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1905A - 진동모터 - Google Patents

진동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1905A
KR20060091905A KR1020050012673A KR20050012673A KR20060091905A KR 20060091905 A KR20060091905 A KR 20060091905A KR 1020050012673 A KR1020050012673 A KR 1020050012673A KR 20050012673 A KR20050012673 A KR 20050012673A KR 20060091905 A KR20060091905 A KR 20060091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brush
vibration motor
stator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2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8724B1 (ko
Inventor
김동진
이경호
김영태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2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8724B1/ko
Publication of KR20060091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1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8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8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sealing elements between cove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 basic insulating layer and at least one covering 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metal or with an outer layer of metal or enameled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진동모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진동모터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권선코일을 구비하는 상부기부를 갖추고, 케이스의 샤프트에 구비되는 베어링부재를 매개로 편심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회전자 ; 상기 상부기부의 정류편에 상단이 접하여 전류를 통전시키는 브러쉬를 상부면에 구비하는 하부기부를 갖추고, 상기 권선코일과 대응배치되는 마그네트가 구비되는 고정자; 및 상기 회전자에 상단이 접하고, 상기 고정자에 하단이 접하여 상기 브러쉬의 상단과 상기 정류편의 하부면간의 접점을 유지하면서 상기 회전자를 탄력지지하도록 상기 샤프트에 조립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진동모터에 의하면, 회전자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정류편에 탄력적으로 접하는 브러쉬의 과도한 하부처짐에 의한 영구변형을 지연시키고, 외부로부터 충격하중에 의한 브러쉬의 순간적인 하부처짐을 방지하여 브러쉬의 반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진동모터, 회전자,고정자, 브러쉬, 정류편, 스프링부재

Description

진동모터{A VIBRATION MOTOR}
도 1은 일반적인 진동모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2(a)(b)(c)는 일반적인 진동모터에 구비되는 브러쉬와 정류편간의 접촉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3(a)(b)(c)는 일반적인 진동모터에 구비되는 U자형 브러쉬와 정류편간의 접촉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모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모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모터에 구비되는 스프링부재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써,
a)는 초기조립시
b)는 외부충격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모터의 스프링부재의 상,하단에 와셔부재를 구비한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회전자 111 : 상부기부
112 : 권선코일 115 : 정류편
120 : 고정자 121 : 하부기부
122 : 마그네트 125 : 브러쉬
130 : 케이스 135 : 샤프트
140 : 스프링부재 141,142 : 상,하부 와셔부재
145 : 하부축지지부 100 : 진동모터
본 발명은 진동모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회전자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정류편에 탄력적으로 접하는 브러쉬의 과도한 하부처짐에 의한 영구변형을 지연시키고, 외부로부터 충격하중에 의한 브러쉬의 순간적인 하부처짐을 방지하여 브러쉬의 반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진동모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기기에서 착신을 하기 위해 많이 사용되는 것이 벨소리와 진동이다. 진동을 위해서는 소형의 진동모터를 구동시켜 구동력이 기기의 케이스로 전달되도록 하여 기기가 진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현재 휴대폰과 같이 통신기기에 적용되고 있는 진동모터는 모터의 형상에 따라 평편형(flat type)(또는 코인형(coin type))과 원통형(cylinder type 또는 바형 (bar type))으로 구분된다.
이들 중에서 평편형 진동모터의 경우 고비중의 중량체를 모터의 내부에 위치시켜서 이를 회전시키는 것과 같이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고, 두께를 얇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여 휴대폰 부품의 소형화에 유리한 점 등의 여러 장점이 있기 때문에, 그 사용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평편형 진동모터의 종단면도로써, 도시한 바와같이, 진동모터(1)는 크게 회전부재인 로터 어셈블리(rotor assembly)(이하, 회전자이라함)(10)와, 고정부재인 스테이터 어셈블리(stator assembly)(이하, 고정자이라함)(20)및 이들을 내부공간에 수용하는 케이스(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자(10)는 케이스(30)내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편심회전구조물로서, 이는 상부기부(11), 권선코일(12), 중량체(13),절연물(14)및 정류편(1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기부(11)는 패턴회로가 형성되지 않은 상부면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권선코일(12)을 구비하고, 상기 권선코일(12)의 근방에는 중량체(13)가 편심배치되며, 상기 권선코일(12)과 중량체(13)는 인서트 사출성형되는 절연물(14)의 내부에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몰딩된다.
여기서, 상기 중량체(13)는 모터구동시 편심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편심배치되며, 텅스텐과 같은 고비중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패턴회로가 형성되는 상부기부(11)의 하부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분할된 세그먼트(segment)로 이루어져 접촉면이 하부로 노출되 는 정류편(15)을 구비하며, 상기 정류편(15)의 각 세그먼트는 상기 고정자(20)에 구비되는 한쌍의 브러쉬(25)의 상단과 탄력적으로 접촉된다.
한편, 상기 고정자(20)는 하향개방된 케이스(30)의 하부를 차단하도록 조립되는 브라켓(32)상에 구비되는 고정구조물로서, 하부기부(21), 마그네트(22), 전원공급부(23)및 브러쉬(25)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기부(21)은 상기 브라켓(32)의 상부면에 장착되고, 상기 마그네트(22)는 상기 회전자(10)의 권선코일(12)과 서로 대응하는 브라켓(32)의 상부면에 원주방향으로 N,S극이 교대로 착자되어 환고리형상으로 구비되며, 외부전원공급용 리드선(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공급부(23)는 상기 상부기부(21)의 상부면 일측에 구비된다.
또한, 패턴회로가 형성된 하부기부(21)의 상부면에는 상기 고정자(10)의 정류자(15)에 상단이 탄력지지되는 한쌍의 브러쉬(25)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기부(21)에 하단이 고정되는 브러쉬(25)의 각 타단은 서로 다른 극성인 양극(+), 음극(-)의 전류가 각각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회전자(10)는 상기 브라켓(32)의 상부면 중심에 수직하게 구비되는 샤프트(35)에 베어링부재(36)를 매개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베어링부재(36)는 상기 절연물(14)의 사출성형시 이에 매입되며, 상기 샤프트(31)의 상,하단은 상기 케이스의 하부면과 상기 브라켓(32)의 상부면에 각각 지지된다.
이러한 종래 진동모터(1)에 좌우한쌍으로 구비되는 브러쉬(25)는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하부기부(21)에 고정되는 고정편(25a)과, 상기 고정편(25a)의 일단으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면서 둔각으로 절곡되는 경사편(25b)및 이로부터 연장되어 정류자(15)에 접촉되는 호형단면상의 밴딩편(25c)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브러쉬(25')는 상기 하부기부(21)에 고정되는 고정편(25a')과, 상기 고정편(25a')의 일단으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면서 U자형으로 절곡되는 경사편(25b')및 이로부터 연장되어 정류자(15)에 접촉되는 호형단면상의 밴딩편(25c')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정류편(15)을 갖는 회전자(10)와, 상기 브러쉬(25)(25')을 갖는 고정자(20)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도 2(a)와 3(a)에 도시한 바와같이, 조립전 에는 상기 브러쉬(25)(25')의 밴딩편(25c)(25c')과 정류편(15)간의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상기 브러쉬(25)(25')는 일정높이(H1)(H1')를 갖지만, 조립후에는 도 2(b)와 도 3(b)에 도시한 바와같이, 밴딩편(25c)(25c')과 정류편(15)간의 접촉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브러쉬(25)(25')가 하방으로 가압되어 조립전의 최고높이(H1)(H1')보다 낮은 기준높이(H)(H')를 갖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브러쉬(25)(25')를 통하여 외부전원이 상기 회전자(10)의 권선코일(12)로 공급되어 회전자(10)의 편심구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자(20)의 자중에 의해서 상기 브러쉬(25)(25')가 하방으로 서서히 소성변형되어 하부처짐이 발생되고, 상기 진동모터(1)의 적재및 운송시 발생되는 낙하충격과 같은 외부충격에 의해서 상기 브러쉬(25)(25')는 도 2(c)와 도 3(c)에 도시한 바와같이, 순간적으로 변형되면서 과도하게 하부로 처지면서 조립후 정상적인 기준높이(H)(H')보다 더 낮은 최저높이(H2)(H2')를 갖게된다.
그리고, 상기 브러쉬(25)는 장시간 사용되거나 급격한 온도변화나 습도변화에 의해서 그리고, 정류편(15)의 간극사이를 통과하면서 발생되는 충격력에 의해서 상기 밴딩편(25c)(25c')이 하부로 처지거나, 하부처짐변형이 유지되는 영구변형이 발생되었다.
상기와 같이 브러쉬(25)(25')가 하부로 처지는 하부처짐이 최대 100㎛이상 발생되면, 상기 브러쉬(25)(25')의 밴딩편(25c)(25c')가 정류편(15)로부터 순간적으로 이격되어 비접촉되면서 안정적인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전원공급부(23)를 통해 공급되는 전류가 브러쉬(25)(25'), 정류편(15)을 통해 권선코일(12)로 전달되지 못하는 무통전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해 회전자(10)가 회전하지 않게 되고, 안정된 모터구동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없게 되고, 제품불량을 유발시키는 주원인으로 작용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써, 그 목적은 브러쉬의 과도한 하부처짐을 최소화하여 브러쉬의 영구변형을 지연시키고, 외부 충격력에 의한 브러쉬의 순간적인 하부처짐을 방지하여 브러쉬의 반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브러쉬와 정류편간의 무접점에 의한 무통전현상을 방지하며, 모터구동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진동모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써,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이상의 권선코일을 구비하는 상부기부를 갖추고, 케이스의 샤프트에 구비되는 베어링부재를 매개로 편심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회전자 ;
상기 상부기부의 정류편에 상단이 접하여 전류를 통전시키는 브러쉬를 상부면에 구비하는 하부기부를 갖추고, 상기 권선코일과 대응배치되는 마그네트가 구비되는 고정자; 및
상기 회전자에 상단이 접하고, 상기 고정자에 하단이 접하여 상기 브러쉬의 상단과 상기 정류편의 하부면간의 접점을 유지하면서 상기 회전자를 탄력지지하도록 상기 샤프트에 조립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진동모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프링부재는 상기 케이스와 회전자를 포함하는 회전체의 하중보다는 크고 상기 브러쉬의 탄성력보다는 작은 크기의 탄성력을 갖는 코일스프링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프링부재의 상단과 하단에는 상,하부 와셔부재를 각각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프링부재는 상기 회전자 또는 고정자중 어느 일측에 고정되며, 상기 스프링부재의 상단은 베어링부재의 하부면에 상단이 고정되고, 상기 샤프트의 하부단이 지지되는 하부축지지부의 상부면에 하단이 접촉되거나 상기 스프링부재의 상단은 베어링부재의 하부면에 상단이 접촉되고, 상기 샤프트의 하부단 이 지지되는 하부축지지부의 상부면에 하단이 고정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모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모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즉, 본 발명의 진동모터(100) 도 4 와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원인가시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모터(100)의 회전자(110)와 고정자(120)사이에서 상기 회전자(110)의 권선코일(112)에 전류를 인가하도록 정류편(115)에 상단이 접촉되는 브러쉬(125)의 영구변형을 지연시키고, 낙하충격에 의한 브러쉬(125)의 순간적인 하부처짐을 방지하도록 상기 회전자(110)와 고정자(120)사이에 추가적인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진동모터(100)는 회전자(110), 고정자(120), 케이스(130)및 스프링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회전자(110)는 상기 케이스(130)의 사프트(131)와 베어링부재(132)를 매개로 편심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구조물로써, 다양한 회로가 패턴인쇄된 상부기부(111)의 상부면에 전원인가시 자속을 발생시키도록 코일부재가 권선되는 권선코일(112)을 적어도 하나이상 구비된다.
상기 권선코일(12)의 근방에는 고비중의 중량체(113)가 상부기부(111)의 일 측에 편중배치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권선코일(112)과 중량체(113)는 상기 회전자(110)의 편심하중을 가일층 증대하기 위해서 레진과 같은 절연물(114)로서 일체로 성형되며, 상기 절연물(114)의 사출성형시 그 하부면에 상기 상부기부(111)도 일체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절연물(114)은 상기 상부기부(111)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권선코일(112)과 중량체(113)를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도록 인서트 사출성형되는 수지물이며, 상기 절연물(114)의 사출성형시 상기 샤프트(135)에 조립되는 베어링부재(136)가 상기 절연물(114)에 매입된다.
상기 상부기부(11)의 하부면 중심부에는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분할된 세그먼트(segment)로 이루어져 접촉면인 하부면이 하부로 노출되는 정류편(115)을 구비하며, 상기 정류자(115)는 통상적으로 고정자(120)에 구비되는 마그네트(122)의 자극수에 대하여 2배의 갯수로 분할된 세그먼트로 갖추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자(20)는 상기 케이스(130)의 개방된 하부에 조립되는 브라켓(132)의 상부면에 하부기부(121)을 구비하는 고정구조물이다.
상기 회전자(110)의 권선코일(112)과 서로 대응하는 브라켓(132)의 상부면 에는 원주방향으로 N,S극이 교대로 착자된 마그네트(122)를 구비하며, 상기 마그네트(122)는 N,S극이 2n개 즉 2개, 4개, 6개 .... 가 교대로 착자되는 영구자석이며, 상기 마그네트(122)의 자극수는 배치되는 극수에 따라서 내부의 부품수도 증가됨을 감안하여 부품구성이 간소화될 수 있도록 대략 2 내지 6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그리고, 상기 하부기부(121)의 일측에는 외부전원공급용 리드선(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브러쉬(125)측으로 서로 다른 극성인 양극(+), 음극(-)을 각각 공급하도록 양,음극단자(123a)(123b)를 갖는 전원공급부(123)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회전자(110)의 권선코일(112)측으로 전류를 통전시키도록 상기 정류편(115)에 상단이 접하는 브러쉬(125)는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하부기부(121)의 중앙부에 관통형성된 개구부근방에 하단이 고정되는 좌우한쌍의 브러쉬부재로 구성된다.
이러한 브러쉬(125)는 상기 전원공급부(123)의 양극단자(123a)와 음극단자(123b)로부터 서로 다른 극성인 양극과 음극이 각각 공급되도록 상기 양극, 음극단자(123a)(123B)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하부기부(121)의 상부면에 인쇄되는 도전성 패턴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스프링부재(140)는 회전구조물인 회전자(110)에 상단이 접하고, 고정구조물인 고정자(120)에 하단이 접하여 상기 회전자(110)로부터 전달되는 수직방향의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이다.
이러한 스프링부재(140)는 상기 회전자(110)와 고정자(120)간의 조립시 브러쉬(125)의 상단과 상기 정류편(115)의 하부면간의 접점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회전자(110)을 탄력지지하도록 상기 샤프트(135)에 조립되는 코일스프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샤프트(135)에 몸체중심이 삽입되어 조립되는 스프링부재(140) 의 상,하단은 상기 회전자(110)와 고정자(120)에 각각 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회전자(110)에 회전구동에 관계없이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지만, 상기 회전자(110)와 고정자(120)중 어느 일측에 고정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스프링부재(140)의 상단은 상기 샤프트(135)의 길이중간에 조립되는 베어링부재(136)의 하부면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고정자(120)의 상부면에 접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와 반대로 상기 스프링부재(140)의 상단은 상기 베어링부재(136)의 하부면에 접하고, 상기 샤프트(135)의 하부단이 지지되는 하부축지지부(145)의 상부면에 고정되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축지지부(145)는 상기 케이스(130)의 개방된 하부를 밀페하도록 조립되는 브라켓(135)의 상부면 중앙으로부터 직상부로 일정높이 돌출형성되어 상기 샤프트(135)의 하부단이 조립되는 지지부재이다.
이에 따라, 상기 스프링부재(140)는 모터구동시 상기 회전자(110)와 더불어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130)와 회전자(110)를 포함하는 회전체를 상기 브러쉬(125)와 더불어 상방으로 탄력지지하는 스프링부재(140)는 상기 회전체 전체의 하중보다는 작고 상기 브러쉬(125)의 탄성력보다는 큰 크기의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부재(140)의 상단과 하단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회전자(110)와 고정자(120)과의 접촉에 의한 부품마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내마모성이 우수한 소재로 이루어진 상,하부 와셔부재(141)(142)를 구비하여도 좋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진동모터(100)의 전원공급부(123)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전원공급부(123)의 양극, 음극단자(123a)(123b)와 각각 도전성 패턴을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좌우한쌍의 브러쉬(125)에 서로 다른 극성의 전원이 인가된다.
그리고, 상기 브러쉬에 공급된 전원은 상기 회전자(110)의 상부기부(111)에 구비되는 정류편(115)과 상기 브러쉬(125)의 상단이 탄력적으로 접하기 때문에, 상기 브러쉬(125), 정류편(115)을 통하여 권선코일(112)측으로 공급되어 전기장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권선코일(112)의 전기장과 상기 마그네트(122)의 자기장간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상기 회전자(110)는 샤프트(135)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일방향으로 회전구동되기 시작한다.
연속하여 일방향 회전되는 회전자(110)는 무게중심이 일측으로 치우지도록 편심되어 있거나 중량체(113)가 편심배치된 상태에서 회전구동되면서 편심구동력을 발생시키고, 이때 발생되는 편심구동력이 상기 샤프트(135)를 통하여 외부로 전달되어 기기전체를 진동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샤프트(135)에 조립되어 상기 회전자(110)와 케이스(130)를 포함하는 회전체를 상기 브러쉬(125)와 더불어 상방으로 탄력지지하는 스프링부재(140)는 도 6(a)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회전자(110)와 고정자(120)의 조립이 완료되면, 상기 하부기부(121)에 고정되는 고정편(125a)과, 상기 고정편(25a)의 일단으로 부터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편(125b)을 갖는 브러쉬(125)의 최상단인 밴딩편(125c)이 정류편(115)에 탄력적으로 접하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자(110)와 고정자(120)간의 상호간섭을 방지하는 기준높이(P)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부재(140)는 자체 탄성력이 상기 회전체의 하중보다는 작고 상기 브러쉬(125)의 탄성력보다는 크기 때문에 모터의 구동및 미구동에 관계없이 항상 상기 회전자(110)의 자중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전달하여 상기 회전체를 탄력지지하게 된다.
모터구동에 회전자(110)의 회전중 또는 상기 회전자(110)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체에 직하방으로 외력이 전달되면, 도 6(b)에 도시한 바와같이 외력에 의해서 상기 스프링부재(140)는 수축되면서 외력을 흡수하여 감소시키거나 상쇄되어 상기 브러쉬(125)에 전달되는 외력을 최소화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브러쉬(125)이 모터의 운반및 적재시 발생되는 낙하충격력에 의한 하부처짐을 최소화하여 브러쉬(125)의 영구변형을 지연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정류편(115)에 상단이 접촉하는 브러쉬(125)의 반력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상기 정류편(115)과 브러쉬(125)간의 접촉상태가 항상 균일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진동모터의 무통전현상을 예방하여 모터의 안정된 구동을 보장하고,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자와 고정자사이에 권선코일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정류편에 상단이 탄력적으로 접하는 브러쉬와 더불어 회전체를 상방으로 탄력지지하는 스프링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브러쉬의 과도한 하부처짐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브러쉬의 영구변형을 지연시켜 모터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충격력에 의한 브러쉬의 순간적인 하부처짐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브러쉬의 반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브러쉬와 정류편간의 무접점에 의한 무통전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모터구동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제품의 신뢰성을 종래에 비하여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6)

  1. 적어도 하나이상의 권선코일을 구비하는 상부기부를 갖추고, 케이스의 샤프트에 구비되는 베어링부재를 매개로 편심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회전자 ;
    상기 상부기부의 정류편에 상단이 접하여 전류를 통전시키는 브러쉬를 상부면에 구비하는 하부기부를 갖추고, 상기 권선코일과 대응배치되는 마그네트가 구비되는 고정자; 및
    상기 회전자에 상단이 접하고, 상기 고정자에 하단이 접하여 상기 브러쉬의 상단과 상기 정류편의 하부면간의 접점을 유지하면서 상기 회전자를 탄력지지하도록 상기 샤프트에 조립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진동모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재는 상기 케이스와 회전자를 포함하는 회전체의 하중보다는 작고 상기 브러쉬의 탄성력보다는 큰 크기의 탄성력을 갖는 코일스프링임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재의 상단과 하단에는 상,하부 와셔부재를 각각 구비함을 특징 으로 하는 진동모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재는 상기 회전자 또는 고정자중 어느 일측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재의 상단은 베어링부재의 하부면에 상단이 고정되고, 상기 샤프트의 하부단이 지지되는 하부축지지부의 상부면에 하단이 접촉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재의 상단은 베어링부재의 하부면에 상단이 접촉되고, 상기 샤프트의 하부단이 지지되는 하부축지지부의 상부면에 하단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
KR1020050012673A 2005-02-16 2005-02-16 진동모터 KR100638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2673A KR100638724B1 (ko) 2005-02-16 2005-02-16 진동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2673A KR100638724B1 (ko) 2005-02-16 2005-02-16 진동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1905A true KR20060091905A (ko) 2006-08-22
KR100638724B1 KR100638724B1 (ko) 2006-10-30

Family

ID=37593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2673A KR100638724B1 (ko) 2005-02-16 2005-02-16 진동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87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11268A (zh) * 2023-12-15 2024-01-16 瑞声光电科技(常州)有限公司 振动马达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573B1 (ko) * 2007-02-08 2012-01-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선형 진동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11268A (zh) * 2023-12-15 2024-01-16 瑞声光电科技(常州)有限公司 振动马达
CN117411268B (zh) * 2023-12-15 2024-03-26 瑞声光电科技(常州)有限公司 振动马达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8724B1 (ko) 2006-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3900B1 (ko) 공진주파수를 이용한 선형 진동모터
JP3712719B2 (ja) 偏平型振動モータ
KR100638724B1 (ko) 진동모터
KR100568304B1 (ko) 편평형 진동모터
KR100568296B1 (ko) 접촉궤적이 상이한 브러쉬를 구비하는 진동모터
JPH08256449A (ja) 出力軸のない振動モータ
KR100541099B1 (ko) 평편형 진동모터의 브러쉬
KR100568292B1 (ko) 평편형 진동모터
KR101005006B1 (ko) 진동 모터
KR100616628B1 (ko) 편평형 진동모터
KR100401107B1 (ko) 진동모터
KR100631880B1 (ko) 편평형 진동모터
KR100568289B1 (ko) U자형으로 벤딩된 브러쉬를 구비하는 진동모터
KR100631881B1 (ko) 회전부하를 감소시킨 편평형 진동모터
KR20010046374A (ko) 편평형 진동 모터
KR100638665B1 (ko) 처짐방지용 브러쉬 및 이를 구비하는 전기모터
KR100526252B1 (ko) 평편형 진동모터
KR100489830B1 (ko) 브러쉬리스타입 진동모터
KR100586972B1 (ko) 정류자형 직류모터
KR100550920B1 (ko) 평편형 진동모터
KR100616629B1 (ko) 편평형 진동모터
KR100422039B1 (ko) 진동모터
KR20110016286A (ko) 편평형 진동모터의 브러시
KR20030067885A (ko) 진동 모터
KR20040110836A (ko) 편심 중량 마그네트를 갖는 브러쉬리스 진동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