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6016B1 - 화상 투사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투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6016B1
KR100976016B1 KR1020047001968A KR20047001968A KR100976016B1 KR 100976016 B1 KR100976016 B1 KR 100976016B1 KR 1020047001968 A KR1020047001968 A KR 1020047001968A KR 20047001968 A KR20047001968 A KR 20047001968A KR 100976016 B1 KR100976016 B1 KR 100976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rojection
elevating
imag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1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4765A (ko
Inventor
이시노히로히사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50004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4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6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6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5Projectors using an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 but not peculiar thereto
    • G03B21/006Projectors using an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 but not peculiar thereto using LC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5Housing details, e.g. position adjustments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3/00Devices for changing pictures in viewing apparatus or projectors

Abstract

본 발명의 화상 투사 장치는 케이스(2)와, 케이스의 투사구(2h)와, 케이스의 투사구(2h)로부터 화상을 투사하는 투사 렌즈(38)와, 투사 렌즈(38)의 보호를 위해 투사구(2h)를 개폐하는 개폐판(3)과, 케이스(2)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시켜 앙각을 조정하는 돌출 부재(20)를 갖고, 돌출 부재(20)의 돌출량을 조정하여 투사 렌즈(38)의 앙각을 조정하는 조정 기구(50)와, 조정 기구(50)를 구동 제어하는 제어 장치(30)와, 전동 모터(51)와, 돌출 부재(20)의 상하 이동에 따라서 투사구를 개폐하는 개폐판(3)을 동작시키는 연동 기구(60)를 구비하고 있고, 돌출 부재(20)를 승강시켜 케이스(2)의 앙각을 조정하여 돌출 부재(20)의 이동에 따라서 개폐판(3)을 동작시켜 투사구(2h)를 개폐한다.
Figure R1020047001968
투사구, 투사 렌즈, 전동 모터, 조정 기구, 연동 기구

Description

화상 투사 장치{IMAGE PROJECTOR}
본 발명은 투사 화상의 앙각을 조정하는 조정기를 구비한 화상 투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프로젝터 등의 영상 변조 수단을 갖는 화상 투사 장치에는 투사 화상의 스크린 상에서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해, 화상 투사 장치의 앙각을 조정하는 조정기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 조정기는 통상 메뉴얼에 의해 조작된다.
그런데, 조정기를 구비한 화상 투사 장치에 있어서, 투사 화상의 스크린 상에서의 높이를 조정할 때에는 화상 투사 장치를 기울여 스크린 상의 화상을 보면서 조정기의 높이량을 조정할 필요가 있어 조작이 어렵거나, 미세 조정을 하기 어려운 등의 불이익이 존재하였다.
또한, 스크린의 위치가 변경될 때마다 화상 투사 장치의 앙각의 조정이 필요하고, 화상 투사 장치로부터 화상을 스크린 상에 투영하기 위한 세팅에 시간을 필요로 하여 조정기의 케이스 내로의 수납에도 수고가 드는 불이익도 존재하였다.
한편, 화상 투사 장치의 투사 렌즈는 광학 렌즈이므로, 흠집이 생기거나 오염물이 부착되지 않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고, 보호를 위해 대부분의 화상 투사 장치가 투사 렌즈에 렌즈캡을 구비하고 있다. 이로 인해, 화상 투사 장치로부터 화 상을 스크린 상에 투영하기 위해서는 매회 렌즈캡의 착탈이 필요해, 이 점에 있어서도 세팅에 시간을 필요로 하여 조정기의 케이스 내로의 수납에도 수고가 들게 되는 불이익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을 스크린 상에 투영하기 위한 조정이 용이하고, 돌출 부재 등의 승강 부재를 복귀 위치(제1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이 용이한 앙각 조정 가능한 조정기를 갖는 화상 투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투사 렌즈의 보호를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는 화상 투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르면, 제1 측에 투사구를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되어 상기 케이스의 투사구를 통해 화상을 투사하는 투사 렌즈와, 승강 부재를 갖고 상기 승강 부재의 하단부가 상기 케이스 하부의 설치면에 접촉하지 않는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승강 부재의 하단부가 상기 케이스의 설치면에 접촉하여 상기 케이스의 제1 측과 대향하는 제2 측의 상기 케이스의 바닥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상기 케이스의 제1 측을 상승시켜 앙각의 발생을 개시하는 제2 위치를 통과하고, 상기 제2 위치를 넘어서 더욱 앙각을 크게 하는 제3 위치 사이에서 상기 승강 부재를 승강시켜 이 승강에 따라서 상기 투사 렌즈의 앙각을 조정하는 조정 수단과, 상기 조정 수단을 구동 제어하는 구동 제어 수단과, 상기 투사 렌즈의 전방면에 위치하는 상기 투사구를 개폐하는 개폐 부재와, 상기 조정 수단과 연동하여 동작하여 상기 구동 제어 수단에 의해 상기 승강 부재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3 위치로 이동하게 되는 동안에 상기 개폐 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투사구를 개방하고, 상기 승강 부재가 상기 제3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복귀할 때 상기 개폐 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투사구를 폐쇄하는 연동 수단을 구비한 화상 투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르면, 제1 측에 투사구를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되어 상기 케이스의 투사구를 통해 화상을 투사하는 투사 렌즈와, 승강 부재를 갖고 상기 승강 부재의 하단부가 상기 케이스 하부의 설치면에 접촉하지 않는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승강 부재의 하단부가 상기 케이스의 설치면에 접촉하여 상기 케이스의 제1 측과 대향하는 제2 측의 상기 케이스의 바닥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상기 케이스의 제1 측을 상승시켜 앙각의 발생을 개시하는 제2 위치를 통과하고, 상기 제2 위치를 넘어 더욱 앙각을 크게 하는 제3 위치 사이에서 상기 승강 부재를 승강시켜 이 승강에 따라서 상기 투사 렌즈의 앙각을 조정하는 조정 수단과, 상기 조정 수단을 구동 제어하는 구동 제어 수단과, 상기 지지점 근방의 상기 케이스의 제2 측 상기 케이스의 상면 또는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승강 부재의 승강을 지시하는 승강 지시 조작 버튼을 구비하는 화상 투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따르면, 제1 측에 투사구를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되어 상기 케이스의 투사구를 통해 화상을 투사하는 투사 렌즈와, 승강 부재를 갖고 상기 승강 부재의 하단부가 상기 케이스 하부의 설치면에 접촉하지 않는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승강 부재의 하단부가 상기 케이스의 설치면에 접촉하여 상기 케이스의 제1 측과 대향하는 제2 측의 상기 케이스의 바닥부를 지지점으로 하 여 상기 케이스의 제1 측을 상승시켜 앙각의 발생을 개시하는 제2 위치를 통과하고, 상기 제2 위치를 넘어 더욱 앙각을 크게 하는 제3 위치 사이에서 상기 승강 부재를 승강시켜 이 승강에 따라서 상기 투사 렌즈의 앙각을 조정하는 조정 수단과, 상기 조정 수단을 구동 제어하는 구동 제어 수단과, 상기 승강 부재의 승강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과, 조정된 또는 설정된 앙각, 또는 상기 승강 부재의 승강 위치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 제어 수단은 기동시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앙각 또는 상기 승강 부재의 승강 위치로 복귀하도록 상기 위치 검출 수단의 검출치를 참조하여 상기 조정 수단을 구동 제어하는 화상 투사 장치가 제공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투사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2는 화상 투사 장치가 화상을 투사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3a 및 도3b는 화상 투사 장치의 앙각의 조정 작업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4는 화상 투사 장치의 내부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5는 이동 기구 및 연동 기구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6a, 도6b 및 도6c는 연동 기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7은 화상 투사 장치의 전원 투입으로부터 전원 차단까지의 일련의 동작의 일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화상 투사 장치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서술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투사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2는 화상 투사 장치(1)가 화상을 투사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 투사 장치(1)는 책상 등의 본 발명의 설치면에 해당하는 베이스(BS) 상에 놓여져 있고, 케이스(2)의 전방면(2a)에 투사구(2h)를 구비하고 있고, 이 투사구(2h)는 개폐판(3)에 의해 개폐된다.
케이스(2)의 상면(2b)에는 2개의 승강 지시 조작 버튼(5a, 5b) 및 전원 스위치(6)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의 승강 지시 조작 버튼(5a, 5b) 및 전원 스위치(6)는 조작성의 관점으로부터 후술하는 앙각 제어에 의해서도 위치 변동이 적은 케이스(2)의 배면(2c)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2)의 바닥면(2d)에는 전방면(2a)측에 2개의 지지 부재(11)가 설치되고, 배면측(2c)에 지지 부재(12)가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2)는 이들의 지지 부재(11, 12)에 의해 4점이 지지되어 있고, 베이스(BS)와 케이스(2)의 바닥면(2d)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된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 투사 장치(1)는 본 발명의 승강 부재로서의 돌출 부재(20)를 갖고 있다. 돌출 부재(20)는 본 발명의 승강 부재의 제1 위치(복귀 위치)의 일예로서의 케이스(2) 내부의 수용 위치와, 본 발명의 제2 위치인 돌출 부재(20)의 하단부가 베이스(BS)에 접촉하여 케이스(2)를 기울이는 앙각이 발생하기 시작하는 위치, 또한 돌출 부재(20)가 케이스(2)의 바닥면(2d)으로부터 돌출하여 케이스(2)의 앙각이 최대 앙각까지 커지는 제3 위치 사이에서 승강 이동(상하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수용 위치라 함은 돌출 부재(20)의 전체가 케이스(2) 내에 수용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돌출 부재(20)의 하단부가 베이스(BS)에 접촉하지 않고, 앙각을 발생시키지 않는 위치이면 된다.
돌출 부재(20)가 케이스(2) 내부의 수용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는, 화상 투사 장치(1)는 베이스(BS)와 평행하는 수평 방향에 위치하고 있고, 돌출 부재(20)가 케이스(2)의 바닥면(2d)으로부터 돌출됨으로써 그 돌출량에 따라서 화상 투사 장치(1)의 앙각이 변화한다. 이 앙각의 변화에 따라서 투사구(2h)로부터 스크린에 투사되는 투사 화상의 앙각이 변화한다.
승강 지시 조작 버튼(5a, 5b)은 돌출 부재(20)의 상하 위치 조정을 행하는 지시 버튼이다. 예를 들어, 승강 지시 조작 버튼(5b)을 누르면, 누르고 있는 동안 후술하는 제어 수단(30)의 제어 동작에 의해, 예를 들어 제1 위치인 수용 위치로부터 제2 위치인 앙각이 발생하는 제2 위치를 향해 하강하여 돌출 부재(20)가 케이스(2)의 바닥면(2d)으로부터 돌출되어 베이스(BS)에 접촉하고, 또한 돌출 부재(20)가 계속 하강하면 케이스(2)의 전방면(2a)과 대향하는 배면(이면)(2c)의 하부, 지시 부재(12)를 통과하는 축(S)을 지지점으로 하여 축(S)을 중심으로 경사져 케이스(2)의 투사구(2h)가 마련되어 있는 전방면(2a)이 상승한다. 승강 지시 조작 버튼(5b)을 계속 누르면, 돌출 부재(20)와 최대 앙각을 발생시키는 제3 위치 까지 이동하여 정지한다.
한편, 승강 지시 조작 버튼(5a)을 누르면, 돌출 부재(20)가 수용 위치를 향해 상승한다. 돌출 부재(20)가 상승하여 베이스(BS)로부터 떨어지면, 케이스(2)의 전방면(2a)이 내려가 곧 화상 투사 장치(1)의 경사는 없어지고, 또한 돌출 부재(20)가 상승하면 수용 위치로 복귀된다.
이 돌출 부재(20)의 상하 이동에 관련하여 개폐판(3)을 이동시켜 투사구(2h)를 개방하고, 투사구(2h)를 통해 투사 렌즈(38)(도4)로부터의 화상광(L)을 스크린에 투사한다. 또한, 개폐판(3)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자동 개폐되지만, 이 개폐판(3)의 개폐 구조 및 화상 투사 장치(1)의 내부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3a 및 도3b는 화상 투사 장치(1)의 앙각의 조정 작업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3a 및 도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앙각(θ)은 베이스(BS)를 기준으로 하여, 예를 들어 베이스(BS)와 투사 렌즈의 광축(L0)이 이루는 각도로서 규정되거나, 또는 베이스(BS)와 화상광(L)의 최하부가 이루는 각도로서 규정된다. 또한, 앙각(θ)은 베이스(BS)에 대한 케이스(2)의 경사 각도와 대략 비슷하다.
화상 투사 장치(1)로부터 투사되는 화상광(L)의 스크린(SC) 상에서의 높이 조정은 승강 지시 조작 버튼(5a, 5b)을 조작하면서 앙각(θ)을 조정함으로써 행한다.
승강 지시 조작 버튼(5a, 5b)은 지지 부재(12)를 통과하는 축(S)의 상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스크린(SC)에 투영된 화상을 보면서 승강 지시 조작 버튼(5a, 5b)의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투사 장치(1)가 경사졌다고 해도, 도3b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승강 지시 조작 버튼(5a, 5b)의 위치는 거의 이동하지 않으므로 승강 지시 조작 버튼(5a, 5b)의 조작성이 매우 좋다.
마찬가지로, 전원 온(ON) 및 오프(OFF) 스위치(6)도 승강 지시 조작 버튼(5a, 5b)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고, 승강 지시 조작 버튼(5a, 5b)과 같은 이유로 조작성이 좋다.
도4는 화상 투사 장치(1)에 내부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 투사 장치(1)는 제어 장치(30)와, 증폭 회로(33)와, 전동 모터(51)와, 구동 회로(34)와, 램프 전원(35)과, 램프(36)와, 액정 패널(37)과, 투사 렌즈(38)와, 조정 기구(50)와, 조정 기구(50)와 연동하는 연동 기구(60)와, 위치 검출기(70)를 갖는다.
구동 회로(34)는 입력 단자(45)로부터 영상 신호를 받아 이 영상 신호를 기초로 하여 액정 패널(37)을 구동한다.
액정 패널(37)은 스크린(SC)에 투사해야 할 화상을 생성하여 투사 렌즈(38)로 입사시키는 영상 신호 변조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램프(36)는 액정 패널(37)에서 생성된 화상을 투사 렌즈(38)를 거쳐서 스크린(SC)에 투사하기 위한 광을 출력한다.
램프 전원(35)은 제어 장치(3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서 램프(36)에 전력을 공급한다.
투사 렌즈(38)는 영상 신호를 기초로 하여 액정 패널(37)에 의해 변조된 램프(36)로부터의 광을 확대하여 출사하고, 스크린(SC) 상에 결상시킨다. 이 투사 렌즈(38)의 전방면의 투사구(2h) 부분에 상기한 개폐판(3)이 배치된다. 투사 렌즈(38)로부터 영상이 투사되지 않을 때에는, 개폐판(3)이 투사구(2ha)를 폐색하여 투사 렌즈(38)의 전방면을 덮어, 흠집, 오염물 등으로부터 투사 렌즈(38)를 보호한다.
위치 검출기(7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돌출 부재(20)의 위치를 검출한다. 이 위치 검출기(70)로서는, 예를 들어 슬라이드식 포텐시오미터가 이용된다.
제어 장치(30)는 CPU를 갖는 프로세서(31)와, 메모리(32)를 갖고 있다. 프로세서(31)는 각종 연산 처리를 행하고, 메모리(32)는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다.
제어 장치(30)는 위치 검출기(70)의 검출 신호(70s), 전원 스위치(6)로부터의 온/오프 신호(6s), 조작 버튼(5a, 5b)의 지령 신호(5as, 5bs)가 입력되고, 입력되는 신호를 기초로 하여 램프 전원(35)의 온, 오프 제어 및 전동 모터(51)의 구동 제어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30)는 전원 스위치(6)로부터의 온/오프 신호(6s)가 온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램프 전원(35)을 동작시키는 신호를 상기 램프 전원(35)에 출력하고, 온/오프 신호(6s)가 오프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램프 전원(35)을 오프시키는 신호를 상기 램프 전원(35)에 출력한다.
또한, 제어 장치(30)는 승강 지시 조작 버튼(5a, 5b)의 조작에 따라서 조정 기구(50)를 구동하는 경우에는, 전동 모터(51)를 구동하는 지령(30s1)과 회전 방향을 규정하는 지령(30s2)을 증폭 회로(33)에 출력한다. 즉, 전동 모터(51)는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하고, 또한 구동 지령(301s1)의 크기에 따른 회전 스피드로 회전 가능하다. 전동 모터(51)의 회전 방향이 돌출 부재(20)의 상하 이동 방향을 규정하여 전동 모터(51)의 회전 스피드가 돌출 부재(20)의 상하 이동 속도를 규정한다.
또한, 제어 장치(30), 증폭 회로(33) 및 전동 모터(51)는 본 발명의 구동 제어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단, 제어 장치(30) 내의 메모리는 본 발명의 기억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증폭 회로(33)는, 예를 들어 지령(30s1)이 낮은 레벨인 경우에는 지령(30s2)에 따른 방향의 소정의 전압을 전동 모터(51)에 인가하고, 지령(30s1)이 높은 레벨인 경우에는 전압을 전동 모터(51)에 인가하지 않는다.
도5는 조정 기구(50) 및 조정 기구(50)와 연동하는 연동 기구(60)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정 기구(50)는 돌출 부재(20)와, 웜기어(52)와, 기어(53)와, 나사축(54)을 갖는다.
웜기어(52)는 케이스(2) 내에 고정된 전동 모터(51)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있다.
기어(53)는 웜기어(52)에 맞물려 있다. 이 기어(53)는 나사축(54)의 상단부측 축부(54b)에 중심부가 삽입되어 축부(54b)에 고정되어 있다.
나사축(54)은 외주에 나사가 형성된 나사부(54a)를 갖고 있고, 이 나사축(54) 축부(54b)의 선단부는 케이스(2) 내에 고정된 지지 부재(5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나사축(54)의 하단부는 케이스(2) 내에 고정된 지지판(5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돌출 부재(20)는 상하단부가 굴곡되어 있고, 상측의 굴곡부에 나사축(54)의 나사부(54a)가 나사 결합하는 나사 구멍(20h)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출 부재(20)는 상기한 지지판(55)에 형성된 안내 구멍(55h)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이 안내 구멍(55h)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안내되어 있다.
돌출 부재(20)는 아암부(20A)를 구비하고 있고, 이 아암부(20A)에 형성된 고정 결합 구멍(20Ah)에 위치 검출기(70)의 가동부(71)가 삽입되어 있다.
위치 검출기(70)는, 예를 들어 슬라이드식 포텐시오미터이고, 가동부(71)의 위치에 따른 전압 신호를 제어 장치(30)에 출력한다.
조정 기구(50)와 연동하는 연동 기구(60)는 링크 부재(61)와, 돌출 부재(20)의 아암부(20A)와, 개폐판(3)에 형성된 아암부(3b)와, 탄성 부재(65)로 구성된다.
링크 부재(61)는 케이스(2) 내에 고정된 지지축(69)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링크 부재(61)는 지지축(69)의 한 쪽에 위치하여 돌출 부재(20)의 아암부(20A)의 선단부와 접촉하는 접촉부(61a)와, 지지축(69)의 다른 측에 위치하여 개폐판(3)의 아암부(3b)와 연결되는 연결부(61b)를 갖는다.
연결부(61b)에는 개폐판(3)의 아암부(3b)에 설치한 핀(3c)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긴 구멍부(61h)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링크 부재(61)의 접촉부(61a)는 케이스(2) 내에 고정된 스토퍼(68)와 접촉하고, 접촉한 위치에서 회전이 규제된다.
탄성 부재(65)는 링크 부재(61)의 연결부(61b)와 케이스(2)를 연결하고 있고, 링크 부재(61)를 도5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으로 압박하고 있다. 탄성 부재(65)에는,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이 이용된다.
개폐판(3)은 보유 지지부(3a)를 갖고, 이 보유 지지부(3a)가 케이스(2) 내에 고정된 지지축(4)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되어 있다.
개폐판(3)의 보유 지지부(3a)에 링크 부재(61)의 연결부(61b)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아암부(3b)가 형성되어 있다.
조정 기구(50)에 있어서, 전동 모터(51)가 회전하면 웜기어(52)가 회전하고, 이에 의해 기어(53) 및 나사축(54)이 회전한다.
나사축(54)이 회전하면, 돌출 부재(20)는 나사축(54)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나사축(54)의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돌출 부재(20)는 전동 모터(51)의 회전 동작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한다.
도6a 내지 도6c는 연동 기구(6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6a는 돌출 부재(20)가 케이스(2) 내에 수납되어 소정의 수납 위치(본 발명의 제1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돌출 부재(20)의 아암부(20A)는 링크 부재(61)의 접촉부(61a)에 접촉하고 있다. 링크 부재(61)는 탄성 부재(65)의 가압력에 의해 지지축(69)을 중심으로 화살표(B1)의 방향으로 회전하고자 하지만, 아암부(20A)에 의해 탄성 부재(65)의 탄성력이 억제되어 회전이 규제되고 있다.
도6a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어서, 전원 스위치(6)가 온이 되어 전원이 투입된 후, 승강 지시 조작 버튼(5b)이 눌려「앙각을 상승시킨다」는 지시가 있으면, 제어 장치(30)는 전동 모터(51)를 구동하여 돌출 부재(20)를 도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강시킨다. 돌출 부재(20)의 아암부(20A)의 하강에 수반하여 아암부(20A)와 링크 부재(6)의 접촉부(61a)의 결합이 해제되어, 링크 부재(61)는 탄성 부재(65)의 가압력에 의해 지지축(69)을 중심으로 화살표(B1)의 방향으로 회전을 개시한다.
링크 부재(61)가 회전하면, 링크 부재(61)의 연결부(61b)와 개폐판(3)의 아암부(3b)는 연결되어 있으므로, 개폐판(3)이 지지축(4)을 중심으로 화살표(C1)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개폐판(3)의 아암부(3b)의 핀(3c)은 링크 부재(61)의 연결부(61b)의 긴 구멍부(61h) 내를 이동한다.
개폐판(3)의 지지축(4)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의해, 개폐판(3)에 의해 폐쇄되어 있던 투사구(2h)가 개방되어 투사 렌즈(38)가 투사구(2h)를 향한다.
링크 부재(61)는 탄성 부재(65)의 가압력에 의해 지지축(69)을 중심으로 화살표(B1)의 방향으로 회전하지만, 도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 부재(6)의 접촉부(61a)가 스토퍼(68)에 접촉하는 위치에서 정지한다. 이로 인해, 링크 부재(61) 및 개폐판(3)의 자세는 도6b에 도시하는 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는 케이스(2)가 베이스(BS)와 평행하는 위치에 있고, [앙각(θ) = 0], 투사구(2h)가 개구되어 있으므로, 앙각(θ) = 0인 상태에서 투사 화상 스크린(SC)에 투사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승강 지시 조작 버튼(5a)을 조작하여 앙각을 크게 하는 방향으로 상승시키는 것을 지시하고 있는 동안, 제어 장치(30)는 승강 지시 조작 버튼(5a)이 눌려 있는 동안 전동 모터(51)를 구동시켜 돌출 부재(20)를 다시 하강시키면, 돌출 부재(20)의 하단부측은 케이스(2)의 바닥면(2d)에 형성된 개구(2e)로부터 돌출된다. 돌출 부재(20)의 하단부가 베이스(BS)에 도달한 후 더욱 하강을 계속하면, 도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2)의 전방면(2a)측이 밀어 올려져 지지 부재(11)가 베이스(BS)로부터 떨어진다.
승강 지시 조작 버튼(5a, 5b)에 의해 돌출 부재(20)의 위치를 상하로 조정함으로써, 케이스(2)의 경사 각도[앙각(θ)]를 조정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화상 투사 장치(1)의 전원 투입으로부터 전원 차단까지의 일련의 동작의 일예에 대해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7은 화상 투사 장치(1)의 전원 투입으로부터 전원 차단까지의 일련의 동작의 일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케이스(2)의 상면(2b)에 설치된 전원 스위치(6)를 조작하여 화상 투사 장치(1)에 전원을 투입한다(스텝 S1).
제어 장치(30)는 전원 스위치(6)로부터 온 신호(6s)가 입력되면 램프 전원(35)을 기동한다(스텝 S2).
또한, 제어 장치(30)의 프로세서(31)는 메모리(32)에 기억된 돌출 부재(20)의 위치 정보를 판독한다(스텝 S3). 또한, 메모리(32)에 기억된 돌출 부재(20)의 위치 정보는 전회의 전원 차단 시에 위치 검출기(70)에 의해 검출된 돌출 부재(20) 의 위치 정보이다.
제어 장치(30)는 판독한 돌출 부재(20)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증폭 회로(33)에 전동 모터(51)를 구동하는 지령(30s1)과 회전 방향을 규정하는 지령(30s2)을 출력한다.
이에 의해, 돌출 부재(20)는 소정의 수납 위치로부터 하강을 개시한다(스텝 S4).
또한, 제어 장치(30)는 돌출 부재(20)의 하강에 의해 변화하는 상기 돌출 부재(20)의 위치 정보를 위치 검출기(70)로부터 차례로 취득한다.
돌출 부재(20)의 하강에 의해 연동 기구(60)가 작동하고, 개폐판(3)이 지지축(4)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투사구(2h)가 개방된다(스텝 S5). 이에 의해, 투사 렌즈(38)로부터 투사구(2h)를 통해 화상을 투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어 장치(30)는 위치 검출기(70)가 검출하는 돌출 부재(20)의 위치 정보와 메모리(32)에 기억된 돌출 부재(20)의 위치에 일치할 때까지 돌출 부재(20)를 이동시킨다(스텝 S6).
전회의 전원 차단 시에 돌출 부재(20)가 케이스(2)의 바닥면(2d)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던 경우에는, 돌출 부재(20)는 다시 케이스(2)의 바닥면(2d)으로부터 돌출되어 전회와 같은 앙각(θ)이 되도록 케이스(2)가 경사진다.
돌출 부재(20)의 이동이 정지한 후, 입력 단자(45)로부터 구동 회로(34)를 거쳐서 액정 패널(37)에 영상 신호가 인가되면, 스크린(SC)에 액정 패널(37)에서 변조되어 생성된 화상이 투사된다(스텝 S7).
이 상태에서, 제어 장치(30)는 스크린(SC)에 투영된 화상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해, 돌출 부재(20)의 하강 또는 상승(혹은, 앙각의 상승, 저하)을 지시하는 승강 지시 조작 버튼(5a, 5b)이 조작되었는지를 판단한다(스텝 S8). 조작 버튼(5a, 5b)이 조작되어 제어 장치(30)에 지령 신호(5as, 5bs)가 입력되면, 제어 장치(30)는 이 지령 신호(5as, 5bs)를 기초로 하여 돌출 부재(20)의 승강을 행하고, 돌출 부재(20)의 승강량(상하 이동량)의 조정을 행한다(스텝 S9). 이에 의해, 스크린(SC) 상의 화상의 높이의 조정이 행해진다.
제어 장치(30)는 전원 스위치(6)가 조작되어 전원 스위치(6)로부터 오프 신호(6s)가 입력되면, 램프 전원(35)을 정지시킨다(스텝 S11).
또한, 제어 장치(30)는 현재의 돌출 부재(20)의 위치를 위치 검출기(70)로부터 취득하여 이 위치 정보를 메모리(32)에 새롭게 기억한다(스텝 S12).
제어 장치(30)는 돌출 부재(20)의 위치를 메모리(32)에 기억시킨 후, 메모리(32)에 기억된 돌출 부재(20)의 수납 위치의 정보를 판독하고, 판독한 위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증폭 회로(33)에 전동 모터(51)를 구동하는 지령(30s1)과 회전 방향을 규정하는 지령(30s2)을 출력한다.
이에 의해, 돌출 부재(20)는 소정의 수납 위치를 향해 상승한다(스텝 S13).
돌출 부재(20)가 소정의 수납 위치를 향하는 도중에, 돌출 부재(20)의 아암부(20A)가 링크 부재(61)의 접촉부(61a)에 다시 접촉함으로써 연동 기구(60)가 작동한다. 이에 의해, 개폐판(3)이 지지축(4)을 중심으로 투사구(2h)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투사구(2h)가 다시 폐쇄된다(스텝 S14).
돌출 부재(20)가 소정의 수납 위치에 도달하면, 돌출 부재(20)의 수납이 완료된다(스텝 S15).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화상 투사 장치(1)에 전원을 투입하였을 때에 화상 투사 장치(1)의 앙각(θ)을 조정하기 위한 돌출 부재(20)를 전회 전원을 차단한 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시키는 동시에, 돌출 부재(20)의 이동을 이용하여 투사 렌즈(38)의 전방면을 덮는 개폐판(3)을 개방한다. 이에 의해, 화상 투사 장치(1)에 의해 화상을 투사하기 위한 준비 작업이 자동적으로 행해져, 화상 투사 장치(1)의 사용시마다의 준비 작업에 필요로 하는 시간이나 수고가 대폭으로 경감된다.
또한, 화상 투사 장치(1)로의 전원을 차단할 때에, 돌출 부재(20)를 케이스(2) 내의 소정의 수납 위치에 자동적으로 수납하는 동시에, 개폐판(3)을 자동적으로 폐쇄함으로써, 수납 작업에 필요로 하는 시간이나 수고도 대폭으로 경감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개폐판(3)은 지지축(4)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투사구(2h)를 개폐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개폐판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하여 투사구(2h)를 개폐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동 모터(51)로부터 돌출 부재(20)로의 동력 전달을 웜기어(52), 기어(53) 및 나사축(54)으로 이루어지는 전달 기구를 이용하여 행하는 경우에 대해 예시하였지만, 웜기어(52)를 이용하지 않고 평기어로 이루어지는 기어열을 이용하 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승강 지시 조작 버튼(5a, 5b)은 케이스(2)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었지만, 케이스(2)의 전방면(2a)과는 반대측의 배면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케이스(2)의 배면도 축(S)으로부터 가까운 경사에 의해 위치가 거의 변동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는, 승강 지시 조작 버튼(5a, 5b)으로서, 케이스(2)의 경사에 따라서 자세를 변경 가능한 이른바 시소 스위치를 이용함으로써 더욱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전원 스위치(6)로부터 오프 신호(6s)가 입력되면 제어 장치(30)가 현재의 돌출 부재(20)의 위치를 위치 검출기(70)로부터 취득하여 이 위치 정보를 메모리(32)에 새롭게 기억시키는 동작으로 하였지만, 예를 들어 승강 지시 조작 버튼(5a, 5b)의 조작을 행하여 화상 투사 장치(1)가 원하는 앙각으로 경사졌을 때의 돌출 부재(20)의 위치 정보를 메모리(32)에 기억시키고, 현재의 돌출 부재(20)의 위치 정보가 전원 스위치(6)로부터 오프 신호(6s)가 입력되기 전에 메모리(32)에 기억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는, 사용자가 희망하는 앙각 또는 돌출 부재(20)의 위치를 설정한 정보를 메모리(32)에 기억시켜도 좋다.
또한, 앙각과 돌출 부재(20)의 높이 위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식 또는 테이블을 제어 장치(30)의 메모리에 기억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앙각으로 하여 설정해도 좋고, 돌출 부재(20)의 높이 위치(승강 위치)로 하여 설정해도 좋다.
화상 투사 장치(1)의 재기동시에는, 제어 장치(30)는 위치 검출기(70)의 검출치를 참조하여 상기 메모리(32)에 보유 지지한 앙각 또는 돌출 부재(20)의 승강 위치가 되도록 조정 기구(50)를 구동 제어한다.
이상은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로서, 조정 기구(50)와 투사구의 개폐를 행하는 개폐판을 동작시키는 연동 기구(60)를 연동시킨 예를 서술하였지만, 조정 기구(50)만을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투사 렌즈에 화상을 투사하는 수단으로서 액정 표시기를 이용한 예를 상술하였지만, 투사 렌즈에 화상을 제공하는 장치라면 본 발명의 화상 투사 장치는 액정 표시기를 이용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 투사 장치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승강 부재로서의 돌출 부재(20)가 제1 위치로서 완전히 케이스(2)의 내부에 수용된 위치, 즉 수용 위치를 제1 위치로 하였지만, 본 발명의 제1 위치는 돌출 부재(20)의 하단부가 본 발명의 설치면에 해당하는 베이스(BS)에 접촉하지 않아 앙각을 발생시키지 않는 상태라면 돌출 부재(20) 전체가 케이스(2) 내에 수용되지 않고, 부분적으로 케이스(2)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2 위치는 승강 부재로서의 돌출 부재(20)의 하단부가 베이스(BS)에 접촉하여 앙각을 발생시키는 것이 개시되는 위치를 말하고, 본 발명의 제3 위치는 제2 위치에서 더욱 앙각이 커지도록 돌출 부재(20)가 돌출되는 위치를 말한다.
발명에 따르면, 화상을 스크린 상에 투영하기 위한 화상의 위치 조정이 용이하고, 본 발명의 승강 부재(조정 기구의 돌출 부재)를 제1 위치(복귀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도 용이한 화상 투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다양한 화상 투사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Claims (15)

  1. 제1 측에 투사구를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되어 상기 케이스의 투사구를 통해 화상을 투사하는 투사 렌즈와,
    승강 부재를 갖고 상기 승강 부재의 하단부가 상기 케이스 하부의 설치면에 접촉하지 않는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승강 부재의 하단부가 상기 케이스의 설치면에 접촉하여 상기 케이스의 제1 측과 대향하는 제2 측의 상기 케이스의 바닥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상기 케이스의 제1 측을 상승시켜 앙각의 발생을 개시하는 제2 위치를 통과하고, 상기 제2 위치를 넘어서 더욱 앙각을 크게 하는 제3 위치 사이에서 상기 승강 부재를 승강시켜 이 승강에 따라서 상기 투사 렌즈의 앙각을 조정하는 조정 수단과,
    상기 조정 수단을 구동 제어하는 구동 제어 수단과,
    상기 투사 렌즈의 전방면에 위치하는 상기 투사구를 개폐하는 개폐 부재와,
    상기 조정 수단과 연동하여 동작하여 상기 구동 제어 수단에 의해 상기 승강 부재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3 위치로 이동하게 되는 동안에 상기 개폐 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투사구를 개방하고, 상기 승강 부재가 상기 제3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복귀할 때 상기 개폐 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투사구를 폐쇄하는 연동 수단을 구비한 화상 투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수단은 상기 승강 부재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떨어져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 상기 개폐 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투사구를 개방하고, 상기 승강 부재가 상기 제2 위치로부터 떨어져 상기 제1 위치로 복귀되었을 때 상기 개폐 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투사구를 폐쇄하는 화상 투사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부재의 승강을 지시하는 승강 지시 조작 버튼을 갖고,
    상기 구동 제어 수단은 상기 승강 지시 조작 버튼이 조작되고 있는 동안, 그 조작에 따라서 상기 조정 수단을 구동 제어하여 상기 승강 부재를 승강시키는 화상 투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지시 조작 버튼은 상기 지지점 근방의 상기 케이스의 제2 측 상기 케이스의 상면 또는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화상 투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 수단은,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승강 부재를 승강시키는 나사 수단을 갖고,
    상기 승강 부재는 돌기를 갖고,
    상기 연동 수단은,
    상기 개폐 부재를, 상기 투사구를 폐쇄 또는 개방하는 측으로 압박하는 탄성 부재(7)와,
    상기 승강 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승강 부재의 돌기와 결합하여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상기 개폐 부재의 이동을 억제하고, 상기 승강 부재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떨어져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승강 부재의 돌기와의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개폐 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투사구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링크 수단을 갖는 화상 투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부재의 승강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과,
    앙각의 설정치 또는 상기 승강 부재의 승강 위치의 설정치, 혹은 조정된 앙각 또는 상기 승강 부재의 승강 위치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더 갖고,
    상기 구동 제어 수단은 상기 화상 투사 장치의 재기동시, 상기 기억 수단에서 기억한 설정 앙각 또는 설정 승강 위치가 되도록 상기 위치 검출 수단의 검출치를 참조하여 상기 조정 기구를 구동 제어하는 화상 투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 수단은 전원 오프시 상기 조정 수단의 상기 승강 부재를 상기 제1 위치로 복귀시켜 상기 개폐 부재로 상기 투사구를 폐쇄하는 화상 투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 수단은 전원이 오프되었을 때 상기 조정 수단의 상기 승강 부재를 상기 제1 위치로 복귀시켜 상기 개폐 부재로 상기 투사구를 폐쇄하는 화상 투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부재의 승강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과,
    상기 화상 투사 장치의 전원이 오프되기 직전의 상기 위치 검출 수단의 검출치를 유지하는 기억 수단을 더 갖고,
    상기 구동 제어 수단은 상기 화상 투사 장치의 전원이 재투입되었을 때 상기 위치 검출 수단의 검출치를 참조하여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위치에 상기 승강 부재의 위치를 조정하는 화상 투사 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지시 조작 버튼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화상 투사 장치의 전원을 온, 오프하는 스위치를 갖는 화상 투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영상 신호를 변조하여 화상을 생성하여 상기 투사 렌즈에 입사시키는 영상 변조 수단을 더 갖고,
    상기 구동 제어 수단은 상기 전원 온, 오프 스위치에 의해 전원이 투입되었을 때 상기 영상 변조 수단의 전원을 투입하고, 상기 전원 온, 오프 스위치에 의해 전원이 차단되었을 때 상기 영상 변조 수단의 전원을 차단하는 화상 투사 장치.
  12. 제1 측에 투사구를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되어 상기 케이스의 투사구를 통해 화상을 투사하는 투사 렌즈와,
    승강 부재를 갖고 상기 승강 부재의 하단부가 상기 케이스 하부의 설치면에 접촉하지 않는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승강 부재의 하단부가 상기 케이스의 설치면에 접촉하여 상기 케이스의 제1 측과 대향하는 제2 측의 상기 케이스의 바닥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상기 케이스의 제1 측을 상승시켜 앙각의 발생을 개시하는 제2 위치를 통과하고, 상기 제2 위치를 넘어 더욱 앙각을 크게 하는 제3 위치 사이에서 상기 승강 부재를 승강시켜 이 승강에 따라서 상기 투사 렌즈의 앙각을 조정하는 조정 수단과,
    상기 조정 수단을 구동 제어하는 구동 제어 수단과,
    상기 지지점 근방의 상기 케이스의 제2 측 상기 케이스의 상면 또는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승강 부재의 승강을 지시하는 승강 지시 조작 버튼을 구비하는 화상 투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지시 조작 버튼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화상 투사 장치의 전원을 온, 오프하는 스위치를 더 갖는 화상 투사 장치.
  14. 제1 측에 투사구를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되어 상기 케이스의 투사구를 통해 화상을 투사하는 투사 렌즈와,
    승강 부재를 갖고 상기 승강 부재의 하단부가 상기 케이스 하부의 설치면에 접촉하지 않는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승강 부재의 하단부가 상기 케이스의 설치면에 접촉하여 상기 케이스의 제1 측과 대향하는 제2 측의 상기 케이스의 바닥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상기 케이스의 제1 측을 상승시켜 앙각의 발생을 개시하는 제2 위치를 통과하고, 상기 제2 위치를 넘어 더욱 앙각을 크게 하는 제3 위치 사이에서 상기 승강 부재를 승강시켜 이 승강에 따라서 상기 투사 렌즈의 앙각을 조정하는 조정 수단과,
    상기 조정 수단을 구동 제어하는 구동 제어 수단과,
    상기 승강 부재의 승강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과,
    조정된 또는 설정된 앙각, 또는 상기 승강 부재의 승강 위치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 제어 수단은 기동시,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앙각 또는 상기 승강 부재의 승강 위치로 복귀하도록 상기 위치 검출 수단의 검출치를 참조하여 상기 조정 수단을 구동 제어하는 화상 투사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구동 수단은 전원 오프일 때 상기 조정 수단을 구동 제어하여 상기 승강 부재를 상기 제1 위치까지 복귀시키는 화상 투사 장치.
KR1020047001968A 2002-06-10 2003-06-10 화상 투사 장치 KR1009760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68939 2002-06-10
JPJP-P-2002-00168939 2002-06-10
PCT/JP2003/007376 WO2003104893A1 (ja) 2002-06-10 2003-06-10 画像投射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4765A KR20050004765A (ko) 2005-01-12
KR100976016B1 true KR100976016B1 (ko) 2010-08-17

Family

ID=29727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1968A KR100976016B1 (ko) 2002-06-10 2003-06-10 화상 투사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7021773B2 (ko)
JP (1) JP4581687B2 (ko)
KR (1) KR100976016B1 (ko)
CN (1) CN100380230C (ko)
AU (1) AU2003242241B2 (ko)
TW (1) TWI229234B (ko)
WO (1) WO20031048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81848B1 (en) * 2004-07-06 2007-02-27 Tochtrop Jeffrey L Multiple use rotary cutting device
TWI266945B (en) * 2005-01-25 2006-11-21 Benq Corp Electronic device having modulating assembly
TWI266139B (en) * 2005-03-30 2006-11-11 Coretronic Corp Sliding type lens cover
KR100699150B1 (ko) * 2005-05-25 2007-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투사기의 투사렌즈 셔터 개폐장치
KR100698159B1 (ko) * 2005-09-08 2007-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로젝터
JP4967307B2 (ja) * 2005-10-24 2012-07-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
DE202005016926U1 (de) * 2005-10-28 2006-01-05 Promethean Gmbh Höhenverstellbare Arbeits- und Projektionstafel
TW200725154A (en) * 2005-12-16 2007-07-01 Benq Corp Lifting apparatus for projecting system
JP4241797B2 (ja) * 2006-09-29 2009-03-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およびプロジェクタの台形歪み補正方法
TWI326437B (en) * 2006-12-29 2010-06-21 Chimei Innolux Corp Display device
US8179473B2 (en) * 2009-05-29 2012-05-15 Motorola Mobility, Inc. Pivoting structure coupled to a rotatable housing structure
KR101090935B1 (ko) * 2009-06-24 2011-12-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프로젝터
KR101597575B1 (ko) * 2009-07-10 2016-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투사장치
CN102081285B (zh) * 2009-11-27 2012-07-04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调整装置及具有该调整装置的投影机
TWI426340B (zh) * 2010-03-09 2014-02-11 Hon Hai Prec Ind Co Ltd 投影儀
US8801194B2 (en) * 2010-03-09 2014-08-12 Panasonic Corporation Projector with illumination control based on fixation degree
TWI427396B (zh) * 2010-03-10 2014-02-21 Hon Hai Prec Ind Co Ltd 投影儀
JP2011237724A (ja) * 2010-05-13 2011-11-24 Sanyo Electric Co Ltd 投写型表示装置
CN102636870B (zh) * 2011-02-15 2015-04-08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投影装置
CN103513498B (zh) * 2012-06-15 2016-08-17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光学装置及其支撑架
CN103513497B (zh) * 2012-06-15 2017-04-12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光学装置
CN110876044B (zh) * 2018-08-30 2021-11-12 深圳光峰科技股份有限公司 投影系统及投影设备的自动开机方法
CN110430379B (zh) * 2019-08-15 2021-06-22 四川长虹网络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可自动调整投影尺寸和方位的激光电视
CN111885451B (zh) * 2020-07-29 2022-08-26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投影音箱
CN113689349B (zh) * 2021-08-20 2023-03-24 广东海洋大学 一种图像去噪检测用高分辨率选区投放装置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7845A (ja) * 1993-05-07 1994-11-15 Fuji Photo Film Co Ltd 反射型プロジェ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2651B2 (ja) 1990-01-23 1997-02-19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架空用電線の製造方法
JPH0451128A (ja) * 1990-06-19 1992-02-19 Sony Corp 投射型映像表示装置
JP2582651Y2 (ja) * 1991-07-18 1998-10-08 旭光学工業株式会社 投影装置
US5622417A (en) * 1995-11-01 1997-04-22 Lightware, Inc. Invertible and orthoscopic liquid crystal display projector
KR0170979B1 (ko) * 1995-11-29 1999-03-20 배순훈 투사형 프로젝터의 투사각검출장치
US5605390A (en) * 1996-01-25 1997-02-25 Sarif, Inc. Optical projector
JPH09244137A (ja) * 1996-03-07 1997-09-19 Nikon Corp プロジェクタ
KR100200143B1 (ko) * 1996-07-31 1999-06-15 전주범 프로젝터의 투사각조절장치
JP2000019479A (ja) * 1998-06-30 2000-01-21 Hitachi Ltd 液晶プロジェクタ
JP3369976B2 (ja) * 1998-09-16 2003-01-20 三洋電機株式会社 傾き調整機構を具えた投写装置
JP2000162703A (ja) * 1999-01-01 2000-06-16 Seiko Epson Corp プロジェクタ
JP2000241875A (ja) 1999-02-19 2000-09-08 Fujitsu General Ltd 画像表示装置
JP2000241874A (ja) * 1999-02-19 2000-09-08 Nec Corp プロジェクタの自動画面位置調整方法及び装置
JP3903631B2 (ja) * 1999-02-23 2007-04-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光学装置
US6604831B1 (en) * 1999-12-17 2003-08-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Elevatable display apparatus
JP3790079B2 (ja) * 1999-12-22 2006-06-28 株式会社東芝 プロジェクタ装置
JP3680807B2 (ja) * 2002-03-20 2005-08-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台形歪み補正を行うプロジェクタ
US6974217B2 (en) * 2002-03-20 2005-12-13 Seiko Epson Corporation Projector executing keystone correc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7845A (ja) * 1993-05-07 1994-11-15 Fuji Photo Film Co Ltd 反射型プロジェ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4765A (ko) 2005-01-12
TWI229234B (en) 2005-03-11
US20060209272A1 (en) 2006-09-21
US7021773B2 (en) 2006-04-04
JP4581687B2 (ja) 2010-11-17
JPWO2003104893A1 (ja) 2005-10-13
WO2003104893A1 (ja) 2003-12-18
CN100380230C (zh) 2008-04-09
US20050117129A1 (en) 2005-06-02
AU2003242241A1 (en) 2003-12-22
AU2003242241B2 (en) 2009-01-29
CN1545640A (zh) 2004-11-10
TW200401159A (en) 2004-01-16
US7108380B1 (en) 2006-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6016B1 (ko) 화상 투사 장치
EP1821145B1 (en) Projection display device
US9979845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reading method
EP2061238A1 (en) Video projection system
JP2010183420A (ja) 撮像装置
JP2003005279A (ja) プロジェクタのチルト装置
KR2015012750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20080004885A (ko) 모니터 승강 및 화면각도 자동조절방법과 그 장치 및모니터 승강 및 화면각도 자동조절장치가 구비된 책상
JP2017151299A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4013028A (ja) 画像投射装置
JPH07159160A (ja) 自動焦点合せ装置を備えた測量機
JP4941887B2 (ja) 表示装置
JP2015102783A (ja) プロジェクター、及び、プロジェクターの表示制御方法
JP4917949B2 (ja) 超音波診断装置
CN216252997U (zh) 可升降摄影模块
JP2601300Y2 (ja) スライド収納式液晶表示装置
JP7238580B2 (ja) 鏡台
JP3164244B2 (ja) レーザ治療装置
JP5177806B2 (ja) 表示装置
JPH0723361A (ja) テレビ会議システムにおけるカメラ・ラック装置
JP2018097381A (ja) プロジェクター、及び、プロジェクターの表示制御方法
JP2946079B2 (ja) 画像入力装置
JP2010253773A (ja) 画像形成装置
JPH08111811A (ja) 画像入力装置
JP3332547B2 (ja) 反射型オーバーヘッドプロジェク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