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4885A - 모니터 승강 및 화면각도 자동조절방법과 그 장치 및모니터 승강 및 화면각도 자동조절장치가 구비된 책상 - Google Patents

모니터 승강 및 화면각도 자동조절방법과 그 장치 및모니터 승강 및 화면각도 자동조절장치가 구비된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4885A
KR20080004885A KR1020060063759A KR20060063759A KR20080004885A KR 20080004885 A KR20080004885 A KR 20080004885A KR 1020060063759 A KR1020060063759 A KR 1020060063759A KR 20060063759 A KR20060063759 A KR 20060063759A KR 20080004885 A KR20080004885 A KR 200800048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
tilting
swivel
swiveling
elev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3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1779B1 (ko
Inventor
박명진
강형구
Original Assignee
박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명진 filed Critical 박명진
Priority to KR1020060063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1779B1/ko
Publication of KR20080004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1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1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2Flat panel moni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모니터의 지향각도를 제어하는 방법은 초기 작동시 모니터를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까지 상승시키는 제1단계; 상기 모니터가 제2위치로 승강된 후, 상기 모니터의 수평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해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스위블링시키기 위한 제2단계; 상기 모니터가 스위블링된 후 상기 모니터의 수직경사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해 모니터의 화면의 지향각도를 틸팅시키기 위한 제3단계; 상기 제1단계 내지 제3단계에서의 모니터에 대한 현재의 제2위치값, 스위블링 위치값 및 틸팅위치값을 실시간으로 기억하는 제4단계; 오프시 모니터의 틸팅상태를 직립상태로 유지시키고, 모니터의 스위블링상태를 정면 주시상태로 한 다음, 상기 모니터가 제2위치로부터 제1위치까지 자동적으로 하강되도록 하는 제5단계; 및 상기 제5단계에서 다시 작동되었을 경우 상기 제4단계에서 이미 기억된 모니터의 제2위치값, 스위블링위치값 및 틸팅위치값에 따라 상기 모니터를 순차적으로 승강, 스위블링 및 틸팅하도록 하여 모니터가 이전의 상태로 자동적으로 지향되도록 하기 위한 제6단계를 포함한다.
컴퓨터, 책상, 승강, 스위블링, 틸팅, 모니터

Description

모니터 승강 및 화면각도 자동조절방법과 그 장치 및 모니터 승강 및 화면각도 자동조절장치가 구비된 책상{An automatic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elevating, panning and tilting a monitor and desk having the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승강 및 화면각도 자동조절장치가 적용되는 책상의 사시도:
도 2는 모니터가 책상의 상부로 상승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책상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승강 및 화면각도 자동조절장치의 메카니즘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메카니즘의 조립단면도:
도 5는 모니터가 책상 위로 상승되거나 초기위치로 하강될 수 있으며, 책상 위로 상승된 후 사용자의 시선에 맞추어 상하(tilt), 좌우(swivel)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컴퓨터의 오프시 현재의 모니터 위치를 자동적으로 기억한 후 모니터의 상하(tilt), 좌우(swivel)상하키기 위한 회로의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 책상 3: 모니터
4: 제어판 11: 승강용 모터
14: 승강부재 21: 스위블링용 모터
26: 스위블부재 31: 틸팅용 모터
36: 틸팅부재 100: 모니터구동장치
본 발명은 컴퓨터 모니터를 소정의 높이(height)로 승강시킴과 동시에 사용자가 시야에 맞도록 모니터를 좌우방향(swivel)과 상하방향(tilting)으로 조정이 가능하도록 한 모니터조절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컴퓨터의 오프시 모니터의 현재 위치인 하이트, 틸팅 및 스위블 상태를 기억한 후 틸팅 및 스위블 상태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키고 나서 모니터를 책상의 하부로 하강시켜 원위치시키고, 컴퓨터의 사용시에는 모니터를 상기의 기억된 하이트로 상승시킨 후, 최종 기억된 틸팅 및 스위블 위치로 모니터를 자동적으로 지향되게 조절하도록 한 모니터 승강 및 화면각도 자동조절방법과 그 장치 및 이러한 장치를 구비한 책상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정보화 사회에서는 가정 및 사무실에서 컴퓨터의 사용이 필수적이며, 인터넷의 보급과 함께 컴퓨터 이용자는 더욱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현대인에게는 필수적인 컴퓨터는 그 성능면에서 끊임없이 개발되고 발전되는 추세이지만, 이를 사용하는 환경은 크게 변하지 않고 있다. 일반 가정이나 직장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컴퓨터 사용환경을 보면, 모니터와 컴퓨터 본체를 일반적인 책상위에 나란히 올려놓고 사용하거나, 모니터만 책상 위에 올려놓은 상 태에서 본체는 책상 아래에 놓고 사용하는게 일반적이다.
따라서,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을시에도 모니터가 책상의 상부공간을 점유하여 모니터의 크기 만큼 책상의 활용공간이 줄어들게 되므로 여러가지 업무나 학습을 하는데 있어서 불편함이 있었다.
최근에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책상의 상판 중앙부에 사각구멍을 뚫어 유리로 덮고, 이 사각구멍의 직하방에 형성된 수납함에 데스크탑형 모니터를 경사지게 수납하여 유리를 통해 모니터의 화면을 볼 수 있도록 하여서 책상의 상부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발명이 안출된바 있으나, 이와 같이 모니터가 책상의 내부로 수납되는 경우에는 모니터가 책상의 내부 공간부를 점유하여 사용자가 의자에 앉은 자세에서 다리의 움직임이 불편하였고, 사용자가 고개를 숙여 모니터의 화면을 주시해야 했으므로 인체에 쉽게 피로감이 느껴졌으며, 모니터를 수리시 수납함으로 부터 꺼내기가 힘들었고, 책상의 제조 단가가 전체적으로 상승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280392호에는 책상의 상면에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이 삽입홀에는 데스크탑형 모니터가 소정각도(예컨대 60°정도) 경사진 상태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한 컴퓨터 책상이 개시되어 있고,
실용신안등록 제347297호에는 책상 상판의 상면부에 액정디스플레이 모니터 출입공을 관통하여 형성하고, 액정디스플레이 모니터 출입공의 직하방으로 책상의 내부에 배치된 격판의 배면부에 랙과 피니언 및 모터를 이용한 승강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간편하게 액정디스플레이 모니터를 책상의 상판위 로 노출시키거나 책상의 내부로 수납시켜 책상의 활용공간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책상이 개시되어 있으며,
실용신안등록 제391341호에는 X-자형 링크바의 끝단부에 활형상의 기어를 형성하여 모터를 정역회전시켜 X-자형 링크바로 하여금 액정디스플레이 모니터를 승강시키도록 한 컴퓨터 책상이 개시되어있다.
그러나, 상기 실용신안 고안들은 모니터를 단순히 상승 및 하강시키도록 한 것에 불과할뿐 책상의 하부로부터 상부위치(height level; 이하 '하이트'라 약칭함)로 돌출된후 사용자가 주시하기 편한 각도, 즉 swivel angle(사용자가 모니터를 주시할 경우 모니터를 좌우방향으로 움직이는 각도; 이하 '스위블'이라 약칭함)과 tilting angle(사용자가 모니터를 주시할 경우 모니터를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각도; 이하 '틸팅'이라 약칭함)로 자동적으로 조절하는 기능이 전혀 없었다.
예컨대, 실용신안등록 제347297호와 제391341호의 경우, 사용자가 주시하기 편리하도록 모니터의 스위블과 틸팅을 조절한 상태에서 컴퓨터를 이용하여 작업을 하다가 모니터를 책상의 하부에 수납하기 위해서는 모니터의 스위블과 틸팅을 최초위치(정위치 또는 수직위치)로 다시 조절해야만 모니터가 책상의 모니터 출입공을 관통하여 책상의 하측으로 내려갈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실용신안등록 제347297호와 제391341호에 개시된 고안은 모니터의 상승후 사용자가 모니터의 스위블 및 틸팅작업을 수동으로 조절해야하고, 컴퓨터의 사용후 모니터를 책상 하측으로 수납하기 위해서는 모니터의 스위블 및 틸팅을 원위치(정위치 또는 수직위치)시키기 위해 수동으로 다시 조절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컴퓨터의 오프시 모니터의 현재위치인 하이트, 틸팅 및 스위블 상태를 기억한 후 틸팅 및 스위블 상태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킨 후 모니터를 책상의 하부로 하강시켜 원위치시키고, 컴퓨터의 사용시에는 모니터를 상기의 기억된 하이트로 상승시킨 후, 최종 기억된 틸팅 및 스위블 위치로 모니터를 자동적으로 지향되게 조절하도록 한 모니터 승강 및 화면각도 자동조절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모니터 승강 및 화면각도 자동조절장치를 구비한 책상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모니터 승강 및 화면각도 자동조절방법은, 초기 작동시 모니터를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까지 상승시키는 제1단계; 상기 모니터가 제2위치로 승강된 후, 상기 모니터의 수평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해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스위블링시키기 위한 제2단계; 상기 모니터가 스위블링된 후 상기 모니터의 수직경사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해 모니터의 화면의 지향각도를 틸팅시키기 위한 제3단계; 상기 제1단계 내지 제3단계에서의 모니터에 대한 현재의 제2위치값, 스위블링 위치값 및 틸팅위치값을 실시간으로 기억하는 제4단계; 오프시 모니터의 틸팅상태를 직립상태로 유지시키고, 모니터의 스위블링상태를 정면 주시상태로 한 다음, 상기 모니터가 제2위치로부터 제1위치까지 자동적으로 하강되도록 하는 제5단계; 및 상기 제5단계에서 다시 작동되었을 경우 상기 제4단계에서 이미 기억된 모니터의 제2위치값, 스위블링위치값 및 틸팅위치값에 따라 상기 모니터를 순차적으로 승강, 스위블링 및 틸팅하도록 하여 모니터가 이전의 상태로 자동적으로 지향되도록 하기 위한 제6단계를 포함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하면 컴퓨터 본체와 연결된 모니터를 구동하는 장치가 제공되는바, 이는 초기 작동시 모니터를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까지 및 상기 제2위치에서부터 상기 제1위치까지 업/다운시키기 위한 승강수단과; 상기 승강수단에 의해 모니터가 제2위치로 승강된 후, 상기 모니터의 수평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해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스위블수단; 상기 스위블수단에 의해 스위블링된 후 상기 모니터의 수직경사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해 모니터의 화면의 지향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틸팅수단; 작동시 상기 모니터에 대한 승강수단의 현재의 제2위치값, 상기 틸팅수단에 의한 틸팅위치값 및 상기 스위블수단에 의한 스위블위치값을 기억하기 위한 모니터 상태 기억수단; 및 외부입력신호에 의해 상기 승강수단, 스위블수단 및 틸팅수단을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오프시 상기 틸팅수단을 작동시켜 모니터를 직립상태로 유지한 후 상기 스위블수단을 작동시켜 상기 모니터가 정면을 주시하도록 하고 나서 상기 승강수단을 작동시켜 상기 모니터가 제2위치로부터 제1위치로 순차적이면서 자동적으로 하강되도록 하는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콘트롤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콘트롤러는 다시 작동되었을 경우 오프시에 이미 기억된 모니터의 제2위치값, 스위블링위치값 및 틸팅위치값에 따라 상기 모니터를 순차적으로 승강, 스위블링 및 틸팅하도록 하여 모니터가 이전의 상태로 자동적으로 지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승강수단은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되어 정역회전 가능한 제1모터; 상기 제1모터의 회전시 피니언과 랙방식으로 승강 가능한 승강부재; 및 상기 승강부재가 상기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까지의 승강높이값을 감지하기 위한 승강위치 감지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스위블수단은 승강수단의 승강부재에 고정된 브라켓에 장착되어 정역회전 가능한 제2모터; 상기 제2모터의 회전시 베벨기어방식으로 스위블 가능한 스위블부재; 상기 스위블부재가 상기 좌측방향에서부터 우측방향으로 이동되는 스위블링위치값을 감지하기 위한 스위블링위치 감지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틸팅수단은 상기 스위블수단의 스위블부재에 장착되어 정역회전 가능한 제3모터; 상기 제3모터의 회전시 원호형 기어방식으로 틸팅 가능한 틸팅부재; 상기 틸팅부재가 상기 수직위치로부터 경사지게 이동되는 틸팅위치값을 감지하기 위한 틸팅위치 감지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은 모니터 승강 및 화면각도 자동조절장치를 구비한 책상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책상(1)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책상은 도 1에 도시된 형상 이외에 기타의 다양한 구조를 갖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책상(1)의 상부면에는 힌지와 스프링(도시하지 않았음)에 의해 개폐되는 통상의 커버(2)가 장착되어 있는바, 이는 도 2에서와 같이 모니터(3)가 상승할 경우 커버(2)가 모니터(3)의 상승력에 의해 힌지방식으로 열리게되고, 모니터(3)가 하강할 경우에는 스프링에 의한 탄발력에 의해 자동으로 닫히게 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커버(2)의 작동구조는 통상의 방식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아님을 밝혀둔다.
그리고, 도 1과 도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책상(1)의 상판 일측에는 모니터를 상승, 스위블 및 틸팅시키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제어판(4)을 구비한바, 이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라 모니터(3)를 승강, 스위블링 및 틸팅하기 위한 구동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는바, 우선 본 발명은 초기 작동시 모니터(3)를 제1위치(최초위치인 책상의 하부에 위치된 상태)로부터 제2위치(모니터3이 책상과 수평이거나 그 이상 상승한 상태)까지 및 상기 제2위치에서부터 제1위치까지 업/다운시키기 위한 승강수단을 포함한다.
이 승강수단은 책상의 하부에 고정되는 하우징(101)을 포함하고, 이 하우징(101)내에는 정역회전 가능한 승강용 모터(11)가 적당한 방식으로 고정되며, 모터(11)의 축(11a)에는 피니언기어(12)가 축설되고, 이 피니언기어(12)는 승강부 재(14)의 내측에 적당한 방식으로 고정된 랙기어(13)와 치합되어 승강부재(14)를 승강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승강부재(14)의 일측에는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까지의 승강높이값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기들(14a,14b)이 형성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감지기들(14a,14b)은 센서들(S2,S3)과 협동하여 상승 및 하강되는 상승부재(14)의 위치값을 정확하게 감지하여 도 5에 도시된 콘트롤러(202)에 신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감지기들(14a,14b)및 센서(S2,S3)는 상하측에 각각 2개씩만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도시를 간략화하기 위한 것일 뿐 이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의도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은 다수개가 설치된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들 감지기들(14a,14b)과 센서(S2,S3)는 승강부재의 상승 및 하강 위치를 정확하게 감지하고, 무리한 상승 또는 하강을 검지하는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 하우징(101)에는 감지기들(14a,14b)들이 원활하게 수직 이동되도록 한 안내용 장공(101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구동장치(100)는 승강수단에 의해 모니터(3)가 제2위치로 승강된 후, 모니터(3)의 수평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해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스위블수단이 구비되어 있는바, 이 스위블수단은 승강부재(14)의 상단부에 고정된 브라켓(25)에 장착되어 정역회전 가능한 스위블용 모터(21)와, 이 모터(21)의 회전시 회전되는 베벨기어(22,23)에 의해 스위블 가능한 스위블부재(26)를 포함하 는바, 이 스위블부재(26)는 베벨기어(23)의 회전축(23a)에 결합되며 다수의 감지기(도 3에는 2개의 감지기 24a,24b만이 도시되었음)를 구비한 회전판(24)과, 이 회전판(24)과 함께 회전(스위블)가능하며 다수의 센서(도 3에는 2개의 센서 S4,S5 만이 도시되었음)를 구비한 ∪-자형의 스위블용 고정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구동장치(100)는 스위블수단에 의해 스위블링된 후 모니터(3)의 수직경사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해 모니터(3)의 화면의 지향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틸팅수단을 구비한바, 이 틸팅수단은 스위블용 고정체(26)에 장착되어 정역회전 가능한 틸팅용 모터(31)와, 이 모터(31)의 회전시 원호형 기어방식으로 틸팅 가능한 틸팅부재(36)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틸팅부재(36)는 모터(31)의 회전축(31a)에 고정된 스퍼기어(32)와, 이 기어(32)와 치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기어(36a)가 형성된 원호형의 가동부재(36)를 포함하고, 이 가동부재(26)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감지기들(36a,36b)이 일측에 형성되고, 회전축(34)이 키이홈(34a)에 결합되는 키이(35)에 의해 상호 고정되며, 틸팅부재(36)의 상부는 평탄면을 형성하여 모니터(3)의 하부에 고정 지지된 지지체(40)에 적당한 방식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다수의 센서(도 3에는 2개의 센서 S6,S7 만이 도시되었음)와 감지기들(36a,36b)은 전술한 바와 같이 틸팅값을 정확하게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구동장치(100)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장치의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메모리(201)는 모니터(3)를 책상 하부의 제1위치로부터 책상위의 제2위치까지 상승시켰을 경우 모니터(3)에 대한 승강수단의 현재의 제2위치값, 상기 틸팅수단에 의한 틸팅위치값 및 상기 스위블수단에 의한 스위블위치값을 기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콘트롤러(202)는 제어판(4)에 의한 외부입력신호에 의해 승강수단, 스위블수단 및 틸팅수단을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오프시에는 틸팅수단을 작동시켜 모니터(3)를 직립상태로 유지한 다음, 스위블수단을 작동시켜 모니터(3)가 도 2와 같이 정면을 주시하도록 하고 나서 승강수단을 작동시켜 모니터(3)가 제2위치로부터 제1위치로 순차적이면서 자동적으로 하강되도록 하여 도 1과 같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신호를 발생한다.
그리고, 콘트롤러(202)는 구동장치(100)가 다시 작동되었을 경우 오프시에 이미 기억되었던 모니터(3)의 제2위치값, 스위블링위치값 및 틸팅위치값에 따라 모니터(3)를 순차적으로 승강, 스위블링 및 틸팅하도록 하여 모니터(3)가 이전의 상태대로 자동적으로 지향되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따라서, 콘트롤러(202)는 모터구동기(203a,203b,203c)로 하여금 각각의 모터(11,21,31)를 구동토록 하며, 도면중 S1은 책상(1)의 개구부근에 설치되어 모니터가 최초로 승강되거나 제어판(4)의 업/다운키를 눌렀을 경우 모니터(3)의 하단부가 책상의 표면으로부터 완전히 올라왔음을 감지하는 센서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러한 센서(S1)이 있은 이유는 만약에 모니터(3)가 책상(1)의 개구로부터 완전히 올라오지 않은 상태에서 스위블모터(21)를 작동시켰을 경우 모니터(3)가 파손될 수도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구동장치(100)를 최초로 작동시키고자 할 경우 전원스위치(ON/OFF)를 누르고 나서 승강용 상승버튼(△)을 누르면(스텝S11), 콘트롤러(202)는 모터구동기(203a)로 하여금 모터(11)를 작동시켜 승강부재(14)가 상승되도록 한다(스텝S12).
이때 센서(S1)는 모니터(3)가 책상의 개구를 완전히 빠져나와 돌출되었는지를 감지하게 되는데, 완전하게 모니터(3)가 개구로부터 돌출되었을 경우에는 일단 모니터(3)의 승강 작동은 멈추게 되는바, 이때 사용자는 모니터(3)의 수직 상승 높이는 그의 눈높이에 맞도록 승강버튼(△ 또는 ▽)을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다(스텝12).
이렇게 승강높이가 조정되면 콘트롤러(202)는 현재의 수직위치값을 메모리(201)에 저장하게 되고, 그후 사용자가 모터(203b)를 구동하여 모니터(3)를 스위블링시킬 수 있는바, 이를 위해서는 제어판(4)에 있는 스위블버튼(▷ 또는 ◁)을 이용할 수 있다(스텝S13).
만약에 스위블버튼(◁)을 눌러 모니터(3)가 좌측으로 이동(스위블)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보기에 적당한 위치에서 멈추게 되면 그에 해당하는 스위블링값이 메모리에 저장되는 반면에(스텝S14,S15), 스위블버튼(▷)을 눌러 모니터를 다시 스위블링시키면 현재의 스위블링값이 메모리(201)에 저장된다. 여기에서 이전에 기억된 좌측이동에 대한 스위블링값은 삭제되고 현재(최종)의 스위블링값(우측으로의 이동에 대한 스위블링값)이 새롭게 메모리(201)에 저장되는 것이다(스텝S16,S17).
이렇게 스위블링값이 저장완료된 후에는 모니터(3)를 수직위치로부터 소정의 틸팅각도로 조정하기 위한 모드를 설정하게 되는바, 전술한 스위블링동작과 유사하게 틸팅버튼(△ 또는 ▽)을 눌러 모니터(3)의 경사각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스텝S18~S22).
이렇게 모니터(3)의 높이, 스위블링, 및 틸팅각도가 조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컴퓨터를 사용하다가 모니터(3)의 높이, 스위블링각도 및 틸팅각도를 조정하고자할 경우에는 언제든지 그에 해당하는 버튼등을 누르면 조정가능하고, 그에 따른 수직높이, 스위블링각도, 및 틸팅각도는 메모리(202)에 자동적으로 메모리되는바, 이러한 높이, 각도등은 도3 및 도 5에 도시된 각종센서(S~S7)에 의해 감지되어 콘트롤러(202)가 연산하여 메모리(201)에 저장되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가 컴퓨터 작업을 하다가 그만두려고, 제어판(4)의 전원오프스위치를 누르면, 우선적으로 모니터(3)의 틸팅상태를 직립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해 모터(31)를 작동시키고 나서, 모니터(3)의 스위블링상태를 정면 주시상태로 하도록 모터(21)를 작동시킨후 마지막으로 모니터(3)가 제2위치로부터 제1위치까지 자동적으로 하강되도록 하는 모터(11)를 구동시킨다(스텝 S3~S26).
이때 센서(S2)는 승강부재(14)가 완전히 최초위치로 복귀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콘트롤러(202)에 제공하면 구동장치(100)의 작동은 정지되는 것이다.
이렇게 최초로 승강높이와, 스위블링 위치 및 틸팅각도가 설정된후 다시 컴퓨터를 사용하고자 구동장치(100)를 작동시킬 경우에는 구동장치의 전원 오프시 이미 기억된 모니터(3)의 제2위치값, 스위블링위치값 및 틸팅위치값에 따라 모니터(3)를 순차적으로 승강, 스위블링 및 틸팅하도록 하여 모니터(3)가 이전의 상태 로 자동적으로 지향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원온/오프스위치만 누르면 모니터(3)가 이전에 거치된 상태로 자동적으로 복귀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컴퓨터의 오프시 모니터의 현재위치인 하이트, 틸팅 및 스위블 상태를 기억한 후 틸팅 및 스위블 상태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킨 후 모니터를 책상의 하부로 하강시켜 원위치시키고, 컴퓨터의 사용시에는 모니터를 상기의 기억된 하이트로 상승시킨 후, 최종 기억된 틸팅 및 스위블 위치로 모니터를 자동적으로 지향되게 조절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을지라도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기의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많은 변형 및 수정이 있을 수도 있다.
예컨대, 상승위치값과, 스위블링값 및 틸팅각도에 대한 최종 값을 저장하는 방식은 리얼타임방식 또는 카운터에 의한 연산 방식등 다양한 방식으로 계산될 수 있다.

Claims (7)

  1. 컴퓨터 모니터의 지향각도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초기 작동시 모니터를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까지 상승시키는 제1단계;
    상기 모니터가 제2위치로 승강된 후, 상기 모니터의 수평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해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스위블링시키기 위한 제2단계;
    상기 모니터가 스위블링된 후 상기 모니터의 수직경사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해 모니터의 화면의 지향각도를 틸팅시키기 위한 제3단계;
    상기 제1단계 내지 제3단계에서의 모니터에 대한 현재의 제2위치값, 스위블링 위치값 및 틸팅위치값을 실시간으로 기억하는 제4단계;
    오프시 모니터의 틸팅상태를 직립상태로 유지시키고, 모니터의 스위블링상태를 정면 주시상태로 한 다음, 상기 모니터가 제2위치로부터 제1위치까지 자동적으로 하강되도록 하는 제5단계; 및
    상기 제5단계에서 다시 작동되었을 경우 상기 제4단계에서 이미 기억된 모니터의 제2위치값, 스위블링위치값 및 틸팅위치값에 따라 상기 모니터를 순차적으로 승강, 스위블링 및 틸팅하도록 하여 모니터가 이전의 상태로 자동적으로 지향되도록 하기 위한 제6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승강 및 화면각도 자동조절방법.
  2. 컴퓨터 본체와 연결된 모니터를 구동하는 구조에 있어서:
    초기 작동시 모니터를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까지 및 상기 제2위치에서부터 상기 제1위치까지 업/다운시키기 위한 승강수단과;
    상기 승강수단에 의해 모니터가 제2위치로 승강된 후, 상기 모니터의 수평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해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스위블수단;
    상기 스위블수단에 의해 스위블링된 후 상기 모니터의 수직경사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해 모니터의 화면의 지향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틸팅수단;
    작동시 상기 모니터에 대한 승강수단의 현재의 제2위치값, 상기 틸팅수단에 의한 틸팅위치값 및 상기 스위블수단에 의한 스위블위치값을 기억하기 위한 모니터 상태 기억수단; 및
    외부입력신호에 의해 상기 승강수단, 스위블수단 및 틸팅수단을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오프시 상기 틸팅수단을 작동시켜 모니터를 직립상태로 유지한 후 상기 스위블수단을 작동시켜 상기 모니터가 정면을 주시하도록 하고 나서 상기 승강수단을 작동시켜 상기 모니터가 제2위치로부터 제1위치로 순차적이면서 자동적으로 하강되도록 하는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콘트롤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승강 및 화면각도 자동조절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다시 작동되었을 경우 오프시에 이미 기억된 모니터의 제2위치값, 스위블링위치값 및 틸팅위치값에 따라 상기 모니터를 순차적으로 승강, 스위블링 및 틸팅하도록 하여 모니터가 이전의 상태로 자동적으로 지향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 니터 승강 및 화면각도 자동조절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되어 정역회전 가능한 제1모터;
    상기 제1모터의 회전시 피니언과 랙방식으로 승강 가능한 승강부재; 및
    상기 승강부재가 상기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까지의 승강높이값을 감지하기 위한 승강위치 감지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승강 및 화면각도 자동조절장치.
  5. 제 2 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블수단은,
    상기 승강수단의 승강부재에 고정된 브라켓에 장착되어 정역회전 가능한 제2모터;
    상기 제2모터의 회전시 베벨기어방식으로 스위블 가능한 스위블부재;
    상기 스위블부재가 상기 좌측방향에서부터 우측방향으로 이동되는 스위블링위치값을 감지하기 위한 스위블링위치 감지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승강 및 화면각도 자동조절장치.
  6. 제 2 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수단은,
    상기 스위블수단의 스위블부재에 장착되어 정역회전 가능한 제3모터;
    상기 제3모터의 회전시 원호형 기어방식으로 틸팅 가능한 팅팅부재;
    상기 틸팅부재가 상기 수직위치로부터 경사지게 이동되는 틸팅위치값을 감지하기 위한 틸팅위치 감지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승강 및 화면각도 자동조절장치.
  7. 제 2항에 기재된 모니터 승강 및 화면각도 자동조절장치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KR1020060063759A 2006-07-07 2006-07-07 모니터 승강 및 화면각도 자동조절방법과 그 장치 및모니터 승강 및 화면각도 자동조절장치가 구비된 책상 KR100811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3759A KR100811779B1 (ko) 2006-07-07 2006-07-07 모니터 승강 및 화면각도 자동조절방법과 그 장치 및모니터 승강 및 화면각도 자동조절장치가 구비된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3759A KR100811779B1 (ko) 2006-07-07 2006-07-07 모니터 승강 및 화면각도 자동조절방법과 그 장치 및모니터 승강 및 화면각도 자동조절장치가 구비된 책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885A true KR20080004885A (ko) 2008-01-10
KR100811779B1 KR100811779B1 (ko) 2008-03-07

Family

ID=39215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3759A KR100811779B1 (ko) 2006-07-07 2006-07-07 모니터 승강 및 화면각도 자동조절방법과 그 장치 및모니터 승강 및 화면각도 자동조절장치가 구비된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177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900B1 (ko) * 2009-03-18 2009-11-23 장근대 모니터 승하강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0980374B1 (ko) * 2008-12-12 2010-09-06 (주)우성파워텍 전동식 컴퓨터용 모니터 승강장치
KR101672820B1 (ko) * 2016-02-12 2016-11-04 (주)자비오씨엔씨 모니터의 높낮이 자동 조절 장치
CN108317375A (zh) * 2018-04-16 2018-07-24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变压器检修用控制箱
JP2021144188A (ja) * 2020-03-13 2021-09-24 茂樹 泉 可動式スタンド付き情報表示システム及び可動式スタンド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52448A2 (en) * 2008-06-12 2009-12-17 Elexa Consumer Products, Inc. Motorizied mount
KR101581953B1 (ko) * 2009-06-24 2015-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기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47039U (ja) 1982-03-25 1983-10-03 千代 明 物品の自動収納装置
JP2001029141A (ja) 1999-07-21 2001-02-06 Kyoei Ind Co Ltd 昇降装置付机
KR20020036227A (ko) * 2000-11-09 2002-05-16 최기영 다용도 책상의 모니터 승강장치
JP2004149024A (ja) 2002-10-31 2004-05-27 Sony Corp 車載用画像表示装置
US6655645B1 (en) 2002-12-31 2003-12-02 Shin Zu Shing Co., Ltd. Automatically adjusting support for an LCD monitor
KR100558440B1 (ko) * 2003-10-02 2006-03-10 삼성전기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터치식 화면 위치 조정 장치
KR20050088725A (ko) * 2004-03-02 2005-09-07 한기봉 디스플레이어의 위치 제어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374B1 (ko) * 2008-12-12 2010-09-06 (주)우성파워텍 전동식 컴퓨터용 모니터 승강장치
KR100927900B1 (ko) * 2009-03-18 2009-11-23 장근대 모니터 승하강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672820B1 (ko) * 2016-02-12 2016-11-04 (주)자비오씨엔씨 모니터의 높낮이 자동 조절 장치
CN108317375A (zh) * 2018-04-16 2018-07-24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变压器检修用控制箱
JP2021144188A (ja) * 2020-03-13 2021-09-24 茂樹 泉 可動式スタンド付き情報表示システム及び可動式スタン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1779B1 (ko) 2008-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1779B1 (ko) 모니터 승강 및 화면각도 자동조절방법과 그 장치 및모니터 승강 및 화면각도 자동조절장치가 구비된 책상
JP2570955B2 (ja) ディスプレイ昇降装置
JP3121914U (ja) 液晶テレビ収納ケース
JP2001042779A (ja) 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
KR101590604B1 (ko) 디스플레이 수납형 스마트테이블
JP4581687B2 (ja) 画像投射装置
KR10067119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591069B1 (ko) 책상 프레임의 각도 및 높이조절장치와 그 제어장치
KR101667758B1 (ko) 교육용 책상 모니터 각도 조절장치
JP2003005279A (ja) プロジェクタのチルト装置
KR20180096133A (ko) 스탠딩 데스크
KR20160050309A (ko) 자동 위치 조정이 가능한 모니터
US1117896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rticulated storage
CN200956899Y (zh) 自动可调式电子屏幕阅读台
KR101265039B1 (ko) 디스플레이 엘리베이션 시스템
KR20070079123A (ko) 전동 승강식 책상
CN108294470B (zh) 曲面显示屏升降装置及其翻板机构
KR100805368B1 (ko) 영상표시기 조정장치
CN211632209U (zh) 一种lng生产控制室用操作台
JPH09266822A (ja) Oa機器用机及び机型ディスプレイ装置
CN214963389U (zh) 一种lng生产用控制台
KR200421824Y1 (ko) 영상표시기 조정장치
KR20100067768A (ko) 전동식 컴퓨터용 모니터 승강장치
KR20090097066A (ko) 탁상형 디스플레이 각도 조절장치
CN218095229U (zh) 一种双显示屏电子心理沙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