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1444B1 - 편평형 진동 모터 - Google Patents

편평형 진동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1444B1
KR101101444B1 KR1020100053506A KR20100053506A KR101101444B1 KR 101101444 B1 KR101101444 B1 KR 101101444B1 KR 1020100053506 A KR1020100053506 A KR 1020100053506A KR 20100053506 A KR20100053506 A KR 20100053506A KR 101101444 B1 KR101101444 B1 KR 101101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substrate
coil
vibration motor
rotating magnetic
var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3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3863A (ko
Inventor
김용태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3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1444B1/ko
Publication of KR20110133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3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1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1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3/00Structural associations of current collectors with motors or generators, e.g. brush mounting plates or connections to windings; Disposition of current collectors in motors or generators; Arrangements for improving commutation
    • H02K13/10Arrangements of brushes or commutators specially adapted for improving commutation
    • H02K13/105Spark suppressors associated with the commuta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3/00Structural associations of current collectors with motors or generators, e.g. brush mounting plates or connections to windings; Disposition of current collectors in motors or generators; Arrangements for improving commutation
    • H02K13/10Arrangements of brushes or commutators specially adapted for improving commut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1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rotary unbalanced masses
    • H02K7/063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rotary unbalanced masses integrally combined with motor parts, e.g. motors with eccentric r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5Electromechanical oscillators; Vibrating magnetic driv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 H02K7/08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radi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at only one end of the ro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7Vibrating means for incoming c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 Machiner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 모터는 회전 중심이 되는 지지축이 압입되어 지지되며, 자극을 형성하는 마그네트를 일면에 구비하는 스테이터; 상기 지지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어링; 상기 베어링이 관통하는 홀이 구비된 회전자기판의 일면에 상기 마그네트의 자화면과 대향되는 코일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자기판의 타면에 형성되어 상기 코일로 외부전원을 공급하는 정류자를 구비하여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베어링과 일체로 회전하면서 진동을 발생시키는 회전자; 상기 정류자와 접촉하여 상기 코일에 외부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상기 스테이터에 결합하는 브러쉬; 및 상기 브러쉬와 상기 정류자 사이에 발생하는 서지 전압을 흡수하기 위해 상기 회전자기판의 일면에 형성되는 배리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편평형 진동 모터{Flat type vibration motor}
본 발명은 편평형 진동 모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브러쉬와 정류자의 손상을 방지하는 편평형 진동 모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해 LCD 화면이 큰 개인휴대단말기의 출시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터치스크린 방식이 채택되게 되고, 터치시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해 진동모터가 사용되고 있다.
진동모터는 전자기적 힘의 발생원리를 이용하여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하는 부품으로써, 개인휴대단말기에 탑재되어 무음 착신알림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진동모터는 회전력을 발생시켜 불평형 질량의 회전부를 회전시킴으로써 기계적 진동을 얻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회전력은 브러쉬(Brush)와 정류자(commutator)의 접점을 통해 정류작용을 거쳐 기계적 진동을 얻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브러시 타입의 편평형 진동 모터는 정류자(Commutator)를 사용한 브러쉬(Brush) 타입의 구조로서 모터 회전시 브러쉬(Brush)가 정류자(Commutator)의 세그먼트와 세그먼트의 극간을 지나면서 발생하는 마찰에 의한 기계적 마모와 브러쉬(Brush)와 정류자(Commutator)의 스위칭시 발생하는 높은 서지 전압으로 발생하는 스파크에 의한 전기적 마모가 동시에 발생한다.
이러한 기계적 마모와 전기적 마모는 편평형 진동 모터의 수명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으며, 특히 전기적 마모는 모터의 수명에 결정적인 요소로 작용한다.
따라서, 전기적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스파크 저감 소자로 인쇄회로기판상에 인쇄된 카본 저항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카본 저항은 소모성 소자로 브러쉬(Brush)와 정류자(Commutator)의 스위칭시 발생하는 높은 서지 전압을 전부 소모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카본 저항은 코일과 병렬로 연결되어 코일 자체의 저항보다 합성저항이 작아져서 높은 전류가 흐르게 되어 전력소모가 크다는 문제도 있다.
따라서, 브러쉬(Brush)와 정류자(Commutator)의 스위칭시 발생하는 높은 서지 전압을 방지하고 전력소모를 줄여 수명이 연장할 수 있는 진동 모터의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서지 전압을 방지하고 전력소모를 줄여 수명을 연장시키고, 상대적으로 큰 선경의 코일을 사용해 토크를 올릴 수 있는 편평형 진동 모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 모터는 회전 중심이 되는 지지축이 압입되어 지지되며, 자극을 형성하는 마그네트를 일면에 구비하는 스테이터; 상기 지지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어링; 상기 베어링이 관통하는 홀이 구비된 회전자기판의 일면에 상기 마그네트의 자화면과 대향되는 코일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자기판의 타면에 형성되어 상기 코일로 외부전원을 공급하는 정류자를 구비하여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베어링과 일체로 회전하면서 진동을 발생시키는 회전자; 상기 정류자와 접촉하여 상기 코일에 외부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상기 스테이터에 결합하는 브러쉬; 및 상기 브러쉬와 상기 정류자 사이에 발생하는 서지 전압을 흡수하기 위해 상기 회전자기판의 일면에 형성되는 배리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 모터의 상기 배리스터는 칩형 또는 링형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 모터의 상기 배리스터는 상기 회전자기판의 축방향 상측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 모터의 상기 회전자는 상기 코일이 내면에 결합하는 요크를 포함하며, 상기 요크의 밀폐 내부면의 일정영역에 질량체가 구비되어 회전하면서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 모터의 상기 회전자기판의 상부에 대응되는 상기 요크의 내부는 성형수지재로 채워지고, 상기 배리스터는 상기 회전자기판의 축방향 상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성형수지재로 덮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 모터의 상기 베어링은 축방향 상측에서 외경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림부를 구비하며, 상기 요크는 상기 걸림부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축공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부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 모터는 상기 지지축의 상부면에 구비되고 상기 베어링 상부면의 일부를 덮어 상기 회전자 회전시 상기 회전자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톱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 모터의 상기 스톱퍼는 상기 요크의 축공 내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 모터는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 중심이 되는 지지축의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지지축의 타측이 압입되어 지지되며, 자극을 형성하는 마그네트를 구비하는 스테이터; 상기 지지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어링; 상기 베어링이 관통하는 홀이 구비된 회전자기판의 일면에 상기 마그네트의 자화면과 대향되는 코일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자기판의 타면에 형성되어 상기 코일로 외부전원을 공급하는 정류자를 구비하여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베어링과 일체로 회전하면서 진동을 발생시키는 회전자; 상기 정류자와 접촉하여 상기 코일에 외부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상기 스테이터에 결합하는 브러쉬; 및 상기 브러쉬와 상기 정류자 사이에 발생하는 서지 전압을 흡수하기 위해 상기 회전자기판의 일면에 형성되는 배리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 모터의 상기 배리스터는 칩형 또는 링형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 모터의 상기 배리스터는 상기 회전자기판의 축방향 상측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 모터는 상기 회전자기판의 축방향 상부면의 일부에 질량체가 구비되어 회전하면서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 모터의 상기 배리스터는 상기 회전자기판의 축방향 상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자는 상기 회전자기판, 상기 코일, 상기 배리스터 및 상기 질량체를 일체로 형성하는 성형수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 모터는 상기 지지축의 상부면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밀폐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베어링과 상기 하우징 간의 접촉을 방지하는 상부와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편평형 진동 모터에 의하면, 브러쉬와 정류자의 스위칭시 발생하는 높은 서지 전압을 방지하여 모터의 수명을 늘릴 수 있다.
또한, 코일과 배리스터의 합성저항이 코일의 저항이 되므로 전류가 줄어들어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코일의 선경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큰 토크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모터의 외관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모터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모터에 제공되는 회전자의 외관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편평형 진동모터에 제공되는 회전자를 도시한 개략 절개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모터에 제공되는 회전자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모터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모터에 제공되는 회전자를 도시한 개략 저면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모터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모터에 제공되는 회전자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모터에 제공되는 회전자에 성형수지재가 채워진 모습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모터의 외관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모터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 모터(300)는 제한된 체적에서 편심회전구조물의 편심량을 극대화시켜 모터의 진동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써, 이는 스테이터(200), 회전자(100), 브러쉬(210) 및 배리스터(5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터(200)는 회전 중심이 되는 지지축(10)이 압입되어 지지되며, 자극을 형성하는 마그네트(220)를 일면에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방향에 대한 용어를 우선 정의하면, 축방향은 상기 지지축(10)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을 의미하며, 외경 또는 내경 방향은 상기 지지축(10)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자(100)의 외측단 방향 또는 상기 회전자(100)의 외측단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축(10)의 중심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스테이터(200)는 상기 지지축(10)이 압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중앙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경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일면에 마그네트(22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테이터(200)는 축방향 상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스테이터(200) 내에 위치한 상기 마그네트(2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그네트(220)는 후술할 코일(30)과 상호작용으로 전자기력을 발생키는 도넛 형상의 소자로 상기 스테이터(200)의 상부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220)는 원주방향으로 N, S극이 교대로 착자된 환고리형상으로 구비되며, N극과 S극이 2n개 즉, 2개, 4개, 6개.....씩 교대로 착자되는 영구자석일 수 있다.
이러한 마그네트(220)의 극수는 배치되는 극수에 따라서 내부의 부품수도 증가됨을 감안하여 부품구성이 간소화될 수 있도록 대략 2 내지 4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스테이터(200)의 상부면에는 외부전원을 인가하도록 하는 인쇄회로기판(230)이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마그네트(22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의 상부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은 상기 코일(30)에 외부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의 일면에는 상기 코일(30)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하는 브러쉬(210)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브러쉬(210)의 일단은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에 접속 설치되고, 타단은 후술할 회전자(100)에 구비되는 회전자기판(70)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외부전원은 상기 인쇄회로기판(230)에서 상기 브러쉬(210)를 통해 상기 회전자기판(70)으로 공급되어 상기 코일(30)에 최종적으로 공급이 이루어지면, 상기 마그네트(220)와 상기 코일(30)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회전자(100)가 회전하면서 진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마그네트(220)와 상기 코일(30)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자(100) 및 배리스터(50)에 관해서는 도 3 내지 7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모터에 제공되는 회전자의 외관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편평형 진동모터에 제공되는 회전자를 도시한 개략 절개 사시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모터에 제공되는 회전자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7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모터(300)에 제공되는 회전자(100)는 베어링(20), 회전자기판(70), 코일(30), 정류자(80), 질량체(60), 배리스터(50) 및 요크(4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어링(20)은 상기 지지축(10)에 회전가능하게 압입되어 결합하며, 상기 베어링(20)과 후술할 스톱퍼(95)와의 직접적인 마찰, 즉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도록 와셔(9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톱퍼(95)는 상기 지지축(10)의 상부면에 구비되고 상기 베어링(20) 상부면의 일부를 덮어 상기 회전자(100)의 회전시 상기 회전자(100)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으며, 후술할 요크(40)에 형성된 축공(45)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20)은 축방향 상측에서 외경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림부(25)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걸림부(25)는 상기 요크(40)의 축공(45)과 결합하여 상기 베어링(20)과 상기 요크(40)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게 한다.
회전자기판(70)은 상기 베어링(20)이 압입되는 홀을 구비하며, 대략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회전 중심축측이 베어링(20)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된다.
상기 회전자기판(70)의 상면에는 코일(30)이 접속 설치되고, 정류자(80)는 상기 회전자기판(70)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코일(30)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코일(30)의 근방에는 텅스텐과 같이 비중이 높은 소재로 이루어진 고비중의 질량체(60)가 편심배치될 수 있으며, 편심배치된 상기 질량체(60)에 의해 회전자(100)가 회전하는 경우 진동을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요크(40)는 내면에 상기 코일(30)이 결합하며, 상기 요크(40)의 내부 밀폐면의 일정영역에 상기 질량체(60)가 구비되어 회전하면서 진동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요크(40)는 상기 걸림부(25)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축공(45)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부(25)에 결합할 수 있으며, 도 7과 같이 상기 질량체(60)의 반대측부에 해당되는 요크(40)는 절개되어 전체적으로 부채형상과 유사한 대략 반원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류자(80)는 상기 회전자기판(70)의 하면에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분할된 세그먼트(segmant)로 이루어지고, 접촉면이 하부로 노출되며 금, 은과 같은 금속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정류자(80)는 상기 회전자기판(70)상에 패턴 인쇄되거나 도금처리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정류자(80)에는 상기 브러쉬(210)의 일측이 접촉된다.
상기 브러쉬(210)는 한쌍으로 상기 정류자(80)와 탄력적으로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정류자(80)의 세그먼트(segmant)에 서로 다른 극성의 전류를 공급하도록 양극(+), 음극(-)이 각각 흐르는 양극, 음극단자로 이루어진 전원공급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전자기판(70)의 일면에는 배리스터(50)가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배리스터(50)는 상기 브러쉬(210)와 상기 정류자(80) 사이에서 발생하는 서지 전압을 흡수하여 서지 전압에 의한 스파크를 탁월하게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스파크에 의한 전기적 마모를 최소화하여 편평형 진동 모터(30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상기 배리스터(50)는 도 4와 같이 칩형의 배리스터이거나 도 5와 같이 링형의 배리스터일 수 있다.
상기 배리스터(50)는 상기 회전자기판(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코일(30)과의 합성저항을 상기 코일(30)의 저항으로 유지시켜 상기 코일(30)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즉, 스파크 저감 소자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상기 배리스터(50)를 적용하면 무한대에 가까운 저항으로 상기 코일(30) 저항이 그대로 합성저항으로 나오게 되므로 상기 코일(30)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줄어들게 되어, 결국 전력 소모가 줄어드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따라서, 편평형 진동 모터(300) 동작을 위해 휴대배터리를 사용하는 경우 종래보다 긴 배터리 수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편평형 진동 모터(300)의 경우 진동 모터의 성능 향상을 위해 토크가 향상되어야 하는데, 상기 배리스터(50)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코일(30)에 흐르는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큰 선경의 코일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대적으로 큰 선경의 코일을 사용하게 되면 토크가 향상되지만 전류가 올라가는 문제가 있으므로,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전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줄어든 전류의 크기만큼 더 큰 선경의 코일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모터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모터에 제공되는 회전자를 도시한 개략 저면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모터(300)는 상기 일 실시예의 구성요소 이외에 성형수지재(65)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성형수지재(65)를 제외하고는 상기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효과를 가지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성형수지재(65)는 상기 요크(40)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코일(30), 상기 질량체(60)가 차지하는 영역 이외의 영역에 채워질 수 있으며, 상기 배리스터(50)는 상기 회전자기판(70)의 축방향 상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성형수지재(65)로 덮히게 되어 안정적으로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충격이 상기 회전자(100)에 전해지는 경우 상기 성형수지재(65)에 의해 외부충격이 흡수되어 상기 배리스터(50)에 전달되는 충격이 감소되므로 상기 배리스터(50)를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성형수지재(65)에 의해 상기 배리스터(50) 뿐만 아니라 상기 코일(30) 및 상기 질량체(60)도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모터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모터에 제공되는 회전자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모터에 제공되는 회전자에 성형수지재가 채워진 모습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편평형 진동모터(300)는 하우징(240), 스테이터(200), 회전자(100), 브러쉬(210) 및 배리스터(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40)은 상기 스테이터(200)와 상호 결합되어 내부에 상기 회전자(100)가 위치할 수 있도록 소정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자(100)를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40)의 내부 중앙부에는 베어링(20)과 상기 하우징(240)간의 직접적인 마찰을 방지하면서 상기 하우징(240)과 상기 회전자(100)간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부와셔(9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전자(100)는 상기 일 실시예에 비교하면 코일(30) 및 질량체(60)를 고정하기 위해 회전자기판(70)이 상대적으로 큰 크기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자기판(70)은 대략 반원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원판형으로 형성되어도 무관하다.
상기 회전자(100)는 상기 회전자기판(70)에 코일(30), 질량체(60) 및 배리스터(50)를 위치시킨 다음, 상기 회전자기판(70)을 금형속에 넣고, 성형수지재(65)를 상기 금형으로 사출하여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회전자기판(70), 상기 코일(30), 상기 질량체(60) 및 상기 배리스터(5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리스터(50)는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칩형 또는 링형일 수 있으며, 상기 성형수지재(65)에 의해 상기 회전자기판(70)에 안정적으로 위치 고정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편평형 진동 모터(300)는 회전자기판(70)의 일면에 칩형 또는 링형의 배리스터(50)를 결합하여 브러쉬(210)와 정류자(80)의 스위칭시 발생하는 높은 서지 전압을 방지하여 모터의 수명을 늘릴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자기판(70) 상부면에 상기 배리스터(50)를 결합하고 성형수지재(65)에 의해 상기 배리스터(50)를 고정하므로 외부충격에 의한 배리스터(5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코일(30)과 배리스터(50)의 합성저항이 코일의 저항이 되므로 상기 코일(30)에 흐르는 전류가 줄일 수 있으므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코일(30)의 선경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큰 토크를 얻을 수 있다.
10: 지지축 20: 베어링
30: 코일 40: 요크
50: 배리스터 60: 질량체
65: 성형수지재 70: 회전자기판
80: 정류자 100: 회전자
200: 스테이터 210: 브러쉬
220: 마그네트 300: 편평형 진동 모터

Claims (14)

  1. 회전 중심이 되는 지지축이 압입되어 지지되며, 자극을 형성하는 마그네트를 일면에 구비하는 스테이터;
    상기 지지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어링;
    상기 베어링이 관통하는 홀이 구비된 회전자기판의 일면에 상기 마그네트의 자화면과 대향되는 코일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자기판의 타면에 형성되어 상기 코일로 외부전원을 공급하는 정류자를 구비하여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베어링과 일체로 회전하면서 진동을 발생시키는 회전자;
    상기 정류자와 접촉하여 상기 코일에 외부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상기 스테이터에 결합하는 브러쉬; 및
    상기 브러쉬와 상기 정류자 사이에 발생하는 서지 전압을 흡수하기 위해 상기 회전자기판의 일면에 형성되는 배리스터;를 포함하는 편평형 진동 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스터는 칩형 또는 링형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형 진동 모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스터는 상기 회전자기판의 축방향 상측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형 진동 모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는 상기 코일이 내면에 결합하는 요크를 포함하며, 상기 요크의 밀폐 내부면의 일정영역에 질량체가 구비되어 회전하면서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형 진동 모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기판의 상부에 대응되는 상기 요크의 내부는 성형수지재로 채워지고, 상기 배리스터는 상기 회전자기판의 축방향 상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성형수지재로 덮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형 진동 모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은 축방향 상측에서 외경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림부를 구비하며,
    상기 요크는 상기 걸림부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축공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부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형 진동 모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의 상부면에 구비되고 상기 베어링 상부면의 일부를 덮어 상기 회전자 회전시 상기 회전자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톱퍼;를 더 포함하는 편평형 진동 모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는 상기 요크의 축공 내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형 진동 모터.
  9.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 중심이 되는 지지축의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지지축의 타측이 압입되어 지지되며, 자극을 형성하는 마그네트를 구비하는 스테이터;
    상기 지지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어링;
    상기 베어링이 관통하는 홀이 구비된 회전자기판의 일면에 상기 마그네트의 자화면과 대향되는 코일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자기판의 타면에 형성되어 상기 코일로 외부전원을 공급하는 정류자를 구비하여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베어링과 일체로 회전하면서 진동을 발생시키는 회전자;
    상기 정류자와 접촉하여 상기 코일에 외부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상기 스테이터에 결합하는 브러쉬; 및
    상기 브러쉬와 상기 정류자 사이에 발생하는 서지 전압을 흡수하기 위해 상기 회전자기판의 일면에 형성되는 배리스터;를 포함하는 편평형 진동 모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스터는 칩형 또는 링형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형 진동 모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스터는 상기 회전자기판의 축방향 상측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형 진동 모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기판의 축방향 상부면의 일부에 질량체가 구비되어 회전시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형 진동 모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스터는 상기 회전자기판의 축방향 상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자는 상기 회전자기판, 상기 코일, 상기 배리스터 및 상기 질량체를 일체로 형성하는 성형수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형 진동 모터.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의 상부면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밀폐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베어링과 상기 하우징 간의 접촉을 방지하는 상부와셔;를 더 포함하는 편평형 진동 모터
KR1020100053506A 2010-06-07 2010-06-07 편평형 진동 모터 KR101101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506A KR101101444B1 (ko) 2010-06-07 2010-06-07 편평형 진동 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506A KR101101444B1 (ko) 2010-06-07 2010-06-07 편평형 진동 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3863A KR20110133863A (ko) 2011-12-14
KR101101444B1 true KR101101444B1 (ko) 2012-01-03

Family

ID=45501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3506A KR101101444B1 (ko) 2010-06-07 2010-06-07 편평형 진동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144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9811B1 (ko) * 2003-06-20 2005-10-10 삼성전기주식회사 진동모터
JP2006068593A (ja) * 2004-08-31 2006-03-16 Tokyo Parts Ind Co Ltd 振動モータ
JP2007300726A (ja) * 2006-04-28 2007-11-15 Tokyo Parts Ind Co Ltd 偏心ロータと同ロータを備えた扁平コアレス振動モータ
KR20100137453A (ko) * 2008-03-10 2010-12-30 니덱 코팔 가부시키가이샤 모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9811B1 (ko) * 2003-06-20 2005-10-10 삼성전기주식회사 진동모터
JP2006068593A (ja) * 2004-08-31 2006-03-16 Tokyo Parts Ind Co Ltd 振動モータ
JP2007300726A (ja) * 2006-04-28 2007-11-15 Tokyo Parts Ind Co Ltd 偏心ロータと同ロータを備えた扁平コアレス振動モータ
KR20100137453A (ko) * 2008-03-10 2010-12-30 니덱 코팔 가부시키가이샤 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3863A (ko) 2011-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5099B1 (ko) 편평형 진동모터
KR101022945B1 (ko) 브러시리스 진동모터
KR100735299B1 (ko) 수직진동자
US7170205B2 (en) Internal weight type vertical vibrator
KR100541113B1 (ko) 패턴코일형 수직진동자
US6828705B1 (en) Vibration motor
KR100593900B1 (ko) 공진주파수를 이용한 선형 진동모터
US6806603B1 (en) Flat type vibration motor
KR101141002B1 (ko) 편평형 진동모터
JP2007174808A (ja) 小型モータ
KR101101444B1 (ko) 편평형 진동 모터
KR100568304B1 (ko) 편평형 진동모터
JP5254312B2 (ja) モータ
CN211791203U (zh) 一种扁平无刷振动马达
KR100631880B1 (ko) 편평형 진동모터
KR100616628B1 (ko) 편평형 진동모터
KR20060091905A (ko) 진동모터
KR101005006B1 (ko) 진동 모터
KR101021692B1 (ko) 바타입 진동모터
JP2005012935A (ja) モールド型偏心ロータと同ロータを備えた軸方向空隙型コアレス振動モータ
KR101084948B1 (ko) 편평형 진동모터
KR100586972B1 (ko) 정류자형 직류모터
JP2004166427A (ja) 振動発生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1140957B1 (ko) 편평형 진동모터
KR100593164B1 (ko) 편평형 진동 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