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1880B1 - 편평형 진동모터 - Google Patents

편평형 진동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1880B1
KR100631880B1 KR1020040094488A KR20040094488A KR100631880B1 KR 100631880 B1 KR100631880 B1 KR 100631880B1 KR 1020040094488 A KR1020040094488 A KR 1020040094488A KR 20040094488 A KR20040094488 A KR 20040094488A KR 100631880 B1 KR100631880 B1 KR 100631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bearing
rotor
molding resin
vibration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4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5604A (ko
Inventor
기현승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4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1880B1/ko
Publication of KR20060055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5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1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1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5Electromechanical oscillators; Vibrating magnetic driv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 H02K15/03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having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14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75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crankshafts or eccentric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내충격성의 향상과 축계손실을 최소화시킨 편평형 진동모터가 제공된다.
상기 편평형 진동모터는, 상부기부의 상부면에 권선코일이 배치되고, 상기 권선코일을 감싸도록 상기 상부기부 상에 성형수지물이 몰딩되며, 상기 상부기부의 하면에 형성된 정류자를 구비하는 로터; 상기 권선코일과 대응하는 마그네트를 갖추고, 상기 정류자와 상단이 접촉하는 브러쉬를 갖추며, 상기 브러쉬의 하단이 고정되고 상기 브러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갖춘 하부기부를 구비하는 스테이터; 상기 하부기부가 상부면에 탑재되는 브라켓에 의해 하향개방된 하부가 밀폐되는 상부케이스; 및 상기 상부케이스와 브라켓에 양단이 고정되는 샤프트를 갖추고, 상기 성형수지물에 의해 상기 상부기부와 이격되도록 상하부가 몰딩된 걸림돌기를 외부면에 갖추며 상기 샤프트의 길이중간에 장착되는 베어링을 구비하여 상기 로터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축계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베어링과 성형수지물의 결합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충격력에 의해 베어링과 성형수지물이 샤프트의 상하 축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로터, 스테이터, 샤프트, 베어링, 걸림돌기

Description

편평형 진동모터{Flat type vibration motor}
도 1은 종래의 편평형 진동모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편평형 진동모터에 구비되는 로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편평형 진동모터를 도시한 것으로,
(a)는 전체 단면도이고,
(b)는 편평형 진동모터에 구비되는 로터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편평형 진동모터에 구비되는 베어링을 도시한 것으로,
(a)는 일체형 걸림돌기를 갖는 베어링의 사시도이고,
(b)는 복수개로 분할된 걸림돌기를 갖는 베어링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편평형 진동모터에 구비되는 로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로터 12..... 상부기부
13..... 정류자 14..... 권선코일
16..... 성형수지물 30..... 스테이터
32..... 하부기부 34..... 마그네트
36..... 브러쉬 40..... 전원공급부
50..... 상부케이스 52..... 브라켓
70..... 축계부 72..... 샤프트
74..... 베어링 74a..... 걸림돌기
본 발명은 편평형 진동모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로터의 성형수지물과 베어링간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충격력에 의한 이들간의 이탈을 방지함으로써 제품의 낙하신뢰성을 향상시키고, 베어링과 샤프트의 접촉면적을 감소시킴으로써 축계손실을 최소화하도록 개선한 편평형 진동모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는 대표적인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인 휴대폰에는 다양한 종류의 착신신호를 발생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착신여부를 인지하도록 하는 각종 착신신호 발생장치들이 탑재된다.
상기와 같은 착신신호 발생장치로는 벨소리나 멜로디등을 발생시키는 음향발생장치, 램프등을 이용하는 조명장치 및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장치 등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상기 진동발생장치는 그 진동원(vibration source)으로 다양한 타입의 진동모터를 사용하고 있는데, 상기 진동모터는 그 형상에 따라 편평형(flat type)과 실린더형(cylinder type)으로 구분되거나 브러쉬의 유무에 따라 브러쉬타입 (brush type)과 브러쉬리스타입(brushless type)으로 구분된다. 이들 중 편평형 진동모터의 경우 두께를 얇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여 휴대폰 부품의 소형화에 유리한 점 등의 여러 장점이 있기 때문에, 그 사용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편평형 진동모터(100)를 도시한 단면도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진동모터(100)는 그 저부에 브라켓(102)이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102)의 중앙에는 일정길이를 갖는 샤프트(104)의 하단이 견고하게 끼워져 수직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102)의 상면에는 미세한 두께를 갖는 플렉시블 기부(106)가 부착되며, 상기 플렉시블 기부(106)상의 외주연에는 주연부에 N,S극이 교대로 착자되도록 구성된 다극의 환형(環形) 마그네트(108)가 부착된다.
상기 마그네트(108)의 관통된 중앙 공간부에는 상기 플렉시블 기부(106)에 하단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고정된 한쌍의 브러쉬(112)가 소정의 각도로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104)에는 베어링(122)에 의해 로터(120)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데, 상기 로터(120)는 회전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베어링(122)에 대해 편심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로터(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을 소정 각도로 절개한 형상의 하드기부(124), 상기 하드기부(124)의 상면에 소정의 전기각을 갖도록 설치된 복수개의 권선 코일(126) 및 상기 권선코일(126)의 주위에 채워지는 성형수지물 (128)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베어링(122)에 대해 무게중심이 편심지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하드기부(124)의 하면에는 인쇄회로와 함께 형성되는 정류자(commutator)(12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정류자(129)는 복수개의 세그먼트(segment)들로 이루어지고 하드기부(124)를 통해 상기 권선코일(12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정류자(129)는 상기 브러쉬(112)의 상단과 탄성적으로 접촉됨으로서 상기 플렉시블 기부(106)에 인가되는 전원을 상기 권선코일(126)에 인가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샤프트(104)의 상단부에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향 개방된 캡형상의 상부케이스(103)가 결합되어 상기 브라켓(102)의 상부에 배치된 부품들을 외부의 간섭으로부터 차단시키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편평형 진동모터(100)는 외부로부터 플렉시블 기부(106)에 전원이 인가되면, 인가된 전원을 브러쉬(112), 정류자(129), 하드기부(124)를 통해 권선코일(126)에 인가시킨다.
이로인해, 상기 권선코일(126)에는 전기장이 발생되고, 이러한 전기장이 상기 마그네트(108)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과 상호작용하여 전자기력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상기 로터(120)는 회전한다.
이때, 상기 로터(120)는 샤프트(104)와 결합되는 베어링(122)에 대해 편심져 있으므로 샤프트(104)에 대해 로터(120)가 회전함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상기 편평형 진동모터에서 발생되는 진동량의 크기는 로터(120)의 자중에 의해서 유발되는 편심력과 비례하며, 보다 큰 진동량을 얻기 위해서는 로터(120)의 편심량을 증대시키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한편, 현재 사용되는 편평형 진동모터의 로터(120)는 하드기부(124)의 상면에 권선코일(126)을 배치하고, 상기 권선코일(126)과 베어링(122)의 주위에 성형수지물(128)을 채워 편심구조를 갖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성형수지물(128)은 로터(120)의 자중을 증가시키기 위해 통상 텅스텐과 같이 비중이 높은 금속분말이 함유된 고비중의 수지재로 이루어지며, 하드기부(124), 권선코일(126) 및 베어링(122)을 금형(미도시)내에 배치시킨 후 인서트 사출에 의해서 이들과 일체로 결합된다.
그러나, 상기 하드기부(124), 권선코일(126) 및 베어링(122)은 성형수지물(128)과 완전하게 일체화되기 어렵다. 특히, 로터의 회전시 진동이 가해지는 베어링(122)은 성형수지물(128)과의 재질 차이로 인해 밀착결합력이 낮고, 걸림력을 발생시키는 별도의 수단이 없기 때문에 수지물의 사출후 완전히 일체화되기 어렵다.
이러한 경우, 진동모터에 조립된 베어링(122)은 상기 로터(120)의 상,하방으로 충격력이 가해지면 성형수지물(128)로부터 샤프트(104)의 축방향으로 분리되어 진동모터의 낙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또한, 상기 베어링(122)과 샤프트(112)의 접촉면적이 과대하여 로터의 회전시 큰 회전부하를 발생시키게 되는데, 이로인해 진동모터의 진동량이 감소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베어링과 성형수지물간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외부로부터의 충격력에 의한 베어링과 성형수지물의 이탈을 방지하고, 로터의 회전부하를 감소시켜 진동 발생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베어링과 샤프트의 접촉면적을 감소시킨 편평형 진동모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기부의 상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권선코일이 배치되고, 상기 권선코일을 감싸도록 상기 상부기부상에 성형수지물이 몰딩되며, 상기 상부기부의 하면에 형성된 정류자를 구비하는 로터;
상기 권선코일과 대응하는 마그네트를 갖추고, 상기 정류자와 상단이 접촉하는 브러쉬를 갖추며, 상기 브러쉬의 하단이 고정되고 상기 브러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갖춘 하부기부를 구비하는 스테이터;
상기 하부기부가 상부면에 탑재되는 브라켓에 의해 하향개방된 하부가 밀폐되는 상부케이스; 및
상기 상부케이스와 브라켓에 양단이 고정되는 샤프트를 갖추고, 상기 성형수지물에 의해 상기 상부기부와 이격되도록 상하부가 몰딩된 걸림돌기를 외부면에 갖추며 상기 샤프트의 길이중간에 장착되는 베어링을 구비하여 상기 로터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축계부;를 포함하는 편평형 진동모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베어링은 그 길이가 상기 성형수지물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으며, 그 상부가 상기 성형수지물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베어링의 외측면에 연속되는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베어링의 외측면에 복수개로 분할되도록 돌출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성형수지물은 상기 샤프트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춘 상기 샤프트가 삽입되는 돌출부를 상기 걸림돌기의 하부에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편평형 진동모터를 도시한 것으로, (a)는 전체 단면도이고, (b)는 편평형 진동모터에 구비되는 로터의 배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편평형 진동모터에 구비되는 베어링을 도시한 것으로, (a)는 일체형 걸림돌기를 갖는 베어링의 사시도이고, (b)는 복수개로 분할된 걸림돌기를 갖는 베어링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편평형 진동모터에 구비되는 로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편평형 진동모터는 로터의 회전을 지지하는 베어링에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성형수지물과의 결합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력에 의해 베어링과 성형수지물이 샤프트의 상하 축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베어링의 길이를 짧게 형성하여 베어링과 샤프트의 접촉면적을 줄임으로서 로터의 회전시 회전부하를 줄임으로써 진동 발생량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편평형 진동모터는 크게 로터(10), 스테이터(30), 상부케이스(50) 및 축계부(70)를 포함하고 있는데, 그 구조에 대해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5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그 하부가 하방으로 개방되어 있는데, 상기와 같이 개방된 하부에는 브라켓(52)이 결합됨으로써 상부케이스(50)의 내부공간은 밀폐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상부케이스(50)의 내부공간에는 로터(10), 스테이터(30) 및 축계부(70)가 배치되는데, 상기 로터(10)는 샤프트(72)와 상기 샤프트(72)에 회전가능하도록 그 길이중간에 결합된 베어링(74)을 구비한 축계부(70)에 의해 스테이터(30)에 대해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샤프트(72)는 그 양단이 상기 상부케이스(50)와 브라켓(52)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상부케이스(50)의 내부에 수직하게 고정된다. 즉, 상기 샤프트(72)의 하단은 상기 브라켓(52)의 상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축고정돌기(52a)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그 상단은 상기 상부케이스(50)의 내측 상면에 형성된 축결합홈(50a)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한편, 상기 축결합홈(50a)의 둘레에는 상기 베어링(74)이 상부케이스(50)의 내측 상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상부케이스(50)와 로터(10)가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상부와셔(54)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축고정돌기(52a)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베어링(74)과 브라켓(52)의 축고정돌기(52a)가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하부와셔(56)가 구비되 어 있다.
상기와 같이 상부케이스(50)의 내부공간에 수직하게 고정된 샤프트(72)에는 베어링(74)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베어링(74)은 상기 샤프트(72)와의 결합을 위한 내경을 갖는 중공형의 원주(圓柱) 형상일 수 있으며, 그 외부면 상에는 걸림돌기(74a)가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74a)는 상기 베어링(74)의 외부면에 일체로 형성된 환형일 수 있으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로 분할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50)내에 설치된 축계부(70)의 베어링(74)은 로터(10)와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로터(10)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기부(12), 정류자(13), 권선코일(14) 및 성형수지물(16)을 구비하고 있다. 이때, 상기 상부기부(12)는 원형 평판이 편심지도록 절개된 형상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원형 평판의 중심부에는 관통홀(12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기부(12)의 하면에는 복수개의 세그먼트(segment)로 분할되어 있는 정류자(13)가 상기 관통홀(12a)을 중심으로 환형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정류자(13)는 상부기부(12)의 하면상으로 노출된 도전성의 재질로 형성되며, 패턴인쇄 또는 도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기부(12)의 상면에는 권선코일(14)이 설치되는데, 상기 권선코일(14)은 상부기부(12)를 통해 상기 정류자(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그 갯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복수개 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부기부(12) 상에 권선코일(14)이 설치된 후 상부기부(12)와 권선코일(14)은 사출되는 성형수지물(16)에 의해 감싸져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몰딩되는데, 바람직하게 상기 성형수지물(16)은 텅스텐과 같은 비중이 높은 금속분말이 함유된 고비중의 수지재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베어링(74)은 상기 성형수지물(16)에 의해 상기 권선코일(14) 및 상부기부(12)와 함께 일체로 몰딩됨으로서 상기 로터(10)와 결합된다. 이때, 상기 베어링(74)은 그 내경이 상기 상부기부(12)의 관통홀(12a)과 동심을 갖게 되며 상기 베어링(74)의 외부면에 형성된 걸림돌기(74a)는 상기 상부기부(12)와 이격된 상태, 즉 상기 걸림돌기(74a)의 상하부가 성형수지물(16)에 의해 완전히 몰딩된 상태로 상기 성형수지물(16)내에 매입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상기 로터(10)에 상하방향으로 충격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상기 베어링(74)은 상기 성형수지물(16)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성형수지물(16)과의 결합력이 증대되며, 상기 로터(10)는 상기 베어링(74)에 대해 편심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베어링(74)은 그 길이가 상기 성형수지물(16)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로터(10)의 회전시 샤프트(72)와 베어링(74)의 과다한 접촉으로 인해 불필요한 회전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베어링(74)의 상부는 상기 성형수지물(16)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로터(10)가 상기 상부케이스(50)의 내측면과 접촉하지 않게 함으로서 상부케이스(50)내에서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성형수지물(16)은 상기 샤프트(72)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춘 돌출부(16a)를 상기 베어링(74)의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즉, 상기 돌출부(16a)는 상기 상부기부(12)의 하방으로 상기 상부기부(12)의 관통홀(12a)을 통과하도록 돌출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16a)는 로터(10)의 회전시 베어링(74)이 파손되어 상기 로터(10)를 샤프트(74)에 대해 지지하지 못하는 경우에 로터(10)가 기울어져 회전됨으로써 다른 구조물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로터(10)의 회전을 보조적으로 지지한다.
즉, 베어링(74)이 손상되지 않은 정상적인 경우 상기 로터(10)는 베어링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나 베어링이 파손되어 로터가 기울어지게 되면 상기 돌출부(16a)는 보조적으로 상기 로터(10)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로터(10)가 기울어져 회전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로터(10)와 후술할 마그네트(34)의 접촉 또는 상부기부(12)와 후술할 브러쉬(36)의 비정상적인 접촉으로 인한 각 부품들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스테이터(30)는 상기 상부케이스(50)의 하부에 결합되는 브라켓(52)의 상면에 구비되는 고정구조물로써, 하부기부(32), 마그네트(34), 브러쉬(36) 및 전 원공급부(40)를 구비하고 있다.
즉, 상기 하부기부(32)는 상기 브라켓(52)상에 부착되며, 상기 하부기부(32)의 상면에는 상기 로터(10)의 권선코일(14)과 대응하는 마그네트(34)가 부착된다. 상기 마그네트(34)는 상기 브라켓(52)에 수직하게 고정된 샤프트(72)를 중심으로 환형으로 배치되며, 그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자극을 형성하여 2n개(n=1,2,3...)의 N,S극을 갖도록 교대로 착자된 영구자석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마그네트(34)의 극수는 증가할수록 필요한 부품수도 증가되므로 부품구성이 간소화될 수 있도록 대략 2 내지 6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하부기부(32)의 상면에는 그 하단이 고정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 한쌍의 브러쉬(36)가 배치되어 있는데, 상기 브러쉬(36)의 상단은 상기 상부기부(12)의 하면에 형성된 정류자(13)와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이때, 상기 브러쉬(36)는 상기 로터(10)를 상방향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정류자(13)와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기부(32)에는 하부기부(32)를 통해 상기 브러쉬(36)에 전원을 인가시키는 전원공급부(40)가 설치된다. 상기 전원공급부(40)는 상술한 한쌍의 브러쉬(36)를 통해 상기 정류자(13)의 세그먼트에 서로 다른 극성의 전류를 공급하도록 양극(+), 음극(-)이 각각 흐르는 양극, 음극단자(미도시)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전원공급부(40)는 상기 하부기부(32) 상에 인쇄된 도전성 패턴(미도시)을 통하여 상기 브러쉬(3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원공급부(40)의 단자 부와 패턴라인의 연결부위는 밀봉수지제(42)에 의해서 밀봉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편평형 진동모터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갖는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러쉬(36)는 음극, 양극용 브러쉬부재가 한쌍으로 이루어지고 각 상단이 로터(10)를 스테이터(3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이때, 상기 전원공급부(40)를 통해 외부전원이 상기 하부기부(32)에 공급되면 상기 브러쉬(36)는 접촉하고 있는 정류자(13)를 통해 상기 전원을 권선코일(14)에 공급한다.
상기와 같이 권선코일(14)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권선코일(14)은 전기장을 형성하게 되며, 이러한 전기장과 상기 마그네트(34)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의 상호작용으로 전자기력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발생되는 전자기력은 샤프트(72)를 중심으로 로터(10)를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때 로터(10)가 상기 샤프트(72)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베어링(74)에 대해 편심져 있으므로 회전시 진동이 발생된다.
즉, 상기 로터(10)는 고비중의 분말이 함유된 성형수지물(16)의 편심하중 또는 상기 성형수지물(16)내에 구비될 수 있는 편심 중량체(미도시)에 의해 상기 샤프트(72)에 발생되는 측압이 상기 로터(10)를 수용하고 있는 상부케이스(50) 및 브라켓(52)에 전달됨으로써 진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편평형 진동모터에 충격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성형수지물(16)과 베어링(74)은 성형수지물(16)이 걸림돌기(74a)와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하방향으로 이탈될 우려가 없다.
그리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74a)가 복수개로 분할되도록 형성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걸림돌기(74a)사이에 성형수지물(16)이 유입되므로 성형수지물(16)과 베어링(74)이 회전시 회전미끄럼이 발생하는 것을 추가로 방지함으로서 전자기력에 의한 로터(10)의 회전 손실을 최소화하여 진동량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성형수지물(16)과 베어링(74)의 결합력이 걸림돌기(74a)에 의해 확보됨에 따라 성형수지물(16)과 베어링(74)의 접촉면적이 감소하더라도 결합력이 저하되지 않게 되므로 베어링(74)의 길이를 짧게 하여 샤프트(72)와의 마찰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베어링(74)의 길이를 감소시킴으로써 샤프트(72)와의 마찰 손실을 감소시키게 되면 회전시 베어링(74)과 샤프트(72)의 마찰 손실이 감소하게 되고 이로인해 로터(10)의 회전시 회전부하가 감소됨으로써 진동모터의 진동 발생량이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로터의 회전을 지지하는 베어링에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성형수지물과의 결합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충격력에 의해 베어링과 성형수지물이 샤프트의 상하 축방향으로 서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베어링의 길이를 성형수지물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짧게 형성하여 베어링과 샤프트의 접촉면적을 줄이고, 이로인해 로터의 회전시 회전부하를 감소시켜 진동 발생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Claims (5)

  1. 상부기부의 상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권선코일이 배치되고, 상기 권선코일을 감싸도록 상기 상부기부 상에 성형수지물이 몰딩되며, 상기 상부기부의 하면에 형성된 정류자를 구비하는 로터;
    상기 권선코일과 대응하는 마그네트를 갖추고, 상기 정류자와 상단이 접촉하는 브러쉬를 갖추며, 상기 브러쉬의 하단이 고정되고 상기 브러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갖춘 하부기부를 구비하는 스테이터;
    상기 하부기부가 상부면에 탑재되는 브라켓에 의해 하향개방된 하부가 밀폐되는 상부케이스; 및
    상기 상부케이스와 브라켓에 양단이 고정되는 샤프트를 갖추고, 상기 성형수지물에 의해 상기 상부기부와 이격되도록 상하부가 몰딩된 걸림돌기를 외부면에 갖추며 상기 샤프트의 길이중간에 장착되는 베어링을 구비하여 상기 로터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축계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베어링의 외측면에 복수개로 분할되도록 돌출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형 진동모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은 그 길이가 상기 성형수지물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으며, 그 상부가 상기 성형수지물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형 진동모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베어링의 외측면에 연속되는 일체형 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형 진동모터.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수지물은 상기 샤프트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추어 상기 샤프트가 삽입되는 돌출부를 상기 걸림돌기의 하부에 구비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형 진동모터.
KR1020040094488A 2004-11-18 2004-11-18 편평형 진동모터 KR100631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4488A KR100631880B1 (ko) 2004-11-18 2004-11-18 편평형 진동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4488A KR100631880B1 (ko) 2004-11-18 2004-11-18 편평형 진동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5604A KR20060055604A (ko) 2006-05-24
KR100631880B1 true KR100631880B1 (ko) 2006-10-09

Family

ID=37151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4488A KR100631880B1 (ko) 2004-11-18 2004-11-18 편평형 진동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18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437B1 (ko) * 2010-06-25 2012-01-02 삼성전기주식회사 편평형 진동모터
KR102049404B1 (ko) * 2018-04-23 2019-11-28 주식회사 오리엔텍 진동모터에 사용되는 로터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5604A (ko) 2006-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28705B1 (en) Vibration motor
KR100519810B1 (ko) 편평형 진동모터
KR100593900B1 (ko) 공진주파수를 이용한 선형 진동모터
KR20110011417A (ko) 편평형 진동모터
KR100631880B1 (ko) 편평형 진동모터
KR100568304B1 (ko) 편평형 진동모터
KR100986409B1 (ko) 진동자
KR100765111B1 (ko) 진동 모터
KR100631881B1 (ko) 회전부하를 감소시킨 편평형 진동모터
JP2005198482A (ja) バータイプ振動モータ
KR100638724B1 (ko) 진동모터
KR100616628B1 (ko) 편평형 진동모터
KR100893036B1 (ko) 진동자
KR101005006B1 (ko) 진동 모터
KR100519812B1 (ko) 편심 중량 마그네트를 갖는 브러쉬리스 진동모터
KR100284879B1 (ko) 단상의 진동모터
KR100284880B1 (ko) 단상의 진동모터
KR100401107B1 (ko) 진동모터
KR100616629B1 (ko) 편평형 진동모터
KR100411141B1 (ko) 진동모터
KR20050067279A (ko) 평편형 진동모터의 브러쉬
JPH0937510A (ja) 円筒形コアレス振動モ−タ
KR101101444B1 (ko) 편평형 진동 모터
KR100526252B1 (ko) 평편형 진동모터
KR200285847Y1 (ko) 코인형 진동모터의 로터용 부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