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0660A - 단자 피팅 - Google Patents

단자 피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0660A
KR20120040660A KR1020110104201A KR20110104201A KR20120040660A KR 20120040660 A KR20120040660 A KR 20120040660A KR 1020110104201 A KR1020110104201 A KR 1020110104201A KR 20110104201 A KR20110104201 A KR 20110104201A KR 20120040660 A KR20120040660 A KR 201200406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plate
terminal fitting
recess
contact piec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4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모나리 이토오
도모키 오카노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40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06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3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rectang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탄성 접촉편에 대한 변형 공간을 보장하면서 단자 피팅의 소형화를 구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단자 피팅(10)에는, 상대 단자 피팅(60)의 탭(61)을 수용할 수 있는 박스형 메인부(11)와, 이 메인부(11)에 삽입된 탭(61)에 접속되도록 메인부(11)에 배치되며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 접촉편(12)이 마련된다. 상기 탄성 접촉편(12)은 메인부(11)에 탄성 변형을 위한 지지부(40)를 구비한다. 상기 메인부(11)는, 탄성 접촉편(12)의 탄성 변형 방향으로 탄성 접촉편(12)에 대향하는 베이스부(18)를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부(18)에는, 베이스부(18)의 두께 범위 내에 형성된 리세스(46)가 마련되며, 상기 지지부(40)는 상기 리세스(46)의 바닥면과 접촉한다.

Description

단자 피팅{TERMINAL FITTING}
본 발명은 단자 피팅에 관한 것이다.
일본 미심사 특허 공개 제2006-100233호에는 종래의 단자 피팅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단자 피팅은, 상대 단자 피팅의 탭을 수용할 수 있는 박스형 메인부와, 이 메인부에 삽입된 탭에 접속되도록 메인부에 배치되며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 접촉편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부는, 상기 탄성 접촉편의 탄성 변형 방향으로 탄성 접촉편에 대향하는 베이스부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부는, 그 전단부에 형성된 관통 구멍을 제외하고는 길이 방향으로 두께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또한, 상기 탄성 접촉편은, 상기 베이스부의 후단부로부터 캔틸레버식으로 전방을 향해 상향 경사져 연장된다. 상기 탄성 접촉편은 실질적으로 U자 형상의 지지부를 형성하도록 구부러져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과 접촉해 있다. 상기 탄성 접촉편은 상기 지지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탄성 변형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탭이 상기 메인부에 삽입되면, 상기 탄성 접촉편은 탭과 접촉하게 되고, 상기 지지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상기 베이스부를 향해 탄성 변형된다.
전술한 단자 피팅의 경우에,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탄성 접촉편의 탄성 변형 방향인 높이방향으로 병치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두께는 상기 메인부의 높이에 더해진다. 따라서, 상기 메인부의 높이를 감소시키기가 곤란하다. 한편, 상기 탄성 접촉편의 높이가 감소되면, 메인부의 높이도 감소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탄성 접촉편에 대해 충분한 변형 공간이 보장되지 않는 상황을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상황을 고려하여 개발되었으며, 본 발명의 과제는 탄성 접촉편에 대한 변형 공간을 보장하면서 단자 피팅의 소형화를 구현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는 본 발명에 따르면 독립 청구항의 특징부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특별한 실시형태는 종속 청구항의 대상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도전성 판재로 제조된 단자 피팅이 제공되는데, 이 단자 피팅은, 수형 단자 피팅의 탭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특히 실질적으로 박스형 또는 관형의) 메인부; 및 상기 메인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 탭에 접속되도록 상기 메인부에 혹은 상기 메인부 내에 배치된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 접촉편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접촉편은 상기 메인부에 혹은 상기 메인부 내에 탄성 변형을 위한 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메인부는, 상기 탄성 접촉편의 탄성 변형 방향으로 탄성 접촉편에 대향하는 베이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부에는, 베이스부의 두께 범위 내에 형성된 리세스가 마련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리세스의 바닥면과 접촉해 있는 것이다.
상기 베이스부는 그 두께 범위 내에 형성된 리세스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 접촉편의 지지부는 상기 리세스의 바닥면과 접촉하므로, 탄성 접촉편에 대한 변형 공간이 보장되면서 메인부의 치수가 리세스의 깊이만큼 줄어든다. 따라서, 상기 탄성 접촉편에 대한 변형 공간을 보장하면서, 단자 피팅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 따르면, 미리 부하가 가해진 상태로, 상기 지지부가 상기 리세스의 바닥면과 접촉한다.
미리 부하가 가해진 상태로, 상기 지지부가 상기 리세스의 바닥면과 접촉하므로, 지지부 및 베이스부의 접촉 상태가 확고하게 유지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 접촉편은 상기 메인부의 후단부측으로부터 상기 지지부까지 상기 베이스부를 따라 실질적으로 곧게 연장되는 직선부를 구비한다.
상기 탄성 접촉편은 상기 메인부의 후단부측으로부터 상기 지지부까지 상기 베이스부를 따라 실질적으로 곧게 연장되는 직선부를 구비하므로, 탄성 접촉편은 이 직선부를 구부릴 필요 없이 쉽게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 접촉편은 메인부의 일부분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직선부와, 이 직선부의 전단부에 연결되는 지지부, 그리고 이 지지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실질적으로 안쪽으로 경사져 연장되며 특히 그 전단부에서는 전방을 향해 약간 하향 경사져 있는 탄성 본체를 구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세스가, 전후방향으로는 상기 탄성 본체의 중간부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직선부의 후단부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위치까지의 범위로, 및/또는 폭방향으로는 상기 메인부의 베이스부의 실질적으로 전체 폭에 걸친 범위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부의 베이스부에는, 실질적으로 상기 탄성 본체의 자유단에 대향하는 위치에 관통 구멍 혹은 리세스가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부의 내면에는 상기 관통 구멍과 연통하도록 후퇴 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탄성 접촉편이 과도하게 탄성 변형된 경우, 특히 상기 탄성 본체의 전단부도 또한 후퇴 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들어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후퇴 홈은 상기 관통 구멍을 향해 갈수록 그 깊이가 점차 증대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 본체와 상기 직선부는 상기 리세스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세스의 깊이는 상기 지지부의 돌출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부는, 메인부의 한 측면부에 연결된 제1 천장 플레이트 및 메인부의 다른 한 측면부에 연결된 제2 천장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천장부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천장 플레이트는 전방측에 위치한 전방 제1 천장 플레이트 및/또는 후방측에 위치한 후방 제1 천장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및/또는 상기 제2 천장 플레이트는 전방측에 위치한 전방 제2 천장 플레이트 및/또는 후방측에 위치한 후방 제2 천장 플레이트를 구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방 제2 천장 플레이트는 안쪽으로 돌출하도록 구부러져, 수용부를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후방 제2 천장 플레이트는 상기 다른 한 측면부에 연결된 연결부 및/또는 천장 플레이트의 후방 가장자리에 연결된 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부는 특히 상기 후방 제1 천장 플레이트의 앞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후방 제1 천장 플레이트의 바로 앞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과 그 밖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읽으면 명백해질 것이다. 실시예들이 개별적으로 기술되어 있지만, 이들 실시예의 하나의 특징이 추가적인 실시예에 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단자 피팅은, 탄성 접촉편에 대한 변형 공간이 보장되면서 단자 피팅의 소형화가 구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단자 피팅이 상대 단자 피팅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2는 상대 단자 피팅에 접속되기 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단자 피팅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단자 피팅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단자 피팅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단자 피팅의 전개도이다.
<일 실시형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하나의 특정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단자 피팅(10)은, 도 7에 도시된 전개 형상으로 펀칭 혹은 절취된 전기도전성(특히 금속) 판재에 벤딩, 폴딩 및/또는 엠보싱 공정 등을 실시함으로써, 일체 혹은 단일체로 형성된다. 단자 피팅(10)은 상대 단자 피팅(60)에 접속될 수 있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피팅(10)은, 특히 실질적으로 박스 혹은 관 형태, 구체적으로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혹은 다각형의 관 형태인 메인부(11)와, 메인부(11)에 혹은 그 내부에 배치되며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 접촉편(12), 그리고 메인부(11)의 뒤에 연속하여 배치된 전선 접속부[특히 하나 이상의 배럴부(13)를 포함]를 구비한다. 배럴부(13)는 도시 생략된 전선(특히 그 단부)의 노출된 코어에 크림핑, 벤딩 혹은 폴딩되어 접속되는 전선 배럴(14)과, 전선(특히 그 단부)의 절연 코팅에 크림핑, 벤딩 혹은 폴딩되어 접속되는 절연 배럴(15)을 구비한다. 전선 배럴(14)은 특히 실질적으로 폭방향 양측으로부터 코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특히 하나 이상의,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전선 배럴 부재(16)를 구비한다. 특히, 두 전선 배럴 부재(16) 모두 전후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절연 배럴(15)은 특히 실질적으로 폭방향 양측으로부터 절연 코팅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하나 이상의,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절연 배럴 부재(17)를 구비한다. 특히, 두 절연 배럴 부재(17)는 전후방향으로 서로 어긋나 배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부(11)는 베이스부(18)와, 베이스부(18)(특히 실질적으로 그 폭방향 양단부)로부터 돌출 혹은 기립된 한 쌍의 측면부(19), 그리고 실질적으로 베이스부(18)에 대향하는 천장부(20)를 구비한다. 베이스부(18)는 단자 피팅(10)의 전체 길이에 걸쳐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연장되고, 그 일부가 특히 전선 접속부[특히 배럴부(13)]와 공유되어 있다.
특히 베이스부(18)의 전방 단부를 구부림으로써, 메인부(11)의 전면(前面)에 혹은 그 부근에 폐쇄부(21)가 형성된다. 메인부(11)의 전면에 있어서 폐쇄부(21)의 위에 탭 삽입 개구(22)가 형성되어 있다. 탭 삽입 개구(22)를 통해 탭(61)이 삽입방향(ID)으로 전방으로부터 메인부(11)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특히 양) 측면부(19)의 전방 가장자리에 및/또는 탭 삽입 개구(22)의 폭방향 측부(특히 실질적으로는 양측부)에, 하나 이상의, 특히 한 쌍의 절결부(23)가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부(20)는, 한 측면부(19A)에 연결된 제1 천장 플레이트(24) 및/또는 다른 한 측면부(19B)에 연결된 제2 천장 플레이트(25)를 구비한다. 제1 천장 플레이트(24)는, 전방측에 위치한 전방 제1 천장 플레이트(26) 및/또는 후방측에 위치한 후방 제1 천장 플레이트(27)를 구비한다. 또한, 제2 천장 플레이트(25)는, 전방측에 위치한 전방 제2 천장 플레이트(28) 및/또는 후방측에 위치한 후방 제2 천장 플레이트(29)를 구비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제1 천장 플레이트(26) 및 후방 제1 천장 플레이트(27)는 각각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방 제2 천장 플레이트(28) 및 후방 제2 천장 플레이트(29)의 상면 상에 놓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제2 천장 플레이트(28)의 후방 가장자리와 후방 제2 천장 플레이트(29)의 전방 가장자리의 사이에는, 소정(미리 정해놓은 혹은 미리 정해놓을 수 있는) 치수의 슬릿(30)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다.
특히, 전방 제1 천장 플레이트(26)는 전후방향에서 전방 제2 천장 플레이트(28)보다 짧다. 전방 제1 천장 플레이트(26)의 전방 가장자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방 제2 천장 플레이트(28)의 전방 가장자리의 뒤에 위치하거나, 및/또는 전방 제1 천장 플레이트(26)의 후방 가장자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방 제2 천장 플레이트(28)의 후방 가장자리의 앞에 위치한다.
특히, 전방 제1 천장 플레이트(26)는 상방 혹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해머링 혹은 엠보싱 혹은 벤딩되어, 하나 이상의 로킹 돌출부(31)를 형성한다. 로킹 돌출부(31)는 후방으로 갈수록 [특히 전방 제1 천장 플레이트(26)의 전방 가장자리로부터 후방 가장자리까지] 상향 혹은 외측으로 경사져 있다. 로킹 돌출부(31)의 후방 가장자리는 로킹 가장자리(32)의 역할을 한다. 단자 피팅(10)을 도시 생략된 커넥터 하우징의 캐비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한 경우, 캐비티에(특히 그 내벽에) 형성된 로킹 랜스(locking lance)가 로킹 돌출부(31)의 로킹 가장자리(32)와 탄성적으로 맞물릴 수 있고, 그 결과 단자 피팅(10)이 캐비티 내에 유지된다.
전방 제2 천장 플레이트(28)는 하방 혹은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해머링 혹은 엠보싱 혹은 벤딩되어, 수용부(49)를 형성한다. 수용부(49)는 전방 제2 천장 플레이트(28)에서(특히 그 전단부에서) 하방 혹은 내측으로 벤딩되고, 특히 이 벤딩 위치로부터 전방 제2 천장 플레이트(28)의 후방 가장자리까지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혹은 삽입방향(ID)을 따라] 연장된다. 전방 제2 천장 플레이트(28)의 상면 상에는, 특히 실질적으로 수용부(49)에 대응하는 위치에 하나 이상의 리세스(33)가 형성되어 있다. 로킹 돌출부(31)의 전단부가 상기 리세스(33)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후방 제1 천장 플레이트(27)는 천장부(20)의 후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특히 후방 제1 천장 플레이트(27)의 상면은 전방 제2 천장 플레이트(28)의 상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어 있다.
후방 제2 천장 플레이트(29)는 다른 한 측면부(19B)의 상단부에 연결된 연결부(34) 및/또는 제2 천장 플레이트(25)의 후방 가장자리에 연결된 연장부(35)를 구비한다. 연결부(34)는 후방 제1 천장 플레이트(27)의 앞에 배치된다. 특히 연결부(34)의 후방 가장자리와 후방 제1 천장 플레이트(27)의 전방 가장자리는 서로 접촉해 있다. 특히 연결부(34)에는, 후방 제1 천장 플레이트(27)의 바로 앞에 하나 이상의 돌기(41)가 특히 절단 혹은 벤딩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돌기(41)는 실질적으로 로킹 돌출부(31)와 대향하게 배치된다. 돌기(41)와 로킹 돌출부(31)의 사이에는, 로킹 랜스용 삽입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연장부(35)는, 연결부(34)의 후방 가장자리로부터 실질적으로 후방 제2 천장 플레이트(29)의 하면을 따라 실질적으로 후방으로 연장되는 후방 연장부(36)와, 후방 연장부(36)의 후단부에 대해 실질적으로 0도 또는 180도 이외의 각도를 이루며,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며 연결되어 있거나 및/또는 그로부터 현수되어 있는 수직방향 혹은 외측 연장부(37), 그리고 수직방향 연장부(37)의 하단부에 대해 0도 또는 180도 이외의 각도를 이루며,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며 연결되어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탄성 접촉편(12)을 구비한다. 특히 후방 연장부(36)는 연결부(34) 및/또는 수용부(49)와 동일한 높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특히 수직방향 혹은 외측 연장부(37)에는 창 구멍(38)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 혹은 외측 연장부(37)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창 구멍(38)의 폭방향 양측에 위치한 부분을, 특히 탭 삽입 개구(22)를 통해 전방으로부터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탄성 접촉편(12)은 실질적으로 메인부(11)의 베이스부(18)를 따라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성 접촉편(12)은 수직방향 연장부(37)의 하단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직선부(39)와, 이 직선부(39)의 전단부에 연결되는 지지부(40), 및/또는 이 지지부(40)로부터 전방을 향해 실질적으로 상향 혹은 내측[혹은 삽입방향(ID)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연장되며 특히 그 전단부에서는 전방을 향해 약간 하향 경사져 있는 탄성 본체(42)를 구비한다. 탄성 본체(42)는 지지부(40)를 지지점으로 하여 수직방향(높이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다.
탄성 본체(42)(특히 그 전단부)에 혹은 그 부근에 접촉부(43)가 형성된다. 특히 접촉부(43)는 탄성 본체(42)에 있어서 가장 높은 위치 혹은 가장 돌출해 있는 위치에 위치한다. 탭(61)이 메인부(11)에 정상적으로 삽입된 경우, 탭(61)은 접촉부(43)와 수용부(40)의 사이에 탄성적으로 협지되거나 혹은 배치된다. 따라서, 탄성 접촉편(12)이 자연 상태일 때, 접촉부(43)와 수용부(49) 사이의 간극은 특히 탭(61)의 두께보다 작다.
특히 지지부(40)는 직선부(39)의 전단부와 탄성 메인부(42)의 후단부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U자형으로 아래로 볼록하게 구부러져 있다. 다시 말하자면, 지지부(40)는 직선부(39)의 전단부로부터 약간 내려가 있거나 혹은 외측으로 구부러져 있다. 특히 지지부(40)는 탄성 접촉편(12)의 전체 폭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 지지부(40)에 연결된 부분을 포함한 모든 직선부(39)는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배치된다.
메인부(11)의 베이스부(18)에는, 실질적으로 탄성 본체(42)의 전단부(자유단)에 대향하는 위치에 관통 구멍 혹은 리세스(44)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 접촉편(12)이 탭(61)과의 접촉으로 인해 하방으로 탄성 변형될 때, 탄성 본체(42)의 전단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관통 구멍 혹은 리세스(44)에 들어간다.
베이스부(18)의 상면 혹은 내면에는 후퇴 홈(45)이 관통 구멍(44)과 연통하게 형성되어 있다. 특히 후퇴 홈(45)은 관통 구멍(44)을 향해 갈수록 그 깊이가 점차 증대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탄성 접촉편(12)이 과도하게 탄성 변형될 때, 탄성 본체(42)의 전단부도 또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후퇴 홈(45)에 들어갈 수 있다.
베이스부(18)의 상면 상에는, 실질적으로 지지부(40)에 대면하는 위치에 리세스(46)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리세스(46)는, 베이스부(18)의 두께 범위 내에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리세스(46)는 특히 평면도에서 보면 직사각형이고, 전후방향으로는 탄성 본체(42)의 중간부[접촉부(43)의 뒤에 있는 부분]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직선부(39)의 후단부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위치까지의 범위로, 및/또는 폭방향으로는 베이스부(18)의 실질적으로 전체 폭[양 측면부(19)에 연결된 모따기부(47)(도 6 참조) 제외]에 걸친 범위로 형성되어 있다.
특히 리세스(46)의 깊이는 지지부(40)의 돌출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지지부(40)는 미리 부하가 가해진 상태 혹은 편향된 상태로 리세스(46)의 바닥면과 항상 접촉해 있다. 이러한 경우에, 특히 지지부(40)는 리세스(46)의 바닥면과 실질적으로 폭방향을 따라 선 접촉하고 있다.
또한, 탄성 본체(42)와 직선부(39)는 리세스(46)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특히 직선부(39)의 하면과 리세스(46)의 바닥면은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특히 직선부(39)는 그 후단부에서 베이스부(18)와 접촉해 있다. 또한, 특히 메인부(11)의 베이스부(18)는 리세스(46), 관통 구멍(44) 및 후퇴 홈(45)을 제외하고는 전후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를 갖는다.
이어서, 본 실시형태에 다른 단자 피팅(10)의 기능 및 효과를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 탭(61)은 탭 삽입 개구(22)를 통해 삽입방향으로 메인부(11)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탭(61)의 삽입 과정에서, 탄성 접촉편(12)이 탭(61)과 접촉하게 됨에 따라, 탄성 접촉편(12)은 지지부(40)를 지지점으로 하여 변형방향(DD)[외측 혹은 하방 혹은 삽입방향(ID)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탭(61)이 메인부(11)에 정상적으로 삽입된 경우, 탄성 본체(42)의 전단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관통 구멍(44)에 들어가 도피하고, 이에 의해 탄성 접촉편(12)과 베이스부(18)의 간섭이 방지된다. 또한, 탄성 본체(42)가 경사짐에 따라, 탄성 본체(42)에 있어서 지지부(40) 근방의 부분이 리세스(46)에 약간 들어간다. 특히 접촉부(43)와 수용부(49)의 사이에서 탭(61)이 탄성적으로 협지됨으로써, 두 단자 피팅(10, 60)은 전기 접속된다.
특히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 리세스(46)는 베이스부(18)의 상면 혹은 내면에 형성되어 있고 및/또는 지지부(40)는 리세스(46)의 바닥면과 접촉해 있으므로, 리세스(46)가 베이스부(18)의 상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베이스부(18)의 상면으로부터의 접촉부(43)의 높이 위치가 리세스(46)의 깊이만큼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메인부(11)의 높이는 종래의 메인부에 비해 작아질 수 있다. 그 결과, 탄성 접촉편(12)에 대한 변형 공간을 보장하면서, 단자 피팅(10)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미리 부하가 가해진 상태로, 지지부(40)가 리세스(46)의 바닥면과 접촉하므로, 지지부(40)와 베이스부(18)의 접촉 상태가 확고하게 유지된다.
또한, 특히 탄성 접촉편(12)은 메인부(11)의 후단부로부터 지지부(40)까지 베이스부(18)를 따라 실질적으로 곧게 연장되는 직선부(39)를 구비하므로, 탄성 접촉편은 이 직선부를 구부릴 필요 없이 쉽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특히 지지부(40)는 종래의 지지부와는 달리 리세스(46)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어 있고 베이스부(18)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지 않으므로, 직선부(39)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 접촉편에 대한 변형 공간을 보장하면서 단자 피팅의 소형화를 실현하기 위해, 단자 피팅(10)에는, 상대 단자 피팅(60)의 탭(61)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특히 실질적으로 박스형 혹은 관형인) 메인부(11)와, 이 메인부(11)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 탭(61)에 접속되도록 메인부(11)에 혹은 그 내부에 배치되며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 접촉편(12)이 마련된다. 상기 탄성 접촉편(12)은 메인부(11)에 탄성 변형을 위한 지지부(40)를 구비한다. 상기 메인부(11)는, 탄성 접촉편(12)의 탄성 변형 방향(DD)으로 탄성 접촉편(12)에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베이스부(18)를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부(18)에는, 베이스부(18)의 두께 범위 내에 형성된 리세스(46)가 마련되며, 상기 지지부(40)는 상기 리세스(46)의 바닥면과 접촉한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하고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하의 실시예도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포함된다.
(1) 탄성 접촉편이 과도하게 탄성 변형되려고 하는 경우, 탄성 접촉편은 그 과도한 탄성 변형을 방지하도록 베이스부에 접촉하게 될 수 있다.
(2) 리세스의 형성 범위 및 형상은 임의로 정해질 수 있고 본 실시형태의 형성 범위 및 형상에 국한되지 않는다.
(3) 로킹 랜스가 감합되는 로킹 구멍이 천장부를 관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10: 단자 피팅
11: 메인부
12: 탄성 접촉편
18: 베이스부
39: 직선부
40: 지지부
46: 리세스
60: 상대 단자 피팅
61: 탭

Claims (15)

  1. 전기도전성 판재로 제조된 단자 피팅(10)으로서,
    수형 단자 피팅(60)의 탭(61)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메인부(11); 및
    상기 메인부(11)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 탭(61)에 접속되도록 메인부(11)에 배치되며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 접촉편(12)
    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접촉편(12)은 메인부(11)에 탄성 변형을 위한 지지부(40)를 구비하며;
    상기 메인부(11)는, 탄성 접촉편(12)의 탄성 변형 방향(DD)으로 탄성 접촉편(12)에 대향하는 베이스부(18)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부(18)에는, 베이스부(18)의 두께 범위 내에 형성된 리세스(46)가 마련되며;
    상기 지지부(40)는 상기 리세스(46)의 바닥면과 접촉해 있는 것인 단자 피팅.
  2. 제1항에 있어서, 미리 부하가 가해진 상태로, 상기 지지부(40)가 리세스(46)의 바닥면과 접촉해 있는 것인 단자 피팅.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접촉편(12)은, 메인부(11)의 후단부측으로부터 지지부(40)까지 베이스부(18)를 따라 곧게 연장되는 직선부(39)를 구비하는 것인 단자 피팅.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접촉편(12)은, 메인부(11)의 일부분(37)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수평하게 연장되는 직선부(39)와, 이 직선부(39)의 전단부에 연결되는 지지부(40), 그리고 이 지지부(40)로부터 전방을 향해 안쪽으로 경사져 연장되며 그 전단부에서는 전방을 향해 약간 하향 경사져 있는 탄성 본체(42)를 구비하는 것인 단자 피팅.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46)가, 전후방향으로는 상기 탄성 본체(42)의 중간부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직선부(39)의 후단부에 대응하는 위치까지의 범위로 형성되는 구성과, 폭방향으로는 메인부(11)의 베이스부(18)의 전체 폭에 걸친 범위로 형성되는 구성 중 하나 이상의 구성을 갖는 것인 단자 피팅.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부(11)의 베이스부(18)에는, 상기 탄성 본체(42)의 자유단에 대향하는 위치에 관통 구멍 혹은 리세스(44)가 형성되는 것인 단자 피팅.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18)의 내면에는 관통 구멍(44)과 연통하도록 후퇴 홈(45)이 형성되어 있어, 탄성 접촉편(12)이 과도하게 탄성 변형된 경우, 탄성 본체(42)의 전단부도 또한 후퇴 홈(45)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들어갈 수 있는 것인 단자 피팅.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후퇴 홈(45)은 관통 구멍(44)을 향해 갈수록 그 깊이가 점차 증대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인 단자 피팅.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본체(42)와 직선부(39)는 리세스(46)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것인 단자 피팅.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46)의 깊이는 지지부(40)의 돌출 거리와 동일한 것인 단자 피팅.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부(11)는, 메인부(11)의 한 측면부(19A)에 연결된 제1 천장 플레이트(24) 및 메인부(11)의 다른 한 측면부(19B)에 연결된 제2 천장 플레이트(25)를 구비하는 천장부(20)를 포함하는 것인 단자 피팅.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천장 플레이트(24)는 전방측에 위치한 전방 제1 천장 플레이트(26) 및 후방측에 위치한 후방 제1 천장 플레이트(27) 중 어느 하나 혹은 양자 모두를 구비하는 구성과, 상기 제2 천장 플레이트(25)는 전방측에 위치한 전방 제2 천장 플레이트(28) 및 후방측에 위치한 후방 제2 천장 플레이트(29) 중 어느 하나 혹은 양자 모두를 구비하는 구성 중 하나 이상의 구성을 갖는 것인 단자 피팅.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제2 천장 플레이트(28)는 안쪽으로 돌출하도록 구부러져, 수용부(49)를 형성하는 것인 단자 피팅.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제2 천장 플레이트(29)는 상기 다른 한 측면부(19B)에 연결된 연결부(34) 및 천장 플레이트의 후방 가장자리에 연결된 연장부(35) 중 어느 하나 혹은 양자 모두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부(34)는 상기 후방 제1 천장 플레이트(27)의 앞에 배치되는 것인 단자 피팅.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34)에는, 상기 후방 제1 천장 플레이트(27)의 바로 앞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4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단자 피팅.
KR1020110104201A 2010-10-19 2011-10-12 단자 피팅 KR201200406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34232 2010-10-19
JP2010234232A JP2012089318A (ja) 2010-10-19 2010-10-19 端子金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0660A true KR20120040660A (ko) 2012-04-27

Family

ID=44514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4201A KR20120040660A (ko) 2010-10-19 2011-10-12 단자 피팅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523619B2 (ko)
EP (1) EP2445057B1 (ko)
JP (1) JP2012089318A (ko)
KR (1) KR20120040660A (ko)
CN (1) CN10257009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70709A (ja) * 2013-03-05 2014-09-18 Sumitomo Wiring Syst Ltd 雌端子金具
EP2797173B8 (en) * 2013-04-26 2019-01-09 Aptiv Technologies Limited Electrical terminal with a locking lance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US9118130B1 (en) * 2014-02-06 2015-08-25 Delphi Technologies, Inc. Low insertion force terminal
JP6183665B2 (ja) * 2015-08-05 2017-08-23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
DE102015221937B4 (de) * 2015-11-09 2020-10-08 Robert Bosch Gmbh Rastelement eines Kontaktes mit nasenförmigem Vorsprung
JP6536898B2 (ja) * 2015-12-11 2019-07-03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JP6883261B2 (ja) * 2017-07-05 2021-06-09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JP6794403B2 (ja) * 2018-06-07 2020-12-0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782736B2 (ja) * 2018-06-26 2020-11-11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金具
JP7435362B2 (ja) * 2020-08-25 2024-02-21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および連鎖端子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1030209Y (es) * 1995-02-21 1996-01-16 Mecanismos Aux Ind Terminal perfeccionado.
JP3529026B2 (ja) * 1998-04-15 2004-05-24 矢崎総業株式会社 雌端子
JP3415132B1 (ja) * 2002-06-06 2003-06-09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及びコネクタ
JP3846260B2 (ja) * 2001-10-29 2006-11-15 住友電装株式会社 雌側端子金具
JP2003157924A (ja) * 2001-11-22 2003-05-30 Sumitomo Wiring Syst Ltd 雌側端子金具
JP2005183160A (ja) * 2003-12-19 2005-07-07 Jst Mfg Co Ltd 雌コンタクト
JP2006100233A (ja) 2004-09-29 2006-04-13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
JP4385923B2 (ja) * 2004-09-29 2009-12-16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及び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
DE602005011722D1 (de) 2004-09-29 2009-01-29 Sumitomo Wiring Systems Ein Anschlusskontakt und ein beipassender Steckverbinder
JP2006156285A (ja) * 2004-12-01 2006-06-15 Sumitomo Wiring Syst Ltd 雌端子金具
JP4625395B2 (ja) * 2005-10-05 2011-02-0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接続端子
JP4482823B2 (ja) * 2005-12-26 2010-06-16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JP4930439B2 (ja) * 2008-04-04 2012-05-16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523619B2 (en) 2013-09-03
US20120094550A1 (en) 2012-04-19
EP2445057A1 (en) 2012-04-25
CN102570097A (zh) 2012-07-11
JP2012089318A (ja) 2012-05-10
EP2445057B1 (en) 2015-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40660A (ko) 단자 피팅
US10069233B2 (en) Female terminal having an outwardly bulging lance locking portion on a folded U-shaped plate
EP1786066B1 (en) A connector
JP5375564B2 (ja) 端子金具
JP2018018703A (ja) コネクタ
JP2014110214A (ja) 雌端子
JP5872503B2 (ja) 電気コネクタ
JP5688063B2 (ja) 電気コネクタ
US7101233B2 (en) Female terminal fitting
JP6085527B2 (ja) 雌端子
JP2019204678A (ja) コネクタ
US10819056B2 (en) Female terminal
JP3814221B2 (ja) 雄側端子金具
EP2056408B1 (en) An electrical terminal fitting and forming method therefor
US6585544B2 (en) Terminal fitting
JP2019212549A (ja) 端子、およびコネクタ
JP4385923B2 (ja) 端子金具及び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
JP4267641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2016058399A (ja)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JP6002297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JP5805288B2 (ja) プラグコネクタ
JP2017142978A (ja) 接続端子
JP7215933B2 (ja) 接続端子
JP2006156285A (ja) 雌端子金具
JP2021068623A (ja) 雌端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