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5692Y1 - 목걸이형 핸즈프리 - Google Patents

목걸이형 핸즈프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5692Y1
KR200285692Y1 KR20020014666U KR20020014666U KR200285692Y1 KR 200285692 Y1 KR200285692 Y1 KR 200285692Y1 KR 20020014666 U KR20020014666 U KR 20020014666U KR 20020014666 U KR20020014666 U KR 20020014666U KR 200285692 Y1 KR200285692 Y1 KR 2002856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housing
extension member
necklac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200146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중영
Original Assignee
이중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중영 filed Critical 이중영
Priority to KR200200146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56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56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56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전화기에 사용되는 핸즈프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휴대전화기를 목에 걸고 사용하는 목걸이형 핸즈프리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휴대전화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선이 구비되며 상기 휴대전화기와 결합되는 목걸이줄과, 상기 목걸이줄 내부의 도선과 연결되는 이어폰 도선에 결합된 이어폰과, 상기 목걸이줄 내부의 도선과 연결되는 마이크 도선에 연결된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 도선이 내부를 통과하며 상기 마이크가 끝단에 고정되고 휘어질 수 있으며 휘어진 형태를 유지하는 연장부재를 구비하는 마이크 유닛을 포함하는 핸즈프리가 제공된다. 상기 목걸이줄에는 집게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 유닛의 연장부재는 상기 목걸이줄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 유닛은 상기 목걸이줄에 고정되며 일단부가 개방된 하우징을 더 구비하되, 상기 연장부재가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단부를 통해 출몰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재는 쟈바라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목걸이형 핸즈프리 {NECKLACE TYPE HANDSFREE}
본 고안은 휴대전화기의 핸즈프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전화기를 목에 건 상태에서 이용하는 목걸이형 핸즈프리에 관한 것이다.
현재 휴대전화기는 넓게 보급되어 그 사용이 일반화되어 있다. 보통 휴대전화기로 통화를 하게 되는 경우 손으로 휴대전화기를 잡고 귀와 입에 가까이 댄 후 사용한다. 그러나, 손으로 휴대전화기를 계속 잡고 있기가 곤란한 경우(자동차 운전과 같이 지속적으로 손을 이용해야하는 작업을 하고 있을 때)에는 통화하는 것이 매우 불편하다. 이러한 경우 휴대전화기를 손으로 잡고 있지 않아도 통화를 가능하게 해주는 핸즈프리장치를 많이 사용하게 된다.
현재 핸즈프리장치로는 정해진 장소에 휴대전화기를 고정시켜 놓고 사용하는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이동시에는 핸즈프리장치를 사용할 수 없고 반복적으로 휴대전화기를 핸즈프리장치에 설치하거나 핸즈프리장치로부터 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른다.
이러한 번거로움을 없애기 위해 휴대전화기를 목에 걸고 다닐 수 있도록 마련된 목걸이형 핸즈프리장치가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기존의 목걸이형 핸즈프리장치는 몸을 숙이거나 심하게 움직일 때, 목걸이에 걸린 휴대전화기가 쉽게 움직이고 흔들려 휴대에 불편이 따르기도 했다. 또한, 목걸이형 핸즈프리장치의 경우 마이크가 이어폰 중간에 고정되어 설치되어 사용자의 입과 멀리 위치하여 통화에 불편을 느끼기도 한다. 마이크 위치가 입과 많이 떨어진 경우 통화음성보다 소음이 더 크게 전달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점은 통화품질에 영향을 준다는 측면에서 주요한 문제가 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동 중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핸즈프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휴대전화기가 몸의 움직임에 쉽게 영향을 받지 않고 몸에 안정적으로 위치하도록 하는 목걸이형 핸즈프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마이크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목걸이형 핸즈프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마이크가 출몰가능하도록 수납되는 목걸이형 핸즈프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목걸이형 핸즈프리의 사시도
도2의 (a)와 (b)는 도1의 마이크 유닛의 하우징을 종으로 절단하여 그 내부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a)와 (b)는 도1의 마이크 유닛의 하우징을 각각 A-A'선과 B-B'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도면
도3의 (a)와 (b)는 각각 도1의 마이크 연장부재의 두 실시예의 사시도로서, 외피의 일부를 제거하여 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목걸이형 핸즈프리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핸즈프리 20 : 목걸이줄
30 : 이어폰 32 : 이어폰줄
40 : 마이크 유닛 42 : 마이크 연장부재
44 : 마이크 위치조절부재 46 : 하우징
50 : 집게
본 고안의 일측면에 따르면, 휴대전화기를 목에 걸고 사용하는 목걸이형 핸즈프리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휴대전화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선이 구비되며 상기 휴대전화기와 결합되는 목걸이줄과,
상기 목걸이줄 내부의 도선과 연결되는 이어폰 도선에 결합된 이어폰과,
상기 목걸이줄 내부의 도선과 연결되는 마이크 도선에 연결된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 도선이 내부를 통과하며 상기 마이크가 끝단에 고정되고 휘어질 수 있으며 휘어진 형태를 유지하는 연장부재를 구비하는 마이크 유닛을 포함하는 핸즈프리가 제공된다.
상기 목걸이줄에는 집게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 유닛의 연장부재는 상기 목걸이줄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 유닛은 상기 목걸이줄에 고정되며 일단부가 개방된 하우징을 더구비하되, 상기 연장부재가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단부를 통해 출몰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 유닛은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그 길이방향으로의 직선이동이 가능하고 임의 위치에서 정지하며 상기 연장부재가 고정되는 위치조절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그 길이방향으로 산와 골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톱니형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조절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톱니형 결합부의 골에 끼워지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걸림돌기는 외력에 의해 상기 골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재는 쟈바라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장부재는 탄성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코일스프링과, 소성을 제공하도록 상기 코일스프링을 따라 나란히 연장되는 형태유지부재와, 상기 코일스프링 또는 상기 형태유지부재를 둘러싸는 외피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외피는 열에 의해 수축되는 수축튜브일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을 참조하면, 핸즈프리(10)는 목걸이줄(20)과, 이어폰(30)과, 마이크 유닛(40)과, 집게(50)를 구비한다. 목걸이줄(20)의 양끝은 후술하는 휴대전화 연결부(60) 안으로 삽입되어 결합된다. 목걸이줄(20)과 결합된 휴대전화 연결부(60)는 휴대전화기 결합끈(62)과, 휴대전화기 연결잭(64)을 구비한다. 휴대전화 결합끈(62) 끝에는 휴대전화기(8)가 묶여 핸즈프리(10)로부터 휴대전화기(8)가 분리되지 않는다. 연결잭(64)은 휴대전화기(8)에 연결되어 휴대전화기(8)와 핸즈프리(10)(상세하게는 마이크(49)와 이어폰(30))가 서로 음성신호를 주고받게 된다.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목걸이줄(20) 내부에는 전기적 음성신호가 전달되도록 연결잭(64)으로부터 이어폰(30)과 마이크(49)로 연결되는 도선이 구비된다.
도1을 참조하면, 목걸이줄(20)로부터 분기되어 길게 연장된 이어폰 줄(32) 끝에 이어폰(30)이 구비된다. 이어폰(30)에는 스위치(34)가 구비되어, 전화를 받거나 전화를 걸고자 할 때 이 스위치(34)를 눌러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통상의 핸즈프리 이어폰의 구성을 따른다. 이에 대한 구성은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어폰줄(32)은 목걸이줄(20) 내부에 구비되는 도선을 통해 연결잭(64)과 연결된다.
도1을 참조하면, 목걸이줄(20)에 마이크 유닛(40)이 고정된다. 도1과 도2를 참조하면, 마이크 유닛(40)은 마이크(49)와, 마이크 연장부재(42)와, 마이크 위치조절부재(44)와, 하우징(46)을 구비한다.
도1과 도2를 참조하면, 하우징(46)은 길다란 원통형으로서, 내부는 비어 있으며, 일단부는 개방되어 있고 외측면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좁은 통로(460)가 마련된다. 개방된 단부를 통해 후술하는 마이크(49)와 마이크 연장부재(42)가 출몰하며, 측면의 통로(460)를 통해 후술하는 마이크 위치조절부재(44)의 조절노부(440)가 노출된다. 하우징(46)의 외측면에는 목걸이줄(20)과 고정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된 두 개의 고정부(461)가 구비된다. 두 고정부(461)에는 목걸이줄(20)이 끼워지도록 마련된 삽입구멍이 마련된다. 이 삽입구멍의 크기는 목걸이줄(20)이 꼭 맞게 끼워져 큰 외력이 아니면 마이크 유닛(40)이 움직일 수 없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2의 (a)와 (b)를 참조하면, 하우징(46)의 내측면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산(4631)과 골(4632)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길다란 톱니형 걸림부(463)가 구비된다. 톱니형 걸림부(463)는 상기 통로(460)와 마주보게 위치하는데 그렇지만,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다. 걸림부(463)의 골(4632)에 후술하는 마이크 위치조절부재(44)의 걸림돌기(441)가 끼워진다. 하우징(46)의 내측면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길다랗게 형성된 직선형 홈(464)이 마련된다. 이 직선형 홈(464)은 목걸이줄(20)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홈(464)의 중간부분에는 관통구멍(465)이 마련된다. 이 관통구멍(465)을 통해 목걸이줄(20)로부터 나온 마이크 도선(491)이 하우징(46) 내부로 길게 연장된다. 하우징 내부의 마이크 도선(49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직선형 홈(464)에 수용되며, 마이크 도선(491)의 끝은 마이크 위치조절부재(44) 안으로 삽입되어 후술하는 마이크 연장부재(42)를 거쳐 마이크(49)로 연결된다.
도2의 (a)와 (b)를 참조하면, 하우징(46) 내부에 구비되는 마이크 위치조절부재(44)는 하우징(46) 내에서 직선이동이 가능하다. 위치조절부재(44)의 양단부 중 하우징(46)의 개방된 단부를 향하는 단부에는 후술하는 마이크 연장부재(42)의 일단부가 결합되고, 반대편 단부에는 마이크(49)로 연결되는 마이크 도선(491)이 삽입된다.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위치조절부재(44)는 그 길이방향으로 중심부를 관통하는 통로가 마련된다. 이 통로를 거쳐 마이크 도선(491)이 후술하는 마이크 연장부재(42) 내부로 삽입되고 결국 마이크(49)로 연결된다.
도1과 도2를 참조하면, 위치조절부재(44)는 하우징(46)의 통로(460)를 통해 하우징(46) 외부로 연장되는 연결목(444)과, 목부(444)에 달린 조절노브(440)를 포함한다. 조절노브(440)에 손가락을 대고 움직여 위치조절부재(44)를 이동시킬 수 있다. 조절노브(440)는 손가락을 대기에 알맞도록 약간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2의 (a)를 참조하면, 하우징(46)의 톱니형 걸림부(463)와 마주보는 위치조절부재(44)의 하부에는 톱니형 걸림부(463)와 결합되도록 마련된 결합부(442)가 구비된다. 결합부(442)는 위치조절부재(44)의 뒤쪽 단부로부터 하우징(46)의 길이방향으로 앞쪽을 향해 연장된 막대형태로서, 위치조절부재(44) 본체와 어느 정도 이격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결합부(442)는 탄성을 가지고 있어 상하로 휘어질 수 있다. 결합부(442) 끝의 아래면에는 걸림돌기(441)가 돌출되어 있다. 걸림돌기(441)는 하우징(46)의 마주보는 톱니형 걸림부(463)의 골(4632)에 끼워져 위치조절부재(44)가 그 위치에 정지해 있을 수 있다. 또한, 위치조절부재(44)가 이동하도록 외력을 가하면 결합부(442)가 위로 휘어지면서 걸림돌기(441)가 걸림부(463)의 산(4631)을 타고 넘어가게 되어 위치조절부재(44)가 움직이게 된다.
도1과 도2를 참조하면, 마이크 위치조절부재(44)와 마이크(49)를 연결하는 길다란 마이크 연장부재(42)가 하우징(46)의 개방된 단부를 통해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마이크 연장부재(42)로는 쉽게 휘어지고 휘어진 상태를 계속 유지하는 관이 사용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통상 쟈바라관로 알려져 널리 사용되고 있는 관을 사용한다. 도3의 (a)를 참조하면, 마이크 연장부재(42)는 코일 스프링(421)과,코일 스프링(421)을 따라 감긴 형태유지부재(422)와, 코일 스프링(421)과 형태유지부재(422)를 감싸는 외피(423)를 구비한다.
도3을 참조하면, 코일 스프링(421)은 마이크 연장부재(42)가 쉽게 휘어져 변형될 수 있게 해주는데, 다시 그 탄성에 의해 원형(직선형)으로 쉽게 되돌아올 수 있으나 그 탄성이 너무 크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형태유지부재(422)는 소성이 큰 구리나 알루미늄과 같은 재료의 길고 얇은 금속판을 코일 스프링(421)을 따라 나선형으로 감아 형성된다. 형태유지부재(42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421)의 이격된 철선 사이를 폐쇄하도록 감긴다. 형태유지부재(422)는 마이크 연장부재(42)가 변형된 후 그 형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리소재의 형태유지부재(422)를 사용하지만,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다. 용이하게 휘어지고 그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라면 형태유지부재(422)의 소재로서 가능하다.
도3의 (a)를 참조하면, 외피(423)는 코일 스프링(421)과 형태유지부재(422)를 보호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피로서 열에 의해 수축되는 플라스틱 수축튜브를 사용하는데, 외피(423)는 코일 스프링(421)과 형태유지부재(422)가 외피(423) 내부에 삽입된 후 열에 의해 수축되어 코일 스프링(421)과 형태유지부재(422)와 밀착된다.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마이크 연장부재(42)의 길이는 마이크 위치조절부재(44)가 맨 뒤로 후퇴하였을 때 끝에 달린 마이크(49)가 하우징(46)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정도이다. 속이 빈 마이크 연장부재(42)의 내부를 통해 마이크줄(491)이 통과하여 마이크 연장부재(42)의 끝에 마련된 마이크(49)에 연결된다.
도3의 (b)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쟈바라관이 도시되어 있다. 쟈바라관은 코일 스프링(421a)과, 코일 스프링(421a) 내부를 통과하는 형태유지부재(422a)와, 코일 스프링(421)을 둘러싸는 외피(423a)를 구비한다. 코일 스프링(421a) 내부에는 형태유지부재(422a)와 함께 마이크로 연결되는 마이크 도선(491a)이 통과한다.
도3의 (b)를 참조하면, 코일 스프링(421a)은 철선 사이에 빈틈이 없도록 촘촘히 감겨있다. 코일 스프링(421a)은 쟈바라관이 쉽게 휘어져 변형될 수 있게 해주는데, 다시 그 탄성에 의해 원형(직선형)으로 쉽게 되돌아올 수 있으나 그 탄성이 너무 크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형태유지부재(422a)는 소성이 큰 구리나 알루미늄과 같은 재료의 길다랗고 얇은 금속부재이다. 형태유지부재(422a)는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421a)의 내부를 통과한다. 형태유지부재(422a)는 쟈바라관이 변형된 후 그 형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리소재의 형태유지부재(422a)를 사용하지만,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다. 용이하게 휘어지고 그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라면 형태유지부재(422a)의 소재로서 가능하다.
도3의 (b)를 참조하면, 외피(423a)는 코일 스프링(421)을 보호한다. 외피(423a)로서, 도3의 (a)의 실시예와 같이 열에 의해 수축되는 플라스틱 수축튜브를 사용한다.
도1과 도2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구성의 마이크 유닛(40)은 마이크 위치조절부재(44)가 하우징(46) 내에서 직선이동함에 따라 마이크(49)가 출몰하며 임의의 위치에서 위치조절부재(44)의 걸림돌기(441)가 하우징(46)의 걸림부(463)에 걸려 고정된다. 마이크 위치조절부재(44)의 이동은 조절노브(440)를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마이크 연장부재(42)는 쉽게 휘어지고 그 형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전화통화시에는 마이크 연장부재(42)를 하우징(46)으로부터 뺀 후 마이크 연장부재(42)를 적당히 구부려 마이크(49)를 사용자의 입 근처로 옮겨 사용할 수 있다. 통화가 끝나면, 마이크 연장부재(42)를 다시 직선으로 변형시킨 후 하우징(46) 안으로 삽입하여 보관한다.
도1을 참조하면, 목걸이줄(20)에서 휴대전화 연결부(60)와 근접하는 위치에는 집게(50)가 구비된다. 집게(50)는 목걸이줄(20)을 사람이 입고 있는 옷 등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집게(50)는 목걸이줄(20)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목걸이줄(20)에 결합된 결합부(52)를 구비한다. 결합부(52)에는 관통구멍(53)이 마련되어 이 관통구멍(53)을 거쳐 목걸이줄(20)의 양끝이 휴대전화 연결부(60)로 결합된다. 결합부(52)가 목걸이줄(20)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사용자는 편리하게 집게(50)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도2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핸즈프리의 사시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마이크(49a)는 목걸이줄(20a)에 고정된 쟈바라관과 같은 유연한 재료의 마이크 연장부재(42a)의 끝에 구비된다. 마이크 연장부재(42a)의 구성은 상기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연장부재(42)와 동일하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마이크 연장부재(42a)를 적절히 변형시켜 편리하게 통화할 수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고안에 의한 핸즈프리를 사용하면 사용자가 이동 중에도 쉽게 핸즈프리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핸즈프리를 사용하면 휴대전화기가 몸의 움직임에 쉽게 영향을 받지 않고 몸에 안정적으로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목걸이형 핸즈프리를 사용하면 통화시 마이크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화시킬 수 있어 통화의 질을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목걸이형 핸즈프리를 사용하면 마이크의 연장길이가 조절된다.
이상 본 고안을 상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변경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과 변경 또한 본 고안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휴대전화기를 목에 걸고 사용하는 목걸이형 핸즈프리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휴대전화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선이 구비되며 상기 휴대전화기와 결합되는 목걸이줄과,
    상기 목걸이줄 내부의 도선과 연결되는 이어폰 도선에 결합된 이어폰과,
    상기 목걸이줄 내부의 도선과 연결되는 마이크 도선에 연결된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 도선이 내부를 통과하며 상기 마이크가 끝단에 고정되고 휘어질 수 있으며 휘어진 형태를 유지하는 연장부재를 구비하는 마이크 유닛을 포함하는 핸즈프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걸이줄에는 집게가 구비되는 핸즈프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유닛의 연장부재는 상기 목걸이줄에 고정되는 핸즈프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유닛은 상기 목걸이줄에 고정되며 일단부가 개방된 하우징을 더 구비하되, 상기 연장부재가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단부를 통해 출몰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핸즈프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유닛은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그 길이방향으로의 직선이동이 가능하고 임의 위치에서 정지하며 상기 연장부재가 고정되는 위치조절부재를 더 구비하는 핸즈프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그 길이방향으로 산와 골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톱니형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조절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톱니형 결합부의 골에 끼워지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걸림돌기는 외력에 의해 상기 골로부터 이탈되는 핸즈프리.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재는 쟈바라관으로 이루어지는 핸즈프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재는 탄성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코일스프링과, 소성을 제공하도록 상기 코일스프링을 따라 나란히 연장되는 형태유지부재와, 상기 코일스프링 또는 상기 형태유지부재를 둘러싸는 외피를 구비하는 핸즈프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열에 의해 수축되는 수축튜브인 핸즈프리.
KR20020014666U 2002-05-14 2002-05-14 목걸이형 핸즈프리 KR2002856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20014666U KR200285692Y1 (ko) 2002-05-14 2002-05-14 목걸이형 핸즈프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20014666U KR200285692Y1 (ko) 2002-05-14 2002-05-14 목걸이형 핸즈프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5692Y1 true KR200285692Y1 (ko) 2002-08-13

Family

ID=63363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20014666U KR200285692Y1 (ko) 2002-05-14 2002-05-14 목걸이형 핸즈프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569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97343A1 (ko) * 2016-11-22 2018-05-31 주식회사 지인프로테크 목걸이형 안전센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97343A1 (ko) * 2016-11-22 2018-05-31 주식회사 지인프로테크 목걸이형 안전센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31956B2 (en) Retractable cord for a mobile phone or other wireless device
EP0624021A2 (en) Portable telephone set with an earphone
US20020193151A1 (en) Cell phone retractable earpiece
KR20060032593A (ko) 헤드셋 와이어
KR200285692Y1 (ko) 목걸이형 핸즈프리
KR200271600Y1 (ko) 귀걸이형 이어폰-마이크
US7640042B2 (en) Buckle phone
US5982883A (en) Telephone comprising a sliding microphone
KR200178343Y1 (ko) 이어 마이크 세트
KR200200254Y1 (ko) 휴대폰용 이어-마이크로폰장치
KR200181930Y1 (ko) 휴대폰용 권취릴형 핸드프리 이어폰
KR200302153Y1 (ko) 플러그 일체형의 휴대전화 외부 스피커 장치
KR200225438Y1 (ko) 휴대 전화기용 이어폰
KR200225631Y1 (ko) 핸즈프리용 걸이
KR101300265B1 (ko) 무선 헤드셋
KR200180375Y1 (ko) 펜던트형 핸즈 프리
KR200200131Y1 (ko) 휴대폰에서 통화를 위한 이어 마이크로폰 목걸이
KR20050093538A (ko) 릴 타입 이어마이크폰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200277044Y1 (ko) 목걸이형 핸드프리 이어폰
KR200233046Y1 (ko) 핸드프리 이어폰이 부착된 휴대폰용 목걸이
KR200179188Y1 (ko) 휴대전화기용 이어폰
JP3078426U (ja) 携帯型情報通信機器のアンテナ装置
KR200281642Y1 (ko) 이동전화용 이어폰
KR20020023611A (ko) 목걸이형 이어마이크
KR200176935Y1 (ko) 휴대폰용 이어폰 권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