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6629B1 - 편평형 진동모터 - Google Patents

편평형 진동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6629B1
KR100616629B1 KR1020040088365A KR20040088365A KR100616629B1 KR 100616629 B1 KR100616629 B1 KR 100616629B1 KR 1020040088365 A KR1020040088365 A KR 1020040088365A KR 20040088365 A KR20040088365 A KR 20040088365A KR 100616629 B1 KR100616629 B1 KR 100616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motor
rotor
weight body
upper base
molding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8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9258A (ko
Inventor
기현승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8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6629B1/ko
Publication of KR20060039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9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6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6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75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crankshafts or eccentr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B06B1/045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using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 H02K15/03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having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5Electromechanical oscillators; Vibrating magnetic 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평형 진동모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이상의 권선코일을 감싸는 성형수지물을 상부기부의 상부면에 일체로 구비하는 로터; 권선코일과 대응하는 마그네트를 갖추고, 상기 상부기부의 코뮤테이터에 상단이 접촉하는 브러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부기부를 갖추고, 상기 브러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구비하는 스테이터; 하부기부가 상부면에 탑재되는 브라켓에 의해 하향개방된 하부가 밀폐되는 상부케이스; 및 상기 상부케이스와 브라켓에 양단이 고정되는 샤프트의 길이중간에 베어링을 갖는 축계부;를 포함하고, 상기 권선코일의 근방에는 외부면이 상기 상부기부의 외주연에 정렬되는 중량체를 적어도 하나 구비하고, 상기 마그네트와 대응되는 중량체의 하부면에는 상기 상부기부에 절개된 절개부에 배치되는 돌출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로터의 제한된 체적내에서 로터의 편심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고비중의 중량체를 로터의 최외주까지 배치하고, 인서트사출시 성형수지물을 저가의 수지재로 대체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사출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하여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진동모터, 로터,스테이터, 중량체, 돌출부, 편심량, 성형수지물

Description

편평형 진동모터{flat type vibration motor}
도 1은 일반적인 편평형 진동모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편평형 진동모터에 구비되는 로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편평형 진동모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편평형 진동모터에 구비되는 로터를 도시한 것으로써,
a)는 평면도,
b)는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4(a)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로터 111 : 상부기부
112 : 권선코일 113 : 중량체
113a : 돌출부 113b : 요부
114 : 성형수지물 117 : 절개부
120 : 스테이터 121 : 하부기부
122 : 마그네트 123 : 전원공급부
125 : 브러쉬 140 : 축계부
141 : 샤프트 142 : 베어링
본 발명은 편평형 진동모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로터의 제한된 체적내에서 로터의 편심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고비중의 중량체를 로터의 최외주까지 배치하고, 인서트사출시 성형수지물을 저가의 수지재로 대체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사출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하여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편평형 진동모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기기에서 착신을 하기 위해 많이 사용되는 것이 벨소리와 진동이다. 진동을 위해서는 소형의 진동모터를 구동시켜 구동력이 기기의 케이스로 전달되도록 하여 기기가 진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현재 휴대폰에 적용되고 있는 진동모터는 모터의 형상에 따라 편평형(flat type)과 실린더형(cylinder type)으로 구분되거나 브러쉬의 유무에 따라 브러쉬타입(brush type)과 브러쉬리스타입(brushless type)으로 구분된다. 이들 중에서 편평형 진동모터의 경우 두께를 얇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여 휴대폰 부품의 소형화에 유리한 점 등의 여러 장점이 있기 때문에, 그 사용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편평형 진동모터를 도시한 단면도로써, 도시한 바와같이, 종래의 진동모터(1)는 저부에 브라켓트(11)가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트(11)의 중앙에는 일정길이를 갖는 샤프트(12)의 하단이 견고하게 끼워져 수직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트(11)의 상부면에는 미세한 두께를 갖는 플렉시블 기판(13)이 부착되며, 상기 플렉시블 기판(13)의 외주연에는 주연부에 N,S극이 교대로 착자되도록 구성된 다극의 환고리형 마그네트(14)가 부착된다.
상기 마그네트(14)의 관통된 중앙의 공간부에는 상기 플렉시블 기판(13)에 하단이 부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쌍의 브러쉬(15)가 소정의 각도로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샤프트(12)에는 상부로 베어링(21)이 결합되고, 상기 베어링(21)의 외주면에는 회전부재인 로터(20)가 편심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로터(2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원형의 평판을 소정의 각도로 절개한 하드기판(24)에 상부면으로는 소정의 전기각을 갖도록 하여 복수개의 권선 코일(27)이 접합되도록 올려지고, 상기 권선코일(27)의 주위는 성형수지물(26)로서 채워지게 하는 구성이다.
상기 하드기판(24)의 저면에는 상기 베어링(21)에 지지되는 내측단부로 복수개의 세그먼트(segment)들로 이루어지는 코뮤테이터(commutator)(25)가 인쇄회로의 형성시 동시에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코뮤테이터(25)는 상기 브러쉬(15)의 상단과 탄력적으로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샤프트(12)의 상단부에는 하향 개방되는 캡형상의 상부케이스(19)가 결합되어 상기 브라켓트(11)의 상부로 구비되는 부품들을 외부의 간섭으로 부터 차단시키게 된다.
이와같은 진동모터(1)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플렉시블 기판(13), 브러쉬(15), 코뮤테이터(25), 하드기판(24)을 통해서 권선코일(27)에 통전되게 하면, 상기 권선코일(27)에서 발생되는 전기장과 상기 마그네트(14)에서 발생되는 자기장간의 상호작용에 의한 전자기력의 발생에 의해 상기 로터(20)가 회전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로터(20)는 상기 샤프트(12)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상기 샤프트(12)에 편심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편심회전구동되는 로터(20)의 편심 구동력이 샤프트(12)를 통해 상기 브라켓트(11)및 상부케이스(19)에 전달되므로서 기기전체를 진동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진동모터(1)에 의한 진동작용은 한쪽으로 편중되는 로터의 무게에 의해서 유발되는 로터(20)의 편심력에 의해 수행됨을 알 수가 있으며, 결과적으로 보다 큰 진동량을 얻기 위해서는 로터(20)의 편심량을 증대시키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한편, 현재 사용되고 있는 진동모터(1)의 로터(20)는 하드기판(24)의 상부면에 권선코일(27)을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권선코일(27)과 베어링(21)의 주위에는 성형수지물(26)을 채워 편심구조를 갖는 로터(20)를 구성하게 된다. 이때의 성형수지물(26)은 통상 텅스텐과 같은 비중이 높은 금속분말이 함유되는 고비중의 수지재이며, 상기 성형수지물(26)은 하드기판(24)과 권선 코일(27)을 배치한 상,하부금형(미도시)내로 주입하는 인서트 사출에 의해서 이들과 일체로 결합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하드기판(24)상에 권선코일(27)과 베어링(21)을 인서트사출에 의해서 일체로 결합시키는 성형수지물(26)은 수지재에 잘 녹지 않고 비중이 높은 금속분말에 의해서 유동성이 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하부금형(미도시)의 캐비터내에 권선코일(27), 베어링(21)이 올려진 하드기판(24)을 배치한 상태에서 주입공을 통해 액상의 성형수지물(26)을 주입하여 인서트사출할때, 유동성이 좋지 않은 성형수지물(26)이 전체몰딩영역으로 고르게 퍼지도록 대단히 큰 주입압력이 필요로 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인서트사출작업시 캐비티내로 가해지게 되는 높은 주입압력에 의해서 상기 하드기판(24), 권선코일(27)이 변형되거나 회로가 단선되는 제품불량이 유발되고, 상기 베어링(21)이 정위치에서 이동되어 사출후 샤프트(12)와 위치이동된 베어링(21)간의 조립작업을 곤란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비중의 금속분말을 포함하는 성형수지물(26)은 실질적으로 로터전체에서 차지하는 편심 무게비율이 대단히 작고, 상기 샤프트(12)에 지지되는 중심부에서 상기 성형수지물(26)이 일측으로만 형성되지 않고 그와 대응되는 타측으로도 일부 형성되는 경우 타측에 형성된 성형수지물(26)이 로터(20)의 편심량을 도리어 감소시키게 되면서 로터(20)의 편심구동력을 저하시키게 된다.
그리고, 고비중의 금속분말을 포함하는 성형수지물(26)은 로터(20)에서 수행하는 기능에 비하여 제조원가가 대단히 비싸 모터의 가격경쟁력을 저하시키고, 인서트사출작업의 난이도가 높아 작업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써, 그 목적은 고비중의 중량체를 로터의 최외주까지 배치하여 로터의 제한된 체적내에서 로터의 편심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편평형 진동모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로터를 인서트사출하는데 사용되는 성형수지물을 저가의 수지재로 대체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인서트사출하는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하여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편평형 진동모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써,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이상의 권선코일을 감싸는 성형수지물을 상부기부의 상부면에 일체로 구비하는 로터;
상기 권선코일과 대응하는 마그네트를 갖추고, 상기 상부기부의 코뮤테이터에 상단이 접촉하는 브러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부기부를 갖추고, 상기 브러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구비하는 스테이터;
상기 하부기부가 상부면에 탑재되는 브라켓에 의해 하향개방된 하부가 밀폐되는 상부케이스 ; 및
상기 상부케이스와 브라켓에 양단이 고정되는 샤프트의 길이중간에 베어링을 갖는 축계부;를 포함하고,
상기 권선코일의 근방에는 외부면이 상기 상부기부의 외주연에 정렬되는 중량체를 적어도 하나 구비하고, 상기 마그네트와 대응되는 중량체의 하부면에는 상기 상부기부에 절개된 절개부에 배치되는 돌출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형 진동모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량체는 상기 성형수지물과 대응하는 외부면에 상기 성형수지물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요부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량체의 외주면은 상기 상부기부의 외주와 대략적으로 동일한 원호형상으로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량체의 상부면은 상기 성형수지물의 상부면과 동일한 평면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는 상기 중량체의 하부면적에 대하여 1/3 내지 1/2 정도의 비율로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의 하부면은 상기 상부기부의 하부면과 동일한 평면상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성형수지물은 고비중의 금속분말을 추가 포함하는 수지재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편평형 진동모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a)(b)는 본 발명에 따른 편평형 진동모터에 구비되는 로터를 도시한 평면도와 배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편평형 진동모터에 구비되는 로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진동모터(100)는 도 3 내지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한된 체적에서 편심회전구조물의 편심량을 극대화시켜 모터의 진동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써, 이는 로터(110), 스테이터(120), 상부케이스(130)및 축계부(140)로 구성된다.
즉, 상기 로터(110)는 상기 스테이터(120)에 대하여 상기 축계부(140)를 중심으로 하여 편심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편심회전구조물로써, 이는 상부기부(111), 권선코일(112), 중량체(113), 성형수지물(114)및 코뮤테이터(115)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기부(111)는 상기 축계부(140)와 대응하는 상부면에 베어링장착공(111a)이 관통형성된 원형의 하드기판부재로 구성되거나 원형의 평판을 소정의 각도로 편심지게 절개한 편심진 하드기판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기부(111)의 패턴회로가 형성되지 않는 상부면에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권선코일(112)을 구비하고, 상기 권선코일(112)근방의 상부기부(111)에는 텅스텐과 같이 비중이 높은 소재로 이루어진 고비중의 중량체(113)를 편심배치한다.
상기 상부기부(111)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중량체(113)는 그 외주면이 상기 상부기부(111)의 외주연에 정열되어 외부로 노출되도록 편심배치되고, 텅스텐과 같 은 고비중을 갖는 금속을 소재로 하여 성형되는 중량물이다.
여기서, 외부로 노출되는 중량체(113)의 외주면은 상기 상부기부(111)의 외주와 대략적으로 동일한 원호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기부(111)상에 몰딩되는 성형수지물(114)과 대응하여 접촉하는 중량체(113)의 외부면에는 상기 성형수지물(114)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요부(113b)를 함몰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중량체(113)가 편심배치되는 상부기부(111)의 일측에는 일정크기의 절개부(117)를 형성하고, 상기 절개부(117)에는 상기 스테이터(120)의 마그네트(122)와 대응하도록 상기 중량체(113)의 하부면이 노출되고, 상기 절개부(117)를 통해 하부로 노출되는 중량체(113)의 하부면에는 상기 절개부(117)에 배치되는 돌출부(113a)를 돌출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113a)는 상기 중량체(113)의 하부면적에 대하여 1/3 내지 1/2 정도의 비율을 갖추어 부면이 하부로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113a)의 하부면은 상기 상부기부(111)의 하부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중량체(113)의 상부면도 상기 절연수지물(114)의 상부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기부(111)의 하부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분할된 세그먼트(segment)로 이루어지고, 접촉면이 하부로 노출되는 코뮤테이터(115)를 구비하며, 상기 코뮤테이터(115)는 금, 은과 같은 금속소재로 구성되고, 0.05mm 내외의 두께를 갖도록 패턴인쇄되거나 도금처리될 수 있다.
상기 상부기부(111)와 권선코일(112)및 중량체(113)는 인서트 사출성형되는 성형수지물(114)의 내부에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몰딩되며, 상기 상부기부(111)는 상기 성형수지물(114)의 사출성형시 상기 권선코일(112)과 중량체(113)와 더불어 일체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성형수지물(114)은 텅스텐과 같은 비중이 높은 금속분말이 함유되는 않은 저비중이고, 저가의 수지재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금속분말이 함유된 수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로터(110)의 무게중심은 편심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부기부(111)의 일측에 외주면이 외부로 노출될정도로 편심배치된 중량체(113)에 의하여 일측으로 중심이 편중되어 상기 로터(110)의 회전시 진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테이터(120)는 하향개방된 상부케이스(130)의 하부를 밀폐하도록 조립되는 브라켓(135)상에 구비되는 고정구조물로써, 이는 하부기부(121), 마그네트(122), 전원공급부(123)및 브러쉬(125)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기부(121)의 상부면에는 상기 권선코일(112)과 대응하고, 상기 돌출부(113a)와 대응하는 마그네트(122)가 장착되며, 상기 마그네트(122)는 원주방향으로 N,S극이 교대로 착자된 환고리형상으로 구비되며, N,S극이 2n개 즉, 2개, 4개, 6개 .... 씩 교대로 착자되는 영구자석이다.
이러한 마그네트(122)의 극수는 배치되는 극수에 따라서 내부의 부품수도 증가됨을 감안하여 부품구성이 간소화될 수 있도록 대략 2 내지 6개로 하는 것이 바 람직하다.
상기 하부기부(121)의 상부면에는 상기 상부기부(111)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코뮤테이터(115)와 상부단이 탄력적으로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쌍의 브러쉬(125)를 고정설치하며, 상기 한쌍의 브러쉬(125)는 상기 코뮤테이터(115)의 세그먼트에 서로 극성의 전류를 공급하도록 양극(+), 음극(-)이 각각 흐르는 양극, 음극단자로 이루어진 전원공급부(1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브러쉬(125)와 전원공급부(123)는 상기 하부기부(121)의 상부면에 인쇄되는 도전성 패턴라인(미도시)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원공급부(123)의 단자부와 패턴라인의 연결부위는 밀봉수지재(123a)에 의해서 밀봉된다.
또한, 상기 로터(110)와 스테이터(120)는 하향개방된 컵상의 상부케이스(130)와 그 하부에 조립되는 브라켓(135)사이에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로터(110)는 샤프트(141)와 베어링(142)로 이루어진 축계부(140)에 의해서 상기 스테이터(12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샤프트(141)의 상,하부 양단은 상기 상부케이스(130)와 브라켓(135)사이에 고정되는바, 상기 샤프트(141)의 상부단은 상부케이스(130)의 저면중심에 함몰형성된 상부축지부(141a)에 지지되고, 하부단은 상기 브라켓(135)의 상부면 중심에 돌출형성된 하부축지부(141b)에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축지부(141a)에는 상기 베어링(142)과 상부케이스(130)간의 직접적인 마찰을 방지하면서 상기 상부케이스(130)와 회전자(110)간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부와셔(145a)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축지부(141b)에도 상기 베어링(142)과 브라켓(135)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도록 하부와셔(145b)가 구비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진동모터(100)에서 착신신호인 진동이 발생되는 작용은 다음과 같다.
외부전원이 전원공급부(123), 하부기부(121)를 통하여 브러쉬(125)에 공급되면, 음극, 양극용 브러쉬부재가 한쌍으로 이루어진 브러쉬(125)의 각 상부단은 로터(110)와 스테이터(120)간의 상하간격을 유지하도록 상방으로 탄력지지됨과 동시에 상부기부(111)의 하부면에 구비된 코뮤테이터(115)와 탄성적으로 접하도록 접촉하기 때문에, 다수개로 분할된 코뮤테이터(115)의 세그먼트와 양극,음극용으로 분할구성된 브러쉬(125)와의 전기적인 접촉에 의해서 상기 코뮤테이터(11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권선코일(112)측으로 전류가 번갈아 가면서 공급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로터(110)의 권선코일(112)에서 발생되는 전기장과 상기 스테이터(120)의 마그네트(122)에서 발생되는 자기장간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상기 로터(110)는 상기 샤프트(141)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일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상기 로터(110)에는 상부기부(111)의 일측에 고비중의 금속소재로 이루어진 중량체(113)가 일측에 편심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샤프트(141)에 발생되는 측압이 상기 로터(110)를 내부수용하는 상부케이스(130),브라켓(135)및 기기전체에 전달되어 착신감지용 진동을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중량체(113)는 그 외주연이 상기 상부기부(111)의 외주연에 정렬되어 외부로 노출될 정도로 편심배치되고, 상기 마그네트(122)와 대응하는 하부면에 상기 상부기부(111)의 외측에 절개된 절개부(117)를 통하여 하부로 돌출되는 돌출부(113a)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로터(110)의 제한된 체적내에서 회전구동시 그 편심량을 극대화시킬 수있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카메라폰과 같이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어 부피및 중량이 커지는 휴대단말기에 구비되는 로터의 제한된 체적에서 편심량을 증대시켜 진동량을 늘릴 수 있기 때문에, 휴대단말기의 부피,중량 증가에 관계없이 동일한 진동량을 얻을 수 있어 부피,중량증가에 따른 진동량 감소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기부(111)상에 구비되는 권선코일(112), 중량체(113)를 베어링(142)과 더불어 일체화하도록 몰딩하는 성형수지물(114)을 고비중의 텅스턴 금속분말이 포함되지 않은 저가의 수지재로 대체할 수 있기 때문에, 모터의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인서트사출시 비교적 낮은 주입압력으로 수지재를 상,하부금형의 캐비티내로 주입하는 사출공정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인서트사출시 주입되는 수지재에 의해서 상부기부(111), 권선코일(112)이 변형되거나 회로가 단선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상부기부(111)의 베어링장착공(111a)에 배치된 베어링(142)의 위치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중량체(113)의 외부면에 형성된 요부(113b)에 성형수지물(114)이 채워져 이들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외부충격및 낙하충격에 의해서 상기 중량체(113)가 성형수지물(114)로부터 분리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로터의 상부기부에 권선코일, 베어링과 더불어 성형수지물에 의해서 인서트사출되는 중량체의 외주연이 상부기부의 외주연에 정렬되고, 하부면에 상부기부의 절개부를 통하여 하부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형성함으로써, 로터의 제한된 체적내에서 회전구동시 편심량을 극대화시켜 진동량을 증대시킬 수 있기 때문에, 기능추가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부피,중량 증가에 맞추어 모터의 체적변화없이 진동량을 증대시켜 모터의 진동특성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성형수지물을 저가의 수지재로 대체하여 모터의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수지재의 주입압력을 낮추어 인서트사출하는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인서트사출시 부품이 변형되거나 회로가 단선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불량율을 낮출수 있으며, 부품을 항상 사전에 설정된 위치에 정위치시켜 부품간의 조립을 보다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중량체와 성형수지물간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외부충격및 낙하충격에 의해서 중량체가 성형수지물로부터 분리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 낙하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청구범 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7)

  1. 적어도 하나이상의 권선코일을 감싸는 성형수지물을 상부기부의 상부면에 일체로 구비하는 로터;
    상기 권선코일과 대응하는 마그네트를 갖추고, 상기 상부기부의 코뮤테이터에 상단이 접촉하는 브러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부기부를 갖추고, 상기 브러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구비하는 스테이터;
    상기 하부기부가 상부면에 탑재되는 브라켓에 의해 하향개방된 하부가 밀폐되는 상부케이스 ; 및
    상기 상부케이스와 브라켓에 양단이 고정되는 샤프트의 길이중간에 베어링을 갖는 축계부;를 포함하고,
    상기 권선코일의 근방에는 외부면이 상기 상부기부의 외주연에 정렬되는 중량체를 적어도 하나 구비하고, 상기 마그네트와 대응되는 중량체의 하부면에는 상기 상부기부에 절개된 절개부에 배치되는 돌출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형 진동모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는 상기 성형수지물과 대응하는 외부면에 상기 성형수지물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요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형 진동모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의 외주면은 상기 상부기부의 외주와 대략적으로 동일한 원호형상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형 진동모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의 상부면은 상기 성형수지물의 상부면과 동일한 평면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형 진동모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중량체의 하부면적에 대하여 1/3 내지 1/2 정도의 비율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형 진동모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하부면은 상기 상부기부의 하부면과 동일한 평면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형 진동모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수지물은 고비중의 금속분말을 추가 포함하는 수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형 진동모터.
KR1020040088365A 2004-11-02 2004-11-02 편평형 진동모터 KR100616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8365A KR100616629B1 (ko) 2004-11-02 2004-11-02 편평형 진동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8365A KR100616629B1 (ko) 2004-11-02 2004-11-02 편평형 진동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9258A KR20060039258A (ko) 2006-05-08
KR100616629B1 true KR100616629B1 (ko) 2006-08-28

Family

ID=37146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8365A KR100616629B1 (ko) 2004-11-02 2004-11-02 편평형 진동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662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9258A (ko) 2006-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8456B1 (ko) 표면실장이 가능한 선형 진동자
KR100541113B1 (ko) 패턴코일형 수직진동자
KR100593900B1 (ko) 공진주파수를 이용한 선형 진동모터
KR100519810B1 (ko) 편평형 진동모터
KR101354518B1 (ko) 리니어 진동모터
CN100362729C (zh) 振动发生装置及使用该振动发生装置的电子设备
KR100568296B1 (ko) 접촉궤적이 상이한 브러쉬를 구비하는 진동모터
KR100568304B1 (ko) 편평형 진동모터
KR100616629B1 (ko) 편평형 진동모터
KR100616628B1 (ko) 편평형 진동모터
KR20080108389A (ko) 진동자
WO2005027317A1 (ja) 振動発生用電動機
KR20110035660A (ko) 진동모터
KR100638724B1 (ko) 진동모터
KR20050121946A (ko) 판 스프링 일체형 케이스를 구비하는 선형진동엑츄에이터
KR100893036B1 (ko) 진동자
KR101521941B1 (ko) 편평형 모터용 회전자 및 이를 포함하는 편평형 모터
KR100631880B1 (ko) 편평형 진동모터
KR100631881B1 (ko) 회전부하를 감소시킨 편평형 진동모터
KR100541099B1 (ko) 평편형 진동모터의 브러쉬
KR100321870B1 (ko) 편평형 진동 모터
KR100489831B1 (ko) 브러쉬리스타입 진동모터
KR100526252B1 (ko) 평편형 진동모터
KR100550920B1 (ko) 평편형 진동모터
KR100303882B1 (ko) 단상의 진동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