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5124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5124B1
KR102395124B1 KR1020200039138A KR20200039138A KR102395124B1 KR 102395124 B1 KR102395124 B1 KR 102395124B1 KR 1020200039138 A KR1020200039138 A KR 1020200039138A KR 20200039138 A KR20200039138 A KR 20200039138A KR 102395124 B1 KR102395124 B1 KR 102395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weight
connecting bar
display device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9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1809A (ko
Inventor
전국열
이명엽
김병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9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5124B1/ko
Publication of KR20210121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1809A/ko
Priority to KR1020220040307A priority patent/KR102413201B1/ko
Priority to KR1020220040306A priority patent/KR102473285B1/ko
Priority to KR1020220040308A priority patent/KR1024732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5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5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125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for tilting and ro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베이스; 베이스의 상측으로 이격되고 전면에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헤드; 헤드의 일 측면에 연결되고 수직하게 연장된 스탠드 바; 베이스의 내부에 배치된 웨이트; 베이스의 둘레에 형성된 관통공; 및 웨이트에 체결되고 관통공을 통해 베이스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스탠드 바의 하단이 연결된 커넥팅 바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란 외부에서 수신된 영상정보 또는 내부에 저장된 영상정보를 표시하는 장치이다. 대표적인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텔레비전, 모니터, 랩탑, 스마트폰 등을 예시로 들 수 있다.
다만, 스마트폰 등과 같은 종래의 모바일 디스플레이 장치는 휴대성을 위해 그 크기에 제한이 있다. 반대로, TV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큰 디스플레이 장치는, 넓은 설치공간이 필요하며 이동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컴팩트한 베이스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헤드 및 스탠드 바에 의한 전도 모멘트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으로 이격되고 전면에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헤드; 상기 헤드의 일 측면에 연결되고 수직하게 연장된 스탠드 바; 상기 베이스의 내부에 배치된 웨이트; 상기 베이스의 둘레에 형성된 관통공; 및 상기 웨이트에 체결되고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베이스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스탠드 바의 하단이 연결된 커넥팅 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팅 바는 상기 베이스의 저면과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베이스의 내측 저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커넥팅 바를 수평하게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팅 바는 상기 지지부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은 상기 베이스의 일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웨이트는 상기 베이스의 타 측면에 인접하게 편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의 저면에는, 상기 베이스의 일 측면의 하단을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복수개의 캐스터 볼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의 타 측면의 하단은 바닥면에 접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웨이트는, 상기 커넥팅 바와 나란한 대칭축에 대해 대칭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커넥팅 바는 상기 베이스의 중심을 통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베이스에 내부에 배치된 배터리; 및 상기 베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배터리와 이격되며 상기 웨이트와 분리된 서브 웨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팅 바는 상기 배터리와 상기 서브 웨이트의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서브 웨이트는,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파워 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의 무게와 상기 서브 웨이트의 무게는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상기 웨이트의 무게는, 상기 배터리의 무게 및 상기 서브 웨이트의 무게보다 무거울 수 있다.
상기 웨이트는, 상기 커넥팅 바와 체결된 본체; 상기 본체에서 상기 베이스의 내둘레와 상기 배터리 사이로 돌출된 제1돌출부; 및 상기 본체에서 상기 베이스의 내둘레와 상기 배터리 사이로 돌출된 제2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웨이트에는 상기 커넥팅 바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의 저면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헤드의 둘레부는 한 쌍의 장변(long side)과 한 쌍의 단변(short side)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의 좌우 방향 길이는 상기 장변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커넥팅 바에는, 상기 스탠딩 바 내부의 통로를 통해 상기 헤드의 내부로 연결되는 전선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내에 웨이트가 배치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무게중심이 낮아질 수 있다. 이로써, 베이스를 컴팩트하게 유지하면서도 디스플레이 장치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스탠드바는 헤드의 배면이 아닌 일 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헤드의 배면을 거울 등과 같은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스탠드바가 헤드의 일 측면에 연결되고, 베이스의 외측으로 돌출된 커넥팅 바에 연결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자인이 유려해질 수 있다.
또한, 스탠드 바의 하단은 베이스의 관통공으로 돌출된 커넥팅 바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커넥팅 바는 웨이트와 체결될 수 있다. 이로써, 스탠드바가 헤드의 일 측면에 연결되어 발생하는 전도 모멘트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웨이트는 관통공의 반대편으로 편심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동일한 중량의 웨이트로 더 큰 전도 모멘트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커넥팅 바는 베이스의 저면에 체결될 수 있다. 이로써 커넥팅 바로 전달되는 모멘트가 베이스로 분산될 수 있다.
또한, 캐스터 볼은 베이스의 일측면의 하단을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키고, 베이스의 타 측면의 하단은 바닥면에 접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베이스의 타 측면의 하단을 들어올려 캐스터 볼만이 바닥면에 접한 상태로 만들수 있고, 이러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배터리 및 서브 웨이트가 베이스 내에 배치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무게 중심이 더욱 낮아질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커넥팅 바는 배터리와 서브 웨이트의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이로써, 베이스 내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커넥팅 바는 베이스의 중심을 통과하고, 웨이트는 커넥팅 바와 나란한 대칭축에 대해 대칭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배터리의 무게와 서브 웨이트의 무게는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이로써, 디스플레이 장치가 전후 방향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웨이트의 무게는, 배터리의 무게 및 서브 웨이트의 무게보다 무거울 수 있다. 이로써 웨이트는 커넥팅 바에 작용하는 전도 모멘트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웨이트는 제1,2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배터리 및 서브 배터리의 중량이 불충분한 경우에 이를 보강하여 디스플레이 장치가 전후 방향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의 좌우방향 길이는 헤드의 장변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이로써, 베이스가 충분히 컴팩트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자인이 미려해질 수 있다.
또한, 커넥팅 바에는 스탠딩 바 내부의 통로를 통해 헤드의 내부로 연결되는 전선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전선의 배치가 용이해지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자인이 더욱 미려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가 틸트(tilt)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가 스위블(swivel)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의 커버를 제거한 상태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A-A'에 대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5의 B-B'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일 요소가 타 요소에 "체결" 또는 "연결"된다고 기재된 것은, 두 요소가 직접 체결되거나 연결된 것을 의미하거나, 두 요소 사이에 제3의 요소가 존재하고 상기 제3의 요소에 의해 두 요소가 서로 연결되거나 체결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반면, 일 요소가 타 요소에 "직접 체결" 또는 "직접 연결"된다고 기재한 것은, 두 요소 사이에 제3의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가 틸트(tilt)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가 스위블(swivel)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베이스(10)와, 스탠드 바(20)와, 헤드(30)와, 커넥팅 바(5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0)는 디스플레이 장치(1)를 바닥면에 대해 지지할 수 있다.
헤드(30)는 베이스(10)의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헤드(30)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31)가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31)에는 영상이나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31)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헤드(30)의 둘레부(32)(33)는 한 쌍의 장변(long side)(32)와 한 쌍의 단변(short side)(33)를 포함할 수 있다. 장변(32)의 길이 방향과 단변(33)의 길이 방향은 서로 직교할 수 있다. 장변(32)의 길이(L1)는 단변(33)의 길이(L2)보다 길 수 있다. 헤드(30)는 장변(32)이 수평하고 단변(33)이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탠드 바(20)는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고, 베이스(10)와 헤드(30)를 연결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스탠드 바(20)는 베이스(10)에서 측방으로 돌출된 커넥팅 바(50)와 헤드(30)의 일측면을 연결할 수 있다. 스탠드 바(20)의 하단은 상기 커넥팅 바(50)에 연결될 수 있다. 스탠드 바(20)의 상부에는 수평하게 돌출된 돌출부(21)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돌출부(21)는 헤드(30)의 일 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스탠드 바(20)의 상부는 수평 방향으로 헤드(30)의 일 측면을 마주볼 수 있다.
헤드(30)는 스탠드 바(20)에 대해 베이스(10)와 동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헤드(30)는 수직 방향으로 베이스(10)와 오버랩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의 무게 중심이 베이스(10)의 상측에서 벗어나지 않으므로 디스플레이 장치(1)가 전복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스탠드 바(20)가 헤드(30)의 배면이 아닌 일 측면에 연결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1)의 외관이 디자인적으로 향상될 뿐만 아니라, 헤드(30)의 배면을 다른 용도(예를 들어, 거울)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베이스(10)의 좌우 길이는, 헤드(30)의 장변(32)의 길이(L1)보다 짧을 수 있다. 따라서 헤드(30)는 베이스(10)보다 측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스탠드 바(20)는 충분히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스탠드 바(20)의 상하 길이는, 헤드(30)의 장변(32)의 길이(L1)보다 길 수 있다. 스탠드 바(20)의 상하 길이는, 헤드(30)의 장변(32)의 길이(L1)와 단변의 길이(L2)를 합한 것(L1+L2)보다 길 수 있다.
스탠드 바(20) 및 돌출부(21)의 내부에는 헤드(30)의 내부와 연통된 통로(20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로(20a)는 스탠드 바(20)의 하단에서부터 돌출부(21)의 단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베이스(10)의 내부에는 후술할 배터리(60)(도 7 참조) 및 상기 배터리(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파워 보드(power board)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파워 보드에 연결된 전선(미도시)은 통로(20a)를 통해 헤드(30)의 내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로써 헤드(30)에 구비된 전자 부품-예를 들어, 디스플레이(31)-에 파워를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 바(20)의 돌출부(21)는 헤드(30)의 일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헤드(30)는 스탠드 바(20)에 대해 수평축(axis)(x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수평축(x1)은 스탠드 바(20)의 돌출부(21)에 대응될 수 있다. 즉, 헤드(30)는 수평축(x1)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는 틸트(tilt) 동작이 가능하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 바(20)의 하단은 커넥팅 바(5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헤드(30)는 스탠드 바(20)와 함께 베이스(10)에 대해 수직축(axis)(x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수직축(x2)는 스탠드 바(20)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헤드(30)는 수직축(x2)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방향 전환되는 스위블(swivel) 동작이 가능하다.
헤드(30)의 틸트 동작과 스위블 동작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특히, 도 4의 구성 요소들은 도 1의 헤드(30)에 구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통신 인터페이스(110), 입력 인터페이스(120), 러닝 프로세서(130), 센서(140), 출력 인터페이스(150), 메모리(170) 및 프로세서(18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다른 단말기나 외부 서버와 같은 외부 장치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외부 장치들과 센서 정보, 사용자 입력, 학습 모델, 제어 신호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통신 인터페이스(110)가 이용하는 통신 기술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5G,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120)는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입력 인터페이스(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로폰,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나 마이크로폰을 센서로 취급하여, 카메라나 마이크로폰으로부터 획득한 신호를 센싱 데이터 또는 센서 정보라고 할 수도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120)는 모델 학습을 위한 학습 데이터 및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출력을 획득할 때 사용될 입력 데이터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120)는 가공되지 않은 입력 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프로세서(180) 또는 러닝 프로세서(130)는 입력 데이터에 대하여 전처리로써 입력 특징점(input feature)을 추출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Camera, 121),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User Input Unit, 123)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 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1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121)들을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Display Unit, 3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프로세서(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23)는 기계식(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컨대, 단말기(1)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러닝 프로세서(130)는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공 신경망으로 구성된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다. 여기서, 학습된 인공 신경망을 학습 모델이라 칭할 수 있다. 학습 모델은 학습 데이터가 아닌 새로운 입력 데이터에 대하여 결과 값을 추론해 내는데 사용될 수 있고, 추론된 값은 어떠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판단의 기초로 이용될 수 있다.
이때, 러닝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에 통합되거나 구현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러닝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70), 디스플레이 장치(1)에 직접 결합된 외부 메모리 또는 외부 장치에서 유지되는 메모리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센서(140)는 다양한 센서들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 내부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1)의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센서(140)에 포함되는 센서에는 근접 센서, 조도 센서, 가속도 센서, 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관성 센서, RGB 센서, IR 센서, 지문 인식 센서, 초음파 센서, 광 센서, 마이크로폰, 라이다, 레이더 등이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출력 인터페이스(150)에는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청각 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 촉각 정보를 출력하는 햅틱 모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150)는 디스플레이(Display Unit, 31), 음향 출력 인터페이스(Sound Output Unit, 152), 햅틱 모듈(Haptic Module, 153), 광 출력 인터페이스(Optical Output Unit, 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1)는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컨대, 디스플레이(31)는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디스플레이 장치(1)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단말기(1)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인터페이스(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통신 인터페이스(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인터페이스(152)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광출력 인터페이스(154)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
메모리(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170)는 입력 인터페이스(120)에서 획득한 입력 데이터, 학습 데이터, 학습 모델, 학습 히스토리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데이터 분석 알고리즘 또는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결정되거나 생성된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적어도 하나의 실행 가능한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80)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여 결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80)는 러닝 프로세서(130) 또는 메모리(170)의 데이터를 요청, 검색, 수신 또는 활용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행 가능한 동작 중 예측되는 동작이나,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는 동작을 실행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80)는 결정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외부 장치의 연계가 필요한 경우, 해당 외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 신호를 해당 외부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사용자 입력에 대하여 의도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의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요구 사항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80)는 음성 입력을 문자열로 변환하기 위한 STT(Speech To Text) 엔진 또는 자연어의 의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자연어 처리(NLP: Natural Language Processing) 엔진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에 상응하는 의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STT 엔진 또는 NLP 엔진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은 적어도 일부가 머신 러닝 알고리즘에 따라 학습된 인공 신경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STT 엔진 또는 NLP 엔진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은 러닝 프로세서(130)에 의해 학습된 것이나, 외부 서버에 의해 학습된 것이거나, 또는 이들의 분산 처리에 의해 학습된 것일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동작 내용이나 동작에 대한 사용자의 피드백 등을 포함하는 이력 정보를 수집하여 메모리(170) 또는 러닝 프로세서(130)에 저장하거나, 외부 서버 등의 외부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수집된 이력 정보는 학습 모델을 갱신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의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 중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의 저면도이다.
베이스(10)는 상면이 개방된 하우징(11)과, 상기 하우징(11)의 개방된 상면을 커버하는 커버(12)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0)의 내부 공간은 하우징(11)과 커버(12)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10)의 저면은 하우징(11)의 저면일 수 있고, 베이스(10)의 상면은 커버(12)의 상면일 수 있다. 베이스(10)의 둘레면은 하우징(11)의 둘레면과 커버(12)의 둘레면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12)의 둘레면은 베이스(10)의 둘레면에 대해 수평 외측 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10)의 둘레에는 커넥팅 바(50)가 통과하는 관통공(19)이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관통공(19)은 하우징(11)의 일 측면(13)에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의 둘레면은, 전면과, 배면과, 관통공(19)이 형성된 일 측면(13)과, 상기 일 측면(13)의 반대편에 위치한 타 측면(14)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0)의 저면에는 복수개의 캐스터 볼(1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캐스터 볼(16)은 베이스(10)의 일 측면(13)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베이스(10)의 저면에는 상측으로 함몰된 함몰부(15)가 형성될 수 있고, 캐스터 볼(16)은 상기 함몰부(15)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15)는 베이스(10)의 일 측면(13)에 연결될 수 있다.
베이스(10)는 수평 또는 수평에 가까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캐스터 볼(16)이 바닥면에 접할 수 있고 베이스(10)의 일 측면(13)의 하단은 바닥면과 이격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10)의 타 측면(14)의 하단은 바닥면에 접할 수 있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캐스터 볼(16)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1)의 이동이 이뤄지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는 베이스(10)의 타 측면(14)의 하단을 들어올려 캐스터 볼(16)만이 바닥면에 접한 상태로 만들수 있고, 이러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의 커버를 제거한 상태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5의 A-A'에 대한 절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5의 B-B'에 대한 단면도이다.
커넥팅 바(50)는 베이스(10)의 일측면(13)에 형성된 관통공(19)을 통과할 수 있다. 즉, 커넥팅 바(50)의 일부는 베이스(1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고, 다른 일부는 베이스(10)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커넥팅 바(50)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커넥팅 바(50)는 베이스(10)의 중심(P)을 지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중심(P)은 베이스(10)의 수평 방향에 대한 기하학적 중심일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커넥팅 바(50)와 베이스(10)의 전면 사이의 전후 거리는, 커넥팅 바(50)와 베이스(10)의 배면 사이의 전후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커넥팅 바(50)의 길이는 베이스(10)의 좌우 방향 길이의 절반보다 길고, 베이스(10)의 좌우 방향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커넥팅 바(50)의 내측 단부는 후술할 웨이트(40)에 체결될 수 있다.
커넥팅 바(50)의 외측 단부에는 스탠드 바(20)(도 1 참조)가 연결되는 연결부(51)가 구비될 수 있다. 연결부(51)는 베이스(10)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연결부(51)에는 스탠드 바(20) 내부의 통로(20a)(도 1 참조)와 연통되는 연통홀(52)이 형성될 수 있다. 연통홀(52)은 연결부(51)에 상하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10) 내의 파워 보드와 연결되는 전선은 상기 연통홀(52)을 통해 스탠드 바(20) 내부의 통로(20a)로 들어갈 수 있다.
또한, 커넥팅 바(50)에는 상기 전선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54)(도 9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54)은 커넥팅 바(50)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54)은 베이스(10)의 내부부터 연결부(51)의 하측까지 연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베이스(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커넥팅 바(50)가 체결된 웨이트(40)(weigh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웨이트(40)는 고중량을 갖는 무게추일 수 있다. 웨이트(40)는 금속 재질임이 바람직하다.
웨이트(40)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무게중심을 낮추고, 헤드(30) 및 스탠드 바(20)에 의해 커넥팅 바(50)에 작용하는 전도 모멘트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10)의 크기를 컴팩트하게 유지하면서도 디스플레이 장치(1)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웨이트(40)는 커넥팅 바(50)와 나란한 대칭축(axis)(X3)에 대해 대칭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대칭축(X3)은 베이스(10)의 중심(P)을 좌우 방향으로 가로지를 수 있다.
따라서, 웨이트(40)의 중량이 전후 방향으로 고르게 분산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웨이트(40)는 관통공(19)의 반대편으로 편심되게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웨이트(40)는 베이스(10)의 중심(P)을 전후로 가로지르는 가상축(axis)(X4)에 대해 관통공(19)의 반대편으로 편심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웨이트(40)는 베이스(10)의 타 측면(14)에 접하거나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웨이트(40)에 의해 지지 가능한 커넥팅 바(50)의 전도 모멘트의 크기가 더 커질 수 있다.
웨이트(40)에는 커넥팅 바(50)가 삽입되는 삽입홈(4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44)은 베이스(10)의 관통공(19)을 좌우 방향으로 마주볼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홈(44)의 저면은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팅 바(50)의 내측 단부는 상기 삽입홈(44)에 삽입될 수 있고, 상하 방향에 대해 베이스(10)의 내측 저면과 삽입홈(44)의 내측 상면 사이에 구속될 수 있다.
스크류 등의 제1체결부재(C1)는 웨이트(40)의 상면을 관통하여 삽입홈(44) 내에 위치한 커넥팅 바(50)의 내측 단부에 체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웨이트(40)의 상면에는 하측으로 함몰되고 삽입홈(44)의 상측에 위치하는 함몰부(41a)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채결부재(C1)는 함몰부(41a)를 관통하여 삽입홈(44) 내에 위치한 커넥팅 바(50)의 내측 단부에 체결될 수 있다. 제1체결부재(C1)는 커넥팅 바(50)의 상면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커넥팅 바(50)는 베이스(10)의 저면에 체결될 수 있다. 스크류 등의 제2체결부재(C2)는 베이스(10)의 저면을 관통하여 커넥팅 바(50)에 체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베이스(10)에는, 베이스(10)의 내측 저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커넥팅 바(50)를 수평하게 지지하는 지지부(1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7)는 커넥팅 바(50)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부재(C2)는 상기 지지부(17)를 하측에서 관통하여 커넥팅 바(50)에 체결될 수 있다. 제2체결부재(C2)는 커넥팅 바(50)의 저면에 체결될 수 있다.
이로써, 커넥팅 바(50)에 가해지는 전도 모멘트가 베이스(10)와 웨이트(40)로 고르게 분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배터리(60) 및 서브 웨이트(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60) 및 서브 웨이트(70)는 베이스(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60) 및 서브 웨이트(70)는 웨이트(40)와 분리된 별개의 부재일 수 있다. 배터리(60) 및 서브 웨이트(70)는 서로 이격될 수 있고, 커넥팅 바(50)는 배터리(60)와 서브 웨이트(70)의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즉, 배터리(60)와 서브 웨이트(70)는 커넥팅 바(50)에 대해 서로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배터리(60)는 커넥팅 바(5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고 서브 웨이트(70)는 커넥팅 바(5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서브 웨이트(70)는, 배터리(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파워 보드(power board)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60)의 무게와 서브 웨이트(70)의 무게는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10)의 중량이 전후 방향으로 고르게 분산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웨이트(40)의 무게는, 배터리(60)의 무게 및 서브 웨이트(70)의 무게보다 무거울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10)의 중량이 커넥팅 바(50)가 돌출된 일 측면(13)의 반대편인 타 측면(14) 방향으로 편심될 수 있고, 헤드(30) 및 스탠드 바(20)에 의한 전도 모멘트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웨이트(40)는 본체(41)와, 제1돌출부(42)와, 제2돌출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41)는 커넥팅 바(50)와 체결될 수 있다. 즉, 삽입홈(44)은 본체(41)에 형성될 수 있다. 본체(41)는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본체(41)는 웨이트(40) 전체 중량의 대부분을 차지할 수 있다.
본체(41)는 관통공(19)의 반대편으로 편심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본체(41)는 베이스(10)의 타측면(14)에 인접하게 편심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본체(41)는 좌우 방향에 대해, 베이스(10)의 중심(P)을 전후로 가로지르는 가상축(X4)과 베이스(10)의 타측면(14)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체(41)는 베이스(10)의 중심(P)을 좌우로 가로지르는 대칭축(X3)에 대해 대칭 형상일 수 있다.
제1돌출부(42)는 본체(41)에서 베이스(10)의 내둘레와 배터리(60) 사이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60)는 커넥팅 바(50)와 제1돌출부(42)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돌출부(43)는 본체(41)에서 베이스(10)의 내둘레와 서브 웨이트(70) 사이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서브 웨이트(70)는 커넥팅 바(50)와 제2돌출부(43)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돌출부(42) 및 제2돌출부(43)는, 본체(41)에서부터, 상기 가상축(X4)을 넘어서까지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돌출부(42) 및 제2돌출부(43)는, 배터리(60) 및 서브 웨이트(70)와 함께 디스플레이 장치(1)가 전후 방향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웨이트(40)는 베이스(10)의 저면에 체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본체(41), 제1돌출부(42) 및 제2돌출부(43) 각각은 베이스(10)의 저면에 체결될 수 있다. 이로써, 커넥팅 바(50)에 의해 웨이트(40)로 전달되는 모멘트에 의해 웨이트(40)가 리프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베이스 16: 캐스터 볼
19: 관통공 20: 스탠드 바
30: 헤드 40: 웨이트
50: 커넥팅 바 51: 연결부
52: 연통홀 54: 가이드홈
60: 배터리 70: 서브 웨이트

Claims (15)

  1.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으로 이격되고 전면에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헤드;
    상기 헤드의 일 측면에 연결되고 수직하게 연장된 스탠드 바;
    상기 베이스의 내부에 배치된 웨이트;
    상기 베이스의 둘레에 형성된 관통공; 및
    상기 웨이트에 체결되고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베이스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스탠드 바의 하단이 연결된 커넥팅 바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공은 상기 베이스의 일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웨이트는 상기 베이스의 타 측면에 인접하게 편심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바는 상기 베이스의 저면과 체결된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베이스의 내측 저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커넥팅 바를 수평하게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팅 바는 상기 지지부와 체결된 디스플레이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저면에는, 상기 베이스의 일 측면의 하단을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복수개의 캐스터 볼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의 타 측면의 하단은 바닥면에 접하여 지지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는, 상기 커넥팅 바와 나란한 대칭축에 대해 대칭 형상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바는 상기 베이스의 중심을 통과하도록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내부에 배치된 배터리; 및
    상기 베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배터리와 이격되며 상기 웨이트와 분리된 서브 웨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팅 바는 상기 배터리와 상기 서브 웨이트의 사이를 통과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웨이트는,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파워 보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무게와 상기 서브 웨이트의 무게는 동일한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의 무게는, 상기 배터리의 무게 및 상기 서브 웨이트의 무게보다 무거운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는,
    상기 커넥팅 바와 체결된 본체;
    상기 본체에서 상기 베이스의 내둘레와 상기 배터리 사이로 돌출된 제1돌출부; 및
    상기 본체에서 상기 베이스의 내둘레와 상기 배터리 사이로 돌출된 제2돌출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에는 상기 커넥팅 바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의 저면은 개방된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의 둘레부는 한 쌍의 장변(long side)과 한 쌍의 단변(short side)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의 좌우 방향 길이는 상기 장변의 길이보다 짧은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바에는, 상기 스탠드 바 내부의 통로를 통해 상기 헤드의 내부로 연결되는 전선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00039138A 2020-03-31 2020-03-31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95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138A KR102395124B1 (ko) 2020-03-31 2020-03-31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20040307A KR102413201B1 (ko) 2020-03-31 2022-03-31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20040306A KR102473285B1 (ko) 2020-03-31 2022-03-31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20040308A KR102473286B1 (ko) 2020-03-31 2022-03-31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138A KR102395124B1 (ko) 2020-03-31 2020-03-31 디스플레이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0308A Division KR102473286B1 (ko) 2020-03-31 2022-03-31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20040307A Division KR102413201B1 (ko) 2020-03-31 2022-03-31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20040306A Division KR102473285B1 (ko) 2020-03-31 2022-03-31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1809A KR20210121809A (ko) 2021-10-08
KR102395124B1 true KR102395124B1 (ko) 2022-05-09

Family

ID=78610245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9138A KR102395124B1 (ko) 2020-03-31 2020-03-31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20040306A KR102473285B1 (ko) 2020-03-31 2022-03-31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20040307A KR102413201B1 (ko) 2020-03-31 2022-03-31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20040308A KR102473286B1 (ko) 2020-03-31 2022-03-31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0306A KR102473285B1 (ko) 2020-03-31 2022-03-31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20040307A KR102413201B1 (ko) 2020-03-31 2022-03-31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20040308A KR102473286B1 (ko) 2020-03-31 2022-03-31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23951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5375B1 (ko) * 2022-01-20 2023-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535718B1 (ko) * 2022-01-21 2023-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535721B1 (ko) * 2022-04-08 2023-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9905U (ko) * 1997-11-21 1999-06-15 전주범 텔레비젼의 위치 이동장치
JP2008241903A (ja) * 2007-03-26 2008-10-09 Bank Of Tokyo-Mitsubishi Ufj Ltd 表示装置用スタンド
KR20100074936A (ko) * 2008-12-24 2010-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 장치
KR101581953B1 (ko) * 2009-06-24 2015-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기기
KR101169192B1 (ko) * 2009-12-07 2012-07-26 어드밴인터내셔널코프 배터리 팩이 구비된 이동식 의료용 모니터
JP5858501B1 (ja) * 2014-10-30 2016-02-10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pos端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3285B1 (ko) 2022-12-05
KR102413201B1 (ko) 2022-06-27
KR20220045132A (ko) 2022-04-12
KR20220044922A (ko) 2022-04-12
KR20220045131A (ko) 2022-04-12
KR20210121809A (ko) 2021-10-08
KR102473286B1 (ko) 202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320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4690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EP3081134B1 (en) Robot cleaner
KR10236783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1555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13677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45610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9591109B2 (en) Mobile terminal
CN105723692A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KR10230845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3263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4404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EP4184744A1 (en) Wireless charging cradle for terminal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CN105988139A (zh) 智能清洁设备及其碰撞探测组件、脱困方法和装置
KR20220129078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1688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13949124A (zh) 待充电设备的控制方法、装置、充电设备及存储介质
KR20090133024A (ko)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