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9665B1 - 박판의 사출압축 성형 금형 - Google Patents

박판의 사출압축 성형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9665B1
KR100979665B1 KR1020080068012A KR20080068012A KR100979665B1 KR 100979665 B1 KR100979665 B1 KR 100979665B1 KR 1020080068012 A KR1020080068012 A KR 1020080068012A KR 20080068012 A KR20080068012 A KR 20080068012A KR 100979665 B1 KR100979665 B1 KR 100979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cavity
block
compression molding
injection com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8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5435A (ko
Inventor
토시유키 에비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메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메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메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90095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5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9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9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 B29C45/5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using mould parts movable during or after injection, e.g. injection-compression moulding
    • B29C45/561Injection-compress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25Preventing defects on the moulded article, e.g. weld lines, shrinkage marks
    • B29C2045/0036Submerged or recessed bur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2045/009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jection moulding of small-sized articles, e.g. microarticles, ultra thin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11/00Optical elements, e.g. lenses, prisms
    • B29L2011/0075Light guides, optical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고정 금형과 가동 금형 사이에 형성되는 캐버티 내에서 박판의 성형을 행하는 박판의 사출압축 성형 금형에서 성형되는 박판의 주면으로부터 버가 일정 이상 높게 돌출함으로써 박판의 판 두께가 규격외로 되거나, 후에 버가 부러지거나 하는 문제를 방지한다.
사출압축 성형에 의해 고정 금형(13)과 가동 금형(12) 사이에 형성되는 캐버티(14) 내에서 박판(P)의 성형을 행하는 박판의 사출압축 성형 금형(11)에서, 코어 블록(16)이 프레임 블록(19)에 대하여 형 개폐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고, 코어 블록(16)의 캐버티 형성면(16a)에서의 프레임 블록(19)에 인접하는 부분에 돌출부(21)가 설치되어 있다.
가동 금형, 고정 금형, 캐버티, 코어 블록, 캐버티 형성면, 프레임 블록, 기체류통로, 도광판, 버

Description

박판의 사출압축 성형 금형{MOLD FOR INJECTION COMPRESSION MOLDING THIN PLATE}
본 발명은 사출압축 성형에 의해 고정 금형과 가동 금형의 사이에 형성되는 캐버티 내에서 박판의 성형을 행하는 박판의 사출압축 성형 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판 두께가 대단히 얇은 도광판이나 렌즈 등의 광학 박판의 성형에 적합하게 사용되는 사출압축 성형 금형에 관한 것이다.
도광판 등의 광학 박판의 성형 금형에 대해서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분리면 끼리를 맞닿게 하여 형성된 캐버티 내에 용융 수지를 사출하는 사출성형 금형이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캐버티의 두께가 일정하므로, 성형품의 판 두께가 소정 이상으로 얇아져 가면 캐버티 말단까지 용융 수지를 충전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상기 사출성형 금형에서 광학 박판을 성형하는 경우, 고속 사출에 의해 캐버티 말단까지 용융 수지를 충전할 수 있어 판 두께를 거의 일정하게 성형할 수 있었던 경우라도, 내부응력이나 복굴절률이 원하는 값이 얻어지지 않는 사례가 많았다.
그래서 상기 문제에 대응하는 것으로서는, 특허문헌 2나 특허문헌 3에 기재 된 바와 같이, 캐버티의 용적을 변경할 수 있는 사출압축 성형 금형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2의 도 1은 일방의 금형의 볼록부가 타방의 금형의 오목부에 끼워 맞추어지는 인로우 금형이라고 불리는 금형으로, 특허문헌 1의 도 2나 특허문헌 3은 캐버티 주위의 프레임 블록이 캐버티의 중앙의 코어 블록에 대하여 진퇴하는 수평맞닿음 금형이라고 불리는 금형이다. 그러나 어느 사출압축 성형 금형도, 도광판의 주면(반사면 또는 출광면)을 형성하는 코어 블록에 대하여, 도광판의 측면을 형성하는 프레임 블록이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캐버티 내의 용융 수지를 가압하기 때문에, 양 블록 사이에는 미소한 간극이 형성된다.
그리고, 사출압축 성형 금형의 캐버티 내에 용융 수지가 사출 충전되고, 코어 블록의 전진에 의해 용융 수지가 가압되면, 용융 수지의 일부는 상기 간극에 비집고 들어가 높이 0.02mm∼0.04mm 정도의 버가 된다.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버(P7)는, 도광판(P)의 주면(P4)인 출광면으로부터 그 만큼 돌출하여 형성되어 버리므로, 성형된 도광판(P)의 판 두께가 규격외가 되거나, 나중에 버(P7)가 부러지거나 하는 문제가 있어, 마무리 처리를 행하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사출압축 성형 금형의 양쪽 블록 사이를 없애는 것은 부재 사이의 미끄럼운동에 의해 갤링(galling)이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개 2004-249538호 공보(청구항 1, 도 1)
특허문헌 2: 일본 특개 2000-263613호 공보(청구항 6, 도 1, 도 2)
특허문헌 3: 일본 특개 2003-145593호 공보(청구항 1, 도 1)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문제를 감안하여, 고정 금형과 가동 금형 사이에 형성되는 캐버티 내에서 박판의 성형을 행하는 박판의 사출압축 성형 금형에서 성형되는 박판의 주면으로부터 버가 일정 이상 높게 돌출함으로써 박판의 판 두께가 규격외가 되거나, 나중에 버가 부러지거나 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박판의 사출압축 성형 금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성형 후의 버 제거 공정을 없앨 수 있는 박판의 사출압축 성형 금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사출압축 성형 금형은 사출압축 성형에 의해 고정 금형과 가동 금형 사이에 형성되는 캐버티 내에서 박판의 성형을 행하는 박판의 사출압축 성형 금형에 있어서, 박판의 주면을 형성하는 캐버티 형성면을 구비한 코어 블록과, 코어 블록에 대하여 형 개폐 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배열 설치되고 박판의 측면을 형성하는 캐버티 형성면을 구비한 프레임 블록과, 코어 블록의 캐버티 형성면에서의 프레임 블록에 인접하는 부분에 설치된 돌출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박판의 사출압축 성형 금형은, 사출압축 성형에 의해 고정 금형과 가동 금형 사이에 형성되는 캐버티 내에서 박판의 성형을 행하는 박판의 사출압축 성형 금형에 있어서, 코어 블록이 프레임 블록에 대하여 형 개폐 방향으로 상대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고, 코어 블록의 캐버티 형성면에서의 프레임 블록에 인접하는 부분에 돌출부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박판의 주면측에 돌출하는 버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박판의 사출압축 성형 금형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박판의 사출압축 성형 금형의 1 예로서 본 실시형태의 도광판의 사출압축 성형 금형의 가동 금형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의 A-A선의 단면도이며, 사출 개시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서의 A-A선의 단면도이며, 캐버티 내의 수지가 가압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서의 B-B선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의 도광판의 사출압축 성형 금형에 의해 성형된 도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형태의 도광판의 사출압축 성형 금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의 도광판의 사출압축 성형 금형(11)은 대각치수 3인치, 판 두께 0.3mm의 균등 판 두께의 휴대전화용 도광판을 사출압축 성형에 의해 성형하는 금형이다. 사출압축 성형은 성형 개시 시로부터 성형 종료시까지의 동안에 가동 금형(12)과 고정 금형(13)의 거리가 가변으로 되고, 캐버티(14) 내의 용융 수지가 가압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약간 캐버티의 두께가 두꺼운 상태에서 가동 금형을 정지하고, 사출 후에 가동 금형을 전진시켜 용융 수지를 가압하는 사출 프레스라고 불리는 타입(본 실시형태)과, 형 폐쇄 상태에서 사출하여 일단 약간 캐버티가 확대된 후에 가동 금형을 전진시켜 용융 수지를 가압하는 타입이 사출압축 성형에 포함된다.
이들 사출압축 성형에서는, 성형 완료시에 비교하여, 사출 개시 전 또는 사출 개시 후에 캐버티가 약간 열린 상태가 되므로, 일예로서 대각치수 2인치∼4인치에서는 0.1mm∼0.5mm, 4인치∼6인치에서는 0.2mm∼0.8mm, 6인치∼13인치에서는 0.4∼2.0mm과 같은 판 두께가 대단히 얇은 도광판 등의 광학 박판의 성형에 유리하다. 그리고 사출 개시 후에 가동 금형(12)을 형 체결방향으로 이동시켜 용융 수지에 가압할 수 있으므로, 사출시에 초고속 사출을 행할 필요가 없어, 내부 응력이나 복굴절률이 우수한 도광판(P)을 성형할 수 있다.
사출압축 성형기의 가동반에 부착되는 가동 금형(12)은 도 2,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가동반측에 단열판이 부착된 금형 본체부(15)와, 용융 수지를 가압하는 블록인 코어 블록(16)과, 프레임 블록(19)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금형 본체부(15)의 고정 금형측의 면에서의 대략 중앙에는, 도광판(P)의 주면인 출광면의 형상에 대략 합치한 대략 사각형의 코어 블록(16)이 고착되어 있다. 코어 블록(16)은 프레임 블록(19)에 대하여 스프링(18)이나 실린더 등의 진퇴 기구에 의하여 형 개폐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갤링을 생기게 하기 어렵도록 단단한 금속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또 코어 블록(16)의 내부에는 냉각매체 유로(1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금형 본체부(15)의 고정 금형측의 면에는, 스프링(18)을 통하여 프레임 블록(19)이 부착되어 있다. 프레임 블록(19)은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프레임 블록(19a, 19b, 19c, 19d)(이하 프레임 블록 전체를 나타낼 때는 간단히 19로 기재함)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프레임 블록(19)의 내측에는, 도광판(P)의 측면(P8)을 형성하는 캐버티 형성면(27)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 블록(19)은 코어 블록(16)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열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18)에 의해 금형 본체부(15) 및 코어 블록(16)에 대하여 형 개폐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프레임 블록(19a, 19b, 19c)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으로 코어 블록(16)을 향하여 가압하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코어 블록(16)과 프레임 블록(19) 사이에는, 코어 블록(16)과 프레임 블록(19)의 갤링을 방지하고, 캐버티(14) 내의 용융 수지로부터 발생한 가스를 빼냄과 아울러 이형용의 기체를 분출하는 미소한 간극(예를 들면 3∼10㎛)의 기체류통로(3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체류통로(34)는 가스제거 및 이형용 기체 중 어느 하나만의 분출만을 행해도 되고, 캐버티 내를 감압하는 진공펌프에 접속된 것이어도 된다. 프레임 블록(19)의 고정 금형(13)과 대향하는 면은 맞닿음면(분리면)으로 되어 있다. 게이트(P3)과는 반대측의 프레임 블록(19a)에는, 도광판(P)의 입광면 형성면(20a)이 형성된 입광면 형성 블록(20)이 착탈 자유롭게 배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 블록(19)은 일체 형성된 것이나 2 이상으로 분할된 것이어도 된다.
코어 블록(16)의 캐버티 형성면(16a)의 1변(22a)에 인접하여 게이트(P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P3)에는, 게이트 커터 부재(24)가 배열 설치 되어 있다. 그리고 게이트 커터 부재(24)와 코어 블록(16) 사이도 도 4에 도시되는 기체류통로(34)와 마찬가지로 갤링을 생기게 하지 않는 미소한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또 코어 블록(16, 16) 사이에 상기 1변(22a)에 인접하여 설치된 프레임 블록(19d)의 일부는 게이트 커터 부재(24)에 접속되는 러너 형성면(32)으로 되어 있다.
또 러너 형성면(32)의 중앙이며, 고정 금형(13)의 스풀 부시(44)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돌출핀(23)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프레임 블록(19d)의 돌출핀(23)의 주위에도 냉각매체 유로(25)가 형성되어 있다. 또 프레임 블록(19b, 19c)에 대해서는 도광판(P)을 표시 장치에 부착시에 필요하게 되는 작은 돌기(귀)가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다음에 도 4에 의해, 본 실시형태의 코어 블록(16)의 캐버티 형성면(16a)의 표면 형상에 대하여 설명한다. 캐버티 형성면(16a)은 과반의 부분이 평면(경면)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캐버티 형성면(16a)의 양측의 프레임 블록(19b, 19c)에 인접하는 부분에는, 돌출부(21, 21)가 설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돌출부(21, 21)는 프레임 블록(19b, 19c)을 따라, 코어 블록(16)의 게이트(P3)에 인접한 변(22a)의 양측의 변(22b, 22c)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21)의 크기에 대해서는, 높이(H)가 0.02mm∼0.1mm, 기초부의 폭(W)이 0.05mm∼0.2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21)는 평면부에 대하여 30°의 경사를 가진 경사면(21a)과 상면(21b)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돌출부(21)의 형상은 직선 형상의 경사면만으로 형성해도 된다. 게다가 돌출부(21)는,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평면부(16b)로부터 연속된 단면 호 형상의 R면(21c)을 갖는 것이어도 된다. 그리고 도 7의 예에 대해서도, 돌출부(21)의 높이와 기부의 폭은, 앞의 도 4의 예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의 예에서는, 정상부(21d) 측이 평평하게 된 것이어도 되고, 돌출부(21)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또 어느 예라도 게이트(P3)측으로부터 입광면 형성 블록(20) 측에 걸쳐서 돌출부(21)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해도 되고, 일부에 돌출부(21)가 없는 것이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코어 블록(16)의 캐버티 형성면(16a)은 표면 열처리가 되어 있다. 그러나 캐버티 형성면(16a)은 도트나 그루브 등의 미세한 패턴이 형성된 면이어도 된다. 또 캐버티 형성면(16a)은 니켈 도금 등이 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캐버티 형성면(16a)을 반사면으로 해도 된다.
코어 블록(16)의 캐버티 형성면(16a)에서, 프레임 블록(19a)의 입광면 형성 블록(20), 프레임 블록(19d), 게이트 커터 부재(24)과 인접하는 부분에도, 상기와 같은 돌출부(21)를 형성해도 된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 양쪽의 프레임 블록(19b, 19c)에 인접하는 부분에만 돌출부(2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이다. 우선 제 1 이유로서, 코어 블록(16)의 가공에 대하여, 양측에 돌출부(21)를 설치하는 경우 쪽이 가공이 간단하다고 하는 점을 들 수 있다. 또 제 2 이유로서, 사출압축 성형시에 캐버티(14) 내의 용융 수지는 압축되면서 게이트(P3)로부터 입광면 형성 블록(20)측에 도달하므로, 돌출부(21)가 없는 경우, 코어 블록(16)의 양측의 변(22b, 22c)과 프레임 블록(19b, 19c)과의 간극에 용융 수지가 가장 비집고 들어가기 쉬워, 그 부분의 버(P7)의 높이가 가장 높아져 버린다는 점 을 들 수 있다.
다음에 고정 금형(13)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2,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출압축 성형기의 고정반에 부착되는 고정 금형(13)은 금형 본체부(41), 캐버티 형성 블록(42), 인서트 블록(43), 스풀 부시(44), 게이트 커터 부재(45), 맞닿음 블록(46)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금형 본체부(41)의 고정반측에는, 단열판이 부착됨과 아울러, 도시하지 않은 사출 장치의 노즐이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되고, 그 주위에는 로케이트 링이 부착되어 있다.
금형 본체부(41)의 가동 금형측에는 캐버티 형성 블록(42)이 부착되고, 그 가동 금형과 대향하는 면은 캐버티 형성면(42a)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캐버티 형성면(42a)은 도광판(P)의 일방의 주면인 반사면(P5)을 형성하는 면으로, 미세한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또 캐버티 형성 블록(42)의 내부에는 냉각매체 유로(4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캐버티 형성 블록(42)과 맞닿음 블록(46) 사이에는, 홈 형상의 기체류통로(53)가 형성되어 있다. 기체류통로(53)는 수지가 비집고 들어가기 어려운 미소한 간극(예를 들면 3∼7㎛)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 금형(13)의 캐버티 형성 블록(42)의 캐버티 형성면(42a)의 맞닿음 블록(46)과의 인접부에도, 코어 블록(16)의 돌출부(21)와 마찬가지로 돌출부를 설치해도 된다.
또한 금형 본체부(41)에는, 캐버티 형성 블록(42)과 함께 인서트 블록(43)이 배열 설치되어 있다. 인서트 블록(43)은 그 중앙부에 가동반측을 향하여 직경 확장된 구멍이 설치된 스풀 부시(44)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스풀 부시(44)의 주위에는 스풀(P1) 및 러너(P2)를 냉각하는 냉각매체 유로(51)가 형성되어 있 다. 또 인서트 블록(43)의 가동 금형(12)과 대향하는 면에는, 스풀 부시(44)의 선단으로부터 캐버티 형성면을 향하여, 러너 형성면(5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인서트 블록(43)과 캐버티 형성 블록(42) 사이에는, 경질 금속 부재로 이루어지는 게이트 커터 부재(45)가 고정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사출압축 성형 금형을 사용한 도광판(P)의 사출압축 성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광판(P)의 성형에 사용되는 수지는 폴리카보네이트(이데미쓰 코산 LC-1500)이며, 도시하지 않은 사출 장치의 전방부 영역(가장 노즐에 가까운 영역)은 360℃∼380℃로 온도설정되어 있다. 또 사출압축 성형 금형(11)의 코어 블록(16)의 냉각매체 유로(17), 캐버티 형성 블록(42)의 냉각매체 유로(47)에 보내지는 냉각매체의 온도는 90∼110℃가 바람직하다. 또 사출압축 성형 금형(11)의 스풀(P1) 및 러너(P2)를 냉각하는 냉각매체 유로(51)나 냉각매체 유로(25)에 보내지는 냉각매체의 온도는 동일하거나 또는 낮은 온도로 해도 된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은 형 체결 장치가 작동되어, 고정 금형(13)에 대하여 가동반에 부착된 가동 금형(12)을 형 폐쇄하여 도 2에 도시되는 소정의 사출 개시 위치에서 정지한다. 그 때 가동 금형의 프레임 블록(19)의 맞닿음면과 맞닿음 블록(46)의 맞닿음면이 맞닿아 있지만, 스프링(18)은 아직 일정량 신장된 상태이다. 이와 같이 하여 고정 금형(13)과 가동 금형(12) 사이에는, 두께 가변의 캐버티(14)가 형성된다.
다음에 사출 장치의 노즐로부터 스풀 부시(44)를 통하여 250∼600mm/sec의 사출 속도에 의해 용융 수지를 사출한다. 그리고 용융 수지가 캐버티(14) 내에 일 정량 속한 타이밍에 형 체결 장치를 재작동시켜 금형 본체부(15) 및 코어 블록(16)을 급속 전진시킨다. 그것에 의해 스프링(18)은 더욱 수축되고, 프레임 블록(19)에 대하여 코어 블록(16)이 전진되어 캐버티(14) 내의 용융 수지가 가압된다. 또 이 때의 타이밍은 용융 수지가 캐버티(14) 내에 들어가고, 입광면 형성 블록(20)에 도달하지 않은 타이밍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형 체결 장치에 의한 용융 수지의 가압에 대해서는, 소정의 목표 압력까지의 승압속도는 0.02∼0.05초, 코어 블록(16)의 압축속도(이동속도)는 5∼25mm/sec, 압력은 25∼80MPa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에 기재된 성형 조건은 1 예로서, 본 발명은 이외의 범위에서 실시되는 것도 있을 수 있다.
상기 코어 블록(16)의 전진에 의해 캐버티(14) 내의 용융 수지는 유동속도가 저하된 분량이 보충되어, 입광면 형성 블록(20)을 향하여 흐르는데, 그 때에 코어 블록(16)의 양측에는 돌출부(21)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돌출부(21)의 경사면(21a)에 의해 용융 수지가 중앙방향을 향하여 밀려, 기체류통로(34, 34)를 향하여 용융 수지의 압력이 가해지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기체류통로(34, 34)에 긴 버가 형성되기 어렵게 된다.
사출 장치의 스크루 위치가 소정의 압력유지(保壓) 전환위치에 도달하면, 사출 제어로부터 압력유지 제어로 전환된다. 또 압력유지 전환과 동시나 약간 전후하여 가동 금형(12)의 게이트 커터 부재(24)를 전진시켜, 용융 수지가 완전하게 고화되어 있지 않은 게이트(P3)의 절단을 행하고, 게이트 커터 부재(24)가 전진 위치에 유지된다. 그것에 의해 사출 장치측으로부터 캐버티(14) 내의 용융 수지에는 완전하게 압력유지가 미치지 않게 되지만, 형 체결 장치의 구동에 의해 가동 금형(12)이 전진됨으로써 캐버티(14) 내의 용융 수지의 압축을 행할 수 있으므로, 냉각에 의한 수축이 있어도, 수축 변형가 발생하지 않아, 양호한 전사 성형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캐버티 내의 도광판(P)의 냉각이 행해져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가동 금형(12)의 프레임 블록(19)과 코어 블록(16) 사이의 기체류통로(34, 34)를 통하여 캐버티(14)로 이형용의 압착 에어를 미치게 한다. 다음에 형 체결 장치를 작동시켜 압 제거(壓拔), 형 개방을 차례로 행하여 성형품을 취출 장치에 의해 꺼낸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의해 성형된 도광판(P)의 입광면과 평행 방향의 단면(도 1에서는 B-B 방향의 단면)이다. 도광판(P)에서는, 주면인 출광면(P4)의 단부 근방에, 돌출부(21)에 의해 출광면(P4)보다도 낮은 저위부(P6)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 저위부(P6)의 끝에 버(P7)가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출부(21)에 의해 형성되는 저위부(P6)는 출광면(P4)보다도 0.05mm 낮은 위치에 있다. 또 저위부(P6)에 형성되는 버(P7)의 높이는 0.02mm∼0.04mm 정도이므로, 버(P7)가 출광면(P4)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는다. 또 도 7에 도시된 예에서도 마찬가지로, 버(P7)는 주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는다. 그리고 저위부(P6)는 도광판(P)이 표시 장치에 편입되었을 때에 출광에 영향이 없는 주변부에 형성되므로 문제는 없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버(P7)의 높이를 허용 범위 내로 하는 것이므로, 출광면(P4)보다도 버(P7)의 높이가 낮게 되어 있는 경우와 아울러, 저위부(P6)에 형성된 버(P7) 쪽이 출광면(P4)의 높이보다도 약간 높게 되어 있는 경우도 허용 범위 내라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해서는, 일일이 열거는 하지 않지만, 상기한 본 실시형태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가 본 발명의 취지를 근거로 하여 변경을 가한 것에 대해서도, 적용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허문헌 2의 도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일방의 금형의 코어 블록이 타방의 금형의 프레임 블록 내에 끼워 맞추어지는 인로우 금형에도 적용된다. 즉 인로우 금형에서는, 일방의 금형의 코어 블록의 주위에 타방의 금형의 캐버티 측면을 형성하는 프레임 블록이, 형 개폐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고, 양자 사이에는 갤링을 생기게 하지 않는 미소한 간극이 설치된다. 그리고 코어 블록의 캐버티 형성면에서의 프레임 블록에 인접하는 부분에 돌출부가 설치된다. 이 인로우 금형의 타입에 의해 형성되는 광학 박판에서도, 캐버티 형성면에 의해 형성되는 주면(출광면 또는 입광면)에 비해, 돌출부에 의해 형성되는 저위부는 낮게 형성되어, 버의 높이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출압축 성형 금형은, 내부응력이나 복굴절률의 문제로부터 사출 속도를 그다지 고속으로 할 수 없는 도광판, 확산판, 렌즈 등의 광학 박판의 사출압축 성형에 적합하게 사용된다. 그러나 그것 이외의 성형품이어도, 판 두께가 0.1∼1mm의 박판에서, 통상의 사출성형에서는 판 두께차와 버가 문제시 되는 성형품의 사출압축 성형에도 적합하게 사용된다. 또 본 발명의 사출압축 성형 금형은 캐버티 내의 용융 수지가 코어 블록에 의해 압축됨과 동시에 홈부에 용융 수지가 비집고 들어갈 가능성이 있는 성형품의 성형에 보다 적합하게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직사각형 형상(미소한 요철을 포함함)의 성형품이나 게이트로부터 일방향을 향하여 용융 수지가 흐르는 형상의 성형품에 더한층 적합하게 사용된다.
또한 형 체결 장치에 의하지 않고 금형에 설치된 유압 실린더의 코어 압축에만 의해 사출압축 성형을 행하는 것이어도 된다. 게다가, 수직방향으로 형 개폐가 이루어지는 성형 금형을 사용한 것이어도 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도광판의 사출압축 성형 금형의 가동 금형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의 A-A선의 단면도로서, 사출 개시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서의 A-A선의 단면도로서, 캐버티 내의 수지가 가압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서의 B-B선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의 도광판의 사출압축 성형 금형에 의해 성형된 도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종래의 도광판의 사출압축 성형 금형에 의해 성형된 도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형태의 도광판의 사출압축 성형 금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1 사출압축 성형 금형
12 가동 금형
13 고정 금형
14 캐버티
16 코어 블록
16a, 42a 캐버티 형성면
19, 19a, 19b, 19c, 19d 프레임 블록
21 돌출부
34 기체류통로
P 도광판
P4 출광면(주면)
P7 버
P8 측면

Claims (3)

  1. 사출압축 성형에 의해 고정 금형과 가동 금형의 사이에 형성되는 캐버티 내에서 박판의 성형을 행하는 박판의 사출압축 성형 금형에 있어서,
    상기 박판의 주면을 형성하는 사각형의 캐버티 형성면을 구비한 코어 블록과, 상기 코어 블록에 대하여 형 개폐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열 설치되고 상기 박판의 측면을 형성하는 캐버티 형성면을 구비한 프레임 블록이 설치되고,
    상기 코어 블록의 캐버티 형성면의 한 변에 인접하여 게이트가 형성되고,
    상기 코어 블록의 캐버티 형성면에서의 상기 게이트에 인접한 변의 양측의 변의 프레임 블록에 인접하는 부분에만 돌출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판의 사출압축 성형 금형.
  2. 제 1 항에 있어서, 가동 금형의 금형 본체부에 대하여 코어 블록이 고착되어 있고,
    상기 금형 본체부에 대하여 가동 금형의 프레임 블록이 형 개폐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판의 사출압축 성형 금형.
  3. 삭제
KR1020080068012A 2008-03-04 2008-07-14 박판의 사출압축 성형 금형 KR1009796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0053620 2008-03-04
JP2008053620A JP2009208352A (ja) 2008-03-04 2008-03-04 薄板の射出圧縮成形金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5435A KR20090095435A (ko) 2009-09-09
KR100979665B1 true KR100979665B1 (ko) 2010-09-02

Family

ID=41093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8012A KR100979665B1 (ko) 2008-03-04 2008-07-14 박판의 사출압축 성형 금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9208352A (ko)
KR (1) KR100979665B1 (ko)
CN (1) CN101524885A (ko)
TW (1) TW20093835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93514B1 (ja) * 2011-03-25 2011-10-1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射出成形装置及び長尺成形品の製造方法
CN102241103A (zh) * 2011-05-27 2011-11-16 海尔集团公司 薄壁注塑成型方法、薄壁注塑动模以及薄壁注塑模具
JP6346536B2 (ja) * 2014-09-25 2018-06-20 三菱エンジニアリング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射出成形品の製造方法
JP6190790B2 (ja) * 2014-10-15 2017-08-30 ミネベアミツミ株式会社 面状照明装置
CN104441379A (zh) * 2014-12-10 2015-03-25 义乌市敦美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用于立体画的模具机构
JP6421621B2 (ja) * 2015-01-27 2018-11-14 株式会社デンソー 成形金型、成形金型システム、及び圧縮成形方法
JP6435027B2 (ja) * 2017-08-07 2018-12-05 ミネベアミツミ株式会社 面状照明装置
CN110161619B (zh) * 2019-05-30 2021-09-28 开平市盈光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导光板
CN110238999A (zh) * 2019-05-30 2019-09-17 开平市盈光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导光板模具的移动模模芯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33417U (ko) * 1985-08-14 1987-02-27
JP2006315260A (ja) * 2005-05-12 2006-11-24 Meiki Co Ltd ディスク基板成形金型およびディスク基板成形金型の鏡面板、ならびにディスク
KR100772593B1 (ko) 2006-05-17 2007-11-02 삼성전기주식회사 비구면 플라스틱 렌즈 및 이의 제조 금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2731A (ja) * 2002-12-24 2004-07-22 Sumitomo Chem Co Ltd 大型導光板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33417U (ko) * 1985-08-14 1987-02-27
JP2006315260A (ja) * 2005-05-12 2006-11-24 Meiki Co Ltd ディスク基板成形金型およびディスク基板成形金型の鏡面板、ならびにディスク
KR100772593B1 (ko) 2006-05-17 2007-11-02 삼성전기주식회사 비구면 플라스틱 렌즈 및 이의 제조 금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24885A (zh) 2009-09-09
JP2009208352A (ja) 2009-09-17
TW200938358A (en) 2009-09-16
KR20090095435A (ko) 2009-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9665B1 (ko) 박판의 사출압축 성형 금형
JP5105585B2 (ja) 導光板の成形金型および導光板の成形方法
JP4781326B2 (ja) 導光板の射出圧縮成形金型および導光板の射出圧縮成形方法
JP4335266B2 (ja) 導光板の射出圧縮成形金型および導光板の射出圧縮成形方法
KR20090068113A (ko) 도광판의 성형 금형 및 도광판의 성형 방법
JP4451483B2 (ja) 導光板の成形金型
JP4878584B2 (ja) 導光板の射出圧縮成形金型
JP2008307882A (ja) 導光板の成形金型および成形方法
JP4047917B1 (ja) 導光板の成形金型
JP2008307882A5 (ko)
JP4044608B1 (ja) 小型導光板の射出圧縮成形方法および小型導光板
JP4780621B2 (ja) 導光板の射出プレス成形方法
JP5737181B2 (ja) 光学素子用樹脂成形品の製造装置、及び、光学素子の製造方法
JP2008238686A (ja) 導光板の成形方法
JP2008221597A (ja) 導光板の射出成形金型および射出成形方法
JP4900823B2 (ja) 導光板の射出圧縮成形金型および導光板の射出圧縮成形方法
JP2009172813A (ja) 光学成形品の成形方法
JP4666523B2 (ja) サイドライト型導光板の射出圧縮成形金型およびサイドライト型導光板
JP5071794B2 (ja) 薄板状光学用成形品の射出プレス成形方法
JP3578725B2 (ja) 厚みが一端部から他端部に向けて漸減するくさび形状の導光板の製造方法
JP2008207505A (ja) 小型導光板の射出圧縮成形方法および小型導光板
JPWO2011040158A1 (ja) 光学素子用樹脂成形品の製造装置、及び、光学素子用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JP2009241567A (ja) 光学薄板の射出圧縮成形金型および光学薄板の射出圧縮成形方法
JP2010113871A (ja) 導光板の成形方法および導光板の成形金型
JP2010173120A (ja) 薄板成形品の成形金型、射出成形機、および射出成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