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1729B1 - 제스처를 인식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제스처를 인식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1729B1
KR102581729B1 KR1020230010347A KR20230010347A KR102581729B1 KR 102581729 B1 KR102581729 B1 KR 102581729B1 KR 1020230010347 A KR1020230010347 A KR 1020230010347A KR 20230010347 A KR20230010347 A KR 20230010347A KR 102581729 B1 KR102581729 B1 KR 102581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user
gesture
gaze
face
guide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0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2898A (ko
Inventor
김석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브이터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브이터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브이터치
Priority to KR1020230010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1729B1/ko
Publication of KR20230022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2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1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17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2Head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20Movements or behaviour, e.g. gesture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제스처를 인식하는 방법으로서, 타겟 사용자에게 가이드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타겟 사용자의 얼굴 및 시선 중 적어도 하나가 향하는 방향 및 상기 가이드 메시지와 연관되는 방향 또는 위치를 참조하여 상기 타겟 사용자에 의해 행해지는 헤드 제스처가 유효한 제스처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유효한 제스처인 것으로 결정되는 상기 타겟 사용자의 헤드 제스처를 참조하여 상기 타겟 사용자의 의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제스처를 인식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GNIZING A GESTURE}
본 발명은 제스처를 인식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 태블릿, 랩탑, PC, 가전 디바이스, 자동차 등 다양한 사용 환경에서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여 객체를 제어하거나 명령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들이 소개되고 있다.
이에 관한, 종래 기술의 일 예로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5-138831호에 개시된 기술을 예로 들 수 있는데, 휴대용 장치를 휴대하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검출하는 센서, 상기 검출된 제스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제스처에 기초하여 상기 제스처에 대응되는 외부 장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외부 장치를 제어하는 명령을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명령에 대응하는 명령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특정 명령에 대응하는 제스처를 수행하기 전에 사용자의 제스처 명령 인식이 시작되도록 트리거 신호 또는 활성화 신호를 실행하며, 이러한 트리거 신호에는 스마트 시계의 터치 스크린 상에서 터치 또는 탭(tap)이나 특정 제스처가 포함되는 휴대용 장치가 소개된 바 있다.
하지만,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을 비롯하여 지금까지 소개된 기술에 의하면, 제스처 인식을 트리거하거나 제스처 인식을 시작 및 종료하는 방식으로서 하나의 단일한 기준, 즉 기설정된 기준만이 이용될 뿐이고, 이러한 기준을 동적으로 달라지도록 하는 기술에 관하여는 관심을 보이지 않고 있다. 즉, 사용자의 상황이나 제어 대상 객체의 속성을 전혀 고려함이 없이, 제스처 인식을 트리거하기 위해서는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시켜야 되므로 사용자 경험적인 측면에서 번거롭거나 트리거하기 곤란한 상황이 종종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는, 타겟 사용자의 얼굴 및 시선 중 적어도 하나가 향하는 방향 및 해당 타겟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가이드 메시지에 따라 결정되는 방향 또는 위치를 참조하여 타겟 사용자에 의해 행해지는 헤드 제스처가 유효한 제스처인지가 결정되도록 함으로써, 제스처 인식을 신속 정확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신규하고도 진보된 기술을 제안하는 바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 메시지에 따라 타겟 사용자의 헤드 제스처가 유효한 제스처로 결정되는 기준이 동적으로 변동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타겟 사용자와 연관되는 메시지 전달 디바이스를 통해 가이드 메시지를 제공함으로써, 타겟 사용자의 헤드 제스처가 유효한 제스처로 결정되는 기준을 쉽고 정확하게 알려주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제스처를 인식하는 방법으로서, 타겟 사용자에게 가이드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타겟 사용자의 얼굴 및 시선 중 적어도 하나가 향하는 방향 및 상기 가이드 메시지와 연관되는 방향 또는 위치를 참조하여 상기 타겟 사용자에 의해 행해지는 헤드 제스처가 유효한 제스처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유효한 제스처인 것으로 결정되는 상기 타겟 사용자의 헤드 제스처를 참조하여 상기 타겟 사용자의 의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제스처를 인식하는 시스템으로서, 타겟 사용자에게 가이드 메시지를 제공하는 가이드 메시지 관리부, 상기 타겟 사용자의 얼굴 및 시선 중 적어도 하나가 향하는 방향 및 상기 가이드 메시지와 연관되는 방향 또는 위치를 참조하여 상기 타겟 사용자에 의해 행해지는 헤드 제스처가 유효한 제스처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유효 제스처 관리부, 및 상기 유효한 제스처인 것으로 결정되는 상기 타겟 사용자의 헤드 제스처를 참조하여 상기 타겟 사용자의 의도를 결정하는 사용자 의도 관리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이드 메시지에 따라 타겟 사용자의 헤드 제스처가 유효한 제스처로 결정되는 기준이 동적으로 변동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타겟 사용자와 연관되는 메시지 전달 디바이스를 통해 가이드 메시지를 제공함으로써, 타겟 사용자의 헤드 제스처가 유효한 제스처로 결정되는 기준을 쉽고 정확하게 알려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인식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메시지 전달 디바이스가 특정되는 상황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스처가 인식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전체 시스템의 구성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통신망, 제스처 인식 시스템(100) 및 메시지 전달 디바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은 유선 통신이나 무선 통신과 같은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통신망은 공지의 인터넷 또는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일 수 있다. 그러나, 통신망은, 굳이 이에 국한될 필요 없이, 공지의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공지의 전화망 또는 공지의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을 그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통신망은 무선 데이터 통신망으로서, 무선주파수(RF; Radio Frequency) 통신, 와이파이(WiFi) 통신, 셀룰러(LTE 등) 통신, 블루투스 통신(더 구체적으로는, 저전력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등과 같은 종래의 통신 방법을 적어도 그 일부분에 있어서 구현하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인식 시스템(100)은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러한 제스처 인식 시스템(100)은 서버 시스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스처 인식 시스템(100)은, 후술할 메시지 전달 디바이스와 통신망 또는 소정의 프로세서(미도시됨)를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타겟 사용자에게 가이드 메시지를 제공하고, 타겟 사용자의 얼굴 및 시선 중 적어도 하나가 향하는 방향 및 가이드 메시지와 연관되는 방향 또는 위치를 참조하여 타겟 사용자에 의해 행해지는 헤드 제스처가 유효한 제스처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유효한 제스처인 것으로 결정되는 타겟 사용자의 헤드 제스처를 참조하여 타겟 사용자의 의도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메시지는 메시지 전달 디바이스를 통해 타겟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시각, 청각 또는 후각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의 메시지일 수 있고, 예를 들어, 텍스트 또는 이미지와 같은 시각 메시지, 음성과 같은 청각 메시지, 또는 동영상과 같은 시청각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메시지는 팝업, 배너, 플로팅(floating) 등의 다양한 구현 방식으로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스처 인식 시스템(100)의 구성과 기능에 관하여는 아래에서 더 자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한편, 제스처 인식 시스템(100)에 관하여 위와 같이 설명되었으나, 이러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이고, 제스처 인식 시스템(100)에 요구되는 기능이나 구성요소의 적어도 일부가 필요에 따라 외부 디바이스(예를 들면, 메시지 전달 디바이스 등) 또는 외부 시스템(예를 들면, 클라우드 서버 등) 내에서 실현되거나 외부 디바이스 또는 외부 시스템 내에 포함될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전달 디바이스(미도시됨)는 통신망 또는 소정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제스처 인식 시스템(100)과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가이드 메시지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전달 디바이스에는 시각 또는 청각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 다양한 유형의 디바이스가 포함될 수 있다.
제스처 인식 시스템의 구성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하여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제스처 인식 시스템(100)의 내부 구성 및 각 구성요소의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인식 시스템(100)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스처 인식 시스템(100)은, 가이드 메시지 관리부(110), 유효 제스처 관리부(120), 사용자 의도 관리부(130), 통신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메시지 관리부(110), 유효 제스처 관리부(120), 사용자 의도 관리부(130), 통신부(140) 및 제어부(150)는 그 중 적어도 일부가 외부의 시스템과 통신하는 프로그램 모듈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제스처 인식 시스템(100)에 포함될 수 있고,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제스처 인식 시스템(100)과 통신 가능한 원격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메시지 관리부(110)는 타겟 사용자에게 가이드 메시지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메시지 관리부(110)는 타겟 사용자와 연관되는 메시지 전달 디바이스에서 가이드 메시지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가이드 메시지 관리부(110)는 타겟 사용자가 존재하는 위치를 기준으로 해당 타겟 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는 메시지 전달 디바이스(320)에서 가이드 메시지가 타겟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메시지 관리부(110)는 복수의 메시지 전달 디바이스(310, 320)가 존재하는 위치 및 타겟 사용자가 존재하는 위치 사이의 거리를 각각 산출할 수 있고, 그 산출되는 거리 중 가장 짧은 거리(예를 들어, 유클리드 거리)에 대응되는 메시지 전달 디바이스(320)를 타겟 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는 메시지 전달 디바이스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가이드 메시지 관리부(110)는 타겟 사용자의 얼굴 및 시선 중 적어도 하나가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메시지 전달 디바이스에서 가이드 메시지가 타겟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메시지 관리부(110)는 타겟 사용자의 얼굴 및 시선 중 적어도 하나가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특정되는 직선(201)(예를 들어, 타겟 사용자의 얼굴 및 시선 중 적어도 하나가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201))을 중심선 또는 중심축으로 갖는 2차원 또는 3차원 영역(202)(예를 들어, 원, 타원, 정사각형, 직사각형, 원뿔, 사각뿔 등의 영역)이 특정될 수 있고, 그 영역 내에 포함되는 메시지 전달 디바이스(320)(또는, 그 영역 내에 포함되는 메시지 전달 디바이스 중 타겟 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메시지 전달 디바이스)에서 가이드 메시지가 타겟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가이드 메시지 관리부(110)는 타겟 사용자에 관한 문맥(context) 정보를 참조하여 가이드 메시지를 제공할 메시지 전달 디바이스 및 가이드 메시지 전달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메시지 관리부(110)는 타겟 사용자가 존재하는 위치(또는 장소), 주시 대상, 주시 시간, 주변 소음 정도 등에 관한 정보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정보에 매칭되는 사례를 사례 데이터베이스상에서 검색하거나, 타겟 사용자가 존재하는 위치(또는 장소), 주시 대상, 주시 시간, 주변 소음 정도 등에 관하여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 또는 딥 러닝(deep learning)을 통해 학습한 결과에 기초하여 대응되는 사례를 특정할 수 있으며, 그 특정되는 사례를 기준으로 타겟 사용자에 관한 문맥 정보를 특정하고 그 특정되는 문맥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사용자에게 가이드 메시지를 가장 효율적으로 전달하거나 타겟 사용자의 관심을 극대화할 수 있는 메시지 전달 디바이스(예를 들어, 가장 가까운 거리) 및 그 전달 유형(예를 들어, 시끄러운 장소인 경우에는 시각 메시지를 제공하고 조용한 장소인 경우에는 청각 메시지를 제공)을 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효 제스처 관리부(120)는 타겟 사용자의 얼굴 및 시선 중 적어도 하나가 향하는 방향 및 가이드 메시지와 연관되는 방향 또는 위치를 참조하여 타겟 사용자에 의해 행해지는 헤드 제스처가 유효한 제스처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효 제스처 관리부(120)는 타겟 사용자의 얼굴 및 시선 중 적어도 하나가 향하는 방향에 기초하여 특정되는(또는 타겟 사용자의 얼굴 및 시선 중 적어도 하나가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또는 영역)상에 해당 타겟 사용자에게 가이드 메시지를 제공하는 메시지 전달 디바이스가 위치하면, 해당 타겟 사용자의 얼굴 및 시선 중 적어도 하나가 해당 방향을 향하는 동안 또는 해당 타겟 사용자의 얼굴 및 시선 중 적어도 하나가 해당 방향을 향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소정 시간 동안 해당 타겟 사용자에 의해 행해지는 헤드 제스처를 유효한 제스처로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유효 제스처 관리부(120)는 타겟 사용자의 얼굴 및 시선 중 적어도 하나가 향하는 방향과 가이드 메시지에 의해 지시(또는 특정)되는 방향이 일치하는 경우에 타겟 사용자의 얼굴 및 시선 중 적어도 하나가 해당 방향을 향하는 동안 또는 해당 타겟 사용자의 얼굴 및 시선 중 적어도 하나가 해당 방향을 향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소정 시간 동안 해당 타겟 사용자에 의해 행해지는 헤드 제스처를 유효한 제스처로서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음성 가이드 메시지의 내용에 의해 소정 방향을 향하도록 지시되는 경우에, 타겟 사용자의 얼굴 및 시선 중 적어도 하나가 위의 지시되는 방향을 향하는 동안 또는 해당 타겟 사용자의 얼굴 및 시선 중 적어도 하나가 위의 지시되는 방향을 향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소정 시간 동안 해당 타겟 사용자에 의해 행해지는 헤드 제스처를 유효한 제스처로서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의도 관리부(130)는 유효 제스처 관리부(120)에 의해 유효한 제스처인 것으로 결정되는 타겟 사용자의 헤드 제스처를 참조하여 타겟 사용자의 의도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의도 관리부(130)는 유효한 제스처인 것으로 결정되는 타겟 사용자의 헤드 제스처의 패턴과 일치 또는 유사한 패턴에 대응되는 의도를 해당 타겟 사용자의 의도로서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의도 관리부(130)는 사용자가 고개를 아래-위 순으로 움직이면 끄덕임(nod) 제스처, 즉 O, 네(yes) 또는 아래(down)을 의미하고, 고개를 좌-우-좌-우 또는 우-좌-우-좌 순으로 움직이면 흔들기(shake) 제스처, 즉 X, 아니오(no) 또는 취소(cancel)을 의미하고, 고개를 우-좌 순으로 움직이면 오른쪽(right) 제스처, 즉 다음(next)을 의미하고, 고개를 좌-우 순으로 움직이면 왼쪽(left) 제스처, 즉 이전(previous)을 의미하고, 고개를 상-하 순으로 움직이면 위쪽(up) 제스처 즉, 위로 이동(up)을 의미하고, 고개를 좌로 기울이면 왼쪽 기울임(lean left) 제스처, 즉 감소(decrease)를 의미하고, 고개를 우로 기울이면 오른쪽 기울임(lean right) 제스처, 즉 증가(increase)를 의미하는 것으로 타겟 사용자의 의도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의도 관리부(130)는 타겟 사용자의 의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헤드 제스처의 패턴에 대응되는 의도에 관한 룩업 테이블(미도시됨)을 참조할 수 있으며, 이러한 룩업 테이블은 소정 조건 만족 시, 소정 기간 마다 또는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의도 관리부(130)는 각 타겟 사용자 또는 복수의 타겟 사용자의 헤드 제스처의 패턴에 기초하여 학습을 수행할 수 있고, 그 학습 결과에 기초하여 타겟 사용자의 의도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 의도 관리부(130)는 타겟 사용자의 패턴에 대응되는 의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공지의 다양한 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타겟 사용자의 헤드 제스처의 패턴에 관한 영상을 기반으로 학습을 수행하기 위한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알고리즘 등이 활용되거나, 타겟 사용자의 헤드 제스처의 패턴으로부터 특정되는 특징(feature)을 기반으로 학습을 수행하기 위한 하는 SVM(Support Vector Machine) 알고리즘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나아가, 사용자 의도 관리부(130)는 위와 같이 결정되는 타겟 사용자의 의도를 참조하여 타겟 사용자가 의도한 제어 명령을 특정하고 그 제어 명령이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40)는 가이드 메시지 관리부(110), 유효 제스처 관리부(120) 및 사용자 의도 관리부(130)로부터의/로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50)는 가이드 메시지 관리부(110), 유효 제스처 관리부(120), 사용자 의도 관리부(130) 및 통신부(140)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50)는 제스처 인식 시스템(100)의 외부로부터의/로의 데이터 흐름 또는 제스처 인식 시스템(100)의 각 구성요소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가이드 메시지 관리부(110), 유효 제스처 관리부(120), 사용자 의도 관리부(130) 및 통신부(140)에서 각각 고유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 실시예
도 4 내지 도 7은 텍스트 및 이미지를 포함하는 가이드 메시지가 타겟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상황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제1 타겟 사용자(410)의 얼굴 및 시선 중 적어도 하나가 향하는 방향(411)을 기준으로 소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제1 메시지 전달 디바이스(510)를 통해 제1 가이드 메시지가 제공되고(도 4 참조), 제2 타겟 사용자(420)의 얼굴 및 시선 중 적어도 하나가 향하는 방향(421)을 기준으로 소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제2 메시지 전달 디바이스(520)를 통해 제2 가이드 메시지가 제공되고(도 5 참조), 제3 타겟 사용자(430)의 얼굴 및 시선 중 적어도 하나가 향하는 방향(431)을 기준으로 소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제3 메시지 전달 디바이스(530)를 통해 제3 가이드 메시지가 제공되고(도 6 참조), 제4 타겟 사용자(440)의 얼굴 및 시선 중 적어도 하나가 향하는 방향(441)을 기준으로 소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제4 메시지 전달 디바이스(540)를 통해 제4 가이드 메시지가 제공될 수 있다(도 7 참조). 예를 들어, 이러한 가이드 메시지는 "정말인가요? 취소면 흔들기 제스처, 확인이면 끄덕임 제스처를 하세요"(또는 "Are you sure? Shake to Cancel or Nod to Confirm")라는 시각 메시지일 수 있다.
그 다음에, 제1 타겟 사용자(410)의 얼굴 및 시선 중 적어도 하나가 향하는 방향(411) 및 제1 가이드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방향(511)(예를 들어, 제1 가이드 메시지의 법선 방향)을 참조하여 제1 타겟 사용자(410)에 의해 행해지는 헤드 제스처가 유효한 제스처인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고, 제2 타겟 사용자(420)의 얼굴 및 시선 중 적어도 하나가 향하는 방향(421) 및 제2 가이드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방향(521)(예를 들어, 제2 가이드 메시지의 법선 방향)을 참조하여 제2 타겟 사용자(420)에 의해 행해지는 헤드 제스처가 유효한 제스처인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고, 제3 타겟 사용자(430)의 얼굴 및 시선 중 적어도 하나가 향하는 방향(431) 및 제3 가이드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방향(531)(예를 들어, 제3 가이드 메시지의 법선 방향)을 참조하여 제3 타겟 사용자(430)에 의해 행해지는 헤드 제스처가 유효한 제스처인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고, 제4 타겟 사용자(440)의 얼굴 및 시선 중 적어도 하나가 향하는 방향(441) 및 제4 가이드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방향(541)(예를 들어, 제4 가이드 메시지의 법선 방향)을 참조하여 제4 타겟 사용자(440)에 의해 행해지는 헤드 제스처가 유효한 제스처인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타겟 사용자(410)의 얼굴 및 시선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가이드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방향(511)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상태로 제1 타겟 사용자(410)에 의해 행해지는 제스처가 유효한 제스처로서 결정될 수 있고, 제2 타겟 사용자(420)의 얼굴 및 시선 중 적어도 하나가 제2 가이드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방향(521)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상태로 제2 타겟 사용자(420)에 의해 행해지는 제스처가 유효한 제스처로서 결정될 수 있고, 제3 타겟 사용자(430)의 얼굴 및 시선 중 적어도 하나가 제3 가이드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방향(531)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상태로 제3 타겟 사용자(430)에 의해 행해지는 제스처가 유효한 제스처로서 결정될 수 있고, 제4 타겟 사용자(440)의 얼굴 및 시선 중 적어도 하나가 제4 가이드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방향(541)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상태로 제4 타겟 사용자(440)에 의해 행해지는 제스처가 유효한 제스처로서 결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타겟 사용자(410)의 얼굴 및 시선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가이드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방향(511)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상태에서, 제1 타겟 사용자(410)에 의해 흔들기 제스처가 행해지면 해당 흔들기 제스처가 유효한 제스처로 결정될 수 있고, 제1 타겟 사용자(410)에 의해 끄덕임 제스처가 행해지면 해당 끄덕임 제스처가 유효한 제스처로 결정될 수 있으며, 제2 타겟 사용자(420)의 얼굴 및 시선 중 적어도 하나가 제2 가이드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방향(521)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상태에서, 제2 타겟 사용자(420)에 의해 흔들기 제스처가 행해지면 해당 흔들기 제스처가 유효한 제스처로 결정될 수 있고, 제2 타겟 사용자(420)에 의해 끄덕임 제스처가 행해지면 해당 끄덕임 제스처가 유효한 제스처로 결정될 수 있으며, 제3 타겟 사용자(430)의 얼굴 및 시선 중 적어도 하나가 제3 가이드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방향(531)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상태에서, 제3 타겟 사용자(430)에 의해 흔들기 제스처가 행해지면 해당 흔들기 제스처가 유효한 제스처로 결정될 수 있고, 제3 타겟 사용자(430)에 의해 끄덕임 제스처가 행해지면 해당 끄덕임 제스처가 유효한 제스처로 결정될 수 있으며, 제4 타겟 사용자(440)의 얼굴 및 시선 중 적어도 하나가 제4 가이드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방향(541)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상태에서, 제4 타겟 사용자(440)에 의해 흔들기 제스처가 행해지면 해당 흔들기 제스처가 유효한 제스처로 결정될 수 있고, 제4 타겟 사용자(440)에 의해 끄덕임 제스처가 행해지면 해당 끄덕임 제스처가 유효한 제스처로 결정될 수 있다.
그 다음에, 위의 유효한 제스처인 것으로 결정되는 각 타겟 사용자(410, 420, 430, 440)의 헤드 제스처를 참조하여 각 타겟 사용자(410, 420, 430, 440)의 의도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4 타겟 사용자(410, 420, 430, 440)의 흔들기 제스처가 유효한 제스처로 결정되면, 해당 타겟 사용자(410, 420, 430, 440)의 의도는 취소인 것으로 결정될 수 있고, 제1 내지 제4 타겟 사용자(410, 420, 430, 440)의 끄덕임 제스처가 유효한 제스처로 결정되면, 해당 타겟 사용자(410, 420, 430, 440)의 의도는 승낙인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8은 음성을 포함하는 가이드 메시지가 타겟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상황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타겟 사용자(810)의 얼굴 및 시선 중 적어도 하나가 향하는 방향(811)을 기준으로 소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메시지 전달 디바이스(850)(예를 들어, 스피커)를 통해 가이드 메시지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가이드 메시지는 "볼륨을 높일까요?"(또는 "Should I turn up the volume?")라는 청각 메시지일 수 있다.
그 다음에, 타겟 사용자(810)의 얼굴 및 시선 중 적어도 하나가 향하는 방향(812)과 가이드 메시지가 제공되는 방향 또는 해당 가이드 메시지를 제공한 스피커(850)의 위치를 참조하여 타겟 사용자(810)에 의해 행해지는 헤드 제스처가 유효한 제스처인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겟 사용자(810)의 얼굴 및 시선 중 적어도 하나가 향하는 방향(812)의 연장선상에 해당 가이드 메시지를 제공한 스피커(850)가 존재하는 상태로 해당 타겟 사용자(810)에 의해 행해지는 제스처가 유효한 제스처로서 결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타겟 사용자(810)의 얼굴 및 시선 중 적어도 하나가 향하는 방향(812)의 연장선상에 해당 가이드 메시지를 제공한 스피커(850)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해당 타겟 사용자(810)에 의해 오른쪽 기울임 제스처가 행해지면 해당 오른쪽 기울임 제스처가 유효한 제스처로 결정될 수 있다.
그 다음에, 위의 유효한 제스처인 것으로 결정되는 타겟 사용자(810)의 헤드 제스처를 참조하여 해당 타겟 사용자(810)의 의도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겟 사용자(810)의 오른쪽 기울임 제스처가 유효한 제스처로 결정되면, 해당 타겟 사용자(810)의 의도는 볼륨 증가인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9 및 도 10은 음성을 포함하는 가이드 메시지가 타겟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다른 상황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타겟 사용자(910)의 얼굴 및 시선 중 적어도 하나가 향하는 방향(911)을 기준으로 소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메시지 전달 디바이스(950)(예를 들어, 스피커)를 통해 가이드 메시지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가이드 메시지는 "문을 열기 위해서는 도어 비디오(인터폰)를 향해 끄덕이세요"(또는 "Nod to the door video to open the door")라는 청각 메시지일 수 있다.
그 다음에, 타겟 사용자(910)의 얼굴 및 시선 중 적어도 하나가 향하는 방향(912)과 위의 가이드 메시지의 내용에 의해 지시되는 방향 또는 위치를 참조하여 타겟 사용자(910)에 의해 행해지는 헤드 제스처가 유효한 제스처인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겟 사용자(910)의 얼굴 및 시선 중 적어도 하나가 향하는 방향(912)의 연장선상에 해당 가이드 메시지에서 지시된 도어 비디오(인터폰)(960)가 존재하는 상태로 해당 타겟 사용자(910)에 의해 행해지는 제스처가 유효한 제스처로서 결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타겟 사용자(910)의 얼굴 및 시선 중 적어도 하나가 향하는 방향(912)의 연장선상에 해당 가이드 메시지의 내용에서 지시된 도어 비디오(960)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해당 타겟 사용자(910)에 의해 끄덕임 제스처가 행해지면 해당 끄덕임 제스처가 유효한 제스처로 결정될 수 있다.
그 다음에, 위의 유효한 제스처인 것으로 결정되는 타겟 사용자(910)의 헤드 제스처를 참조하여 해당 타겟 사용자(910)의 의도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겟 사용자(910)의 끄덕임 제스처가 유효한 제스처로 결정되면, 해당 타겟 사용자(910)의 의도는 승낙인 것(즉, 도어를 개방하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종래의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디바이스에서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메시지가 제공되거나, 메시지 전달 디바이스가 가이드 메시지를 제공하는 기능 외에 다른 기능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종래에 인터폰(즉, 종래의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디바이스)(1060)에서 호출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에 그 디스플레이에서 해당 호출 기능과 연관된 텍스트를 포함하는 가이드 메시지(예를 들어, 이러한 가이드 메시지는 "열까요?"(또는 "Open?")라는 시각 메시지일 수 있다.)가 타겟 사용자(1010)에게 제공되거나, 메시지 전달 디바이스(1060)가 인터폰의 기능을 더 수행하여 호출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에 그 메시지 전달 디바이스에서 해당 호출 기능과 연관된 텍스트를 포함하는 가이드 메시지가 타겟 사용자(1010)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타겟 사용자(1010)의 얼굴 및 시선 중 적어도 하나가 향하는 방향의 연장선상에 해당 가이드 메시지가 제공되는 인터폰(1060)이 존재하는 상태로 해당 타겟 사용자(1010)에 의해 행해지는 제스처가 유효한 제스처로서 결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타겟 사용자(1010)의 얼굴 및 시선 중 적어도 하나가 향하는 방향의 연장선상에 해당 가이드 메시지가 제공되는 인터폰(1060)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해당 타겟 사용자(1010)에 의해 끄덕임 제스처가 행해지면 해당 끄덕임 제스처가 유효한 제스처로 결정될 수 있고, 해당 타겟 사용자(1010)의 의도는 승낙(즉, 도어를 개방)인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제4 실시예
도 11은 음성을 포함하는 가이드 메시지가 타겟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또 다른 상황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먼저, 타겟 사용자(1110)의 얼굴 및 시선 중 적어도 하나가 향하는 방향(1111)을 기준으로 소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메시지 전달 디바이스(1120, 1121, 1122, 1123)(예를 들어, 스피커)를 통해 가이드 메시지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가이드 메시지는 "슬립 모드로 설정해야 할까요?"(또는 " Should I set to sleep mode?")라는 청각 메시지일 수 있다. 이 경우에, 복수의 메시지 전달 디바이스(1120, 1121, 1122, 1123)에서 가이드 메시지를 제공하는 음성의 출력, 위상 등의 소리 요소가 조정됨에 따라 타겟 사용자(1110)의 얼굴 및 시선 중 적어도 하나가 향하는 방향(1111)을 기준으로 소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구체적으로는 디스플레이의 특정 위치)상에 위의 가이드 메시지의 음상(즉, 음성이 출력되는 것으로 인식되는 가상의 지점 또는 소리의 초점이 맺히는 지점)이 위치될 수 있다.
그 다음에, 타겟 사용자(910)의 얼굴 및 시선 중 적어도 하나가 향하는 방향(1112)과 위의 가이드 메시지가 제공되는 위치(즉, 음상의 위치)(1124)를 참조하여 타겟 사용자(1110)에 의해 행해지는 헤드 제스처가 유효한 제스처인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겟 사용자(1110)의 얼굴 및 시선 중 적어도 하나가 향하는 방향(1112)의 연장선상에 위의 음상의 위치(1124) 또는 해당 가이드 메시지가 제공되는 디스플레이가 존재하는 상태로 해당 타겟 사용자(1110)에 의해 행해지는 제스처가 유효한 제스처로서 결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타겟 사용자(1110)의 얼굴 및 시선 중 적어도 하나가 향하는 방향(1112)의 연장선상에 위의 음상의 위치(1124) 또는 해당 가이드 메시지가 제공되는 디스플레이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해당 타겟 사용자(1110)에 의해 끄덕임 제스처가 행해지면 해당 끄덕임 제스처가 유효한 제스처로 결정될 수 있다.
그 다음에, 위의 유효한 제스처인 것으로 결정되는 타겟 사용자(1110)의 헤드 제스처를 참조하여 해당 타겟 사용자(1110)의 의도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겟 사용자(1110)의 끄덕임 제스처가 유효한 제스처로 결정되면, 해당 타겟 사용자(1110)의 의도는 승낙인 것(즉, 슬립 모드를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제스처 인식 시스템
110: 가이드 메시지 관리부
120: 유효 제스처 관리부
130: 사용자 의도 관리부
140: 통신부
150: 제어부

Claims (6)

  1. 가이드 메시지를 이용하여 제스처를 인식하는 방법으로서,
    타겟 사용자의 위치, 상기 타겟 사용자의 얼굴 및 시선 중 적어도 하나가 향하는 방향 및 상기 타겟 사용자에 관한 문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메시지 전달 디바이스를 결정하는 단계,
    메시지 전달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타겟 사용자에게 가이드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타겟 사용자의 얼굴 및 시선 중 적어도 하나가 향하는 방향 및 상기 가이드 메시지와 연관되는 방향 또는 위치를 참조하여 상기 타겟 사용자에 의해 행해지는 헤드 제스처가 유효한 제스처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유효한 제스처인 것으로 결정되는 상기 타겟 사용자의 헤드 제스처를 참조하여 상기 타겟 사용자의 의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사용자의 의도를 참조하여 제어 명령을 특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유효한 제스처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타겟 사용자의 얼굴 및 시선 중 적어도 하나가 향하는 제1 방향과 상기 가이드 메시지에 의해 지시되는 제2 방향이 일치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타겟 사용자의 얼굴 및 시선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1 방향을 향하는 동안 또는 상기 타겟 사용자의 얼굴 및 시선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1 방향을 향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소정 시간 동안 상기 타겟 사용자에 의해 행해지는 헤드 제스처를 상기 유효한 제스처로서 결정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타겟 사용자와 연관되는 메시지 전달 디바이스에서 상기 가이드 메시지가 제공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전달 디바이스는 상기 타겟 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는 디바이스인,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전달 디바이스는 상기 타겟 사용자의 얼굴 및 시선 중 적어도 하나가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디바이스인,
    방법.
  5. 제1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6. 가이드 메시지를 이용하여 제스처를 인식하는 시스템으로서,
    타겟 사용자의 위치, 상기 타겟 사용자의 얼굴 및 시선 중 적어도 하나가 향하는 방향 및 상기 타겟 사용자에 관한 문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메시지 전달 디바이스를 결정하고, 상기 메시지 전달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타겟 사용자에게 가이드 메시지를 제공하는 가이드 메시지 관리부,
    상기 타겟 사용자의 얼굴 및 시선 중 적어도 하나가 향하는 방향 및 상기 가이드 메시지와 연관되는 방향 또는 위치를 참조하여 상기 타겟 사용자에 의해 행해지는 헤드 제스처가 유효한 제스처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유효 제스처 관리부, 및
    상기 유효한 제스처인 것으로 결정되는 상기 타겟 사용자의 헤드 제스처를 참조하여 상기 타겟 사용자의 의도를 결정하고, 상기 타겟 사용자의 의도를 참조하여 제어 명령을 특정하는 사용자 의도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효 제스처 관리부는, 상기 타겟 사용자의 얼굴 및 시선 중 적어도 하나가 향하는 제1 방향과 상기 가이드 메시지에 의해 지시되는 제2 방향이 일치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타겟 사용자의 얼굴 및 시선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1 방향을 향하는 동안 또는 상기 타겟 사용자의 얼굴 및 시선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1 방향을 향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소정 시간 동안 상기 타겟 사용자에 의해 행해지는 헤드 제스처를 상기 유효한 제스처로서 결정하는,
    시스템.
KR1020230010347A 2020-06-04 2023-01-26 제스처를 인식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581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0347A KR102581729B1 (ko) 2020-06-04 2023-01-26 제스처를 인식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814A KR20210150862A (ko) 2020-06-04 2020-06-04 제스처를 인식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0230010347A KR102581729B1 (ko) 2020-06-04 2023-01-26 제스처를 인식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7814A Division KR20210150862A (ko) 2020-06-04 2020-06-04 제스처를 인식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2898A KR20230022898A (ko) 2023-02-16
KR102581729B1 true KR102581729B1 (ko) 2023-09-25

Family

ID=7883122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7814A KR20210150862A (ko) 2020-06-04 2020-06-04 제스처를 인식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0230010347A KR102581729B1 (ko) 2020-06-04 2023-01-26 제스처를 인식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7814A KR20210150862A (ko) 2020-06-04 2020-06-04 제스처를 인식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20210150862A (ko)
WO (1) WO20212467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39205A (zh) * 2022-03-30 2022-06-17 中国工商银行股份有限公司 基于喷气感应的密码输入装置、方法和自助设备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43416B2 (ja) * 2010-03-29 2015-07-0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235529B1 (en) * 2011-11-30 2012-08-07 Google Inc. Unlocking a screen using eye tracking information
US10025378B2 (en) * 2013-06-25 2018-07-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electing user interface elements via position signal
KR102192361B1 (ko) * 2013-07-01 2020-12-17 삼성전자주식회사 머리 움직임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US10613642B2 (en) * 2014-03-12 2020-04-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Gesture parameter tuning
KR101735484B1 (ko) * 2015-06-04 2017-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46795A1 (ko) 2021-12-09
KR20210150862A (ko) 2021-12-13
KR20230022898A (ko) 2023-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5671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haptically-enabled projected user interface
US9360943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feedback for gestures thereof
US10318011B2 (en) Gesture-controlled augmented reality experien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KR102185166B1 (ko) 생체 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1465906B1 (ko) 제스쳐 기반의 원격 제어를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
US11481975B2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20180321493A1 (en) Hmd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244690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190116320A1 (en) Multiple Streaming Camera Navigation Interface System
US9543918B1 (en) Configuring notification intensity level using device sensors
JP6573696B2 (ja) ネットワークに連結した音響機器とのマルチモーダルインタラクション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2581729B1 (ko) 제스처를 인식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1937823B1 (ko) 객체 제어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45610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091508A (ko) 사용자 디바이스의 옵션 설정 방법 및 장치
KR102591413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35861A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70059760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662777B1 (ko) 제2 디바이스에 대한 근접도-기반 컨트롤들
KR20140051651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19524213A (ja) モバイル・リアルタイム・シミュレーションゲームにおけるタッチ操作方式
US11838842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n application, and storage medium
KR101726549B1 (ko) 모바일 실시간 시뮬레이션 게임에서의 터치 조작 방식
CN108897466A (zh) 输入法面板调整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20240134492A1 (en) Digital assistant interactions in extended rea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