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1953B1 - 디스플레이 기기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1953B1
KR101581953B1 KR1020090056331A KR20090056331A KR101581953B1 KR 101581953 B1 KR101581953 B1 KR 101581953B1 KR 1020090056331 A KR1020090056331 A KR 1020090056331A KR 20090056331 A KR20090056331 A KR 20090056331A KR 101581953 B1 KR101581953 B1 KR 101581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main body
stand
display main
weigh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6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8009A (ko
Inventor
김철홍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6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1953B1/ko
Publication of KR20100138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8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1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1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실시 예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제안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기기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본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가 틸팅 가능하게 연결되는 스탠드 장치;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와 함께 틸팅되는 중량 부재; 및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와 상기 중량 부재를 연결시키는 연결 부재가 포함된다.
디스플레이 기기

Description

디스플레이 기기{display device}
본 실시 예는 디스플레이 기기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기기는 화상을 시청하는 장치로서, 근래 들어서는 두께가 매우 얇은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가 다수 출시되고 있다. 이들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는 실내공간을 차지하는 부피가 작고, 무게가 가볍고, 취급이 편리하기 때문에, 소비자로부터 많은 각광을 받고 있다.
이들 디스플레이 기기는 벽걸이형으로 벽면에 고정되어 사용되기도 하고, 스탠드 장치에 의해서 바닥면에 놓여서 사용되기도 한다. 본 실시 예는 디스플레이 기기가 바닥면에 놓여서 지지되는 형태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기기의 슬림(slim)화 추세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부의 슬림화 뿐만 아니라, 스탠드 장치의 슬림화가 요구된다.
본 실시 예의 목적은, 스탠드 장치의 크기가 줄어들며 구조가 간단한 디스플레이 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의한 디스플레이 기기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본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를 지지하는 스탠드 장치;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하단부를 상기 스탠드 장치의 상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축; 상기 스플레이 본체의 하단부에서 소정 길이 더 연장되어, 상기 스탠드 장치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연결 부재; 및 상기 연결 부재의 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스탠드 장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중량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가 회동할 때, 상기 중량 부재는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상단부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무게 중심이 상기 힌지축 쪽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의하면, 스탠드 장치의 크기를 줄어듦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기기의 미감이 향상되고, 소비자의 만족도가 고취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그와 같은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을 실시 예를 이루는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및 삭제 등에 의해서 다르게 제안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1)에는, 이미 지 또는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본체(10)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0)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0)를 지지하는 스탠드 장치(20)와, 일단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0)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0)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결 부재(30) 및 상기 연결 부재(30)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스탠드 장치(20)의 내부에 위치되는 중량 부재(40 : balance weight)가 포함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0)와 상기 스탠드 장치(20)는 힌지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0)가 상기 스탠드 장치(20)로부터 전방 또는 후방으로 소정 각도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0)는 두 개 이상의 부재의 결합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례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0)느 프런트 프레임과 리어 프레임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스탠드 장치(20)에는 설치면에 놓이는 베이스(22)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0)를 지지하고 상기 베이스(22)에 결합되는 스탠드 바디(21)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베이스(22)는 설치면과 접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의 바닥면을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22)는 납작한 평면 형상으로 제공된다. 일례로 도 2에서는 상기 베이스(22)가 타원형의 납작한 평면 형상으로 제공된 것이 도시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베이스(22)와 상기 스탠드 바디(21)의 결합 방식에는 제한이 없다.
상기 스탠드 바디(21)의 상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0)의 틸팅 시에 회전축의 기능을 하는 복수의 힌지 축(211)이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힌지 축(211)은 상기 스탠드 바디(21)의 상부 좌측 및 상부 우측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좌측 및 우측에 형성되는 힌지 축(211)의 중심은 동일 선상에 놓이게 된다. 상기 각 힌지 축(211)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스탠드 바디(21)의 상측에는 상기 연결 부재(30)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홀(212)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홀(212)은 상기 복수의 힌지 축(211)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연결 부재(30)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30)의 일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0)의 내부에 위치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0)의 하방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 부재(30)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0)와 함께 틸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 부재(30)가 상기 삽입홀(21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 부재(30)가 상기 힌지 축(221)을 중심으로 틸팅될 수 있기 위해서 상기 삽입홀(212)의 전후 폭은 상기 연결 부재(30)의 전후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중량 부재(40)에는 상기 연결 부재(30)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41)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41)는 일 례로 상기 중량 부재(4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량 부재(40)에는 상기 연결 부재(30)의 하측 일부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홈(43)이 형성된다.
도 3은 도 1의 A-A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디스플레이 기기가 틸팅되지 않을 때 도 1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디스플레이 기기가 틸팅 될 때 도 1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스탠드 바디(21)의 내측에는 상기 연결 부재(30)의 일부 및 상기 중량 부재(40)가 수용되기 위한 공간부(23)가 형성된다.
상기 스탠드 바디(21)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증가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스탠드 바디(21)의 단면은 타원형으로 형성되었으나, 상기 스탠드 바디(21)의 단면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0)의 저면(11)에는 상기 스탠드 바디(21)가 관통하기 위한 관통홀(15)이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0)의 내부에는 상기 연결 부재(30)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 유닛(12)이 구비된다. 상기 연결 부재(30)는 상기 체결 유닛(12)에 일 례로 스크류(S)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 부재(30)와 상기 체결 유닛(12)의 결합 방식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체결 유닛(12)에는 상기 복수의 힌지 축(211)이 결합되는 축 결합부(13)가 형성된다. 이와 달리, 상기 체결 유닛(12)과 상기 축 결합부(13)가 별도의 물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 축(211)과 상기 축 결합부(13)와의 마찰력에 의해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0)의 틸팅된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중량 부재(40)는 상기 공간부(23)에 수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중량 부재(40)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 도시되었으나 상기 중량 부재(40)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상기 중량 부재(40)는 상기 연결 부재(30)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 이 본체(10)의 무게 중심을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중량 부재(40)는 중량이 일정 수준이상이 되어야 하므로, 밀도가 큰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30)의 하단부에는 상기 중량 부재(40)와 결합되기 위한 체결 부재(미도시)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홀(3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중량 부재(40)의 체결부(41)에는 상기 체결 부재(미도시)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홀(4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 부재(30)가 상기 중량 부재(40)의 삽입홈(43)에 삽입되면, 상기 연결 부재(30)의 체결홀(31)은 상기 체결부(41)의 체결홀(42)과 정렬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중량 부재(40)와 상기 연결 부재(30)가 별개의 부품으로 제공되었으나, 상기 중량 부재(40)와 상기 연결 부재(30)는 한 몸을 형성하는 하나의 부품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중량 부재(40)에 상기 연결 부재(30)가 체결되기 위한 상기 체결부(41)가 형성되었으나, 이와 달리 상기 연결 부재(30)가 상기 삽입홈(43)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중량 부재(40)의 외측에서 상기 체결 부재(미도시)가 상기 중량 부재(40)를 관통하여 상기 체결홀(31)에 체결될 수도 있다.
상기 중량 부재(40)는 상기 연결 부재(30)의 하단부에 결합되므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0)와 함께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0)가 후방으로 틸팅되면, 상기 중량 부재(40)는 전방으로 이동된다.
즉, 상기 중량 부재(40)는 상기 힌지 축(212)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0)와 반대 측에 위치되므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0)가 전방으로 틸팅되면 상기 중량 부재(40)는 후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0)가 후방으로 틸팅되면 상기 중량 부재(40)는 전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중량 부재(40)가 상기 스탠드 장치(20)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상기 중량 부재(40)는 상기 베이스(22)로부터 상방으로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도 6은 디스플레이 본체의 틸팅 시에 무게 중심의 위치 변화를 보여주기 위한 도 1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0)의 하측에 상기 중량 부재(40)가 결합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0)의 무게 중심이 하방으로 이동된다. 무게 중심이 하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0)가 틸팅되는 경우 상기 무게중심이 전후로 움직이는 범위가 감소한다.
일례로, 도 6에서 A는 상기 중량 부재(40)가 없는 경우의 무게 중심이고, B는 상기 중량 부재(40)가 있는 경우의 무게 중심이다.
무게 중심 B의 위치가 무게 중심 A의 위치보다 낮으므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0)가 동일한 각도만큼 틸팅될 때의 무게 중심 B의 위치 변화는 무게 중심 A의 위치 변화보다 작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0)의 무게 중심의 전후 변화는 상기 중량 부재(40)가 없을 때보다 있을 때가 더 작다.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0)가 틸팅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0)의 무게 중심의 전후방으로 움직이는 범위가 감소할수록,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0)를 지지하기 위해 요구되는 상기 베이스(22)의 전후폭이 줄어든다.
결국, 상기 베이스(22)의 전후폭이 줄어들게 되면, 상기 스탠드 장치(20)의 전후폭이 줄어들게 되어, 상기 스탠드 장치(20)의 크기가 감소하여 소비자들에게 슬림한 디스플레이 기기(1)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를 절개한 단면도.
도 4는 디스플레이 기기가 틸팅되지 않을 때 도 1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5는 디스플레이 기기가 틸팅될 때 도 1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6은 디스플레이 본체의 틸팅 시에 무게 중심의 위치 변화를 보여주기 위한 도 1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Claims (10)

  1.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본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를 지지하는 스탠드 장치;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하단부를 상기 스탠드 장치의 상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축;
    상기 스플레이 본체의 하단부에서 소정 길이 더 연장되어, 상기 스탠드 장치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연결 부재; 및
    상기 연결 부재의 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스탠드 장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중량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가 회동할 때, 상기 중량 부재는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상단부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의 무게 중심이 상기 힌지축 쪽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와 상기 연결 부재를 연결하는 체결 유닛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 부재에는 상기 연결 부재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가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 부재에는 상기 연결 부재의 단부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홈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 장치는,
    상기 힌지축이 형성되는 스탠드 바디와,
    상기 스탠드 바디의 바닥에 결합되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는 상기 힌지축이 회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축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KR1020090056331A 2009-06-24 2009-06-24 디스플레이 기기 KR101581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331A KR101581953B1 (ko) 2009-06-24 2009-06-24 디스플레이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331A KR101581953B1 (ko) 2009-06-24 2009-06-24 디스플레이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8009A KR20100138009A (ko) 2010-12-31
KR101581953B1 true KR101581953B1 (ko) 2015-12-31

Family

ID=43511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6331A KR101581953B1 (ko) 2009-06-24 2009-06-24 디스플레이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19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5124B1 (ko) * 2020-03-31 2022-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7842U (ja) 2003-05-16 2004-02-12 瑞軒科技股▲ふん▼ 有限公司 ディスプレイ構造
KR100488534B1 (ko) 2003-07-23 2005-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100811779B1 (ko) 2006-07-07 2008-03-07 박명진 모니터 승강 및 화면각도 자동조절방법과 그 장치 및모니터 승강 및 화면각도 자동조절장치가 구비된 책상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662Y2 (ja) * 1990-01-25 1996-02-07 中部電力株式会社 地中配電用開閉器の架台に対する母線ユニットの取付構造
KR101202322B1 (ko) * 2006-08-10 2012-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및 이를 갖춘 디스플레이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7842U (ja) 2003-05-16 2004-02-12 瑞軒科技股▲ふん▼ 有限公司 ディスプレイ構造
KR100488534B1 (ko) 2003-07-23 2005-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100811779B1 (ko) 2006-07-07 2008-03-07 박명진 모니터 승강 및 화면각도 자동조절방법과 그 장치 및모니터 승강 및 화면각도 자동조절장치가 구비된 책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8009A (ko) 2010-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66426S1 (en) Stand with shelves and a tiltable mount for supporting a flat panel display
US10383237B2 (en) Curved display apparatus
CN104077967B (zh) 显示设备
USD553125S1 (en) Universal mount with tilt for a flat panel display
US10884276B2 (en) Display device with simplified appearance structure and improved coupling arrangement
USD538633S1 (en) Large cantilever mount for a flat panel display
KR100682670B1 (ko) 힌지 구조 및 상기 힌지 구조를 사용한 스탠드
USD537656S1 (en) Stand for supporting a flat panel display with shelves
EP2910170A1 (en) Tray supporting apparatus for dishwasher, cutlery tray assembly and dishwasher
US9581284B2 (en) Display apparatus
KR20110079537A (ko) 슬라이드형 전자장치
KR101581953B1 (ko) 디스플레이 기기
US20040256523A1 (en) Monitor apparatus
KR20110079558A (ko) 슬라이드형 전자장치
KR101506035B1 (ko) 디스플레이 기기
US8472187B2 (en) Display apparatus
JP2008005027A (ja) ディスプレイ台
JP2008124708A (ja) 薄型ディスプレイ載置台
JP2009500666A (ja) 対応スタンドを備えたフラット画面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JP2006317504A (ja) 映像表示装置の吊り下げ装置
KR101682723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장치
KR101473006B1 (ko) 스탠드 장치 및 디스플레이 기기
CA2732567A1 (en) Flat panel display device
JP5131043B2 (ja) 表示ユニットの可動組付構造、及び電子機器
JP2009258452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