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2242B1 - 콘크리트 폴 연마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폴 연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2242B1
KR100942242B1 KR1020090058074A KR20090058074A KR100942242B1 KR 100942242 B1 KR100942242 B1 KR 100942242B1 KR 1020090058074 A KR1020090058074 A KR 1020090058074A KR 20090058074 A KR20090058074 A KR 20090058074A KR 100942242 B1 KR100942242 B1 KR 100942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ishing wheel
polishing
concrete pole
arm
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8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환
Original Assignee
원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원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8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22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2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2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5/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centres or chucks for holding work
    • B24B5/04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centres or chucks for holding work for grinding cylindrical surfaces extern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7/00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 B24B27/0076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grinding machines comprising two or more grind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07Weight compensation; Temperature compensation; Vibration dam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4Headstocks; Working-spindles; Features relating thereto
    • B24B41/042Balanc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6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6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 B24B41/061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axially supporting turning workpieces, e.g. magnetically, pneuma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7/0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 B24B47/1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for rotating or reciprocating working-spindles carrying grinding wheels or workpieces
    • B24B47/12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for rotating or reciprocating working-spindles carrying grinding wheels or workpieces by mechanical gearing or electric p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04Protective covers for the grind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7/00Devices for feeding, applying, grading or recovering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7/02Devices for feeding, applying, grading or recovering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for feeding of fluid, sprayed, pulverised, or liquefied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축 뿐만 아니라 장축의 콘크리트 폴의 연마가 가능하도록 한 콘크리트 폴 연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적 수단은 베드와; 상기 베드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콘크리트 폴을 회전 구동시키는 주축을 갖는 주축대와; 상기 베드에 길이 방향으로 왕복이송용 모터에 의해 왕복 이송가능하게 설치되고, 1대 이상의 연마휠 구동기구를 갖는 연마휠 왕복대를 포함하고; 상기 연마휠 구동기구는, 상기 연마휠 왕복대의 가이드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승강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아암 지지대와; 상기 아암 지지대의 상단에 힌지 연결된 연마휠 아암과; 상기 연마휠 아암의 선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주축의 중심선 위에 위치하는 연마 휠과; 상기 연마휠 아암에 탑재되어 상기 연마 휠을 회전 구동시키는 연마휠 구동모터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90058074
콘크리트 폴, 전신주, 연마, 연삭

Description

콘크리트 폴 연마장치{Concrete pole polishing device}
본 발명은 콘크리트 폴의 표면을 연삭·연마하는데 사용되는 연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축 뿐만 아니라 장축의 콘크리트 폴을 1대 이상의 연마 휠을 통해 연삭 및 연마가 이루어지도록 한 콘크리트 폴 연마장치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전주, 통신주, 가로등주, 신호등주, 볼라드등 등에 적용될 수 있는 콘크리트 폴은 시멘트, 잔골재(모래 등), 철근으로 제작된다. 즉, 형틀에 철근이 배근된 상태에서 시멘트와 골재 및 물이 혼합된 혼합물을 투입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유기안료 및 굵은 골재가 첨가되기도 한다.
이같이 제작되는 콘크리트 폴의 경우 표면을 연마하기 전에는 표면이 거칠고, 광택을 이룰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광택을 얻거나 굵은 골재의 문양과 색상을 얻고자 할 경우 연마가 필요하다. 특히 15m 이상의 긴 장축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폴의 경우 기울기 및 지지장치가 고려되어져야 한다.
한편, 종래의 콘크리트 폴(예로, 전주, 가로등, 원형 경계석)은 시멘트가 갖 는 고유색상이 그대로 발현되기 때문에 미관상 획일적이었다. 따라서 굵은 골재 및 안료가 함유된 콘크리트 폴을 제작할 경우 골재의 문양과 색상을 얻기 위해 연마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이같이 연마를 하게 되면 광택적인 문양과 색상의 발현으로 도시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 단축은 물론이고 장축의 콘크리트 폴의 표면을 절삭 및 연마하여, 표면의 광택과 굵은 골재의 연마로 인한 미려한 색상과 문양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폴 연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긴 장축의 콘크리트 폴에 기울기를 가질 수 있도록 연삭과 연마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폴 연마장치를 제공코자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은,
콘크리트 폴을 연마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베드와;
상기 베드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콘크리트 폴을 회전 구동시키는 주축을 갖는 주축대와;
상기 베드에 길이 방향으로 왕복이송용 모터에 의해 왕복 이송가능하게 설치되고, 1대 이상의 연마휠 구동기구를 갖는 연마휠 왕복대를 포함하고;
상기 연마휠 구동기구는,
상기 연마휠 왕복대의 가이드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승강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아암 지지대와;
상기 아암 지지대의 상단에 힌지 연결된 연마휠 아암과;
상기 연마휠 아암의 선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주축의 중심선 위에 위치하는 연마 휠과;
상기 연마휠 아암에 탑재되어 상기 연마 휠을 회전 구동시키는 연마휠 구동모터가 포함되고;
삭제
상기 연마 휠은 상기 주축과 나란한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거나 상기 주축에 대해 수직한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연마휠 아암은 상기 아암 지지대에 힌지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아암지지대에 구비된 스톱퍼에 의해 전,후 회전이 일정각도로 제한 받도록 설치되고, 연마휠 아암은 그 후단에 설치된 웨이트 함체에 탑재되는 수개의 밸런스 웨이트에 의해 밸런스를 조절할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콘크리트 폴의 기울기 연마를 위해, 상기 연마휠 왕복대에 설치되어 상기 아암 지지대측에 스크류 결합된 이송스크류와;
상기 이송스크류를 정,역회전 구동시키는 이송스크류 모터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베드에는 상기 주축대의 대향하는 쪽에 콘크리트 폴의 말단을 지지하는 심압대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베드에는 상기 주축대와 심압대의 사이에 콘크리트 폴의 밑면을 회전 지지하는 다수개의 가이드 롤러유닛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롤러유닛은,
기어 하우징과;
상기 기어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중간에 웜휠이 설치되어 있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기어 하우징에 설치되고, 일단에 상기 웜휠에 이맞물림된 웜기어가 구비된 이송스크류와;
상기 이송스크류에 나사결합된 축부를 갖고 승강 이송가능한 롤러 지지브래킷과;
상기 롤러 지지브래킷의 상면에 서로 이웃한 간격을 가지고 회전 자유롭게 설치된 한쌍의 롤러와;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축에 연결된 핸들 또는 구동모터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연마휠 왕복대에는 연마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폴의 연마도에 따라 필요수를 증감하여 1회 왕복으로도 연마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1개 이상의 다단계 연마 휠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연마휠 왕복대에는 전면에 개방된 개구부를 갖는 커버가 설치되고, 상기 커버에는 개구부를 개폐하는 투명한 투시창이 설치되고, 상기 투시창은 상기 커버측에 장착된 실린더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폴 연마장치에 따르면, 베드상에 콘크리트 폴을 회전 지지할 수 있는 장치가 마련되어 장축 콘크리트 폴의 연마가 가능하고, 또한 연마 단계를 황삭, 중삭의 단계를 거친 다음에 할 수 있어 연마효율이 뛰어나고, 원형, 원추형, 각형 등 각종 단면의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가공 편차를 갖는 경우 연마휠의 위치가 자동 보정되는 이유로 인해 콘크리트 폴의 진원 가공이 가능하다. 또한 콘크리트 폴의 지지장치가 높낮이 조절될 수 있어 콘크리트 폴의 기울기 가공이 유리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폴 연마장치(1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베드(20)가 구비된다. 도 1은 콘크리트 폴 연마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콘크리트 폴 연마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베드(20)는 상부에 평탄하면서 서로 높낮이를 달리하는 낮은 단차면(21)과 상대적으로 높은 단차면(22)이 형성되어 있고, 베드(20)의 낮은 단차면(21)의 양측에는 도 2와 같이 서로 대향적으로 배치된 주축대(30)와 심압대(70)가 설치되어 있다.
주축대(30)는 베드(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고, 심압대(70)는 베드(20)의 타측에 설치되어 있다. 심압대(70)는 도 6과 같이 낮은 단차면(21)에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한쌍의 가이드 레일(24)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및 고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6은 콘크리트 폴의 일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주축대(30)는 도 3와 같이 콘크리트 폴(P)을 회전 구동시키는 주축(32)과, 주축(32)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33), 콘크리트 폴(P)을 척킹시키도록 추축(32)의 선단에 설치된 척(34)이 포함된다. 도 3은 도 1에서 주축대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베드(20)에는 도 4 및 도 6과 같이 1대 이상의 연마휠 구동기구(100)가 구비되는 연마휠 왕복대(40)가 설치된다. 연마휠 왕복대(40)에는 연마하고자 하는 콘크 리트 폴의 연마도에 따라 필요수를 증감하여 1회 왕복으로도 연마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1개 이상의 다단계 연마 휠(130)이 구비된다. 도 4는 주축대 부분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4대의 연마휠 구동기구(100)가 잘 나타나 있다.
연마휠 왕복대(40)는 베드(20)의 높은 단차면(22)에 위치되어 가이드레일(26)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송가능하게 설치된다. 연마휠 왕복대(40)는 왕복이송용 모터(50)에 의해 가이드레일(26)을 따라 왕복 이송하게 되어 있다. 왕복이송용 모터(50)는 연마휠 왕복대(40)에 장착되어 있고, 왕복이송용 모터(50)의 구동력은 베드(20)의 랙기어(28)에 이맞물림된 기어박스(56)의 피니언기어(57)를 회전시키게 되어 있다. 왕복이송용 모터(50)의 출력단과 기어박스(56)의 입력단은 타이밍 벨트(54)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마휠 왕복대(30)에는 모든 구조가 동일하고 황삭용, 중삭용, 정삭용, 잔삭용으로 각 연마휠(130)의 외주면에 구비시킨 연마입자의 메쉬만을 달리하는 모두 4대의 연마휠 구동기구(100)가 설치되어 있다.(도 3 및 도 4 참조)
따라서 어느 1대의 연마휠 구동기구(100)에 대하여 살펴본다.
연마휠 구동기구(100)에는 도 4 및 도 6과 같이 연마휠 왕복대(40)의 가이드(42)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승강 이동가능 하게 설치된 아암 지지대(110)가 포함된다. 아암 지지대(110)에는 피가공물인 콘크리트 폴(P)의 진원 가공을 위해 연마휠 아암(120)이 힌지축(121)을 중심으로 전,후 일정 각도 범위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아암 지지대(110)에는 연마휠 아암(120)의 전,후 회전을 일정각도로 제한하 는 스톱퍼(112)를 갖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톱퍼(112)는 아암 지지대(110)의 최상단에 연마휠 아암(120)의 상면과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연마휠 아암(120)은 아암 지지대(110)의 상단에 힌지축(121)을 중심으로 스톱퍼(112)가 허용되는 범위내에서 전,후로 회전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연마휠 아암(120)의 선단에는 연마 휠(13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연마휠(130)은 상기 주축(32)의 상방에 위치하게 되어 있고, 연마휠(130)은 연마휠 아암(120)에 탑재된 연마휠 구동모터(140)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 구동하게 되어 있다. 이때 연마휠(130)은 벨트(V1,V2)를 통해 연마휠 구동모터(140)의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연마휠(130)은 외주면에 연마용 입자(예로, 다이아몬드)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연마용 입자는 패드에 형성되어 연마휠(130)의 외주면에 장착될 수 있다.
연마 휠(130)은 도 3과 같이 상기 주축(32)의 방향과 나란한 수평축(U)을 중심으로 회전하거나 도 8과 같이 상기 주축(32)에 대해 수직한 수직축(Z)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마 휠(130)이 수직축(Z)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경우 연마입자는 평탄한 밑면에 구비된다.
상기 연마휠 아암(120)의 후단에는 연마휠 아암(120)이 힌지축(121)을 중심으로 틸팅 밸런스를 맞추기 위해 웨이트 함체(128)가 설치되고, 상기 웨이트 함체(128)에 하나 이상의 밸런스 웨이트(129)가 탑재된다.
한편, 콘크리트 폴(P)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기울기 연마를 하고, 원위치 귀환 이송을 위해, 도 6과 같이 연마휠 왕복대(30)에 이송스크류(150)가 회전 자유롭게 입설되고, 이송스크류(150)에 결합된 볼너트(152)를 매개로 상기 아암 지지 대(110)가 연결되고, 이송스크류(150)를 정,역회전 구동시키는 이송스크류 모터(160)가 구비된다. 이때 이송스크류 모터(160)의 회전력은 벨트(V3)를 통하여 이송스크류(150)에 전달되게 구성된다.
한편, 베드(20)의 낮은 단차면(21)에는 도 2 및 도 7과 같이 상기 주축대(30)와 심압대(40)의 사이에 배치되어 콘크리트 폴(P)의 밑면을 회전 지지하는 다수개의 가이드 롤러유닛(200)이 설치된다.
어느 하나의 가이드 롤러유닛(200)은 도 7과 같이 가이드 레일(24)에 이동 및 고정 가능하게 설치되는 기어 하우징(210)과, 상기 기어 하우징(2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중간에 웜휠(222)이 설치되어 있는 구동축(220)과, 상기 구동축(220)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기어 하우징(210)에 설치되고 일단에 상기 웜휠(222)에 이맞물림된 웜기어(232)가 구비된 이송스크류(230)와, 상기 이송스크류(230)에 나사결합된 축부(212)를 갖고 승강 이송가능한 롤러 지지브래킷(240)과, 상기 롤러 지지브래킷(240)의 상면에 서로 이웃한 간격을 가지고 회전 자유롭게 설치된 한쌍의 롤러(224)와, 상기 구동축(220)을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축(220)에 연결된 핸들(250)로 구성된다.
여기서 기어 하우징(210)은 볼트 체결 또는 클램프 조임 방식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핸들(250)에 대체하여 기어 하우징(210)측에 장착되어 구동축(220)에 직결되는 서브모터(미도시)가 될 수도 있다. 한쌍의 롤러(224) 표면에는 회전 진동의 소음 흡수 및 완충 지지를 위해 고무층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 폴을 연마할 때 절삭유 공급장치(미도시)로부터 공급중인 절삭유의 튐을 방지하고 동시에 연마를 관찰하고 필요시 절삭유 공급노즐의 접근이 가능토록 연마휠 왕복대(40)에 커버(60)가 설치되어 있다. 커버(60)는 도 1과 같이 전면에 개방된 개구부(60a)가 형성되어 있고, 커버(60)에는 도 6과 같이 개구부(60a)를 개폐하는 투명한 투시창(62)이 설치되고, 투시창(62)은 커버(60)측에 장착된 실린더(74)와 와이어 케이블(65)의 연결을 통하여 개폐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도 2에서와 같이 왕복대(30)가 좌측의 원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연마 가공될 콘크리트 폴(P)이 도 3과 같이 척(34)에 물려진다. 이때 콘크리트 폴(P)이 장축으로 구성된 경우 심압대(70)의 센터(72)로 지지된다. 여기서 콘크리트 폴(P)은 흑색이나 흰색 또는 유색의 굵은 골재가 포함된 것이 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다수개의 가이드 롤러유닛(200)측 한쌍의 롤러(224)에 의해 콘크리트 폴(P)의 밑면이 지지된다. 이때 콘크리트 폴(P)의 직경에 따라 핸들(250)을 조작하여 롤러(224)의 상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여러대의 가이드 롤러유닛(200)들에 구비된 한쌍의 롤러(224)의 높낮이를 조정하게 되면 콘크리트 폴(P)의 가공 기울기를 셋팅할 수 있다.
이같이 콘크리트 폴(P)의 척킹이 완료되면, 커버(60)측에 설치된 실린더(74)가 동작하여 투시창(62)이 개구부(60a)를 차단하여 절삭유의 튐을 방지한다.
다음, 가공 프로그램의 지령에 의해 주축(32)의 회전으로 콘크리트 폴(P)이 회전하고, 도 6의 왕복 이송용모터(50)가 구동하여 연마휠 왕복대(40)가 가공 위치로 이송하고, 선택된 순서에 의해 4대의 연마휠 구동기구(100)가 순차적으로 동작을 하면서 연마휠 왕복대(40)가 베드(20)를 따라 왕복 이송을 수회 반복하면서 단계별 1대 이상의 연마휠(130)에 의해 콘크리트 폴(P)의 표면을 연마하게 된다.
여기서, 어느 하나의 연마휠 구동기구(100)가 동작하는 것을 상세히 설명한다.
가공 지령이 있게 되면 도 3 및 도 4에서 해당 연마휠 구동모터(140)가 회전 구동하여 연마휠(130)이 콘크리트 폴(P)의 표면에 접촉하여 회전한다. 연마휠(130)이 콘크리트 폴(P)에 접촉하는 이유는 밸런스 웨이트(129)의 조절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연마휠 아암(120)의 힌지축(121)을 중심으로 연마휠(130)측이 밸런스 웨이트(129)보다 무겁기 때문이다.
이때 연마휠 왕복대(40)가 이송을 하고 동시에 이송스크류 모터(160)가 제어를 받아 여마휠 아암(120)을 하방으로 당기게 되고, 이로 인해 연마휠(130)이 콘크리트 폴(P)의 표면을 연마하게 된다.
표면이 연마된 콘크리트 폴(P)은 내부에 굵은 골재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골재의 문양과 색상이 나타나고 광택을 발현할 수 있게 된다.
이같은 연마는 연마휠 왕복대(40)가 1회 이상 왕복 운동을 하면서 이루어진다.
이때 연마 깊이는 해당 이송스크류 모터(160)의 회전량으로 결정된다. 즉, 이송스크류 모터(160)는 연마휠 왕복대(40)의 이송량에 비례하여 회전량이 증가되 고, 이로 인해 아암지지대(110)가 하강하여 절삭 깊이를 더하게 된다.
또한 1회 연마 중 연마휠 왕복대(40)가 복귀시에는 이송스크류(150)가 역회전하여 아암 지지대(110) 및 연마휠 아암(120)이 상승하고 연마휠(130)이 상방로 들어올려진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4대의 연마휠 구동기구(100)가 순차적으로 동작하여 황삭, 중삭, 정삭 및 잔삭 연마가 이루어져 콘크리트 폴(P)의 연마가 완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연마휠 구동기구(100) 4대가 모두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몇대가 선택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이같이 본 발명의 콘크리트 폴 연마장치에 따르면, 베드상에 콘크리트 폴을 회전 지지할 수 있는 장치가 마련되어 단축은 물론이고 장축 콘크리트 폴의 연마가 가능하다. 또한 장축 콘크리트 폴 연마의 경우 기울기를 갖도록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콘크리트 폴의 연마 가공전에 진원이 맞지 않는 편차 가공 부분에서는 연마휠(130)이 힌지축(121)을 중심으로 도 6에서 반시계방향으로 들림되어 그 편차를 연삭함으로써 자동 보정이 이루어져 진원 연삭 가공이 가능하다.
또한 연마 단계를 황삭, 중삭의 단계를 거친 다음에 할 수 있어 연마효율이 뛰어나다. 또한 주축(32)의 위치를 주축대(30)에 설치된 구동모터(33)로 제어하여 콘크리트 폴의 가공부위를 제어해 나가면서 연삭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8과 같이 연삭 휠(130)이 주축(32)에 대해 수직한 수직축(Z)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경우 각형의 단면이 되도록 연삭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 다.
따라서 본 발명은 콘코리트 폴의 원형과 원추형 가공은 물론이고 각형 등 각종 가공 단면의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폴 연마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폴 연마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도 2에서 주축대와 연마휠 구동기구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도 2에서 심압대 부부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폴 연마장치의 일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가이드 롤러유닛의 조립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콘크리트 폴 연마장치의 일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베드
30: 주축대
32: 주축
40: 왕복대
50: 왕복이송용 모터
60: 커버
62: 투시창
70: 심압대
100: 연마휠 구동기구
110: 아암지지대
112: 스톱퍼
120: 연마휠 아암
128: 웨이트 함체
129: 밸런스 웨이트
130: 연마휠
140: 연마휠 구동모터
150: 이송스크류
160: 이송스크류 모터
200: 가이드 롤러유닛
210: 기어하우징
220: 구동축
224: 롤러
230: 이송스크류
240: 롤러 지지브래킷
250: 핸들

Claims (8)

  1. 삭제
  2. 콘크리트 폴을 연마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베드(20)와;
    상기 베드(20)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콘크리트 폴을 회전 구동시키는 주축(32)을 갖는 주축대(30)와;
    상기 베드(20)에 길이 방향으로 왕복이송용 모터(50)에 의해 왕복 이송가능하게 설치되고, 1대 이상의 연마휠 구동기구(100)를 갖는 연마휠 왕복대(40)를 포함하고;
    상기 연마휠 구동기구(100)는,
    상기 연마휠 왕복대(40)의 가이드(42)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승강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아암 지지대(110)와;
    상기 아암 지지대(110)의 상단에 힌지 연결된 연마휠 아암(120)과;
    상기 연마휠 아암(120)의 선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주축(32)의 중심선 위에 위치하는 연마 휠(130)과;
    상기 연마휠 아암(120)에 탑재되어 상기 연마 휠(130)을 회전 구동시키는 연마휠 구동모터(140)가 포함되고;
    상기 연마 휠(130)은 상기 주축(32)과 나란한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거나 상기 주축(32)에 대해 수직한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폴 연마장치.
  3. 콘크리트 폴을 연마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베드(20)와;
    상기 베드(20)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콘크리트 폴을 회전 구동시키는 주축(32)을 갖는 주축대(30)와;
    상기 베드(20)에 길이 방향으로 왕복이송용 모터(50)에 의해 왕복 이송가능하게 설치되고, 1대 이상의 연마휠 구동기구(100)를 갖는 연마휠 왕복대(40)를 포함하고;
    상기 연마휠 구동기구(100)는,
    상기 연마휠 왕복대(40)의 가이드(42)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승강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아암 지지대(110)와;
    상기 아암 지지대(110)의 상단에 힌지 연결된 연마휠 아암(120)과;
    상기 연마휠 아암(120)의 선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주축(32)의 중심선 위에 위치하는 연마 휠(130)과;
    상기 연마휠 아암(120)에 탑재되어 상기 연마 휠(130)을 회전 구동시키는 연마휠 구동모터(140)가 포함되고;
    상기 연마휠 아암(120)은 상기 아암 지지대(110)에 힌지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아암지지대(110)에 구비된 스톱퍼(112)에 의해 전,후 회전이 일정각도로 제한 받도록 설치되고, 연마휠 아암(120)은 그 후단에 설치된 웨이트 함체(128)에 탑재되는 수개의 밸런스 웨이트(129)에 의해 회전 밸런스가 조절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폴 연마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휠 왕복대(30)에 설치되어 상기 아암 지지대(110)측에 스크류 결합된 이송스크류(150)와;
    상기 이송스크류(150)를 정,역회전 구동시키는 이송스크류 모터(160)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폴 연마장치.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20)에는 상기 주축대(30)의 대향하는 쪽에 콘크리트 폴의 말단을 지지하는 심압대(70)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폴 연마장치.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20)에는 상기 주축대(30)와 심압대(40)의 사이에 콘크리트 폴의 밑면을 회전 지지하는 다수개의 가이드 롤러유닛(200)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롤러유닛(200)은,
    기어 하우징(210)과;
    상기 기어 하우징(2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중간에 웜휠(222)이 설치되어 있는 구동축(220)과;
    상기 구동축(220)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기어 하우징(210)에 설치되고, 일단에 상기 웜휠(222)에 이맞물림된 웜기어(232)가 구비된 이송스크류(230)와;
    상기 이송스크류(230)에 나사결합된 축부(212)를 갖고 승강 이송가능한 롤러 지지브래킷(240)과;
    상기 롤러 지지브래킷(240)의 상면에 서로 이웃한 간격을 가지고 회전 자유롭게 설치된 한쌍의 롤러(224)와;
    상기 구동축(220)을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축(220)에 연결된 핸들(250) 또는 구동모터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콘크리트 폴 연마장치.
  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휠 왕복대(30)에는 연마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폴의 연마도에 따라 필요수를 증감하여 1회 왕복으로도 연마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1개 이상의 다단계 연마 휠(13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폴 연마장치.
  8.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휠 왕복대(40)에는 전면에 개방된 개구부(60a)를 갖는 커버(60)가 설치되고, 상기 커버(60)에는 개구부(60a)를 개폐하는 투명한 투시창(62)이 설치되고, 상기 투시창(62)은 상기 커버(60)측에 장착된 실린더(74)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폴 연마장치.
KR1020090058074A 2009-06-29 2009-06-29 콘크리트 폴 연마장치 KR100942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8074A KR100942242B1 (ko) 2009-06-29 2009-06-29 콘크리트 폴 연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8074A KR100942242B1 (ko) 2009-06-29 2009-06-29 콘크리트 폴 연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2242B1 true KR100942242B1 (ko) 2010-02-16

Family

ID=42083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8074A KR100942242B1 (ko) 2009-06-29 2009-06-29 콘크리트 폴 연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2242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085Y1 (ko) * 2010-03-29 2012-05-02 김진용 로울러 표면 연마장치의 왕복대 이송장치 구조
CN107322424A (zh) * 2017-07-17 2017-11-07 重庆市巨吉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配件生产的打磨工装
KR20180028820A (ko) * 2016-09-09 2018-03-19 주식회사 포스코 이물 제거장치
CN108436729A (zh) * 2018-03-28 2018-08-24 安徽理工大学 一种轴类零件半自动抛光装置
CN110014349A (zh) * 2019-04-02 2019-07-16 陈林生 一种家具加工圆球打磨机
CN112059870A (zh) * 2020-08-28 2020-12-11 中山大学 一种钢管自动除锈装置
CN112171390A (zh) * 2020-09-01 2021-01-05 涡阳县信隆船舶附件有限公司 一种船用轴表面磨抛装置
CN113400110A (zh) * 2021-06-22 2021-09-17 安徽海立精密铸造有限公司 一种飞轮铸件用打磨设备
KR20220066627A (ko) * 2020-11-16 2022-05-24 (주)우성기계공업 파이프용 용접비드 연마 장치
CN114799904A (zh) * 2022-04-13 2022-07-29 徐州腾鸿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建筑用钢结构端部处理装置及方法
CN115383528A (zh) * 2022-09-30 2022-11-25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红河供电局 一种用于架空裸导线打磨的智能打磨设备及其操作方法
CN118003229A (zh) * 2024-04-10 2024-05-10 国网山东省电力公司诸城市供电公司 一种用于供电设施的抛光机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3653U (ko) 1986-09-26 1988-04-11
JPH03149174A (ja) * 1989-11-02 1991-06-25 Nippon Concrete Ind Co Ltd コンクリート柱体の表面研摩装置及び表面研摩方法
JP2696162B2 (ja) * 1994-10-12 1998-01-14 近畿コンクリート工業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ポールにおける白華等の除去方法およびその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3653U (ko) 1986-09-26 1988-04-11
JPH03149174A (ja) * 1989-11-02 1991-06-25 Nippon Concrete Ind Co Ltd コンクリート柱体の表面研摩装置及び表面研摩方法
JP2696162B2 (ja) * 1994-10-12 1998-01-14 近畿コンクリート工業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ポールにおける白華等の除去方法およびその装置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085Y1 (ko) * 2010-03-29 2012-05-02 김진용 로울러 표면 연마장치의 왕복대 이송장치 구조
KR20180028820A (ko) * 2016-09-09 2018-03-19 주식회사 포스코 이물 제거장치
KR101869010B1 (ko) * 2016-09-09 2018-06-20 주식회사 포스코 이물 제거장치
CN107322424A (zh) * 2017-07-17 2017-11-07 重庆市巨吉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配件生产的打磨工装
CN108436729A (zh) * 2018-03-28 2018-08-24 安徽理工大学 一种轴类零件半自动抛光装置
CN110014349A (zh) * 2019-04-02 2019-07-16 陈林生 一种家具加工圆球打磨机
CN110014349B (zh) * 2019-04-02 2020-11-17 付安英 一种家具加工圆球打磨机
CN112059870B (zh) * 2020-08-28 2021-11-09 中山大学 一种钢管自动除锈装置
CN112059870A (zh) * 2020-08-28 2020-12-11 中山大学 一种钢管自动除锈装置
CN112171390A (zh) * 2020-09-01 2021-01-05 涡阳县信隆船舶附件有限公司 一种船用轴表面磨抛装置
KR20220066627A (ko) * 2020-11-16 2022-05-24 (주)우성기계공업 파이프용 용접비드 연마 장치
KR102467503B1 (ko) 2020-11-16 2022-11-17 (주)우성기계공업 파이프용 용접비드 연마 장치
CN113400110A (zh) * 2021-06-22 2021-09-17 安徽海立精密铸造有限公司 一种飞轮铸件用打磨设备
CN114799904A (zh) * 2022-04-13 2022-07-29 徐州腾鸿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建筑用钢结构端部处理装置及方法
CN115383528A (zh) * 2022-09-30 2022-11-25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红河供电局 一种用于架空裸导线打磨的智能打磨设备及其操作方法
CN115383528B (zh) * 2022-09-30 2023-09-08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红河供电局 一种用于架空裸导线打磨的智能打磨设备及其操作方法
CN118003229A (zh) * 2024-04-10 2024-05-10 国网山东省电力公司诸城市供电公司 一种用于供电设施的抛光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2242B1 (ko) 콘크리트 폴 연마장치
CN205415217U (zh) 一种智能石材磨光机
CN203197704U (zh) 一种石材仿形磨
CN101733487A (zh) 蜗杆抛光机
CN206169828U (zh) 一种四轴联动螺杆抛光机
CN204054363U (zh) 一种可加工异型曲面的立式金刚石串珠绳锯机
KR20080057920A (ko) 글라스 렌즈의 회전식 자동 연마장치
CN105014508A (zh) 一种磨锅机
CN104249286A (zh) 一种锁的打磨机
KR100915142B1 (ko) 석재 표면 잔다듬 가공기
CN102962744A (zh) 一种水晶磨抛机
CN104942681A (zh) 打磨设备和打磨系统
CN201324892Y (zh) 蜗杆抛光机
CN202727800U (zh) 一种新型立式数控雕刻机
CN103213048A (zh) 一种新型石材仿形磨
CN214213380U (zh) 一种适用于陶瓷表面的抛光设备
CN201950550U (zh) 全自动弧形凹面宝石研磨机
CN204913576U (zh) 回转体抛光生产线用垂直抛光装置
CN102152185B (zh) 水钻加工方法和水钻磨抛生产线
CN206795486U (zh) 一种自动化工件表面处理设备
CN207757884U (zh) 一种人造石英石板材切割设备
CN205968527U (zh) 一种新型铣磨抛光机
CN203197701U (zh) 一种新型石材仿形磨
CN201471252U (zh) 四工位水钻磨抛机
CN214393523U (zh) 一种多角度自动加工料棒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