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4993B1 -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4993B1
KR101824993B1 KR1020110102833A KR20110102833A KR101824993B1 KR 101824993 B1 KR101824993 B1 KR 101824993B1 KR 1020110102833 A KR1020110102833 A KR 1020110102833A KR 20110102833 A KR20110102833 A KR 20110102833A KR 101824993 B1 KR101824993 B1 KR 101824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display device
delete delete
circumferential surface
moun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2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8463A (ko
Inventor
권오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2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4993B1/ko
Publication of KR20130038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8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4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4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치높이 및 배치각도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하 방향으로 마련되는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기둥부 외주면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며,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지구조를 제공한다.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양한 차원에서의 이동이나 회전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지구조 {A supporting structure for th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치높이 및 배치각도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텔레비젼, 컴퓨터 모니터와 같은 화면 출력장치의 일종이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메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구동회로에 의하여 각 화소의 발광상태가 구현되어 전체적으로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이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모듈의 구동방식에 따라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전계 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FED) 및 일렉트로 루미네센스(Electro-Luminescence, EL) 표시장치 등으로 구분된다.
디스플레이장치의 하우징 내부에는 전자 기기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제공하는 전원공급유닛과, 소정의 정보처리를 위한 회로장치 및 디스플레이모듈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장부품들이 장착된 회로기판 등이 구비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일반적으로 벽걸이 방식으로 벽면 등에 고정되거나, 스탠드 방식으로 책상 등의 바닥면에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가 벽걸이 방식으로 설치되는 경우, 설치용 브라켓을 벽면에 고정시키고, 그 설치용 브라켓에 디스플레이장치가 장착된다.
반면, 디스플레이장치가 스탠드 방식으로 설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장치는 그 일부가 편평한 플레이트의 형태로 바닥면에 지지되는 스탠드에 장착된다.
종래 기술 중 한국 공개특허 10-2005-0055800에서는, 디스플레이부의 일종인 LCD모니터와 그 스탠드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여기서는 모니터의 하부에 결합되는 스탠드 포스트와, 상기 스탠드 포스트의 하부에 결합되는 스탠드 베이스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을 통하여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각도 조절이 가능하나, 그 조절범위가 매우 제한적이라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장치의 각도 조절의 자유도를 높이고, 더 나아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높이 조절도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지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하 방향으로 마련되는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기둥부 외주면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며,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지구조를 제공한다. 한다.
상기 기둥부는 특정공간의 상호 대향되는 상면과 하면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기둥부의 상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기둥부의 상단부를 상호 대향되는 면 중 상면에 고정시키는 상측 고정부와;
상기 기둥부의 하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기둥부의 하단부를 상호 대향되는 면 중 하면에 고정시키는 하측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측 고정부는; 상기 기둥부의 상단부에 삽입되고, 상기 기둥부과 상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1삽입 고정부와;
상기 제1삽입 고정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삽입 고정부와 상기 기둥부의 내주면을 접촉시켜 상기 제1삽입 고정부를 상기 기둥부의 내주면에 고정시키는 제2삽입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삽입 고정부는; 상기 기둥부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제1지지판과;
상기 제1지지판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기둥부 내측으로 삽입되되, 상기 제2삽입 고정부의 삽입시, 상기 제2삽입 고정부에 의하여 상기 기둥부의 내주면에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2삽입 고정부가 삽입되는 삽입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상기 제2삽입 고정부는;
상기 제1지지판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제2지지판과;
상기 제2지지판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삽입공 내부로 삽입되되, 상기 제1연장부와 접촉하여 상기 제1연장부를 상기 기둥부의 내주면 방향으로 밀도록 마련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삽입 고정부는; 상기 상면과 상기 제1지지판 사이에 배치되는 슬립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지지판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는 나사 결합부와;
상기 나사결합부에 결합되되, 그 일단부가 상기 기둥부에 삽입가능하게 마련되는 위치 확인용 나사와,
상기 위치 확인용 나사에 걸쳐지게 배치되어 상기 기둥부의 수직 여부를 표시하는 수준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지지판을 관통하도록 마련되며, 그 일단부가 상면에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고정 나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둥부의 내주면에 마련되며 상기 제1연장부와 접촉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제1연장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나사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측 고정부는;상기 기둥부의 하단과 상기 하면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기둥부의 하단과 결합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면과 상기 하면 사이에 배치되는 슬립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측 고정부에 대한 상기 기둥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기둥부에 마련되는 제1나사산과; 상기 연장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나사산과 결합되는 제2나사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기둥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마련되며,
그 내측 반경이 조절가능하게 마련되어, 내측 반경의 조절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기둥부의 외주면에 고정되거나 고정해제되도록 마련되는 홀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더부는; 상기 기둥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벤드형태로 마련되고, 내측반경이 조절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하 높이조절 또는 좌우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양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부의 내측 반경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부 내주면에 마련되어 상기 기둥부 외주면에 대한 상기 홀더부의 슬립을 방지하기 위한 마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 장착되고, 상기 플랜지부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하방향 조절을 안내하는 장착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착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 장착되는 제1장착판과;
피봇조절부에 의하여 상기 제1장착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장착판과;
상기 제2장착판으로부터 상기 플랜지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플랜지부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장착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제3장착판을 결합하는 결합나사와;
상기 결합나사에 결합되어 결합나사를 지지하는 결합너트와;
상기 플랜지부의 일면에 마련되어 상기 결합너트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상기 결합너트와 접촉가능하게 마련되는 접촉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랜지부의 일부가 절개되어 마련되는 제1마찰부와;
상기 제3장착판의 일부가 절개되어 마련되고, 상기 제1마찰부와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제2마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장착판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 마련되는 고정판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둥부의 상단부에 마련되며 소정의 벽과 인접하게 설치되는 상측 고정부와; 상기 기둥부의 하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기둥부의 하단부를 바닥면에 고정시키는 하측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상기 벽에 장착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상측 고정부와 결합되어 벽과 상기 상측 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삽입 고정부를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벤드부와;
상기 벤드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벽에 장착되는 연장다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삽입고정부에 마련되어, 상기 벤드부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다리부가 통과하는 개방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측 고정부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는 나사 결합부와; 상기 나사결합부에 결합되되, 나사산의 단부가 상기 기둥부에 삽입가능하게 마련되고, 헤드부가 벽의 전면에 접촉가능하게 마련되는 위치 확인용 나사와, 상기 위치 확인용 나사에 걸쳐지게 배치되어 상기 기둥부의 수직 여부를 표시하는 수준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양한 차원에서의 이동이나 회전이 가능하다.
이를 구체적으로 알아보면, 본 발명에 의한 기둥부의 안내를 받아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하이동이 가능하다.
한편으로, 상기 기둥부에 장착되는 지지부의 구성으로 인하여 좌우 수평 회동과, 상하 수직 회동, 그리고 전후방 기준으로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 회동이 가능해진다.
한편, 플랜지부와 장착유닛 사이에 마련되는 마찰부간의 마찰에 의하여 상하 수직 회동 이후 위치가 정해지는 경우, 그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공간의 상하면에 걸쳐서 기둥부가 마련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치 높이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 특히, 기둥부가 다단파이프로 구성되면, 그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기둥부 하부에 마련되는 하측 고정부가 기둥부와 나사 결합되므로, 기둥부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파티션 벽과 같은 공간이 있는 경우, 기둥부가 벽에 걸쳐지게 될 수도 있기 때문에, 파티션 벽이 있는 책상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하 조절 자유도가 커지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상측 고정부와 하측 고정부의 측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상측 고정부의 사시도이다.
도4 내지 도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지지부와 디스플레이 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7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장착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8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기둥부와, 지지부가 결합된 상태의 평단면도이다.
도9는 도4에서 Z-Z' 부분을 절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홀더부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1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고정판과 장착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장착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운동방향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4와 도1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다양한 배치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1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상측 고정부와 연결부재의 평면도이다.
도1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지지구조가 벽에 설치되지 않은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1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지지구조가 벽에 설치된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20과 도2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연결부와 상측 고정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겠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함은 물론이다.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지구조(1)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기둥부(10)와, 상기 기둥부(10)의 상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기둥부(10)의 상단부를 천정과 같은 상면에 고정시키는 상측 고정부(100)와, 상기 기둥부(10)의 하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기둥부(10)의 하단부를 지면이나 책상과 같은 바닥면 또는 하면에 고정시키는 하측 고정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기둥부(10)는 특정 공간에서 상호 대향되는 상면과 하면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D)는 상기 기둥부(10)에 설치되는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D)는 상기 기둥부(10)에 마련되는 지지부(300)에 의하여 상기 기둥부(10)에 설치된다.
상기 지지부(300)는 상기 기둥부(10)의 외주면을 따라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기둥부(10)에 선택적으로 고정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D)의 위치를 결정한다.
상기 기둥부(10)는 중공의 파이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나의 파이프로 구성되거나, 또는 다단 파이프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다단 파이프로 구성되는 경우, 높이 또는 길이 조절이 용이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상측 고정부(100)는 상기 기둥부(10)와 천장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기둥부(10)의 상단부가 상기 천장면에 대해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상측 고정부(100)는 상기 기둥부(10)의 상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기둥부(10) 내부에 삽입고정되는 제1삽입 고정부(110)와, 상기 제1삽입 고정부(110)에 삽입되어 상기 제1삽입 고정부(110)를 상기 기둥부(10) 내주면에 고정시키는 제2삽입 고정부(120)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1삽입 고정부(110)의 상면에는 상기 제1삽입 고정부(110)가 천장면에 대해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슬립방지부재(130)가 마련된다.
상기 슬립방지부재(130)는 상기 제1삽입 고정부(110)에 장착되며, 고무링이나 고무 패드과 같이 마찰력이 크고 장착이 용이한 구성요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삽입 고정부(110)의 일측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플랜지 형태의 나사 결합부(118)가 마련된다. 상기 나사 결합부(118)에는 위치 확인용 나사(140)가 결합된다.
상기 위치 확인용 나사(140)는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141)와 헤드부(142)로 구분되는데, 상기 나사부(141)가 상기 나사 결합부(118)에 결합되고, 상기 나사부(141)의 일단부는 상기 기둥부(10)에 삽입 가능하게 마련된다.
상기 헤드부(142)의 직경은 상기 나사부(142)보다 현저하게 크게 형성되며, 상기 헤드부(142)의 외주면에는 파지가 용이하도록 파지홈(142a)이 마련된다.
상기 헤드부(142)는 상기 나사 결합부(118)를 기준으로, 상기 기둥부(10)의 반대편에 배치된다.
상기 위치 확인용 나사(140)의 나사부(141)에는 수준기(144)가 마련되는데, 상기 수준기(144)는 상기 기둥부(10)가 수직상태로 서 있는지, 아니면 기울어졌는지를 나타내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수준기(144)는 상기 나사부(141)에 걸리게 배치되는 걸림부(145)와, 상기 걸림부(145)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기둥부(10)와 평행하게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기둥부(10)에 대해서 기울어지게 배치될 수 있는 핀 형태의 표시부(146)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기둥부(10)가 수평면에 대해서 수직상태로 배치되면, 상기 표시부(146)가 상기 기둥부(10)와 평행하게 배치될 것이고, 그렇지 않다면, 상기 기둥부(10)에 대해서 기울어지게 배치될 것이다.
한편, 상기 제1삽입 고정부(110)에는 고정나사(150)가 결합되는데, 상기 고정나사(150)도 헤드부(151)와 상기 헤드부(151)와 연결되는 나사부(152)를 포함한다.
상기 나사부(152)는 상기 제1삽입 고정부(110)에 상하방향으로 삽입되고, 그 상단부가 공간의 상면 또는 천장면에 접촉된다.
상기 나사부(152)의 상단부는 뾰족하게 형성되어, 상기 공간의 상면 또는 천장면에 고정될 수 있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상기 헤드부(151)를 잡고 회전시켜서, 상기 나사부(152)의 높이 조절을 수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상기 나사부(152)의 상단부가 공간의 상면 또는 천장면에 꽂혀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나사부(152)가 또 다른 지지점을 제공하므로, 상기 기둥부(10)의 고정상태가 보다 안정화 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하측 고정부(200)는 상기 기둥부(10)의 하단부를 감싸는 캡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측 고정부(200)는 상기 기둥부(10)를 받치는 받침대 역할을 하면서, 상기 기둥부(10)가 지지면 또는 바닥면에 대해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하측 고정부(200)의 하면에는 슬립방지부재(230)가 마련되는데, 상기 슬립방지부재(230)는 지지면 또는 바닥면과 접촉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하측 고정부(200)가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한다.
상기 슬립방지부재(230)는 상기 상측 고정부(100)의 슬립방지부재(130) 유사하게 고무링 또는 고무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그 재질은 고무에 한정되지 않으며, 마찰력이 큰 재질이라면 무엇이든지 가능하다.
도2(a)는 상기 상측 고정부(100)가 상기 기둥부(10)에 장착된 것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상기 상측 고정부(100)는 상기 기둥부(10)의 상단부에 삽입되고, 상기 기둥부(10)와 천장면 또는 공간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1삽입 고정부(110)와, 상기 제1삽입 고정부(110)에 삽입되어 상기 제1삽입 고정부(110)와 상기 기둥부(10)의 내주면을 접촉시켜 상기 제1삽입 고정부(110)를 상기 기둥부(10)의 내주면에 고정시키는 제2삽입 고정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삽입 고정부(110)는 상기 기둥부(10)의 상단부보다 위에 배치되는 제1지지판(111)과, 상기 제1지지판(111)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기둥부(10)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1연장부(112)를 구비한다.
상기 제1연장부(112) 중공의 원통형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기둥부(10)의 내주면에 대향되게 마련된다.
상기 제1연장부(112)에는 상기 제2삽입 고정부(12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삽입공(113)이 마련된다.
따라서, 상기 제2삽입 고정부(120)가 삽입되면, 상기 제1연장부(112)는 상기 제2삽입 고정부(120)에 의하여 밀려서 그 내경이 확대되고, 이에 의하여 상기 기둥부(10)의 내주면과 접촉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기둥부(10)의 내주면에 고정된다.
상기 기둥부(10)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연장부(112)와 접촉시, 상기 제1연장부(112)가 미끌어지거나 접촉상태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나사산부(11)가 마련된다.
한편, 제1연장부(112)의 내주면에는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경사부(112a)가 마련되며, 이로 인하여, 상기 삽입공(113)의 내경은 아래로 갈 수록 작아지게 형성된다.
상기 경사부(112a)가 상기 제2삽입 고정부(120)와 접촉하게 됨으로써, 상기 제1연장부(112)가 상기 기둥부(10)의 내주면으로 밀리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2삽입 고정부(120)는 상기 제1지지판(111)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제2지지판(121)과, 상기 제2지지판(121)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122)를 포함한다.
상기 제2연장부(122)는 관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삽입공(113)에 삽입되어, 상기 제1연장부(112)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2연장부(122)는 그 단면이 단차진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제1연장부(112)의 경사부(112a)와 접촉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제1연장부(112)를 상기 기둥부(10)의 내주면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제2연장부(122)가 삽입되기 전의 상기 제1연장부(112)의 경사면이 형성된 부분에서의 내경은 상기 제2연장부(122)의 단부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2연장부(122)가 상기 제1연장부(112)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제1연장부(112)의 경사부가 바깥쪽으로 밀리면서, 상기 기둥부(10)의 내주면에 접촉하게 되고, 특히, 상기 기둥부(10)의 나사산부(11)에 접촉하여 걸리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지지판(111)에는 상기 슬립방지부재(130)가 걸쳐질 수 있는 제1걸림턱(114)이 형성되고, 상기 슬립방지부재(130)는 상기 제1걸림턱(114)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된다.
한편, 상기 제1걸림턱(114) 내측에는 상기 제2지지판(121)에 형성되는 단차가 걸려서 고정되는 제2걸림턱(115)이 마련된다.
상기 제2지지판(121)에 형성되는 단차가 상기 제2걸림턱(115)에 걸려서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제1삽입 고정부(110)와 상기 제2삽입 고정부(120)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2(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측 고정부(200)는 상기 기둥부(10)의 하단부를 감싸는 캡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하측 고정부(200)는 상기 기둥부(10)의 하단과 상기 바닥면 또는 지지면 또는 공간의 하면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판(210)과, 상기 지지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기둥부(10)의 하단과 결합하는 연장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연장부(220)는 상기 기둥부(10)의 하단을 둘러싸는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기둥부(10) 하단의 외주면에는 제1나사산부(12)가 마련되며, 상기 연장부(220) 내주면에는 상기 제1나사산부(12)와 나사결합이 이루어지는 제2나사산부(221)가 마련된다.
이와 같은 나사결합을 통하여 상기 하측 고정부(200)와 상기 기둥부(10)가 상호 간에 대하여 상대적인 상하 이동을 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지지면 또는 공간의 하면에 대한 상기 기둥부(1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해진다.
도3은 상기 상측 고정부(100)의 사시도이다.
상기 제1삽입 고정부(110)의 상기 제1지지판(111) 상부에는 상기 슬립방지부재(130)가 링 형태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삽입 고정부(120)의 상기 제2지지판(121)는 상기 슬립방지부재(130)에 둘러싸여져 배치된다.
상기 제2지지판(121)에는 슬릿부(123)가 마련되는데, 상기 슬릿부(123)는 사용자가 드라이버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제2삽입 고정부(120)를 상기 제1삽입 고정부(110)에 장착하거나 탈거하는 경우, 그와 같은 도구가 삽입될 있는 장소가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지지판(111)의 전방에는 상기 고정나사(150)의 나사부(152)가 돌출되도록 마련된다.
도4와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지지부(300)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지지부(300)는 상기 기둥부(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마련되는 홀더부(310)를 포함한다.
상기 홀더부(310)는 벤드 형태로 마련되고, 그 내측 반경이 조절가능하게 마련되어, 내측 반경의 조절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기둥부(10)의 외주면에 마찰력에 의하여 고정되거나 고정해제된다. .
상기 홀더부(310)는 상기 기둥부(10)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벤드 형태의 가이드부(311)와, 상기 가이드부(311)로 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D)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312)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311)는 그 내측반경이 조절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기둥부(10)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 이동을 하거나, 회전을 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D)의 상하 높이조절 또는 좌우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랜지부(312)는 상기 가이드부(311)의 양단부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D)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플랜지부(312)는 제1플랜지부(312a)와 상기 제1플랜지부(312a)보다 짧게 연장되는 제2플랜지부(312b)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311)는 원통형태의 벤드 형태로 마련되나 외주면 일부가 절개되어 마련되기 때문에, 그 절개된 양단부로부터 상기 플랜지부(312)가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312)는 두 개가 인접하게 마련되는데, 상기 플랜지부(312)에는 조절나사(313)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조절나사(313)는 상기 제1,2플랜지부(312a,312b) 간의 간격을 좁혔다 넓혔다 하면서, 간격을 조절한다.
이와 같이 상기 플랜지부(312)의 간격이 조절되면, 그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부(311)에 형성되는 절개부의 폭도 조절되고, 이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부(311)가 상기 기둥부(10)의 외주면을 조이거나 헐겁게 걸려있는 형태가 된다.
상기 가이드부(311)가 상기 기둥부(10)의 외주면을 조이는 경우, 마찰력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부(311)가 상기 기둥부(10) 외주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조절나사(313)도 손잡이 처럼 사용되는 헤드부(313a)와, 상기 헤드부(313a)와 연결되어 상기 플랜지부(312)를 관통하는 나사부(313b)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D) 후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D)에 결합되고, 상기 플랜지부(31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착유닛(320)이 마련된다.
상기 장착유닛(320)은 더 연장된 상기 플랜지부(31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장착유닛(320)와 상기 플랜지부(312)는 결합나사(325)와 결합너트(326)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장착유닛(320)과 상기 플랜지부(312)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하방향의 회동운동이 가능해진다.
상기 장착유닛(320)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 장착되는 제1장착판(321)과 피봇조절부(324)에 의하여 상기 제1장착판(32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장착판(322)과, 상기 제2장착판(322)으로부터 상기 플랜지부(312)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플랜지부(312)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장착판(323)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나사(325)와 상기 결합너트(326)는 상기 제3장착판(323)과 상기 플랜지부(312)에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플랜지부(312)의 일면에는 상기 결합너트(326)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상기 결합너트와 접촉가능하게 마련되는 접촉편(318)이 마련된다.
상기 결합너트(326)가 육각너트나, 사각너트와 같이 소정의 변을 구하는 너트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접촉편(318)은 상기 결합너트(326)의 외주면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결합너트(326)의 회전을 방지하여, 상기 결합너트(326)의 풀림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플랜지부(312)에는 일부가 절개되어 마련되는 제1마찰부(327)가 구비되고, 상기 제3장착판(323)에는 그 일부가 절개되어 마련되는 제2마찰부(324)가 구비된다.
상기 제1마찰부(327)와 상기 제2마찰부(324)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D)가 상하 방향으로 회동운동을 하는 경우, 상기 플랜지부(312)와 상기 제3장착판(323)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켜서, 회전운동 완료 후 정지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도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장착유닛(320)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계방향 회동, 또는 반시계 방향 회동이 가능해진다.
이는 상기 제1장착판(321)과 상기 제2장착판(322)이 피봇조절부(324)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D)를 잡고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그 반대방향으로 돌리는 경우, 상기 제1장착판(321)과 상기 제2장착판(322)의 상대 회전운동에 의하여 사용자가 의도한 방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D)가 회전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도7은 상기 장착유닛(320)의 전개사시도이다.
여기서, 상기 제1장착판(321)은 플레이트 형태로 마련되며, 그 중심에는 상기 피봇조절부(324)가 삽입되는 제1삽입공(321a)이 마련된다.
한편, 상기 제1장착판(321)에는 가이드편(321b)이 후방으로 돌출되게 마련되어 있다. 이는 후술할 상기 제2장착판(322)에 마련되는 가이드 슬롯(322b)에 끼워져 상기 제1장착판(321)의 회동운동을 가이드 한다.
상기 제1장착판(321)의 각 코너 부분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D)의 후방과 상기 제1장착판(321)을 체결하는 체결부재가 설치되는 체결홀(321c)이 마련된다.
상기 제2장착판(322)은 플레이트 형태로 마련되며, 그 중심에는 상기 제1삽입공(321a)에 대응되어 상기 피봇조절부(324)가 끼워지는 제2삽입공(322a)이 마련된다.
상기 제3장착판(323)은 상기 제2장착판(322)을 절개하여 수직방향으로 절곡시킨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제3장착판(323)에는 상기 결합나사(325)가 삽입되는 제3삽입공(323a)이 마련되고, 상기 제3삽입공(323a)의 주변에는 상기 제2마찰부(324)가 'ㄷ'자 형태로 절개된 상태로 마련된다.
도8은 상기 기둥부(10)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D)가 상기 지지부(300)에 의하여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311)가 상기 기둥부(1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부(311)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두 개의 플랜지부(312)에는 상기 조절나사(313)가 관통하는 형태로 결합된다.
상기 플랜지부(311) 중 길게 형성되는 제1플랜지부(312a)는 상기 제3장착판(323)과 상기 결합나사(325)에 의하여 결합되고, 상기 결합나사(325)에 상기 결합너트(326)가 결합되어, 상기 제1플랜지부(312a)와 상기 제3장착판(323)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킨다.
한편, 상기 피봇 조절부(324)는 상기 제1장착판(321)과 상기 제2장착판(322)을 관통하여 배치되어, 상기 제1장착판(321)과 상기 제2장착판(322)이 상대회동 운동 가능하도록 결합시킨다.
도9는 도4에서 Z-Z'선을 절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플랜지부(312a)에 마련되는 제1마찰부(327)와 상기 제3장착판(323)에 마련되는 제2마찰부(324)는 상호 접촉가능하게 마련된다.
특히, 상기 제1마찰부(327)는 상기 제1플랜지부(312a)의 다른 부분에 대하여 일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제2마찰부(324)에 압력을 가하게 되고, 이러한 압력에 의하여 상기 제1마찰부(327)와 상기 제2마찰부(324)간의 마찰력이 제1플랜지부(312a)와 상기 제3장착판(323) 간의 마찰력보다 현저하게 커진다.
이러한 마찰력은 상기 제1플랜지부(312a)에 대한 상기 제3장착판(323)의 자유로운 회동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하며, 이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D) 상하 방향 회동 운동 완료 후, 그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311)의 하단 내부 테두리에는 고무링 형태의 슬립방지부재(390)가 마련되어 상기 기둥부(10) 외주면과 접촉가능하게 마련된다.
이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부(311)와 상기 기둥부(10)간의 슬립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311) 내주면에는 상기 기둥부(10) 외주면에 대한 상기 홀더부(310)의 슬립을 방지하기 위한 마찰부재(389)가 마련된다.
상기 마찰부재(389)는 상기 가이드부(311) 내주면에 상호 이격되는 형태로 복수 개가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부(311) 내주면과 상기 기둥부(10) 외주면 간의 마찰력을 증대시켜서, 상기 가이드부(311)가 상기 기둥부(10) 외주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돕는다.
상기 마찰부재(389)는 패드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D)의 후면에는 상기 제1장착판(321)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판(330)이 마련된다.
상기 고정판(330)의 상측에는 상기 고정리브(331)가 마련된다.
상기 고정리브(331)는 상기 제1장착판(321)의 테두리가 슬라이드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고정리브(331)는 상기 제1장착판(321)의 상부 테두리를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판(330)의 하측에는 상기 제1장착판(321)의 하부 테두리가 지지되는 지지턱(332)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지지턱(332)에 상기 제1장착판(321)의 하부 테두리가 배치되어 고정된다.
상기 지지턱(332)에는 상기 지지턱(332)을 관통하여 상기 제1장착판(321)의 후면을 지지하는 지지나사(333)가 마련된다. 상기 지지나사(333)는 상기 제1장착판(321)이 상기 고정판(330)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제1장착판(321)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판(330) 없이, 상기 제1장착판(321)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D) 후면에 직접 장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장착판(321)에 형성된 상기 체결홀(321c)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D)의 후면을 상기 체결부재(339)가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도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A와 같은 방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D)에 대한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이는 상기 조절나사(313)를 풀어서 상기 가이드부(311)를 헐겁게 푼 다음에, 높이 조절을 하고, 상기 조절나사(313)를 조여서, 상기 가이드부(311)가 상기 기둥부(10)의 외주면을 잡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현된다.
한편, B방향으로 좌우 회전이 가능하다.
이는 상기 조절나사(313)를 풀어서 상기 가이드부(311)를 헐겁게 푼 다음에, 좌우수평 방향 조절을 하고, 상기 조절나사(313)를 조여서, 상기 가이드부(311)가 상기 기둥부(10)의 외주면을 잡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현된다.
또한, C 방향으로 상하 수직 회동이 가능하다.
이는 상기 결합나사(325)와 상기 결합너트(326)의 체결이 헐겁게 한 다음에,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D)를 상하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켜 배치 각도를 조정한 다음, 상기 결합나사(325)와 상기 결합너트(326)를 조여서 결정된 배치 각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D방향으로 전후방을 기준으로 한 시계방향 회전 또는 시계반대방향 회전이 가능하다.
이는 상기 제1장착판(321)과 상기 제2장착판(322)간의 상대적인 회동운동에 의하여 가능하며,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D)를 잡고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D)에 고정된 상기 제1장착판(321)이 상기 제2장착판(322)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가능하다.
도14는 본 발명에 의한 지지구조가 특정 공간의 천장과 바닥면에 설치되는 것 이외에도, 천장과, 책상의 상면에 설치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하측 고정부가 책상의 상면에 배치되어 고정된다.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지지구조가 특정 공간의 천장과 바닥면에 설치되는 경우에, 두 개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장착되어 지지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지지부가 각각 연결되고, 각각의 지지부(300)가 상기 기둥부(10)에 설치됨으로써 가능해진다.
도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둥부(10)의 상단에 마련되는 상기 상측 고정부(100)가 공간의 천장이나 상면에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사무실의 파티션 벽과 같은 구조물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것을 도시하였다.
한편, 상기 기둥부(10)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상기 하측 고정부(200)는 공간의 바닥면이나 책상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D)의 상하 이동 가능 영역은 파티션 벽과 같은 구조물의 상단부 부터 바닥면(책상 상면)이 될 수 있다.
도17 내지 도1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상측 고정부(100)와 결합되어 벽과 상기 상측 고정부(100)를 연결하는 연결부(190)가 추가된다.
상기 연결부(190)는 상기 제1삽입 고정부에 장착되며 상기 제1삽입 고정부(110)의 제1연장부(112)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벤드부(191)와, 상기 벤드부(191)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벽에 장착되는 연장다리부(19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장다리부(192)는 상기 벤드부(191)로부터 연장되어 양측으로 연장된 이후에, 하방으로 다시 연장되는 형태가 된다.
상기 연장다리부(192)는 탄성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벽의 상부에 걸쳐진 경우(도17(b))와 벽에 걸쳐지지 않은 경우(도17(a))에 그 형태가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한편, 상기 연장다리부(192)의 외주면에는 상기 벽과의 마찰력을 늘리기 위한 마찰부재(196)가 배치될 수 있다.
제2실시예에서도, 제1실시예서와 마찬가지로, 제1삽입 고정부(110)는 상기 기둥부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제1지지판(111)과, 상기 제1지지판(111)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112)와, 상기 제1연장부(112)에 마련되는 삽입공(113)이 마련된다.
상기 제1연장부(112)는 상기 제1지지판(111)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기둥부(10) 내측으로 삽입되되, 상기 제2삽입 고정부(120)의 삽입시, 상기 제2삽입 고정부(120)에 의하여 상기 기둥부의 내주면에 접촉하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공(113)에는 상기 제2삽입 고정부(120)가 삽입된다.
또한, 상기 제2삽입 고정부(120)는 상기 제1지지판(111)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제2지지판(121)과, 상기 제2지지판(121)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삽입공 내부로 삽입되는 제2연장부(122)를 구비한다.
상기 제2연장부(122)는 상기 삽입공(113)에 삽입되는 경우, 제1연장부를 상기 기둥부의 내주면 방향으로 밀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제1지지판(111) 일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플랜지 형태로 상기 나사 결합부(118)가 마련된다.
상기 나사 결합부(118)에는 상기 위치확인용 나사(140)가 마련되고, 상기 위치확인용 나사(140)에는 상기 수준기(144)가 마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준기(144)는 상기 기둥부의 수직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외에 설명되지 않은 구체적인 구성은 제1실시예의 상기 상측 고정부(100)와 동일하다.
도1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190)에 의하여 상기 상측 고정부(100)와 상기 벽이 연결되는 경우, 상기 위치 확인용 나사(140)의 헤드부(142)는 상기 벽의 전면에 닿도록 설치되어 상기 기둥부(10) 설치시 자세의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190)의 연장다리부(192)는 상기 벽의 후면에 접하여 상기 기둥부(10)가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20과 도2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고정부(100)에는 상기 연결부(190)가 통하는 개방구(195)가 마련되고, 그 부분으로 상기 연결다리부(192)가 통과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벤드부(191)는 상기 제1연장부(112)를 둘러싸는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제1연장부(112)에 걸림으로써 상기 상측 고정부(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2실시예에 의한 고정구조에서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D)에서의 높이 조절과, 좌우 수평 회전, 상하 수직 회전, 전후방을 기준으로 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 회전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D)가 움직이는 방식은 도13 및 도13의 설명과 동일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겠다.
1: 디스플레이장치 지지구조 10: 기둥부
100: 상측 고정부 110: 제1삽입 고정부
120: 제2삽입고정부 130: 슬립방지부
140: 위치 확인용 나사 144: 수준기
150: 고정나사 190: 연결부
230: 슬립방지부재 300: 지지부
310:홀더부 311: 가이드부
312: 플랜지부 313: 조절나사
320: 장착유닛 330: 장착판

Claims (25)

  1. 상하 방향으로 마련되는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기둥부 외주면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며,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둥부는 특정공간의 상호 대향되는 상면과 하면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기둥부의 상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기둥부의 상단부를 상호 대향되는 면 중 상면에 고정시키는 상측 고정부; 및
    상기 기둥부의 하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기둥부의 하단부를 상호 대향되는 면 중 하면에 고정시키는 하측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측 고정부는,
    상기 기둥부의 상단부에 삽입되고, 상기 기둥부과 상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1삽입 고정부; 및
    상기 제1삽입 고정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삽입 고정부와 상기 기둥부의 내주면을 접촉시켜 상기 제1삽입 고정부를 상기 기둥부의 내주면에 고정시키는 제2삽입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삽입 고정부는,
    상기 기둥부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제1지지판;
    상기 제1지지판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기둥부 내측으로 삽입되되, 상기 제2삽입 고정부의 삽입시, 상기 제2삽입 고정부에 의하여 상기 기둥부의 내주면에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제1연장부; 및
    상기 제1연장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2삽입 고정부가 삽입되는 삽입공을 포함하고,
    상기 기둥부의 내주면에 상기 제1연장부와 접촉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제1연장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나사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지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삽입 고정부는;
    상기 제1지지판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제2지지판과;
    상기 제2지지판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삽입공 내부로 삽입되되, 상기 제1연장부와 접촉하여 상기 제1연장부를 상기 기둥부의 내주면 방향으로 밀도록 마련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지구조.
  6. 상하 방향으로 마련되는 기둥부;
    상기 기둥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마련되어 상기 기둥부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기둥부 외주면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며,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내측 반경이 조절가능하게 마련되어, 내측 반경의 조절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기둥부의 외주면에 고정되거나 고정해제되도록 마련되는 홀더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부는,
    상기 기둥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밴드형태로 마련되고, 내측반경이 조절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하 높이조절 또는 좌우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의 양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플랜지부;
    상기 플랜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부의 내측 반경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나사;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 장착되고, 상기 플랜지부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하방향 조절을 안내하는 장착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 장착되는 제1장착판;
    상기 제1장착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장착판; 및
    상기 제2장착판으로부터 상기 플랜지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플랜지부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장착판을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제3장착판을 결합하는 결합나사;
    상기 결합나사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나사를 지지하는 결합너트; 및
    상기 플랜지부의 일면에 마련되어 상기 결합너트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상기 결합너트와 접촉가능하게 마련되는 접촉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지구조.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KR1020110102833A 2011-10-10 2011-10-10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지구조 KR101824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833A KR101824993B1 (ko) 2011-10-10 2011-10-10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833A KR101824993B1 (ko) 2011-10-10 2011-10-10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8463A KR20130038463A (ko) 2013-04-18
KR101824993B1 true KR101824993B1 (ko) 2018-02-02

Family

ID=48438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2833A KR101824993B1 (ko) 2011-10-10 2011-10-10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49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62383B (zh) * 2018-05-17 2020-06-19 常州信息职业技术学院 显示设备
KR102304053B1 (ko) * 2019-06-19 2021-09-17 주식회사 비엘디 상하 배치된 폴더타입의 듀얼모니터
KR102456106B1 (ko) * 2020-07-07 2022-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05334B1 (ko) * 2023-09-22 2023-11-23 하나시스 주식회사 프린터 탈착형 키오스크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4705B2 (ja) * 1989-06-21 2000-03-21 ヴィニデックス・チューブメーカー・プロプライエタリー・リミテッド 一体的ソケットを有する管
KR200268555Y1 (ko) 1999-04-12 2002-03-16 재 권 전 행거파이프 입설 고정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4705B2 (ja) * 1989-06-21 2000-03-21 ヴィニデックス・チューブメーカー・プロプライエタリー・リミテッド 一体的ソケットを有する管
KR200268555Y1 (ko) 1999-04-12 2002-03-16 재 권 전 행거파이프 입설 고정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8463A (ko) 201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4993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지구조
US9829151B1 (en) Height adjustable flat panel display mounts
US9344667B2 (en) Reconfigurable video and peripheral mounting system
KR100465789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전자기기용 결합장치
US20120025037A1 (en) Adjustable multi-screen support structure
US20070023375A1 (en) Display mount apparatus and system
US20150048224A1 (en) Spring tension device for supporting a television
KR102372320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벽걸이 거치대용 고정 브라켓
JP2009284363A (ja) ディスプレイの取付器具
JP3665065B2 (ja) 薄型表示装置
JP3907663B2 (ja) 薄型表示装置
JP3665064B2 (ja) 薄型表示装置
US20080144266A1 (en) Flat panel display device
CA2979692A1 (en) Wall-plate table lamp
JP2009021731A (ja) 薄型テレビジョンの支持構造
JP2011145261A (ja) 三脚支持装置、三脚装置、三脚用支持部材および三脚支持方法
KR100723053B1 (ko) 평판 디스플레이 벽걸이 이동조절 장치
JP3153866U (ja) ディスプレイ取付装置
US8201786B2 (en) Electronic device with support mechanism
JP4536099B2 (ja) テレビボード
US20110302750A1 (en) No Tools Quick Assembly Surface Fastening System
JP2007086647A (ja) 表示装置
JP2011149453A (ja) 電子機器取付装置及び電子機器用取付ブラケット
US20050242265A1 (en) Adjustable hanging device
JP2007316219A (ja) 壁面取付け機能を備えた薄型表示装置および薄型表示装置を壁面に取付ける壁面取付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