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3029B1 - 프로젝터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프로젝터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3029B1
KR101483029B1 KR20080074810A KR20080074810A KR101483029B1 KR 101483029 B1 KR101483029 B1 KR 101483029B1 KR 20080074810 A KR20080074810 A KR 20080074810A KR 20080074810 A KR20080074810 A KR 20080074810A KR 101483029 B1 KR101483029 B1 KR 101483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rojector
display area
bodies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74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3128A (ko
Inventor
최현보
매튜 디해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90013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3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3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3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6Projecting separately subsidiary matter simultaneously with main image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본체로부터 이격된 이미지 표시 영역에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빔을 조사하는 프로젝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젝터는 상기 이미지의 표시 중 어느 일 작동모드가 실행되면 상기 이미지 표시영역에 상기 작동모드의 실행을 알리는 알림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빔을 조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미지의 표시 중에 작동 모드가 실행된 것을 프로젝터의 이미지 표시 영역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작동 모드의 실행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프로젝터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PORTABLE TERMINAL HAVING PROJECTOR AND CONTROLLING METHOOD OF THE SAME}
본 발명은 프로젝터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고 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휴대 단말기가 멀티미디어 기기의 형태로 구현됨에 따라, 카메라 모듈, 방송 수신 모듈 등 휴대 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 이외의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전자 부품들이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프로젝터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이미지의 표시 중에 작동 모드가 실행된 것을 프로젝터의 이미지 표시 영역에 표시하여 작동 모드의 실행을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본체로부터 이격된 이미지 표시 영역에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빔을 조사하는 프로젝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젝터는 상기 이미지의 표시 중 어느 일 작동모드가 실행되면 상기 이미지 표시영역에 상기 작동모드의 실행을 알리는 알림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빔을 조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개시한다.
상기 본체는 지지면에 지지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이미지 표시 영역은 상기 본체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되는 스크린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힌지부에 의해 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및 제2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젝터는 상기 힌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프로젝터는 제1 및 제2바디가 언폴딩 상태에서 서로 마주하는 면에 의해 한정되는 제1방향과, 상기 제1방향과 반대 방향을 갖는 제2방향을 향해 빔을 조사하도록 회전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바디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제1방향을 향하는 빔이 조사 되는 내장형 스크린이 인출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내장형 스크린은 상기 제1 및 제2바디 중 어느 하나에서 인출되며, 일단이 상기 제1 및 제2바디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1 및 제2바디가 서로 일정 각도를 이룬 상태에서 지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바디의 상대 이동을 상기 각도에서 정지시키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모드는 전화수신 모드 또는 메시지수신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알림 이미지는 발신자의 이름, 전화번호, 사진, 이미지 및 메시지 내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이미지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젝터는 상기 이미지 표시 영역에 터치 또는 음직임에 의해 입력 가능한 가상 이미지를 표시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터치 또는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싱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프로젝터에 의해 조사된 이미지의 초점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초점 제어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빔을 조사하여 본체로부터 이격된 이미지 표시 영역에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이미지의 표시 중 어느 일 작동 모드를 실행함과 아울러, 상기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표시 영역에 상기 작동모드의 실행을 알리는 알림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스크린 상에 프로젝터에 의해 형성된 이미지의 표시 중 작동 모드가 실행된 것을 이미지 표시 영역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작동 모드의 실행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젝터를 제1 및 제2바디의 힌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복수의 방향에 위치한 이미지 표시 영역 상에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출 가능한 내장형 스크린을 구비함으로써, 빔의 조사 위치에 제약을 받지 않고 프로젝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젝터가 입력 가능한 가상 이미지를 스크린 상에 형성시키도록 함으로써, 보다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휴대 단말기(100)는 제1바디(110)와, 제1바디(110)에 적어도 일측이 폴딩 또는 언폴딩되게 구성된 제2바디(120)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바디(110,120)는 힌지부(13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바디(110)가 제2바디(120)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폴딩 상태(folding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110)가 제2바디(120)에 대해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회전된 상태를 언폴딩 상태(unfolding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는 폴딩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언폴딩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제1바디(11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에 의해 형성되며,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바디(11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11)에는 제1디스플레이부(113)와 음향출력부(114)가 배치될 수 있다.
제1디스플레이부(113)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며,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게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음향출력부(114)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는 리시버(114)로 통칭하기로 한다.
제2바디(120)는 제1바디(110)와 마찬가지로, 프론트 케이스(121)와 리어 케이스(122)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제2바디(12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21)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1 및 제2조작부(123,124)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조작부(123,124)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는다.
프론트 케이스(121) 또는 리어 케이스(12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조작부(125), 음향 입력부(126), 인터페이스(127)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조작부(123,124,125)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조작부(123)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조작부(124)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3조작부(125)는 영상입력부(115,도 3 참조)의 활성화, 제1음향출력부(114)의 음량 조절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음향 입력부(126)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127)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 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127)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127)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리어 케이스(122) 측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28)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28)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힌지부(130)에는 영상 입력부(131)와 프로젝터(14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영상 입력부(115)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영상 입력부(115)는 복수의 방향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힌지부(13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고, 제1 또는 제2바디(110,120) 상에 장착될 수도 있다.
프로젝터(140)는 단말기 본체, 즉 제1 및 제2바디(110,120)로부터 이격된 이미지 표시 영역에 빔을 조사하여 이미지 표시 영역에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LCD 프로젝터, 레이저 프로젝터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젝터(140) 또한 힌지부(13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복수의 방향에 위치한 이미지 표시영역에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제1바디(110)의 리어 케이스(112) 측에는 제2디스플레이부(115)가 장착될 수 있다.
제2디스플레이부(115)는 제1디스플레이부(113)와 마찬가지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며, 기능적으로 제1디스플레이부(113)의 보조 디스플레이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화 대기 모드에서 전화가 걸려왔을 때 상대방의 전화 번호를 표시할 수 있으며, 메세지 수신시 메세지의 내용을 표시할 수도 있다.
제2바디(120)의 리어 케이스(122)에는 제2음향출력부(129)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음향출력부(129)는 제1음향출력부(114,도 1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2바디(120)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3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132)는 제2바디(120)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작동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휴대 단말기의 평면도이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바디(110,120)는 지지면에 지지 가능하게 장착되며, 프로젝터/는 제1 및 제2바디(110,12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스크린(150) 또는 벽 상에 빔을 조사한다. 이에 따라 스크린(150) 상의 이미지 표시영역에는 프로젝터(140)에 의해 조사된 빔에 의해 이미지(151)가 표시된다. 도 4에서 화살표는 프로젝터(140)로부터 조사된 빔의 경로를 나타낸다.
프로젝터(140)는 제1 및 제2바디(110,120)가 폴딩 상태에서 서로 마주하는 면에 의해 한정되는 제1방향(①,도 5 참조)와 제1방향(①)과 반대 방향을 갖는 제2방향(②)을 향해 빔을 조사하도록 회전 이동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프로젝터(140)가 제2방향(②), 즉 제1디스플레이부(113), 제1 및 제2조작부(123,124)가 위치한 면의 반대 방향을 향해 빔을 조사하여, 제2방향(②)에 위치한 스크린(150)에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프로젝터(140)가 제2방향(②)을 지향하고 있는 경우에 스크린(150)과 휴대 단말기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대화면을 구현할 수 있으며, 여러 명의 사람이 스크린 상에 나타난 이미지를 함께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프리젠테이션(Presentation)을 수행할 수도 있고, 여러 명이 함께 영화 감상을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3조작부(125)는 이미지(151)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어키를 조작하여 스크린(150)상에 표시된 이미지(151)의 다음 이미지 또는 이전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고, 재생중인 화면을 정지시키거나 이미지의 크기를 확대 또는 축소시킬 수도 있다.
이미지 출력의 제어는 제3조작부(125) 뿐만 아니라, 제1 및 제2조작부(123,124)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113,115)가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이들을 터치함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제1 및 제2바디(110,120)는 지지면에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서 로 일정 각도를 이루며 지지면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힌지부(130)는 제1 및 제2바디(110,120)가 폴딩 상태에서 회전되었을 때, 제1각도(α)에서 제1 및 제2바디(110,120)의 상대 회전을 정지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는 제1각도(α)에서 제1 및 제2바디(110,120)을 언폴딩 상태로 상대 회전시켰을 때 사용자의 얼굴 각도에 대응되는 제2각도(β)에서 제1 및 제2바디(110,120)의 상대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토퍼가 제1 및 제2각도(α,β)에서 제1 및 제2바디(110,120)의 상대 이동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되는 경우, 휴대 단말기는 제1각도(α)에서 프로젝션 모드로 작동될 수 있고, 제2각도(β)에서 전화 통화 모드로 작동될 수 있다.
한편, 힌지부(130)는 상기와 같은 구성뿐만 아니라 임의의 각도에서 제1 및 제2바디(110,120)의 상대 회전이 정지될 수 있는 프리스톱 힌지와 같은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작동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휴대 단말기의 평면도이다.
휴대 단말기는 프로젝터(140)가 제1방향(①)을 지향하는 경우에 프로젝터(140)에서 나온 빔이 조사되는 내장형 스크린(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내장형 스크린(160)은 제2바디(120)에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며, 인출시에 일단에 제1바디(110)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내장형 스크린(160)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스크린 본체(161)와, 스크린 본체(161) 상에 부착되는 스크린 부재(162)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 본체(161)에는 인출시에 제1바디(110)을 향하여 회전 동작이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부(163)가 구비될 수 있으며, 스크린 본체(161)의 일단에는 제1바디(110)과 결합이 가능하도록 결합부(164)가 구비될 수 있다. 결합부(164)는 탈착 가능한 구성이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가능하며, 그 일예로서 제1바디(110)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스크린 부재(162)는 프로젝터(140)로부터 나온 빔이 보다 선명한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스크린 본체(161)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내장형 스크린(140)은 상기와 같은 힌지 연결부(163)를 가지는 뿐만 아니라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인출시 제1바디(110) 방향으로 변형되어 제1바디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프로젝터(140)가 제1방향(①)을 향해 빔을 조사하여 내장형 스크린(160) 상에 이미지가 표시되는 경우,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 개인이 동영상, 사진 등을 감상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영상 입력부(131)의 뷰 파인더(view finder)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영상 입력부(131)의 지향 방향과 사용자의 시선 방향이 반대 방향을 가질 때 사용자는 영상 입력부(131)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내장형 스크린(140)을 통하여 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내장형 스크린(140)이 제1바디(110)에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기초로 설명하였으나, 내장형 스크린(140)은 제2바디(120)에서 인출되어 제1바디(110)에 결합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휴대 단말기는 프로젝터(140)에 의해 조사된 이미지의 초점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초점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초점 제어 유닛은 거리 센서 또는 모션 센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초점 제어 유닛으로서 거리 센서가 사용되는 경우, 거리 센서는 초음파, 레이저, 적외선 센서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거리 센서는 조사된 이미지의 초점을 조절하기 위해 스크린(150) 또는 내장형 스크린(160)과의 거리를 측정한다.
초점 제어 유닛은 프로젝터(140) 상에 장착되거나, 제1 또는 제2바디(110,120) 상에 장착될 수 있으며, 영상 입력부(131)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의 초점 또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스크린의 정면도이다.
프로젝터(140)는 이미지(151a,151b)의 표시 중 어느 일 작동모드가 실행되면, 이미지 표시영역에 작동모드의 실행을 알리는 알림 이미지(152a,152b)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젝터(140)는 이미지 표시 모드의 작동 중에 이미지 표시 모드와 다른 작동모드가 실행되는 경우, 사용자가 이를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스크린(150) 상에 알림 이미지(152a,152b)를 표시할 수 있다.
작동모드의 일예로서, 전화수신 모드, 메시지 수신 모드 등의 무선 통신과 관련된 작동모드(주로는 무선 신호의 수신과 관련된 작동모드)를 들 수 있으며, 설정된 시각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람 모드 등의 휴대 단말기의 시스템 정보를 알리기 위한 작동 모드를 들 수 있다.
도 6a는 프로젝터(140)의 이미지(151a) 표시 중 휴대 단말기에 전화가 걸려온 경우, 프로젝터(140)가 이를 시각적으로 알리는 알림 이미지(152a)를 스크린(150)에 표시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알림 이미지(152a)는 발신자의 이름, 전화번호, 사진, 이미지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알림 이미지(152a)는 스크린(150) 상에 표시된 이미지(151a) 상에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알림 이미지(152)가 스크린(150) 상의 이미지(151a)와 중첩되게 표시되는 경우, 현재 표시중인 이미지(151a)는 알림 이미지(151a)보다 흐리게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 표시모드가 동영상 실행인 경우, 휴대 단말기는 동영상의 실행을 중지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도 6b는 프로젝터(140)의 이미지(151a) 표시 중 휴대 단말기에 문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프로젝터(140)가 이를 시각적으로 알리는 알림 메시지(152b)를 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여기서, 알림 이미지(152b)는 메시지의 발신 번호, 발신인, 및 메시지의 내용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그리고, 알림 이미지(152b)는 이미지 표시 영역의 일 영역에 표시되고, 현재 표시 중인 이미지(151b)는 이미지 표시 영역의 다른 영역에 축소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이미지 표시 영역은 분할되어 일측에는 알림 이미지(152b)가 표시되고, 타측에는 현재 표시 중인 이미지(151b)가 표시될 수 있다.
알림 이미지(152a,1562b)는 상기와 같은 방식 뿐만 아니라, 현재 표시 중인 이미지(151a,151b)를 대체하여 표시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이미지 표시 영역의 전 영역에 알림 이미지(152a,152b)가 표시되고, 현재 표시 중인 이미지(151a,151b) 표시는 중지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작동모드가 설정된 시각을 알리는 알람모드인 경우에 알림 이미지는 설정된 시각 또는 시각에 관련된 시각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7a 및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스크린의 정면도이다.
프로젝터(140)는 이미지 표시 영역에 터치 또는 움직임에 의해 입력 가능한 가상 이미지(153c,153d)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는 가상 이미지(153c,153d) 상에 가해진 터치 또는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싱 유닛(176,도 8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 유닛(176)이 가지는 구성의 일예로서, 센싱 유닛은 적외선 센서와 신호 처리부를 갖는 영상 입력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는 가상 이미지(153c,153d) 상에 위치하는 손가락의 움직임을 트레킹하여 그 입력 여부를 센싱하며, 영상 입력부(131)는 가상 이미지(153c,153d) 상에 위치하는 손의 각도 및 움직임을 촬영하여 좌표 신호로 입력한다. 신호 처리부는 좌표 신호를 필터링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며, 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70, 도 8 참조)는 입력된 디지털 신호를 근거로 이미지(151c,151d)의 출력을 제어한다.
도 7a와 같이, 가상 이미지는 이미지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아이 콘(153c)을 포함할 수 있으며, 컨트롤 아이콘(153c)은 현재 표시 중인 이미지의 다음 또는 이미지의 표시, 출력된 이미지의 크기의 확대 또는 축소, 동영상의 재생, 정지 등을 실행하기 위한 아이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의 프로젝터(140)를 사용하여 프리젠테이션을 하는 경우, 발표자는 스크린(150) 상의 컨트롤 아이콘(153c)을 터치함으로써 현재 표시 이미지의 다음 이미지를 스크린(150) 상에 나타낼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가상 이미지는 문자, 숫자, 기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 아이콘(153d)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스크린(150) 상에 나타난 키패드 아이콘(153d)을 터치하거나, 키패드 아이콘(153d) 상에 움직임을 가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에 문자, 숫자 등을 입력할 수 있으며, 스크린(150) 상에 표시된 출력 윈도우(151d)를 통해 이들을 출력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관련된 프로젝터가 폴더 형태의 단말기의 힌지부에 장착되는 것을 기초로 설명하였으나, 프로젝터는 그 외에도 휴대 단말기의 다양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관련된 프로젝터는 바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형태의 휴대 단말기에 그 적용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무선통신 모듈(171), 조작부(123,124,125), 영상 입력부(131), 음향입력부(125), 디스플레이부(113,115), 음향출력부(114,129), 센싱유닛(176), 인터페이스(127), 방송 수신 모듈(175), 메모리(174), 전원공급부(128), 제어부(170)을 포함한다.
제어부(17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통상적인 기능 제어 이외에 추가적으로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70)는 프로젝터(140)에 이미지 출력을 위한 신호를 전송한다. 프로젝터의 이미지 표시 모드 중, 제어부는 어느 일 작동 모드의 실행과 아울러 에 작동 모드의 실행을 알리는 알림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프로젝터(14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작동 모드가 전화 수신 모드인 경우, 무선 통신 모듈(171)의 수신부(172)로부터 무선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70)는 전화 수신 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신호를 휴대 단말기의 각 구성 요소,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113,115), 음향 출력부(114,129)에 전송한다. 여기서, 휴대 단말기가 진동 모드인 경우 프로젝터에 의해 조사된 이미지가 진동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어부(170)는 진동 모드가 작동되지 않도록 휴대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전화 모드의 실행을 알리는 알림 이미지(152a,도 6a 참조)를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프로젝터(140)에 전송한다.
무선 통신 모듈(171)은 안테나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173)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172)를 포함한다.
조작부(123,124,125)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170)에 제공한다. 조작부(116,123,124)는 프로젝터(140)에 의해 조사된 이미지의 실행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키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영상입력부(13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부(113)로 출력된다.
영상입력부(13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144)에 저장되거나 무선 송수신부(141)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된다.
음향입력부(126)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무선 통신 모듈(171)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무선 통신 모듈로 출력된다. 녹음 모드인 경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174)에 저장되도록 출력된다.
음향입력부(126)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3)는 휴대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 출력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UI,GUI를 표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된다.
음향 출력부(114,129)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무선 통신 모듈(171)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174)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14,129)는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센싱 유닛(176)은 휴대 단말기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센싱 유닛(176)은 전원 공급부(128)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 페이스(127)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센싱 유닛(176)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가상 이미지(153c,153d,도 7a 및 7b 참조) 상에 가해진 터치 또는 움직임을 감지하여 제어부(170)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초점 제어 유닛(177)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프로젝터(140)에 의해 조사된 이미지 또는 영상 입력부(131)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의 초점을 조절한다.
인터페이스(127)는 휴대 단말기 이외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을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127)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메모리(174)는 제어부(17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74)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이러한 메모리(174)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드 디스크,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플래시 메모리, 램, 롬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
방송 수신 모듈(175)은 위성 또는 지상파 등을 통하여 전송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출력부(114,129), 디스플레이부(113), 프로젝터(140)에 출력 가능한 방송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부(170)에 출력한다. 또한 방송 수신 모듈(175)은 방송과 관련된 부가 데이터(예를 들면, EPG(Electric Program Guide), 채널 리스트 등)를 수신한다. 방송 수신 모듈(175)에서 변환된 방송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는 메모리(174)에 저장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28)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와 같은 프로젝터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프로젝터의 제어 방법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작동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휴대 단말기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작동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휴대 단말기의 평면도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스크린의 정면도
도 7a 및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스크린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Claims (16)

  1.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본체로부터 이격된 이미지 표시 영역에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빔을 조사하는 프로젝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젝터는 상기 이미지의 표시 중 어느 일 작동모드가 실행되면, 상기 이미지 표시영역에 상기 작동모드의 실행을 알리는 알림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빔을 조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지지면에 지지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이미지 표시 영역은 상기 본체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되는 스크린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힌지부에 의해 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및 제2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젝터는 상기 힌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는 제1 및 제2바디가 언폴딩 상태에서 서로 마주하는 면에 의해 한정되는 제1방향과, 상기 제1방향과 반대 방향을 갖는 제2방향을 향해 빔을 조사하도록 회전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바디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제1방향을 향하는 빔이 조사되는 내장형 스크린이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형 스크린은 상기 제1 및 제2바디 중 어느 하나에서 인출되며, 일단이 상기 제1 및 제2바디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1 및 제2바디가 서로 일정 각도를 이룬 상태에서 지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바디의 상대 이동을 상기 각도에서 정지시키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모드는 전화수신 모드 또는 메시지수신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알림 이미지는 발신자의 이름, 전화번호, 사진, 이미지 및 메시지 내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모드는 설정된 시각을 알리는 알람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알림 이미지는 상기 시각 또는 상기 시각에 관련된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이미지는 상기 이미지에 중첩되어 표시되거나, 상기 이미지를 대체하여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이미지는 상기 이미지 표시 영역의 일 영역에 표시되고,
    상기 이미지는 상기 이미지 표시 영역의 다른 영역에 축소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이미지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는 상기 이미지 표시 영역에 입력 가능한 가상 이미지를 표시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가상 이미지 상에 가해지는 터치 또는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싱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이미지는 상기 이미지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아이콘 또는 문자, 숫자, 기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 아이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에 의해 조사된 이미지의 초점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초점 제어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6.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빔을 조사하여 본체로부터 이격된 이미지 표시 영역에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의 표시 중 어느 일 작동 모드를 실행함과 아울러, 상기 프로젝 터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표시 영역에 상기 작동모드의 실행을 알리는 알림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080074810A 2007-07-30 2008-07-30 프로젝터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4830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5267107P 2007-07-30 2007-07-30
US60/952,671 2007-07-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128A KR20090013128A (ko) 2009-02-04
KR101483029B1 true KR101483029B1 (ko) 2015-01-15

Family

ID=40337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74810A KR101483029B1 (ko) 2007-07-30 2008-07-30 프로젝터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926958B2 (ko)
KR (1) KR1014830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24007B2 (en) 2008-07-28 2011-09-20 Embarq Holdings Company, Llc System and method for a projection enabled VoIP phone
US8285256B2 (en) * 2008-07-28 2012-10-09 Embarq Holdings Company, Llc System and method for projecting information from a wireless device
KR101587085B1 (ko) * 2008-08-04 2016-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JP5433274B2 (ja) * 2009-02-25 2014-03-05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
JP5832069B2 (ja) 2009-02-25 2015-12-16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
JP5680833B2 (ja) * 2009-03-26 2015-03-04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
US8356907B2 (en) * 2009-07-25 2013-01-22 Giga-Byte Technology Co., Ltd. Host computer with a projector
CN102549520B (zh) * 2009-08-19 2015-04-08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具备投影仪的信息处理装置
KR20110069526A (ko) * 2009-12-17 2011-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605347B1 (ko) * 2009-12-18 2016-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US8858329B2 (en) * 2010-03-22 2014-10-14 Christine Hana Kim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a dedicated game interface o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projector capability
US20120068940A1 (en) * 2010-09-20 2012-03-22 Pixart Imaging Inc. Electronic device
KR101677637B1 (ko) * 2010-09-29 2016-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투사를 이용한 경로 안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US9791975B2 (en) * 2012-03-31 2017-10-17 Intel Corporation Computing device, apparatus and system for display and integrated projection
US10291571B2 (en) * 2012-11-14 2019-05-14 Facebook, Inc. Mobile full-screen notification user interface
CN105278218B (zh) * 2014-07-10 2019-05-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保护投影设备的散热风扇的方法及装置
KR101838906B1 (ko) 2017-12-08 2018-03-15 (주)신한항업 시점변화에 따른 수집 영상이미지의 통일화 보정 기능의 영상처리시스템
CN110049368A (zh) * 2019-04-26 2019-07-23 北京奇艺世纪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相关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4380B1 (ko) 2006-04-17 2007-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기능을구비한 이동 단말기에서의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622B1 (ko) * 2005-05-25 2008-05-27 삼성전기주식회사 광변조기 및 그 광변조기를 이용한 프로젝터를 구비한휴대용 단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4380B1 (ko) 2006-04-17 2007-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기능을구비한 이동 단말기에서의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926958B2 (en) 2011-04-19
KR20090013128A (ko) 2009-02-04
US20090033877A1 (en) 200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3029B1 (ko) 프로젝터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EP2106100B1 (en) Slide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545588B1 (ko) 프로젝팅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
KR101427264B1 (ko) 휴대 단말기
KR101728387B1 (ko) 휴대 단말기
KR10174044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752417B1 (ko) 이동 단말기 및 디바이스 제어방법
KR101454238B1 (ko) 확장 모듈 및 그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1741398B1 (ko) 이동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
KR10174139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KR101498061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1598226B1 (ko) 방송 콘텐츠 관련 데이터 전송 방법, 방송 콘텐츠 표시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520690B1 (ko) 휴대용 단말기
KR101613942B1 (ko) 이어셋 및 그와 통신 가능한 휴대 단말기
KR20100088983A (ko) 휴대 단말기
KR101711867B1 (ko) 이동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101548998B1 (ko) 이동 단말기
KR101595358B1 (ko) 휴대 단말기
KR101583802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595347B1 (ko) 슬라이드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584547B1 (ko) 휴대용 단말기
KR101545594B1 (ko) 휴대 단말기
KR101415767B1 (ko) 신호발생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57173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74430B1 (ko)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