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1002B1 - 편평형 진동모터 - Google Patents

편평형 진동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1002B1
KR101141002B1 KR1020090069054A KR20090069054A KR101141002B1 KR 101141002 B1 KR101141002 B1 KR 101141002B1 KR 1020090069054 A KR1020090069054 A KR 1020090069054A KR 20090069054 A KR20090069054 A KR 20090069054A KR 101141002 B1 KR101141002 B1 KR 101141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substrate
vibration motor
bearing
shaft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9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1417A (ko
Inventor
김용태
김상원
안상길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9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1002B1/ko
Priority to US12/554,819 priority patent/US8076808B2/en
Priority to CN200910178849.7A priority patent/CN101969248B/zh
Publication of KR20110011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1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1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75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crankshafts or eccentric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1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rotary unbalanced masses
    • H02K7/063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rotary unbalanced masses integrally combined with motor parts, e.g. motors with eccentric r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4Ro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Variable reluctance r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6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 H02K5/167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using sliding-contact or spherical cap bearings
    • H02K5/1677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using sliding-contact or spherical cap bearings radially supporting the rotor around a fixed spindle; radially supporting the rotor direct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27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rotors only

Abstract

본 발명은 편평형 진동모터에 관한 것으로, 중앙에 샤프트가 축고정되고, 상면에 하부기판과 마그네트가 부착된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상부를 커버하여 내부공간을 마련하는 케이스, 하면에 정류자가 마련되는 상부기판, 상기 상부기판의 상면에 부착된 권선코일과 중량체, 상기 상부기판의 일부분에 형성되되 윤활성과 내마모성이 강한 재질로 사출성형 되고, 내부에 상기 샤프트를 회전가능하게 지지 되도록 하는 샤프트 지지용 홈부를 구비한 수지재 및 일단이 상기 하부기판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정류자에 접촉되어 접점부를 형성하는 브러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부기판에 사출성형에 의해 수지재가 형성된 후에 권선코일과 베어링이 고정됨으로써 사출성형시 코일의 단선 또는 변형을 방지하고, 베어링의 오일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브라켓, 권선코일, 베어링, 회전자, 마그네트, 중량체, 수지재, 사출, 어레이

Description

편평형 진동모터{FLAT TYPE VIBRATION MOTOR}
본 발명은 편평형 진동모터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 게임기, 휴대 정보 단말기 등 휴대용 전자기기에 있어 타인에게 외부 음향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진동발생장치가 휴대용 전자기기에 장착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진동발생장치는 휴대전화에 탑재되어 무음의 착신신호 발생장치로 이용되는데, 최근 휴대전화의 소형화, 슬림화되는 추세에서 그에 장착되는 진동발생장치 또한 소형화, 고기능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진동발생장치는 그 진동원(vibration source)으로 다양한 타입의 진동모터를 사용하고 있는데, 상기 진동모터는 그 형상에 따라 편평형(flat type)과 실린더형(cylinder type)으로 구분되며 브러시의 유무에 따라 브러시 타입(brush type)과 브러시리스 타입(brushless type)으로 구분된다. 이들 중 브러시 타입의 편평형 진동모터는 두께를 얇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여 휴대폰의 소형화에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브러시 타입의 편평형 진동모터의 단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각각 도 1에 도시된 브러시 타입의 편평형 진동모터의 회전자를 나타내는 상부 사시도 및 하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브러시 타입 편평형 진동모터(10)는 하부기판(13)이 고정된 브라켓(11)과 상기 브라켓(11)의 상부를 커버하며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케이스(15), 상기 브라켓(11)에 의해 지지되는 샤프트(12), 상기 브라켓(11)의 상면 테두리부에 설치된 고정자인 마그네트(14), 및 상기 샤프트(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편심된 회전자(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회전자(16)는 하면에 정류자(16b)가 형성된 상부기판(16a), 상기 샤프트(1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베어링(16c), 상기 상부기판(16a)의 상면에 각각 설치된 코일(16d)과 중량체(16e), 및 상기 상부기판(16a), 상기 코일(16d), 및 중량체(16e)를 일체로 연결하는 몰딩부재(16f)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하부기판(13)에는 브러시(17)의 일측이 납땜 접속되는데, 브러시(17)의 타측은 정류자(16b)에 접속되어 외부의 전원을 코일(16d)로 전달한다.
이러한 구조를 채용하는 브러시형 진동모터(10)는 외부의 전원이 하부기판(13)→브러시(17)→정류자(16b)를 통하여 코일(16d)로 공급되면, 코일(16d)과 마그네트(14) 사이에 형성되는 전자기력에 의하여 회전자(16)가 회전하면서 진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기술에 따른 브러시 타입의 편평형 진동모터(10)는 상부기판(16a)에 코일(16d) 및 중량체(16e)를 본딩한 상태에서, 샤프트(1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베어링(16c)과 함께 몰딩부재(16f)에 의해 인서트 사출하여 일 체로 형성함으로써 단품 상태의 회전자(16)를 제조하였다. 즉, 대체적으로 몰딩부재(16f)가 상부기판(16a)의 전체 영역에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코일(16d)과 중량체(16e)를 상부기판(16a)에 본딩한 상태에서 사출공정을 수행하는 경우, 베어링(16c) 내의 오일이 빠져 나와 소음문제를 일으키고, 코일(16d)의 단선 또는 변형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단품 상태에서 회전자(16)를 제조하였기 때문에 생산수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출공정에서 베어링의 오일 소손이나 권선코일의 단선/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편평형 진동모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모터는, 중앙에 샤프트가 축고정되고, 상면에 하부기판과 마그네트가 부착된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상부를 커버하여 내부공간을 마련하는 케이스, 하면에 정류자가 마련되는 상부기판, 상기 상부기판의 상면에 부착된 권선코일과 중량체, 상기 상부기판에 부착된 상기 권선코일을 감싸지 않으면서 베어링 고정용 홈부를 구비하도록 상기 상부기판과 일체로 사출성형되어 상기 상부기판의 측면부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수지재, 상기 베어링 고정용 홈부에 고정되어 상기 샤프트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베어링, 및 일단이 상기 하부기판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정류자에 접촉되어 접점부를 형성하는 브러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권선코일과 상기 중량체는 본드 또는 양면 테이프에 의해 상기 상부기판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수지재는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되고, 상기 상부기판에 억지끼움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어링은 상기 베어링 고정용 홈부에 억지끼움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어링은 상기 베어링 고정용 홈부에 본드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모터는, 중앙에 샤프트가 축고정되고, 상면에 하부기판과 마그네트가 부착된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상부를 커버하여 내부공간을 마련하는 케이스, 하면에 정류자가 마련되는 상부기판, 상기 상부기판의 상면에 부착된 권선코일과 중량체, 상기 상부기판의 일부분에 형성되되 윤활성과 내마모성이 강한 재질로 사출성형 되고, 내부에 상기 샤프트를 회전가능하게 지지 되도록 하는 샤프트 지지용 홈부를 구비한 수지재 및 일단이 상기 하부기판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정류자에 접촉되어 접점부를 형성하는 브러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권선코일과 상기 중량체는 본드 또는 양면 테이프에 의해 상기 상부기판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지재는 상기 상부기판과 일체로 사출성형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지재는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되고, 상기 상부기판에 억지끼움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기판에 사출공정에 의해 베어링 고정용 홈부를 갖는 수지재를 형성한 상태에서 권선코일 및 베어링을 부착하기 때문에, 높은 사출온도와 사출압에 의해 권선코일이 단선 또는 변형되거나 베어링의 오일 소손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기존 사출전후에 실시되던 검사 공정을 사출공정 후 한번만 실시하여 검사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기판의 어레이 상태에서 사출공정 및 구성요소의 결합공정이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사출공정을 포함하여 공정이 단순화되고 인력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출공정 이후에 베어링을 억지끼움 또는 본딩방식에 의해 상부기판에 부착함으로써 사출진행시에 베어링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지재가 베어링 고정을 위한 범위 내에서 최소한으로 사용되고 다른 구성요소는 본딩 접착되기 때문에, 종래기술과 같이 수지재가 베어링 고정 뿐만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의 결합을 위해 상부기판의 전체 영역에 걸 쳐 형성할 필요가 없어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출공정에 의한 수지재가 상부기판에 형성된 이후에 중량체가 부착되기 때문에, 중량체를 회전자의 최외주에 배치가 가능하게 되고, 이로 인해 종래기술에 비해 편심량이 증가되어 전체적인 진동력이 개선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기판에 사출공정에 의해 베어링 고정용 홈부를 갖는 수지재를 형성한 상태에서 권선코일 및 베어링을 부착하기 때문에 사출공정 자유도가 증가하여, 보다 높은 사출압 및 사출온도에서 사출공정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윤활성과 내마모성이 강한 재질로 수지재를 사출하여 수지재가 샤프트를 지지하는 베어링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별도의 베어링 부재가 필요없이 진동모터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편평형 진동모터-제1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모터의 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각각 도 4에 도시된 편평형 진동모터의 회전자를 나타내는 상부 사시도 및 하부 사시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모터(100a)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모터(100a)는 브라켓(110), 케이스(120), 회전자(130), 및 브러시(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브라켓(110)은 진동모터의 구성요소를 지지하고, 케이스(120)와 조립되어 소정의 내부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정 두께를 갖는 원판부의 형태를 가지며, 중앙에 샤프트(114)가 축고정되고, 상면에 하부기판(116) 및 마그네트(118)가 부착된다.
여기서, 브라켓(110)의 중심부에는 샤프트(114)를 고정하기 위해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버링부(11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버링부(112)에 샤프트(114)의 일측이 압입되어 샤프트(114)가 수직방향으로 기립 지지된다.
하부기판(116)은 외부전원과 연결된 단자부를 구비하여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브라켓(110)의 상면에 부착된다. 이때, 하부기판(116)에는 후술하는 브러시(150)의 일측이 솔더링되어 연결된다. 한편, 도면에는 하부기판(116)이 브라켓(110)과 별도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동일재질로 일체화되게 제조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마그네트(118)는 일정 세기의 자기장을 발생시켜 권선코일(138)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회전자(130)를 회전 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하부기판(116)의 상부에 본딩재 등을 매개로 하여 본딩접착된다. 여기서, 마그네트(118)는 브라켓(110)에 수직하게 고정된 샤프트(114)를 중심으로 환형으로 배치되며, 그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자극을 갖도록 교대로 착자된 영구자석으로 구성된다. 이때, 마그네트(118)는 후술하는 권선코일(138)과 대향되게 부착된다.
케이스(120)는 진동모터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회전자의 회전공간, 즉 내부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수용부재로서, 브라켓(110)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조립되어 내부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케이스(120)는 마그네트(118)와 회전자(130)의 권선코일(138)에서 발생하는 자속의 자로를 형성하도록 상당한 투자율을 가지며, 외력에 의한 변형으로 회전자(130)를 구속하지 않도록 강도가 큰 자성체의 재질로 형성된다.
이때, 케이스(120)의 내측 중심에는 회전자(130)와 직접 접촉하여 마찰 및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마찰저감부재(도면부호 미도시)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브라켓(110)이 원판부 구조를 가지고, 케이스(120)가 브라켓(110)의 상부를 커버하여 소정의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할 것이며, 브라켓(110)과 케이스(120)가 서로 조립되어 회전자(130)의 회전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어떠한 구조도 채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회전자(130)는 편심회전되어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기판(132), 수지재(136), 권선코일(138), 중량체(140), 및 베어링(14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기판(132)은 회전자(130)의 구성요소를 지지하고, 권선코일(138)에 전원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일부가 절개되어 편심되도록 형성된 반원형 평판 형상으로, 그 중심부에 샤프트(114) 및 베어링(142)이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부기판(132)의 하면에는 복수개의 세그먼트(segment)로 분할되어 있는 정류자(134)가 관통홀을 중심으로 환형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정류자(134)는 후술하는 브러시와 접촉하여 권선코일(138)에 전원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패턴인쇄 또는 도금 등의 방법에 의해 형성된다.
수지재(136)는 베어링(142)을 고정하기 위해 상부기판(132)에 형성되는 것으 로서, 베어링 고정용 홈부를 갖도록 상부기판(132)에 형성된다.
이때, 수지재(136)는 종래기술과 같이 상부기판(132)의 전체영역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베어링 고정용 홈부를 갖도록 베어링(142)이 삽입되는 영역 주변에 최소한으로 형성된다. 상부기판(132)에 대한 고정을 견고히 하기 위해, 수지재(136)는 상부기판(132)의 일측단부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부기판(132)의 측면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베어링(142)은 샤프트(114)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상부기판(132)보다 소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데, 이에 대응하여 베어링(142)을 지지하는 수지재(136) 또한 일정 높이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한 바와 같이, 베어링 고정용 홈부 주변에 형성되는 수지재(136)는 베어링(142)의 높이를 커버하기 위해 상부기판(132)의 상부에 일정 높이 이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부기판(132)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부기판(132)의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수지재(136)는 상부기판(132)과 함께 사출되거나, 별도로 사출되어 상부기판(132)에 억지끼움 고정될 수 있다. 수지재(136)가 상부기판(132)과 별도로 사출되는경우 상부기판(132)에 수지재(136)가 단단히 고정될 수 있도록 수지재(136)는 별도의 후크부분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기술과 달리 권선코일(138)과 베어링(142)이 없는 상태에서 상부기판(132)과 함께 수지재(136)가 사출되거나, 수지재(136)가 별도로 사출되어 상부기판(132)에 부착되는데, 이를 통해 사출공정에서 사출압과 사출온도에 의해 베어링(142) 내의 오일이 소손되거나 권선코일(138)의 단선 및/또는 변형과 같은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사출압과 사출온도에 제한적일 수 밖에 없었던 종래기술에 비해 사출압과 사출온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사출 공정 자유도가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다수의 상부기판(132)으로된 어레이(ARRAY) 상태에서 사출공정의 수행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사출 생산성(사출인력의 감소 및 사출 생산량의 증가)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어레이 상태에서 이후 공정이 진행될 수 있기 때문에 공정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권선코일(138)은 전원 인가시 일정세기의 전기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브러시(150)와 접촉되어 있는 정류자(134)를 통해 전원이 인가되면 전기장을 발생시켜 마그네트(118)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상호작용에 의해 전자기력을 발생시켜 회전자(130)를 회전시키게 된다.
여기서, 권선코일(138)은 본드 또는 양면 테이프를 매개로 하여 상부기판(132)의 상면에 하나 이상 부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출공정에 의한 수지재(136)가 상부기판(132)에 형성된 이후에 권선코일(138)이 부착되기 때문에, 사출압과 사출온도에 의해 권선코일(138)이 단선되거나 변형되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중량체(140)는 회전자(130)가 편심 회전될 수 있도록 일정한 질량을 부가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드 또는 양면 테이프를 매개로 하여 상부기판(132)의 상면에 하나 이상 부착되며 텅스텐과 같은 비중이 높은 금속 등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출공정에 의한 수지재(136)가 상부기판(132)에 형성된 이후에 중량체(140)가 부착되기 때문에, 중량체(140)를 회전자(130)의 최외주에 배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종래기술에 비해 편심량이 증가되어 전체적인 진동력이 개선되게 된다.
즉, 회전자(130)의 편심량은 회전자의 중심에서 무게중심까지의 거리와 회전자의 무게에 대한 곱으로 표현되는 물리량으로서, 중량체(140)가 회전자(130)의 최외주에 배치됨으로써 그 무게중심까지의 편심거리를 증가시켜 궁극적으로 편심량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종래기술에 비해 중량체(140)를 다소 크게 형성하여 부착함으로써 회전자(130)의 무게를 증가시켜 진동력을 개선시킬 수 있다.
베어링(142)은 샤프트(12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회전하는 것으로서, 수지재(136)의 베어링 고정용 홈부에 삽입된다.
이때, 베어링(142)은 베어링 고정용 홈부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고정되거나, 본드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출공정에 의한 수지재(136)가 상부기판(132)에 형성된 이후에 베어링(142)이 고정되기 때문에, 사출압과 사출온도에 의해 베어링(142)의 오일 소손 문제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브러시(150)는 정류자(134)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단이 하부기판(116)의 상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부기판(132)의 하면에 형성된 정류자(134)와 탄성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하부기판(116)는 브러시(15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전원공급부(미도시)와 연결되는데, 전원공급부는 한 쌍의 브러시(150)를 통해 상기 정류자(134)의 세그먼트에 서로 다른 극성의 전류를 공급하도록 양극(+), 음극(-)이 각각 흐르는 양극, 음극단자(미도시)로 이루어져 있다.
편평형 진동모터-제2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모터의 단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각각 도 7에 도시된 편평형 진동모터의 회전자를 나타내는 상부 사시도 및 하부 사시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편형형 진동모터(100b)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이전 실시예와 동일 또는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편편형 진동모터(100b)는 브라켓(110), 케이스(120), 회전자(130), 및 브러시(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도 4에 도시된 편평형 진동모터(100a)와 달리 회전자(130)에 별도의 베어링(142)이 구비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제외하고 다른 부분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모터(100a)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회전자(130)는 상부기판(132), 권선코일(138), 중량체(140), 및 수지재(136)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수지재(136)가 예를 들어, 액정 폴리머(Liquid Crystal Polymer; LCP)와 같이 윤활성과 내마모성이 강한 재질을 이용하여 사출성형하여 샤프트 지지용 홈부(136a)를 갖도록 형성함으로서 베어링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권선코일(138)이 상부기판(132)에 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출공정이 수행되기 때문에, 사출압과 사출온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조밀한 구조의 수지재(136)를 사출할 수 있기 때문에 베어링을 대체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편평형 진동모터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브러시타입의 편평형 진동모터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도 1에 도시된 브러시타입의 편평형 진동모터의 회전자를 나타내는 상부 사시도 및 하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모터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도 4에 도시된 편평형 진동모터의 회전자를 나타내는 상부 사시도 및 하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모터의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각각 도 7에 도시된 편평형 진동모터의 회전자를 나타내는 상부 사시도 및 하부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a, 100b : 편평형 진동모터 110 : 브라켓
112 : 버링부 114 : 샤프트
116 : 하부기판 118 : 마그네트
120 : 케이스 130 : 회전자
132 : 상부기판 134 : 정류자
136 : 수지재 138 : 권선코일
140 : 중량체 142 : 베어링
150 : 브러시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중앙에 샤프트가 축고정되고, 상면에 하부기판과 마그네트가 부착된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상부를 커버하여 내부공간을 마련하는 케이스;
    하면에 정류자가 마련되는 상부기판;
    상기 상부기판의 상면에 부착된 권선코일과 중량체;
    상기 상부기판의 일부분에 형성되되 윤활성과 내마모성이 강한 재질로 사출성형 되고, 내부에 상기 샤프트를 회전가능하게 지지 되도록 하는 샤프트 지지용 홈부를 구비한 수지재; 및
    일단이 상기 하부기판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정류자에 접촉되어 접점부를형성하는 브러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형 진동모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권선코일과 상기 중량체는 본드 또는 양면 테이프에 의해 상기 상부기판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형 진동모터.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수지재는 상기 상부기판과 일체로 사출성형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형 진동모터.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수지재는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되고, 상기 상부기판에 억지끼움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형 진동모터.
KR1020090069054A 2009-07-28 2009-07-28 편평형 진동모터 KR101141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054A KR101141002B1 (ko) 2009-07-28 2009-07-28 편평형 진동모터
US12/554,819 US8076808B2 (en) 2009-07-28 2009-09-04 Flat type vibration motor
CN200910178849.7A CN101969248B (zh) 2009-07-28 2009-09-29 平面式振动电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054A KR101141002B1 (ko) 2009-07-28 2009-07-28 편평형 진동모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4705A Division KR101140957B1 (ko) 2011-08-24 2011-08-24 편평형 진동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417A KR20110011417A (ko) 2011-02-08
KR101141002B1 true KR101141002B1 (ko) 2012-05-02

Family

ID=43526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9054A KR101141002B1 (ko) 2009-07-28 2009-07-28 편평형 진동모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076808B2 (ko)
KR (1) KR101141002B1 (ko)
CN (1) CN10196924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90137B2 (en) * 2009-10-01 2013-03-05 Mark Bryfogle Fluid-driven electrical generator
KR101328326B1 (ko) * 2011-12-23 2013-11-11 삼성전기주식회사 편평형 진동모터
US8623226B2 (en) 2012-04-12 2014-01-07 Eastman Kodak Company Making stacked pancake motors using patterned adhesives
US10349885B2 (en) * 2013-04-18 2019-07-16 Wichita State University Non-invasive biofeedback system
KR101521941B1 (ko) * 2013-09-02 2015-05-20 김태상 편평형 모터용 회전자 및 이를 포함하는 편평형 모터
ES2604812T3 (es) * 2014-05-07 2017-03-09 Koninklijke Philips N.V. Sistema y procedimiento para la extracción de información fisiológica
KR20160015001A (ko) 2014-07-30 2016-02-12 삼성전기주식회사 편평형 진동모터
CN112432772B (zh) * 2020-10-13 2023-06-20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0七研究所 基于直流力矩电机的电刷簧片弹性定性检测装置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4753B1 (ko) * 1999-12-23 2002-05-04 이형도 편평형 진동 모터의 로터 어셈블리
KR20050079297A (ko) * 2004-02-05 2005-08-10 문성수 진동모터의 제조방법
KR100591191B1 (ko) * 2004-11-19 2006-06-21 자화전자 주식회사 편평형 진동모터
KR100903749B1 (ko) 2007-10-16 2009-06-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회전자 및 진동 모터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70405A (en) * 1970-01-29 1972-06-20 Gen Electric Method of making a dynamoelectric machine having improved housing, bearing and support structure
JPH0233573U (ko) * 1988-08-26 1990-03-02
JPH0898458A (ja) * 1994-09-16 1996-04-12 Shicoh Eng Co Ltd 偏平形振動発生装置
US6291915B1 (en) * 1999-01-28 2001-09-18 Tokyo Parts Industrial Co., Ltd. Eccentric rotor for a compact vibrator motor and the compact vibrator motor incorporating the eccentric rotor
US6169348B1 (en) * 1998-12-30 2001-01-02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Flat type two-phase vibration motor
JP2001104882A (ja) * 1999-10-12 2001-04-17 Shigeru Takeuchi 扁平型振動モータ
KR20020001108A (ko) * 2000-06-26 2002-01-09 이형도 휴대폰용 진동 모터의 회전자
JP3337681B2 (ja) * 2000-08-11 2002-10-21 東京パーツ工業株式会社 円盤形偏心ロータ及び同ロータを備えた扁平型振動モータ
TW565985B (en) * 2001-06-29 2003-12-11 Tokyo Parts Industry Co Ltd Eccentric rotor having high density member,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rotor and flat coreless vibration motor using the rotor
JP2003309951A (ja) * 2002-04-11 2003-10-31 Tokyo Parts Ind Co Ltd 貴金属メッキ整流子片を有する軸方向摺接型コミュテータと同コミュテータを備えたロータおよび同ロータを備えた軸方向空隙型モータ
JP3514750B1 (ja) * 2002-09-13 2004-03-31 東京パーツ工業株式会社 薄型コアレスモータ
KR100935509B1 (ko) * 2002-09-13 2010-01-06 도쿄파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초 슬림형 코어리스 모터
KR100549881B1 (ko) * 2003-05-13 2006-02-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편평형 진동 모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4753B1 (ko) * 1999-12-23 2002-05-04 이형도 편평형 진동 모터의 로터 어셈블리
KR20050079297A (ko) * 2004-02-05 2005-08-10 문성수 진동모터의 제조방법
KR100591191B1 (ko) * 2004-11-19 2006-06-21 자화전자 주식회사 편평형 진동모터
KR100903749B1 (ko) 2007-10-16 2009-06-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회전자 및 진동 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969248A (zh) 2011-02-09
US20110025149A1 (en) 2011-02-03
KR20110011417A (ko) 2011-02-08
US8076808B2 (en) 2011-12-13
CN101969248B (zh) 2014-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1002B1 (ko) 편평형 진동모터
KR101095099B1 (ko) 편평형 진동모터
KR101022945B1 (ko) 브러시리스 진동모터
KR100593900B1 (ko) 공진주파수를 이용한 선형 진동모터
US6806603B1 (en) Flat type vibration motor
JP2005012987A (ja) 振動モータ
JP2007181392A (ja) 振動モータ
KR101354518B1 (ko) 리니어 진동모터
KR100726245B1 (ko) 진동모터
US6765331B2 (en) Eccentric rotor having high density member,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flat coreless vibrator motor using the eccentric rotor
KR100986409B1 (ko) 진동자
KR100568296B1 (ko) 접촉궤적이 상이한 브러쉬를 구비하는 진동모터
KR101140957B1 (ko) 편평형 진동모터
KR100893036B1 (ko) 진동자
US9006946B2 (en) Motor structure and flat type vibration motor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1328326B1 (ko) 편평형 진동모터
KR101005006B1 (ko) 진동 모터
KR100631880B1 (ko) 편평형 진동모터
KR101084948B1 (ko) 편평형 진동모터
KR200367224Y1 (ko) 편평형 진동모터
KR100519812B1 (ko) 편심 중량 마그네트를 갖는 브러쉬리스 진동모터
KR101671159B1 (ko) Bldc 진동모터
KR100550919B1 (ko) 처짐 방지 브러쉬를 구비하는 진동모터
KR20030060532A (ko) 편평형 진동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