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8021B1 - 단자 피팅 및 접속 방법 - Google Patents

단자 피팅 및 접속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8021B1
KR100948021B1 KR1020070111203A KR20070111203A KR100948021B1 KR 100948021 B1 KR100948021 B1 KR 100948021B1 KR 1020070111203 A KR1020070111203 A KR 1020070111203A KR 20070111203 A KR20070111203 A KR 20070111203A KR 100948021 B1 KR100948021 B1 KR 100948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
contact
terminal fitting
contact portion
main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1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9823A (ko
Inventor
가즈히데 무네야스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9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9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8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8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3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rectang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93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at the end of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zero insertion force or no friction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탭에 대한 접촉 안정성을 보증하는 것이다.
암형(female) 단자 피팅(10)에는, 상대 탭(61)이 삽입될 수 있는 박스 형상의 메인부(11)가 제공되며, 탭(61)과 접촉할 수 있는 접촉부(32)로서의 돌출부를 가지는 탄성 터칭 부재(12)는 이 메인부(11)내에 제공된다. 탭은 두께 방향으로 금속판의 폭방향의 양측 단부 부분들을 절곡시키고, 그 절곡된 파트들의 단부 에지들을 서로 대향시킴으로서 형성된다. 접촉부(32)의 평탄면(35)은, 탭(61)이 메인부(11)로 적절히 삽입되는 경우에 탭(61)과 평평하게 접촉되고, 대향 단부(64)들 위에서 교차된다. 따라서, 대향 단부(64)들의 에지(67)들은 접촉부(32) 에서 샤프하게(sharply) 작용하므로, 접촉부(32)를 스트리킹(streak)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접촉부, 탭

Description

단자 피팅 및 접속 방법{A TERMINAL FITTING AND A CONNECTING METHOD}
본 발명은 단자 피팅(fitting) 및 그 접속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자 피팅은 예를 들어 일본 미심사 특허 제 2005-44598 호 공보에 공지되어 있다. 이는 도 5 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 탭(2)이 삽입될 수 있는 박스 형상의 메인부(3)가 제공되는 암형 단자 피팅(4)이며, 탄성 터칭 부재(5)는 메인 부(3) 내에 탄성 변형가능하게 형성된다. 돌출된 만곡 표면을 가지는 접촉부는 탄성 터칭 부재(5)의 상면(도시된 예에서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연장된 수용부(7)는 접촉부(6)와 대향하는 메인부(3)의 내부 표면의 위치에서 돌출한다. 탭(2)은 두께 방향으로 금속 플레이트의 폭방향의 양측 단부 부분들을 절곡하고, 그 절곡된 파트들의 단부 에지들을 서로 대향시킴으로써 이중 플레이트 구조를 가지며, 대향 단부(8)들이 접촉부(6)를 향하여 대향하는 상태로 메인부(3)에 삽입된다. 탭(2)이 전방으로부터 메인부(3)로 삽입되는 경우에, 탄성 터칭 부재(5)는 이 탭(2)에 의해 탄성 변형되고, 탭(2)은 접촉부(6)와 수용부(7) 사이에 탄성 압착되는 상태로 지지되므로, 2 개의 단자 피팅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탭(2)이 메인부(3)로 적절히 삽입되는 경우에, 접촉부(6)는, 탭(2)의 대향하는 단부(8)들의 에지(9)들과의 그 접촉부의 돌출된 만곡면의 포인트 접촉에 의해 탭(2)과의 접속을 확립한다. 그 후, 접촉부(6)는 예를 들어, 탭(2)이 진동으로 인해 메인부(3) 내에서 느슨하게(loosely) 이동할 때, 에지(9)들에 의해 스트리킹될 수 있어 접촉 안정성을 손상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 상황을 고려하여 개발되었고, 본 발명의 목적은 탭에 대한 접촉 안정성을 보증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독립 청구항들의 특징들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은 종속항들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자 피팅이 제공되며, 그 단자 피팅은,
상대(mating) 탭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메인부와,
상기 메인부 내에 또는 상기 메인부에 제공되며, 상기 탭과 접촉되지 않는 접촉부로서의 돌출부를 가지는 터칭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부는, 적어도 상기 탭이 메인부에 실질적으로 적절히 삽입되는 경우, 탭과 평평한 접촉 상태(즉, 라인 접촉 또는 면 접촉과 같은 포인트 접촉 이외의 접촉 상태)로 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탭의 절곡된(folded) 부분들의 대향 단부들과 교차하는 하나 이상의 평탄면(35)을 포함한다.
터칭 부재의 접촉부가 탭과 평평한 접촉상태로 되는 동시에 실질적으로 탭의 대향 단부들과 교차하므로, 탭이 진동으로 인해 메인부에서 느슨하게 이동하더라도, 접촉부가 대향 단부들의 에지들에 의해 스트리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접촉 안정성이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단자 피팅 및 그 접속 방법에 의해 접촉부가 대향 단부들의 에지들에 의해 스트리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접촉 안정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단자 피팅이 제공되며, 이 단자 피팅은,
상대 탭이 삽입될 수 있는 박스 형상의 메인부와,
상기 메인부에 제공되며, 상기 탭과 접촉될 수 있는 접촉부로서의 돌출부를 가지는 터칭 부재와,
두께 방향으로 금속 플레이트의 폭방향의 대향 단부 부분들을 절곡하고, 그 절곡된 파트들의 단부 에지들을 서로 대향시키고, 대향 단부들을 접촉부를 향하여 대향시키는 상태로 메인부에 삽입됨으로써 형성되는 탭을 구비하며,
상기 접촉부는, 상기 탭이 메인부로 적절히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탭과 평평한 접촉 상태로 되는 동시에 대향 단부들과 교차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접촉부는 탭의 실질적으로 폭방향의 중심 파트와 접촉 상태 로 유지된다.
또한, 바람직하기로는, 탭을 지지하는, 바람직하기로는 그 수용부들의 폭방향의 양측들에서, 탭과 접촉하는 상태로 유지되는 적어도 한 쌍의 수용부들은, 탭이 그 수용부들과 접촉부 사이에 유지되는 상태로 접촉부와 대향하는 메인부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돌출한다.
또한, 바람직하기로는, 접촉부는 탭의 폭방향의 중심 파트와 접촉 상태로 유지되며, 폭방향의 양측들에서 탭을 지지하며 탭과 접촉상태로 유지되는 한 쌍의 수용부들은, 탭이 그 수용부들과 접촉부 사이에 유지되는 상태로 접촉부와 대향하는 메인부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돌출한다.
탭이 그 탭의 폭방향 중심 파트에서 접촉부와 접촉되므로, 탭은 진동으로 인해 접촉부에서 세로축에 대하여 진동할 수 있다. 그러나, 탭은 수용부들의 쌍에 의해 접촉부에 대향하는 표면 상의, 탭의 폭방향의 양측들에서 지지되는 동시에 탭과 접촉 상태로 유지되므로, 세로축에 대한 진동이 방지될 수 있으며, 접촉부와 탭은 평평한 접촉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탭에 대한 접촉부의 접속 영역 및 상기 탭에 대한 수용부들의 접속 영역들은, 적어도 상기 단자 피팅이 실질적으로 상기 탭과 적절히 접속되는 경우에, 상기 탭의 폭방향의 중심축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대칭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접촉부의 평탄면은, 탭의 삽입(또는 삽입 방향)에 대한 개시 단부로부터 탭의 삽입(또는 삽입 방향)에 대한 후방 단부까지 점점 넓어지도록 형성된다.
접촉부의 평탄면은 탭의 삽입에 대하여 개시 단부로부터 후방 단부까지 점점 넓어지도록 형성되므로, 탭의 초기 삽입 단계에서의 삽입 저항력이 감소되어 동작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반면에, 탭의 삽입 완료 이후에 평탄면은 탭과 접촉상태로 안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메인부는 실질적으로 안쪽으로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돌출 부재에 의해 형성되며, 탄성 터칭 부재의 과도한 탄성 변형은 이 돌출 부재와 접촉됨으로써 방지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접촉부는 뒷쪽으로 점점 넓어지는 팬형 부분(fan-shaped portion) 및 접촉부의 만곡된 후방 에지를 규정하는 만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팬형 부분 및 만곡부는 차례로 일체적으로 또는 단일적으로 접속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본 발명 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대(mating) 탭을 가진 단자 피팅의 접속 방법이 추가적으로 제공되며, 그 방법은,
메인부 내에 또는 상기 메인부에 터칭 부재가 제공되는 메인부를 가지는 단자 피팅을 제공하는 단계;
두께 방향으로 도전성 플레이트의 폭방향의 양측 단부 부분(63)들을 절곡(fold)시키고, 상기 절곡된 파트들의 단부 에지들을 실질적으로 서로 대향시킴으로써 형성되는 탭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접촉부를 상기 탭과 접촉시키기 위하여, 대향 단부들이 접촉부로서의 상기 터칭 부재의 돌출부를 향하여 대향하는 상태로 상대 탭을 상기 메인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 단계에서, 상기 접촉부는, 적어도 상기 탭이 실질적으로 상기 메인부에 적절히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탭과 평평하게 접촉되는 동시에 상기 대향 단부들과 교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탭은 상기 접촉부의 평탄면과 접촉되는 동시에 상기 메인부의 하나 이상의 수용부와 실질적으로 미끄럼 접촉되는 상태로 유지된다.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삽입 단계에서, 상기 탭에 대한 상기 접촉부의 접속 영역과 상기 탭에 대한 상기 수용부들의 접속 영역들은, 적어도 상기 단자 피팅이 실질적으로 상기 탭과 적절히 접속되는 경우에, 상기 탭의 폭방향의 중심축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대칭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그리고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의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을 읽어 나갈때 더욱 명백하게 된다. 실시형태들이 개별적으로 기술되어 있더라도, 실시형태들의 단일 특징들은 부가적인 실시형태들로 결합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이 실시형태의 단자 피팅은, 상대(mating) 수형 단자 피팅(60)의 탭(61)이 삽입 방향(ID)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바람직하기로는 실질적으로 튜브 형상 또는 박스 형상] 메인부(11)가 제공되는 암형 단자 피팅(10)이며, (바람직한 터칭 부재로서) 탄성 터칭 부재(12)는 메인부(11) 내에 또는 메인부(11)에 또는 메인부(11)상에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탭(61)의 삽입이 개시되는 측은, 전후 방향(FBD)에 관하여 전방(front)측으로 지칭됨을 주목해야 한다.
상대 수형 단자 피팅(60)은, 예를 들어 전기적으로 도전성(바람직하기로는 금속) 플레이트를 구부림으로써 형성되고, 전부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이 수형 단자 피팅의 선단부에 탭(61)을 포함하며, 여기서 탭(61)은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FBD)으로 연장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탭(61)은 두께 방향으로 도전성(금속) 플레이트 부재의 (바람직하기로는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측면(좌측 및/또는 우측) 단부 부분(들)을 절곡(fold)시키고, 바람직하기로는 절곡된 부분들의 단부 에지들을 서로 대향시킴(서로 접촉시킴)으로써 형성되므로, 하부(base) 벽(62) 및 바람직하기로는 그 하부 벽(62) 위에 또는 실질적으로는 하부 벽(62) 에서 절곡된 한 쌍의 측면(좌측 및/또는 우측) 덮개(covering) 벽(63)들이 접속된다. 탭(61)에 있어서, 양쪽 덮개 벽(63)들의 대향 단부(64)들은, 탭(61)의 폭 방향의 중간 위치에, 바람직하기로는 실질적으로 폭 방향의 중앙에 배치되며, 지지 마운트(65)는 대향 단부(64)들을 향하여 하부 벽(62)으로 돌출하도록 엠보싱, 절곡 및/또는 구부림에 의해 형성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지지 마운트(65)의 돌출량에 대응하는 여유 공간(clearance)은, 하부 벽(62)과 덮개 벽(63)들 사이에 규정된다. 대향 단부(64)들의 상부 부분들은 경사진 또는 만곡된 표면(66)들로 형성되며, 그 상부 부분들의 간격은 위(탭(61)이 메인부(11)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경우에 탄성 터칭 부재(12)가 위치되는 측)를 향하여 넓어지고, 둔각 에지(67)들은 코너들에 또는 그 코너들 부근에 형성되며, 여기서 경사진 표면(66)들과 덮개 벽(63)들의 상부 표면들이 만난다.
또한, 암형 단자 피팅(10)은 예를 들어, 전기적으로 도전성(바람직하기로는 금속) 플레이트를 굽힘, 절곡 및/또는 엠보싱에 의해 형성되고, 메인부(11)와 와이어 접속부[바람직하기로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 배럴(wire barrel)(13) 및/또는 하나 이상의 절연 배럴(barrel)(14)]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으로부터 이 순서로 차례로 일체적으로 또는 단일적으로 형성된다. 와이어 접속부는 도시되지 않은 와이어의 코어의 단부와 관련하여 바람직하기로는 와이어 배럴(13)을 주름지게 하거나 또는 굽히거나 또는 절곡함으로써, 및/또는 배선의 절연 코팅의 단부 및/또는 배선 상에 탑재되는 탄성(바람직하기로는 고무) 플러그와 접속되도록 절연 배럴(14)을 주름지게 하거나 또는 굽히거나 또는 절곡함으로써 배선에 접촉되게 된다.
메인부(11)는 바람직하기로는 전후 방향(FBD)으로 좁고 긴 직사각형 또는 다각형의 관 모양(tubular) 형상을 가지며, 탭 삽입 개구(41)로서 기능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열려있는 전방 표면을 가지며, 바람직하기로는 하나 이상(바람직하기로는 2 쌍의)(바람직하기로는 실질적으로 서로 대향하는) 측벽들(15, 16, 17, 18)에 의해 복수의 (예를 들어, 4) 측에서 폐쇄된다. 특히, 메인부(11)는, 제 1 측벽(15)(도 1 의 바닥 벽), 0°또는 180 °와 다른 각도로 서 있거나(standing up) 또는 돌출하는, 바람직하기로는 제 1 측벽(15)에 대향하는 측면 단부들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 2 측벽(16)(정면에서 보았을 때 도 1 의 좌측벽), 제 3 측벽(17)(정면에서 보았을 때 도 1의 우측벽) 및 측벽들(16, 17)을 브리징(bridging) 또는 스패닝(spanning)하는 제 4 측벽(18)으로 이루져 있고, 측벽들 중 하나(예를 들어, 제 2 측벽(16))의 연장 단부에서 구부려져 또 다른 측벽(예를 들어, 제 3 측벽(17))의 연장 단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그 측벽들 중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기로는 제 3 측벽(17)에는 인접한 측벽(예를 들어, 제 4 측벽(18))으로부터 돌출하는 안정기(stabilizer)(19)가 형성된다. 안정기(19)는 이러한 암형 단자 피팅(10)을 미도시된 커넥터 하우징의 캐비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하는 경우에 암형 단자 피팅(10)의 삽입 동작을 안내하고, 그 암형 단자 피팅(10)이 그 캐비티로 잘못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기능한다. 이 안정기(19)는 바람직하기로는 제 4 측벽(18)을 향하여 제 4 측벽의 상부에서 절곡됨으로서 굽은 단면 또는 실질적으로 C 자 또는 V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전기 접촉 테스트에 사용되는 미도시된 지그는 바람직하기로는 정면으로부터 전방 에지와 접촉될 수 있다.
제 1 측벽(15)은, 하나 이상, 바람직하기로는 한 쌍의 측벽(좌측 및/또는 우측) 수용부(21)들이 메인부(11)의 내부를 향하여 제 1 측벽(15)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안쪽에서(예를 들어, 아래쪽에서) 엠보싱 가공된다. 특히, 2 개의 수용부(21)들은 실질적으로 나란히 배치되며, 폭 방향(WD)에 따라 바람직하기로는 제 1 측벽(15)의 폭방향의 양측들에서 또는 그 부근에 이격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아치 모양 또는 구부러진 단면을 가지거나 및/또는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FBD)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 수용부(21)는 그 전방 파트에서(바람직하기로는 실질적으로 그 전방 절반에서), 뒷측을 향하여 알맞게 경사진 제 1 경사부(22)를 가지거나 및/또는 그 후방 파트에서(바람직하기로는 실질적으로 그 후방 절반에서), 바람직하기로는 뒷측을 향하여 제 1 경사부(22)보다 더 가파르게 경사진 제 2 경사부(23)를 가지며, 수평부(24)는 즉, 바람직하기로는 양쪽 경사부(22, 23)들 사이의 중간 파트에서(바람직하기로는 실질적으로 중간 파트에서) 실질적으로 수평하게(또는 전후 방향(FBD)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실질적으로 스트립형 또는 연장형) 탄성 터칭 부재(12)는 제 4 측벽(18)(또는 하나 이상의 수용부(21)들을 운반하는 벽(15)과 실질적으로 일체적으로 또는 단일적으로 대향하는 벽(18))의 전단부와 접속된다. 특히, 탄성 터칭 부재(12)는 메인부(11)에서 실질적으로 뒤쪽으로 연장되도록 제 4 측벽(18)의 전방 단부에서 절곡 또는 굽힘 가공됨으로써 형성된다. 이 탄성 터칭 부재(12)는 측면도에서 실질적으로 U 자 또는 V자 형상의 단면, 또는 뾰족한 또는 삼각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며(도 3 참조), 탭(61)이 삽입되어 후퇴될 때 실질적으로 변형 방향(DD)(예를 들어, 아래쪽 및 위쪽)을 따라 팁 부(25)를 이동시키는 동시에 실질적으로 수형(male) 단자 피팅(60)의 메인부(11)로의 삽입 방향(ID)과 교차하는 변형 방향(DD)을 따라, 예를 들어, 수직 방향(높이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거나 또는 굴곡(deflectable)될 수 있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터칭 부재(12)는, 후방부(26)를 향한 팁 부(25) 뒤쪽의 파트가 바람직하기로는 전방부(27)를 향한 팁 부(25) 앞쪽의 파트보다 좁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중간 부(28)는 하나 이상의 경사진 측면 에지부(29)들에 의해 형성되며, 그 간격은 바람직하기로는 전방부(27)로부터 후방부(26)를 향하여 점점 좁아진다(예를 들어 도 4 참조).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측벽(18)은 커팅 및 굽힘 가공에 의해 실질적으로 안쪽으로(바람직하기로는 실질적으로 탄성 터칭 부재(12)의 팁 부(25)를 향하여)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돌출 부재(31)를 구비한다. 따라서,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터칭 부재(12)가 돌출 부재(31)와의 간격을 초과하여 과도하게 변형되는 것이 방지된다.
전후 방향(FBD)으로의 탄성 터칭 부재(12)의 중간 파트(바람직하기로는 실질적으로 중앙 파트) 즉, 탄성 터칭 부재(12)의 팁 부(25)에서 또는 그 부근에서, 탭(61)과의 접촉부(32)는 수용부(21)들을 향하여 돌출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접촉부(32)는 전방 단부측으로부터(탭(61)의 삽입 방향(ID)에 대하여 개시 단부측) 뒤쪽으로(탭(61)의 삽입 방향(ID)에 대하여 후방 단부측을 향하여) 점점 넓어지는 팬형 부분(33) 및/또는 접촉부(32)의 아치모양 또는 굽은 또는 만곡된 후방 에지를 규정하는 아치 모양 또는 굽은 또는 만곡 부(34)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팬형 부분(33) 및 아치 모양 또는 굽은 또는 만곡 부(34)는 차례로 일체적으로 또는 단일적으로 서로 연결된다(특히 도 4 참조). 접촉부(32)의 내부 또는 하부 표면(수용부(21)들과 대향하는 표면)은 뒷측을 향하여 전방 단부로부터 경사지게 커팅된 실질적으로 평탄면(35)이며, 접촉부(32)는 이 평탄면(35)에서 탭(61)과 접촉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접촉부(32)의 평탄면(35)은, 팬형 부분(33)의 뒷 측을 향하여 전방 단부로부터 점점 넓어지는 동시에 바람직하기로는 아치모양 부(34)의 아치모양 또는 굽은 또는 만곡된 후방 에지와 실질적으로 평행한 아치 모양 또는 굽은 또는 만곡된 외부 에지로 테두리를 두른다.
탄성 터칭 부재(12)가 실질적으로 원래 상태에 있는 경우에, 접촉부(32)의 평평한 부분(35)과 수용부(21)들의 수평면 접촉 피크(peak)(68)들 사이의 거리는, 탭(61)의 두께보다 작게 되도록 설정되며[접촉부에서 탭의 두께가 변동하는 경우(특히 전방 단부 부분을 제외)], 평탄면(35)과 수평면 접촉 피크(68)들 사이의 거리는 바람직하기로는 가장 작은 두께보다 작게 되도록 설정된다. 또한, 암형 및 수형 단자 피팅(10, 60)이 적절히 접속되는 경우, 탭(61)과 접촉부(32)의 접촉 영역 및 탭(61)과 수용부(21)들의 접촉 영역들은 바람직하기로는 탭(61)의 폭방향의 중심축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대칭하게 배치된다.
다음으로, 이 실시형태의 기능을 설명한다.
여기서, 미도시된 암형 또는 수형 커넥터 하우징들이 접속될 때, 2 개의 커넥터 하우징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암형 및 수형 단자 피팅(10, 60)의 접속이 개시된다. 2 개의 커넥터 하우징들의 초기 접속 단계에서, 탭(61)은 실질적으로 삽입 방향(ID) 또는 실질적으로 길이 방향에 따라 탭 삽입 개구(41)를 통하여 메인부(11)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이 때, 탭(61)은 여러가지 이유 때문에, 대향 단부(64)들이 실질적으로 탄성 터칭 부재(12)를 향하여(접촉부(32)를 향하여 대향하는 상태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삽입 동안에, 탭(61)은 접촉부(32)의 평탄면(35)과 접촉되는 동시에 실질적으로 수용부(21)들의 피크(68)들과 미끄럼 접촉된 상태로 유지되며, 탄성 터칭 부재(12)는 변형 방향(DD) 또는 실질적으로 제 4 측벽(18)을 향하여 탄성 변형된다. 2 개의 커넥터 하우징의 접속 동작이 추가적으로 진행될 때, 탄성 터칭 부재(12)는 더욱 탄성 변형되는 동시에 탭(61)은 실질적으로 접촉부(32)의 평탄면(35)과 미끄럼 접촉된 상태로 유지된다. 여기서, 탭(61)의 삽입 깊이가 삽입 방향(ID)에 대하여 증가할 때 접촉부(32)의 평탄면(35)이 점점 넓어지게 되기 때문에, 초기 접속 단계에서의 탭(61)의 삽입 저항력은 실질적으로 낮다.
2 개의 커넥터 하우징을 접속하는 공정 및 2 개의 커넥터 하우징들을 접속 완료한 이후에(적절히 접속된 상태에서), 탭(61)은 폭방향의 중간 파트(바람직하기로는 실질적으로 폭방향의 중심)에서 접촉부(32)와 탄성 접촉된 상태로 유지되는 동시에 바람직하기로는 다른 표면 측의 지지 마운트(65)의 실질적으로 폭방향 양측들에서 하나 이상의 수용부(21)들과 접촉된 상태로 지지된다. 2 개의 커넥터 하우징은 적절히 접속되고, 암형 및 수형 단자 피팅(10, 60)은 실질적으로 적절한 깊이로 접속되며, 접촉부(32)의 평탄면(35)는 실질적으로 탭(61)과의 평평한 접촉상태로(또는 포인트 접촉와 다른 접촉상태로) 유지되는 동시에 탭(61)의 대향 단부(64)들과 교차하며, 이 접촉 상태가 유지된다. 특히, 접촉부(32)의 평탄면(35)은 실질적으로 폭 방향(WD)으로의 동일한 높이 위치에서 연속하여 연장하며, 실질적으로 (덮개 벽(63)들의) 탭(61)의 각 측면(상부) 표면들과 라인 접촉 상태(즉, 실질적으로 선형 연장 부분을 가지는 접촉 상태 또는 포인트 접촉과 다른 접촉 상태)로 유지되며, 그 탭(61)의 각 측면(상부) 표면은 대향 단부(64)들의 에지(67)들의 운동없이, 실질적으로 폭 방향(WD)으로의 동일한 높이 위치에서 바람직하기로는 폭 방향(WD)으로의 대향 단부(64)들의 대향 측들에 놓인다. 또한, 탭(61)의 최종 삽입 단계에서, 접촉부(32)는 큰 폭을 가지는 팬형 부분(33)의 파트에서 탭(61)과 안정되게 접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따르면, 탄성 터칭 부재(12)의 접촉부(32)는 탭(61)과의 평평한 접촉 상태(또는 포인트 접촉과 다른 접촉 상태)를 유지하면서 탭(61)의 대향 단부(64)들과 교차한다. 따라서, 탭(61)이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인해 메인부(11)에서 느슨하게(loosely) 이동하는 경우에도, 접촉부(32)는 대향 단부(64)들의 에지(67)들에 의해 스트리킹되거나 또는 스크레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 결과, 접촉 안정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탭(61)이 접촉부(32)와 접촉된 상태로, 바람직하기로는 실질적으로 탭의 폭방향의 중심 파트에서 또는 그 부근에서 유지되므로, 탭은 진동으로 인해 접촉부(32)에서 길이방향 축에 대하여 진동하거나 또는 회전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실시형태의 탭(61)은 바람직하기로는 접촉부(32)에 대향하는 표면에서 폭방향으로 대향하는 측에 있는 한 쌍의 수용부(21)와 접촉 상태로 지지되므로, 길이방향 축 등에 대한 진동이 방지될 수 있고, 접촉부(32)와 탭(61)은 신뢰성 있게 평평한 접촉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접촉부(32)의 평탄면(35)은 바람직하기로는 탭(61)의 삽입에 대하여 개시 단부로부터 후방 단부로 점점 넓어지게 되도록 형성되며, 탭(61)의 초기 삽입 단계에서의 삽입 저항력이 감소되어 동작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반면에 평탄면(35)은 탭(61)의 삽입 완료 이후에 탭(61)과 접촉된 상태로 안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탭과의 접촉 안정성을 보증하기 위하여, 암형 단자 피팅(10)에는 상대 탭(61)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바람직하기로는 실질적으로 박스 형상의) 메인부(11)가 제공되며, 탭(61)과 접촉될 수 있는 접촉부(32)로서의 돌출부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탄성 터칭 부재(12)는 메인부(11) 내에 또는 이 메인부(11)에 또는 이 메인부(11) 상에 제공된다. 탭은 바람직하기로는 두께 방향으로 금속 플레이트의 폭방향의 양측 단부 부분들을 절곡시키고, 그 절곡된 파트들의 단부 에지들을 실질적으로 서로 대향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접촉부(32)의 실질적으로 평탄면(35)은, 탭(61)이 실질적으로 메인부(11)로 적절하게 삽입되는 경우에, 탭(61)과 평평한 접촉 상태(또는 라인 접촉 또는 면 접촉과 같은 포인트 접촉 이외의 접촉 상태)로 되는 동시에 바람직하기로는 대향 단부(64)들과 교차한다. 따라서, 대향 단부(64)들의 에지(67)들은 샤프하게(sharply) 접촉부(32)에 작용하지 않으므로, 이 에지들이 접촉부(32)를 스트리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들>
본 발명은 상술되고 예시된 실시형태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하의 실시형태들도 또한 청구항들에 의해 규정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본 발명에 따르면, 단지 하나의 수용부 또는 3개 이상의 수용부가 접촉부와 대향하는 메인부의 내부 표면상에 제공될 수 있다.
(2) 본 발명에 따르면, 접촉부의 평탄면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가지는 동시에 바람직하기로는 전후 방향(FBD)으로 적어도 일부 길이 또는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장될 수 있다.
(3) 본 발명에 따르면, 탭의 대향 단부들은 탭의 폭방향의 중심으로부터 이탈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4)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 터칭 부재는 메인부 상에 지지되는 양쪽 단부들 을 가지는 빔 형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 은 일 실시형태에 다른 암형 단자 피팅의 정면도.
도 2 는 탭과 적절하게 접촉된 암형 단자 피팅의 정면도.
도 3 은 탭과 적절하게 접촉된 암형 단자 피팅의 단면의 측면도.
도 4 는 탄성 터칭 부재의 확대된 부분 평면도.
도 5 는 종래의 암형 단자 피팅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암형 단자 피팅 11 : 메인부
12 : 탄성 터칭 부재(터칭 부재) 21 : 수용부
32 : 접촉부 61 : 탭
64 : 대향 단부 67 : 에지

Claims (10)

  1. 단자 피팅으로서,
    상대(mating) 탭(61)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메인부(11); 및
    상기 메인부(11) 내에 또는 상기 메인부(11)에 제공되며, 상기 탭(61)과 접촉될 수 있는 접촉부(32)로서의 돌출부를 가지는 터칭 부재(12)를 구비하며,
    상기 접촉부(32)는, 적어도 상기 탭(61)이 메인부(11)로 삽입되는 때에, 상기 탭(61)의 절곡된(folded) 부분(63)들의 대향 단부(64)와 교차하는 상태로 상기 탭(61)과 평평한 접촉 상태로 되는 하나 이상의 평탄면(35)을 포함하고,
    상기 탭(61)을 지지하며 상기 탭과 접촉하여 유지되는 적어도 한 쌍의 수용부(21)들이, 상기 탭(61)이 사이에 유지된 상태로, 상기 접촉부(32)와 대향하는 상기 메인부(11)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접촉부(32)의 상기 평탄면(35)은, 상기 탭(61)의 삽입 방향(ID)에 대하여 시작 단부(starting end)로부터 상기 탭(61)의 삽입 방향(ID)에 대하여 후방 단부(rear end)까지 점점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인 단자 피팅.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32)는 상기 탭(61)의 폭방향의 중심 부분과 접촉 상태로 유지되는 것인 단자 피팅.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탭(61)과 상기 접촉부(32)의 접속 영역 및 상기 탭(61)과 상기 수용부(21)들의 접속 영역들은, 적어도 상기 단자 피팅(10)이 상기 탭(61)과 접속되는 때에, 상기 탭(61)의 폭방향의 중심축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인 단자 피팅.
  5. 삭제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부(11)에는 탄성을 지닌 상기 터칭 부재(12)와 간격을 두고 메인부(11)의 안쪽으로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돌출 부재(31)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 부재(31)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간격을 초과하는 상기 터칭 부재(12)의 과도한 탄성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인 단자 피팅.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32)는 뒤쪽으로 점점 넓어지는 팬형 부분(33) 및 상기 접촉부(32)의 만곡된 후방 에지를 형성하는 만곡부(34)를 구비하며, 상기 팬형 부분(33) 및 상기 만곡부(34)는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접속되는 것인 단자 피팅.
  8. 단자 피팅(10)을 상대 탭(61)에 접속하는 방법으로서,
    메인부(11) 내에 또는 메인부(11)에 터칭 부재(12)가 제공되는 메인부(11)를 가지는 단자 피팅(10)을 제공하는 단계;
    두께 방향으로 도전성 플레이트의 폭방향 대향 단부 부분(63)들을 절곡시키고, 상기 절곡된 부분(63)들의 단부 에지들을 서로 대향시킴으로써 형성되는 탭(61)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대향 단부들이 접촉부(32)로서의 상기 터칭 부재(12)의 돌출부를 향하여 대향하는 상태로 상대 탭(61)을 상기 메인부(11)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함으로써 상기 접촉부(32)가 상기 탭(61)과 접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부(32)는 평탄면(35)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 단계에서, 상기 접촉부(32)는, 적어도 상기 탭(61)이 상기 메인부(11)로 삽입되는 때에, 상기 대향 단부(64)들과 교차하는 상태로 상기 평탄면(35)을 통해 상기 탭(61)과 평평하게 접촉되고,
    상기 탭(61)을 지지하며 상기 탭과 접촉하여 유지되는 적어도 한 쌍의 수용부(21)들이, 상기 탭(61)이 사이에 유지된 상태로, 상기 접촉부(32)와 대향하는 상기 메인부(11)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접촉부(32)의 상기 평탄면(35)은, 상기 탭(61)의 삽입 방향(ID)에 대하여 시작 단부(starting end)로부터 상기 탭(61)의 삽입 방향(ID)에 대하여 후방 단부(rear end)까지 점점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인 단자 피팅의 접속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단계에서, 상기 탭(61)은 상기 메인부(11)의 하나 이상의 수용부(21)와 미끄럼 접촉되어 유지되는 상태로 상기 접촉부(32)의 평탄면(35)과 접촉하는 것인 단자 피팅의 접속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단계에서, 상기 탭(61)과 접촉부(32)의 접속 영역과 상기 탭(61)과 상기 수용부(21)들의 접속 영역들은, 적어도 상기 단자 피팅(10)이 상기 탭(61)과 접속되는 때에, 상기 탭(61)의 폭방향의 중심축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인 단자 피팅의 접속 방법.
KR1020070111203A 2006-11-01 2007-11-01 단자 피팅 및 접속 방법 KR1009480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97444 2006-11-01
JP2006297444A JP4710797B2 (ja) 2006-11-01 2006-11-01 端子金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9823A KR20080039823A (ko) 2008-05-07
KR100948021B1 true KR100948021B1 (ko) 2010-03-19

Family

ID=38996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1203A KR100948021B1 (ko) 2006-11-01 2007-11-01 단자 피팅 및 접속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544106B2 (ko)
EP (1) EP1919036B1 (ko)
JP (1) JP4710797B2 (ko)
KR (1) KR100948021B1 (ko)
CN (1) CN10122209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75564B2 (ja) * 2009-12-02 2013-12-25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JP2011249169A (ja) * 2010-05-27 2011-12-08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
CN104064895A (zh) * 2013-03-22 2014-09-2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端子模组及其制造方法
JP5656098B1 (ja) * 2014-02-04 2015-01-21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雌端子
JP6359861B2 (ja) * 2014-04-16 2018-07-18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
JP2015220061A (ja) * 2014-05-16 2015-12-07 矢崎総業株式会社 接点接続構造
US10218307B2 (en) 2014-12-02 2019-02-26 Tigo Energy, Inc. Solar panel junction boxes having integrated function modules
JP6154430B2 (ja) 2015-06-02 2017-06-28 矢崎総業株式会社 雌端子金具及びそれを備えたコネクタ
CN107851919B (zh) * 2015-07-23 2020-04-10 莫列斯有限公司 端子接头件
US9991843B2 (en) * 2016-06-03 2018-06-05 Tigo Energy, Inc. Contacts for Junction Boxes on Solar Panel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7052A (ja) * 1994-07-21 1996-02-06 Sumitomo Wiring Syst Ltd 雌形端子金具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2076A (en) * 1975-06-10 1976-11-16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ircuit board socket
US5630738A (en) * 1994-07-21 1997-05-20 Sumitomo Wiring Systems, Ltd. Female terminal, metal fixture
JP3494347B2 (ja) * 1998-03-06 2004-02-09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のへたり防止構造
JP3433670B2 (ja) * 1998-05-22 2003-08-04 住友電装株式会社 雌端子金具
JP2002063961A (ja) * 2000-06-07 2002-02-28 Yazaki Corp 雌端子、及び、雌端子と雄端子との接続構造
JP4401580B2 (ja) * 2001-02-15 2010-01-20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の端子構造
JP4003577B2 (ja) * 2002-08-07 2007-11-07 住友電装株式会社 雄端子金具
JP2005044598A (ja) * 2003-07-28 2005-02-17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
JP3976008B2 (ja) * 2004-01-07 2007-09-12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JP2005317385A (ja) 2004-04-28 2005-11-10 Tyco Electronics Amp Kk 防水型コネクタ用シール部材及び防水型コネクタ
JP4379231B2 (ja) * 2004-07-07 2009-12-09 住友電装株式会社 雌端子金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7052A (ja) * 1994-07-21 1996-02-06 Sumitomo Wiring Syst Ltd 雌形端子金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22095B (zh) 2011-08-10
JP2008117554A (ja) 2008-05-22
EP1919036B1 (en) 2013-07-31
KR20080039823A (ko) 2008-05-07
CN101222095A (zh) 2008-07-16
EP1919036A3 (en) 2008-08-06
US20080102717A1 (en) 2008-05-01
JP4710797B2 (ja) 2011-06-29
US7544106B2 (en) 2009-06-09
EP1919036A2 (en) 2008-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8021B1 (ko) 단자 피팅 및 접속 방법
KR101122407B1 (ko) 암형 단자 연결구, 복수 개의 단자 연결구용 블랭크 및 암형 단자 연결구를 형성하는 방법
KR101568886B1 (ko) 단자 피팅 및 그 제조 방법
US6375502B2 (en) Connector
US7938695B2 (en) Terminal fitting
EP2485334B1 (en) Multi-contact terminal fitting
JP4652329B2 (ja) 犠牲アーク放電接点を備えた雌型端子
US7014515B2 (en) Female terminal for a flat male terminal
KR20160129772A (ko) 도전 암 단자, 커넥터 및 도전 암 단자의 제조 방법
KR20120040660A (ko) 단자 피팅
US6790105B2 (en) Male terminal fitting
KR102425767B1 (ko) 소켓 형태의 커넥터 부분을 위한 접촉 블레이드, 및 소켓 형태의 커넥터 부분
CN112909608B (zh) 端子零件
US6551151B2 (en) Male terminal with curved interconnecting portion
US6585544B2 (en) Terminal fitting
EP0735617A1 (en) Electrical connector
KR20070067035A (ko) 수형 단자 피팅
JP5516678B2 (ja) コネクタ端子
EP2015400A2 (en) Contact, and electric connector using the same
EP3109950B1 (en) Connector
US10096919B2 (en) Card edge connector with terminal fitting configured to pivot in a housing in response to differential thermal expansion for avoiding abrasion of contact portion of terminal fitting
EP1929586B1 (en) Contact with latch release
JPH11233181A (ja) 雌側端子金具
US20230069874A1 (en) Male terminal fitting and terminal structure
WO2014007042A1 (ja) ジョイント端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