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7748B1 -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 - Google Patents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7748B1
KR100977748B1 KR1020080054787A KR20080054787A KR100977748B1 KR 100977748 B1 KR100977748 B1 KR 100977748B1 KR 1020080054787 A KR1020080054787 A KR 1020080054787A KR 20080054787 A KR20080054787 A KR 20080054787A KR 100977748 B1 KR100977748 B1 KR 100977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image blur
arm
driving
blur corr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4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10500A (ko
Inventor
시즈오 세키노
히데오 요시다
Original Assignee
후지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110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0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7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7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60Noise processing, e.g. detecting, correcting, reducing or removing nois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04N23/6812Motion detection based on additional sensors, e.g. acceleration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7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by shifting the lens or sensor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1Circuitry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e.g. moiré or halo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04N2007/145Handheld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Abstract

(과제) 소형이며 또한 박형인 휴대 기기의 본체 내부에 탑재되어도 휴대 기기의 본체 내벽에 접촉되어 흠집을 내지 않으며, 또한 확실하게 동작하는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 그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을 구비한 이미지 블러링 보정 장치, 그 이미지 블러링 보정 장치를 구비한 촬영 장치, 및 그 촬영 장치를 구비한 휴대 기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유지 모듈, 지지부재, 구동 기구를 구성하는 암, 코일이 형성된 기판, 요크 등의 각 부재 모두를 피복하는 커버(201)를 설치한다. 또한 커버(201)의 유지 모듈(202)의 요동부가 접촉될 가능성이 있는 부분에 완충부재(201A)를 설치한다.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 이미지 블러링 보정 장치, 촬영 장치, 휴대 기기

Description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 이미지 블러링 보정 장치, 촬영 장치, 및 휴대 기기 {IMAGE BLUR CORRECTING UNIT, IMAGE BLUR CORRECTING DEVICE, IMAGING DEVICE AND PORTABLE DEVIC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나 카메라가 부착된 휴대 전화기 등의 촬영 장치에 손떨림 보정 기구로서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 그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을 구비한 이미지 블러링 보정 장치, 그 이미지 블러링 보정 장치를 구비한 촬영 장치, 및 그 촬영 장치를 구비한 휴대 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디지털 카메라 등에는 유저의 손떨림 등에 의한 촬영 화상의 흐트러짐을 억제하기 위해 각종의 손떨림 보정 기구가 채용되어 있다(특허문헌 1, 2, 3 참조).
이와 같은 손떨림 보정 기구로서는 촬영용의 렌즈가 유지된 유지 모듈이 피칭 방향과 요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해지도록 이른바 짐벌(gimbal) 기구로 불리는 방식을 채용하는 것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짐벌 기구의 경우, 자 유 회전하는 회전 이음매 등을 유지 모듈의 상하좌우의 4개소에 배치할 필요가 있으므로 어떻게 해도 손떨림 보정 기구가 대형화되는 경향이 있고, 또한 무리하게 소형화를 도모하려 하면 상기 회전 이음매의 베어링부 등이 취약화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유지 모듈의 외주 가장자리의 일점인 축점을 요동 가능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그 유지 모듈의 외주 가장자리의 상기 축점으로부터 서로 다른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 각각으로 떨어진 제 1 구동점 및 제 2 구동점 각각을 통해 상기 유지 모듈을 구동하는 구동 구조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일본 특허 출원 2006-269712호, 일본 특허 출원 2006-269713호, 일본 특허 출원 2006-269714호, 일본 특허 출원 2006-269715호 등 미공개 출원으로서 제안되어 있다. 또한 본 출원인은 이들 선출원에 새로운 개량을 추가하여 유지 모듈이 요동하고 있을 때의 유지 모듈의 위치 검출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 기술을 일본 특허 출원 2007-035341호의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으로서 제안하고 있다. 이들의 출원에서 제안되고 있는 구동 구조가 실현되면,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의 소형화가 실현되어 휴대 기기로의 탑재가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상기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의 작용을 간단하게 설명해 둔다.
도 6은 상기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 (a), 도 6 (b)에는 블러링이 발생했을 때에 렌즈와 센서의 위치 관계에 어떠한 문제가 발생하는지 나타내어져 있고, 도 6 (c)에는 렌즈와 센서를 구비하는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에 의해 블러링이 어떻게 보정되는지가 나타내어져 있다.
도 6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블러링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렌즈의 광축과 센서의 수광(受光)면(센서면)의 광축이 서로 일치하여 바른 위치에 피사체 광이 결상된다. 이에 대하여, 블러링이 발생하면, 도 6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렌즈나 센서면이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여 렌즈의 광축과 센서면의 광축이 어긋나 바른 위치에 피사체 광이 결상되지 않게 된다.
그래서 상기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을 휴대 기기에 탑재하여 촬영시에 손떨림이 발생했을 때에는, 도 6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렌즈와 센서로 이루어지는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에 자이로(gyro)와 같은 동작을 행하게 함으로써, 촬영 장치가 회전되어도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이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피사체 광이 항상 센서면의 바른 위치에 결상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을 휴대 기기에 탑재하면, 휴대 기기가 촬영 조작에 의해 회전되어도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의 위치는 언제나 촬영 조작 직전의 자세로 유지되어 바람직한 촬영이 행해진다.
그런데, 최근의 휴대 기기에 있어서는 더나은 소형·박형화가 요구되고 있고, 그 더나은 소형·박형화된 휴대 기기라도 상기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 이외에 여러 전자 부품이 탑재된다. 이와 같은 휴대 기기에 있어서는, 이른바 주입 설계가 행해지므로 다른 많은 실장 부품의 약간의 빈 공간에 상기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이 간극없이 실장되게 된다. 이때에는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의 외형 치수에 기초하여 실장 설계가 행해져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이 고밀도로 휴대 기기의 본체 내부에 실장된다.
그러나,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의 외형 치수를 참고로 하여 실장 설계가 행해져 상기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이 실장되면, 요동하는 유지 모듈이 노출된 상태인 채 실장되게 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최대 요동 부분이 지나치게 크게 흔들려 휴대 기기의 본체 내벽에 접촉되어 휴대 기기의 본체 내벽을 흠집낼 우려가 있다. 또한, 최대 요동 부분과 휴대 기기의 본체 내부의 접촉이 빈번하게 발생하면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이 깨져버릴 우려도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평7-274056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2005-326807호 공보
특허문헌 3 : 일본 특허 제 2612371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한 것으로, 소형이며 또한 박형인 휴대 기기의 본체 내부에 탑재되어도 휴대 기기의 본체 내벽에 접촉되어 흠집을 내지 않으며, 또한 확실하게 동작하는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 그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을 구비한 이미지 블러링 보정 장치, 그 이미지 블러링 보정 장치를 구비한 촬영 장치, 및 그 촬영 장치를 구비한 휴대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은,
렌즈를 유지하는 유지 모듈, 및
상기 렌즈를 경유해 온 피사체 광을 포착함으로써 형성되는 화상의 블러링이 보정되도록 상기 유지 모듈을 구동하는 구동 기구를 구비한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이며,
또한 상기 유지 모듈, 상기 구동 기구를 피복하여 상기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의 외형을 정하는 커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에 의하면, 상기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의 외형이 상기 커버에 의해 정해지고, 그 커버에 의해 상기 유지 모듈, 상기 구동 기구 각각이 피복되어 있다. 이 때문에, 유지 모듈이 표면에 노출되지 않게 되어 유지 모듈의 휴대 기기 본체 내벽으로의 접촉이 방지된다. 이렇게 하여 상기 커버에 의해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이 동작하고 있을 때의 요동 범위를 포함한 외형이 정해지므로, 휴대 기기의 본체 내부에 상기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이 탑재되기만 하면 다음에는 확실하게 동작하게 된다.
또한, 상기 유지 모듈을 자유로운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그 유지 모듈의 외주 가장자리의 일점인 축점에서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구동 기구가 상기 유지 모듈의 외주 가장자리의 상기 축점으로부터 서로 다른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 각각으로 떨어진 제 1 구동점 및 제 2 구동점 각각을 통해 상기 유지 모듈을 구동하는 2개의 구동 기구로서, 상기 유지 모듈을 상기 제 1 구동점을 통해 상기 축점과 상기 제 2 구동점을 연결하는 제 1 축 둘레로 회전시키는 제 1 구동 기구와, 상기 제 2 구동점을 통해 상기 축점과 상기 제 1 구동점을 연결하는 제 2 축 둘레로 회전시키는 제 2 구동 기구로 이루어지는 2개의 구동 기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가 상기 유지 모듈 및 상기 2개의 구동 기구를 피복함과 아울러 또한 상기 지지부재를 피복하여 상기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의 외형을 정하는 것이어도 된다.
상기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에 있어서는, 상기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의 외형이 상기 커버에 의해 정해지고, 그 커버에 의해 상기 유지 모듈, 상기 지지부재 및 상기 2개의 구동 기구 각각이 피복되어 있다. 이 때문에, 유지 모듈이 표면에 노출되지 않게 되어 유지 모듈의 휴대 기기의 본체 내벽으로의 접촉이 방지된다. 이렇게 하여 상기 커버에 의해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이 동작하고 있을 때의 요동 범위를 포함한 외형이 정해지므로, 휴대 기기의 본체 내부에 상기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이 탑재되기만 하면 다음에는 확실히 동작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커버는 상기 유지 모듈의 요동에 의한 커버로의 접촉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부재를 더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의 치수는 소형 또한 박형인 휴대 기기에 탑재할 수 있도록 가능한한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해 두는 것이 요망된다. 그래서, 상기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에 있어서는 정상인 사용 상태에서 유지 모듈이 최대로 요동해도 커버에는 접촉되지 않도록 커버의 치수가 정해진다. 그러나, 요동부의 최대 요동시에 낙하 충격 등이 더 가해져 예측하지 못한 레벨의 요동이 생겼을 때에는 경우에 따라서는 요동부가 커버에 접촉되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면, 요동에 의해 커버에 접촉됨으로써 요동부가 깨져 버릴 우려가 생긴다.
그래서, 상기 커버는 상기 유지 모듈의 요동에 의한 커버로의 접촉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부재를 더 구비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커버는 전자기 실드 기능을 갖는 것이면 더욱 좋다.
상기한 바와 같이 휴대 기기 내부의 실장 설계에 있어서는 주입 설계가 행해지므로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 옆에 다른 전자 부품에 대하여 전자기 간섭 작용을 미치는 안테나 등의 통신 부품이 탑재되는 경우도 있다. 그러면, 안테나 등의 통신 부품으로부터의 전자기 간섭에 의해 상기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이 오동작하거나, 반대로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의 자성체 부품으로부터의 전자기 간섭에 의해 안테나 등의 통신 부품에 노이즈가 발생할 우려가 생긴다. 그와 같은 경우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가 전자기 실드 기능을 갖고 있으면 된다.
여기까지의 상기 본 발명이 본 출원인이 앞서 출원한 일본 특허 출원 2007-035341호에 적용되면 보다 더나은 효과가 얻어진다.
즉, 상기 제 1 구동 기구가
상기 제 1 구동점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암과,
상기 제 1 암에 유지되어 자기력의 작용과 통전을 받아 광축 방향의 구동력을 생성하여 상기 제 1 암으로 하여금 상기 제 1 구동점을 광축 방향으로 구동시키게 하는 제 1 코일과,
상기 지지부재에 유지되어 상기 제 1 코일에 자기력을 작용시키는, 광축에 대하여 수평으로 펼쳐지는 제 1 마그넷과,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제 1 암의 상기 제 1 구동점에 구동력을 부여하는 제 1 작용점이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그 제 1 암을 안내하는 제 1 안내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구동 기구가
상기 제 2 구동점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 암과,
상기 제 2 암에 유지되어 자기력의 작용과 통전을 받아 광축 방향의 구동력을 생성하여 상기 제 2 암으로 하여금 상기 제 2 구동점을 광축 방향으로 구동시키게 하는 제 2 코일과,
상기 지지부재에 유지되어 상기 제 2 코일에 자기력을 작용시키는, 광축에 대하여 수평으로 펼쳐지는 제 2 마그넷과,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제 2 암의 상기 제 2 구동점에 구동력을 부여하는 제 2 작용점이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그 제 2 암을 안내하는 제 2 안내부재를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제 1 암에 지지되어 그 제 1 암이 상기 제 1 구동점을 구동했을 때의 제 1 암의 광축 방향의 이동에 의한 상기 제 1 마그넷으로부터 받는 자기력의 변화를 검출하는 제 1 센서와,
상기 제 2 암에 지지되어 그 제 2 암이 상기 제 2 구동점을 구동했을 때의 제 2 암의 광축 방향의 이동에 의한 상기 제 2 마그넷으로부터 받는 자기력의 변화를 검출하는 제 2 센서를 구비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지 모듈이 렌즈를 유지함과 아울러 피사체 광을 포착하여 화상 신호를 생성하는 이미지 센서를 유지하는 것이면 되고,
또한 상기 제 1 구동점 및 상기 제 2 구동점이 그 제 1 구동점과 상기 축점을 연결하는 선분 및 그 제 2 구동점과 상기 축점을 연결하는 선분이 서로 대략 90도의 각도로 교차하는 각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상기 유지 모듈이 상기 축점에 구형상의 볼록부를 갖고,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지지부에 그 볼록부를 수용하는 구형상의 오목면을 가지면 되고,
상기 유지 모듈이 상기 제 1 구동점 및 상기 제 2 구동점 각각에 구형상의 볼록부를 갖고, 상기 제 1 암 및 상기 제 2 암이 상기 제 1 작용점 및 상기 제 2 작용점 각각에 제 1 구동점 및 제 2 구동점 각각에 구비된 각 볼록부를 수용하는 구형상의 각 오목부를 가지며, 제 1 암 및 제 2 암이 각 오목부를 통해 각 볼록부에 구동력을 부여하는 것이면 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이미지 블러링 보정 장치는
상기 어느 하나의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을 구비한 이미지 블러링 보정 장 치로서,
블러링을 검출하는 블러링 검출부와,
상기 블러링 검출부의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2개의 구동 기구에 상기 유지 모듈을 회전 구동시키는 블러링 제어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촬영 장치는 상기 이미지 블러링 보정 장치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유지 모듈이 상기 렌즈를 유지하고, 또한 피사체를 포착하여 화상 신호를 생성하는 이미지 센서를 유지하는 것으로서, 그 이미지 블러링 보정 장치의 작동에 의해 블러링이 저감된 화상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휴대 기기는 상기 촬영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소형이며 또한 박형인 휴대 기기의 본체 내부에 탑재되어도 휴대 기기의 본체 내벽에 접촉되어 흠집을 내지 않으며, 또한 확실하게 동작하는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 그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을 구비한 이미지 블러링 보정 장치, 그 이미지 블러링 보정 장치를 구비한 촬영 장치, 및 그 촬영 장치를 구비한 휴대 기기가 실현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가 적용된 휴대 전화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 (A)에는 휴대 전화기(100)의 전면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휴대 전화기(100)의 전면에는 메뉴 화면이나, 촬영 화상 등이 표시되는 액정 패널(101), 내부에 스피커(도 2 참조)가 배치되고, 스피커로부터 발생되는 음성을 공간으로 출력시키기 위한 수화구(102), 각종 기능의 선택이나 촬영을 행할 때의 셔터버튼으로서 사용되는 선택버튼(104),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푸시버튼(105), 내부에 마이크로폰(도 3 참조)이 배치되어 소리를 마이크로폰으로 전하기 위한 송화구(106), 유저가 입력한 전화번호 등을 확정하는 확정버튼(107), 전원버튼(108), 및 전화국을 통하지 않고 근거리용의 무선 통신에 의해 화상이나 주소 정보 등을 송수신하기 위한 제 2 안테나(109a)가 구비되어 있다.
도 1 (B)에는 휴대 전화기(100)의 배면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휴대 전화기(100)의 배면에는 전화국을 통해 음성이나 메일 등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 1 안테나(103a)나 촬영 렌즈(100a)가 배치되어 있다. 이 촬영 렌즈(100a)는 후술하는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에 유지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휴대 전화기(1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휴대 전화기(100)의 내부에는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200), A/D(Analog/Degital) 변환부(113), 마이크로폰(121), 스피커(122), 인터페이스부(120), 제 1 안테나(103a), 제 1 송수신부(103), 입력 컨트롤러(130), 화상 신호 처리부(140), 비디오 인코더(150), 화상 표시 장치(160), 제 2 안테나(109a), 제 2 송수신부(109), 메모리(170), CPU(180), 미디어 컨트롤러(190), 및 도 1에 나타내는 선택버튼(104)이나 푸시버튼(105) 등의 각종 스위치(181)가 구비되어 있고, 또 한 기록 미디어(190a)가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200), CPU(180), 자이로 센서(182), 드라이버(DR)에 의해 본 발명에서 말하는 이미지 블러링 보정 장치의 일례가 구성되고, 그 이미지 블러링 보정 장치와 입력 컨트롤러(130), 화상 신호 처리부(140), 비디오 인코더(150), 화상 표시 장치(160), 액정 패널(101), 미디어 컨트롤러(190), 기록 미디어(190a)에 의해 본 발명의 촬영 장치의 일례가 구성된다.
CPU(180)는 도 2에 타나내는 휴대 전화기(100)의 각종 요소에 처리 지시를 전하여 각종 요소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촬영을 행하는 촬영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도 1의 선택버튼(104)이 푸싱(pushing)되면, CPU(180)로부터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200)이 구비하는 CCD(112)에 지시가 부여됨과 아울러 자이로 센서(182)에 의해 검출된 손떨림을 없애는 방향으로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200)이 구비하는 유지 모듈(후술)을 요동시키도록 드라이버(DR1, DR2)에 지시가 부여되어 손떨림이 보정되면서 촬영이 행해진다. 이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200)의 구성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A)의 선택버튼(104)이 푸싱된 것을 받아들여 CPU(180)는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200) 내의 CCD(112)에 전자 셔터를 설정하여 촬영 처리를 개시시킨다.
이때에는 선택버튼(104)이 푸싱되었을 때의 손떨림 방향이 자이로 센서(182)에서 검출되어 CPU(180)에 통지된다. CPU(180)는 그 자이로 센서(182)의 검출 결과를 받아 드라이버(DR1, DR2)에 보정 방향을 통지하고, 드라이버(DR1, DR2)에 이미 지 블러링 보정 유닛(200) 내의 코일(후술함)을 구동시켜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200) 내의 유지 모듈(후술함)을 블러링에 따라 요동시키면서 촬영을 실시시킨다. 이렇게 하여 선택버튼(104)이 눌러졌을 때의 손떨림이 보정되어 CCD(112)에 블러링 없이 피사체 광이 결상된다.
그리고, CCD(112)는 촬영 렌즈(100a)를 통과해 온 피사체 광을 전자 셔터의 셔터 초시간 중 수광하여 피사체 광에 기초한 피사체 상을 아날로그 신호인 피사체 신호로서 판독한다. 그 CCD(112)에서 생성된 피사체 신호는 A/D 변환부(113)에서 디지털의 촬영 화상 데이터로 변환되고, 변환 후의 촬영 화상 데이터는 입력 컨트롤러(130)를 통해 화상 신호 처리부(140)로 보내진다.
화상 신호 처리부(140)에서는 화상 데이터에 RGB 레벨의 조절, 감마 조정 등의 화상 처리가 시행되고, 또한 화상 처리 후의 화상 데이터에 압축 처리가 시행된다. 압축 후의 화상 데이터는 일단 메모리(170)에 보내진다.
메모리(170)에는 이 휴대 전화기(100) 내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기억되거나 중간 버퍼로서 이용되는 기록 속도가 고속인 SDRAM, 각종 메뉴 화면용의 데이터나 유저의 설정 내용 등이 기억된 데이터 보존용 메모리인 SRAM, 압축된 화상 데이터가 기억되는 VRAM이 포함되어 있다. VRAM은 복수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고, 화상 데이터가 복수 영역에 순서대로 기억되며, 기억된 화상 데이터는 비디오 인코더(150)나 미디어 컨트롤러(190)에 순차적으로 판독된다.
비디오 인코더(150)는 CPU(180)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메모리(170)로부터 압축 후의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고, 압축 후의 화상 데이터를 액정 패널(101)에서 표 시할 수 있는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한다. 변환 후의 화상 데이터는 화상 표시 장치(160)에 보내져 화상 표시 장치(160)에 의해 화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화상이 액정 패널(101)에 표시된다. 미디어 컨트롤러(190)는 메모리(170)에 기억된 압축 후의 화상 데이터를 기록 미디어(190a)에 기록하거나, 기록 미디어(190a)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 1 (A)에 나타내는 푸시버튼(105)을 사용하여 전화번호가 입력되어 확정버튼(107)이 푸싱되면 전화번호가 설정되어 상대 장치와의 통신이 개시된다. 이때, 휴대 전화기(100)의 전화번호나 입력된 전화번호 등의 통신 정보가 CPU(180)로부터 제 1 송수신부(103)로 전해지고, 통신 정보가 전파로 변환되어 안테나(103a)에 전해져 안테나(103a)로부터 전파가 발생된다. 제 1 안테나(103a)로부터 발생된 전파는 건물이나 전신주 등의 각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공동 안테나(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전화국으로 전해지고, 전화국에서 지정된 전화번호가 할당된 상대 장치와의 접속이 확립된다.
상대 장치와의 접속이 확립되면, 유저가 휴대 전화기(100)를 향해 낸 소리가 마이크로폰(121)에서 집음되고, 집음된 소리가 인터페이스부(120)에서 음성 데이터를 나타내는 전파로 변환되어 제 1 송수신부(103)의 제 1 안테나(103a)에 의해 상대 장치로 송신된다. 또한, 제 1 안테나(103a)를 통해 수신된 음성용 전파는 인터페이스부(120)에서 음성 데이터로 변환되어 스피커(122)로부터 음성으로서 발생된다. 제 1 송수신부(103), 제 1 안테나(103a)에서는 음성 데이터 뿐만 아니라 전화번호 대신에 메일 주소를 사용하여 메일을 나타내는 메일 데이터도 송수신된다. 제 1 안테나(103a)에서 수신되어 제 1 송수신부(103)에서 디지털화된 메일 데이터는 입력 컨트롤러(130)에 의해 메모리(170)에 기억된다.
또한, 이 휴대 전화기(100)에는 전화국을 통해 다른 휴대 전화기 등의 상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제 1 송수신부(103), 제 1 안테나(103a))와는 별도로 전화국을 통하지 않고 근거리용의 무선 통신에 의해 통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제 2 송수신부(109), 제 2 안테나(109a))도 구비되어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용의 통신 인터페이스로서는 적외선 통신이나 블루투스(Bluetooth)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신 인터페이스로서 적외선 통신이 적용되어 있고, 다른 휴대 전화기 등으로부터 직접 송신되어 온 적외선이 제 2 안테나(109a)에서 수신되면 그 수신된 적외선에 기초하는 전기 신호가 제 2 송수신부(109)에서 픽업되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다. 반대로, 외부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할 때에는 제 2 송수신부(109)에 데이터가 전해지고, 그 데이터가 제 2 송수신부(109)에서 전파로 변환되어 제 2 안테나(109a)로부터 발생된다.
이 제 2 안테나(109a)에서 화상을 나타내는 적외선이 수신되면 제 2 송수신부(109)에서는 적외선에 기초한 전기 신호가 화상 데이터로 변환된다. 변환된 화상 데이터는 촬영 화상 데이터와 마찬가지로 하여 화상 표시 장치(160)에 보내져 화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화상이 액정 패널(101)에 표시되거나, 미디어 컨트롤러(190)를 통해 기록 미디어(190a)에 기록된다.
휴대 전화기(100)는 기본적으로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이어서, 휴대 전화기(100)가 구비하는 촬영 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20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에 나타내어져 있는 각 부재가 장착된 후의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2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도 4에 있어서는 왼쪽 아래가 피사체측에 해당한다.
도 3에는 왼쪽 아래의 피사체측으로부터 커버(201), 유지 모듈(202), 화상 신호 전송용의 플렉시블 기판(FR1), 도 3의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판(203A)과 도면의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판(203B)의 양쪽에 형성된 각 코일을 통전시키기 위한 플렉시블 기판(FR2), 코일이 형성된 기판(203A, 203B) 각각을 유지하는 한쌍의 암(ARM1, ARM2), 각 기판(203A, 203B) 상에 형성된 코일에 대향하도록 N극과 S극이 배열된 마그넷(MAG1, MAG2)을 유지하는 ㄷ자형의 요크(2041, 2042), 2개의 암 각각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2개의 요크(2041, 2042)가 각각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에 고정되는 지지부재(205)가 순서대로 각각 분해된 상태로 나타내어져 있다. 이들이 조립되면 도 4에 나타내는 형태로 된다.
우선, 도 3을 참조하여 구성을 설명해 나간다.
도 3의 가장 우측에는 유지 모듈(202)을 요동시키기 위한 2개의 구동 기구를 지지하는 く자형의 지지부재(205)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 지지부재(205)에 유지 모듈을 요동시키기 위한 2개의 구동 기구가 지지됨과 아울러 유지 모듈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지지부재(205)에는 상기 2개의 암(ARM1, ARM2)의 양 단부에 형성되어 있 는 구멍부(H1, H2, H3, H4)가 각각 삽입되는 안내부재(2051, 2052, 2053)가 3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이들 안내부재(2051~2053)는 く자형의 형상을 갖는 지지부재(205)의 각 정점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중앙의 안내부재(2051)에는 양쪽 암(ARM1, ARM2)의 양 단부의 구멍 중 구멍(H1)과 구멍(H3)이 공통적으로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즉, 2개 중 한쪽 암(ARM1)이 지지부재(205)의 く자형의 중심의 정점에 있는 안내부재(2051)와 く자의 한쪽 단부측의 정점에 있는 안내부재(2052)에 삽입되고, 다른쪽의 암(ARM2)이 く자형의 중심의 정점에 있는 안내부재(2051)와 다른쪽의 단부측의 정점에 있는 안내부재(2053)에 삽입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들 암(ARM1, ARM2)의 한쪽 단부측(구멍(H1), 구멍(H4)이 있는 곳)의 유지 모듈측에는 유지 모듈측의 구형상의 볼록부에 맞물리는 오목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재(205)의 く자형의 중심부의 유지 모듈측에는 유지 모듈(202)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가 있고, 이 지지부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재(205)의 く자형의 중앙의 정점을 중심으로 도 3의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면과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에는 각각 ㄷ자형의 요크(2041, 2042)가 접착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들 ㄷ자형의 요크(2041, 2042)는 코일이 형성된 기판(203A, 203B)이 있는 측으로 개구가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각각의 개구측으로부터 마그넷(MAG1, MAG2)과 평행이 되도록 기판(203A, 203B) 각각이 수용되도록 하여 배치된다. 그 각 기판(203A, 203B)에는 기판 상의 코일에 통전을 행하기 위한 플렉시블 기판(FR2)이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코일이 형성된 기 판(203A, 203B)에는 암(ARM1, ARM2)의 움직임에 따라 요동하는 유지 모듈(202)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홀소자가 구비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く자형 지지부재(205)의 중앙 정점부의 유지 모듈(202)측에는 유지 모듈(202)의 구형상의 볼록부가 맞물려 유지 모듈(202)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오목부에 유지 모듈(202)의 볼록부(PB)가 맞물림과 아울러 지지부재(205)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2개의 암(ARM1, AMR2)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구형상의 오목부가 유지 모듈(202)의 제 1 구동점(D1)의 볼록부와 제 2 구동점(D2)의 볼록부에 맞물리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 모듈(202)이 요동 가능하게 지지부재(205)에 지지되게 된다.
이 예에서는 지지부재(205)와 암(ARM1)과 코일이 형성된 기판(203A)과 마그넷(MAG1)이 부착된 요크(204A)에 의해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 1 구동 기구의 일례가 구성되고, 지지부재(205)와 암(ARM2)과 코일이 형성된 기판(203B)과 마그넷(MAG2)이 부착된 요크(204B)에 의해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 2 구동 기구의 일례가 구성되게 된다. 그 제 1 구동 기구가 유지 모듈(202)을 제 1 구동점(D1)을 통해 축점(PB)과 제 2 구동점(D2)을 연결하는 제 1 축 둘레로 회전시킴과 아울러 제 2 구동 기구가 제 2 구동점(D2)을 통해 축점(PB)과 제 1 구동점(D1)을 연결하는 제 2 축 둘레로 회전시킴으로써 유지 모듈을 요동시킨다.
또한 도 3에는 제 1 구동점(D1)과 제 2 구동점(D2)을 나타내기 위해 구형상의 볼록부를 갖는 봉상의 부재(2021A, 2021B)와, 그들 봉상의 부재(2021)에 삽입되는 스프링(2022A, 2022B)이 각각 나타내어져 있다. 각각의 스프링(2022A, 2022B)은 코일이 통전되어 있지 않을 때에 2개의 암(ARM1, ARM2) 각각을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 부재로서, 각 스프링(2022A, 2022B)은 코일이 통전되지 않을 때에는 볼록부(제 1 구동점(D1), 제 2 구동점(D2))를 암측의 오목부에 스프링 바이어싱에 의해 밀착시킴으로써 코일의 통전을 끊은 후에는 그 통전을 끊었을 때에 위치해 있던 위치에 암을 정지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이 예에서는 유지 모듈(202)에 렌즈 외에 CCD(112)도 유지되는 구성의 것이 나타내어져 있으므로 요동하는 유지 모듈(202)에 화상 신호 전송용의 플렉시블 기판(FR1)이 접속되어 있다. 그 플렉시블 기판(FR1)은 CCD(112)가 실장되어 있는 센서 기판(PCB)에 일단이 접속되고, 그 센서 기판(PCB)으로부터 적어도 최초로 연장되는 부분이 유지 모듈(202)로부터 외측을 향해 축점(PB)과 제 1 구동점(D1)을 연결하는 제 1 방향과 축점(PB)과 제 2 구동점(D2)을 연결하는 제 2 방향 양쪽에 대하여 비스듬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요동이 그다지 플렉시블 기판에 전해지지 않게 된다.
여기까지의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200)에 관한 설명은 일본 특허 출원 2007-035341호에서 제안한 구성의 설명과 거의 같은 내용이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일본 특허 출원 2007-035341호의 구성에 더해 새로 추가된 커버(201)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인은 일본 특허 출원 2006-269712호, 일본 특허 출원 2006-269713호, 일본 특허 출원 2006-269714호, 일본 특허 출원 2006-269715호, 일본 특허 출원 2007-035341호 등의 미공개 출원에서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 의 소형·박형화를 도모해 왔지만, 과제로도 든 바와 같이, 종래의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에 있어서는 유지 모듈이 표면에 노출되므로 부착 상태나 블러링의 발생 상황에 따라서는 유지 모듈(202)의 요동부가 지나치게 크게 흔들려 휴대 전화기(100) 내부 본체에 접촉되어 본체 내벽을 흠집내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요동부가 빈번하게 본체 내벽에 접촉됨으로써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 자체가 깨져버린다는 문제를 안고 있었다.
그래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요동부의 요동을 규제하기 위해 유지 모듈(202) 전체를 피복하는 커버(201)를 새롭게 설치해 그 커버(201)를 방패로 하여 요동부의 휴대 기기 본체 내벽으로의 접촉을 금지함과 아울러, 그 커버(201)의 치수를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의 외형 치수로서 휴대 전화기의 조립을 행하는 측의 사람들에게 제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커버(201)의 유지 모듈(202)의 요동에 의한 커버로의 접촉이 일어날 수 있는 부분에 완충부재를 설치함과 아울러 커버(201) 자체에 전자기 실드 기능(예를 들면 실드 기능을 가지는 소재를 이용하거나, 증착(蒸着)이나 스퍼터링 등의 표면에 금속을 형성하는 기술 등을 이용함)을 지니게 하여 커버를 다기능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고안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본 실시형태의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200)이 휴대 전화기(100)의 본체 내부에 장착된 후에 있어서는 휴대 기기의 본체 내벽으로의 접촉은 물론 커버로의 접촉이 금지되어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의 확실한 동작이 보증된다. 또한, 낙하 충격 등에 의해 요동이 커져 커버에 접촉되어 버리는 경 우가 있어도 완충부재에 의해 커버로의 접촉 상태가 완화되어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의 손괴가 방지된다.
또한, 종래에 있어서는 안테나 등이 근방에 탑재되어 있을 때에는 그 안테나의 옆에는 전자기 방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을 배치할 수 없었지만, 본 실시형태의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200)에 있어서는 커버(201)가 다기능적으로 활용되어 전자기 실드 기능도 가지므로 안테나 옆에도 실장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구동 기구에 코일과 마그넷을 이용한 이른바 보이스 코일 모터 타입의 것을 사용한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구동 기구는 예를 들면 피에조 소자를 사용하여 유지 모듈을 구동하는 타입의 것 등이어도 된다.
마지막으로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200)의 동작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에는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을 옆 방향에서 본 도면이 나타내어져 있다.
도 5 (a)에는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200)이 구비하는 유지 모듈(201)이 지지부재(205)의 저면에 대하여 거의 평행한 자세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가 나타내어져 있고, 도 5 (b)와 도 5 (c)에는 유지 모듈의 요동부가 최대 각도(±1.5도) 요동했을 때의 유지 모듈(201)의 자세가 각각 나타내어져 있다.
도 5 (a)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유지 모듈이 +1.5도 요동했을 때에는 도 5 (b)에 나타내는 자세가 되고, -1.5도 요동했을 때에는 도 5 (c)에 나타내는 자세가 된다.
도 5 (b)에는 요동부가 낙하 충격 등에 의해 +1.5도 이상 크게 요동하여 커버에 접촉되어도 요동에 의한 커버로의 접촉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부재(201A)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도 5 (c)에는 -1.5도 요동했을 때에 요동부가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의 지지부재(205)의 저면과 거의 동일면이 되는 것이 나타내어져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이면 커버(201)에 의해 정해진 외형 치수 내이면 확실한 동작이 보증된다. 또한, 완충부재(201A)에 의해 요동부가 깨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미지 블러링 보정 장치를 휴대 전화기에 적용한 경우에 대해 나타냈지만, 촬영 장치는 물론 투영 장치나 복사기 등 광학계가 장착되어 있는 다른 광학 장치에 있어서도 이 장치를 탑재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또한, 신축부재에 대해서는 상술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스프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신축 가능한 부재이면 다른 것을 이용해도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가 적용된 휴대 전화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휴대 전화기(1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에 나타내어져 있는 각 부재에 의해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이 조립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의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출원인이 제안하는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휴대 전화기 101 : 액정 패널
102 : 송화구 103a : 제 1 안테나
104 : 선택버튼 105 : 푸시버튼
106 : 수화구 107 : 확정버튼
108 : 전원버튼 109a : 제 2 안테나
112 : CCD 113 : A/D 변환부
120 : 인터페이스부 121 : 마이크로폰
122 : 스피커 130 : 입력 컨트롤러
140 : 화상 신호 처리부 150 : 비디오 인코더
160 : 화상 표시 장치 170 : 메모리
180 : CPU 200 :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
100a : 렌즈 201 : 커버
202 : 유지 모듈 203A, 203B : 기판
204A, 204B : 요크 2051, 2052, 2053 : 안내부재
FR1, FR2 : 플렉시블 기판 ARM1, ARM2 : 암
PB : 축점(구형상의 볼록부) D1 : 제 1 구동점(구형상의 볼록부)
D2 : 제 2 구동점(구형상의 볼록부)

Claims (13)

  1. 렌즈를 유지하는 유지 모듈; 및
    상기 렌즈를 경유해 온 피사체 광을 포착함으로써 형성되는 화상의 블러링이 보정되도록 상기 유지 모듈을 구동하는 구동 기구를 구비한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으로서:
    상기 유지 모듈, 상기 구동 기구를 피복하여 상기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의 외형을 정하는 커버 및;
    상기 유지 모듈을 자유로운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상기 유지 모듈의 외주 가장자리의 일점인 축점에서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유지 모듈의 외주 가장자리의 상기 축점으로부터 서로 다른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 각각으로 떨어진 제 1 구동점 및 제 2 구동점 각각을 통해 상기 유지 모듈을 구동하는 2개의 구동 기구이며, 상기 제 1 구동점을 통해 상기 축점과 상기 제 2 구동점을 연결하는 제 1 축 둘레로 상기 유지 모듈을 회전시키는 제 1 구동 기구와, 상기 제 2 구동점을 통해 상기 축점과 상기 제 1 구동점을 연결하는 제 2 축 둘레로 상기 유지 모듈을 회전시키는 제 2 구동 기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는 상기 유지 모듈 및 상기 2개의 구동 기구를 피복함과 아울러 상기 지지부재를 피복하여 상기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의 외형을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유지 모듈의 요동에 의한 상기 커버로의 접촉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부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전자기 실드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 기구는
    상기 제 1 구동점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암;
    상기 제 1 암에 유지되어 자기력의 작용과 통전을 받아 광축 방향의 구동력을 생성하여 상기 제 1 암으로 하여금 상기 제 1 구동점을 광축 방향으로 구동시키게 하는 제 1 코일;
    상기 지지부재에 유지되어 상기 제 1 코일에 자기력을 작용시키는, 광축에 대하여 수평으로 펼쳐지는 제 1 마그넷; 및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제 1 암의 상기 제 1 구동점에 구동력을 부여하는 제 1 작용점이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 1 암을 안내하는 제 1 안내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구동 기구는
    상기 제 2 구동점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 암;
    상기 제 2 암에 유지되어 자기력의 작용과 통전을 받아 광축 방향의 구동력을 생성하여 상기 제 2 암으로 하여금 상기 제 2 구동점을 광축 방향으로 구동시키게 하는 제 2 코일;
    상기 지지부재에 유지되어 상기 제 2 코일에 자기력을 작용시키는, 광축에 대하여 수평으로 펼쳐지는 제 2 마그넷; 및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제 2 암의 상기 제 2 구동점에 구동력을 부여하는 제 2 작용점이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 2 암을 안내하는 제 2 안내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암에 지지되어 상기 제 1 암이 상기 제 1 구동점을 구동했을 때의 상기 제 1 암의 광축 방향의 이동에 의한 상기 제 1 마그넷으로부터 받는 자기력의 변화를 검출하는 제 1 센서; 및
    상기 제 2 암에 지지되어 상기 제 2 암이 상기 제 2 구동점을 구동했을 때의 상기 제 2 암의 광축 방향의 이동에 의한 상기 제 2 마그넷으로부터 받는 자기력의 변화를 검출하는 제 2 센서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모듈은 렌즈를 유지함과 아울러 피사체 광을 포착하여 화상 신호를 생성하는 이미지 센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 지 블러링 보정 유닛.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점 및 상기 제 2 구동점은 상기 제 1 구동점과 상기 축점을 연결하는 선분 및 상기 제 2 구동점과 상기 축점을 연결하는 선분이 서로 대략 90도의 각도로 교차하는 각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모듈은 상기 축점에 구형상의 볼록부를 갖고, 상기 지지부재는 지지부에 상기 볼록부를 수용하는 구형상의 오목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모듈은 상기 제 1 구동점 및 상기 제 2 구동점 각각에 구형상의 볼록부를 갖고; 상기 제 1 암 및 상기 제 2 암은 상기 제 1 작용점 및 상기 제 2 작용점 각각에, 상기 제 1 구동점 및 상기 제 2 구동점 각각에 구비된 각 볼록부를 수용하는 구형상의 각 오목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암 및 상기 제 2 암은 상기 각 오목부를 통해 상기 각 볼록부에 구동력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080054787A 2007-06-15 2008-06-11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 KR1009777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159269 2007-06-15
JP2007159269A JP2008310172A (ja) 2007-06-15 2007-06-15 像ブレ補正ユニット、像ブレ補正装置、撮影装置、および携帯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0500A KR20080110500A (ko) 2008-12-18
KR100977748B1 true KR100977748B1 (ko) 2010-08-24

Family

ID=39745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4787A KR100977748B1 (ko) 2007-06-15 2008-06-11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80309773A1 (ko)
EP (1) EP2003881A3 (ko)
JP (1) JP2008310172A (ko)
KR (1) KR100977748B1 (ko)
CN (1) CN10132473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949B1 (ko) * 2008-12-24 2015-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상 장치
TWI480579B (zh) * 2009-07-24 2015-04-11 Hon Hai Prec Ind Co Ltd 相機模組
KR101085645B1 (ko) * 2010-10-04 2011-11-22 삼성전기주식회사 손떨림 보정 기능이 구비된 영상촬상 장치
KR101928773B1 (ko) * 2012-02-09 2018-12-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장치
KR102502284B1 (ko) 2016-01-12 2023-02-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7549A (ja) 2001-09-28 2003-04-09 Canon Inc 振動検出手段の実装装置及び防振システム
JP2006154345A (ja) * 2004-11-30 2006-06-15 Konica Minolta Holdings Inc 手振れ補正ユニットおよび撮像装置
KR100594121B1 (ko) 2004-12-17 2006-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손떨림 보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07807A (en) * 1975-09-04 1980-06-17 Oiles Industry Co., Ltd. Plastic air cylinder assembly
JP2612371B2 (ja) 1990-07-12 1997-05-21 三菱電機株式会社 画振れ補正装置
JPH07274056A (ja) 1994-03-25 1995-10-20 Sony Corp カメラの手振れ補正装置
JP4181663B2 (ja) * 1998-06-30 2008-11-19 キヤノン株式会社 補正光学装置、像振れ補正装置、カメラ及び交換レンズ
JP4703104B2 (ja) * 2003-06-06 2011-06-15 株式会社東芝 通信端末装置
JP2005326807A (ja) * 2004-04-12 2005-11-24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鏡胴内蔵型カメラ
JP3952049B2 (ja) * 2004-08-12 2007-08-01 コニカミノルタフォト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振れ補正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撮像装置
KR100594149B1 (ko) * 2004-10-12 2006-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손떨림 보정 장치
JP2006209066A (ja) * 2004-12-27 2006-08-10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撮像装置
JP4500940B2 (ja) 2005-03-24 2010-07-14 田中貴金属工業株式会社 ヒートシンクの製造方法
JP4720240B2 (ja) 2005-03-24 2011-07-13 株式会社デンソー 界磁コイル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2006269714A (ja) 2005-03-24 2006-10-05 Dainippon Screen Mfg Co Ltd 基板処理装置
JP2006269712A (ja) 2005-03-24 2006-10-05 Citizen Watch Co Ltd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4639942B2 (ja) * 2005-05-11 2011-02-23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振れ補正機構付き撮像装置
JP4862303B2 (ja) * 2005-07-11 2012-01-25 ソニー株式会社 像ぶれ補正装置の製造方法
JP4311383B2 (ja) 2005-07-25 2009-08-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磁誘導加熱調理器
TW200719518A (en) * 2005-11-15 2007-05-16 Ind Tech Res Inst An EMC metal-plate antenna and a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JP4862411B2 (ja) * 2006-01-30 2012-01-25 ソニー株式会社 像ぶれ補正装置、レンズ装置及び撮像装置
JP2008089876A (ja) * 2006-09-29 2008-04-17 Fujinon Corp 像ブレ補正ユニット、像ブレ補正装置、および撮影装置
KR100905236B1 (ko) * 2006-09-29 2009-07-01 후지논 가부시키가이샤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 이미지 블러링 보정 장치, 촬상장치, 및 휴대 기기
JP2008197571A (ja) * 2007-02-15 2008-08-28 Fujinon Corp 像ブレ補正ユニット、像ブレ補正装置、および撮影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7549A (ja) 2001-09-28 2003-04-09 Canon Inc 振動検出手段の実装装置及び防振システム
JP2006154345A (ja) * 2004-11-30 2006-06-15 Konica Minolta Holdings Inc 手振れ補正ユニットおよび撮像装置
KR100594121B1 (ko) 2004-12-17 2006-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손떨림 보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309773A1 (en) 2008-12-18
EP2003881A3 (en) 2013-02-27
JP2008310172A (ja) 2008-12-25
EP2003881A2 (en) 2008-12-17
CN101324738B (zh) 2011-05-18
KR20080110500A (ko) 2008-12-18
CN101324738A (zh) 2008-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5236B1 (ko)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 이미지 블러링 보정 장치, 촬상장치, 및 휴대 기기
US7957632B2 (en) Mobile device
KR101792441B1 (ko) 카메라 모듈
JP2008107784A (ja) 像ブレ補正ユニット、像ブレ補正装置、撮影装置、及び携帯機器
TWI414815B (zh) Camera shake vibration correction device
JP6708920B2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KR100977748B1 (ko) 이미지 블러링 보정 유닛
JP2009139645A (ja) 像ブレ補正ユニット、像ブレ補正装置、撮影装置、および携帯機器
JP2009058805A (ja) 像ブレ補正ユニット、像ブレ補正装置、撮影装置、および携帯機器
US20090002503A1 (en) Image stabilization unit, image stabilization device, imaging apparatus, and mobile device
JP2008312040A (ja) 撮影ユニット、撮影装置、携帯機器、および撮影ユニットの組立方法
JP2008310169A (ja) 撮影装置、携帯機器
JP2008026634A (ja) 駆動ユニット、駆動装置、手ぶれ補正ユニット、および撮影装置
JP2009020476A (ja) 像ブレ補正ユニット、像ブレ補正装置、撮影装置、および携帯機器
JP2008310168A (ja) 撮影ユニット、撮影装置および携帯機器
JP2009141677A (ja) 撮影装置および携帯機器
JP2008310174A (ja) 像ブレ補正ユニット、像ブレ補正装置、撮影装置、および携帯機器
JP2008310171A (ja) 像ブレ補正ユニット、像ブレ補正装置、撮影装置、および携帯機器
JP2008310177A (ja) 撮影ユニット、携帯機器
JP2008310173A (ja) 像ブレ補正ユニット、像ブレ補正装置、撮影装置、および携帯機器
JP2008310176A (ja) 像ブレ補正ユニット、像ブレ補正装置、撮影装置、および携帯機器
JP2008310178A (ja) 撮影装置、および携帯機器
JP2008310170A (ja) 撮影ユニット、撮影装置、および携帯機器
JP2009205015A (ja) 手振れ補正装置及び電子機器
TWM357816U (en) Image jitter compensation unit, image jitter compensation device, camera device, and mobi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