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1024B1 - 메모리 동작 장치,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메모리 동작 장치,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1024B1
KR100941024B1 KR1020077007153A KR20077007153A KR100941024B1 KR 100941024 B1 KR100941024 B1 KR 100941024B1 KR 1020077007153 A KR1020077007153 A KR 1020077007153A KR 20077007153 A KR20077007153 A KR 20077007153A KR 100941024 B1 KR100941024 B1 KR 100941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clock
memory unit
data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7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8264A (ko
Inventor
제임스 맥콜
클린턴 워커
Original Assignee
인텔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텔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70048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8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1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1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04Generating or distributing clock signals or signals derived directly therefrom
    • G06F1/10Distribution of clock signals, e.g. skew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9Read-write [R-W] circuits 
    • G11C11/4093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data buff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04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parallel bus
    • G06F13/4234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parallel bus being a memory bus
    • G06F13/4243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parallel bus being a memory bus with synchronous protoco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76Timing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9Read-write [R-W] circuits 
    • G11C11/4096Input/output [I/O] data management or control circuits, e.g. reading or writing circuits, I/O drivers or bit-line switch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ram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 Memory System (AREA)
  • Manipulation Of Pulses (AREA)

Abstract

메모리 아키텍처에서 복수의 메모리 유닛 사이에 클록 신호를 분배하는 방법, 시스템 및 장치가 개시된다. 버퍼 칩이 복수의 메모리 유닛에 접속되며, 각각 포인트 대 포인트 링크에 의해 접속된다. 버퍼 칩은 아키텍처에서의 메모리 유닛의 서브세트를 통해 직렬로 통과될 수 있는 연속적인 자유 동작 클록을 생성하는 클록 발생기를 포함한다. 멀티드롭 클록 신호에서의 지연을 수용하기 위해, 데이터의 송신은 버퍼 칩에 대한 메모리 유닛의 근접성에 기초하여, 포인트 대 포인트 링크를 통해 지연된다.

Description

메모리 동작 장치, 시스템 및 방법{BUFFERED CONTINUOUS MULTI-DROP CLOCK RIN}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메모리 시스템에서의 전력 및 성능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는 메모리 서브시스템 내에 클록킹 신호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PC) 환경에서의 전력 성능 관계는, 플랫폼 설계자에게 최소 비용으로 전력을 향상시키도록 계속해서 요구하고 있다. 불행히도, 산업 표준 DDR2(double data rate 2) 특징 세트를 이용하는 레거시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을 수용하기 위해, 초기에 완전히 버퍼링된(fully buffered) DIMM(dual inline momory module)(FBD)는, 버퍼 칩을 추가한 결과로서, 보다 높은 전력 레벨 및 사전 전개 방안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특징 세트에 대해서는, 2004년 1월에 공표된 JEDEC Standard DDR2 SDRAM Specification JESD79-2A(DDR2 표준)에 정의되어 있다. 더욱이, DDR2 특징 세트는 버퍼-DRAM 인터페이스에서의 특징들을 가능하게 하는 능력을 제한하여, 전력을 감소시키고, 보다 낮은 비용으로 성능을 향상시킨다.
기존의 설계는 버퍼 칩으로부터 DRAM으로 생성된 양방향 스트로브를 갖는 아키텍처를 이용한다. 이러한 설계에서, DRAM마다 하나의 출력 스트로브가 필요하며, 스트로브 설계는 발행 코맨드와 그것이 실행될 때까지의 N 유닛 간격 사이의 드리프트 효과에 의해 초래된 불확실성에 기인하는 고속의 타이밍 문제를 초래한다. 안정 상태 클록은 이러한 불확실성을 제거하지만, DRAM과 버퍼 칩 둘 다에 있어서 핀 카운트를 2 배만큼 증가시킬 것이다. 그와 같이 증가한 핀 카운트는 비용 및 전력 소모를 증가시킨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에 있어서, 제한을 위해서가 아닌, 예로써 도시되며, 유사한 참조 번호는 유사한 요소들을 나타낸다. 개시 내용에서의 "소정의" 또는 "일" 실시예에 대한 참조가 동일 실시예일 필요는 없으며, 그러한 참조는 적어도 하나를 의미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자유 동작 클록에서의 결과적인 시간 시프트를 수용하기 위한 시간 시프트 데이터의 타이밍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자유 동작 클록의 예에 대한 타이밍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이다. 프로세서(102)는 시스템 버스(104)에 의해 칩셋(106)에 접속된다. 칩셋(106)은 I/O 버스(110)를 통해 프로세서(102)와 입/출력(I/O) 장치(108)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칩셋(102)은 고속 링크(114)를 통해 DIMM(100)의 버퍼 칩(120)과 통신하는 메모리 제어기(112)를 포함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SIMM(single inline memory module)이 이용될 수 있다.
DIMM(100)은 도시되지 않은 마더보드를 갖는 메모리 카드 슬롯 내에 삽입될 수 있다. DIMM(100)은 메모리 유닛의 2개의 뱅크를 포함하며, 제 1 뱅크(우측 뱅크)는 DRAM(142-1 내지 142-4)(집합적으로, DRAM(142))을 포함하고, 제 2 뱅크(좌측 뱅크)는 DRAM(152-1 내지 152-4)(집합적으로, DRAM(152))을 포함한다. 다소의 메모리 유닛이 메모리 유닛의 각 뱅크에 존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SIMM이 이용될 수 있다. 버퍼 칩(120)은 복수의 메모리 유닛, 예를 들면, DRAM(142, 152)으로부터의 판독 및 기록을 제어한다. 버퍼 칩(120)은 임의의 종래 기술 또는 차후에 개발된 기술을 이용하여 제조된 집적 회로(IC)일 수 있다.
버퍼 칩(120)은 자유 동작(연속) 클록 신호를 생성 및 소싱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록 발생기(122)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메모리 유닛의 각 뱅크에 대해 개별적인 클록 발생기가 존재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단일 클록 발생기(122)로부터의 클록 연속 신호가 분할되어, 메모리 유닛의 두 뱅크에 공급된다.
일실시예에서, 클록 신호는 메모리 유닛의 서브세트, 예를 들면, DRAM(142)를 통해, 클록 라인(140)을 따라 순차적으로 분배된다. 일실시예에서, 클록 신호는 고리 형태로 DRAM(142-1)으로부터 DRAM(142-2)으로, DRAM(142-2)으로부터 DRAM(142-3)으로, DRAM(142-3)으로부터 DRAM(142-4)으로, 그리고 역방향으로, DRAM(142-4)으로부터 DRAM(142-3)으로, DRAM(142-3)으로부터 DRAM(142-2)으로, DRAM(142-2)으로부터 DRAM(142-1)으로 순차적으로 전달된 후 버퍼 칩(120)으로 리턴한다. 일실시예에서, 클록은 버퍼 칩(120)에 대한 근접성이 감소할 때 메모리 유닛을 통해 이동함에 따라 기록 클록으로서 기능하고, 버퍼 칩(120)에 대한 근접성이 증가할 때 리턴함에 따라 판독 클록으로서 기능한다.
버퍼 칩과 각각의 DRAM 사이에 포인트 대 포인트 링크(point to point link)가 또한 존재한다. 포인트 대 포인트 링크는 데이터가 각각의 DRAM으로 송신될 수 있는 경로이다. 본 명세서에서, 이러한 경로는 데이터 레인(data lane)으로도 지칭된다. 일실시예에서, 각각의 데이터 레인은 8 비트의 폭을 갖는다. 따라서, 데이터 레인(162-1 내지 162-4)(집합적으로, 162) 및 데이터 레인(172-1 내지 172-4)(집합적으로, 172)이 도시된다. 자유 동작 멀티드롭 클록을 이용하는 것은, 종래 기술의 스트로빙 방법에 비해, DRAM 및 버퍼 칩 둘 다에서의 핀 카운트를 감소시킨다. 그러나, 멀티드롭 클록 토폴로지는, 포인트 대 포인트 링크를 통한 데이터의 도달에 대하여, DRAM에서의 클록 신호의 도달 지연을 초래한다. 이러한 지연은 버퍼 칩(120)으로부터의 거리가 증가됨에 따라(감소되는 근접성), 증가된다. 따라서, 클록 신호는, 그것이 데이터 레인(162-4)상의 데이터와 직교(quadrature)하여 동시에 송신되는 것으로 가정하면, 그것이 DRAM(142-4)에 도달하는 직교성으로부터 가장 먼 관계를 가질 것이다. 그러나, 시간 시프터(124)를 제공하여, 데이터 레인(162)을 통해 송신된 데이터를 시간 시프트함으로써, 각각의 인라인 메모리 유닛에서 직교 동기화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한 거리는 알려져 있고, 각각의 드롭에 대한 지연이 시뮬레이팅될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의 시간 시프터에 대한 지연은, 지연 잠금 루프(delay lock loop)(160-1 내지 160-4)를 이용하여 사전에 형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시간 시프터(124-1)는 생략될 수 있는데, 그것은, 신호가 제 1 DRAM에 도달해야 하고, 그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관계가 버퍼 칩(120)을 출발하기 때문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시간 시프터(124)는 유효 데이터 기록시에 클록 지연이 에러를 초래하는 것으로 결정되는 데이터 레인에 대해서만 이용될 수 있다.
유사하게, 판독 클록이 클록 신호로서 제공되는데, 그것은 각 메모리 유닛을 통해 직렬로 리턴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판독은 포인트(158)에서 시작될 것이다. 그러나, 클록 신호는, 판독 데이터가 데이터 레인(172-4)을 통해 버퍼 칩에서 수신된 이후까지, 버퍼 칩(120)으로 리턴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판독 데이터를 지연시켜, 리턴 클록과 동기화시킬 필요가 있다. 디스큐 논리(deskew logic)(126)는 수신 데이터와 신호 라인(150)상의 리턴 클록 신호의 위상 관계의 디스큐잉을 제공한다. 복수의 지연 잠금 루프를 이용하여, 클록을 적절하게 지연시킴으로써, 이러한 위상 관계를 디스큐잉할 수 있다. 이것은 유효 데이터가, 프로세서 또는 다른 요청 장치에 의한 이용을 위해, 메모리 제어기(112)에 리턴되는 것을 보장한다.
메모리 유닛의 좌측 뱅크에 대해 판독 동작이 기술되고, 메모리 유닛의 우측 뱅크에 대해 기록 동작이 기술었지만, 판독 및 기록은 메모리 유닛의 두 뱅크에 대해 발생되며, DIMM(100)의 양 측상에서 유사하게 수행됨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일실시예에서, 디스큐 논리가 복제되어, 메모리 유닛의 각 뱅크에 의해 이용가능하다. 유사하게, 메모리 유닛의 뱅크마다 시간 시프터가 공급된다. 더욱이, 전술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서, 버퍼 칩(120) 상에 2개의 클록 발생기가 존재하며, 그 중 하나는 신호 라인(140)을 통해 클록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신호 라인(150)을 통해 클록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신호 클록 발생기를 이용하여 신호 라인(140) 및 신호 라인(150) 둘 다를 통해 클록을 공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자유 동작 클록에서의 결과적인 시간 시프트를 수용하기 위한 시간 시프트 데이터의 타이밍도이다. 볼 수 있듯이, 버퍼 칩에서의 클록은 데이터와 직교 관계를 갖는다. 그러나, 클록 신호가 각각의 연속적인 메모리 유닛을 통해 전이됨에 따라, 시간 시프트 T1SFT, T2SFT, T3SFT, T4SFT는 점진적으로 커지게 된다. 따라서, 버퍼를 떠나는 클록과 동시에 데이터가 데이터 레인을 통해 송신되는 경우, 버퍼 칩에 대해 더 멀리 있는 메모리 유닛들은 점점 더 무효 데이터를 기록할 것이다. 따라서, 버퍼 칩내에서, 데이터의 시간 시프트를 도입하여, 메모리 모듈에서의 클록과 유효 데이터의 수신 사이의 직교 관계가 유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자유 동작 클록의 예에 대한 타이밍도이다. 클록은 버퍼 칩으로부터 가장 먼 메모리 유닛에서 재순환되는 것으로서 처음에 나타난다. 메모리 유닛은 클록과의 임의의 특정 위상 관계를 보장하는 논리를 갖지 않기 때문에, 메모리 유닛은 위상 관계/클록 시간과 관계없이, 클록의 수신에 응답하여 포인트 링크 상에 데이터를 위치시킨다. 클록이 각각의 연속적인 메모리 유닛에 대한 근접성이 증가할 때 버퍼로 리턴함에 따라, 리턴하는 데이터에 대하여 감소하는 클록 스큐가 발생한다. 버퍼에서, 디스큐 논리는, 각각의 메모리 유닛으로부터의 데이터를 각각 시간 T4, T3, T2, T1 만큼 지연시킴으로써, 직교 위상 관계를 보장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버퍼 칩 상의 디스큐 논리는 버퍼 칩에서의 유효 데이터 캡쳐를 보장한다.
전술한 명세서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기술되었다. 그러나,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개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광범위한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고서도, 그것에 대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을 명백히 알 것이다. 따라서, 명세서 및 도면은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서 간주된다.

Claims (16)

  1. 복수의 메모리 유닛과,
    복수의 포인트 대 포인트(point to point) 데이터 레인 및 클록 라인에 의해 상기 복수의 메모리 유닛에 결합되는 버퍼를 포함하되,
    상기 버퍼는, 상기 복수의 포인트 대 포인트 데이터 레인 -하나의 데이터 레인은 상기 복수의 메모리 유닛 각각에 대한 것임- 을 통해 통신하고, 각각의 메모리 유닛을 경유하여(through) 연속적인 클록을 상기 클록 라인을 따라 상기 버퍼로부터 제 1 메모리 유닛으로 그리고 상기 제 1 메모리 유닛으로부터 제 2 메모리 유닛으로 순차적으로 전달하여, 상기 복수의 데이터 레인을 구동하며,
    각각의 메모리 유닛을 역경유하여(back through) 상기 연속적인 클록을 상기 클록 라인을 따라 상기 제 2 메모리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 1 메모리 유닛으로 그리고 상기 제 1 메모리 유닛으로부터 상기 버퍼로 순차적으로 전달하는
    메모리 동작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는,
    상기 버퍼에 대한 상기 메모리 유닛의 근접성에 기초하여, 상기 포인트 대 포인트 데이터 레인 상에서 송신된 데이터의 타이밍을 시프트하는 복수의 시간 시프터를 포함하는
    메모리 동작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시프터 각각은 지연 잠금 루프(delay lock loop)를 포함하는
    메모리 동작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유닛 각각은 DRAM을 포함하는
    메모리 동작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레인 각각은 폭이 8 비트인
    메모리 동작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는 자유 동작 클록(free running clock)을 제공하는 클록 발생기를 포함하는
    메모리 동작 장치.
  7. 연속적인 클록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클록 소스에 대한 근접성이 감소할 때 복수의 메모리 유닛을 경유하여 상기 클록 신호를 클록 라인을 따라 상기 클록 소스로부터 제 1 메모리 유닛으로 그리고 상기 제 1 메모리 유닛으로부터 제 2 메모리 유닛으로 순차적으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클록 소스에 대한 근접성이 증가할 때 상기 복수의 메모리 유닛을 역경유하여 상기 클록 신호를 순차적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모리 동작 방법.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서,
    포인트 대 포인트 링크를 통해 메모리 유닛으로부터 상기 클록 소스로, 데이터 신호에 대하여 상기 클록 신호를 디스큐잉(deskewing)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메모리 동작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클록 신호와 직교(quadrature)로 포인트 대 포인트 링크를 통해 상기 메모리 유닛에 데이터를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메모리 동작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클록 소스에 대한 상기 메모리 유닛의 근접성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메모리 유닛으로의 포인트 대 포인트 링크 상의 데이터 전달을 지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모리 동작 방법.
  12.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세서에 접속된 메모리 제어기와,
    상기 메모리 제어기에 접속된 DIMM(dual inline memory module) -상기 DIMM은 상기 DIMM 상의 복수의 메모리 유닛 중 임의의 것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버퍼 칩을 가지며, 상기 버퍼 칩은 메모리 유닛의 서브세트를 경유하여 고리 형태로 전달되고 상기 버퍼 칩으로 되돌아가는 클록 신호를 생성함- 을 포함하는
    메모리 동작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유닛 각각은 DRAM을 포함하는
    메모리 동작 시스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DIMM은,
    각기 상기 버퍼 칩과 하나의 메모리 유닛 사이에 포인트 대 포인트 링크를 제공하는 복수의 데이터 레인을 포함하는
    메모리 동작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칩은,
    상기 버퍼 칩에 대한 상기 하나의 메모리 유닛의 근접성에 기초하여, 데이터 레인 상의 데이터 전달을 지연시키는 지연 논리를 포함하는
    메모리 동작 시스템.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칩은,
    상기 메모리 유닛으로부터 리턴하는 상기 클록 신호를 상기 데이터 레인을 통해 제공된 데이터와 정렬시키는 디스큐 논리(deskew logic)를 포함하는
    메모리 동작 시스템.
KR1020077007153A 2004-09-30 2005-09-29 메모리 동작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09410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956,397 2004-09-30
US10/956,397 US7542322B2 (en) 2004-09-30 2004-09-30 Buffered continuous multi-drop clock r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8264A KR20070048264A (ko) 2007-05-08
KR100941024B1 true KR100941024B1 (ko) 2010-02-05

Family

ID=35610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7153A KR100941024B1 (ko) 2004-09-30 2005-09-29 메모리 동작 장치,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7542322B2 (ko)
KR (1) KR100941024B1 (ko)
CN (1) CN101031860B (ko)
DE (1) DE112005002261B4 (ko)
GB (1) GB2434895B (ko)
TW (1) TWI323471B (ko)
WO (1) WO200603960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91039B2 (en) * 2001-04-24 2013-03-05 Rambus Inc. Memory module with termination component
US6675272B2 (en) 2001-04-24 2004-01-06 Rambu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ordinating memory operations among diversely-located memory components
DE102006051514B4 (de) * 2006-10-31 2010-01-21 Qimonda Ag Speichermodul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Speichermoduls
WO2009085417A2 (en) * 2007-12-19 2009-07-09 Rambus Inc. Multi-band, multi-drop chip to chip signaling
KR101393311B1 (ko) 2008-03-19 2014-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세스 변화량을 보상하는 멀티 칩 패키지 메모리
KR101580897B1 (ko) 2008-10-07 2015-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이의 동작 방법, 및 상기 디스플레이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장치
JP2010282511A (ja) * 2009-06-05 2010-12-16 Elpida Memory Inc メモリ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備えるメモリシステム
EP2460083A4 (en) 2009-07-28 2013-09-11 Rambus Inc METHOD AND SYSTEM FOR SYNCHRONIZED ADDRESS AND CONTROL SIGNALS IN THREADED MEMORY MODULES
US8842492B2 (en) 2010-12-09 2014-09-23 Rambus Inc. Memory components and controllers that utilize multiphase synchronous timing references
US9262348B2 (en) * 2011-11-30 2016-02-16 Nvidia Corporation Memory bandwidth reallocation for isochronous traffic
US9082464B2 (en) * 2012-02-14 2015-07-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mory module for high-speed operations
US20150033050A1 (en) * 2013-07-25 2015-0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and compu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818457B1 (en) 2016-09-30 2017-11-14 Intel Corporation Extended platform with additional memory module slots per CPU socket
US10216657B2 (en) 2016-09-30 2019-02-26 Intel Corporation Extended platform with additional memory module slots per CPU socket and configured for increased performance
KR20180066783A (ko) * 2016-12-09 2018-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그룹을 포함하는 메모리 모듈
US10635357B2 (en) 2018-07-03 2020-04-28 Nvidia Corporation Method for overlapping memory access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87780B1 (en) * 2000-11-02 2004-02-03 Rambus Inc. Expandable slave device system
KR20040018215A (ko) * 2002-08-23 2004-03-02 엘피다 메모리 가부시키가이샤 메모리 시스템 및 데이터 전송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0013A (en) * 1992-04-06 1993-07-20 Motorola, Inc. PLL-based precision phase shifting at CMOS levels
JP3077866B2 (ja) * 1993-11-18 2000-08-21 日本電気株式会社 メモリモジュール
US5390147A (en) * 1994-03-02 1995-02-14 Atmel Corporation Core organization and sense amplifier having lubricating current, active clamping and buffered sense node for speed enhancement for non-volatile memory
KR0179824B1 (ko) * 1995-05-17 1999-05-15 문정환 아이씨 메모리 카드
US5786732A (en) * 1995-10-24 1998-07-28 Vlsi Technology, Inc. Phase locked loop circuitry including a multiple frequency output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circuit
US5872959A (en) * 1996-09-10 1999-02-16 Lsi Logi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arallel high speed data transfer
US5917760A (en) * 1996-09-20 1999-06-29 Sldram, Inc. De-skewing data signals in a memory system
US6115318A (en) * 1996-12-03 2000-09-05 Micron Technology, Inc. Clock vernier adjustment
JP3455040B2 (ja) * 1996-12-16 2003-10-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ソースクロック同期式メモリシステムおよびメモリユニット
JP3737276B2 (ja) * 1997-04-25 2006-01-18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US5867448A (en) * 1997-06-11 1999-02-02 Cypress Semiconductor Corp. Buffer for memory modules with trace delay compensation
US6587912B2 (en) * 1998-09-30 2003-07-01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multiple memory buses on a memory module
US6845436B1 (en) * 1998-12-17 2005-01-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nchronized signal transfer system
KR100301054B1 (ko) * 1999-04-07 2001-10-29 윤종용 데이터 입출력 버스의 전송 데이터율을 향상시키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메모리 모듈
JP3820843B2 (ja) * 1999-05-12 2006-09-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方向性結合式メモリモジュール
US6744124B1 (en) * 1999-12-10 2004-06-01 Siliconix Incorporated Semiconductor die package including cup-shaped leadframe
US7363422B2 (en) 2000-01-05 2008-04-22 Rambus Inc. Configurable width buffered module
US6434081B1 (en) * 2000-05-12 2002-08-13 Micron Technology, Inc. Calibration technique for memory devices
KR100699810B1 (ko) * 2000-08-05 2007-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버스 효율을 향상시키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및 메모리시스템
US6735709B1 (en) * 2000-11-09 2004-05-11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of timing calibration using slower data rate pattern
DE10059182C2 (de) * 2000-11-29 2002-10-24 Infineon Technologies Ag Schaltungsanordnung zum zerstörungsfreien, selbstnormierenden Auslesen von MRAM-Speicherzellen
US6445624B1 (en) * 2001-02-23 2002-09-03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of synchronizing read timing in a high speed memory system
US6877079B2 (en) 2001-03-06 2005-04-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mory system having point-to-point bus configuration
DE10136853B4 (de) * 2001-07-27 2004-11-18 Infineon Technologies Ag Verfahren zur Datenkommunikation mehrerer Halbleiterspeicherbausteine mit einem Controllerbaustein und dafür eingerichteter Halbleiterspeicherbaustein
DE10153657C2 (de) * 2001-10-31 2003-11-06 Infineon Technologies Ag Anordnung zur Datenübertragung in einem Halbleiterspeichersystem und Datenübertragungsverfahren dafür
JP3742051B2 (ja) * 2002-10-31 2006-02-01 エルピーダメモリ株式会社 メモリモジュール、メモリチップ、及びメモリシステム
US7154809B2 (en) * 2003-03-26 2006-12-26 Infineon Technologies Ag Method for measuring the delay time of a signal line
US7111108B2 (en) * 2003-04-10 2006-09-19 Silicon Pipe, Inc. Memory system having a multiplexed high-speed channel
DE10334779B4 (de) 2003-07-30 2005-09-29 Infineon Technologies Ag Halbleiterspeichermodul
US6996749B1 (en) * 2003-11-13 2006-02-07 Intel Co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ebug functionality in a buffered memory channel
US6980042B2 (en) * 2004-04-05 2005-12-27 Micron Technology, Inc. Delay line synchronizer apparatus and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87780B1 (en) * 2000-11-02 2004-02-03 Rambus Inc. Expandable slave device system
KR20040018215A (ko) * 2002-08-23 2004-03-02 엘피다 메모리 가부시키가이샤 메모리 시스템 및 데이터 전송 방법
US20040105292A1 (en) * 2002-08-23 2004-06-03 Elpida Memory, Inc. Memory system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627473A (en) 2006-08-01
US7542322B2 (en) 2009-06-02
DE112005002261T5 (de) 2007-08-23
GB2434895B (en) 2008-05-14
CN101031860B (zh) 2010-06-09
US20070002676A1 (en) 2007-01-04
GB2434895A (en) 2007-08-08
GB0705527D0 (en) 2007-05-02
US20060083103A1 (en) 2006-04-20
WO2006039608A2 (en) 2006-04-13
WO2006039608A3 (en) 2006-07-20
KR20070048264A (ko) 2007-05-08
DE112005002261B4 (de) 2019-04-11
TWI323471B (en) 2010-04-11
CN101031860A (zh) 2007-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1024B1 (ko) 메모리 동작 장치, 시스템 및 방법
US11823732B2 (en) High capacity memory system using standard controller component
US6877079B2 (en) Memory system having point-to-point bus configuration
US6930932B2 (en) Data signal reception latch control using clock aligned relative to strobe signal
US7421558B2 (en) System controlling interface timing in memory module and related method
US5909701A (en) Interface for high speed memory
US6209072B1 (en) Source synchronous interface between master and slave using a deskew latch
JP4700636B2 (ja) 半導体メモリ装置を装着したメモリモジュールを有するシステム
US20100005218A1 (en) Enhanced cascade interconnected memory system
EP1686488B1 (en) Synchronous data transfer circuit, computer system and memory system
US8880831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reduce memory read latency
KR20030033070A (ko) 버퍼가 장착된 메모리 시스템에서 신뢰성있는 전송을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5333293A (en) Multiple input frequency memory controller
KR100883140B1 (ko) 데이터 출력 제어회로,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의 동작방법
JP2007164599A (ja) メモリモジュール
KR100918666B1 (ko) 메모리 디바이스의 대기 시간을 정규화하는 방법, 장치 및시스템
Johnson Application of an Asynchronous FIFO in a DRAM Data Pa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