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9772A - 도전 암 단자, 커넥터 및 도전 암 단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도전 암 단자, 커넥터 및 도전 암 단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9772A
KR20160129772A KR1020160053184A KR20160053184A KR20160129772A KR 20160129772 A KR20160129772 A KR 20160129772A KR 1020160053184 A KR1020160053184 A KR 1020160053184A KR 20160053184 A KR20160053184 A KR 20160053184A KR 20160129772 A KR20160129772 A KR 20160129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nductive
terminal
opening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3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7891B1 (ko
Inventor
다카요시 엔도
겐야 안도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29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9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7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7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01R13/4223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comprising integral flexible contact retaining fin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in the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5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 H01R13/5208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having at least two cable receiving open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8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bases or cases for contact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도전 암 단자는, 도체로 구성되고, 수 단자가 삽입되는 제 1 개구를 갖는 통 형상의 본체부와, 도체로 구성되고, 본체부의 축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본체부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된 제 1 돌출부를 구비한다. 제 1 돌출부는, 제 1 개구로 향함에 따라 본체부의 축심에 가까워지는 기울기를 갖는 제 1 경사부와, 제 1 경사부로부터, 제 1 개구의 방향으로 연장하여 마련되고, 본체부의 외면과 겹쳐져 배치된 제 1 평면부와, 제 1 경사부와 본체부를 연결하는 제 1 접속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도전 암 단자, 커넥터 및 도전 암 단자의 제조 방법{CONDUCTIVE FEMALE TERMINAL,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ONDUCTIVE FEMALE TERMINAL}
본 발명은, 도전 암 단자, 커넥터 및 도전 암 단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수 매트 실(water-proof mat seal)을 구비한 방수 커넥터에 사용되는 도전 단자에 대해서는,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예컨대, 국제 공개 제 2012/173961호 공보에는, 펀칭 가공된 금속판에 굽힘 가공 등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성형된 리셉터클 콘택트(receptacle contact)가 개시되어 있다.
이 리셉터클 콘택트는, 외면에 다수의 파단면이 노출된 구조를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이 리셉터클 콘택트를 하우징의 캐비티에 삽입하면, 하우징이 구비하는 매트 실 등에 파단면이 걸려, 매트 실 등의 방수 부재를 손상시키기 쉽다.
또한, 리셉터클 콘택트는, 핀 콘택트에 압접하는 탄성 콘택트 암을 구비한다. 핀 콘택트가 이 리셉터클 콘택트에 삽입되면, 탄성 콘택트 암의 탄성력에 의해 리셉터클 콘택트 상벽이 변형된다. 상벽이 변형되면, 핀 콘택트의 접촉 하중이 약해져, 전기적인 접촉 신뢰성이 저하한다.
본 발명은, 하우징에 삽입하는 것에 따른 매트 실로의 손상을 생기기 어렵게 하고, 전기적인 접촉 신뢰성의 저하가 생기기 어려운, 도전 단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도전 암 단자는,
도체로 구성되고, 수 단자가 삽입되는 제 1 개구를 갖는 통 형상의 본체부와,
도체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축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본체부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된 제 1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돌출부는,
상기 제 1 개구로 향함에 따라 상기 본체부의 축심에 가까워지는 기울기를 갖는 제 1 경사부와,
상기 제 1 경사부로부터, 상기 제 1 개구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본체부와 겹쳐져 배치된 제 1 평면부와,
상기 제 1 경사부와 상기 본체부를 연결하는 제 1 접속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돌출부는, 상기 제 1 경사부로부터 상기 본체부의 축심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본체부에 맞닿는 제 1 인접부를 더 구비하더라도 좋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 1 개구에 대향하는 제 2 개구와, 상기 제 1 돌출부보다 상기 제 2 개구측에서, 상기 본체부의 축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본체부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된 제 2 돌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2 돌출부는,
상기 제 2 개구로 향함에 따라 상기 본체부의 축심에 가까워지는 기울기를 갖는 제 2 경사부와,
상기 제 2 경사부로부터, 상기 제 2 개구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본체부와 겹쳐져 배치된 제 2 평면부와,
상기 제 2 경사부와 상기 본체부를 연결하는 제 2 접속부를 더 구비하더라도 좋다.
상기 제 2 돌출부는, 상기 제 2 경사부로부터 상기 본체부의 축심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본체부에 맞닿는 제 2 인접부를 더 구비하더라도 좋다.
도체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되고, 배선이 접속되는 접속부를 더 구비하더라도 좋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복수의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단자 수용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단자 수용 공간 내로 돌출하는 랜스(lance)를 구비한 하우징과,
복수의 상기 도전 암 단자로 구성되고,
복수의 상기 도전 암 단자의 각각은, 상기 단자 수용 공간의 각각에 삽입되어 있고, 상기 도전 암 단자의 제 1 돌출부와 상기 랜스가 맞물리는 것에 의해 상기 단자 수용 공간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도전 암 단자의 제조 방법은,
도전성의 판 형상부와, 상기 판 형상부의 한 변으로 연장하여 마련된 도전성의 작은 조각부를 구비하는 기판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작은 조각부를 오목한 형상으로 성형하는 공정과,
상기 오목한 형상으로 성형한 작은 조각부가 통 형상으로 성형한 판 형상부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판 형상부를 통 형상으로 성형하는 공정과,
상기 오목한 형상으로 성형한 작은 조각부를, 상기 통 형상으로 성형한 판 형상부에 덮도록 마련하는 공정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목한 형상으로 성형한 작은 조각부의 일부를 상기 통 형상으로 성형한 판 형상부에 맞닿게 하는 공정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해, 방수 커넥터의 하우징에 삽입할 때의 매트 실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전기적인 접촉 신뢰성의 저하가 생기기 어려운, 도전 암 단자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도전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도전 단자를 다른 시점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 중의 화살표 A 방향으로부터 본 도전 단자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 중의 화살표 B 방향으로부터 본 도전 단자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 중의 C-C선에 있어서의 도전 단자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도전 단자의 재료인 금속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금속 판재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내는 도전 단자가 삽입되는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 중의 화살표 D 방향으로부터 본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 중의 E-E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나타내는 도전 단자가 장착된 하우징(전기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 중의 F-F선에 있어서의 전기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 중의 화살표 A 방향으로부터 본, 케이블을 장착한 후의 도전 단자의 정면도이다.
이하, 도 1~도 13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인 도전 단자(도전 암 단자)(100)와, 도전 단자(100)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500)(도 11, 12)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전 단자(100)는, 절연성의 하우징(400)(도 8~도 10 참조)에 형성된 통 형상의 단자 수용 공간(40)에 수용되는 부재이다. 전기 커넥터(500)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도전 단자(100)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400)의 배면(400b)측으로부터 정면(400a)측으로 향해 단자 수용 공간(40)에 삽입된다.
각 도전 단자(100)는, 도 1~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 형상의 칼집부(sheath)(본체부)(10)와, 심선 압착부(13)와, 케이블 파지부(14)를 구비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삽입 방향 X」와 「삽입 방향 X의 반대 방향」을 각각 「전방」과 「후방」이라고 약기한다.
칼집부(10)는, 수 단자가 삽입되는 부위이고, 도 1~3,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정벽(10a), 저벽(10b) 및 측벽(10c, 10d)을 구비하고 있다. 천정벽(10a), 저벽(10b), 및 측벽(10c, 10d)은, 전체적으로 수 단자가 삽입되는 제 1 개구를 일단부에, 제 1 개구에 연통하여 대향하는 제 2 개구를 타단에 구비하는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개구는 전방의 개구이고, 제 2 개구는 후방의 개구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칼집부(10) 내에는, 판 용수철 부재(10s)가 배치되어 있다. 판 용수철 부재(10s)는, 칼집부(10)에 삽입된 도전 수 단자에 접촉하여, 이 도전 단자(100)와 수 도전 단자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판 용수철 부재(10s)의 양 측부에는, 날개(10t)가 형성되어 있다. 날개(10t)는, 측벽(10c, 10d)에 형성된 지지 개구(10u)에 삽입되어 있다.
칼집부(10)는, 제 1 맞물림부(제 1 돌출부)(11)와 제 2 맞물림부(제 2 돌출부)(12)를 더 구비한다.
제 1 맞물림부(11)는, 하우징(400)의 각 단자 수용 공간(40)에 마련된 랜스(41)(도 10, 도 12에 나타낸다)에 맞물리는 부재이다. 도 1, 2, 4,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맞물림부(11)는, 칼집부(10)의 전단 부분에 배치되고, 천정벽(10a)으로부터, 칼집부(10)의 축심(10x)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바꿔 말하면, 제 1 맞물림부(11)는, 칼집부(10)의 전단부에 배치된, 노출된 파단면을 갖지 않는 매끄러운 볼록한 모양의 판으로 구성된다.
제 2 맞물림부(12)는, 하우징(400)의 단자 수용 공간(40)의 내주면(42)(랜스(41)보다 배면(400b)측에 위치하는 부분 : 도 10, 도 12에 나타낸다)에 맞닿는 부재이다. 도 1, 2, 4,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맞물림부(12)는, 칼집부(10)의 후단 부분에 배치되고, 천정벽(10a)으로부터, 축심(10x)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바꿔 말하면, 제 2 맞물림부(12)는, 칼집부(10)의 후단부에 배치되고, 노출된 파단면을 갖지 않는 매끄러운 볼록한 모양의 판으로 구성된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맞물림부(11)는, 제 1 개구로 향함에 따라 칼집부(10)의 축심(10x)에 가까워지는 기울기를 갖는 경사부(제 1 경사부)(11a)와, 경사부(11a)로부터 제 1 개구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칼집부(10)의 천정벽(10a)과 겹쳐지고 있는 평면부(제 1 평면부)(11c)를 구비한다. 또한, 제 1 맞물림부(11)는, 경사부(11a)의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천정벽(10a)과 평행을 이루도록 연장된 정상부(11d)와, 정상부(11d)의 가장자리로부터 칼집부(10)의 축심(10x)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인접부(제 1 인접부)(11b)를 구비한다. 인접부(11b)의 하단 부분(축심(10x)에 가장 가까운 부분)은 칼집부(10)의 천정벽(10a)의 외면에 맞닿고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맞물림부(11)는, 정상부(11d), 경사부(11a) 및 평면부(11c)와, 칼집부(10)의 측벽(10c)을 연결하는 접속부(제 1 접속부)(11e)를 구비한다.
또한, 제 2 맞물림부(12)는, 제 2 개구로 향함에 따라 칼집부(10)의 축심(10x)에 가까워지는 기울기를 갖는 경사부(제 2 경사부)(12a)와, 경사부(12a)로부터 제 2 개구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칼집부(10)의 천정벽(10a)과 겹쳐지는 평면부(제 2 평면부)(12c)를 구비한다. 또한, 제 2 맞물림부(12)는, 경사부(12a)의 가장자리로부터, 전방으로, 천정벽(10a)과 평행을 이루도록 연장된 정상부(12d)와, 정상부(12d)의 후방으로부터 칼집부(10)의 축심(10x)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인접부(제 2 인접부)(12b)를 구비한다. 인접부(12b)의 하단 부분(축심(10x)에 가장 가까운 부분)은 칼집부(10)의 천정벽(10a)의 외면에 맞닿고 있다. 평면부(12c)의 가장자리에는, 칼집부(10)의 축심(10x)으로 향해 늘어진 고정부(12f)가 연장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맞물림부(12)는, 정상부(12d), 경사부(12a) 및 평면부(12c)와, 칼집부(10)의 측벽(10c)을 연결하는 접속부(제 2 접속부)(12e)를 구비한다.
심선 압착부(접속부)(13)는, 칼집부(10)의 후단에 연결되어 배치되어 있다. 심선 압착부(13)에는, 전기 신호를 통하게 하기 위한 케이블(60)의 절연 피복(61)으로부터 노출된 심선(배선)(62)이 배치된다. 심선 압착부(13)는, 고정되는 것에 의해, 심선(62)에 압접되고, 이것에 의해, 심선(62)을 고정함과 아울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케이블 파지부(14)는, 심선 압착부(13)의 후단에 연결되어 배치되어 있다. 케이블 파지부(14)는, 고정되는 것에 의해, 케이블(60)의 절연 피복(61)을 파지한다.
도 1-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상부(11d)와 경사부(11a)와 평면부(11c)와 접속부(11e)는 1매의 판으로 형성되고, 연속되고, 도중에 파단 부분이 노출되고 있지 않다. 마찬가지로, 정상부(12d)와 경사부(12a)와 평면부(12c)와 접속부(12e)는 1매의 판으로 형성되고, 연속되고, 도중에 파단 부분이 노출되고 있지 않다.
다음으로, 도 6, 7을 참조하여, 상술한 구성을 구비하는 도전 단자(100)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전 단자(100)는, 도 6에 나타내는 펀칭 가공된 금속 판재(기판)(90)에 굽힘 가공 및 드로잉 가공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우선, 프레스 장치 등에 의해, 금속 평판을 펀칭 가공 등 하는 것에 의해, 도 6에 나타내는 형상을 갖는 금속 판재(90)를 준비한다. 금속 판재(90)는 칼집부(10)를 형성하기 위한 칼집부 형성 영역(판 형상부)(95)과, 제 1 맞물림부(11)를 형성하기 위한 작은 조각부(작은 조각부)(96)와, 제 2 맞물림부(12)를 형성하기 위한 작은 조각부(97)와, 심선 압착부(13)를 형성하기 위한 영역(98)과, 케이블 파지부(14)를 형성하기 위한 영역(99)을 구비한다.
다음으로, 굽힘 가공과 드로잉 가공에 의해, 작은 조각부(96, 97)를 각각, 제 1 고정부(11)와 제 2 고정부(12)에 상당하는 오목한 형상으로 성형한다. 또한, 판 형상부(95)를 통 형상으로 성형하고, 칼집부(10)를 형성한다. 성형의 차례는, 한정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오목한 형상으로 성형된 작은 조각부(96, 97)가 통 형상으로 성형된 판 형상부(95)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가 얻어진다. 계속하여, 오목한 형상으로 성형된 작은 조각부(96, 97)를, 칼집부(10)의 천정벽(10a)을 덮도록 배치한다. 이때, 오목한 형상으로 성형된 작은 조각부(96, 97)의 일부(11b, 12b)를 천정벽(10a)에 맞닿게 한다.
구체적인 예를 설명한다. 우선, 도 6의 금속 판재(90)를 준비한다. 다음으로, 도 7에 나타내는 금속 판재(90)의, 삽입 방향 X와 평행한 접는 자국(10h, 10i, 10j)을 계곡접기하는 굽힘 가공을 실시하고, 천정벽(10a), 저벽(10b) 및 측벽(10c, 10d)으로 이루어지는 통 형상의 칼집부(10)를 형성한다. 또, 「계곡접기」는 도 7 지면을 기준으로 하는 표현이다.
이때, 도 5에 나타내는 판 용수철 부재(10s)를 칼집부(10) 내에 설치하기 위해, 금속 판재(90)를 굽힘 가공을 실시하기 전에, 저벽(10b)에 판 용수철 부재(10s)를 배치한다. 또한, 굽힘 가공의 도중에, 도 1, 2,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 용수철 부재(10s)의 양 측부에 형성된 날개(10t)를 지지 개구(10u)에 삽입한다.
도 7로 돌아와서, 계속하여, 접는 자국(11q)을 계곡접기하는 드로잉 가공을 실시함과 아울러, 접는 자국(11t, 11u)을 계곡접기, 접는 자국(11s)을 산접기하는 굽힘 가공을 금속 판재(90)에 실시한다. 이것에 의해, 평면부(11c), 경사부(11a), 정상부(11d) 및 접속부(11e)가 이음매 없이, 연속 상태로 형성된다. 또, 「산접기」는 도 7 지면을 기준으로 하는 표현이다.
마찬가지로, 작은 조각부(97)에 대하여, 접는 자국(12q)을 계곡접기하는 드로잉 가공을 실시함과 아울러, 접는 자국(12u, 12t, 12v)을 계곡접기, 접는 자국(12s)을 산접기하는 굽힘 가공을 칼집부 형성 영역(95)에 실시한다. 이것에 의해, 고정부(12f), 평면부(12c), 경사부(12a), 정상부(12d) 및 접속부(12e)가 이음매 없이, 연속 상태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접는 자국(11q, 12q)을 더 접어 구부려, 제 1 맞물림부(11)와 제 2 맞물림부(12)를 칼집부(10)를 덮도록 배치하고, 인접부(11b, 12b)를 칼집부(10)의 천정벽(10a)에 맞닿게 한다.
또한, 영역(98, 99)에 대해서도, 각각, 심선 압착부(13)와 케이블 파지부(14)를 형성하도록 성형한다.
바꿔 말하면, 도전 단자(100)는, 칼집부 형성 영역(95)을 통 형상으로 성형하고, 또한, 작은 조각부(96, 97)에 드로잉 가공과 굽힘 가공을 실시하고, 제 1 맞물림부(11)와 제 2 맞물림부(12)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복수의 도전 단자(100) 각각에 케이블(60)을 접속하고, 도 8~도 10에 나타내는 절연성의 하우징(400)에 형성된 단자 수용 공간(40)에, 그 배면측으로부터 삽입하는 것에 의해, 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방수 커넥터(500)가 형성된다.
이하, 하우징(400)과 방수 커넥터(5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와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400)에는, 복수의 단자 수용 공간(40)이, 격벽부(43)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으로, 높이 방향 H로 2단, 폭 방향 W로 5열 배열(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단자 수용 공간(40)이 형성된 영역을 둘러싸는 둘레 벽부(44)와 하우징(400)의 외벽부(45)의 사이에는, 방수 커넥터(500)에 접속되는 상대측 커넥터의 하우징(도시하지 않음)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공극부(46)가 형성되어 있다.
둘레 벽부(44)에는, 각 단자 수용 공간(40)으로 돌출하는 랜스(41)가 형성되어 있다. 랜스(41)는, 단자 수용 공간(40)으로 향해 돌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둘레 벽부(44)와 랜스(41)는, 수지 등의 탄성체로 형성되고, 단자 수용 공간(40)으로부터 퇴출ㆍ복귀하도록 탄성 변형 가능하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둘레 벽부(44)의 기단측의 주위에는 프론트 실(47)이 장착되고, 하우징(400)의 정면(400a)측의 둘레 벽부(44)에는 프론트 홀더(48)가 장착되어 있다. 프론트 실(47)은, 둘레 벽부(44)의 외면과 도시하지 않는 상대측 커넥터의 하우징의 사이를 밀봉한다. 프론트 홀더(48)는, 도전 단자(100)에 삽입되는 수 단자를 안내하는 것이고, 하우징(400)의 전후 방향 L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프론트 홀더(48)의 정면벽(48a)에는, 복수의 개구부(48b)가 복수의 단자 수용 공간(40)과 동일한 위상을 이루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한, 랜스(41)보다 배면(400b)측의 위치에, 격벽부(43) 및 단자 수용 공간(40)의 일부를 폭 방향 W로 횡단하도록 리테이너(70)가 배치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테이너(70)는 하우징(400)의 한쪽의 측면(우측면)으로부터 다른 쪽의 측면(좌측면)을 향해 폭 방향 W로 삽입, 이탈 가능하다. 리테이너(70)는 전체가 대략 E자 형상의 부재이고, 그 측면(우측면)으로 노출된 상태가 되는 지지부(7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리테이너(70)는, 지지부(7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도 10, 12에 나타내는 3개의 고정부(72, 73, 74)를 구비하고 있다.
리테이너(70)를 하우징(400)에 삽입하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부(72)는, 하우징(400)의 격벽부(43)를 폭 방향 W로 관통하고, 고정부(73, 74)는 각각 둘레 벽부(44) 및 단자 수용 공간(40)의 일부를 관통한다. 고정부(72)는 격벽부(43)에 맞물리고, 고정부(73, 74)는 각각 둘레 벽부(44) 및 단자 수용 공간(40)에 삽입된 도전 단자(100)에 맞닿아, 도전 단자(100)를 안정하게 유지한다.
또한, 하우징(400)의 배면(400b)측에는 방수용의 매트 실(50) 및 매트 실 커버(51)가 장착되어 있다. 매트 실(50)은, 둘레 벽부(44)와 케이블(60)의 사이를 밀봉한다. 매트 실 커버(51)는, 매트 실(50)의 바깥쪽에 배치되어, 매트 실(50)을 보호한다. 매트 실(50) 및 매트 실 커버(51)에는, 각각 복수의 관통 구멍(50a, 51a)이, 복수의 단자 수용 공간(40)과 동일한 간격으로 마련되어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블(60)을 접속한 상태의 도전 단자(100)의 정면에서 본 형상은 볼록한 형상을 이루고 있다. 매트 실 커버(51)의 관통 구멍(51a)의 개구단 형상은 도전 단자(100)의 정면에서 본 형상과 서로 닮았고, 이것보다 약간 큰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을 갖는 하우징(400)에 도전 단자(100)를 장착하는 공정을 설명한다.
우선, 도 12에 나타내는 케이블(60)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케이블(60)의 단부의 절연 피복(61)을 제거하여 심선(62)을 노출시킨다.
노출된 심선(62)을 심선 압착부(13)에 배치하고, 심선 압착부(13)를 고정시켜, 심선(62)에 압접한다. 계속하여, 케이블 파지부(14)를 고정시켜, 케이블(60)의 절연 피복(61)을 파지한다. 이것에 의해, 각 도전 단자(100)에 케이블(60)이 장착된다.
계속하여, 도 10에 나타내는 하우징(400)의 배면측의 매트 실 커버(51)에 마련되어 있는 관통 구멍(51a)에 도전 단자(100)를 끼워 넣는다. 그러면, 도 12에 나타내는 구성이 된다.
도전 단자(100)의 삽입 과정에 있어서, 제 1 맞물림부(11)의 경사부(11a) 및 정상부(11d)가 랜스(41)에 슬라이딩하여 접촉하는 것에 의해 랜스(41)는 밀어 올려진다. 랜스(41)는, 제 1 맞물림부(11)가 통과하면, 그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고, 제 1 맞물림부(11)와 제 2 맞물림부(12)의 사이에 랜스(41)가 꼭 끼인 상태가 된다.
하우징(400)의 모든 단자 수용 공간(40)에 도전 단자(100)를 수용한 후,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400)의 우측면으로부터 좌측면으로 향해 리테이너(70)를 끼워 넣는다. 복수의 도전 단자(100)의 제 2 맞물림부(12)가 고정부(73, 74)에 고정된다. 또, 어느 하나의 도전 단자(100)가 중도 삽입 상태에 있으면, 리테이너(70)의 선단이 칼집부(10)나 제 2 맞물림부(12)와 맞닿아 버려, 리테이너(70)를 소정 위치까지 끼워 넣을 수 없으므로, 중도 삽입(삽입 불량)을 검지할 수 있다.
칼집부(10)에 돌출하여 마련된 제 1 맞물림부(11)는, 전방으로 향함에 따라 내리막 기울기를 갖는 경사부(11a)와, 경사부(11a)에 연속하여 마련되고, 천정벽(10a)의 외면과 겹쳐지는 평면부(11c)와, 정상부(11d), 경사부(11a) 및 평면부(11c)와, 칼집부(10)의 측벽(10c, 10d)을 연결하는 접속부(11e)를 구비한다. 따라서, 도전 단자(100)의 외면에는, 펀칭 가공에 의해 생긴 파단면의 노출이 적다. 따라서, 도전 단자(100)를 하우징(400)에 삽입할 때, 매트 실(50)을 손상시킬 가능성이 낮다. 또한, 매트 실 커버(51)의 관통 구멍(51a)과 매트 실(50)의 관통 구멍(50a)을, 도전 단자(100)를 삽입할 때에, 경사부(11a)가 쐐기로서 작용하므로, 하우징(400)으로의 삽입 작업도 용이하다.
또한, 칼집부(10)의 천정벽(10a)의 외면에 평면부(11c)가 겹쳐지고, 또한, 정상부(11d), 경사부(11a) 및 평면부(11c)와, 칼집부(10)의 측벽(10c)이 접속부(11e)로 연결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칼집부(10)의 강성이 높아지고, 수 단자 금구(도시하지 않음)가 칼집부(10)에 삽입되었을 때의 천정벽(10a)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 단자 금구(도시하지 않음)와 도전 단자(100)의 전기적인 접촉 신뢰성의 저하가 생기기 어렵다.
또한, 제 1 맞물림부(11)의 후방으로부터 칼집부(10)의 축심(10x)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하여 마련되고, 칼집부(10)의 천정벽(10a)의 외면에 맞닿는 인접부(11b)가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수 단자 금구가 칼집부(10)에 삽입되었을 때의 천정벽(10a)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전기적인 접촉 신뢰성의 향상에 유효하다.
한편, 제 2 맞물림부(12)에는, 그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향해, 인접부(12b), 정상부(12d), 경사부(12a), 평면부(12c) 및 고정부(12f)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 2 맞물림부(12)에는, 정상부(12d), 경사부(12a) 및 평면부(12c)와, 칼집부(10)의 측벽(10c)을 연결하는 접속부(12e)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 2 맞물림부(12)에 있어서, 칼집부(10)의 천정벽(10a)의 외면에 평면부(12c)가 겹쳐지고, 또한, 정상부(12d), 경사부(12a) 및 평면부(12c)와, 칼집부(10)의 측벽(10c)이 접속부(12e)로 연속된 구조를 갖는다. 이것에 의해, 칼집부(10)의 후방 부분의 강성이 높아지고, 수 단자 금구가 칼집부(10)에 삽입되었을 때의, 칼집부(10)의 후방 부분의 천정벽(10a)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적인 접촉 신뢰성의 향상에 유효하다. 또한, 단자 수용 공간(40)에 삽입된 도전 단자(100)를 이탈시키는(뽑아내는) 경우에도, 경사부(12a)가 쐐기로서 작용하므로, 작업이 용이하고, 매트 실(50)의 손상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제 2 맞물림부(12)의 전방으로부터 칼집부(10)의 축심(10x)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하여 마련된 인접부(12b)가 칼집부(10)의 천정벽(10a)의 외면에 맞닿아 있다. 따라서, 칼집부(10)의 후방에 있어서, 수 단자 금구가 칼집부(10)에 삽입되었을 때의 천정벽(10a)의 변형을 방지하는 작용이 높아지고, 전기적인 접촉 신뢰성의 향상에 유효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전 단자(100)는, 펀칭 가공된 금속 판재(90)에 대하여 굽힘 가공 및 드로잉 가공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정상부(11d, 12d), 경사부(11a, 12a) 및 평면부(11c, 12c)는, 도전 단자(100)를 형성하는 금속 판재(90)의 칼집부 형성 영역(95)의 화살표 P로 나타내는 부분에 드로잉 가공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정상부(11d)(12d), 경사부(11a)(12a) 및 평면부(11c)(12c)와, 칼집부(10)의 측벽(10c, 10d)을 연결하는 접속부(11e)(12e)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정상부(11d)(12d), 경사부(11a)(12a) 및 평면부(11c)(12c)의 강성을 큰 폭으로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6, 7에 나타내는 금속 판재(90)의 칼집부 형성 영역(95)의 화살표 P로 나타내는 부분에 드로잉 가공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금속 판재(90)에 절단 가공을 실시하는 일 없이, 정상부(11d, 12d), 경사부(11a, 12a) 및 평면부(11c, 12c)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파단면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드로잉 가공을 실시하고 있으므로, 정상부(11d, 12d), 경사부(11a, 12a) 및 평면부(11c, 12c)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도전 단자(100)에 있어서는, 도 6, 도 7에 나타내는 금속 판재(90)의 칼집부 형성 영역(95)의 일부를 삽입 방향 X와 평행으로 연장시킨 돌출부(91, 92) 및 돌출부(93)에 굽힘 가공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인접부(11b, 12b) 및 고정부(12f)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가공을 행하면, 파단면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인접부(11b, 12b)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매트 실(50)의 손상 방지에 유효하다.
또, 도 1~도 12에 근거하여 설명한 도전 단자(100)는 본 발명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고, 본 발명의 도전 단자는 전술한 도전 단자(100)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전 단자(100)는, 제 1 맞물림부(11)만을 구비하더라도 좋다. 제 1 맞물림부(11)와 제 2 맞물림부(12)의 형성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제 1 맞물림부(11)와 제 2 맞물림부(12)의 한쪽이, 칼집부(10)의 중앙부에 배치되더라도 좋다.
칼집부(10)는 사각통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원통이더라도 좋다.
도전 단자(100)와 케이블(60)을 접속하는 수단은 임의이다. 예컨대, 도전 단자(100)와 케이블(60)의 심선(62)이 땜납으로 접속되더라도 좋다.
리테이너(70)의 구조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리테이너(70)의 구성은, 제 1 맞물림부(11) 및/또는 제 2 맞물림부(12)와 고정되어, 도전 단자(100)를 유지할 수 있으면, 임의이다.
실시 형태에서는, 실 부재로서, 매트 실(50)과 매트 실 커버(51)를 예시했지만, 실 부재의 구성도 임의이다.
본 발명은, 2015년 4월 30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2015-093229호에 근거한다. 본 명세서 중에 일본 특허 출원 2015-093229호의 명세서, 특허 청구의 범위, 도면 전체를 참조로서 포함시키는 것으로 한다.
(산업상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도전 단자는, 각종 기기의 전기 접속에 사용되는 방수 커넥터 등의 구성 부재로서, 전자ㆍ전기 기기 산업이나 자동차 산업 등의 각종 산업 분야에 있어서 널리 이용할 수 있다.

Claims (8)

  1. 도체로 구성되고, 수 단자가 삽입되는 제 1 개구를 갖는 통 형상의 본체부와,
    도체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축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본체부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된 제 1 돌출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돌출부는,
    상기 제 1 개구로 향함에 따라 상기 본체부의 축심에 가까워지는 기울기를 갖는 제 1 경사부와,
    상기 제 1 경사부로부터, 상기 제 1 개구의 방향으로 연장하여 마련되고, 상기 본체부와 겹쳐져 배치된 제 1 평면부와,
    상기 제 1 경사부와 상기 본체부를 연결하는 제 1 접속부
    를 구비하는
    도전 암 단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출부는, 상기 제 1 경사부로부터 상기 본체부의 축심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하여 마련되고, 상기 본체부에 맞닿는 제 1 인접부를 더 구비하는 도전 암 단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 1 개구에 대향하는 제 2 개구와, 상기 제 1 돌출부보다 상기 제 2 개구측에서, 상기 본체부의 축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본체부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된 제 2 돌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2 돌출부는,
    상기 제 2 개구로 향함에 따라 상기 본체부의 축심에 가까워지는 기울기를 갖는 제 2 경사부와,
    상기 제 2 경사부로부터, 상기 제 2 개구의 방향으로 연장하여 마련되고, 상기 본체부와 겹쳐져 배치된 제 2 평면부와,
    상기 제 2 경사부와 상기 본체부를 연결하는 제 2 접속부
    를 더 구비하는
    도전 암 단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돌출부는, 상기 제 2 경사부로부터 상기 본체부의 축심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하여 마련되고, 상기 본체부에 맞닿는 제 2 인접부를 더 구비하는 도전 암 단자.
  5. 제 1 항에 있어서,
    도체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하여 마련되고, 배선이 접속되는 접속부를 더 구비하는 도전 암 단자.
  6. 복수의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단자 수용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단자 수용 공간 내로 돌출하는 랜스(lance)를 구비한 하우징과,
    청구항 1, 2,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복수의 도전 암 단자
    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도전 암 단자의 각각은, 상기 단자 수용 공간의 각각에 삽입되어 있고, 상기 도전 암 단자의 제 1 돌출부와 상기 랜스가 맞물리는 것에 의해 상기 단자 수용 공간에 고정되어 있는
    커넥터.
  7. 도전성의 판 형상부와 상기 판 형상부의 한 변에 연장하여 마련된 도전성의 작은 조각부를 구비하는 기판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작은 조각부를 오목한 형상으로 성형하는 공정과,
    상기 오목한 형상으로 성형한 작은 조각부가 통 형상으로 성형한 판 형상부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판 형상부를 통 형상으로 성형하는 공정과,
    상기 오목한 형상으로 성형한 작은 조각부를, 상기 통 형상으로 성형한 판 형상부에 덮도록 마련하는 공정
    을 구비하는 도전 암 단자의 제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한 형상으로 성형한 작은 조각부의 일부를 상기 통 형상으로 성형한 판 형상부에 맞닿게 하는 공정을 더 구비하는 도전 암 단자의 제조 방법.
KR1020160053184A 2015-04-30 2016-04-29 도전 암 단자, 커넥터 및 도전 암 단자의 제조 방법 KR1017878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93229 2015-04-30
JP2015093229A JP5907300B1 (ja) 2015-04-30 2015-04-30 導電端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9772A true KR20160129772A (ko) 2016-11-09
KR101787891B1 KR101787891B1 (ko) 2017-10-18

Family

ID=55793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3184A KR101787891B1 (ko) 2015-04-30 2016-04-29 도전 암 단자, 커넥터 및 도전 암 단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583859B2 (ko)
JP (1) JP5907300B1 (ko)
KR (1) KR101787891B1 (ko)
CN (1) CN106099467B (ko)
DE (1) DE102016107815A1 (ko)
FR (1) FR30357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07300B1 (ja) * 2015-04-30 2016-04-26 第一精工株式会社 導電端子
KR102249929B1 (ko) * 2017-03-01 2021-05-11 몰렉스 엘엘씨 전기 단자 및 커넥터 조립체
WO2018207651A1 (ja) * 2017-05-09 2018-11-15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TWI628872B (zh) * 2017-09-26 2018-07-01 凡甲科技股份有限公司 電連接器
CN110224234B (zh) * 2018-03-02 2024-03-22 日本电产三协电子(东莞)有限公司 驱动装置
JP6794403B2 (ja) * 2018-06-07 2020-12-0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7133513B2 (ja) * 2019-06-12 2022-09-0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および端子付き電線
US10923833B2 (en) * 2019-06-14 2021-02-16 Aptiv Technologies Limited Reinforced female wire terminal
CN112350092B (zh) * 2019-08-08 2023-07-18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连接器及端子
CN214625447U (zh) * 2021-01-20 2021-11-05 泰科电子(苏州)有限公司 一种用于充电插座的充电连接端子及充电插座
US20220399666A1 (en) * 2021-06-11 2022-12-15 J.S.T. Corporation Electrical female terminal
US11699869B2 (en) 2021-06-11 2023-07-11 J.S.T. Corporation Electrical female terminal
JP2023107303A (ja) * 2022-01-24 2023-08-03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及び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93590B2 (ja) * 1994-05-17 1999-12-20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0247542A (ja) * 1997-03-05 1998-09-14 Yazaki Corp 端 子
JP3468346B2 (ja) * 1998-06-02 2003-11-17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金具
JP3465876B2 (ja) * 1999-01-27 2003-11-10 同和鉱業株式会社 耐摩耗性銅または銅基合金と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該耐摩耗性銅または銅基合金からなる電気部品
JP3544155B2 (ja) * 1999-10-22 2004-07-21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JP2003331972A (ja) * 2002-05-10 2003-11-21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及び端子金具
KR101115826B1 (ko) * 2003-06-18 2012-03-09 미츠비시 덴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접속단자
JP4013151B2 (ja) * 2004-04-13 2007-11-28 住友電装株式会社 雌端子金具
JP4321417B2 (ja) * 2004-09-21 2009-08-26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及びコネクタ
JP5233822B2 (ja) * 2009-04-24 2013-07-10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JP5723133B2 (ja) * 2010-10-12 2015-05-27 矢崎総業株式会社 雌型端子金具
US8911253B2 (en) 2011-06-13 2014-12-16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Receptacle contact
KR101572400B1 (ko) * 2011-10-28 2015-11-26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JP5789494B2 (ja) * 2011-11-24 2015-10-0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6283204B2 (ja) 2013-11-11 2018-02-21 大阪瓦斯株式会社 微粉化装置
JP5895973B2 (ja) * 2014-06-12 2016-03-30 第一精工株式会社 導電端子
JP5907300B1 (ja) * 2015-04-30 2016-04-26 第一精工株式会社 導電端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907300B1 (ja) 2016-04-26
KR101787891B1 (ko) 2017-10-18
CN106099467B (zh) 2019-04-02
FR3035743A1 (fr) 2016-11-04
US20160322728A1 (en) 2016-11-03
JP2016213000A (ja) 2016-12-15
DE102016107815A1 (de) 2016-11-03
CN106099467A (zh) 2016-11-09
US9583859B2 (en) 2017-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7891B1 (ko) 도전 암 단자, 커넥터 및 도전 암 단자의 제조 방법
US10109937B2 (en) Electrical cable connector
US7717759B2 (en) Female terminal with guiding piece
JP2011060770A (ja) 蓋付き絶縁圧接端子コネクタ
US20070161300A1 (en) Female terminal with guiding piece
US8021187B2 (en) Electric connector
US9666957B2 (en) Connector terminal
CN107809021B (zh) 电连接器
TWM320773U (en) Hook and connector with the hook
JP2015056209A (ja) 電気コネクタ用端子及び電気コネクタ
CN102394405B (zh) 连接器
CN109066263B (zh) 正反插usb插座的制造方法
JPH0629006U (ja) 圧接コネクタ
US6960097B2 (en) Pressure connection structure with coaxial cable
JP3965380B2 (ja) オス端子及びこれを用いたオスコネクタ
US10256557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2019129128A (ja) コネクタ端子、コネクタ端子を備える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端子の製造方法
CN105337106B (zh) 电连接器及其制造方法
JP5289154B2 (ja) コネクタ
JP3929948B2 (ja) コネクタ
JP5765402B2 (ja) 電気コネクタ
CN105322339B (zh) 电连接器及其制造方法
CN110391530B (zh) 阴端子
US6283784B1 (en) Press-contact terminal fitting
KR102338051B1 (ko) 동축 커넥터 및 동축 케이블을 구비한 동축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