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3201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13201B1 KR102413201B1 KR1020220040307A KR20220040307A KR102413201B1 KR 102413201 B1 KR102413201 B1 KR 102413201B1 KR 1020220040307 A KR1020220040307 A KR 1020220040307A KR 20220040307 A KR20220040307 A KR 20220040307A KR 102413201 B1 KR102413201 B1 KR 1024132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se
- display device
- weight
- protrusion
- batter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058 natural language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3528 artificial neural net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801 machine lea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05 data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1 pre-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41 sensory perception of touch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125—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for tilting and ro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내부에 고정되는 연결 부재; 상기 연결 부재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스탠드 바: 상기 스탠드 바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 상기 베이스 내부에 제공되는 배터리; 상기 베이스 내부에 제공되며, 상기 배터리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파워 보드; 상기 베이스 내부에 제공되며, 상기 배터리와 상기 파워 보드를 에워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웨이트; 및 상기 돌출부에 연결되고, 디스플레이가 구비되는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는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란 외부에서 수신된 영상정보 또는 내부에 저장된 영상정보를 표시하는 장치이다. 대표적인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텔레비전, 모니터, 랩탑, 스마트폰 등을 예시로 들 수 있다.
다만, 스마트폰 등과 같은 종래의 모바일 디스플레이 장치는 휴대성을 위해 그 크기에 제한이 있다. 반대로, TV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큰 디스플레이 장치는, 넓은 설치공간이 필요하며 이동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컴팩트한 베이스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헤드 및 스탠드 바에 의한 전도 모멘트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내부에 고정되는 연결 부재; 상기 연결 부재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스탠드 바: 상기 스탠드 바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 상기 베이스 내부에 제공되는 배터리; 상기 베이스 내부에 제공되며, 상기 배터리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파워 보드; 상기 베이스 내부에 제공되며, 상기 배터리와 상기 파워 보드를 에워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웨이트; 및 상기 돌출부에 연결되고, 디스플레이가 구비되는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는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내에 웨이트가 배치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무게중심이 낮아질 수 있다. 이로써, 베이스를 컴팩트하게 유지하면서도 디스플레이 장치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스탠드바는 헤드의 배면이 아닌 일 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헤드의 배면을 거울 등과 같은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스탠드바가 헤드의 일 측면에 연결되고, 베이스의 외측으로 돌출된 커넥팅 바에 연결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자인이 유려해질 수 있다.
또한, 스탠드 바의 하단은 베이스의 관통공으로 돌출된 커넥팅 바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커넥팅 바는 웨이트와 체결될 수 있다. 이로써, 스탠드바가 헤드의 일 측면에 연결되어 발생하는 전도 모멘트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웨이트는 관통공의 반대편으로 편심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동일한 중량의 웨이트로 더 큰 전도 모멘트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커넥팅 바는 베이스의 저면에 체결될 수 있다. 이로써 커넥팅 바로 전달되는 모멘트가 베이스로 분산될 수 있다.
또한, 캐스터 볼은 베이스의 일측면의 하단을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키고, 베이스의 타 측면의 하단은 바닥면에 접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베이스의 타 측면의 하단을 들어올려 캐스터 볼만이 바닥면에 접한 상태로 만들수 있고, 이러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배터리 및 서브 웨이트가 베이스 내에 배치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무게 중심이 더욱 낮아질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커넥팅 바는 배터리와 서브 웨이트의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이로써, 베이스 내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커넥팅 바는 베이스의 중심을 통과하고, 웨이트는 커넥팅 바와 나란한 대칭축에 대해 대칭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배터리의 무게와 서브 웨이트의 무게는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이로써, 디스플레이 장치가 전후 방향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웨이트의 무게는, 배터리의 무게 및 서브 웨이트의 무게보다 무거울 수 있다. 이로써 웨이트는 커넥팅 바에 작용하는 전도 모멘트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웨이트는 제1,2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배터리 및 서브 배터리의 중량이 불충분한 경우에 이를 보강하여 디스플레이 장치가 전후 방향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의 좌우방향 길이는 헤드의 장변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이로써, 베이스가 충분히 컴팩트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자인이 미려해질 수 있다.
또한, 커넥팅 바에는 스탠딩 바 내부의 통로를 통해 헤드의 내부로 연결되는 전선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전선의 배치가 용이해지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자인이 더욱 미려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가 틸트(tilt)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가 스위블(swivel)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의 커버를 제거한 상태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A-A'에 대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5의 B-B'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가 틸트(tilt)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가 스위블(swivel)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의 커버를 제거한 상태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A-A'에 대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5의 B-B'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일 요소가 타 요소에 "체결" 또는 "연결"된다고 기재된 것은, 두 요소가 직접 체결되거나 연결된 것을 의미하거나, 두 요소 사이에 제3의 요소가 존재하고 상기 제3의 요소에 의해 두 요소가 서로 연결되거나 체결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반면, 일 요소가 타 요소에 "직접 체결" 또는 "직접 연결"된다고 기재한 것은, 두 요소 사이에 제3의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가 틸트(tilt)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가 스위블(swivel)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베이스(10)와, 스탠드 바(20)와, 헤드(30)와, 커넥팅 바(5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0)는 디스플레이 장치(1)를 바닥면에 대해 지지할 수 있다.
헤드(30)는 베이스(10)의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헤드(30)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31)가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31)에는 영상이나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31)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헤드(30)의 둘레부(32)(33)는 한 쌍의 장변(long side)(32)와 한 쌍의 단변(short side)(33)를 포함할 수 있다. 장변(32)의 길이 방향과 단변(33)의 길이 방향은 서로 직교할 수 있다. 장변(32)의 길이(L1)는 단변(33)의 길이(L2)보다 길 수 있다. 헤드(30)는 장변(32)이 수평하고 단변(33)이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탠드 바(20)는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고, 베이스(10)와 헤드(30)를 연결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스탠드 바(20)는 베이스(10)에서 측방으로 돌출된 커넥팅 바(50)와 헤드(30)의 일측면을 연결할 수 있다. 스탠드 바(20)의 하단은 상기 커넥팅 바(50)에 연결될 수 있다. 스탠드 바(20)의 상부에는 수평하게 돌출된 돌출부(21)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돌출부(21)는 헤드(30)의 일 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스탠드 바(20)의 상부는 수평 방향으로 헤드(30)의 일 측면을 마주볼 수 있다.
헤드(30)는 스탠드 바(20)에 대해 베이스(10)와 동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헤드(30)는 수직 방향으로 베이스(10)와 오버랩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의 무게 중심이 베이스(10)의 상측에서 벗어나지 않으므로 디스플레이 장치(1)가 전복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스탠드 바(20)가 헤드(30)의 배면이 아닌 일 측면에 연결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1)의 외관이 디자인적으로 향상될 뿐만 아니라, 헤드(30)의 배면을 다른 용도(예를 들어, 거울)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베이스(10)의 좌우 길이는, 헤드(30)의 장변(32)의 길이(L1)보다 짧을 수 있다. 따라서 헤드(30)는 베이스(10)보다 측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스탠드 바(20)는 충분히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스탠드 바(20)의 상하 길이는, 헤드(30)의 장변(32)의 길이(L1)보다 길 수 있다. 스탠드 바(20)의 상하 길이는, 헤드(30)의 장변(32)의 길이(L1)와 단변의 길이(L2)를 합한 것(L1+L2)보다 길 수 있다.
스탠드 바(20) 및 돌출부(21)의 내부에는 헤드(30)의 내부와 연통된 통로(20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로(20a)는 스탠드 바(20)의 하단에서부터 돌출부(21)의 단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베이스(10)의 내부에는 후술할 배터리(60)(도 7 참조) 및 상기 배터리(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파워 보드(power board)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파워 보드에 연결된 전선(미도시)은 통로(20a)를 통해 헤드(30)의 내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로써 헤드(30)에 구비된 전자 부품-예를 들어, 디스플레이(31)-에 파워를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 바(20)의 돌출부(21)는 헤드(30)의 일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헤드(30)는 스탠드 바(20)에 대해 수평축(axis)(x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수평축(x1)은 스탠드 바(20)의 돌출부(21)에 대응될 수 있다. 즉, 헤드(30)는 수평축(x1)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는 틸트(tilt) 동작이 가능하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 바(20)의 하단은 커넥팅 바(5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헤드(30)는 스탠드 바(20)와 함께 베이스(10)에 대해 수직축(axis)(x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수직축(x2)는 스탠드 바(20)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헤드(30)는 수직축(x2)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방향 전환되는 스위블(swivel) 동작이 가능하다.
헤드(30)의 틸트 동작과 스위블 동작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특히, 도 4의 구성 요소들은 도 1의 헤드(30)에 구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통신 인터페이스(110), 입력 인터페이스(120), 러닝 프로세서(130), 센서(140), 출력 인터페이스(150), 메모리(170) 및 프로세서(18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다른 단말기나 외부 서버와 같은 외부 장치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외부 장치들과 센서 정보, 사용자 입력, 학습 모델, 제어 신호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통신 인터페이스(110)가 이용하는 통신 기술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5G,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120)는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입력 인터페이스(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로폰,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나 마이크로폰을 센서로 취급하여, 카메라나 마이크로폰으로부터 획득한 신호를 센싱 데이터 또는 센서 정보라고 할 수도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120)는 모델 학습을 위한 학습 데이터 및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출력을 획득할 때 사용될 입력 데이터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120)는 가공되지 않은 입력 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프로세서(180) 또는 러닝 프로세서(130)는 입력 데이터에 대하여 전처리로써 입력 특징점(input feature)을 추출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Camera, 121),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User Input Unit, 123)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 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1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121)들을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Display Unit, 3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프로세서(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23)는 기계식(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컨대, 단말기(1)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러닝 프로세서(130)는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공 신경망으로 구성된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다. 여기서, 학습된 인공 신경망을 학습 모델이라 칭할 수 있다. 학습 모델은 학습 데이터가 아닌 새로운 입력 데이터에 대하여 결과 값을 추론해 내는데 사용될 수 있고, 추론된 값은 어떠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판단의 기초로 이용될 수 있다.
이때, 러닝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에 통합되거나 구현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러닝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70), 디스플레이 장치(1)에 직접 결합된 외부 메모리 또는 외부 장치에서 유지되는 메모리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센서(140)는 다양한 센서들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 내부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1)의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센서(140)에 포함되는 센서에는 근접 센서, 조도 센서, 가속도 센서, 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관성 센서, RGB 센서, IR 센서, 지문 인식 센서, 초음파 센서, 광 센서, 마이크로폰, 라이다, 레이더 등이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출력 인터페이스(150)에는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청각 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 촉각 정보를 출력하는 햅틱 모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150)는 디스플레이(Display Unit, 31), 음향 출력 인터페이스(Sound Output Unit, 152), 햅틱 모듈(Haptic Module, 153), 광 출력 인터페이스(Optical Output Unit, 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1)는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컨대, 디스플레이(31)는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디스플레이 장치(1)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단말기(1)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인터페이스(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통신 인터페이스(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인터페이스(152)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광출력 인터페이스(154)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
메모리(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170)는 입력 인터페이스(120)에서 획득한 입력 데이터, 학습 데이터, 학습 모델, 학습 히스토리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데이터 분석 알고리즘 또는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결정되거나 생성된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적어도 하나의 실행 가능한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80)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여 결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80)는 러닝 프로세서(130) 또는 메모리(170)의 데이터를 요청, 검색, 수신 또는 활용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행 가능한 동작 중 예측되는 동작이나,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는 동작을 실행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80)는 결정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외부 장치의 연계가 필요한 경우, 해당 외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 신호를 해당 외부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사용자 입력에 대하여 의도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의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요구 사항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80)는 음성 입력을 문자열로 변환하기 위한 STT(Speech To Text) 엔진 또는 자연어의 의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자연어 처리(NLP: Natural Language Processing) 엔진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에 상응하는 의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STT 엔진 또는 NLP 엔진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은 적어도 일부가 머신 러닝 알고리즘에 따라 학습된 인공 신경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STT 엔진 또는 NLP 엔진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은 러닝 프로세서(130)에 의해 학습된 것이나, 외부 서버에 의해 학습된 것이거나, 또는 이들의 분산 처리에 의해 학습된 것일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동작 내용이나 동작에 대한 사용자의 피드백 등을 포함하는 이력 정보를 수집하여 메모리(170) 또는 러닝 프로세서(130)에 저장하거나, 외부 서버 등의 외부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수집된 이력 정보는 학습 모델을 갱신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의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 중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의 저면도이다.
베이스(10)는 상면이 개방된 하우징(11)과, 상기 하우징(11)의 개방된 상면을 커버하는 커버(12)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0)의 내부 공간은 하우징(11)과 커버(12)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10)의 저면은 하우징(11)의 저면일 수 있고, 베이스(10)의 상면은 커버(12)의 상면일 수 있다. 베이스(10)의 둘레면은 하우징(11)의 둘레면과 커버(12)의 둘레면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12)의 둘레면은 베이스(10)의 둘레면에 대해 수평 외측 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10)의 둘레에는 커넥팅 바(50)가 통과하는 관통공(19)이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관통공(19)은 하우징(11)의 일 측면(13)에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의 둘레면은, 전면과, 배면과, 관통공(19)이 형성된 일 측면(13)과, 상기 일 측면(13)의 반대편에 위치한 타 측면(14)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0)의 저면에는 복수개의 캐스터 볼(1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캐스터 볼(16)은 베이스(10)의 일 측면(13)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베이스(10)의 저면에는 상측으로 함몰된 함몰부(15)가 형성될 수 있고, 캐스터 볼(16)은 상기 함몰부(15)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15)는 베이스(10)의 일 측면(13)에 연결될 수 있다.
베이스(10)는 수평 또는 수평에 가까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캐스터 볼(16)이 바닥면에 접할 수 있고 베이스(10)의 일 측면(13)의 하단은 바닥면과 이격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10)의 타 측면(14)의 하단은 바닥면에 접할 수 있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캐스터 볼(16)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1)의 이동이 이뤄지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는 베이스(10)의 타 측면(14)의 하단을 들어올려 캐스터 볼(16)만이 바닥면에 접한 상태로 만들수 있고, 이러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의 커버를 제거한 상태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5의 A-A'에 대한 절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5의 B-B'에 대한 단면도이다.
커넥팅 바(50)는 베이스(10)의 일측면(13)에 형성된 관통공(19)을 통과할 수 있다. 즉, 커넥팅 바(50)의 일부는 베이스(1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고, 다른 일부는 베이스(10)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커넥팅 바(50)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커넥팅 바(50)는 베이스(10)의 중심(P)을 지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중심(P)은 베이스(10)의 수평 방향에 대한 기하학적 중심일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커넥팅 바(50)와 베이스(10)의 전면 사이의 전후 거리는, 커넥팅 바(50)와 베이스(10)의 배면 사이의 전후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커넥팅 바(50)의 길이는 베이스(10)의 좌우 방향 길이의 절반보다 길고, 베이스(10)의 좌우 방향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커넥팅 바(50)의 내측 단부는 후술할 웨이트(40)에 체결될 수 있다.
커넥팅 바(50)의 외측 단부에는 스탠드 바(20)(도 1 참조)가 연결되는 연결부(51)가 구비될 수 있다. 연결부(51)는 베이스(10)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연결부(51)에는 스탠드 바(20) 내부의 통로(20a)(도 1 참조)와 연통되는 연통홀(52)이 형성될 수 있다. 연통홀(52)은 연결부(51)에 상하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10) 내의 파워 보드와 연결되는 전선은 상기 연통홀(52)을 통해 스탠드 바(20) 내부의 통로(20a)로 들어갈 수 있다.
또한, 커넥팅 바(50)에는 상기 전선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54)(도 9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54)은 커넥팅 바(50)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54)은 베이스(10)의 내부부터 연결부(51)의 하측까지 연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베이스(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커넥팅 바(50)가 체결된 웨이트(40)(weigh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웨이트(40)는 고중량을 갖는 무게추일 수 있다. 웨이트(40)는 금속 재질임이 바람직하다.
웨이트(40)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무게중심을 낮추고, 헤드(30) 및 스탠드 바(20)에 의해 커넥팅 바(50)에 작용하는 전도 모멘트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10)의 크기를 컴팩트하게 유지하면서도 디스플레이 장치(1)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웨이트(40)는 커넥팅 바(50)와 나란한 대칭축(axis)(X3)에 대해 대칭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대칭축(X3)은 베이스(10)의 중심(P)을 좌우 방향으로 가로지를 수 있다.
따라서, 웨이트(40)의 중량이 전후 방향으로 고르게 분산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웨이트(40)는 관통공(19)의 반대편으로 편심되게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웨이트(40)는 베이스(10)의 중심(P)을 전후로 가로지르는 가상축(axis)(X4)에 대해 관통공(19)의 반대편으로 편심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웨이트(40)는 베이스(10)의 타 측면(14)에 접하거나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웨이트(40)에 의해 지지 가능한 커넥팅 바(50)의 전도 모멘트의 크기가 더 커질 수 있다.
웨이트(40)에는 커넥팅 바(50)가 삽입되는 삽입홈(4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44)은 베이스(10)의 관통공(19)을 좌우 방향으로 마주볼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홈(44)의 저면은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팅 바(50)의 내측 단부는 상기 삽입홈(44)에 삽입될 수 있고, 상하 방향에 대해 베이스(10)의 내측 저면과 삽입홈(44)의 내측 상면 사이에 구속될 수 있다.
스크류 등의 제1체결부재(C1)는 웨이트(40)의 상면을 관통하여 삽입홈(44) 내에 위치한 커넥팅 바(50)의 내측 단부에 체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웨이트(40)의 상면에는 하측으로 함몰되고 삽입홈(44)의 상측에 위치하는 함몰부(41a)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채결부재(C1)는 함몰부(41a)를 관통하여 삽입홈(44) 내에 위치한 커넥팅 바(50)의 내측 단부에 체결될 수 있다. 제1체결부재(C1)는 커넥팅 바(50)의 상면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커넥팅 바(50)는 베이스(10)의 저면에 체결될 수 있다. 스크류 등의 제2체결부재(C2)는 베이스(10)의 저면을 관통하여 커넥팅 바(50)에 체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베이스(10)에는, 베이스(10)의 내측 저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커넥팅 바(50)를 수평하게 지지하는 지지부(1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7)는 커넥팅 바(50)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부재(C2)는 상기 지지부(17)를 하측에서 관통하여 커넥팅 바(50)에 체결될 수 있다. 제2체결부재(C2)는 커넥팅 바(50)의 저면에 체결될 수 있다.
이로써, 커넥팅 바(50)에 가해지는 전도 모멘트가 베이스(10)와 웨이트(40)로 고르게 분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배터리(60) 및 서브 웨이트(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60) 및 서브 웨이트(70)는 베이스(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60) 및 서브 웨이트(70)는 웨이트(40)와 분리된 별개의 부재일 수 있다. 배터리(60) 및 서브 웨이트(70)는 서로 이격될 수 있고, 커넥팅 바(50)는 배터리(60)와 서브 웨이트(70)의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즉, 배터리(60)와 서브 웨이트(70)는 커넥팅 바(50)에 대해 서로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배터리(60)는 커넥팅 바(5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고 서브 웨이트(70)는 커넥팅 바(5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서브 웨이트(70)는, 배터리(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파워 보드(power board)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60)의 무게와 서브 웨이트(70)의 무게는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10)의 중량이 전후 방향으로 고르게 분산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웨이트(40)의 무게는, 배터리(60)의 무게 및 서브 웨이트(70)의 무게보다 무거울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10)의 중량이 커넥팅 바(50)가 돌출된 일 측면(13)의 반대편인 타 측면(14) 방향으로 편심될 수 있고, 헤드(30) 및 스탠드 바(20)에 의한 전도 모멘트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웨이트(40)는 본체(41)와, 제1돌출부(42)와, 제2돌출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41)는 커넥팅 바(50)와 체결될 수 있다. 즉, 삽입홈(44)은 본체(41)에 형성될 수 있다. 본체(41)는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본체(41)는 웨이트(40) 전체 중량의 대부분을 차지할 수 있다.
본체(41)는 관통공(19)의 반대편으로 편심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본체(41)는 베이스(10)의 타측면(14)에 인접하게 편심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본체(41)는 좌우 방향에 대해, 베이스(10)의 중심(P)을 전후로 가로지르는 가상축(X4)과 베이스(10)의 타측면(14)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체(41)는 베이스(10)의 중심(P)을 좌우로 가로지르는 대칭축(X3)에 대해 대칭 형상일 수 있다.
제1돌출부(42)는 본체(41)에서 베이스(10)의 내둘레와 배터리(60) 사이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60)는 커넥팅 바(50)와 제1돌출부(42)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돌출부(43)는 본체(41)에서 베이스(10)의 내둘레와 서브 웨이트(70) 사이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서브 웨이트(70)는 커넥팅 바(50)와 제2돌출부(43)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돌출부(42) 및 제2돌출부(43)는, 본체(41)에서부터, 상기 가상축(X4)을 넘어서까지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돌출부(42) 및 제2돌출부(43)는, 배터리(60) 및 서브 웨이트(70)와 함께 디스플레이 장치(1)가 전후 방향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웨이트(40)는 베이스(10)의 저면에 체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본체(41), 제1돌출부(42) 및 제2돌출부(43) 각각은 베이스(10)의 저면에 체결될 수 있다. 이로써, 커넥팅 바(50)에 의해 웨이트(40)로 전달되는 모멘트에 의해 웨이트(40)가 리프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베이스 16: 캐스터 볼
19: 관통공 20: 스탠드 바
30: 헤드 40: 웨이트
50: 커넥팅 바 51: 연결부
52: 연통홀 54: 가이드홈
60: 배터리 70: 서브 웨이트
19: 관통공 20: 스탠드 바
30: 헤드 40: 웨이트
50: 커넥팅 바 51: 연결부
52: 연통홀 54: 가이드홈
60: 배터리 70: 서브 웨이트
Claims (13)
-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내부에 고정되는 연결 부재;
상기 연결 부재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스탠드 바:
상기 스탠드 바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
상기 베이스 내부에 제공되는 배터리;
상기 베이스 내부에 제공되며, 상기 배터리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파워 보드;
상기 베이스 내부에 제공되며, 상기 배터리와 상기 파워 보드를 에워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웨이트; 및
상기 돌출부에 연결되고, 디스플레이가 구비되는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는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는,
본체와,
상기 배터리의 외측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 1 돌출부, 및
상기 파워 보드의 외측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 2 돌출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제 1 돌출부, 및 상기 제 2 돌출부 중 적어도 일부는 한 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제 1 돌출부, 및 상기 제 2 돌출부는 단일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스탠드 바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출부와 상기 제 2 돌출부는 상기 본체의 일측 가장자리와 타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베이스의 외부로 더 연장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탠드 바의 하단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베이스 내부에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커넥팅 바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커넥팅 바의 일 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9 항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를 상기 베이스에 고정시키는 하나 또는 다수의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체결 부재는,
상기 베이스의 저면을 상향 관통하여 상기 연결 부재에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보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도를 방지하는 웨이트 부재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하중은 상기 파워 보드의 하중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디스플레이 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중심과 상기 연결부를 연결하는 가상선을 기준으로, 상기 배터리와 상기 파워 보드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40307A KR102413201B1 (ko) | 2020-03-31 | 2022-03-31 | 디스플레이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39138A KR102395124B1 (ko) | 2020-03-31 | 2020-03-31 | 디스플레이 장치 |
KR1020220040307A KR102413201B1 (ko) | 2020-03-31 | 2022-03-31 | 디스플레이 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39138A Division KR102395124B1 (ko) | 2020-03-31 | 2020-03-31 | 디스플레이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45132A KR20220045132A (ko) | 2022-04-12 |
KR102413201B1 true KR102413201B1 (ko) | 2022-06-27 |
Family
ID=78610245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39138A KR102395124B1 (ko) | 2020-03-31 | 2020-03-31 | 디스플레이 장치 |
KR1020220040307A KR102413201B1 (ko) | 2020-03-31 | 2022-03-31 | 디스플레이 장치 |
KR1020220040308A KR102473286B1 (ko) | 2020-03-31 | 2022-03-31 | 디스플레이 장치 |
KR1020220040306A KR102473285B1 (ko) | 2020-03-31 | 2022-03-31 | 디스플레이 장치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39138A KR102395124B1 (ko) | 2020-03-31 | 2020-03-31 | 디스플레이 장치 |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40308A KR102473286B1 (ko) | 2020-03-31 | 2022-03-31 | 디스플레이 장치 |
KR1020220040306A KR102473285B1 (ko) | 2020-03-31 | 2022-03-31 | 디스플레이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4) | KR10239512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35375B1 (ko) * | 2022-01-20 | 2023-05-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KR102535718B1 (ko) * | 2022-01-21 | 2023-05-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KR102535721B1 (ko) * | 2022-04-08 | 2023-05-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241903A (ja) | 2007-03-26 | 2008-10-09 | Bank Of Tokyo-Mitsubishi Ufj Ltd | 表示装置用スタンド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19905U (ko) * | 1997-11-21 | 1999-06-15 | 전주범 | 텔레비젼의 위치 이동장치 |
KR20100074936A (ko) * | 2008-12-24 | 2010-07-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 장치 |
KR101581953B1 (ko) * | 2009-06-24 | 2015-12-3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기기 |
KR101169192B1 (ko) * | 2009-12-07 | 2012-07-26 | 어드밴인터내셔널코프 | 배터리 팩이 구비된 이동식 의료용 모니터 |
JP5858501B1 (ja) * | 2014-10-30 | 2016-02-10 |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 表示装置およびpos端末装置 |
-
2020
- 2020-03-31 KR KR1020200039138A patent/KR10239512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2
- 2022-03-31 KR KR1020220040307A patent/KR10241320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2-03-31 KR KR1020220040308A patent/KR10247328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2-03-31 KR KR1020220040306A patent/KR102473285B1/ko active IP Right Review Reques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241903A (ja) | 2007-03-26 | 2008-10-09 | Bank Of Tokyo-Mitsubishi Ufj Ltd | 表示装置用スタンド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45132A (ko) | 2022-04-12 |
KR20210121809A (ko) | 2021-10-08 |
KR102473285B1 (ko) | 2022-12-05 |
KR102473286B1 (ko) | 2022-12-05 |
KR20220044922A (ko) | 2022-04-12 |
KR20220045131A (ko) | 2022-04-12 |
KR102395124B1 (ko) | 2022-05-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13201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2446903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2367837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EP3081134B1 (en) | Robot cleaner | |
KR102456106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2415552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TW201828282A (zh) | 語音控制裝置、系統及控制方法 | |
US9591109B2 (en) | Mobile terminal | |
KR102308450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2206242B1 (ko) | 이동 단말기 | |
KR20190103878A (ko) | 전자 기기 | |
CN109391730A (zh) |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 |
CN105723692A (zh) |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 |
KR102344046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US20230243460A1 (en) | Display device | |
KR102719303B1 (ko) | 단말기 무선충전 거치대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
US20230291233A1 (en) | Wireless charging cradle for terminal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 |
JP2019010710A (ja) | ロボット展示装置、ロボット展示システム、ロボット展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KR20220129078A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2316881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US20230232237A1 (en) | Home Toy Magic Wand Management Platform Interacting with Toy Magic Wands of Visitors | |
KR20090133024A (ko) | 휴대 단말기 | |
KR20090049428A (ko) | 신호발생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