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3442B1 - 귀걸이 타입의 마이크 - Google Patents

귀걸이 타입의 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3442B1
KR101693442B1 KR1020150162903A KR20150162903A KR101693442B1 KR 101693442 B1 KR101693442 B1 KR 101693442B1 KR 1020150162903 A KR1020150162903 A KR 1020150162903A KR 20150162903 A KR20150162903 A KR 20150162903A KR 101693442 B1 KR101693442 B1 KR 101693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user
fixing member
cable
microphon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2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철
Original Assignee
이승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철 filed Critical 이승철
Priority to KR1020150162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3442B1/ko
Priority to JP2018545789A priority patent/JP2018538767A/ja
Priority to US15/777,638 priority patent/US10341753B2/en
Priority to CN201680067864.2A priority patent/CN108293156A/zh
Priority to PCT/KR2016/012765 priority patent/WO2017086640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3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3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66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interconnection between earpiece and earpiece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7Monophonic and stereophonic headphones with microphone for two-way hands fre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귀걸이 타입의 마이크에 관한 것으로 귀에 걸어 사용되는 마이크에 있어서, 사용자의 양쪽 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양단이 상기 2개의 고정부재에 각각 위치되는 탄성이 있는 부재로 제작되어 일측이 사용자의 목에 밀착되는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스피커 및, 상기 케이블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음성을 입력하는 마이크부로 구성되되, 사용자가 상기 마이크부를 통해 음성 입력시 상기 마이크부에 힘을 가하면 상기 케이블이 늘어나서 상기 마이크부가 사용자의 목에서 입 주위로 이동하고, 상기 마이크부에 가해진 힘이 제거되면 상기 케이블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마이크부가 사용자의 입 주위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인 활동시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에 고정되어 사용자의 활동성을 높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고정부재의 양단이 귀를 무는 형식으로 되어 있어 마이크를 꽂고 각종 행위를 하여도 종래에 비해 마이크가 귀에서 이탈의 염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단순히 고정부재를 벌렸다 놓는 행위만으로도 귀에 고정시킬 수 있어 마이크의 착용 및 분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귀걸이 타입의 마이크{A microphone of earring type}
본 발명은 귓바퀴에 걸어 간편하게 사용하는 귀걸이 타입의 마이크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이나 휴대용 음향기기에 이어폰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통신용 단말기인 스마트폰은 음향기능을 이용하면서 통신 기능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통신기능을 이용하는 경우 이어폰(earphone)과 마이크(mic)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마이크(EAR-MIC)가 필요한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마이크는 스마트폰이나 휴대용 음향기기와 연결된 형태로 이용되는데 연결부가 길어지는 경우 보관상의 문제로 길게 늘어지거나 꼬이거나 엉킴이 발생하여 미관상 문제가 될 수 있으며 부분적으로 접히거나 꺽임으로 인하여 전기선에 파손 또는 손상이 발생하여 마이크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제10-2001-0053019호(2001. 08. 30.)에 의한 것으로 “핸드폰 겸용 헤드셋”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마이크를 사용하기 위하여 마이크대로부터 잡아당기는 경우, 마이크의 위치가 사용자 입의 위치로부터 비교적 멀어지게 되어 잡음이 입력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1-0053019호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과 필요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마이크를 귀에 간단하게 고정시켜 사용자의 활동성을 높이고, 마이크가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의 입 주위에 손쉽게 배치되도록 하여 마이크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관을 개선하여 선호도를 높이는 귀걸이 타입의 마이크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발명은 귀에 걸어 사용되는 마이크에 있어서, 사용자의 양쪽 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양단이 상기 2개의 고정부재에 각각 위치되는 탄성이 있는 부재로 제작되어 일측이 사용자의 목에 밀착되는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스피커 및, 상기 케이블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음성을 입력하는 마이크부로 구성되되, 사용자가 상기 마이크부를 통해 음성 입력시 상기 마이크부에 힘을 가하면 상기 케이블이 늘어나서 상기 마이크부가 사용자의 목에서 입 주위로 이동하고, 상기 마이크부에 가해진 힘이 제거되면 상기 케이블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마이크부가 사용자의 입 주위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 타입의 마이크를 제공한다.
또 다른 본원발명은 귀에 걸어 사용되는 마이크에 있어서, 사용자의 양쪽 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양단이 상기 2개의 고정부재 각각에 위치하도록 고정되는 부재로 일측이 사용자의 턱의 앞쪽에 밀착되는 케이블과, 양단이 상기 케이블의 일측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각각 결합되되 상기 케이블이 사용자의 앞턱에 밀착될 때 사용자의 안쪽 턱에 밀착되는 제2탄성체와, 상기 케이블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스피커 및, 상기 케이블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음성을 입력하는 마이크부로 구성되되, 사용자 턱이 상기 케이블과 상기 제2탄성체가 형성하는 구멍에 삽입되어 있어 사용자가 턱을 움직일 때 상기 제2탄성체의 탄력으로 인해 상기 케이블이 사용자의 앞턱에 밀착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 타입의 마이크를 제공한다.
또 다른 본원발명은 귀에 걸어 사용되는 마이크에 있어서, 사용자의 한쪽 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위치되도록 고정되는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의 일단에 결합되는 스피커 및, 일단이 상기 케이블에 연결되도록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고 타단이 외력으로 인출되는 것으로 음성을 입력하는 마이크부로 구성되되, 사용자가 상기 마이크부를 통해 음성 입력시 상기 마이크부에 힘을 가해 상기 마이크부가 입 주위에 오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 타입의 마이크를 제공한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일반적인 활동시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에 고정되어 사용자의 활동성을 높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고정부재의 양단이 귀를 무는 형식으로 되어 있어 마이크를 꽂고 각종 행위를 하여도 종래에 비해 마이크가 귀에서 이탈의 염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단순히 고정부재를 벌렸다 놓는 행위만으로도 귀에 고정시킬 수 있어 마이크의 착용 및 분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사용자가 마이크 사용시 간단히 마이크가 입주위에 위치되도록 하여 주변의 잡음이 입력되지 않고 깨끗한 음원이 입력될 수 있고, 마이크에 가해진 하중이 제거되면 바로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어 사용자가 원활하게 활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원발명인 귀걸이 타입의 마이크의 일실시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2는 도1의 마이크부에 작동버튼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도1의 제1고정부재에 본체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도1의 제1고정부재에 제1탄성체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본원발명인 귀걸이 타입의 마이크의 제2실시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6은 본원발명인 귀걸이 타입의 마이크의 제3실시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7은 도6의 마이크부에 작동버튼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은 본원발명인 귀걸이 타입의 마이크의 제4실시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9는 도8의 제1고정부재에 장공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0은 본원발명인 귀걸이 타입의 마이크의 제5실시예에 관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 타입의 마이크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이나 휴대용 음향기기에 이어폰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통신용 단말기인 스마트폰은 음향기능을 이용하면서 통신 기능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통신기능을 이용하는 경우 이어폰(earphone)과 마이크(mic)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마이크(EAR-MIC)가 필요한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마이크는 스마트폰이나 휴대용 음향기기와 연결된 형태로 이용되는데 연결부가 길어지는 경우 보관상의 문제로 길게 늘어지거나 꼬이거나 엉킴이 발생하여 미관상 문제가 될 수 있으며 부분적으로 접히거나 꺽임으로 인하여 전기선에 파손 또는 손상이 발생하여 마이크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제10-2001-0053019호(2001. 08. 30.)에 의한 것으로 “핸드폰 겸용 헤드셋”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마이크를 사용하기 위하여 마이크대로부터 잡아당기는 경우, 마이크의 위치가 사용자 입의 위치로부터 비교적 멀어지게 되어 잡음이 입력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과 필요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마이크를 귀에 간단하게 고정시켜 사용자의 활동성을 높이고, 마이크가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의 입 주위에 손쉽게 배치되도록 하여 마이크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관을 개선하여 선호도를 높이는 귀걸이 타입의 마이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인 활동시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에 고정되어 사용자의 활동성을 높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고정부재의 양단이 귀를 무는 형식으로 되어 있어 마이크를 꽂고 각종 행위를 하여도 종래에 비해 마이크가 귀에서 이탈의 염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단순히 고정부재를 벌렸다 놓는 행위만으로도 귀에 고정시킬 수 있어 마이크의 착용 및 분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마이크 사용시 간단히 마이크가 입주위에 위치되도록 하여 주변의 잡음이 입력되지 않고 깨끗한 음원이 입력될 수 있고, 마이크에 가해진 하중이 제거되면 바로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어 사용자가 원활하게 활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원발명인 귀걸이 타입의 마이크의 일실시예에 관한 도면이고, 도2는 도1의 마이크부에 작동버튼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도1의 제1고정부재에 본체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4는 도1의 제1고정부재에 제1탄성체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본원발명인 귀걸이 타입의 마이크의 제2실시예에 관한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발명은 귀에 걸어 사용되는 마이크에 있어서, 사용자의 양쪽 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100)와, 양단이 상기 2개의 고정부재(100)에 각각 위치되는 탄성이 있는 부재로 제작되어 일측이 사용자의 목에 밀착되는 케이블(200)과, 상기 케이블(20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스피커(300) 및, 상기 케이블(200)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음성을 입력하는 마이크부(400)로 구성되되, 사용자가 상기 마이크부(400)를 통해 음성 입력시 상기 마이크부(400)에 힘을 가하면 상기 케이블(200)이 늘어나서 상기 마이크부(400)가 사용자의 목에서 입 주위로 이동하고, 상기 마이크부(400)에 가해진 힘이 제거되면 상기 케이블(200)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마이크부(400)가 사용자의 입 주위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 타입의 마이크(10)를 제공한다.
본원발명은 고정부재(100), 케이블(200), 스피커(300) 및 마이크부(400)로 구성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귀에 손쉽게 결합되어 사용자의 활동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마이크부(400)가 손쉽게 입주위에 위치되도록 하여 주변의 잡음이 입력되지 않고 깨끗한 음원이 입력될 수 있는 귀걸이 타입의 마이크(10)에 관한 것이다.
고정부재(100)는 사용자의 양쪽 귀에 고정되는 부재이다. 즉, 고정부재(100)는 마이크(10)가 사용자의 귀에 손쉽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부재이다.
고정부재(100)는 마이크(10)가 사용자의 귀에 손쉽게 고정될 수 있으면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일례로 제1고정부재(110)와 제2고정부재(120)로 구성될 수 있다.
제1고정부재(110)는 사용자의 귓바퀴 뒤에 밀착되도록 'C'자 형상의 부재이다. 제2고정부재(120)는 'C'자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제1고정부재(110)의 일측에 결합되는 부재이다. 따라서 상기 제2고정부재(120)의 일단이 사용자의 귀 바깥쪽에 맞닿고, 타단이 사용자의 귀 안쪽에 맞닿아 전체적으로 상기 제2고정부재(120)의 양단이 사용자의 귀에 맞물리도록 하여 상기 고정부재(100)가 사용자의 귀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제1고정부재(110)는 양측에 제1고리부재(111)가 각각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1고정부재(110)에 제1고리부재(111)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제1고리부재(111)에 제1탄성체(500)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제1고정부재(110)에 제1고리부재(111)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케이블(200)이 상기 제1고리부재(111)에 설치된 제1탄성체(500)에 결합되는 방법으로 설치되어 상기 마이크부(400)에 힘이 가해지면 상기 제1탄성체(500)가 이완되면서 상기 케이블(200)이 늘어나서 상기 마이크부(400)가 사용자의 목에서 입 주위로 이동하고, 상기 마이크부(400)에 가해진 힘이 제거되면 상기 제1탄성체(500)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마이크부(400)가 사용자의 입 주위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제1탄성체(500)는 스프링 또는 실리콘 고무링일 수 있다.
제2고정부재(120)는 길이방향을 따라 1개 이상의 제2고리부재(121)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2고리부재(121)는 케이블(200)이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2고정부재(120)에 밀착되어 설치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또한, 케이블(200)에 결합된 스피커(300)가 제2고정부재(120)의 타단에 형성된 제2고리부재(121)에 걸리도록 하여 상기 케이블(200)의 양단 각각이 상기 제2고정부재(120)의 타단에 각각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고정부재(100)는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하면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케이블(200)은 양단이 상기 2개의 고정부재(100)에 각각 고정되는 탄성이 있는 부재로 제작되어 일측이 사용자의 목에 밀착되는 부재이다. 케이블(200)은 외력이 가해지면 늘어나다가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는 탄성이 일측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케이블(200)은 고정부재(100)가 제1고정부재(110)와 제2고정부재(120)로 구성되는 경우 제2고정부재(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밀착되도록 하되 케이블(200)의 양단 각각이 제2고정부재(120)의 타단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케이블(200)이 제2고정부재(120)의 타단에 위치되는 것은 케이블(200)의 양단에 스피커(300)가 제2고정부재(120)의 타단에 위치되도록 결합되기 때문이다.
케이블(200)은 일측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되어 있거나 스프링 형상으로 되어 있도록 내부에 탄성부재가 결합되어 있어 상기 마이크부(400)에 힘이 가해지면 상기 스프링 형태가 풀어지면서 상기 케이블(200)이 늘어나고, 상기 마이크부(400)에 가해진 힘이 제거되면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케이블(200)의 일측이 다시 스프링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00)가 중공의 형태인 경우 케이블(200)은 양단 각각이 상기 중공을 관통하여 스피커(3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소리를 발생하는 장치에 연결되도록 상기 고정부재(10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케이블(200)은 마이크(10)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선으로 라디오, MP3 재생장치, 휴대폰 등의 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장치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스피커(300)에 전달하여 사용자가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하는 부재이다.
스피커(300)는 케이블(20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부재이다. 스피커(300)는 케이블(200)을 통해서 전달되는 소리를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소리를 내는 장치로 이어폰 또는 마이크(10)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장치이다. 스피커(300)는 상기 케이블(200)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사용 상태에 따라 사용자의 귓구멍 또는 상기 고정부재(100)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스피커(300)는 사용자가 안전하지 않는 곳에서 다양한 일을 할 때 주위의 소음과 음악과 같이 들을 수 있도록 고정부재(100)의 일단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고, 도서관 등의 조용한 곳에서는 주위의 소음을 차단하여 오로지 음악만을 들을 수 있도록 사용자의 귓구멍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마이크부(400)는 케이블(200)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음성을 입력하는 부재이다. 마이크부(400)는 설치시 케이블(200)에 연결되어 입력된 음성신호를 스피커(300)에 직접 전달하기도 하고 케이블(200)에 연결된 스마트폰 등의 장치로 음성신호를 보낼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마이크부(400)를 통해 음성 입력시 상기 마이크부(400)에 힘을 가하면 상기 케이블(200)이 늘어나서 상기 마이크부(400)가 사용자의 목에서 입 주위로 이동하고, 상기 마이크부(400)에 가해진 힘이 제거되면 상기 케이블(200)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마이크부(400)가 사용자의 입 주위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마이크부(400)는 일측에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버튼(41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사용자가 상기 마이크부(400)를 통해 음성 입력시 상기 마이크부(400)의 상기 작동버튼(410)에 힘을 가해 상기 마이크부(400)를 작동하는 동시에 목에서 입 주위에 오게 하고, 상기 마이크부(400)에 가해진 힘이 제거되면 상기 케이블(200)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마이크부(400)가 사용자의 입 주위에 밀착되어 음성 입력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작동버튼(410)은 마이크의 ON/OFF 버튼이거나, 전화의 통화/종료 버튼의 기능을 제어하는 작동버튼이 될 수 있다.
마이크부(400)는 마이크몸체(420) 및 입력부(430)로 구성되어 상기 입력부(430)가 사용자에 의해서 음성 입력시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마이크몸체(420)는 관 형상의 부재로 상기 케이블(200)의 일측에 설치되는 부재이다. 입력부(430)는 일단이 마이크몸체(420)의 내부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마이크몸체(42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음성을 입력하는 구성이다. 즉, 사용자가 상기 마이크부(400)를 목뒤로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입력부(430)를 통해 음성 입력시, 상기 입력부(430)에 힘을 가하면 상기 입력부(430)가 일정길이 돌출되어서 상기 입력부(430)가 사용자의 목뒤에서 입 주위로 이동하여 밀착 되도록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은 소리를 출력하는 장치로 상기 고정부재(100)의 일측에 결합되는 본체(6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본체(600)는 상기 케이블(200)과 연결되어 상기 마이크부(400)로부터 입력되는 소리를 출력하거나 자체에서 재생되는 소리 또는 외부에서 오는 소리신호를 상기 스피커(300)로 보낼 수 있다.
본체(600)는 소리를 출력하면서 고정부재(100)에 결합될 수 있는 장치면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일례로 스마트폰, 오디오장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6은 본원발명인 귀걸이 타입의 마이크의 제3실시예에 관한 도면이고, 도7은 도6의 마이크부에 작동버튼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본원발명은 귀에 걸어 사용되는 마이크에 있어서, 사용자의 양쪽 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100)와, 양단이 상기 2개의 고정부재(100) 각각에 위치하도록 고정되는 부재로 일측이 사용자의 턱의 앞쪽에 밀착되는 케이블(200)과, 양단이 상기 케이블의 일측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각각 결합되되 상기 케이블이 사용자의 앞턱에 밀착될 때 사용자의 안쪽 턱에 밀착되는 제2탄성체(510)와, 상기 케이블(20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스피커(300) 및, 상기 케이블(200)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음성을 입력하는 마이크부(400)로 구성되되, 사용자 턱이 상기 케이블(200)과 상기 제2탄성체(510)가 형성하는 구멍에 삽입되어 있어 사용자가 턱을 움직일 때 상기 제2탄성체(510)의 탄력으로 인해 상기 케이블(200)이 사용자의 앞턱에 밀착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 타입의 마이크(10)를 제공한다.
본원발명은 고정부재(100), 케이블(200), 제2탄성체(510), 스피커(300) 및 마이크부(400)로 구성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귀에 손쉽게 결합되어 사용자의 활동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마이크부(400)가 손쉽게 입주위에 위치되도록 하여 주변의 잡음이 입력되지 않고 깨끗한 음원이 입력될 수 있는 귀걸이 타입의 마이크(10)에 관한 것이다.
고정부재(100)는 사용자의 양쪽 귀에 고정되는 부재이다. 즉, 고정부재(100)는 마이크(10)가 사용자의 귀에 손쉽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부재이다.
고정부재(100)는 마이크(10)가 사용자의 귀에 손쉽게 고정될 수 있으면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일례로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제1고정부재(110)는 사용자의 귓바퀴 뒤에 밀착되도록 'C'자 형상의 부재이다. 제2고정부재(120)는 'C'자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제1고정부재(110)의 일측에 결합되는 부재이다. 따라서 상기 제2고정부재(120)의 일단이 사용자의 귀 바깥쪽에 맞닿고, 타단이 사용자의 귀 안쪽에 맞닿아 전체적으로 상기 제2고정부재(120)의 양단이 사용자의 귀에 맞물리도록 하여 상기 고정부재(100)가 사용자의 귀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제2고정부재(120)는 길이방향을 따라 1개 이상의 제2고리부재(121)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2고리부재(121)는 케이블(200)이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2고정부재(120)에 밀착되어 설치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또한, 케이블(200)에 결합된 스피커(300)가 제2고정부재(120)의 타단에 형성된 제2고리부재(121)에 걸리도록 하여 상기 케이블(200)의 양단 각각이 상기 제2고정부재(120)의 타단에 각각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고정부재(100)는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하면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케이블(200)은 양단이 상기 2개의 고정부재(100) 각각에 위치하도록 고정되는 부재로 일측이 사용자의 턱의 앞쪽에 밀착되는 부재이다.
케이블(200)은 고정부재(100)가 제1고정부재(110)와 제2고정부재(120)로 구성되는 경우 제2고정부재(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밀착되도록 하되 케이블(200)의 양단 각각이 제2고정부재(120)의 타단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케이블(200)이 제2고정부재(120)의 타단에 위치되는 것은 케이블(200)의 양단에 스피커(300)가 제2고정부재(120)의 타단에 위치되도록 결합되기 때문이다.
상기 고정부재(100)가 중공의 형태인 경우 케이블(200)은 양단 각각이 상기 중공을 관통하여 스피커(3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소리를 발생하는 장치에 연결되도록 상기 고정부재(10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케이블(200)은 마이크(10)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선으로 라디오, MP3 재생장치, 휴대폰 등의 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장치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스피커(300)에 전달하여 사용자가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하는 부재이다.
제2탄성체(510)는 양단이 상기 케이블의 일측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각각 결합되되 상기 케이블(200)이 사용자의 앞턱에 밀착될 때 사용자의 안쪽 턱에 밀착되는 부재이다. 제2탄성체(510)는 사용자 턱이 상기 케이블(200)과의 사이에 형성하는 구멍에 삽입되어 케이블(200)이 사용자 턱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부재로 사용자가 턱을 움직일 때 상기 제2탄성체(510)의 탄력으로 인해 상기 제2탄성체(510)만 움직이고 상기 케이블(200)이 사용자의 앞턱에 밀착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다.
제2탄성체(510)는 사용자의 턱이 움직여도 케이블(200)이 사용자의 앞턱에 밀착될 수 있으면 다양한 탄성재료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일례로 스프링 또는 실리콘 고무가 사용될 수 있다.
스피커(300)는 케이블(20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부재이다. 스피커(300)는 케이블(200)을 통해서 전달되는 소리를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소리를 내는 장치로 이어폰 또는 마이크(10)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장치이다. 스피커(300)는 상기 케이블(200)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사용 상태에 따라 사용자의 귓구멍 또는 상기 고정부재(100)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스피커(300)는 사용자가 안전하지 않는 곳에서 다양한 일을 할 때 주위의 소음과 음악과 같이 들을 수 있도록 고정부재(100)의 일단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고, 도서관 등의 조용한 곳에서는 주위의 소음을 차단하여 오로지 음악만을 들을 수 있도록 사용자의 귓구멍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마이크부(400)는 케이블(200)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음성을 입력하는 구성이다. 마이크부(400)는 사용자의 턱에 밀착된 케이블에 설치되어 있어 사용자의 음성을 잡음없이 깨끗하게 입력할 수 있다. 마이크부(400)는 설치시 케이블(200)에 연결되어 입력된 음성신호를 스피커(300)에 직접 전달하기도 하고 케이블(200)에 연결된 스마트폰 등의 장치로 음성신호를 보낼 수 있다.
마이크부(400)는 일측에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버튼(41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사용자가 마이크부(400)를 통해 음성 입력시 상기 마이크부(400)의 상기 작동버튼(410)에 힘을 가해 상기 마이크부(400)를 작동시킬 수 있고, 상기 마이크부(400)의 작동버튼(410)에 가해진 힘이 제거되면 상기 마이크부(400)의 작동이 중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작동버튼(410)은 마이크의 ON/OFF 버튼이거나, 전화의 통화/종료 버튼의 기능을 제어하는 작동버튼이 될 수 있다.
본원발명은 소리를 출력하는 장치로 상기 고정부재(100)의 일측에 결합되는 본체(6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본체(600)는 상기 케이블(200)과 연결되어 상기 마이크부(400)로부터 입력되는 소리를 출력하거나 자체에서 재생되는 소리 또는 외부에서 오는 소리신호를 상기 스피커(300)로 보낼 수 있다.
본체(600)는 소리를 출력하면서 고정부재(100)에 결합될 수 있는 장치면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일례로 스마트폰, 오디오장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8은 본원발명인 귀걸이 타입의 마이크의 제4실시예에 관한 도면이고, 도9는 도8의 제1고정부재에 장공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0은 본원발명인 귀걸이 타입의 마이크의 제5실시예에 관한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본원발명은 귀에 걸어 사용되는 마이크에 있어서, 사용자의 한쪽 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100)와, 상기 고정부재(100)에 위치되도록 고정되는 케이블(200)과, 상기 케이블(200)의 일단에 결합되는 스피커(300) 및, 일단이 상기 케이블(200)에 연결되도록 상기 고정부재(100)에 결합되고 타단이 외력으로 인출되는 것으로 음성을 입력하는 마이크부(400)로 구성되되, 사용자가 상기 마이크부(400)를 통해 음성 입력시 상기 마이크부(400)에 힘을 가해 상기 마이크부(400)가 입 주위에 오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 타입의 마이크(10)를 제공한다.
본원발명은 고정부재(100), 케이블(200), 스피커(300) 및 마이크부(400)로 구성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귀에 손쉽게 결합되어 사용자의 활동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마이크부(400)가 손쉽게 입주위에 위치되도록 하여 주변의 잡음이 입력되지 않고 깨끗한 음원이 입력될 수 있는 귀걸이 타입의 마이크(10)에 관한 것이다.
고정부재(100)는 사용자의 한쪽 귀에 고정되는 부재이다. 즉, 고정부재(100)는 마이크(10)가 사용자의 귀에 손쉽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부재이다.
고정부재(100)는 마이크(10)가 사용자의 귀에 손쉽게 고정될 수 있으면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일례로 제1고정부재(110)와 제2고정부재(120)로 구성될 수 있다.
제1고정부재(110)는 사용자의 귓바퀴 뒤에 밀착되도록 'C'자 형상의 부재이다. 제2고정부재(120)는 'C'자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제1고정부재(110)의 일측에 결합되는 부재이다. 따라서 상기 제2고정부재(120)의 일단이 사용자의 귀 바깥쪽에 맞닿고, 타단이 사용자의 귀 안쪽에 맞닿아 전체적으로 상기 제2고정부재(120)의 양단이 사용자의 귀에 맞물리도록 하여 상기 고정부재(100)가 사용자의 귀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제1고정부재(110)는 장공(112)이 길이방향을 따라 구멍이 길게 뚫려 있을 수 있다. 장공(112)은 마이크부(400)가 사용자의 사용형태에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뚫려 있는 구멍으로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음성 입력시 마이크부(400)에 힘을 가해 마이크부(400)의 일단이 제1고정부재(110)의 장공(112)을 따라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고정부재(100)는 소요되는 강도를 만족하면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케이블(200)은 고정부재(100)에 위치하도록 고정되는 부재이다.
케이블(200)은 고정부재(100)가 제1고정부재(110)와 제2고정부재(120)로 구성되는 경우 제2고정부재(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케이블(200)이 제2고정부재(120)의 타단에 위치되는 것은 케이블(200)에 스피커(300)가 제2고정부재(120)의 타단에 위치되도록 결합되기 때문이다.
상기 고정부재(100)가 중공의 형태인 경우 케이블(200)은 상기 중공을 관통하여 스피커(3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소리를 발생하는 장치에 연결되도록 상기 고정부재(10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케이블(200)은 마이크(10)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선으로 라디오, MP3 재생장치, 휴대폰 등의 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장치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스피커(300)에 전달하여 사용자가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하는 부재이다.
스피커(300)는 케이블(200)의 일단에 결합되는 부재이다. 스피커(300)는 케이블(200)을 통해서 전달되는 소리를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소리를 내는 장치로 이어폰 또는 마이크(10)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장치이다. 스피커(300)는 상기 케이블(200)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사용 상태에 따라 사용자의 귓구멍 또는 상기 고정부재(100)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스피커(300)는 사용자가 안전하지 않는 곳에서 다양한 일을 할 때 주위의 소음과 음악과 같이 들을 수 있도록 고정부재(100)의 일단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고, 도서관 등의 조용한 곳에서는 주위의 소음을 차단하여 오로지 음악만을 들을 수 있도록 사용자의 귓구멍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마이크부(400)는 일단이 상기 케이블(200)에 연결되도록 상기 고정부재(100)에 결합되고 타단이 외력으로 인출되는 것으로 음성을 입력하는 구성이다. 마이크부(400)는 설치시 케이블(200)에 연결되어 입력된 음성신호를 스피커(300)에 직접 전달하기도 하고 케이블(200)에 연결된 스마트폰 등의 장치로 음성신호를 보낼 수 있다.
마이크부(400)는 외력으로 타단이 인출되는 형태이면 다양한 형태로 고정부재(100)에 결합될 수 있는데 일례로 제1고정부재(110)에 장공(112)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마이크부(400)의 일단이 상기 제1고정부재(110)의 상기 장공(112)을 따라 움직이도록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마이크부(400)는 마이크부(400)를 감싸도록 일단이 고정부재(100)에 결합되고 타단이 마이크부(400)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3탄성체(5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마이크부(400)에 제3탄성체(520)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마이크부(400)를 통해 음성 입력시 상기 마이크부(400)에 힘을 가해 상기 마이크부(400)가 입 주위에 오게 하고, 상기 마이크부(400)에 가해진 힘이 제거되면 상기 제3탄성체(520)의 탄성에 의해서 상기 마이크부(400)가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본원발명은 일단이 상기 제1고정부재(110)의 일측에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연결부재(440) 및, 일단이 상기 연결부재(440)에 결합되는 것으로 음성을 입력하는 마이크부(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사용자가 상기 마이크부(400)를 통해 음성 입력시 상기 마이크부(400)에 힘을 가하면 원하는 위치해 상기 마이크부(400)가 오도록 상기 연결부재(440)가 회전될 수 있다. 즉, 연결부재(440)의 회전에 의해서 마이크부(400)가 입 주위에 오게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은 소리를 출력하는 장치로 상기 고정부재(100)의 일측에 결합되는 본체(6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본체(600)는 상기 케이블(200)과 연결되어 상기 마이크부(400)로부터 입력되는 소리를 출력하거나 자체에서 재생되는 소리 또는 외부에서 오는 소리신호를 상기 스피커(300)로 보낼 수 있다.
본체(600)는 소리를 출력하면서 고정부재(100)에 결합될 수 있는 장치면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일례로 스마트폰, 오디오장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 타입의 마이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도면 또는 도면을 참조한 설명에 의해 한정/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써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인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구속되는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10 : 마이크
100 : 고정부재
110 : 제1고정부재 111 : 제1고리부재
120 : 제2고정부재 121 : 제2고리부재
200 : 케이블
300 : 스피커
400 : 마이크부
410 : 작동버튼 420 : 마이크몸체
430 : 입력부 440 : 연결부재
500 : 제1탄성체 510 : 제2탄성체
520 : 제3탄성체
600 : 본체

Claims (21)

  1. 귀에 걸어 사용되는 마이크에 있어서,
    사용자의 양쪽 귀에 각각 고정되는 2개의 고정부재(100);
    탄성이 있는 부재로 상기 2개의 고정부재(100)를 서로 이어 사용자의 목에 일 부분이 밀착되는 케이블(200);
    상기 케이블(20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스피커(300); 및,
    상기 케이블(200)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음성을 입력하는 마이크부(400)로 구성되되,
    사용자가 상기 마이크부(400)를 통해 음성 입력시 상기 마이크부(400)에 힘을 가하면 상기 케이블(200)이 늘어나서 상기 마이크부(400)가 사용자의 목에서 입 주위로 이동하고, 상기 마이크부(400)에 가해진 힘이 제거되면 상기 케이블(200)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마이크부(400)가 사용자의 입 주위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 타입의 마이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200)의 일측에는 내부에 탄성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마이크부(400)에 힘을 가해 당기면 상기 케이블(200)이 늘어나고, 상기 마이크부(400)에 가해진 힘이 제거되면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케이블(200)이 복귀되도록 지그재그 형상 또는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 타입의 마이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00)는
    사용자의 귓바퀴 뒤에 밀착되도록 'C'자 형상의 제1고정부재(110); 및,
    'C'자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제1고정부재(110)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2고정부재(120)로 구성되되,
    상기 제2고정부재(120)의 일단이 사용자의 귀 바깥쪽에 맞닿고, 타단이 사용자의 귀 안쪽에 맞닿아 전체적으로 상기 제2고정부재(120)의 양단이 사용자의 귀에 맞물리도록 하여 상기 고정부재(100)가 사용자의 귀에 고정되고,
    상기 케이블(200)이 상기 제2고정부재(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밀착되도록 하되 상기 케이블(200)의 양단 각각이 상기 제2고정부재(120)의 타단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 타입의 마이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재(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1개 이상의 제2고리부재(12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케이블(200)이 상기 제2고리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제2고정부재(120)에 밀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200)에 결합된 상기 스피커(300)가 상기 제2고정부재의 타단에 형성된 제2고리부재(121)에 걸리도록 하여 상기 케이블(200)의 양단 각각이 상기 제2고정부재(120)의 타단에 각각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 타입의 마이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11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제1고리부재(111);
    일단이 상기 제1고리부재(111)에 결합되는 제1탄성체(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케이블(200)이 상기 제1고리부재(111)에 설치된 제1탄성체(500)에 결합되는 방법으로 설치되어 상기 마이크부(400)에 힘이 가해지면 상기 제1탄성체(500)가 이완되면서 상기 케이블(200)이 늘어나서 상기 마이크부(400)가 사용자의 목에서 입 주위로 이동하고, 상기 마이크부(400)에 가해진 힘이 제거되면 상기 제1탄성체(500)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마이크부(400)가 사용자의 입 주위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 타입의 마이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체(500)는 스프링 또는 실리콘 고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 타입의 마이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부(400)는
    일측에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버튼(41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사용자가 상기 마이크부(400)를 통해 음성 입력시 상기 마이크부(400)의 상기 작동버튼(410)에 힘을 가해 상기 마이크부(400)가 작동하는 동시에 목에서 입 주위에 오게 하고, 상기 마이크부(400)에 가해진 힘이 제거되면 상기 케이블(200)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마이크부(400)가 사용자의 입 주위에 밀착되어 음성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 타입의 마이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부(400)는
    관 형상의 부재로 상기 케이블의 일측에 설치되는 마이크몸체(420); 및,
    일단이 상기 마이크몸체(420)의 내부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마이크몸체(420)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으로 음성을 입력하는 입력부(430)로 구성되되,
    사용자가 상기 마이크부(400)를 목뒤로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입력부(430)를 통해 음성 입력시 상기 입력부(430)에 힘을 가하면 상기 입력부(430)가 일정길이 돌출되어서 상기 입력부(430)가 사용자의 목 뒤에서 입 주위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 타입의 마이크.
  9. 제1항에 있어서,
    소리를 출력하는 장치로 상기 고정부재(100)의 일측에 결합되는 본체(6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본체(600)는 상기 케이블(200)과 연결되어 상기 마이크부(400)로부터 입력되는 소리를 출력하거나 자체에서 재생되는 소리 또는 외부에서 오는 소리신호를 상기 스피커(300)로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 타입의 마이크.
  10. 귀에 걸어 사용되는 마이크에 있어서,
    사용자의 양쪽 귀에 각각 고정되는 2개의 고정부재(100);
    상기 2개의 고정부재(100)를 서로 이어 사용자의 앞턱에 일 부분이 밀착되는 케이블(200);
    양단이 상기 케이블의 일측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각각 결합되되 상기 케이블이 사용자의 앞턱에 밀착될 때 사용자의 안쪽 턱에 밀착되는 제2탄성체(510);
    상기 케이블(20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스피커(300); 및,
    상기 케이블(200)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음성을 입력하는 마이크부(400)로 구성되되,
    사용자 턱이 상기 케이블(200)과 상기 제2탄성체(510)가 형성하는 구멍에 삽입되어 있어 사용자가 턱을 움직일 때 상기 제2탄성체(510)의 탄력으로 인해 상기 케이블(200)이 사용자의 앞턱에 밀착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 타입의 마이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00)는
    사용자의 귓바퀴 뒤에 밀착되도록 'C'자 형상의 제1고정부재(110); 및,
    'C'자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제1고정부재(110)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2고정부재(120)로 구성되되,
    상기 제2고정부재(120)의 일단이 사용자의 귀 바깥쪽에 맞닿고, 타단이 사용자의 귀 안쪽에 맞닿아 전체적으로 상기 제2고정부재(120)의 양단이 사용자의 귀에 맞물리도록 하여 상기 고정부재(100)가 사용자의 귀에 고정되고,
    상기 케이블(200)이 상기 제2고정부재(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밀착되도록 하되 상기 케이블(200)의 양단 각각이 상기 제2고정부재(120)의 타단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 타입의 마이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재(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1개 이상의 제2고리부재(12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케이블(200)이 상기 제2고리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제2고정부재(120)에 밀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200)에 결합된 상기 스피커(300)가 상기 제2고정부재의 타단에 형성된 제2고리부재(121)에 걸리도록 하여 상기 케이블(200)의 양단 각각이 상기 제2고정부재(120)의 타단에 각각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 타입의 마이크.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부(400)는
    일측에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버튼(41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사용자가 상기 마이크부(400)를 통해 음성 입력시 상기 마이크부(400)의 상기 작동버튼(410)에 힘을 가해 상기 마이크부(400)가 작동시키고, 상기 마이크부(400)의 작동버튼(410)에 가해진 힘이 제거되면 상기 마이크부(400)의 작동이 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 타입의 마이크.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체(510)는 스프링 또는 실리콘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 타입의 마이크.
  15. 제10항에 있어서,
    소리를 출력하는 장치로 상기 고정부재(100)의 일측에 결합되는 본체(6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본체(600)는 상기 케이블(200)과 연결되어 상기 마이크부(400)로부터 입력되는 소리를 출력하거나 자체에서 재생되는 소리 또는 외부에서 오는 소리신호를 상기 스피커(300)로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 타입의 마이크.
  16. 귀에 걸어 사용되는 마이크에 있어서,
    사용자의 한쪽 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100);
    상기 고정부재(100)에 고정되는 케이블(200);
    상기 케이블(200)의 일단에 결합되는 스피커(300); 및,
    상기 케이블(200)에 일단이 연결되도록 상기 고정부재(100)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하는 마이크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재(100)는 사용자의 귓바퀴 뒤에 밀착되도록 'C'자 형상의 제1고정부재(110); 및,
    'C'자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제1고정부재(110)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2고정부재(120)로 구성되어
    상기 제2고정부재(120)의 일단이 사용자의 귀 바깥쪽에 맞닿고, 타단이 사용자의 귀 안쪽에 맞닿아 전체적으로 상기 제2고정부재(120)의 양단이 사용자의 귀에 맞물리도록 하여 상기 고정부재(100)가 사용자의 귀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 타입의 마이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부(400)는
    상기 마이크부(400)를 감싸도록 일단이 상기 고정부재(100)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마이크부(400)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3탄성체(5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사용자가 상기 마이크부(400)를 통해 음성 입력시 상기 마이크부(400)에 힘을 가해 상기 마이크부(400)가 입 주위에 오게 하고, 상기 마이크부(400)에 가해진 힘이 제거되면 상기 제3탄성체(520)의 탄성에 의해서 상기 마이크부(400)가 원상태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 타입의 마이크.
  18. 삭제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멍이 길게 뚫려 있는 장공(112); 및,
    일단이 상기 제1고정부재(110)의 상기 장공(112)을 따라 움직이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음성을 입력하는 마이크부(400)로 구성되되,
    사용자가 상기 마이크부(400)를 통해 음성 입력시 상기 마이크부(400)에 힘을 가해 상기 마이크부(400)가 입 주위에 오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 타입의 마이크.
  20. 제16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제1고정부재(110)의 일측에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연결부재(440); 및,
    일단이 상기 연결부재(440)에 결합되는 것으로 음성을 입력하는 마이크부(400)로 구성되되,
    사용자가 상기 마이크부(400)를 통해 음성 입력시 상기 마이크부(400)에 힘을 가해 상기 마이크부(400)가 입 주위에 오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 타입의 마이크.
  21. 제16항에 있어서,
    소리를 출력하는 장치로 상기 고정부재(100)의 일측에 결합되는 본체(6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본체(600)는 상기 케이블(200)과 연결되어 상기 마이크부(400)로부터 입력되는 소리를 출력하거나 자체에서 재생되는 소리 또는 외부에서 오는 소리신호를 상기 스피커(300)로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 타입의 마이크.
KR1020150162903A 2015-11-20 2015-11-20 귀걸이 타입의 마이크 KR101693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2903A KR101693442B1 (ko) 2015-11-20 2015-11-20 귀걸이 타입의 마이크
JP2018545789A JP2018538767A (ja) 2015-11-20 2016-11-08 イヤリングタイプのマイク
US15/777,638 US10341753B2 (en) 2015-11-20 2016-11-08 Earring-type microphone
CN201680067864.2A CN108293156A (zh) 2015-11-20 2016-11-08 耳环式麦克风
PCT/KR2016/012765 WO2017086640A1 (ko) 2015-11-20 2016-11-08 귀걸이 타입의 마이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2903A KR101693442B1 (ko) 2015-11-20 2015-11-20 귀걸이 타입의 마이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3442B1 true KR101693442B1 (ko) 2017-01-05

Family

ID=57835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2903A KR101693442B1 (ko) 2015-11-20 2015-11-20 귀걸이 타입의 마이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341753B2 (ko)
JP (1) JP2018538767A (ko)
KR (1) KR101693442B1 (ko)
CN (1) CN108293156A (ko)
WO (1) WO201708664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9921B1 (ko) * 2017-10-18 2019-01-17 이승철 블루투스 이어셋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81404B (zh) * 2019-06-19 2021-06-04 江西冠一通用飞机有限公司 一种通用飞机驾驶员用耳麦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86U (ja) * 1992-07-20 1995-01-10 株式会社特効 軽量自己発音聞き取り装置
KR20010053019A (ko) 1998-06-19 2001-06-25 엘티브이 스틸 컴패니, 인코포레이티드 압연 방향으로 개선된 자성을 가지는 전자 강
US7139405B1 (en) * 2004-03-26 2006-11-21 Plantronics,Inc. Headset with spring loaded microphone
JP2013239825A (ja) * 2012-05-14 2013-11-28 Iwatsu Electric Co Ltd 後頭部装着ヘッドバンドおよび後頭部装着ヘッドセット型マイクロホン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48118A (en) * 1969-07-03 1970-12-15 Pacific Plantronics Inc Self-supporting headset
CN2432745Y (zh) * 2000-06-20 2001-05-30 锦科实业有限公司 调整耳挂麦克风耳机
KR20020066165A (ko) 2001-08-30 2002-08-14 임성묵 핸드폰 겸용 헤드셋
JP3541833B2 (ja) * 2001-12-18 2004-07-14 ソニー株式会社 ヘッドセット
CN200956653Y (zh) * 2006-05-25 2007-10-03 吴英瑞 调整式耳挂麦克风
KR20080075700A (ko) * 2007-02-13 2008-08-19 이춘형 귀걸이형 이어폰
CN201063826Y (zh) * 2007-04-05 2008-05-21 林伟生 带麦克风的悬挂式耳塞机
CN201118960Y (zh) * 2007-11-24 2008-09-17 颜聪裕 可隐藏麦克风的头戴式耳机构造
US8374374B2 (en) * 2008-01-07 2013-02-12 Plantronics, Inc. Headset with a pivoting microphone arm
WO2009089136A1 (en) * 2008-01-07 2009-07-16 Etymotic Research, Inc. Two-way communication device with detachable boom
KR20100021199A (ko) * 2008-08-14 2010-02-24 최영순 흡음기능이 구비된 휴대폰용 헤드셋
CN202050520U (zh) * 2011-03-08 2011-11-23 李琮杰 近接式软性耳麦
US20140116085A1 (en) * 2012-10-30 2014-05-01 Bin Lam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es for incorporating wireless headsets, terminals, and communication devices into fashion accessories and jewelr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86U (ja) * 1992-07-20 1995-01-10 株式会社特効 軽量自己発音聞き取り装置
KR20010053019A (ko) 1998-06-19 2001-06-25 엘티브이 스틸 컴패니, 인코포레이티드 압연 방향으로 개선된 자성을 가지는 전자 강
US7139405B1 (en) * 2004-03-26 2006-11-21 Plantronics,Inc. Headset with spring loaded microphone
JP2013239825A (ja) * 2012-05-14 2013-11-28 Iwatsu Electric Co Ltd 後頭部装着ヘッドバンドおよび後頭部装着ヘッドセット型マイクロホン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9921B1 (ko) * 2017-10-18 2019-01-17 이승철 블루투스 이어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341753B2 (en) 2019-07-02
CN108293156A (zh) 2018-07-17
WO2017086640A1 (ko) 2017-05-26
US20180376230A1 (en) 2018-12-27
JP2018538767A (ja) 2018-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08899B1 (en) Earphone
US9301037B1 (en) Wireless phone accessory
TW465247B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bone-conducting amplifier
KR20060032593A (ko) 헤드셋 와이어
RU2009148293A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й наушник
JPWO2009116272A1 (ja) 骨伝導スピーカ及びそれを用いた聴取装置
TWD117942S1 (zh) 具有可戴式立體聲耳機之收發器
TW463517B (en) Voice transceiver using a speaker of bone-conducting type
JP2018093516A (ja) 骨伝導を利用した聴音装置
KR101693442B1 (ko) 귀걸이 타입의 마이크
KR101861357B1 (ko) 소음 감지 기능을 갖는 블루투스 장치
KR200415723Y1 (ko) 귀걸림부를 갖는 핸즈프리 셋
KR100689881B1 (ko) 리시버를 이용한 스테레오 무선 헤드셋
KR20180016812A (ko) 스마트폰 용 탈부착 골전도 통화기
KR20190056215A (ko) 게임용 마이크 이어폰
KR101427120B1 (ko) 트라거스에 착용할 수 있는 이어폰
KR20080073074A (ko) 헤드셋
KR20160040861A (ko) 블루투스용 헤드셋
KR101766072B1 (ko) 이어폰 고정용 이어기구
KR20050096301A (ko) 무선 이어셋
KR101835353B1 (ko) 보청 기능을 갖는 마이크 내장형 이어폰
KR101544687B1 (ko) 스피커의 위치 조정이 가능한 이어폰
KR200489863Y1 (ko) 핸즈프리용 이어폰
KR101898083B1 (ko) 이어폰 구성 안대
WO2023007840A1 (ja) 通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