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0945B1 - 방전관, 페룰,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방전관, 페룰,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0945B1
KR100980945B1 KR1020087030759A KR20087030759A KR100980945B1 KR 100980945 B1 KR100980945 B1 KR 100980945B1 KR 1020087030759 A KR1020087030759 A KR 1020087030759A KR 20087030759 A KR20087030759 A KR 20087030759A KR 100980945 B1 KR100980945 B1 KR 100980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glass tube
ferrule
external lead
conductive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30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3388A (ko
Inventor
요시키 타카타
켄이치 이와모토
타카아키 쿠도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23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3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0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0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5/00Details relating to vessels or to leading-in conductors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5/50Means forming part of the tube or lamp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to i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4Direct backlight with lam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5/00Details relating to vessels or to leading-in conductors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5/50Means forming part of the tube or lamp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to it
    • H01J5/54Means forming part of the tube or lamp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to it supported by a separate part, e.g. base
    • H01J5/56Shape of the separate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5/00Details relating to vessels or to leading-in conductors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5/50Means forming part of the tube or lamp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to it
    • H01J5/54Means forming part of the tube or lamp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to it supported by a separate part, e.g. base
    • H01J5/62Connection of wires protruding from the vessel to connectors carried by the separate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70Lamps with low-pressure unconstricted discharge having a cold pressure < 400 Torr
    • H01J61/72Lamps with low-pressure unconstricted discharge having a cold pressure < 400 Torr having a main light-emitting filling of easily vaporisable metal vapour, e.g. mercur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8Direct backlight including particular frames or support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12Electrical 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mon Detailed Techniques For Electron Tubes Or Discharge Tube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 Liquid Crystal (AREA)
  • Vessels And Coating Films For Discharge Lamps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 Insulators (AREA)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Laser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유리관(40)의 단부에는, 중계 커넥터(14)(지지 수단)에 대해 전기적 도통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접촉부(52)를 구비하고 유리관(40)의 외주에 조립되는 본체(51)와, 본체(51)로부터 연장되어 외부 리드(42)에 대해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도전편(57)을 구비한 도전성 페룰(50)이 장착된다. 외부 리드(42)에는 방전관(15)의 중량에 기인하는 부하가 가해지지 않고 도전편(57)이 탄성적으로 접촉할 뿐이므로, 외부 리드(42)에서의 응력의 집중을 회피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전관, 페룰,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DISCHARGE TUBE, FERRULE,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본 발명은 방전관, 페룰,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에는 액정 표시 장치의 백 라이트로서 기능하는 조명 장치의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 이것은 대략 평판상의 섀시에 접속 부품을 장착하고, 이 접속 부품에 복수 개의 가늘고 긴 방전관의 단부를 장착함과 함께, 마찬가지로 접속 부품에 전원 기판을 장착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방전관의 단부로부터 돌출시킨 외부 리드는 접속 부품을 통해 전원 기판에 접속된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4-294592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방전관은 외부 리드가 유리관의 단부를 관통한 형태인데, 접속 부품은 유리관과는 비접촉으로 외부 리드만 끼워지기 때문에, 외부 리드에 응력이 집중되게 된다. 이 응력 집중은 유리관에서의 외부 리드의 관통 부분에 미소한 틈새를 발생시켜, 유리관 내의 기체가 외부로 미량씩 누출되는 슬로우 리크(Slow leak)라고 불리는 현상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완성된 것으로서, 외부 리드에서의 응력의 집중을 회피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방전관은, 유리관과, 상기 유리관의 단부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외부 리드와, 본체 및 도전편을 구비하는 페룰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본체는 상기 유리관의 외주에 조립되고, 상기 전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촉부를 구비함과 함께 지지 수단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상기 도전편은 상기 본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외부 리드에 접속된다.
이와 같은 발명에 의하면, 방전관은 페룰의 본체에서 지지 수단에 지지되므로, 이 방전관의 중량은 외부 리드에 대한 부하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외부 리드에서 응력의 집중을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전관에 있어서, 상기 도전편의 연장단 가장자리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 리드가 상기 홈에 끼워 넣어지는 상태로 상기 도전편과 접속될 수 있다.
이 경우, 도전편의 연장단의 홈에 외부 리드가 끼워지게 되므로, 도전편과 외부 리드를 확실히 접속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전관에 있어서, 상기 도전편은 상기 본체에 이어지는 가늘고 긴 부분과, 상기 가늘고 긴 부분의 연장단에 이어지는 넓은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넓은 부분이 상기 외부 리드에 맞닿을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리드에 접속되는 넓은 부분은 폭 방향에서 접속 영역을 크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확실히 맞닿게 할 수 있다. 한편, 외부 리드와 대응하지 않는 가늘고 긴 부분은 폭 치수가 좁아 탄성휨이 발생하기 쉬워지므로, 외부 리드에 대한 접촉압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전관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도전편 기단부의 양쪽에 위치하도록 보호편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보호편을 형성함으로써 이물질의 간섭에 기인하는 도전편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전관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유리관의 외주에 대해 탄성적으로 맞닿는 탄성 지지편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탄성 지지편이 유리관의 외주에 탄성적으로 맞닿게 되므로, 유리관의 외경의 치수 공차가 커도 유리관에 대해 페룰이 지름 방향으로 덜컥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전관에 있어서, 상기 유리관이 대략 원통형을 이루고, 상기 본체가 상기 유리관과 대략 동심의 원통형을 이루며, 상기 접촉부가 상기 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접촉부가 원통형 본체의 둘레 방향을 따르도록 형성되므로, 중계 커넥터에 장착할 때에는 방전관의 축선 둘레의 방향을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전관에 있어서, 상기 유리관이 대략 원통형을 이루고, 상기 본체가 상기 유리관과 대략 동심의 원통형을 이루며, 상기 접촉부가 상기 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또한 그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여 리브 형상으로 돌출된 형태이며, 상기 본체에는 상기 접촉부보다 외경 치수가 큰 대직경부가 형성될 수 있다.
방전관이 작업대 위 등에 놓여졌을 때에, 리브 형상으로 돌출된 접촉부의 표면이 작업대와의 접촉에 의해 손상되는 것이 염려되지만,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접촉부보다 외경이 큰 대직경부를 형성하였으므로 접촉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전관에 있어서, 상기 유리관이 대략 원통형을 이루고, 상기 본체가 상기 유리관과 대략 동심의 원통형을 이루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유리관의 외주에 맞닿을 수 있는 탄성 지지편이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형성되어, 상기 유리관의 외주와 상기 본체의 내주 사이에 거의 전체 둘레에 걸쳐 간극이 확보될 수 있다.
이 경우, 유리관의 외주와 본체의 내주 사이에는, 거의 전체 둘레에 걸친 간극, 즉 금속이나 합성 수지 등과 비교하여 열전도율이 낮은 공기층이 존재하므로, 유리관에서 본체쪽으로의 열전달이 억제되어 유리관 내부의 온도 저하를 회피할 수 있다. 유리관 내의 온도 저하를 억제한다는 것은, 유리관 내에 봉입되어 있는 수은의 응집을 방지해 발광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전관에 있어서, 상기 유리관이 대략 원통형을 이루고, 상기 본체가 상기 유리관과 대략 동심의 원통형을 이루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유리관의 외주에 맞닿을 수 있는 탄성 지지편이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형성되어, 상기 유리관의 외주와 상기 본체의 내주 사이에 거의 전체 둘레에 걸쳐 간극이 확보되고, 상기 복수의 탄성 지지편이 상기 본체의 축선 방향으로 간격을 둔 복수 위치에서 상기 유리관의 외주에 맞닿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탄성 지지편은 유리관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간격을 둔 복수 개소에서 맞닿으므로, 페룰의 본체가 유리관에 대해 축선이 기울도록 자세가 변화될 우려가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전관에 있어서, 상기 도전편에는 상기 외부 리드에 대해 전체 둘레에 걸쳐 포위하듯이 접속되는 통형상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전편은 외부 리드를 전체 둘레에 걸쳐 포위하는 통형상부를 구비하므로, 도전편이 외부 리드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도전편과 외부 리드를 확실히 접속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페룰은 단부로부터 외부 리드를 돌출시킨 유리관을 구비한 형태로서, 상기 외부 리드를 통해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방전관에 대해 장착되는 도전성의 페룰이며, 상기 유리관의 외주 단부에 조립되고, 상기 전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촉부를 구비함과 함께 지지 수단에 지지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외부 리드에 접속되는 도전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발명에 의하면, 방전관은 상기 페룰의 본체에서 지지 수단에 지지되므로, 상기 방전관의 중량은 외부 리드에 대한 부하가 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외부 리드에서 응력의 집중을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페룰에 있어서, 상기 도전편의 연장단 가장자리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도전편이 상기 홈에서 상기 외부 리드의 외주에 접속될 수 있다.
이 경우, 도전편의 연장단의 홈이 외부 리드의 외주를 둘러싸므로, 도전편과 외부 리드를 확실히 접속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페룰에 있어서, 상기 도전편은 상기 본체에 이어지는 가늘고 긴 부분과, 상기 가늘고 긴 부분의 연장단에 이어지는 넓은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넓은 부분이 상기 외부 리드에 맞닿을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리드에 접속되는 넓은 부분은 폭 방향에서 접속 영역을 크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확실히 맞닿게 할 수 있다. 한편, 외부 리드와 대응하지 않는 가늘고 긴 부분은 폭 치수가 좁아 탄성휨이 발생하기 쉬워지므로, 외부 리드에 대한 접촉압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페룰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도전편 기단부의 양쪽에 위치하도록 보호편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보호편을 형성함으로써, 이물질의 간섭에 기인하는 도전편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페룰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유리관의 외주에 대해 탄성적으로 맞닿는 탄성 지지편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탄성 지지편이 유리관의 외주에 탄성적으로 맞닿게 되므로, 유리관의 외경의 치수 공차가 커도 유리관에 대해 페룰이 지름 방향으로 덜컥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페룰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대략 원통형을 이루는 상기 유리관과 대략 동심의 원통형을 이루고, 상기 접촉부는 둘레 방향에 따른 형태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접촉부가 원통형 본체의 둘레 방향을 따르도록 형성되므로, 중계 커넥터에 장착할 때에는 방전관의 축선 둘레의 방향을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페룰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가 둘레 방향으로 연속해 리브 형상으로 돌출된 형태이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접촉부보다 외경 치수가 큰 대직경부가 형성될 수 있다.
방전관이 작업대 위 등에 놓여졌을 때에, 리브 형상으로 돌출된 접촉부의 표면이 작업대와의 접촉에 의해 손상되는 것이 염려되지만,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접촉부보다 외경이 큰 대직경부를 형성하였으므로 접촉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페룰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대략 원통형을 이루는 상기 유리관과 대략 동심의 원통형을 이루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유리관의 외주에 맞닿을 수 있는 탄성 지지편이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형성되어, 상기 유리관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유리관의 외주와 상기 본체의 내주 사이에 거의 전체 둘레에 걸쳐 간극이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유리관의 외주와 본체의 내주 사이에는, 거의 전체 둘레에 걸친 간극, 즉 금속이나 합성 수지 등과 비교하여 열전도율이 낮은 공기층이 존재하므로, 유리관에서 본체쪽으로의 열전달이 억제되어, 유리관 내부의 온도 저하를 회피할 수 있다. 이 유리관 내의 온도 저하를 억제한다는 것은, 유리관 내에 봉입되어 있는 수은의 응집을 방지하여 발광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페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탄성 지지편이 상기 본체의 축선 방향으로 간격을 둔 복수 위치에서 상기 유리관의 외주에 대해 맞닿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탄성 지지편은 유리관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간격을 둔 복수 개소에서 맞닿으므로, 페룰의 본체가 유리관에 대해 축선이 기울도록 자세가 변화될 우려가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페룰에 있어서, 상기 도전편에는 상기 외부 리드에 대해 전체 둘레에 걸쳐 포위하듯이 접속되는 통형상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전편은 외부 리드를 전체 둘레에 걸쳐 포위하는 통형상부를 구비하므로, 도전편이 외부 리드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도전편과 외부 리드를 확실히 접속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조명 장치는 전원과,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방전관과, 상기 전원 및 상기 방전관의 장착 모체가 되는 섀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상기 조명 장치와, 상기 조명 장치의 정면쪽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텔레비전 수신 장치는 상기 표시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방전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방전관의 부분 정면도이다.
도 3은 방전관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4는 방전관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유리관의 부분 정면도이다.
도 6은 페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페룰의 정면도이다.
도 8은 페룰의 배면도이다.
도 9는 페룰의 저면도이다.
도 10은 페룰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표시 장치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12는 조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조명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14는 조명 장치의 부분 확대 정면도이다.
도 15는 중계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중계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기판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텔레비전 수신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제2 실시 형태의 페룰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페룰의 측면도이다.
도 21은 페룰의 정면도이다.
도 22는 페룰의 배면도이다.
도 23은 페룰을 유리관에 조립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4는 제3 실시 형태에서의 조명 장치를 정면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5는 조명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6은 중계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7은 중계 커넥터와 방전관의 접속 구조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 정면도이다.
도 28은 중계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29는 방전관의 페룰이 스토퍼와 맞물림 가능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0은 중계 커넥터와 전원 기판의 접속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1은 방전관의 사시도이다.
도 32는 페룰의 배면도이다.
도 33은 페룰의 평면도이다.
도 34는 페룰의 측면도이다.
도 35는 조명 장치를 배면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6은 제4 실시 형태에서의 조명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7은 조명 장치에서 방전관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8은 조명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39는 접지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0은 접지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41은 방전관의 페룰이 스토퍼와 맞물림 가능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2는 접지 단자와 방전관의 접속 구조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 정면도이다.
도 43은 페룰의 일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4는 도 43의 측면도이다.
도 45는 접지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46은 도 45의 접지 단자를 이용한 경우에 페룰과의 접속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조명 장치
11 표시 패널
14 중계 커넥터
15 방전관
16 전원 기판
40 유리관
42 외부 리드
50 페룰
53 대직경부
52 접촉부
54 탄성 지지편
55 보호편
57 도전편
58 가늘고 긴 부분
59 넓은 부분
59G 홈
〈제1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제1 실시 형태를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해 설명한다.
[표시 장치(D)의 개요]
도 18은 텔레비전 수신 장치(TV)의 분해 사시도로서, 이 텔레비전 수신 장치(TV)에 구비된 표시 장치(D)는 전체적으로 가로가 긴 사각형을 이루고,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패널(11)과 조명 장치(10)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이른바 액정 표시 장치라고 칭하는 것이다. 표시 패널(11)은 조명 장치(10)의 정면쪽에 배치되고, 조명 장치(10)는 백 라이트로서 배면쪽으로부터 표시 패널(11)을 조사한다. 텔레비전 수신 장치(TV)는,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장치(D)와, 표 시 장치(D)를 사이에 끼워 수용하는 표리의 두 캐비넷(Ca, Cb)과, 후술하는 전원 기판(16)(본 발명의 구성 요건인 전원)과는 다른 전원(P)과, 튜너(T)와, 스탠드(S)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한편, 도 11은 표시 장치(D)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기 때문에, 중계 커넥터(14)나 기판 커넥터(18) 등의 형상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의 형상과 일부 상이하다.
표시 패널(11)은, 투명한 TFT 기판과 투명한 CF 기판의 간극에 전압 인가에 수반해 광학 특성이 변화하는 물질인 액정을 밀봉한 주지 구조의 것으로서, TFT 기판에는 서로 직교하는 소스 배선과 게이트 배선에 접속된 스위칭 소자로서의 TFT(Thin Film Transistor)와, TFT에 접속된 화소 전극이 마련되고, CF 기판에는 적(R), 녹(G), 청(B) 삼원색의 착색부를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한 컬러 필터와, 공통 전극이 마련된다.
[조명 장치(10)의 개요]
조명 장치(10)는 램프 유니트(12)와 전원 기판(16)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램프 유니트(12)는, 전체적으로 가로로 긴 사각형의 판상이며 반사판으로서 기능하는 금속제의 섀시(13)와, 섀시(13)의 정면쪽에 수평인 자세로 상하 방향으로 병렬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방전관(15)과, 섀시(13)의 좌우 양쪽 가장자리를 따라 각 방전관(15)과 대응하도록 상하로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중계 커넥터(14)(본 발명의 구성 요건인 지지 수단)를 구비한다. 전원 기판(16)은, 섀시(13)의 이면쪽에 배치되고 중계 커넥터(14)를 개재하여 방전관(15)에 대해 전력을 공급한다.
섀시(13)에는, 도 14 및 도 15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방전관(15)과 같 은 높이이며 방전관(15)의 단부와 대응하는 위치를 정면에서 배면으로 관통시킨 형태의 복수의 장착공(13H)이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고, 각 장착공(13H)에는 각각 중계 커넥터(14)가 관통해 장착된다. 중계 커넥터(14)는 합성 수지제의 홀더(20)와, 홀더(20) 내에 수용된 금속제의 중계 단자(30)로 구성된다(도 16 참조).
홀더(20)의 외면에는,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 한 쌍의 탄성 걸림편(25)과, 좌우 한 쌍의 맞댐면(26)이 형성된다. 홀더(20)는, 섀시(13)의 정면쪽으로부터 장착공(13H)에 삽입되어, 맞댐면(26)을 섀시(13)의 정면에서 장착공(13H)의 개구 가장자리에 맞닿게 함과 함께, 탄성 걸림편(25)의 걸림 돌기를 섀시(13)의 배면에서 장착공(13H)의 개구 가장자리에 맞물리게 함으로써 섀시(13)에 고정된다. 섀시(13)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홀더(20)의 전단측 부분이 섀시(13)의 정면쪽으로 돌출됨과 함께, 홀더(20)의 후단측 부분이 섀시(13)의 배면쪽으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또한, 홀더(20)에서 섀시(13)로부터 정면쪽으로 돌출된 부분에는, 그 정면과 한 쪽 측면을 절개한 형태의 수용실(23)이 형성되고, 홀더(20)에서 섀시(13)로부터 배면쪽으로 돌출된 부분에는 판상의 벽부(27)가 형성되며, 홀더(20)의 내부에는 중계 단자(30)가 수용된다.
중계 단자(30)는, 소정 형상으로 펀칭한 금속 판재를 벤딩 가공한 것으로서, 대략 원호형의 판조각으로 이루어지는 상하 한 쌍의 탄성 협지편(32)으로 이루어지는 방전관용 접속부(31)와, 배면쪽에 평판상으로 돌출되는 기판용 접속부(33)를 구비한다. 방전관용 접속부(31)는 수용실(23) 내에 수용되고, 기판용 접속부(33)는 벽부(27)를 따르도록 배치된다.
전원 기판(16)은,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면(섀시(13)와 반대쪽의 면)에 회로가 형성된 회로 기판(17)과, 회로 기판(17)의 배면에 실장된 전자 부품(19)과, 회로 기판(17)의 배면에 장착된 복수의 기판 커넥터(18)를 구비한다.
기판 커넥터(18)는 회로 기판(17)의 좌우 양쪽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중계 커넥터(14)와 대응하도록 상하로 나란히 배치된다. 또한, 기판 커넥터(18)는,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합성 수지제의 하우징(60)과, 하우징(60) 내에 수용된 금속제의 출력 단자(7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하우징(60)에는 그 정면에 세로로 긴 사각 형상으로 개구하는 끼움 오목부(63)가 형성되어, 이 끼움 오목부(63)의 개구부가 회로 기판(17)에 정면에서 배면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끼움공(17H)과 정합하고 있다.
출력 단자(70)는 소정 형상으로 펀칭한 금속재에 벤딩 가공한 것으로서, 탄성휨이 가능한 대략 U자형을 이루는 접속편(73)을 갖는다. 이 접속편(73)은, 그 일부가 끼움 오목부(63) 내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출력 단자(70)에서의 접속편(73)과 반대쪽의 단부는 회로 기판(17)의 회로에 접속된다.
[방전관(15)]
조명 장치(10)에 이용되는 방전관(15)은, 냉음극선관으로 이루어지며,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가늘고 길며 단면이 원형인 직선상의 유리관(40)과, 유리관(40)의 양단으로부터 유리관(40)과 동축상이면서 직선상으로 돌출되는 단면이 원형인 가늘고 긴 외부 리드(42)와, 유리관(40)의 양단부(40a)에 장착되는 페룰(50)로 구성된다. 유리관(40)의 내부에는 수은이 밀봉되고, 유리관(40)의 양단부(40a)는 가열해 용융시킴으로써 대략 반구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외부 리드(42)는 이 반구부(41)를 관통한다.
페룰(50)은,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면에 금 도금이 실시되고 소정 형상으로 펀칭된 금속제(예를 들면, 구리 합금제)의 판재에 벤딩 가공이나 해머링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된 단일 부품이다. 페룰(50)은 1개의 본체(51와 1개의 도전편(57)을 구비한다. 본체(51)는 전체적으로 유리관(40)과 동심의 원통형을 이루고, 본체(51)의 내경은 유리관(40)의 외경보다 조금 큰 치수로 설정된다. 본체(51)에는, 그 전단 가장자리보다 조금 후방의 부분을 전체 둘레에 걸쳐 리브 형상이면서 본체(51)와 동심의 원형을 이루도록 외주측으로 돌출시킨 형태의 접촉부(52)가 형성된다. 접촉부(52)의 단면 형상은 대체로 반원형을 이루고, 접촉부(52)의 외면은 중계 커넥터(14)에 대해 선접촉한다. 본체(51)에는, 그 후단 가장자리보다 조금 전방의 부분을 전체 둘레에 걸쳐 리브 형상이면서 본체(51)와 동심의 원형을 이루도록 외주측으로 돌출시킨 형태의 대직경부(53)가 형성된다. 대직경부(53)의 단면 형상은 대체로 반원형을 이루고, 대직경부(53)의 외경은 접촉부(52)의 외경보다 큰 치수로 되어 있다. 또한, 접촉부(52)와 대직경부(53)는, 본체(51)의 축선 방향에서 본체(51)의 전단쪽과 후단쪽에 떨어져 배치된다.
본체(51)에는, 그 판부를 대략 U자형으로 절개함으로써 탄성 지지편(54)이 형성된다. 탄성 지지편(54)은 전체적으로 후방(자세하게는, 지름 방향 안쪽으로 약간 경사 방향)으로 외팔보 형상으로 연장된 형태이며, 그 기단(전단)을 받침점으로 하여 지름 방향으로 탄성휨이 발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탄성 지지편(54)의 연장 단부(후단부)에는, 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비스듬하게 굽혀진 굴곡부(54a)가 형성되고, 굴곡부(54a)의 굴곡 바깥쪽 면(즉, 안쪽에 면하는 면)이 유리관(40)의 외주면에 대해 맞닿게 되어 있다. 탄성 지지편(54)은,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3개 형성되고, 이 3개의 탄성 지지편(54)의 굴곡부(54a)끼리를 연결하는 가상 원은 본체(51)와 동심의 원형이며, 이 가상 원의 지름 치수는 탄성 지지편(54)에 탄성휨이 발생하지 않은 자유 상태일 때에 유리관(40)의 외경보다 작은 치수가 된다. 또한, 본체(51)의 축선 방향에서 탄성 지지편(54)의 굴곡부(54a)와 대직경부(53)는, 거의 같은 위치(즉, 본체(51)의 후단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대직경부(53)는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되지 않고, 탄성 지지편(54)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서 중단된 형태가 된다.
본체(51)에는, 그 전단 가장자리로부터 전방으로 외팔보 형상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보호편(55)이 형성된다. 한 쌍의 보호편(55)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본체(51)에 대해 동일한 면형상을 이루고 직선적으로 연장된다. 또한, 본체(51)에는, 그 전단 가장자리로부터 전방으로 외팔보 형상으로 돌출되는 3개의 전방 정지편(56)이 형성된다. 3개의 전방 정지편(56)은 그 기단쪽(후단쪽)이 본체(51)와 동일한 면형상을 이루고, 연장단쪽(전단쪽)이 본체(51)의 축선과 평행한 방향에 대해 경사 방향 안쪽을 향해 연장된다. 이 3개의 전방 정지편(56)과 상기 한 쌍의 보호편(55)은, 본체(51)의 축심을 사이에 두고 거의 정반대의 위치에 배치된다.
도전편(57)은 본체(51)의 전단 가장자리에서의 한 쌍의 보호편(55) 사이의 위치에서 전방으로 외팔보 형상으로 연장된다. 도전편(57)은 본체(51)의 전단에 이어지는 가늘고 긴 부분(58)과, 가늘고 긴 부분(58)의 전단(연장단)으로부터 더욱 전방으로 돌출되는 넓은 부분(59)으로 이루어지며, 탄성 변형이 가능하다.
가늘고 긴 부분(58)의 기단쪽 부분은 본체(51)에 대해 동일한 면형상으로 이어져, 본체(51)의 축심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가늘고 긴 부분(58)의 연장단쪽 부분은 본체(51)의 축심에 대해 경사 방향 안쪽으로 연장되고, 그 가상 연장선은 본체(51)의 축심 또는 그 근방을 통과한다. 또한, 가늘고 긴 부분(58)의 폭 치수는 가늘고 긴 부분(58)의 길이 치수에 대해 충분히 작고, 따라서, 가늘고 긴 부분(58)은 본체(51)의 지름 방향으로의 탄성 변형, 지름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가늘고 긴 부분(58)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탄성 변형, 및 가늘고 긴 부분(58) 자신을 축으로 하는 탄성적인 비틀림 변형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체(51)의 전단 가장자리에서 두 보호편(55) 사이의 영역은, 전단 가장자리에서 다른 영역에 비해 후방으로 들어가 있어, 이에 따라 가늘고 긴 부분(58)의 기단쪽 부분의 길이 치수가 크게 확보된다. 또한, 가늘고 긴 부분(58)의 기단쪽 부분은 둘레 방향에서 한 쌍의 보호편(55) 사이에 끼워져 배치되고, 보호편(55)의 전단(연장단)은 가늘고 긴 부분(58)의 기단쪽 부분의 전단(즉, 연장단쪽 부분에 이어지는 굴곡부)보다 전방까지 연장된다.
넓은 부분(59)은 가늘고 긴 부분(58)의 연장단쪽 부분에 대해 동일한 면형상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넓은 부분(59)은 본체(51)의 축심에 대해 경사 방향 안쪽 으로 연장된다. 넓은 부분(59)은 가늘고 긴 부분(58)의 좌우 양쪽 가장자리로부터 더욱 바깥쪽으로 또한 좌우 대칭으로 폭이 넓어진 형태로서, 전체적으로 대체로 사각형을 이루지만, 그 연장단 가장자리(전단 가장자리)에는 V자형으로 절개한 형태의 홈(59G)이 형성된다. 홈(59G)은 좌우 대칭이며, 전방을 향해 점차 폭이 넓어진다. 홈(59G)의 최대폭은 외부 리드(42)의 외경 치수보다 충분히 큰 치수이다. 또한, 도전편(57)이 탄성 변형하지 않은 자유 상태에서의 넓은 부분(59)의 크기와 위치에 대해서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51)의 축선과 평행하게 보았을 때 투영면상에서 외부 리드(42)의 일부가 넓은 부분(59)과 겹치도록 설정된다.
[페룰(50)과 유리관(40)의 조립]
다음으로, 페룰(50)을 유리관(40)에 조립하는 공정을 설명한다.
조립에 있어서는, 유리관(40)과 페룰(50)을, 각각, 파지 장치(미도시)로 잡은 상태에서 페룰(50)과 유리관(40)을 동축상에서 상대적으로 접근시켜, 본체(51)를 유리관(40)의 외주에 끼운다. 본체(51)가 끼워지기 시작하면, 3개의 탄성 지지편(54)의 연장단에 형성된 굴곡부(54a)가 유리관(40)의 외주에 대해 탄성적으로 맞닿아, 조립이 진행됨에 따라 굴곡부(54a)가 유리관(40)의 외주면상을 슬라이딩한다.
그리고, 외부 리드(42)의 선단이 본체(51)를 관통하면, 외부 리드(42)의 선단이 도전편(57)의 넓은 부분(59)에 맞닿고, 그 다음은, 조립이 진행됨에 따라 넓은 부분(59)이 외부 리드(42)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 움직임과 함께, 도전편(57)이 가늘고 긴 부분(58)을 휘게 하도록 탄성 변형한다. 그동안, 넓은 부분(59)은 전방 으로 이동하면서 지름 방향 바깥쪽으로도 변위하기 때문에, 조립이 더욱 진행되면, 넓은 부분(59)의 전단 가장자리(연장단 가장자리)가 외부 리드(42)의 외주에 접촉하는 상태로 이행한다. 그러면, 넓은 부분(59)의 전단 가장자리에는 홈(59G)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부 리드(42)의 외주는 넓은 부분(59)의 전단 가장자리 중 홈(59G)을 구성하는 경사 가장자리에 맞닿는다. 따라서, 외부 리드(42)가 유리관(40)에 대해 지름 방향으로 편심되어 있거나 유리관(40)의 축선에 대해 기울어져 있어도, 홈(59G)의 경사 가장자리로 가이드됨으로써, 넓은 부분(59)이 외부 리드(42)에 대해 상대적으로 폭 방향으로 이동하고, 외부 리드(42)는 반드시 홈(59G)의 안쪽단에 끼워진 상태로 유지된다.
이 후, 조립이 더욱 진행되어 쌍방의 파지 장치가 소정의 조립 위치에 이르면, 페룰(50)과 유리관(40)이 축선 방향에서 정규의 조립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그 다음은, 넓은 부분(59)과 외부 리드(42)가 용접에 의해 전기적 도통이 가능하게 고착되고, 페룰(50)과 유리관(40)이 일체화된다. 이상에 의해, 조립이 완료되어 방전관(15)이 완성된다.
페룰(50)과 유리관(40)이 조립된 상태에서는, 3개의 탄성 지지편(54)에 의한 탄성적인 지지 작용에 의해 본체(51)가 유리관(40)에 대해 거의 동축상으로 유지되고, 유리관(40)의 외주와 본체(51)의 내주 사이에는 거의 전체 둘레에 걸쳐 간극(공기층)이 확보된다. 또한, 전방 정지편(56)은 유리관(40)과는 비접촉이다.
이와 같이 하여 제조된 방전관(15)은 중계 커넥터(14)에 장착된다. 장착에 있어서는, 방전관(15)을 수평으로 향한 상태에서 섀시(13)의 정면에 접근시켜, 유 리관(40)의 양단부와 페룰(50)을 중계 커넥터(14)의 수용실(23)에 대해 정면쪽에서 끼워넣는다. 이때, 한 쌍의 탄성 협지편(32)이 상하로 벌려지도록 탄성휨을 받아, 페룰(50)의 본체(51)를 탄성적으로 협지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방전관(15)은 그 양단부에서 방전관용 접속부(31)에 지지되고, 중계 단자(30)와 이 중계 단자(30)의 장착 모체인 홀더(20)를 통해 섀시(13)에 장착된다. 섀시(13)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방전관(15)의 중량은 중계 커넥터(14)를 통해 섀시(13)에 작용할 뿐으로, 외부 리드(42)에 대해 방전관(15)의 중량이 부하로서 작용하지는 않는다. 또한, 한 쌍의 탄성 협지편(32)이 접촉부(52)에 대해 탄성적으로 협지하듯이 접촉함으로써, 외부 리드(42)가 페룰(50)을 통해 중계 단자(30)에 전기적 도통이 가능하게 접속된다.
또한, 섀시(13)의 배면쪽에는 전원 기판(16)이 장착된다. 장착시에는, 회로 기판(17)이 섀시(13)와 평행한 자세로 전원 기판(16)을 섀시(13)에 접근시키고, 중계 커넥터(14)의 벽부(27) 및 이 벽부(27)를 따라 배치된 기판용 접속부(33)가 회로 기판(17)의 끼움공(17H)을 관통하여 기판 커넥터(18)의 끼움 오목부(63)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의 중계 커넥터(14)에 대한 기판 커넥터(18)의 조립 방향은, 상기한 중계 커넥터(14)에 대한 방전관(15)의 조립 방향과는 정반대로서, 환언하면, 쌍방의 조립 방향과 평행이 된다. 그리고, 기판 커넥터(18)가 중계 커넥터(14)에 대해 정규의 끼움 상태에 도달한 곳에서, 전원 기판(16)을 나사 고정에 의해 섀시(13)에 고정한다.
기판 커넥터(18)를 중계 커넥터(14)에 끼운 상태에서는, 기판 커넥터(18)의 접속편(73)이 중계 커넥터(14)의 판상을 이루는 기판용 접속부(33)에 대해 탄성적으로 접촉하고, 따라서, 중계 커넥터(14)의 중계 단자(30)와 기판 커넥터(18)의 출력 단자(70)가 전기적 도통이 가능하게 접속된다. 이에 따라, 전원 기판(16)과 방전관(15)이 중계 커넥터(14)를 통해 접속되어, 전원 기판(16)으로부터 방전관(15)에 대해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 형태의 작용·효과]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방전관(15)은, 유리관(40)의 단부에서 페룰(50)의 본체(51)를 개재하여 중계 커넥터(14)에 장착(지지)되므로, 방전관(15)의 중량은 외부 리드(42)에 대한 부하로서 작용하지 않는다. 또한, 외부 리드(42)에는 도전편(57)이 탄성적으로 접촉할 뿐이다. 따라서, 외부 리드(42)에서의 응력의 집중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도전편(57)의 연장단 가장자리에 홈(59G)을 형성하고, 도전편(57)이 홈(59G)에서 외부 리드(42)의 외주에 맞닿게 되어 있으므로, 도전편(57)과 외부 리드(42)를 확실히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도전편(57)이 본체(51)에 이어지는 가늘고 긴 부분(58)과 가늘고 긴 부분(58)의 연장단에 이어지는 넓은 부분(59)으로 이루어지고, 넓은 부분(59)이 외부 리드(42)에 맞닿고 있는데, 이와 같은 형태로 함으로써, 외부 리드(42)에 접촉하는 넓은 부분(59)은 폭 방향에서 접촉 영역을 크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확실히 접촉할 수 있다. 한편, 외부 리드(42)와 접촉하지 않는 가늘고 긴 부분(58)은 폭 치수가 좁아 탄성휨이 발생하기 쉬워지므로, 외부 리드(42)에 대한 접촉압을 저감 하여 외부 리드(42)에서의 응력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체(51)에는 도전편(57)의 기단부 양쪽에 위치하도록 보호편(55)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전편(57)의 가늘고 긴 부분(58) 기단부를 이물질의 간섭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어, 이물질의 간섭에 기인하는 도전편(57)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체(51)에는 유리관(40)의 외주에 대해 탄성적으로 맞닿는 탄성 지지편(54)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유리관(40)의 외경의 치수 공차가 커도 유리관(40)에 대해 페룰(50)이 지름 방향으로 덜컥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리관(40)이 대략 원통형을 이루고 있는 것에 착안하여, 본체(51)를 유리관(40)과 대략 동심의 원통형으로 한 다음, 접촉부(52)를 둘레 방향에 따른 형태로 하고 있으므로, 중계 커넥터(14)에 접속할 때 방전관(15)의 축선 둘레의 방향을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접촉부(52)를 둘레 방향으로 연속해 리브 형상으로 돌출된 형태로 하고 있기 때문에, 방전관(15)이 작업대 위 등에 놓여졌을 때에는, 리브 형상으로 돌출된 접촉부(52)의 표면이 작업대와의 접촉에 의해 손상되는 것이 염려되거나, 혹은, 복수 개의 방전관(15)을 다발지었을 때에 접촉부(52)가 다른 방전관(15) 본체(51)의 외주면에 접촉해 손상되는 것도 염려된다. 이 점을,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접촉부(52)보다 외경이 큰 대직경부(53)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접촉부(52)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대직경부(53)가 형성된 경우, 복수 개의 방전관(15) 을 다발지은 상태에서 방전관(15)끼리 축선 방향으로 위치가 어긋났을 때에, 대직경부(53)와 다른 방전관(15)의 접촉부(52)가 서로 부딪히는 것이 염려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대직경부(53)와 접촉부(52)를 본체(51)의 전후 양단부에 형성해 서로 축선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하였으므로, 대직경부(53)와 접촉부(52)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체(51)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한 복수의 탄성 지지편(54)을 유리관(40)의 외주에 맞닿게 함으로써, 유리관(40)의 외주와 본체(51)의 내주 사이에 거의 전체 둘레에 걸친 간극(즉, 금속이나 합성 수지 등과 비교하여 열전도율이 낮은 공기층)을 확보하였으므로, 유리관(40)에서 본체(51)쪽으로의 열전달이 억제되어 유리관(40) 내부의 온도 저하를 회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리관(40) 내의 온도 저하를 억제함으로써, 유리관(40) 내에 밀봉되어 있는 수은의 응집을 방지하고, 나아가서는 발광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체화한 제2 실시 형태를 도 19 내지 도 23을 참조해 설명한다. 본 제2 실시 형태는, 탄성 지지편(54A, 54B)을 상기 제1 실시 형태와는 상이한 구성으로 한 것이다. 그 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구조, 작용 및 효과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본체(51)에 6개의 탄성 지지편(54A, 54B)이 펀칭에 의해 형성된다. 6개 중 3개의 제1 탄성 지지편(54A)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 로 후방으로 외팔보 형상으로 연장된 형태이며, 둘레 방향에서 등 각도(120°)의 피치로 배치된다. 나머지 3개의 제2 탄성 지지편(54B)은, 제1 탄성 지지편(54A)과는 반대로 전방으로 외팔보 형상으로 연장된 형태이며, 둘레 방향에서 등 각도(120°)의 피치로 배치된다. 또한, 제1 탄성 지지편(54A)과 제2 탄성 지지편(54B)은, 둘레 방향에서 교대로 배치되어, 둘레 방향에서 인접하는 제1 탄성 지지편(54A)과 제2 탄성 지지편(54B)은 60°의 피치를 두고 배치된다.
또한, 축선 방향(전후 방향)에서, 제1 탄성 지지편(54A)과 제2 탄성 지지편(54B)은 대체로 같은 위치에 배치된다. 즉, 축선 방향에서, 제1 탄성 지지편(54A)의 기단부(전단부)와 제2 탄성 지지편(54B)의 연장 단부(전단부)가 거의 같은 위치에 배치됨과 함께, 제1 탄성 지지편(54A)의 연장 단부(후단부)와 제2 탄성 지지편(54B)의 기단부(후단부)가 거의 같은 위치에 배치된다. 이들 6개의 탄성 지지편(54A, 54B)은, 제1 실시 형태의 탄성 지지편과 마찬가지로, 연장 단부에서 유리관의 외주에 대해 탄성적으로 맞닿고, 이 탄성적으로 맞닿는 작용에 의해, 페룰(50)의 본체(51)는 유리관(40)에 대해 거의 동심상이면서 또한 유리관(40)의 외주와의 사이에 전체 둘레에 걸쳐 거의 균일한 원통상의 공간을 두고 배치된다. 또한, 3개 중 1개의 제1 탄성 지지편(54A)은, 둘레 방향에서 도전편(57)과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은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유리관(40)에 대해 6개의 탄성 지지편(54A, 54B)이 둘레 방향으로 등 각도 간격을 두고 맞닿으므로, 페룰(50)이 유리관(40)에 대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또한, 탄성 지지편(54A, 54B)은 유리관(40)에 대해 축 선 방향으로 간격을 둔 전후 2개소에서 맞닿으므로, 페룰(50)의 본체(51)가 유리관(40)에 대해 축선이 기울도록 자세가 변화될 우려가 없다. 이와 같이 유리관(40)에 대한 페룰(50)의 자세가 안정화됨으로써, 외부 리드(42)에 대한 도전편(57)의 탄성 가압력의 편차가 없어진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체화한 제3 실시 형태를 도 24 내지 도 35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제3 실시 형태는 조명 장치(110)를 상기 제1 실시 형태와는 상이한 구성으로 한 것이다. 그 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구조, 작용 및 효과의 설명은 생략한다.
[조명 장치(110)의 개요]
조명 장치(110)는, 도 24, 도 25 및 도 3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램프 유니트(112)와 전원 기판(116)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램프 유니트(112)는, 전체적으로 가로로 긴 사각형의 판상을 이루고 반사판으로서 기능하는 금속제의 섀시(113)와, 섀시(113)의 정면쪽에 수평인 자세로 상하 방향으로 병렬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방전관(115)과, 섀시(113)의 좌우 양쪽 가장자리를 따라 각 방전관(115)과 대응하도록 상하로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중계 커넥터(114)를 구비한다. 전원 기판(116)은 섀시(113)의 이면쪽에 배치되고, 중계 커넥터(114)를 개재함으로써 방전관(115)에 대해 전력을 공급한다.
섀시(113)에는, 도 29 및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방전관(115)과 같 은 높이이며 방전관(115)의 단부와 대응하는 위치를 정면에서 배면으로 관통시킨 형태의 대략 사각형을 이루는 복수의 장착공(113H)이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고, 각 장착공(113H)에는 각각 중계 커넥터(114)가 관통해 장착된다.
[중계 커넥터(114)]
중계 커넥터(114)는, 도 26 내지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합성 수지제의 홀더(120)와, 홀더(120) 내에 수용된 금속제(예를 들면, 스텐레스스틸제)의 중계 단자(131)로 구성된다.
홀더(120)는 전체적으로 블록 형상을 이루는 상자 형상부(121)와, 상자 형상부(121)의 배면에서 후방으로 돌출하는 벽부(122)로 구성된다.
상자 형상부(121)에는, 그 정면으로부터 측면(섀시(113)의 측면 가장자리와는 반대쪽의 측면)에 걸쳐 개구된 수용실(123)이 형성된다. 수용실(123)의 개구부 중 정면쪽의 개구부는 정면쪽으로부터 방전관(115)의 단부(페룰(136))를 끼우기 위한 진입구(124)가 되고, 측면쪽의 개구부는 방전관(115)의 단부를 수용실(123)에 수용한 상태에서 유리관(134)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회피구(125)가 된다. 이 회피구(125)에는, 그 개구 가장자리를 안쪽을 향해 판상으로 돌출시킨 형태의 스토퍼(126)가 형성되고, 이 스토퍼(126)에 의해 회피구(125)의 개구 형상은 대략 U자형으로 좁혀진다. 대략 U자형을 이루는 회피구(125)의 상하 방향의 간격은, 페룰(136) 본체(137)의 내경보다 작고 방전관(115)의 유리관(134)의 외경과 같거나 그것보다 약간 큰 치수가 된다. 회피구(125)의 개구 가장자리에서의 안쪽 단부는 반원형의 오목부(127)가 되고, 이 오목부(127)의 곡률 반경은 유리관(134) 외주의 곡률 반경과 같거나 그것보다 약간 큰 치수가 된다. 또한, 회피구(125)의 개구 가장자리에서의 오목부(127)보다 정면쪽의 영역은 상하 한 쌍의 가이드부(128)가 된다.
또한, 상자 형상부(121)에는, 상자 형상부(121) 중 회피구(125)가 개구되어 있는 바깥쪽면으로부터 섀시(113)와 평행하게 돌출되는 돌출부(129)가 형성된다. 이 돌출부(129)는 섀시(113)의 정면과 회피구(125)의 사이를 구분하는 듯한 형태로 되어 있다. 상자 형상부(121)의 외면(상면과 하면)에는 상하 한 쌍의 걸림 돌기(130)가 형성된다.
중계 단자(131)는 홀더(120)의 내부에 있다. 중계 단자(131)는 소정 형상으로 펀칭한 금속 판재를 벤딩 가공한 것이며, 만곡한 판조각으로 이루어지는 상하 대칭인 한 쌍의 탄성 가압편(132)과, 배면쪽으로 평판상으로 돌출되는 기판용 접속부(133)를 구비한다. 한 쌍의 탄성 가압편(132)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간되는 방향으로의 탄성휨이 허용된 상태로 수용실(123) 내에 수용되며, 한 쌍의 탄성 가압편(132)의 상하 방향의 간격은 스토퍼(126)의 오목부(127)보다 정면쪽의 위치에서 최소가 된다. 탄성 가압편(132)이 탄성휨을 받지 않은 자유 상태에서의 탄성 가압편(132)간의 최소 간격은, 방전관(115)의 페룰(136) 본체(137)의 외경보다 작은 치수가 된다. 한편, 기판용 접속부(133)는 상자 형상부(121)의 배면으로부터 홀더(120) 밖으로 노출되어, 벽부(122)를 따라 후방으로 돌출된다.
이와 같은 중계 커넥터(114)를 섀시(113)에 조립할 때에는, 섀시(113)의 정면쪽으로부터 장착공(113H)에 홀더(120)의 벽부(122)를 삽입하고, 상자 형상 부(121)의 외면을 섀시(113)의 정면에서 장착공(113H)의 개구 가장자리에 맞닿게 함과 함께, 걸림 돌기(130)를 섀시(113)의 배면에서 장착공(113H)의 개구 가장자리에 맞물리게 한다. 이에 따라, 섀시(113)가 상자 형상부(121)의 외면과 걸림 돌기(130)에 의해 앞뒤에서 협지되고, 따라서 홀더(120)가 섀시(113)에 대해 조립 방향(장착공(113H)의 관통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로 고정되어 중계 커넥터(114)가 섀시(113)에 조립된다. 중계 커넥터(114)가 섀시(113)에 조립된 상태에서는, 홀더(120)의 전단쪽 부분을 구성하는 상자 형상부(121)가 섀시(113)의 정면쪽으로 돌출(노출)됨과 함께, 홀더(120)의 후단쪽인 벽부(122)가 섀시(113)의 배면쪽으로 돌출(노출)된다.
[방전관(115)]
방전관(115)은, 도 3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냉음극선관으로 이루어지고, 전체적으로 가늘고 길며 단면이 원형인 직선상의 유리관(134)과, 유리관(134)의 양단으로부터 유리관(134)과 동축상이면서 직선상으로 돌출되는 단면이 원형인 가늘고 긴 금속제(예를 들면, 니켈계 혹은 코발트계의 금속)의 외부 리드(135)와, 유리관(134)의 양단부에 장착되는 페룰(136)로 구성된다. 유리관(134)의 내부에는 수은이 밀봉되고, 유리관(134)의 양단부는 가열해 용융시킴으로써 대체로 반구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외부 리드(135)는 이 반구부를 관통한다.
페룰(136)은, 소정 형상으로 펀칭된 금속제(예를 들면, 스텐레스스틸제)의 판재에 벤딩 가공이나 해머링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된 단일 부품이다. 도 32 내지 도 3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페룰(136)은 1개의 본체(137)와 1개의 도전 편(140)을 구비한다. 본체(137)는 전체적으로 유리관(134)과 동심의 원통형을 이루고, 본체(137)의 내경은 유리관(134)의 외경보다 조금 큰 치수로 설정된다.
본체(137)에는, 그 일부를 슬릿상으로 절개함으로써 세 쌍의 탄성 지지편(138A, 138B)이 둘레 방향에서 등 각도의 피치로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쌍을 이루는 탄성 지지편(138A, 138B) 중 한 쪽인 제1 탄성 지지편(138A)은, 전체적으로 후방(자세하게는, 지름 방향 안쪽으로 약간 경사 방향)으로 외팔보 형상으로 연장된 형태이며, 그 기단(전단)을 받침점으로 하여 지름 방향으로 탄성휨이 발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제1 탄성 지지편(138A)의 연장 단부(후단부)에는, 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비스듬하게 굴곡된 굴곡부(139)가 형성되고, 이 굴곡부(139)의 굴곡의 바깥쪽면(즉, 안쪽에 면하는 면)은 유리관(134)의 외주면에 맞닿는 접점이 된다. 이 3개의 제1 탄성 지지편(138A)의 접점을 연결하는 가상 원은 본체(137)와 동심의 원형이며, 이 가상 원의 지름 치수는 제1 탄성 지지편(138A)에 탄성휨이 발생하지 않은 자유 상태일 때에 유리관(134)의 외경보다 작은 치수가 된다.
쌍을 이루는 탄성 지지편(138A, 138B)의 다른 한 쪽인 제2 탄성 지지편(138B)은, 제1 탄성 지지편(138A)에 대해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도록 배치되고, 전체적으로 제1 탄성 지지편(138A)과 반대로 전방(자세하게는, 지름 방향 안쪽으로 약간 경사 방향)으로 외팔보 형상으로 연장된 형태가 되어, 그 기단(후단)을 받침점으로 하여 지름 방향으로 탄성휨이 발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제2 탄성 지지편(138B)의 연장단은 유리관(134)의 외주면에 맞닿는 접점이 되고, 이 3개의 제2 탄성 지지편(138B)의 접점을 연결하는 가상 원은 본체(137)와 동심의 원형이며, 이 가상 원의 지름 치수는 제2 탄성 지지편(138B)에 탄성휨이 발생하지 않은 자유 상태일 때에 유리관(134)의 외경보다 작은 치수가 된다.
본체(137)에는, 그 전단 가장자리로부터 전방으로 외팔보 형상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보호편이 형성된다. 한 쌍의 보호편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본체(137)에 대해 동일한 면형상을 이루며 직선적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이 한 쌍의 보호편의 사이에서 도전편(140)이 전방으로 외팔보 형상으로 연장된다. 도전편(140)은, 본체(137)의 전단에 이어지는 가늘고 긴 부분(141)과, 가늘고 긴 부분(141)의 전단(연장단)에서 더욱 전방으로 돌출되는 통형상부(142)로 이루어진다.
가늘고 긴 부분(141)은, 본체(137)에 대해 동일한 면형상이며 본체(137)로부터 그 축선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기단부(141a)와, 기단부(141a)의 연장단으로부터 본체(137)의 축선을 향해 지름 방향 안쪽으로 연장되는 중간부(141b)와, 중간부(141b)의 연장단으로부터 본체(137)의 축선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선단부(141c)로 이루어지며, 선단부(141c)의 연장단에 통형상부(142)가 이어진다. 가늘고 긴 부분(141)의 폭 치수는 가늘고 긴 부분(141)의 길이 치수에 대해 충분히 작고, 따라서, 가늘고 긴 부분(141)은 본체(137)의 지름 방향으로의 탄성 변형, 지름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가늘고 긴 부분(141)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탄성 변형, 및 가늘고 긴 부분(141) 자신을 축으로 하는 탄성적인 비틀림 변형이 가능해진다.
통형상부(142)는, 가늘고 긴 부분(141)의 연장단으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출시킨 부분을 원통상으로 벤딩 가공한 것이며, 축선은 대체로 본체(137)와 동축상으로 배치된다. 이와 같은 통형상부(142)는 가늘고 긴 부분(141)에 탄성휨을 발생시키면서 페룰(136)의 축 둘레 방향 및 지름 방향으로 변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페룰(136)과 유리관(134)의 조립]
다음으로, 페룰(136)을 유리관(134)에 조립하는 공정을 설명한다.
조립에 있어서는, 유리관(134)과 페룰(136)을 각각 파지 장치(미도시)로 잡은 상태에서, 페룰(136)과 유리관(134)을 동축상에서 상대적으로 접근시켜 본체(137)를 유리관(134)의 바깥에 끼운다. 본체(137)가 끼워지기 시작하면, 세 쌍의 탄성 지지편(138A, 138B)의 연장 단부의 접점이 유리관(134)의 외주에 대해 탄성적으로 맞닿고, 조립이 진행됨에 따라 접점이 유리관(134)의 외주면상을 슬라이딩한다. 그리고, 본체(137)를 관통한 외부 리드(135)의 선단이 통형상부(142)의 중공 내에 진입하기 시작한다. 이 후, 쌍방의 파지 장치가 소정의 조립 위치에 이르면, 페룰(136)과 유리관(134)이 축선 방향에서 정규의 조립 위치에 위치 결정되어, 외부 리드(135)의 선단부가 전체 둘레에 걸쳐 통형상부(142)로 포위된 상태가 된다. 이때, 외부 리드(135)의 선단부는 통형상부(142)의 선단으로부터 크게 돌출되지 않고, 통형상부(142)로부터 조금 돌출하거나 통형상부(142)의 선단과 거의 같은 위치, 혹은 통형상부(142)의 내부에 위치한다.
그 다음은, 통형상부(142)를 축경 변형되도록 클램핑하고, 클램핑된 통형상부(142)와 외부 리드(135)가 용접에 의해 전기적 도통이 가능하게 고착되어, 페룰(136)과 유리관(134)이 일체화된다. 이상에 의해, 조립이 완료되고 방전관(115)이 완성된다.
페룰(136)과 유리관(134)이 조립된 상태에서는, 세 쌍의 탄성 지지편(138A, 138B)에 의한 탄성적인 지지 작용에 의해 본체(137)가 유리관(134)에 대해 거의 동심상으로 유지되고, 유리관(134)의 외주와 본체(137)의 내주 사이에는 거의 전체 둘레에 걸쳐 간극(공기층)이 확보된다.
한편, 도 43 및 도 4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형상부(142)를 U자 형상의 접속부(142a)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페룰(136)에 유리관(134)을 끼운 다음, U자 형상의 접속부(142a)를 외부 리드(135)에 따라 벤딩 가공함으로써, 외부 리드(135)와 접속부(142a)의 전기적 접속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U자 형상의 접속부(142a)를 벤딩 가공하는 형태에 의하면, 외부 리드(135)에 대한 전기적 접속성이 한층 양호한 것이 된다.
[중계 커넥터(114)에 대한 방전관(115)의 장착]
상기와 같이 하여 제조된 방전관(115)은 중계 커넥터(114)에 장착된다. 장착에 있어서는, 방전관(115)을 수평으로 향한 상태로 섀시(113)의 정면에 접근시켜, 유리관(134)의 양단부와 페룰(136)을 중계 커넥터(114)의 수용실(123)에 대해 정면쪽에서 끼워넣는다. 이때, 한 쌍의 탄성 가압편(132)이 페룰(136)의 본체(137)에 의해 상하로 벌려지도록 탄성휨을 받고, 본체(137)가 한 쌍의 탄성 가압편(132)의 최소 간격 부분을 통과한 후에는, 두 탄성 가압편(132)이 그 탄성 복원력에 의해 본체(137)를 수용실(123)의 안쪽으로 끌어당겨 본체(137)를 수용실(123)의 바닥부에 맞닿게 함으로써, 방전관(115)의 장착이 완료된다.
장착된 방전관(115)은 그 양단부에서 한 쌍의 탄성 가압편(132)에 지지되고, 중계 단자(131)와 이 중계 단자(131)의 장착 모체인 홀더(120)를 통해 섀시(113)에 장착된다. 이 상태에서 방전관(115)의 중량은, 중계 커넥터(114)를 통해 섀시(113)에 작용할 뿐으로, 외부 리드(135)에 대해 방전관(115)의 중량이 부하로서 작용하지는 않는다.
또한, 한 쌍의 탄성 가압편(132)이 본체(137)의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하고, 이에 따라 외부 리드(135)가 페룰(136)을 통해 중계 단자(131)에 전기적 도통이 가능하게 접속된다. 또한, 한 쌍의 탄성 가압편(13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유리관(134)이 스토퍼(126)의 오목부(127)에 밀어 붙여진 상태로 유지되어, 방전관(115)의 축방향에서 보았을 때에는 본체(137)의 일부가 스토퍼(126)와 중첩되도록 위치한다. 즉, 본체(137)에서 도전편(140)과는 반대쪽단 가장자리의 일부가 스토퍼(126)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접근해 대향하는 상태가 된다.
또한, 홀더(120)의 외면 중 섀시(113)의 판면과 직각이고 수용실(123)의 회피구(125)가 개구되는 외면에는, 섀시(113)와 회피구(125) 사이의 부분을 섀시(113)의 판면을 따라 돌출시킨 형태의 돌출부(129)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용실(123)의 내부로부터 섀시(113)의 정면에 이르는 연면(沿面) 거리가 길어진다. 따라서, 수용실(123) 내의 방전관(115)으로부터 홀더(120) 바깥의 섀시(113)로의 리크가 방지된다.
[전원 기판(116)의 개요]
전원 기판(116)은, 배면(섀시(113)와 반대쪽 면)에 회로가 형성된 회로 기판(117)과, 회로 기판(117)의 배면에 실장된 전자 부품(119)과, 회로 기판(117)의 배면에 장착된 복수의 기판 커넥터(118)를 구비한다.
회로 기판(117)은 전체적으로 세로로 긴 사각형을 이루며, 종이 기재 페놀 수지 동박 적층판(종이 페놀이라고 칭해진다)이 이용된다. 회로 기판(117)에는, 세로로 긴 사각형을 이루는 복수의 끼움공(117H)이 정면쪽에서 배면쪽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복수의 끼움공(117H)은, 상기한 중계 단자(131)(중계 커넥터(114))와 대응하도록, 회로 기판(117)의 좌우 양쪽 가장자리를 따라 상하로 나란히 배치된다. 기판 커넥터(118)는, 합성 수지제의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전체가 수용된 금속제(예를 들면, 양은 합금제)의 출력 단자(미도시)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각 끼움공(117H)과 대응하도록 회로 기판(117)의 좌우 양쪽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다. 하우징의 외면에는 끼움공(117H)과 대응하는 끼움 공간(미도시)이 형성되고, 끼움 공간 내에 출력 단자의 일부가 드러나 있다.
전원 기판(116)은 회로 기판(117)이 섀시(113)와 평행한 자세로 배면쪽으로부터 섀시(113)에 접근시켜 조립된다. 조립에 있어서는, 중계 커넥터(114)의 벽부(122) 및 이 벽부(122)를 따라 배치된 기판용 접속부(133)가, 회로 기판(117)의 끼움공(117H)을 관통해 기판 커넥터(118)의 끼움 오목부(127)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중계 커넥터(114)와 기판 커넥터(118)가 끼워져, 중계 단자(131)와 출력 단자가 도통 가능하게 접속된다.
[제3 실시 형태의 작용·효과]
본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방전관(115)을 중계 커넥터(114)에 지지한 상태로 페룰(136)이 스토퍼(126)에 맞물리게 되므로, 방전관(115)이 중계 커넥 터(114)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이동할 염려는 없다. 즉, 방전관(115)에 대해 오른쪽 방향으로의 이동력이 부여된 경우에는, 방전관(115)의 좌측 단부에 조립된 페룰(136)이 스토퍼(126)에 대해 좌측으로부터 걸리게 되므로, 방전관(115)의 우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방전관(115)에 대해 왼쪽 방향으로의 이동력이 부여된 경우에는, 방전관(115)의 우측 단부에서 페룰(136)이 스토퍼(126)에 대해 우측으로부터 걸리게 되므로, 방전관(115)의 좌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와 같이 방전관(115)은, 그 축선을 따른 좌우 어느 방향으로의 이동도 규제되므로, 외부 리드(135)의 선단이 수용실(123)에서 회피구(125)와 반대측의 벽부(122)에 부딪힐 우려가 없다.
또한, 스토퍼(126)는 페룰(136)의 끝 가장자리에 맞물리게 되므로, 페룰(136)의 외주에 스토퍼(126)를 걸기 위한 구멍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어, 가공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페룰(136)의 강도 저하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126)가 페룰(136)의 도전편(140)쪽 끝 가장자리에 맞물리는 구조인 경우, 페룰(136)의 둘레 방향에서의 향하는 방향에 따라서는, 페룰(136)의 끝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도전편(140)이 방해가 되어 페룰(136)의 끝 가장자리와 스토퍼(126)가 맞물리지 않을 염려가 있지만, 본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스토퍼(126)가 도전편(140)과는 반대쪽의 끝 가장자리에 맞물리게 되므로, 도전편(140)에 방해받아 페룰(136)과 스토퍼(126)가 맞물리지 않게 될 우려가 없고, 페룰(136)과 스토퍼(126)를 확실히 맞물리게 할 수 있다.
또한, 도전편(140)에는, 외부 리드(135)에 대해 전체 둘레에 걸쳐 포위하듯 이 접속되는 통형상부(14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전편(140)이 외부 리드(135)로부터 벗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통형상부(142)를 쥘 때에, 통형상부(142)가 외부 리드(135)로부터 벗어나지 않아, 도전편(140)과 외부 리드(135)를 확실히 접속시킬 수 있다.
또한, 페룰(136)과 스토퍼(126)의 맞물림 마진은, 유리관(134)의 외경과 페룰(136)의 외경의 치수 차이의 1/2에 상당하는 것이지만, 본 제3 실시 형태에서는, 탄성 지지편(138A, 138B)에 의해 페룰(136)을 유리관(134)에 대해 동심상으로 유지하도록 하므로, 페룰(136)을 크게 하여 그 내경과 유리관(134)의 외경의 치수 차이를 크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페룰(136)과 스토퍼(126)의 맞물림 마진을 증대시켜, 방전관(115)의 이동을 확실히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126)에는 스토퍼(126)에 페룰(136)을 맞물린 상태에서 유리관(134)의 외주를 맞닿게 하는 오목부(127)가 형성되고, 중계 커넥터(114)에는 방전관(115)을 오목부(127)쪽으로 가압 가능한 한 쌍의 탄성 가압편(132)이 설치되어, 이 한 쌍의 탄성 가압편(132)은 경사 상방 및 경사 하방으로부터 상하 대칭으로 방전관(115)을 오목부(127)쪽으로 가압하므로, 유리관(134)이 오목부(127)로부터 벗어날 우려가 없고, 페룰(136)을 스토퍼(126)에 대해 확실히 맞물리게 할 수 있다.
또한, 중계 커넥터(114)는 합성 수지제의 홀더(120) 내에 중계 단자(131)를 조립한 형태인데, 본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스토퍼(126)를 합성 수지제의 홀더(120)에 형성하므로, 중계 단자(131)에 스토퍼를 형성할 필요가 없고, 그만큼 중 계 단자(131)의 제조에 필요로 하는 재료가 적어도 된다. 일반적으로 합성 수지가 금속에 비해 재료비가 저렴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본 제3 실시 형태에 의하면 중계 커넥터(114)의 재료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체화한 제4 실시 형태를 도 36 내지 도 42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제4 실시 형태는, 방전관(115)을 지지하기 위한 수단을 상기 제3 실시 형태와는 상이한 구성으로 한 것이다. 그 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제3 실시 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구조, 작용 및 효과의 설명은 생략한다.
[접지 부재(150)의 개요]
상기 제3 실시 형태에서는, 방전관(115)의 양단부를 홀더(120)와 중계 단자(131)로 이루어지는 중계 커넥터(114)에 의해 지지했지만, 본 제4 실시 형태에서는, 도 36 내지 도 3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방전관(115)의 양단부 중 일단부는 제3 실시 형태와 같은 중계 커넥터(114)로 지지하는데 반해, 방전관(115)의 타단부에 대해서는 접지 부재(150)에 의해 지지하고 있다.
접지 부재(150)는, 도 3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섀시(113)의 한 쪽 가장자리를 따라 장착한 가늘고 긴 지지판(151)과, 이 지지판(151)의 정면에 도통 가능하게 장착된 복수의 접지 단자(152)로 구성된다. 지지판(151)에는, 도 4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접지 단자(152)와 대응하여 3개씩 장착공(151H)이 관통해 형성된다. 한편, 지지판(151)은 기판이나 금속판에 의해 구성된다.
한편, 접지 단자(152)는, 도 4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정 형상으로 펀칭한 금속제(예를 들면, 양은 합금)의 판재에 벤딩 가공을 실시한 것이며, 베이스부(153)와, 베이스부(153)의 상하 양 가장자리에서 정면쪽으로 연장되는 상하 대칭인 한 쌍의 탄성 가압편(154)과, 베이스부(153)의 한 쪽 가장자리에서 정면쪽으로 연장되는 스토퍼(155)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한 쌍의 탄성 가압편(154)은, 스토퍼(155)와는 반대쪽의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상대쪽의 탄성 가압편(154)쪽으로 부풀어 오르듯이 만곡된 형상을 이루고 있다. 탄성 가압편(154)은, 그 간격을 벌리도록 탄성휨을 받을 수 있으며, 탄성 가압편(154)이 탄성휨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의 한 쌍의 탄성 가압편(154)의 최소 간격은, 방전관(115)의 유리관(134) 외경보다 작은 치수가 된다.
스토퍼(155)는, 베이스부(153)로부터 방전관(115)의 축선과 직각으로 일어서 있으며, 스토퍼(155)에는 거의 원호상으로 함몰된 형태의 오목부(156)가 형성된다. 제3 실시 형태의 중계 커넥터(114)에서는, 스토퍼(126)의 오목부(127)의 상하 양측에 한 쌍의 가이드부(128)가 형성되어 있었지만, 본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오목부(156)의 상하 양측은 베이스부(153)로부터의 상승 치수가 작게 억제되어 있고, 제3 실시 형태의 가이드부(128)에 상당하는 수단은 마련되지 않았다. 따라서, 가이드부를 마련한 것과 비교하면, 접지 단자(152)에 필요한 금속 재료는 적어졌다.
또한, 베이스부(153)에는 3개의 다리(157)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3개 중 2개의 다리(157)는, 탄성 가압편(154)과 스토퍼(155)의 사이에, 베이스부(153)의 상하 양 가장자리에서 탄성 가압편(154) 및 스토퍼(155)와는 반대쪽(이면쪽)으로 돌 출되며, 나머지 1개의 다리(157)는 베이스부(153)에서 스토퍼(155)와는 반대쪽의 가장자리에 있는 두 탄성 가압편(154)의 중간 위치에서 탄성 가압편(154) 및 스토퍼(155)와는 반대쪽(이면쪽)으로 돌출된다.
이와 같은 접지 단자(152)는, 합성 수지제의 하우징 등의 부재에는 수용되지 않고, 노출 상태인 채로 다리(157)를 장착공(151H)에 관통시켜 납땜 등에 의해 지지판(151)에 대해 도통 가능하게 고착된다(도 42 참조). 이에 따라, 한 장의 지지판(151)에 장착된 복수의 접지 단자(152)는, 지지판(151)을 통해 서로 도통 가능하게 접속되게 된다. 또한, 접지 부재(150)에는 전원 기판은 접속되지 않고, 지지판(151)은 섀시에 대해 도통 가능하게 접속된다.
[접지 단자(152)에 대한 방전관(115)의 장착]
방전관(115)을 접지 단자(152)에 장착할 때에는, 방전관(115)을 수평으로 향한 상태로 섀시(113)의 정면에 접근시켜, 유리관(134)의 단부와 페룰(136)을 상하 한 쌍의 탄성 가압편(154)의 사이에 정면쪽에서 끼워넣는다. 이때, 한 쌍의 탄성 가압편(154)이 페룰(136)의 본체(137)에 의해 상하로 벌어지도록 탄성휨을 받고, 본체(137)가 한 쌍의 탄성 가압편(154)의 최소 간격 부분을 통과한 후는, 두 탄성 가압편(154)이 그 탄성 복원력에 의해 본체(137)를 베이스부(153)쪽으로 끌어당겨 본체(137)를 베이스부(153)에 맞닿게 함으로써, 방전관(115)의 장착이 완료된다. 한편, 방전관(115) 반대쪽의 단부는, 상기 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중계 커넥터(114)에 장착된다.
장착된 방전관(115)은, 그 양단부에서 중계 커넥터(114)와 접지 부재(150)에 의해 지지된다. 한 쌍의 탄성 가압편(132, 154)이 페룰(136) 본체(137)의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므로, 외부 리드(135)가 페룰(136)을 통해 중계 단자(131)와 접지 단자(152)에 전기적 도통이 가능하게 접속된다. 또한, 한 쌍의 탄성 가압편(154)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유리관(134)이 스토퍼(126, 155)의 오목부(127, 156)에 밀어 붙여진 상태로 유지되어, 방전관(115)의 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는, 본체(137)의 일부가 스토퍼(126, 155)와 중첩되도록 위치한다. 즉, 본체(137)에서의 도전편(40)과는 반대쪽 단 가장자리의 일부가 스토퍼(126, 155)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접근해 대향하는 상태가 된다.
한편, 도 45 및 도 4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지 단자(152)에 대해 보호부(551)를 마련해도 된다. 이 보호부(551)는, 탄성 가압편 규제부(552)와 지지판 당접부(553)를 구비하고, 접지 단자(152)가 지지판(151)에 장착되어 고정되었을 때에, 지지판 당접부(553)는 지지판(151)에 당접 또는 근접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탄성 가압편(154)에 그것을 벌리려는 어떠한 외력이 가해졌을 경우, 벌어지는 과정에서 우선 탄성 가압편 규제부(552)에 맞닿는다. 그 후, 그 이상의 부하가 가해졌을 경우, 지지판 당접부(553)는 보호부(551)가 넘어지지 않게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보호부(551)는 탄성 가압편(154)의 기부에 연결되어 있어, 지지판 당접부(553)를 기능시키려면 지지판 당접부(553)를 그 연결된 부분보다 바깥쪽에 구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지지판 당접부(553)를 보다 바깥쪽에 구성함으로써 한층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제4 실시 형태의 작용·효과]
본 제4 실시 형태에서는, 방전관(115)이 중계 커넥터(114)와 접지 부재(150)에 지지된 상태로, 방전관(115) 양단의 페룰(136)이 홀더(120)의 스토퍼(126)와 접지 단자(152)의 스토퍼(155)에 맞물리게 되므로, 방전관(115)이 중계 커넥터(114)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이동할 우려가 없다.
즉, 방전관(115)에 대해 중계 커넥터(114)쪽에서 접지 부재(150)쪽으로 이동력이 부여된 경우에는, 방전관(115)의 중계 커넥터(114)쪽 단부에 장착된 페룰(136)이 홀더(120)의 스토퍼(126)에 맞물리게 됨으로써, 방전관(115)의 접지 부재(150)쪽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방전관(115)에 대해 접지 부재(150)쪽에서 중계 커넥터(114)쪽으로 이동력이 부여된 경우에는, 방전관(115)의 접지 부재(150)쪽 단부에서 페룰(136)이 접지 단자(152)의 스토퍼(155)에 맞물리게 되므로, 방전관(115)의 중계 커넥터(114)쪽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와 같이 방전관(115)은, 그 축선을 따른 좌우 어느 방향으로의 이동도 규제되므로, 외부 리드(135)의 선단이 수용실(123)에서 회피구(125)와는 반대쪽의 벽부나, 섀시(113)의 측벽에 부딪힐 우려가 없다.
또한, 접지 단자(152)의 스토퍼(155)에는, 스토퍼(155)에 페룰(136)을 맞물린 상태에서 유리관(134)의 외주와 맞닿는 오목부(156)가 형성되고, 접지 단자(152)에는 방전관(115)을 오목부(156)쪽으로 가압 가능한 한 쌍의 탄성 가압편(154)이 마련되는데, 이 한 쌍의 탄성 가압편(154)은 경사 상방 및 경사 하방으로부터 상하 대칭으로 방전관(115)을 오목부(156)쪽으로 가압하므로, 유리관(134)이 오목부(156)로부터 벗어날 우려가 없고, 페룰(136)을 스토퍼(155)에 대해 확실 히 맞물리게 할 수 있다.
또한, 접지 부재(150)에서는, 스토퍼(155)가 페룰(136)과의 도통 수단인 접지 단자(152)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접지 단자와는 별개의 부품인 스토퍼를 마련한 것과 비교하면, 본 제4 실시 형태에서는 부품수가 적어도 된다.
〈다른 실시 형태〉
본 발명은 상기 기술 및 도면에 의해 설명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실시 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방전관은 냉음극선관에 한정하지 않고, 열음극선관, 크세논관, 형광등 등을 이용해도 된다.
(2) 페룰의 재료는 금속에 한정하지 않고, 도전성 수지나 도전성 고무를 이용해도 된다.
(3) 유리관에서 직선상으로 돌출되는 외부 리드는 유리관과 동심 위치에 한정하지 않고, 유리관의 축심에 대해 지름 방향으로 편심한 위치에 배치해도 된다.
(4) 유리관에서 직선상으로 돌출되는 외부 리드는 유리관의 축심과 평행에 한정하지 않고, 유리관의 축심에 대해 경사 방향이라도 된다.
(5) 외부 리드는 직선상에 한정하지 않고, 굴곡된 형태라도 된다.
(6) 도전편은 외부 리드의 외주가 아니라, 외부 리드의 선단에 대해 전방으로부터 접속시켜도 된다.
(7) 도전편의 연장단 가장자리를 외부 리드의 외주에 접속시켰지만, 도전편의 연장 단부에 굴곡부를 형성하고, 그 굴곡부에서의 굴곡의 바깥쪽면을 외부 리드 의 외주에 접속시켜도 된다.
(8) 도전편의 연장단 가장자리에 홈을 형성하지 않고, 직선상의 연장단 가장자리를 외부 리드의 외주에 접속시켜도 된다.
(9) 도전편의 연장단 가장자리의 홈은 V자형에 한정하지 않고, U자형이나 사각형이나 반원형 등으로 해도 된다.
(10) 도전편은 그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한 폭이라도 된다.
(11) 페룰은 보호편을 형성하지 않는 형태라도 된다.
(12) 도전편은 1개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 개라도 된다. 이 경우, 복수 개의 도전편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둔 배치로 해도 되고, 축선 방향(외부 리드의 돌출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라도 된다.
(13) 페룰의 본체는 원통형에 한정하지 않고, 링형이나 대략 C자형의 것이라도 된다.
(14) 페룰의 접촉부는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는 리브 형상의 것에 한정하지 않고,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둔 복수 위치에 나열된 복수의 돌기라도 된다.
(15) 페룰의 접촉부는 리브 형상으로 돌출시킨 형태에 한정하지 않고, 본체 외주면의 일부를 변형시키지 않고 그대로 접촉부로서 기능시켜도 되며, 본체의 일부를 잘라 세운 탄성편을 접촉부로서 기능시켜도 된다.
(16) 탄성 지지편의 수는 3개 또는 6개에 한정하지 않고, 2개 이하, 4개, 5개, 혹은 7개 이상이라도 된다.
(17) 탄성 지지편은 전방 또는 후방에 외팔보 형상으로 연장되는 형태에 한 정하지 않고, 전후 양단이 본체에 지지된 양단 지지 형태라도 된다.
(18) 복수의 탄성 지지편은 둘레 방향에서 등간격으로 배치하지 않고, 부등간격으로 배치해도 된다.
(19) 유리관의 외주와 페룰 본체의 내주 사이에 둘레 방향의 공기층을 확보하는 수단으로서는, 복수의 탄성 지지편을 유리관의 외주에 탄성적으로 맞닿게 하는 형태에 한정하지 않고, 1개 또는 복수 개의 탄성 지지편과 1 또는 복수의 비탄성 수용부(예를 들면, 본체의 일부를 안쪽으로 돌출시킨 것)를 유리관의 외주에 맞닿게 하는 형태라도 된다.
(20) 페룰은 본체에 대직경부를 형성하지 않는 형태라도 된다.
(21) 페룰의 접촉부와 대직경부는 본체의 축선 방향 양단부에 거리를 두고 배치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접근시켜 배치해도 된다.
(22) 본체의 축선 방향에서의 접촉부와 대직경부의 위치를 전후 반대로 해도 된다.
(23) 도전편이 탄성 변형하지 않은 자유 상태에서의 넓은 부분의 크기와 위치에 대해서는, 본체의 축선(가상선)이 홈의 절개 영역으로부터 벗어나 넓은 부분을 관통하도록 설정해도 된다. 이 경우, 본체의 축선과 평행하게 본 투영면 상에서 외부 리드의 일부가 넓은 부분과 중첩되도록 해도 되고, 외부 리드의 전체가 넓은 부분과 중첩되도록 해도 된다.
(24) 도전편은 직접 외부 리드에 접촉시키지 않아도 되고, 납땜이나 용접에 의해 도전편과 외부 리드를 간접적으로 접속시켜도 된다. 이 경우, 도전편으로부터 외부 리드에 대해 탄성적인 가압력은 부여되지 않는다.
(25) 제2 실시 형태에서는, 탄성 지지편이 본체의 축선 방향으로 이간된 2 개소에서 유리관의 외주에 맞닿았지만, 탄성 지지편은 축선 방향으로 떨어진 3 개소 이상에서 유리관에 맞닿게 해도 된다.
(26) 제2 실시 형태에서는, 2 종류의 탄성 지지편의 연장 방향을 서로 역방향으로 함으로써 유리관에 대한 탄성 지지편의 당접 위치가 축선 방향으로 간격을 둔 2 개소가 되도록 하였지만, 이에 대신하여, 연장 방향이 서로 같은 방향인 2 종류(복수 종류)의 탄성 지지편을 축선 방향으로 어긋나게 하여 배치해도 된다.
(27) 출력 단자는 금속재를 소정 형상으로 펀칭 가공만을 실시하고 벤딩 가공을 실시하지 않은 것이라도 된다.
(28)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은 스위칭 소자가 TFT인 것에 한정하지 않고, 스위칭 소자가 MIM(Metal Insulator Metal) 등 TFT 이외의 것이라도 된다.
(29)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에 한정하지 않고, 표시 패널의 배면쪽에 조명 장치를 필요로 하는 여러 가지의 표시 장치가 포함된다.
(30) 전원은 회로 기판에 전자 부품을 실장한 전원 기판에 한정하지 않고, 회로 기판을 이용하지 않고 전자 부품을 배선으로 연결한 것도 포함된다.
(31) 페룰의 본체를 지지하는 수단으로는 중계 커넥터에 한정하지 않고, 직접 전원 기판에 실장한 커넥터(예를 들면, 인버터 커넥터)에 직접 페룰을 조립하는 구조(중계 커넥터를 이용하지 않는 형태)나, 전원으로부터 외부 리드에 이르는 전력 공급 경로와는 별도로 마련한 전용의 지지 수단에 페룰을 조립하는 수단을 이용 할 수 있다.
(32) 회로 기판에 기판 커넥터를 마련하지 않고, 중계 커넥터를 케이블을 통해 전원(전원 기판)에 접속해도 된다.
(3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도전편과 외부 리드를 용접에 의해 고착했지만, 도전편을 외부 리드에 탄성적으로 접촉(당접)시키고 있는 경우에는, 용접 등에 의해 고착하지 않고 도전편의 탄력만으로 접속 상태를 확보해도 된다.
(34) 도전편의 통형상부와 외부 리드는 납땜에 의해 도통 가능하게 접속해도 된다.

Claims (23)

  1. 유리관과,
    상기 유리관의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외부 리드와,
    상기 유리관의 외주에 조립되고, 상기 전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촉부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외부 리드에 접속되는 도전편을 구비하는 페룰을 구비하고,
    상기 유리관이 원통형을 이루고,
    상기 본체가 상기 유리관과 동심의 원통형을 이루며,
    상기 본체에는, 상기 유리관의 외주에 맞닿을 수 있는 탄성 지지편이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편의 연장단 가장자리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 리드는 상기 홈에 대응한 위치에서 상기 도전편과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편은 상기 본체에 이어지는 가늘고 긴 부분과, 상기 가늘고 긴 부분의 연장단에 이어지는 넓은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넓은 부분이 상기 외부 리드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편에는, 상기 외부 리드에 대해 전체 둘레에 걸쳐 포위하듯이 접속되는 통형상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도전편 기단부의 양쪽에 위치하도록 보호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가 상기 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가 상기 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또한 그 둘레 방향으로 연속해 리브 형상으로 돌출되는 형태이며,
    상기 본체에는, 상기 접촉부보다 외경 치수가 큰 대직경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탄성 지지편이, 상기 본체의 축선 방향으로 간격을 둔 복수 위치에서 상기 유리관의 외주에 맞닿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관.
  9. 단부로부터 외부 리드를 돌출시킨 유리관을 구비하고, 상기 외부 리드를 통해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방전관에 대해 장착되는 도전성의 페룰로서,
    상기 유리관의 외주 단부에 조립되며, 상기 전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촉부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외부 리드에 접속되는 도전편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가, 원통형을 이루는 상기 유리관과 동심의 원통형을 이루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유리관의 외주에 맞닿을 수 있는 탄성 지지편이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편의 연장단 가장자리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도전편이 상기 홈에서 상기 외부 리드의 외주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편은 상기 본체에 이어지는 가늘고 긴 부분과, 상기 가늘고 긴 부분의 연장단에 이어지는 넓은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넓은 부분이 상기 외부 리드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편에는, 상기 외부 리드에 대해 전체 둘레에 걸쳐 포위하듯이 접속되는 통형상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룰.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도전편 기단부의 양쪽에 위치하도록 보호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룰.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가 상기 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룰.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가 상기 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또한 그 둘레 방향으로 연속해 리브 형상으로 돌출된 형태이며,
    상기 본체에는, 상기 접촉부보다 외경 치수가 큰 대직경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룰.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탄성 지지편이, 상기 본체의 축선 방향으로 간격을 둔 복수 위치에서 상기 유리관의 외주에 대해 맞닿을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룰.
  17. 전원;
    유리관과,
    상기 유리관의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외부 리드와,
    상기 유리관의 외주에 조립되고, 상기 전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촉부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외부 리드에 접속되는 도전편을 구비하는 페룰을 구비하고,
    상기 유리관이 원통형을 이루고,
    상기 본체가 상기 유리관과 동심의 원통형을 이루며,
    상기 본체에는, 상기 유리관의 외주에 맞닿을 수 있는 탄성 지지편이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관; 및
    상기 전원 및 상기 방전관의 장착 모체가 되는 섀시;를 구비하고 있는 표시 장치용의 조명 장치.
  18. 전원;
    유리관과,
    상기 유리관의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외부 리드와,
    상기 유리관의 외주에 조립되고, 상기 전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촉부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외부 리드에 접속되는 도전편을 구비하는 페룰을 구비하고,
    상기 유리관이 원통형을 이루고,
    상기 본체가 상기 유리관과 동심의 원통형을 이루며,
    상기 본체에는, 상기 유리관의 외주에 맞닿을 수 있는 탄성 지지편이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관; 및
    상기 전원 및 상기 방전관의 장착 모체가 되는 섀시;를 구비하고 있는 표시 장치용의 조명 장치와,
    상기 조명 장치의 정면쪽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을 구비하고 있는 표시 장치.
  19. 전원;
    유리관과,
    상기 유리관의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외부 리드와,
    상기 유리관의 외주에 조립되고, 상기 전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촉부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외부 리드에 접속되는 도전편을 구비하는 페룰을 구비하고,
    상기 유리관이 원통형을 이루고,
    상기 본체가 상기 유리관과 동심의 원통형을 이루며,
    상기 본체에는, 상기 유리관의 외주에 맞닿을 수 있는 탄성 지지편이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관;
    상기 전원 및 상기 방전관의 장착 모체가 되는 섀시;를 구비하고 있는 표시 장치용의 조명 장치와,
    상기 조명 장치의 정면쪽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을 구비하고 있는 표시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텔레비전 수신 장치.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KR1020087030759A 2006-06-30 2007-05-24 방전관, 페룰,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 KR1009809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81873 2006-06-30
JPJP-P-2006-181873 2006-06-30
JPJP-P-2007-019854 2007-01-30
JP2007019854 2007-01-30

Related Child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8607A Division KR101027197B1 (ko) 2006-06-30 2007-05-24 방전관,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
KR1020097026646A Division KR101205541B1 (ko) 2006-06-30 2007-05-24 방전관,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
KR1020087030775A Division KR101012541B1 (ko) 2006-06-30 2007-05-24 방전관, 방전관의 제조 방법,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
KR1020097027409A Division KR100960179B1 (ko) 2006-06-30 2007-05-24 방전관, 페룰,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3388A KR20090023388A (ko) 2009-03-04
KR100980945B1 true KR100980945B1 (ko) 2010-09-07

Family

ID=38845333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30759A KR100980945B1 (ko) 2006-06-30 2007-05-24 방전관, 페룰,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
KR1020087030775A KR101012541B1 (ko) 2006-06-30 2007-05-24 방전관, 방전관의 제조 방법,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
KR1020107008607A KR101027197B1 (ko) 2006-06-30 2007-05-24 방전관,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
KR1020097026646A KR101205541B1 (ko) 2006-06-30 2007-05-24 방전관,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
KR1020097027409A KR100960179B1 (ko) 2006-06-30 2007-05-24 방전관, 페룰,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30775A KR101012541B1 (ko) 2006-06-30 2007-05-24 방전관, 방전관의 제조 방법,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
KR1020107008607A KR101027197B1 (ko) 2006-06-30 2007-05-24 방전관,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
KR1020097026646A KR101205541B1 (ko) 2006-06-30 2007-05-24 방전관,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
KR1020097027409A KR100960179B1 (ko) 2006-06-30 2007-05-24 방전관, 페룰,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5) US8220954B2 (ko)
EP (1) EP2045831B1 (ko)
JP (5) JP4950992B2 (ko)
KR (5) KR100980945B1 (ko)
CN (3) CN101814406B (ko)
AT (1) ATE538487T1 (ko)
BR (1) BRPI0713803A2 (ko)
RU (1) RU2416134C2 (ko)
TR (1) TR200809857T1 (ko)
TW (4) TW200822164A (ko)
WO (1) WO20080015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131B1 (ko) * 2006-06-30 2010-09-14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방전관, 페룰,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
KR100980945B1 (ko) * 2006-06-30 2010-09-07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방전관, 페룰,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
JP4905332B2 (ja) * 2007-11-21 2012-03-28 ウシオ電機株式会社 蛍光ランプ
JP5174450B2 (ja) * 2007-12-18 2013-04-03 パナソニック液晶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CN101681752A (zh) * 2008-01-28 2010-03-24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冷阴极荧光灯、背照灯单元、以及液晶显示装置
WO2011074346A1 (ja) * 2009-12-16 2011-06-23 シャープ株式会社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FR2964260B1 (fr) * 2010-08-27 2012-09-14 Souriau Contact electrique femelle, ensemble connecteur et procede de realisation
CN104990046A (zh) * 2015-07-08 2015-10-21 厦门李氏兄弟有限公司 Led灯的电连接件
KR102107528B1 (ko) 2018-03-29 2020-05-07 (주)상시 교정용 칫솔
KR102120282B1 (ko) 2018-06-18 2020-06-16 (주)상시 칫솔
JP6818815B1 (ja) * 2019-06-28 2021-01-20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電子管
CN115315593A (zh) * 2020-04-20 2022-11-08 星和电机株式会社 照明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5480A (ja) 1999-05-06 2000-11-14 Ushio Inc ベース付ランプ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1216A (en) * 1975-01-02 1976-06-01 General Electric Company Sheet metal base for pinch sealed electric lamp
US4044277A (en) * 1976-05-24 1977-08-23 General Electric Company Mechanically assembled base for electric lamps
US4924368A (en) * 1989-01-06 1990-05-08 Duro-Test Corporation Fluorescent lamp with protective shield
US5245369A (en) * 1989-11-01 1993-09-14 Aura Systems, Inc. Scene projector
US5260798A (en) * 1989-11-01 1993-11-09 Aura Systems, Inc. Pixel intensity modulator
US5185660A (en) * 1989-11-01 1993-02-09 Aura Systems, Inc. Actuated mirror optical intensity modulation
US5126836A (en) * 1989-11-01 1992-06-30 Aura Systems, Inc. Actuated mirror optical intensity modulation
US5616982A (en) * 1989-11-01 1997-04-01 Aura Systems, Inc. Piezoelectric actuator
US5150205A (en) * 1989-11-01 1992-09-22 Aura Systems, Inc. Actuated mirror optical intensity modulation
JPH03261030A (ja) 1990-03-12 1991-11-20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低圧放電灯
JPH03285231A (ja) * 1990-03-30 1991-12-16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放電ランプ装置
NL9002107A (nl) * 1990-09-27 1992-04-16 Philips Nv Lichaam uit met cerium gedoteerd kwartsglas.
JPH08203579A (ja) * 1995-01-24 1996-08-09 Kyoshin Kogyo Kk ヒューズクリップ
KR100883091B1 (ko) * 2002-06-28 2009-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몰드 프레임과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장치
JP4189997B2 (ja) 2003-03-26 2008-12-03 Tdk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CN2627645Y (zh) * 2003-06-06 2004-07-21 林海鹰 单端金属卤化物灯泡
WO2005008721A1 (ja) 2003-07-17 2005-01-27 Sanken Electric Co., Ltd. 放電管
US20060063410A1 (en) * 2004-09-20 2006-03-23 Chi Lin Technology Co., Ltd. Connector for establishing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a wire and a fluorescent tube of a backlight module
US7042157B2 (en) * 2003-10-10 2006-05-09 Zippy Technology Corp. Lamp bracket for cold cathode lamps
TWI240122B (en) * 2004-02-26 2005-09-21 Radiant Opto Electronics Corp Reflecting structure of direct-type backlight unit
JP4306521B2 (ja) * 2004-04-12 2009-08-05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用照明装置
KR20060074354A (ko) * 2004-12-27 2006-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US20060208641A1 (en) * 2005-03-15 2006-09-21 Takashi Maniwa Cold-cathode fluorescent lamp having thin coat as electrically connected terminal, production method of the lamp, lighting apparatus having the lamp,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KR20060131242A (ko) * 2005-06-15 2006-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음극 형광램프, 이의 제조 방법, 이를 갖는 백라이트어셈블리 및 액정표시장치
JP4406935B2 (ja) * 2006-03-03 2010-02-03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放電管用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付き放電管
KR100980945B1 (ko) * 2006-06-30 2010-09-07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방전관, 페룰,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
KR100982131B1 (ko) * 2006-06-30 2010-09-14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방전관, 페룰,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5480A (ja) 1999-05-06 2000-11-14 Ushio Inc ベース付ランプ
JP3525797B2 (ja) * 1999-05-06 2004-05-10 ウシオ電機株式会社 ベース付ラン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161A (ko) 2010-01-13
BRPI0713803A2 (pt) 2012-11-06
RU2009103006A (ru) 2010-08-10
US20090278788A1 (en) 2009-11-12
CN101740311B (zh) 2012-12-05
EP2045831A1 (en) 2009-04-08
US20100097533A1 (en) 2010-04-22
US8405295B2 (en) 2013-03-26
US20090134801A1 (en) 2009-05-28
TW200914950A (en) 2009-04-01
TWI416579B (zh) 2013-11-21
US20100214498A1 (en) 2010-08-26
JP4955746B2 (ja) 2012-06-20
JP2010027630A (ja) 2010-02-04
KR100960179B1 (ko) 2010-05-26
US7997747B2 (en) 2011-08-16
TR200809857T1 (tr) 2009-10-21
KR20090023388A (ko) 2009-03-04
CN101740310B (zh) 2012-12-12
JPWO2008001562A1 (ja) 2009-11-26
JP4352094B2 (ja) 2009-10-28
JP2009094063A (ja) 2009-04-30
JP2010177213A (ja) 2010-08-12
EP2045831A4 (en) 2010-09-08
KR20100008012A (ko) 2010-01-22
TW201042699A (en) 2010-12-01
CN101814406B (zh) 2012-06-27
TW200822164A (en) 2008-05-16
KR101027197B1 (ko) 2011-04-06
JP4950992B2 (ja) 2012-06-13
JP2009094064A (ja) 2009-04-30
US8134286B2 (en) 2012-03-13
TR200809857T2 (tr) 2009-02-23
TWI340986B (ko) 2011-04-21
KR101205541B1 (ko) 2012-11-27
TWI416578B (zh) 2013-11-21
JP4955788B2 (ja) 2012-06-20
US8284154B2 (en) 2012-10-09
RU2416134C2 (ru) 2011-04-10
KR101012541B1 (ko) 2011-02-07
TW201015609A (en) 2010-04-16
EP2045831B1 (en) 2011-12-21
KR20100050583A (ko) 2010-05-13
US8220954B2 (en) 2012-07-17
ATE538487T1 (de) 2012-01-15
CN101740311A (zh) 2010-06-16
JP4950972B2 (ja) 2012-06-13
KR20090009986A (ko) 2009-01-23
CN101740310A (zh) 2010-06-16
WO2008001562A1 (fr) 2008-01-03
CN101814406A (zh) 2010-08-25
TWI411001B (zh) 2013-10-01
US20100091199A1 (en) 201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0945B1 (ko) 방전관, 페룰,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
KR100981210B1 (ko) 방전관, 페룰,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
KR100980935B1 (ko) 중계 커넥터, 중계 커넥터와 전원의 조립 구조, 중계 커넥터에 대한 방전관 및 전원의 조립 구조,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
KR100981211B1 (ko) 전원 기판, 기판 커넥터,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
KR101039168B1 (ko) 전원 기판, 기판 커넥터,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
KR101331549B1 (ko) 조명 장치, 중계 커넥터,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
KR101082237B1 (ko) 방전관의 지지 구조, 지지 부재, 방전관, 페룰,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