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5470B1 - 헤드셋 - Google Patents

헤드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5470B1
KR100945470B1 KR1020047009257A KR20047009257A KR100945470B1 KR 100945470 B1 KR100945470 B1 KR 100945470B1 KR 1020047009257 A KR1020047009257 A KR 1020047009257A KR 20047009257 A KR20047009257 A KR 20047009257A KR 100945470 B1 KR100945470 B1 KR 100945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housing
microphone
headse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9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5582A (ko
Inventor
이토토모히로
시노하라이쿠오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40065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5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5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5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5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head, throat or bre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04R1/083Special constructions of mouthpie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08Earpieces of the supra-aural or circum-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66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interconnection between earpiece and earpiece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04R5/0335Earpiece support, e.g. headbands or neck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장착자의 한쪽의 귓바퀴에 장착되는 하우징(10)과, 일단측에 하우징 내에 수납되고 타단측이 하우징의 구멍(13a)으로부터 외부로 인출되며, 이 하우징의 구멍(13a)으로부터 외부로 인출되는 길이의 조정으로 하우징 내에 수납가능한 소정 길이의 아암(41)과, 아암(41)에 부착된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헤드셋으로 하였다. 사용시에는, 아암(41)을, 하우징(10)에서 인출하는 것으로, 아암(41)의 선단을 장착자의 입가에 가까운 장소로 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을 사용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아암(41)을 하우징(10) 내에 수납시키는 것으로, 아암(41)이 하우징(10)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게 된다.
헤드셋, 하우징, 드라이버 유니트, 아암, 마이크로폰, 뮤트 스위치

Description

헤드셋{HEADSET}
본 발명은, 사용자의 두부에 장착되는 헤드셋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면 휴대전화단말 등의 통신기기에 접속되는 헤드셋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자의 두부에 장착되는 헤드셋으로서, 각종 형태의 것이 실용화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은 형상의 헤드셋이 있다. 이 도 1에 나타낸 헤드셋은, 좌측 하우징(1)과 우측 하우징(2)의 각각에, 공급되는 음성신호에 근거한 음성을 출력하는 드라이버 유니트를 내장시키고, 양 하우징(1, 2)을 밴드(3)로 접속시킨 헤드폰으로서 구성시키고 있다. 사용자가 장착할 때에는, 밴드(3)의 각 하우징(1, 2)과의 접속부의 근방의 귓바퀴 지지부(3a, 3b)를, 귓바퀴의 상부에 거는 것으로, 사용자의 좌우의 귓바퀴에 각 하우징(1, 2)이 부착된다.
여기서, 좌측 하우징(1)의 외측에는, 회동가능인 지지부재(5)를 통해 아암(4)이 부착되어 있으며, 그 아암(4)의 선단에 마이크로폰(6)이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이 헤드셋을 장착하고, 휴대전화단말 등의 통신기기에 접속함으로써, 좌우의 하우징(1, 2)으로부터는 통신기기가 수신한 음성이 출력되고, 마이크로폰(6)이 얻는 음성은, 통신기기로부터 송신되게 되어, 음성통화 등을 행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헤드셋은, 소위 헤드폰에 마이크로폰을 부착한 형상으로, 헤드폰으로서도 사용가능하다. 즉, 마이크로폰을 불사용으로 하는 것만으로, 스피커를 구비한 헤드폰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이 헤드폰으로서의 사용시에는, 마이크로폰이 방해가 되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형상의 헤드셋의 경우에는, 마이크로폰(6)이 부착된 아암(4)이, 지지부재(5)를 통해 회동이 자유롭다. 따라서, 마이크로폰의 불사용시에는,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이크로폰(6)이 부착된 아암(4)을 회동시켜, 상부로 들어 올리게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이크로폰을 들어 올리는 것으로, 마이크로폰이 장착자의 입가로부터는 떠나지만, 아암(4)이 하우징(1)으로부터 신장된 상태인 것에는 변함이 없어, 여전히 방해가 되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폰이 부착된 아암이, 하우징으로부터 탈착이 자유로운 구조의 헤드셋으로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탈착이 자유롭게 한 경우에는, 분리나 장착에 시간이 걸리고, 또한 하우징으로부터 떼어낸 마이크로폰을 잃어버리지 않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어, 취급에 수고를 끼치는 문제가 있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행해진 것으로, 마이크로폰이 부착된 헤 드셋에 있어서, 마이크로폰의 비사용시·사용시의 어느 경우에도 사용의 편이성이 좋은 것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1 발명의 헤드셋은, 장착자의 한쪽의 귓바퀴에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납되어, 공급되는 음성신호에 대응한 음성을 출력하는 드라이버 유니트와,
일단측이 하우징 내에 수납되고, 타단측이 하우징의 구멍으로부터 외부로 인출되며, 하우징의 구멍으로부터 외부로 인출되는 길이의 조정으로, 하우징 내에 수납가능한 소정 길이의 아암과,
상기 아암에 부착된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마이크로폰이 부착된 아암을, 하우징으로부터 인출하는 것으로, 아암의 선단을 장착자의 입가에 가까운 장소로 할 수 있으며, 장착자가 말하는 음성을 마이크로폰으로 얻을 수 있어, 헤드셋으로서 양호하게 기능한다. 그리고, 마이크로폰을 사용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아암을 하우징 내에 수납시키는 것으로, 아암이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게 되어, 마이크로폰이 부착되어 있지 않는 일반적인 헤드폰과 거의 같은 형상이 되어, 아암 수납시의 사용의 편이성이나 휴대성이 향상된다.
제 2 발명의 헤드셋은, 제 1 발명의 헤드셋에 있어서,
상기 아암은, 탄성을 갖는 속이 빈 파이프로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 내의 거의 최외주부에 감겨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비교적 길이가 긴 아암을 하우징 내에 양호하게 수납시 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 3 발명의 헤드셋은, 제 2 발명의 헤드셋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아암의 일단이 부착되고,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동할 수 있는 아암 부착부재를 설치하며,
이 아암 부착부재의 회동으로 상기 아암이 상기 하우징 내의 거의 최외주부에 감기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예를 들면 아암 부착부재를 사용자가 회동시키는 것으로, 아암을 감아 하우징 내에 수납시킬 수 있어, 아암의 수납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제 4 발명의 헤드셋은, 제 3 발명의 헤드셋에 있어서,
상기 아암 부착부재는, 권취 스프링을 통해 상기 하우징측에 접속시켜, 상기 권취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한 상기 아암 부착부재의 회동으로, 상기 아암이 하우징 내에 감기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아암의 감김을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다.
제 5 발명의 헤드셋은, 제 4 발명의 헤드셋에 있어서,
상기 아암의 타단측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인출된 소정 위치에서, 아암 부착부재가, 상기 하우징측에 걸리는 회동멈춤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스프링에 의한 권취력이, 아암을 소정 위치로 인출하였 을 때에 작용시키지 않은 구성으로 된다.
제 6 발명의 헤드셋은, 제 2 발명의 헤드셋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구멍의 근방에, 직선형 또는 상기 아암의 감긴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아암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하우징으로부터 신장된 아암의 형상을 양호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제 7 발명의 헤드셋은, 제 2 발명의 헤드셋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 부착된 상기 아암의 일단에 상기 마이크로폰을 부착하고, 상기 아암의 선단에 구멍을 설치하여, 이 아암의 선단의 구멍에서 입력된 소리를 상기 마이크로폰이 얻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아암 선단측을 매우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게 되어, 사용시에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아암을 소형 경량으로 구성할 수 있고, 또한 아암 수납시에,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이 매우 작아져, 아암이 눈에 띄지 않게 된다.
제 8 발명의 헤드셋은, 제 7 발명의 헤드셋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에 접속된 신호선을, 상기 하우징 내에서, 소정의 느슨함을 갖게 하여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아암 권취시에는, 마이크로폰도 동시에 회전하게 되지만, 마이크로폰에의 신호선의 접속을 무리없이 행할 수 있다.
제 9 발명의 헤드셋은, 제 2 발명의 헤드셋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구멍으로부터 외부로 인출되는 상기 아암의 타단에 상기 마이크로폰을 부착하고, 이 마이크로폰에 접속된 신호선을 속이 빈 아암의 내부에 배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아암의 선단에 부착된 마이크로폰으로, 장착자의 말하는 소리를 직접 얻게 된다.
제 10의 발명의 헤드셋은, 제 2 발명의 헤드셋에 있어서,
상기 아암이 상기 하우징 내에 수납된 상태일 때, 상기 마이크로폰의 출력을 뮤트상태로 하는 스위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마이크로폰을 인출하였을 때만, 자동적으로 마이크로폰이 음성을 얻게 되어, 마이크로폰의 스위치를 별도 설치할 필요가 없어진다.
제 11 발명의 헤드셋은, 제 2 발명의 헤드셋에 있어서,
상기 아암으로서, 형상기억합금으로 구성시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된 경우에, 소정의 형상이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아암 인출시의 형상이 일정한 형상으로 정해져, 예를 들면 장착자의 입가에 접근시킨 위치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 12 발명의 헤드셋은, 제 1 발명의 헤드셋에 있어서,
상기 아암으로서, 상기 하우징의 구멍으로부터 거의 직선형으로 하우징 내에 수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직선형의 왕복이동으로 아암의 인출 및 수납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제 13 발명의 헤드셋은, 제 1 발명의 헤드셋에 있어서,
장착자의 다른쪽의 귓바퀴에 장착되는 제 2 하우징을 설치하고, 이 제 2 하우징에는, 음성을 출력하는 드라이버 유니트를 설치하고, 아암 및 마이크로폰을 설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좌우 2개의 하우징이 구비된 헤드폰으로서의 형상의 것에, 마이크로폰을 부착시켜 헤드셋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 14 발명의 헤드셋은, 제 13 발명의 헤드셋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하우징을 접속하는 밴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밴드로 2개의 하우징이 접속된 헤드폰으로서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헤드셋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예의 헤드셋의 마이크로폰 불사용시의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의 아암을 인출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의 아암을 수납시킨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의 하우징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 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의 하우징을 분해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의 하우징을 조립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암의 구성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동멈춤기구의 원리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의 예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의 장착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의 접속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의 예(마이크로폰을 아암의 선단에 설치한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의 예(뮤트 스위치를 아암의 수납에 연동시키는 구성의 예)의 회동멈춤기구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예의 경우의 접속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의 예(아암을 직선형으로 신축시키는 예)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의 예(밴드를 두부에 통과시키는 구조의 예)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을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아암을 인출한 상태를 나타내며, 도 4는 아암을 수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의 헤드셋은, 좌측 하우징(10)과 우측 하우징(20)을, 밴드(30)로 접속시킨 헤드폰으로서 기능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좌측 하우징(10)측에, 마이크로폰에 접속된 아암(41)이 부착되어 있다. 각각의 하우징(10, 20) 내에는, 음성신호(오디오 신호)의 공급으로 음성을 출력하는 드라이버 유니트(스피커 유니트)가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의 내부의 구성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밴드(30)는, 여기서는 장착자의 후두부를 통과하는 소위 네크밴드 방식의 밴드로 되어 있다. 즉, 밴드(30)는 거의 반원 형상을 하고, 그 반원 형상의 밴드(30)의 일단부에 좌측 하우징(10)이 부착되어 있으며, 타단부에 우측 하우징(20)이 부착되어 있어, 장착시에는 밴드(30)가 장착자의 후두부를 거의 수평으로 통과하도록 하는 배치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밴드(30)는, 제 1 부재(31)와 제 2 부재(32)와 제 3 부재(33)와 제 4 부재(34)로 4분할되어 있으며, 경첩으로서 구성된 접속부(30a, 30b, 30c)로 각 부재(31∼34)를 회동이 자유롭게 일체로 접속시키고 있으며, 제 1 부재(31)의 단부에 좌측 하우징(10)을 부착시키고, 제 2 부재(32)의 단부에 우측 하우징(20)을 부착시키고 있다.
좌측 하우징(10)이 부착된 제 1 부재(31)는, 장착시에 좌측의 귓바퀴의 상부에 위치하여, 귓바퀴에 유지시키는 후크로서 기능한다. 마찬가지로, 우측 하우징(20)이 부착된 제 2 부재(32)는, 장착시에 우측의 귓바퀴의 상부에 위치하여, 귓바퀴에 유지시키는 후크로서 기능한다. 제 1 부재(31)의 도중에는, 하측으로 신장된 좌측 귓바퀴 지지부(31a)가 설치되어 있다. 더구나, 제 4 부재(34)의 도중에도, 하측으로 신장된 우측 귓바퀴 지지부(32a)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귓바퀴 지지부(31a, 32a)가 장착시에 좌우의 귓바퀴의 후방에 위치하여, 하우징(10, 20)의 장착위치가, 좌우의 귓바퀴의 전면측으로 정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각 하우징(10, 20)의 장착시에 귓바퀴측과 접하는 면에는, 스폰지 등으로 구성된 이어패드(11, 21)가 부착되어 있으며, 그것의 내측에 드라이버 유니트가 배치되어 있어, 이어패드(11, 21)를 통해 출력된 음성(오디오)이 귓바퀴측에 닿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밴드(30)는, 전술한 것과 같이 4분할 구조로 되어 있어, 경첩으로서 구성된 각 접속부(30a, 30b, 30c)로 회동시키는 것으로, 헤드셋으로 소형으로 접을 수 있다. 즉, 접을 때에는, 후방 중앙의 접속부 30c에서는, 도 3에 화살표 a로 나타낸 것과 같이, 제 3 부재(33)와 제 4 부재(34)를 내측을 향하도록 절곡시킨다. 또한, 좌우의 접속부 30a, 30b에서는, 도 3에 화살표 b, c로 나타낸 것과 같이, 제 1 부재(31)와 제 2 부재(32)를 하측으로 절곡시킨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헤드셋의 수납시에 매우 소형으로 접을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의 밴드(30)의 내부에는, 좌측 하우징(10)과 우측 하우징(20)을 접속하는 신호선을 통과시키고 있으며, 헤드셋으로부터 외부로의 신호선(51, 52)의 인출은, 좌측 하우징(10)에서만 인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좌측 하우징(10)으로부터 외부로 인출된 2개의 신호선(51, 52)은, 일체로 되어 외부로 인출되어 있고, 신호선 51의 선단에 음성신호용 플러그(53)가 부착되어 있으며, 신호선 52의 선단에 마이크로폰용 플러그(54)가 부착되어 있다.
신호선(51, 52)을 사용한 배선예에 관해 도 12에 나타내면, 예를 들면, 음성신호용 플러그(53)의 좌측 전극(L)과 접지 전극(G)은, 좌측 하우징(10) 내의 드라이버 유니트 16L에 접속시키고 있으며, 음성신호용 플러그(53)의 우측 전극(R)과 접지 전극(G)은, 우측 하우징(20) 내의 드라이버 유니트 16R에 접속시키도록, 신호선 51로 접속시키고 있다. 또한, 마이크로폰용 플러그(54)의 각 전극은, 좌측 하우징(10) 내의 마이크로폰(44)에, 신호선 52로 접속시키고 있다.
본 실시예의 헤드셋을 통신기기 등의 전자기기에 접속할 때에는, 예를 들면 음성신호용 플러그(53)를, 기기의 음성 출력단자를 구성하는 잭에 삽입하고, 마이크로폰용 플러그(54)를, 기기의 음성 입력단자를 구성하는 잭에 삽입한다. 헤드셋을 헤드폰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음성신호용 플러그(53)만을, 헤드폰용의 출력단자를 구성하는 잭에 삽입시키고, 마이크로폰용 플러그(54)는 사용하지 않는다. 이때, 음성신호의 플러그(53)와 드라이버 유니트 16L, 16R을 접속하는 신호선 51에 관해서는, 좌우의 하우징(10, 20)을 접속하는 밴드(30) 내를 통과시키지 않고, 직 접 좌우의 하우징(10, 20)으로부터 인출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헤드셋의 좌측 하우징(10)에 부착된 아암 및 마이크로폰에 관계된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도 5, 도 6은, 아암(41)이 부착된 좌측 하우징(10)을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으로, 도 5는 분해사시도로서 나타내고, 도 6은 단면도로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7은 도 6과 동일한 단면으로 조립한 상태로서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의 좌측 하우징(10)은, 내부에 원형의 드라이버 지지부재(14)가 준비되고, 도 5에서는 이면측이 되는 드라이버 지지부재(14)의 내측에, 드라이버 유니트(16)가 부착되어 있으며, 그 드라이버 유니트(16)를 덮도록, 이어패드(11)가 부착된다. 드라이버 지지부재(14)의 측면에는, 밴드 접속구조(14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어패드(11)측에도, 접속된 밴드(30)를 후퇴시키기 위한 절결부(11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드라이버 지지부재(14)의 외측에는, 환형 단차부(14b)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단차부(14b)의 근방에, 스프링 걸림용 구멍(14c)이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걸림용 구멍(14c)은, 하우징의 조립시에, 후술하는 스프링(15)의 일단 15a가 삽입되어 걸린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드라이버 지지부재(14)의 외측에는, 마이크로폰 지지링(12)이 배치되고, 더구나 그것의 외측에는, 캡(13)이 배치된다. 마이크로폰 지지링(12)은, 후술하는 하우징의 조립시에는, 다른 부재(드라이버 지지부재(14), 캡(13) 등)에 대해 회동할 수 있는 상태로 배치된다.
마이크로폰 지지링(12)은, 외형이 캡(13)의 외형보다도 약간 큰 원형 형상으 로되어 있어, 후술하는 조립시에는 외주부가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한다. 이 외측으로 노출되는 외주부에는, 오목부(12a)를 소정 간격으로 복수 개소 설치되어 있으며, 더구나 외주부의 표면에는, 홈이 잘려져 있어, 조작시에 사용자가 링(12)을 잡기 쉽도록 되어 잇다. 마이크로폰 지지링(12)의 중심에는 원형 구멍(12b)이 형성되어 있으며, 드라이버 지지부재(14)의 환형 단차부(14b)에, 이 원형 구멍(12b)이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단, 조립시에는, 환형 단차부(14b)와 원형 구멍(12b) 사이에, 코일 형태의 스프링(15)이 배치되고, 그것을 위한 여유를 설치한 사이즈로 원형 구멍(12b)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코일형의 스프링(15)의 타단(15b)을 걸기 위한 스프링 걸림용 구멍(12c)을, 마이크로폰 지지링(12)에 형성시키고 있다.
마이크로폰 지지링(12)에는,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외주 근처의 소정 개소에 소형의 마이크로폰(44)이 고정되어 있다. 이 마이크로폰(44)에 접속된 신호선(52a, 52b)은, 도 3, 도 4에 나타낸 신호선(52)으로서 하우징(10)의 외부로 인출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하우징(10)의 내부에서는, 신호선(52a, 52b)은 충분한 느슨함을 갖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느슨함은, 마이크로폰 지지링(12)의 회동에 의해 마이크로폰(44)의 위치가 변하더라도, 신호선(52a, 52b)을 단선시키지 않기 위한 여유이다.
마이크로폰 지지링(12)에 고정된 마이크로폰(44)에는, 아암(41)이 접속되어 있다. 아암(41)은 유연성을 가져 절곡시키는 것이 가능한 속이 빈의 부재로 구성되고, 선단(41a)에는 원통 형상의 수지부재(42)가 고정되어 있으며, 기저단(41b)을, 마이크로폰(44)의 음성입력부(44a)에 접속시킨 상태에서, 링(12)측에 고정시키고 있다.
아암(41)의 선단에 부착된 수지부재(42)에는, 구멍(43)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선단의 구멍(43)으로부터 아암(41)의 기저단(41b)까지 내부가 도통한 속이 빈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마이크로폰 지지링(12)에 고정된 마이크로폰(44)의 음성입력부(44a)에, 아암(41)의 선단의 구멍(43)으로부터 입력된 소리가 닿게 되어, 아암(41)의 선단이 배치된 위치의 근방의 음성을 마이크로폰(44)이 얻게 된다.
아암(41)은, 여기서는 마이크로폰 지지링(12)의 외주부의 1 회전의 길이보다도 약간 짧은 길이로 되어 있다. 도 5에서는 설명을 위해 아암(41)과 캡(13)을 분리하여 나타내고 있지만, 실제로는, 아암(41)은, 캡(13)의 외주부에 설치된 관통 구멍(13a)을 통과하고 있으며, 그것의 관통 구멍(13a)으로부터 하우징의 외측으로 인출된 아암(41)의 선단(41a)에, 수지부재(42)가 부착되어 있다. 캡(13)에 설치된 관통 구멍(13a)은, 도 5에 점선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직선형으로 어느 정도의 길이(예를 들면 수 mm)를 갖는다. 캡(13)의 관통 구멍(13a)의 외측의 외주부에는, 아암 통과용 홈(13b)이 설치되어 있다. 이 아암 통과용 홈(13b)은, 예를 들면, 아암(41)의 선단의 수지부재(42)가 수납되도록 하는 형상으로 한다.
캡(13)의 내측에는,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환형 벽부(13c)가 형성되어 있다. 이 환형 벽부(13a)는, 하우징의 조립시에, 드라이버 지지부재(14)의 환형 단차부(14b)의 외측에 끼워맞추어진다. 이때, 캡(13)과 드라이버 지지부재(14)의 접합이 유지되도록, 환형 벽부(13a)측에 볼록부(13d)가 형성되고, 드라이버 지지부재(14)측에 오목부(14d)가 형성되어 있어, 하우징의 조립시에, 캡(13)측의 볼록부(13d)가, 드라이버 지지부재(14)측의 오목부(14d)에 끼워맞추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때, 도 5 등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캡(13)의 내측에는 회전 멈춤용 볼록부(후술하는 볼록부(13e): 도 9)가 설치되어 있고, 마이크로폰 지지링(12)측에는 회전 멈춤용 오목부(후술하는 오목부(12d): 도 9)가 설치되어 있으며, 링(12)이 소정의 회동 위치일 때, 캡(13)측의 볼록부와 링(12)측의 오목부가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좌측 하우징(10)의 조립상태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때, 도 7에서는, 스프링(15)의 배치상태는 생략되어 있다. 하우징(10)으로서 조립된 상태에서는, 스프링(15)의 일단(15a)은, 도 5에 나타낸 드라이버 지지부재(14)의 스프링 걸림용 구멍(14c)에 끼워넣어져 걸려 있고, 스프링(15)의 타단(15b)은, 도 5에 나타낸 마이크로폰 지지링(12)의 스프링 걸림용 구멍(12c)에 끼워넣어져 걸려 있으며, 드라이버 지지부재(14)의 환형 단차부(14b)와, 마이크로폰 지지링(12)의 원형 구멍(12b)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코일형의 스프링(15)을 배치한 상태에서, 마이크로폰 지지링(12)의 원형 구멍(12b)을, 드라이버 지지부재(14)의 환형 단차부(14b)에 끼워넣고, 더구나 캡(13)의 환형 벽부(13c)를, 드라이버 지지부재(14)의 환형 단차부(14b)에 끼워넣는다. 이때,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캡(13)측의 볼록부(13d)가, 드라이버 지지부재(14)측의 오목부(14d)에 끼워넣어져, 드라이버 지지부재(14)와 캡(13)이 일체로 결합된다. 그 사이의 마이크로폰 지지링(12)에 관해서는, 회동가능하다. 단, 스프링(15)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링(12)을 회동시킬 때에는, 스프링(15)의 탄 성력이 작용하게 된다.
마이크로폰 지지링(12)에 고정된 마이크로폰(44)에 접속된 아암(41)은, 하우징(10) 내에서는, 마이크로폰 지지링(12)과 캡(13) 사이의 공간의 외주부 근처의 공간에 배치되게 된다. 즉, 하우징(10)의 내부에서는, 도 6, 도 7에 나타낸 캡(13)의 내측의 환형 벽부(13c)보다도 외측으로 아암(41)이 위치하게 된다. 이때,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아암(41)의 위치가 정해지도록 하기 위해서, 홈 등의 어떠한 아암 지지기구를 설치하도록 하여도 된다.
그리고,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하우징으로서 조립된 상태에서는, 마이크로폰 지지링(12)의 외주부는 외측으로 노출하여, 이 링(12)의 외주부를 사용자가 잡고 회동시키는 것으로, 마이크로폰 지지링(12)에 고정된 마이크로폰(44)의 회동위치가 변화하여, 이 마이크로폰(44)에 접속된 아암(41)의, 캡(13)의 아암 인출용 구멍(13a)에서의 돌출 길이가 변화한다.
여기서, 아암 인출용 구멍(13a)은, 어느 정도의 길이가 직선형으로 형성되어 이기 때문에, 구멍(13a)에서 인출된 아암(41)은, 거의 직선형이 된다. 즉, 이미 설명한 것과 같이, 아암(41)은 유연성을 가져 절곡시키는 것이 가능한 속이 빈 부재로 구성되어, 하우징(10) 내에 수납된 상태에서는, 마이크로폰 지지링(12)의 외주부를 따른 원형 형상으로 되어 수납되지만, 직선형의 구멍(13a)에서 인출될 때에, 그 원형으로 구부러진 아암(41)이 직선형으로 교정되어, 하우징(10)으로부터 외부로 인출된다.
아암(41)의 구성으로서는,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두께를 얇게 하여 황동 등의 자유롭게 구부러지는 소재로 이루어진 금속제 파이프(41c)의 표면에, 유연성을 갖는 수지 튜브(41d)를 씌워 구성된다. 그리고, 아암(41)의 선단에, 수지부재(42)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 수지부재(42)에 설치한 구멍(43)이, 파이프(41c)의 내부와 도통상태가 되도록 되어 있다. 선단의 수지부재(42)에는, 복수 개소(예를 들면 표면과 이면 등)에 구멍(43)을 설치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황동 등의 금속제 파이프(41c)로 아암(41)이 구성됨으로써, 캡(13)의 직선형의 구멍(13a)에서 인출된 아암(41)이, 양호하게 직선형으로 교정되게 된다.
그리고, 마이크로폰 지지링(12)을 회동시켜, 아암(41)을 캡(13)의 구멍(13a)에서 가장 길게 인출한 상태의 회동위치로 하였을 때,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이, 마이크로폰 지지링(12)의 회전 멈춤용 오목부(12d)에, 캡(13)측의 회전멈춤용 볼록부(13e)가 끼워넣어져, 스프링(15)의 탄성력에 의한 힘이 링(12)에 작용하더라도, 마이크로폰 지지링(12)의 회전이 멈추어, 아암(41)이 인출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즉,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이, 마이크로폰 지지링(12)에 걸린 코일형의 스프링(15)은, 링(12)을 캡(13)측으로 누르는 힘 x와, 링(12)을 회전시키는 힘 y가 작용하지만, 캡(13)측의 볼록부(13e)가 링측의 오목부(12d)에 끼워넣어짐으로써, 회전력 y에 저항하여 링(12)의 회동위치가 정해져, 링(12)에 부착된 아암(41)이, 캡(13)의 구멍(13a)으로부터 신장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링(12)의 외주부를 외측에서 누르는 방향의 힘(도 9에 나타낸 방향 P의 힘)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외부에서 가해지면, 캡(13)측의 볼록부(13e) 가, 링(12)측의 오목부(12d)에서 빠져, 링(12)이 스프링(15)의 탄성력에 의해 회동하고, 아암(41)이 구멍(13a)으로부터 하우징 내부에 인입되어, 하우징(10) 내에 권회 수납되게 된다. 아암(41)이 하우징(10) 내에 권회 수납된 상태에서는,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아암(41)의 선단의 수지부재(42)만이, 캡(13)의 구멍(13a)으로부터 외측으로 나와 있는 상태가 된다.
도 10은, 아암(41)을 신장시킨 상태에서의 좌측 하우징(10)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와 같이 아암(41)을 인출한 상태에서는, 아암(41)이 거의 직선형으로 신장되어, 아암(41)의 선단의 수지부재(42)가, 장착자의 입가의 근처에 위치하게 된다. 즉, 도 1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사용자의 좌우의 귓바퀴(e1, e2)에 하우징(10, 20)을 장착시켜, 아암(41)을 신장시키는 것으로, 아암(41)의 선단의 수지부재(42)가, 장착자의 입(m)의 근처에 위치하여, 수지부재(42)에 설치된 구멍(43)에서 입력한 소리를, 하우징(10) 내부의 마이크로폰(44)이 얻게 되고, 장착자가 이야기하는 소리를 양호하게 마이크로폰(44)이 얻게 된다.
이때,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아암(41)으로서, 황동 등의 금속제 파이프를 사용한 구성으로 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아암(41)이 신장된 상태에서, 아암(41)을 장착자가 직접 손으로 잡고, 선단의 수지부재(42)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단순히 아암(41)을 인출하는 것만으로는, 거의 직선형으로 신장될 뿐이지만, 도 1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수지부재(42)가 부착된 선단만을, 장착자의 입(m)쪽을 향하도록 약간 구부려도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헤드셋에 따르면, 좌측 하우징(10)에 부착된 아암(41)이 신축이 자유롭게, 하우징(10)에서 인출됨으로써, 하우징(10)에 부착된 마이크로폰(44)이 장착자가 이야기하는 소리를 얻게 되어, 헤드셋으로서 양호하게 기능한다. 그리고, 마이크로폰을 사용할 필요가 없고, 단순히 헤드폰으로서만 사용하고 싶은 경우에는, 아암(41)을 하우징(10) 내에 권회 수납시키면,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간신히 아암(41)의 선단의 수지부재(42)만이 하우징(10)으로부터 돌출된 상태가 되고, 통상의 헤드폰과 거의 같은 형상이 되어, 헤드폰으로서 양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밴드(30)를 접어 헤드셋을 수납할 때에도, 이와 같이 아암(41)을 권회 수납시키는 것으로, 아암(41)이 수납시에 방해가 되지 않아, 운반 등에 편리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아암(41)이 접속된 마이크로폰 지지링(12)에 스프링(15)을 걸어, 이 스프링(15)에 의해 링(12)이 회동하여, 그 힘으로 아암(41)이 하우징(10) 내에 인입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수납시에는, 캡(13)측의 볼록부(13e)와 링(12)측의 오목부(12d)가 끼워넣어진 상태를 해제시키는 것만으로, 자동적으로 아암(41)이 하우징(10) 내에 감겨넣어져, 용이하게 수납상태로 할 수 있다.
이때,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0) 내에 마이크로폰(44)을 배치하고, 속이 빈 아암(41)만을 신장시키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아암의 선단에 직접 마이크로폰을 부착하도록 하여도 된다. 즉, 예를 들면 도 1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좌측 하우징을 구성하는 캡(13)의 구멍(13a)에서 인출되는 아암(41)의 선단에, 마 이크로폰(45)을 부착하고, 그 마이크로폰(45)이, 직접 장착자의 이야기하는 소리 등을 얻도록 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는, 마이크로폰(45)에 접속된 신호선을, 아암(41)의 내부를 통과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마이크로폰은 신호선을 통해 직접 플러그(54)에 접속하도록 하였지만, 마이크로폰으로부터의 출력을 뮤트상태로 하는 스위치를 도중에 설치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 경우, 스위치는,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는 스위치로 하는 경우 이외에, 아암(41)을 수납하였을 때, 자동적으로 뮤트 상태가 되도록 하여도 된다.
도 14는, 아암의 수납에 연동한 뮤트 스위치(17)를 설치한 경우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예를 들면, 캡(13)'의 내측에, 뮤트 스위치(17)를 설치하여, 아암(41)이 스프링(15)의 힘으로 수납된 상태의 링(12')의 위치일 때, 링(12')이 뮤트 스위치(17)를 눌러, 마이크로폰으로부터의 출력이 뮤트상태가 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아암(41)을 인출하였을 때, 자동적으로 마이크로폰이 이야기하는 소리 등을 얻게 되고, 아암(41)을 하우징(10) 내에 수납하였을 때, 자동적으로 마이크로폰이 뮤트상태가 되어, 노이즈 등을 얻게 되는 일이 없어진다.
도 15는, 이 뮤트 스위치(1)의 접속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 17에 나타낸 것과 같이, 뮤트 스위치(1)는, 마이크로폰(44)과 플러그(54)의 사이의 신호선의 도중에 설치하면 된다. 드라이버 유니트(16L, 16R)측의 신호선에는, 스위치를 설치할 필요는 없다.
또한,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아암으로서 하우징 내에 권회 수납시 키는 구성을 나타내었지만, 하우징의 내부에서도 직선형으로 수납되는 아암으로서 구성하여도 된다. 즉, 예를 들면 도 16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하우징(80)의 내부에 마이크로폰을 부착하고, 이 마이크로폰에 아암(83)의 단부를 접속해 놓는다. 그리고, 캡(81)의 구멍(81a)으로부터, 아암(83)의 선단(84)을 외측으로 직선형으로 신장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한다. 이때, 사용자의 귓바퀴에 장착된 하우징(80)으로부터, 경사지게 밑으로 거의 45°의 각도로 신장되도록 하여, 아암(83)의 선단(84)을 장착자의 입가에 가까운 위치로 한다. 아암(83)을 하우징(80) 내에 수납시킬 때에도, 점선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직선형으로 수납되도록 한다. 하우징(80)은, 루크(82)에 의해 사용자의 귓바퀴에 장착되도록 하고, 하우징(80)으로부터 외부로 신호선(85)을 인출하는 구성으로 한다.
이 도 16에 나타낸 구성으로 하는 것에서도, 아암이 신축이 자유로운 헤드셋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단, 이 도 16에 나타낸 구성의 경우에는, 아암의 길이를, 그 만큼 길게 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아암의 선단(84)이, 장착자의 입가의 근처로 하는 것은 곤란하지만, 이 정도의 길이의 아암으로 장착자가 이야기하는 소리를 얻는 것은 마이크로폰의 성능상에서는 문제가 없다.
이때, 도 16에 나타낸 예에서는, 좌측 하우징만을 나타내고 있지만, 헤드셋으로서, 이와 같은 한쪽의 하우징만을 구비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도 3∼도 13에 나타낸 예의 경우에 관해서도, 아암이 부착된 좌측 하우징만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그 좌측 하우징을 귓바퀴에 장착시키는 후크를 설치하며, 밴드를 설치하지 않은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지금까지의 설명에서는, 좌측 하우징에 아암 및 마이크로폰을 부착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우측 하우징에 아암 및 마이크로폰을 설치하고, 좌측 하우징에는, 이들 부재를 설치하지 않는 좌우 반대의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더구나, 좌우의 하우징을 접속하는 밴드로서, 장착자의 후두부를 통과하는 소위 네크밴드 방식의 밴드로서 구성하였지만, 장착자의 두부 위쪽을 통과하는 밴드로, 좌우의 하우징을 접속하여도 된다. 즉, 예를 들면 도 1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좌측 하우징(90)으로서, 캡(91)의 아암 인출용 구멍(91a)으로부터, 아암(93)을 인출하는 구성으로 하고, 아암(93)의 선단의 수지부재(94)가 장착자의 입가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에, 좌측 하우징(90)과 도시하지 않은 우측 하우징을, 장착자의 두부 위쪽을 통과하는 밴드(92)로 접속하도록 구성한다. 신호선(95)에 관해서는, 좌측 하우징(90)으로부터 인출한다. 이러한 형상의 헤드셋의 경우에도, 전술한 예의 헤드셋과 동일하게 기능한다. 더구나, 그 밖의 형상의 하우징이나 밴드 등을 적용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헤드셋에 따르면, 마이크로폰이 부착된 아암을, 하우징으로부터 인출하는 것으로, 아암의 선단을 장착자의 입가에 가까운 장소로 할 수 있어, 장착자가 이야기하는 음성을 마이크로폰으로 얻을 수 있으며, 헤드셋로서 양호하게 기능한다. 그리고, 마이크로폰을 사용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아암을 하우징 내에 수납시키는 것으로, 아암이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게 되어, 마이크로폰이 부 착되어 있지 않은 일반적인 헤드폰과 거의 같은 형상이 되고, 아암 수납시의 사용의 편이성이나 휴대성이 향상된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인용부호의 설명)
1… 좌측 하우징
2… 우측 하우징
3… 밴드
4… 아암
5… 지지부재
6… 마이크로폰
10… 좌측 하우징
11… 이어패드
11a… 절결부
12, 12'… 마이크로폰 지지링
12a: 오목부
12b… 원형 구멍
12c… 스프링 걸림용 구멍
12d… 회전 멈춤용 오목부
13, 13'… 캡
13a… 아암 인출용 구멍
13b… 아암 통과용 홈
13c… 환형 벽부
13d… 볼록부
13e… 회전멈춤용 볼록부
13f… 누름핀
14… 드라이버 지지부재
14a… 밴드 접속구조
14b… 환형 단차부
14c… 스프링 걸림용 구멍
14d… 오목부
15… 스프링
15a… 스프링의 일단
15b… 스프링의 타단
16L, 16R… 드라이버 유니트
17… 뮤트 스위치
20… 우측 하우징
21… 이어패드
21a… 절결부
22… 캡
30… 밴드
30a, 30b, 30c… 밴드 접속부
31, 32, 33, 34… 밴드를 구성하는 부재
31a… 좌측 귓바퀴 지지부
32a… 우측 귓바퀴 지지부
41… 아암
41a… 아암의 선단
41b… 아암의 기저단
41c… 금속제 파이프
41d… 수지튜브
42… 아암 선단용 수지부재
43… 구멍
44, 45… 마이크로폰
51, 52, 52a, 52b… 신호선
53… 음성 신호용 플러그
54… 마이크로폰용 플러그
80… 하우징
8… 캡
81a… 아암 인출용 구멍
82… 후크
83… 아암
84… 아암 선단용 캡
85… 신호선
90… 좌측 하우징
91… 캡
91a… 아암 인출용 구멍
92… 밴드
93… 아암
94… 아암 선단용 캡
95… 신호선

Claims (14)

  1. 장착자의 한쪽의 귓바퀴에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납되고, 공급되는 음성신호에 대응한 음성을 출력하는 드라이버 유니트와,
    일단측이 하우징 내에 수납되고, 타단측이 하우징의 구멍으로부터 외부로 인출되며, 하우징의 구멍으로부터 외부로 인출되는 길이의 조정으로, 하우징 내에 수납가능한 길이의 아암과,
    상기 아암에 부착된 마이크로폰을 구비하고,
    상기 아암은, 탄성을 갖는 속이 빈 파이프로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 내의 최외주부에 감겨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아암의 일단이 부착되어,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동할 수 있는 아암 부착부재를 설치하고,
    이 아암 부착부재의 회동으로 상기 아암이 상기 하우징 내의 최외주부에 감기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 부착부재는, 권취 스프링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 아래쪽에 접속시켜, 상기 권취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한 상기 아암 부착부재의 회동으로, 상기 아암이 하우징 내에 감기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의 타단측이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인출된 위치에서, 아암 부착부재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 위쪽에 걸리는 회동 멈춤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구멍의 근방에, 직선형 또는 상기 아암의 감긴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아암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 부착된 상기 아암의 일단에 상기 마이크로폰을 부착하고, 상기 아암의 선단에 구멍을 설치하여, 이 아암의 선단의 구멍으로부터 입력된 소리를 상기 마이크로폰이 얻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에 접속된 신호선을, 상기 하우징 내에서 느슨함을 갖게 하여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구멍으로부터 외부로 인출되는 상기 아암의 타단에 상기 마이크로폰을 부착하고, 이 마이크로폰에 접속된 신호선을 속이 빈 아암의 내부에 배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이 상기 하우징 내에 수납된 상태일 때, 상기 마이크로폰의 출력을 뮤트상태로 하는 스위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으로서, 형상기억합금으로 구성시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된 경우에, 기억된 형상이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으로서, 상기 하우징의 구멍으로부터 직선형으로 하우징 내에 수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13. 제 1항에 있어서,
    장착자의 다른 쪽의 귓바퀴에 장착되는 제 2 하우징을 설치하고, 이 제 2 하우징에는, 음성을 출력하는 드라이버 유니트를 설치하며, 아암 및 마이크로폰을 설치하지 않은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귓바퀴에 장착하는 하우징과 다른 쪽의 귓바퀴에 장착하는 하우징을 접속하는 밴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KR1020047009257A 2001-12-18 2002-12-16 헤드셋 KR1009454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84951 2001-12-18
JP2001384951A JP3541833B2 (ja) 2001-12-18 2001-12-18 ヘッドセット
PCT/JP2002/013126 WO2003053096A1 (fr) 2001-12-18 2002-12-16 Casque d'ecou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5582A KR20040065582A (ko) 2004-07-22
KR100945470B1 true KR100945470B1 (ko) 2010-03-05

Family

ID=19187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9257A KR100945470B1 (ko) 2001-12-18 2002-12-16 헤드셋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120267B2 (ko)
JP (1) JP3541833B2 (ko)
KR (1) KR100945470B1 (ko)
CN (1) CN1605224A (ko)
WO (1) WO200305309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19770B2 (en) 2012-01-09 2016-04-19 Skullcandy, Inc. Audio devices configured to emit differing sound profiles and related method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65881B1 (fr) * 2004-01-29 2006-04-14 Mathieu Garin Casque audio
WO2005104604A1 (ja) * 2004-04-23 2005-11-03 Memory E. Inc. イヤホンマイクのハウリング現象を防止する配線法
US20060080431A1 (en) * 2004-10-12 2006-04-13 Cheng-Hsien Chao MP3 headphone structure
GB2425434B (en) * 2005-04-20 2008-06-04 Racal Acoustics Ltd Headwear apparatus
KR100703323B1 (ko) * 2005-11-03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헤드셋
US20080044002A1 (en) * 2006-07-19 2008-02-21 Bevirt Joeben Wireless headset with extendable microphone
JP4289376B2 (ja) 2006-08-18 2009-07-01 ソニー株式会社 ヘッドセット
US20080146290A1 (en) * 2006-12-18 2008-06-19 Motorola, Inc. Changing a mute state of a voice call from a bluetooth headset
WO2008077424A2 (en) * 2006-12-22 2008-07-03 Nokia Corporation Apparatus for audio communication
EP1968344A1 (en) * 2007-03-09 2008-09-10 Wang, Chien-chi Headphone with expansion space in either receiver
EP1968343A1 (en) * 2007-03-09 2008-09-10 Wang, Chien-chi Headphone with components secured together by snapping
JP4946538B2 (ja) * 2007-03-13 2012-06-06 ソニー株式会社 ヘッドホン装置
WO2008112302A1 (en) * 2007-03-14 2008-09-18 Joby, Inc. Wireless headset with microphone boom with new bending properties
JP2008283326A (ja) * 2007-05-09 2008-11-20 Nappu Enterprise Kk イヤホーンマイク
DK176809B1 (da) * 2007-06-26 2009-10-12 Gn Netcom As Hovedsæt med sammenklappelig mikrofonarm
US20090005179A1 (en) * 2007-06-28 2009-01-01 Konstantinos Ioannis Petsalis Gaming Headgear
JP2009055251A (ja) * 2007-08-24 2009-03-12 Sony Corp ヘッドホン装置
US8139807B2 (en) * 2007-12-17 2012-03-20 Astro Gaming, Inc. Headset with noise plates
US8374374B2 (en) * 2008-01-07 2013-02-12 Plantronics, Inc. Headset with a pivoting microphone arm
US9036849B2 (en) * 2008-08-12 2015-05-19 Plantronics, Inc. Headset with stowable boom
US8498425B2 (en) * 2008-08-13 2013-07-30 Onvocal Inc Wearable headset with self-contained vocal feedback and vocal command
EP2371144A4 (en) 2008-11-25 2013-01-09 Skullcandy Inc INTERCHANGEABLE AUDIO HEADPHONE SYSTEM
JP5269618B2 (ja) * 2009-01-05 2013-08-21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骨伝導マイクロホン内蔵ヘッドセット
US9237395B2 (en) 2009-11-25 2016-01-12 Skullcandy, Inc. Modular audio systems and related assemblies and methods
DE102012017980A1 (de) 2012-09-12 2014-03-13 Audi Ag Mikrofonvorrichtung zum Einbauen in einen Kraftwagen
USD783003S1 (en) 2013-02-07 2017-04-04 Decibullz Llc Moldable earpiece
CN103501475A (zh) * 2013-10-15 2014-01-08 李珊 一种防缠绕耳机
DE102013222231A1 (de) * 2013-10-31 2015-04-30 Sennheiser Electronic Gmbh & Co. Kg Hörer
USD750039S1 (en) * 2014-05-08 2016-02-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Headphone
WO2016069866A2 (en) 2014-10-30 2016-05-06 Smartear, Inc. Smart flexible interactive earplug
USD777710S1 (en) * 2015-07-22 2017-01-31 Doppler Labs, Inc. Ear piece
KR101693442B1 (ko) * 2015-11-20 2017-01-05 이승철 귀걸이 타입의 마이크
USD798843S1 (en) * 2016-01-19 2017-10-03 Smartear, Inc. In-ear utility device
USD794611S1 (en) * 2016-01-19 2017-08-15 Smartear, Inc. In-ear utility device
USD801950S1 (en) 2016-02-19 2017-11-07 Sony Mobile Communications Inc. Communication device
USD795224S1 (en) * 2016-03-08 2017-08-22 Smartear, Inc. In-ear utility device
USD796486S1 (en) * 2016-03-13 2017-09-05 Huiyang District Yonghu Town Xingcheng Electronic Processing Plant Wireless headset
JP1567613S (ko) * 2016-05-05 2017-01-23
US20170347177A1 (en) 2016-05-25 2017-11-30 Smartear, Inc. In-Ear Utility Device Having Sensors
US10045130B2 (en) 2016-05-25 2018-08-07 Smartear, Inc. In-ear utility device having voice recognition
USD813848S1 (en) * 2016-06-27 2018-03-27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Ear piece
CN109479169B (zh) * 2016-06-29 2020-12-04 3M创新有限公司 一种改装听力保护器的方法和听力保护器
USD817309S1 (en) * 2016-12-22 2018-05-08 Akg Acoustics Gmbh Pair of headphones
USD841626S1 (en) * 2017-04-25 2019-02-26 Chunhua Tang Wireless headset
US10410634B2 (en) 2017-05-18 2019-09-10 Smartear, Inc. Ear-borne audio device conversation recording and compressed data transmission
USD851072S1 (en) * 2017-06-22 2019-06-11 Fka Distributing Co., Llc Earphone component
USD833420S1 (en) * 2017-06-27 2018-11-13 Akg Acoustics Gmbh Headphone
USD845932S1 (en) * 2017-08-31 2019-04-16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Headphone
US10582285B2 (en) 2017-09-30 2020-03-03 Smartear, Inc. Comfort tip with pressure relief valves and horn
USD883491S1 (en) 2017-09-30 2020-05-05 Smartear, Inc. In-ear device
USD863260S1 (en) * 2017-12-08 2019-10-15 Shenzhen Sabbat Technology Development Co., Ltd. Pair of wireless earphones
USD870708S1 (en) 2017-12-28 2019-12-24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Headphone
USD858489S1 (en) * 2018-01-04 2019-09-03 Mpow Technology Co., Limited Earphone
TWI781990B (zh) * 2018-03-15 2022-11-01 圓剛科技股份有限公司 頭戴式耳機
USD868750S1 (en) * 2018-05-07 2019-12-03 Bin Zheng Wireless earphone
USD866531S1 (en) * 2018-06-12 2019-11-12 Ji-Lin Zeng Earphone
USD863263S1 (en) * 2018-06-18 2019-10-15 Yanzhu Yu Earphone
USD864167S1 (en) * 2018-07-02 2019-10-22 Shenzhen Meilianfa Technology Co., Ltd. Earphone
USD880457S1 (en) * 2018-07-17 2020-04-07 Ken Zhu Pair of wireless earbuds
USD872064S1 (en) * 2018-08-15 2020-01-07 Guangzhou Lanshidun Electronic Limited Company Earphone
USD887395S1 (en) * 2019-01-10 2020-06-16 Shenzhen Earfun Technology Co., Ltd. Wireless headset
USD852171S1 (en) * 2019-01-23 2019-06-25 Guangzhou Lanshidun Electronic Limited Company Earphone
USD892086S1 (en) * 2019-02-01 2020-08-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earphones
JP7212935B2 (ja) 2019-03-01 2023-01-26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ヘッドセット
JP7305162B2 (ja) 2019-06-19 2023-07-10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音電気変換装置
USD862425S1 (en) * 2019-06-21 2019-10-08 Shenzhen Grandshine Technology Co., Ltd. Wireless headset
USD915346S1 (en) * 2019-08-27 2021-04-06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Headphone
USD916048S1 (en) * 2019-08-27 2021-04-13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Headphone
USD920288S1 (en) * 2019-09-04 2021-05-25 Skullcandy, Inc. Earbud headset
USD1011310S1 (en) * 2020-01-28 2024-01-16 Bose Corporation Audio headset
USD940689S1 (en) * 2020-03-04 2022-01-11 Luxshare Precision Industry Co., Ltd. Wireless headset
USD891397S1 (en) * 2020-04-13 2020-07-28 Fanguang Zeng Ear pad
USD897999S1 (en) * 2020-06-12 2020-10-06 Feng Li Earphone
USD976872S1 (en) * 2021-05-14 2023-01-31 Ugreen Group Limited Earphone
JP1700975S (ko) * 2021-06-16 2021-11-29
JP1700974S (ko) * 2021-06-16 2021-11-29
USD980826S1 (en) * 2021-06-18 2023-03-14 Bose Corporation Earbud
USD971890S1 (en) * 2021-06-24 2022-12-06 Shenzhen Xinzhengyu Technology Co., Ltd Earphones
US11700474B2 (en) * 2021-06-24 2023-07-11 New Audio LLC Multi-microphone headset
TWD222256S (zh) * 2021-10-27 2022-11-21 法商路易威登馬爾悌耶公司 耳機
USD1015307S1 (en) * 2022-04-22 2024-02-20 Ugreen Group Limited Earphone
US20240080598A1 (en) * 2022-09-07 2024-03-07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LLC Headset with reciprocating microphone support
USD983768S1 (en) * 2022-10-08 2023-04-18 Yingshan Wu Earphon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3906A (ja) * 1995-04-21 1996-11-05 Hosiden Corp イヤーセットマイクロホン
KR200228489Y1 (ko) * 2001-01-18 2001-06-15 주식회사서원케이텍크 헤드셋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0297A (en) * 1976-01-15 1977-04-26 Brodie S Dan Adjustable headset
JPS616708Y2 (ko) * 1980-09-08 1986-02-28
JPS6055675B2 (ja) 1980-09-12 1985-12-06 松下電工株式会社 自動扉の防振構造
JPS59125187A (ja) 1983-01-04 1984-07-19 Nec Corp 自動給電遮断回路
JPS59125187U (ja) * 1983-01-12 1984-08-23 日本コロムビア株式会社 ヘツドホン
US4882745A (en) * 1987-05-08 1989-11-21 Silver Alan H Cordless headset telephone
US5339461A (en) * 1991-09-20 1994-08-16 Luplow Harley M Compact radio frequency receiver having take-up spool housed earphone conductors
FR2746997B1 (fr) * 1996-03-28 1998-11-20 Pralus Charles Ensemble telephonique transformable en casque telephonique
US6178251B1 (en) * 1998-07-02 2001-01-23 Labtec Corporation Collar microphone
US6269259B1 (en) * 1999-05-11 2001-07-31 Sun-Long Lai Receiver set for desktop and mobile phones
US7013009B2 (en) * 2001-06-21 2006-03-14 Oakley, Inc. Eyeglasses with wireless communication features
US20030003969A1 (en) * 2001-06-29 2003-01-02 Eric Tong Cellular telephone headset
US7257422B2 (en) * 2001-09-24 2007-08-14 Loprete Joseph A Portable radiotelephone apparatus
TW547882U (en) * 2002-12-13 2003-08-11 Chang-Ning Hung Earphone capable of automatically receiving the earphone wi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3906A (ja) * 1995-04-21 1996-11-05 Hosiden Corp イヤーセットマイクロホン
KR200228489Y1 (ko) * 2001-01-18 2001-06-15 주식회사서원케이텍크 헤드셋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19770B2 (en) 2012-01-09 2016-04-19 Skullcandy, Inc. Audio devices configured to emit differing sound profiles and relate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008184A1 (en) 2005-01-13
US7120267B2 (en) 2006-10-10
KR20040065582A (ko) 2004-07-22
JP3541833B2 (ja) 2004-07-14
CN1605224A (zh) 2005-04-06
WO2003053096A1 (fr) 2003-06-26
JP2003188967A (ja) 200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5470B1 (ko) 헤드셋
JP2008288960A (ja) 吊下げ装置
US20130129138A1 (en) Multi-function phone case integrating retractable earphones
US20050157903A1 (en) Headset
US20020193151A1 (en) Cell phone retractable earpiece
KR20010029979A (ko) 마이크로폰
KR20030009351A (ko) 헤드폰장치
JP3973555B2 (ja) ヘッドセット
CN101060722B (zh) 耳机装置
US6285756B1 (en) Multifunctional device free of holding telephone
KR200364568Y1 (ko) 코드선의 길이 조절이 용이한 이어폰
JP3361304B2 (ja) 携帯電話機アタッチメント、及びアタッチメント付き携帯電話機
JP3557336B2 (ja) マイクロホン付きイヤホン
KR200218603Y1 (ko) 이어폰 줄 내장 인형
KR100976786B1 (ko) 헤드셋
KR101939921B1 (ko) 블루투스 이어셋
KR200385670Y1 (ko) 이어마이크 어셈블리
KR20050093538A (ko) 릴 타입 이어마이크폰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JP2008099124A (ja) 携帯電話用耳掛け式イヤホンマイク
WO2003043296A1 (en) Cable winder for a telephone set
KR20220072388A (ko) 재사용이 가능한 기능성 마스크
KR20220060765A (ko) 슬라이드형 뜰채
JP3081639U (ja) ヘッドバンド付きテレホルダー
JP2001346287A (ja) プラグコード巻き取り式イヤホン
JP2002027078A (ja) コード卷取器付きイヤホーンマイ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