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5509B1 - 초 슬림형 코어리스 모터 - Google Patents

초 슬림형 코어리스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5509B1
KR100935509B1 KR1020030027105A KR20030027105A KR100935509B1 KR 100935509 B1 KR100935509 B1 KR 100935509B1 KR 1020030027105 A KR1020030027105 A KR 1020030027105A KR 20030027105 A KR20030027105 A KR 20030027105A KR 100935509 B1 KR100935509 B1 KR 100935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housing
magnet
delete delete
flexibl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7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4442A (ko
Inventor
타다오 야마구치
마사히로 타카기
사토루 시모세가와
Original Assignee
도쿄파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68722A external-priority patent/JP3514750B1/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85527A external-priority patent/JP375909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367539A external-priority patent/JP3581706B2/ja
Application filed by 도쿄파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쿄파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24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4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5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5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1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rotary unbalanced masses
    • H02K7/063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rotary unbalanced masses integrally combined with motor parts, e.g. motors with eccentric r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4Means for supporting or protecting brushes or brush holders
    • H02K5/143Means for supporting or protecting brushes or brush holders for cooperation with commutators
    • H02K5/145Fixedly supported brushes or brush holders, e.g. leaf or leaf-mounted brush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1/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measuring or protective devices or electric components
    • H02K2211/03Machines characterised by circuit boards, e.g. pc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 Machiner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하우징에 대한 연구를 통해 전력 공급 공간을 특별히 배려하지 않고 슬림화를 도모한다.
케이스와 브래킷으로 이루어진 하우징 내부에 편평한 코어리스 로터와 이 코어리스 로터에 축방향 공극을 사이에 두고 링형상의 마그넷이 수납되며, 상기 마그넷의 내경부(內徑部)에서 가요성 베이스에 기단부가 고정되고, 로터에 배치된 인쇄 배선 정류자에 선단부가 슬라이딩 접촉되도록 이루어진 한 쌍의 브러시가 구비되며, 가요성 베이스의 일부가 하우징의 옆둘레(側周)로 연장되어 전력 공급 단자로서 도출되며, 하우징은 마그넷이 배치되는 부분에 투과구멍이 형성되고, 그 투과구멍을 통해 상기 가요성 베이스의 일부가 하우징 측방으로 도출되어 있다.

Description

초 슬림형 코어리스 모터{SLIM TYPE CORELESS MOTOR}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인 초 슬림형 코어리스 진동 모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력 공급 구조의 특징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전력 공급 구조의 변형예에 대한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편심로터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5는 상기 로터의 변형예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초 슬림형 코어리스 진동 모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전력 공급 구조의 특징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편심로터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모터의 회전 원리 설명도이다.
도 10은 편심로터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편심로터를 탑재한 모터의 회전 원리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편심로터를 구비한 초 슬림형 코어리스 진동 모터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편심로터를 구성하는 정류자 기재의 세그먼트쪽에서 본 평 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을 세그먼트 반대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2의 편심로터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2의 모터에 대한 회전 원리 설명도이다.
도 17은 도 12의 편심로터의 변형예에 대한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H : 하우징 1 : 케이스
2 : 브래킷 2a : 투과구멍
3 : 축 4 : 네오디뮴(neodymium)제의 링형상 마그넷
R, R1 : 편심로터 5 : 평판 정류자
6,7 : 한 쌍의 브러시 8 : 가요성 브러시 베이스
9 : 가요성 인쇄 배선판
본 발명은 이동체 통신기기의 진동 호출(silent call) 수단 등에 이용되는 슬림형 모터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두께가 2㎜정도로 매우 얇은 코어리스 모터와 이 모터에 탑재되는 편심로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이동체 통신기기의 소형/슬림화에 대한 지향에 따라, 이동체 통신기기에 탑재되는 부재의 소형/슬림화에 대한 요구가 강하다.
예컨대 최근에는 편평화에 대한 극력한 요구에 따라 모터의 사이즈도 직경 10㎜, 두께 2㎜정도까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는, 편심로터의 두께도 극한까지 도달하게 된다.
로터만으로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구성한 편평형 진동 모터의 선행기술로는, 3개의 공심 전기자 코일을 한 쪽에 편재(偏在)시킨 것이나(특허문헌 1 참조), 등분 배치한 3개의 공심 전기자 코일 중 1개를 작게 하여 불균형을 발생시키는 것이 있다(특허문헌 2 참조).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편심로터의 두께가 극한까지 도달하게 되면, 로터 자체, 특히 공심 전기자 코일만으로 불균형하게 만든 것은 진동량이 작다. 이것을 실용적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단상(單相)의 공심 전기자 코일 사이에 텅스텐 등의 고비중 웨이트를 보조적으로 부가하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다(특허문헌 3 참조).
또한, 이동체 통신기기의 진동 호출 수단 중 하나인 편평형 진동 모터에서는, 기기측 인쇄 배선판에 양면 점착제 등을 통해 직접 올려놓기 때문에, 부착면은 평탄해야 하며, 브러시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류 공급 단자는 모터의 옆둘레 부분으로 도출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편평형 모터는 축방향 계자형 링형상 마그넷에 의해 구동되기 때문에, 이 마그넷의 내경 부분에 배치된 브러시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 구조에 대한 연구가 수반되어야 한다. 이로 인해, 브러시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 구조는 상기 마그넷과, 하우징의 일부로서 상기 마그넷이 놓이는 브래킷의 사이에서 도출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슬림형 코어리스 진동 모터는, 브래킷에 브러시 베이스의 형상에 맞추어 프레스 가공하여 리세스를 형성하고, 이 리세스에 브러시 베이스를 매립함으로써 브러시 베이스의 두께를 무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있다(특허문헌 4 참조).
[특허문헌 1]미국특허공보 제 5036239 호
[특허문헌 2]일본국 특허공개 공보 제 1990-17853 호
[특허문헌 3]일본국 특허공개 공보 제 2000-224805 호
[특허문헌 4]일본국 특허공개 공보 제 1998-262352 호
[특허문헌 5]일본국 특허공개 공보 제 2002-119915 호
[특허문헌 6]일본국 특허공개 공보 제 2002-119914 호
그러나, 특허문헌 3에서는 단상이기 때문에 로터의 전기자 코일의 위치 결정이 필요하고 로터 자체를 슬림하게 할 수 없다.
또한, 슬림형을 목표로 하는 특허문헌 5, 6과 같은 구성은, 지름방향의 사이즈가 큰 것에는 적합하지만, 더욱 소형화하기 위해 공심 전기자 코일이 120도의 배치 개방각으로 3상이면서, 권선형 공심 전기자 코일을 결상(缺相)시켜 2개 이하로 구성하기 때문에, 특히 지름방향이 억제된 소형의 경우에는, 토크 리플(torque ripple), 즉 로터의 정지 위치에 따라서는 기동 토크가 작아지는 위치가 있어 기동 전압이 커진다.
더욱이, 특허문헌 4와 같이 프레스 가공에 의해 하우징부를 찌그러뜨려 리세스를 형성하려면, 하우징에 있어서 소정의 두께가 필요하며, 이로 인해 종래의 기술에서는 2.5㎜정도의 두께가 한계였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 공급 공간을 특별히 배려하지 않고 슬림화를 도모하며, 더욱이 편심로터를 구성하는 공심 전기자 코일의 배치 구성에 대한 연구를 통해, 3개의 다층 권선형 공심 전기자 코일을 배치하여 유효 도체 수를 확보함으로써 기동이 용이하고 얇으면서도 진동이 확보되며, 또한 하우징에 대한 연구를 통해, 전력 공급 공간을 특별히 배려하지 않고 슬림화를 도모하면서 모터의 두께를 2㎜정도로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과제의 기본적인 해결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케이스와 브래킷으로 이루어진 하우징과, 이 하우징 내부에 편평한 로터와 이 로터에 축방향 공극을 사이에 두고 면해 있는 링형상 마그넷이 수납되고, 이 마그넷의 내경부에서 가요성 베이스에 기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로터에 배치된 인쇄 배선 정류자에 선단부가 슬라이딩 접촉되도록 이루어진 한 쌍의 브러시가 구비되고, 상기 가요성 베이스의 일부가 하우징 옆둘레로 연장되어 전류 공급 단자로서 도출되며, 상기 하우징은 마그넷이 배치되는 부분에 투과구멍이 형성되고, 이 투과구멍을 통해 상기 가요성 베이스의 일부가 하우징 측방으로 도출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브래킷의 두께를 0.2㎜이하로 하여도 프레스 가압 등의 무리한 수단을 채용하지 않고도 투과구멍을 가공함으로써 브러시 베이스 도출수단이 용이하게 실현되며, 가요성 브러시 베이스는 통상적으로 0.15㎜정도이기 때문에 투과구멍을 통해 모터의 옆둘레로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으므로 두께를 증가시킬 염 려도 없다.
구체적으로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상기 하우징은 두께가 0.2㎜이하로 구성되는 동시에, 상기 가요성 베이스는 접착층을 포함한 두께가 0.2㎜이하로 구성되고, 상기 로터는 편심 웨이트가 있는 편심로터로 되어 있고, 이 편심로터를 지지하는 축은 굵기가 0.6㎜이하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일부에 기단부가 고정되며, 타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타부에 받쳐져 고정되고, 상기 축은 적어도 상기 타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레이저 용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가령 브래킷의 두께가 0.15 내지 0.2㎜여도 찌그러뜨리는 등의 무리한 수단이 불필요해지므로, 슬림화함에 있어 가요성 베이스의 두께를 고려하지 않아도 되어 두께 2㎜의 모터를 실현할 수 있다.
삭제
또한, 이렇게 하면, 축이 가령 0.5㎜정도여도 확실히 유지할 수 있으며, 로터에 낙하 등의 충격이 가해져도 축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삭제
삭제
그리고, 청구항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적어도 브러시 베이스에 배치되는 브러시는, 기단부가 투과구멍 쪽으로 오도록 가요성 베이스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브러시 베이스는 투과구멍과 마그넷에 의해 가압되므로, 브러시 슬라이딩 접촉 부분에 도 1에서 하측의 힘이 가해져도, 브러시 고정부의 브러시 베이스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인 다른 과제의 해결은, 청구항 4에 개시된 발명과 같이 케이스와 브래킷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 내부에 편평한 코어리스형 로터와 이 코어리스 로터에 축방향 공극을 사이에 두고 NS 교대로 6극으로 자화된 링형상 마그넷이 수납되고, 이 마그넷의 내경부에서 가요성 베이스에 기단부가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로터에 추가로 설치된 인쇄 배선 정류자에 선단부가 슬라이딩 접촉되도록 이루어진 슬라이딩 접촉 개방각 180도를 갖는 한 쌍의 브러시가 구비되고, 상기 가요성 베이스의 일부가 하우징 옆둘레로 연장되어 전류 공급 단자로서 도출되고, 상기 하우징은 마그넷이 배치되는 부분에 투과구멍이 형성되며, 이 투과구멍을 통해 상기 가요성 베이스의 일부가 하우징 측방으로 도출되고, 상기 로터는 중심에 축 삽입 통과 구멍이 형성되는 동시에 제 1, 제 2 면을 갖는 인쇄 배선 정류자 기재(基材)가 있으며, 상기 인쇄 배선 정류자 기재는, 더욱이 상기 제 1 면에서 상기 축 삽입 통과 구멍의 반경방향 외측에 9개의 정류자 세그먼트 패턴이 인쇄 형성되고, 이들 정류자 세그먼트 패턴을 3개째마다 단락시키는 도체가 제 1, 제 2 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존재하며, 상기 제 2 면에서 축방향으로 뻗은 베어링부가 있고, 이 베어링부의 반경방향 외측에 제 1, 제 2 및 제 3 공심 전기자 코일이 약 80도의 배치 개방각으로 놓이며, 이들 공심 전기자 코일 중 적어도 제 1, 제 3 공심 전기자 코일이 다층 권선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들 제 1, 제 3 권선형 공심 전기자 코일이 놓여 있지 않은 공간에는 이들 권선형 공심 전기자 코일의 두께 내에 수납되도록 편심웨이트가 배치되어 편심로터로 되어 있으며, 이 편심로터에 축방향 공극을 사이에 두고 면해 있는 링형상 마그넷이 브래킷에 놓이고, 더욱이 이 브래킷에는 상기 마그넷의 내경부에서 가요성 베이스에 기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로터에 배치된 인쇄 배선 정류자에 선단부가 슬라이딩 접촉하도록 이루어진 한 쌍의 브러시가 구비되고, 상기 가요성 베이스의 일부가 하우징 옆둘레로 연장되어 전류 공급 단자로서 도출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로터 자체가 슬림해지고 편심웨이트의 축방향 두께를 무시할 수 있게 되며, 그 편심웨이트에 의해 중심의 이동이 커져 큰 진동량을 확보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다른 과제의 달성수단으로서, 청구항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 2 면에 약 80도의 배치 개방각으로 놓인 제 1, 제 2 및 제 3 공심 전기자 코일은 다층 권선형이며, 상기 편심웨이트는 비중 13이상의 텅스텐 합금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제 2 권선형 공심 전기자 코일의 중심을 사이에 두고 지름방향 반대쪽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권선형 공심 전기자 코일과 편심웨이트의 비중 차로 인해 제 2 권선형 공심 전기자 코일의 반대쪽으로 크게 편심되므로, 큰 원심력 진동이 얻어진 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그리고, 이러한 편심로터를 이용하여 편평 코어리스 진동 모터로 하려면, 청구항 6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축은 하우징의 일부에 고정된 기단부와, 상기 편심로터를 장착하는 타단부가 있고, 상기 편심로터는 중심에 배치된 것으로서 적어도 일부가 함유(含油) 베어링인 축 지지부를 통해 상기 축에 타단부로부터 장착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되며, 상기 축의 타단부는 하우징 일부의 중심에 배치된 리세스에 끼워져 있는 것으로서, 상기 축의 타단부는 리세스에 용접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축이 가령 0.5㎜정도여도 확실히 유지할 수 있으며, 낙하 등 충격이 로터에 가해져도 모터 자체는 축으로도 지지되므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도면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인 초 슬림형 코어리스 진동 모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력 공급 구조의 특징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전력 공급 구조의 변형예에 대한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편심로터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5는 상기 로터의 변형예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초 슬림형 코어리스 진동 모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전력 공급 구조의 특징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편심로터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모터의 회전 원리 설명도이다.
도 10은 편심로터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편심로터를 탑재한 모터의 회전 원리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편심로터를 구비한 초 슬림형 코어리스 진동 모터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편심로터를 구성하는 정류자 기재의 세그먼트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을 세그먼트 반대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2의 편심로터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2의 모터에 대한 회전 원리 설명도이다.
도 17은 도 12의 편심로터의 변형예에 대한 평면도이다.
이하, 상기 각 도면에 근거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두께가 약 2㎜로 구성된 초 슬림형 코어리스 진동 모터를 나타내며, 0.15㎜의 얇은 자성 스테인레스판을 드로잉가공한 케이스(1)와 이 케이스의 개구부에 부착한 약 0.2㎜의 브래킷(2)에 의해 하우징(H)이 구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브래킷(2)의 중심에 굵기 약 0.5㎜의 축(3)이 압입 고정되고, 이 축(3)의 반경방향 외측에 얇은 링형상 마그넷(4)이 놓여 있다.
여기서 축의 기단부는 압입(壓入)하는 대신에 레이저 용접할 수도 있다.
상기 축(3)에는, 두께 약 0.6㎜의 편심로터(R1)가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축방향 공극을 사이에 두고 상기 링형상 마그넷(4)에 면해 있다.
상기 편심로터(R1)는, 후술될 도 4와 같은 3개의 전기자 코일과 1개의 편심 웨이트로 이루어지며, 추가로 설치된 인쇄 배선 정류자(5)를 통해 한 쌍의 브러시(6,7)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편심로터(R1)는 도 4의 A-A' 단면도로 표시된다.
여기서, 상기 브래킷(2)에는, 도 2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그넷(4)의 위치에 정확히 투과구멍(2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브러시(6,7)가 고정된 가요성 베이스(8)는 패턴(6a, 7a)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투과구멍(2a)을 통해 상기 케이스(1)의 옆둘레로 도출된다. 따라서, 가요성 베이스(8)를 마그넷(4)과 브래킷의 사이에서 외측으로 도출함에 있어서, 두께 약 0.15㎜의 가요성 베이스(8)의 도출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요성 베이스(8)는 소정의 면에 접착제를 부착하여 브래킷, 마그넷에 접착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브러시(6,7)는 그 기단부가 패턴(6a,7a)에 납땜이나 스폿 용접 등에 의해 접속되어 가요성 베이스(8)에 고정된다. 그 기단부를 축(3)과 투과구멍(2a)의 사이에 배치하면, 브러시 베이스(8)는 투과구멍(2a)과 마그넷(4)에 의해 가압되므로, 브러시 슬라이딩 접촉 부분에 도 1에서 하측의 힘이 가해져도 그 부상(浮上)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가요성 베이스(8)의 전력 공급 전극부는 브래킷(2)으로부터 돌출된 설편(舌片;2b)부분에서 접어 꺾여, 3방향으로 납땜 전극이 노출되어 기기측의 인쇄 배선판에 용이하게 납땜 결선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하우징의 다른 부분을 구성하는 케이스(1)는, 그 중앙에 상기 가느다란 스테인레스제 축(3)의 타단부가 장착되도록 버링(burring) 가공된 투과구멍(1a)이 형성되고, 이 투과구멍(1a)의 주위에 폴리이미드 필름(P)을 부착한다. 상기 편심로터(R)는, 상기 한 쌍의 브러시(6,7)의 가압 접촉력에 의해, 베어링(B)을 통해 폴리이미드 필름(P)에 슬라이딩 접촉되어 있다. 이로 인해, 편심로터(R1)는 항상 케이스(1)쪽으로 가압되며 폴리이미드 필름(P)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눌리기 때문에, 그 이상으로 케이스(1)쪽으로 이동하여 닿게 될 염려가 없으며, 공극이 항상 일정하여 회전위치에 편차가 발생하는 일도 없어 안정적으로 회전시키고 지지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축(3)의 타단부는 상기 케이스에 상기 버링 가공된 투과구멍(1a) 부분에서 레이저 용접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축(3)은 상기 편심로터가 낙하하는 등의 충격이 가해져도, 버링 가공된 투과구멍으로부터 벗어나게 될 염려는 없다. 도면에서 F는 모터본체를 브래킷(2)을 통해 기기쪽에 강력히 부착하기 위한 양면 점착 테이프이다.
도 3은 도 1의 전력 공급 구조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하우징(H1)을 각형으로 형성하고, 한쪽 브러시(77)를 브래킷(22)에 접지시키며 다른 쪽 브러시(66)를 가요성 베이스(88)에 고정하고, 그 뜨거운 쪽만 투과구멍(22a)을 통해 외측으로 도출하고 설편(22b)을 감아 전력 공급 단자(68a)를 형성하며, 브래킷과 일체인 접지측 전력 공급 단자(78a)는, 부착용 더미 단자(22c)와 전위를 동일하게 한 것이다.
도 4에는 편심로터(R1)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는데, 두께가 약 0.05㎜이며 표면에 점착제를 얇게 도포한 얇은 필름형상의 가요성 인쇄 배선판(9)에, 3개의 공심 전기자 코일(Ra, Rb 및 Rc)을 한 쪽에 편재시켜 부착하고, 중앙의 공심 전기자 코일(Rb)은 양면에 인쇄 배선 패턴을 형성하거나, 또는 한 층으로 얇게 감으면서 부착 형성하며, 여기에 밀도 약 15의 텅스텐 합금제의 웨이트(Rw)를 올려놓고, 다시 밀도 약 6 내지 8의 고비중의 수지(J)에 의해 일체화하여, 중심에 배치된 소결 함 유 베어링(B)을 통해 상기 축(3)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장착한 것이다.
여기서, 다른 면 쪽에 개략적인 구성으로 기재된 평판 정류자(5)는, 상기 얇은 가요성 인쇄 배선판(9)에 형성하거나 또는 그 가요성 기판에 다른 얇은 인쇄 배선판으로 평판 정류자를 형성한 것을 추가로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정류자(5)는, 여기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N, S 교대로 착자된 4극의 마그넷과 조합할 경우, 대향되는 단락된 6극의 세그먼트를 형성하도록 구성하고, 8극의 자극으로 이루어진 마그넷과 조합할 경우에는, 12극의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공지된 것이 이용된다.
도 5에는, 2개의 공심 전기자 코일(RA, RB)과 그 반대쪽에 배치된 구리 텅스텐 합금제로서 약 17의 비중을 갖는 편심 웨이트(Rw)를 통상적인 수지(JJ)에 매립하도록 배치한 편심로터(R1)의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편심 웨이트의 비중은, 탑재되는 모터의 사이즈에 따라 선정되지만, 통상적으로는 모터 사이즈가 12㎜정도이면 약 15 내지 17의 비중이 선정된다.
그리고 단말의 결선 등은 개략하였으며, 평판 정류자는 생략하였다.
이와 같이 하면, 원반형에서도 텅스텐의 고비중에 따른 중량과 공심 전기자 코일과의 중량 차로 인해 중심이 편심 웨이트(Wa)쪽으로 오므로 편심로터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각 실시형태는 모두 진동모터를 예시하였으나, 공지된 통상의 회전형 모터에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두께가 약 2㎜로 구성된 초 슬림형 코어리스 진동 모터를 나타내며, 0.15㎜의 얇은 자성 스테인레스판을 드로잉 가공한 케이스(1)와, 이 케이스의 개구부에 레이저 용접(Y)으로 부착한 약 0.2㎜의 브래킷(2)에 의해 하우징(H)이 구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브래킷(2)의 중심에 약 0.5㎜의 축(3)이 압입 고정되고, 이 축(3)의 반경방향 외측에 얇은 링형상 마그넷(4)이 놓여 있다.
여기서 축(3)의 기단부는 삽입하는 대신에 또는 본 예와 같이 삽입한 후에, 레이저 용접(Y)할 수도 있다.
상기 축(3)에는, 두께 약 0.6㎜의 편심로터(R2)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축방향 공극을 사이에 두고 상기 링형상 마그넷(4)에 면해 있다.
상기 편심로터(R2)는, 후술되는 도 8과 같이 배치 개방각이 약 160도로서 자극 폭의 개방각으로 되어 있는 2개의 다층 권선형 공심 전기자 코일(Ra, Rc)과, 다층 권선형 공심 전기자 코일 간에 중첩하지 않도록 자극 폭의 개방각으로 한 층으로 형성된 1개의 공심 전기자 코일(Rb)과, 더욱이 상기 한 층의 공심 전기자 코일(Rb)의 위치에 놓인 편심 웨이트(W)로 이루어지며, 여기서는 복잡해져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도 9와 같이 이면 쪽의 9극의 세그먼트를 갖는 인쇄 배선 정류자(5)를 통해 한 쌍의 양/음의 브러시(6,7)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편심로터(R2)는 후술되는 도 8의 A-A'선 절단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브래킷(2)에는 도 7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마그넷(4)의 위치에 정확히 투과구멍(2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브러시(6,7)가 심어 설치된 가요성 베 이스(8)는 상기 브러시가 심어 설치된 패턴(6a, 7a)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투과구멍(2a)을 통해 상기 케이스(1)의 옆둘레로 도출된다. 따라서, 가요성 브러시 베이스(8)를 마그넷(4)과 브래킷의 사이에서 외측으로 도출시킴에 있어서, 상기 약 0.15㎜의 두께를 갖는 가요성 베이스(8)의 도출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요성 베이스(8)는 소정의 면에 접착제를 부착하여 브래킷, 마그넷에 접착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요성 베이스(8)의 전력 공급 전극부는 브래킷(2)으로부터 돌출된 설편(2b) 부분에서 접어 꺾여, 3방향으로 납땜 전극이 노출되어 기기측의 인쇄 배선판에 용이하게 납땜 결선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하우징의 다른 부분을 구성하는 케이스(1)는, 그 중앙에 상기 가느다란 스테인레스제 축(3)의 타단부가 장착되도록 얕게 버링 가공된 투과구멍(1a)이 배치되고, 이 투과구멍(1a) 주위의 돌출부에 폴리이미드 필름(P)을 부착하여, 이 폴리이미드 필름(P)을 통해 상기 편심로터(R2)의 베어링(B) 상면을 상기 한 쌍의 브러시(6,7)의 가압 접촉력에 의해 슬라이딩 접촉시킨다. 이로 인해, 편심로터(R2)는 항상 케이스(1)쪽으로 가압되고 폴리이미드 필름(P)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눌리기 때문에, 케이스(1)쪽으로 이동하여 닿게 될 염려가 없고, 공극이 항상 일정하여 회전 위치에 편차가 없으므로 안정적으로 회전시키고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축(3)의 타단부는 상기 케이스에 상기 버링 가공된 투과구멍(1a)부분에서 레이저 용접(Y)되어 있다.
또, 케이스(1)와 브래킷(2)은 레이저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있으므로, 부재가 얇아도 변형이 일어나기 어렵고, 상기 축(3)은 상기 편심로터의 낙하 등의 충격이 가해져도 투과구멍에서 벗어날 염려가 없다.
도 8에는 상기 개략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6의 편심로터(R2)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는데, 두께가 약 0.05㎜이고 표면에 얇게 점착제를 도포한 얇은 필름형상의 가요성 인쇄 배선판(9)에, 반경방향으로 공심 전기자 코일(Ra, Rb 및 Rc)을 한 쪽에 편재시켜 부착하고, 중앙의 공심 전기자 코일(Rb)은 양면에 인쇄 배선 패턴을 형성하거나, 또는 한 층으로 얇게 감아 부착 형성하며, 다른 공심 전기자 코일(Ra, Rc)은 다층 권선형으로 구성하고, 상기 한 층으로 형성된 공심 전기자 코일(Rb)의 위치에 밀도 약 15의 텅스텐 합금제의 편심웨이트(W)를 올려놓고, 더욱이 밀도 약 10의 고비중의 수지(J)로 일체화하여, 중심에 배치된 소결 함유 베어링(B)을 통해 상기 축(3)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장착한 것이다.
여기서, 다른 면 쪽에 개략적인 구성으로 기재된 평판 정류자(5)는, 상기 얇은 가요성 인쇄 배선판(9)에 형성하거나 또는 그 가요성 기판에 다른 얇은 인쇄 배선판으로 평판 정류자를 형성한 것을 추가로 설치할 수도 있다.
여기서, 권선형 공심 전기자 코일의 두께에 따른 단차 부분에는, 바람으로 인한 손실을 막는 의미에서 테이퍼 부분(T)을 배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류자(5)는, 도 9의 회전 원리 설명도로 나타낸 바와 같이 N, S 교대로 6극으로 착자된 마그넷과 조합할 경우, 3개마다 단락된 9극의 세그먼트(S1 내지 S9)로 이루어진 공지된 것을 이용한다. 그 결선 상태를 설명하자면, 권선형 공심 전기자 코일(Ra)의 권선 개시부는, 권선형 공심 전기자 코일(Rc)의 권선 종료부와 함께 정류자 세그먼트(S6)에 결선되어 마이너스측 브러시(7)를 통해 마이너스 전원으로 떨어져 있고, 상기 권선형 공심 전기자 코일(Ra)의 권선 종료부는, 한 층의 공심 코일(Rb)의 권선 개시부와 함께 정류자 세그먼트(S2)에 결선되며, 상기 권선형 공심 전기자 코일(Rc)의 권선 개시부는, 상기 한 층의 공심 코일(Rb)의 권선 종료부와 함께 정류자 세그먼트(S4, S1)를 통해 플러스측 브러시(6)를 거쳐 플러스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작은 화살표는 전류의 방향을 나타내며, 큰 화살표는 로터의 회전이동 방향을 나타내는데 모두 반대 토크는 발생하지 않는다.
도 10에는 편심로터(R2)의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한 층의 공심 전기자 코일(Rb1, Rb2 및 Rb3)은 인쇄 배선형으로 이루어지고, 제 1, 제 2 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여기서는 내경의 관통 구멍을 사이에 두고 양면)에 평면에서 볼 때 3개가 서로 중첩하지 않도록 120도 피치로 등분 형성되고, 그 중 1개의 인쇄 배선형 공심 전기자 코일(Rb1)과는 중첩하지 않고 나머지 2개의 인쇄 배선형 공심 전기자 코일(Rb2, Rb3)과는 일부가 중첩하도록, 상기 2개의 다층 권선형 공심 전기자 코일(Ra, Rc)을 약 160도의 배치 개방각으로 올려놓고, 상기 다층 권선형 공심 전기자 코일이 중첩되지 않는 상기 인쇄 배선형 공심 전기자 코일(Rb1)의 위치에 비중 약 15의 편심웨이트(W)가 구비되며, 중심의 이동을 크게 하기 위해, 상기 수지(J)에 의해 상기 나머지 2개의 인쇄 배선형 공심 전기자 코일(Rb2, Rb3)과 일부가 중첩하지 않는 부분을 제외하고 일체로 성형한 것이다.
또한, 상기 편심웨이트(W)의 비중은 모터의 사이즈에도 기인하는데, 약 10 내지 18.5가 선정된다.
여기서도 권선형 공심 전기자 코일의 두께로 인한 단차 부분에는, 바람으로 인한 손실을 막는 의미에서 테이퍼 부분(T)을 배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단말의 결선 등은, 후술되는 도 11에 도시되어 있으므로 본 도 5에서는 복잡해지므로 생략하고, 아울러 본 도면의 이면 쪽인 제 1 면 쪽의 평판 정류자도 생략하였는데, 이 정류자(5)는 후술되는 도 11의 회전 원리 설명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N, S 교대로 6극으로 착자된 마그넷과 조합할 경우, 3개마다 단락된 9개의 세그먼트(S1 내지 S9)로 이루어진 공지된 것이 이용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원반형이라도 고비중의 텅스텐에 의해 중량을 무겁게 구성한 편심웨이트(W)와 이 편심웨이트의 탑재위치쪽에 설치된 공심 전기자 코일의 중량에 의해, 로터의 중심을 편심웨이트의 탑재위치쪽으로 크게 치우치게 할 수 있으므로 편심량이 큰 편심로터를 형성할 수 있다.
인쇄 배선형 공심 전기자 코일도 평면에서 볼 때 3개이므로, 모터의 사이즈가 직경 10㎜정도여도 총 감음 수는 약 60회 이상으로 비교적 많아져 기동 토크도 커질 수 있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편심로터(R2)의 결선상태와 회전원리에 관한 설명도로서, 즉 인쇄 배선형 공심 전기자 코일은 3개(Rb1, Rb2 및 Rb3)로 분산되어 시리즈로 접속되어 있으며, 그 결선 상태를 설명하자면, 권선형 공심 전기자 코일(Ra)의 권선 개시부는, 권선형 공심 전기자 코일(Rc)의 권선 종료부와 함께 정류자 세 그먼트(S6)에 결선되어 마이너스측 브러시(7)를 통해 마이너스 전원으로 떨어져 있으며, 상기 권선형 공심 전기자 코일(Ra)의 권선 종료부는, 인쇄 배선형 공심 전기자 코일(Rb3)의 권선 개시부와 함께 세그먼트(S2)에 결선되고, 권선형 공심 전기자 코일(Rc)의 권선 개시부는, 인쇄 배선형 공심 전기자 코일(Rb1)의 권선 종료부와 함께 세그먼트(S4)에 결선되고, 동일한 세그먼트(S1), 플러스측 브러시(6)를 통해 플러스 전원으로부터 공급받으며, 상기 코일(Rb1)의 권선 개시부는, 인쇄 배선형 공심 전기자 코일(Rb2)의 권선 종료부에, 코일(Rb2)의 권선 개시부는, 인쇄 배선형 공심 전기자 코일(Rb3)의 권선 종료부에 각각 결선되어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세그먼트(S1, S4)를 통해 각 공심 전기자 코일에는 화살표와 같이 전류가 흘러 마이너스 전원으로 떨어지므로,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라 모든 공심 전기자 코일에 큰 화살표 방향으로 전체 토크가 발생하게 되어 기동 전압을 저감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2는 두께 약 2㎜로 구성된 초 슬림형 코어리스 진동 모터를 나타내며, 0.15㎜의 얇은 자성 스테인레스판을 드로잉 가공한 케이스(1)와, 이 케이스의 개구부에 레이저 용접(Y)으로 부착한 약 0.2㎜의 브래킷(2)에 의해 하우징(H)이 구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브래킷(2)의 중심에 약 0.5㎜의 축(3)이 압입 고정되며 이 축(3)의 반경방향 외측에 얇은 링형상 마그넷(4)이 놓여 있다.
여기서 축(3)의 기단부는 압입하는 대신에 또는 본 예와 같이 압입한 후에, 레이저 용접(Y)할 수도 있다.
상기 축(3)에는 소결 함유 베어링(B)과, 수지의 일부를 통해 두께 약 0.6㎜의 편심로터(R3)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축방향 공극을 사이에 두고 상기 링형상 마그넷(4)에 면해 있다.
여기서 편심로터(R3)는 후술되는 도 13의 A-A'선 절단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브래킷(2)에는 상술한 실시형태의 도 2와 마찬가지로, 상기 마그넷(4) 위치부의 일부에 정확히 투과구멍(2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브러시(6,7)가 심어 설치된 가요성 베이스(8)는 상기 브러시가 심어 설치된 패턴(6a,7a)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투과구멍(2a)을 통해 상기 케이스(1)의 옆둘레로 도출된다.
따라서, 가요성 브러시 베이스(8)를 마그넷(4)과 브래킷의 사이에서 외측으로 도출함에 있어, 상기 약 0.15㎜의 두께를 갖는 가요성 베이스(8)의 도출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요성 베이스(8)는 소정의 면에 접착제를 부착하여 브래킷, 마그넷에 접착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요성 베이스(8)의 전력 공급 전극부는 브래킷(2)으로부터 돌출된 설편(2b) 부분에서 접어 꺾여, 3방향으로 납땜전극이 노출되어 기기측의 인쇄 배선판에 용이하게 납땜 결선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하우징의 다른 부분을 구성하는 케이스(1)는, 그 중앙에 상기 가느다란 스테인레스제 축(3)의 타단부가 장착되도록 얕게 버링 가공된 투과구멍(1a)이 형성되고, 이 투과구멍(1a) 주위의 돌출부에 폴리이미드 필름(P)을 부착하여, 이 폴리이미드 필름(P)을 통해 상기 편심로터(R3)의 베어링(B) 상면을 상기 한 쌍의 브러시(6,7)의 가압 접촉력에 의해 슬라이딩 접촉시킨다. 이로 인해, 편심로터(R3)는 항상 케이스(1)쪽으로 가압되고 폴리이미드 필름(P)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눌리므로, 케이스(1)쪽으로 이동하여 닿게 될 염려가 없고, 공극이 항상 일정하여 회전위치에 편차가 발생하는 일이 없어 안정적으로 회전시키고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축(3)의 타단부는 상기 케이스에 상기 버링 가공된 투과구멍(1a) 부분에서 레이저 용접(Y)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1)와 브래킷(2)은 레이저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있으므로, 부재가 얇아도 변형이 일어나기 어렵고, 상기 축(3)은 상기 편심로터가 낙하하는 등의 충격이 가해져도 투과구멍으로부터 벗어날 염려가 없다.
편심로터(R3)를 구성하는 정류자 기재(基材)(9)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께가 약 0.06㎜이고 표면에 얇게 점착제를 도포한 얇은 필름형상의 가요성 인쇄 배선판으로서, 직경은 약 9.3㎜이고 제 1, 제 2 면의 양면을 갖는 원반형 인쇄 배선판으로 이루어지며, 도 13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에 축 삽입 통과 구멍(11)을 가지고, 제 1 면 쪽에서 상기 축 삽입통과 구멍(11)의 주위에 9개의 정류자 세그먼트 패턴(S1 내지 S9)이 인쇄 형성되어 평판 정류자(5)를 구성하며, 각각 내측 도체(D3)나 관통 구멍(H1 내지 H7)을 통해 3개마다 단락되어 있다.
상기 정류자 세그먼트 패턴의 외측에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 120도의 개방각으로 3개의 인쇄 배선형 공심 코일(Rb1A, Rb2A 및 Rb3A)이 인쇄 형성되어 있고, 각 내경의 관통 구멍(H8, H9 및 H10)을 통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면 쪽에 동일한 위상으로 직렬 형성된 2개의 인쇄 배선형 공심 코일(Rb1B, Rb3B)과 함께 인쇄 배선형 공심 전기자 코일을 구성한다. 여기서 인쇄 배선형 공심 코일(Rb2B)에 상당하는 것은 단말 결선 단자(T4)를 형성하는 사정상, 접속만을 위한 패턴(P4)으로 하고, 코일 부분은 생략하였다.
도면에서 부호 12는, 불꽃 소거용으로서 인접한 세그먼트들(C6,C7 및 C8)사이에 삽입된 카본 인쇄 저항이며, T1, T2 및 T3은 후술되는 권선형 공심 전기자 코일의 단말 결선 패턴이다.
상기 편심로터(R3)로 구성하려면,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치 개방각이 약 80도이고 유효 도체 부분이 자극 폭의 개방각이 되도록 한 3개의 다층 권선형 공심 전기자 코일(Ra,Rb 및 Rc)을 올려놓고, 상기 코일(Rb)의 지름방향 반대쪽에 구리 텅스텐 소결 합금으로서 비중이 약 18이고 평면에서 볼 때 펼쳐진 부채형상인 편심웨이트(W)를 배치하여 수지에 의해 일체 성형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구리 텅스텐 합금의 비중은 로터의 사이즈에 따라서는 15이상으로 하지 않으면, 상기 공심 전기자 코일의 중량과 상쇄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상기 다층 권선형 공심 전기자 코일(Rb)은 양측의 다층 권선형 공심 전기자 코일(Ra, Rc)에 비해 중심의 이동량을 크게 하기 위하여, 경량화를 위해 감음 수가 적으며, 시리즈로 결선된 상기 인쇄 배선형 공심 전기자 코일(Rb1, Rb2 및 Rb3)은 이러한 적은 감음 수를 커버한다.
더욱이, 도 12로 돌아가서 상술한 소결 함유 베어링(B)은 중심에서 상기 로 터(R3)의 상반부에 장착되고, 하반부에 수지 베어링부로서 티탄산 칼륨 위스커(whisker)가 든 폴리아미드 내지는 폴리 부틸렌 텔레프탈레이트 등 슬라이딩 이동성이 높은 수지로 형성되며, 상기 축(3)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직접 장착된다.
이렇게 하면 센터 프리(center free) 구조의 베어링을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평판 정류자(5)는 상기 얇은 가요성 인쇄 배선판(9)에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가요성 기판에 다른 얇은 인쇄 배선판으로 평판 정류자를 형성한 것을 추가로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정류자(5)는, 도 16의 회전 원리 설명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N, S 교대로 6극으로 착자된 마그넷(4)과 조합할 경우, 3개마다 단락된 9극의 세그먼트(S1 내지 S9)로 이루어진 공지된 것이 이용된다.
그 결선 상태를 설명하자면, 권선형 공심 전기자 코일(Ra)의 권선 개시 단말은, 권선형 공심 전기자 코일(Rc)의 권선 종료 단말과 함께 단말 결선 패턴(T1)에 납땜 내지는 열압착에 의해 결선되어 정류자 세그먼트(S6)에 접속되고, 마이너스측 브러시(7)를 통해 마이너스 전원으로 떨어지며, 상기 권선형 공심 전기자 코일(Ra)의 권선 종료부는, 상기 권선형 공심 전기자 코일(Rb)의 권선 개시부와 단말 결선 패턴(T3)을 통해 세그먼트(S2)에 결선된다.
상기 코일(Rb)의 결선 종료 단말은, 인쇄 배선형 공심 전기자 코일(Rb3)의 권선 개시 단말과 접속되고, 상기 코일(Rb3)의 권선 종료 단말은, 상기 코일(Rb2)의 권선 개시 단말과, 상기 코일(Rb2)의 권선 종료 단말은, 상기 코일(Rb1)의 권선 개시 단말과 각각 접속되며, 상기 코일(Rb1)의 권선 종료 단말은, 권선형 공심 전기자 코일(Rc)의 권선 개시부와 함께 상기 세그먼트(S4)로 떨어진다.
따라서 플러스 브러시(6)에서 전력을 공급받았을 경우, 여기서 작은 화살표는 전류의 방향을 나타내며, 큰 화살표는 로터의 회전 이동 방향을 나타내는데, 모두 반대 토크는 발생하지 않는다.
도 17에는 편심로터의 변형예로서, 제 2 면에서는 권선형 공심 전기자 코일(Rb)과 인쇄 배선형 공심 전기자 코일(Rb1B)이 중첩되지 않도록 인쇄 배선형 공심 전기자 코일(Rb1B)을 삭제하고, 그 대신에 인쇄 배선형 공심 전기자 코일(Rb2B)을 형성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단말 결선 패턴(T4)의 위치를 T1 부근으로 옮겨 올 수 있으므로, 편심웨이트(W)를 그만큼 크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원반형이어도 텅스텐의 고비중으로 인한 중량과 공심 전기자 코일측의 편심량이 있다 하더라도 그 차이는 편심 웨이트(W)쪽으로 중심이 크게 이동해오므로, 편심량이 큰 편심로터로 할 수 있다.
또, 필요에 따라 인쇄 배선형 공심 전기자 코일은 삭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하면, 브래킷의 두께를 0.2㎜이하로 하여도 프레스 가압 등의 무리한 수단을 채용하지 않고도 투과구멍을 가공함으로써 브러시 베이스 도출수단이 용이하게 실현되며, 가요성 브러시 베이스는 통상적으로 0.15㎜정도이기 때문에 투과구멍을 통해 모터의 옆둘레로 용이 하게 도출될 수 있으므로 두께를 증가시킬 염려도 없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하면, 가령 브래킷의 두께가 0.15 내지 0.2㎜여도 찌그러뜨리는 등의 무리한 수단이 불필요해지므로, 슬림화함에 있어 가요성 베이스의 두께를 고려하지 않아도 되어 두께 2㎜의 모터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축이 가령 0.5㎜정도여도 확실히 유지할 수 있으며, 로터에 낙하 등의 충격이 가해져도 축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삭제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하면, 브러시 베이스는 투과구멍과 마그넷에 의해 가압되므로, 브러시 슬라이딩 접촉 부분에 도면에서 하측의 힘이 가해져도, 브러시 고정부의 브러시 베이스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인 다른 과제는,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하면, 로터 자체가 슬림해지고 편심웨이트의 축방향 두께를 무시할 수 있게 되며, 그 편심웨이트에 의해 중심의 이동이 커져 큰 진동량을 확보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다른 과제의 달성 수단이 되는 청구항 5와 같이 하면, 권선형 공심 전기자 코일과 편심웨이트의 비중 차로 인해 제 2 권선형 공심 전기자 코일의 반대쪽으로 크게 편심되므로, 큰 원심력 진동이 얻어진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러한 편심로터를 구비한 슬림형 코어리스 진동 모터는, 청구항 6에 나타낸 발명과 같이 하면, 축이 예컨대 0.5㎜정도여도 확실히 유지할 수 있고, 로터에 낙하 등 충격이 가해져도 모터 자체는 축으로도 지지되므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모터가 얻어진다.

Claims (19)

  1. 케이스와 브래킷으로 이루어진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편평한 로터와 상기 로터에 축방향 공극을 사이에 두고 면해 있는 링형상 마그넷이 수납되고, 상기 마그넷의 내경부에서 가요성 베이스에 기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로터에 배치된 인쇄 배선 정류자에 선단부가 슬라이딩 접촉되도록 이루어진 한 쌍의 브러시가 구비되고, 상기 가요성 베이스의 일부가 하우징 옆둘레로 연장되어 있어 전류 공급 단자로서 도출된 초슬림형 코어리스 모터로서,
    상기 브래킷은 두께가 0.2㎜ 이하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마그넷이 배치되는 부분에 투과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투과구멍을 통해 상기 브래킷과 상기 마그넷의 사이로부터 상기 가요성 베이스의 일부가 연장되어 하우징 측방으로 도출되어 있는 초 슬림형 코어리스 모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브러시 베이스에 배치되는 브러시의 일부는, 기단부가 투과구멍 쪽으로 오도록 가요성 베이스에 배치되어 있는 초 슬림형 코어리스 모터.
  4. 케이스와 브래킷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편평한 코어리스형 로터와 상기 코어리스 로터에 축방향 공극을 사이에 두고 NS 교대로 6극으로 자화된 링형상 마그넷이 수납되고, 상기 마그넷의 내경부에서 가요성 베이스에 기단부가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로터에 추가로 설치된 인쇄 배선 정류자에 선단부가 슬라이딩 접촉되도록 이루어진 슬라이딩 접촉 개방각 180도를 갖는 한 쌍의 브러시가 구비되고, 상기 가요성 베이스의 일부가 하우징 옆둘레로 연장되어 전류 공급 단자로서 도출되고, 상기 하우징은 마그넷이 배치되는 부분에 투과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투과구멍을 통해 상기 가요성 베이스의 일부가 하우징 측방으로 도출되고, 상기 로터는 중심에 축 삽입 통과 구멍이 형성되는 동시에 제 1, 제 2 면을 갖는 인쇄 배선 정류자 기재(基材)가 있으며, 상기 인쇄 배선 정류자 기재는, 더욱이 상기 제 1 면에서 상기 축 삽입 통과 구멍의 반경방향 외측에 9개의 정류자 세그먼트 패턴이 인쇄 형성되고, 이들 정류자 세그먼트 패턴을 3개째마다 단락시키는 도체가 제 1, 제 2 면 중 적어도 한쪽 면에 존재하며, 상기 제 2 면에서 축방향으로 뻗은 베어링부가 있고, 상기 베어링부의 반경방향 외측에 제 1, 제 2 및 제 3 공심 전기자 코일이 80도의 배치 개방각으로 놓이며, 이들 공심 전기자 코일 중 적어도 제 1, 제 3 공심 전기자 코일이 다층 권선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들 제 1, 제 3 권선형 공심 전기자 코일이 놓여 있지 않은 공간에는 이들 권선형 공심 전기자 코일의 두께 내에 수납되도록 편심웨이트가 배치되어 편심로터로 되어 있으며, 상기 편심로터에 축방향 공극을 사이에 두고 면해 있는 링형상 마그넷이 브래킷에 놓이고, 더욱이 상기 브래킷에는 상기 마그넷의 내경부에서 가요성 베이스에 기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로터에 배치된 인쇄 배선 정류자에 선단부가 슬라이딩 접촉하도록 이루어진 한 쌍의 브러시가 구비되고, 상기 가요성 베이스의 일부가 하우징 옆둘레로 연장되어 전류 공급 단자로서 도출된 초 슬림형 코어리스 모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면에 80도의 배치 개방각으로 놓인 제 1, 제 2 및 제 3 공심 전기자 코일은 다층 권선형이며, 상기 편심웨이트는 비중 13이상의 텅스텐 합금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제 2 권선형 공심 전기자 코일의 중심을 사이에 두고 지름방향 반대쪽에 배치되는 초 슬림형 코어리스 모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축은 하우징의 일부에 고정된 기단부와, 상기 편심로터를 장착하는 타단부가 있고, 상기 편심로터는 중심에 배치된 것으로서 적어도 일부가 함유(含油) 베어링인 축 지지부를 통해 상기 축에 타단부부터 장착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되며, 상기 축의 타단부는 하우징 일부의 중심에 배치된 리세스에 끼워져 용접되어 있는 초 슬림형 코어리스 모터.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030027105A 2002-09-13 2003-04-29 초 슬림형 코어리스 모터 KR1009355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68722A JP3514750B1 (ja) 2002-09-13 2002-09-13 薄型コアレスモータ
JPJP-P-2002-00268722 2002-09-13
JP2002285527A JP3759092B2 (ja) 2002-09-30 2002-09-30 偏心ロータと同ロータを備えた扁平コアレス振動モータ
JPJP-P-2002-00285527 2002-09-30
JP2002367539A JP3581706B2 (ja) 2002-12-19 2002-12-19 円盤形偏心ロータと同ロータを備えた扁平コアレス振動モータ
JPJP-P-2002-00367539 2002-1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4442A KR20040024442A (ko) 2004-03-20
KR100935509B1 true KR100935509B1 (ko) 2010-01-06

Family

ID=34198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7105A KR100935509B1 (ko) 2002-09-13 2003-04-29 초 슬림형 코어리스 모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35509B1 (ko)
CN (1) CN10045262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66740B2 (ja) * 2003-07-28 2009-05-20 株式会社ソディック コアレス交流リニアモータ
KR100707783B1 (ko) * 2005-10-10 2007-04-17 삼성전기주식회사 컬러 휠 유니트 및 그 제작 방법
KR101141002B1 (ko) * 2009-07-28 2012-05-02 삼성전기주식회사 편평형 진동모터
CN109256884A (zh) * 2017-10-13 2019-01-22 朱卫 一种用钛金属生产的马达外壳
JP2020038865A (ja) * 2018-09-03 2020-03-12 イビデン株式会社 モーター用コイル基板とモーター用コイル基板の製造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2352A (ja) * 1997-03-18 1998-09-29 Tokyo Parts Ind Co Ltd 扁平モータと同モータの機器実装給電方法
JPH11215782A (ja) * 1998-01-29 1999-08-06 Tokyo Parts Ind Co Ltd 扁平型ブラシレスモータ
JP2002119915A (ja) 2000-08-11 2002-04-23 Tokyo Parts Ind Co Ltd 円盤形偏心ロータ及び同ロータを有する扁平型振動モータ
KR200280833Y1 (ko) 2002-04-09 2002-07-06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편평형 진동모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1329B2 (ja) * 1997-01-30 2002-02-25 東京パーツ工業株式会社 出力軸のない軸固定型モータ
JPH10271744A (ja) * 1997-03-24 1998-10-09 Optec Dai Ichi Denko Co Ltd 偏平形振動モータとその回転子及びハウジング
CN1092416C (zh) * 1998-09-15 2002-10-09 东京零件工业股份有限公司 扁平型电动机和该电动机的机器安装供电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2352A (ja) * 1997-03-18 1998-09-29 Tokyo Parts Ind Co Ltd 扁平モータと同モータの機器実装給電方法
JPH11215782A (ja) * 1998-01-29 1999-08-06 Tokyo Parts Ind Co Ltd 扁平型ブラシレスモータ
JP2002119915A (ja) 2000-08-11 2002-04-23 Tokyo Parts Ind Co Ltd 円盤形偏心ロータ及び同ロータを有する扁平型振動モータ
KR200280833Y1 (ko) 2002-04-09 2002-07-06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편평형 진동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4442A (ko) 2004-03-20
CN1482722A (zh) 2004-03-17
CN100452621C (zh) 2009-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40957C (en) Dc brushless vibration motor
EP1026812B1 (en) Eccentric commutator
US6713911B2 (en) Disc-shaped eccentric rotor and flat type vibrator motor having the rotor
JP3628989B2 (ja) 円盤形偏心ロータ及び同ロータを有する扁平型振動モータ
JP3393847B2 (ja) 印刷配線コミュテータ部材を有するロータと同ロータを備えた扁平型モータ
KR100935509B1 (ko) 초 슬림형 코어리스 모터
KR20010078118A (ko) 비원형 편평 모터와 그 제조 방법
JP3560601B1 (ja) モールド型偏心ロータと同ロータを備えた軸方向空隙型コアレス振動モータ
EP1467467A2 (en) Eccentric rotor
US20070194642A1 (en) Eccentric rotor and flat motor comprising same
JP3796238B2 (ja) モールド型偏心ロータと同ロータを備えた軸方向空隙型コアレス振動モータ
JP3645221B2 (ja) 偏心ロータと同ロータを備えた扁平型振動モータ
JP3581706B2 (ja) 円盤形偏心ロータと同ロータを備えた扁平コアレス振動モータ
JP2009005491A (ja) 軸方向空隙型コアレス振動モータ
JP3759092B2 (ja) 偏心ロータと同ロータを備えた扁平コアレス振動モータ
JP2005012935A (ja) モールド型偏心ロータと同ロータを備えた軸方向空隙型コアレス振動モータ
JP3894368B2 (ja) モータ用電機子、同電機子を備えた軸方向空隙型モータ
JP6049678B2 (ja) モータ
JP2006014441A (ja) 偏心ロータ、同偏心ロータを備えた扁平コアレス振動モータ
JP3357333B2 (ja) 偏心ロータと同偏心ロータを用いた小型振動モータ
JP3357355B2 (ja) 円盤形偏心ロータ及び同ロータを有する扁平型振動モータ
JP3252140B1 (ja) 偏心ロータ及び同ロータを備えた扁平型振動モータ
JP2004025064A (ja) 振動発生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3530182B1 (ja) コアレスモータ用ロータ、同ロータの製法及び同ロータを備えた軸方向空隙型コアレスモータ
JP2007300726A (ja) 偏心ロータと同ロータを備えた扁平コアレス振動モ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