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3538A - 릴 타입 이어마이크폰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릴 타입 이어마이크폰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3538A
KR20050093538A KR1020040019016A KR20040019016A KR20050093538A KR 20050093538 A KR20050093538 A KR 20050093538A KR 1020040019016 A KR1020040019016 A KR 1020040019016A KR 20040019016 A KR20040019016 A KR 20040019016A KR 20050093538 A KR20050093538 A KR 200500935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type ear
plug
ear microphone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9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채옥
김영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9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3538A/ko
Priority to CNA2004100915187A priority patent/CN1671245A/zh
Publication of KR20050093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3538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6Bent flaps
    • E05D5/065Bent flaps specially adapted for cabinets 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2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at a considerable distance from the edges of the wing, e.g. for balanced wings
    • E05D7/083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at a considerable distance from the edges of the wing, e.g. for balanced wings with a fixed pivot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0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릴 타입 이어마이크폰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미려한 외관을 형성함과 아울러 휴대성을 향상 시킬 수 있으며, 충격발생에 따른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릴 타입 이어마이크폰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스피커가 일체로 설치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일측에 연결 설치되는 마이크와,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러그와, 소정 길이를 가지며 상기 본체부와 플러그에 각각 연결되는 케이블과, 상기 각 케이블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내부에 수용함과 아울러 선택적으로 권취될 수 있도록 권취수단이 구비된 케이스를 포함하는 릴 타입 이어마이크폰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권취시 상기 본체부와 플러그가 상기 케이스에 각각 수납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는 수납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타입 이어마이크폰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릴 타입 이어마이크폰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REEL TYPE EAR-MIC PHON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어마이크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릴 타입 이어마이크폰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에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제시되고 있는 바, 그 중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조작하지 않고 통화가 가능하도록 핸즈프리 기능을 갖는 이어마이크폰이 제공되고 있다.
이하, 종래 이어마이크폰의 구조를 첨부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이어마이크폰은, 스피커(11)가 일체로 설치되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 일측에 연결봉(13)을 통해 일체로 설치되는 마이크(12)와, 휴대용 단말기의 잭(도시하지 않음)에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러그(14)와, 소정 길이를 가지며 일단은 상기 본체부(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플러그(14)에 연결되며 상기 본체부(10)와 플러그(14)를 연결하는 케이블(15)과, 상기 케이블(15) 상에 개재되는 스위치(16)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이어마이크폰에 있어서는, 상기 본체부(10)의 일측에 일체로 연결되는 케이블(15) 단부의 플러그(14)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에 접속한 후 케이블(15)의 일측에 설치되는 스위치(16)를 동작시키면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음이 케이블(15)을 통하여 본체부(10)에 설치되는 스피커(11)로서 방출되고, 이때 사용자의 음성은 본체부(10) 일측에 설치되면서 연결봉(13)에 의해 사용자의 입주위에 위치토록 되는 마이크(12)를 통하여 휴대용 단말기에 전달되어 상대방이 들을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이어마이크폰에 있어서는, 케이블(15)의 보관에 따른 문제가 발생되었다.
즉, 상기와 같은 구조는, 이어마이크폰의 사용후 케이블(15)을 정리하기가 불편하고 번거롭기 때문에 대부분 이어마이크폰과 함께 케이블(15)을 뭉쳐서 보관하거나 그대로 방치해 두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이어마이크폰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휴대용 단말기와 사용자 사이를 연결하는 케이블(15)이 길게 늘어져 있는 상태이므로, 운전시에는 상기와 같이 늘어진 케이블(15)에 의해 핸들조작 또는 기어변속 조작이 불편하였고, 휴대시에는 상기 케이블(15)을 작은 직경으로 말아 주머니 속에 넣어 휴대하였는데, 이를 다시 사용하기 위해 말아진 케이블(15)을 풀어내는 과정에서 케이블(15)이 엉키는 등 취급상태가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릴 타입 이어마이크폰이 제시된 바 있다.
첨부한, 도 2 내지 도 3은 종래 릴 타입 이어마이크폰의 구조 및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릴 타입 이어마이크폰은 스피커(11)가 일체로 설치되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 일측에 연결봉(13)을 통해 일체로 설치되는 마이크(12)와, 휴대용 단말기의 잭(도시하지 않음)에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러그(14)와, 소정 길이를 가지며 상기 본체부(10)와 플러그(14)에 각각 연결되는 케이블(15)을 포함하여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각 케이블(15)은 소정의 케이스(16) 내부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권취수단(17)을 통해 선택적으로 권취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릴 타입 이어마이크폰의 사용시에는 첨부한 도 3과 같이, 스피커(11) 및 마이크(12)를 포함한 본체부(10)와, 플러그(14)에 각각 연결되며 케이스(16) 내부에 권취되어 있는 케이블(15)을 외부로 인출시켜 사용하게 되고, 보관시에는 첨부한 도 2와 같이, 외부로 인출된 케이블(15)을 상기 케이스(16) 내부에 권취시켜 보관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릴 타입 이어마이크폰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15)의 경우에는 권취수단(17)을 통해 케이스(16) 내부에 권취되어 보관될 수 있지만, 상기 케이블(15) 단부에 각각 연결된 스피커(11) 및 마이크(12)를 포함한 본체부(10)와, 플러그(14)의 경우에는 케이스(16) 내부에 수납되지 못하고 케이스(16) 외부에 돌출되게 거치되는 바, 이와 같은 구조는 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휴대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조는 충격 발생시 케이스(16) 외부로 노출되게 거치되는 본체부(10)와 플러그(14)에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미려한 외관을 형성함과 아울러 휴대성을 향상 시킬 수 있으며, 충격발생에 따른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릴 타입 이어마이크폰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피커가 일체로 설치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일측에 연결 설치되는 마이크와,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러그와, 소정 길이를 가지며 상기 본체부와 플러그에 각각 연결되는 케이블과, 상기 각 케이블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내부에 수용함과 아울러 선택적으로 권취될 수 있도록 권취수단이 구비된 케이스를 포함하는 릴 타입 이어마이크폰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권취시 상기 본체부와 플러그가 상기 케이스에 각각 수납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는 수납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마이크는 연결봉 또는 보조 케이블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본체부에 일체로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납홈은 상기 케이블의 권취방향을 따라 상기 케이스의 둘레면에 함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와 플러그의 수납상태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수납홈에 그 폭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와 플러그에 탄력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고정부는 상기 본체부와 플러그에 전면적으로 탄력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수납홈 내부에 전면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납홈 일측에는 손가락 삽입홈이 함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릴 타입 이어마이크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어느 하나의 릴 타입 이어마이크폰이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릴 타입 이어마이크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릴 타입 이어마이크폰으로서, 마이크 및 스피커와 플러그의 수납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릴 타입 이어마이크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릴 타입 이어마이크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릴 타입 이어마이크폰이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릴 타입 이어마이크폰은, 스피커(21)가 일체로 설치되는 본체부(20)와, 상기 본체부(20) 일측에 연결 설치되는 마이크(22)와,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러그(24)와, 소정 길이를 가지며 상기 본체부(20)와 플러그(24)에 각각 연결되는 케이블(25)과, 상기 각 케이블(25)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내부에 수용함과 아울러 선택적으로 권취될 수 있도록 권취수단(27)이 구비된 케이스(26)와, 상기 케이블(25)의 권취시 본체부(20)와 플러그(24)가 상기 케이스(26)에 각각 수납될 수 있도록 케이스(26)에 형성되는 수납홈(26a)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케이스(26)는 분리 가능한 상/하부 케이스(26)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내부에 설치되는 권취수단(27)은 릴스프링(도시하지 않음) 및 상기 각 케이블(25)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접점단자(도시하지 않음)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각 케이블(25)이 선택적으로 케이스(26) 내부에서 권취되며 수납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릴 타입 이어마이크폰의 사용시에는 첨부한 도 8과 같이, 스피커(21) 및 마이크(22)를 포함한 본체부(20)와, 플러그(24)에 각각 연결되며 케이스(26) 내부에 권취되어 있는 케이블(25)을 외부로 인출시켜 사용하게 되고, 보관시에는 첨부한 도 4과 같이, 외부로 인출된 케이블(25)을 상기 케이스(26) 내부에 권취시켜 보관하게 된다.
이때, 상기 권취수단(27)의 구조 및 그 작동상태는 이미 공지되어 있는 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마이크(22)는 연결봉(23)을 통해 상기 본체부(20)에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플러그(24)는 휴대용 단말기의 잭(28)에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바, 상기와 같은 릴 타입 이어마이크폰에 있어서는, 상기 본체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25) 단부의 플러그(24)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에 접속한 후, 상기 본체부(20) 일측에 설치되는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동작시키면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음이 케이블(25)을 통하여 본체부(20)에 설치되는 스피커(21)로서 방출되고, 이때 사용자의 음성은 본체부(20) 일측에 설치되면서 연결봉(23)에 의해 사용자의 입주위에 위치토록 되는 마이크(22)를 통하여 휴대용 단말기에 전달되어 상대방이 들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수납홈(26a)은 상기 각 케이블(25)이 권취되며 케이스(26) 내부에 수납될 시, 상기 각 케이블(25)의 단부에 연결된 본체부(20)와 플러그(24)가 상기 케이블(25)과 함께 케이스(26) 내부에 수납될 수 있게 구비되는 것으로서, 첨부한 도 5 내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납홈(26a)은 스피커(21) 및 마이크(22)를 포함한 본체부(20)와, 플러그(24)의 형상에 각각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케이블(25)의 권취방향을 따라 상기 케이스(26)의 둘레면에 각각 함몰되게 형성되는 바, 이를 통해 스피커(21) 및 마이크(22)를 포함한 본체부(20)와, 플러그(24)는 상기 케이블(25)과 함께 케이스(26) 내부에 일체로 수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수납홈(26a)에는 상기 본체부(20)와 플러그(24)의 수납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부(26b)가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고정부(26b)는 상기 수납홈(26a)에 그 폭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수납홈(26a)에 수납된 스피커(21) 및 마이크(22)를 포함한 본체부(20)와 플러그(24)에 탄력적으로 접촉되며 이의 수납상태를 고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26b)는 스피커(21) 및 마이크(22)를 포함한 본체부(20)와 플러그(24)에 전면적으로 탄력 접촉되며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수납홈(26a) 내부에 전면적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본체부(20) 및 플러그(24)와 이에 연결된 케이블(25)은 선택적으로 케이스(26) 내부에 수납하거나 케이스(26) 외부로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납홈(26a)의 일측 연부에는 소정 크기로 절곡 형성된 손가락 삽입홈(26c)이 함몰되게 형성되어 있는 바, 이를 통해 수납홈(26a) 내에 수납 고정된 본체부(20) 및 플러그(24)를 케이스(26) 외부로 용이하게 인출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 9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마이크(22)가 보조 케이블(25a)을 통해 본체부(20)에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릴 타입 이어마이크폰에 적용될 수 있다.
즉, 상기 마이크(22)는 보조 케이블(25a)을 통해 스피커(21)가 일체로 설치된 본체부(20)에 일체로 연결 설치됨과 아울러 케이블(25)과 연결되고, 상기와 같이 마이크(22)를 통해 본체부(20)에 연결 설치된 케이블(25)은 플러그(24)와 연결된 케이블(25)과 함께 케이스(26) 내부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권취수단(27)에 의해 선택적으로 권취되며 수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마이크(22)는 스피커(21)가 일체로 설치된 본체부(20) 및 플러그(24)와 함께 전술한 실시예와 같은 방식으로 케이스(26)에 형성된 수납홈(26a)을 통해 케이스(26)에 수납될 수 있고, 상기 수납홈(26a)에 구비된 고정부(26b)를 통해 고정될 수 있는 바, 이에 대한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히 변경하여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릴 타입 이어마이크폰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의하면, 미려한 외관을 형성함과 아울러 휴대성을 향상 시킬 수 있으며, 충격발생에 따른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이어마이크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 내지 도 3은 종래 릴 타입 이어마이크폰의 구조 및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릴 타입 이어마이크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릴 타입 이어마이크폰으로서, 마이크 및 스피커와 플러그의 수납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릴 타입 이어마이크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릴 타입 이어마이크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본체부 21 : 스피커
22 : 마이크 23 : 연결봉
24 : 플러그 25 : 케이블
25a : 보조 케이블 26 : 케이스
26a : 수납홈 26b : 고정부
26c : 손가락 삽입홈 27 : 권취수단
28 : 잭

Claims (8)

  1. 스피커가 일체로 설치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일측에 연결 설치되는 마이크와,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러그와, 소정 길이를 가지며 상기 본체부와 플러그에 각각 연결되는 케이블과, 상기 각 케이블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내부에 수용함과 아울러 선택적으로 권취될 수 있도록 권취수단이 구비된 케이스를 포함하는 릴 타입 이어마이크폰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권취시 상기 본체부와 플러그가 상기 케이스에 각각 수납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는 수납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타입 이어마이크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는 연결봉 또는 보조 케이블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본체부에 일체로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타입 이어마이크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홈은 상기 케이블의 권취방향을 따라 상기 케이스의 둘레면에 함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타입 이어마이크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플러그의 수납상태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타입 이어마이크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수납홈에 그 폭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와 플러그에 탄력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타입 이어마이크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본체부와 플러그에 전면적으로 탄력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수납홈 내부에 전면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타입 이어마이크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홈 일측에는 손가락 삽입홈이 함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타입 이어마이크폰.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하나의 릴 타입 이어마이크폰이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타입 이어마이크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20040019016A 2004-03-19 2004-03-19 릴 타입 이어마이크폰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2005009353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9016A KR20050093538A (ko) 2004-03-19 2004-03-19 릴 타입 이어마이크폰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CNA2004100915187A CN1671245A (zh) 2004-03-19 2004-11-18 便携终端的卷式耳机麦克风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9016A KR20050093538A (ko) 2004-03-19 2004-03-19 릴 타입 이어마이크폰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3538A true KR20050093538A (ko) 2005-09-23

Family

ID=35042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9016A KR20050093538A (ko) 2004-03-19 2004-03-19 릴 타입 이어마이크폰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50093538A (ko)
CN (1) CN167124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486B1 (ko) * 2010-10-18 2011-07-22 배진영 보관이 편리하고 위생적인 자동 줄 감기 기능이 구비된 이어폰
KR101219250B1 (ko) * 2011-04-15 2013-01-09 조준규 케이스 일체형 이어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91618B2 (ja) 2010-02-24 2015-04-01 ヤマハ株式会社 イヤホンマイク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486B1 (ko) * 2010-10-18 2011-07-22 배진영 보관이 편리하고 위생적인 자동 줄 감기 기능이 구비된 이어폰
WO2012053742A2 (ko) * 2010-10-18 2012-04-26 Bae Jinyoung 보관이 편리하고 위생적인 자동 줄 감기 기능이 구비된 이어폰
WO2012053742A3 (ko) * 2010-10-18 2012-06-21 Bae Jinyoung 보관이 편리하고 위생적인 자동 줄 감기 기능이 구비된 이어폰
KR101219250B1 (ko) * 2011-04-15 2013-01-09 조준규 케이스 일체형 이어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71245A (zh) 2005-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31956B2 (en) Retractable cord for a mobile phone or other wireless device
WO2006037111A3 (en) Cellular telephone caddy
KR20000059278A (ko) 이동전화기용 핸즈-프리 디바이스
KR101538796B1 (ko) 이어마이크폰이 일체로 수납된 휴대폰 케이스
KR20130126873A (ko) 핸드폰
KR200235821Y1 (ko) 선이 고정되는 이어폰
KR20050093538A (ko) 릴 타입 이어마이크폰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0329217B1 (ko) 휴대폰용 핸즈프리장치
KR20110122974A (ko) 기능성 케릭터 구조를 갖는 이어폰 수납장치
KR200356253Y1 (ko) 이어폰이 내장된 휴대폰용 악세사리
KR200364568Y1 (ko) 코드선의 길이 조절이 용이한 이어폰
KR200181930Y1 (ko) 휴대폰용 권취릴형 핸드프리 이어폰
KR200356185Y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악세사리 겸용 이어마이크폰수용캡
KR100680295B1 (ko) 감김 방식에 의한 이어마이크로폰
JP2002325126A (ja) イヤーマイク収容ケース
KR200175159Y1 (ko) 이어폰 마이크 부착장치
KR200385670Y1 (ko) 이어마이크 어셈블리
KR200233069Y1 (ko) 차량용 핸즈프리세트 및 이 핸즈프리세트에 사용되는휴대폰
KR200200186Y1 (ko) 이어폰 고정장치
KR200179188Y1 (ko) 휴대전화기용 이어폰
JP3049960U (ja) 携帯電話に装着できるフック付きペン型イヤホン ・マイクボックス
JP2001168965A (ja) イヤホン装着型携帯電話機及び携帯電話機アタッチメント
KR20030056058A (ko) 이어마이크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200285692Y1 (ko) 목걸이형 핸즈프리
KR200329476Y1 (ko) 초소형 핸즈프리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