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9640B1 - 세탁 건조기 - Google Patents

세탁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9640B1
KR100949640B1 KR1020080023586A KR20080023586A KR100949640B1 KR 100949640 B1 KR100949640 B1 KR 100949640B1 KR 1020080023586 A KR1020080023586 A KR 1020080023586A KR 20080023586 A KR20080023586 A KR 20080023586A KR 100949640 B1 KR100949640 B1 KR 100949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air
storage chamber
drum
layer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3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4693A (ko
Inventor
오사무 구와바라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84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4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9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9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70Control of the operating time, e.g. reduction of overall operating tim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0Power supply arrangements, e.g. stand-by circui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46Control of the operating ti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세탁 건조기에 있어서, 피세탁물의 건조 효율을 개선하여 건조 시간의 단축을 도모하는 것이다.
외층 드럼(2)과, 이 외층 드럼(2) 내에서 회전하는 동시에, 대략 원통 형상을 이루고 내부에 수용실(10)을 구성하는 내층 드럼(5)과, 이 내층 드럼(5)의 원통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면(5A)에 구성되고 피세탁물을 출납하기 위한 취출구(6)와, 이 내층 드럼(5)의 원통의 측면(5S) 주위 및 축 방향에 있어서의 타단부면(5B)에 형성되고, 세탁 운전에 있어서는 물이 유출되는 동시에, 건조 운전에 있어서는 건조용 순환 공기가 유통하는 복수의 투과 구멍(7)과, 건조 운전에 있어서, 내층 드럼(5)의 원통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측 또는 타단부측으로부터 건조용 공기를 수용실(10) 내로 토출하고, 타단부측의 투과 구멍 또는 일단부측으로부터 유출시키는 동시에, 그 이외의 투과 구멍(7)으로부터의 건조용 공기의 유출을 저지하는 통풍 규제 수단을 마련한다.
세탁 건조기, 투과 구멍, 통풍 규제 수단, 드럼, 증발기

Description

세탁 건조기 {WASHING-DRYING MACHINE}
본 발명은, 피세탁물을 수용하는 수용실을 구비하고, 이 수용실 내에 있어서 피세탁물의 세탁과 건조를 행하는 세탁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피세탁물을 수용하는 수용실 내에서, 세탁부터 건조까지를 자동적으로 행하는 세탁 건조기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세탁 건조기는, 저수 가능한 원통 형상의 외층 드럼 내에 공기 및 물이 유통 가능한 다수의 투과 구멍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내층 드럼이 설치되고, 이 내층 드럼의 내부가 피세탁물을 수용하는 수용실로 되어 있다. 내층 드럼은, 그 원통의 축이 본체에 장착된 구동 모터의 축에 연결되고, 이 축을 중심으로 하여 외층 드럼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수용실에 피세탁물과 이 피세탁물의 양에 따른 세제가 투입되고, 전원 및 시작 스위치가 투입되면, 우선, 세정, 헹굼, 탈수 등의 복수의 상이한 행정을 갖는 세탁 운전이 행해진다. 이 세탁 운전의 세정 공정 및 헹굼 공정에서는, 외층 드럼에 세제 용액 혹은 물을 저류하고, 구동 모터로 내층 드럼을 회전시킴으로써, 수용실 내의 피세탁물의 세정, 혹은 헹굼이 행해진 후, 외층 드럼의 하부에 설치된 배수 밸브가 개방되어, 세탁수, 혹은 헹굼수가 배출된다. 또한, 탈수 공정에서는, 구동 모터에 의해 내층 드럼을 고속 회전함으로써, 수분을 포함한 피세탁물을 내층 드럼의 측면으로 밀어붙인 상태로 하여, 원심력으로 피세탁물로부터 물을 분리한다. 그리고, 피세탁물로부터 분리된 수분은, 내층 드럼의 측면의 투과 구멍으로부터 외층 드럼으로 낙하하여, 상기 배수 밸브를 경유하여 세탁 건조기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세탁 운전의 탈수 공정이 종료되면, 다음에 피세탁물을 건조시키는 건조 운전이 행해진다. 건조 운전에서는, 내층 드럼의 원통의 축 방향에 있어서 일단부측에 형성된 토출구로부터 수용실에 가열 공기가 토출된다. 수용실로 토출된 가열 공기는, 수용실에 수용된 피세탁물을 따뜻하게 하여 습기를 증발시켜, 피세탁물을 건조시킨다. 피세탁물을 건조시켜 습기를 포함한 공기는, 내층 드럼에 형성된 복수의 투과 구멍으로부터 유출되어, 외층 드럼에 형성된 흡입구로부터 외층 드럼의 외부로 배출되고 있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8-229297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6-75316호 공보
이와 같이 종래의 세탁 건조기에서는, 건조 운전에 있어서 수용실 내의 공기를 내층 드럼에 다수 형성된 투과 구멍으로부터 배출하고 있었지만, 이 투과 구멍은 전술한 바와 같이 내층 드럼 전체에 복수 형성되어 있으므로, 토출구로부터 수용실로 토출된 가열 공기가 내층 드럼의 측면 주위에 형성된 투과 구멍으로부터 수용실 밖으로 유출되기 쉬웠다. 그리고, 이 공기의 대부분은 다시 수용실로 복귀되지 않고 흡입구로부터 외층 드럼 밖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수용실 내의 피세탁물과 가열 공기를 충분히 접촉시킬 수 없었다. 이에 의해, 피세탁물이 건조될 때 까지 장시간을 필요로 하고, 피건조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에너지 소비량도 많아져 전기세 등의 에너지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세탁 건조기에 있어서, 피세탁물의 건조 효율을 개선하여, 건조 시간의 단축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탁 건조기는, 피세탁물의 세탁 운전과 세탁 운전 종료 후의 건조 운전을 실행하는 것이며, 외층 드럼과, 이 외층 드럼 내에서 회전하는 동시에, 대략 원통 형상을 이루고 내부에 수용실을 구성하는 내층 드럼과, 이 내층 드럼의 원통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면에 구성되고 피세탁물을 출납하기 위한 취출구와, 이 내층 드럼의 원통의 측면 주위 및 축 방향에 있어서의 타단부면에 형성되 고, 세탁 운전에 있어서는 물이 유출되는 동시에, 건조 운전에 있어서는 건조용 순환 공기가 유통하는 복수의 투과 구멍과, 건조 운전에 있어서, 가열 수단에 의해 가열된 건조용 공기를 수용실 내로 토출하기 위한 송풍 수단을 구비하고, 내층 드럼의 원통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측 또는 타단부측으로부터 건조용 공기를 수용실 내로 토출하고, 타단부측의 투과 구멍 또는 일단부측으로부터 유출시키는 동시에, 그 이외의 투과 구멍으로부터의 건조용 공기의 유출을 저지하는 통풍 규제 수단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의 발명의 세탁 건조기는, 상기 발명에 있어서 외층 드럼과 내층 드럼 사이의 공간을, 건조용 공기가 유출되는 일단부측 또는 타단부측과 그 이외의 부분으로 구획하는 구획벽에 의해 통풍 규제 수단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의 발명의 세탁 건조기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내층 드럼의 측면 주위의 투과 구멍을 개폐 가능하게 폐색하는 개폐 부재에 의해 통풍 규제 수단을 구성하고, 세탁 운전에 있어서 개폐 부재에 의해 상기 투과 구멍을 개방하는 동시에, 건조 운전에 있어서는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의 발명의 세탁 건조기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적어도 압축기, 방열기, 감압 장치 및 증발기가 순차 고리 형상으로 배관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냉매 회로를 구비하고, 방열기에 의해 가열 수단을 구성하고, 건조 운전에 있어서 방열기와 열 교환한 건조용 공기를 수용실 내로 토출하는 동시에, 이 수용실 내를 경유한 공기를 증발기와 열 교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세탁물의 세탁 운전과 세탁 운전 종료 후의 건조 운전을 실행하는 세탁 건조기에 있어서, 외층 드럼과, 이 외층 드럼 내에서 회전하는 동시에, 대략 원통 형상을 이루고 내부에 수용실을 구성하는 내층 드럼과, 이 내층 드럼의 원통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면에 구성되고 피세탁물을 출납하기 위한 취출구와, 이 내층 드럼의 원통의 측면 주위 및 축 방향에 있어서의 타단부면에 형성되고, 세탁 운전에 있어서는 물이 유출되는 동시에, 건조 운전에 있어서는 건조용 순환 공기가 유통하는 복수의 투과 구멍과, 건조 운전에 있어서, 가열 수단에 의해 가열된 건조용 공기를 수용실 내로 토출하기 위한 송풍 수단을 구비하고, 내층 드럼의 원통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측 또는 타단부측으로부터 건조용 공기를 수용실 내로 토출하고, 타단부측의 투과 구멍 또는 일단부측으로부터 유출시키는 동시에, 그 이외의 투과 구멍으로부터의 건조용 공기의 유출을 저지하는 통풍 규제 수단을 마련하였으므로, 내층 드럼의 원통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측 또는 타단부측으로부터 수용실로 토출된 건조용 공기가 내층 드럼의 측면 주위에 형성된 투과 구멍으로부터 수용실 밖으로 유출되는 문제를 해소하여, 수용실 내에 있어서 피세탁물과 건조용 공기의 접촉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피세탁물과 건조용 공기를 충분히 접촉시켜, 피세탁물로부터 효율적으로 수분을 증발시킬 수 있으므로, 피세탁물의 건조를 촉진하여 건조 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명에 있어서, 청구항 2의 발명과 같이 외층 드럼과 내층 드럼 사이의 공간을, 건조용 공기가 유출되는 일단부측 또는 타단부측과 그 이외의 부분으로 구획하는 구획벽에 의해 통풍 규제 수단을 구성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피세탁물과 건조용 공기의 접촉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피세탁물과 건조용 공기를 충분히 접촉시켜, 피세탁물로부터 효율적으로 수분을 증발시킬 수 있으므로, 피세탁물의 건조를 촉진하여 건조 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수용실로 토출되는 건조용 공기의 풍량을 증대시키거나, 건조용 공기를 온도를 증가시키지 않고 피세탁물과 건조용 공기의 접촉 시간을 길게 하여, 건조 효율을 개선하면서 건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므로, 소비 전력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의 발명에 따르면, 특별한 장치를 장착하지 않고 통풍 규제 수단을 구획벽으로 한다고 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내층 드럼의 측면 주위의 투과 구멍으로부터의 건조용 공기의 유출을 저지할 수 있으므로, 세탁 건조기의 제조 비용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3의 발명과 같이 내층 드럼의 측면 주위의 투과 구멍을 개폐 가능하게 폐색하는 개폐 부재에 의해 통풍 규제 수단을 구성하고, 세탁 운전에 있어서 개폐 부재에 의해 상기 투과 구멍을 개방하는 동시에, 건조 운전에 있어서는 폐쇄하는 것으로 하면, 세탁 운전에 있어서의 수용실 내로의 급수 및 배수를 지장 없이 행하면서, 건조 운전에 있어서 수용실 내로 토출된 건조용 공기가 내층 드럼의 측면 주위의 투과 구멍으로부터 유출되는 문제를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피세탁물과 건조용 공기를 충분히 접촉시켜, 피세탁물로부터 효율적으로 수분을 증발시킬 수 있으므로, 피세탁물의 건조를 촉진하여 건조 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수용실로 토출되는 건조용 공기의 풍량을 증대시키거나, 건조용 공기를 온도를 증가시키지 않고 피세탁물과 건조용 공기의 접촉 시간을 길게 하여, 건조 효율을 개선하면서 건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므로, 소비 전력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발명에 있어서 청구항 4와 같이, 적어도 압축기, 방열기, 감압 장치 및 증발기가 순차 고리 형상으로 배관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냉매 회로를 구비하고, 방열기에 의해 가열 수단을 구성하고, 건조 운전에 있어서 방열기와 열 교환한 건조용 공기를 수용실 내로 토출하는 동시에, 이 수용실 내를 경유한 공기를 증발기와 열 교환시키는 것으로 하면, 증발기에서 건조용 공기와 열 교환하여 얻어진 열을 방열기로 반송하고, 이 열을 이용하여 건조용 공기를 가열할 수 있으므로, 전기 에너지 등의 에너지 비용을 삭감하여, 보다 효율이 좋은 건조 운전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세탁 건조기에 있어서 수용실로 토출된 가열용 공기가 내층 드럼의 측면 주위에 형성된 투과 구멍으로부터 수용실 밖으로 유출되어, 수용실 내의 피세탁물과 건조용 가열 공기를 충분히 접촉시킬 수 없어, 그 결과 건조 운전이 장기화되는 것과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다.
피세탁물의 건조 효율을 개선하면서 건조 시간을 단축한다고 하는 목적을, 외층 드럼과, 이 외층 드럼 내에서 회전하는 동시에 대략 원통 형상을 이루고 내부에 수용실을 구성하는 내층 드럼과, 이 내층 드럼의 원통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일 단부면에 구성되고 피세탁물을 출납하기 위한 취출구와, 이 내층 드럼의 원통의 측면 주위 및 축 방향에 있어서의 타단부면에 형성되고, 세탁 운전에 있어서는 물이 유출되는 동시에, 건조 운전에 있어서는 건조용 순환 공기가 유통하는 복수의 투과 구멍과, 건조 운전에 있어서, 내층 드럼의 원통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측 또는 타단부측으로부터 건조용 공기를 수용실 내로 토출하고, 타단부측의 투과 구멍 또는 일단부측으로부터 유출시키는 동시에, 그 이외의 투과 구멍으로부터의 건조용 공기의 유출을 저지하는 통풍 규제 수단을 마련함으로써 실현하였다. 이하, 도면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서술한다.
<제1 실시예>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세탁 건조기(W)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2는 세탁 건조기(W)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세탁 건조기(W)는, 의류 등의 피세탁물을 세탁, 건조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외곽을 형성하는 본체(1)의 측면 상방에는 피세탁물을 출납하기 위한 취출구(6)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 도어(3)가 장착되어 있고, 개폐 도어(3)의 측방, 혹은 상방의 본체(1)에는 각종 조작 스위치나 표시부가 배치된 도시하지 않은 조작 패널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본체(1) 내에는, 저수 가능한 원통 형상 수지제의 외층 드럼(2)이 설치되고, 이 외층 드럼(2)은 원통의 축을 경사 방향으로 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외층 드럼(2)의 내측에는, 세탁조와 탈수조를 겸하는 대략 원통 형상의 스테인리스제 내층 드럼(5)이 설치되어 있다. 이 내층 드럼(5)의 내부는 피세탁물을 수용하는 수용실(10)로 되고, 이것도 원통의 축을 경사 방향으로 하여 배치되는 동시에, 이 축이 본체(1)의 측벽(도1의 우측)에 장착된 구동 모터(M)의 축(8)에 연결 되어, 당해 축(8)을 중심으로 하여 외층 드럼(2)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되어 있다.
또한, 내층 드럼(5)의 일단부면(5A)(도1의 좌측 상방의 면)에는 상기 취출구(6)가 형성되어 있고, 내층 드럼(5)은 펠트(11) 및 지지 부재(9)를 통해 이 취출구(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취출구(6)의 하방에 위치하는 지지 부재(9)에는 후술하는 공기 순환 경로(50)의 흡출구(5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층 드럼(5)의 원통의 측면(5S) 주위 및 축 방향에 있어서의 타단부면(5B)(도1의 우측 하방의 면)에는 공기 및 물이 유통 가능한 복수의 투과 구멍(7)이 형성되어 있다. 이 투과 구멍(7)은 세탁 운전에 있어서는 물이 유출되는 동시에, 건조 운전에 있어서는 건조용 공기가 유통하기 위한 구멍으로 된다.
전술한 구동 모터(M)는, 세탁 운전 및 당해 세탁 운전 종료 후의 건조 운전에 있어서, 외층 드럼(2) 및 내층 드럼(5)의 축과 동일한 경사 방향의 축(8)을 중심으로 하여 내층 드럼(5)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이다. 이 구동 모터(M)는, 상기 축(8)의 일단부에 장착되고, 후술하는 도시하지 않은 컨트롤러에 의해, 세탁 운전의 탈수 공정시에는, 고속으로 내층 드럼(5)을 회전시키는 동시에, 건조 운전시에 있어서는 세탁 운전시에 비해 저속으로 내층 드럼(5)을 회전시키도록 제어되어 있다.
한편, 상기 본체(1)의 외층 드럼(2) 상방에는, 외층 드럼(2) 내에 급수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급수 통로가 마련되어 있고, 이 급수 통로의 일단부는 급수 밸브를 통해 수돗물 등의 급수원에 접속되어 있다. 급수 밸브는 상기 컨트롤러에 의 해 개폐가 제어된다. 또한, 급수 통로의 타단부는, 상기 외층 드럼(2)에 접속되어 외층 드럼(2) 내의 내층 드럼(5)의 상방에서 개방되어 있고,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급수 밸브가 개방되면, 급수원으로부터 물(수돗물)이 외층 드럼(2) 내로 공급되는 동시에, 이 물이 내층 드럼(5)의 측면(5S) 주위의 투과 구멍(7)을 통해 수용실(10)에도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1)의 하부에는, 외층 드럼(2) 내[수용실(10)도 포함함]의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 수단으로서의 배수 통로(12)가 마련되어 있고, 이 배수 통로(12)의 일단부는 세탁 건조기(W)의 외부로 도출되어, 배수 홈 등에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배수 통로(12)의 타단부는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갈래로 분기되어, 한쪽 통로(13)는 컨트롤러에 의해 개폐가 제어되는 배수 밸브(14)를 통해 후술하는 구획벽(30) 및 내층 드럼(5)의 타단부면(5B)으로부터 외층 드럼(2)의 타단부(2B)측으로 되는 외층 드럼(2)의 최저부와 연통되어 있다. 또한, 다른 쪽 통로(15)는, 컨트롤러에 의해 개폐를 제어되는 배수 밸브(16)를 통해 구획벽(30)으로부터 외층 드럼(2)의 일단부(2A)측이며, 내층 드럼(5)의 측면(5S)이 위치하는 외층 드럼(2)의 하방과 연통되어 있다. 또한, 외층 드럼(2)의 타단부(2B) 상방에는 상기 공기 순환 경로(50)의 흡입구(52)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다시 도1로 되돌아가, 본체(1) 내의 외층 드럼(2)의 전방측으로부터 하측 및 후방측에 걸쳐 기계실(60)이 구성되고, 이 기계실(60) 내에 전술한 공기 순환 경로(50)가 구성되어 있다. 이 공기 순환 경로(50)는, 외층 드럼(2)의 타단 부(2B) 상방에 형성된 상기 흡입구(52)에서 일단부가 개구되는 동시에, 당해 일단부로부터 외층 드럼(2)의 하측을 통과하고, 타단부는 상기 지지 부재(9)의 취출구(6) 하방에 형성된 흡출구(54)에서 개구되어 있다. 이 공기 순환 경로(50) 내에는 후술하는 냉매 회로(20)의 방열기(22), 증발기(24)가 설치되어 있다. 방열기(22)는 본 실시예의 가열 수단으로, 공기 순환 경로(50) 내의 상기 흡출구(54)측에 설치되어 있다. 증발기(24)는 공기 순환 경로(50) 내의 흡입구(52)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공기 순환 경로(50) 내에는 팬(55)이 설치되어 있다. 이 팬(55)은, 건조 운전에 있어서 방열기(22)에서 가열된 건조용 공기를 공기 순환 경로(50)의 흡출구(54)로부터 내층 드럼(5) 내의 수용실(10)로 토출하기 위한 송풍 수단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팬(55)은 공기 순환 경로(50) 내의 증발기(24)의 공기 상류측으로 되는 흡입구(52)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세탁 건조기(W)는, 건조 운전에 있어서 수용실(10) 내의 공기를 팬(55)에 의해 공기 순환 경로(50) 내에 순환시킴으로써, 피세탁물에 포함되는 수분을 증발시켜, 습기를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구(52)로부터 공기 순환 경로(50) 내로 흡입하여, 증발기(24)로 송풍하고, 증발기(24)에서 냉매와 열 교환하여 공기 중의 수분을 응결 제거한 후, 방열기(22)로 송풍한다. 그리고, 방열기(22)로 송풍된 건조용 공기를 당해 방열기(22)에서 냉매와 열 교환하여 가열한 후, 흡출구(54)로부터 내층 드럼(5) 내의 수용실(10)로 토출하고, 수용실(10) 내를 순환하여 피세탁물을 건조시킨 후의 공기는, 흡입구(52)로부터 공기 순환 경로(50) 내로 다시 흡입되는 구 성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부호 20은 전술한 냉매 회로로, 당해 냉매 회로(20)는 압축기(21), 방열기(22), 감압 장치로서의 팽창 밸브(23) 및 증발기(24) 등을 순차 고리 형상으로 배관 접속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냉매 회로(20) 내에는, 냉매로서 이산화탄소(CO2)가 소정량 봉입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압축기(21)는 다단(2단) 압축식 로터리 컴프레서이며, 도시하지 않은 밀폐 용기 내에 전동(電動) 요소와, 이 전동 요소로 구동되는 제1 회전 압축 요소(1단째) 및 제2 회전 압축 요소(2단째)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냉매 도입관(25)으로부터 압축기(21)의 제1 회전 압축 요소에 저압 냉매가 도입되고, 냉매 토출관(26)으로부터 제2 회전 압축 요소에서 압축된 고온 고압의 냉매가 압축기(21) 밖으로 토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압축기(21)는 실시예의 다단 압축식 로터리 컴프레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크롤형, 왕복형 컴프레서 등, 그 밖에 다양한 압축기가 적용 가능하다. 또한, 냉매 회로(20) 내에 봉입하는 냉매도 이산화탄소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다른 냉매를 이용하는 것으로 해도 지장 없다.
상기 압축기(21)의 냉매 토출관(26)은, 공기 순환 경로(50) 내의 흡출구(54)측에 설치된 공기 가열용 방열기(22)의 입구에 접속된다. 그리고, 방열기(22)를 나온 배관(27)은 팽창 밸브(23)에 이르고, 팽창 밸브(23)의 출구에 접속된 배관(28)은 공기 순환 경로(50)의 팬(55)의 공기 토출측(공기 하류측)에 설치된 증발 기(24)의 입구에 접속되고, 증발기(24)의 출구에는 상기 압축기(21)의 냉매 도입관(25)이 접속되어, 이러한 고리 형상의 냉매 회로(20)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세탁 건조기(W)는, 전술한 컨트롤러에 의해 운전이 제어되고 있다. 이 컨트롤러는 세탁 건조기(W)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 수단으로, 구동 모터(M)의 운전, 급수 통로의 급수 밸브의 개폐, 배수 통로(12)의 배수 밸브(14, 16)의 개폐, 압축기(21)의 운전, 팽창 밸브(23)의 교축 조정, 팬(55)의 풍량 등을 제어하고 있다. 또한, 컨트롤러는 수용실(10) 내에 수용된 피세탁물이 변색 및 손상되지 않도록 방열기(22)를 경유한 건조용 공기 온도도 제어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세탁 건조기(W)에서는, 건조 운전에 있어서 흡출구(54)로부터 수용실(10)로 토출된 건조용 가열 공기를 당해 흡출구(54)가 형성된 내층 드럼(5)의 일단부(5A)측으로부터 당해 수용실(10) 내를 통과시켜, 타단부면(5B)에 형성된 투과 구멍(7)으로부터 수용실(10) 밖으로 유출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이때 건조용 공기와 수용실(10) 내의 피세탁물을 충분히 접촉시켜, 피세탁물로부터 효율적으로 수분을 증발시킬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세탁 건조기에서는, 도11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건조 운전에 있어서, 흡출구(54)로부터 수용실(10)로 토출된 가열 공기가 내층 드럼(5)의 측면에 형성된 투과 구멍(7)으로부터 수용실(10) 밖으로 유출되기 쉽고, 이 공기는 수용실(10) 내에 다시 수용실(10)로 복귀되지 않고, 외층 드럼(2)에 형성된 흡입구(52)로부터 공기 순환 경로(50) 내에 흡입되고 있었다. 이와 같이 건조용 가열 공기가 흐르면, 수용실 내에서 피세탁물과 접촉하는 건조용 공기가 적어 지는 동시에, 피세탁물과의 접촉 시간도 짧아지므로, 피세탁물의 수분을 증발시키는 것이 곤란해진다. 그 결과, 종래의 세탁 건조기에서는, 피세탁물이 건조되기까지 장시간을 필요로 하고 있었다.
이러한 건조 시간의 장기화에 의해, 그만큼 피건조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에너지 소비량도 많아져, 전기세 등의 에너지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또한, 흡입구(52)로부터 공기 순환 경로(50) 내로 흡입되는 공기는 습기를 충분히 포함하지 않는 비교적 건조한 공기로 되기 때문에, 증발기(24)에 있어서의 제습 효율이 현저하게 악화되어, 증발기(24)에 있어서의 수분 회수량이 한층 더 적어진다고 하는 문제도 발생하고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세탁 건조기(W)에서는,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건조 운전에 있어서 내층 드럼(5)의 원통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5A)측으로부터 건조용 공기를 수용실(10) 내로 토출하고, 타단부(5B)측의 투과 구멍(7)으로부터 유출시키는 동시에, 그 이외의 투과 구멍(7)으로부터의 건조용 공기의 유출을 저지하는 통풍 규제 수단을 마련하는 것으로 한다. 즉, 건조 운전에 있어서, 통풍 규제 수단에 의해 타단부(5B)측 이외의 투과 구멍(7)으로부터 건조용 공기가 유출되는 것을 저지함으로써, 흡출구(54)로부터 수용실(10)로 토출된 건조용 가열 공기를 흡출구(54)가 형성된 내층 드럼(5)의 일단부(5A)측으로부터 타단부(5B)측으로 통과시켜, 타단부면(5B)에 형성된 투과 구멍(7)으로부터 유출시키는 것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세탁 건조기(W)에서는, 상기 통풍 규제 수단을 외층 드럼(2)과 내층 드럼(5) 사이의 공간을, 건조용 공기가 유출되는 타단부(5B)측 과 그 이외의 부분으로 구획하는 구획벽(30)으로 구성하고 있다. 이 구획벽(30)은, 내층 드럼(5)의 타단부면(5B), 혹은 그보다 일단부(5A)측의 타단부면(5B) 근방에 대응하는 외층 드럼(2)의 내주면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이 구획벽(30)의 선단부와 내층 드럼(5)의 타단부면(5B)의 외주연, 혹은 측면(5S)과의 사이에는, 구획벽(30)이 내층 드럼(5)의 회전을 저해하지 않도록 근소한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획벽(30)에 의해, 내층 드럼(5)의 원통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5A)측에 형성된 흡출구(54)로부터 수용실(10)로 토출된 건조용 공기가, 종래와 같이 측면(5S)에 형성된 투과 구멍으로부터 수용실(10)을 유출하여, 다시 수용실(10)로 복귀되지 않고 흡입구(52)로부터 공기 순환로(50)로 흡입되어 버리는 문제를 저지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건조용 공기가 측면(5S) 주위에 형성된 투과 구멍(7)으로부터 수용실(10)을 일단 나온 경우라도, 전술한 구획벽(30)에 의해 다시 수용실(10) 내로 복귀되어, 확실하게 타단부면(5B)에 형성된 투과 구멍(7)으로부터 수용실(10)로부터 유출되게 된다.
따라서, 이 구획벽(30)에 의해 일단부(5A)측에 형성된 흡출구(54)로부터 수용실(10)로 토출된 건조용 공기를 타단부(5B)측까지 흘릴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피세탁물과 건조용 공기를 충분히 접촉시켜, 피세탁물로부터 효율적으로 수분을 증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의 구성으로, 다음에 세탁 건조기(W)의 동작을 설명한다. 취출구(6)로부터 내층 드럼(5) 내의 수용실(10)에 피세탁물과 당해 피세탁물의 양에 따른 소정 량의 세제가 투입되고, 개폐 도어(3)가 폐쇄되고, 전술한 조작 스위치 중 전원 스위치 및 시작 스위치가 조작되면,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세탁 운전이 개시된다. 이에 의해, 상기 급수 통로의 급수 밸브가 개방되어 급수 통로가 개방된다. 이에 의해, 급수원으로부터 외층 드럼(2) 및 내층 드럼(5)의 투과 구멍(7)을 통해 물이 공급된다. 또한, 이때 배수 통로(12)의 배수 밸브(14, 16)는 폐쇄되어 있다.
그리고, 내층 드럼(5) 내의 수용실(10)에 소정량의 온수가 저류되면, 컨트롤러에 의해 급수 밸브가 폐쇄되어 급수 통로가 폐색된다. 이에 의해, 급수원으로부터의 물의 공급이 정지된다.
다음에, 컨트롤러에 의해 구동 모터(M)가 통전 기동된다. 이에 의해, 축(8)이 회전하고, 이 축(8)에 장착된 내층 드럼(5)이 외층 드럼(2) 내에서 회전하기 시작하여, 세탁 운전의 세탁 행정이 개시된다. 그리고, 이 세탁 행정의 개시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하면, 컨트롤러에 의해 구동 모터(M)가 정지되고, 배수 통로(12)의 양 배수 밸브(14, 16)가 개방되어 내층 드럼(5)의 수용실(10) 내[즉, 외층 드럼(2) 내]의 물(세탁수)이 배출되어 간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배수 통로(12)를 분기시켜, 한쪽 통로(13)를 구획벽(30) 및 내층 드럼(5)의 타단부면(5B)으로부터 외층 드럼(2)의 타단부(2B)측으로 되는 외층 드럼(2)의 최저부와 연통하도록 설치하는 동시에, 다른 쪽 통로(15)를 구획벽(30)으로부터 외층 드럼(2)의 일단부(2A)측이며 내층 드럼(5)의 측면(5S)이 위치하는 외층 드럼(2)의 하방과 연통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외층 드럼(2) 내의 물을 확실하게 배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과 같이 구획벽(30)을 설치함으로써, 내층 드럼(5)의 측면(5S) 주위의 투과 구멍(7)으 로부터 유출되어 외층 드럼(2)의 내주면을 흘러 내려온 물은, 거기에 설치된 구획벽(30)에 의해 한쪽 통로(13)로부터 배출시킬 수 없지만, 다른 쪽 통로(15)를 마련함으로써 상술한 물을 당해 통로(15)로부터 확실하게 배출하여 외층 드럼(2) 내의 잔수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수용실(10)[외층 드럼(2) 내]의 물이 배출되면, 컨트롤러에 의해 다시 구동 모터(M)가 작동되어, 피세탁물의 탈수가 행해진다. 이 탈수가 소정 시간 실행되면, 배수 통로(12)의 양 배수 밸브(14, 16)가 폐쇄되어 배수 통로(12)가 폐색되고, 헹굼 공정으로 이행한다.
이 헹굼 공정에서는, 우선 급수 통로의 급수 밸브가 개방되어, 급수 통로가 개방된다. 이에 의해, 급수원으로부터 외층 드럼(2) 내 및 수용실(10)에 다시 물이 공급된다. 그리고, 내층 드럼(5) 내의 수용실(10)에 소정량의 급수가 행해지면, 컨트롤러에 의해 급수 밸브가 폐쇄되어, 급수 통로가 폐색된다. 이에 의해, 급수원으로부터의 물의 공급이 정지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 모터(M)의 회전 동작이 소정 시간 반복되어 헹굼이 행해진 후, 구동 모터(M)가 정지되고, 배수 통로(12)의 양 배수 밸브(14, 16)가 개방되어, 수용실(10)[외층 드럼(2) 내]의 헹굼수가 배수 통로(12)로 배출되어 간다. 수용실(10)[외층 드럼(2) 내]의 헹굼수가 배출되면, 컨트롤러에 의해 구동 모터(M)가 작동되고,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내층 드럼(5)이 회전되어 피세탁물의 탈수를 행하는 탈수 행정으로 이행한다.
그리고, 이 탈수 행정이 소정 시간 실행된 후, 컨트롤러에 의해 배수 통 로(12)의 양 배수 밸브(14, 16)가 폐쇄되어 배수 통로(12)가 폐색된다. 또한, 컨트롤러에 의해 압축기(21)가 기동되고, 팬(55)의 운전이 개시되는 동시에, 상기 구동 모터(M)에 의해 내층 드럼(5)이 회전되어 건조 운전으로 이행한다. 이와 같이, 건조 운전에 있어서 배수 통로(12)의 배수 밸브(14, 16)를 폐쇄함으로써, 수용실(10)에 공급된 건조용 공기가 내층 드럼(5)의 측면(5S) 주위의 투과 구멍(7)으로부터 나와 당해 다른 쪽 통로(15), 한쪽 통로(13)를 경유하여 외층 드럼(2)으로 복귀되어, 다시 수용실(10)로 복귀되지 않고 유출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쪽 통로(13)의 배수 밸브(14) 대신에, 외층 드럼(2)의 물을 배수 통로(12)로 흘리는 방향(도1에서는 하부 방향)을 순방향으로 하는 역지 밸브(18)를 설치하는 동시에, 다른 쪽 통로(15)의 배수 밸브(16) 대신에, 양 통로(13, 15)가 합류된 후[양 통로(13, 15)의 하방]의 배수 통로(12)에 배수 밸브(19)를 설치한 경우에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압축기(21)의 기동에 의해, 냉매 도입관(25)으로부터 압축기(21)의 상기 제1 회전 압축 요소에 냉매(CO2)가 흡입되어 압축된다. 제1 회전 압축 요소에서 압축되어 중간압으로 된 냉매는, 제2 회전 압축 요소에 흡입되고, 2단째의 압축이 행해져 고온 고압의 냉매 가스로 되어, 냉매 토출관(26)으로부터 외부로 토출된다.
냉매 토출관(26)으로부터 토출된 냉매 가스는 공기 순환 경로(50) 내에 설치 된 방열기(22)로 유입된다. 이때, 방열기(22)로 유입되는 냉매 온도는 약 ±85 ℃ 정도까지 상승하고 있고, 이러한 고온 고압의 냉매 가스는 여기서, 공기 순환 경로(50) 내를 순환하는 건조용 공기와 열 교환하여 방열하여, 약 +50 ℃ 정도까지 냉각된다.
방열기(22)에서 냉각된 냉매는 그 후, 팽창 밸브(23)에서 감압된 후, 공기 순환 경로(50) 내에 설치된 증발기(24)에서 건조용 공기[수용실(10)로부터의 습기를 포함한 공기]와 열 교환하여 증발한다. 즉, 냉매 회로(20)는, 증발기(24)에서 수용실(10)로부터의 습기를 포함한 건조용 공기를 응결시켜, 당해 공기 내의 수분을 제거시키는 동시에, 당해 증발기(24)에 있어서 냉매에 의해 건조용 공기로부터 열을 얻어, 방열기(22)로 반송하여, 수용실(10)로 토출되는 건조용 공기를 가열하는 히트 펌프로서 기능한다.
이와 같이, 냉매 회로(20)를 구비하여, 수용실(10)로부터의 건조용 공기의 수분을 증발기(24)에서 응결 제거하고, 이때 공기로부터 얻어진 열을, 냉매에 의해 방열기(22)로 반송하여, 수용실(10)로 토출하는 건조용 공기의 가열에 이용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방열기(22)에 의해 전기 히터 등의 특별한 가열 수단을 이용하지 않고 건조용 공기를 고온으로 가열할 수 있으므로, 전기 에너지 등의 에너지 비용을 삭감하여, 보다 효율이 좋은 건조 운전을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증발기(24)에서 증발한 냉매는 그 후, 냉매 도입관(25)을 경유하여 다시 압축기(21)로 흡입되는 순환을 행한다.
또한, 상기 팬(55)의 운전에 의해, 수용실(10) 내의 피세탁물을 건조시켜 습기를 포함한 공기(건조용 공기)는, 수용실(10)을 경유하여 타단부면(5B)에 형성된 투과 구멍(7)으로부터 수용실(10)을 유출한다. 그리고, 이 공기는 외층 드럼(2)의 타단부(2B)의 상방에 형성된 흡입구(52)로부터 공기 순환 경로(50) 내로 들어가, 팬(55)에 흡입된다. 그 후, 팬(55)에 흡입된 공기는, 팬(55)의 공기 토출측에 설치된 증발기(24)를 향해 토출되어, 증발기(24)의 주위를 통과한다. 이때, 수용실(10) 내의 피세탁물을 건조시켜 습기를 포함한 공기는, 당해 증발기(24)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증발기(24)를 흐르는 냉매와 열 교환하여, 냉매에 열을 빼앗긴다. 이때, 공기 중의 수분이 증발기(24)의 표면에 응결된다. 이에 의해, 당해 증발기(24)에서 피세탁물을 건조시켜 습기를 포함한 건조용 공기로부터 수분을 응결 제거하여, 다시 건조한 공기로 할 수 있다.
또한, 증발기(24)의 표면에서 응결된 수분은, 그 후 물방울이 되어 증발기(24)의 하부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드레인 팬 상에 낙하하고, 도시하지 않은 드레인 파이프, 배수 통로(12) 등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증발기(24)에서 습기가 제거되어 건조된 건조용 공기는, 당해 증발기(24)를 흐르는 냉매에 의해 열을 빼앗겨, 약 +30 ℃ 정도까지 냉각된다. 그 후, 방열기(22)의 주위를 통과하여, 당해 방열기(22)를 흐르는 고온 고압의 냉매 가스와 열 교환하여 약 +75 ℃로 가열되어, 내층 드럼(5)의 일단부면(5A)의 취출구(6)의 외주에 설치된 지지 부재(9)의 하방에 형성된 흡출구(54)로부터 수용실(10) 내로 토출된다.
이 수용실(10)로 토출된 건조용 공기는, 당해 수용실(10)을 일단부(5A)측으로부터 타단부(5B)측으로 흐르는 과정에서 피세탁물과 접촉하고, 피세탁물을 따뜻하게 하여 수분을 증발시켜, 피세탁물을 건조시킨다.
이때, 이 내층 드럼(5)의 일단부(5A)측의 하방에 위치하는 흡출구(54)로부터 수용실(10) 내로 토출된 건조용 공기는, 본 발명의 구획벽(30)의 존재에 의해, 도4에 나타내는 화살표와 같이 측면(5S) 주위에 형성된 투과 구멍(7)으로부터 유출되지 않고 타단부(5B)측으로 흐른다. 특히, 건조용 공기가 측면(5S) 주위에 형성된 투과 구멍(7)으로부터 수용실(10)을 일단 나오는 경우라도, 당해 공기는 구획벽(30)에 의해 다시 수용실(10) 내로 확실하게 복귀되어, 타단부면(5B)에 형성된 투과 구멍(7)으로부터 수용실(10)로부터 유출한다. 따라서, 수용실(10) 내에 있어서 피세탁물과 건조용 공기의 접촉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피세탁물과 건조용 공기를 충분히 접촉시켜, 피세탁물로부터 효율적으로 수분을 증발시킬 수 있으므로, 피세탁물의 건조를 촉진하여 건조 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수용실(10)로 토출되는 건조용 공기의 풍량을 증대시키거나, 건조용 공기의 온도를 증가시키지 않고 피세탁물과 건조용 공기의 접촉 시간을 길게 하여, 건조 효율을 개선하면서 건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므로, 소비 전력량을 저감할 수 있다.
그리고, 수용실(10)에서 피세탁물을 건조시켜 수분을 포함한 공기는, 내층 드럼(5)의 타단부면(5B)에 형성된 투과 구멍(7)으로부터 유출되어, 외층 드럼(2)의 상기 흡입구(52)로부터 공기 순환 경로(50) 내에 흡입되는 사이클을 반복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해 흡입구(52)로부터 공기 순환 경로(50) 내에 흡입되는 공기는 수용실(10)에서 피세탁물로부터 수분을 빼앗은 습기를 충분히 포함하는 공기로 된다. 특히, 건조 운전의 초기에는, 당해 공기를 포화 상태에 근접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증발기(24)에 있어서의 제습 효율이 향상되어, 증발기(24)에 있어서의 수분 회수량도 증대한다. 따라서, 피세탁물의 건조 효율을 한층 더 개선하여 건조 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특별한 장치를 장착하는 일 없이, 구획벽(30)을 설치한다고 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내층 드럼(5)의 측면(5S) 주위의 투과 구멍(7)으로부터의 건조용 공기의 유출을 저지할 수 있으므로, 세탁 건조기(W)의 제조 비용을 가능한 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내층 드럼(5)의 일단부(5A)측의 하방에 흡출구(54)를 형성하고, 타단부(5B)측인 외층 드럼(2)의 타단부(2B)의 상방에 흡입구(52)를 형성하여, 공기 순환 경로(50)의 방열기(22)에서 가열된 건조용 공기를 일단부(5A)측으로부터 수용실(10) 내로 토출시키고, 타단부(5B)측의 투과 구멍(7)으로부터 유출시키는 것으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층 드럼(5)의 원통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5A)측 또는 타단부(5B)측으로부터 건조용 공기를 수용실(10) 내로 토출하고, 타단부(5B)측의 투과 구멍(7) 또는 일단부(5A)측으로부터 유출시키는 것이면 유효하다.
예를 들어, 도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층 드럼(5)의 일단부(5A)측인 외층 드럼(2)의 일단부(2A) 상방에 흡출구(54)를 형성하고, 내층 드럼(5)의 타단부(5B) 측인 외층 드럼(2)의 타단부(2B) 하방이며, 세탁 운전에 있어서 급수의 수위보다 상부로 되는 위치에 흡입구(52)를 형성하여, 화살표와 같이 공기 순환 경로(50)의 방열기(22)에서 가열된 건조용 공기를 일단부(5A)측 상방으로부터 수용실(10) 내로 토출시키고, 타단부(5B)측의 투과 구멍(7)으로부터 유출시키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도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층 드럼(5)의 타단부(5B)측인 외층 드럼(2)의 타단부(2B) 상방에 흡출구(54)를 형성하고, 내층 드럼(5)의 일단부(5A)측인 외층 드럼(2)의 일단부(2A) 하방에 흡입구(52)를 형성하여, 화살표와 같이 공기 순환 경로(50)의 방열기(22)에서 가열된 건조용 공기를 타단부(5B)측 상방으로부터 수용실(10) 내로 토출시키고, 일단부(5A)측으로부터 유출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한, 도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층 드럼(5)의 타단부(5B)측인 외층 드럼(2)의 타단부(2B) 하방이며, 세탁 운전에 있어서 급수의 수위보다 상부로 되는 위치에 흡출구(54)를 형성하고, 내층 드럼(5)의 일단부(5A)측인 외층 드럼(2)의 일단부(2A) 상방에 흡입구(52)를 형성하여, 화살표와 같이 공기 순환 경로(50)의 방열기(22)에서 가열된 건조용 공기를 타단부(5B)측 하방으로부터 수용실(10) 내로 토출시키고, 일단부(5A)측으로부터 유출시키는 것으로 해도 지장 없다.
또한, 도8 또는 도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층 드럼(5)의 일단부면(5A)의 취출구(6)에 흡입구(52), 혹은 흡출구(54)를 형성하고, 타단부(5B)측인 외층 드럼(2)의 타단부(2B)의 축(8) 부근에 흡출구(54), 혹은 흡입구(52)를 형성하여, 각 도8, 도9에 나타내는 화살표와 같이 공기 순환 경로(50)의 방열기(22)에서 가열된 건조용 공기를 타단부(5B)측 중심 부근, 혹은 일단부(5A)측의 취출구(6)로부터 수 용실(10) 내로 토출시키고, 일단부(5A)측의 취출구(6), 혹은 타단부(5B)의 투과 구멍(7)으로부터 유출시키는 것으로 해도 상관없다. 또한, 상기 각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구성이라도 지장 없다.
<제2 실시예>
또한,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통풍 규제 수단으로서 외층 드럼(2)과 내층 드럼(5) 사이의 공간을, 건조용 공기가 유출되는 타단부(5B)측과 그 이외의 부분으로 구획하는 구획벽(30)으로 구성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내층 드럼(5)의 측면(5S) 주위의 투과 구멍(7)을 개폐 가능하게 폐색하는 개폐 부재에 의해 통풍 규제 수단을 구성하는 것으로 해도 본 발명은 유효하다. 도10은, 본 일예를 나타내는 세탁 건조기(Y)의 외층 드럼(2) 및 그 내부의 모식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내층 드럼(5)의 측면(5S) 주위의 투과 구멍(7)을 개폐 가능하게 폐색하는 개폐 부재를 복수의 밸브(80)에 의해 구성하였다. 또한, 본 실시예의 세탁 건조기(Y)는, 통풍 규제 수단으로서 개폐 부재를 이용한 구성만이, 상기 제1 실시예의 세탁 건조기(W)와 다를 뿐이며, 그 밖의 구성이나 동작 등은 모두 상기 세탁 건조기(W)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상기와 다른 밸브(80)의 동작만을 설명한다.
여기서, 밸브(80)는, 소정의 온도 범위(본 실시예에서는, +40 ℃ 이상)에서 기능하는 형상 기억 합금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하여 동작을 설명한다. 즉, 본 실시예의 밸브(80)는, 당해 밸브(80)의 온도가 +40 ℃보다 낮은 경우, 투과 구멍(7)을 개방한 상태를 유지하고, +40 ℃ 이상의 온도 범위로 되면, 변형하여 투과 구멍(7)을 폐색하는 것으로 한다.
세탁 운전에 있어서, 밸브(80)는 +40 ℃보다 저온이므로, 내층 드럼(5)의 측면(5S) 주위의 투과 구멍(7)을 개방한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세탁 운전에 있어서의 수용실(10) 내로의 급수 및 배수를 지장 없이 행할 수 있다. 또한, 건조 운전에 있어서, 가열 공기의 공급에 의해 수용실(10)이 가열되어, 밸브(80)의 온도가 +40 ℃ 이상의 온도 범위로 되면, 밸브(80)가 기능하여 내층 드럼(5)의 측면(5S) 주위의 투과 구멍(7)을 폐쇄한다. 이에 의해, 수용실(10) 내로 토출된 건조용 공기가 내층 드럼(5)의 측면(5S) 주위의 투과 구멍(7)으로부터 유출되는 문제를 확실하게 해소하여, 내층 드럼(5)의 일단부(5A)에 형성된 흡출구(54)로부터 수용실(10)로 토출된 건조용 공기를 타단부(5B)측까지 흘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피세탁물과 건조용 공기를 충분히 접촉시켜, 피세탁물로부터 효율적으로 수분을 증발시킬 수 있으므로, 피세탁물의 건조를 촉진하여 건조 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수용실(10)로 토출되는 건조용 공기의 풍량을 증대시키거나, 건조용 공기의 온도를 증가시키지 않고, 피세탁물과 건조용 공기의 접촉 시간을 길게 하여, 건조 효율을 개선하면서 건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므로, 소비 전력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흡입구(52)로부터 공기 순환 경로(50) 내에 흡입되는 공기는 수용실(10)에서 피세탁물로부터 수분을 빼앗은 습기를 충분히 포함하는 공기로 된다. 특히, 건조 운전의 초기에는, 당해 공기를 포화 상태에 근접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증발기(24)에 있어서의 제습 효율이 향상되어, 증발기(24)에 있어서의 수분 회수량도 증대한다. 따라서, 피세탁물의 건조 효율을 한층 더 개선하여, 건조 시 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밸브(80)를 소정의 온도 범위(본 실시예에서는, +40 ℃ 이상)에서 기능하는 형상 기억 합금으로 구성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예를 들어 원심력으로 작동하는[원심력으로 투과 구멍(7)을 폐색하는] 부재로 구성하는 것으로 해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도,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내층 드럼(5)의 원통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5A)측 또는 타단부(5B)측으로부터 건조용 공기를 수용실(10) 내로 토출하여, 타단부(5B)측의 투과 구멍(7) 또는 일단부(5A)측으로부터 유출시키는 것이면 유효하고, 상기 도5 내지 도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다양한 흡입구(52) 및 흡출구(54)의 구성이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의 세탁 건조기(W, Y)에서는, 냉매 회로(20)를 구비하여, 냉매 회로(20)의 방열기(22)에 의해 수용실(10)로 토출하는 건조용 공기를 가열하고, 증발기(24)에서 수용실(20)에서 피세탁물로부터 빼앗은 수분을 공기로부터 응축 제거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의 발명에서는, 냉매 회로(20)를 구비하지 않고, 예를 들어 전기 히터 등으로 건조용 공기를 가열하는 것으로 해도 유효하다. 또한, 공기 순환 경로(50) 내의 팬(55)의 배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방열기(22)와 증발기(24) 사이라도 좋고, 방열기(22)의 흡출구(54)측에 설치해도 지장 없다.
도1은 본 발명의 세탁 건조기의 일 실시예의 개략 구성도(제1 실시예).
도2는 도1의 세탁 건조기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3은 도2의 배수 통로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4는 도1의 세탁 건조기의 수용실 내에 있어서의 건조용 공기의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제2 세탁 건조기의 수용실 내에 있어서의 건조용 공기의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제3 세탁 건조기의 수용실 내에 있어서의 건조용 공기의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제4 세탁 건조기의 수용실 내에 있어서의 건조용 공기의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제5 세탁 건조기의 수용실 내에 있어서의 건조용 공기의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
도9는 본 발명의 제6 세탁 건조기의 수용실 내에 있어서의 건조용 공기의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
도10은 본 발명의 세탁 건조기의 다른 실시예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제2 실시예).
도11은 종래의 세탁 건조기의 수용실 내에 있어서의 건조용 공기의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W, Y : 세탁 건조기
1 : 본체
2 : 외층 드럼
2A : 일단부
2B : 타단부
5 : 내층 드럼
5A : 일단부면(일단부)
5B : 타단부면(타단부)
5S : 측면
7 : 투과 구멍
10 : 수용실
12 : 배수 통로
20 : 냉매 회로
21 : 압축기
22 : 방열기
23 : 팽창 밸브
24 : 증발기
50 : 공기 순환 경로
52 : 흡입구
54 : 흡출구
55 : 팬

Claims (4)

  1. 피세탁물의 세탁 운전과 상기 세탁 운전 종료 후의 건조 운전을 실행하는 세탁 건조기에 있어서,
    외층 드럼과,
    상기 외층 드럼 내에서 회전하는 동시에, 대략 원통 형상을 이루고 내부에 수용실을 구성하는 내층 드럼과,
    상기 내층 드럼의 원통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면에 구성되고, 상기 피세탁물을 출납하기 위한 취출구와,
    상기 내층 드럼의 원통의 측면 주위 및 축 방향에 있어서의 타단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세탁 운전에 있어서는 물이 유출되는 동시에, 상기 건조 운전에 있어서는 건조용 순환 공기가 유통하는 복수의 투과 구멍과,
    상기 건조 운전에 있어서, 가열 수단에 의해 가열된 건조용 공기를 상기 수용실 내로 토출하기 위한 송풍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내층 드럼의 원통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측 또는 타단부측으로부터 건조용 공기를 상기 수용실 내로 토출하고, 타단부측의 상기 투과 구멍 또는 일단부측으로부터 유출시키는 동시에, 그 이외의 상기 투과 구멍으로부터의 건조용 공기의 유출을 저지하는 통풍 규제 수단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 드럼과 내층 드럼 사이의 공간을, 건조용 공기가 유출되는 일단부측 또는 타단부측과 그 이외의 부분으로 구획하는 구획벽에 의해 상기 통풍 규제 수단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층 드럼의 측면 주위의 상기 투과 구멍을 개폐 가능하게 폐색하는 개폐 부재에 의해 상기 통풍 규제 수단을 구성하고, 상기 세탁 운전에 있어서 상기 개폐 부재에 의해 상기 투과 구멍을 개방하는 동시에, 상기 건조 운전에 있어서는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압축기, 방열기, 감압 장치 및 증발기가 순차 고리 형상으로 배관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냉매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방열기에 의해 상기 가열 수단을 구성하고, 상기 건조 운전에 있어서 상기 방열기와 열 교환한 건조용 공기를 상기 수용실 내로 토출하는 동시에, 상기 수용실 내를 경유한 공기를 상기 증발기와 열 교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기.
KR1020080023586A 2007-03-15 2008-03-14 세탁 건조기 KR1009496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066568 2007-03-15
JP2007066568A JP2008220817A (ja) 2007-03-15 2007-03-15 洗濯乾燥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4693A KR20080084693A (ko) 2008-09-19
KR100949640B1 true KR100949640B1 (ko) 2010-03-26

Family

ID=39473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3586A KR100949640B1 (ko) 2007-03-15 2008-03-14 세탁 건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80223084A1 (ko)
EP (1) EP1970483A1 (ko)
JP (1) JP2008220817A (ko)
KR (1) KR100949640B1 (ko)
CN (1) CN10126565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5854B1 (ko) * 2011-02-08 2013-12-02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드럼식 세탁건조기
US10087572B2 (en) * 2017-02-16 2018-10-02 Whirlpool Corporation Washing machi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15726B2 (en) * 2005-06-23 2011-09-13 Whirlpool Corporation Automatic clothes dryer
KR101542389B1 (ko) * 2009-02-05 2015-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히트펌프모듈 및 히트펌프모듈을 이용한 건조장치
US8490438B2 (en) * 2009-02-05 2013-07-23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device
KR20100095107A (ko) * 2009-02-20 2010-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WO2010095833A2 (en) * 2009-02-23 2010-08-26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KR101603106B1 (ko) * 2009-03-03 2016-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 장치
US20120186305A1 (en) * 2009-10-27 2012-07-26 Panasonic Corporation Laundry dryer and washer dryer
DE102010031267A1 (de) * 2010-07-13 2012-01-19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gerät mit einer Trommel
KR102369584B1 (ko) 2014-12-19 2022-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16108795A1 (en) * 2014-12-30 2016-07-07 Arçelik Anonim Şirketi A laundry washing and drying machine
TR201618038A2 (tr) 2016-12-07 2018-06-21 Arcelik As Kurutma performansi i̇yi̇leşti̇ri̇len bi̇r çamaşir yikama/kurutma maki̇nesi̇
EP3743552A1 (en) * 2018-01-26 2020-12-02 Electrolux Professional AB (publ) Tumble dryer
EP3741898B1 (de) * 2019-05-21 2023-08-02 BSH Hausgeräte GmbH Vorrichtung zum waschen und trocknen von zu waschenden und zu trocknenden objekten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solchen vorrichtung
US11795601B2 (en) 2020-11-10 2023-10-24 Whirlpool Corporation Maximizing the dry rate of clothes tumbling combination washer/dryer with a seal
TR202022219A2 (tr) * 2020-12-29 2022-07-21 Vestel Beyaz Esya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Yıkayıcı ve kurutucu cihazlar için bir çalışma yöntemi.
US11846059B2 (en) * 2021-01-04 2023-12-19 Whirlpool Corporation Controlling process air bypass around the drum in combo wash-dry system
CN113174714A (zh) * 2021-04-26 2021-07-27 苏州绚彩百科纺织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纺织设备用布匹清洗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4388A (ja) * 1995-09-28 1997-04-08 Sharp Corp 全自動洗濯乾燥機
JP2000325688A (ja) 1999-05-21 2000-11-28 Sharp Corp ドラム式洗濯機
KR100651900B1 (ko) 2005-12-05 2006-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1438A (en) * 1980-12-04 1986-11-11 Donald M. Thompson Energy efficient clothes dryer
JP3096398B2 (ja) 1995-02-24 2000-10-10 シャープ株式会社 衣類乾燥機
JP3464335B2 (ja) * 1996-03-19 2003-11-10 株式会社東芝 洗濯乾燥機
DE10349712B4 (de) * 2003-10-23 2007-03-01 Miele & Cie. Kg Verfahren zum Trocknen von Wäsche und Wäschetrockner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EP1559828B1 (en) * 2004-01-28 2014-06-25 Candy S.p.A. Improved laundry drying device
WO2005113879A1 (en) * 2004-04-20 2005-12-01 Lg Electronics Inc. Washing and drying machine
JP4379269B2 (ja) 2004-09-09 2009-12-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洗濯乾燥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4388A (ja) * 1995-09-28 1997-04-08 Sharp Corp 全自動洗濯乾燥機
JP2000325688A (ja) 1999-05-21 2000-11-28 Sharp Corp ドラム式洗濯機
KR100651900B1 (ko) 2005-12-05 2006-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5854B1 (ko) * 2011-02-08 2013-12-02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드럼식 세탁건조기
US10087572B2 (en) * 2017-02-16 2018-10-02 Whirlpool Corporation Washing machine
US10689792B2 (en) 2017-02-16 2020-06-23 Whirlpool Corporation Wash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65654A (zh) 2008-09-17
US20080223084A1 (en) 2008-09-18
KR20080084693A (ko) 2008-09-19
EP1970483A1 (en) 2008-09-17
JP2008220817A (ja) 200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9640B1 (ko) 세탁 건조기
US6981336B2 (en) Washing/drying machine
JP4326445B2 (ja) 洗濯乾燥機
US7024795B2 (en) Drying apparatus
US6748772B2 (en) Washing/drying machine and clothes dryer
US20050086824A1 (en) Dryer
JP4388088B2 (ja) 衣類乾燥機
JP2005253588A (ja) 乾燥機
US20050198851A1 (en) Drying machine
KR20080089232A (ko) 건조 장치 및 이 장치를 구비한 세탁 건조기
KR102364673B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4141650A (ja) 乾燥機
JP2005253589A (ja) 乾燥機
JP2009056078A (ja) 洗濯乾燥機
JP2013179953A (ja) ヒートポンプ式乾燥機
JP2005027934A (ja) 乾燥機
RU2452804C2 (ru) Бытовое суш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елья
JP4439451B2 (ja) 乾燥機
JP2006218313A (ja) 乾燥機
JP2009066105A (ja) 洗濯乾燥機
JP3819908B2 (ja) 乾燥機
JP2006337017A (ja) 乾燥機
JP3939280B2 (ja) 乾燥機
JP2006272025A (ja) 乾燥機
JP2006272024A (ja) 洗濯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