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0319B1 - 냉매용 냉동기유 - Google Patents

냉매용 냉동기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0319B1
KR101580319B1 KR1020090025441A KR20090025441A KR101580319B1 KR 101580319 B1 KR101580319 B1 KR 101580319B1 KR 1020090025441 A KR1020090025441 A KR 1020090025441A KR 20090025441 A KR20090025441 A KR 20090025441A KR 101580319 B1 KR101580319 B1 KR 101580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refrigerator
ester
oil
carbon ato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5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2701A (ko
Inventor
히또시 다까하시
도모나리 마쯔모또
Original Assignee
제이엑스 닛코닛세키에너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080885A external-priority patent/JP523106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234962A external-priority patent/JP524895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234963A external-priority patent/JP5248960B2/ja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엑스 닛코닛세키에너지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이엑스 닛코닛세키에너지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90102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2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0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03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05/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base-material being a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
    • C10M105/08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base-material being a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 containing oxygen
    • C10M105/32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71/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purely physical criteria, e.g. containing as base-material, thickener or additive, ingredients which are characterised exclusively by their numerically specified physical properties, i.e. containing ingredients which are physically well-defined but for which the chemical nature is either unspecified or only very vaguely indicat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Lubric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소를 함유하지 않는 수소 함유 플루오로카본 냉매나, 또한 온실 효과가 작은 할로겐 원자를 포함하지 않는 탄화수소 냉매와 함께 사용하는, 저점도이고 게다가 안전성, 안정성이 우수한 냉매용 냉동기유를 제공한다.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모노에스테르와 폴리올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함유하고, 40℃에서의 동점도가 7 mm2/s 미만인 냉매용 냉동기유.
<화학식 1>
Figure 112009018001957-pat00001
식 중, R1은 탄소수 5 내지 9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2는 탄소수 8 내지 10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1 및 R2는 각각 분지 또는 직쇄일 수 있고, 또한 R1 및 R2의 탄소수의 합계가 13 내지 17이다.
모노에스테르, 폴리올에스테르, 냉동기유, 냉매, 작동 유체, 냉장고

Description

냉매용 냉동기유{Refrigerating Machine Oil For Refrigerant}
본 발명은 염소를 함유하지 않는 수소 함유 플루오로카본 냉매 및 탄화수소 냉매 등의 오존층 파괴 계수나 지구 온난화 계수가 작은 냉매를 이용하는 냉매 압축식 냉동 사이클 장치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냉매용 냉동기유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에너지 절약성이 우수한 저점도의 냉동기유 및 이를 이용하는 냉동기용 작동 유체 및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종래, 냉동기, 공기 조화기, 냉장고 등에 이용되고 있는 냉매 압축식 냉동 사이클 장치에는 냉매로서 불소와 염소를 구성 원소로 하는 플루오로카본, 예를 들면 클로로플루오로카본(CFC)인 R-11(트리클로로모노플루오로메탄), R-12(디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 하이드로클로로플루오로카본(HCFC)인 R-22(모노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 등이 사용되었지만, 최근의 오존층 파괴 문제와 관련하여 국제적으로 그의 생산 및 사용이 규제되어, 현재에는 염소를 함유하지 않는 수소 함유 플루오로카본 냉매, 예를 들면 디플루오로메탄(R-32), 테트라플루오로에탄(R-134 또는 R-134a)이나, 또한 온실 효과가 작은 할로겐 원자를 포함하지 않는 탄화수소 냉매, 예를 들 면 에탄, 프로판, 부탄, 이소부탄 등으로 전환되고 있다.
본 발명자는 이들 냉매에 사용하는 냉매용 냉동기유로서 폴리올 등의 다가 알코올을 이용한 에스테르를 기재유로 하는 냉매용 냉동기유를 제안해 왔다(하기 특허 문헌 1). 이에 따라, 작업 유체에 저급 탄화수소 냉매 등을 이용한 경우에 올리고머(고분자 물질)의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런데, 최근에는 냉동기, 공기 조화기, 냉장고 등에 추가적인 에너지 절약화가 요구되고, 냉동기유에 대해서도 저점도화를 도모한 에너지 절약 타입의 냉동기유가 요구되고 있다.
하기 특허 문헌 2에는 어느 종류의 지방산 폴리올 에스테르가 저점도이고 윤활성이 우수하다는 것이 개시되어 있지만, 지방산 폴리올 에스테르로 점도를 내리기 위해서는 지방산의 탄소수가 5 이하여야만 되어 가수분해 안정성이 현저히 저하된다.
또한, 하기 특허 문헌 3에는 저점도이고 가수분해 안정성이 우수한 냉동기유로서 지방족 포화 분지쇄상 카르복실산모노알킬에스테르의 1종 이상을 함유하는 냉동기유가 제안되었고, 또한 이 에스테르와 지방산 폴리올 에스테르와의 혼합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지방족 포화 분지쇄상 카르복실산모노알킬에스테르와 지방산 폴리올 에스테르의 조합은 무수히 있어, 저점도이고, 게다가 윤활성이 우수하며, 또한 인화점이 높아 안전성도 우수하고, 또한 가수분해 안정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것을 찾는 것은 매우 곤란하였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7-254713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7-248020호 공보
[특허 문헌 3] 재공표 특허 WO00/68345호 공보
상기한 바와 같이, 염소를 함유하지 않는 수소 함유 플루오로카본 냉매나, 또한 온실 효과가 작은 할로겐 원자를 포함하지 않는 탄화수소 냉매를 사용하는 냉동기에 있어서, 에너지 절약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점도가 낮은 윤활유를 냉동기유로 사용하는 것이 유효하지만, 파라핀 광유 또는 나프텐 광유를 기재로 하는, 이른바 광유계의 냉동기유의 경우, 인화점이 낮아져 취급시에 위험성이 높아지는 것이 문제이다. 한편, 폴리올 등의 다가 알코올을 이용한 에스테르를 기재유로 하는 경우, 탄소수가 적은 지방산을 사용해야만 하지만, 이 구조에서는 안정성이 현저히 저하되고, 또한 분해시에 발생하는 지방산에 의한 부식도 우려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염소를 함유하지 않는 수소 함유 플루오로카본 냉매나, 또한 온실 효과가 작은 할로겐 원자를 포함하지 않는 탄화수소 냉매와 함께 사용하는, 저점도이고 게다가 안전성, 안정성이 우수한 냉매용 냉동기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진행한 결과, 기재유로서 특정 모노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거나 또는 추가로 폴리올에스테르를 배합한 냉동기유가, 염소를 함유하지 않는 수소 함유 플루오로카본 냉매나 탄화수소 냉매 에 있어서 저점도이고, 또한 양호한 윤활성, 에너지 절약성을 갖고 있고, 게다가 가수분해 안정성도 높고, 냉매 압축식 냉동 사이클 장치용 윤활유, 즉 냉매용 냉동기유로서 매우 우수함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도출하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냉매용 냉동기유이다.
(1)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모노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함유하고, 40℃에서의 동점도가 7 mm2/s 미만인 냉매용 냉동기유.
Figure 112009018001957-pat00002
식 중, R1은 탄소수 5 내지 9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2는 탄소수 8 내지 10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1 및 R2는 각각 분지 또는 직쇄일 수 있고, 또한 R1 및 R2의 탄소수의 합계가 13 내지 17이다.
(2) (1)에 있어서, 폴리올에스테르를 더 함유하는 냉매용 냉동기유.
(3) (2)에 있어서, 모노에스테르가 탄소수 8의 지방족 모노알코올과 탄소수 8의 1가 지방산과의 모노에스테르이고, 폴리올에스테르가 2-에틸헥산산 및/또는 3,5,5-트리메틸헥산산과 탄소수 5 내지 10의 네오펜틸폴리올과의 폴리올에스테르의 1종 이상인 냉매용 냉동기유.
(4) (3)에 있어서, 모노에스테르를 75 내지 95 질량% 및 폴리올에스테르의 1종 이상을 5 내지 25 질량%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냉매용 냉동기유.
(5) (4)에 있어서, 40℃에서의 동점도가 2 내지 4 mm2/s, 인화점이 130℃ 이상, 산가가 0.1 mgKOH/g 이하, 25℃에서의 부피 저항율이 10 GΩm 이상인 냉동기유.
(6) (3)에 있어서, 모노에스테르를 25 내지 40 질량% 및 폴리올에스테르의 1종 이상을 60 내지 75 질량%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냉매용 냉동기유.
(7) (6)에 있어서, 40℃에서의 동점도가 4 내지 7 mm2/s, 인화점이 130℃ 이상, 산가가 0.1 mgKOH/g 이하, 25℃에서의 부피 저항율이 10 GΩm 이상인 냉동기유.
(8) (4)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에스테르가 n-옥틸알코올과 2-에틸헥산산의 에스테르인 냉동기유.
(9) (4)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에스테르가 네오펜틸글리콜-디-2 에틸헥산산 에스테르 또는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2 에틸헥산산 에스테르인 냉동기유.
(10) (8)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에스테르가 네오펜틸글리콜-디-2 에틸헥산산 에스테르 또는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2 에틸헥산산 에스테르인 냉동기유.
(11) (10)에 있어서, 에폭시환을 갖는 화합물 또는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산 포착제를 0.01 내지 1 질량% 첨가한, (10)에 기재된 냉동기유.
(12) (10)에 있어서, 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금속 불활성화제를 1 내지 100 질량 ppm 첨가한 냉동기유.
(13) (10)에 있어서,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는 유성제를 0.01 내지 1 질량% 첨가한 냉동기유.
(14) (10)에 있어서, 실리콘유, 말단을 폴리알킬렌글리콜 또는 에스테르로 변성한 실리콘유, 또는 불소화 실리콘유로부터 선택되는 소포제 1종 이상을 1 내지 100 질량 ppm 첨가한 냉동기유.
(15) (4) 내지 (7) 및 (10)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냉동기유와, 에탄, 프로판, 부탄, 또는 이소부탄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탄화수소 냉매를 함유하는 냉동기용 작동 유체.
(16) (8)에 기재된 냉동기유와, 에탄, 프로판, 부탄, 또는 이소부탄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탄화수소 냉매를 함유하는 냉동기용 작동 유체.
(17) (9)에 기재된 냉동기유와, 에탄, 프로판, 부탄, 또는 이소부탄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탄화수소 냉매를 함유하는 냉동기용 작동 유체.
(18) (15)에 기재된 냉동기용 작동 유체와, 이 유체를 압축하는 밀폐형 압축기와,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와,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 기구와,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형 압축기는 회전자와 고정자를 갖는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이미드 코팅 폴리에스테르, 폴리페닐렌술피드 및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중 어느 1종의 절연 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자에는 유리 전이 온도 120℃ 이상의 에나멜재로 피복한 권선을 구비한 냉장고.
(19) (16) 또는 (17)에 기재된 냉동기용 작동 유체와, 이 유체를 압축하는 밀폐형 압축기와,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와,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 기구와,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형 압축기는 회전자와 고정자를 갖는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이미드 코팅 폴리에스테르, 폴리페닐렌술피드 및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중 어느 1종의 절연 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자에는 유리 전이 온도 120℃ 이상의 에나멜재로 피복한 권선을 구비한 냉장고.
(20) (18)에 있어서, 상기 밀폐형 압축기가 왕복 운동식인 냉장고.
(21) (19)에 있어서, 상기 밀폐형 압축기가 왕복 운동식인 냉장고.
본 발명에 의해, 염소를 함유하지 않는 수소 함유 플루오로카본 냉매나, 또한 온실 효과가 작은 할로겐 원자를 포함하지 않는 탄화수소 냉매에 사용하는, 저점도이고 게다가 안정성이 우수한 냉매용 냉동기유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따라서, 지구 온난화 등의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작고, 또한 저점도이고 에너지 절약성이 우수하고, 게다가 윤활성이 우수하고, 또한 인화점이 높아 안전성도 우수하고, 또한 가수분해 안정성이나 산화 안정성 등을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이러한 냉동기유를 이용하는 본 발명의 냉동기용 작동 유체는 냉동 시스템의 각 기기나 부품을 손상시키지 않고, 이 냉동 시스템을 장기간에 걸쳐 안정적으로 운전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이 냉동기유를 이용하는 냉동고에서는 에너지를 절약하면서 장기간 안정적으로 가동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 다.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모노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함유하고, 40℃에서의 동점도가 7 mm2/s 미만인 냉매용 냉동기유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09018001957-pat00003
화학식 1에 있어서, R1은 탄소수 5 내지 9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2는 탄소수 8 내지 10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1 및 R2는 각각 분지 또는 직쇄일 수 있고, 또한 R1 및 R2의 탄소수의 합계가 13 내지 17이다.
본 발명의 냉매용 냉동기유는 염소를 함유하지 않는 냉매와 함께, 나아가 할로겐을 함유하지 않는 냉매와 함께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냉매용 냉동기유는 염소를 함유하지 않고 오존층 파괴 계수가 작은 수소 함유 플루오로카본 냉매, 예를 들면 디플루오로메탄(R-32), 테트라플루오로에탄(R-134 또는 R-134a)이나, 특히 할로겐을 함유하지 않고 오존층 파괴 계수나 지구 온난화 계수가 함께 작은 탄화수소 냉매, 예를 들면 에탄(R170), 프로판(R290), 부탄(R600), 이소부탄(R600a) 등의 냉매에 사용하는 냉동기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냉매용 냉동기유의 주성분으로 이용되는 모노에스테르는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된다.
<화학식 1>
Figure 112009018001957-pat00004
식 중, R1은 탄소수 5 내지 9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탄화수소기는 불포화 결합을 가질 수 있지만, 화학적인 안정성 측면에서 포화 탄화수소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R1은 알킬기와 방향환 또는 나프텐환이 조합된 형태의 탄화수소기일 수도 있지만, 직쇄 또는 분지의 알킬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R2는 탄소수 8 내지 10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R2는 R1과 마찬가지로 불포화 결합을 가질 수 있고, 또한 알킬기와 방향환 또는 나프텐환이 조합된 형태의 탄화수소기일 수 있으며, 직쇄 또는 분지의 알킬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R2의 탄소수가 8을 하회하는 경우, 얻어지는 것의 에스테르 점도가 너무 저하되어 윤활성이 부족하고, 및 인화점이 저하되어 취급상의 위험성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가 생기며, 10을 상회하는 경우에는 에너지 절약 효과가 얻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R1 및 R2의 탄소수의 합계는 13 내지 17이고, 탄소수의 합계가 13 미만이면, 점도가 너무 저하되어 윤활성이 부족하고, 또한 인화점도 저하되어 취급상 의 위험성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탄소수의 합계가 17을 초과하면, 점도가 높아져, 압축기에서의 에너지 절약 효과가 부족하게 된다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R1의 탄소수가 5 미만인 경우, 가수분해했을 때에 탄소수가 작아질수록 산 강도가 강한 1가 지방산(카르복실산)이 생성되어, 주위의 설비 재료를 부식시키는 등의 위해를 주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이러한 모노에스테르는 화학식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탄소수 6 내지 10의 1가 지방산(카르복실산)과, 탄소수 8 내지 10의 1가 알코올을 에스테르화하여 합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모노에스테르의 제조 방법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1가 지방산에 상당하는 화합물로서 1가 지방산의 염화물이나 카르복실산 무수물 등을 이용하여 합성할 수도 있고, 또한 모노에스테르의 알콕실기나 아실기를 다른 알콕실기나 아실기와 교환하는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이용하여 합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화학식 1의 모노에스테르의 합성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1가 지방산으로서는, 헥산산, 헵탄산, n-옥탄산, 이소옥탄산, 2-에틸헥산산, 1-메틸헵탄산, 2-메틸헵탄산, 2-프로필펜탄산, 디메틸시클로헥산산, 노난산, 3,5,5-트리메틸헥산산, 데칸산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도 탄소수 8의 옥탄산 또는 2-에틸헥산산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화학식 1의 모노에스테르의 합성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1가 알코올로서는, n-옥틸알코올, 이소옥틸알코올, 1-메틸헵탄올, 2-메틸헵탄 올, 2-프로필펜탄올, 디메틸시클로헥산올, 2-에틸헥산올, 데칸올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도 탄소수 8의 옥탄올 또는 2-에틸헥산올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소수 8의 1가 지방산과 탄소수 8의 1가 알코올로부터 얻어진 모노에스테르는 저점도를 달성할 수 있고, 인화점을 높게 할 수 있고, 특히 내가수분해 안정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모노에스테르는 냉매용 냉동기유의 주성분을 구성하기 때문에, 냉매용 냉동기유와 마찬가지로, 40℃에서의 동점도는 7 mm2/s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6 mm2/s 미만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 mm2/s이다. 7 mm2/s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에너지 절약 효과가 얻어지지 않게 된다. 동점도와 인화점은 반드시 비례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 동점도가 낮으면 인화점이 낮아진다. 냉동기유는 밀폐계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 인화점이 문제가 되는 경우는 적지만, 냉동기에 충전되기 이전에서의 취급시의 안전성을 확보함에 있어서 인화점은 12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 이상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40℃ 이상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양태에서는 2-에틸헥산산 및/또는 3,5,5-트리메틸헥산산과 탄소수 5 내지 10의 네오펜틸폴리올과의 폴리올에스테르를 이용한다. 상기 모노에스테르의 소정량에 이 폴리올에스테르를 소정량 배합함으로써, 원하는 동점도에 맞출 수 있고, 또한 가수분해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네오펜틸폴리올이란, 네오펜탄의 구조를 갖는 2가 이상의 알코올로, 본 발명 에서는 탄소수 5 내지 10의 것을 이용한다. 탄소수 10을 초과하는 것은 동점도의 조정이 어려워지고, 또한 냉매와의 상용성이 악화된다. 이 네오펜틸폴리올로서는, 네오펜틸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 디펜타에리트리톨을 사용할 수 있지만, 특히 네오펜틸글리콜 및 펜타에리트리톨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에스테르는 상기 특정 알코올 또는 폴리올과 특정 지방산과의 탈수 반응에 의한 에스테르화 반응, 또는 지방산의 유도체인 산 무수물, 산 클로라이드 등을 경유한 일반적인 에스테르화 반응이나 각 유도체의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노에스테르와 폴리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냉동기유의 제조에 있어서는, 우선 상기 수단에 의해 모노에스테르와 폴리올에스테르를 따로 따로 합성한 후에, 양자를 소정 비율로 혼합할 수도 있고, 먼저 모노알코올, 1가 지방산, 2-에틸헥산산 및/또는 3,5,5-트리메틸헥산산, 및 네오펜틸폴리올, 또는 이들의 유도체를 필요량 혼합하여 상기 수단에 의해 합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이 경우, 폴리올에스테르는 1종일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혼합할 수도 있다.
상기 방법으로 얻어지는 에스테르는 미반응으로 잔존하는 산 및 알코올을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카르복실기는 가능한 한 잔존하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카르복실기의 잔존량이 많으면, 냉동기 내부에 사용되고 있는 금속과의 반응에 의해 금속 비누 등을 생성하여 침전되는 등의 바람직하지 않은 현상도 발생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냉동기유의 산가는 0.1 mgKOH/g 이하의 것이 바람직하다. 이 산가는 JIS K 2501 "석유 제품 및 윤활유-중화가 시험 방법, 지시약 적정법"에 규정하는 방법에 의한 것이다.
모노에스테르와 폴리올에스테르의 혼합용 기재는 혼합했을 때의 40℃에서의 동점도가 너무 높아지지 않도록, 40℃에서의 동점도가 10 mm2/s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8 mm2/s 미만이다.
모노에스테르와 폴리올에스테르의 바람직한 배합 비율로서는, 상기 모노에스테르를 75 내지 95 질량%와 폴리올에스테르를 5 내지 25 질량%를 함유시킨 것을 들 수 있다. 이 배합 비율로 함으로써, 저점도, 즉 VG3 등급의 점도의 냉동기유로 할 수 있고, 또한 윤활성이 우수하고, 인화점 및 부피 저항율이 높아 안전성, 나아가 가수분해 안정성, 상용성이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VG3 등급의 점도의 냉동기유로 하기 위해서는 40℃에서의 동점도가 2 내지 4 mm2/s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바람직한 배합 비율로서는 상기 모노에스테르를 25 내지 40 질량%와 폴리올에스테르를 60 내지 75 질량%를 함유시킨 것을 들 수 있다. 이 배합 비율로 함으로써, 저점도, 즉 VG5 등급의 점도의 냉동기유로 할 수 있고, 또한 윤활성이 우수하고, 인화점 및 부피 저항율이 높고 안전성, 나아가 가수분해 안정성, 상용성이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VG5 등급의 점도의 냉동기유로 하기 위해서는 40℃에서의 동점도가 4 내지 7 mm2/s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냉동기유는 취급상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인화점이 130℃ 이상, 감전 방지 등의 안전상의 측면에서 25℃의 부피 저항율을 10 GΩ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0℃에서의 동점도는 JIS K 2283 "원유 및 석유 제품-동점도 시험 방법 및 점도 지수 산출 방법"에 규정하는 방법으로 측정하고, 인화점은 JIS K 2265-4 "인화점 구하는 법-제4부: 클리블랜드 개방법"에 규정하는 방법으로 측정하고, 25℃의 부피 저항율은 JIS C 2101 "전기 절연유 시험 방법, 24. 부피 저항율 시험"에 규정하는 방법에 준하여 시료 온도 25℃에서 측정하는 것이다.
상기 모노에스테르는 n-옥틸알코올과 2-에틸헥산산의 에스테르, 즉 2-에틸헥산산-n-옥틸을 이용하면, VG3 등급 또는 VG5 등급의 점도 조정이 용이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마찬가지로, 폴리올에스테르로서 2-에틸헥산산과 네오펜틸글리콜의 에스테르인 네오펜틸글리콜-디-2-에틸헥산산 에스테르 또는 2-에틸헥산산과 펜타에리트리톨과의 에스테르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2-에틸헥산산 에스테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냉매용 냉동기유는 냉동기유로서의 성능을 더욱 높이기 위해, 냉동기유에 이용되고 있는 각종 첨가제를 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수분해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것에, 추가로 에폭시환을 갖는 화합물이나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 등의 산 포착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폭시환을 갖는 화합물이란, 글리시딜에테르기 함유 화합물, 글리시딜에스테르기 함유 화합물, 에폭시화 지방산 모노에스테르류, 에폭시화 유지, 에폭시시클로알킬기 함유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 특히 글리시딜에테르기 함유 화합물, 글리시딜에스테르기 함유 화합물, 에폭시화 지방산 모노에스테르류, 에폭시화 유지, 에폭시시클로알킬기 함유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산포착제의 첨가량은 냉동기유 전체를 기준으로 하여 0.01 내지 1 질량%가 바람직하고, 0.2 내지 0.7 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인을 포함하는 극압 첨가제로서는 인산의 수산기 중 하나 이상이 에스테르화된 인산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인산 에스테르는 트리에스테르, 디에스테르, 또는 모노에스테르일 수 있지만, 트리에스테르가 가장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트리페닐포스페이트, 트리크레실포스페이트, 트리에틸페닐포스페이트, 트리프로필페닐포스페이트, 트리부틸페닐포스페이트, 크레실디페닐포스페이트, 에틸페닐디페닐포스페이트, 프로필페닐디페닐포스페이트, 부틸페닐디페닐포스페이트, 디크레실페닐포스페이트, 디에틸페닐페닐포스페이트, 디프로필페닐페닐포스페이트, 디부틸페닐페닐포스페이트 등의 트리아릴포스페이트를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트리크레실포스페이트(TCP)가 특히 바람직하다. 배합량은 0.1 내지 2.0 질량%가 바람직하고, 0.2 내지 1.5 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마찬가지로 가수분해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금속 불활성화제인 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란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냉동기유 전체를 기준으로 하여 1 내지 100 질량 ppm, 나아가 10 내지 80 질량 ppm 정도 함유되도록 첨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9018001957-pat00005
식 중,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2는 수소 원자, 또는 질소 원자 및/또는 산소 원자를 함유하는 탄소수 0 내지 20의 기를 나타낸다.
또한, 윤활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는 유성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는 유성제로서는, 글리세린모노올레에이트, 글리세린모노올레일에테르, 글리세린모노라우릴에테르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글리세린모노올레에이트 또는 글리세린모노올레일에테르가 바람직하다. 첨가량은 냉동기유 전체를 기준으로 하여 0.01 내지 1 질량%가 바람직하고, 0.1 내지 0.5 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냉동기유가 냉동 시스템 내에서 거품이 생성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실리콘유, 말단을 폴리알킬렌글리콜 또는 에스테르로 변성한 실리콘유, 또는 불소화 실리콘유로부터 선택되는 소포제 1종 이상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가량으로서는, 냉동기유 전체를 기준으로 하여 1 내지 100 ppm이 바람직하고, 특히 10 내지 80 ppm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냉동기유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이외의 첨가제를 추가로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로서, 예를 들면 2,6-디-터셔리부틸페놀, 2,6-디-터셔리부틸-p-크레졸, 4,4-메틸렌-비스-(2,6-디-터셔리부틸-p-크레졸), p,p'-디-옥틸-디-페닐아민 등의 페놀계 또는 아민계의 산화 방지제, 그 밖에 주지된 청정 분산제, 점도 지수 향상제, 방청제, 부식 방지제, 유동점 강하제 등의 첨가제도 필요에 따라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 이들 첨가제는 통상 본 발명의 냉동기유에 1 질량 ppm 내지 2 질량% 정도 함유되도록 첨가된다. 특히, 페놀계 또는 아민계의 산화 방지제는 0.01 내지 0.5 질량% 정도 첨가함으로써, 윤활제의 안정성, 내구성을 대폭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냉동기유는 염소를 함유하지 않는 냉매와 함께, 나아가 할로겐을 함유하지 않은 냉매와 함께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냉동기유는 염소를 함유하지 않고 오존층 파괴 계수가 작은 수소 함유 플루오로카본 냉매, 예를 들면 디플루오로메탄(R-32), 테트라플루오로에탄(R-134 또는 R-134a)이나, 특히 할로겐을 함유하지 않고 오존층 파괴 계수, 지구 온난화 계수가 함께 작은 탄화수소 냉매, 예를 들면 에탄(R170), 프로판(R290), 부탄(R600), 이소부탄(R600a), 또는 이들 2종 이상의 혼합 냉매 등을 사용하는 냉동기에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본 발명의 냉동기유는 이들 냉매와 혼합됨으로써 작동 유체가 되어 냉동 장치의 윤활을 담당한다. 본 발명의 냉동기유와 냉매를 5:95 내지 80:20의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작동 유체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범위를 벗어나 오일이 적은 경우에는 윤활 불량이 될 위험성이 있고, 오일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효율이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그리고, 본 발명의 냉동기용 작동 유체는 적어도 압축기, 응축기, 팽창 기구 및 증발기를 갖는 냉매 압축식 냉동 장치, 예를 들면 냉동기, 공기 조화기, 냉장고 등의 작동 유체로 이용되지만, 특히 주로 탄화수소 냉매가 사용되는 냉장고에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작동 유체가 이용되는 냉장고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는 밀폐형의 회전식 또는 왕복 운동식의 압축기가 이용되는 데, 이들 냉매 압축기의 모터부의 전기 절연 시스템 재료인 절연 필름으로서는 유리 전이 온도 50℃ 이상의 결정성 플라스틱 필름,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이미드 코팅 폴리에스테르, 폴리페닐렌술피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또는 유리 전이 온도가 낮은 필름 상에 유리 전이 온도가 높은 수지층을 피복하는 복합 필름 등이 사용되고 있다.
마찬가지로 모터부에 사용되는 마그넷 와이어도, 유리 전이 온도 120℃ 이상의 에나멜 피복,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이미드,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등의 단일층, 또는 유리 전이 온도가 낮은 것을 하층에, 유리 전이 온도가 높은 것을 상층에 복합한 에나멜 피막 등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동기용 작동 유체는 저점도이기 때문에, 밀봉성이 높은 왕복 운동식의 밀폐형 압축기에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기초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예 및 비교예의 냉매용 냉동기유(공시유)를 준비하였다.
공시유에 사용한 기재유, 첨가제는 하기와 같다.
기재유
모노에스테르 1 내지 8: 표 1에 나타내는 모노에스테르
Figure 112009018001957-pat00006
폴리올에스테르 1(PE-1): 네오펜틸글리콜(NPG)의 펜탄산 에스테르
폴리올에스테르 2(PE-2): NPG의 헥산산 에스테르
폴리올에스테르 3(PE-3): NPG의 2-에틸헥산산 에스테르
광유 1(MO-1): 파라핀계 윤활유 기재유(40℃ 동점도: 7.8 mm2/s)
광유 2(MO-2): 파라핀계 윤활유 기재유(40℃ 동점도: 5.2 mm2/s)
광유 3(MO-3): 나프텐계 윤활유 기재유(40℃ 동점도: 5.0 mm2/s)
첨가제:
산 포착제: 2-에틸헥실글리시딜에테르
극압제: 트리크레실포스페이트
유성제: 글리세린모노올레에이트
상기 기재유 및 첨가제를 이용하여 표 2, 표 3 및 표 4의 상부에 나타내는 비율(질량%)로 조합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의 냉동기유를 얻었다. 표 2는 실시예 1 내지 8의 냉동기유를 나타내고, 표 3은 실시예 9 내지 13의 냉동기유를 나타내고, 표 4는 비교예 1 내지 9의 냉동기유를 나타낸다.
Figure 112009018001957-pat00007
Figure 112009018001957-pat00008
Figure 112009018001957-pat00009
이들 실시예 및 비교예의 냉동기유에 대하여 그의 물성 및 상용성이나 안정성 등의 성능을 측정하고,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2 및 표 3의 하부에 나타내었다.
또한, 물성 측정 및 성능 평가 시험은 이하와 같이 하여 행하였다.
동점도(40℃):
JIS K 2283에 준거하여, 아틀랜틱 점도계의 개량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인화점:
JIS K 2265에 준거하여 클리블렌드 개방식(COC)의 시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산가:
JIS K 2501에 준거하여 지시약 적정법으로 전체 산가를 측정하였다.
상용성:
JIS K 2211의 부속서 3에 준거하여 2층 분리 온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냉매로서는 이소부탄(R600a), 프로판(R290) 및 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R-134a)을 이용하고, 또한 공시유/냉매비(중량)는 2/8의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안정성:
이른바 오토클레이브 테스트를 실시하여 열화 후의 냉동기유의 색상, 산가를 테스트하였다. 즉, 내용량 100 ml의 스테인리스 스틸제 내압 용기(오토클레이브)에 공시유 30 g과 냉매 10 g, 및 촉매로서 Fe, Cu, Al의 철사를 넣고 밀봉하여 175℃의 항온조에 14일간 방치하였다. 열화 후의 샘플을 꺼내어 색, 산가를 확인하였다. 냉매에 대해서는 R600a와 R-134a를 이용하여 각각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산가는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윤활성:
ASTM D 3233에 준거한 팔렉스(Falex) 시험(290 rpm, 실온)을 행하여 시험편에 소부가 생겼을 때의 하중을 측정하였다.
모노에스테르의 R1과 R2의 합계가 13 내지 17인 ME-2 내지 6을 기재유로서 이용한 실시예 1 내지 8 및 ME-4를 기재유 중 하나로 하고, PE-3을 또 하나의 기재유로 한 실시예 9 내지 13은 저점도유이면서 인화점이 높고, 또한 냉매와의 상용성, 안정성도 우수하다. 윤활성도 양호하다.
ME-1을 기재유로 한 비교예 1은 R1과 R2의 합계가 11로 적기 때문에, 점도와 인화점이 너무 내려가 실용적으로 이용하는 것은 곤란하다. 냉매와의 안정성도 떨어져, 시험 후의 산가가 상승하였다.
ME-7과 ME-8을 기재유로 한 비교예 2 및 3은 냉매와의 적합성, 특히 상용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실용적으로 이용하는 것은 곤란하다.
PE-1 및 PE-2를 기재유로 한 비교예 4, 5는 안정성이 떨어졌다. 또한, PE-3을 기재유로 한 비교예 6에서는 동점도를 목적하는 범위 내로 하는 것이 곤란하다.
MO-1을 기재유로 한 비교예 7도 비교예 6과 마찬가지로 동점도가 목적하는 범위 내가 되지 않는다. MO-2 및 3을 기재유로 한 비교예 9에서는 인화점이 낮아 안전성이 떨어졌다.
모노에스테르와 폴리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냉동기유를 평가하기 위해, 실시예 및 비교예의 냉매용 냉동기유(공시유)를 준비하였다.
공시유에 사용한 기재유, 첨가제는 하기와 같다.
(기재유)
ME-9: n-헥산산-n-헥실
ME-10: 2-에틸헥산산-n-옥틸
ME-11: n-데칸산-n-데실
PE-4: 네오펜틸글리콜-디-n-헥산산 에스테르
PE-5: 네오펜틸글리콜-디-2-에틸헥산산 에스테르
PE-6: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2-에틸헥산산 에스테르
PE-7: 2-에틸헥산산(50 질량%)과 3,5,5-트리메틸헥산산(50 질량%)의 혼합산과 펜타에리트리톨과의 에스테르
(첨가제)
산 포착제: 2-에틸헥실글리시딜에테르〔EPO〕
디알킬페닐카르보디이미드〔CDI〕
유성제: 글리세린모노올레에이트〔GMO〕
금속 포착제: 벤조트리아졸〔BTA〕
소포제: 디메틸실록산(1000 mPa.s@25℃)〔실리콘유〕
상기 기재유 및 첨가제를 이용하여, 표 5의 상부에 나타내는 비율(질량%)로 조합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의 공시유(냉동기유)를 얻었다.
Figure 112009018001957-pat00010
이들 실시예 및 비교예의 냉동기유에 대하여 그의 물성 및 상용성이나 안정성 등의 성능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술한 측정법 이외의 물성 측정 및 성능 평가 시험은 이하와 같이 하여 행하였다.
거품 생성:
JIS K 2518 "석유 제품-윤활유 거품 생성 시험법"에 규정된 방법에 의해 24℃에서의 거품 생성도 및 거품 안정도를 측정하였다.
2층 분리 온도:
JIS K 2211의 부속서 3 "냉매와의 상용성 시험 방법"에 규정된 방법에 의해 2층 분리 온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냉매로서는 이소부탄(R600a)을 이용하고, 또한 공시유/냉매비(중량)는 2/8의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가수분해 안정성:
JIS K 2211의 부속서 2 "냉매와의 화학적 안정성 시험 방법(실드 튜브 테스트)에 규정된 방법에 의해, 공시유 7 ml와 이소부탄 냉매(R600a) 3 ml와의 혼합물을 유중 수분량 500 ppm, 온도 175℃의 환경하에 14일간 두고, 전체 산가를 측정하였다.
윤활성 (팔렉스 소부):
ASTM D 3233에 준거한 팔렉스(Falex) 시험(290 rpm, 실온)을 행하여, 시험편에 소부가 생겼을 때의 하중을 측정하였다.
윤활성 ( SRV 마모흔 ):
볼(SUJ-2제)/디스크(SUJ-2제)의 SRV 마찰 시험기를 이용하여, 하중 100N, 진폭수 50 Hz, 진폭 1 mm, 온도 60℃의 조건으로 시험 시간 25분 경과 후의 마모흔을 측정하였다.
압축기 테스트:
냉장고용 압축기에 공시유를 220 ml 넣고, 냉매로서 이소부탄을 30 g 사용하여 다음 조건으로 내구 테스트를 행하였다.
<조건> 토출 압력: 10 kg/cm2G, 흡입 압력: 0 kg/cm2G, 압축기 표면 온도(정상): 100℃, 운전 시간: 1000 시간
내구 테스트 후에 압축기를 분해하고, 토출 밸브의 오염 및 접동부의 마모 평가를 행하였다.
Figure 112009018001957-pat00011
탄소수 8의 지방족 모노알코올인 n-옥탄올과 탄소수 8의 1가 지방산인 2-에틸헥산산과의 에스테르인 ME-10: 2-에틸헥산산(n-옥틸)과, 2-에틸헥산산 또는 3,5,5-트리메틸헥산산과 탄소수 5 내지 10의 네오펜틸알코올인 네오펜틸글리콜 또는 펜타에리트리톨의 에스테르인 PE-4 내지 PE-7의 혼합물을 기재유로서 이용한 실시예 14 내지 27은 저점도유이면서 인화점이 높고, 또한 냉매와의 상용성, 가수분해 안정성, 부피 저항율도 우수하고, 게다가 윤활성도 양호하다.
한편, 모노에스테르 ME-9 내지 ME-11 및 네오펜틸폴리올의 에스테르 PE-4를 단독으로 기재유로서 이용한 비교예 10 내지 12는 가수분해 안정성이 나쁘고, 또한 비교예 10 내지 12에서는 윤활성의 SRV 마모흔도 나쁘다. 특히 비교예 10은 인화점, 부피 저항율, 윤활성의 팔렉스 소부도 나쁘다. 또한, PE-5를 단독으로 이용한 비교예 13은 점도가 높아 에너지 절약을 충분히 달성할 수 없다. 또한, 탄소수 6이나 탄소수 10의 알코올이나 산의 에스테르를 이용한 것은 네오펜틸폴리올의 에스테르와 혼합하더라도(비교예 14 내지 16) 가수분해 안정성이 나쁘고, 또한 비교예 14 내지 15는 부피 저항율도 낮다. 이들 기재유를 이용한 것은 첨가제를 첨가하더라도(비교예 17 내지 19) 개선할 수 없었다.
본 발명에 의해, 염소를 함유하지 않는 수소 함유 플루오로카본 냉매나, 또한 온실 효과가 작은 할로겐 원자를 포함하지 않는 탄화수소 냉매에 사용하는, 저점도이고 게다가 안정성이 우수한 냉매용 냉동기유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따라서, 지구 온난화 등의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작고, 게다가 저점도이고 에 너지 절약에도 기대되는 점에서, 냉매 압축식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는 냉동기, 공기 청정기, 냉장고 등에 유효하게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21)

  1.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모노에스테르를 함유하고, 40℃에서의 동점도가 7 mm2/s 미만인 냉매용 냉동기유.
    <화학식 1>
    Figure 112015064694087-pat00012
    식 중, R1은 탄소수 5 내지 9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2는 탄소수 8 내지 10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1 및 R2는 각각 분지 또는 직쇄일 수 있고, 또한 R1 및 R2의 탄소수의 합계가 13 내지 17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폴리올에스테르를 더 함유하는 냉매용 냉동기유.
  3. 제2항에 있어서, 모노에스테르가 탄소수 8의 지방족 모노알코올과 탄소수 8의 1가 지방산과의 모노에스테르이고, 폴리올에스테르가 2-에틸헥산산 또는 3,5,5-트리메틸헥산산, 또는 이들 둘 다와 탄소수 5 내지 10의 네오펜틸폴리올과의 폴리올에스테르의 1종 이상인 냉매용 냉동기유.
  4. 제3항에 있어서, 모노에스테르를 75 내지 95 질량% 및 폴리올에스테르의 1종 이상을 5 내지 25 질량%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냉매용 냉동기유.
  5. 제4항에 있어서, 40℃에서의 동점도가 2 내지 4 mm2/s, 인화점이 130℃ 이상, 산가가 0.1 mgKOH/g 이하, 25℃에서의 부피 저항율이 10 GΩm 이상인 냉동기유.
  6. 제3항에 있어서, 모노에스테르를 25 내지 40 질량%와, 폴리올에스테르의 1종 이상을 60 내지 75 질량%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냉매용 냉동기유.
  7. 제6항에 있어서, 40℃에서의 동점도가 4 내지 7 mm2/s, 인화점이 130℃ 이상, 산가가 0.1 mgKOH/g 이하, 25℃에서의 부피 저항율이 10 GΩm 이상인 냉동기유.
  8.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에스테르가 n-옥틸알코올과 2-에틸헥산산의 에스테르인 냉동기유.
  9.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에스테르가 네오펜틸글리콜-디-2 에틸헥산산 에스테르 또는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2 에틸헥산산 에스 테르인 냉동기유.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에스테르가 네오펜틸글리콜-디-2 에틸헥산산 에스테르 또는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2 에틸헥산산 에스테르인 냉동기유.
  11. 제10항에 있어서, 에폭시환을 갖는 화합물 또는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산포착제를 0.01 내지 1 질량% 첨가한 냉동기유.
  12. 제10항에 있어서, 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금속 불활성화제를 1 내지 100 질량 ppm 첨가한 냉동기유.
  13. 제10항에 있어서,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는 유성제를 0.01 내지 1 질량% 첨가한 냉동기유.
  14. 제10항에 있어서, 실리콘유, 말단을 폴리알킬렌글리콜 또는 에스테르로 변성한 실리콘유, 또는 불소화 실리콘유로부터 선택되는 소포제 1종 이상을 1 내지 100 질량 ppm 첨가한 냉동기유.
  15.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냉동기유와, 에탄, 프로판, 부탄, 또는 이소부탄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탄화수소 냉매를 함유하는 냉동기용 작동 유체.
  16. 제8항에 기재된 냉동기유와, 에탄, 프로판, 부탄, 또는 이소부탄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탄화수소 냉매를 함유하는 냉동기용 작동 유체.
  17. 제9항에 기재된 냉동기유와, 에탄, 프로판, 부탄, 또는 이소부탄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탄화수소 냉매를 함유하는 냉동기용 작동 유체.
  18. 제15항에 기재된 냉동기용 작동 유체와, 이 유체를 압축하는 밀폐형 압축기와,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와,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 기구와,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형 압축기는 회전자와 고정자를 갖는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이미드 코팅 폴리에스테르, 폴리페닐렌술피드 및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중 어느 1종의 절연 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자에는 유리 전이 온도 120℃ 이상의 에나멜재로 피복한 권선을 구비한 냉장고.
  19. 제16항에 기재된 냉동기용 작동 유체와, 이 유체를 압축하는 밀폐형 압축기와,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와,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 기구와,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형 압축기는 회전자와 고정자를 갖는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이미드 코팅 폴리에스테르, 폴리페닐렌술피드 및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중 어느 1종의 절연 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자에는 유리 전이 온도 120℃ 이상인 에나멜재로 피복한 권선을 구비한 냉장고.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형 압축기가 왕복 운동식인 냉장고.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형 압축기가 왕복 운동식인 냉장고.
KR1020090025441A 2008-03-26 2009-03-25 냉매용 냉동기유 KR1015803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80885 2008-03-26
JP2008080885A JP5231060B2 (ja) 2008-03-26 2008-03-26 冷媒用冷凍機油
JP2008234962A JP5248959B2 (ja) 2008-09-12 2008-09-12 冷凍機油および冷凍機用作動流体ならびに冷蔵庫
JPJP-P-2008-234962 2008-09-12
JPJP-P-2008-234963 2008-09-12
JP2008234963A JP5248960B2 (ja) 2008-09-12 2008-09-12 冷凍機油および冷凍機用作動流体ならびに冷蔵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701A KR20090102701A (ko) 2009-09-30
KR101580319B1 true KR101580319B1 (ko) 2015-12-23

Family

ID=41360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5441A KR101580319B1 (ko) 2008-03-26 2009-03-25 냉매용 냉동기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80319B1 (ko)
CN (2) CN10378907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67362B2 (ja) * 2010-01-29 2015-02-12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レシプロ式圧縮機及びこれを用いた冷蔵庫
US9238783B2 (en) 2012-11-20 2016-01-19 Chevron U.S.A. Inc. Monoester-based lubricant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9115326B2 (en) 2012-11-20 2015-08-25 Chevron U.S.A. Inc. Monoester-based lubricants and methods of making same
JP2017515965A (ja) * 2014-05-15 2017-06-15 シェブロン ユー.エス.エ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モノエステル系潤滑剤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9156126A1 (ja) 2018-02-07 2019-08-15 Jxtgエネルギー株式会社 冷凍機油及び冷凍機用作動流体組成物
CN111699237B (zh) * 2018-02-07 2022-08-09 引能仕株式会社 冷冻机油及冷冻机用工作流体组合物
TWI699432B (zh) * 2018-11-09 2020-07-21 百達精密化學股份有限公司 基礎油及潤滑油
JP7268535B2 (ja) * 2019-08-26 2023-05-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冷却液組成物及び冷却システ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68345A1 (fr) 1999-05-10 2000-11-16 New Japan Chemical Co., Ltd. Huile de lubrification pour refrigerateur, composition de fluide hydraulique pour refrigerateur et procede de lubrification de refrigerateur
JP2006342357A (ja) 2006-08-04 2006-12-21 Japan Energy Corp 冷凍機用潤滑油組成物
JP2007248020A (ja) 2006-03-20 2007-09-27 Hitachi Appliances Inc 密閉形圧縮機及び冷凍装置並びに冷蔵庫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12215B2 (ja) * 1993-08-30 2004-03-29 日清オイリオ株式会社 シリコーン溶解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潤滑剤
DE60042754D1 (de) * 1999-12-28 2009-09-24 Idemitsu Kosan Co Verwendung einer ölzusammensetzung für kohlendioxidkühlmaschine
JP5214151B2 (ja) * 2006-02-23 2013-06-19 Jx日鉱日石エネルギー株式会社 炭化水素冷媒用冷凍機油及びそれを用いた冷凍機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68345A1 (fr) 1999-05-10 2000-11-16 New Japan Chemical Co., Ltd. Huile de lubrification pour refrigerateur, composition de fluide hydraulique pour refrigerateur et procede de lubrification de refrigerateur
JP2007248020A (ja) 2006-03-20 2007-09-27 Hitachi Appliances Inc 密閉形圧縮機及び冷凍装置並びに冷蔵庫
JP2006342357A (ja) 2006-08-04 2006-12-21 Japan Energy Corp 冷凍機用潤滑油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119998B (zh) 2017-04-12
CN103789070B (zh) 2017-04-12
CN103789070A (zh) 2014-05-14
KR20090102701A (ko) 2009-09-30
CN104119998A (zh) 2014-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31060B2 (ja) 冷媒用冷凍機油
KR101580319B1 (ko) 냉매용 냉동기유
KR101899310B1 (ko) 냉동기용 작동 유체 조성물, 냉동기유 및 이의 제조 방법
JP5852176B2 (ja) 冷媒2,3,3,3‐テトラフルオロ‐1‐プロペン用冷凍機油
JP5980951B2 (ja) 冷凍機用作動流体組成物
JP5248960B2 (ja) 冷凍機油および冷凍機用作動流体ならびに冷蔵庫
EP2980191B1 (en) Working fluid composition for refrigerator
US20180215977A1 (en) Refrigerating machine oil and refrigerating machine working fluid composition
KR20170010084A (ko) 냉동기유 및 냉동기용 작동 유체 조성물
JP6072896B2 (ja) 冷凍機用作動流体組成物
TW201538712A (zh) 冷凍機用作動流體組合物及冷凍機油
JP5248959B2 (ja) 冷凍機油および冷凍機用作動流体ならびに冷蔵庫
JP5572242B2 (ja) 冷凍機油および冷凍機用作動流体ならびに冷蔵庫
WO2022009931A1 (ja) 冷凍機油及び冷凍機用作動流体組成物
JP5572243B2 (ja) 冷凍機油および冷凍機用作動流体ならびに冷蔵庫
WO2024106514A1 (ja) 作動流体組成物、冷凍機油及び冷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