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1211B1 - 전원 기판, 기판 커넥터,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전원 기판, 기판 커넥터,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1211B1
KR100981211B1 KR1020087030764A KR20087030764A KR100981211B1 KR 100981211 B1 KR100981211 B1 KR 100981211B1 KR 1020087030764 A KR1020087030764 A KR 1020087030764A KR 20087030764 A KR20087030764 A KR 20087030764A KR 100981211 B1 KR100981211 B1 KR 100981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terminal
board
chassis
circuit board
relay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30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6290A (ko
Inventor
요시키 타카타
켄이치 이와모토
타카아키 쿠도
나오후미 이케나가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26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6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1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1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94Holders formed as 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a counter-part to a coupling par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4Direct backlight with lam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2Single-pole devices, e.g. holder for supporting one end of a tubular incandescent or neon la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74Devices having four or more poles, e.g. holders for compact fluorescent lamps
    • H01R33/76Holders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dapted for axially-sliding engagement with parallely-arranged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on counterpart, e.g. electronic tube socket
    • H01R33/7607Holders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dapted for axially-sliding engagement with parallely-arranged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on counterpart, e.g. electronic tube socket the parallel terminal pins having a circular disposition
    • H01R33/7635Holders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dapted for axially-sliding engagement with parallely-arranged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on counterpart, e.g. electronic tube socket the parallel terminal pins having a circular disposition the terminals being collectively connected, e.g. to a PCB
    • H01R33/7642Holders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dapted for axially-sliding engagement with parallely-arranged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on counterpart, e.g. electronic tube socket the parallel terminal pins having a circular disposition the terminals being collectively connected, e.g. to a PCB socket snap fastened in an opening of a PCB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8Direct backlight including particular frames or support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12Electrical 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Liquid Crystal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중계 단자(30)는 회로 기판(17)의 끼움공(17H)을 관통해 출력 단자(30)와 접속한다. 회로 기판(17)에 관통 형태의 끼움공(17H)을 형성하였으므로, 섀시(13)의 중계 단자(30)에 접속되는 기판 커넥터(18)를 회로 기판(17)에서 섀시(13)와 반대쪽의 배면에 배치하는 형태를 실현할 수 있다. 전자 부품(19)에 대해서는, 섀시(13)와의 위치 관계에 기인하는 제약이 없기 때문에, 기판 커넥터(18)와 마찬가지로 회로 기판(17)의 배면에 실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원 기판, 기판 커넥터,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POWER BOARD, ON-BOARD CONNECTOR,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본 발명은 전원 기판, 기판 커넥터,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에는 액정 표시 장치의 백 라이트로서 기능하는 조명 장치의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 이것은 반사판으로서 기능하는 대략 평판상인 섀시의 관통공에 중계 단자를 장착하고, 이 중계 단자에 섀시의 정면쪽에 배치한 방전관의 전극부와, 섀시의 배면쪽에 배치한 전원 기판을 접속한 것으로서, 방전관은 중계 단자를 통해 전원 기판으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받게 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4-294592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상기 특허 문헌 1의 전원 기판에서는, 회로 기판의 섀시와의 반대쪽 면에 전자 부품을 실장하고, 섀시와의 대향면에 출력 단자를 장착하여, 이 출력 단자를 접속 부품에 끼워 넣고 있다. 이와 같이 회로 기판의 양면에 부품을 장착한 경우, 그 부품을 회로 기판에 고착하는 납땜의 수단으로 용융 땜납조에 회로 기판을 침지시키는 디핑 납땜은 적용할 수 없기 때문에, 리플로우 납땜에 의해야만 한다.
그런데, 리플로우 납땜은 리플로우조가 고온이 되기 때문에, 고온에 약한 재질(예를 들면, 종이 기재 페놀 수지 동박 적층판)의 회로 기판에 대해서는 적용할 수 없다. 그 때문에, 고온에 약한 재질의 회로 기판을 이용한 경우에는, 회로 기판의 양면에 부품을 장착할 수 없어, 부품은 회로 기판의 한 면에만 장착하게 된다.
이 경우, 특허 문헌 1과 같이 회로 기판의 출력 단자를 섀시쪽을 향해 접속 부품에 접속시키려고 하면, 회로 기판의 실장면은 섀시와의 대향면으로 한정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완성된 것으로서, 편면 실장 타입의 전원 기판을 섀시의 중계 단자에 접속하는 경우에, 섀시와 반대쪽 면을 실장면으로서 기능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전원 기판은, 대략 평판상인 섀시의 배면쪽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섀시와 대략 평행한 회로 기판과, 상기 회로 기판에 장착되는 기판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섀시에 마련한 중계 단자에 대해 상기 기판 커넥터의 출력 단자를 접속함으로써, 상기 섀시의 정면쪽에 배치한 방전관에 대해 전력을 공급하게 되어 있고, 상기 회로 기판에 그 정면에서 배면으로 관통하는 끼움공이 형성되어, 상기 기판 커넥터가 상기 회로 기판 배면에서 상기 끼움공과의 대응 위치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중계 단자와 출력 단자는, 그 한쪽 또는 양쪽 모두가 회로 기판의 끼움공을 관통하는 형태로 서로 접속된다. 회로 기판에 관통 형태의 끼움공을 형성하였으므로, 섀시의 중계 단자에 접속되는 기판 커넥터를 회로 기판에서 섀시와 반대쪽의 배면에 배치하는 형태를 실현할 수 있다. 한편, 전자 부품에 대해서는 섀시와의 위치 관계에 기인하는 제약이 없기 때문에, 기판 커넥터와 마찬가지로 회로 기판의 배면에 실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섀시의 중계 단자에 접속되는 전원 기판을, 섀시와는 반대쪽인 배면만을 실장면으로 하는 편면 실장 타입의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기판에 있어서, 상기 기판 커넥터는 절연성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 내에 상기 출력 단자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한 형태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출력 단자는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있으므로,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있는 부분에 대한 이물질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기판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끼움공과 대응하도록 개구되는 끼움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 오목부 내에 상기 출력 단자가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중계 단자는 끼움 오목부 내에 진입해 출력 단자에 접속하므로, 양 단자의 접속 부분에 대한 이물질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기판에 있어서, 상기 끼움 오목부의 안쪽면에는 상기 출력 단자를 맞물리게 함으로써, 그 출력 단자의 상기 안쪽면을 따른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규제할 수 있는 위치 결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위치 결정부에 의해 출력 단자의 위치 어긋남을 규제하였으므로, 출력 단자의 위치 어긋남 방지를 위해 휨강성을 높일 필요가 없어진다. 출력 단자의 휨강성을 저하시키면, 출력 단자와 중계 단자의 접속시에 생기는 마찰 저항을 저감하여 접속의 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기판에 있어서, 상기 출력 단자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기단부와, 상기 기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탄성휨이 가능한 가요부와, 상기 가요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중계 단자를 탄성적으로 협지할 수 있는 대략 U자형의 접속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편을 구성하는 2개의 스트립부 중 상기 가요부와 반대의 자유단쪽의 스트립부에만 상기 중계 단자가 접촉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중계 단자가 출력 단자에 대해 가요부쪽으로 상대적으로 위치가 어긋난 경우는, 접속편의 전체가 중계 단자와 일체적으로 가요부쪽으로 이동하므로, 중계 단자와 자유단쪽의 스트립부는 접속 상태로 유지된다. 중계 단자가 출력 단자에 대해 가요부와 반대의 자유단쪽으로 상대적으로 위치가 어긋난 경우는, 접속편 중 자유단쪽의 스트립부가 중계 단자에 밀려 이동하므로, 이 경우도 중계 단자와 자유단쪽의 스트립부는 접속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전원 기판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기판 커넥터가 복수 개의 상기 중계 단자와 대응하도록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출력 단자가 상기 기판 커넥터의 나열 방향과 대략 직각인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되는 접속편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접속편이 상기 접속편보다 광폭이며 상기 기판 커넥터의 나열 방향과 평행한 판상을 이루는 상기 중계 단자에 대해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수 개의 기판 커넥터와 복수 개의 중계 단자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경우, 기판 커넥터의 장착 모체인 회로 기판과 중계 단자의 장착 모체인 섀시의 사이에서 열팽창률의 차이 등에 기인하여, 기판 커넥터의 출력 단자와 중계 단자가 나열 방향에서 위치가 어긋날 것이 염려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출력 단자에 기판 커넥터의 나열 방향과 대략 직각인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되는 접속편을 마련하고, 접속편보다 광폭이며 기판 커넥터의 나열 방향과 평행한 판상을 이루는 중계 단자에 대해 접속편을 접촉시키도록 하였다. 중계 단자는 나열 방향의 폭 치수가 크기 때문에, 중계 단자와 출력 단자가 나열 방향으로 위치가 어긋나도, 접속편과 중계 단자의 접속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전원 기판에 있어서, 상기 기판 커넥터가 상기 회로 기판의 가장자리를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출력 단자가 상기 하우징에서의 상기 가장자리와는 반대쪽의 영역에만 치우친 배치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출력 단자가 하우징에서의 회로 기판의 가장자리와는 반대쪽의 영역에만 치우친 배치로 되어 있으므로, 기판 커넥터에서의 회로 기판의 가장자리에 가까운 부분은 저전압 영역이 된다.
다음으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기판 커넥터는, 대략 평판상인 섀시의 배면쪽에 장착되는 전원 기판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출력 단자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섀시와 대략 평행한 회로 기판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섀시에 마련한 중계 단자에 대해 상기 출력 단자를 접속시킴으로써, 상기 섀시의 정면쪽에 배치한 방전관에 대해 전력을 공급하게 되어 있는 기판 커넥터로서, 상기 회로 기판의 배면에 장착되며 또한 상기 회로 기판에 정면에서 배면으로 관통하도록 형성한 끼움공과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중계 단자와 출력 단자는, 그 한쪽 또는 양쪽 모두가 회로 기판의 끼움공을 관통하는 형태로 서로 접속된다. 회로 기판에 관통 형태의 끼움공을 형성하였으므로, 섀시의 중계 단자에 접속되는 기판 커넥터를 회로 기판에서 섀시와 반대쪽의 배면에 배치하는 형태를 실현할 수 있다. 한편, 전자 부품에 대해서는 섀시와의 위치 관계에 기인하는 제약이 없기 때문에, 기판 커넥터와 마찬가지로 회로 기판의 배면에 실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섀시의 중계 단자에 접속되는 전원 기판을, 섀시와는 반대쪽인 배면만을 실장면으로 하는 편면 실장 타입의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절연성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하우징 내에 상기 출력 단자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한 형태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출력 단자는 그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있으므로,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있는 부분에 대한 이물질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끼움공과 대응하도록 개구되는 끼움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 오목부 내에 상기 출력 단자가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중계 단자는 끼움 오목부 내에 진입해 출력 단자에 접속하므로, 양 단자의 접속 부분에 대한 이물질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끼움 오목부의 안쪽면에는 상기 출력 단자를 맞물리게 함으로써, 그 출력 단자의 상기 안쪽면을 따른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규제할 수 있는 위치 결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위치 결정부에 의해 출력 단자의 위치 어긋남을 규제하였으므로, 출력 단자의 위치 어긋남 방지를 위해 휨강성을 높일 필요가 없어진다. 출력 단자의 휨강성을 저하시키면, 출력 단자와 중계 단자의 접속시에 생기는 마찰 저항을 저감하여 접속의 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출력 단자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기단부와, 상기 기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탄성휨이 가능한 가요부와, 상기 가요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중계 단자를 탄성적으로 협지하는 것이 가능한 대략 U자형의 접속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편을 구성하는 2개의 스트립부 중 상기 가요부와 반대의 자유단쪽의 스트립부에만 상기 중계 단자가 접촉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중계 단자가 출력 단자에 대해 가요부쪽으로 상대적으로 위치가 어긋난 경우는, 접속편의 전체가 중계 단자와 일체적으로 가요부쪽으로 이동하므로, 중계 단자와 자유단쪽의 스트립부는 접속 상태로 유지된다. 중계 단자가 출력 단자에 대해 가요부와 반대의 자유단쪽으로 상대적으로 위치가 어긋난 경우는, 접속편 중 자유단쪽의 스트립부가 중계 단자에 밀려 이동하므로, 이 경우도 중계 단자와 자유단쪽의 스트립부는 접속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복수 개의 상기 중계 단자와 대응하도록 나란히 복수 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출력 단자가 나열 방향과 대략 직각인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되는 접속편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접속편이 상기 접속편보다 광폭이며 상기 나열 방향과 평행한 판상을 이루는 상기 중계 단자에 대해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수 개의 기판 커넥터와 복수 개의 중계 단자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경우, 기판 커넥터의 장착 모체인 회로 기판과 중계 단자의 장착 모체인 섀시의 사이에서 열팽창률의 차이 등에 기인하여, 기판 커넥터의 출력 단자와 중계 단자가 나열 방향에서 위치가 어긋날 것이 염려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출력 단자에 기판 커넥터의 나열 방향과 대략 직각인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되는 접속편을 마련하고, 접속편보다 광폭이며 기판 커넥터의 나열 방향과 평행한 판상을 이루는 중계 단자에 대해 접속편을 접촉시키도록 하였다. 중계 단자는 나열 방향의 폭 치수가 크기 때문에, 중계 단자와 출력 단자가 나열 방향으로 위치가 어긋나도, 접속편과 중계 단자의 접속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상기 회로 기판의 가장자리를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출력 단자가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가장자리와는 반대쪽의 영역에만 치우친 배치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출력 단자가 하우징에서의 회로 기판의 가장자리와는 반대쪽의 영역에만 치우친 배치로 되어 있으므로, 기판 커넥터에서의 회로 기판의 가장자리에 가까운 부분은 저전압 영역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조명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기판과, 섀시와, 방전관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와, 상기 조명 장치의 정면쪽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텔레비전 수신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2는 조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조명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4는 전원 기판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전원 기판의 정면도이다.
도 6은 기판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기판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기판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9는 중계 커넥터를 끼운 상태를 도시하는 기판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기판 커넥터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11은 기판 커넥터를 램프 유니트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이다.
도 12는 램프 유니트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3은 조명 장치의 부분 확대 정면도이다.
도 14는 중계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방전관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TV 수신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제2 실시 형태에서 조명 장치를 정면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8은 조명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9는 중계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중계 커넥터와 방전관의 접속 구조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 정면도이다.
도 21은 중계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22는 방전관의 페룰이 스토퍼와 맞물림 가능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3은 중계 커넥터와 전원 기판의 접속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4는 방전관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페룰의 배면도이다.
도 26은 페룰의 평면도이다.
도 27은 페룰의 측면도이다.
도 28은 조명 장치를 배면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9는 제3 실시 형태에서의 조명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0은 조명 장치에서 방전관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1은 조명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32는 접지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3은 접지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34는 방전관의 페룰이 스토퍼와 맞물림 가능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5는 접지 단자와 방전관의 접속 구조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 정면도이다.
도 36은 페룰의 일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7은 도 36의 측면도이다.
도 38은 접지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39는 도 38의 접지 단자를 이용한 경우에 페룰과의 접속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조명 장치
11 표시 패널
13 섀시
15 방전관
16 전원 기판
17 회로 기판
17H 끼움공
18 기판 커넥터
30 중계 단자
60 하우징
63 끼움 오목부
64 위치 결정부
70 출력 단자
71 기단부
72 가요부
73 접속편
73a 가요부쪽의 스트립부
73b 자유단쪽의 스트립부
〈제1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제1 실시 형태를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해 설명한다.
[표시 장치(D)의 개요]
도 16에 도시하는 표시 장치(D)는, 전체적으로 가로가 긴 사각형을 이루고,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패널(11)과 조명 장치(10)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이른바 액정 표시 장치라고 칭하는 것이다. 표시 패널(11)은 조명 장치(10)의 정면쪽에 배치되고, 조명 장치(10)는 백 라이트로서 배면쪽으로부터 표시 패널(11)을 조사한다. 이 표시 장치(D)는, 텔레비전 수신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텔레비전 수신 장치는,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장치(D)와, 표시 장치(D)를 사이에 끼워 수용하는 표리의 두 캐비넷(Ca, Cb)과, 후술하는 전원 기판(16)과는 다른 전원(P)과, 튜너(T)와, 스탠드(S)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한편, 도 1은 표시 장치(D)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기 때문에, 중계 커넥터(14)나 기판 커넥터(18) 등의 형상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의 형상과 일부 상이하다.
표시 패널(11)은, 투명한 TFT 기판과 투명한 CF 기판의 간극에 전압 인가에 수반해 광학 특성이 변화하는 물질인 액정을 밀봉한 주지 구조의 것으로서, TFT 기판에는 서로 직교하는 소스 배선과 게이트 배선에 접속된 스위칭 소자로서의 TFT(Thin Film Transistor)와, 당해 TFT에 접속된 화소 전극이 마련되고, CF 기판에는 적(R), 녹(G), 청(B) 삼원색의 착색부를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한 컬러 필터가 마련된다.
[조명 장치(10)의 개요]
조명 장치(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램프 유니트(12)와 전원 기판(16)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램프 유니트(12)는, 전체적으로 가로로 긴 사각형의 판상이며 반사판으로서 기능하는 금속제의 섀시(13)와, 섀시(13)의 정면쪽에 수평인 자세로 상하 방향으로 병렬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방전관(15)과, 섀시(13)의 좌우 양쪽 가장자리를 따라 각 방전관(15)과 대응하도록 상하로 나란히 배치된 복수 개의 중계 커넥터(14)를 구비한다. 전원 기판(16)은, 섀시(13)의 이면쪽에 배치되고 중계 커넥터(14)를 개재하여 방전관(15)에 대해 전력을 공급한다.
섀시(13)에는, 각 방전관(15)과 같은 높이이며 방전관(15)의 단부와 대응하는 위치를 정면에서 배면으로 관통시킨 형태의 복수 개의 장착공(13H)이 상하 방향 으로 나란히 형성되고, 각 장착공(13H)에는 각각 중계 커넥터(14)가 관통해 장착된다(도 12 및 도 13 참조). 중계 커넥터(14)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합성 수지제의 홀더(20)와, 홀더(20) 내에 수용된 금속제의 중계 단자(30)로 구성된다.
홀더(20)의 외면에는, 상하 한 쌍의 탄성 걸림편(25)과, 좌우 한 쌍의 맞댐면(26)이 형성된다. 홀더(20)는, 섀시(13)의 정면쪽으로부터 장착공(13H)에 삽입되어, 맞댐면(26)을 섀시(13)의 정면에서 장착공(13H)의 개구 가장자리에 맞닿게 함과 함께, 탄성 걸림편(25)의 걸림 돌기를 섀시(13)의 배면에서 장착공(13H)의 개구 가장자리에 맞물리게 함으로써 섀시(13)에 고정된다. 섀시(13)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홀더(20)의 전단쪽 부분이 섀시(13)의 정면쪽으로 돌출됨과 함께, 홀더(20)의 후단쪽 부분이 섀시(13)의 배면쪽으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또한, 홀더(20)에서 섀시(13)로부터 정면쪽으로 돌출된 부분에는, 그 정면과 한 쪽 측면을 절개한 형태의 수용실(23)이 형성되고, 홀더(20)에서 섀시(13)로부터 배면쪽으로 돌출된 부분에는 판상의 벽부(27)가 형성되며, 홀더(20)의 내부에는 중계 단자(30)가 수용된다. 중계 단자(30)는, 소정 형상으로 펀칭한 금속 판재를 벤딩 가공한 것으로서, 대략 원호형의 판조각으로 이루어지는 상하 한 쌍의 탄성 협지편(32)으로 이루어지는 방전관용 접속부(31)와, 배면쪽에 평판상으로 돌출되는 기판용 접속부(33)를 구비한다. 방전관용 접속부(31)는 수용실(23) 내에 수용되고, 기판용 접속부(33)는 벽부(27)를 따르도록 배치된다.
방전관(15)은,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냉음극선관으로 이루어지며, 전체적으로 가늘고 길며 단면이 원형인 직선상의 유리관(40)과, 유리관(40)의 양단으 로부터 유리관(40)과 동축상이면서 직선상으로 돌출되는 가늘고 긴 외부 리드(42)와, 유리관(40)의 양단부에 장착되는 페룰(50)로 구성된다. 페룰(50)은, 소정 형상으로 펀칭된 금속제(예를 들면, 구리 합금제)의 판재에 벤딩 가공이나 해머링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되며, 본체(51)와 도전편(57)으로 이루어진다. 본체(51)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을 이루고, 유리관(40)의 외주에 장착된다. 도전편(57)은 본체(51)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외부 리드(42)의 외주에 탄성 접촉하고,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이와 같은 방전관(15)은, 그 양단부를 홀더(20)의 수용실(23) 내에 끼워 넣음으로써 섀시(13)에 장착됨과 함께, 페룰(50) 본체(51)의 외주가 방전관용 접속부(31)와 탄성 접촉한다.
[전원 기판(16)의 개요]
전원 기판(16)은,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면(섀시(13)와 반대쪽 면)에 회로가 형성된 회로 기판(17)과, 회로 기판(17)의 배면에 실장된 전자 부품(19)과, 회로 기판(17)의 배면에 장착된 복수 개의 기판 커넥터(18)를 구비한다.
회로 기판(17)은 전체적으로 세로로 긴 사각형을 이루며, 종이 기재 페놀 수지 동박 적층판(종이 페놀이라고 칭해진다)이 이용된다. 회로 기판(17)에는, 세로로 긴 사각형을 이루는 복수 개의 끼움공(17H)이 정면쪽에서 배면쪽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복수 개의 끼움공(17H)은, 상기한 중계 단자(30)(중계 커넥터(14))와 대응하도록, 회로 기판(17)의 좌우 양쪽 가장자리(17E)(즉, 가장자리)를 따라 상하로 나란히 배치된다. 또한, 회로 기판(17)에는, 그 정면에서 배면으로 관통하는 복 수 개의 위치 결정공(17a)이 형성된다. 위치 결정공(17a)은 끼움공(17H)과 회로 기판(17) 가장자리의 사이에 배치됨과 함께, 1개의 끼움공(17H)에 대해 상하 한 쌍씩 형성되어 있다.
[기판 커넥터(18)의 개요]
기판 커넥터(18)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끼움공(17H)과 대응하도록 회로 기판(17)의 좌우 양쪽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고, 끼움공(17H)을 통해 중계 커넥터(14)와 끼워지게 되어 있다. 기판 커넥터(18)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합성 수지 등의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하우징(60)과, 하우징(60) 내에 전체가 수용된 금속제의 출력 단자(7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하우징(60)]
하우징(60)은 단일 부품으로서, 단자 수용부(61)와 절연부(62)로 이루어진다. 단자 수용부(61)는 블록 형상을 이루며, 그 내부에는 하우징(60)의 외면(회로 기판(17)과의 대향면)에 세로로 긴 사각형으로 개구되는 끼움 오목부(63)가 형성된다. 끼움 오목부(63)는 기판 커넥터(18)를 회로 기판(17)에 장착한 상태에서 끼움공(17H)과 거의 대응하는 위치 및 크기이며, 이 끼움 오목부(63) 내에는 중계 커넥터(14)가 끼워지게 되어 있다. 끼움 오목부(63) 내에는, 회로 기판(17)의 가장자리(17E)에 가까운 쪽의 안쪽면으로부터 돌출된 상하 한 쌍의 위치 결정부(64)가 리브 형상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 한 쌍의 위치 결정부(64)는, 상하 방향에서 끼움 오목부(63)의 거의 중앙에 위치한다.
또한, 단자 수용부(61)의 내부에는, 출력 단자(70)를 장착(수용)하기 위한 수용홈(65)이 형성된다. 수용홈(65)은 끼움 오목부(63)를 횡단하도록 형성됨과 함께, 하우징(60)의 회로 기판(17)과의 대향면에서 회로 기판(17)의 가장자리(17E)와 직각인 수평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개구되어 있다. 수용홈(65)은, 끼움 오목부(63)에서 회로 기판(17)의 가장자리(17E)로부터 먼 쪽의 안쪽면을 깊게 함몰시킨 제1 홈부(65a)와, 제1 홈부(65a)의 안쪽 단부(가장자리(17E)로부터 가장 먼 단부)를 상하 양측으로 함몰시킨 형태의 한 쌍의 제2 홈부(65b)와, 끼움 오목부(63)에서 회로 기판(17)의 가장자리(17E)에 가까운 쪽의 안쪽면 중 한 쌍의 위치 결정부(64)의 사이 부분을 함몰시킨 형태의 제3 홈부(65c)로 구성된다.
또한, 단자 수용부(61)는, 후술하는 절연부(62)에 비하면, 회로 기판(17)의 배면을 기준으로 하는 두께가 대체로 단차상으로 두꺼워지며, 단자 수용부(61)에는 그 회로 기판(17)과는 반대쪽의 외면에서 절연부(62)쪽 가장자리의 각을 경사 45°로 잘라냄으로써 테이퍼면(61S)이 형성된다.
절연부(62)는, 단자 수용부(61)에서 회로 기판(17)의 가장자리(17E)쪽의 측면으로 이어지며, 절연부(62)가 단자 수용부(61)보다 가장자리(17E)쪽에 배치된다. 절연부(62)에서 회로 기판(17)과의 대향면은, 단자 수용부(61)에서 회로 기판(17)과의 대향면에 대해 동일한 면형상으로 연속되어 있다. 또한, 절연부(62)의 폭 치수(회로 기판(17)의 가장자리(17E)와 평행한 상하 방향의 치수)는 단자 수용부(61)의 폭 치수와 같고, 절연부(62)의 상하 두 외면은 단자 수용부(61)의 상하 두 외면에 대해 동일한 면형상으로 연속되고 있다. 절연부(62)의 수평 방향의 치수(회로 기판(17)의 가장자리(17E)와 직각인 방향의 치수)는, 단자 수용부(61)의 거의 1/2 의 치수가 된다. 절연부(62)는, 상하 한 쌍의 블록 형상을 이루는 얇은 부분(62a)과, 두 얇은 부분(62a)의 사이에 끼워진 블록 형상을 이루는 두꺼운 부분(62b)으로 이루어지고, 절연부(62)를 회로 기판(17)의 가장자리(17E)쪽에서 본 형상은 T자를 옆으로 한 형상을 이루고 있다. 두 얇은 부분(62a)에는 각각 회로 기판(17)의 배면과 직각인 가늘고 긴 금속제의 보강 핀(66)이 매립되고, 보강 핀(66)의 일단부는 얇은 부분(62a)과 회로 기판(17)의 대향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위치 결정공(17a)에 끼워진다. 보강 핀(66)과 위치 결정공(17a)의 끼움 구조는, 하우징(60)을 회로 기판(17)에 고정할 때의 보강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두꺼운 부분(62b)에는, 회로 기판(17)과는 반대쪽의 외면에 원형으로 개구되는 위치 결정 오목부(62c)가 형성된다. 위치 결정 오목부(62c)는, 도시하지 않은 커버 등을 배면쪽으로부터 전원 기판(16)에 부착할 때에 위치 결정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것이며, 그 축선은 회로 기판(17)의 배면과 직각인 방향으로 되어 있다.
[출력 단자(70)]
출력 단자(70)는,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정 형상으로 펀칭한 금속 판재를 벤딩 가공한 것으로서, 기단부(71)와 지지부(74)와 가요부(72)와 접속편(73)으로 구성되며, 단자 수용부(61)에서 회로 기판(17)과의 대향면측으로부터 수용홈(65) 내에 장착된다.
기단부(71)는 회로 기판(17)의 배면과 직각인 방향으로 가늘고 긴 사각형 판상을 이루며, 그 판면은 회로 기판(17)의 가장자리(17E)와 대체로 평행을 이루고 있다. 기단부(71)의 기단에는 폭이 좁은 접속 핀(71a)이 형성된다. 기단부(71)는 제2 홈부(65b) 내에 압입에 의해 수용되며, 기단부(71)의 가장자리에 형성한 작은 돌기가 제2 홈부(65b)의 내벽으로 파고듦으로써 출력 단자(70) 중 접속 핀(71a)을 제외한 거의 전체가 단자 수용부(61) 내에 수용된 상태로 유지된다. 접속 핀(71a)은 회로 기판(17)의 접속공(17b)을 관통해 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접속 핀(71a)을 접속공(17b)에 끼움으로써 하우징(60)이 회로 기판(17)에 고정된다.
지지부(74)는 기단부(71)보다 폭이 좁고 전체적으로 가늘고 길며, 기단부(71)의 접속 핀(71a)과는 반대쪽의 단부로부터 회로 기판(17)의 가장자리(17E)쪽을 향해 대략 직각으로 연장되며, 제1 홈부(65a) 내의 개구부로부터 먼 안쪽에 배치된다. 즉, 지지부(74)는 회로 기판(17)의 배면과 대략 평행하면서 회로 기판(17)의 가장자리(17E)와 대략 직각인 방향으로 가늘고 길다. 또한, 지지부(74)의 길이는 기단부(71)보다 짧다.
가요부(72)는 지지부(74)와 같은 폭이며 전체적으로 가늘고 길며, 지지부(74)의 연장단(기단부(71)와는 반대쪽 단부)으로부터 대략 직각으로(즉, 기단부(71)와 대략 평행을 이루도록) 연장되는 형태이다. 가요부(72)의 길이는 기단부(71)보다 약간 짧은 치수로 되어 있다. 가요부(72)는 제1 홈부(65a) 내에 수용되며, 지지부(74)에 대해 예각 또는 둔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듯한 형태로 탄성 변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접속편(73)은 가요부(72)와 같은 폭이며 전체적으로 가늘고 길며, 입구가 좁아진 대략 U자형을 이룬다. 접속편(73)은 가요부(72)의 연장단으로부터 접어 겹쳐지듯이 회로 기판(17)으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스트립부(73a)와, 제1 스트립부(73a)의 연장단으로부터 접어 겹쳐지듯이 회로 기판(17)을 향해 연장되는 제2 스트립부(73b)로 이루어진다. 이 접속편(73) 중 두 스트립부(73a, 73b)의 간격이 좁아지고 있는 부분이 끼움 오목부(63) 내에 위치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 즉, 제1 스트립부(73a)는 끼움 오목부(63)에서 회로 기판(17)의 가장자리(17E)로부터 먼 쪽의 안쪽면을 따르도록 배치되고, 일부가 제1 홈부(65a) 내에 수용되어 있다. 제2 스트립부(73b)는 끼움 오목부(63)에서 회로 기판(17)의 가장자리(17E)에 가까운 쪽의 안쪽면을 따르도록 배치되고, 일부가 제3 홈부(65c) 내에 수용(한 쌍의 위치 결정부(64)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의 전원 기판(16)은, 회로 기판(17)이 섀시(13)와 평행이 되는 자세로 배면쪽에서 섀시(13)에 접근시켜 조립된다. 중계 커넥터(14)에 대한 기판 커넥터(18)의 조립 방향은, 중계 커넥터(14)에 대한 방전관(15)의 조립 방향과는 정반대로서, 환언하면, 중계 커넥터(14)에 대한 방전관(15)의 조립 방향과 기판 커넥터(18)의 끼움 방향은 서로 평행한 방향이다. 조립에 있어서는, 중계 커넥터(14)의 벽부(27) 및 이 벽부(27)를 따라 배치되어 있는 기판용 접속부(33)가, 회로 기판(17)의 끼움공(17H)을 관통하여 기판 커넥터(18)의 끼움 오목부(63)에 삽입되어, 도 9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스트립부(73a)와 제2 스트립부(73b)의 사이에 끼어들듯이 진입하여, 벽부(27)가 제1 스트립부(73a)에 맞닿음과 함께 기판용 접속부(33)가 제2 스트립부(73b)에 맞닿고, 접속편(73)은 제1 스트립부(73a)와 제2 스트립부(73b)를 이간시키도록 탄성적으로 변형한다. 이에 따라, 중계 커넥터(14)와 기판 커넥터(18)가 끼워져 중계 단자(30)와 출력 단자(70)가 도통 가능하 게 접속되고, 전원 기판(16)과 방전관(15)이 중계 커넥터(14)를 통해 접속되어, 전원 기판(16)으로부터 방전관(15)에 대해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기판 커넥터(18)가 중계 커넥터(14)에 대해 정규의 끼움 상태에 이른 곳에서, 전원 기판(16)을 나사 고정에 의해 섀시(13)에 고정한다. 한편, 중계 단자(30)는, 끼움 오목부(63) 내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즉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끼움 오목부(63)와의 사이에 간격(clearance)(27c)을 형성한 상태로 끼워지고 있다. 그리하여, 끼움 오목부(63) 내에서 중계 단자(30)의 위치 이동이 생겼을 경우에도, 당해 중계 단자(30)와 상기 출력 단자(70)의 접속이 유지되는 치수 설계로 되어, 즉 기판용 접속부(33)와 접속편(73) 사이의 접속 마진(접속의 잉여 부분)이 간격(27c)의 폭보다 커지는 설계로 되어 있다.
[실시 형태의 작용·효과]
(1) 회로 기판(17)에 관통 형태의 끼움공(17H)을 형성하였으므로, 섀시(13)의 중계 단자(30)에 접속되는 기판 커넥터(18)를 회로 기판(17)에서 섀시(13)와 반대쪽의 배면에 배치하는 형태를 실현할 수 있다. 한편, 전자 부품(19)에 대해서는 섀시(13)와의 위치 관계에 기인하는 제약이 없기 때문에, 기판 커넥터(18)와 마찬가지로 회로 기판(17)의 배면에 실장하고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섀시(13)의 중계 단자(30)에 접속되는 전원 기판(16)을, 섀시(13)와 반대쪽인 배면만을 실장면으로 하는 편면 실장 타입이 실현된다.
(2) 출력 단자(70)는 그 전체(접속 핀(71a)을 제외함)가 하우징(60) 내에 수용되어 있으므로,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의 간섭으로부터 보호되고 있다.
(3) 중계 단자(30)는 끼움 오목부(63) 내에 진입해 출력 단자(70)에 접속되므로, 중계 단자(30)와 출력 단자(70)의 접속 부분에 대한 이물질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4) 끼움 오목부(63)의 안쪽면에 형성한 위치 결정부(64)에 출력 단자(70)를 맞물리게 함으로써, 출력 단자(70)가 회로 기판(17)의 가장자리(17E)와 평행한 상하 방향으로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규제하였으므로, 출력 단자(70)의 위치 어긋남 방지를 위해 휨강성을 높이지 않아도 된다. 이와 같이 출력 단자(70)의 휨강성을 저하시키면, 출력 단자(70)와 중계 단자(30)의 접속시에 생기는 마찰 저항이 저감되므로, 중계 단자(30)와 출력 단자(70)를 접속할 때의 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5) 출력 단자(70)를 하우징(60)에 고정된 기단부(71)와, 기단부(71)로부터(지지부(74)를 개재하여) 연장되는 탄성휨이 가능한 가요부(72)와, 가요부(72)로부터 연장되어 중계 단자(30)를 탄성적으로 협지하는 것이 가능한 대략 U자형의 접속편(73)에 의해 구성하고, 접속편(73)을 구성하는 2개의 스트립부(73a, 73b) 중 가요부(72)와 반대쪽인 자유단쪽의 제2 스트립부(73b)에만 중계 단자(30)의 기판용 접속부(33)가 접촉하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끼움 오목부(63) 내에서 중계 단자(30)의 기판용 접속부(33)가 가요부(72)쪽으로 상대적으로 위치가 어긋난 경우는, 접속편(73)의 전체(제1 스트립부(73a)와 제2 스트립부(73b)의 양쪽 모두)가 가요부(72)를 눌러 탄성휨을 발생시키면서 기판용 접속부(33)와 일체적으로 가요부(72)쪽(기단부(71)쪽)으로 이동하 므로, 기판용 접속부(33)와 제2 스트립부(73b)는 접속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는 반대로, 기판용 접속부(33)가 가요부(72)와 반대쪽인 자유단쪽으로 상대적으로 위치가 어긋난 경우는, 가요부(72)는 크게 탄성휨을 받지 않고, 자유단쪽의 제2 스트립부(73b)가 중계 단자(30)에 밀려 이동하므로, 이 경우도 기판용 접속부(33)와 제2 스트립부(73b)는 접속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 제1 스트립부(73a)는 벽부(27)로부터 이간하게 된다.
(6) 복수 개의 기판 커넥터(18)와 복수 개의 중계 단자(30)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경우는, 기판 커넥터(18)의 장착 모체인 비금속제의 회로 기판(17)과 중계 단자(30)의 장착 모체인 금속제의 섀시(13) 사이의 열팽창률의 차이 등에 기인하여, 출력 단자(70)와 중계 단자(30)가 나열 방향에서 위치 어긋남을 일으킬 것이 염려된다.
따라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출력 단자(70)의 접속편(73)을 기판 커넥터(18)의 나열 방향과 대략 직각인 방향(도 9에서의 좌우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되는 형태로 하고, 중계 단자(30)의 기판용 접속부(33)를 기판 커넥터(18)의 나열 방향(도 9에서의 상하 방향)과 평행한 평판상으로 함과 함께, 기판용 접속부(33)의 폭 치수(기판 커넥터(18)의 나열 방향과 평행한 방향의 치수)를 접속편(73)보다 큰 치수로 한 다음, 접속편(73)과 기판용 접속부(33)를 접촉시켰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기판용 접속부(33)는 기판 커넥터(18)의 나열 방향에서의 치수가 크기 때문에, 중계 단자(30)와 출력 단자(70)가 나열 방향으로 위치가 어긋나도, 접속편(73)과 기판용 접속부(33)의 접속 상태가 유지된다.
(7) 기판 커넥터(18)가 회로 기판(17)의 가장자리(17E)를 따르도록 배치되고, 출력 단자(70)에는 고전압이 인가되는 점을 감안하면, 회로 기판(17)의 가장자리(17E)에 도전체가 접근했을 때에 그 도전체와 출력 단자(70)의 사이에 리크가 발생할 것이 염려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출력 단자(70)를 합성 수지제의 하우징(60)으로 포위함과 함께, 절연부(62)를 사이에 두고 회로 기판(17)의 가장자리(17E)와 반대쪽에 위치하는 단자 수용부(61) 내에 수용함으로써, 하우징(60)에서의 가장자리(17E)와는 반대쪽의 영역에만 치우친 배치로 하였다. 이에 따라, 기판 커넥터(18)에서 회로 기판(17)의 가장자리(17E)에 가까운 부분(절연부(62))은 저전압 영역이 되고, 회로 기판(17)의 가장자리(17E)와 출력 단자(70)의 거리가 멀어지므로, 회로 기판(17)의 가장자리(17E)에 도전체가 접근해도 그 도전체와 출력 단자(70)의 사이에 리크가 발생할 우려는 없다.
(8) 하우징(60)에서 회로 기판(17)의 가장자리(17E)에 가까운 쪽이면서 출력 단자(70)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절연부(62)가, 하우징(60)의 거의 전체 폭에 걸쳐 이어진 형태의 대략 블록 형상을 이루고 있으므로, 회로 기판(17)의 가장자리(17E)로부터 출력 단자(70)쪽으로의 이물질의 접근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9) 하우징(60)에서 회로 기판(17)의 가장자리(17E)에 가까운 쪽이면서 출력 단자(70)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절연부(62)는, 회로 기판(17)에 대해 하우징(60)을 위치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 수단으로서 유효하게 기능한다.
(10) 출력 단자(70)가 회로 기판(17)의 가장자리(17E)와 대략 직각인 가늘고 긴 형태이며, 회로 기판(17)의 가장자리(17E)와 평행한 폭 방향(상하 방향)에서 하우징(60)의 거의 중앙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하우징(60)의 상하 양측으로부터의 출력 단자(70)로의 이물질의 접근을 방지하여, 접근에 기인하는 리크를 방지할 수 있다.
(11) 하우징(60) 중 출력 단자(70)가 배치되어 있는 단자 수용부(61)의 회로 기판(17)을 기준으로 하는 두께를, 출력 단자(70)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절연부(62)에 비해 단차상으로 두껍게 하였으므로, 출력 단자(70)의 형상이나 크기 설정에 있어서의 자유도가 높다.
(12) 단자 수용부(61)에서의 절연부(62)쪽의 가장자리가 테이퍼상으로 잘려져 있으므로, 기판 커넥터(18)를 커버로 덮는 경우에 커버의 개구 가장자리가 하우징(60)에 쉽게 걸리지 않는다.
(13) 출력 단자(70)에서의 외부(중계 단자(30))와의 접속 수단인 접속편(73)은, 그 기능상, 하우징(60)으로 덮어 가릴 수 없는 것이지만, 이 접속편(73)은 끼움 오목부(63)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접속편(73)이 하우징(60)의 외면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에 비해 접속편(73)에서의 리크가 발생하기 어렵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체화한 제2 실시 형태를 도 17 내지 도 28을 참조해 설명한다. 본 제2 실시 형태는, 표시 장치(D)에서 조명 장치(110)를 상기 제1 실시 형태와는 상이한 구성으로 한 것이다. 그 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구조, 작 용 및 효과의 설명은 생략한다.
[조명 장치(110)의 개요]
조명 장치(110)는,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램프 유니트(112)와 전원 기판(116)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램프 유니트(112)는, 전체적으로 가로로 긴 사각형의 판상을 이루고 반사판으로서 기능하는 금속제의 섀시(113)와, 섀시(113)의 정면쪽에 수평인 자세로 상하 방향으로 병렬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방전관(115)과, 섀시(113)의 좌우 양쪽 가장자리를 따라 각 방전관(115)과 대응하도록 상하로 나란히 배치된 복수 개의 중계 커넥터(114)를 구비한다. 전원 기판(116)은 섀시(113)의 이면쪽에 배치되고, 중계 커넥터(114)를 개재함으로써 방전관(115)에 대해 전력을 공급한다.
섀시(113)에는, 각 방전관(115)과 같은 높이이며 방전관(115)의 단부와 대응하는 위치를 정면에서 배면으로 관통시킨 형태의 대략 사각형을 이루는 복수 개의 장착공(113H)이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고, 각 장착공(113H)에는 각각 중계 커넥터(114)가 관통해 장착되어 있다(도 22 및 도 23 참조).
[중계 커넥터(114)]
중계 커넥터(114)는,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합성 수지제의 홀더(120)와, 홀더(120) 내에 수용된 금속제(예를 들면, 스텐레스스틸제)의 중계 단자(131)로 구성된다.
홀더(120)는 전체적으로 블록 형상을 이루는 상자 형상부(121)와, 상자 형상부(121)의 배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벽부(122)로 구성된다.
상자 형상부(121)에는, 그 정면으로부터 측면(섀시(113)의 측면 가장자리와는 반대쪽의 측면)에 걸쳐 개구된 수용실(123)이 형성된다. 수용실(123)의 개구부 중 정면쪽의 개구부는 정면쪽으로부터 방전관(115)의 단부(페룰(136))를 끼우기 위한 진입구(124)가 되고, 측면쪽의 개구부는 방전관(115)의 단부를 수용실(123)에 수용한 상태에서 유리관(134)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회피구(125)가 된다. 이 회피구(125)에는, 그 개구 가장자리를 안쪽을 향해 판상으로 돌출시킨 형태의 스토퍼(126)가 형성되고, 이 스토퍼(126)에 의해 회피구(125)의 개구 형상은 대략 U자형으로 좁혀진다. 대략 U자형을 이루는 회피구(125)의 상하 방향의 간격은, 페룰(136) 본체(137)의 내경보다 작고 방전관(115)의 유리관(134)의 외경과 같거나 그것보다 약간 큰 치수가 된다. 회피구(125)의 개구 가장자리에서의 안쪽 단부는 반원형의 오목부(127)가 되고, 이 오목부(127)의 곡률 반경은 유리관(134) 외주의 곡률 반경과 같거나 그것보다 약간 큰 치수가 된다. 또한, 회피구(125)의 개구 가장자리에서의 오목부(127)보다 정면쪽의 영역은 상하 한 쌍의 가이드부(128)가 된다.
또한, 상자 형상부(121)에는, 상자 형상부(121) 중 회피구(125)가 개구되어 있는 바깥쪽면으로부터 섀시(113)와 평행하게 돌출되는 돌출부(129)가 형성된다. 이 돌출부(129)는 섀시(113)의 정면과 회피구(125)의 사이를 구분하는 듯한 형태로 되어 있다. 상자 형상부(121)의 외면(상면과 하면)에는 상하 한 쌍의 걸림 돌기(130)가 형성된다.
중계 단자(131)는 홀더(120)의 내부에 있다. 중계 단자(131)는 소정 형상으 로 펀칭한 금속 판재를 벤딩 가공한 것이며, 만곡한 판조각으로 이루어지는 상하 대칭인 한 쌍의 탄성 가압편(132)과, 배면쪽으로 평판상으로 돌출되는 기판용 접속부(133)를 구비한다. 한 쌍의 탄성 가압편(132)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간되는 방향으로의 탄성휨이 허용된 상태로 수용실(123) 내에 수용되며, 한 쌍의 탄성 가압편(132)의 상하 방향의 간격은 스토퍼(126)의 오목부(127)보다 정면쪽의 위치에서 최소가 된다. 탄성 가압편(132)이 탄성휨을 받지 않은 자유 상태에서의 탄성 가압편(132)간의 최소 간격은, 방전관(115)의 페룰(136) 본체(137)의 외경보다 작은 치수가 된다. 한편, 기판용 접속부(133)는 상자 형상부(121)의 배면으로부터 홀더(120) 밖으로 노출되어, 벽부(122)를 따라 후방으로 돌출된다.
이와 같은 중계 커넥터(114)를 섀시(113)에 조립할 때에는, 도 22 및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섀시(113)의 정면쪽으로부터 장착공(113H)에 홀더(120)의 벽부(122)를 삽입하고, 상자 형상부(121)의 외면을 섀시(113)의 정면에서 장착공(113H)의 개구 가장자리에 맞닿게 함과 함께, 걸림 돌기(130)를 섀시(113)의 배면에서 장착공(113H)의 개구 가장자리에 맞물리게 한다. 이에 따라, 섀시(113)가 상자 형상부(121)의 외면과 걸림 돌기(130)에 의해 앞뒤에서 협지되고, 따라서 홀더(120)가 섀시(113)에 대해 조립 방향(장착공(113H)의 관통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로 고정되어 중계 커넥터(114)가 섀시(113)에 조립된다. 중계 커넥터(114)가 섀시(113)에 조립된 상태에서는, 홀더(120)의 전단쪽 부분을 구성하는 상자 형상부(121)가 섀시(113)의 정면쪽으로 돌출(노출)됨과 함께, 홀더(120)의 후단쪽인 벽부(122)가 섀시(113)의 배면쪽으로 돌출(노출)된다.
[방전관(115)]
방전관(115)은,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냉음극선관으로 이루어지고, 전체적으로 가늘고 길며 단면이 원형인 직선상의 유리관(134)과, 유리관(134)의 양단으로부터 유리관(134)과 동축상이면서 직선상으로 돌출되는 단면이 원형인 가늘고 긴 금속제(예를 들면, 니켈계 혹은 코발트계의 금속)의 외부 리드(135)와, 유리관(134)의 양단부에 장착되는 페룰(136)로 구성된다. 유리관(134)의 내부에는 수은이 밀봉되고, 유리관(134)의 양단부는 가열해 용융시킴으로써 대체로 반구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외부 리드(135)는 이 반구부를 관통한다.
페룰(136)은, 도 25 내지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정 형상으로 펀칭된 금속제(예를 들면, 스텐레스스틸제)의 판재에 벤딩 가공이나 해머링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된 단일 부품이다. 페룰(136)은 1개의 본체(137)와 1개의 도전편(140)을 구비한다. 본체(137)는 전체적으로 유리관(134)과 동심의 원통형을 이루고, 본체(137)의 내경은 유리관(134)의 외경보다 조금 큰 치수로 설정된다.
본체(137)에는, 그 일부를 슬릿상으로 절개함으로써 세 쌍의 탄성 지지편(138A, 138B)이 둘레 방향에서 등 각도의 피치로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쌍을 이루는 탄성 지지편(138A, 138B) 중 한 쪽인 제1 탄성 지지편(138A)은, 전체적으로 후방(자세하게는, 지름 방향 안쪽으로 약간 경사 방향)으로 외팔보 형상으로 연장된 형태이며, 그 기단(전단)을 받침점으로 하여 지름 방향으로 탄성휨이 발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제1 탄성 지지편(138A)의 연장 단부(후단부)에는, 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비스듬하게 굴곡된 굴곡부(139)가 형성되고, 이 굴곡부(139) 의 굴곡의 바깥쪽면(즉, 안쪽에 면하는 면)은 유리관(134)의 외주면에 맞닿는 접점이 된다. 이 3개의 제1 탄성 지지편(138A)의 접점을 연결하는 가상 원은 본체(137)와 동심의 원형이며, 이 가상 원의 지름 치수는 제1 탄성 지지편(138A)에 탄성휨이 발생하지 않은 자유 상태일 때에 유리관(134)의 외경보다 작은 치수가 된다.
쌍을 이루는 탄성 지지편(138A, 138B)의 다른 한 쪽인 제2 탄성 지지편(138B)은, 제1 탄성 지지편(138A)에 대해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도록 배치되고, 전체적으로 제1 탄성 지지편(138A)과 반대로 전방(자세하게는, 지름 방향 안쪽으로 약간 경사 방향)으로 외팔보 형상으로 연장된 형태가 되어, 그 기단(후단)을 받침점으로 하여 지름 방향으로 탄성휨이 발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제2 탄성 지지편(138B)의 연장단은 유리관(134)의 외주면에 맞닿는 접점이 되고, 이 3개의 제2 탄성 지지편(138B)의 접점을 연결하는 가상 원은 본체(137)와 동심의 원형이며, 이 가상 원의 지름 치수는 제2 탄성 지지편(138B)에 탄성휨이 발생하지 않은 자유 상태일 때에 유리관(134)의 외경보다 작은 치수가 된다.
본체(137)에는, 그 전단 가장자리로부터 전방으로 외팔보 형상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보호편이 형성된다. 한 쌍의 보호편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본체(137)에 대해 동일한 면형상을 이루며 직선적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이 한 쌍의 보호편의 사이에서 도전편(140)이 전방으로 외팔보 형상으로 연장된다. 도전편(140)은, 본체(137)의 전단에 이어지는 가늘고 긴 부분(141)과, 가늘고 긴 부분(141)의 전단(연장단)에서 더욱 전방으로 돌출되는 통형상부(142)로 이루어진다.
가늘고 긴 부분(141)은, 본체(137)에 대해 동일한 면형상이며 본체(137)로부 터 그 축선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기단부(141a)와, 기단부(141a)의 연장단으로부터 본체(137)의 축선을 향해 지름 방향 안쪽으로 연장되는 중간부(141b)와, 중간부(141b)의 연장단으로부터 본체(137)의 축선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선단부(141c)로 이루어지며, 선단부(141c)의 연장단에 통형상부(142)가 이어진다. 가늘고 긴 부분(141)의 폭 치수는 가늘고 긴 부분(141)의 길이 치수에 대해 충분히 작고, 따라서, 가늘고 긴 부분(141)은 본체(137)의 지름 방향으로의 탄성 변형, 지름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가늘고 긴 부분(141)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탄성 변형, 및 가늘고 긴 부분(141) 자신을 축으로 하는 탄성적인 비틀림 변형이 가능해진다.
통형상부(142)는, 가늘고 긴 부분(141)의 연장단으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출시킨 부분을 원통형으로 벤딩 가공한 것이며, 축선은 대체로 본체(137)와 동축상으로 배치된다. 이와 같은 통형상부(142)는 가늘고 긴 부분(141)에 탄성휨을 발생시키면서 페룰(136)의 축 둘레 방향 및 지름 방향으로 변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페룰(136)과 유리관(134)의 조립]
다음으로, 페룰(136)을 유리관(134)에 조립하는 공정을 설명한다.
조립에 있어서는, 유리관(134)과 페룰(136)을 각각 파지 장치(미도시)로 잡은 상태에서, 페룰(136)과 유리관(134)을 동축상에서 상대적으로 접근시켜 본체(137)를 유리관(134)의 바깥에 끼운다. 본체(137)가 끼워지기 시작하면, 세 쌍의 탄성 지지편(138A, 138B)의 연장 단부의 접점이 유리관(134)의 외주에 대해 탄성적으로 맞닿고, 조립이 진행됨에 따라 접점이 유리관(134)의 외주면상을 슬라이딩한 다. 그리고, 본체(137)를 관통한 외부 리드(135)의 선단이 통형상부(142)의 중공 내에 진입하기 시작한다. 이 후, 쌍방의 파지 장치가 소정의 조립 위치에 이르면, 페룰(136)과 유리관(134)이 축선 방향에서 정규의 조립 위치에 위치 결정되어, 외부 리드(135)의 선단부가 전체 둘레에 걸쳐 통형상부(142)로 포위된 상태가 된다. 이때, 외부 리드(135)의 선단부는 통형상부(142)의 선단으로부터 크게 돌출되지 않고, 통형상부(142)로부터 조금 돌출하거나 통형상부(142)의 선단과 거의 같은 위치, 혹은 통형상부(142)의 내부에 위치한다.
그 다음은, 통형상부(142)를 축경 변형되도록 클램핑하고, 클램핑된 통형상부(142)와 외부 리드(135)가 용접에 의해 전기적 도통이 가능하게 고착되어, 페룰(136)과 유리관(134)이 일체화된다. 이상에 의해, 조립이 완료되고 방전관(115)이 완성된다.
페룰(136)과 유리관(134)이 조립된 상태에서는, 세 쌍의 탄성 지지편(138A, 138B)에 의한 탄성적인 지지 작용에 의해 본체(137)가 유리관(134)에 대해 거의 동심상으로 유지되고, 유리관(134)의 외주와 본체(137)의 내주 사이에는 거의 전체 둘레에 걸쳐 간극(공기층)이 확보된다.
한편, 도 36 및 도 3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형상부(142)를 U자 형상의 접속부(142a)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페룰(136)에 유리관(134)을 끼운 다음, U자 형상의 접속부(142a)를 외부 리드(135)에 따라 벤딩 가공함으로써, 외부 리드(135)와 접속부(142a)의 전기적 접속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U자 형상의 접속부(142a)를 벤딩 가공하는 형태에 의하면, 외부 리드(135)에 대한 전기적 접속성이 한층 양 호한 것이 된다.
[중계 커넥터(114)에 대한 방전관(115)의 장착]
상기와 같이 하여 제조된 방전관(115)은 중계 커넥터(114)에 장착된다. 장착에 있어서는, 방전관(115)을 수평으로 향한 상태로 섀시(113)의 정면에 접근시켜, 유리관(134)의 양단부와 페룰(136)을 중계 커넥터(114)의 수용실(123)에 대해 정면쪽에서 끼워넣는다. 이때, 한 쌍의 탄성 가압편(132)이 페룰(136)의 본체(137)에 의해 상하로 벌려지도록 탄성휨을 받고, 본체(137)가 한 쌍의 탄성 가압편(132)의 최소 간격 부분을 통과한 후에는, 두 탄성 가압편(132)이 그 탄성 복원력에 의해 본체(137)를 수용실(123)의 안쪽으로 끌어당겨 본체(137)를 수용실(123)의 바닥부에 맞닿게 함으로써, 방전관(115)의 장착이 완료된다.
장착된 방전관(115)은 그 양단부에서 한 쌍의 탄성 가압편(132)에 지지되고, 중계 단자(131)와 이 중계 단자(131)의 장착 모체인 홀더(120)를 통해 섀시(113)에 장착된다. 이 상태에서 방전관(115)의 중량은, 중계 커넥터(114)를 통해 섀시(113)에 작용할 뿐으로, 외부 리드(135)에 대해 방전관(115)의 중량이 부하로서 작용하지는 않는다.
또한, 한 쌍의 탄성 가압편(132)이 본체(137)의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하고, 이에 따라 외부 리드(135)가 페룰(136)을 통해 중계 단자(131)에 전기적 도통이 가능하게 접속된다. 또한, 한 쌍의 탄성 가압편(13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유리관(134)이 스토퍼(126)의 오목부(127)에 밀어 붙여진 상태로 유지되어, 방전관(115)의 축방향에서 보았을 때에는 본체(137)의 일부가 스토퍼(126)와 중첩되도 록 위치한다. 즉, 본체(137)에서 도전편(140)과는 반대쪽단 가장자리의 일부가 스토퍼(126)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접근해 대향하는 상태가 된다.
또한, 홀더(120)의 외면 중 섀시(113)의 판면과 직각이고 수용실(123)의 회피구(125)가 개구되는 외면에는, 섀시(113)와 회피구(125) 사이의 부분을 섀시(113)의 판면을 따라 돌출시킨 형태의 돌출부(129)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용실(123)의 내부로부터 섀시(113)의 정면에 이르는 연면(沿面) 거리가 멀어진다. 따라서, 수용실(123) 내의 방전관(115)으로부터 홀더(120) 바깥의 섀시(113)로의 리크가 방지된다.
[전원 기판(116)의 개요]
전원 기판(116)은,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면(섀시(113)와 반대쪽 면)에 회로가 형성된 회로 기판(117)과, 회로 기판(117)의 배면에 실장된 전자 부품(119)과, 회로 기판(117)의 배면에 장착된 복수의 기판 커넥터(118)를 구비한다.
회로 기판(117)은 전체적으로 세로로 긴 사각형을 이루며, 종이 기재 페놀 수지 동박 적층판(종이 페놀이라고 칭해진다)이 이용된다. 회로 기판(117)에는, 세로로 긴 사각형을 이루는 복수의 끼움공(117H)이 정면쪽에서 배면쪽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복수의 끼움공(117H)은, 상기한 중계 단자(131)(중계 커넥터(114))와 대응하도록, 회로 기판(117)의 좌우 양쪽 가장자리를 따라 상하로 나란히 배치된다. 기판 커넥터(118)는, 합성 수지제의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전체가 수용된 금속제(예를 들면, 양은 합금제)의 출력 단자(미도시)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각 끼움공(117H)과 대응하도록 회로 기판(117)의 좌우 양쪽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다. 하 우징의 외면에는 끼움공(117H)과 대응하는 끼움 공간(미도시)이 형성되고, 끼움 공간 내에 출력 단자의 일부가 드러나 있다.
전원 기판(116)은 회로 기판(117)이 섀시(113)와 평행한 자세로 배면쪽으로부터 섀시(113)에 접근시켜 조립된다. 조립에 있어서는, 중계 커넥터(114)의 벽부(122) 및 이 벽부(122)를 따라 배치된 기판용 접속부(133)가, 회로 기판(117)의 끼움공(117H)을 관통해 기판 커넥터(118)의 끼움 오목부(127)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중계 커넥터(114)와 기판 커넥터(118)가 끼워져, 중계 단자(131)와 출력 단자가 도통 가능하게 접속된다.
[제2 실시 형태의 작용·효과]
본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방전관(115)을 중계 커넥터(114)에 지지한 상태로 페룰(136)이 스토퍼(126)에 맞물리게 되므로, 방전관(115)이 중계 커넥터(114)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이동할 염려는 없다. 즉, 방전관(115)에 대해 오른쪽 방향으로의 이동력이 부여된 경우에는, 방전관(115)의 좌측 단부에 조립된 페룰(136)이 스토퍼(126)에 대해 좌측으로부터 걸리게 되므로, 방전관(115)의 우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방전관(115)에 대해 왼쪽 방향으로의 이동력이 부여된 경우에는, 방전관(115)의 우측 단부에서 페룰(136)이 스토퍼(126)에 대해 우측으로부터 걸리게 되므로, 방전관(115)의 좌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와 같이 방전관(115)은, 그 축선을 따른 좌우 어느 방향으로의 이동도 규제되므로, 외부 리드(135)의 선단이 수용실(123)에서 회피구(125)와 반대측의 벽부(122)에 부딪힐 우려가 없다.
또한, 스토퍼(126)는 페룰(136)의 끝 가장자리에 맞물리게 되므로, 페룰(136)의 외주에 스토퍼(126)를 걸기 위한 구멍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어, 가공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페룰(136)의 강도 저하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126)가 페룰(136)의 도전편(140)쪽 끝 가장자리에 맞물리는 구조인 경우, 페룰(136)의 둘레 방향에서의 향하는 방향에 따라서는, 페룰(136)의 끝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도전편(140)이 방해가 되어 페룰(136)의 끝 가장자리와 스토퍼(126)가 맞물리지 않을 염려가 있지만, 본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스토퍼(126)가 도전편(140)과는 반대쪽의 끝 가장자리에 맞물리게 되므로, 도전편(140)에 방해받아 페룰(136)과 스토퍼(126)가 맞물리지 않게 될 우려가 없고, 페룰(136)과 스토퍼(126)를 확실히 맞물리게 할 수 있다.
또한, 도전편(140)에는, 외부 리드(135)에 대해 전체 둘레에 걸쳐 포위하듯이 접속되는 통형상부(14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전편(140)이 외부 리드(135)로부터 벗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통형상부(142)를 쥘 때에, 통형상부(142)가 외부 리드(135)로부터 벗어나지 않아, 도전편(140)과 외부 리드(135)를 확실히 접속시킬 수 있다.
또한, 페룰(136)과 스토퍼(126)의 맞물림 마진은, 유리관(134)의 외경과 페룰(136)의 외경의 치수 차이의 1/2에 상당하는 것이지만, 본 제2 실시 형태에서는, 탄성 지지편(138A, 138B)에 의해 페룰(136)을 유리관(134)에 대해 동심상으로 유지하도록 하므로, 페룰(136)을 크게 하여 그 내경과 유리관(134)의 외경의 치수 차이를 크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페룰(136)과 스토퍼(126)의 맞물림 마진을 증대시켜, 방전관(115)의 이동을 확실히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126)에는 스토퍼(126)에 페룰(136)을 맞물린 상태에서 유리관(134)의 외주를 맞닿게 하는 오목부(127)가 형성되고, 중계 커넥터(114)에는 방전관(115)을 오목부(127)쪽으로 가압 가능한 한 쌍의 탄성 가압편(132)이 설치되어, 이 한 쌍의 탄성 가압편(132)은 경사 상방 및 경사 하방으로부터 상하 대칭으로 방전관(115)을 오목부(127)쪽으로 가압하므로, 유리관(134)이 오목부(127)로부터 벗어날 우려가 없고, 페룰(136)을 스토퍼(126)에 대해 확실히 맞물리게 할 수 있다.
또한, 중계 커넥터(114)는 합성 수지제의 홀더(120) 내에 중계 단자(131)를 조립한 형태인데, 본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스토퍼(126)를 합성 수지제의 홀더(120)에 형성하므로, 중계 단자(131)에 스토퍼를 형성할 필요가 없고, 그만큼 중계 단자(131)의 제조에 필요로 하는 재료가 적어도 된다. 일반적으로 합성 수지가 금속에 비해 재료비가 저렴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본 제2 실시 형태에 의하면 중계 커넥터(114)의 재료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체화한 제3 실시 형태를 도 29 내지 도 35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제3 실시 형태는, 방전관(115)을 지지하기 위한 수단을 상기 제2 실시 형태와는 상이한 구성으로 한 것이다. 그 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구조, 작용 및 효과의 설명은 생략한다.
[접지 부재(150)의 개요]
상기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방전관(115)의 양단부를 홀더(120)와 중계 단자(131)로 이루어지는 중계 커넥터(114)에 의해 지지했지만, 본 제3 실시 형태에서는, 도 29 내지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방전관(115)의 양단부 중 일단부는 제2 실시 형태와 같은 중계 커넥터(114)로 지지하는데 반해, 방전관(115)의 타단부에 대해서는 접지 부재(150)에 의해 지지하고 있다.
접지 부재(150)는, 도 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섀시(113)의 한 쪽 가장자리를 따라 장착한 가늘고 긴 지지판(151)과, 이 지지판(151)의 정면에 도통 가능하게 장착된 복수의 접지 단자(152)로 구성된다. 지지판(151)에는, 각 접지 단자(152)와 대응하여 3개씩 장착공(151H)이 관통해 형성된다. 한편, 지지판(151)은 기판이나 금속판에 의해 구성된다.
한편, 접지 단자(152)는, 도 3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정 형상으로 펀칭한 금속제(예를 들면, 양은 합금)의 판재에 벤딩 가공을 실시한 것이며, 베이스부(153)와, 베이스부(153)의 상하 양 가장자리에서 정면쪽으로 연장되는 상하 대칭인 한 쌍의 탄성 가압편(154)과, 베이스부(153)의 한 쪽 가장자리에서 정면쪽으로 연장되는 스토퍼(155)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한 쌍의 탄성 가압편(154)은, 스토퍼(155)와는 반대쪽의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상대쪽의 탄성 가압편(154)쪽으로 부풀어 오르듯이 만곡된 형상을 이루고 있다. 탄성 가압편(154)은, 그 간격을 벌리도록 탄성휨을 받을 수 있으며, 탄성 가압편(154)이 탄성휨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의 한 쌍의 탄성 가압편(154)의 최소 간격 은, 방전관(115)의 유리관(134) 외경보다 작은 치수가 된다.
스토퍼(155)는, 베이스부(153)로부터 방전관(115)의 축선과 직각으로 일어서 있으며, 스토퍼(155)에는 거의 원호상으로 함몰된 형태의 오목부(156)가 형성된다. 제2 실시 형태의 중계 커넥터(114)에서는, 스토퍼(126)의 오목부(127)의 상하 양측에 한 쌍의 가이드부(128)가 형성되어 있었지만, 본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오목부(156)의 상하 양측은 베이스부(153)로부터의 상승 치수가 작게 억제되어 있고, 제2 실시 형태의 가이드부(128)에 상당하는 수단은 마련되지 않았다. 따라서, 가이드부를 마련한 것과 비교하면, 접지 단자(152)에 필요한 금속 재료는 적어졌다.
또한, 베이스부(153)에는 3개의 다리(157)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3개 중 2개의 다리(157)는, 탄성 가압편(154)과 스토퍼(155)의 사이에, 베이스부(153)의 상하 양 가장자리에서 탄성 가압편(154) 및 스토퍼(155)와는 반대쪽(이면쪽)으로 돌출되며, 나머지 1개의 다리(157)는 베이스부(153)에서 스토퍼(155)와는 반대쪽의 가장자리에 있는 두 탄성 가압편(154)의 중간 위치에서 탄성 가압편(154) 및 스토퍼(155)와는 반대쪽(이면쪽)으로 돌출된다.
이와 같은 접지 단자(152)는, 도 3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합성 수지제의 하우징 등의 부재에는 수용되지 않고, 노출 상태인 채로 다리(157)를 장착공(151H)에 관통시켜 납땜 등에 의해 지지판(151)에 대해 도통 가능하게 고착된다. 이에 따라, 한 장의 지지판(151)에 장착된 복수의 접지 단자(152)는, 지지판(151)을 통해 서로 도통 가능하게 접속되게 된다. 또한, 접지 부재(150)에는 전원 기판은 접속되지 않고, 지지판(151)은 섀시에 대해 도통 가능하게 접속된다.
[접지 단자(152)에 대한 방전관(115)의 장착]
방전관(115)을 접지 단자(152)에 장착할 때에는, 도 3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방전관(115)을 수평으로 향한 상태로 섀시(113)의 정면에 접근시켜, 유리관(134)의 단부와 페룰(136)을 상하 한 쌍의 탄성 가압편(154)의 사이에 정면쪽에서 끼워넣는다. 이때, 한 쌍의 탄성 가압편(154)이 페룰(136)의 본체(137)에 의해 상하로 벌어지도록 탄성휨을 받고, 본체(137)가 한 쌍의 탄성 가압편(154)의 최소 간격 부분을 통과한 후는, 두 탄성 가압편(154)이 그 탄성 복원력에 의해 본체(137)를 베이스부(153)쪽으로 끌어당겨 본체(137)를 베이스부(153)에 맞닿게 함으로써, 방전관(115)의 장착이 완료된다. 한편, 방전관(115) 반대쪽의 단부는, 상기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중계 커넥터(114)에 장착된다.
장착된 방전관(115)은, 그 양단부에서 중계 커넥터(114)와 접지 부재(150)에 의해 지지된다. 한 쌍의 탄성 가압편(132, 154)이 페룰(136) 본체(137)의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므로, 외부 리드(135)가 페룰(136)을 통해 중계 단자(131)와 접지 단자(152)에 전기적 도통이 가능하게 접속된다. 또한, 한 쌍의 탄성 가압편(154)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유리관(134)이 스토퍼(126, 155)의 오목부(127, 156)에 밀어 붙여진 상태로 유지되어, 방전관(115)의 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는, 본체(137)의 일부가 스토퍼(126, 155)와 중첩되도록 위치한다. 즉, 본체(137)에서의 도전편(40)과는 반대쪽 단 가장자리의 일부가 스토퍼(126, 155)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접근해 대향하는 상태가 된다.
한편, 도 38 및 도 3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지 단자(152)에 대해 보호 부(551)를 마련해도 된다. 이 보호부(551)는, 탄성 가압편 규제부(552)와 지지판 당접부(553)를 구비하고, 접지 단자(152)가 지지판(151)에 장착되어 고정되었을 때에, 지지판 당접부(553)는 지지판(151)에 당접 또는 근접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탄성 가압편(154)에 그것을 벌리려는 어떠한 외력이 가해졌을 경우, 벌어지는 과정에서 우선 탄성 가압편 규제부(552)에 맞닿는다. 그 후, 그 이상의 부하가 가해졌을 경우, 지지판 당접부(553)는 보호부(551)가 넘어지지 않게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보호부(551)는 탄성 가압편(154)의 기부에 연결되어 있어, 지지판 당접부(553)를 기능시키려면 지지판 당접부(553)를 그 연결된 부분보다 바깥쪽에 구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지지판 당접부(553)를 보다 바깥쪽에 구성함으로써 한층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제3 실시 형태의 작용·효과]
본 제3 실시 형태에서는, 방전관(115)이 중계 커넥터(114)와 접지 부재(150)에 지지된 상태로, 방전관(115) 양단의 페룰(136)이 홀더(120)의 스토퍼(126)와 접지 단자(152)의 스토퍼(155)에 맞물리게 되므로, 방전관(115)이 중계 커넥터(114)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이동할 우려가 없다.
즉, 방전관(115)에 대해 중계 커넥터(114)쪽에서 접지 부재(150)쪽으로 이동력이 부여된 경우에는, 방전관(115)의 중계 커넥터(114)쪽 단부에 장착된 페룰(136)이 홀더(120)의 스토퍼(126)에 맞물리게 됨으로써, 방전관(115)의 접지 부재(150)쪽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방전관(115)에 대해 접지 부재(150)쪽에서 중계 커넥터(114)쪽으로 이동력이 부여된 경우에는, 방전관(115)의 접지 부재(150)쪽 단 부에서 페룰(136)이 접지 단자(152)의 스토퍼(155)에 맞물리게 되므로, 방전관(115)의 중계 커넥터(114)쪽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와 같이 방전관(115)은, 그 축선을 따른 좌우 어느 방향으로의 이동도 규제되므로, 외부 리드(135)의 선단이 수용실(123)에서 회피구(125)와는 반대쪽의 벽부나, 섀시(113)의 측벽에 부딪힐 우려가 없다.
또한, 접지 단자(152)의 스토퍼(155)에는, 스토퍼(155)에 페룰(136)을 맞물린 상태에서 유리관(134)의 외주와 맞닿는 오목부(156)가 형성되고, 접지 단자(152)에는 방전관(115)을 오목부(156)쪽으로 가압 가능한 한 쌍의 탄성 가압편(154)이 마련되는데, 이 한 쌍의 탄성 가압편(154)은 경사 상방 및 경사 하방으로부터 상하 대칭으로 방전관(115)을 오목부(156)쪽으로 가압하므로, 유리관(134)이 오목부(156)로부터 벗어날 우려가 없고, 페룰(136)을 스토퍼(155)에 대해 확실히 맞물리게 할 수 있다.
또한, 접지 부재(150)에서는, 스토퍼(155)가 페룰(136)과의 도통 수단인 접지 단자(152)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접지 단자와는 별개의 부품인 스토퍼를 마련한 것과 비교하면, 본 제3 실시 형태에서는 부품수가 적어도 된다.
〈다른 실시 형태〉
본 발명은 상기 기술 및 도면에 의해 설명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실시 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출력 단자는 암형으로 한정하지 않고, 수형이라도 된다. 수형인 경우, 출력 단자의 일부가 끼움공을 관통해 회로 기판의 정면쪽으로 돌출되어 있어도 된 다.
(2) 끼움공에 관통되는 단자는 중계 단자만으로 한정하지 않고, 출력 단자만이 끼움공을 관통하는 형태나 중계 단자와 출력 단자의 양쪽 모두가 끼움공을 관통하는 형태로 해도 된다.
(3) 출력 단자의 접속편은, 탄성휨이 가능한 형태의 것으로 한정하지 않고, 탄성휨이 가능하지 않은 형태의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중계 단자에서의 기판용 접속부는, 탄성휨 되지 않는 형태라도 되고, 탄성휨 되는 형태라도 된다.
(4) 출력 단자의 위치 어긋남 방지 방법으로는, 위치 결정부에 맞물리게 하는 수단에 한정하지 않고, 출력 단자의 휨강성을 높여도 된다.
(5) 중계 단자와 출력 단자의 위치 어긋남을 흡수하는 수단으로, 중계 단자를 기판 커넥터의 나열 방향과 대략 직각인 가늘고 긴 형태로 하고, 출력 단자를 나열 방향과 평행한 판상으로 해도 된다.
(6) 출력 단자는 기판 커넥터의 하우징 중 회로 기판의 가장자리에 가까운 쪽에 치우친 배치로 해도 되고, 하우징에서 회로 기판의 가장자리에 가까운 쪽의 단부와 회로 기판의 가장자리로부터 먼 쪽의 가장자리에 걸쳐 배치해도 된다.
(7) 기판 커넥터는 하우징을 마련하지 않고, 출력 단자를 노출하여 회로 기판에 장착한 형태라도 된다.
(8) 전원 기판의 회로 기판은 종이 기재 페놀 수지 동박 적층판에 한정하지 않고, 유리 에폭시제나 세라믹제의 판재라도 된다.
(9) 출력 단자는 금속재를 소정 형상으로 펀칭 가공만을 실시하고 벤딩 가공 을 실시하지 않은 것이라도 된다.
(10)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은 스위칭 소자가 TFT인 것에 한정하지 않고, 스위칭 소자가 MIM(Metal Insulator Metal) 등 TFT 이외의 것이라도 된다.
(11) 표시 장치로는 액정 표시 장치에 한정하지 않고, 표시 패널의 배면쪽에 조명 장치를 필요로 하는 여러 가지의 표시 장치가 포함된다.
(12) 하우징의 재료로는 합성 수지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합성 수지 이외의 절연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9)

  1. 평판상인 섀시의 배면쪽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섀시와 평행한 회로 기판과, 상기 회로 기판에 장착되는 기판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섀시에 마련한 중계 단자에 대해 상기 기판 커넥터의 출력 단자를 접속함으로써, 상기 섀시의 정면쪽에 배치한 방전관에 대해 전력을 공급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회로 기판에 그 정면에서 배면으로 관통하는 끼움공이 형성되고, 상기 기판 커넥터가 상기 회로 기판의 배면에서 상기 끼움공과의 대응 위치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기판 커넥터는, 절연성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 내에 상기 출력 단자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한 형태이고,
    상기 기판 커넥터가 상기 회로 기판의 가장자리를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출력 단자가,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가장자리와 반대쪽의 영역에만 치우친 배치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기판.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끼움공과 대응하도록 개구되는 끼움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 오목부 내에 상기 출력 단자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끼움 오목부 내에 상기 중계 단자를 끼워넣은 상태에서, 상기 중계 단자와 상기 출력 단자가 접속되는 것으로서,
    상기 중계 단자가 상기 끼움 오목부 내에 위치 이동 가능한 상태로 끼워넣어져, 위치 이동이 생겼을 경우에도 상기 중계 단자와 상기 출력 단자의 접속이 유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기판.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단자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기단부와, 상기 기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탄성휨이 가능한 가요부와, 상기 가요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중계 단자를 탄성적으로 협지하는 것이 가능한 U자형의 접속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편을 구성하는 2개의 스트립부 중 상기 가요부와 반대쪽인 자유단쪽의 스트립부에만 상기 중계 단자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기판.
  7. 제1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기판 커넥터가, 복수 개의 상기 중계 단자와 대응하도록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출력 단자가, 상기 기판 커넥터의 나열 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되는 접속편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접속편보다 광폭이며 상기 기판 커넥터의 나열 방향과 평행한 판상을 이루는 상기 중계 단자에 대해 상기 접속편이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기판.
  8. 삭제
  9. 평판상인 섀시의 배면쪽에 장착되는 전원 기판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출력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섀시와 평행한 회로 기판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섀시에 마련한 중계 단자에 대해 상기 출력 단자를 접속시킴으로써, 상기 섀시의 정면쪽에 배치한 방전관에 대해 전력을 공급하게 되어 있는 기판 커넥터로서,
    상기 회로 기판의 배면에 장착되고, 또한 상기 회로 기판에 그 정면에서 배면으로 관통하도록 형성한 끼움공과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절연성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하우징 내에 상기 출력 단자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한 형태이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회로 기판의 가장자리를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출력 단자가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가장자리와 반대쪽의 영역에만 치우친 배치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10. 삭제
  11. 삭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끼움공과 대응하도록 개구되는 끼움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 오목부 내에 상기 출력 단자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끼움 오목부 내에 상기 중계 단자를 끼워넣은 상태로, 상기 중계 단자와 상기 출력 단자가 접속되며,
    상기 중계 단자가 상기 끼움 오목부 내에 위치 이동 가능한 상태로 끼워넣어져, 상기 위치 이동이 생겼을 경우에도 상기 중계 단자와 상기 출력 단자의 접속이 유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13. 삭제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단자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기단부와, 상기 기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탄성휨이 가능한 가요부와, 상기 가요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중계 단자를 탄성적으로 협지하는 것이 가능한 U자형의 접속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편을 구성하는 2개의 스트립부 중 상기 가요부와 반대쪽인 자유단쪽의 스트립부에만 상기 중계 단자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복수 개의 상기 중계 단자와 대응하도록 나란히 복수 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출력 단자가, 나열 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되는 접속편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접속편보다 광폭이며 상기 나열 방향과 평행한 판상을 이루는 상기 중계 단자에 대해 상기 접속편이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16. 삭제
  17. 평판상의 섀시;
    상기 섀시의 정면쪽에 장착되는 방전관; 및
    제1항, 제4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원 기판;을 구비하고 있는 표시 장치용의 조명 장치.
  18. 제17항에 기재된 표시 장치용의 조명 장치; 및
    상기 조명 장치의 정면쪽에 배치되는 표시 패널;을 구비하고 있는 표시 장치.
  19. 제18항에 기재된 표시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텔레비전 수신 장치.
KR1020087030764A 2006-06-30 2007-05-24 전원 기판, 기판 커넥터,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 KR1009812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81487 2006-06-30
JPJP-P-2006-181487 2006-06-30
JP2007021203 2007-01-31
JPJP-P-2007-021203 2007-01-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6290A KR20090026290A (ko) 2009-03-12
KR100981211B1 true KR100981211B1 (ko) 2010-09-10

Family

ID=38845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30764A KR100981211B1 (ko) 2006-06-30 2007-05-24 전원 기판, 기판 커넥터,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482680B2 (ko)
EP (1) EP2045519B1 (ko)
JP (1) JP4647691B2 (ko)
KR (1) KR100981211B1 (ko)
CN (1) CN101473170B (ko)
TW (1) TW200815707A (ko)
WO (1) WO20080015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50931B (en) 2007-09-12 2011-10-21 Au Optronics Corp Backlight structure
MX2010005692A (es) * 2007-12-27 2010-06-21 Sharp Kk Conector de rele, estructura de montaje de conector de rele y chasis, estructura de montaje de conector de rele y fuente de energia, estructura de montaje de tubo de descarga y fuente de energia a conector de rele, dispositivo de iluminacion para dis
TWI382230B (zh) 2008-02-05 2013-01-11 Au Optronics Corp 燈管連接結構
CN102472441A (zh) * 2009-07-02 2012-05-23 夏普株式会社 照明装置、显示装置以及电视接收装置
CN201927740U (zh) * 2010-06-14 2011-08-1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灯管连接器
JP5801116B2 (ja) * 2011-06-29 2015-10-2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を備えるモジュール
WO2013063475A1 (en) * 2011-10-26 2013-05-02 Amerlux, Llc Led connector
US9065187B2 (en) 2012-10-26 2015-06-23 Amerlux Llc LED connector
CN103297733B (zh) * 2013-04-03 2016-05-04 深圳市兆驰股份有限公司 电视机及其生产组装工艺
CN105333405B (zh) * 2014-08-13 2020-03-24 朗德万斯公司 电连接装置和照明装置
JP6331887B2 (ja) * 2014-08-29 2018-05-30 日本精機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1626368B1 (ko) * 2014-12-31 2016-06-01 주식회사 연호전자 커넥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KR101900789B1 (ko) 2018-03-28 2018-09-20 강신중 단자 연결구조를 구비하는 led 램프
CN111557064A (zh) * 2018-06-01 2020-08-18 加藤宣和 配线构造、照明装置及配线构造的制造方法
USD950508S1 (en) * 2020-03-05 2022-05-03 Lg Electronics Inc. Television receiver
US11807160B2 (en) 2021-12-02 2023-11-07 Honda Motor Co., Ltd. Push-in nut lighting assembl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528A (ja) * 1994-07-18 1996-02-02 Hosiden Corp コネクタ及びプリント基板間接続機構
JP2004294592A (ja) * 2003-03-26 2004-10-21 Tdk Corp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37271B (ko) 1968-08-22 1900-01-01
US3860313A (en) * 1971-04-23 1975-01-14 Jermyn Thomas Circuit board
US3975072A (en) * 1974-04-15 1976-08-17 Elfab Corporation Low profile integrated circuit connector and method
JPH0644062U (ja) * 1992-11-18 1994-06-10 エスエムケイ株式会社 プリント基板間の接続構造
JPH07235361A (ja) 1993-12-29 1995-09-05 Amp Japan Ltd テープキャリア型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CN1100372C (zh) * 1996-06-19 2003-01-29 任天堂株式会社 连接器组合体
JP3118699B2 (ja) * 1997-04-16 2000-12-1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液晶用バックライトソケット
JP3688915B2 (ja) 1998-11-27 2005-08-31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液晶表示装置
JP2002268572A (ja) * 2001-03-06 2002-09-20 Citizen Electronics Co Ltd 表示用照明装置
JP2002268573A (ja) * 2001-03-09 2002-09-20 Stanley Electric Co Ltd 面光源用電線の配置構造
JP3780863B2 (ja) * 2001-04-05 2006-05-3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モジュールの包装方法
US20040173894A1 (en) * 2001-09-27 2004-09-09 Amkor Technology, Inc. Integrated circuit package including interconnection posts for multiple electrical connections
JP2004207565A (ja) * 2002-12-26 2004-07-22 Shindengen Electric Mfg Co Ltd 基板接続構造及びそれを用いた電源装置
JP2004220980A (ja) * 2003-01-16 2004-08-05 Tama Electric Co Ltd バックライト装置
JP4046011B2 (ja) * 2003-05-29 2008-02-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平板型画像表示装置
JP4306521B2 (ja) * 2004-04-12 2009-08-05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用照明装置
DE102005016830A1 (de) * 2004-04-14 2005-11-03 Denso Corp., Kariya Halbleitervorrichtung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JP2005331911A (ja) * 2004-04-19 2005-12-02 Sumitomo Rubber Ind Ltd 発光装置、液晶表示装置用バックライト、及び液晶表示装置
US20060050494A1 (en) * 2004-09-03 2006-03-09 Cotek Electronic Ind. Co. Ltd. DC-AC power inverter
KR100778995B1 (ko) * 2005-07-26 2007-11-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08749B1 (ko) * 2006-04-20 2007-04-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회로 기판 고정 구조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모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528A (ja) * 1994-07-18 1996-02-02 Hosiden Corp コネクタ及びプリント基板間接続機構
JP2004294592A (ja) * 2003-03-26 2004-10-21 Tdk Corp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73170B (zh) 2011-01-05
KR20090026290A (ko) 2009-03-12
CN101473170A (zh) 2009-07-01
US20100039572A1 (en) 2010-02-18
TW200815707A (en) 2008-04-01
WO2008001566A1 (fr) 2008-01-03
JP4647691B2 (ja) 2011-03-09
EP2045519A4 (en) 2011-11-23
US8482680B2 (en) 2013-07-09
EP2045519B1 (en) 2014-01-08
TWI333041B (ko) 2010-11-11
JPWO2008001566A1 (ja) 2009-11-26
EP2045519A1 (en) 2009-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1211B1 (ko) 전원 기판, 기판 커넥터,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
KR100980924B1 (ko) 중계 커넥터, 중계 커넥터와 섀시의 조립 구조, 중계 커넥터와 방전관의 조립 구조
KR101039168B1 (ko) 전원 기판, 기판 커넥터,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
KR100981210B1 (ko) 방전관, 페룰,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
KR101012541B1 (ko) 방전관, 방전관의 제조 방법,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
KR101331549B1 (ko) 조명 장치, 중계 커넥터,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
KR101102174B1 (ko) 방전관의 지지 구조, 지지 부재,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
KR101149537B1 (ko) 중계 커넥터, 중계 커넥터와 다른 부품과의 조립 구조,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