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7837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7837B1
KR102367837B1 KR1020200071520A KR20200071520A KR102367837B1 KR 102367837 B1 KR102367837 B1 KR 102367837B1 KR 1020200071520 A KR1020200071520 A KR 1020200071520A KR 20200071520 A KR20200071520 A KR 20200071520A KR 102367837 B1 KR102367837 B1 KR 102367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head
output
sound signal
piv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1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4477A (ko
Inventor
황성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1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7837B1/ko
Priority to PCT/KR2020/011000 priority patent/WO2021251549A1/en
Priority to EP20939930.2A priority patent/EP4165881A1/en
Priority to US17/016,278 priority patent/US11960786B2/en
Publication of KR20210154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4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7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7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F16M11/105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the horizontal axis being the roll axis, e.g. for creating a landscape-portrait ro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125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for tilting and rol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0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 F16M11/2021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around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0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 F16M11/2035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05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integral with the apparatus or articles to be suppor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5Multimedia displays, e.g. with integrated or attached speakers, cameras, micro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integrated loudspeak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4Circuit arrangements, e.g. for selective connection of amplifier inputs/outputs to loudspeakers, for loudspeaker detection, or for adaptation of settings to personal preferences or hearing impair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45Plane diaphragms using the distributed mode principle, i.e. whereby the acoustic radiation is emanated from uniformly distributed free bending wave vibration induced in a stiff panel and not from pistonic mo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2Flat panel monit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4Image rotation following screen orientation, e.g. switching from landscape to portrait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5Transducer mountings or cabinet supports enabling variable orientation of transducer of cabi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면에 디스플레이가 구비되고, 둘레부는 한 쌍의 장변(long side)과 한 쌍의 단변(short side)을 가지며, 디스플레이를 중심으로, 좌측 단변에 하나 이상의 제1 스피커가 구비되고, 우측 단변에 하나 이상의 제2 스피커가 구비되고, 장변이 수평 상태인 가로 모드와 장변이 수직 상태인 세로 모드 사이에서 피봇(pivot) 가능한 헤드, 헤드의 피봇을 감지하는 센서 및 감지 결과를 기초로 헤드가 가로 모드 또는 세로 모드인지 여부에 관한 피봇 상태를 판별하고, 헤드의 피봇 상태가 전환될 때 제1 스피커 및 제2 스피커가 출력하는 음향 신호를 전환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헤드가 회전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란 외부에서 수신된 영상정보 또는 내부에 저장된 영상정보를 표시하는 장치이다. 대표적인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텔레비전, 모니터, 랩탑, 스마트폰 등을 예시로 들 수 있다.
다만, 스마트폰 등과 같은 종래의 모바일 디스플레이 장치는 휴대성을 위해 그 크기에 제한이 있다. 반대로, TV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큰 디스플레이 장치는, 넓은 설치공간이 필요하며 이동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헤드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스피커들의 출력 음향 종류를 제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헤드와 함께 회전하는 스피커들의 위치에 따라 스피커들이 출력하는 음향의 종류를 제어하여 최적의 사운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헤드가 가로 모드 또는 세로 모드로 회전할 때 스피커들이 출력하는 음향의 종류를 제어하여 가로 모드 또는 세로 모드로 회전 시 어색하지 않고 자연스러운 사운드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것에 있다.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한 쌍의 장변(long side)과 한 쌍의 단변(short side)를 가지며, 장변이 수평 상태인 가로 모드에서의 스피커 배열와 장변이 수직인 상태인 세로 모드에서의 스피커 배열이 상이한 경우에도 스피커들이 출력하는 음향의 종류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만족하는 사운드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것에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면에 디스플레이가 구비되고, 둘레부는 한 쌍의 장변(long side)과 한 쌍의 단변(short side)을 가지며, 디스플레이를 중심으로, 좌측 단변에 하나 이상의 제1 스피커가 구비되고, 우측 단변에 하나 이상의 제2 스피커가 구비되고, 장변이 수평 상태인 가로 모드와 장변이 수직 상태인 세로 모드 사이에서 피봇(pivot) 가능한 헤드, 헤드의 피봇을 감지하는 센서 및 감지 결과를 기초로 헤드가 가로 모드 또는 세로 모드인지 여부에 관한 피봇 상태를 판별하고, 헤드의 피봇 상태가 전환될 때 제1 스피커 및 제2 스피커가 출력하는 음향 신호를 전환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면에 디스플레이가 구비되고, 둘레부는 한 쌍의 장변(long side)과 한 쌍의 단변(short side)을 가지며, 디스플레이의 패널에 부착되는 복수의 패널 스피커가 구비되고, 장변이 수평 상태인 가로 모드와 장변이 수직 상태인 세로 모드 사이에서 피봇(pivot) 가능한 헤드, 헤드의 피봇을 감지하는 센서 및 감지 결과를 기초로 헤드가 가로 모드 및 세로 모드인지 여부에 관한 피봇 상태를 판별하고, 헤드의 피봇 상태가 전환될 때 복수의 패널 스피커가 출력하는 음향 신호를 전환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헤드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피봇하는 스피커들의 출력 음향 신호를 제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헤드와 함께 피봇하는 스피커들의 위치에 따라 스피커들이 출력하는 음향 신호를 제어하여 최적의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헤드가 가로 모드 또는 세로 모드로 피봇할 때 스피커들이 출력하는 음향 신호를 제어하여 가로 모드 또는 세로 모드로 피봇 하는 경우에도 어색하지 않고 자연스러운 사운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장변이 수평 상태인 가로 모드에서의 스피커 배열와 장변이 수직인 상태인 세로 모드에서의 스피커 배열이 상이한 경우에도 스피커들이 출력하는 음향의 종류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만족하는 사운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헤드가 세로 모드로 피봇(pivot)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가 틸트(tilt)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가 스위블(swivel)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피봇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피봇 동작시에 커넥팅 바의 궤도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가 구비된 헤드의 제1 가로 모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가 구비된 헤드의 제2 가로 모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2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가 구비된 헤드의 제1 세로 모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가 구비된 헤드의 제2 세로 모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4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가 구비된 헤드의 제1 가로 모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5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가 구비된 헤드의 제2 가로 모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가 구비된 헤드의 제1 세로 모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가 구비된 헤드의 제2 세로 모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가 구비된 헤드의 제1 가로 모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가 구비된 헤드의 제2 가로 모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가 구비된 헤드의 제1 세로 모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1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가 구비된 헤드의 제2 세로 모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가 구비된 헤드의 제1 가로 모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가 구비된 헤드의 제2 가로 모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4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가 구비된 헤드의 제1 세로 모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가 구비된 헤드의 제2 세로 모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스피커가 구비된 헤드의 가로 모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스피커가 구비된 헤드의 세로 모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스피커가 구비된 헤드의 가로 모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스피커가 구비된 헤드의 세로 모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스피커가 구비된 헤드의 가로 모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스피커가 구비된 헤드의 세로 모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2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가로 모드 상태에서 노출되는 우퍼 스피커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세로 모드 상태에서 가려지는 우퍼 스피커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4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1개의 무선 스피커가 페어링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2개의 무선 스피커가 페어링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2개의 무선 스피커가 페어링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4개의 무선 스피커가 페어링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6개의 무선 스피커가 페어링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일 요소가 타 요소에 "체결" 또는 "연결"된다고 기재된 것은, 두 요소가 직접 체결되거나 연결된 것을 의미하거나, 두 요소 사이에 제3의 요소가 존재하고 상기 제3의 요소에 의해 두 요소가 서로 연결되거나 체결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반면, 일 요소가 타 요소에 "직접 체결" 또는 "직접 연결"된다고 기재한 것은, 두 요소 사이에 제3의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헤드가 세로 모드로 피봇(pivot)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가 틸트(tilt)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가 스위블(swivel)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베이스(10)와, 스탠드 바(20)와, 헤드(3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0)는 디스플레이 장치(1)를 바닥면에 대해 지지할 수 있다.
스탠드 바(20)는 베이스(10)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스탠드 바(20)는 베이스(10)와 헤드(30)를 연결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스탠드 바(20)의 하단은 베이스(10)의 둘레부에 연결될 수 있다. 베이스(10)의 둘레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스탠드바 연결부(19)가 형성될 수 있고, 스탠드 바(20)의 하단은 상기 스탠드바 연결부(19)에 연결될 수 있다.
헤드(30)는 베이스(10)의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헤드(30)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31)가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31)에는 영상이나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31)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헤드(30)의 둘레부(32)(33)는 한 쌍의 장변(long side)(32)와 한 쌍의 단변(short side)(33)를 포함할 수 있다. 장변(32)의 길이 방향과 단변(33)의 길이 방향은 서로 직교할 수 있다. 장변(32)의 길이(L1)는 단변(33)의 길이(L2)보다 길 수 있다.
헤드(30)는 장변(32)이 수평하고 단변(33)이 수직한 가로 모드(Landscape mode)(도 1 참조)와, 장변(32)이 수직하고 단변(33)이 수평한 세로 모드(Portrait mode)(도 2 참조) 사이에서 피봇(pivot)될 수 있다.
헤드(30)는 스탠드 바(20)에 대해 베이스(10)와 동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헤드(30)는 수직 방향으로 베이스(10)와 오버랩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의 무게 중심이 베이스(10)의 상측에서 벗어나지 않으므로 디스플레이 장치(1)가 전복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베이스(10)의 좌우 길이는, 헤드(30)의 장변(32)의 길이(L1)보다 짧고 단변(33)의 길이(L2)보다 길 수 있다. 따라서 가로 모드인 헤드(30)는 베이스(10)보다 측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베이스(10)는 세로 모드인 헤드(30)보다 측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스탠드 바(20)는 충분히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스탠드 바(20)의 상하 길이는, 헤드(30)의 장변(32)의 길이(L1)보다 길 수 있다. 스탠드 바(20)의 상하 길이는, 헤드(30)의 장변(32)의 길이(L1)와 단변의 길이(L2)를 합한 것(L1+L2)보다 길 수 있다.
스탠드 바(20)는 헤드(30)의 둘레부(32)(33)에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스탠드 바(20)의 상부는 헤드(30)의 둘레부(32)(33)에 연결될 수 있다.
스탠드 바(20)가 헤드(30)의 배면이 아닌 둘레부(32)(33)에 연결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1)의 외관이 디자인적으로 향상될 뿐만 아니라, 헤드(30)의 배면을 다른 용도(예를 들어, 거울)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탠드 바(20)의 상부는 수평 방향으로 헤드(30)의 둘레부(32)(33)를 마주볼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가로 모드 시 스탠드 바(20)의 상부는 수평 방향으로 헤드(30)의 단변(33)을 마주볼 수 있다. 세로 모드 시 스탠드 바(20)의 상부는 수평 방향으로 헤드(30)의 장변(32)을 마주볼 수 있다.
헤드(30)의 둘레부(32)(33)에는 관통홈(34)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홈(34)은 헤드(30)의 둘레부(32)(33)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헤드(30)는 상기 관통홈(34)을 통해 스탠드 바(20)와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스탠드 바(20)에는 상기 관통홈(34)을 향해 돌출된 연결핀(22)(도 10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핀(22)은 관통홈(34)을 통해 후술할 커넥팅 바(40)에 연결될 수 있다.
관통홈(34)은, 단변(33)에 관통 형성된 제1홈(35)과, 장변(32)에 관통 형성된 제2홈(3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홈(35)은 단변(33)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제2홈(36)은 장변(32)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홈(35)과 제2홈(36)은 연결될 수 있다. 제1홈(35)과 제2홈(36)은 둘레부(32)(33)의 모서리에서 연결될 수 있다.
제1홈(35)은 한 쌍의 단변(33)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홈(35)의 길이는 단변(33)의 길이보다 짧고, 단변(33)의 길이의 절반 이상일 수 있다.
제2홈(36)은 한 쌍의 장변(32)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제2홈(36)의 길이는 장변(32)의 길이보다 짧고, 장변(32)의 길이의 절반 이상일 수 있다.
따라서, 헤드(20)의 피봇 시에 스탠드 바(20)의 연결핀(22)은 관통홈(34)을 통과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가로 모드 시, 스탠드 바(20)는 제1홈(35)을 통해 헤드(30)와 연결될 수 있다. 세로 모드 시, 스탠드 바(20)는 제2홈(36)을 통해 헤드(30)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30)는 스탠드 바(20)에 대해 수평축(axis)(x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수평축(x1)은 스탠드 바(20)의 연결핀(22)(도 10 참조)과 대응될 수 있다. 즉, 헤드(30)는 수평축(x1)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는 틸트(tilt) 동작이 가능하다.
헤드(30)의 틸트는 헤드(30)의 피봇과 무관하게 수행될 수 있다. 즉, 헤드(30)는 가로 모드일때도 틸트 가능하고 세로 모드일때도 틸트 가능하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30)는 스탠드 바(20)와 함께 베이스(10)에 대해 수직축(axis)(x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스탠드 바(20)의 하단은 베이스(10)의 스탠드바 연결부(19)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헤드(30)는 수직축(x2)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방향 전환되는 스위블(swivel) 동작이 가능하다.
헤드(30)의 스위블 동작은 헤드(30)의 피봇 및 틸트와 무관하게 수행될 수 있다. 즉, 헤드(30)는 가로 모드일때도 스위블 가능하고 세로 모드일때도 스위블 가능하며, 소정의 각도로 틸트된 상태에서도 스위블 가능하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특히, 도 5의 구성 요소들은 도 1의 헤드(30)에 구비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통신 인터페이스(110), 입력 인터페이스(120), 러닝 프로세서(130), 센서(140), 출력 인터페이스(150), 메모리(170) 및 프로세서(18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다른 단말기나 외부 서버와 같은 외부 장치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외부 장치들과 센서 정보, 사용자 입력, 학습 모델, 제어 신호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통신 인터페이스(110)가 이용하는 통신 기술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5G,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120)는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입력 인터페이스(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로폰,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나 마이크로폰을 센서로 취급하여, 카메라나 마이크로폰으로부터 획득한 신호를 센싱 데이터 또는 센서 정보라고 할 수도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120)는 모델 학습을 위한 학습 데이터 및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출력을 획득할 때 사용될 입력 데이터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120)는 가공되지 않은 입력 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프로세서(180) 또는 러닝 프로세서(130)는 입력 데이터에 대하여 전처리로써 입력 특징점(input feature)을 추출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Camera, 121),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User Input Unit, 123)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 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1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121)들을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Display Unit, 3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프로세서(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23)는 기계식(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컨대, 단말기(1)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러닝 프로세서(130)는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공 신경망으로 구성된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다. 여기서, 학습된 인공 신경망을 학습 모델이라 칭할 수 있다. 학습 모델은 학습 데이터가 아닌 새로운 입력 데이터에 대하여 결과 값을 추론해 내는데 사용될 수 있고, 추론된 값은 어떠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판단의 기초로 이용될 수 있다.
이때, 러닝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에 통합되거나 구현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러닝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70), 디스플레이 장치(1)에 직접 결합된 외부 메모리 또는 외부 장치에서 유지되는 메모리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센서(140)는 다양한 센서들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 내부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1)의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센서(140)에 포함되는 센서에는 근접 센서, 조도 센서, 가속도 센서, 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관성 센서, RGB 센서, IR 센서, 지문 인식 센서, 초음파 센서, 광 센서, 마이크로폰, 라이다, 레이더 등이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출력 인터페이스(150)에는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청각 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 촉각 정보를 출력하는 햅틱 모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150)는 디스플레이(Display Unit, 31), 음향 출력 인터페이스(Sound Output Unit, 152), 햅틱 모듈(Haptic Module, 153), 광 출력 인터페이스(Optical Output Unit, 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1)는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컨대, 디스플레이(31)는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디스플레이 장치(1)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단말기(1)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인터페이스(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통신 인터페이스(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인터페이스(152)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광출력 인터페이스(154)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
메모리(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170)는 입력 인터페이스(120)에서 획득한 입력 데이터, 학습 데이터, 학습 모델, 학습 히스토리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데이터 분석 알고리즘 또는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결정되거나 생성된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적어도 하나의 실행 가능한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80)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여 결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80)는 러닝 프로세서(130) 또는 메모리(170)의 데이터를 요청, 검색, 수신 또는 활용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행 가능한 동작 중 예측되는 동작이나,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는 동작을 실행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80)는 결정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외부 장치의 연계가 필요한 경우, 해당 외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 신호를 해당 외부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사용자 입력에 대하여 의도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의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요구 사항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80)는 음성 입력을 문자열로 변환하기 위한 STT(Speech To Text) 엔진 또는 자연어의 의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자연어 처리(NLP: Natural Language Processing) 엔진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에 상응하는 의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STT 엔진 또는 NLP 엔진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은 적어도 일부가 머신 러닝 알고리즘에 따라 학습된 인공 신경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STT 엔진 또는 NLP 엔진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은 러닝 프로세서(130)에 의해 학습된 것이나, 외부 서버에 의해 학습된 것이거나, 또는 이들의 분산 처리에 의해 학습된 것일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동작 내용이나 동작에 대한 사용자의 피드백 등을 포함하는 이력 정보를 수집하여 메모리(170) 또는 러닝 프로세서(130)에 저장하거나, 외부 서버 등의 외부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수집된 이력 정보는 학습 모델을 갱신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의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 중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피봇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피봇 동작시에 커넥팅 바의 궤도를 표시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커넥팅 바(40)와, 아우터 레일(50)과, 이너 레일(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넥팅 바(40)는 헤드(3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고, 관통홈(34)(도 3 참조)을 통해 스탠드 바(20)에 연결될 수 있다. 커넥팅 바(40)는 수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커넥팅 바(40)는 헤드(30)의 피봇 시에 헤드(30)와 함께 회전하지 않고 수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스탠드 바(20)에는 수평하게 돌출된 돌출부(21)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돌출부(21)의 단부에는 연결핀(22)이 연장될 수 있다. 돌출부(21)는 관통홈(34)을 통과하지 못하는 직경 또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돌출부(21)는 헤드(30)의 둘레부(32)(33)를 수평 방향에 대해 스탠드 바(20)와 이격시킬 수 있다. 즉, 헤드(30)의 둘레부(32)(33)와 스탠드 바(20)의 사이에는 갭(g)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헤드(30)는 스탠드 바(20)와 간섭하지 않고 원활하게 피봇될 수 있다.
연장핀(22)은 돌출부(21)와 나란하게 연장되어 관통홈(34)으로 삽입될 수 있고, 커넥팅 바(40)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장핀(22)은 커넥팅 바(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헤드(30)는 커넥팅 바(40)와 함께 연장핀(22)에 대해 틸트될 수 있다.
커넥팅 바(40)의 길이(L0)는, 헤드(30)의 장변(32)의 길이(L1)의 절반보다 짧고, 헤드(30)의 단변(33)의 길이(L2)의 절반보다 길 수 있다.
아우터 레일(50) 및 이너 레일(60)은 헤드(30)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고, 헤드(30)의 피봇시에 헤드(3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너 레일(60)은 아우터 레일(50)의 내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아우터 레일(50)은 헤드(30)의 내측 가장자리부에 고정될 수 있고, 이너 레일(60)은 헤드(30)의 내측 중앙부에 고정될 수 있다.
아우터 레일(50)은 관통홈(34)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이너 레일(60)은 곡선 궤도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레일(50)은 제1힌지(71)로 커넥팅 바(60)와 연결될 수 있고, 이너 레일(60)은 제2힌지(72)로 커넥팅 바(60)와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커넥팅 바(40)의 외측 단부는 제1힌지(71)로 아우터 레일(50)과 연결될 수 있고, 커넥팅 바(40)의 내측 단부는 제2힌지(72)로 이너 레일(60)과 연결될 수 있다.
제1힌지(71) 및 제2힌지(72)의 힌지축은 헤드(30)의 전면, 즉 디스플레이(31)와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제1힌지(71) 및 제2힌지(72)의 힌지축은 스탠드 바(20)의 연결핀(22)과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1힌지(71) 및 제2힌지(72)는 커넥팅 바(40)의 길이 방향에 대해 구속될 수 있다. 제1힌지(71)는 아우터 레일(50)의 길이 방향에 대해 비구속될 수 있고, 제2힌지(72)는 이너 레일(60)의 길이 방향에 대해 비구속될 수 있다.
따라서, 헤드(30)의 피봇 시에, 제1힌지(71) 및 제2힌지(72)의 커넥팅 바(40)에 대한 위치는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아우터 레일(50)은 제1힌지(71)에 대해 슬라이딩 될 수 있고, 이너 레일(60)은 제2힌지(72)에 대해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커넥팅 바(40)는 강체이고 길이가 가변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헤드(30)의 피봇 궤도는 아우터 레일(50) 및 이너 레일(60)의 형상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아우터 레일(50)은, 헤드(30)의 단변(33)과 나란하게 연장된 제1아우터 레일(51)과, 헤드(30)의 장변(32)과 나란하게 연장된 제2아우터 레일(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아우터 레일(51)과 제2아우터 레일(52)은 연결될 수 있다. 제1아우터 레일(51)과 제2아우터 레일(52)의 연결부(50b)는 헤드(30)의 모서리에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제1아우터 레일(51)과 제2아우터 레일(52)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아우터 레일(51)은 제2아우터 레일(52)에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아우터 레일(51)과 제2아우터 레일(52)의 연결부(50b)는 아우터 레일(50)의 절곡부일 수 있다.
제1아우터 레일(51)과 제2아우터 레일(52)은 직교할 수 있다.
제1아우터 레일(51)의 길이(L3)는 헤드(30)의 단변(33)의 길이(L2)보다 짧고, 단변(33)의 길이(L2)의 절반 이상일 수 있다.
제2아우터 레일(52)의 길이(L4)는 헤드(30)의 장변(32)의 길이(L1)보다 짧고, 장변(32)의 길이(L1)의 절반 이상일 수 있다.
이너 레일(60)은 제1이너 레일(61)과, 제1이너 레일(61)에서 절곡된 제2이너 레일(6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이너 레일(61)과 제2이너 레일(62)은 연결될 수 있다. 제1이너 레일(61)과 제2이너 레일(62)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이너 레일(61)은 제2이너 레일(62)에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이너 레일(61)과 제2이너 레일(62)의 연결부(60b)는 이너 레일(60)의 절곡부일 수 있다.
제1이너 레일(61)과 제2이너 레일(62) 각각은 곡선 궤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이너 레일(62)의 길이는 제1이너 레일(61)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제1이너 레일(61)과 제2이너 레일(62)이 이루는 각도(r)는 90도 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상기 각도는 예각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헤드(30)의 가로 모드 시 제1힌지(71)는 아우터 레일(50)의 일 단부(50a), 즉 제1아우터 레일(51)의 단부(50a)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2힌지(72)는 이너 레일(60)의 일 단부(60a), 즉 제1이너 레일(61)의 단부(60a)에 위치할 수 있다.
즉, 헤드(30)의 가로 모드 시 제1이너 레일(61)은 커넥팅 바(40)에 의해 제1아우터 레일(51)과 연결될 수 있다. 커넥팅 바(40)는 아우터 레일(50)의 일 단부(50a)와 이너 레일(60)의 일 단부(60a)를 연결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헤드(30)의 피봇 동작 시 제1아우터 레일(51)과 제2아우터 레일(52)의 연결부(50b)는 제1힌지(71)를 지날 수 있다. 또한, 제1이너 레일(61)과 제2이너 레일(62)의 연결부(60b)는 제2힌지(72)를 지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헤드(30)의 세로 모드 시 제1힌지(71)는 아우터 레일(50)의 타 단부(50c), 즉 제2아우터 레일(52)의 단부(50c)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2힌지(72)는 이너 레일(60)의 타 단부(60c), 즉 제2이너 레일(62)의 단부(60c)에 위치할 수 있다.
즉, 헤드(30)의 세로 모드 시 제2이너 레일(62)은 커넥팅 바(40)에 의해 제2아우터 레일(52)과 연결될 수 있다. 커넥팅 바(40)는 아우터 레일(50)의 타 단부(50c)와 이너 레일(60)의 타 단부(60c)를 연결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아우터 레일(50)에 포함된 복수개의 지점은 이너 레일(60)에 포함된 복수개의 지점과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일대일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일정 거리는 상기 커넥팅 바(40)의 길이 방향에 대한 제1힌지(71)와 제2힌지(72) 사이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1아우터 레일(51)의 단부(50a)와 제1이너 레일(61)의 단부(60a) 사이의 거리는, 제1힌지(71)와 제2힌지(72) 사이의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2아우터 레일(52)의 단부(50c)와 제2이너 레일(62)의 단부(60c) 사이의 거리는, 제1힌지(71)와 제2힌지(72) 사이의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1아우터 레일(51)과 제2아우터 레일(52)의 연결부(50b)부터 제1이너 레일(61)과 제2이너 레일(62)의 연결부(60b)까지의 거리는, 제1힌지(71)와 제2힌지(72) 사이의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이로써, 커넥팅 바(40)의 길이가 가변되지 않고도 헤드(30)의 피봇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다.
한편, 헤드(30)의 내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래치(81)(82)가 구비될 수 있다. 래치(81)(82)는 커넥팅 바(4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래치(81)(82)는 헤드(30)를 커넥팅 바(40)에 구속시킬 수 있다.
또한, 헤드(30)에는 래치(81)(82)를 돌출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 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커넥팅 바(40)에 의해 래치(81)(82)가 가압되면 상기 탄성부재는 압축될 수 있다. 또한, 커넥팅 바(40)가 래치(81)(82)를 가압하지 않으면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래치(81)(82)가 헤드(30)의 내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헤드(30)에 충분한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헤드(30)는 가로 모드 상태를 유지하거나 세로 모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가가 헤드(30)에 외력을 가하여 회전시키면 커넥팅 바(40)가 래치(81)(82)에 걸리지 않고 헤드(30)의 피봇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래치(81)(82)는, 헤드(30)의 가로 모드시에 헤드(30)를 커넥팅 바(40)에 구속시키는 제1래치(81)와, 헤드(30)의 세로 모드시에 헤드(30)를 커넥팅 바(40)에 구속시키는 제2래치(8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래치(81)는 헤드(30)의 가로 모드 시 커넥팅 바(40)의 상측에 위치한 일 돌출 피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래치(81)는 헤드(30)의 가로 모드 시 커넥팅 바(40)의 하측에 위치한 타 돌출 피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래치(81)는, 헤드(30)에 충분한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가로 모드인 헤드(30)가 하측으로 회전하거나 이동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제2래치(82)는 헤드(30)의 세로 모드 시 커넥팅 바(40)의 하측에 위치한 일 돌출 피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래치(82)는 헤드(30)의 세로 모드 시 커넥팅 바(40)의 상측에 위치한 타 돌출 피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래치(82)는, 헤드(30)에 충분한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세로 모드인 헤드(30)가 상측으로 회전하거나 이동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가 구비된 헤드의 제1 가로 모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가 구비된 헤드의 제2 가로 모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제1 가로 모드란 제1 스피커(401)가 디스플레이(31)를 중심으로 좌측 단변(331)에 위치하고 제2 스피커(402)가 디스플레이(31)를 중심으로 우측 단변(332)에 위치하는 상태일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제2 가로 모드란 제1 스피커(401)가 디스플레이(31)를 중심으로 우측 단변(331)에 위치하고 제2 스피커(402)가 디스플레이(31)를 중심으로 좌측 단변(332)에 위치하는 상태일 수 있다.
헤드(30)는 한 쌍의 단변(331, 332)에 하나 이상의 스피커를 구비할 수 있다. 헤드(30)는 한 쌍의 단변 중 제1 단변(331)에 하나 이상의 스피커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제2 단변(332)에 하나 이상의 스피커를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헤드(30)는 제1 단변(331)에 제1 스피커(401)를 수용하기 위한 제1 스피커 수용부(501)가 구비될 수 있고, 제2 단변(332)에 제2 스피커(402)를 수용하기 위한 제2 스피커 수용부(50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헤드(30)는 가로 모드 시 디스플레이를 중심으로 좌측 단변(331)에 하나 이상의 제1 스피커(401)가 구비되고, 우측 단변(332)에 하나 이상의 제2 스피커(40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는 헤드(30)의 피봇을 감지하는 센서(14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140)는 헤드(30)의 회전 방향 또는 회전 각도를 감지하는 각도 센서, 기울기 센서 및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140)는 헤드가(30)가 피봇 하는 경우 헤드(30)의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를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센서(140)로부터 획득한 감지 결과를 기초로 헤드(30)의 피봇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80)는 헤드(30)가 가로 모드 또는 세로 모드인지 여부에 관한 피봇 상태를 판별할 수 있다. 피봇 상태는 헤드(30)의 장변이 수평 상태인 가로 모드 상태와 헤드(30)의 장변이 수직 상태인 세로 모드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80)는 헤드의 피봇 상태가 전환될 때 제1 스피커(401) 및 제2 스피커(402)가 출력하는 음향 신호를 전환시킬 수 있다.
음향 신호는 좌측 음향 신호, 우측 음향 신호, 상방 음향 신호, 좌측 상방 음향 신호, 우측 상방 음향 신호, 모노 음향 신호 및 우퍼 음향 신호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신호는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측 음향 신호는 좌측 스테레오 음향 신호 및 좌측 서라운드 음향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우측 음향 신호는 우측 스테레오 음향 신호 및 우측 서라운드 음향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방 음향 신호는 오디오의 입체 음장을 구성하기 위한 음향 신호로서 오디오를 상방으로 출력하여 오디오의 공감감을 구현하기 위한 음향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방 음향 신호는 5.1.2 채널의 음향 신호에 해당할 수 있으며 천장에서 반향되는 음향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좌측 상방 음향 신호는 좌측 상방 서라운드 음향 신호 및 우측 상방 스테레오 음향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우측 상방 음향 신호는 우측 상방 서라운드 음향 신호 및 우측 상방 스테레오 음향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프로세서(180)는 헤드(30)의 피봇 상태를 기초로 제1 스피커(401) 및 제2 스피커(402)가 출력하는 음향 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80)는 헤드(30)가 가로 모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31)를 중심으로 좌측 단변(331)에 위치한 제1 스피커(401)가 좌측 서라운드 음향 신호 또는 좌측 스테레오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80)는 헤드(30)가 가로 모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31)를 중심으로 우측 단변(332)에 위치한 제2 스피커(402)가 우측 서라운드 음향 신호 또는 우측 스테레오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헤드(30)가 피봇하는 경우 스피커들도 함께 이동하여 공간적인 위치가 변화할 수 있다. 따라서, 헤드(30)의 피봇 상태에 따라 공간적인 위치가 변경된 스피커들의 음향 신호를 전환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헤드(30)는 제1 가로 모드에서 제2 가로 모드로 피봇하거나 제2 가로 모드에서 제1 가로 모드로 피봇할 수 있다. 헤드(30)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180도 회전함으로써 제1 가로 모드 및 제2 가로 모드 사이에서 피봇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피커 각각의 공간적인 위치도 변경될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헤드(30)의 가로 모드 상태는 도 10에서의 헤드(30)의 제1 가로 모드 상태에서 피봇된 제2 가로 모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헤드(30)는 제2 가로 모드 시 디스플레이(31)를 중심으로 우측 단변(331)에 하나 이상의 제1 스피커(401)가 구비되고, 좌측 단변(332)에 하나 이상의 제2 스피커(402)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80)는 헤드(30)가 180도 회전하여 피봇한 경우 제1 스피커(401)에서 출력되고 있던 음향 신호를 제2 스피커(402)가 출력하도록 전환하고, 상기 제2 스피커(402)에서 출력되고 있던 음향 신호를 상기 제1 스피커(401)가 출력하도록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30)가 제1 가로 모드 상태일 때 제1 스피커(401)는 좌측 서라운드 음향 신호를 출력하고 제2 스피커(402)는 우측 서라운드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헤드(30)가 제1 가로 모드에서 제2 가로 모드로 피봇한 경우, 제1 스피커(401)에서 출력되고 있던 좌측 서라운드 음향 신호를 제2 스피커(402)가 출력하도록 전환하고, 상기 제2 스피커(402)에서 출력되고 있던 우측 서라운드 음향 신호를 상기 제1 스피커(401)가 출력하도록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헤드(30)가 제1 가로 모드 상태일 때 제1 스피커(401)는 좌측 스테레오 음향 신호를 출력하고 제2 스피커(402)는 우측 스테레오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헤드(30)가 제1 가로 모드에서 제2 가로 모드로 피봇한 경우, 제1 스피커(401)에서 출력되고 있던 좌측 스테레오 음향 신호를 제2 스피커(402)가 출력하도록 전환하고, 상기 제2 스피커(402)에서 출력되고 있던 우측 스테레오 음향 신호를 상기 제1 스피커(401)가 출력하도록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80)는 헤드(30)가 제1 가로 모드에서 제2 가로 모드로 피봇하거나 제2 가로 모드에서 제1 가로 모드로 피봇하여 스피커의 공간상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음향 신호를 전환하여 출력함으로써 음향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2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가 구비된 헤드의 제1 세로 모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가 구비된 헤드의 제2 세로 모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제1 세로 모드란 제1 스피커(401)가 디스플레이(31)를 중심으로 상측 단변(331)에 위치하고 제2 스피커(402)가 디스플레이(31)를 중심으로 하측 단변(332)에 위치하는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세로 모드는 헤드(30)가 제1 가로 모드에서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피봇된 상태일 수 있다.
도 13을 참고하면, 제2 가로 모드란 제1 스피커(401)가 디스플레이(31)를 중심으로 하측 단변(331)에 위치하고 제2 스피커(402)가 디스플레이(31)를 중심으로 상측 단변(332)에 위치하는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세로 모드는 헤드(30)가 제1 가로 모드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피봇된 상태일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헤드(30)가 가로 모드일 때 제1 스피커(401) 및 상기 제2 스피커(402) 각각에서 출력되는 음향 신호와 헤드(30)가 세로 모드일 때 제1 스피커 및 상기 제2 스피커 각각에서 출력되는 음향 신호를 서로 다르게 출력하도록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80)는 헤드(30)가 제1 가로 모드일 때 제1 스피커(401)에서는 좌측 음향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제2 스피커(402)에서는 우측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80)는 헤드(30)가 제1 가로 모드에서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제1 세로 모드로 피봇 상태가 전환된 경우 제1 스피커(401)가 상방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전환하고 제2 스피커(402)가 모노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전환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80)는 헤드(30)가 제1 가로 모드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제2 세로 모드로 피봇 상태가 전환된 경우 제1 스피커(401)가 모노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전환하고 제2 스피커(402)가 상방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80)는 헤드(30)가 가로 모드에서 세로 모드로 피봇하여 스피커의 공간상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음향 신호를 전환하여 출력함으로써 음향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헤드(30)는 상측 장변에 하나 이상의 제3 스피커가 구비되고, 하측 장변에 하나 이상의 제4 스피커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4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가 구비된 헤드의 제1 가로 모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5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가 구비된 헤드의 제2 가로 모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4를 참고하면 제1 가로 모드란 제1 스피커(401)가 디스플레이(31)를 중심으로 좌측 단변(331)에 위치하고 제2 스피커(402)가 디스플레이(31)를 중심으로 우측 단변(332)에 위치하고 제3 스피커(403)가 디스플레이(31)를 중심으로 상측 장변(321)에 위치하고 제4 스피커(404)가 디스플레이(31)를 중심으로 하측 장변(322)에 위치하는 상태일 수 있다.
도 15를 참고하면, 제2 가로 모드란 제1 스피커(401)가 디스플레이(31)를 중심으로 우측 단변(331)에 위치하고 제2 스피커(402)가 디스플레이(31)를 중심으로 좌측 단변(332)에 위치하고 제3 스피커(403)가 디스플레이(31)를 중심으로 하측 장변(321)에 위치하고 제4 스피커(404)가 디스플레이(31)를 중심으로 상측 장변(322)에 위치하는 상태일 수 있다.
헤드(30)는 한 쌍의 장변(321, 322)에 하나 이상의 스피커를 구비할 수 있다. 헤드(30)는 한 쌍의 장변 중 제1 장변(321)에 하나 이상의 스피커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제2 장변(322)에 하나 이상의 스피커를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헤드(30)는 제1 장변(321)에 제3 스피커(403)를 수용하기 위한 제3 스피커 수용부(503)가 구비될 수 있고, 제2 장변(322)에 제4 스피커(404)를 수용하기 위한 제2 스피커 수용부(504)가 구비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헤드(30)가 가로 모드일 때 제3 스피커(403) 및 제4 스피커(404) 각각에서 출력되는 음향 신호와 헤드(30)가 세로 모드일 때 제3 스피커(403) 및 제4 스피커(404) 각각에서 출력되는 음향 신호를 서로 다르게 출력하도록 전환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80)는 헤드(30)가 180도 회전하여 피봇한 경우 제3 스피커(4013에서 출력되고 있던 음향 신호를 제4 스피커(404)가 출력하도록 전환하고, 상기 제4 스피커(404)에서 출력되고 있던 음향 신호를 상기 제3 스피커(403)가 출력하도록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30)가 제1 가로 모드 상태일 때 제3 스피커(403)는 상방 음향 신호를 출력하고 제4 스피커(404)는 모노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헤드(30)가 제1 가로 모드에서 제2 가로 모드로 피봇한 경우, 제3 스피커(403)에서 출력되고 있던 상방 음향 신호를 제4 스피커(404)가 출력하도록 전환하고, 상기 제4 스피커(404)에서 출력되고 있던 모노 음향 신호를 제3 스피커(403)가 출력하도록 전환할 수 있다.
도 1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가 구비된 헤드의 제1 세로 모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가 구비된 헤드의 제2 세로 모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6을 참고하면, 제1 세로 모드란 제3 스피커(403)가 디스플레이(31)를 중심으로 우측 장변(321)에 위치하고 제4 스피커(404)가 디스플레이(31)를 중심으로 좌측 장변(322)에 위치하는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세로 모드는 헤드(30)가 제1 가로 모드에서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피봇된 상태일 수 있다.
도 17을 참고하면, 제2 세로 모드란 제3 스피커(403)가 디스플레이(31)를 중심으로 좌측 장변(321)에 위치하고 제4 스피커(404)가 디스플레이(31)를 중심으로 우측 장변(322)에 위치하는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세로 모드는 헤드(30)가 제1 가로 모드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피봇된 상태일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80)는 헤드(30)가 가로 모드일 때 제3 스피커(403) 및 제4 스피커(404) 각각에서 출력되는 음향 신호와 헤드(30)가 세로 모드일 때 제3 스피커 및 상기 제4 스피커(404) 각각에서 출력되는 음향 신호를 서로 다르게 출력하도록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80)는 헤드(30)가 제1 가로 모드일 때 제3 스피커(403)에서는 상방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제4 스피커(404)에서는 모노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80)는 헤드(30)가 제1 가로 모드에서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제1 세로 모드로 피봇 상태가 전환된 경우 제3 스피커(403)가 우측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전환하고 제4 스피커(404)가 좌측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전환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80)는 헤드(30)가 제1 가로 모드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제2 세로 모드로 피봇 상태가 전환된 경우 제3 스피커(403)가 좌측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전환하고 제4 스피커(404)가 우측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80)는 헤드(30)가 가로 모드에서 세로 모드 피봇하여 스피커의 공간상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음향 신호를 전환하여 출력함으로써 음향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센서(140)는 헤드의 피봇 방향과 피봇 각도를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센서(140)에 의해 감지된 피봇 방향과 피봇 각도에 기초하여 헤드(30)가 피봇 상태의 전환 상태를 판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헤드(30)의 피봇 전 상태(제1 가로 모드, 제2 가로 모드, 제1 세로 모드 및 제2 세로모드)에서 피봇 후 상태(제1 가로 모드, 제2 가로 모드, 제1 세로 모드 및 제2 세로모드)로 전환된 상태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80)는 피봇 전 스피커 각각에 출력되는 음향 신호의 공간상의 위치와 피봇 후 스피커 각각에서 출력되는 음향 신호의 공간상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피봇 후 스피커들 각각이 출력하는 음향 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
공간상의 위치는 디스플레이(31)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 상측, 우측, 하측으로 나뉠 수 있으며, 좌측과 우측은 다시 상측, 중간측, 하측으로 나뉠 수 있고, 상측과 하측은 다시 좌측, 중간측, 우측으로 나뉠 수 있다.
도 14 및 도 16을 참고하면, 헤드(30)는 제1 가로 모드에서 제1 세로 모드로 피봇할 수 있다. 센서(140)는 헤드(30)의 피봇 방향과 피봇 각도를 감지하고, 프로세서(180)는 피봇 방향과 피봇 각도에 기초하여 헤드(30)가 제1 가로 모드에서 제1 세로 모드로 피봇된 것을 판별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80)는 피봇 전 공간상 좌측에 위치하는 제1 스피커(401)가 출력한 음향 신호를 피봇 후 공간상 좌측에 위치하는 제3 스피커(403)가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80)는 피봇 전 공간상 우측에 위치하는 제2 스피커(402)가 출력하는 음향 신호를 피봇 후 공간상 우측에 위치하는 제4 스피커(404)가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80)는 피봇 전 공간상 상측에 위치하는 제3 스피커(403)가 출력하는 음향 신호를 피봇 후 공간상 상측에 위치하는 제1 스피커(401)가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80)는 피봇 후 공간상 상측에 위치하는 제3 스피커(403)가 출력하는 음향 신호를 피봇 후 공간상 상측에 위치하는 제1 스피커(401)가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80)는 헤드(30)의 피봇으로 인해 공간상의 위치가 이동한 복수의 스피커 각각이 피봇 후 공간상의 위치에 따라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여 헤드(30)의 피봇에도 불구하고 자연스러운 입체 음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도 14및 도 16을 참고하면, 프로세서(180)는 헤드(30)가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제1 가로 모드에서 제1 세로 모드로 피봇 상태가 전환되는 경우 제1 스피커(401)에서 출력되고 있던 음향 신호를 제4 스피커(404)가 출력하도록 전환하고, 제2 스피커(402)에서 출력되고 있던 음향 신호를 제3 스피커(403)에서 출력하도록 전환하고, 제3 스피커(403)에서 출력되고 있던 음향 신호를 제1 스피커(401)에서 출력하도록 전환하고, 제4 스피커(404)에서 출력되고 있던 음향 신호를 제2 스피커(402)가 출력하도록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도 14 및 도 17을 참고하면, 프로세서(180)는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제1 가로 모드에서 제2 세로 모드로 피봇 상태가 전환되는 경우 제1 스피커(401)에서 출력되고 있던 음향 신호를 제3 스피커(403)가 출력하도록 전환하고, 제2 스피커(402)에서 출력되고 있던 음향 신호를 제4 스피커(404)에서 출력하도록 전환하고, 제3 스피커(403)에서 출력되고 있던 음향 신호를 제2 스피커(402)에서 출력하도록 전환하고, 제4 스피커(404)에서 출력되고 있던 음향 신호를 제1 스피커(401)가 출력하도록 전환할 수 있다.
도 1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가 구비된 헤드의 제1 가로 모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가 구비된 헤드의 제2 가로 모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8을 참고하면, 헤드(30)가 제1 가로 모드 상태일 때를 기준으로 복수의 제1 스피커(401)는 좌측 단변(331)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 상부 스피커(401_1) 및 좌측 단변(331)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1 하부 스피커(401_2)를 포함하고, 복수의 제2 스피커(402)는 우측 단변(332)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 상부 스피커(402_1) 및 상기 우측 단변(332)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 하부 스피커(402_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9을 참고하면, 헤드(30)가 제2 가로 모드 상태일 때를 기준으로 우측 단변(331)의 상측에는 제1 하부 스피커(401_2)가 배치되고 우측 단변(331)의 하측에는 제1 상부 스피커(401_1)가 배치되고 좌측 단변(332)의 상측에는 제2 하부 스피커(402_2)가 배치되고 좌측 단변(332)의 하측에는 제2 상부 스피커(402_1)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80)는 피봇 전 스피커 각각에 출력되는 음향 신호의 공간상의 위치와 피봇 후 스피커 각각에서 출력되는 음향 신호의 공간상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피봇 후 스피커들 각각이 출력하는 음향 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가 구비된 헤드의 제1 세로 모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1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가 구비된 헤드의 제2 세로 모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프로세서(180)는 헤드(30)가 가로 모드 또는 세로 모드일 때 제1 상부 스피커(401_1), 제1 하부 스피커(401_2), 제2 상부 스피커(402_1) 및 상기 제2 하부 스피커(402_2) 각각에서 출력되는 음향 신호를 서로 다르게 출력하도록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80)는 헤드(30)가 제1 가로 모드일 때 제1 상부 스피커(401_1) 및 제1 하부 스피커(401_2)에서는 좌측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제2 상부 스피커(402_1) 및 상기 제2 하부 스피커(402_2)에서는 우측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80)는 헤드(30)가 제1 가로 모드에서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제1 세로 모드로 피봇 상태가 전환된 경우 제1 상부 스피커(401_1)가 우측 상방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하부 스피커(401_2)가 좌측 상방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상부 스피커(402_1)가 우측 음향 신호 또는 모노 음향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하부 스피커(402_2)가 좌측 음향 신호 또는 모노 음향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80)는 헤드(30)가 제1 가로 모드에서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제2 세로 모드로 피봇 상태가 전환된 경우 상기 제1 상부 스피커(401_1)가 좌측 음향 신호 또는 모노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하부 스피커(401_2)가 우측 음향 신호 또는 모노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상부 스피커(402_1)가 좌측 상방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하부 스피커(402_2)가 우측 상방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80)는 헤드(30)가 가로 모드에서 세로 모드로 피봇하여 스피커의 공간상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음향 신호를 전환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음향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헤드(30)는 상측 장변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3 좌측 스피커, 상측 장변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3 우측 스피커, 하측 장변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4 좌측 스피커 및 상기 하측 장변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4 우측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가 구비된 헤드의 제1 가로 모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가 구비된 헤드의 제2 가로 모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2를 참고하면, 헤드(30)가 제1 가로 모드 상태일 때를 기준으로 복수의 제3 스피커(403)는 상측 장변(321)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3 좌측 스피커(403_1) 및 좌측 단변(331)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1 하부 스피커(401_2)를 포함하고, 복수의 제2 스피커(402)는 우측 단변(332)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 상부 스피커(402_1) 및 상기 우측 단변(332)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 하부 스피커(402_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80)는 제1 상부 스피커(401_1)는 좌측 서라운드 음향 신호를 출력하고, 제1 하부 스피커(401_2)는 좌측 스테레오 음향 신호 또는 좌측 서라운드 음향 신호를 출력하고, 제2 상부 스피커(402_1)는 우측 서라운드 음향 신호를 출력하고, 제2 하부 스피커(402_2)는 우측 스테레오 음향 신호 도는 우측 서라운드 음향 신호를 출력하고, 제3 좌측 스피커(403_1)는 좌측 상방 서라운드 음향 신호를 출력하고, 제3 우측 스피커(403_2)는 우측 상방 서라운드 음향 신호를 출력하고, 제4 좌측 스피커(404_1)는 좌측 스테레오 음향 신호 또는 모노 음향 신호를 출력하고, 제4 우측 스피커(404_2)는 우측 스테레오 음향 신호 또는 모노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23을 참고하면, 헤드(30)가 제2 가로 모드 상태일 때를 기준으로 상측 장변(322)의 좌측에는 제4 우측 스피커(404_2)가 배치되고 상 측 장변(322)의 우측에는 제4 좌측 스피커(404_1)가 배치되고 하측 장변(331)의 좌측에는 제3 우측 스피커(403_2)가 배치되고 하측 장변(331)의 우측에는 제3 좌측 스피커(403_1)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80)는 피봇 전 스피커 각각에 출력되는 음향 신호의 공간상의 위치와 피봇 후 스피커 각각에서 출력되는 음향 신호의 공간상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피봇 후 스피커들 각각이 출력하는 음향 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헤드(30)가 제1 가로 모드에서 제2 가로모드로 피봇하여 스피커의 공간상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음향 신호를 전환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음향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도 24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가 구비된 헤드의 제1 세로 모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가 구비된 헤드의 제2 세로 모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4를 참고하면, 프로세서(180)는 헤드(30)가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제1 가로 모드에서 제1 세로 모드로 피봇 상태가 변화하는 경우 제3 좌측 스피커(403_1) 및 제3 우측 스피커(403_2)가 우측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제4 좌측 스피커(404_1) 및 제4 우측 스피커(404_2)가 좌측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80)는 헤드(30)가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제1 가로 모드에서 제1 세로 모드로 피봇 상태가 변화하는 경우 제3 좌측 스피커(403_1)가 우측 서라운드 음향 신호를 출력하고, 제3 우측 스피커(403_2)가 우측 서라운드 음향 신호 또는 우측 스테레오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제4 좌측 스피커(404_1)가 좌측 서라운드 음향 신호를 출력하고, 제4 우측 스피커(404_2)가 좌측 서라운드 음향 신호 또는 좌측 스트레오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5를 참고하면, 프로세서(180)는 헤드(30)가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제1 가로 모드에서 제2 세로 모드로 피봇 상태가 변화하는 경우 제3 좌측 스피커(403_1) 및 제3 우측 스피커(403_2)가 좌측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제4 좌측 스피커(404_1) 및 제4 우측 스피커(404_2)가 우측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80)는 헤드(30)가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제1 가로 모드에서 제2 세로 모드로 피봇 상태가 변화하는 경우 제3 좌측 스피커(403_1)가 좌측 서라운드 음향 신호 또는 좌측 스트레오 음향 신호를 출력하고, 제3 우측 스피커(403_2)가 좌측 서라운드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제4 좌측 스피커(404_1)가 우측 서라운드 음향 신호 또는 우측 스테레오 음향 신호를 출력하고, 제4 우측 스피커(404_2)가 우측 서라운드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의 헤드(30)는 디스플레이(31)의 패널에 부착되는 복수의 패널 스피커가 구비될 수 있다. 패널 스피커는 익사이터(exciter)를 통해 패널의 진동을 일으켜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헤드(30)의 피봇을 감지하는 센서(140)의 감지 결과를 기초로 헤드(30)가 가로 모드 및 세로 모드인지 여부에 관한 피봇 상태를 판별하고, 헤드(30)의 피봇 상태가 전환될 때 복수의 패널 스피커 각각이 출력하는 음향 신호를 전환할 수 있다.
도 2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스피커가 구비된 헤드의 가로 모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스피커가 구비된 헤드의 세로 모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프로세서(180)는 센서(140)가 감지한 피봇 방향과 피봇 각도에 기초하여 패널 스피커들의 공간상의 위치를 판별하고, 패널 스피커들의 공간상의 배치에 따라 설정된 음향 신호를 패널 스피커 각각이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공간상의 위치는 디스플레이(31)를 중심으로 9분할영역으로 나누어 분류할 수 있으나 구분되는 영역의 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9분할 영역은 가로모드 또는 세로 모드 상태인 헤드(30)의 디스플레이(31)의 중심으로 좌상측 영역(701), 중간 상측 영역(702), 우상측 영역(703), 중간 좌측 영역(704), 중심 영역(705), 중간 우측 영역(706), 좌하측 영역(707), 중간 하측 영역(708) 및 우하측 영역(709)으로 나뉠 수 있다.
도 26을 참고하면, 프로세서(180)는 좌상측 영역(701)에 위치하는 제1 패널 스피커(401)가 좌측 서라운드 음향 신호 또는 좌측 상방 서라운드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80)는 우상측 영역(703)에 위치하는 제2 패널 스피커(602)가 우측 서라운드 음향 신호 또는 우측 상방 서라운드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80)는 좌하측 영역(707)에 위치하는 제3 패널 스피커(603)가 좌측 스테레오 음향 신호 또는 좌측 서라운드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80)는 우하측 영역(709)에 위치하는 제 4 패널 스피커(604)가 우측 스테레오 음향 신호 또는 우측 서라운드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7을 참고하면, 도 26의 헤드(30)의 가로 모드 상태에서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세로 모드 상태로 피봇한 경우, 프로세서(180)는 좌상측 영역(701)에 위치하는 제3 패널 스피커(603)가 좌측 서라운드 음향 신호 또는 좌측 상방 서라운드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80)는 우상측 영역(703)에 위치하는 제1 패널 스피커(601)가 우측 서라운드 음향 신호 또는 우측 상방 서라운드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80)는 좌하측 영역(707)에 위치하는 제4 패널 스피커(604)가 좌측 스테레오 음향 신호 또는 좌측 서라운드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80)는 우하측 영역(709)에 위치하는 제2 패널 스피커(602)가 우측 스테레오 음향 신호 또는 우측 서라운드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80)는 헤드(30)의 피봇 방향과 상기 피봇 각도에 기초하여 피봇 전 패널 스피커들 각각에서 출력되고 있던 음향 신호를 피봇 후 패널 스피커들 각각이 출력하도록 전환하여 피봇 전과 피봇 후의 음향 신호들이 출력되는 공간상의 위치를 일치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80)는 헤드(30)의 피봇 방향과 상기 피봇 각도에 기초하여 패널 스피커들의 공간상의 위치를 판별하고, 패널 스피커들의 공간상의 배치에 따라 설정된 음향 신호를 패널 스피커 각각이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스피커가 구비된 헤드의 가로 모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 스피커가 구비된 헤드의 세로 모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8을 참고하면, 헤드(30)가 가로 모드일 때 중간 상측 영역(702)에 제5 패널 스피커(605)가 위치하는 경우 프로세서(180)는 제 5 패널 스피커(605)가 상방 서라운드 음향 신호 또는 상방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헤드(30)가 가로 모드일 때 중간 상측 영역(702)에 제6 패널 스피커(606)가 위치하는 경우 프로세서(180)는 제6 패널 스피커(606)가 모노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9를 참고하면, 헤드(30)가 세로 모드일 때 중간 우측 영역(706)에 제5 패널 스피커(605)가 위치하는 경우 프로세서(180)는 제 5 패널 스피커(605)가 우측 서라운드 음향 신호 또는 우측 스테레오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헤드(30)가 세로 모드일 때 중간 좌측 영역(704)에 제6 패널 스피커(606)가 위치하는 경우 프로세서(180)는 제6 패널 스피커(606)가 좌측 서라운드 음향 신호 또는 좌측 스테레오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80)는 헤드(30)의 피봇 방향과 상기 피봇 각도에 기초하여 패널 스피커들의 공간상의 위치를 판별하고, 패널 스피커들의 공간상의 배치에 따라 설정된 음향 신호를 패널 스피커 각각이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2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가로 모드 상태에서 노출되는 우퍼 스피커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세로 모드 상태에서 가려지는 우퍼 스피커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2 및 33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헤드(30)가 세로 모드로 피봇하는 경우 헤드(30)에 의해 가려지는 위치에 배치되는 우퍼 스피커(8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헤드(30)가 세로 모드로 피봇 상태가 전환되는 경우 우퍼 스피커(801)의 음향 신호 출력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80)는 헤드(30)에 의해 가려져 왜곡되는 우퍼 음향 신호를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는 하나 이상의 무선 스피커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80)는 통신부(110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와 페어링을 수행하고 페어된 무선 스피커에 관한 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31)에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관점에서 페어링된 무선 스피커의 위치를 입력 받고, 페어링된 무선 스피커의 개수 및 위치에 기초하여 페어링된 무선 스피커 각각이 출력하는 음향 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80)는 페어링된 무선 스피커의 개수 및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개수 및 위치에 기초하여 페어링된 무선 스피커 각각이 출력하는 음향 신호를 전환할 수 있다.
도 34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1개의 무선 스피커가 페어링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프로세서(180)는 페어링된 제1 무선 스피커(901) 하나가 인식되고 제1 무선 스피커가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전방에 위치하는 경우, 무선 스피커(901)의 음향 출력 신호를 우퍼 음향 신호 또는 모노 음향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도 3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2개의 무선 스피커가 페어링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프로세서(180)는 제1 무선 스피커(901) 및 제2 무선 스피커(902)가 페어링되고, 제1 무선 스피커(901) 및 제2 무선 스피커(902)가 디스플레이 장치(1)와 사용자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제1 무선 스피커(901)가 좌측 우퍼 음향 신호, 좌측 스테레오 음향 신호 또는 모노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제2 무선 스피커(902)가 우측 우퍼 음향 신호, 우측 스테레오 음향 신호 또는 모노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2개의 무선 스피커가 페어링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프로세서(180)는 제1 무선 스피커(901) 및 제2 무선 스피커(902)가 페어링되고, 제1 무선 스피커(901) 및 제2 무선 스피커(902)가 사용자의 후방에 위치하는 경우, 제1 우퍼 스피커(901)가 좌측 후방 서라운드 음향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제2 무선 스피커(902)가 우측 후방 서라운드 음향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4개의 무선 스피커가 페어링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프로세서(180)는 제1 무선 스피커(901) 및 제2 무선 스피커(902)가 페어링되고, 제1 무선 스피커(901) 및 제2 무선 스피커(902)가 디스플레이 장치(1)와 사용자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제1 무선 스피커(901)가 좌측 우퍼 음향 신호, 좌측 스테레오 음향 신호 또는 모노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제2 무선 스피커(902)가 우측 우퍼 음향 신호, 우측 스테레오 음향 신호 또는 모노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제3 무선 스피커(903) 및 제4 무선 스피커(904)가 페어링되고, 제3 무선 스피커(903) 및 제4 무선 스피커(904)가 사용자의 후방에 위치하는 경우, 제3 우퍼 스피커(903)가 좌측 후방 서라운드 음향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제4 무선 스피커(904)가 우측 후방 서라운드 음향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6개의 무선 스피커가 페어링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사용자의 전방과 디스플레이 장치(1)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무선 스피커(901) 및 제2 무선 스피커(902)와 페어링되고, 사용자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3 무선 스피커(903) 및 제4 무선 스피커(904)와 페어링되고, 사용자의 좌측에 위치한 제5 무선 스피커(905) 및 사용자의 우측에 위치한 제6 무선 스피커(906)와 페어링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제5 무선 스피커(905)가 좌측 측후방(side rear) 서라운드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제6 무선 스피커(906)가 우측 측후방 서라운드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1: 디스플레이 장치 10: 베이스
20: 스탠드 바 21: 돌출부
22: 연결핀 30: 헤드
31: 디스플레이 32: 장변
33: 단변 34: 관통홈
35: 제1홈 36: 제2홈
40: 커넥팅 바 50: 아우터 레일
51: 제1아우터 레일 52: 제2아우터 레일
60: 이너 레일 61: 제1이너 레일
62: 제2이너 레일 71: 제1힌지
72: 제2힌지

Claims (20)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전면에 디스플레이가 구비되고, 둘레부는 한 쌍의 장변(long side)과 한 쌍의 단변(short side)을 가지며, 상기 디스플레이를 중심으로, 좌측 단변에 하나 이상의 제1 스피커가 구비되고, 우측 단변에 하나 이상의 제2 스피커가 구비되고, 상기 장변이 수평 상태인 가로 모드와 상기 장변이 수직 상태인 세로 모드 사이에서 피봇(pivot) 가능한 헤드;
    상기 헤드의 피봇을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감지 결과를 기초로 상기 헤드가 가로 모드 및 세로 모드인지 여부에 관한 피봇 상태를 판별하고, 상기 헤드의 피봇 상태가 전환될 때 상기 제1 스피커 및 상기 제2 스피커가 출력하는 음향 신호를 전환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가 세로 모드로 피봇하는 경우 상기 헤드에 의해 가려지는 위치에 배치되는 우퍼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헤드가 세로 모드로 피봇 상태가 전환된 경우, 상기 우퍼 스피커의 음향 신호 출력을 차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신호는,
    좌측 음향 신호, 우측 음향 신호, 상방 음향 신호, 좌측 상방 음향 신호, 우측 상방 음향 신호, 모노 음향 신호 및 우퍼 음향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인,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헤드가 가로 모드일 때 상기 제1 스피커 및 상기 제2 스피커 각각에서 출력되는 음향 신호와 상기 헤드가 세로 모드일 때 상기 제1 스피커 및 상기 제2 스피커 각각에서 출력되는 음향 신호를 서로 다르게 출력하도록 전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헤드가 180도 회전한 경우 상기 제1 스피커에서 출력되고 있던 음향 신호를 상기 제2 스피커가 출력하도록 전환하고, 상기 제2 스피커에서 출력되고 있던 음향 신호를 상기 제1 스피커가 출력하도록 전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헤드가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가로 모드에서 세로 모드로 피봇 상태가 전환되는 경우 상기 제1 스피커가 상방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헤드가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가로 모드에서 세로 모드로 피봇 상태가 변화하는 경우 상기 제2 스피커가 상방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상측 장변에 하나 이상의 제3 스피커가 구비되고, 하측 장변에 하나 이상의 제4 스피커가 구비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헤드가 가로모드일 때 상기 제3 스피커 및 상기 제4 스피커 각각에서 출력되는 음향 신호와 상기 헤드가 세로 모드일 때 상기 제3 스피커 및 상기 제4 스피커 각각에서 출력되는 음향 신호를 서로 다르게 출력하도록 전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헤드의 피봇 방향과 피봇 각도를 감지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피봇 방향과 상기 피봇 각도에 기초하여 피봇 전 상기 스피커 각각에서 출력되는 음향 신호의 공간상의 위치와 피봇 후 상기 스피커 각각에서 출력되는 음향 신호의 공간상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피봇 후 스피커들 각각이 출력하는 음향 신호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헤드가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가로 모드에서 세로 모드로 피봇 상태가 전환되는 경우 상기 제1 스피커에서 출력되고 있던 음향 신호를 상기 제4 스피커가 출력하도록 전환하고, 상기 제2 스피커에서 출력되고 있던 음향 신호를 상기 제3 스피커에서 출력하도록 전환하고, 상기 제3 스피커에서 출력되고 있던 음향 신호를 상기 제1 스피커에서 출력하도록 전환하고, 상기 제4 스피커에서 출력되고 있던 음향 신호를 상기 제2 스피커가 출력하도록 전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헤드가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가로 모드에서 세로 모드로 피봇 상태가 전환되는 경우 상기 제1 스피커에서 출력되고 있던 음향 신호를 상기 제3 스피커가 출력하도록 전환하고, 상기 제2 스피커에서 출력되고 있던 음향 신호를 상기 제4 스피커에서 출력하도록 전환하고, 상기 제3 스피커에서 출력되고 있던 음향 신호를 상기 제2 스피커에서 출력하도록 전환하고, 상기 제4 스피커에서 출력되고 있던 음향 신호를 상기 제1 스피커가 출력하도록 전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스피커는
    상기 좌측 단변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 상부 스피커 및 상기 좌측 단변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1 하부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스피커는,
    상기 우측 단변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 상부 스피커 및 상기 우측 단변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 하부 스피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헤드가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가로 모드에서 세로 모드로 피봇 상태가 변화하는 경우 상기 제1 상부 스피커가 우측 음향 신호 또는 우측 상방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하부 스피커가 좌측 음향 신호 또는 좌측 상방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상부 스피커가 우측 음향 신호 또는 모노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하부 스피커가 좌측 음향 신호 또는 모노 음향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헤드가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가로 모드에서 세로 모드로 피봇 상태가 변화하는 경우 상기 제1 상부 스피커가 좌측 음향 신호 또는 모노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하부 스피커가 우측 음향 신호 또는 모노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상부 스피커가 좌측 음향 신호 또는 좌측 상방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하부 스피커가 우측 음향 신호 또는 우측 상방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상측 장변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3 좌측 스피커, 상기 상측 장변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3 우측 스피커, 하측 장변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4 좌측 스피커 및 상기 하측 장변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4 우측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헤드의 피봇 방향과 피봇 각도를 감지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피봇 방향과 상기 피봇 각도에 기초하여 피봇 전 상기 스피커 각각에서 출력되는 음향 신호의 공간상의 위치와 피봇 후 상기 스피커 각각에서 출력되는 음향 신호의 공간상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피봇 후 스피커들 각각이 출력하는 음향 신호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헤드가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가로 모드에서 세로 모드로 피봇 상태가 변화하는 경우 상기 제3 좌측 스피커 및 상기 제3 우측 스피커가 우측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4 좌측 스피커 및 상기 제4 우측 스피커가 좌측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헤드가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가로 모드에서 세로 모드로 피봇 상태가 변화하는 경우 상기 제3 좌측 스피커 및 상기 제3 우측 스피커가 좌측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4 좌측 스피커 및 상기 제4 우측 스피커가 우측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전면에 디스플레이가 구비되고, 둘레부는 한 쌍의 장변(long side)과 한 쌍의 단변(short side)을 가지며, 상기 디스플레이의 패널에 부착되는 복수의 패널 스피커가 구비되고, 상기 장변이 수평 상태인 가로 모드와 상기 장변이 수직 상태인 세로 모드 사이에서 피봇(pivot) 가능한 헤드;
    상기 헤드의 피봇을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감지 결과를 기초로 상기 헤드가 가로 모드 및 세로 모드인지 여부에 관한 피봇 상태를 판별하고, 상기 헤드의 피봇 상태가 전환될 때 상기 복수의 패널 스피커가 출력하는 음향 신호를 전환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가 세로 모드로 피봇하는 경우 상기 헤드에 의해 가려지는 위치에 배치되는 우퍼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헤드가 세로 모드로 피봇 상태가 전환된 경우, 상기 우퍼 스피커의 음향 신호 출력을 차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헤드의 피봇 방향과 피봇 각도를 감지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피봇 전 스피커들 각각에서 출력되고 있던 음향 신호를 상기 피봇 방향과 상기 피봇 각도에 기초하여 피봇 후 스피커들 각각이 출력하도록 전환하여 피봇 전과 피봇 후의 음향 신호들이 출력되는 공간상의 위치를 일치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헤드의 피봇 방향과 피봇 각도를 감지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피봇 방향과 상기 피봇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패널 스피커들의 공간상의 위치를 판별하고, 상기 패널 스피커들의 공간상의 배치에 따라 설정된 음향 신호를 상기 패널 스피커 각각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삭제
  19.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무선 스피커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페어링을 수행하고, 페어링된 무선 스피커에 관한 식별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관점에서 상기 페어링된 무선 스피커의 위치를 입력받고, 상기 페어링된 무선 스피커의 개수 및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페어링된 무선 스피커 각각이 출력하는 음향 신호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페어링된 무선 스피커의 개수 및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개수 및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페어링된 무선 스피커 각각이 출력하는 음향 신호를 전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00071520A 2020-06-12 2020-06-12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67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520A KR102367837B1 (ko) 2020-06-12 2020-06-12 디스플레이 장치
PCT/KR2020/011000 WO2021251549A1 (en) 2020-06-12 2020-08-18 Display device
EP20939930.2A EP4165881A1 (en) 2020-06-12 2020-08-18 Display device
US17/016,278 US11960786B2 (en) 2020-06-12 2020-09-09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520A KR102367837B1 (ko) 2020-06-12 2020-06-12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4477A KR20210154477A (ko) 2021-12-21
KR102367837B1 true KR102367837B1 (ko) 2022-02-28

Family

ID=78825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1520A KR102367837B1 (ko) 2020-06-12 2020-06-12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960786B2 (ko)
EP (1) EP4165881A1 (ko)
KR (1) KR102367837B1 (ko)
WO (1) WO202125154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9003A1 (ko) * 2022-09-01 2024-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가로 모드 또는 세로 모드로 동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75041S1 (en) * 2020-04-09 2023-01-10 Lg Electronics Inc. Television
USD975043S1 (en) * 2020-04-09 2023-01-10 Lg Electronics Inc. Television
USD975042S1 (en) * 2020-04-09 2023-01-10 Lg Electronics Inc. Television
USD975667S1 (en) * 2020-04-09 2023-01-17 Lg Electronics Inc. Television
US11789525B1 (en) * 2022-06-28 2023-10-17 Amazon Technologies, Inc. Multi-modal interactive apparatu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53137A1 (en) * 2005-12-27 2007-07-05 Amtran Technology Co., Ltd Display device with automatically rotated image and method thereof
KR101543535B1 (ko) * 2014-07-02 2015-08-10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입체 음향 제공 시스템,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359B1 (ko) * 2005-11-08 2012-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부의 사용 방향에 따라 스피커 사용이 가변적인휴대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838565B1 (ko) * 2006-11-23 2008-06-1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디스플레이 장치 회전용 스탠드
KR20110038559A (ko) * 2009-10-08 2011-04-14 (주)신광 회전형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53137A1 (en) * 2005-12-27 2007-07-05 Amtran Technology Co., Ltd Display device with automatically rotated image and method thereof
KR101543535B1 (ko) * 2014-07-02 2015-08-10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입체 음향 제공 시스템,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9003A1 (ko) * 2022-09-01 2024-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가로 모드 또는 세로 모드로 동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51549A1 (en) 2021-12-16
US20210389923A1 (en) 2021-12-16
EP4165881A1 (en) 2023-04-19
US11960786B2 (en) 2024-04-16
KR20210154477A (ko) 2021-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783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4690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9906725B2 (en) Portable video communication system
KR20150125529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45610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7328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090013128A (ko) 프로젝터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9218481B (zh) 成像模组、终端设备及变焦方法
KR10230845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55243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8682352B (zh) 混合现实组件及产生混合现实的方法
JP7400091B2 (ja) メモ情報表示方法、メモ情報送信方法及び電子機器
KR10234404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230243460A1 (en) Display device
US20230291233A1 (en) Wireless charging cradle for terminal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CN105718168A (zh) 图像显示方法及装置
US20240121501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13452831B (zh) 显示器装置
KR2024002886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00058330A (ko) 영상처리장치와 제어장치, 그들을 포함하는 영상처리 시스템 및 그들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