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5188B1 - 전기 잭 - Google Patents

전기 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5188B1
KR100975188B1 KR1020030028487A KR20030028487A KR100975188B1 KR 100975188 B1 KR100975188 B1 KR 100975188B1 KR 1020030028487 A KR1020030028487 A KR 1020030028487A KR 20030028487 A KR20030028487 A KR 20030028487A KR 100975188 B1 KR100975188 B1 KR 100975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opening
housing
shaped
lead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8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7538A (ko
Inventor
다까다쇼이찌
기히라사또루
와시노기요시
후까미쯔요시
가또마사또
Original Assignee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87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7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5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5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6Means for preventing chafing or fracture of flexible leads at outlet from coupling part
    • H01R13/562Bending-reliev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H01R13/43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by stamped-out resilient tongue snapping behind shoulder in base or c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01Connector hood or shell
    • Y10S439/902Angularly disposed contact and conductor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부착시 또는 사용시에 기계적인 변형을 받아도 접촉 불량을 일으키기 어려운 잭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잭의 콘택트(3, 4)와 리드선(51, 52)과의 전기적 접합을 압착에 의해 행하고, 이 압착부(3c, 4b)를 기계적인 변형에 노출되기 어려운 잭의 하우징(1) 내에 배치하고, 또한 잭으로부터 연장되는 리드선(51, 52)에 의해서도 이 압착부(3c, 4b)에 기계적인 힘을 작용하기 어려운 구조로 하였다.
콘택트, 리드선, 압착부, 하우징, 쐐기형 융기부, 슬릿

Description

전기 잭 {ELECTRIC JACK}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잭의 조립 순서(콘택트의 삽입)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잭의 조립 순서(다른 하나의 콘택트의 삽입)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잭의 조립 순서(콘택트 기저부 근방의 굽힘 가공)를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잭의 조립 순서(압착부의 수납)를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잭의 조립 순서(커버의 결합)를 도시한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잭의 조립 순서(조립 완성)를 도시한 사시도.
도7은 도6의 전원 잭을 표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8은 도5의 커버를 이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9는 하우징을 이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10은 J자형 콘택트의 사시도.
도11은 도9의 평면도
도12는 도11의 A-A선 단면도.
도13은 도11의 B-B선 단면도.
도14는 도11의 C-C선 단면도.
도15는 중공 기둥 형상 콘택트의 전류량과 온도 상승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1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인 잭을 적용한 전기 기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3, 4 : 콘택트
5, 8, 11 : 격벽
7 : 콘택트 삽입 개구
9, 10 : 콘택트 삽입실
12, 13 : 압착부 수납부
16 : 접촉 개구부
18 : 랜스
19, 47 : 슬릿
20 : 단차부
36 : 안내 홈
37 : 스토퍼
38 : 융기부
42 : 커버
45, 46 : 오목부
48 : 쐐기형 융기부
51, 52 : 리드선
본 발명은,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등의 휴대형 전자 기기에 사용되는 전기적인 신호나 에너지를 전달하는 잭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잭에 이용되는 하우징이나 콘택트 등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전자 기기는 직류로 동작되는 것이 많고, AC 어댑터에 의해 가정용 교류 전원의 전압을 스텝 다운시키는 동시에 직류로 변환하여 휴대용 전자 기기의 전원으로 한다. 대개의 AC 어댑터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전원 잭에 삽입하여 접속하기 위한 플러그가 부착된 케이블을 이용한다. 이러한 전원 잭의 예로서는, 일본 실용신안 공고 평1-12386호 공보에 개시된 전원 잭과 같이 기판에 직접 납땜이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품(일본 실용신안 공고 평1-12386호 공보)의 DC 잭에서는 상대측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시에 억지 삽입 발출에 의해 리드 부착 부위의 땜납부에 크랙이 생겨, 도통 불량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에 비추어, 전원 잭의 콘택트와 그 전원 회로의 접속이 확실하게 행해지는 전원 잭의 접속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 제공하는 전원 잭의 접속 구조는 전원을 공급하는 잭에 한정되지 않고, 전기 신호나 전기 에너지를 전달하는 모든 종류의 잭에 그대로 적용된다. 따라서, 본 목적은 넓게는 잭의 접속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면 된다.
상기 과제 해결을 위해 종래의 잭 구조를 해석한 결과, 땜납을 사용하여 전기적 접속을 행하고 있는 것과, 그 접속 부위가 기계적인 변형에 노출되기 쉬운 것이 주된 원인인 것을 규명하는 데 성공하였다. 그래서, 본 발명의 잭에서는 잭의 콘택트와 리드선과의 전기적 접속을 압착에 의해 행하고, 이 압착부를 기계적인 변형에 노출되기 어려운 잭 하우징 내에 배치하고, 또한 잭으로부터 연장되는 리드선에 의해서도 이 압착부에 기계적인 힘이 작용하기 어려운 구조로 하였다.
또한, 이 잭의 제조에 있어서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잭의 이면에 콘택트 삽입용 개구를 마련하고, 콘택트의 하우징으로의 부착을 쉽게 하고, 일단 부착된 콘택트가 그 기능을 발휘하면서 하우징에 고정되는 랜스 등의 결합 및 계지 구조나 상기 개구를 커버에 의해 폐색하여 잭 내의 부품 부착이나 조정의 재실시를 필요로 하지 않는 하우징 구조를 이용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것을 제공한다.
(1) 절연성 하우징과, 이 하우징에 조립된 도전성 콘택트를 구비한 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커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콘택트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그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부와, 상기 잭이 부착되는 기기의 전원 회로에 접속되는 리드선을 압착에 의해 접속하는 압착부와, 상기 하우징을 계지하는 콘택트 계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커버에 의해 덮혀지는 콘택트 삽입 개구와, 상기 압착부에 압착된 리드선이 연장되는 리드선 삽통부와, 상기 콘택트의 상기 콘택트 계지부에 결합하는 하우징 계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콘택트 계지부와 상기 하우징 계지부가 결합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콘택트가 상기 하우징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
본 발명에 관한 잭이 부착되는 기기라 하는 것은, 상기 잭을 전원 잭으로서 이용하는 기기를 포함하면 되고, 예를 들어 노트북형의 퍼스널 컴퓨터를 포함하는 휴대 가능한 전기 기기 등을 들 수 있다. 전원 회로에 접속되는 리드선이라 하는 것은, 예를 들어 상기 전기 기기의 전원 회로에 접속되어 전원용 전력을 전달하는 리드선과 같은 것이면 된다. 일반적으로 리드선은, 도전성 코어 부재를 절연성 피복재로 덮는 선이다. 리드선은, 1개 이상이면 된다. 압착에 의해 접속한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압착 단자에 있어서 단자 부재의 일부를 리드선 등의 코어 부재를 둘러싸도록 하여 절곡하여 그 코어 부재를 고정하는 압착부를 설치하여, 이 고정에 의해 전기적(때때로, 및 기계적)으로 접속을 행하는 것이면 된다. 또한, 리드선을 그 피복재 상으로부터 둘러싸도록 하여 절곡하여 리드선을 기계적으로 고정하는 것을 포함하면 된다. 하우징의 일부가 커버에 의해 덮혀져 있다는 것은, 적어도 일부가 커버로 덮혀짐으로써,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되거나, 전기적 또는 물리적으로 접촉할 수 없게 되는 것을 포함하면 된다. 특히, 하우징에 개구나 오목부가 있는 경우는 커버에 의해 덮혀졌을 때에 이 개구가 폐색되거나, 하우징 내부에 공간이 생기거나 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이 공간은, 하우징 내에 있는 수납용 방(또는 실)이 되는 경우도 있다. 리드선이 연장되는 리드선 삽통부는 리드선이 물리적으로 통과하는 곳이면 되고, 예를 들어 하우징에 오목부나 구멍 등이 있었던 경우 에 그 곳이 리드선 삽통부가 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리드선이 하우징 부재에 매립되어 있었던 경우는, 그 리드선이 통과하고 있는 곳을 리드선 삽통부라 하면 된다. 또한, 이 리드선 삽통부는 하우징에 있는 개구와 이어져 리드선을 하우징 밖으로 꺼내도록 되어 있으면 된다.
콘택트가 고정되는 하우징의 소정 위치라 함은, 적어도 콘택트의 일부가 하우징 내에 삽입되어 있는 위치이면 된다. 콘택트는, 하우징에 대해 그 자유도가 제한되어 있지만,「고정됨」이라 하는 것은 덜걱거림도 없이 예압이 가해져 고정된 상태를 포함하고, 또한 헐거움이나 덜걱거림이 있는 상태를 포함하면 된다. 콘택트와 하우징의 계지 수단은 돌기부, 볼록부, 융기부 등의 부재나, 정, 볼트, 리벳 등을 박았을 때의 박힌 부재 표면보다 돌출된 부분이나, 후크, 미늘, 돌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의 튀어나온 부분과, 이들에 대한 마찬가지로 튀어나온 부분이나, 평탄부, 오목부, 루프 등의 끝이 튀어나온 부분을 받는 부재나 부분이면 되고, 이들에 또한 기계적인 결합 요소 등을 포함하고 있으면 되고, 또한 기계적인, 전기적인, 또는 메카트로닉스적인 결합 기구를 포함하면 되고, 또한 일반적으로 랜스라 불리우는 것을 포함하면 된다. 이들의 계지 수단이 결합되어 있음으로써 콘택트가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는 것은, 콘택트가 하우징의 소정 위치에 있게 되어, 또한 그 위치로부터 탈락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면 된다.
(2) 상기 하우징은, 상기 리드선 삽통부에 형상 및 크기를 맞춘 리드선 삽통 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잭을 제공한다. 리드선 삽통 개구는 하우징에 구비된 개구이면 되고, 리드선 삽통부의 리드선 연장 방향에 구비 된 것이면 된다. 이 개구로부터, 리드선은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어 외부의 접속처(예를 들어, 전원 회로나 단자 등)에 접속되면 된다.
(3) 상기 콘택트는 상기 콘택트 삽입 개구로부터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고, 상기 콘택트 삽입 개구는 상기 리드선 삽통 개구에 이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에 기재된 잭을 제공한다. 이 콘택트 삽입 개구는 콘택트를 하우징 내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하우징 외부로부터 콘택트를 삽입하는 개구이면 된다. 따라서, 콘택트가 삽입되는 데 충분한 크기이면 되고, 또한 삽입시에만 개방하는 개구이면 된다. 예를 들어, 스프링 장치에 의해 압박함으로써, 이른바 2개로 나뉜 도어가 개방하는 구조를 가진 개구를 포함하면 된다. 개구의 형상 등의 형태는 여러 가지이면 되고, 콘택트를 삽입할 수 있는 개구이면 된다. 이 개구가 커버에 의해 덮혀지는 곳에 설치된다고 하는 것은, 이 개구 중 적어도 일부가 커버에 의해 폐쇄되거나 또는 폐색되는 것이면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콘택트 삽입 개구로부터 콘택트가 삽입되었을 때에, 콘택트가 하우징의 소정 위치에 고정된다는 것은, 상기 콘택트가 하우징의 소정 위치에 있게 되어, 또한 그 위치로부터 탈락하지 않는 것이면 되고, 상기 콘택트가 하우징의 소정 위치에 있어, 어느 정도 전후 좌우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포함하면 된다.
(4) 상기 콘택트 삽입 개구는, 상기 커버를 상기 리드선 삽통부의 리드선 연장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폐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 또는 (3)에 기재된 잭을 제공한다. 여기서, 커버를 리드선 연장 방향으로 슬라이드함으로써, 콘택트 삽입 개구가 폐색된다는 것은, 리드선의 연장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자유도를 갖는 슬라이드 기구를 커버와 그 지지 부재가 갖고 있는 것을 포함하면 된다. 이러한 폐색 기구를 가역적으로 개방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 한번 폐색해도, 재차 내부를 점검 또는 보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기구로 하면, 리드선을 갖고 잭을 움직이게 한 경우라도, 커버를 밀어 개방하는 힘이 작용하기 어렵다고 생각된다. 슬라이드하는 커버에는 로크 기구를 부착하여, 한번 폐색하면 개방하기 어려운 구조로 할 수도 있다.
(5) 리드선을 거쳐서 전기적인 에너지 공급부 또는 수요부에 접속되는 잭에 있어서, 상기 잭은 상기 잭에 접속되는 외부 단자와 접촉하고, 상기 리드선과 압착에 의해 접속되는 압착부를 갖는 콘택트와, 상기 콘택트를 삽입하기 위한 콘택트 삽입 개구와, 콘택트 삽입실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콘택트 삽입 개구를 상기 콘택트가 상기 콘택트 삽입실에 삽입된 상태에서 폐색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압착부가 수납되는 압착부 수납 통로와, 상기 압착 수납 통로로부터 리드선을 하우징 외부로 연장하는 리드선 삽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을 제공한다.
여기서, 전기적인 에너지 공급부라 함은, 예를 들어 전원 회로를 포함하면 되고, 또한 전기적 신호를 공급하는 회로 등을 포함하면 된다. 이러한 에너지 공급부는 잭으로부터 전달된 전기 에너지 등을 상기 회로 등에 공급해도 되고, 반대로 전기 에너지 등을 잭 쪽에 공급해도 된다. 전기 에너지의 수요부라 함은, 전기 에너지를 소비하는 회로나 부품 등이며, 잭에 삽입된 플러그 등의 외부 단자 경유로 잭에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또한 이 리드선을 통하여 전달하는 리드선의 접속 처인 것이면 된다. 이 외부 단자에 접촉하는 콘택트라 함은, 접촉자라고도 할 수 있고, 전달해야 할 것(예를 들어, 전기 에너지)을 접촉에 의해 전달하는 부재, 부품, 또는 그 밖의 요소를 포함하면 된다. 압착이라 함은, 접속해야 할 도선을 금속판 등의 도전성 부재 또는 부품 등에 의해 체결함으로써, 동일한 도전성 부재 등의 탄성을 이용하여 도선과 도전성 부재 등과의 접촉 압력을 보유 지지함으로써, 전달해야 할 것(예를 들어, 전기 에너지)을 전달하는 접속 방법을 포함하면 된다. 이러한 압착이 행해지는 부위나 장소나 부분을 압착부라 하면 되고, 콘택트는 이 압착부를 갖는다. 콘택트 삽입 개구는, 상기 커버에 의해 적어도 그 일부가 폐색시킬 수 있는 개구를 의미해도 좋다. 콘택트 삽입 개구라 함은, 이 콘택트를 하우징 내부에 삽입하기 위한 개구이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또한, 콘택트 삽입실이라 함은, 콘택트를 보유 지지 또는 수납하는 장소를 포함하는 공간이며, 하우징 내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면 된다. 콘택트는 그 일부가 이 콘택트 삽입실에 삽입, 보유 지지, 수납 등에 의해 배치되면 된다. 이에 의해, 콘택트가 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다. 단, 이 고정의 의미는 상술한 설명과 마찬가지로, 전혀 움직이지 않는 고정으로부터 어느 정도의 자유도를 갖고 다소 움직일 수 있는 고정까지를 포함하면 된다. 콘택트 삽입 개구는 콘택트가 삽입실에 배치된 상태에서 커버에 의해 폐색될 수 있다. 즉, 콘택트 삽입 개구는 콘택트가 삽입실에 배치된 상태에서, 이 커버가 상기 개구를 폐색하는 데 있어 장해가 되는 것이 실질적으로 없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커버는 직사각형, 원형, 임의의 형상을 가진 판형인 것이면 되고, 또한 덮개 형상, 모자 형상, 그물형의 소쿠리 형상 등, 임의의 3차원 형상을 취할 수 있어, 재질도 이러한 기능을 유지하는 한, 유기, 무기, 금속 재료 등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단, 절연성 재료가 보다 바람직하다.
(6) 상기 콘택트는, 제1 리드선과 제1 압착부에 있어서 압착에 의해 접속된 중공 기둥 형상 콘택트를 포함하고, 상기 콘택트 삽입 개구는 상기 중공 기둥 형상 콘택트를 삽입하기 위한 제1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5)에 기재된 잭을 제공한다.
여기서, 제1 리드선이라 함은 중공 기둥 형상 콘택트 및 이에 접속되는 단자나 선(도선을 포함함)에 오로지 접속되는 리드선인 것이면 된다. 따라서, 가령 반대극의 콘택트가 있었던 경우는, 이 반대극의 콘택트와는 접속되지 않는 리드선을 포함해도 좋다. 제1 압착부라 함은, 다음에 서술하는 제2 압착부와 구별하기 위해서이며, 중공 기둥 형상 콘택트에 접속되어 있다. 중공 기둥 형상 콘택트는, 예를 들어 판재를 프레스 등에 의해 절곡하여 통형으로 한 것과 같이, 기둥 안이 공동이 된 형상을 포함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이 때, 기저부에 개구가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방열성이 올라간다고 생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기저부라 함은 기둥형 형상의 단부 근방으로, 제1 압착부에 가까운 쪽이면 된다. 기저부의 반대측 선단부는 기저부와 달리 폐쇄되어 있어, 접속 상대의 플러그와의 결합성이 향상되거나, 미관이 양호해진다고도 생각할 수 있다. 중공 기둥 형상 콘택트의 기둥 형상 부분은 한정되는 일 없이, 원주 형상이나 각기둥 형상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또한 수직으로 연장되지 않고 비스듬하게 연장되거나, 도중에 구부러지는 형상이라도 좋다. 이들 형상은, 접속 상대의 형상과 맞추도록 조정된다. 콘택트 삽 입 개구는 이 중공 기둥 형상 콘택트를 삽입하기 위한 제1 개구를 포함하면 되고, 통상 콘택트 삽입 개구는 제1 개구 이상의 크기를 갖는다. 이 제1 개구에는, 이하에 서술하는 기능을 갖는 여러 가지 부재를 배치할 수 있다.
(7) 상기 중공 기둥 형상 콘택트는, 상기 제1 압착부를 향하는 상기 중공 기둥 형상의 기저부 근방에 L자형 설편을 갖고, 상기 콘택트 삽입실이 상기 중공 기둥 형상 콘택트를 삽입하는 제1 삽입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개구는 상기 중공 기둥 형상 콘택트를 상기 제1 삽입실에 삽입하도록 개구하고, 상기 제1 삽입실은 상기 중공 기둥 형상 콘택트를 기둥 축에 따라서 삽입시키는 기둥 삽입 개구와, 상기 기둥 삽입 개구의 근방에 상기 L자형 설편에 결합하여 상기 중공 기둥 형상 콘택트의 기둥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을 억제하는 제1 계지부와, 상기 중공 기둥 형상 콘택트의 상기 기둥 삽입 개구로의 삽입시에 상기 L자형 설편에 접촉하여 소정의 위치에 위치하는 제2 계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6)에 기재된 잭을 제공한다.
여기서, L자형 설편은 중공 기둥 형상 콘택트의 기저부 근방에 배치되어, 기둥 축에 대해 대략 직각으로 연장되어 있는 설편을 포함하면 된다. 제1 삽입실은 중공 기둥 형상 콘택트를 삽입할 수 있는 형상을 하고 있고, 통상은 기둥 축 방향에 삽입하는 형상을 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둥 축 방향에 대략 직각인 방향으로 삽입하는 경우를 포함하면 된다. 가령 기둥 축 방향으로 삽입되었다고 하면, 제1 삽입실은 기둥의 단면 형상에 맞춘 형상을 한 제1 개구를 가지면 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기둥 삽입 개구는 기둥의 단면 형상에 맞춘 형상을 하 고 있고, 그 간극은 비교적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의해 중공 기둥 형상 콘택트의 덜걱거림이 작아진다. 상기 L자형 설편은 랜스로서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어, 상기 기둥 삽입 개구의 근방에 설치된 안내용 슬릿에 따라서, 혹은 규정되어 삽입되면 된다. 중공 기둥 형상 콘택트의 기둥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을 억제하는 제1 계지부는 안내용 슬릿의 벽을 포함하면 되고, 때때로 랜스라 불리우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상기 중공 기둥 형상 콘택트를 제1 개구로부터 삽입하고, 그 기둥 부분을 기둥 삽입 개구를 통하여 삽입하고, 중공 기둥 형상 콘택트를 하우징 내의 소정 위치에 배치할 때에, 삽입 진행을 멈추는 제2 계지부를 하우징이 포함하고 있으면 된다. 이 제2 계지부는 상기 L자형 설편에 접촉하여 중공 기둥 형상 콘택트의 진행을 멈추지만, 상기 안내용 슬릿 속에 단차로서 설치할 수 있다. 즉, 슬릿에 의해 회전 방향의 자유도가 제한된 중공 기둥 형상 콘택트의 설편 바닥의 단부가, 예를 들어 이러한 단차에 접촉하여, 중공 기둥 형상 콘택트의 삽입(진행)을 멈출 수 있다.
(8) 상기 중공 기둥 형상 콘택트는, 상기 제1 압착부를 향하는 상기 중공 기둥 형상 콘택트의 기저부 근방에, 기둥 접속 기저부 및 결합 기저부를 갖고, 상기 하우징의 제1 콘택트 삽입실이 상기 결합 기저부를 계지하여 상기 중공 기둥 형상 콘택트의 상기 하우징으로부터의 탈락 방지용의 제3 계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6) 또는 (7)에 기재된 잭을 제공한다.
여기서, 기둥 접속 기저부라 함은, 중공 기둥 형상 콘택트의 중공의 기둥 형상을 한 원통 부분의 기저측 부분이며, 상기 원통 부분의 부재로부터 연속하여 연 장된 부분이면 된다. 이 부분은, 상기 2개의 L자형 설편에 협지되는 위치에 있으면 된다. 또한, 결합 기저부라 함은, 상기 중공 기둥 형상 콘택트의 중공의 기둥 형상을 한 원통 부분의 기저측 단부 또는 변이며, 상기 원통 부분을 바닥면으로부터 올려다 본 도면에 있어서, 상기 기둥 접속 기저부의 대면측에 배치된다. 이 결합 기저부는 하우징의 제3 계지부와 결합하여, 중공 기둥 형상 콘택트의 삽입 방향 역방향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중공 기둥 형상 콘택트의 낙하를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콘택트가 플러그와 결합할 때에 이 중공 기둥 형상 콘택트가 압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상기 제3 계지부라 함은, 하우징이 갖는 돌기물이며, 그 탄성적 성질에 의해 중공 기둥 형상 콘택트가 삽입 중은 기둥 부분의 외벽에 의해 제3 계지부는 후퇴하게 되어 있지만, 일단 중공 기둥 형상 콘택트의 삽입이 완료되어 상기 결합 기저부가 일단 상기 제3 계지부를 지나치게 통과하면, 제3 계지부가 상기 결합 기저부에 결합해야 할 상기 콘택트의 삽입 경로에 모습이 드러나게 되어 좋다. 이들 결합 기저부나 제3 계지부는, 때때로 랜스라 불리우는 경우가 있다.
(9) 상기 콘택트는, 제2 리드선과 제2 압착부에 있어서 압착에 의해 접속된 탄성 가동 접촉자를 갖는 단면 형상이 J자형 콘택트를 포함하고,
상기 콘택트 삽입 개구는, 상기 J자형 콘택트를 삽입하기 위한 제2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5) 또는 (6)에 기재된 잭을 제공한다. 여기서, 탄성 가동 접촉자를 갖는 단면 형상이 J자형이 되는 콘택트라 함은, 탄성에 의해 접촉압을 담보할 수 있는 접촉자를 포함하면 된다. 또한, 그 대략 중앙의 단면 형상이 J자형을 이루고 있는 것을 포함하면 된다. 제2 개구는, 이러한 콘택트를 삽입할 수 있도록 개방한 개구이며, 그 성질은 제1 개구와 대략 동일하다.
(10) 상기 J자형 콘택트는, J자형의 메인 종단면을 구성하는 직사각형 배면판인 직사각형 배면판과, 상기 직사각형 배면판으로부터 전방면에 있는 상기 탄성 가동 접촉자를 향하는 도중에 배치되어 상기 탄성 가동 접촉자에 탄성에 의한 복귀력을 담보하는 하방 굴곡부와, 상기 직사각형 배면의 양측면으로부터 L자형으로 J자형의 전방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측 및 우측의 안내판을 갖고, 상기 콘택트 삽입실이 상기 J자형 콘택트를 삽입하는 제2 삽입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J자형 콘택트를 상기 제2 삽입실에 삽입하도록 개구하고, 상기 제2 삽입실은 상기 J자형 콘택트를 상기 제2 삽입실로 유도하도록 상기 좌측 및 우측의 안내판을 안내하는 각각 좌측 및 우측의 슬릿형 개구인 슬릿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9)에 기재된 잭을 제공한다.
여기서, 직사각형 배면판이라 함은 J자형 콘택트의 세로 절단 단면 형상인 J자형을 한 형상의 우측에 있는 세로로 긴 막대형 형상인 메인 종단면이 배면으로부터 보면, 직사각형으로 보이는 배면판을 의미하면 된다. J자형 콘택트 바닥의 J자에 있어서의 굴곡부 혹은 후크 부분은 직사각형 배면판으로부터 전방면에 있는 탄성 가동 접촉자를 향하는 도중에 배치되어 있고, 탄성 가동 접촉자에 탄성에 의한 복귀력을 담보하고 있으면 된다. 직사각형 배면의 양측면으로부터 L자형으로 연장되는 각 안내판이라 하는 것은, 직사각형 배면의 양측면으로부터 연장된 배면이 대략 직각으로 구부러져 있는 상태라 생각할 수도 있다. 단, 굴곡부의 굴곡을 확보 하기 위해 상기 굽힘부에 절입이 필요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결과적으로, 이들 좌측 및 우측의 안내판은 J자형 콘택트의 이른바 전방면 방향으로 연장되면 된다. J자형 콘택트를 삽입하는 제2 삽입실 및 제2 개구에 대해서는, 상기 중공 기둥 형상 콘택트의 경우와 마찬가지인 조건이 적합하다. 슬릿 개구는 상기 좌우의 안내판을 삽입하고, J자형 콘택트를 원활하게 하우징에 삽입하도록, 안내판의 움직임을 일방향(커버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제한할 수 있다.
(11) 상기 J자형 콘택트는, 상기 좌측 및 우측의 안내판의 하방 선단부의 선단부 엣지와, 대략 평탄한 직사각형 판재로 구성되는 상기 직사각형 배면판에 상기 하우징으로의 삽입 방향에 대해 쐐기형으로 융기하는 쐐기 융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콘택트 삽입실은 상기 제2 삽입실에 삽입되는 상기 J자형 콘택트를 상기 선단부 엣지에 접촉시킴으로써 계지시키는 상기 제2 삽입실의 내벽에 형성되는 제4 계지부와, 상기 쐐기 융기부와 결합하는 상기 제2 삽입실의 내벽으로부터 연장되는 소편(小片)으로 이루어지는 제5 계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0)에 기재된 잭을 제공하다.
여기서, 좌측 및 우측의 안내판의 하방 선단부의 선단부 엣지라 함은, 상기 좌우 안내판의 J자형 콘택트의 삽입 방향에 있어서의 선단부 부분이며, 모서리, 단부, 가장자리 등의 판의 단부를 포함하면 된다. 상기 좌우 안내판을 양측에 갖는 직사각형 배면판은, 대략 평탄한(평평한) 직사각형 판재로 구성된다. 이 직사각형 배면판에 있는 상기 하우징으로의 삽입 방향에 대해 쐐기형으로 융기하는 쐐기 융기부는 선단부 엣지가 있는 부분을 하방으로 표현하면, 이 직사각형 배면판의 하방 으로부터 상방을 향함에 따라서 융기가 점점 커져 가는 쐐기형의 융기부를 포함하면 된다. 또한, 이 쐐기 융기부의 최대 융기 부위를 넘으면 바로 직사각형 배면판 상으로 복귀하는 직각 삼각 형상의 쐐기 융기부를 포함하면 된다. 이 때, 화살촉에 있어서의 미늘이나 돌기와 같이, 상기 최대 융기부와 상기 직사각형 배면판 사이에 간극 또는 공극이 존재하는 경우를 포함하면 된다. 제4 계지부는 제2 삽입실 내벽의 일부이며, 선단부 엣지에 접촉함으로써 J자형 콘택트를 계지시켜, 삽입 방향의 진행을 멈추는 부위 또는 부재를 포함하면 된다. 선단부 엣지는 삽입의 진행 방향에 대해 돌출하고 있고, 이에 접촉하는 제4 계지부는 돌출한 형상이라도, 평탄한 형상이라도, 또한 움푹 패인(오목형) 형상이라도, 선단부 엣지와 결합하는 것이면, 형태에 관계없이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삽입실의 내벽으로부터 연장되는 소편으로 이루어지는 제5 계지부는, 주걱형의 소편이며 J자형 콘택트의 내벽으로부터, 삽입 진행 방향을 하향으로 표현하면, 하부로 향함에 따라서 서서히 직사각형 배면판에 대해 근접하도록 연장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면 되고, 랜스라 불리우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 때, 이러한 소편의 선단부 부분이 상기 쐐기 융기부와 결합하기 위해 양자의 결합 부위는 그 목적에 적합한 형상을 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제5 계지부와 쐐기 융기부는 랜스라 불리우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12) 상기 콘택트는, 제1 리드선과 제1 압착부에 있어서 압착에 의해 접속된 중공이며 기둥 형상을 이루고 있는 콘택트인 중공 기둥 형상 콘택트와, 제2 리드선과 제2 압착부에 있어서 압착에 의해 접속된 탄성 가동 접촉자를 갖는 단면 형상이 J자형이 되는 콘택트인 J자형 콘택트를 포함하고, 상기 콘택트 삽입 개구는 상기 중공 기둥 형상 콘택트를 삽입하기 위한 제1 개구와, 상기 J자형 콘택트를 삽입하기 위한 제2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개구와 제2 개구 사이이며, 상기 제1 압착부와 제2 압착부를 격리하도록 상기 콘택트 삽입 개구의 개구측으로 연장되는 압착부 격리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5)에 기재된 잭을 제공한다.
여기서,「제1 리드선」,「제1 압착부」,「중공 기둥 형상 콘택트」,「제1 리드선」,「제2 압착부」,「J자형 콘택트」,「콘택트 삽입 개구」,「제1 개구」,「제2 개구」에 대해서는 지금까지의 설명과 마찬가지이다. 압착부 격리벽은 제1 개구와 제2 개구 사이에 배치되어, 제1 압착부와 제2 압착부를 격리하도록 넓어지는 벽을 포함하면 된다. 이 압착부 격리벽의 형상이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제1 압착부와 제2 압착부를 전기적으로 절연 상태로 하는 벽이 바람직하고, 벽은 비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콘택트 삽입 개구는 제1 개구와 제2 개구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 압착부 격리벽이 콘택트 삽입 개구에 포함되어 있으면 된다. 이 경우, 이 압착부 격리벽이 제1 개구와 제2 개구의 적어도 일부를 구획하는 벽으로 이루어지면 된다.
(13) 상기 콘택트 삽입 개구가 대략 직사각형 형상이며, 상기 하우징이 상기콘택트 삽입 개구를 규정하는 복수의 변을 갖고, 상기 복수의 변 중 대향하는 적어도 2개의 변 중 적어도 일부에 상기 커버의 측단부와 조합하여 상기 커버를 상기 콘택트 삽입 개구를 폐색하도록 슬라이드시키는 안내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5)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잭을 제공한다.
여기서,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는, 대향하는 대략 직선형의 2변 이외는, 어떠한 형상도 취할 수 있는 개구 형상이 포함되어도 되지만, 규격상의 관점으로부터는 정사각형이나 직사각형과 같은 대략 직각 4변형을 이루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콘택트 삽입 개구를 규정하는 복수의 변을 하우징이 갖는 것은, 하우징의 평면도에 있어서 콘택트 삽입 개구가 그 윤곽 속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면 된다. 하우징의 평면도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보다 바람직하게는 정사각형이나 직사각형과 같은 대략 직각 4변형이면 된다. 대향하는 적어도 2개의 변은, 평행 이외의 관계이면 되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대략 평행한 관계이다. 커버의 측단부는 단순한 엣지부이면 되고, 또한 볼록 형상을 측단부에 따라서 가진 부재이면 된다. 혹은, 측단부에 오목형의 홈 형상을 측단부에 따라서 가진 부재를 포함하면 된다. 이러한 경우, 안내 부재는 이들의 형상에 맞춰, 적절하게 오목 형상, 볼록 형상, 그 밖의 형상을 취하면 되고, 슬라이드 돌기를 포함하여 상기 커버가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간단히 슬라이드할 뿐만 아니라, 상기 안내 부재가 상기 커버를 슬라이드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는 그 자유도를 제한하여, 커버가 하우징으로부터 탈락하지 않는 슬라이드 기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볼록부와 홈의 조합과 같은 것이다.
(14) 상기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잭을 이용한 전자 기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전기 기기는 퍼스널 컴퓨터,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라디오, 카세트, 그 밖의 전자 기기 또는 전기 기기를 포함하면 된다. 또한, 상기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잭을 이용한 박형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를 제공한 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적합한 구체적 형상이나 재료를 예로 든 것이므로,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간단히 본 실시예의 구조 기능을 설명하고, 그 후에, 각 도면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우징(1)의 내부는,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격벽(5)의 상측에 콘택트 삽입 개구부(7)가 배치되어 있다. 격벽(8)에 의해 2종류의 콘택트 삽입실(9, 10)로 구획되어 있다. 압착부 수납부(12, 13)는 격벽(11)에 의해 2개로 구획되어 있다(도9 참조). 격벽(5)에는 콘택트 삽입 구멍의 제1 개구부(14)와 제2 개구부(15)가 형성되고, 각각 제1 삽입실(9)과 제2 삽입실(10)에 연통되어 있다(도13 참조). 제1 삽입실(9)과 제2 삽입실(10)은 격벽(8)의 접촉 개구부(16)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도14 참조). 하우징(1)의 이면(1b)에는 전체를 향하도록 하여 콘택트 삽입 개구부(7)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개구부(14)의 주위에는,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격벽(5)과 일체로 형성된 랜스(18)가 배치되어 있다. 이 랜스(18)의 양측에는 슬릿(19)이 배치되고, 슬릿(19)의 도중에 단차부(20)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개구부(14)에 삽입되는 중공 기둥 형상 콘택트(3)는, 판재의 프레스 가공에 의해 성형된 것으로, 원통형의 콘택트 본체(3a)와, 콘택트 본체(3a)의 기저부 근방에 설치한 한 쌍의 L자형 설편(3b, 3b)과, 리드선(51)(제1 리드선에 상당)과 접속해야 할 콘택트 본체(3a)의 기저부로부터 연장시킨 제1 압착부(3c)를 구비하고 있다. 이 중공 기둥 형상 콘택트(3)의 콘택트 본체(3a)를 L자형 설편(3b, 3b)과 슬릿(19, 19)의 방향을 맞추어 제1 개구부(14)에 삽입하면, L자형 설편(3b, 3b)이 단차부(20, 20)에 접촉하여 콘택트 본체(3a)의 콘택트 수납부(9)로의 진입이 저지되는 동시에, 랜스(18)가 콘택트 본체(3a)의 결합 기저부에 결합하여, 콘택트 본체(3a)의 후퇴도 저지되어 콘택트 본체(3a)가 소정 위치에 보유 지지된다. L자형 설편(3b, 3b)이 슬릿(19, 19)에 협지되어 있으므로, 콘택트 본체(3a)의 회전도 저지된다.
제2 개구부(15)는 단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그 격벽(8)측의 양 구석에는 안내 홈(25, 25)이 표리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도14 참조). 제2 삽입실(10)의 배면의 개구부(16)와 대향하는 부위에는 소편(또는 랜스)(26)이 배치되어 있다. 이 소편(26)은,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의 창(27) 주연으로부터, 단면 へ자형의 박육부를 연장시켜 형성되어 있다.
J자형 콘택트(4)는 판재의 프레스 가공에 의해 성형된 것으로, 콘택트 본체(4a)와, 콘택트 본체(4a)의 기단부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연장시킨 리드선(52)과의 접속을 위한 압착부(4b)로 이루어진다(도10 참조). 콘택트 본체(4a)는 대략 직사각형의 직사각형 배면판(4c)과, 이 양측 모서리로부터 절곡하여 연장되는 안내판(4d, 4d)과, 직사각형 배면판(4c)의 하측 굴곡부에 있어서 되접는 탄성 가동 접촉자(4e)와, 직사각형 배면판(4c)의 중앙부에 설치한 쐐기 융기부(또는 랜스)(4f)를 구비하고 있다. 또, 탄성 가동 접촉자(4e) 선단부의 연장 부재의 양단부를 안 내판(4d, 4d)의 개구부(4g, 4g)에 결합시킴으로써, 플러그의 삽입 발출에 수반하는 탄성 가동 접촉자(4e)의 변동 스트로크를 규제할 수 있다.
이 콘택트(4)를 하우징(1)에 부착하는 경우에는, 절곡 부재(4d, 4d)를 안내 홈(25, 25)에 결합시켜 콘택트 본체(4)를 제2 개구부(15)에 삽입한다(도1 참조). 양 안내판(4d, 4d)의 선단부(선단부 엣지에 상당)가 제2 삽입실(10)의 바닥부 내벽에 접촉하면, 콘택트 본체(4a)의 또 다른 진입이 저지되는 동시에, 랜스(26)가 랜스(4f)에 결합하여 콘택트 본체(4a)의 후퇴가 저지된다. 이에 의해, 콘택트 본체(4a)가 제2 삽입실(10)의 소정 위치에 보유 지지되게 된다. 이 때, 탄성 가동 접촉자(4e)가 격벽(8)의 개구부(16)로부터 정극측의 콘택트 수납부(9) 내로 돌출한다.
하우징(1)에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택트 삽입 개구부(7)의 양측 모서리에 따라서 안내 홈(36)이 한 쌍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격벽(11)의 상면으로 돌출 설치한 스토퍼(37)에도 안내 홈(36)이 한 쌍 형성되어 있다. 격벽(5)의 상면에는 격벽(8)에 이어지는 융기부(38)가 형성되는 동시에, 이 융기부(38)의 선단부에 인접하여 오목부(3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압착부 수납부(12, 13)에 연통한 리드선 삽통부(40, 41)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의 콘택트 삽입 개구부(7)는, 그 양측 모서리에는 슬라이드 돌기부(43)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커버(42)에 의해 폐색된다(도5 참조). 이 슬라이드 돌기부(43)는 커버(1)의 전방단부에 설치한 슬릿(44)의 대향면에도 형성되어 있다. 슬릿(44)의 양측에는 각각의 압착부 수납부와 연통하는 리드선 삽통부에 대 응하는 위치에 간섭 회피용의 오목부(45, 46)가 커버(42)의 이면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1)의 후방단부에도 슬릿(47)이 형성되는 동시에, 이 슬릿(47)의 양측에 쐐기형 융기부(48)와 융기부(49)가 커버(42)의 이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커버(42)를 하우징(1)에 장착할 경우에는, 슬라이드 돌기부(43)를 안내 홈(36)에 결합시켜, 도면 중 화살표 방향으로 커버(42)를 슬라이드시킨다(도5 참조). 커버(42)의 전방단부가 스토퍼(37)까지 도달하면, 슬릿(44)의 슬라이드 돌기부(43)가 스토퍼(37)의 안내 홈(36)에 결합한다. 그 후, 쐐기형 융기부(48)의 경사면이 융기부(38)에 올라 앉아, 쐐기형 융기부의 수직면(48b)이 융기부(38)에 결합되고, 슬릿(44)이 스토퍼(37)에 접촉하여 커버(42)의 슬라이드가 스토퍼(37)와 융기부(38)에 의해 저지되게 된다.
다음에, 이 전원 잭의 조립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미, 2 종류의 콘택트(3, 4)의 압착부(3c, 4b)를 코오킹하여 리드선(51, 52)을 접속해 둔다. 우선,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J자형 콘택트의 콘택트 본체(4a)를 제2 개구부(15)를 통하여 콘택트 삽입실(10)에 삽입 및 고정함으로써, 압착부(4b)를 압착부 수납부(13)에 수납하고, 리드선(52)을 리드선 삽통부(41)로부터 하우징(1) 밖으로 취출한다. 계속해서,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둥 형상의 콘택트 본체(3a)를 기둥 삽입 개구부(14)를 통하여 제1 삽입실(9)에 보유 지지한 후,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곡하여 압착부(3c)를 압착부 수납부(12)에 수납함으로써, 리드선(51)을 리드선 삽통부(40)로부터 하우징(1) 밖으로 취출한다. 마지막으로,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의 콘택트 삽입 개구부(7)에 커버(42)를 장착한다.
이하 각 도면에 대해 설명하면서, 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실시예의 잭 하우징(1)에, 탄성 가동 접촉자를 갖는 단면 형상이 J자형이 되는 콘택트인 J자형 콘택트(4)를 하우징(1)의 이면(1b)에 배치되는 내부에 삽입하기 위한 개구인 콘택트 삽입 개구에 삽입하고자 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하우징(1)은,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의 상자와 같은 형상을 하고 있고, 도면 중 우측 상부에 보이는 이면(1b)과, 이 이면의 4개의 변에 접하는 4개의 측면과, 도1에서는 좌측 하부 방향에서 보이지 않지만, 도7에 있어서 하부 방향에서 보이고 있는 표면(1a)으로 둘러싸여 있다. 4개의 측면 중, 도1의 전방측에서 볼 수 있는 제1 측면은, 대략 중앙부에 창(27)이 마련되고, 그 중에는 두께가 얇아진 소편(또는 랜스)(26)이 배치되어 있다. 이 제1 측면의 옆에 있는 도면 중 하부 방향의 제2 측면에는, 하우징(1)의 이면(1b)측에 이 제2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직사각형의 융기부(60)가 형성되고, 그 융기부(60)의 제2 측면측에 2개의 대략 직사각형의 개구가 마련되어 있다. 이들의 개구는 리드선 삽통 개구(40a, 41a)이며, 각각의 개구에 통하는 리드선 삽통부(40, 41)가 이 융기부 속에 설치되어 있다. 이들 리드선 삽통부(40, 41)는 하우징(1)의 이면 방향으로 개구하고 있고, 상기 융기부를 상기 제2 측면측으로부터 본 경우, W자 형상 혹은 가로로 쓰러진 E자 형상을 하고 있다. 이 E자 형상을 한 부재의 E자의 3개의 개방 선단부에는, 다음에 서술하는 커버(42)를 슬라이드시키는 안내 홈(36)이 오목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 홈(36)은, 상술한 안내 부재의 제1 실시예이며, 하우징(1)의 이면(1b)에 대략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 다. 이 안내 홈(36)의 상측 돌기부(17)는 안내 홈(36)을 형성하는 한 쪽 벽을 형성하고, 후에 서술하는 커버(42)를 안내 홈(36)에 따라서 슬라이드시켰을 때에, 커버(42)가 하우징으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보유 지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E자의 3개의 개방 선단부 중 중앙 선단부(37)는, 후에 서술하는 커버(42)가 슬라이드되어 하우징(1)의 이면(1b)에 있는 개구를 폐색할 때에, 스토퍼(37)로서 기능한다. 이 스토퍼(37)는, 상기 2개의 리드선 삽통부(40, 41) 및 이들 삽통부로 통하는 각각의 압착부 수납 통로를 격리하는 격벽(11) 상에 형성된다.
도1에 있어서, 리드선 삽통 개구부(40a) 및 리드선 삽통부(40)로 상승해 가면, 상기 제1 압착부인 중공 기둥형 콘택트의 압착부를 수납하는 오목부, 즉 압착부 수납부(또는, 제1 압착부 수납 통로)(12)를 경유하여, 중공 기둥형 콘택트의 기저부로부터 제1 압착부로 연장되는 부재를 수납하는 공간(또는 부재 연장부)으로, 또한 중공 기둥형 콘택트를 삽입하는 제1 개구부(14)로 연결되어 간다(도12 참조). 제1 압착부 수납 통로(12) 및 부재 연장부는, 그들의 바닥부를 규정하는 격벽(5)의 이면(1b)측의 융기에 수반하여, 그 깊이가 얕게 되어 있다. 제1 개구부(14)에는 기둥 삽입 개구부(14a)의 주위에, 상기 부재 연장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제3 계지부의 제1 실시예인 소위 랜스(18)가 배치된다. 이 랜스(18)는, 도면 중 하우징 이면(1b)측을 위로 하여 세워져 있는 종단면 형상이 卜자형 혹은 역卜자형의 형상을 한 부재로, 횡단면 형상은 직사각형을 이루고 있다. 이 랜스(18)의 양측에는 슬릿(19)이 설치되고, 랜스(18)가 그 하부에서 하우징(1)에 연속적으로 이어져 있는 부재의 탄성을 이용하여 랜스(18)는 전후로 가동할 수 있다. 이러한 움직임에 필요한 힘을 조정하도록, 상기 랜스(18)의 배면에는 슬릿(18b)이 설치되고, 상기 연속적으로 이어져 있는 부재의 단면적 등이 조정되어 있다. 이 슬릿(18b)은 그 폭에 의해 랜스(18)가 후방(배면측)으로 압박되었을 때에, 랜스(18)를 이동시키는 자유도를 부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기둥형의 콘택트를 기둥 삽입 개구부(14a)에 삽입하였을 때에, 과대한 저항을 생기게 하는 일 없이, 이러한 랜스에 의한 로크 기구를 기능시킬 수 있다. 또한, 랜스(18)의 卜자형 선단부 근방에는, 기둥 삽입 개구부(14a)에 맞추도록 원호형으로 약간 도려내어진 부분이 있으며, 원통형의 중공 기둥형 콘택트(3)를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리드선 삽통 개구부(40a, 41a)라 함은, 반대측의 하우징 측면 근방에는 융기부(38)가 형성되고, 후에 서술하는 커버(42)의 쐐기형 융기부(48)와의 결합에 의한 로크 기구를 구성한다. 콘택트 삽입 개구에 포함되는 제2 개구부(15)는, 그 단면 형상이 J자형으로 보이는 J자형 콘택트(4)를 제2 삽입실(10)에 삽입할 수 있도록 개방하고 있다. J자형 콘택트(4)는 본체 콘택트(4a)와, 제2 압착부(4b)와, 상기 제2 압착부(4b)에서 접속된 리드선(52)(제2 리드선에 상당)을 보유 지지하는 압착부(4h)로 구성된다. 본체 콘택트(4a)는, 후에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그 직사각형 배면판(4c)과, 그 양측에 배치된 안내판(4d)[개구부(4g)를 포함함]을 포함하고 있다. 직사각형 배면판(4c)에는, 그 대략 중앙에 상술한 쐐기 융기 부재의 제1 실시예인 쐐기형으로 융기한 부재(또는 랜스)(4f)가 있으며, 상기 소편(26)과의 결합을 행할 수 있다.
도2는 본 실시예의 잭 하우징(1)에, J자형 콘택트(4)를 하우징(1)의 제2 삽 입실(10)에 삽입하여 소정의 위치에 고정한 후, 중공 기둥형 콘택트(3)를 콘택트 삽입구의 제1 개구부(14)로부터 하우징 내부에 삽입하려고 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중공 기둥형 콘택트(3)는 원통형의 본체(3a)와, L자형 설편(3b)과, 리드선을 압착하는 제1 압착부로 구성된다. 삽입 전은, 도면과 같이 중공 기둥형 콘택트(3)는 상기 각 부재가 기둥 축에 따라서 일직선으로 늘어 세워져 있다. 중공 기둥형 콘택트(3)의 선단부(화살표의 삽입 방향에 대해)는, 도면 중 좌측 하부를 향하고 있지만, 중공의 원통형의 본체(3a)를 판금으로 작성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폐쇄할 수 있다. 선단부는, 잭의 규격이나 미관 그 밖의 이유로 본 실시예에서는 구형으로 되어 있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중공 기둥형 콘택트(3)는 랜스(18)의 양측 슬릿(19)에 끼워 넣도록, 그 설편(3b)을 도면 중 좌측 상부 방향으로 하여, 제1 개구부(14)를 통해 기둥 삽입 개구부(14a)에 삽입된다.
도3은, 중공 기둥형 콘택트(3)가 제1 개구부(14)를 통해 기둥 삽입 개구부(14a)에 삽입되어 소정 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다. 설편(3b)의 기둥 축에 있어서의 선단부측의 단부(하부 방향 L자형으로 예를 들면, L의 가로 막대에 있어서 L의 내각측 단부)는, 슬릿(19) 속에 만들어진 단차부(20)에 접촉하여, 설편(3b)의 삽입 진행을 저지한다. 이에 의해, 중공 기둥형 콘택트(3)의 삽입 진행이 정지된다. 여기서, 단차부(20)는 슬릿(19) 내에 형성된 평탄부이고, 슬릿(19)의 원통형 본체(3a)에 대해 외측에 설치된 것이다(도11 및 도13 참조). 또한, 이 때 원통형 본체(3a)에 의해 외측으로 압박되고 있었던 랜스(18)의 선단부(18a)가 원통형 본체(3a)의 기저 단부에 있는 결합 기저부를 넘었기 때문에, 그 탄성 반발력에 의해 기둥 삽입 개구부(14a) 내측으로 복귀하여, 결합 기저부와 결합하고, 중공 기둥형 콘택트(3)가 탈락되지 않도록 한다. 랜스(18)의 선방부인 계지부(제3 계지부에 포함되면 됨)(18a)는, 결합 기저부와의 1 부위에서 결합되어 있지만, 기둥 삽입 개구부(14a)의 중공의 원통형 본체(3a)에 대한 간극은 그다지 크지 않으므로, 원통형 본체(3a)를 기둥 축으로부터 기울어지게 하여 상기 결합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은 쉽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즉, 기둥 삽입 개구부(14a)가 원통형 본체(3a)의 도면 중 우측 하부 방향의 움직임을 제한한다.
하우징(1)의 제1 삽입실(9)의 소정 위치에 고정된 중공 기둥형 콘택트(3)는, 도면 중 화살표 방향[커버(42)의 폐색 슬라이드 방향]으로 구부러져, 그 제1 압착부(3c)를 압착부 수납 통로(12)에, 리드선(51)을 압착측으로부터 리드선 삽통 개구부(40a)와 리드선 삽통부(40)에 수용하도록 한다. 도4는 이와 같이 하여 중공 기둥형 콘택트(3)가 구부러져 하우징의 오목부에 수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중공 기둥형 콘택트(3)의 상술한 기둥 접속 기저부에 상당하는 부분은, 제1 압착부(3c)와 원통형 본체(3a)의 기저부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4에 있어서의 리브가 있는 연장부(3c') 및 리브가 없는 굽힘부(3c")이다. 리브가 있는 연장부(3c')는, 리브가 있는 만큼만 굽힘에 대한 저항이 크고, 압착부 수납 통로(12)에 대략 곧은 상태로 수납된다. 한편, 리브가 없는 연장부(3c")는 리브가 없고 또한, 격벽(5)의 구석부(도12 참조) 근방에 있으므로, 굽히기 쉽게 되어 있다. 이로 인해, 굽힘부가 필요 이상으로 확대되어 크게 만곡 하기 때문에 하우징(1)의 오목부에 수납할 수 없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격벽(5)의 구석부는 예각적으로 되어 있어, 굽힘에 있어서의 스프링 백을 고려한 것으로 되어 있다.
도5는, J자형 콘택트(4) 및 중공 기둥형 콘택트(3)가 하우징(1)에 삽입되고, 각각의 콘택트 압착부(4b, 3c) 등이 하우징(1)의 이면측 오목부에 각각 수납된 후에 커버(42)를 슬라이드시켜, 이면(1b)의 개구부(7)를 폐색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커버(42)는, 대략 직사각형을 이룬 판형인 것이지만, 도면 중 화살표로 나타낸 슬라이드 방향에 대해, 선단부측에 슬릿(44)을 소정의 길이로 슬라이드 방향에 대해서 대략 평행하게 하여 구비하고 있다. 이 슬릿(44)을 규정하는 양단부에는 커버(42)의 양측면에 있는 것과 같은 슬라이드 돌기부(4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 돌기부(43)는 하우징(1)의 안내 홈(36)과 끼워 맞춰져, 안내 홈(36)에 따라서 커버(42)를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커버(42)는, 그 후방부에 슬릿(47)을 갖고, 박육부(50)가 그 우측 가로의 표면에 화살표를 실시한 부위로부터 독립하여 변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박육부(50)의 이면에는 쐐기형 융기부(48)가 형성되어 있다. 이 쐐기형 융기부(48)는 하우징의 융기부(38)와 함께 커버(42)의 로크 기구를 구성한다.
우선, 커버(42) 선단부의 양측에 있는 슬라이드 돌기부(43)를 하우징(1)의 양측 변에 있는 안내 홈(36)에 끼워 넣을 때, 안내 홈(36)을 형성하는 돌기부(17)는 슬라이드 돌기부(43)의 상측(또는 이면측)에 위치하여, 커버(42)의 상측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하므로, 커버(42)가 콘택트 삽입 개구부(7)를 폐색하기 위해 슬라이 드할 때에 있어서도, 커버(42)가 안내 홈(36)으로부터 떨어져 커버(42)가 하우징(1)으로부터 이탈하여 버리지 않도록 되어 있다. 커버(42)의 선단부가 그 슬라이드 돌기부(43)와 안내 홈(36)에 있어서 결합한 후는, 커버(42)를 가능한 한 화살표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똑바로 압박하도록 한다. 커버(42)의 선단부가 하우징의 스토퍼(37)의 슬라이드 방향에 대해 최후방부에 도달하였을 때, 커버(42)의 슬릿(44)에 있는 슬라이드 돌기부(43)가 스토퍼(37)에 있는 안내 홈(36)과의 끼워 맞춤이 시작되고, 양자의 관계는 양측의 슬라이드 돌기부(43)와 안내 홈(36)의 관계와 동일하게 된다. 단, 스토퍼(37)에 있는 안내 홈(36)을 형성하는 돌기부(17)는 이 리드선 삽통부 근방에 위치하게 되므로, 커버(42)의 상부 방향의 이탈이 보다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도6에 있어서, 리드선(51, 52)을 도면 중에서 상방으로 인장한 경우, 커버(42)에는 그 리드선 삽통 개구부(40a, 41a)에 있어서 상방으로 인장하는 힘이 작용한다. 그로 인해, 이러한 스토퍼(37)에 있는 안내 홈(36) 등에 의한 보강 구조는 매우 바람직하다. 도5로 복귀하면, 커버(42)의 슬라이드가 좀 더 진행되면, 쐐기형 융기부(48)의 경사면(48a)이 하우징의 융기부(38)에 접촉하기 시작한다. 쐐기형 융기부(48)의 경사면(48a)은 선단부로부터 후미를 향하여 완만하게 융기가 증가하는 형상을 갖고 있으므로, 커버(42)의 슬라이드에는 다소의 저항 증가를 볼 수 있지만 급격한 변화는 없어, 콘택트 삽입 개구부(7)를 폐색할 때까지 슬라이드할 수 있다. 이 때의 저항은 박육부(50)의 두께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가장 적절한 저항으로 조정할 수 있다. 커버(42)가 폐색되면, 쐐기형 융기부(48)는 하우징(1)의 융기부(38)를 타고 넘어, 전방에 있는 오목부에 박육부(50) 의 탄성 반발력에 의해 끼워 넣어지게 된다. 이에 의해, 커버(42)는 후방 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개구부를 개방하는 것을 곤란하게 한다. 쐐기형 융기부(48)의 단부(48b)와 융기부(38)가 서로 잘라 세운 면에서 접촉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스토퍼(37)가 슬릿(44)의 최후방부에 접촉하여, 커버(42)의 슬라이드 방향의 진행을 저지하게 된다. 즉, 커버(42)는 스토퍼(37)와 융기부(38)에 협지되어, 또한 돌기부(17)와 홈부(36)에 협지되어 그 움직임이 저지되어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도6은, 이상과 같이 하여 콘택트 삽입 개구(7)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완성된 잭은 매우 콤팩트한 형상을 하고 있다. 하우징(1)의 표면측 근방에 있는 측면을 일주하도록 설치된 홈은, 이 잭이 사용되는 기기의 프레임이나 본체에 부착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잭의 전기적 접속부에 기계적인 힘을 가하는 일 없이, 잭을 고정할 수 있다. 도7은 이 완성된 잭을 하부로부터 본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하우징(1)의 표면(1a) 대략 중앙에 개방된 둥근 개구부(2)는, 잭에 접속되는 플러그 등의 외부 단자를 삽입하는 구멍이다. 개구부(2)로부터, 중공 기둥형 콘택트(3)의 선단부를 볼 수 있다. 또한, J자형 콘택트(4)의 탄성 가동 접촉자가 개구부(2)로부터 보인다. 이들 2개의 콘택트는 각각에 플러스 마이너스 또는 플러스와 어스와 같은 관계에서 이용할 수 있다. 덧붙여서 말하면, 본 실시예의 잭은 조립 및 분해가 언제라도 가능하게 되어 있어, 분해할 때에는 각 로크 기구를 해제하여 상술한 것과는 반대의 작용을 각 부품에 하게 하면 된다.
도8은 커버(42)의 이면측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커버(42)의 선단 부에는 슬릿(44)이 있으며, 슬릿(44)을 규정하는 커버(42)의 단부에는 슬라이드 돌기부(43)가 커버(42)의 측단부의 슬라이드 돌기부(43)와 마찬가지로 형성되어 있다. 도면 중 우측의 오목부(46)는 커버(42)로 하우징(1)을 폐색하면 J자형 콘택트의 제2 압착부(4b)나 압착된 리드선을 수납하는 압착부 수납부와 리드선 삽통부의 덮개 부분에 상당하다. 또한, 좌측 오목부(45)는 중공 기둥형 콘택트(3)의 제2 압착부(3c)나 압착된 리드선을 수납하는 압착부 수납부와 리드선 삽통부의 덮개 부분에 상당한다. 이와 같이, 이들의 오목부(46, 45)는 상기 수납 공간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커버(42)의 후방측에는 슬릿(47)이 있으며, 그 우측에 인접한 커버(42)의 로크 기구의 일부를 구성하는 융기부(48), 그 완만한 경사면(48a), 급히 잘라 세운 벽과 같은 단부(48b)를 갖고 있다. 슬릿(47)의 왼쪽 옆에는 융기부(49)가 배치되고, 이 융기부(49)는 랜스(18)의 배면에 접촉 혹은 부근까지 꽤 접근하여, 랜스(18)가, 중공 기둥 형상 콘택트가 떨어지는 방향으로 가동하는 것을 규제한다.
도9는, 하우징(1)의 각 부재를 상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안내 홈(36)은 하우징(1)의 양측벽 상부에 돌기부(17) 하부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전방면 중앙의 스토퍼(37)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술한 커버(42)의 양측 단부면 등에 있는 슬라이드 돌기부(43)와 조합되어, 슬라이드식 콘택트 삽입 개구부(7)의 폐색 기구를 구성한다. 콘택트 삽입 개구부(7)의 J자형 콘택트를 삽입하는 제2 개구부(15)의 전방측에는, 압착에 의해 접속되는 리드선(52)의 J자형 콘택트의 압착부를 수납하는 압착부 수납부(13)가, 또한 그 전방측에 리드선 삽통부(41)가 있으며, 전방면에 있는 융기부(60)의 전방면을 향해 본 경우, W자 형상 혹은 쓰러진 E자 형상의 측면도 중, 좌측 개구인 리드선 삽통 개구부(41a)로부터는 J자형 콘택트에 압착에 의해 접속된 리드선이 연장된다. 우측에 인접한 개구는, 중공 기둥 형상 콘택트(3)와 압착에 의해 접속된 리드선(51)이 연장되는 리드선 삽통 개구(40a)이며, 이 안쪽에 리드선 삽통부(40), 또한 안쪽에 제1 압착부 수납부(12)로 이어지고 있다. 제1 압착부와 제2 압착부를 구획하는 격벽(11)은 스토퍼(37)를 그 위에 갖고 있다. 이 격벽(11)은 스토퍼(37)의 상면과 커버(42)의 상면이 동일 높이의 면인 관계에 있으므로, 격벽 내에 개구가 없는 격벽(11)은 양 콘택트를 전기적으로 확실하게 격리할 수 있다. J자형 콘택트(4)의 구조에 대해 도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고, 도1 및 도9를 참조하면서, J자형 콘택트(4)를 삽입하는 순서를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J자형 콘택트(4)는 콘택트 본체(4a)와 리드선(52)과 압착에 의해 접속하는 압착부(4b)로 구성되고, 콘택트 본체(4a)는 직사각형 배면판(4c)과, 그 양측에 대략 직각으로 전방으로 구부러진 안내판(4d, 4d)과, J자의 바닥에 있는 하방 굴곡부에서 생기는 탄성력에 의해 담보된 접촉압을 가질 수 있는 탄성 가동 접촉자(4e)가 직사각형 배면판(4c)의 전방측이고, 양측의 안내판(4d, 4d)에 둘러싸여진 곳에 배치되어 있다. 이 탄성 가동 접촉자(4e)는, 또한 꺽여진 선단부 부분에 양측 안내판(4d, 4d)의 개구부(4g, 4g)에 그 양단부를 구속되는 폭 방향으로 연장된 선단부 꺽임 부재를 갖고 있다. 이 개구부(4g, 4g)에 의해 폭 방향으로 연장된 선단부 꺽임 부재의 움직임이 제한되므로, 가동 탄성 접촉자(4e)는 그 탄성 변형량 등이 이 개구부(4g, 4g)의 크기 이내로 한정된다. 도1에 있어서 직사각형 배면판(4c)의 선 단부측(또는 하방측)의 양측에는 절입부가 들어가 있으며, 양측의 안내판(4d, 4d)과 직사각형 배면판(4c)과의 접속 변 길이가 약간 좁혀져 있다. 이것은, 상기 하방 굴곡부에 의한 탄성력을 적절하게 조정하기 위해서이며, 또한 이 양 안내판(4d, 4d)의 최선단부에 있는 부분[약간 각이 져 있지만, 직사각형 배면판(4c)에 대해 대략 직각을 이루고 있는 선단부 엣지]은 이 하방 굴곡부보다도 하방 혹은 선단부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이 J자형 콘택트(4)를 그 삽입 방향으로 진행시킨 경우, 제2 삽입실(10)의 바닥부 형상이 평탄하므로(도13 참조), 이 선단부 엣지가 하방 굴곡부보다도 먼저 이 평탄한 바닥부인 바닥부 평탄면(10a)에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바닥부 평탄면은 제4 계지부의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면 된다. 이로 인해, 하방 굴곡부는 이 삽입에 의해 외부 응력이 특별히 작용하는 일 없이, 가동 접촉자(4e)에 담보한 그 탄성 특성에 거의 영향이 미치지 않는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J자형 콘택트(4)는 전방측에 직사각형 배면판(4c)을 그 쐐기 융기부(4f)와 함께 배치하고, 양측 안내판(4d, 4d)을 하우징(1)의 제2 개구(15)에 있는 안내 홈(25, 25)에 끼우도록 삽입한다. 따라서, 소편(26)은 J자형 콘택트(4)가 삽입됨에 따라서, 쐐기 융기부(4f)의 융기 경사면에 올라 앉아 J자형 콘택트(4)가 완전히 제2 삽입실에 삽입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양측 안내판(4d, 4d)의 선단부 엣지가 제2 삽입실의 바닥부 평탄면(10a)에 접촉하여, J자형 콘택트(4)의 삽입 진행이 멈추게 된다. 이 때, 쐐기 융기부(4f)의 융기 경사면에 올라 앉은 소편(26)은 쐐기 융기부(4f)의 최대 융기부를 타고 넘어, 소편 자신의 탄성 반발력에 의해 제2 삽입실(10)의 내측으로 그 선단부가 압박 복귀되는 동시 에, 쐐기 융기부(4f)의 최대 융기부 선단부가 소편(26)을 타고 넘어, 자신의 탄성 반발력에 의해 제2 삽입실(10)의 외측(또는, 직사각형 배면판의 배면 방향)으로 압박 복귀된다. 단, 통상 콘택트는 금속으로 형성되어, 하우징의 일부인 소편은 합성 수지로 작성되므로, 쐐기 융기부의 탄성 변형은 근소하거나, 거의 없는 경우도 있고, 이러한 경우는 금속은 거의 변형되지 않고, 오로지 소편(26)이 자신의 반발력에 의해 내측으로 압박 복귀되게 된다. 이와 같이, 소편(26)이 내측으로 압박 복귀되면, 소편(26)의 선단부가 쐐기 융기부의 최대 융기 단부와 결합하여, J자형 콘택트(4)를 제2 삽입실(10) 내에 고정하게 된다. 융기부(38)는, 상술한 바와 같이 커버(42)의 로크 기구의 구성 요소이다. 랜스(18)는 그 선단부(18a)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삽입된 중공 기둥 형상 콘택트(3)의 결합 기저부와 결합하고, 중공 기둥 형상 콘택트(3)의 탈락을 방지하는 동시에, 잭에 플러그 등(도시하지 않음)이 접속될 때, 그 압박력에 대향한다. 이 선단부(18a)는, 상술한 제3 계지부의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할 수 있다. 오목부(22)에는 커버(42)의 하면에 있는 융기부(49)가 커버(42)를 슬라이드하면 다가와서, 랜스(18)의 배면 방향의 변형에 대향하도록 기능한다. 단차부(20)는 설편(4b)의 선단부에 접촉하여, 중공 기둥 형상 콘택트(3)의 삽입 진행을 저지한다. 돌기부(17)는 안내 홈(36)을 형성하고, 커버(42)의 슬라이드 돌기부(43)를 상측으로부터 억제하여, 하우징(1)으로부터 이탈시키지 않는 기능을 갖는다.
도11은, 하우징(1)을 그 이면(1b)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각각의 구성물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설명해 온 바와 같다. 하우징(1)의 내부 구조를 보다 알기 쉽 게 보기 위해, A-A 단면이 도12에, B-B 단면이 도13에, C-C 단면이 도14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11에 있어서 제2 개구부(15)의 앞에 보이는 원호형인 것은 하우징(1)의 표면(1a)에 개방되어 있는 개구의 모서리(2)이다. 도12는 제1 개구를 커버(42)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을 제2 개구부(15)측을 향해 본 것이다. 제1 삽입실(9)은 이 직사각형 개구 부분에서 제2 삽입실(10)과 연통하고 있지만, 중공 기둥 형상 콘택트(3)의 원통형 콘택트 본체(3a)에 대해 비교적 좁은 간극을 갖는 기둥 삽입 개구부(14a)가 그 위에 위치한다. 랜스(18)는 결합하여 원통형 콘택트 본체(3a) 상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선단부(18a)를 갖고, 배후의 슬릿(18b)에 의해 그 배후 방향으로의 변형 저항을 조정한다. 도13은 기둥 삽입 개구부(14a)의 중심을 통해, 커버(42)의 슬라이드 방향에 대해 수직인 단면을 슬라이드 방향에 대해 선단부로부터 후미측을 본 것이다. 콘택트 삽입 개구부(7)가 양측 돌기부(17)에 협지된 공간에 위치된다. 설편(4b)과 접촉하는 단차부(20)의 위치를 높이에 있어서 명확하게 알 수 있다. 제1 삽입실(9)과 제2 삽입실(10)은 격벽(8)이 없는 부분[접촉 개구부(16)]에 있어서 연통하고, 콘택트를 전부 삽입한 잭에서는 연통하는 개구에 있어서 J자형 콘택트(4)의 가동 접촉자(4e)가 제1 삽입실에 모습을 드러내게 된다. 그에 의해, 원통형 콘택트 본체(3a)를 내부에 삽입한 플러그의 다른 극이 이 가동 접촉자(4e)와 접촉하여, 전기 에너지 등을 전달할 수 있다. 랜스(18)의 선단부(18a)에 반원형이 그려져 있는 것은 이 부분을 조금 삭감함으로써, 원통형 콘택트 본체(3a)를 삽입하기 쉽게 하였기 때문이다. 도14는 제2 삽입실을 커버(42)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을 제1 삽입실(9)측을 향해 본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접촉 개구부(16)가 격벽(8)이 없는 곳에 개방되어 있어, 잭으로서의 기능을 다하고 있다.
도15는 본 실시예에서 이용한 중공 기둥 형상 콘택트(3)의 방열 특성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 있어서, 종축은 초기의 온도로부터 상승한 만큼의 온도(즉 온도차)를 나타내고 있다. 횡축은, 이러한 기둥 형상 콘택트에 흐르게 한 전류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 있어서 위로 가면 온도 상승이 큰 것을, 우측으로 가면 흐르게 한 전류가 많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실험은, 실시예의 중공 핀과 비교예의 중실 핀에 마찬가지로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그 온도 상승을 동일 조건으로 측정한 것이다. 온도를 측정한 측정 부위는 각각에 핀과 소켓이지만, 각각의 특징적인 형상을 위해 가능한 한 등가인 부위에 있어서의 측정을 행하였다. 그래프에 있어서, 중공 다이아몬드 형상 및 정사각형의 플럿은, 각각 본 실시예의 핀 및 소켓에서의 측정 결과이다. 또한, 흑색 삼각형의 플럿은 비교예의 핀에서의 측정 결과이다. × 플럿은 비교예의 소켓의 측정 결과이다. 이 그래프로부터, 모든 전류치에 있어서 실시예의 핀 및 소켓의 온도 상승은 비교예의 그들의 값에 비해 명확하게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잭에 중공 기둥형의 콘택트를 이용하면, 온도 상승이 낮게 억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아마 중공이기 때문에 방열 면적이 커져 방열성이 향상되었기 때문이라 생각할 수 있다.
도1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인 잭(64)을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62)에 적용한 예를 도시한다. 이 잭(64)은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62)의 전원 잭이다. 플러그 접속용 개구로부터, 중공 기둥 형상 콘택트의 선단부에 그 특징적인 모양인 열십자가 보이고 있다. 이러한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잭은 모든 전기 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그 적용 범위는 전원뿐만 아니라, 전기 신호를 취출하거나 또는 수취하거나 하는 모든 종류의 잭에 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잭은 이상과 같이 압착에 의한 콘택트와 리드선 사이의 접속을 행하고 있으므로, 억지 삽입에 의한 땜납 크랙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도통 불량에 의한 접촉 신뢰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또 정극 단자가 프레스 부품의 중공 핀이 되므로 중실 핀에 비해 방열 성능이 좋아진다. 또한, 기판에 부착할 필요가 없으므로, 부착하는 부위까지 기판을 배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DC 잭의 배치에 대해 설계의 자유도를 올릴 수 있어, 기계의 박형화에 유효해진다. 또한, 땜납에 의한 접속을 이용하고 있지 않으므로, 언제라도 용이하게 조립이나 분해를 행할 수 있다.
또,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콘택트(3, 4)를 구비한 잭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플러그의 삽입 발출에 수반하여 콘택트(4)의 가동 접촉자(4e)가 접촉 이격하는 고정 접촉 부재를 구비한 전원 잭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5)

  1. 절연성 하우징과, 이 하우징에 조립된 도전성 콘택트를 구비한 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커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콘택트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그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부와,
    상기 노출부에 있어서의 중공 기둥 형상 콘택트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 기둥 형상의 콘택트는,
    상기 잭이 부착되는 기기의 전원 회로에 접속되는 리드선을 압착에 의해 접속하는 압착부와,
    상기 압착부를 향하는 상기 중공 기둥 형상의 콘택트의 기저부 근방에 설치된 L자형 설편을 갖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커버에 의해 덮혀지는 상기 중공 기둥 형상 콘택트를 기둥 축을 따라 삽입하기 위한 콘택트 삽입 개구와,
    상기 압착부에 압착된 상기 리드선이 연장되는 리드선 삽통부와,
    상기 콘택트 삽입 개구의 근방에, 상기 L자형 설편에 결합하여 상기 중공 기둥 형상 콘택트의 상기 기둥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을 억제하는 계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L자형 설편과, 상기 계지부가 결합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콘택트가 상기 하우징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리드선 삽통부에 형상 및 크기를 맞춘 리드선 삽통 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는 상기 콘택트 삽입 개구로부터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고,
    상기 콘택트 삽입 개구는 상기 리드선 삽통 개구에 이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삽입 개구는 상기 커버를 상기 리드선 삽통부의 리드선 연장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폐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
  5. 리드선을 거쳐서 전기적인 에너지 공급부 또는 수요부에 접속되는 잭에 있어서,
    상기 잭은,
    상기 잭에 접속되는 외부 단자와 접촉하는 콘택트와,
    상기 콘택트를 삽입하기 위한 콘택트 삽입 개구와 콘택트 삽입실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콘택트 삽입 개구를 상기 콘택트가 상기 콘택트 삽입실에 삽입된 상태에서 폐색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콘택트는, 제1 리드선과 제1 압착부에 있어서 압착에 의해 접속된 중공 기둥 형상 콘택트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 기둥 형상 콘택트는, 상기 제1 압착부를 향하는 상기 중공 기둥 형상 콘택트의 기저부 근방에 L자형 설편을 갖고,
    상기 콘택트 삽입실은, 상기 중공 기둥 형상 콘택트를 삽입하기 위한 제1 개구와, 제1 삽입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개구는 상기 중공 기둥 형상 콘택트를 상기 제1 삽입실에 삽입하도록 개구되고,
    상기 제1 삽입실은, 상기 중공 기둥 형상 콘택트를 기둥 축을 따라 삽입시키는 기둥 삽입 개구와, 상기 기둥 삽입 개구의 근방에 상기 L자형 설편에 결합하여 상기 중공 기둥 형상 콘택트의 상기 기둥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을 억제하는 제1 계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압착부가 수납되는 압착부 수납 통로와, 상기 압착부 수납 통로로부터의 상기 제1 리드선을 하우징 외부로 연장하는 리드선 삽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삽입실의 상기 제1 삽입실은, 상기 중공 기둥 형상 콘택트의 상기 기둥 삽입 개구로의 삽입시에 상기 L자형 설편에 접촉하여 소정의 위치에 멈추는 제2 계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기둥 형상 콘택트는 상기 제1 압착부를 향하는 상기 중공 기둥 형상 콘택트의 기저부 근방에, 기둥 접속 기저부 및 결합 기저부를 갖고,
    상기 콘택트 삽입실의 제1 삽입실이, 상기 결합 기저부를 계지하여 상기 중공 기둥 형상 콘택트의 상기 하우징으로부터의 탈락 방지용의 제3 계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는 제2 리드선과 제2 압착부에 있어서 압착에 의해 접속된 탄성 가동 접촉자를 갖는 단면 형상이 J자형 콘택트를 포함하고,
    상기 콘택트 삽입 개구는 상기 J자형 콘택트를 삽입하기 위한 제2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J자형 콘택트는,
    J자형 메인 종단면을 구성하는 직사각형의 배면판인 직사각형 배면판과,
    상기 직사각형 배면판으로부터 전방면에 있는 상기 탄성 가동 접촉자를 향하는 도중에 배치되어 상기 탄성 가동 접촉자에 탄성에 의한 복귀력을 담보하는 하방 굴곡부와,
    상기 직사각형 배면판의 양측 모서리로부터 L자형으로 절곡되어 J자형의 콘택트의 전방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측 및 우측의 안내판을 갖고,
    상기 콘택트 삽입실이 상기 J자형 콘택트를 삽입하는 제2 삽입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J자형 콘택트를 상기 제2 삽입실에 삽입하도록 개구하고,
    상기 제2 삽입실은 상기 J자형 콘택트를 상기 제2 삽입실로 유도하도록 상기 좌측 및 우측의 안내판을 안내하는 각각 좌측 및 우측의 슬릿형 개구인 슬릿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J자형 콘택트는,
    상기 좌측 및 우측 안내판의 하방 선단부의 선단부 엣지와,
    평탄한 직사각형 판재로 구성되는 상기 직사각형 배면판에 상기 하우징으로의 삽입 방향에 대해 쐐기형으로 융기하는 쐐기 융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콘택트 삽입실의 제2 삽입실은,
    상기 제2 삽입실에 삽입되는 상기 J자형 콘택트를 상기 선단부 엣지에 접촉시킴으로써 계지시키는 상기 제2 삽입실의 내벽에 형성되는 제4 계지부와,
    상기 쐐기 융기부와 결합하는 상기 제2 삽입실의 내벽으로부터 연장되는 소편으로 이루어지는 제5 계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개구와 제2 개구 사이이며, 상기 제1 압착부와 제2 압착부를 격리하도록 상기 콘택트 삽입 개구의 개구측으로 연장되는 압착부 격리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삽입 개구가 직사각형 형상이며, 상기 하우징이 상기 콘택트 삽입 개구를 규정하는 복수의 변을 갖고, 상기 복수의 변 중 대향하는 적어도 2개의 변 중 적어도 일부에 상기 커버의 측단부와 조합하여 상기 커버를 상기 콘택트 삽입 개구를 폐색하도록 슬라이드시키는 안내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
  13.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잭을 이용한 전자 기기.
  14.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잭을 이용한 박형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15. 삭제
KR1020030028487A 2002-05-07 2003-05-06 전기 잭 KR1009751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31631 2002-05-07
JP2002131631A JP4074776B2 (ja) 2002-05-07 2002-05-07 ジャッ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7538A KR20030087538A (ko) 2003-11-14
KR100975188B1 true KR100975188B1 (ko) 2010-08-10

Family

ID=29244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8487A KR100975188B1 (ko) 2002-05-07 2003-05-06 전기 잭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837745B2 (ko)
EP (1) EP1361629B1 (ko)
JP (1) JP4074776B2 (ko)
KR (1) KR100975188B1 (ko)
CN (1) CN1327572C (ko)
DE (1) DE60321423D1 (ko)
TW (1) TWI22947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63789B2 (en) * 2003-08-13 2006-06-20 Koch Membrane Systems, Inc. Filtration element and method of constructing a filtration assembly
JP3817241B2 (ja) * 2003-11-07 2006-09-06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ハウジング組立体、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電線付き電気コネクタ
JP4063776B2 (ja) 2004-02-03 2008-03-19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ジャック
JP2005322609A (ja) * 2004-04-07 2005-11-17 Jst Mfg Co Ltd 電気的接続装置
JP4401877B2 (ja) * 2004-06-29 2010-01-20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JP4326448B2 (ja) * 2004-10-25 2009-09-09 矢崎総業株式会社 ワイヤーハーネスの取出構造
DE102005007066B3 (de) * 2005-02-16 2006-10-05 Tyco Electronics Amp Gmbh Miniaturisierte elektrische Steckereinheit mit verbesserter Crimpbarkeit
DE102005013282A1 (de) * 2005-03-22 2006-09-28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Steckverbinder
US7198526B1 (en) * 2005-11-21 2007-04-03 Etco, Inc. Low-profile flag electrical terminal connector assembly
JP4833016B2 (ja) * 2006-10-06 2011-12-07 長野日本無線株式会社 Acアダプタ用インレット装置
JP4833036B2 (ja) * 2006-11-17 2011-12-07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ジャック
CN101436731B (zh) * 2007-11-16 2010-11-1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装置
JP5150428B2 (ja) * 2008-09-17 2013-02-20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1877948A (zh) * 2009-04-30 2010-11-03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子装置
US8057261B1 (en) * 2010-11-02 2011-11-15 Etco, Inc. Flag terminal insulator
JP5561127B2 (ja) * 2010-11-29 2014-07-30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5800567B2 (ja) * 2011-05-13 2015-10-28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ルゲートチューブ保持構造
US8435063B2 (en) * 2011-06-07 2013-05-07 Phoenix Contact Development & Manufacturing, Inc.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DE112014005835T5 (de) * 2013-12-18 2016-10-06 Amphenol Fci Asia Pte Ltd Elektrischer Kabelverbinder und Verbinderanordnung
JP6593631B2 (ja) * 2015-09-24 2019-10-23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JP6555193B2 (ja) * 2016-05-27 2019-08-07 住友電装株式会社 電気接続箱
JP6496696B2 (ja) * 2016-09-26 2019-04-03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DE102016120304B4 (de) * 2016-10-25 2020-10-08 Lisa Dräxlmaier GmbH Abgewinkelter steckverbinder und verfahren für dessen herstellung
CN108346869B (zh) * 2017-01-24 2020-07-03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线缆连接器
US10079440B1 (en) * 2017-05-05 2018-09-18 Te Connectivity Corporation Electrical terminal having a push surface
JP6527911B2 (ja) * 2017-06-09 2019-06-1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10103503B1 (en) * 2017-09-27 2018-10-16 Caterpillar Inc. Mounting assembly for an electronic device
CN208111733U (zh) * 2018-03-13 2018-11-16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连接端子
US10855024B2 (en) * 2018-10-29 2020-12-01 Te Connectivity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latches and terminal position assurance projections provided on hinged cover
JP7014139B2 (ja) * 2018-11-27 2022-02-0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CN209472146U (zh) * 2019-01-28 2019-10-0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US20240145976A1 (en) * 2022-10-26 2024-05-02 Aptiv Technologies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1906A (ja) * 1995-11-30 1997-06-20 Molex Inc 外部電源ジャックおよびその組立方法
WO1998007213A2 (en) * 1996-08-12 1998-02-19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Orientationless squib connector assembly for automotive air bag assemblie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12386U (ko) 1987-07-13 1989-01-23
JPH079343Y2 (ja) * 1990-04-10 1995-03-06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係止具付コネクタ
US5071369A (en) * 1990-12-05 1991-12-10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terminal position assurance member
US5199902A (en) * 1991-12-23 1993-04-06 Gte Products Corporation Connector device
DE69627923T2 (de) * 1995-03-20 2004-03-11 The Whitaker Corp., Wilmington Elektrischer Steckverbinder mit versicherter Endposition
US5616045A (en) * 1995-07-14 1997-04-01 Augat Inc. Squib connector for automotive air bag assembly
EP0920078B1 (en) * 1997-11-26 2009-01-14 Sumitomo Wiring Systems, Ltd. Electrical connector
JP3287797B2 (ja) 1997-12-26 2002-06-0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ジャック、プラグ及び接続構造
DE19933834C2 (de) * 1999-07-20 2001-09-06 Framatome Connectors Int Steckverbinder mit Kabelzugentlastung
ES1044321Y (es) * 1999-08-03 2000-09-01 Mecanismos Aux Ind Conjunto conector electrico.
US6247966B1 (en) * 1999-10-04 2001-06-19 Tyco Electronics Corp. Electrical connector with exposed molded latches
JP2001203043A (ja) 2000-01-17 2001-07-27 Jst Mfg Co Ltd 複合モジュラジャック
JP2001217049A (ja) 2000-02-02 2001-08-10 Jst Mfg Co Ltd 横型モジュラージャック
JP3534393B2 (ja) * 2000-04-14 2004-06-07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電子部品ユニットの電気的接続構造、コンピュータ装置及び電子機器
JP3544522B2 (ja) 2000-11-28 2004-07-21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モジュラジャック及びその取付構造
JP2002164126A (ja) 2000-11-28 2002-06-07 Jst Mfg Co Ltd モジュラジャック
JP3544521B2 (ja) 2000-11-28 2004-07-21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モジュラジャック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1906A (ja) * 1995-11-30 1997-06-20 Molex Inc 外部電源ジャックおよびその組立方法
WO1998007213A2 (en) * 1996-08-12 1998-02-19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Orientationless squib connector assembly for automotive air bag assembl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27572C (zh) 2007-07-18
EP1361629B1 (en) 2008-06-04
TWI229479B (en) 2005-03-11
EP1361629A2 (en) 2003-11-12
DE60321423D1 (de) 2008-07-17
EP1361629A3 (en) 2004-08-11
JP2003332000A (ja) 2003-11-21
US20030232543A1 (en) 2003-12-18
JP4074776B2 (ja) 2008-04-09
US6837745B2 (en) 2005-01-04
CN1457119A (zh) 2003-11-19
KR20030087538A (ko) 2003-11-14
TW200401481A (en) 200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5188B1 (ko) 전기 잭
US7086908B2 (en) Jack
JP4841756B2 (ja) コンタクトとこれを装着した電気コネクタ
KR100607633B1 (ko) 소켓 접점 및 소켓 커넥터
EP0795929B1 (en) Electric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retention characteristics
JP4722707B2 (ja) 垂直嵌合雌端子及びこれが装着されるハウジング
US6171126B1 (en) Battery receptacle connector
EP3588689B1 (en) Electrical connector
US6325680B1 (en) Female contact for an electrical connector
KR20040071603A (ko) 전기 커넥터
JPH08213082A (ja) 電気端子及びそれを使用する電気コネクタ
US5775932A (en) Electrical connector
EP1385232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plug connector and receptacle connector
US5399097A (en) Terminal with cramp member
EP3588687B1 (en) Terminal metal fitting
EP3540854B1 (en) Connection terminal
US6971923B1 (en) Cable end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organizer
US7540762B2 (en) Electrical connector
US6679734B2 (en) Subminiature electrical connector multi-pin grounding/discrete circuit bussing module and integral connector backshell
EP1804344A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flexible mating portion
JP3171064B2 (ja) リテーナ付きコネクタ
JP3599175B2 (ja) 端子金具
CN220510390U (zh) 连接器组件
CN109103642B (zh) 电连接器及电子设备
US20180102615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