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8777B1 - 한약재가 함유된 육장편육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한약재가 함유된 육장편육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8777B1
KR100958777B1 KR1020080026141A KR20080026141A KR100958777B1 KR 100958777 B1 KR100958777 B1 KR 100958777B1 KR 1020080026141 A KR1020080026141 A KR 1020080026141A KR 20080026141 A KR20080026141 A KR 20080026141A KR 100958777 B1 KR100958777 B1 KR 100958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t
heating
cooker
concentrated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6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0746A (ko
Inventor
최규탁
Original Assignee
최규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규탁 filed Critical 최규탁
Priority to KR1020080026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8777B1/ko
Publication of KR20090100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0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8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8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70Tenderised or flavoured meat pieces; Macerating or marinating solu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약재가 함유된 육장편육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다양한 한약재료를 농축 함유하여 몸에 유익하면서 도토리묵이나 두부와 같은 연성의 특성을 갖도록 하여 어린이나 노인에게도 치아에 부담을 주지 않고 편리하게 먹을 수 있는 육장편육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정, 일정 수위로 물이 채워져 있는 조리솥에 뼈를 포함하여 핏물이 제거된 고기류, 그리고 다량의 한약재를 각각 혼합 투입하는 재료 투입단계;(ST 1) 상기 재료가 투입 혼합된 조리솥을 고온의 온도로 가열하는 1차 가열단계;(ST 2) 상기 가열중인 조리솥에서 고기류를 꺼내어 작은 크기로 절단 손질하는 손질단계;(ST 3) 상기 손질되어진 고기를 가열중인 조리솥에 다시 투입하여 재료가 농축되어질 수 있도록 재가열하는 2차 가열단계;(ST 4) 상기 농축된 재료를 성형하기 위해 성형용 용기에 부어주는 성형단계;(ST 6) 상기 성형용 용기내의 고기 재료가 농축된 진액과 엉겨붙어 고형화 되도록 성형용 용기를 냉장고에 보관시키는 냉장단계;(ST 7) 상기 냉장을 통해 고형화 되어진 재료를 편육 형태로 잘게 썰어주는 칼질단계;(ST 8)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편육, 사태고기, 심줄, 껍질, 한약재

Description

한약재가 함유된 육장편육 및 그 제조방법{A CHINE MEDICINE TYPE SLICES OF BOILED MEAT AND MANUFACTURE METHODE}
본 발명은 편육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편육에 인체에 유익한 다량의 한약재가 함유되어질 수 있도록 하여 고기냄새를 저감시키는 가운데 건강 기능성을 갖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편육이라 하면 쇠고기나 돼지고기를 삶아 눌러서 물기를 빼고 얇게 저며서 썬 것을 말하는 것으로서 얇고 작은 조각으로 썬 고기이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다.
이러한 편육을 요리하기 위해서는, 우선 고기를 찬물에 담가 핏물을 빼고 두꺼운 냄비나 솥에 물을 많이 붓고 펄펄 끓을 때 넣어서 삶는데, 고기가 완전히 무른 다음 소금을 약간 넣어 잠깐 더 끓이면 편육에 간이 배어 훨씬 더 맛있게 조리되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쇠고기나 돼지고기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 종래에는 고기를 삶을 때 파,마늘이나 생강 등의 재료를 첨가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편육은 기름이 다량 함유되어져 있기 때문에 육류섭취로 인한 비만을 걱정하는 사람들에게는 점차 외면을 받고 있어, 이를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재료의 개발이 필요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지적되고 있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기름기 없이 육류와 한약재로 이루어져 남녀노소 누구나 마음놓고 편리하게 먹을 수 있는 육장편육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일정 수위로 물이 채워져 있는 조리솥에 뼈를 포함하여 핏물이 제거된 고기류, 그리고 감초, 당귀, 생강, 계피, 오향 이 포함된 한약재를 각각 혼합 투입하는 재료 투입단계; 상기 재료가 투입 혼합된 조리솥을 고온의 온도로 가열하는 1차 가열단계; 상기 가열중인 조리솥에서 고기류를 꺼내어 작은 크기로 절단 손질하는 손질단계; 상기 손질되어진 고기를 가열중인 조리솥에 다시 투입하여 재료가 농축되어질 수 있도록 재가열하는 2차 가열단계; 상기 농축된 재료를 성형하기 위해 성형용 용기에 부어주는 성형단계; 상기 성형용 용기내의 고기 재료가 농축된 진액과 엉겨붙어 고형화 되도록 성형용 용기를 냉장고에 보관시키는 냉장단계; 상기 냉장을 통해 고형화 되어진 재료를 편육 형태로 잘게 썰어주는 칼질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재가 함유된 육장편육 제조방법을 통해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재료 투입단계에서 뼈와 함께 투입되는 고기류는 사태고기와 심줄 그리고 껍질이 동시에 사용되어지되, 뼈를 포함한 고기류 45~60중량%, 물 20~37중량%, 한약재 3~20중량%의 비율로 혼합이 이루어지며, 상기 2차 가열단계 후에는 조리솥에서 우려진 뼈를 꺼내어 제거하는 뼈 제거단계(ST 5)가 수행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1차 가열단계에서는 100~120℃의 온도로 가열이 이루어지고, 2차 가열단계에서는 80~100℃의 온도로 가열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다양한 한약재료가 농축 함유되어져 있기 때문에 몸에 유익하고 잘개 썰어진 고기재료가 농축성분에 의해 편육 형태로 고형화 되어져 있기 때문에 남녀노소 누구나 용이하게 취식할 수 있는 육장편육을 만들 수 있게 된다.
특히, 기존의 편육은 단순히 고기를 익혀서 절단한 것으로서 고기만으로 이루어져 질기기 때문에 치아가 약한 사람에게 부담을 주었으나, 본 발명의 편육은 묵이나 두부와 같은 연성의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부담없이 취식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 육장편육을 제조하는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된 도 1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재료 투입단계>(ST 1)
먼저, 조리솥에 물과 함께 사태고기, 뼈, 심줄, 껍질 등의 고기류와, 감초, 당귀, 생강, 계피, 산초, 오향, 엄나무, 칡, 대추, 향기 등의 약초류를 포함하는 한약재를 혼합 투입하게 된다.
이때, 약초류와 함께 간장, 양파, 파 등의 재료가 추가로 소량 첨가되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투입되는 재료들은 총 중량 대비 뼈를 포함한 고기류 55중량%에, 물 35중량%, 그리고 한약재 10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였다.
한편, 상기 재료 외에 추가적으로 수용성 식이섬유인 폴리덱스트로스를 0.5~1중량%로 첨가함이 바람직하다.
<1차 가열단계>(ST 2)
이와 같이 조리솥에 투입된 재료물을 100℃의 온도로 끓여주게 되는데, 대략 5~6시간 정도 달여주어서 고기재료가 완전히 익혀지도록 함과 함께 뼈에 함유된 진액이 빠져나오게 된다.
이와 같이 일정시간동안 가열 후에는 한약재와 뼈는 그대로 두고 익혀진 사태고기와 심줄, 그리고 껍질을 조리솥으로 부터 꺼내어주게 된다.
<고기 손질단계>(ST 3)
그리고, 꺼내진 고기류는 약 20~30분간 실온에서 식혀주어 열기가 가라앉도록 한 후, 식혀진 사태고기와 심줄, 그리고 껍질을 작은 크기로 절단하는 손질단계를 실시하게 된다.
이때에는 사태고기는 손으로 잘게 뜯어주거나 칼로 채썰듯 잘게 잘라주고, 심줄과 껍질은 칼을 사용하여 작은 크기로 역시 채썰듯 절단해 주게 된다.
<2차 가열단계>(ST 4)
이와 같이 손질이 이루어진 고기류를 다시 뼈와 한약재가 끊고 있는 조리솥에 다시 투입하여 끓여줌으로서 한약재 성분이 고기재료에 스며들도록 하는 2차 가열단계를 실시하게 된다.
이때에는 불을 조금 약하게 하여 90℃ 정도에서 약 1~2시간 정도 가열함으로 끓고 있는 액상의 국물이 점차 졸아들어 농축되어짐과 함께, 고기재료에 국물이 스며들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뼈 제거단계>(ST 5)
이때, 재료물에 포함되어져 있는 뼈는 상기 1,2차 가열단계에서 내부의 진액이 완전히 배출되었기 때문에 조리솥에서 꺼내어 제거함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뼈를 꺼냄으로서 이후 액상물질이 졸아드는 과정에서 재료물이 뼈에 엉겨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성형단계>(ST 6)
이후, 사각형상의 스테인레스 성형용 용기에 약 4cm의 두께를 이루도록 부어주게 된다.
이와 같이 액상의 재료물을 스테인레스 성형용 용기에 부어주게 되면 온도가 점차 내려감에 따라 농축된 액상 물질이 고형화 되면서 엉겨붙게 되는데, 이때에는 재료물에 포함되어져 있는 심줄 및 식이섬유에 의해 재료들간 결합력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어질 수 있게 된다.
<냉장단계>(ST 7)
그리고, 재료가 부어진 성형용 용기를 0~1℃의 냉장고에 보관하여 약 4~5시간동안 냉장시키게 되면 재료들은 서서히 고형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칼질단계>(ST 8)
상기 냉장 고형화가 이루어진 덩어리 상태의 육장편육 완성물을 성형용 용기로 부터 분리시키면 일반 묵과 같이 연성 상태를 이루게 되며(도 2 참조), 이후 칼을 이용하여 먹기 편한 편육의 형태로 절단작업을 실시(도 3 참조)함으로서 본 발명의 육장편육이 완성되게 되는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조리되어진 육장편육 실물을 사진촬영한 것으로서, 이러한 육장편육은 접시에 담아서 기호에 따라 소스를 만들어 찍어먹거나 그냥 먹어도 무방하다.
특히, 익히거나 데우지 않고 차가운 상태로 어디에서나 편리하게 먹을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육장편육은 기름기가 완전히 제거된 상태인 동시에 인체에 유익한 다양한 한약재성분이 포함되어져 있어, 고기 냄새가 나지 않으며 피로회복 등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재료에는 심줄과 식이섬유가 함유됨으로 인해 자체적인 탄력성을 주어 편육이 쉽게 물러지거나 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포함된 식이섬유로 인해 섭취시 포만감을 주어 과식을 방지함으로서, 체중조절을 통한 다이어트 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육장편육 제조방법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특정 재료성분이 명기되어져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소금이나 간장 등 조미료가 부수적으로 첨가되어질 수도 있게 된다.
또한, 사용되는 고기의 종류는 돼지고기 또는 소고기를 사용함이 바람직 하나, 이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고기가 사용되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육장편육 제조과정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조리된 육장편육의 냉장보관 단계 후 덩어리 상태를 촬영한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조리된 육장편육의 절개 사진.

Claims (5)

  1. 일정 수위로 물이 채워져 있는 조리솥에 뼈와 심줄 그리고 껍질이 포함되고 핏물이 제거된 고기류 45~60중량%, 물 20~37중량%, 감초/당귀/생강/오향 이 포함된 한약재 3~20중량%, 수용성 식이섬유인 폴리덱스트로스 0.5~1중량%의 비율로 혼합이 이루어지는 재료 투입단계;(ST 1)
    상기 재료가 투입 혼합된 조리솥을 100~120℃의 온도로 가열하는 1차 가열단계;(ST 2)
    상기 가열중인 조리솥에서 고기류를 꺼내어 작은 크기로 절단 손질하는 손질단계;(ST 3)
    상기 손질되어진 고기를 가열중인 조리솥에 다시 투입하여 재료가 농축되어질 수 있도록 80~100℃의 온도로 가열하는 2차 가열단계;(ST 4)
    조리솥에서 우려진 뼈를 꺼내어 제거하는 뼈 제거단계;(ST 5)
    상기 농축된 재료를 성형하기 위해 성형용 용기에 부어주는 성형단계;(ST 6)
    상기 성형용 용기내의 고기 재료가 농축된 진액과 엉겨붙어 고형화 되도록 성형용 용기를 냉장고에 보관시키는 냉장단계;(ST 7)
    상기 냉장을 통해 고형화 되어진 재료를 편육 형태로 잘게 썰어주는 칼질단계;(ST 8)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재가 함유된 육장편육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육장편육.
KR1020080026141A 2008-03-21 2008-03-21 한약재가 함유된 육장편육 및 그 제조방법 KR100958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6141A KR100958777B1 (ko) 2008-03-21 2008-03-21 한약재가 함유된 육장편육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6141A KR100958777B1 (ko) 2008-03-21 2008-03-21 한약재가 함유된 육장편육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0746A KR20090100746A (ko) 2009-09-24
KR100958777B1 true KR100958777B1 (ko) 2010-05-18

Family

ID=41358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6141A KR100958777B1 (ko) 2008-03-21 2008-03-21 한약재가 함유된 육장편육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87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049B1 (ko) * 2011-05-06 2013-09-24 (주)광주식품 돼지껍데기 한방편육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0302A (ko) * 1996-11-29 1998-08-17 김태수 돼지머리를 이용한 육가공품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0302A (ko) * 1996-11-29 1998-08-17 김태수 돼지머리를 이용한 육가공품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049B1 (ko) * 2011-05-06 2013-09-24 (주)광주식품 돼지껍데기 한방편육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0746A (ko) 2009-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489636B (zh) 一种麻辣香菇鸡肉酱及其制作方法
KR100841206B1 (ko) 돈피를 이용한 콜라겐 식품 제조 방법
CN103610100A (zh) 一种糟腊风味鹅肴肉及其制作方法
CN103519216A (zh) 一种辣子鸡的加工方法
KR101342505B1 (ko) 오리 후라이드용 튀김장치 및 이 튀김장치를 이용한 오리 후라이드 제조방법 및 오리 후라이드
KR20190045734A (ko) 닭발 편육 제조방법
KR20090005490A (ko) 콜라겐을 함유하는 건강 식품 제조방법
CN100364455C (zh) 一种中式卤制肉品的工业生产方法
KR100958777B1 (ko) 한약재가 함유된 육장편육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59482A (ko) 돼지껍데기를 이용한 이용한 묵 및 그의 제조방법
CN101310624B (zh) 一种猪蹄肠的制作方法
CN103271381A (zh) 一种大鲵五香肉及其生产方法
KR20130135682A (ko) 한방 양념 돼지껍데기 편육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되는 한방 양념 돼지껍데기
KR20110092990A (ko) 닭발 요리의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824721B1 (ko) 찌개 육수용 한방 콜라겐 큐브 및 그 제조 방법
CN104799184A (zh) 一种金颗粒面制作方法
CN107319392A (zh) 一种即食鲌鱼丸及其制备方法
KR101508902B1 (ko) 육질이 부드러운 탕수육 고기의 제조방법
CN108112889A (zh) 一种酱猪肘的制作方法
KR101293681B1 (ko) 돼지껍질 편육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6858359A (zh) 一种鲜香脆牛肉酱的制作方法
KR100866336B1 (ko) 껍질없는순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4996956A (zh) 木姜子调味品及其制作方法
CN109511938A (zh) 一种鱼料理底料及其制备方法以及鱼料理
CN108887603A (zh) 一种牛肉干及其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