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1133B1 - 재밀봉성을 구비하고 용이하게 개봉될 수 있는 용기 뚜껑및 그 제법 - Google Patents

재밀봉성을 구비하고 용이하게 개봉될 수 있는 용기 뚜껑및 그 제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1133B1
KR100951133B1 KR1020057013603A KR20057013603A KR100951133B1 KR 100951133 B1 KR100951133 B1 KR 100951133B1 KR 1020057013603 A KR1020057013603 A KR 1020057013603A KR 20057013603 A KR20057013603 A KR 20057013603A KR 100951133 B1 KR100951133 B1 KR 100951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lid
lid member
container lid
t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3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5865A (ko
Inventor
마모루 시바사카
타츠야 오사프네
다이스케 이모다
Original Assignee
도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15840A external-priority patent/JP427377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327152A external-priority patent/JP412407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327154A external-priority patent/JP412407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327153A external-priority patent/JP419365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008647A external-priority patent/JP4543683B2/ja
Application filed by 도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95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5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1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1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50Non-integral frangible members applied to, or inserted in, preformed openings, e.g. tearable strips or plastic plugs
    • B65D17/506Rigid or semi-rigid members, e.g. plu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9/00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 B65D39/16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with handles or other special means facilitating manual ac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18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compress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9/00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9/00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 B65D39/02Disc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리 형성된 개구부를 구비한 뚜껑 부재와 상기 뚜껑 부재의 외면측에 상기 개구부를 덮고 또한 개구부 주변부에서 밀봉 접착하도록 처리된 개봉용 탭으로 이루어지는 용이하게 개봉될 수 있는 용기 뚜껑에 관한 것으로, 개봉용 탭이 가요성 탭 부재와 상기 탭 부재에 접착 일체화됨과 동시에 상기 뚜껑 부재의 개구부에 감합 가능하게 형성된 플러그 부재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가요성 탭 부재가 상기 뚜껑 부재 개구부 주변부에서 박리 가능하게 밀착 고정되어 있음으로써 일단 개봉한 개구부를 다시 임시 밀봉하는 등의 잠정 재밀봉이 반복 가능한 재밀봉성을 가짐과 동시에, 재밀봉시 밀봉성, 개봉 명시 기능, 용이 개봉성 등이 뛰어난 효과를 발현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재밀봉성을 구비하고 용이하게 개봉될 수 있는 용기 뚜껑 및 그 제법{EASILY OPENABLE CONTAINER LID WITH RESEALABILITY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용이하게 개봉될 수 있는 용기 뚜껑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부 개봉 타입의 용기 뚜껑으로, 일단 개봉한 개구부를 다시 임시 밀봉하는 등의 잠정 재밀봉이 가능한 재밀봉성을 구비하고 용이하게 개봉될 수 있는 용기 뚜껑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용이하게 개봉될 수 있는 용기 뚜껑(이지·오픈 뚜껑)은 음식 캔이나 음료 캔 등의 식품 용기 뚜껑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여기에는 콜라, 맥주, 주스 등의 각종 음료를 수용하는 음료 캔의 캔 뚜껑에 주로 사용되는 일부 개봉 타입의 용기 뚜껑과, 주로 통조림, 인스턴트 라면, 스넥 과자 등의 음식 캔의 캔 뚜껑에 사용되는 전부 개봉 타입의 용기 뚜껑이 있다.
또한, 일부 개봉 타입의 용기 뚜껑에는 용이하게 떼어내진 개구부편이 박리 개봉에 의해 용기 뚜껑으로부터 완전히 떼어내지는 풀-톱 탭 타입(pull-top tab type)인 것과 용이하게 떼어내진 개구부편의 일부를 용기 뚜껑에 연결시킨 채로 용기 내에 밀어넣는 등에 의해 개봉 후에도 떼어내진 개구부편이 용기 뚜껑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스테이온-탭 타입(stay-on tab type)의 것이 있다.
그러나, 열려진 조각이 용기 뚜껑으로부터 완전히 떼어내지는, 소위, 풀-톱탭 타입인 것은 쓰레기로서 환경을 더럽힐 뿐만 아니라, 떼어내진 개구부편이 예리한 파단면을 가지는 등 때문에, 최근 상기와 같은 문제가 없는 스테이온-탭 타입의 것이 많이 사용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용기 뚜껑에는 용이 개봉성이나 밀봉성과 함께 내용물의 성질 여하에 따라서는 내부 압력에 대한 강도, 내부식성, 특히 내용물 중으로의 용출이 없을 것이 강하게 요구된다.
이 때문에, 종래부터 고강도이고 가요성이 풍부하며, 또한 내식성이 뛰어난 적층재, 특히, 금속박이나 수지 박판 등의 기재에 비용출성의 수지를 피복한 적층재로 이루어지는 뚜껑 본체나 탭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11-011526호에는, 용이 개봉성과 배리어성이 뛰어나고 또한, 내부 압력에 대한 강도를 강화시키는 목적으로 개구부를 가지는 뚜껑체가 되는 기재(열가소성 수지)에 열-밀봉성(heat-seal성)을 가지는 적층체를 적층체의 접착 강도가 적층체의 층간 접착 강도보다 강하며, 접착된 층의 인장 강도가 적층체의 층간 접착 강도보다 약하도록 접착층을 통하여 접착한 용이하게 개봉될 수 있는 뚜껑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 등록 공보 소60-1216호에는 양면을 수지 피복한 금속박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개구부편과 미리 형성된 개구부를 갖고 상기 개구부의 둘레 가장자리 가 특정 구조로 보호 피복된 수지 피복 금속 뚜껑체를 열-접착시켜 얻어지는 용이하게 개봉될 수 있는 용기 뚜껑을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이렇게 일부 개봉되는 스테이-온 탭 타입의 용기 뚜껑이 일반적이게 된 극히 최근에 이르러, 이 용기 뚜껑에 재밀봉성을 부여하여 일단 개봉한 개구부를 다시 가볍게 임시로 막는 등에 의해 용기 내를 잠시 재밀폐하거나 뚜껑이 부착된 채로 레토르트 처리하거나 할 수 있는 용이하게 개봉될 수 있는 용기 뚜껑의 제공이 갑자기 요망되게 되었다.
그러나, 용이하게 개봉될 수 있는 용기는 본래 1회 한정의 일회용 사용이 원칙이고 개봉도 1회 한정으로, 개봉된 후의 용기 뚜껑 개구부의 재밀봉은 종래 생각할 수 없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사실, 본 발명자가 조사한 한에 있어서, 일단 개봉한 개구부의 재밀봉을 목적으로 한, 용이하게 개봉될 수 있는 용기 뚜껑의 제안은 한 건도 발견할 수 없었다.
게다가, 실질적으로 내용물의 누출을 일으키는 일 없이, 또한, 안전하고 확실하게 용기 뚜껑을 재밀봉하려면 재밀봉 시에 어느 정도의 개구부 밀봉성이 필요함과 동시에, 또한 적어도 한 번 개봉되고 그 후 재밀봉된 뚜껑과 아직 미개봉인 뚜껑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어, 캔의 내용물이 모르는 사이에 변경되어 있지 않을 보증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장난이나 범죄 예방 등의 견지에서 특히 중요하다.
이미 설명한 종래의 수지 피복 금속박 탭 또는 개봉편 등에서는 그것을 이용하여 재밀봉한 경우, 밀봉성을 거의 얻을 수 없거나, 혹은 재밀봉 시의 밀폐성이 얻어지는 것이어도 기개봉과 미개봉의 식별을 하기 어렵거나, 상기 목적을 충분히 달성하는 것이 곤란하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개봉편인 개봉용 탭에 뚜껑체의 개구부에 감합할 수 있는 플러그 부재를 부설하는 구성에 의해, 상기 재밀봉성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기개봉, 미개봉의 식별도 용이하게 가능해지는 것을 발견하고, 그 지견에 근거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재밀봉성을 구비한 용이하게 개봉될 수 있는 용기 뚜껑, 특히, 일부 개봉 타입의 스테이-온 탭 부착 용기 뚜껑으로, 일단 개봉한 개구부를 다시 임시 밀봉하는 등의 잠정 재밀봉이 반복 가능한 개봉구 재밀봉성을 구비하고, 수지 피복 탭만으로 개구부를 커버하는 형태의 것에 비해 현저하게 재밀봉 밀봉성이 뛰어난 용이하게 개봉될 수 있는 용기 뚜껑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어도 한 번은 개봉되고, 그 후 재밀봉된 뚜껑과 아직 미개봉인 뚜껑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고, 개개의 캔 내용물이 모르는 사이에 변경되어 있지 않을 보증이 용이하게 얻어지는 개봉 명시 기능을 겸비한 용이하게 개봉될 수 있는 용기 뚜껑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품에 비교하여 내압, 낙하 강도가 큰 폭으로 향상된 용이하게 개봉될 수 있는 용기를 형성할 수 있는 용기 뚜껑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개봉용 탭을 뚜껑 부재에 접착 고정할 때의 접착성 수지 또는 접착제의 돌출이 유효하게 방지되어 외관 특성이나 마시는 부분의 감촉이 뛰어난 용이하게 개봉될 수 있는 용기 뚜껑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용이 개봉성이 현저하게 향상된 용기 뚜껑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의 스테이-온 탭 부착 용기 뚜껑과 같이 개구부편이 캔 내에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위생적으로 뛰어난 용이하게 개봉될 수 있는 용기 뚜껑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재밀봉성을 구비한 용이하게 개봉될 수 있는 용기 뚜껑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미리 형성된 개구부를 구비한 뚜껑 부재와 상기 뚜껑 부재의 외면측에 상기 개구부를 덮고 또한 개구부 주변부에서 밀봉 접착하도록 처리된 개봉용 탭으로 이루어지는 용이하게 개봉될 수 있는 용기 뚜껑에 있어서, 상기 개봉용 탭은 가요성 탭 부재와 상기 탭 부재에 접착 일체화됨과 동시에 상기 뚜껑 부재의 개구부에 감합 가능하게 형성된 플러그 부재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가요성 탭 부재가 상기 뚜껑 부재 개구부 주변부에서 박리 가능하게 밀착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밀봉성을 구비한 용이하게 개봉될 수 있는 용기 뚜껑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용이하게 개봉될 수 있는 용기 뚜껑은 개봉용 탭(개봉편)이 가요성 탭 부재 부분과 플러그 부재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플러그 부재는 뚜껑 부재의 개구부에 감합하는 형상 구조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탭 부재에 접착하여 일체화되고, 또한 가요성 탭 부재는 뚜껑 부재 개구부 주변부에서 박리 가능하게 밀봉 접착되어 있는 것이 구조상의 현저한 특징이다.
개봉용 탭이 상기 특정 구조를 가짐으로써 본 발명의 용이하게 개봉될 수 있는 용기 뚜껑은 한 번 개봉한 후에도 플러그를 개구부에 밀어넣음으로써 몇 번이라도 간이하게 잠정적인 재밀봉이 가능하고, 종래의 수지막 피복 금속박 탭(테이프 탭)만으로 개구부를 덮는 경우에 비해 현격히 뛰어난 재밀봉성을 나타낸다. 게다가, 개봉 부분에서의 접착 면적이 개구부 둘레 가장자리부만의 작은 면적으로 접착 강도를 비교적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개구부성이 향상된다.
또한, 한 번 개봉되고 그 후 재밀봉된 뚜껑과 미개봉인 뚜껑이 각각의 상태에서 형상으로부터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고, 용기 뚜껑이 일단 개봉된 것임을 나타내는 개봉 명시 기능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용이하게 개봉될 수 있는 용기 뚜껑의 특정 구성에 의해, 종래의 것에 비해 용기의 내압, 낙하 강도가 큰 폭으로 향상된다.
또한, 전체적으로 그 형상이 편평하고 상하 방향으로 높은 요철이 없기 때문에 본 발명의 뚜껑을 동시에 다수 쌓아 올려도 비교적 안정되어 소위 적재 스택성도 뛰어난 등 수많은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용이하게 개봉될 수 있는 용기 뚜껑에 있어서는, 개구의 단연부(端緣部)가 뚜껑 외측으로의 절곡 또는 컬(curl) 가공, 혹은 도료 또는 수지에 의한 피복으로 단연 처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의해 개봉 후의 개구 단연부가 예리하지 않고, 게다가 부식 등으로부터도 보호된다. 또한 단연 처리된 태양의 것은 개봉용 탭의 플러그 부재와의 감합에 익숙하고, 재밀봉을 반복해도 플러그 부재를 손상시키는 일이 없기 때문에 감합 상태를 길고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가요성 탭 부재는 금속박의 양면에 수지 피막이 형성된 적층체, 예를 들면 2축 연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층/알루미늄층/실란트필름층으로 이루어지고, 각 층간이 우레탄계 접착제를 이용한 드라이 라미네이트에 의해 제작된 것이, 탭 인열(引裂) 시의 인장 강도와 가요성과의 밸런스 상 및 부식 내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뚜껑 부재는 둘레가장자리부에 권체(券締) 가공부를 가지는 금속제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뚜껑 부재의 외면측은 적어도 상기 가요성 탭 부재에 대해 열접착성을 가지며, 내면측은 가요성 탭 부재 및 플러그 부재에 대해 비접착성임으로써 가요성 탭 부재나 플러그 부재의 밀착성과 내용물로의 비용출성 모두를 확보하는 관점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개봉용 탭이 그 가요성 탭 부재에 추가하여 또한 플러그 부재도 상기 뚜껑 부재의 개구부 주변부에 접착되어 있는 태양인 것은, 특히, 고온, 충격 등의 가혹한 조건에 노출되는 용기의 밀폐성 확보의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개봉용 탭이 그 개봉 개시 단으로부터 상기 개구부를 사이에 둔 대향측에 위치하여 이탈 곤란하게 뚜껑 부재에 부착된 부분을 가지고, 개봉 후에 있어서도 개봉용 탭이 뚜껑 부재로부터 이탈하지 않는 용기 뚜껑, 특히, 뚜껑 부재에 부착된 부분의 직전 부분에서 박리 방향에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양측이 잘라내져서 상기 부분의 탭 폭이 좁혀진 형상인 용기 뚜껑 구성인 것은, 상기 부분에서 박리 진행이 용이하게 정지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용이하게 개봉될 수 있는 용기 뚜껑에 있어서, 가요성 탭 부재는 뚜껑 부재의 외면 측에 접착 고정됨과 동시에 플러그 부재가 접착 일체화되는 밀봉부와, 상기 밀봉부의 개봉 개시단에서 밀봉부와 연속하는 되접음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되접음부는 개봉을 위한 파지부를 가짐과 동시에, 개봉 전에는 밀봉부 또는 뚜껑 부재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이 되접음부가 적어도 상기 파지부를 제외하고 밀봉부 또는 뚜껑 부재 외면에 접착 고정되어 있고, 개봉 후 되접음부를 밀봉부 또는 뚜껑 부재에 고정할 수 없게 하는 것, 예를 들면 되접음부의 밀봉부 또는 뚜껑 부재 외면과의 접착 고정을 박리하면 되접음부 또는 밀봉부의 일부가 파단되는 태양으로 함으로써 용기 뚜껑이 일단 개봉된 것임을 한눈에 알 수 있어, 보다 명확한 개봉 명시 기능이 발휘된다.
또한, 가요성 탭 부재가 뚜껑 부재와 접착되는 측의 면에 접착층이 형성되어 있고, 되접음부의 단부가 뚜껑 부재측에 절곡 또는 컬 가공되어 접착 고정되어 있음으로써 밀봉부 및 되접음부의 접착 고정이 용이함과 동시에, 별도 접착제를 도포하는 공정이 불필요해져 생산성이 우수하다는 효과를 가질 수 있고, 게다가 절곡 가공부보다도 외측에 접착성 수지 또는 접착제가 돌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또한 가요성 탭 부재가 뚜껑 부재에 접착 고정되어 있음과 동시에 개구부 주변의 단부가 뚜껑 부재측에 절곡 가공되어 있음으로써 접착성 수지 또는 접착제가 이 절곡된 부분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개봉 후 뚜껑 부재에 줄무늬 형상의 접착성 수지 또는 접착제가 남는 일이 없고 외관 특성이 뛰어남과 동시에 뚜껑 부재에 직접 입을 대고 마시는 경우의 마시는 부분의 감촉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뚜껑 부재에는 미리 가스 제거 구멍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되접음부가 적어도 상기 가스 제거 구멍을 밀봉하도록 뚜껑 부재 외면측에 접착 고정되어 있고, 상기 되접음부를 뚜껑 부재 외면측으로부터 박리함으로써 개구부보다도 먼저 가스 제거 구멍이 개통하도록 하여 내용물이 탄산 음료 등과 같이 용기 내가 플러스압이 되는 경우에도, 먼저 가스 제거 구멍이 개통되기 때문에, 내용물이 뿜어져 나오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용이하게 개봉될 수 있는 용기 뚜껑에 있어서는, 플러그 부재의 개구부로부터 빼내기에 앞서, 상기 가요성 탭 부재의 밀봉부와 되접음부의 경계선인 되접음선의 양단 근방에서 밀봉부와 뚜껑 부재의 접착이 박리 내지 약접착화되는 것, 예를 들면, 가요성 탭 부재가 되접음선의 양단 근방에서 밀봉부와 되접음부가 접착 고정되고 있는 것 등에 의해, 플러그 부재의 빼냄보다도 먼저 플러그 부재의 빼냄이 개시되는 부분의 주변의 밀봉부의 접착이 박리될 수 있고, 플러그 부재를 빼낼 때의 가요성 탭의 부재의 박리에 필요한 힘을 저감시키고, 전체적으로 개봉에 필요한 힘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용이하게 개봉될 수 있는 용기 뚜껑에 있어서, 플러그 부재는 사출 성형 또는 압축 성형에 의해 형성된 수지제 플러그 부재 혹은 프레스 성형에 의해 형성된 금속제 플러그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수지제 플러그 부재로서는 올레핀계 수지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고무형상 조성물에서 선택된 적어도 일종과의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고, 또한 25℃에서의 헵탄 용출량이 150ppm 이하, 100℃에서의 변형율(JIS K 6723)이 30% 미만, 70℃에서의 압축 영구 변형(JIS K 6262)이 50∼95%의 범위에 있는 것으로써 고온 충전 시 혹은 레토르트 살균 시의 밀봉제를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용기 뚜껑 개봉 후의 재밀봉에 필요한 반복 탄성도 부여된다.
또한, 플러그 부재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의 상온 하에서의 경도가 가황 고무의 영구 변형 시험 방법(JIS K 6262)에 준한, 타입 A 듀로미터 압자에 의한 측정값으로 80 내지 95, 타입 D 듀로미터 압자에 의한 측정값으로 50 내지 75의 범위에 각각 있는 것이 용기 낙하 등에 의한 변형 응력, 압압 응력 등에 저항하여 형상 유지와 밀봉성, 재밀봉제를 유지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또한, 미리 형성된 개구부를 구비한 뚜껑 부재의 상기 개구부의 단연 처리를 하는 공정, 가요성 탭 부재와 플러그 부재를 일체화하여 개봉용 탭을 성형하는 공정, 뚜껑 부재의 외면측이 되는 면에 상기 개봉용 탭을 설치하고, 개구부 주변부에 있어서 가요성 탭 부재와 뚜껑 부재 외면을 접착시키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이하게 개봉될 수 있는 용기 뚜껑의 제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용이하게 개봉될 수 있는 용기 뚜껑의 상기 제법에 있어서는, 개봉용 탭이 가요성 탭 부재 상에 플러그 부재를 사출 성형 혹은 압축 성형에 의해 일체 성형하여 형성되는 것이 개봉용 탭 형상을 정확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관점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미리 형성된 개구부를 구비한 뚜껑 부재의 상기 개구부의 단연 처리를 하는 공정, 가요성 탭 부재 및 플러그 부재를 각각 성형하는 공정, 뚜껑 부재의 외면측이 되는 면에 상기 가요성 탭 부재 및 플러그 부재를 플러그 부재가 뚜껑 부재의 개구부에 감합하고, 플러그 부재를 가요성 탭 부재가 덮도록 뚜껑 부재 외면 상에 설치하며, 가요성 탭 부재와 플러그 부재를 접착 일체화하여 개봉용 탭을 성형함과 동시에 뚜껑 부재 외면에 가요성 탭 부재를 접착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이하게 개봉될 수 있는 용기 뚜껑의 제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용기 뚜껑의 주요 구성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용기 뚜껑이 완성 후 개봉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의 용기 뚜껑의 주요 구성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용기 뚜껑의 완성 후 미개봉 상태의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수지 플러그를 이용한 본 발명의 용기 뚜껑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평면도, (b)는 단면도, (c)는 부분 확대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6은 수지 플러그를 이용한 본 발명의 용기 뚜껑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평면도, (b)는 단면도, (c)는 부분 확대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7은 메탈 플러그를 이용한 본 발명의 용기 뚜껑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평면도, (b)는 단면도, (c)는 부분 확대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8은 메탈 플러그를 이용한 본 발명의 용기 뚜껑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평면도, (b)는 단면도, (c)는 부분 확대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용기 뚜껑에 있어서 특히 개봉 명시 기능이 뛰어난 태양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X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서의 X부분의 다른 태양을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9에서의 X부분의 다른 태양을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9에서의 X부분의 다른 태양을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9에서의 X부분의 다른 태양을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용기 뚜껑에 있어서 특히 가스 제거 구멍이 설치된 태양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와 가스 제거 구멍의 위치가 상이한 다른 태양을 도시하는 평 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와 가스 제거 구멍의 위치가 상이한 다른 태양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용기 뚜껑에 있어서, 특히 용이 개봉성이 뛰어난 태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9는 최초의 개봉 조작에서의 개봉에 필요한 힘을 도시하는 차트이다.
도 20은 도 18에 도시하는 태양의 가요성 탭 부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1은 가요성 탭 부재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가요성 탭 부재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가요성 탭 부재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4는 도 4의 용기 뚜껑 단면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뚜껑 부재의 수지 피복에 의한 개구 단연부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수지 플러그를 이용한 용기 뚜껑의 제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수지 플러그를 이용한 용기 뚜껑의 다른 제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수지 플러그를 이용한 용기 뚜껑의 다른 제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수지 플러그를 이용한 용기 뚜껑의 또 다른 제법을 설명 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메탈 플러그를 이용한 용기 뚜껑의 제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메탈 플러그를 이용한 용기 뚜껑의 다른 제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가요성 탭 부재의 제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용기 뚜껑 개구 단연부의 절곡에 의한 처리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수지 플러그)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용기 뚜껑 개구 단연부의 절곡에 의한 다른 처리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수지 플러그)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용기 뚜껑 개구 단연부의 절곡에 의한 처리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메탈 플러그)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용기 뚜껑 개구 단연부의 절곡에 의한 처리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메탈 플러그)이다.
(용이하게 개봉될 수 있는 용기 뚜껑의 기본 태양)
이하에 본 발명의 재밀봉성을 구비한 용이하게 개봉될 수 있는 용기 뚜껑의 기본 태양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용이하게 개봉될 수 있는 용기 뚜껑의 일례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도 1은 장착 전 상태에서의 용기 뚜껑의 주요 구성 부재를 도시하고, 도 2는 용기 뚜껑이 개봉된 상태를 도시한다.
또한, 도 3은 일부 부재 형상이 상이한 것 외에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용기 뚜껑과 동일한 본 발명의 용기 뚜껑의 장착 전 주요 구성 부재를 도시하며, 도 4는 그 용기 뚜껑의 미개봉 상태와 그 상태에서의 뚜껑의 단면 구조를 도시한다.
도 1 및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용기 뚜껑은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뚜껑 부재(1)와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개봉용 탭(3)으로 이루어진다.
뚜껑 부재(1)는 이미 형성된 개구부(2)를 가지고, 개봉용 탭(3)은 가요성의 탭 부재(10)와 플러그 부재(20)로 이루어지며, 플러그 부재(20)는 뚜껑 부재(1)의 개구부(2)에 감합하도록 이 도면의 용기의 경우, 거의 원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저면측이 가요성 탭 부재(10)의 부호 11로 나타나 있는 부분에 접착된다.
그리고, 개봉용 탭(3)은 단일의 가요성 탭 부재(10)를 절곡하여 뚜껑 부재(1)의 개구부(2)를 덮고, 또한, 개구부(2)의 주변부와 접착해 밀봉하는 밀봉부(12)와 밀봉부의 개봉 개시단이 되는 되접음선(13)을 통하여 밀봉부(12)와 연속하는 되접음부(14)로 되어 있고, 되접음부(14)에는 파지부(15)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이 태양에 있어서는, 개봉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단일의 가요성 탭 부재를 절곡하여 밀봉부와 되접음부를 형성하고 있지만, 물론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밀봉부의 개봉 개시단에 직접 파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태양을 채용할 수 있다.
이 용기 뚜껑에서는 개봉용 탭(3)의 접착은 가요성 탭 부재(10)의 부분만으로 행해지고 있지만, 가요성 탭 부재(10) 뿐만 아니라 플러그 부재(20)와도 접착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이 태양의 것은 고온, 충격 등의 가혹한 조건에 노출되는 용기의 미개봉시 밀폐성 뿐만이 아니라 재밀봉 시의 밀폐성도 포함하여 보다 양호한 밀폐성을 확보할 수 있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개봉용 탭(3)은 그것이 뚜껑 부재(1)의 개구부(2) 상에 설치된 상태에서의 되접음선(13)으로부터 개구부를 사이에 둔 대향측 부분에 뚜껑 부재(1)와 강고하게 결합하는 부분을 가지고, 도시한 태양의 용기 뚜껑에서는 그 부분에는 3개의 컬(16)이 형성되어 있다.
이 3개의 컬 형상은 뚜껑 부재(1)의 대응하는 위치에도 설치되고 양자의 이들 컬끼리가 접착됨으로써 양 부재가 강고하게 접합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개봉용 탭(3)을 되접음선(13)으로부터 박리하여 용기 개봉한 후에 있어서도 개봉용 탭(3)이 뚜껑 부재(1)로부터 이탈하지 않는 구성이 된다(도 2 참조 : 스테이온-탭 타입).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용기 뚜껑은 뚜껑 부재(1)와 개봉용 탭(3)으로 이루어지고, 뚜껑 부재(1)가 개구부(2)를 가지고 개봉용 탭(3)은 가요성 탭 부재(10)와 플러그 부재(20)로 이루어지며 플러그 부재가 개구부(2)에 감합하도록 형성되어 가요성 탭 부재(10)에 접착 일체화되는 점은 상기 도면 1, 2의 용기와 동일하다.
그리고, 이 용기 뚜껑에서도 개봉용 탭(3)은 개구부(2)를 덮고 또한 개구부 주변부와 가요성 탭 부재(10)가 접착 고정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단, 이 용기 뚜껑에는 상기 도 1 및 도 2의 용기의 컬은 설치되어 있지 않 고, 뚜껑 부재(1)와 가요성 탭 부재(10)의 접착부는 평탄면이다.
그 대신에 도 3 및 도 4의 용기 뚜껑에서는 양 부재의 접착 고정부(17)의 직전 부분(18)에서 가요성 탭 부재(10)가 폭방향으로 양측에서 잘라내어지고 여기에서 박리 진행이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용이하게 개봉될 수 있는 용기 뚜껑을 개봉하려면, 상기 개봉용 탭(3)의 파지부(15)를 손가락으로 쥐면서 되접음부(14)를 일으키고, 상기 되접음부(14)를 그 되접음선(13)으로부터 바로 앞쪽으로 끌어 밀봉부의 접착을 박리하면서 플러그 부재(20)를 개구부(2)로부터 빼내어 접착 고정부(17)의 앞에서 정지한다.
또 한 번 개봉한 후의 재밀봉은 개봉용 탭(3)의 플러그 부재(20)의 접착부(11) 표면을 압압하는 등에 의해 플러그를 개구부에 재감착시킬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용기 뚜껑에서의 뚜껑 부재의 개구 단연부와 개봉용 탭의 가요성 탭 부재와의 접착 태양 및 플러그 부재와의 감합 태양에 대해서 각종 구체적인 예를 들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수지 플러그를 이용한 경우의 본 발명의 용기 뚜껑(미개봉)의 일례를 도시하는 평면도(a), 단면도(b) 및 개구 단연부과 가요성 탭 부재와의 접착 부위 및 개구 단연부와 플러그 부재의 감합 밀봉 태양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 (c)이다.
도 5의 용기 뚜껑에서는 개구 단연부(4)는 뚜껑 부재(1)의 외면측(도면에서는 위쪽)을 향해서 매끄러운 곡면을 형성하도록 절곡되고, 그 감합 밀봉면은 부호 C로 도시된 부분, 즉 뚜껑의 중심 방향을 향하고 있다.
이 태양의 감합에서는 밀봉은 주로 수지 플러그 부재의 지름 방향 반발 탄성력에 의해 유지된다.
그리고 이 도면의 용기 뚜껑에서는 가요성 탭 부재(10)가 A부분에서 뚜껑 부재(1)에 접착되고 있다.
도 6은 마찬가지로 수지 플러그를 이용한 본 발명의 용기 뚜껑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는 평면도(a), 단면도(b) 및, 부분 확대도(c)이지만, 절곡된 개구 단연부(4)의 감합 부분(밀봉 부분)은 부호 C로 도시되고, 그 면은 뚜껑의 둘레 가장자리 방향을 향하고 있다.
그리고 뚜껑 부재(1)는 가요성 탭 부재(10)와 A부에서, 플러그 부재(20)와 B부에서 각각 접착되고 있다.
이 태양의 감합에서는, 가령, 용기 뚜껑이 가열된 경우에도 가요성 탭 부재(10)의 단연부 근처(도면에서는 경사 부분 근방)와 개구 단연부(4) 사이에 끼워진 부분의 플러그 부재의 팽창이 억제되기 때문에 밀봉이 손상되기 어렵고, 또한 재밀봉을 반복해도 플러그 수지의 클리프 발생이 지연되어 탄성의 내구성이 뛰어난 이점을 가진다.
또한 도 7은 메탈 플러그를 이용한 경우의 본 발명의 용기 뚜껑의 일례를 도시하는 평면도(a), 단면도(b) 및 부분 확대도(c)이다.
도 7의 용기 뚜껑에서는, 개구 단연부(4)는 뚜껑 부재(1)의 외측(위쪽)을 향해서 절곡되고, 그 감합 밀봉면은 부호 C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뚜껑의 중심 방향을 향하고 있다.
그리고 이 도면의 용기 뚜껑에서는 뚜껑 부재(1)는 가요성 탭 부재(10)와 A부분에서 접착되어 있다.
이에 대해, 도 8은 메탈 플러그를 이용한 경우의 용기 뚜껑의 다른 일례의 평면도(a) 단면도(b) 및 부분 확대도(c)이지만, 절곡된 개구 단연부(4)의 감합 밀봉면(부호 C의 부분)은 뚜껑의 둘레 가장자리 방향을 향하고 있다. 그리고 뚜껑 부재는 가요성 탭 부재와 A부분에서 접착되고 있다.
(개량 태양)
본 발명의 용이하게 개봉될 수 있는 용기 뚜껑에 있어서는, 상술한 기본 구조를 가지는 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고, 이 여러 가지의 변경에 의해 상술한 여러 가지의 작용 효과를 겸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용이하게 개봉될 수 있는 용기 뚜껑에 있어서, 개봉 명시 기능(탬퍼 에비던트성)을 보다 명확하게 한 태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9는 용이하게 개봉될 수 있는 용기 뚜껑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X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11 내지 13은 도 9의 X부분의 다른 태양을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이 태양에서의 용이하게 개봉될 수 있는 용기 뚜껑에 있어서도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도 1 내지 도 4와 마찬가지이다. 이 태양에 있어서는, 가요성 탭 부재(10)의 되접음부(14)가 뚜껑 부재(1) 혹은 밀봉부(12)와 접착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것이 중요한 특징이다. 이 때문에, 최초의 개봉 시에 되접음부의 접착 부분을 박리하면 되접음부를 뚜껑 부재 또는 밀봉부에 재차 고정할 수 없게 되고, 그 결과 되접음부는 일단 개봉된 후에는 밀봉부와 개봉 개시단 이외에서는 밀봉부로부터 떨어진 프리 상태가 되기 때문에 한눈에 일단 개봉된 것임이 판단 가능해진다.
즉,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요성 탭 부재의 되접음부(14)의 링형상 부분의 외주부에는 밀봉부(12)측에 절곡 가공한 절곡 가공부(3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곡 가공부(30)는 개봉 전의 상태에 있어서 뚜껑 부재(1)에 접착 고정되어 있다.
개봉용 탭(3)의 뚜껑 부재(1)로의 고정은 뚜껑 부재(1)에 미리 접착제를 도포하여 개봉용 탭의 밀봉부(12)를 뚜껑 부재(1)에 고정할 수도 있고, 개봉용 탭을 구성하는 가요성 부재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접착층을 형성하며, 이 접착층을 밀봉부의 뚜껑 부재와 접하는 면으로 함으로써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밀봉부 및 되접음부의 다른 접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1 내지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밀봉부(12)의 뚜껑 부재(1)에 접하는 면에 접착층(41a)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되접음부(14)의 밀봉부(12)와 접하지 않는 쪽의 면이 접착층(41b)이 된다. 이 때문에, 되접음부(14)의 적어도 되접음선(13) 및 파지부(15)를 제외한 단연부를 뚜껑 부재측에 컬 혹은 절곡함으로써 접착층(41a)이 뚜껑 부재(1)측에 위치하게 되고, 되접음부(14)의 고정을 밀봉부(12)의 고정과 동일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1에 도시하는 태양에 있어서는, 되접음부(14)의 단부에 스코어(42)를 형성해 둠으로써 개봉을 위해서 되접음부(14)를 박리하면, 스코어(42)에서 되접음부가 파단하고, 되접음부(14)의 뚜껑 부재(1)와 접착 고정되고 있는 단연부(14a)의 부분이 뚜껑 부재(1)에 남기 때문에, 일단 개봉된 것임을 한눈에 판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스코어(42)를 형성하지 않고 개봉을 위해서 되접음부(14)를 박리했을 때에, 되접음부(14)가 단연부(14a)의 부분과 함께 벗겨지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되접음부(14)는 뚜껑 부재(1)에 재고정할 수 없기 때문에 일단 개봉된 것임은 분명해진다.
또한, 도 12에 도시하는 태양에 있어서는, 밀봉부(12)의 단연부(12a)를 되접음부측에 컬 혹은 절곡함으로써 밀봉부(12)의 단연부(12a)는 되접음부측에 접착층(41a)이 위치하게 되고, 되접음부(14)를 밀봉부에 접착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태양에 있어서도, 되접음부(14)의 단부에 스코어(42)를 형성해 둠으로써 되접음부(14)의 밀봉부 단연부(12a)에 접착 고정되어 있는 단연부(14a)의 부분이 밀봉부에 남기 때문에 일단 개봉된 것임을 한눈에 판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 12의 태양에 있어서 다시 되접음부(14)의 단연부를 밀봉부측에 컬 혹은 절곡함으로써 밀봉부의 접착층(41a)과 되접음부의 접착층(41b)이 면하게 되고, 보다 강고하게 접착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태양에 있어서도, 도 12에 도시하는 예와 동일하게 되접음부(14)의 단연부(14a)에 스코어(42)를 설치함으로써 되접음부(14)의 밀봉부 단연부(12a)에 접착 고정되어 있는 단연부(14a)의 부분이 밀봉부에 남기 때문에 일단 개봉된 것임을 한눈에 판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12 및 도 13에 있어서, 스코어는 밀봉부측에 설치해도 되고, 이 경우에는 밀봉부의 단연부가 되접음부측에 이행하여 일단 개봉된 것임을 명확하게 나타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4에 도시하는 태양에 있어서는 개봉용 탭의 단부가 뚜껑 부재측에 절곡 또는 컬 가공되어 있는 것이 중요한 특징이다.
즉,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봉용 탭(3) 혹은 뚜껑 부재(1)에 형성된 접착성 수지 또는 도포된 접착제(40)가 용융하여 압압되어 뚜껑 부재(1) 및 개봉용 탭(3) 사이에는 돌출(돌출된 부분(40a))되었다고 해도, 이 절곡된 단부(9)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고, 게다가 돌출된 접착성 수지 또는 접착제(40a)는 개봉용 탭을 개봉을 위해서 박리할 때에, 개봉용 탭(3)의 접착성 수지 또는 접착제(40)에 강하게 접착하고 있기 때문에, 개봉용 탭(3)에 수반하여 뚜껑 부재(1)로부터 박리되고, 개봉 후의 뚜껑 부재에 줄무늬 형상의 접착성 수지 또는 접착제가 남는 일이 없는 것이다. 이 때문에 이 태양의 용이하게 개봉될 수 있는 용기 뚜껑은 외관 특성과 함께 뚜껑 부재에 입을 대었을 때의 감촉도 뛰어나고, 또한 이러한 접착성 수지 또는 접착제를 잘못해서 마시는 것도 유효하게 방지되는 것이다.
도 15 내지 17에 도시하는 태양은 특히 용기 내가 플러스압이 되는 경우에 개구부의 개봉보다도 먼저 가스 제거를 가능하게 하고, 내용물의 취출(吹出) 방지를 가능하게 한 용이하게 개봉될 수 있는 용기 뚜껑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용이하게 개봉될 수 있는 용기 뚜껑은, 개봉용 탭이 가요성 탭 부재와 뚜껑 부재의 개구부에 감합 가능하게 형성된 플러그 부재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플러그 부재가 개구부에 감합되어 있기 때문에 내압성이 뛰어나다. 이 때문에 탄산음료 등과 같이 용기 내가 플러스압이 되는 내용물에도 적용할 수 있지만, 특 히 뚜껑 부재에서 최초로 박리하는 되접음부가 뚜껑 부재에 설치된 가스 제거 구멍을 밀봉하도록 뚜껑 부재 외면측에 접착 고정함으로써, 되접음부를 뚜껑 부재 외면측으로부터 박리함으로써 개구부보다도 먼저 가스 제거 구멍이 개통되어 내압을 해방할 수 있기 때문에, 용기 내가 플러스압이 되는 경우에도 내용물의 취출을 유효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뚜껑 부재(1)에는 내용물의 유출구가 되는 개구부(2) 및 개구부(2)와 비교하여 작은 직경의 가스 제거 구멍(50)이 뚜껑 부재의 직경상에 나란하게 미리 형성되어 있고, 밀봉부의 개봉 개시단[되접음선(13)]이 뚜껑 부재의 개구부(2)측에 위치하며, 되접음선(13)으로부터 뚜껑 부재의 개구부(2), 그 다음에 가스 제거 구멍(50)과 나란한 방향이 밀봉부의 박리 방향이 되도록 뚜껑 부재(1)에 접착 고정되어 있다. 밀봉부(12)는 뚜껑 부재의 개구부(2)를 덮도록 뚜껑 부재에 접착 고정되지만, 가스 제거 구멍(50)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개구부(51)가 형성되어 있고, 뚜껑 부재의 가스 제거 구멍(50)에 대응하는 부분은 되접음부(14)가 접촉하게 되어 있다. 되접음부(14)의 되접음선(13)의 타방의 단부에는 파지용 링(5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태양에 있어서는, 파지용 링(52)과 대립되는 위치에 돌출부(53)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부(53)가 밀봉부(12)측에 절곡되어 가스 제거 구멍(50)을 덮도록 접착 고정되어 있다.
도 15에 도시하는 태양에 있어서는, 가요성 탭 부재(10)는 밀봉부(12)를 뚜껑 부재(1)에 접착 고정하기 위해서 밀봉부(12)의 뚜껑 부재(1)와 접하는 측의 면에 열-밀봉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되접음부(14)의 외 면측도 열-밀봉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돌출부(53)를 밀봉부측에 절곡함으로써 별도 접착제 등을 이용하지 않고 가스 제거 구멍(50)을 밀봉할 수 있음과 동시에, 되접음부(14)를 뚜껑 부재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태양의 용이하게 개봉될 수 있는 용기 뚜껑의 개봉 시에 있어서는, 우선 되접음부(14)의 파지용 링(파지부 : 52)을 파지하여 개봉 개시단[(되접음선(13)]을 지점으로 하여 위쪽에 끌어올린다. 이것에 의해, 가스 제거 구멍(50)의 주위에 접착하는 돌출부(53)의 접착 부분이 박리되고 용기 내의 내압이 해방된다. 다음에, 되접음부(14)의 파지용 링(52)에 손가락을 걸어 밀봉부의 박리 방향으로 인장하고, 밀봉부(12)와 뚜껑 부재(1)의 접착 부분을 박리한다. 이 밀봉부(12)의 박리와 동시에 플러그 부재(20)도 개구부(2)로부터 제거됨으로써 개봉된다.
가스 제거 구멍의 위치는, 도 15에 도시하는 태양의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개구부(2)보다도 먼저 개봉되는 한, 가스 제거 구멍(50)은 임의의 개소에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스 제거 구멍(50)을 밀봉부의 고정부(17)의 단부(19)보다도 외측 위치에 형성하고, 되접음부(14)의 파지부(15)를 밀봉부의 단부(19)보다도 길게 하며 이 가스 제거 구멍(50)을 덮도록 해도 되며, 또한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밀봉부(12)의 잘라낸 부분(18)의 위치에 가스 제거 구멍(50)을 형성하고, 되접음부(14)가 이 잘라낸 부분(18)를 덮도록 하는 것 등도 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3은 용이하게 개봉될 수 있는 특성을 더욱 개선하고, 개봉에 필요한 힘을 저감시킨 태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용이하게 개봉될 수 있는 용기 뚜껑에 이용하는 가요성 부재와 뚜껑 부재의 개구부에 감합 가능한 플러그 부재로 이루어지는 개봉용 탭에 있어서는, 개봉 시에 있어서 가요성 부재의 뚜껑 부재로부터의 박리에 필요한 힘과 플러그 부재의 개구부로부터의 빼낼 때 필요한 힘이 필요해지고, 특히 플러그 부재가 개구부로부터 빼낼 때에 가장 큰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최초의 개봉 조작에는 비교적 큰 힘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이 태양에 있어서는, 플러그 부재의 개구부로부터의 빼내기에 앞서 플러그 부재의 빼냄 개시단의 라인 근방에 위치하는 밀봉부의 접착을 미리 박리 혹은 약한 접착 상태로 해둠으로써, 가장 큰 힘이 필요한 플러그 부재를 빼낼 때의 가요성 탭의 박리에 필요한 힘을 저감시키고, 이것에 의해 전체적으로 개봉에 필요한 힘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8은 개봉용 탭(3)이 밀봉부(12) 및 되접음부(14)로 이루어지는 가요성 탭 부재(10)와 플러그 부재(20)로 이루어지는 용이하게 개봉될 수 있는 용기 뚜껑의, 밀봉부(12)와 되접음부(14)의 접착이 박리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지만, 플러그 부재(20)를 개구부로부터 빼낼 때에는, 플러그 부재(20)를 빼내기에 필요한 힘 외에, 플러그 부재(20)의 빼냄 개시단(D)와 거의 동시에 뚜껑 부재(1)와 밀봉부(12) 사이의 접착의 박리가 진행하는 위치를 나타내는 라인(L)의 근방에 위치하는 밀봉부(12)와 뚜껑 부재(1)의 접착 부분(E1 및 E2)을 박리하기에 필요한 힘이 필요해진다.
즉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 부재를 빼내기에 필요한 힘은 용이하게 개봉될 수 있는 용기 뚜껑을 일단 개봉하여 재밀봉한 것을 개봉할 때에 필요한 힘과 거의 동등하지만, 용이하게 개봉될 수 있는 용기 뚜껑을 최초로 개봉할 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플러그 부재를 빼내기에 필요한 힘 외에 그 주위의 밀봉부(12)와 뚜껑 부재(1) 사이의 접착을 박리하기에 필요한 힘이 가산되기 때문에, 개봉에 필요한 힘은 상당히 커진다(도 19(A) 참조).
이에 대해 이 태양의 용이하게 개봉될 수 있는 용기 뚜껑에 있어서는, 플러그 부재의 박리에 앞서, 상기 접착 부분(E1 및 E2)을 박리 혹은 부분적으로 박리되어 접착 강도가 약해진 약한 접착 상태로 해 둠으로써 플러그 부재를 빼내기에 필요한 힘 이외의 힘을 저감시킬 수 있고, 전체적으로 개봉에 필요한 힘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도 19(B) 참조). 게다가, 상기 접착 부분(E1 및 E2)은 개봉 조작에 수반하여 박리 혹은 약한 접착 상태가 되기 때문에, 개봉 조작 전의 밀봉성이 확보되고 있음과 동시에 개구부 주변이 오염될 일도 없고 위생적이다.
도 20에 도시하는 용이하게 개봉될 수 있는 용기 뚜껑에 있어서는, 밀봉부(12) 및 되접음부(14)의 되접음선(13)의 양단(13a, 13b) 근방의 단연부가 각각 내측에 절곡되어 접착부(60a, 60b 및 61a, 61b)를 형성하고, 밀봉부(12) 및 되접음부(14)가 되접음선(13)으로 절곡되며, 뚜껑 부재(1)에 고정된 상태에서 밀봉부의 접착부(60a)와 되접음부의 접착부(61a) 및 밀봉부의 접착부(60b)와 되접음부의 접착부(61b)가 서로 접착되게 되어 있다. 그 결과 이 용이하게 개봉될 수 있는 용기 뚜껑을 개봉하기 위하여, 우선 되접음부(14)의 파지부(15)를 집어 되접음선(13)을 지점으로 하여 되접음부(14)를 위쪽에 인장하며, 최초에 되접음부의 링형상 부분의 절곡 가공부(62a, 62b)의 접착이 파괴되지만, 되접음선의 양단(13a, 13b) 근방에서의 밀봉부(12) 및 되접음부(14)의 접착부(60a와 61a 및 60b와 61b)끼리가 접착된 채인 상태에서 되접음부(14)의 뚜껑 부재(1)로부터의 박리가 종료된다. 다음에 되접음부(14)의 링형상 부분에 손가락을 걸어 되접음선(13)을 밀봉부(12)의 박리 개시단으로 하여 밀봉부(12)를 뚜껑 부재(1)로부터 박리하고자 하면, 되접음선의 양단(13a, 13b) 근방에서의 밀봉부(12) 및 되접음부(14)의 접착부(60a와 61a 및 60b와 61b)끼리가 접착된 상태에서 밀봉부(12)의 뚜껑 부재(1)로부터의 박리가 개시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도 18에 도시하는 접착 영역(E1 및 E2)이 플러그 부재(20)의 개구부(2)로부터의 빼냄보다도 먼저 박리 혹은 약접착화한다. 이 때문에, 밀봉부(12)의 뚜껑 부재(1)로부터의 박리를 그대로 진행하면, 플러그 부재(20)의 개구부(2)로부터의 빼냄이 개시될 때에 개구부(2)의 빼냄 개시단(D) 주변의 밀봉부(12)와 뚜껑 부재(1) 사이의 접착은 이미 박리 혹은 부분적으로 박리되어 접착 강도가 약해진 약접착 상태가 되어 있기 때문에, 플러그 부재(20)를 빼내기에 필요한 힘에 주변에 남는 접착 부분의 박리에 필요한 힘만이 가산되어서, 플러그 부재(20)는 개구부(2)로부터 용이하게 빼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21 내지 도 23은 각각 본 발명의 용이하게 개봉될 수 있는 용기 뚜껑에서의 가요성 부재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에 도시하는 가요성 탭 부재(10)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 20과 동일하지만, 되접음선(13)의 양단(13a, 13b) 근방에 설치하는 밀봉부(12) 및 되접음부(14)의 접착부(60a, 60b 및 61a, 61b)가 상이하다. 즉 도 20에 있어서는 밀봉부(12) 및 되접음부(14)의 되접음선(13)의 양단(13a, 13b) 근방의 단연부에 돌출부를 설치하고 이것을 내측에 절곡하여 접착부를 형성하고 있었지만, 도 21에 있어서는 이러한 절곡 가공부를 설치하지 않고 되접음선(13)의 양단(13a, 13b)을 밀봉부(12)와 되접음부(14) 사이에 접어 넣어지는 산(山) 접음으로 하고, 산 부분의 내측(도면의 60a와 61a 및 60b와 61b의 안쪽)을 각각 접착하고 있다.
도 22에 도시하는 가요성 탭 부재(10)는 밀봉부(12) 및 되접음부(14)의 형상이 도 20 및 도 21과는 상이하지만 기본적으로는 동일하고, 되접음선(13)의 양단(13a, 13b) 근방에 설치하는 밀봉부(12) 및 되접음부(14)의 접착부(60a와 61a 및 60b와 61b)를 밀봉부(12) 및 되접음부(14)가 중합된 상태에서 직접 접착하고 있다.
또한, 도 23에 도시하는 가요성 탭 부재(10)도, 도 22와 마찬가지로 되접음선(13)의 양단(13a, 13b) 근방에 설치하는 밀봉부(12) 및 되접음부(14)의 접착부(60a와 61a 및 60b와 61b)를 밀봉부(12) 및 되접음부(14)가 중합된 상태에서 직접 접착하고 있다.
한편, 도 20 내지 도 23 중 어느 하나의 태양에 있어서도 가요성 부재의 되접음선(13)의 양단(13a, 13b)은 밀봉부(12) 및 되접음부(14)의 외부 가장자리보다도 내측으로 잘라내어진 상태로 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밀봉부 및 되접음부의 접착부를 플러그 부재의 원호를 따른 영역으로 할 수 있고, 플러그 부재의 빼냄에 앞서 박리 내지 약접착화되는 뚜껑 부재 및 밀봉부의 접착 영역도 플러그 부재의 원 호를 따른 영역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플러그 부재)
본 발명의 용기 뚜껑의 중요한 특징은, 개봉용 탭에 개구부에 감합하는 형상의 플러그 부재를 부설한 점이다.
이 플러그 부재가 약간 두꺼움으로써 재밀봉 시의 탄성 반발력 등이 강하고, 종래의 테이프 탭만으로 개구부를 덮는 경우에 비해 훨씬 뛰어난 재밀봉 밀봉성을 나타낸다.
상기 본 발명의 플러그 부재에는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수지제 플러그와 메탈제 플러그를 매우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비교적 저온에서 사용되는 용기, 부식성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 특히 높은 내압 성능이 요구되지 않는 용기 등의 경우에는 유연하고 밀봉 탄성이 풍부하며, 보다 많이 반복 재밀봉이 가능한 수지제의 플러그의 사용이 바람직하고, 한편 핫 충전, 레토르트 처리 등, 특히 높은 온도에 노출되는 용기나 특히 높은 내압 성능이 요구되는 용기 혹은 플러그 부재의 두께가 제한되는 용기 등에는 고강도이고 고온 내성이 좋은 메탈 내지 수지 피복 메탈제 플러그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지 플러그의 경우, 내용물로의 용출성이 낮은 것이 중요하고, 메탈 플러그의 경우 내용물에 대해 내식성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수지 플러그에 이용되는 수지 재료로서는, 폴리프로필렌(PP), 고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이소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 르류, 6나일론, 6,6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류 및 이들의 블랜드 조성물 등을 들 수 있지만, 특히 높은 레벨의 내열성과 밀봉성, 또한 내용출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올레핀계 수지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고무형상 조성물에서 선택된 적어도 일종과의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내열성이 높은 올레핀계 수지 성분, 유연한 점탄성체 수지 내지 엘라스토머 성분, 현저한 고무 탄성을 나타내는 성분의 3성분을 밸런스 좋게 배합한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올레핀계 수지로서는, 적합하게는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에 소량의 다른 올레핀을 공중합시킨 공중합체 수지 및 그들의 혼합 조성물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치글러법(저압법)이나 필립스법(중압법), 스탠다드법(중압법) 등에 의해 제조된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고압법으로 제조된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메탈로센 촉매 등을 이용하여 제조된 선형상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등의 폴리에틸렌 수지류, 나타 촉매, 메탈로센 촉매 등을 이용하여 제조된 결정성의 랜덤 또는 블록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에 소량, 통상 10% 미만의 다른 올레핀, 예를 들면 탄소수 3∼18의 α-올레핀, 노르보넨 등을 공중합시킨 결정성 공중합체 수지 내지 비정성 공중합체 수지 및 그들 수지의 혼합 조성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올레핀계 수지와 함께 본 발명의 플러그의 필수 구성재로서 이용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또는 고무형상 조성물로서는, 에틸렌에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1-노넨, 1-데센, 1-운데센, 1-도데센 등을 공중합시킨, 예를 들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 고무(EPR) 등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 고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 고무(EPDM),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 고무(EVA), 산변성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 고무(acidmodifiedEVA),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 고무(SIS),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 고무(SBS),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 고무(SEBS),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 고무(SEPS), 수소 첨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 고무(HSBS), 수소 첨가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 고무(HSEBS), 수소 첨가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 고무(HSEPS), 메틸 실리콘 고무(MQ) 등의 실리콘 고무, 실란 가교 폴리에틸렌, 실란 가교 폴리프로필렌, 실란 가교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 고무 등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고무형상 조성물 또는 이들 고무의 2종 이상의 블랜드 조성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올레핀계 수지와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또는 고무형상 조성물의 적어도 일 종을 조합하여 25℃에서의 헵탄 용출량이 150ppm 이하, 100℃에서의 변형율(JIS K 6723)이 30% 미만, 70℃에서의 압축 영구 변형(JIS K 6262)이 50∼95%의 범위에 있는 특정 물성을 구비한 수지 조성물로 하지만, 특히 폴리에틸렌 수지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 고무 및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 고무 또는 그 수첨가물 또는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 고무 또는 그 수첨가물의 3종류의 중합체를 조합하여 혼합한 조성물이, 상기 본 발명의 플러그로서 필요한 물성이 용이하게 얻어지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들 수지와 고무의 배합 비율은 올레핀계 수지의 종류와 조합으로 이용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또는 고무형상 조성물의 종류에 따라 변동되고, 선택되는 조합에 따라 상기 물성이 구현되는 범위의 조성에 적당히 설정되지만, 용출성과 플러그 재질의 물성을 고려하면,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SEBS 3성분 배합 조성물의 경우, SEBS를 3 내지 25,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중량%, SEBS와 비교적 저밀도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총합이 10 내지 60 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0 중량%의 범위일 필요가 있다.
또한, 폴리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SEPS 3성분 배합 조성물의 경우, SEPS를 3 내지 35,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 중량%, SEPS와 비교적 저밀도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총합이 10 내지 65 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5 중량%의 범위일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플러그 부재는 그 25℃에서의 헵탄 용출량이 150ppm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ppm 이하, 100℃에서의 변형율(JIS K 6723)이 30% 미만, 바람직하게는25% 이하, 70℃에서의 압축 영구 변형(JIS K6262)이 50∼95%, 바람직하게는 55∼90의 범위가 되도록 소재 조성, 성형 태양을 선택 조정한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용기의 내용물이 지방 함유 식품 등이어도, 또한 용기가 열간 충전, 충전 후 레토르트 살균 처리 등에 의해 고온에 노출되어도, 상기 플러그로부터 수지 성분, 저분자량 물질 등의 내용물로의 용출, 이행이 없고, 용출내성이 뛰어나며 또한 충분한 내열성과 완전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또한 개구부의 재밀봉이 가능한 반복 탄성을 구비한다.
또한, 상온 하에서의 경도가 가황 고무의 영구 변형 시험 방법(JIS K 6262)에 준한, 타입 A 듀로미터 압자에 의한 측정값으로 80∼95, 보다 바람직하게는 80∼90, 타입 D 듀로미터 압자에 의한 측정값으로 50∼75, 보다 바람직하게는 55∼85의 범위에 각각 있는 것이 밀봉성, 특히 밀봉 강도성과 개구부 재밀봉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플러그 부재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에는 상기 필수 구성 성분에 소량의 유동 파라핀, 석유 수지를 첨가해도 되고, 이것에 의해 조성물에 의해 유연성이나 기재 밀착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부재의 성형법으로서는, 사출 성형 또는 압축 성형 등의 방법을 들 수 있고 가요성 탭 부재와의 접합은 각각의 재질에 따라 적당히 접착제에 의한 접착, 혹은 열접착 등을 이용해도 된다.
또한, 개봉용 탭 제작시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동시 형성시킬 수도 있다.
메탈 플러그에 이용되는 금속 재료로서는, 알루미늄, 스틸 등을 들 수 있고, 라미네이트 메탈 플러그의 경우, 라미네이트재로서는 가요성 탭 부재와 접하는 면측은 적어도, 상기 부재의 구성재와 접착성을 가지는 재료로,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등을 이용하는 것이 필요하고, 뚜껑 부재와 접하는 면 측은 상기 뚜껑 개구부 단부에 대한 감합 밀봉성이 우수하고 또한 내용물에 대해 보호 작용을 나타내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등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금속제 플러그 부재의 성형법으로서는 프레스 성형 등에 의한다.
또한, 개봉용 탭 제작 시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동시 형성시킬 수도 있다.
(가요성 탭 부재)
상기 플러그 부재가 접착되는 가요성 탭 부재의 구성재로서는, 통상 이런 종류의 용기 뚜껑에 이용되는 개봉편이나 탭 구성재로서 상기 플러그재와 접합 가능한 재료라면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금속박의 양면에 수지 피막이 형성된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탭의 인열 시의 인장 강도와 가요성과의 밸런스 상 및 부식 내성의 점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적층재의 구체적인 적합예로서 알루미늄박(Al)의 한 면 측에 PET를 다른 면 측에 PP를 각각 라미네이트한 적층재를 들 수 있다.
(뚜껑 부재)
다음에, 본 발명의 뚜껑 부재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뚜껑 부재에 있어서, 개구부의 단연부는 예를 들면, 도 4의 Y로 도시한 뚜껑 부재의 개구 단연부의 확대 단면도인 도 24에 부호 5로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 부재의 외측을 향해서 매끄러운 곡면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거나, 단연부 컬링 처리 혹은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PET, PP 등으로 링형상으로 수지 피복 처리(6)되어 예리한 각 등이 없는 매끄러운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있는 것이, 개봉 후의 뚜껑체 단연부가 매끄러워서, 만약 상기 부분에 부주의하게 접촉해도, 절상(切傷) 등의 손상을 줄 위험이 없으며, 또한 부식 등으로부터도 보호되고 게다가 개봉용 탭의 플러그 부재와의 감합 경향이 있기 때문에 재밀봉을 반복해도 플러그 부재를 손상시키는 일이 없는 등 양호한 감합 상태를 오래 유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뚜껑 부재의 둘레 가장자리부에는 캔 동체부와의 권체 가공에 의한 밀폐 접합이 가능하도록 권체 가공부를 가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뚜껑 부재 표면은 외면측이 적어도 상기 가요성 탭 부재와 열접착성을 가지고, 플러그도 접착되는 태양의 것인 경우는 상기 플러그 부재와도 열접착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한편 내면측은 가요성 탭 부재 및 플러그 부재에 대해 비접착성인 것이 가요성 탭 부재나 플러그 부재와의 밀착과 내용물로의 비용출 모두를 담보하는 관점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제법)
상기한 본 발명의 이개봉 용기 뚜껑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는, 플러그 부재가 수지제이고, 그 감합 밀봉면이 뚜껑의 외주 가장자리 방향을 향하고 있는 도 6에 도시한 태양의 용기 뚜껑의 경우, 예를 들면, 조립 공정도, 도 26에 도시한 방법을 예시할 수 있다.
즉, 이 제조방법으로는 우선 개구부(2)가 설치된 뚜껑 부재(1)의 개구 단연부(4)를 외면측(도면에서는 위쪽)을 향해서 매끄러운 곡면을 형성하도록 절곡, 단연 처리한다(엔드 성형).
한편, 개봉용 탭(3)의 가요성 탭 부재(10)의 소재(PET/AI/PP 적층 시트)를 상기 탭 형상(도 6 (a), (b) 참조)으로 성형한다(탭 성형).
이 성형된 가요성 탭 부재(10)에 플러그 부재(20) 형성용 수지(PET)를 사출 성형 또는 압축 성형에 의해 가요성 탭 부재(10) 내에 일체로 형성시켜 개봉용 탭(3)을 제작한다(플러그 인서트 성형).
그 다음에, 개봉용 탭(3)의 플러그 부재(20)를 소둔(燒鈍) 열처리하고(플러그 어닐링), 그 후, 상기 개봉용 탭(3)의 가요성 탭 부재(10)와 플러그 부재(20)의 각 소정 접착 부분을 뚜껑 부재 개구 단연부(4)에 접착시킨다(접착).
접착 종료 후, 개봉용 탭의 단연부(70)를 단연 처리하는 등의 마무리 처리를 실시하여 완성품으로 한다(완성).
도 27은 도 26과 동일한 태양의 수지 플러그 용기 뚜껑의 다른 제조방법을 도시한 조립 공정도로서, 상기 도 26의 방법과는, 플러그 부재(20)의 인서트 사출 성형, 가요성 탭 부재(10)의 뚜껑 개구 단연부(4)로의 접착, 플러그 부재(20)의 뚜껑체 개구부 단부로의 접착을 거의 연속하여 순차적으로 실시하고 그 후에 소둔 열처리 하는 점이 다르다.
도 28은 도 26과 동일한 태양의 수지 플러그 용기 뚜껑의 또 다른 제조방법을 도시한 조립 공정도로서, 이 방법으로는 플러그 부재(20)의 인서트 사출 성형과 뚜껑 부재 개구 단연부(4)로의 접착을 가요성 탭 부재(10)의 성형과는 별개로 실시하고, 다음에 상기 뚜껑 부재(1)에 접착된 플러그 부재(20)를 소둔 처리한 후에, 따로 성형한 가요성 탭 부재(10)를 플러그 부재(20)와 뚜껑 부재 개구 단연부(4)에 각각 접착하고, 그 후, 마무리 처리하여 완성한다.
도 29는 도 26과 동일한 태양의 수지 플러그 용기 뚜껑의 또 다른 제조방법을 도시한 조립 공정도로서, 이 방법으로는 뚜껑 부재(1)의 개구 단연부(4) 처리와, 플러그 부재(20) 성형 및 그 소둔과, 가요성 탭 부재(10) 성형을 각각 개별로 행하고, 우선 플러그 부재(20)를 뚜껑 개구 단연부(4)에 끼워넣고, 그 후 뚜껑 부재(1), 플러그 부재(20), 가요성 탭 부재(10)를 각각 접착해 마무리하여 완성품으로 한다.
또한, 플러그 부재가 메탈제이고, 그 감합 밀봉면이 뚜껑의 중심 방향을 향하고 있는 도면에 도시한 태양의 용기 뚜껑의 경우, 예를 들면, 조립 공정도, 도 30에 예시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즉, 이 방법으로는 뚜껑 부재(1)의 개구 단연부(4) 처리(엔드 성형)와 메탈 플러그 부재(20) 성형(플러그 성형)과 가요성 탭 부재(10) 성형(탭 성형)을 각각 개별로 행하고, 우선 메탈 플러그 부재(20)를 뚜껑 개구 단연부(4)에 끼워넣고(엔드∼플러그 끼워넣음), 그 밀봉성을 검사한 후 가요성 탭 부재(10)를 접착하고, 마지막에 마무리 처리하여 완성품으로 한다.
도 31은 도 30과 동일한 태양의 메탈 플러그 용기 뚜껑의 다른 제조방법을 도시한 조립 공정도로서, 이 방법으로는 각각 개별적으로 성형한 뚜껑 부재(1)의 개구 단연부(4)와 메탈 플러그 부재(20)와 가요성 탭 부재(10) 중, 먼저, 플러그 부재(20)와 가요성 탭 부재(10)를 임시 접착하고, 그 후, 임시 접착된 플러그 부재(20)와 가요성 탭 부재(10)를 본 접착함과 동시에 뚜껑 부재(1)와 접착시켜 마무리하여 완성품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봉 탭의 가요성 탭 부재를 적층 시트 등의 소재 시트로부터 성형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도 32(가요성 탭 부재의 제조 공정 설명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재 시트를 제1 공정 ; Blanking (천공), 제2 공정 ; Blanking (잘라냄), 제3 공정 ; Paneling(돌출), 제4 공정 ; Curling(굽혀 줄임), 제5 공정 ; Blanking(잘라냄)의 각 공정순으로 처리하여 성형한다.
또한, 각 태양의 플러그 부재와 감합하는 뚜껑 부재의 개구 단연부 곡면 형상의 절곡 가공 방법에 대해서 그 바람직한 태양의 공정 순서를, 플러그 부재가 수지제이고, 그 감합 밀봉면이 뚜껑의 중심 방향을 향하고 있는 도 5에 도시한 용기 뚜껑의 경우를 도 33에, 플러그 부재가 수지제이고 그 감합 밀봉면이 뚜껑의 바깥 둘레 방향을 향하고 있는 도 6의 용기 뚜껑의 경우를 도 34에, 및 플러그 부재가 메탈제이고 그 감합 밀봉면이 뚜껑의 중심 방향을 향하고 있는 도 7의 용기 뚜껑의 경우를 도 35에, 플러그 부재가 메탈제이고 그 감합 밀봉면이 뚜껑의 외주 가장자리 방향을 향하고 있는 도 8의 용기 뚜껑의 경우를 도 36에 각각 도시하였다.

Claims (28)

  1. 미리 형성된 개구부를 구비한 뚜껑 부재와 상기 뚜껑 부재의 외면측에 상기 개구부를 덮고 또한 개구부 주변부에서 밀봉 접착하도록 처리된 개봉용 탭을 포함하고 용이하게 개봉될 수 있는 용기 뚜껑에 있어서,
    상기 개봉용 탭은 가요성 탭 부재와 상기 탭 부재에 접착 일체화됨과 동시에 상기 뚜껑 부재의 개구부에 감합(嵌合) 가능하게 형성된 플러그 부재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가요성 탭 부재가 상기 뚜껑 부재 개구부 주변에서 박리 가능하게 밀착 고정되어 있고,
    상기 가요성 탭 부재가 상기 뚜껑 부재의 외면측에 접착 고정됨과 동시에 플러그 부재가 접착 일체화되는 밀봉부와, 상기 밀봉부의 개봉 개시단에서 밀봉부와 연속하는 되접음부를 포함하고, 상기 되접음부는 개봉을 위한 파지부(把持部)를 가짐과 동시에, 개봉 전에는 밀봉부 또는 뚜껑 부재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되접음부가 적어도 상기 파지부를 제외하고 밀봉부 또는 뚜껑 부재 외면에 접착 고정되어 있고, 개봉 후 되접음부를 밀봉부 또는 뚜껑 부재에 고정할 수 없으며,
    상기 가요성 탭 부재가 뚜껑 부재와 접착되는 측의 면에 접착층이 형성되어 있고, 되접음부의 단부가 뚜껑 부재측에 절곡 또는 컬 가공되어 접착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밀봉성을 구비한 용이하게 개봉될 수 있는 용기 뚜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단연(端緣)이 뚜껑 외측으로의 절곡 또는 컬 가공, 혹은 도료 또는 수지에 의한 피복으로 단연 처리되어 있는 것인 용기 뚜껑.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탭 부재가 금속박의 양면에 수지 피막이 형성된 적층체를 포함하는 것인 용기 뚜껑.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가 2축 연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층/알루미늄층/실란트필름층를 포함하고, 각 층간을 우레탄계 접착제를 이용한 드라이 라미네이트에 의해 제작한 것인 용기 뚜껑.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부재가 둘레 가장자리부에 권체(券締) 가공부를 가지는 금속제의 부재인 용기 뚜껑.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부재가 외면측은 적어도 상기 가요성 탭 부재에 대해 열접착성을 가지고, 내면측은 가요성 탭 부재 및 플러그 부재에 대해 비접착성인 용기 뚜껑.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탭 부재에 추가하여 또한, 플러그 부재도 상기 뚜껑 부재의 개구부 주변에 접착되어 있는 것인 용기 뚜껑.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용 탭이 그 개봉 개시단으로부터 상기 개구부를 사이에 둔 대향측에 위치하여 이탈 곤란하게 뚜껑 부재에 강고하게 부착한 부분을 가지고, 개봉 후에 있어서도 개봉용 탭이 뚜껑 부재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인 용기 뚜껑.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용 탭은 상기 뚜껑 부재에 강고하게 부착된 부분의 직전 부분에서, 박리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양측으로부터 잘라내어져서 상기 부분의 탭 폭이 좁혀진 형상인 용기 뚜껑.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되접음부의 밀봉부 또는 뚜껑 부재 외면과의 접착 고정을 박리함으로써 되접음부 또는 밀봉부의 일부가 파단되는 것인 용기 뚜껑.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탭 부재가 뚜껑 부재에 접착 고정되어 있음과 동시에 개구부 주변의 단부가 뚜껑 부재측에 절곡 가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뚜껑.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탭 부재가 뚜껑 부재와 접하는 면에 접착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 용기 뚜껑.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부재에는 미리 가스 제거 구멍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되접음부가 적어도 상기 가스 제거 구멍을 밀봉하도록 뚜껑 부재 외면측에 접착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되접음부를 뚜껑 부재 외면측으로부터 박리함으로써 개구부보다도 먼저 가스 제거 구멍이 개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뚜껑.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부재의 개구부로부터의 빼냄에 앞서, 상기 가요성 탭 부재의 밀봉부와 되접음부의 경계선인 되접음선의 양단 근방에서 밀봉부와 뚜껑 부재의 접착이 박리 내지 약접착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뚜껑.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탭 부재는 되접음선의 양단 근방에서 밀봉부와 되접음부가 접착 고정되어 있는 것인 용기 뚜껑.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부재는 사출 성형 또는 압축 성형에 의해 형성된 수지제 플러그 부재 혹은 프레스 성형에 의해 형성된 금속제 플러그 부재인 용기 뚜껑.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제 플러그 부재가 올레핀계 수지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고무형상 조성물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과의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고, 또한, 25℃에서의 헵탄 용출량이 150ppm 이하, 100℃에서의 변형율(JIS K 6723)이 30% 미만, 70℃에서의 압축 영구 변형(JIS K 6262)이 50∼95%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뚜껑.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부재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의 올레핀계 수지 성분이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에 소량의 다른 올레핀을 공중합시킨 공중합체 수지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용기 뚜껑.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부재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성분, 고무형상 조성물 성분이,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 고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 고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 고무, 산변성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 고무, 스티렌·이소프렌 블록 공중합 고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 고무,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 고무,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 고무, 수소 첨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 고무, 수소 첨가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 고무, 수소 첨가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 고무, 실리콘 고무, 실란 가교 폴리에틸렌, 실란 가교 폴리프로필렌, 실란 가교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 고무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이들 고무의 2종 이상의 블랜드 조성물인 용기 뚜껑.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 고무의 α-올레핀 성분이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1-노넨, 1-데센, 1-운데센, 1-도데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용기 뚜껑.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부재가 폴리에틸렌 수지 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 고무/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 고무 또는 그 수첨가물 또는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 고무 또는 그 수첨가물의 3종류의 중합체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인 용기 뚜껑.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부재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의 상온 하에서의 경도가 가황 고무의 영구 변형 시험 방법(JIS K 6262)에 준한, 타입 A 듀로미터 압자에 의한 측정값으로 80 내지 95, 타입 D 듀로미터 압자에 의한 측정값으로 50 내지 75의 범위에 각각 있는 것인 용기 뚜껑.
  26. 미리 형성된 개구부를 구비한 뚜껑 부재의 상기 개구부의 단연 처리를 하는 공정,
    가요성 탭 부재와 플러그 부재를 일체화하여 개봉용 탭을 성형하는 공정으로서, 상기 가요성 탭 부재가 상기 뚜껑 부재의 외면측에 접착 고정됨과 동시에 플러그 부재가 접착 일체화되는 밀봉부와, 상기 밀봉부의 개봉 개시단에서 밀봉부와 연속하는 되접음부를 포함하고, 상기 되접음부는 개봉을 위한 파지부(把持部)를 가짐과 동시에, 개봉 전에는 밀봉부 또는 뚜껑 부재에 고정되어 있도록 하고, 상기 되접음부가 적어도 상기 파지부를 제외하고 밀봉부 또는 뚜껑 부재 외면에 접착 고정되어 있고, 개봉 후 되접음부를 밀봉부 또는 뚜껑 부재에 고정할 수 없도록 하는 공정, 및
    뚜껑 부재의 외면측이 되는 면에 상기 개봉용 탭을 설치하고, 개구부 주변부에 있어서 가요성 탭 부재와 뚜껑 부재 외면을 접착시키는 공정으로서, 상기 가요성 탭 부재가 뚜껑 부재와 접착되는 측의 면에 접착층이 형성되어 있고, 되접음부의 단부가 뚜껑 부재측에 절곡 또는 컬 가공되어 접착 고정되는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의 재밀봉성을 구비한 용이하게 개봉될 수 있는 용기 뚜껑의 제조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용 탭이 가요성 탭 부재 상에 플러그 부재를 사출 성형 혹은 압축 성형에 의해 일체 성형하여 형성되는 것인 제조 방법.
  28. 삭제
KR1020057013603A 2003-01-24 2004-01-23 재밀봉성을 구비하고 용이하게 개봉될 수 있는 용기 뚜껑및 그 제법 KR1009511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15840 2003-01-24
JP2003015840A JP4273773B2 (ja) 2003-01-24 2003-01-24 リシール性を備えた易開封性容器蓋の製法
JPJP-P-2003-00327153 2003-09-19
JP2003327152A JP4124076B2 (ja) 2003-09-19 2003-09-19 タンパーエビデント性を有する易開封性容器蓋
JP2003327154A JP4124077B2 (ja) 2003-09-19 2003-09-19 易開封性容器蓋
JPJP-P-2003-00327154 2003-09-19
JP2003327153A JP4193651B2 (ja) 2003-09-19 2003-09-19 易開封性容器蓋
JPJP-P-2003-00327152 2003-09-19
JPJP-P-2004-00008647 2004-01-16
JP2004008647A JP4543683B2 (ja) 2004-01-16 2004-01-16 易開封性容器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5865A KR20050095865A (ko) 2005-10-04
KR100951133B1 true KR100951133B1 (ko) 2010-04-07

Family

ID=32777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3603A KR100951133B1 (ko) 2003-01-24 2004-01-23 재밀봉성을 구비하고 용이하게 개봉될 수 있는 용기 뚜껑및 그 제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60201944A1 (ko)
EP (1) EP1607341A4 (ko)
KR (1) KR100951133B1 (ko)
WO (1) WO20040652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349382T1 (de) * 2004-09-28 2007-01-15 Ball Packaging Europe Gmbh Blechdeckel mit einer grossen lochung für eine getränkedose
US8245866B2 (en) 2005-08-25 2012-08-21 Daniel Robert Gibson Container
US8109406B2 (en) * 2006-10-26 2012-02-07 Charles Chang Beverage container construction
DE102007007372A1 (de) 2007-02-12 2008-08-14 C-A-P Technologies Gmbh Verpackung für rieselfähige oder fließfähige Produkte
AU2008323856B2 (en) * 2007-11-09 2013-11-21 Crown Packaging Technology, Inc. Resealable beverage can end and methods relating to same
US8857644B2 (en) 2008-11-26 2014-10-14 B.E. Inventive, Llc Container
EP2398713A1 (en) 2009-02-20 2011-12-28 Crown Packaging Technology, Inc. Metal end panel with hole
US20110011868A1 (en) * 2009-07-14 2011-01-20 Steve Manne Reclosable Container End
EP2354021B1 (de) 2010-02-02 2012-12-26 Klaus Thielen Behälterdeckel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ehälterdeckels
US8695832B2 (en) 2010-02-02 2014-04-15 Klaus Thielen Can lid and method for producing a can lid
EP2354022B1 (de) 2010-02-02 2012-12-26 Klaus Thielen Dosendeckel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osendeckels
DE102010013531B4 (de) 2010-03-31 2020-10-29 Gregor Anton Piech Dosendeckel
USD637489S1 (en) 2010-12-10 2011-05-10 Pactiv Corporation Pull grip feature of a container lid
USD638704S1 (en) 2010-12-10 2011-05-31 Pactiv Corporation Container lid
JP6150578B2 (ja) * 2013-03-26 2017-06-21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
USD747199S1 (en) 2014-01-15 2016-01-12 B.E. Inventive, Llc Closure for can
USD747649S1 (en) 2014-01-15 2016-01-19 B.E. Inventive, Llc Can end
FR3029506A1 (fr) * 2014-12-05 2016-06-10 Ardagh Mp Group Netherlands Bv Dispositif a ouverture facile pour un contenant metallique
DE102015112428A1 (de) 2015-07-29 2017-02-02 Gregor Anton Piech Dosendeckel
DE102016103801A1 (de) 2016-03-03 2017-09-07 Gregor Anton Piech Dosendeckel wiederverschliessbar
RU2745897C2 (ru) * 2016-07-08 2021-04-02 Роланд ЭНДРЮС Устройство открывания контейнера, закрывающее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контейнера и контейнер
WO2018096503A1 (en) 2016-11-25 2018-05-31 Milton Innovations Limited A lid for a container
EP3385184B1 (de) * 2017-04-05 2019-11-27 Gregor Anton Piech Behältnis zum hermetisch dichten aufbewahren von produkten, insbesondere von lebensmitteln
ES2810864T3 (es) 2017-04-05 2021-03-09 Gregor Anton Piech Tapa de lata metálica
DE102017220149B3 (de) * 2017-11-13 2019-03-28 Seidel GmbH & Co. KG Behälterverschluss für eine Getränkedose
HUE061227T2 (hu) 2018-06-19 2023-05-28 Top Cap Holding Gmbh Eljárás fémbõl készült dobozfedél elõállítására
EP3753863A1 (de) 2018-06-19 2020-12-23 Top Cap Holding GmbH Metallischer dosendeckel
ES2874333T3 (es) 2018-12-17 2021-11-04 Re Lid Eng Ag Sistema de cierre para latas de bebida
DE102019004542A1 (de) 2019-06-24 2020-12-24 Gert Löwe Dosendeckel mit einer dicht wiederverschließbaren Trinköffnung
USD921423S1 (en) 2019-08-29 2021-06-08 Milton Innovations Limited Lid for a container
US11299334B2 (en) 2019-09-05 2022-04-12 Sonoco Development, Inc. Membrane lid with integrated two-stage tab system
USD998457S1 (en) * 2020-08-17 2023-09-12 HEX20, Inc. Tab
DE102021106980A1 (de) * 2021-03-22 2022-09-22 Ardagh Metal Packaging Europe Gmbh Deckelelement für einen Getränkebehälter und Verschlussanordnung für einen Getränkebehält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0017A (en) * 1990-02-07 1992-03-31 Toyo Seikan Kaisha Ltd. Packing can
US5395005A (en) * 1991-04-22 1995-03-07 Tenryu Chemical Industry Co., Ltd. Lid device for wide-mouthed container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H0790866B2 (ja) * 1984-06-22 1995-10-04 ザ、プロクタ−、エンド、ギヤンブル、カンパニ− 簡易開閉容器
WO2001098165A2 (en) * 2000-06-20 2001-12-27 Brasilata S.A. Embalagens Metálicas Can lid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84096A (en) * 1961-10-04 1965-05-18 Reynolds Metals Co Container seal and opening means
US3288323A (en) * 1961-12-21 1966-11-29 Phillips Petroleum Co Heat sealed container cover with tear tape opening
ZA707731B (en) * 1970-06-15 1972-06-28 Continental Can Co Reclosure for easy opening container
US4037550A (en) * 1974-06-27 1977-07-26 American Can Company Double seamed container and method
JPS5652995Y2 (ko) * 1976-11-24 1981-12-10
US4091957A (en) * 1977-08-22 1978-05-30 The Continental Group, Inc. Tape seal for container
CA1172995A (en) * 1981-03-02 1984-08-21 Hiroshi Ueno Easily openable vessel closure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JPS5873541A (ja) * 1981-10-19 1983-05-02 東洋製罐株式会社 易開封性ヒ−トシ−ル蓋
JPS60150922U (ja) * 1984-03-21 1985-10-07 日本軽金属株式会社 炭酸飲料用缶蓋
US4762579A (en) * 1985-12-03 1988-08-09 Toyo Seikan Kaisha, Ltd. Process for producing easily openable closure
JPS62230441A (ja) * 1985-12-27 1987-10-09 Toyo Seikan Kaisha Ltd 易開口性蓋の製造方法
US5119955A (en) * 1990-05-23 1992-06-09 Granofsky Barry P Sanitary can closure
US5955163A (en) * 1991-06-05 1999-09-21 W.R. Grace & Co.-Conn. Gasket composition for crown caps
JPH08244770A (ja) * 1995-03-09 1996-09-24 Takako Yamamoto 注ぎ口をシールできる缶体の蓋
US5688544A (en) * 1995-04-18 1997-11-18 Kraft Foods, Inc. Easy opening ventable closure for sealed particulate product package
JP3688776B2 (ja) * 1995-11-16 2005-08-31 日本テトラパック株式会社 飲料用容器の蓋体
KR100430806B1 (ko) * 1997-01-31 2004-05-10 테트라 라발 홀딩즈 앤드 파이낸스 소시에떼 아노님 음료 용기 뚜껑
JP2001072095A (ja) * 1999-09-03 2001-03-21 Asia Kinzoku Kogyo Kk 金属缶の蓋体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0866B2 (ja) * 1984-06-22 1995-10-04 ザ、プロクタ−、エンド、ギヤンブル、カンパニ− 簡易開閉容器
US5100017A (en) * 1990-02-07 1992-03-31 Toyo Seikan Kaisha Ltd. Packing can
US5395005A (en) * 1991-04-22 1995-03-07 Tenryu Chemical Industry Co., Ltd. Lid device for wide-mouthed container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WO2001098165A2 (en) * 2000-06-20 2001-12-27 Brasilata S.A. Embalagens Metálicas Can l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65241A1 (ja) 2004-08-05
US20060201944A1 (en) 2006-09-14
EP1607341A1 (en) 2005-12-21
KR20050095865A (ko) 2005-10-04
EP1607341A4 (en) 2008-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1133B1 (ko) 재밀봉성을 구비하고 용이하게 개봉될 수 있는 용기 뚜껑및 그 제법
US4890759A (en) Retortable container with easily-openable lid
EP1419972B1 (en) Easy-opening closure for retortable container
EP0397861B1 (en) Easily openable lid
US4215791A (en) Easy open closure system
RU2006124736A (ru) Крышка для закупоривания емкостей с отверстием для извлечения содержимого
EP1878666A1 (en) Container lid equipped with a peelable membrane.
US4500011A (en) Tape closure for a can end
AU2016262240A1 (en) Container sealing membe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EP3587297B1 (en) Two-side adherable high-frequency induction heating container sealing member, compact cosmetic container having tamper function with same applied thereto, and flip cap container having temper function with same applied thereto
CN100532217C (zh) 具备再封闭性的易开封性容器盖及其制造方法
US7364779B2 (en) Easy-opening high barrier plastic closure and method therefor
JPS624051A (ja) 簡易開封型蓋付容器
US4577777A (en) Tape closure for a can end
US4564121A (en) Tape closure for a can end
JP4124077B2 (ja) 易開封性容器蓋
EP0113698B1 (en) Improved tape closure for a can end
JP4193651B2 (ja) 易開封性容器蓋
JP4124076B2 (ja) タンパーエビデント性を有する易開封性容器蓋
JP4807381B2 (ja) リシール性を備えた易開封性容器蓋及びその製法
JP3137321B2 (ja) 多層シート
JP3137320B2 (ja) 多層シート
JP2004299751A (ja) 易開封性容器蓋に用いるプラグ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易開封性容器蓋
JP4543683B2 (ja) 易開封性容器蓋
JPS59199444A (ja) 易開封性ヒ−トシ−ル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