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4562B1 - 냉동기용 윤활유조성물 - Google Patents

냉동기용 윤활유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4562B1
KR100944562B1 KR1020080084210A KR20080084210A KR100944562B1 KR 100944562 B1 KR100944562 B1 KR 100944562B1 KR 1020080084210 A KR1020080084210 A KR 1020080084210A KR 20080084210 A KR20080084210 A KR 20080084210A KR 100944562 B1 KR100944562 B1 KR 100944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ester
lubricating oil
oil composition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4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4907A (ko
Inventor
다까시 가이마이
히또시 다까하시
Original Assignee
쟈판에나지 덴시자이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쟈판에나지 덴시자이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쟈판에나지 덴시자이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84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4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4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45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29/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oxygen
    • C10M129/02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oxygen having a carbon chain of less than 30 atoms
    • C10M129/68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29/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oxygen
    • C10M129/02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oxygen having a carbon chain of less than 30 atoms
    • C10M129/16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71/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purely physical criteria, e.g. containing as base-material, thickener or additive, ingredients which are characterised exclusively by their numerically specified physical properties, i.e. containing ingredients which are physically well-defined but for which the chemical nature is either unspecified or only very vaguely indicated
    • C10M171/008Lubricant compositions compatible with refriger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90/00Mixtures of base materials or thickeners or additives
    • C10M2290/04Synthetic base 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30Refrigerators lubricants or compressors lubrica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ubricants (AREA)

Abstract

가수분해나 산화에 대한 안정성에 우수하고, 윤활유의 착색이나 장기간의 사용에 있어서 슬러지의 발생이 없는 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 , 이산화탄소, 또는 탄화수소 등의 염소를 함유하지 않은 냉매를 사용하는 냉동기용에 최적한 윤활유조성물을 제공한다.
에스테르계 또는 에테르계 합성윤활기유(基油)에,
(A) 알킬글리시딜에테르, 알킬글리시딜에스테르 또는 시클로헥센옥시드를 분자내에 함유하는 화합물의 1종이상을 0.01중량%이상 1중량%미만, 및
(B) 디페닐칼보디이미드 또는 비스 (알킬화 페닐) 칼보디이미드화합물의 1종이상을 0.01중량%이상 1중량%미만
배합한 것으로 이루어진 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 , 이산화탄소 또는 탄화수소를 냉매로 한 냉동기용 윤활유조성물.
냉동기용 윤활유

Description

냉동기용 윤활유조성물 {LUBRICATING OIL COMPOSITION FOR REFRIGERATING MACHINE}
본 발명은 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 이산화탄소, 탄화수소 등의 염소를 함유하지 않은 냉매를 사용하는 냉동기용 윤활유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 공기조절장치 등의 냉동기로서는 압축접동부(摺動部)에서의 마찰, 마모, 타서 눌어붙음방지 등을 위해 윤활유가 사용되고 있다. 이 윤활유에 요구되는 특성으로서는 냉매와의 접촉이 수반되기 때문에 냉매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한 것, 냉매와의 용해성에 우수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종래, 냉매로서는 염소를 함유하는 프론냉매, 예컨대, 트리클로로모노플루오로메탄 (R11) 이나 디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 (R12) 등의 클로로플루오로카본류나 모노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 (R22) 등의 하이드로클로로플루오로카본류가 사용되고 이들의 염소를 함유하는 냉매에 대해서는 나프텐계 광물유(鑛物油), 파라핀계 광물유, 알킬벤젠계 합성유, 폴리α올레핀계 합성유 (PAO) 등이 윤활유로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의 염소함유 프론냉매는 성층권의 오존층을 파괴하기 때문에 국제적으로 그 사용이 규제되어 이것을 대신하는 대체 프론냉매로서의 1,1,1,2-테트 라플루오로에탄 (R134a) 등의 염소를 함유하지 않은 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이나 암모니아, 이산화탄소, 탄화수소 등이 냉매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들의 냉매에 대응한 윤활유가 검토되어져 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냉매에 대해서는,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 (PAG)등의 폴리에테르계 합성유 또는 폴리올에스테르계 합성유가, 이산화탄소에 대해서는 PAG 등의 에테르계 합성유나 PAO 등의 합성탄화수소화합물이, 탄화수소에 대해서는 에테르계 합성유나 나프텐계 광물유, 파라핀계 광물유가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염소를 함유하지 않은 냉매의 경우, 염소의 극압효과 (윤활성 향상)를 기대할 수 없기 때문에 냉동기의 베어링, 피스톤, 밀봉부 등에서 윤활불량이 생기기 쉽고, 에너지손실, 마모증대, 타서 눌어붙음 등을 일으키거나 냉매나 윤활유의 분해를 촉진하여 부식을 일으키게 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특히 냉동기의 콤프레서 등의 냉동시스템계내에는 미량의 수분 및 산소가 존재하여 폴리올에스테르계 윤활유를 사용한 경우 가수분해되어 유리산(遊離酸)을 생성하고 또한 에테르계 윤활유의 경우, 산화열화(酸化劣化)하여 산가(酸價)를 상승시켜, 어느 것도 장치내의 재료의 부식, 냉매나 윤활유의 열화촉진, 냉매 비용해성분의 생성에 의한 캐필러리 폐색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들을 개선하기 위해서 에폭시화합물을 첨가하는 방법 (특개평2-276880, 동5-17792)이나 칼보디이미드기를 가지는 화합물을 첨가하는 방법 (특개평 7-133487, 국제공개 WO94/21759)가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에폭시화합물은 유리산과의 반응이 느리고 또 칼보디이미드기를 가지는 화합물도 단독으로, 실질적인 효 과를 올리기 위해서는 첨가량을 많게 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냉동시스템계에 계내수분을 저감하는 장치 또는 수단을 갖지 않는 카에어컨이나 공기조절 장치 등의 냉동기에 있어서는, 그 첨가량을 2중량%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고, 이러한 첨가량으로는 칼보디이미드의 경우는 윤활유의 착색이 현저히 상품가치를 내리는 원인이 되고, 더욱이 에폭시화합물도 칼보디이미드화합물도 함께 장기간의 사용으로 슬러지를 생성시킨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연구를 한 결과, 특정의 에폭시화합물 및 칼보디이미드화합물을 병용하면 놀랍게도 이들의 화합물의 첨가량을 각각 단독으로 첨가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어 윤활유의 착색이나 장기간의 사용으로의 슬러지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음을 찾아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식견에 근거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수분해나 산화에 대한 안정성에 우수하고 윤활유의 착색이나 장기간의 사용에 있어서 슬러지의 발생이 없는 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 이산화탄소 또는 탄화수소 등의 염소를 함유하지 않은 냉매를 사용하는 냉동기용에 가장 적합한 윤활유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1) 에스테르계 또는 에테르계 합성윤활기유에,
(A) 알킬글리시딜에테르, 알킬글리시딜에스테르 또는 시클로헥센옥시드를 분자내에 함유하는 화합물의 1종 이상을 0.01중량%이상 1중량%미만, 및
(B) 디페닐칼보디이미드 또는 비스 (알킬화 페닐) 칼보디이미드 화합물의 1종이상을 0.01중량%이상 1중량%미만
배합한 것으로 이루어진 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 이산화탄소 또는 탄화수소를 냉매로 한 냉동기용 윤활유조성물,
(2) 에스테르계 또는 에테르계합성윤활기유에,
(A) 알킬글리시딜에테르, 알킬글리시딜에스테르 또는 시클로헥센옥시드를 분자내에 함유하는 화합물의 1종이상을 0.01중량%이상 1중량%미만,
(B) 디페닐칼보디이미드 또는 비스 (알킬화 페닐) 칼보디이미드화합물의 1종이상을 0.01중량%이상 1중량%미만 및
(C) 디-터트-부틸-p-크레졸을 0.01이상 1중량%미만
배합한 것으로 이루어진 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 이산화탄소 또는 탄화수소를 냉매로 한 냉동기용 윤활유조성물,
(3) 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 이산화탄소 또는 탄화수소를 냉매로 한 냉동기가 해당 냉동기의 계내수분을 저감하는 장치 또는 수단을 갖지 않은 것으로 이루어진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냉동기용 윤활유조성물,
(4) 에스테르계 합성윤활기유가 폴리올에스테르인 상기 (1) ∼ (3)에 기재된 냉동기용 윤활유조성물,
(5) 에스테르계 합성윤활기유가 컴플렉스에스테르인 상기 (1) ∼ (3)에 기재된 냉동기용 윤활유조성물,
(6) 폴리올에스테르가 펜타에리스리톨, 네오펜틸글리콜, 트리메티롤프로판 또는 디펜타에리스리톨과 일가지방산으로 합성된 에스테르인 상기 (4)에 기재된 냉동기용 윤활유조성물,
(7) 폴리올 에스테르가 펜타에리스리톨과 2종이상의 일가지방산과의 혼합물과의 에스테르인 상기 (4) 또는 (6)에 기재된 냉동기용 윤활유조성물,
에 관한 것이다.
에폭시화합물 및 칼보디이미드화합물은, 동시에 수분, 지방산, 산화열화물 등 냉동기내의 부식성의 화합물과 반응하여 부식성분이 냉동기내의 재료의 열화, 냉매나 윤활유의 열화촉진 등의 원인이 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가진다.
칼보디이미드화합물은 수분, 지방산, 산화열화물과의 반응이 빠르고, 정제후의 윤활유에 잔류하고 있는 지방산, 산화열화물이나 냉동기내의 초기수분과 반응한다.
한편 에폭시화합물은 비교적 반응이 느리고 냉동기가 동작중의 열부하(熱負荷)나 접동부분에서 발생한 지방산이나 산화열화물 등의 부식성분과 반응한다.
양화합물을 병용하면 상기 작용이 상승(相乘)하여 이들의 첨가량을 저감할 수 있다.
더욱이 양화합물과 함께 디-터트-부틸-p-크레졸을 첨가하면 상기 작용효과를 증대할 수있다.
본 발명의, 특정의 에폭시화합물과 칼보디이미드화합물을 병용한 냉동기용 윤활유조성물은 가수분해나 산화에 대한 안정성에 우수하고, 윤활유의 착색이나 장기간의 사용에 있어서 슬러지의 발생이 없고, 또 가수분해생성물이나 산화열화물에 의한 장치내의 재료의 부식, 냉매나 윤활유의 열화촉진, 냉매비용해성분의 생성에 의한 캐필러리 폐색 등을 저감할 수 있다고 하는 각별한 효과가 있다.
< 발명의 실시태양 >
본 발명은 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 이산화탄소, 탄화수소 등의 냉매를 사용하는 냉동기에 적용할 수가 있고, 특히 카에어컨이나 공기조절장치 등에서 냉동시스템계에 계내수분을 저감하는 장치 또는 수단을 갖지 않은 냉동기에 호적하다. 염소를 함유하지 않은 이들의 냉매를 1종 또는 2종이상 혼합한 것에도 적용할 수 있다.
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으로서는, 예컨대 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 (R134a), 1,1,1-트리플루오로에탄 (R143a), 펜타플루오로에탄 (R125), 디플루오로메탄 (R32) 등의 냉매 또는 이들의 혼합냉매 등을 들 수 있다.
탄화수소냉매로서는 예컨대 탄소수(數) 1∼6의 탄화수소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메탄, 에탄, 프로판, n-부탄, i-부탄, n-펜탄, i-펜탄, 네오펜탄, 시클로프로판, 시클로부탄, 시클로펜탄 등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의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2종이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냉동기용 윤활유의 기유로서는, 에스테르화합물, 에테르화합물의 1종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스테르화합물로서는 다가(多價)알코올 (폴리올)과 모노칼본산 (일가지방산)과의 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올에스테르, 다가알코올과 모노칼본산과 다가칼본산과의 컴플렉스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혼합물 등이 바람직하다. 다가알코올로서는 특히 네오펜틸글리콜, 트리메티롤프로판, 펜타에리스리톨, 디펜타에리스리톨 등의 네오펜틸폴리올이 바람직하다. 모노칼본산으로서는 n-펜탄산, n-헥산산, n-헵탄산, n- 옥탄산, n-노난산, n-데칸산, i-펜탄산, i-헥산산, i-헵탄산, 2-에틸펜탄산, 2-메틸헥산산, i-옥탄산, 2-에틸헥산산, i-노난산, 3,5,5-트리메틸헥산산, i-데칸산 등을 들 수 있다.
또, 다가칼본산으로서는 말론산, 호박산, 그루탈산, 아디핀산, 피메린산, 스베린산, 아제라인산 등의 디칼본산이 바람직하다.
에테르화합물로서는 각종의 것을 들 수 있다. 대표적인 것으로서는 다음의 일반식 (1)
Figure 112008061290662-pat00001
(식중,
X : 모노올 또는 폴리올에서 수산기를 제외한 형태의 탄화수소기,
A : 탄소수 2∼4의 알킬렌기,
R1 : 수소 또는 탄소수 1∼10의 알킬기,
m: X의 가수(價數)
*n : 2이상의 정수)
로 나타내어지는 폴리에테르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 (AO)n은 옥시에틸렌, 옥시프로필렌, 또는 옥시부틸렌의 1종 또는 2종이상이 전체로서 n개의 그룹이고 전기 옥시알킬렌기는 소망의 순서로 배열할 수 있다.
기유로서, 상기 합성유를 1종 또는 2종이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해도 상관없다.
본 발명의 윤활유조성물은 상기의 기유에, 이하에 나타내는 (A) 및 (B)성분, 더욱이는 (c)성분의 첨가제를 첨가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더욱이 소망에 의해 그 밖의 첨가제 (D)를 첨가하여도 좋다.
(A) 알킬글리시딜에테르 , 알킬글리시딜에스테르 또는 시클로헥센옥시드를 분자내에 함유하는 화합물에서 선택된 화합물
(A1) 알킬글리시딜에테르
알킬글리시딜에테르는 하기 일반식 (2)에서 나타내어진다.
Figure 112008061290662-pat00002
(식 (2)중, R2는 탄소수 5∼18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알킬기의 탄소수가 5미만이면, 에폭시 화합물의 안정성이 저하하여 수분, 지방산, 산화열화물과 반응하기 전에 분해되거나 에폭시화합물끼리가 중합하는 자기중합을 일으키기도 하기 때문에, 목적의 기능이 얻어지지 않게 된다. 한편 탄소수가 18을 넘으면, 냉매, 특히 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냉매와의 용해성이 없어져서 냉동장치내에서 석출하여 냉각불량 등의 좋치 않은 상태를 생기게 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페닐, 알릴기 등을 포함하는 경우도 냉매와의 용해성이 없어져서 냉동기내에서 석출하여 냉각불량 등의 좋치 않은 상태를 생기게 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구체적으로는 펜틸글리시딜에테르, 헥실글리시딜에테르, 옥틸글리시딜에테르, 2-에틸헥실글리시딜에테르, 노닐글리시딜에테르, 데실글리시딜에테르, 네오데실글리시딜에테르, 도데실글리시딜에테르, 네오도데실글리시딜에테르, 팔미틸글리시딜에테르, 스테아릴글리시딜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A2) 알킬글리시딜에스테르
알킬글리시딜에스테르는 하기 일반식 (3)에서 나타내어진다.
Figure 112008061290662-pat00003
(식중, R3는 탄소수 5∼18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알킬기의 탄소수가 5미만이면, 에폭시 화합물의 안정성이 저하하여 수분, 지방산, 산화열화물과 반응하기 전에 분해되거나 에폭시화합물끼리가 중합하는 자기중합을 일으키기도 하기 때문에, 목적의 기능이 얻어지지 않게 된다. 한편 탄소수가 18을 넘으면, 냉매, 특히 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냉매와의 용해성이 없어져서 냉동기내에서 석출하여 냉각불량 등의 좋치 않은 상태를 생기게 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페닐, 알릴기 등을 포함하는 경우도 냉매와의 용해성이 없어져서 냉동기내에서 석출하여 냉각불량 등의 좋치 않은 상태를 생기게 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구체적으로는 펜틸글리시딜에스테르, 헥실글리시딜에스테르, 옥틸글리시딜에 스테르, 2-에틸헥실글리시딜에스테르, 노닐글리시딜에스테르, 데실글리시딜에스테르, 네오데실글리시딜에스테르, 도데실글리시딜에스테르, 네오도데실글리시딜에스테르, 팔미틸글리시딜에스테르, 스테아릴글리시딜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A3) 시클로헥센옥시드를 분자내에 함유하는 화합물
시클로헥센옥시드를 분자내에 함유하는 화합물은 하기의 일반식 (4)에서 나타내어진다.
*
Figure 112008061290662-pat00004
상기식(4)중, R4는 수소, 또는 탄소수 1∼30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 페닐기, 알킬화 페닐기, 또는 하기 일반식 (5)에서 나타내어지는 옥시알킬렌기,
Figure 112008061290662-pat00005
(식(5)중, A는 탄소수 1∼4의 알킬렌기, n은 1∼10의 정수를 나타낸다.)
하기 일반식 (6)에서 나타내어지는 폴리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기,
Figure 112008061290662-pat00006
(식(6)중, B는 탄소수 1∼9의 알킬렌기, m은 0∼10의 정수를 나타낸다.)
또는,
하기의 일반식 (7)에서 나타내어지는 칼보닐을 함유하는 기
Figure 112008061290662-pat00007
(식(7)중, R5는 수소 또는 탄소수 1∼20의 알킬기, p는 0∼20의 정수를 나타낸다.)
의 어느 하나이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시클로헥센옥시드, 에폭시화테트라히드로벤질알코올, 락톤변성에폭시화테트라히드로벤질알코올, 비닐시클로헥센모노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특히는, 에폭시화 테트라히드로벤질알코올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의 식에서 나타낸 구조의 적어도 1종이상의 중축합(重縮合) 또는 탈수축합에 의해 된 축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의 알킬글리시딜에테르, 알킬글리시딜에스테르, 시클로헥센옥시드를 분자내에 함유하는 화합물에서 선택된 1종이상은, 기유에 대해서 0.01중량%이상 1중량%미만, 바람직하게는 0.05중량%이상 1중량%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중량%이상 1중량%미만 첨가한다. 첨가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효과가 없고, 지나치게 많으면, 장기간의 사용에 있어서, 에폭시화합물끼리가 중합되는 자기중합에 의해 슬러지가 발생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B) 디페닐칼보디이미드 또는 비스 ( 알킬페닐 ) 칼보디이미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비스 (알킬페닐) 칼보디이미드로서는, 디트릴칼보디이미드, 비스 (이소프로필페닐) 칼보디이미드, 비스 (디이소프로필페닐) 칼보디이미드, 비스 (트리이소프로필페닐) 칼보디이미드, 비스 (부틸페닐) 칼보디이미드, 비스 (디부틸페닐) 칼보디이미드, 비스 (노닐페닐) 칼보디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칼보디이미드화합물은 기유에 대하여 0.01중량%이상 1중량%미만, 바람직하게는 0.05중량%이상 0.5중량%미만 첨가한다. 첨가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효과가 없고, 지나치게 많으면 윤활유가 황색에서 갈색으로 정색(呈色)되어 상품가치를 저하함과 함께 장기간의 사용에 의해 슬러지를 생성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C) 디- 터트 -부틸-p-크레졸
디-터트-부틸-p-크레졸은 기유에 대하여 0.01이상 1중량%미만, 바람직하게는 0.05이상 0.5중량%미만 첨가한다. 첨가향이 지나치게 적으면 효과가 없고, 지나치게 많으면 장기간의 사용에 의해 슬러지를 생성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D) 그 외의 첨가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종합성능을 부여하여 윤활유조성물의 특성을 손상하지 않은 범위에서 이하와 같은 공지의 첨가제를 적절히 첨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윤활유조성물에는 더욱이, 하기와 같은 첨가제를 배합하여도 상관없다.
마모방지제 : 유황계, 인계, 티오인산 아연계 등
산화방지제 : 페놀계, 아민계, 인계 등
금속불활성화제 : 벤조트리아졸 (유도체), 티아디아졸, 디티오칼바메이트 등
산포착제(酸捕捉劑) : 상기이외의 에폭시화합물,
상기이외의 칼보디이미드화합물 등
유성제 : 고급지방산류, 알코올 등
소포제 : 실리콘유 등
그외, 공지의 윤활유용 첨가제
본 발명의 윤활유조성물은, 레시프로식 또는 로터리식의 압축기를 가지는 카에어컨, 공기조절기, 제습기, 냉장고, 냉동고, 냉동냉장고, 자동판매기, 쇼케이스, 화학플랜트 등의 냉동기에 사용되지만 특히는 냉동사이클로서 적어도 압축기, 팽창기구, 증발기 및 응축기 또는 가스 쿨러로 구성되어 해당 냉동 사이클계내의 수분을 저감시키는 드라이어 등의 장치나 수단을 포함하지 않은 냉동기가, 본 발명의 윤활유의 효과를 최대한으로 발휘할 수 있어 호적이다.
< 실시예 > ,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근거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사용한 기유, 첨가제는 하기와 같다.
기유 :
기유1 : 펜타에리스리톨과 2-에틸헥산산/ 3,5,5-트리메틸헥산산(50중량%/50중량%)에서 얻어진 폴리올에스테르.
기유2 : 펜타에리스리톨과 2-에틸헥산산에서 얻어지는 폴리올에스테르.
기유3 : 네오펜틸글리콜과 2-에틸헥산산에서 얻어지는 폴리올에스테르.
첨가제 :
(1) 에폭시화합물 :
A1 : 2-에틸헥실글리시딜에테르
A2 : 네오데실글리시딜에스테르
A3 : 옥시시클로헥세놀 옥시시클로헥센산에스테르
(2) 칼보디이미드화합물 (CDⅠ) :
B1 : 비스 (디부틸페닐)칼보디이미드
(3) 디-터트-부틸-p-크레졸 (DBPC)
실시예 및 비교예의 윤활유조성물의 조성을 표1에 나타내었다.
표1
기유(基油) 에폭시화합물 CDI DBPC
1 2 3 A1 A2 A3 B1
실시예1 100 0.05 0.05 0.1
실시예2 100 0.25 0.05
실시예3 100 0.25 0.05 0.1
실시예4 100 0.5 0.05
실시예5 100 0.5 0.05 0.1
실시예6 100 0.9 0.01 0.1
실시예7 100 0.25 0.05 0.1
실시예8 100 0.25 0.05 0.1
실시예9 50 50 0.5 0.1 0.1
실시예10 50 50 0.5 0.1 0.1
실시예11 50 50 0.5 0.1 0.1
비교예1 100 0.5 0.1
비교예2 100 1.0 0.1
비교예3 100 2.0 0.1
비교예4 100 2.0 2.0 0.1
비교예5 100 2.0 0.1
비교예6 100 2.0 0.1
비교예7 100 1.0 0.1
비교예8 100 2.0 0.1
비교예9 100 6.0 0.1
비교예10 100 6.0 0.1
비교예11 50 50 1.0 0.1
비교예12 50 50 1.0 0.1
이들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윤활유조성물을 사용하여 가수분해나 산화열화에 대한 안정성을 다음의 조건에 의한 실드 튜브 테스트로 평가하였다.
실드튜브테스트 (안정성확인) :
시험조건 : JIS K2211 부속서2준거(準據)
유중수분(油中水分) : 1000 ppm
윤활유 / R134a = 7ml / 3ml
촉매 : Fe, Cu, Al
에이징조건 : 1) 175℃ ×14일
2) 200℃ ×14일
에이징후의 샘플의 색, 전산가(全酸價), 석출의 유무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윤활유조성물에 관한 상기 시험결과를 표2에 나타낸다.
표2
175℃ 14일 200℃ 14일
색 ASTM 전산가 ㎎KOH/g 석출 색 ASTM 전산가 ㎎KOH/g 석출
실시예1 L0.5 0.01 없음 L0.5 0.01 없음
실시예2 L0.5 0.01 없음 L0.5 0.02 없음
실시예3 L0.5 0.01 없음 L0.5 0.01 없음
실시예4 L0.5 0.01 없음 L0.5 0.01 없음
실시예5 L0.5 0.01 없음 L0.5 0.01 없음
실시예6 L0.5 0.01 없음 L0.5 0.01 없음
실시예7 L0.5 0.01 없음 L0.5 0.01 없음
실시예8 L0.5 0.01 없음 L0.5 0.01 없음
실시예9 L0.5 0.01 없음 L0.5 0.01 없음
실시예10 L0.5 0.01 없음 L0.5 0.01 없음
실시예11 L0.5 0.01 없음 L0.5 0.01 없음
비교예1 L0.5 0.04 없음 L1.0 0.78 없음
비교예2 L0.5 0.03 없음 L1.0 0.52 없음
비교예3 L0.5 0.02 없음 L1.0 0.31 있음
비교예4 L1.5 0.01 있음 L2.5 0.01 있음
비교예5 L1.0 0.03 없음 L1.0 0.36 있음
비교예6 L0.5 0.02 없음 L1.0 0.27 있음
비교예7 L1.5 0.03 없음 L2.0 0.39 있음
비교예8 L2.5 0.02 있음 L3.5 0.23 있음
비교예9 L1.0 0.02 있음 L1.0 0.26 있음
비교예10 L3.5 0.01 있음 L5.0 0.16 있음
비교예11 L0.5 0.03 없음 L0.5 0.40 없음
비교예12 L2.0 0.03 없음 L2.0 0.36 없음
이상의 결과로부터 실시예와 같이 에폭시화합물과 칼보디이미드화합물의 양 쪽을 첨가한 것, 또는 이들에게 다시 디-터트-부틸-p-크레졸을 첨가한 것이 안정성에 우수한 것을 알았다.
또 이들중 실시예 2, 7, 8, 및 비교예 2, 4, 7에 관해서 실기 테스트에 상당하는 콤프레서 내구테스트를 다음의 조건에서 행하였다.
콤프레서 내구테스트
시험조건 :
콤프레서 : 1HP, 로터리 콤프레서
유중수분 : 1000 ppm
냉매 : R407C
토출압 : 31 ㎏/㎠
토입압 : 6 ㎏/㎠
시험시간 : 1000시간
냉매사이클은 콤프레서, 콘덴서, 팽창변(니들밸브), 에바포레이터로 구성되어 드라이어를 포함하지 않은 사이클로 시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윤활유조성물의 상기 시험결과를 표3에 나타낸다.
표3
색 : ASTM 전산가 : ㎎KOH/g 석출
실시예2 L1.0 0.03 없음
실시예7 L1.0 0.02 없음
실시예8 L1.0 0.01 없음
비교예2 L2.0 0.21 없음
비교예4 L5.5 0.04 있음
비교예7 L6.0 0.05 있음
이상의 결과로부터 실시예와 같이 에폭시화합물과 칼보디이미드화합물의 양쪽을 첨가한 것, 또는 이들에 더욱 디-터트-부틸-p-크레졸을 첨가한 것이 안정성에 우수한 것을 알았다.

Claims (6)

  1. 에스테르계 또는 에테르계 합성윤활기유(基油)에,
    (A) 알킬글리시딜에스테르, 또는 시클로헥센옥시드를 분자내에 함유하는 화합물의 1종이상을 0.01중량%이상 1중량%미만, 및
    (B) 디페닐칼보디이미드 또는 비스 (알킬화 페닐) 칼보디이미드화합물의 1종이상을 0.01중량% 이상 1중량% 미만 배합한 것으로 이루어진 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 이산화탄소, 또는 탄화수소를 냉매로 한 냉동기용 윤활유조성물.
  2. 청구항 제 1항 기재의 냉동기용 윤활유조성물에,
    (C) 디-터트-부틸-p-크레졸을 0.01 이상 1중량%미만 배합한 것으로 이루어진 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 이산화탄소, 또는 탄화수소를 냉매로 한 냉동기용 윤활유조성물.
  3. 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 이산화탄소, 또는 탄화수소를 냉매로 한 냉동기이고, 당해 냉동기의 계내수분을 저감하는 장치 또는 수단을 가지지 않고, 제 1항 또는 제2항 기재의 냉동기용 윤활유조성물을 사용하는 냉동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에스테르계 합성윤활기유가 폴리올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기용 윤활유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에스테르계합성윤활기유가 컴플렉스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기용 윤활유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폴리올에스테르가 펜타에리스리톨, 네오펜틸글리콜, 트리메티롤프로판 또는 디펜타에리스리톨과 일가지방산으로 합성된 에스테르인 냉동기용 윤활유조성물.
KR1020080084210A 2001-07-09 2008-08-28 냉동기용 윤활유조성물 KR1009445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08332A JP3909743B2 (ja) 2001-07-09 2001-07-09 冷凍機用潤滑油組成物
JPJP-P-2001-00208332 2001-07-09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9230A Division KR100913699B1 (ko) 2001-07-09 2002-07-08 냉동기용 윤활유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4907A KR20080084907A (ko) 2008-09-22
KR100944562B1 true KR100944562B1 (ko) 2010-03-03

Family

ID=1904417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9230A KR100913699B1 (ko) 2001-07-09 2002-07-08 냉동기용 윤활유조성물
KR1020080084210A KR100944562B1 (ko) 2001-07-09 2008-08-28 냉동기용 윤활유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9230A KR100913699B1 (ko) 2001-07-09 2002-07-08 냉동기용 윤활유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909743B2 (ko)
KR (2) KR100913699B1 (ko)
CN (1) CN128822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93373B2 (ja) * 2004-03-04 2010-06-30 新日本石油株式会社 冷凍機油組成物
US20070257229A1 (en) * 2004-03-04 2007-11-08 Kazuo Tagawa Refrigerating Machine Oil Composition
JP5097402B2 (ja) * 2004-08-24 2012-12-12 出光興産株式会社 熱交換器の熱交換効率を高くする方法
JP4961666B2 (ja) * 2004-12-02 2012-06-27 日油株式会社 冷凍機用潤滑油組成物
JP4863742B2 (ja) * 2006-03-23 2012-01-25 Jx日鉱日石エネルギー株式会社 二酸化炭素冷媒用冷凍機油組成物
US8894875B2 (en) 2006-09-29 2014-11-25 Idemitsu Kosan Co., Ltd. Lubricant for compression refrigerating machine and refrigera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CN101522870B (zh) 2006-09-29 2014-02-12 出光兴产株式会社 压缩型冷冻机用润滑油以及使用其的冷冻装置
JP5265121B2 (ja) * 2007-02-27 2013-08-14 Jx日鉱日石エネルギー株式会社 冷凍機油組成物および冷凍機用作動流体組成物
JP5143461B2 (ja) * 2007-03-27 2013-02-13 Jx日鉱日石エネルギー株式会社 二酸化炭素冷媒用冷凍機油及び冷凍機用作動流体組成物。
JP5597539B2 (ja) * 2008-09-09 2014-10-01 Jx日鉱日石エネルギー株式会社 冷媒2,3,3,3‐テトラフルオロ‐1‐プロペン用冷凍機油
US8889031B2 (en) * 2010-11-30 2014-11-18 Jx Nippon Oil & Energy Corporation Working fluid composition for refrigerator machine and refrigerating machine oil
JP5681659B2 (ja) 2012-03-02 2015-03-11 Jx日鉱日石エネルギー株式会社 冷凍機用作動流体組成物、冷凍機油及びその製造方法
JP5882860B2 (ja) * 2012-08-30 2016-03-09 Jx日鉱日石エネルギー株式会社 潤滑油組成物
RU2664536C2 (ru) * 2013-05-07 2018-08-20 Лэнксесс Дойчланд Гмбх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масляных композиций с помощью определенных карбодиимидов
JP6076876B2 (ja) * 2013-10-02 2017-02-08 Jxエネルギー株式会社 冷凍機油組成物、冷凍機用作動流体組成物
JP2016023902A (ja) * 2014-07-24 2016-02-08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6159373B2 (ja) 2015-10-07 2017-07-05 出光興産株式会社 冷凍機油、冷凍機用組成物、冷凍機及び冷凍機油の選定方法
CN105255560A (zh) * 2015-10-16 2016-01-20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润滑油
JP6581030B2 (ja) * 2015-11-20 2019-09-25 Jxtgエネルギー株式会社 冷凍機油
JP7268535B2 (ja) * 2019-08-26 2023-05-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冷却液組成物及び冷却システ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70A (ja) * 1992-06-19 1994-01-11 Nippon San Sekiyu Kk 冷凍機作動流体用組成物
JPH08209180A (ja) * 1994-11-15 1996-08-13 Idemitsu Kosan Co Ltd 冷凍機油組成物
JPH09188891A (ja) * 1995-11-09 1997-07-22 Sanyo Electric Co Ltd 潤滑油組成物
JP2001226692A (ja) 2000-02-14 2001-08-21 Nippon San Sekiyu Kk 冷凍機油組成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70A (ja) * 1992-06-19 1994-01-11 Nippon San Sekiyu Kk 冷凍機作動流体用組成物
JPH08209180A (ja) * 1994-11-15 1996-08-13 Idemitsu Kosan Co Ltd 冷凍機油組成物
JPH09188891A (ja) * 1995-11-09 1997-07-22 Sanyo Electric Co Ltd 潤滑油組成物
JP2001226692A (ja) 2000-02-14 2001-08-21 Nippon San Sekiyu Kk 冷凍機油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4907A (ko) 2008-09-22
CN1288228C (zh) 2006-12-06
JP2003020493A (ja) 2003-01-24
JP3909743B2 (ja) 2007-04-25
KR100913699B1 (ko) 2009-08-24
CN1396246A (zh) 2003-02-12
KR20030007038A (ko) 2003-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4562B1 (ko) 냉동기용 윤활유조성물
KR101393815B1 (ko) 탄화수소 냉매용 냉동기유 및 그것을 이용한 냉동기 시스템
JP4855175B2 (ja) 冷凍機用潤滑油組成物
JP2514090B2 (ja) 冷凍冷蔵装置用潤滑油組成物
KR100266957B1 (ko) 윤활유 첨가제, 윤활유 및 냉동기 작동유체
AU2002346463B2 (en) A lubricating composition containing a blend of a polyol ester and an alkylbenzene
JPH0559388A (ja) 冷凍機油組成物
KR101580319B1 (ko) 냉매용 냉동기유
JP5110240B2 (ja) 冷凍機用潤滑油組成物
JP2595346B2 (ja) カーエアコン用冷凍機油組成物
US5560854A (en) Working fluid composition for HFC refrigerant compressor containing benzotriazole derivatives, and a process for improving lubrication in a compressor
US20070004605A1 (en) Lubricants for refrigeration systems
KR19990067513A (ko) 냉동기오일, 냉동기작동유체, 및, 냉동시스템의 윤활방법
CN112251272A (zh) 一种冷冻机油组合物
JP2005514492A (ja) 炭酸ガス冷却装置及び空調装置用の作動媒体
JP4278749B2 (ja) 冷凍機油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用いた潤滑方法
JP5399455B2 (ja) 冷凍機用潤滑油組成物
EP1192240B1 (en) Refrigerator lubricant composition comprising an aliphatic substituted naphthalene with carbon dioxide as refrigerant
JPH1046170A (ja) 冷凍機作動流体用組成物
EP0913457A2 (en) Low viscosity energy efficient polyol-ester containing refrigerant
JP6614510B2 (ja) 冷凍機油用エステルおよび冷凍機油用作動流体組成物
JPH09157676A (ja) 潤滑油添加剤、潤滑油および冷凍機作動流体
CN114106916B (zh) 冷冻机油组合物、制冷剂与冷冻机油的组合物和空调系统
JPH0688086A (ja) 潤滑油組成物
CN117660083A (zh) 润滑剂组合物、制冷压缩机、制冷机及制冷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