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6106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6106B1
KR102456106B1 KR1020200083722A KR20200083722A KR102456106B1 KR 102456106 B1 KR102456106 B1 KR 102456106B1 KR 1020200083722 A KR1020200083722 A KR 1020200083722A KR 20200083722 A KR20200083722 A KR 20200083722A KR 102456106 B1 KR102456106 B1 KR 102456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guide
groove
guide groove
connect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3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5932A (ko
Inventor
이재훈
이강영
김병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3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6106B1/ko
Priority to US17/025,910 priority patent/US11236855B1/en
Priority to EP20199614.7A priority patent/EP3936753B1/en
Publication of KR20220005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5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6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6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0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 F16M11/2021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around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F16M11/105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the horizontal axis being the roll axis, e.g. for creating a landscape-portrait ro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18Heads with mechanism for moving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with approximately constant height, e.g. with constant length of column or of le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6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telescoping, with or without folding
    • F16M11/28Undercarriages for supports with one single telescoping pill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6Arms
    • F16M2200/068Arms being part of the undercarri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8Foot or support b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베이스; 베이스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스탠드; 전면에 디스플레이가 구비되고 둘레부의 장변이 수평 상태인 가로 모드와 장변이 수직 상태인 세로 모드 사이에서 피봇(pivot) 가능한 헤드; 헤드의 둘레부를 따라 연장된 관통홈; 스탠드에 연결되고 관통홈을 통해 헤드의 내부로 연장된 커넥팅 바; 헤드의 내부에 고정된 이너 플레이트; 이너 플레이트에 형성되고 소정의 곡선 궤도를 따라 연장된 제1가이드홈; 커넥팅 바에서 돌출되어 제1가이드홈에 삽입된 제1가이드핀; 커넥팅 바에 형성되고 커넥팅 바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2가이드홈; 및 헤드의 내부에 고정되거나 이너 플레이트에서 돌출되고 제2가이드홈에 삽입된 제2가이드핀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란 외부에서 수신된 영상정보 또는 내부에 저장된 영상정보를 표시하는 장치이다. 대표적인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텔레비전, 모니터, 랩탑, 스마트폰 등을 예시로 들 수 있다.
다만, 스마트폰 등과 같은 종래의 모바일 디스플레이 장치는 휴대성을 위해 그 크기에 제한이 있다. 반대로, TV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큰 디스플레이 장치는, 넓은 설치공간이 필요하며 이동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KR 10-2007-0109009A (2007.11.15.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간단한 구조를 적용하여 헤드를 가로 모드와 세로 모드 사이에서 피봇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디자인이 유려하고 컴팩트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서로 상이한 궤도를 따라 연장된 한 쌍의 가이드홈 및 상기 한 쌍의 가이드홈에 삽입된 한 쌍의 가이드핀을 포함한다.
좀 더 상세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스탠드; 전면에 디스플레이가 구비되고, 둘레부의 장변이 수평 상태인 가로 모드와 상기 장변이 수직 상태인 세로 모드 사이에서 피봇(pivot) 가능한 헤드; 상기 헤드의 둘레부를 따라 연장된 관통홈; 상기 스탠드에 연결되고 상기 관통홈을 통해 상기 헤드의 내부로 연장된 커넥팅 바; 상기 헤드의 내부에 고정된 이너 플레이트; 상기 이너 플레이트에 형성되고 소정의 곡선 궤도를 따라 연장된 제1가이드홈; 상기 커넥팅 바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가이드홈에 삽입된 제1가이드핀; 상기 커넥팅 바에 형성되고 상기 커넥팅 바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2가이드홈; 및 상기 헤드의 내부에 고정되거나 상기 이너 플레이트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2가이드홈에 삽입된 제2가이드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핀은, 상기 커넥팅 바의 길이 방향에 대해 상기 제2가이드홈과 상기 관통홈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헤드의 피봇시에 상기 커넥팅 바는 수평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헤드의 피봇시에, 상기 이너 플레이트는 상기 제1가이드홈의 궤도를 따라 상기 제1가이드핀에 대해 슬라이딩되고, 상기 제2가이드핀은 상기 제2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홈과 상기 관통홈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가이드홈의 길이 방향에 대해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커넥팅 바의 길이 방향에 대해 상기 제1가이드홈과 상기 관통홈 사이의 거리는, 상기 헤드가 상기 가로 모드일 때와 상기 세로 모드일 때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홈은, 상기 헤드의 둘레부 단변을 따라 연장된 제1홈; 및 상기 헤드의 둘레부 장변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1홈과 연결된 제2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홈은, 상기 헤드가 가로 모드일 때 상기 제1가이드핀이 위치하는 제1지점과, 상기 커넥팅 바가 상기 제1홈과 상기 제2홈의 연결부를 지날 때 상기 제1가이드핀이 위치하는 제2지점 사이의 제1구간; 및 상기 헤드가 세로 모드일 때 상기 제1가이드핀이 위치하는 제3지점과 상기 제2지점 사이의 제2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구간은, 상기 제1지점에서 상기 제2지점으로 갈수록, 상기 제1홈에 대한 거리가 줄어드는 제1감소 구간과, 상기 제1홈에 대한 거리가 증가하는 제1증가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구간은, 상기 제2지점에서 상기 제3지점으로 갈수록, 상기 제2홈에 대한 거리가 줄어드는 제2감소 구간과, 상기 제2홈에 대한 거리가 증가하는 제2증가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 플레이트는, 금속 재질을 가지고 관통부가 형성된 플레이트 본체; 및 상기 관통부에 체결되고 상기 제1가이드홈을 형성하며 비금속 재질을 갖는 가이드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팅 바는, 금속 재질을 가지고 장공이 형성된 바 본체; 및 상기 장공에 체결되고 상기 제2가이드홈을 형성하며 비금속 재질을 갖는 가이드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바디는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핀 또는 제2가이드핀 중 적어도 하나는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베이스의 내부에서부터 상기 스탠드의 내부를 통해 상기 헤드의 내부까지 연장된 전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팅 바에는 상기 전선을 상기 헤드의 내부로 가이드하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핀은, 상기 커넥팅 바의 길이 방향에 대해 상기 제2가이드홈과 상기 통로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스탠드; 전면에 디스플레이가 구비되고, 둘레부의 장변이 수평 상태인 가로 모드와 상기 장변이 수직 상태인 세로 모드 사이에서 피봇(pivot) 가능한 헤드; 상기 헤드의 둘레부를 따라 연장된 관통홈; 상기 스탠드에 연결되고 상기 관통홈을 통해 상기 헤드의 내부로 연장된 커넥팅 바; 상기 헤드의 내부에 고정된 이너 브라켓; 상기 이너 브라켓에서 돌출되고 서로 이격된 한 쌍의 가이드핀; 상기 커넥팅 바의 단부에 체결된 브라켓 가이드; 상기 브라켓 가이드에 형성되고 일 가이드핀이 삽입되며 수평하게 연장된 제1가이드홈; 및 상기 브라켓 가이드에 형성되고 타 가이드핀이 삽입되며, 상기 제1가이드홈보다 긴 곡선 궤도를 따라 연장된 제2가이드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핀은, 상기 헤드가 가로 모드일 때 수직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고, 상기 헤드가 세로 모드일 때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홈의 내측 단부와 상기 제2가이드홈의 내측 단부는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1가이드홈의 외측 단부와 상기 제2가이드홈의 외측 단부는 수평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가이드홈의 내측 단부와 상기 제2가이드홈의 내측 단부 간 수직 거리는, 상기 제1가이드홈의 외측 단부와 상기 제2가이드홈의 외측 단부 간 수평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가이드핀이 서로 상이한 궤도를 따라 연장된 한 쌍의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헤드의 피봇 동작을 가이드할 수 있고, 헤드는 가로 모드와 세로 모드 사이에서 피봇될 수 있다. 이로써 간단한 구조만으로 헤드의 피봇 궤적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헤드을 수평 또는 수직으로 연직이동 시킬 필요가 없이 직관적으로 피봇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헤드의 피봇 메커니즘이 간단하여 헤드의 두께가 얇아질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가이드핀에 의해 헤드가 지지되므로, 헤드가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각 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드 바디는 POM(Polyoxymethylene) 재질을 가지므로, 헤드의 틸팅이 부드럽고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다.
또한, 전선은 베이스의 내부에서부터 스탠드의 내부, 커넥팅 바에 형성된 통로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헤드의 내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로써, 전선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으므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을 깔끔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헤드가 세로 모드로 피봇(pivot)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가 틸트(tilt)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가 스위블(swivel)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헤드의 내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가이드핀 주변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가이드핀 주변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피봇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피봇에 따라 제1가이드홈 내에서 제1가이드핀의 위치가 표시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너 플레이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바와 스탠드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내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피봇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일 요소가 타 요소에 "체결" 또는 "연결"된다고 기재된 것은, 두 요소가 직접 체결되거나 연결된 것을 의미하거나, 두 요소 사이에 제3의 요소가 존재하고 상기 제3의 요소에 의해 두 요소가 서로 연결되거나 체결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반면, 일 요소가 타 요소에 "직접 체결" 또는 "직접 연결"된다고 기재한 것은, 두 요소 사이에 제3의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헤드가 세로 모드로 피봇(pivot)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가 틸트(tilt)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가 스위블(swivel)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베이스(10)와, 스탠드(20)와, 헤드(3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0)는 디스플레이 장치(1)를 바닥면에 대해 지지할 수 있다.
스탠드(20)는 베이스(10)에서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스탠드(20)는 베이스(10)와 헤드(30)를 연결할 수 있다. 스탠드(20)는 수직 바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좀 더 상세히, 스탠드(20)의 하단은 베이스(10)의 둘레부에 연결될 수 있다. 베이스(10)의 둘레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스탠드 연결부(19)가 형성될 수 있고, 스탠드(20)의 하단은 상기 스탠드 연결부(19)에 연결될 수 있다.
헤드(30)는 베이스(10)의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헤드(30)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31)가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31)에는 영상이나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31)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헤드(30)의 둘레부(32)(33)는 한 쌍의 장변(long side)(32)와 한 쌍의 단변(short side)(33)를 포함할 수 있다. 장변(32)의 길이 방향과 단변(33)의 길이 방향은 서로 직교할 수 있다. 장변(32)의 길이(L1)는 단변(33)의 길이(L2)보다 길 수 있다.
헤드(30)는 장변(32)이 수평하고 단변(33)이 수직한 가로 모드(Landscape mode)(도 1 참조)와, 장변(32)이 수직하고 단변(33)이 수평한 세로 모드(Portrait mode)(도 2 참조) 사이에서 피봇(pivot)될 수 있다.
헤드(30)는 스탠드(20)에 대해 베이스(10)와 동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헤드(30)는 수직 방향으로 베이스(10)와 오버랩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의 무게 중심이 베이스(10)의 상측에서 벗어나지 않으므로 디스플레이 장치(1)가 전복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베이스(10)의 좌우 길이는, 헤드(30)의 장변(32)의 길이(L1)보다 짧고 단변(33)의 길이(L2)보다 길 수 있다. 따라서 가로 모드인 헤드(30)는 베이스(10)보다 측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베이스(10)는 세로 모드인 헤드(30)보다 측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스탠드(20)는 충분히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스탠드(20)의 상하 길이는, 헤드(30)의 장변(32)의 길이(L1)보다 길 수 있다. 스탠드(20)의 상하 길이는, 헤드(30)의 장변(32)의 길이(L1)와 단변의 길이(L2)를 합한 것(L1+L2)보다 길 수 있다.
스탠드(20)는 헤드(30)의 둘레부(32)(33)에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스탠드(20)의 상부는 헤드(30)의 둘레부(32)(33)에 연결될 수 있다.
스탠드(20)가 헤드(30)의 배면이 아닌 둘레부(32)(33)에 연결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1)의 외관이 디자인적으로 향상될 뿐만 아니라, 헤드(30)의 배면을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헤드(30)의 배면에는 미러 및 백 라이트가 구비될 수 있다.
스탠드(20)의 상부는 수평 방향으로 헤드(30)의 둘레부(32)(33)를 마주볼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가로 모드 시 스탠드(20)의 상부는 수평 방향으로 헤드(30)의 단변(33)을 마주볼 수 있다. 세로 모드 시 스탠드(20)의 상부는 수평 방향으로 헤드(30)의 장변(32)을 마주볼 수 있다.
헤드(30)의 둘레부(32)(33)에는 관통홈(34)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홈(34)은 헤드(30)의 둘레부(32)(33)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헤드(30)는 상기 관통홈(34)을 통해 스탠드(20)와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스탠드(20)에는 상기 관통홈(34)을 향해 돌출된 커넥팅 바(50)(도 6 참조)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커넥팅 바(50)는 관통홈(34)을 통해 헤드(30)의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관통홈(34)은, 단변(33)에 관통 형성된 제1홈(35)과, 장변(32)에 관통 형성된 제2홈(3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홈(35)은 단변(33)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제2홈(36)은 장변(32)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홈(35)가 제2홈(36)은 연결될 수 있다. 제1홈(35)과 제2홈(36)은 둘레부(32)(33)의 모서리에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홈(35)은 한 쌍의 단변(33)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홈(35)의 길이는 단변(33)의 길이보다 짧고, 단변(33)의 길이의 절반 이상일 수 있다.
제2홈(36)은 한 쌍의 장변(32)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제2홈(36)의 길이는 장변(32)의 길이보다 짧고, 장변(32)의 길이의 절반 이상일 수 있다.
따라서, 헤드(20)의 피봇 시에 커넥팅 바(50)(도 6 참조)는 관통홈(34)을 통과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가로 모드 시, 커넥팅 바(50)는 제1홈(35)을 통해 헤드(30)의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세로 모드 시, 커넥팅 바(50)는 제2홈(36)을 통해 헤드(30)의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스탠드(20)에는 거치대(24)가 구비될 수 있다. 거치대(24)는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거치대(24)에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단말기가 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거치대(24)에 거치된 단말기의 충전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는 거치대(24)에 거치된 단말기의 화면을, 헤드(30)의 디스플레이(31)에 선택적으로 미러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거치대(24)는 헤드(30)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베이스(10)부터 거치대(24)까지의 수직 거리는, 베이스(10)부터 헤드(30)까지의 수직 거리보다 가까울 수 있다.
또한, 스탠드(20)를 기준으로 헤드(30)와 거치대(24)는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헤드(30)는 스탠드(20)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고, 거치대(24)는 스탠드(20)의 타측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30)는 스탠드(20)에 대해 수평축(axis)(x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수평축(x1)은 커넥팅 바(50)(도 6 참조)와 대응될 수 있다. 커넥팅 바(50)는 스탠드(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헤드(30)는 커넥팅 바(5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즉, 헤드(30)는 수평축(x1)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는 틸트(tilt) 동작이 가능하다.
헤드(30)의 틸트는 헤드(30)의 피봇과 무관하게 수행될 수 있다. 즉, 헤드(30)는 가로 모드일때도 틸트 가능하고 세로 모드일때도 틸트 가능하다.
또한, 헤드(30)는 180도까지 회전(틸트) 가능할 수 있다. 즉, 헤드(30)는 디스플레이(31)가 후방을 향하고 헤드(30)의 배면이 전방을 향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헤드(30)의 배면에 미러 및 백 라이트가 구비된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스탠딩 미러로 활용하거나, 전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30)는 스탠드(20)와 함께 베이스(10)에 대해 수직축(axis)(x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스탠드(20)의 하단은 베이스(10)의 스탠드 연결부(19)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헤드(30)는 수직축(x2)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방향 전환되는 스위블(swivel) 동작이 가능하다.
헤드(30)의 스위블 동작은 헤드(30)의 피봇 및 틸트와 무관하게 수행될 수 있다. 즉, 헤드(30)는 가로 모드일때도 스위블 가능하고 세로 모드일때도 스위블 가능하며, 소정의 각도로 틸트된 상태에서도 스위블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특히, 도 5의 구성 요소들은 도 1의 베이스(10) 또는 헤드(30)에 구비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통신 인터페이스(110), 입력 인터페이스(120), 러닝 프로세서(130), 센서(140), 출력 인터페이스(150), 메모리(170) 및 프로세서(18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다른 단말기나 외부 서버와 같은 외부 장치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외부 장치들과 센서 정보, 사용자 입력, 학습 모델, 제어 신호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통신 인터페이스(110)가 이용하는 통신 기술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5G,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120)는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입력 인터페이스(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로폰,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나 마이크로폰을 센서로 취급하여, 카메라나 마이크로폰으로부터 획득한 신호를 센싱 데이터 또는 센서 정보라고 할 수도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120)는 모델 학습을 위한 학습 데이터 및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출력을 획득할 때 사용될 입력 데이터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120)는 가공되지 않은 입력 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프로세서(180) 또는 러닝 프로세서(130)는 입력 데이터에 대하여 전처리로써 입력 특징점(input feature)을 추출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Camera, 121),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User Input Unit, 123)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 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1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121)들을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Display Unit, 3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프로세서(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23)는 기계식(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컨대, 단말기(1)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러닝 프로세서(130)는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공 신경망으로 구성된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다. 여기서, 학습된 인공 신경망을 학습 모델이라 칭할 수 있다. 학습 모델은 학습 데이터가 아닌 새로운 입력 데이터에 대하여 결과 값을 추론해 내는데 사용될 수 있고, 추론된 값은 어떠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판단의 기초로 이용될 수 있다.
이때, 러닝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에 통합되거나 구현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러닝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70), 디스플레이 장치(1)에 직접 결합된 외부 메모리 또는 외부 장치에서 유지되는 메모리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센서(140)는 다양한 센서들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 내부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1)의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센서(140)에 포함되는 센서에는 근접 센서, 조도 센서, 가속도 센서, 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관성 센서, RGB 센서, IR 센서, 지문 인식 센서, 초음파 센서, 광 센서, 마이크로폰, 라이다, 레이더 등이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출력 인터페이스(150)에는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청각 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 촉각 정보를 출력하는 햅틱 모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150)는 디스플레이(Display Unit, 31), 음향 출력 인터페이스(Sound Output Unit, 152), 햅틱 모듈(Haptic Module, 153), 광 출력 인터페이스(Optical Output Unit, 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1)는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컨대, 디스플레이(31)는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디스플레이 장치(1)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단말기(1)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인터페이스(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통신 인터페이스(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인터페이스(152)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광출력 인터페이스(154)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
메모리(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170)는 입력 인터페이스(120)에서 획득한 입력 데이터, 학습 데이터, 학습 모델, 학습 히스토리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데이터 분석 알고리즘 또는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결정되거나 생성된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적어도 하나의 실행 가능한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80)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여 결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80)는 러닝 프로세서(130) 또는 메모리(170)의 데이터를 요청, 검색, 수신 또는 활용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행 가능한 동작 중 예측되는 동작이나,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는 동작을 실행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80)는 결정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외부 장치의 연계가 필요한 경우, 해당 외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 신호를 해당 외부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사용자 입력에 대하여 의도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의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요구 사항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80)는 음성 입력을 문자열로 변환하기 위한 STT(Speech To Text) 엔진 또는 자연어의 의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자연어 처리(NLP: Natural Language Processing) 엔진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에 상응하는 의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STT 엔진 또는 NLP 엔진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은 적어도 일부가 머신 러닝 알고리즘에 따라 학습된 인공 신경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STT 엔진 또는 NLP 엔진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은 러닝 프로세서(130)에 의해 학습된 것이나, 외부 서버에 의해 학습된 것이거나, 또는 이들의 분산 처리에 의해 학습된 것일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동작 내용이나 동작에 대한 사용자의 피드백 등을 포함하는 이력 정보를 수집하여 메모리(170) 또는 러닝 프로세서(130)에 저장하거나, 외부 서버 등의 외부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수집된 이력 정보는 학습 모델을 갱신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의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 중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헤드의 내부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가이드핀 주변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가이드핀 주변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9 및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피봇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헤드(30)의 내부에는 장착 플레이트(37)이 배치될 수 있다. 장착 플레이트(37)에는 복수개의 전장 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전장 부품은, 통신 인터페이스(110)와, 입력 인터페이스(120)와, 센서(140)와, 프로세서(18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장착 플레이트(37)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전장 부품 및 음향 출력부(152)는 후술할 이너 플레이트(40) 및 커넥팅 바(50)와 간섭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너 플레이트(40) 및 커넥팅 바(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40)은 헤드(3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40)는 디스플레이(31)와 나란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40)은 헤드(30)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 이너 플레이트(40)은 장착 플레이트(37)에 고정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40)은 헤드(30)의 둘레부(32)(33)에 형성된 관통홈(34)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제1홈(35)은 헤드(30)의 우변 하측 일부에 형성될 수 있고, 제2홈(36)은 헤드(30)의 저변 우측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너 플레이트(40)는 헤드(30)의 우하단 모서리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40)에는 소정의 곡선 궤도를 따라 연장된 제1가이드홈(4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가이드홈(43)은 이너 플레이트(40)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1가이드홈(43)은 양 단부를 가지고 헤드(30)의 둘레부(32)(33)를 향해 만곡된 곡선 궤도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가이드홈(43)은 관통홈(34)을 향해 만곡된 곡선 궤도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1가이드홈(43)은 헤드(30)의 피봇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커넥팅 바(50)에는 제1가이드홈(43)에 삽입되는 제1가이드핀(54)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헤드(30)의 피봇 시에 이너 플레이트(40)는 제1가이드홈(43)의 궤도를 따라 제1가이드핀(54)에 대해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제1가이드홈(43)과 관통홈(34) 사이의 거리는, 제1가이드홈(43)의 길이 방향에 대해 가변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헤드(30)가 가로 모드일 때 제1가이드홈(43)과 제1홈(35) 사이의 수평 거리는 하측으로 갈수록 줄어들다가 다시 늘어날 수 있다. 또한, 헤드(30)가 가로 모드일 때 제1가이드홈(43)과 제2홈(36) 사이의 수직 거리는 스탠드(20)에 가까워질수록 줄어들다가 다시 늘어날 수 있다.
한편, 커넥팅 바(50)는 헤드(30)와 스탠드(20)를 연결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커넥팅 바(50)는 스탠드(20)에 연결되고, 관통홈(34)을 통해 헤드(30)의 내부로 연장되어 이너 플레이트(40)에 연결될 수 있다.
커넥팅 바(50)는 헤드(30)의 틸트, 피봇, 스위블 동작과 무관하게 수평 유지될 수 있다.
커넥팅 바(50)는 전후 방향으로 이너 플레이트(40)와 중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커넥팅 바(50)가 이너 플레이트(40)의 후방을 지나도록 배치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커넥팅 바(50)가 이너 플레이트(40)의 전방을 지자도록 배치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커넥팅 바(50)에는, 이너 플레이트(40)의 제1가이드홈(43)에 삽입되는 제1가이드핀(54)이 형성될 수 있다. 제1가이드핀(54)은 커넥팅 바(50)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넥팅 바(50)에는 제2가이드홈(58)이 형성될 수 있다. 제2가이드홈(58)은 커넥팅 바(5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가이드핀(54)은, 커넥팅 바(5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제2가이드홈(58)과 헤드(30)의 관통홈(34)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커넥팅 바(5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스탠드(20)와 제1가이드핀(54) 사이의 거리는, 스탠드(20)와 제2가이드홈(58) 사이의 거리보다 가까울 수 있다.
제1가이드핀(54)은, 커넥팅 바(5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제2가이드홈(58)과 후술할 통로(52)(도 13 참조)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40)에는 제2가이드홈(58)에 삽입되는 제2가이드핀(46)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가이드핀(46)은 이너 플레이트(40)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가이드핀(46)이 헤드(30)의 내부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헤드(30)의 피봇 시에 제2가이드핀(46)은 제2가이드홈(58)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제2가이드핀(46)은 제2가이드홈(58)의 내측 단부와 외측 단부 사이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상기 내측 단부는 제2가이드홈(58)의 양 단부 중 스탠드(20)에서 먼 단부를 의미하고, 상기 외측 단부는 제2가이드홈(58)의 양 단부 중 스탠드(20)와 가까운 단부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커넥팅 바(50)의 제1가이드핀(54)은 이너 플레이트(40)의 제1가이드홈(43)에 삽입되고, 이너 플레이트(40)의 제2가이드핀(46)은 커넥팅 바(50)의 제2가이드홈(58)에 삽입될 수 있다. 제1가이드홈(43)과 제2가이드홈(58)은 서로 상이한 궤도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로써 이너 플레이트(40)가 고정된 헤드(30)가 커넥팅 바(50)에 대해 지지될 수 있고, 헤드(30)의 피봇 동작이 가이드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30)가 가로 모드일 때, 제1가이드핀(54)은 제1가이드홈(43)의 일 단부에 위치할 수 있고, 제2가이드핀(46)은 제2가이드홈(58)의 양 단부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30)의 둘레부(32)(33)의 모서리가 수평 방향으로 스탠드(20)를 향할 때, 제1가이드핀(54)은 제1가이드홈(43)의 양 단부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제2가이드핀(46)은 제2가이드홈(58)의 내측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30)가 세로 모드일 때, 제1가이드핀(54)은 제1가이드홈(46)의 타 단부에 위치할 수 있고, 제2가이드핀(46)은 제2가이드홈(58)의 외측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피봇에 따라 제1가이드홈 내에서 제1가이드핀의 위치가 표시된 도면이다.
제1가이드홈(43)의 일 단부와 제2가이드핀(46)은 헤드(30)의 장변(32)과 나란한 일직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1가이드홈(43)의 일 단부와 제2가이드핀(46)은 헤드(30)가 가로 모드이면 일 수평선상에 위치할 수 있고, 헤드(30)가 세로 모드이면 일 수직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1가이드홈(43)의 타 단부와 제2가이드핀(46)은 헤드(30)의 단변(33)과 나란한 일직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1가이드홈(43)의 타 단부와 제2가이드핀(46)은 헤드(30)가 가로 모드이면 일 수직선상에 위치할 수 있고, 헤드(30)가 세로 모드이면 일 수평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헤드(30)가 가로 모드일 때, 제1가이드핀(59)은 제1가이드홈(43)의 제1지점(P1)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점(P1)은 제1가이드홈(43)의 일 단부일 수 있다.
커넥팅 바(50)가 헤드(30)의 제1홈(35)과 제2홈(36)의 연결부를 지날 때, 제1가이드핀(59)은 제1가이드홈(43)의 제2지점(P2)에 위치할 수 있다.
헤드(30)가 세로 모드일 때, 제1가이드핀(59)은 제1가이드홈(43)의 제3지점(P3)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3지점(P3)은 제1가이드홈(43)의 타 단부일 수 있다.
커넥팅 바(5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제1가이드홈(43)과 관통홈(34) 사이의 거리는, 헤드(30)가 가로 모드일 때와 세로 모드일 때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헤드(30)의 장변(32)과 나란한 방향에 대한 제1지점(P1)과 제1홈(35) 사이의 거리는, 헤드(30)의 단변(33)과 나란한 방향에 대한 제2지점(P2)과 제2홈(36) 사이의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즉, 헤드가 가로 모드일 경우, 제1지점(P1)과 제1홈(35) 사이의 수평 거리는 제2지점(P2)과 제2홈(36) 사이의 수직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헤드(30)가 가로 모드일때와 세로 모드일 때 헤드(30)의 둘레부(32)(33)와 스탠드(20) 사이의 간격이 동일할 수 있다. 이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제1가이드홈(43)은, 상기 제1지점(P1) 및 제2지점(P2) 사이의 제1구간(44)과, 상기 제2지점(P2) 및 제3지점(P3) 사이의 제2구간(4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구간(44)과 제2구간(45)은 연속되게 이어질 수 있다.
제1가이드홈(43)의 길이 방향에 대해, 제1구간(44)의 길이는 제2구간(45)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제1구간(44)은 헤드(30)의 제1홈(35)을 향해 만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구간(44)과 제1홈(35) 사이의 거리(D1)는 제1지점(P1)에서 제2지점(P2)으로 갈수록 줄어들었다가 늘어날 수 있다. 상기 거리(D1)는, 헤드(30)의 장변(32)과 나란한 방향에 대한 거리일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1구간(44)은, 제1가이드홈(43)을 따라 제1지점(P1)에서 제2지점(P2)으로 갈수록 상기 거리(D1)가 줄어드는 제1감소 구간(44a)과, 상기 거리(D1)가 증가하는 제1증가 구간(44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감소 구간(44a)은 제1지점(P1)을 포함할 수 있고, 제1증가 구간(44b)은 제2지점(P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감소 구간(44a)과 제1증가 구간(44b)은 연속되게 이어질 수 있다.
제1가이드홈(43)의 길이 방향에 대해, 제1감소 구간(44a)의 길이는 제1증가 구간(44b)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제2구간(45)은 헤드(30)의 제2홈(36)을 향해 만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구간(45)과 제2홈(36) 사이의 거리(D2)는 제2지점(P2)에서 제3지점(P3)으로 갈수록 줄어들었다가 늘어날 수 있다. 상기 거리(D2)는, 헤드(30)의 단변(33)과 나란한 방향에 대한 거리일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2구간(45)은, 제1가이드홈(43)을 따라 제2지점(P2)에서 제3지점(P3)으로 갈수록 상기 거리(D2)가 줄어드는 제2감소 구간(45a)과, 상기 거리(D2)가 증가하는 제2증가 구간(45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감소 구간(45a)은 제2지점(P2)을 포함할 수 있고, 제2증가 구간(45b)은 제3지점(P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감소 구간(45a)과 제2증가 구간(45b)은 연속되게 이어질 수 있다.
제1가이드홈(43)의 길이 방향에 대해, 제2감소 구간(45a)의 길이는 제2증가 구간(45b)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이러한 제1가이드홈(43)의 궤도에 의해, 헤드(30)의 둘레부(32)(33)와 스탠드(20)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하면서도, 헤드(30)가 스탠드(20)와 간섭되지 않고 원활하게 피봇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헤드(30)와 스탠드(20)간 거리를 조절하지 않고 곧바로 헤드(30)를 틸팅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헤드(30)를 수평 또는 수직으로 연직이동 시킬 필요가 없이 직관적으로 피봇시킬 수 있
비교예를 들면, 종래에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헤드를 틸팅 시키기 이전에 헤드를 스탠드에서 멀어지도록 당겨 헤드와 스탠드 사이의 거리를 확보한 후에 헤드를 틸팅시키고, 이후 다시 헤드를 스탠드를 향해 밀어 넣어야 하였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너 플레이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너 플레이트(40)는 플레이트 본체(41)와 제1가이드 바디(42)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 본체(41)은 금속 재질을 가질 수 있다. 플레이트 본체(41)는 단일의 금속판이거나, 복수개의 금속판이 체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 본체(41)에는 제1가이드 바디(42)가 체결되는 관통부(41a)가 형성될 수 있다. 관통부(41a)는 앞서 설명한 제1가이드홈(43)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제2가이드핀(46)은 플레이트 본체(41)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가이드핀(46)은 플레이트 본체(41)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플레이트 본체(41)와 별도로 제작되어 플레이트 본체(41)에 체결될 수 있다.
일례로, 제2가이드핀(46)은 스크류 등의 체결 부재(47)가 체결되는 보스(47)일 수 있고, 상기 체결 부재(47)에는 와셔(48)가 끼워질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와셔(48)는 커넥팅 바(50)를 사이에 두고 이너 플레이트(40)의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셔(48)는 제2가이드홈(58)을 통과하지 못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와셔(48)은 제2가이드핀(46)이 커넥팅 바(50)의 제2가이드홈(58)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가이드 바디(42)는 플레이트 본체(41)의 관통부(41a)에 피팅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제1가이드홈(4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가이드 바디(42)은 제1가이드홈(43)과 대응되는 고리 형상일 수 있다.
제1가이드 바디(42)는 비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1가이드 바디(42)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제1가이드 바디(42)는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POM)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가이드 바디(42)의 재질에 의해, 제1가이드홈(43)의 내둘레와 제1가이드핀(54)(도 7 참조)의 외둘레 간 마찰이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금속 재질인 플레이트 본체(41)에 제1가이드홈(43)이 형성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헤드(30)의 피봇 동작이 부드럽고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바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바와 스탠드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커넥팅 바(50)는 바 본체(51)와 제2가이드 바디(57)를 포함할 수 있다.
바 본체(51)은 금속 재질을 가질 수 있다. 바 본체(51)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복수개의 부재가 서로 체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바 본체(51)는 스탠드(20)에 연결되는 스탠드 연결부(51a)와, 스탠드 연결부(51a)에서 확장된 플랜지부(51b)와, 상기 플랜지부(51b)에서 연장된 연장부(51c)를 포함할 수 있다.
스탠드 연결부(51a)는 스탠드(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스탠드(20)에는 연결공(21)이 형성되고 스탠드 연결부(51a)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연결공(21)에 삽입될 수 있다.
플랜지부(51b)는, 헤드(30)의 둘레부(32)(33)와 스탠드(2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플랜지부(51b)는 헤드(30)의 관통홈(34) 및 스탠드(20)의 연결공(21)을 통과하지 않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51c)는 헤드(30)의 관통홈(34)을 통과하여 헤드(30)의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51c)의 단면은 비원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장부(51c)의 단면은 대략 직사각 형상일 수 있다.
바 본체(51)에는 제2가이드 바디(57)가 체결되는 장공(56)가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장공(56)은 연장부(51c)에 형성될 수 있다. 장공(56)는 앞서 설명한 제2가이드홈(58)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제1가이드핀(54)은 바 본체(51)에서 돌출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1가이드핀(54)은 연장부(51c)에서 돌출될 수 있다.
제1가이드핀(54)은 바 본체(51)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바 본체(51)와 별도로 제작되어 바 본체(51)에 체결될 수 있다.
일례로, 바 본체(51)에는 제1가이드핀(54)이 체결되는 체결공(54a)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가이드핀(54)에는 와셔(55)가 끼워질 수 있다. 제1가이드핀(54)은 와셔(55)의 이탈을 방지하는 헤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셔(55)는 이너 플레이트(40)를 사이에 두고 커넥팅 바(50)의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셔(55)는 제1가이드홈(43)(도 7 참조)을 통과하지 못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와셔(45)은 제1가이드핀(54)이 이너 플레이트(40)의 제1가이드홈(43)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가이드 바디(57)는 바 본체(51)의 장공(56)에 피팅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제2가이드홈(58)이 형성될 수 있다. 제2가이드 바디(57)은 제2가이드홈(58)과 대응되는 고리 형상일 수 있다.
제2가이드 바디(57)는 비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2가이드 바디(57)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제2가이드 바디(57)는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POM)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가이드 바디(57)의 재질에 의해, 제2가이드홈(58)의 내둘레와 제2가이드핀(46)(도 8 참조)의 외둘레 간 마찰이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금속 재질인 바 본체(51)에 제2가이드홈(58)이 형성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헤드(30)의 피봇 동작이 부드럽고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다.
또한, 제1가이드핀(54) 또는 제2가이드핀(46) 중 적어도 하나는 비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고, 좀 더 상세히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고, 더욱 상세히는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가이드핀(54)(46)에 연결된 와셔(55)(48)(도 12 및 도 13 참조) 중 적어도 하나는 비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고, 좀 더 상세히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고, 더욱 상세히는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헤드(30)의 피봇 동작이 더욱 부드럽고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다.
한편, 커넥팅 바(50)에는 전선(W)이 통과하는 통로(52)가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상기 통로(52)는 바 본체(5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선(W)은, 베이스(10)의 내부에서부터 스탠드(20)의 내부를 통해 헤드(30)의 내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전선(W)은 와이어 또는 케이블로 명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10)의 내부에는 배터리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전선(W)은 상기 배터리에 저장된 파워를 디스플레이(31) 및 헤드(30)에 내장된 다수의 전장 부품에 공급할 수 있다.
스탠드(20)에는 전선(W)이 통과하는 내부 공간(22)이 형성될 수 있다. 스탠드(20)의 내부 공간(22)는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즉, 스탠드(20)는 소정의 내경을 갖는 관 형상일 수 있다.
커넥팅 바(50)에 형성된 통로(52)는 전선(W)을 헤드(30)의 내부로 안내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통로(52)는, 와이어 연결부(51a) 및 플랜지부(51b)에 관통 형성된 인렛(52a)과, 연장부(51c)에 형성된 메인 통로(52b) 및 아웃렛(52c)를 포함할 수 있다. 전선(W)은 인렛(52a), 메인 통로(52b) 및 아웃렛(52c)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헤드(30)의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인렛(52a)은 스탠드(20)의 내부 공간(22)과 메인 통로(52b)를 연통시킬 수 있다. 인렛(52a)은 와이어 연결부(51a) 및 플랜지부(51b)에 걸쳐 형성된 중공일 수 있다.
메인 통로(52b) 및 아웃렛(52c)은 헤드(3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메인 통로(52b) 및 아웃렛(52c)은 바 본체(51), 좀 더 상세히는 연장부(51c)의 일면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면은 이너 플레이트(40)를 향하는 면의 반대편 면을 의미할 수 있다.
메인 통로(52b)는 커넥팅 바(5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아웃렛(52c)은 메인 통로(52b)에서 커넥팅 바(50)의 둘레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아웃렛(52c)은 메인 통로(52b)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커넥팅 바(50)는 메인 통로(52b)을 커버하는 커버(5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선(W)은 메인 통로(52b)와 커버(59)의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커버(59)가 아웃렛(52c)까지 커버하는 것도 가능하다.
커버(59)에는 내부 공간을 갖는 돌출부(59a)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59a)는 아웃렛(52c)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선(W)은 돌출부(59a)의 내부 공간에서 원활하게 아웃렛(52c)으로 휘어질 수 있다.
한편, 커넥팅 바(50)에는 아웃렛(52c)으로 빠져나온 전선(W)을 지지하는 후크(57a)가 형성될 수 있다. 후크(57a)는 커넥팅 바(5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상기 후크(57a)는 제2가이드 바디(57)에 형성될 수 있다. 후크(57a)는 제2가이드 바디(57)의 하측 가장자리에 연결될 수 있다.
후크(57a)에 의해, 헤드(30) 내부에서 전선(W)의 배치가 깔끔하게 정리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내부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피봇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헤드(30)를 피봇시키기 위한 메커니즘을 제외하고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헤드(30)의 내부에 고정된 이너 브라켓(60)과, 커넥팅 바(50')의 단부에 체결된 브라켓 가이드(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너 브라켓(60)은 헤드(30)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브라켓 가이드(70)는 이너 브라켓(40)과 전후로 오버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브라켓 가이드(70)가 이너 브라켓(60)의 후방에 위치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너 브라켓(60)에는 한 쌍의 가이드핀(61)(62)이 돌출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핀(61)(62)는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핀(61)(62)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한 쌍의 가이드핀(61)(62)는 헤드(30)의 단변(33)과 나란한 방향(도 15를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브라켓 가이드(70)에는 한 쌍의 가이드핀(61)(62)이 삽입되는 한 쌍의 가이드홈(71)(72)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홈(71)(72)는 서로 상이한 궤도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한 쌍의 가이드홈(71)(72)은, 수평하게 연장된 제1가이드홈(71)과, 곡선 궤도를 따라 연장된 제2가이드홈(7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가이드핀(61)(62)은 제1가이드홈(71)에 삽입된 제1가이드핀(61)과, 제2가이드홈(72)에 삽입된 제2가이드핀(6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이드홈(71)과 제2가이드홈(72)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제1가이드홈(71)의 길이는 제2가이드홈(72)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제2가이드홈(72)의 궤도는, 헤드(30)가 가로 모드일때와 세로 모드일 때 헤드(30)의 둘레부(32)(33)와 스탠드(20) 사이의 간격이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헤드(30)의 피봇 시에, 제1가이드핀(61)은 제1가이드홈(71)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고, 제2가이드핀(71)은 제2가이드홈(72)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로써 이너 브라켓(60)이 고정된 헤드(30)가 브라켓 가이드(70)에 대해 지지될 수 있고, 헤드(30)의 피봇 동작이 가이드될 수 있다.
제1가이드핀(61)은 제1가이드홈(71)의 내측 단부와 외측 단부 사이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제2가이드핀(62)은 제2가이드홈(72)의 내측 단부와 외측 단부 사이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상기 내측 단부는 각 가이드홈(71)(72)의 양 단부 중 스탠드(20)와 먼 단부를 의미하고, 상기 외측 단부는 각 가이드홈(71)(72)의 양 단부 중 스탠드(20)와 가까운 단부를 의미할 수 있다.
제1가이드홈(71)의 내측 단부와 제2가이드홈(72)의 내측 단부는 수직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고,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1가이드홈(71)의 외측 단부와 제2가이드홈(72)의 외측 단부는 수평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고,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1가이드홈(71)의 내측 단부와 제2가이드홈(72)의 내측 단부 간 수직 거리(DV)는, 제1가이드홈(71)의 외측 단부와 제2가이드홈(72)의 외측 단부 간 수평 거리(DH)와 동일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30)가 가로 모드일 때, 제1가이드핀(61)은 제1가이드홈(71)의 내측 단부에 위치할 수 있고, 제2가이드핀(62)은 제2가이드홈(72)의 내측 단부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헤드(30)가 가로 모드일 때 한 쌍의 가이드 핀(61)(62)은 수직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고,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30)가 피봇 도중이면, 제1가이드핀(61)은 제1가이드홈(71)의 양 단부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제2가이드핀(62)은 제2가이드홈(72)의 양 단부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30)가 세로 모드일 때, 제1가이드핀(61)은 제1가이드홈(71)의 외측 단부에 위치할 수 있고, 제2가이드핀(62)은 제2가이드홈(72)의 외측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헤드(30)가 세로 모드일 때 한 쌍의 가이드 핀(61)(62)은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고,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베이스 20: 스탠드
30: 헤드 31: 디스플레이
32: 장변 33: 단변
34: 관통홈 35: 제1홈
36: 제2홈 40: 이너 플레이트
41: 플레이트 본체 42: 제1가이드 바디
43: 제1가이드홈 44: 제1구간
45: 제2구간 46: 제2가이드핀
50: 커넥팅 바 51: 바 본체
52: 통로 54: 제1가이드핀
57: 제2가이드 바디 58: 제2가이드홈

Claims (19)

  1.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스탠드;
    전면에 디스플레이가 구비되고, 둘레부의 장변이 수평 상태인 가로 모드와 상기 장변이 수직 상태인 세로 모드 사이에서 피봇(pivot) 가능한 헤드;
    상기 헤드의 내부에 배치된 장착 플레이트;
    상기 헤드의 둘레부를 따라 연장된 관통홈;
    상기 스탠드에 연결되고 상기 관통홈을 통해 상기 헤드의 내부로 연장된 커넥팅 바;
    상기 장착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상기 헤드의 내부에 배치된 이너 플레이트;
    상기 이너 플레이트에 형성되고 소정의 곡선 궤도를 따라 연장된 제1가이드홈;
    상기 커넥팅 바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가이드홈에 삽입된 제1가이드핀;
    상기 커넥팅 바에 형성되고 상기 커넥팅 바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2가이드홈; 및
    상기 헤드의 내부에 고정되거나 상기 이너 플레이트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2가이드홈에 삽입된 제2가이드핀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핀은, 상기 커넥팅 바의 길이 방향에 대해 상기 제2가이드홈과 상기 관통홈의 사이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의 피봇시에 상기 커넥팅 바는 수평하게 유지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의 피봇시에, 상기 이너 플레이트는 상기 제1가이드홈의 궤도를 따라 상기 제1가이드핀에 대해 슬라이딩되고, 상기 제2가이드핀은 상기 제2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홈과 상기 관통홈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가이드홈의 길이 방향에 대해 가변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바의 길이 방향에 대해 상기 제1가이드홈과 상기 관통홈 사이의 거리는, 상기 헤드가 상기 가로 모드일 때와 상기 세로 모드일 때 서로 동일한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홈은,
    상기 헤드의 둘레부 단변을 따라 연장된 제1홈; 및
    상기 헤드의 둘레부 장변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1홈과 연결된 제2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7 항에 대해,
    상기 제1가이드홈은,
    상기 헤드가 가로 모드일 때 상기 제1가이드핀이 위치하는 제1지점과, 상기 커넥팅 바가 상기 제1홈과 상기 제2홈의 연결부를 지날 때 상기 제1가이드핀이 위치하는 제2지점 사이의 제1구간; 및
    상기 헤드가 세로 모드일 때 상기 제1가이드핀이 위치하는 제3지점과 상기 제2지점 사이의 제2구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간은,
    상기 제1지점에서 상기 제2지점으로 갈수록, 상기 제1홈에 대한 거리가 줄어드는 제1감소 구간과, 상기 제1홈에 대한 거리가 증가하는 제1증가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2구간은,
    상기 제2지점에서 상기 제3지점으로 갈수록, 상기 제2홈에 대한 거리가 줄어드는 제2감소 구간과, 상기 제2홈에 대한 거리가 증가하는 제2증가 구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플레이트는,
    금속 재질을 가지고 관통부가 형성된 플레이트 본체; 및
    상기 관통부에 체결되고 상기 제1가이드홈을 형성하며 비금속 재질을 갖는 가이드 바디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바는,
    금속 재질을 가지고 장공이 형성된 바 본체; 및
    상기 장공에 체결되고 상기 제2가이드홈을 형성하며 비금속 재질을 갖는 가이드 바디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바디는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재질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핀 또는 제2가이드핀 중 적어도 하나는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재질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내부에서부터 상기 스탠드의 내부를 통해 상기 헤드의 내부까지 연장된 전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팅 바에는 상기 전선을 상기 헤드의 내부로 가이드하는 통로가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핀은, 상기 커넥팅 바의 길이 방향에 대해 상기 제2가이드홈과 상기 통로의 사이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장치.
  16.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스탠드;
    전면에 디스플레이가 구비되고, 둘레부의 장변이 수평 상태인 가로 모드와 상기 장변이 수직 상태인 세로 모드 사이에서 피봇(pivot) 가능하며, 내부에 이너 브라켓이 배치된 헤드;
    상기 헤드의 둘레부를 따라 연장된 관통홈;
    상기 스탠드에 연결되고 상기 관통홈을 통해 상기 헤드의 내부로 연장된 커넥팅 바;
    상기 이너 브라켓에서 돌출되고 서로 이격된 한 쌍의 가이드핀;
    상기 커넥팅 바의 단부에 체결된 브라켓 가이드;
    상기 브라켓 가이드에 형성되고 일 가이드핀이 삽입되며 수평하게 연장된 제1가이드홈; 및
    상기 브라켓 가이드에 형성되고 타 가이드핀이 삽입되며, 상기 제1가이드홈보다 긴 곡선 궤도를 따라 연장된 제2가이드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핀은,
    상기 헤드가 가로 모드일 때 수직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고,
    상기 헤드가 세로 모드일 때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홈의 내측 단부와 상기 제2가이드홈의 내측 단부는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1가이드홈의 외측 단부와 상기 제2가이드홈의 외측 단부는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제1가이드홈의 내측 단부와 상기 제2가이드홈의 내측 단부 간 수직 거리는,
    상기 제1가이드홈의 외측 단부와 상기 제2가이드홈의 외측 단부 간 수평 거리와 동일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00083722A 2020-07-07 2020-07-07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56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722A KR102456106B1 (ko) 2020-07-07 2020-07-07 디스플레이 장치
US17/025,910 US11236855B1 (en) 2020-07-07 2020-09-18 Display apparatus
EP20199614.7A EP3936753B1 (en) 2020-07-07 2020-10-01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722A KR102456106B1 (ko) 2020-07-07 2020-07-07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932A KR20220005932A (ko) 2022-01-14
KR102456106B1 true KR102456106B1 (ko) 2022-10-19

Family

ID=72717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3722A KR102456106B1 (ko) 2020-07-07 2020-07-07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236855B1 (ko)
EP (1) EP3936753B1 (ko)
KR (1) KR1024561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99967A1 (en) * 2021-07-21 2024-01-03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KR102500524B1 (ko) * 2022-01-20 2023-0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40026783A (ko) * 2022-08-22 2024-02-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스탠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5242A (ja) * 1994-12-27 1996-07-16 Casio Comput Co Ltd 情報処理機器
JP3201575B2 (ja) 1995-12-20 2001-08-20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ディスプレイ回転機構
KR100565686B1 (ko) * 2004-08-12 2006-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의 스탠드 어셈블리
KR101253569B1 (ko) 2006-05-09 2013-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US7752712B2 (en) * 2008-01-21 2010-07-13 Shin Zu Shing Co., Ltd. Hinge
KR20110038559A (ko) * 2009-10-08 2011-04-14 (주)신광 회전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24993B1 (ko) * 2011-10-10 2018-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지구조
US9746125B2 (en) * 2015-04-20 2017-08-29 Innovative Office Products, Llc Articulating support arm with improved tilter and friction joint
WO2018064549A1 (en) * 2016-09-30 2018-04-05 Innovative Office Products Llc Pole arm system with stackable mount cup
US10655778B2 (en) * 2017-08-16 2020-05-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US10890288B2 (en) * 2018-04-13 2021-01-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ystems and methods of providing a multipositional display
US10627854B2 (en) * 2018-04-13 2020-04-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ystems and methods of providing a multipositional display
JP6987462B2 (ja) * 2018-05-09 2022-01-05 アルパイン株式会社 表示装置
US11493953B2 (en) * 2019-07-01 2022-11-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position display with an unfixed center of ro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236855B1 (en) 2022-02-01
EP3936753B1 (en) 2022-09-14
KR20220005932A (ko) 2022-01-14
EP3936753A1 (en) 2022-01-12
US20220010921A1 (en) 2022-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690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5610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6783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91687B1 (ko) 음향출력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10241320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83029B1 (ko) 프로젝터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US8462262B2 (en) Portable terminal having a projection unit
KR102206242B1 (ko) 이동 단말기
KR10241555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36231A (ko) 이동 단말기
KR20150125374A (ko) 이동 단말기
KR10230845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4404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81729B1 (ko) 제스처를 인식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US20230243460A1 (en) Display device
US20230291233A1 (en) Wireless charging cradle for terminal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KR20170054877A (ko) 이동 단말기
CN105867785A (zh) 一种投影方法、装置及移动设备
KR20170129496A (ko) 이동 로봇
KR20160141482A (ko) 이동 단말기
KR20150096987A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