27)의 주위에서 화살표(J)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2접촉벽(230)은 캠형 톱니(315)의 상부(270)와 결합하여 상부(370)를 화살표(K) 방향의 하방으로 누른다. 기어링 리브(125)이 배면(155)은 피봇 포스트(190)를 화살표(K) 방향의 하방으로 눌러서 피봇 포스트를 피봇 챔버(171)에 보유시킨다. 그러므로, 제2접촉벽(230)이 캠형 톱니(315)의 상부(370)를 화살표(K) 방향의 하방으로 누르면, 피봇 포스트(190)는 화살표(M) 방향의 상방으로 당겨지고 유사하게 J형 리브(120)와 기어링 리브(125)를 화살표(M) 방향의 상방으로 당기고, 따라서 하니스 커넥터(20)를 모듈 커넥터(25)로부터 부분적으로 들어올린다. 하니스 커넥터(20)는 이 후에 손 또는 기구사용에 의해서 모듈 커넥터(25)로부터 완전히 분리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캠아암(185), 피봇 포스트(19) 및 정합 포스트(267)는 하니스 커넥터(20)가 모듈 커넥터(25)에 완전히 삽입될 때 레버부재(15)의 샤프트(180)가 상부면(50)에 대해 90°각도의 직립상태로 위치될 수 있도록 배향될 수 있다. 유사하게, 캠아암(185), 피봇 포스트(19) 및 정합 포스트(267)는 하니스 커넥터(20)가 설치위치까지 모듈 커넥터(25)에 초기에 삽입될 때 레버부재(15)의 샤프트(180)가 수직의 직립상태이고 수직축(26)에 평행하도록 배향될 수 있다. 이 후에, 하니스 커넥터(20)를 모듈 커넥터(25)에 완전히 삽입시키기 위하여 샤프트(180)가 단부벽(35)의 상부면(50) 상에 수평상태로 안착될 때까지 레버부재(15)는 회전축(27)의 주위를 화살표(J; 도 9 참조) 방향의 하방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정합보조 어셈블리(10)는 작은 공간을 차지하므로 더 많은 다양한 전자부품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정합보조 어셈블리(10)는 하니스 커넥터(20)의 피봇 챔버(171) 내에서 레버부재(15)를 하강시킨 후 하니스 커넥터(20)를 모듈 커넥터(25) 내에 위치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조립된다. 따라서, 정합보조 어셈블리(10)의 조립과 설치는 감소된 시간과 노력을 요구한다.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기술되었지만,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에 의해서 본 발명의 요지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동등한 것이 대체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부가하여, 특정 상황 또는 물질을 그 요지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의 교시에 채택할 수 있도록 많은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범위의 요지와 일치하는 모든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

Claims (26)

  1.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전기 콘택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후방단부와, 대응하는 전기 콘택트를 결합시키도록 서로 정합가능하게 구성된 전방단부를 갖고, 대응하는 전기 콘택트들이 부분적으로 정합하는 최초위치와 완전히 정합하는 최종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과 결합하며, 일정 이동범위를 통해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상기 최초위치와 최종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레버부재 -상기 레버부재는 캠아암을 포함하며, 상기 캠아암은 상기 캠아암의 적어도 일측면 상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피봇 포스트와 상기 캠아암의 외주면 상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벽을 포함함- 와,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제공되는 레버지지블록 -상기 레버지지블록은 그 사이에 상기 레버부재를 수용하도록 마주하는 측벽들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봇 포스트가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피봇 챔버를 포함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지지블록은 상기 제1하우징 내의 중심에 위치하며, 전기 콘택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콘택트 포켓에 의해서 둘러싸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지지블록은 전기 콘택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2개의 콘택트포켓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들은 상기 측벽들의 대향하는 표면에 형성되는 삽입갭을 포함하며, 상기 삽입갭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봇 포스트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들은 상기 측벽들 상에 형성되는 삽입갭을 한정하는 리브들(ribs)을 포함하며, 상기 리브들 사이에서 상기 피봇 챔버가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 챔버는 상기 레버부재가 상기 이동범위를 통해서 회전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봇 포스트의 회전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촉벽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봇 포스트가 상기 피봇 챔버내에서 회전할 때 상기 제1하우징을 상기 제2하우징쪽으로 당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촉벽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봇 포스트가 상기 피봇 챔버내에서 회전할 때 상기 제1하우징을 상기 제2하우징으로부터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는 정합 포스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정합 포스트는 상기 레버지지블록 내에 수용되며, 상기 캠아암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캐치 노치를 갖는 마주하는 측벽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 포스트는 상기 레버부재가 상기 이동범위를 통해서 회전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촉벽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캠형 톱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KR1020030004590A 2002-01-23 2003-01-23 전기콘택트를 결합시키기 위한 정합보조 어셈블리 KR1009060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056,612 2002-01-23
US10/056,612 US6644991B2 (en) 2002-01-23 2002-01-23 Mate assist assembly for joining electrical contac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4320A KR20030064320A (ko) 2003-07-31
KR100906070B1 true KR100906070B1 (ko) 2009-07-03

Family

ID=22005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4590A KR100906070B1 (ko) 2002-01-23 2003-01-23 전기콘택트를 결합시키기 위한 정합보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644991B2 (ko)
EP (1) EP1331700B1 (ko)
JP (1) JP4158968B2 (ko)
KR (1) KR100906070B1 (ko)
BR (1) BR0300069A (ko)
CA (1) CA2416849C (ko)
DE (1) DE60325292D1 (ko)
ES (1) ES2316695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14984B2 (en) * 2002-12-04 2006-10-0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Lever style de-latch mechanism for pluggable electronic module
US6811417B2 (en) * 2003-02-18 2004-11-02 Calsonic Kansei Corporation Connector structure
US6827594B1 (en) * 2003-06-23 2004-12-07 Deere & Company Connector assembly
JP4058008B2 (ja) * 2004-01-09 2008-03-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コネクタ接続構造
US6971894B2 (en) * 2004-03-31 2005-12-06 Jst Corporation Dual action mechanical assisted connector
US6899554B1 (en) 2004-04-19 2005-05-31 Jst Corporation Dual action mechanical assisted connector
TWI280839B (en) * 2004-06-21 2007-05-01 Southco Ejector lever assembly
US7407396B2 (en) * 2004-08-13 2008-08-05 Jst Corporation Lever action mechanical assist connector
JP2006129095A (ja) * 2004-10-28 2006-05-18 Excellead Technology:Kk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US7306473B2 (en) * 2005-05-31 2007-12-11 Opnext, Inc. Three cam bail latch device and method
JP4247920B2 (ja) * 2006-10-19 2009-04-02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レバーコネクタ
US7393220B1 (en) 2007-04-18 2008-07-01 Yazaki North America, Inc.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onnected upon rotation about a bracket
JP4310663B1 (ja) * 2008-01-31 2009-08-12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サービスプラグの取付構造
US8011938B2 (en) * 2008-05-21 2011-09-06 Tyco Electronic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linear actuator
EP2456016B1 (de) * 2010-11-18 2014-05-14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riegelungsanordnung für eine Steckervorrichtung einer elektronischen Baugruppe in der Automatisierungstechnik
CN102074841B (zh) * 2010-11-24 2013-04-24 胡连精密股份有限公司 电连接器
JP5624874B2 (ja) * 2010-12-24 2014-11-12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ワイヤカバー
JP5849014B2 (ja) * 2012-05-09 2016-01-27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DE102015003844A1 (de) * 2015-03-26 2016-09-29 Kostal Kontakt Systeme Gmbh Steckverbinderanordnung
CN108075294B (zh) * 2017-09-29 2024-03-26 安波福中央电气(上海)有限公司 一种带旋转驱动杆的高能量电气连接器
GB2582834B (en) * 2019-04-04 2023-04-12 Danfoss Power Solutions Ii Technology As Coupling device
US20240006814A1 (en) * 2022-07-01 2024-01-04 Aptiv Technologies Limited Vehicle electrical distribution center with gear driven mating assist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99788U (ko) * 1986-12-19 1988-06-28
JPH07114951A (ja) * 1993-10-18 1995-05-02 Amp Japan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00058194A (ja) 1998-07-30 2000-02-25 Osram Sylvania Inc レバ―付きコネクタ
JP2001250632A (ja) 2000-03-02 2001-09-14 Tokai Rika Co Ltd コネク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10301A (en) * 1989-12-22 1992-05-05 Sumitomo Wiring System Ltd. Multi-way connector requiring less inserting force
GB9402570D0 (en) 1994-02-10 1994-04-06 Amp Gmbh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latching/unlatching feature
GB9508189D0 (en) 1995-04-21 1995-06-07 Amp Gmbh Connector with pivotable coupling lever
US5785558A (en) 1995-11-21 1998-07-28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3468336B2 (ja) * 1997-01-17 2003-11-17 矢崎総業株式会社 構造体相互の自動嵌合及び離脱機構
JP3643283B2 (ja) * 1999-12-17 2005-04-2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コネクタの連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99788U (ko) * 1986-12-19 1988-06-28
JPH07114951A (ja) * 1993-10-18 1995-05-02 Amp Japan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00058194A (ja) 1998-07-30 2000-02-25 Osram Sylvania Inc レバ―付きコネクタ
JP2001250632A (ja) 2000-03-02 2001-09-14 Tokai Rika Co Ltd コネク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31700B1 (en) 2008-12-17
US6644991B2 (en) 2003-11-11
ES2316695T3 (es) 2009-04-16
JP4158968B2 (ja) 2008-10-01
BR0300069A (pt) 2003-09-09
DE60325292D1 (de) 2009-01-29
EP1331700A3 (en) 2005-04-27
KR20030064320A (ko) 2003-07-31
JP2003234146A (ja) 2003-08-22
CA2416849C (en) 2010-05-25
EP1331700A2 (en) 2003-07-30
CA2416849A1 (en) 2003-07-23
US20030139076A1 (en) 2003-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6070B1 (ko) 전기콘택트를 결합시키기 위한 정합보조 어셈블리
JP4152776B2 (ja) 電気コネクタ
JP4236034B2 (ja) 電気コネクタ
KR100921606B1 (ko) 전기 콘택트들을 연결시키기 위한 전기 커넥터 조립체
US7695296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lever and camming slide
JP6405360B2 (ja) レセプタクル・キャリアを有するコネクタ組立体
JPH07320815A (ja) 電気コネクタ
US6736655B2 (en) Rack and pin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offset gear teeth
US6099330A (en) Connector with lever
US6881081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connection assurance features
JP5967844B2 (ja) 電気コネクタ
JP3472686B2 (ja) スライド嵌合型コネクタ
JP2006331991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US5980283A (en) Lever-fitting type connector with lever insertion limitation and withdrawal portion
US20210013675A1 (en) Lever-type connector
CN103636076A (zh) 杠杆嵌合式连接器
JP7548954B2 (ja) コネクタ
JPH077079U (ja) コネクタ
JPH0963692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